KR101700046B1 - 외부 음향정보 입력기능을 갖는 시각장애인용 음향신호장치 - Google Patents

외부 음향정보 입력기능을 갖는 시각장애인용 음향신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0046B1
KR101700046B1 KR1020150175038A KR20150175038A KR101700046B1 KR 101700046 B1 KR101700046 B1 KR 101700046B1 KR 1020150175038 A KR1020150175038 A KR 1020150175038A KR 20150175038 A KR20150175038 A KR 20150175038A KR 101700046 B1 KR101700046 B1 KR 1017000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sound
acoustic
unit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50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상민
Original Assignee
윤상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상민 filed Critical 윤상민
Priority to KR10201501750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004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00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00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8Devices or methods enabling eye-patients to replace direct visual perception by another kind of percep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6Input arrangements with force or tactile feedback as computer generated output to the u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H04W4/008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부 음향정보 입력기능을 갖는 시각장애인용 음향신호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신호등이 마련된 지주에 설치되며 도로를 횡단하도록 사용자 무선단말기의 통행예정신호가 수신되면 음향이 송출되도록 하는 시각장애인용 음향신호장치로서, 하우징본체와, 상기 하우징 본체에 설치되어 상태정보를 음향으로 출력하는 상태정보출력부와, 상기 하우징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상태정보출력부에 음향신호를 전달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 설치되고, 음향정보가 입력되는 음향모듈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하우징 본체에는 음향정보를 수신함과 아울러 통행신호를 송신하도록 무선통신부가 더 마련되어, 하우징본체에 배치되는 제어부에 음향모듈부를 일체로 구성하고, 무선통신부를 마련하여 음향정보를 수신받아 데이터로 저장함과 아울러 통행에 따른 음향정보를 송출하게 됨으로서, 작업자가 음향정보를 입력하기 위해 음향신호장치를 수거하여 분해하지 않아도 되므로 유지보수가 용이하게되고, 사용자가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통행예정신호를 무선통신부에 간편하게 전달하여 음향이 송출되도록 함으로서, 스마트폰에 기능을 일체화시켜 별도의 통행신호를 전달하는 단말기가 필요없어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외부 음향정보 입력기능을 갖는 시각장애인용 음향신호장치 { Acoustic signaling devices for visually impaired }
본 발명은 외부 음향정보 입력기능을 갖는 시각장애인용 음향신호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하우징본체에 배치되는 제어부에 음향모듈부를 일체로 구성하고, 무선통신부를 마련하여 음향정보를 수신받아 데이터로 저장함과 아울러 통행에 따른 음향정보를 송출하게 됨으로서, 작업자가 음향정보를 입력하기 위해 음향신호장치를 수거하여 분해하지 않아도 되므로 유지보수가 용이하게되고, 사용자가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통행예정신호를 무선통신부에 간편하게 전달하여 음향이 송출되도록 함으로서, 스마트폰에 기능을 일체화시켜 별도의 통행신호를 전달하는 단말기가 필요없어 비용이 절감되는 외부 음향정보 입력기능을 갖는 시각장애인용 음향신호장치에 관한 것이다.
사회적 약자에 대한 관심이 집중됨에 따라 장애인, 특히 일반인에 비해 낮은 시력으로 인해 일상생활에 제약을 받는 시각장애인이 안전하게 교통시설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시각장애인용 교통시스템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특히 보행자 및 차량의 상충이 높은 횡단보도 또는 교차로는 사고의 위험이 높은 특성을 갖기 때문에 시각장애인이 안전하게 횡단보도를 횡단할 수 있는 다양한 대책이 연구되고 있다.
종래에는 대한민국 실용신안 출원번호 제20-2002-0015095호에서와 같이 시각장애인이 횡단보도를 안전하게 통행시키기 위한 방법으로는 보행등 지주 일측에 음향신호기를 동작시키는 푸쉬 버튼 스위치(Push Button switch)을 설치시킨 후 시각장애인에 의해 푸시 버트 쉬위치가 눌려지면 음향신호기가 신호등의 점등상태를 음향으로 출력함으로써 시각장애인에게 이동정보를 제공하도록 하는 방식과, 기 설정된 통신영역 내에 접속된 음향신호기로 동작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리모콘을 시각장애인에게 지급하여 시각장애인에게 이동정보를 제공하는 방식이 있다.
그러나 종래의 방식 푸쉬 버튼 스위치를 이용한 방법은 음향신호기를 동작시키기 위하여 시각장애인이 푸쉬 버튼 스위치를 찾아야 하나 유동인구가 많은 횡단보도에서 시각장애인이 푸쉬 버튼 스위치를 찾는 것은 쉽지가 않을 뿐만 아니라 안전상의 위험이 높은 단점을 갖는다.
또한, 종래의 리모콘을 지급하는 방식은 리모콘을 제작하는데 비용이 과도하게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매번 외출시 리모콘을 소지해야 하는 불편한 문제점이 상존하게 된다.
전술한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배경기술을 의미하며, 종래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하우징본체에 배치되는 제어부에 음향모듈부를 일체로 구성하고, 무선통신부를 마련하여 음향정보를 수신받아 데이터로 저장함과 아울러 통행에 따른 음향정보를 송출하게 됨으로서, 작업자가 음향정보를 입력하기 위해 음향신호장치를 수거하여 분해하지 않아도 되므로 유지보수가 용이하게되고, 사용자가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통행예정신호를 무선통신부에 간편하게 전달하여 음향이 송출되도록 함으로서, 스마트폰에 기능을 일체화시켜 별도의 통행신호를 전달하는 단말기가 필요없어 비용이 절감되는 외부 음향정보 입력기능을 갖는 시각장애인용 음향신호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신호등이 마련된 지주에 설치되며 도로를 횡단하도록 사용자 무선단말기의 통행예정신호가 수신되면 음향이 송출되도록 하는 시각장애인용 음향신호장치로서, 하우징본체와, 상기 하우징 본체에 설치되어 상태정보를 음향으로 출력하는 상태정보출력부와, 상기 하우징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상태정보출력부에 음향신호를 전달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 설치되고, 음향정보가 입력되는 음향모듈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하우징 본체에는 음향정보를 수신함과 아울러 통행신호를 송신하도록 무선통신부가 더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외부에서 입력무선단말기로 상기 음향정보가 상기 무선통신부로 수신되면, 그 음향정보를 상기 음향모듈부에 입력하여 상기 상태정보출력부를 통해 입력된 음향이 출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무선통신부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기와 와이파이, 블루투스 및 NFC((near field communication)중 어느하나의 방법으로 통신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 무선단말기로 통행예정신호가 상기 무선통신부로 수신되고, 상기 신호등이 통행으로 점등되면 상기 상태정보출력부에 신호를 보내 음향신호가 송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기에는 상기 무선통신부에서 수신되는 신호를 통해 제어되는 진동알림수단이 더 마련되며, 상기 진동알림수단은 상기 무선통신부에서 송신되는 통행신호를 전달는 무선수신부와 상기 무선수신부에서 통행신호를 전달받는 진동제어부와 상기 진동제어부의 신호에 의해 제어되는 진동부로 이루어져, 통행상태를 음향과 함께 촉감으로 느낄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본체에는 상기 제어부의 신호를 전달받아 구동되는 요동안내부가 더 마련되며, 상기 요동안내부는 상기 하우징본체에 형성되는 연결부재에 설치되며 내부에 공간을 갖는 손잡이와, 상기 손잡이의 외면에 형성되는 다수의 마찰돌기와, 상기 손잡이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안내바이브레이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본체에는 상기 제어부의 신호를 전달받아 구동되는 발판안내부가 더 마련되며, 상기 발판안내부는 상기 하우징본체의 형성되는 결합부재의 하부에 설치되고 지면에 하부가 매립되며 내부에 공간을 갖는 발판과, 상기 발판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발판바이브레이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외부 음향정보 입력기능을 갖는 시각장애인용 음향신호장치는 하우징본체에 배치되는 제어부에 음향모듈부를 일체로 구성하고, 무선통신부를 마련하여 음향정보를 수신받아 데이터로 저장함과 아울러 통행에 따른 음향정보를 송출하게 됨으로서, 작업자가 음향정보를 입력하기 위해 음향신호장치를 수거하여 분해하지 않아도 되므로 유지보수가 용이하게되고, 사용자가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통행예정신호를 무선통신부에 간편하게 전달하여 음향이 송출되도록 함으로서, 스마트폰에 기능을 일체화시켜 별도의 통행신호를 전달하는 단말기가 필요없어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외부 음향정보 입력기능을 갖는 시각장애인용 음향신호장치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외부 음향정보 입력기능을 갖는 시각장애인용 음향신호장치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외부 음향정보 입력기능을 갖는 시각장애인용 음향신호장치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외부 음향정보 입력기능을 갖는 시각장애인용 음향신호장치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외부 음향정보 입력기능을 갖는 시각장애인용 음향신호장치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외부 음향정보 입력기능을 갖는 시각장애인용 음향신호장치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외부 음향정보 입력기능을 갖는 시각장애인용 음향신호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단지 예시로 제시하는 것이며, 본 기술 사상을 통해 구현되는 다양한 실시예가 있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외부 음향정보 입력기능을 갖는 시각장애인용 음향신호장치를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외부 음향정보 입력기능을 갖는 시각장애인용 음향신호장치를 나타낸 흐름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외부 음향정보 입력기능을 갖는 시각장애인용 음향신호장치를 나타낸 흐름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외부 음향정보 입력기능을 갖는 시각장애인용 음향신호장치를 나타낸 개념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외부 음향정보 입력기능을 갖는 시각장애인용 음향신호장치를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외부 음향정보 입력기능을 갖는 시각장애인용 음향신호장치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외부 음향정보 입력기능을 갖는 시각장애인용 음향신호장치(10)(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음향신호장치라 명명함)은 신호등이 마련된 지주에 설치되며 도로를 횡단하도록 사용자 무선단말기의 통행예정신호가 수신되면 음향이 송출되도록 하는 시각장애인용 음향신호장치로서, 이에 이와같은 음향신호장치는 하우징본체(20)와 상태정보출력부(30)와 제어부(40)와 음향모듈부(50)와 무선통신부(60)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우징본체(20)는 내부에 설치공간이 형성되며, 사각의 케이스 구조로 형성되고 금속재 또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다.
상기 상태정보출력부(30)는 통상의 스피커로서, 상기 하우징 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제어부(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40)의 신호에 의해 상태정보를 음향으로 출력하게 된다.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하우징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상태정보출력부(30)에 음향신호를 전달하게 된다.
상기한 제어부(40)는 지주(200)의 신호등(1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신호등(100)으로부터 통행에 따른 점등신호 및 정지에 따른 점등신호를 전달받게 된다.
상기 음향모듈부(50)는 상기 제어부(40)의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설치되고, 음향정보 데이터가 입력되어 저장되며, 상기 제어부(40)를 통해 상기 상태정보출력부(30)에 음향정보를 전달하여 음향이 출력되도록 한다.
상기 음향정보는 새소리, 물소리 통행을 지시하는 음성 등 소리로 전달되는 정보이면 어느것이 사용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하우징 본체에는 음향정보를 수신함과 아울러 통행신호를 송신하도록 무선통신부(60)가 더 마련되며, 상기 무선통신부(60)는 상기 제어부(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수신된 음향정보를 상기 제어부(40)에 전달하여 상기 음향모듈부(50)에 입력되도록 하고,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기(300)로부터 수신되는 통행예정신호를 상기 제어부(40)에 전달하게 된다.
상기 무선통신부(6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신안테나로 이루어진 수신부(61)와 송신안테나로 이루어진 송신부(62)로 구성된다.
상기 무선통신부(60)는 송신이나 수신이 일체화된 안테나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무선통신부(60)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기(300)와 와이파이, 블루투스 및 NFC(near field communication)중 어느하나의 방법으로 통신되도록 한다. 이외에 근거치 통신에 따른 방법이면 어느것이 사용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제어부(40)는 사용자 무선단말기(300)로 통행예정신호가 상기 무선통신부(60)로 수신되고, 상기 신호등(100)이 통행으로 점등되면 상기 상태정보출력부(30)에 신호를 보내 음향신호가 송출되도록 한다.
즉, 사용자 무선단말기(300)를 통해 통행예정신호가 없는 경우에는 음향안내를 하지 않은 상태에서, 사용자 무선단말기(300)에서 통행예정신호가 수신되고, 제어부(40)로 상기 신호등(100)의 통행에 따른 점등신호가 전달되면, 제어부(40)가 상태정보출력부(30)를 제어하여 음향모듈부(50)의 음향정보를 출력시키게 되고, 사용자는 그 출력되는 음향정보를 인지하여 횡단보도를 건널 수 있게 된다.
이때, 사용자 무선단말기(300)는 신호를 송신하는 수단이면 어느것이 사용되어도 무방하며, 바람직하게는 스마트폰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켜 상기 무선통신부(60)로 통행을 위한 통행예정신호를 송신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40)는 외부에서 입력무선단말기(400)로 상기 음향정보가 상기 무선통신부(60)로 수신되면, 그 음향정보를 상기 음향모듈부(50)에 입력하여 상기 상태정보출력부(30)를 통해 입력된 음향이 출력되도록 한다.
즉, 음향신호장치의 제어부(40)에서 음향모듈부(50)를 분리하여 음향정보를 입력시킨 후 재차 제어부(40)에 체결하는 번거로움을 없애도록, 작업자가 입력무선단말기(400)로 음향정보(음향데이터)를 상기 무선통신부(60)에 송신하여 제어부(40)의 음향보듈부에 입력(저장)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입력무선단말기(400)는 통신과 테이터를 전달하는 단말기이면 어느것이 사용되어도 무방하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기(300)에는 상기 무선통신부(60)에서 수신되는 신호를 통해 제어되는 진동알림수단(70)이 더 마련되며, 상기 진동알림수단(70)은 상기 무선통신부(60)에서 송신되는 통행신호를 전달는 무선수신부(71)와 상기 무선수신부(71)에서 통행신호를 전달받는 진동제어부(72)와 상기 진동제어부(72)의 신호에 의해 제어되는 진동부(73)로 이루어져, 통행상태를 음향과 함께 촉감으로 느낄 수 있어, 청각과 촉감을 통해 통행신호를 인지하여 횡단보도를 건널 수 있게 되며, 이는 시각장애와 청각장애를 갖는 장애우 및 노약자도 손쉽게 통행신호를 인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진동부(73)는 전기적신호에 의해 진동되는 바이브레이터이다.
상기한 진동알림수단(70)은 사용자 무선단말기의 내부에 설치되며, 외면에 보호케이스를 형성한 후 그 내부에 배치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하우징본체(20)에는 상기 제어부(40)의 신호를 전달받아 구동되는 요동안내부(80)가 더 마련되며, 상기 요동안내부(80)는 상기 하우징본체(20)에 용접 또는 나사체결되는 연결부재(21)에 설치되며 내부에 공간을 갖는 손잡이(81)와, 상기 손잡이(81)의 외면에 형성되는 다수의 마찰돌기(82)와, 상기 손잡이(81)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어부(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손잡이의 내부에 용접 또는 나사체결되는 안내바이브레이터(83)로 이루어져, 상태정보출력부(30)와 손잡이(81)의 진동에 의해 통행상태를 음향과 함께 촉감으로 느낄 수 있어, 청각과 촉감을 통해 통행신호를 인지하여 횡단보도를 건널 수 있게 되며, 이는 시각장애와 청각장애를 갖는 장애우 및 노약자도 손쉽게 통행신호를 인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안내바이브레이터(83)는 상기 제어부(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신호등(100)에서 통행에 따른 점등신호가 전달되면, 상기 상태정보출력부(30)와 상기 안내바이브레이터(83)를 제어하여 사용자에게 통행신호를 전달하게 되다.
상기 연결부재(21)는 관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손잡이(81)는 상기 연결부재(21)의 하단부에 용접 또는 나사체결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부재(21)의 내부에 신호와 전력공급을 위한 전선을 배치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연결부재(21)는 지주(200)에 용접 또는 나사체결하여 고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마찰돌기는 시각장애인에게 음향신호가 전달되는 손잡이라는 것이 점자안내가 되도록 배열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하우징본체(20)에는 상기 제어부(40)의 신호를 전달받아 구동되는 발판안내부(90)가 더 마련되며,
상기 발판안내부(90)는 상기 하우징본체(20)의 하부에 용접 또는 나사체결되는 결합부재(22)의 하부에 설치되고 지면에 하부가 매립되며 내부에 공간을 갖는 발판(91)과, 상기 발판(91)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어부(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발판바이브레이터(92)로 이루어져, 상술한 바와 같이 통행상태를 음향과 함께 촉감으로 느낄 수 있어, 청각과 촉감을 통해 통행신호를 인지하여 횡단보도를 건널 수 있게 되며, 이는 시각장애와 청각장애를 갖는 장애우 및 노약자도 손쉽게 통행신호를 인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발판바이브레이터(92)는 상기 제어부(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내부에 용접 또는 나사체결되며,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신호등(100)에서 통행에 따른 점등신호가 전달되면, 상기 상태정보출력부(30)와 상기 안내바이브레이터(83)를 제어하여 사용자에게 통행신호를 전달하게 되다.
상기 결합부재(22)는 관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발판(91)은 금속 또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사각의 패널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재(21)의 하단부에 용접 또는 나사체결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부재(21)의 내부에 신호와 전력공급을 위한 전선을 배치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결합부재(22)는 지주(200)에 용접 또는 나사체결하여 고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발판의 상부에는 시각장애인을 안내하는 안내돌기(911)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0 : 음향신호장치 20 : 하우징본체
30 : 상태정보출력부 40 : 제어부
50 : 음향모듈부 60 : 무선통신부
70 : 진동알림수단 80 : 요동안내부
90 : 발판안내부
21 : 연결부재 23 : 결합부재
61 : 수신부 62 : 송신부
71 : 무선수신부 72 : 진동제어부
73 : 진동부
81 : 손잡이 82 : 마찰돌기
83 : 안내바이브레이터
91 : 발판 911 : 안내돌기
92 : 발판바이브레이터
100 : 신호등 200 : 지주
300 : 사용자 무선단말기 400 : 입력무선단말기

Claims (7)

  1. 신호등이 마련된 지주에 설치되며 도로를 횡단하도록 사용자 무선단말기의 통행예정신호가 수신되면 음향이 송출되도록 하는 시각장애인용 음향신호장치로서,
    하우징본체;
    상기 하우징 본체에 설치되어 상태정보를 음향으로 출력하는 상태정보출력부;
    상기 하우징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상태정보출력부에 음향신호를 전달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 설치되고, 음향정보가 입력되는 음향모듈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하우징 본체에는 음향정보를 수신함과 아울러 통행신호를 송신하도록 무선통신부가 더 마련된 외부 음향정보 입력기능을 갖는 시각장애인용 음향신호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본체에는 상기 제어부의 신호를 전달받아 구동되는 요동안내부가 더 마련되며,
    상기 요동안내부는 상기 하우징본체에 형성되는 연결부재에 설치되며 내부에 공간을 갖는 손잡이와,
    상기 손잡이의 외면에 형성되는 다수의 마찰돌기와,
    상기 손잡이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안내바이브레이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음향정보 입력기능을 갖는 시각장애인용 음향신호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외부에서 입력무선단말기로 상기 음향정보가 상기 무선통신부로 수신되면, 그 음향정보를 상기 음향모듈부에 입력하여 상기 상태정보출력부를 통해 입력된 음향이 출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음향정보 입력기능을 갖는 시각장애인용 음향신호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통신부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기와 와이파이, 블루투스 및 NFC((near field communication)중 어느하나의 방법으로 통신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음향정보 입력기능을 갖는 시각장애인용 음향신호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 무선단말기로 통행예정신호가 상기 무선통신부로 수신되고, 상기 신호등이 통행으로 점등되면 상기 상태정보출력부에 신호를 보내 음향신호가 송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음향정보 입력기능을 갖는 시각장애인용 음향신호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기에는 상기 무선통신부에서 수신되는 신호를 통해 제어되는 진동알림수단이 더 마련되며, 상기 진동알림수단은 상기 무선통신부에서 송신되는 통행신호를 전달는 무선수신부와 상기 무선수신부에서 통행신호를 전달받는 진동제어부와 상기 진동제어부의 신호에 의해 제어되는 진동부로 이루어져, 통행상태를 음향과 함께 촉감으로 느낄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음향정보 입력기능을 갖는 시각장애인용 음향신호장치.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본체에는 상기 제어부의 신호를 전달받아 구동되는 발판안내부가 더 마련되며,
    상기 발판안내부는 상기 하우징본체의 형성되는 결합부재의 하부에 설치되고 지면에 하부가 매립되며 내부에 공간을 갖는 발판과, 상기 발판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발판바이브레이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음향정보 입력기능을 갖는 시각장애인용 음향신호장치.

KR1020150175038A 2015-12-09 2015-12-09 외부 음향정보 입력기능을 갖는 시각장애인용 음향신호장치 KR1017000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5038A KR101700046B1 (ko) 2015-12-09 2015-12-09 외부 음향정보 입력기능을 갖는 시각장애인용 음향신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5038A KR101700046B1 (ko) 2015-12-09 2015-12-09 외부 음향정보 입력기능을 갖는 시각장애인용 음향신호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0046B1 true KR101700046B1 (ko) 2017-01-25

Family

ID=579911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5038A KR101700046B1 (ko) 2015-12-09 2015-12-09 외부 음향정보 입력기능을 갖는 시각장애인용 음향신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004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7026Y1 (ko) * 2000-10-07 2001-03-15 주식회사한길핸디케어 시각 장애인용 음향 발생 시스템
KR20050034393A (ko) * 2003-10-09 2005-04-14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횡단 보도 보행 신호 제공시스템 및 방법
KR101271743B1 (ko) * 2012-08-06 2013-06-05 이정명 시각 장애인용 교통 편의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7026Y1 (ko) * 2000-10-07 2001-03-15 주식회사한길핸디케어 시각 장애인용 음향 발생 시스템
KR20050034393A (ko) * 2003-10-09 2005-04-14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횡단 보도 보행 신호 제공시스템 및 방법
KR101271743B1 (ko) * 2012-08-06 2013-06-05 이정명 시각 장애인용 교통 편의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9572B1 (ko) 시각장애인용 횡단보도 안내 시스템 및 방법
US9909893B2 (en) Intelligent blind guiding device
KR101611237B1 (ko) 시각장애인용 지팡이
US20180356233A1 (en) Intelligent navigation assistance device
EP3141234A1 (en) Spectacles for blind person
CN104739622A (zh) 一种新型可穿戴导盲设备及其工作方法
CN104367447A (zh) 一种行走辅助系统及方法
KR102096462B1 (ko) 전동휠체어 운용시스템
KR20160133318A (ko) 시각 장애인용 스마트 보행 보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스마트 보행 보조 시스템
KR101873489B1 (ko) 시각장애인을 위한 교차로 통행지원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700046B1 (ko) 외부 음향정보 입력기능을 갖는 시각장애인용 음향신호장치
KR20150093000A (ko) 능동형 rfid를 이용한 시각장애인용 음향신호안내장치
JP3763823B2 (ja) 信号機制御装置
KR20210059104A (ko) 시각장애인용 스마트 지팡이
KR20170080418A (ko) 선택적 감지가 가능한 월 센서를 이용한 보행신호 음성안내 보조장치
KR20190101789A (ko) 시각 장애인을 위한 스마트 지팡이
KR102279982B1 (ko) 시각 장애인용 지팡이
KR200414368Y1 (ko) 시각장애인용 보행 신호음 송수신시스템
GB2592116A (en) Assistive device providing traffic light control activation for multiple disability use
KR20170004324U (ko) 시각장애인용 내비게이션 스마트지팡이
JP5208475B2 (ja) 視覚障害者歩行誘導システム
KR200410492Y1 (ko) 시각장애인용 보행자 신호등 안내장치
JP3205287U (ja) 道路横断表示装置
JP3672496B2 (ja) 信号機制御システム
KR20210028315A (ko) 스마트 지팡이 및 이를 이용한 시각장애인 안내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