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0631A - 구분기용 피봇회전장치 - Google Patents

구분기용 피봇회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0631A
KR20190100631A KR1020180020421A KR20180020421A KR20190100631A KR 20190100631 A KR20190100631 A KR 20190100631A KR 1020180020421 A KR1020180020421 A KR 1020180020421A KR 20180020421 A KR20180020421 A KR 20180020421A KR 20190100631 A KR20190100631 A KR 201901006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vot
roller
shaft
plate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04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64293B1 (ko
Inventor
정효은
Original Assignee
정효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효은 filed Critical 정효은
Priority to KR10201800204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4293B1/ko
Publication of KR201901006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06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42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42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52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3/00Roller-ways
    • B65G13/02Roller-ways having driven rollers
    • B65G13/06Roller driving means
    • B65G13/07Roller driving means having endless driving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2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with belts; with V-belts
    • F16H7/023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with belts; with V-belts with belts having a toothed contact surface or regularly spaced bosses or hollows for slipless or nearly slipless meshing with complementary profiled contact surface of a pulle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mmon features for more than one conveyor kind or type
    • B65G2811/06Devices controlling the relative position of articles
    • B65G2811/0647Changing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articles or bulk material
    • B65G2811/0657Defle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ollers For Roller Conveyors For Transf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분기용 피봇회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택배화물이 목적지에 구분되도록 이송롤러(A)가 착탈식으로 결합되는 롤러브라켓(10)가 구비된 롤러부(1)와, 상기 롤러브라켓(10)를 좌우 양방향으로 90도 각도로 회전시키는 피봇기어(50)가 구비된 피봇부(2)로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이송롤러(A) 피봇회전시 이송벨트의 간섭이 방지되며, 피봇회전동력을 일정하게 전달하는 피봇연결자가 구비된 구분기용 피봇회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구분기용 피봇회전장치{Pivot rotating device for High Speed Wheel Sorter}
본 발명은 구분기용 피봇회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택배화물이 목적지에 구분되도록 이송롤러 피봇회전시 90°각도로 회전되며, 상기 이송롤러에 동력을 전달하는 이송벨트의 간섭을 방지하며, 피봇회전동력을 동일하게 전달하는 피봇연결자가 구비된 구분기용 피봇회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자상거래의 발달과 맞물려 택배화물의 량이 해가 갈수록 증가되고 있어, 택배화물이 집하되는 수하물처리장에서는 각 목적지에 따라 택배화물을 고속으로 분류하여 처리해야 하는 수요가 급증되고 있다.
이에 따라, 시작 지점부터 끝 지점까지 일 방향으로만 회전되면서 다양한 종류의 택배화물을 컨베이어 장치의 끝 지점에서 종류별로 작업자가 일일이 분류작업을 해야 하는 종래의 물류 이송용 컨베이어 장치는 물류 분류작업에 따른 작업 효율성 및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물류 이송용 컨베이어 장치의 문제점을 개선토록 종래에 사람이 수작업으로 분류하는 작업을 자동화 기계로 화물의 목적지를 구분하여 분류하는 다양한 디버터 또는 구분기가 제안되고 있다.
그리고, 상기 디버터 또는 구분기는 물류센터에서 다품종 소량주문의 화물이 고객에게 정확하게 배송되도록 목적지에 따라 상기 화물을 고속으로 구분하는 고속분류기 또는 고속구분기 등으로 발전되고 있다. 상기 고속구분기는 택배화물이 이송되는 컨베이이어의 사이에 설치되어, 목적지별로 구분되도록 회전되는 설비이며, 동력전달 방식에 따라 벨트식, 체인식 및 로울러식 등으로 구별된다.
이와 관련된 종래 기술로 한국 공개 특허 공보 제10-2015-0131739호 (2015.11.25.)에는 "물류이송 콘베이어용 디버터"가 개시되었다.
상기 종래기술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류를 이송하는 콘베이어에 구비되어 물류의 이송방향을 전환시키는 디버터로서, 복수개의 롤브라켓에 롤축이 회전가능하게 조립되는 복수개의 이송롤(110); 상기 복수개의 이송롤(110)과 제1벨트부재(121)를 매개로 연결된 복수개의 피동롤을 갖추고, 상기 복수개의 피동롤(122)이 일정 간격을 두고 장착된 복수개의 피동축을 동시에 일방향 회전구동시키도록 상기 복수개의 피동축과 제1동력전달부를 매개로 연결되는 회전용 구동모터를 갖추어 상기 롤축을 중심으로 상기 물류와 외접하는 복수개의 이송롤을 회전시켜 물류 이송력을 발생시키는 회전구동부(120) ; 및 상기 복수개의 롤브라켓에 구비된 제1연결회전핀이 회전가능하게 조립되는 복수개의 고정대를 갖추고, 상기 복수개의 롤브라켓의 일단에 구비된 제2연결회전핀(116)이 회전가능하게 조립되는 복수개의 작동대(136)를 갖추고, 상기 복수개의 작동대(136)의 일단과 제3연결회전핀(117)을 매개로 연결된 복수개의 편심암(135)을 동시에 선회작동시키도록 상기 복수개의 편심암(135)의 수직축(137)과 제2동력전달부(138)를 매개로 연결되는 가변용 모터를 갖추어 상기 제1연결회전핀을 중심으로 상기 복수개의 이송롤을 일정각도 선회시켜 물류의 이송방향으로 전환시키는 선회가변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다만, 종래의 택배화물 구분기는 택배화물을 목적지에 구분함에 있어 컨베이어의 이송방향에서 사선방향으로 택배화물을 구분함으로써, 집하장에서 차지하는 공간이 비교적 커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택배화물의 구분시 정해진 공간의 활용성을 높일 수 있도록 이송롤러를 90°각도로 피봇회전시키는 피봇부가 구비되며, 피봇회전시 롤러부를 얼라인먼트가 일치되도록 회전 시키는 피봇연결자가 구비되어 신뢰성이 높아진 구분기용 피봇회전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구분기용 피봇회전장치는 택배화물을 목적지에 따라 구분토록 이송롤러를 피봇회전시키는 구분기용 피봇회전장치로서, 상기 택배화물을 이송토록 상기 이송롤러가 결합된 롤러브라켓이 구비된 롤러부와; 상기 롤러부가 상기 택배화물을 좌우 양측 90도 각도로 구분토록 피봇회전되는 피봇기어가 구비된 피봇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롤러브라켓은 상기 이송롤러의 축심의 양단부가 상부에서 끼움식으로 결합되어 고정되도록 상부 선단에서 하부방향으로 요입된 장방형상으로 축심안착홈이 구비된 한쌍의 롤러안착판과, 상기 롤러안착판의 하단부 사이에 연장된 브라켓하면과, 상기 브라켓하면의 하면에서 하부로 연장된 피봇축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롤러부는 상기 롤러브라켓과; 상기 이송롤러의 상부가 노출되도록 중앙이 통공된 캡상판과, 상기 캡상판의 양측단부에서 하부로 연장되어 상기 롤러안착판의 외측부에 결합되며 상기 축심안착홈과 대응되는 캡축심공이 통공된 축심결합판이 구비된 롤러캡과; 상기 피봇축의 하부 내주연에 요입되어 결합되는 서포터;가 구비되고,
상기 피봇부는 상기 롤러부가 두 개 라인으로 배치되도록 상기 서포터가 결합되는 다수개의 판축심공이 통공된 판축심부가 구비된 롤러지지판과; 상기 롤러지지판의 양측 대각방향에 배치된 상기 서포터에 결합되어 피봇회전동력을 전달하는 원판형상의 피봇기어와; 상기 피봇기어의 피봇회전 동력을 생성하는 피봇모터와, 상기 피봇모터의 회전동력을 전달하는 타이밍벨트가 구비된 피봇회전모터부와; 상기 피봇기어의 회전동력을 상기 롤러브라켓에 전달하는 장방형상의 피봇연결자;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피봇기어는 상기 타이밍벨트와 연동되도록 외주연에 타이밍풀리가 형성된 외면기어부와, 상기 외면기어부의 내주연에서 내측으로 연장된 중앙결합부와, 상기 이송롤러에 이송동력을 전달하는 이송벨트가 지나며 상기 이송롤러가 좌우 양측으로 90도 각도로 피봇회전가능토록 상기 중앙결합부의 둘레를 따라 통공된 벨트관통부가 구비되며, 상기 중앙결합부의 내측 중심부에는 상기 피봇축이 요입되어 안착되도록 통공된 피봇축심공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피봇축심공의 내주연에는 상기 피봇축의 안착시 고정되도록 내측으로 요입된 피봇축고정홈이 구비되고, 상기 피봇축에는 상기 피봇축고정홈에 끼움되어 결합되는 피봇축고정키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롤러지지판에는 상기 벨트관통부와 대응되도록 통공된 지지판관통부가 구비되고, 상기 롤러지지판의 하면에는 상기 택배화물이 이송되는 상기 롤러부를 지지토록 상기 판축심부의 하면에 결합된 T자형상의 하중보강판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타이밍벨트는 좌우 방향에 배치된 다수개의 상기 피봇기어에 동력을 전달토록 좌현타이밍벨트와 우현타이밍벨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피봇모터에는 상기 피봇모터의 동력을 전달하는 모터타이밍벨트와, 상기 모터타이밍벨트와 연동되어 상기 좌현타이밍벨트에 피봇회전력을 전달토록 직립된 제1동력전달축심과, 상기 모터타이밍벨트와 연동되어 상기 우현타이밍벨트에 피봇회전력을 전달토록 직립된 제2동력전달축심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롤러캡에는 상기 롤러부의 피봇회전이 용이토록 상기 캡상판의 상부에 결합되는 롤러캡보호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브라켓하면에는 상기 피봇축과 얼라인먼트를 조절 가능토록 호형상으로 통공된 얼라인결합공이 구비되고, 상기 브라켓하면의 일측부에는 상기 피봇연결자와 결합되도록 외측으로 연장된 연결자결합단이 구비되며, 상기 피봇연결자는 상기 연결자결합단이 결합되어 평행하게 배열된 두 개 라인의 상기 롤러부가 일체로 회전되도록, 장방형상의 연결자테두리와, 상기 연결자테두리의 일측 장축에서는 내측으로 연장되고, 타측 장축에서는 외측으로 연장된 브라켓결합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구분기용 피봇회전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이송롤러(A)의 두개의 라인이 대각 모서리에 구비된 피봇기어와 결합된 장방형상의 피봇연결자를 통해 피봇회전됨으로써, 상기 이송롤러(A)의 두개 라인의 피봇회전이 일정해짐에 따라 택배화물을 정확히 구분할 수 있고,
둘째, 상기 피봇기어에는 좌우 양측으로 90도 각도로 피봇회전가능토록 중앙결합부의 둘레를 따라 통공된 벨트관통부가 구비됨으로써, 이송벨트의 간섭을 방지하고 택배화물을 좌우 90도 각도로 구분할 수 있어 집하장의 공간 효율성이 증대되며,
셋째, 이송롤러의 축심의 양단부가 상부에서 끼움식으로 결합되도록 롤러안착판의 상부에 축심안착홈이 구비됨으로써, 상기 이송롤러의 파손시 교체와 유지보수가 용이해지고,
넷째, 피봇축이 삽입되는 상기 피봇기어의 중앙결합부에 내측으로 요입된 피봇축고정홈이 구비됨으로써, 동력전달이 용이해지며,
다섯째, 브라켓하면에 얼라인먼트를 조절가능토록 호형상의 얼라인결합공이 구비됨으로써, 롤러브라켓의 얼라인 정렬이 용이해져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물류이송 콘베이어용 디버터를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구분기용 피봇회전장치가 적용된 구분기의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피봇회전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구분기용 피봇회전장치의 동력전달을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롤러부를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피봇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구분기용 피봇회전장치는,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택배화물을 목적지에 따라 구분토록 이송롤러(A)를 피봇회전시키는 구분기용 피봇회전장치로서, 상기 택배화물을 이송토록 상기 이송롤러(A)가 결합된 롤러브라켓(10)이 구비된 롤러부(1)와; 상기 롤러부(1)가 상기 택배화물을 좌우 양측 90도 각도로 구분토록 피봇회전되는 피봇기어(50)가 구비된 피봇부(2);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롤러브라켓(10)은 상기 이송롤러(A)의 축심의 양단부가 상부에서 끼움식으로 결합되어 고정되도록 상부 선단에서 하부방향으로 요입된 장방형상으로 축심안착홈(11a)이 구비된 한쌍의 롤러안착판(11)과, 상기 롤러안착판(11)의 하단부 사이에 연장된 브라켓하면(12)과, 상기 브라켓하면(12)의 하면에서 하부로 연장된 피봇축(13)이 구비된다.
한편, 상기 롤러부(1)는 상기 롤러브라켓(10)과; 상기 이송롤러(A)의 상부가 노출되도록 중앙이 통공된 캡상판(21)과, 상기 캡상판(21)의 양측단부에서 하부로 연장되어 상기 롤러안착판(11)의 외측부에 결합되며 상기 축심안착홈(11a)과 대응되는 캡축심공(22a)이 통공된 축심결합판(22)이 구비된 롤러캡(20)과; 상기 피봇축(13)의 하부 내주연에 요입되어 결합되는 서포터(30);가 구비되고,
상기 피봇부(2)는 상기 롤러부(1)가 두 개 라인으로 배치되도록 상기 서포터(30)가 결합되는 다수개의 판축심공(41)이 통공된 판축심부(42)가 구비된 롤러지지판(40)과; 상기 롤러지지판(40)의 양측 대각방향에 배치된 상기 서포터(30)에 결합되어 피봇회전동력을 전달하는 원판형상의 피봇기어(50)와; 상기 피봇기어(50)의 피봇회전 동력을 생성하는 피봇모터(61)와, 상기 피봇모터(61)의 회전동력을 전달하는 타이밍벨트(62)가 구비된 피봇회전모터부(60)와; 상기 피봇기어(50)의 회전동력을 상기 롤러브라켓(10)에 전달하는 장방형상의 피봇연결자(70);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롤러부(1)는 상기 피봇부(2)의 상부에 다수개 결합되며, 상기 피봇연결자(70)의 상부에 두 라인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피봇기어(50)는 상기 피봇연결자(70)의 대각방향 모서리에 결합된 롤러브라켓(10)의 피봇축(13)과 결합되며, 이때 상기 피봇축(13)의 내주연에 상기 서포터(30)가 삽입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피봇기어(50)는 상기 타이밍벨트(62)와 연동되도록 외주연에 타이밍풀리가 형성된 외면기어부(51)와, 상기 외면기어부(51)의 내주연에서 내측으로 연장된 중앙결합부(52)와, 상기 이송롤러(A)에 이송동력을 전달하는 이송벨트(B)가 지나며 상기 이송롤러(A)가 좌우 양측으로 90도 각도로 피봇회전가능토록 상기 중앙결합부(52)의 둘레를 따라 통공된 벨트관통부(53)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중앙결합부(52)의 내측 중심부에는 상기 피봇축(13)이 요입되어 안착되도록 통공된 피봇축심공(52a)이 구비된다. 즉, 상기 벨트관통부(53)는 상기 중앙결합부(52)를 제외한 나머지 공간을 통공되어 상기 이송벨트(B)와의 간섭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피봇축심공(52a)의 내주연에는 상기 피봇축(13)의 안착시 고정되도록 내측으로 요입된 피봇축고정홈(52b)이 구비되고, 상기 피봇축(13)에는 상기 피봇축고정홈(52b)에 끼움되어 결합되는 피봇축고정키(13a)가 구비됨으로써, 상기 롤러브라켓(10)에 피봇회전동력이 손실 없이 전달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롤러지지판(40)에는 상기 벨트관통부(53)와 대응되도록 통공된 지지판관통부(43)가 구비됨으로써, 상기 이송벨트(B)는 상기 벨트관통부(53)와 지지판관통부(43)를 지나 메인동력부(M)와 연결되게 된다.
이때, 상기 롤러지지판(40)의 하면에는 상기 택배화물이 이송되는 상기 롤러부(1)를 지지토록 상기 판축심부(42)의 하면에 결합된 T자형상의 하중보강판(45)이 구비됨으로써, 상기 택배화물의 하중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타이밍벨트(62)는 좌우 방향에 배치된 다수개의 상기 피봇기어(50)에 동력을 전달토록 좌현타이밍벨트(62a)와 우현타이밍벨트(62b)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롤러부(1)와 피봇부(2)는 병렬로 증설되어 하나의 구분기 피봇회전장치를 구성하게 되며, 이때 상기 좌현타이밍벨트(62a)와 우현타이밍벨트(62b)를 통해 피봇회전력을 전달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피봇모터(61)에는 상기 피봇모터(61)의 동력을 전달하는 모터타이밍벨트(61a)와, 상기 모터타이밍벨트(61a)와 연동되어 상기 좌현타이밍벨트(62a)에 피봇회전력을 전달토록 직립된 제1동력전달축심(61b)과, 상기 모터타이밍벨트(61a)와 연동되어 상기 우현타이밍벨트(62b)에 피봇회전력을 전달토록 직립된 제2동력전달축심(61c)이 구비된 다. 즉, 상기 피봇모터(61)의 동력은,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제1동력전달축심(61b)과 제2동력전달축심(61c)에 모터타이밍벨트(61a)를 통해 전달되게 된다.
또한, 상기 롤러캡(20)에는 상기 롤러부(1)의 피봇회전이 용이토록 상기 캡상판(21)의 상부에 결합되는 롤러캡보호구(23)가 구비됨으로써, 상기 롤러부(1)의 피봇회전이 용이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브라켓하면(12)에는 상기 피봇축(13)과 얼라인먼트를 조절 가능토록 호형상으로 통공된 얼라인결합공(12a)이 구비됨으로써, 상기 얼라인결합공(12a)을 결합시키는 나사를 해제하여 상기 롤러부(1)의 정렬 각이 일정해지도록 얼라인먼트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브라켓하면(12)의 일측부에는 상기 피봇연결자(70)와 결합되도록 외측으로 연장된 연결자결합단(14)이 구비되고, 상기 피봇연결자(70)는 상기 연결자결합단(14)이 결합되어 평행하게 배열된 두 개 라인의 상기 롤러부(1)가 일체로 회전되도록, 장방형상의 연결자테두리(71)와, 상기 연결자테두리(71)의 일측 장축에서는 내측으로 연장되고, 타측 장축에서는 외측으로 연장된 브라켓결합단(72)이 구비된다. 즉, 상기 롤러브라켓(10)의 연결자결합단(14)이 상기 브라켓결합단(72)에 결합되어 장축을 기준으로 평행하게 배열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구분기용 피봇회전장치의 작용을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본 발명에 따른 구분기용 피봇회전장치는,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롤러부(1)와 피봇부(2)로 이루어지며, 피봇부(2)의 상부에 롤러부(1)가 다수개 결합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롤러부(1)의 롤러브라켓(10)는 좌우 양방향으로 90도 각도로 회전되며, 상기 피봇부(2)의 피봇기어(50)는 이송롤러(A)의 피봇 회전시 이송벨트(B)의 간섭을 방지토록 벨트관통부(53)가 구비된다.
즉, 상기 벨트관통부(53)에는 상기 이송벨트(B)가 관통하여 지나게 되며, 이는 상기 피봇기어(50)의 피봇회전시 상기 이송벨트(B)와의 간섭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롤러브라켓(10)에 피봇 동력을 전달하는 피봇연결자(70)는 장방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롤러브라켓(10)의 연결자결합단(14)과 결합되는 브라켓결합단(72)이 연결자테두리(71)의 장축에서 연장되게 된다.
이때, 상기 피봇연결자(70)는 롤러브라켓(10)이 두개의 라인이 평행하게 배치되어 동시에 피봇회전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피봇연결자(70)가 장방형상으로 구비됨으로써, 최외곽 양측 단부에 배치된 상기 롤러브라켓(10)과 중앙에 배치된 롤러브라켓(10)의 회전각도가 동일하게 된다.
한편, 상기 이송롤러(A)는 상기 롤러브라켓(10)의 롤러안착판(11)에 결합되게 된다. 이때, 상기 이송롤러(A)의 축심의 양단부는 상기 롤러안착판(11)의 축심안착홈(11a)에 결합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축심안착홈(11a)은 상부가 개구됨으로써, 상기 이송롤러(A)의 축심을 끼움식으로 결합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상기 이송롤러(A)와 롤러브라켓(10)의 결합방식은 상기 이송롤러(A)의 교체가 용이해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피봇기어(50)의 중앙결합부(52)에는 피봇축심공(52a)이 통공되며, 상기 피봇축심공(52a)에는 내측으로 요입된 피봇축고정홈(52b)이 구비됨으로써, 상기 롤러브라켓(10)의 피봇축(13)과 결합이 견고해지고, 상기 피봇기어(50)의 동력전달시 손실이 줄어들게 된다.
한편, 상기 브라켓하면(12)에 구비된 얼라인결합공(12a)은 나사를 약간 해제한 후 상기 피봇모터(61)와 초기 각도와 별개로 회전각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얼라인결합공(12a)은 나사를 해제한 후 롤러브라켓(10)의 초기 회전각을 조정할 수 있게 됨으로써, 롤러부(1)의 조립이 용이해지고, 사용시 손쉽게 얼라인 정렬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롤러부 2 : 피봇부
10 : 롤러브라켓 11 : 롤러안착판
11a : 축심안착홈 12 : 브라켓하면
12a : 얼라인결합공 13 : 피봇축
13a : 피봇축고정키 14 : 연결자결합단
20 : 롤러캡 21 : 캡상판
22 : 축심결합판 22a : 캡축심공
23 : 롤러캡보호구 30 : 서포터
40 : 롤러지지판 41 : 판축심공
42 : 판축심부 43 : 지지판관통부
45 : 하중보강판 50 : 피봇기어
51 : 외면기어부 52 : 중앙결합부
52a : 피봇축심공 52b : 피봇축고정홈
53 : 벨트관통부 60 : 피봇회전모터부
61 : 피봇모터 61a : 모터타이밍벨트
61b : 제1동력전달축심 61c : 제2동력전달축심
62 : 타이밍벨트 62a : 좌현타이밍벨트
62b : 우현타이밍벨트 70 : 피봇연결자
71 : 연결자테두리 72 : 브라켓결합단
A : 이송롤러 B : 이송벨트

Claims (9)

  1. 택배화물을 목적지에 따라 구분토록 이송롤러(A)를 피봇회전시키는 구분기용 피봇회전장치에 있어서,
    상기 택배화물을 이송토록 상기 이송롤러(A)가 결합된 롤러브라켓(10)이 구비된 롤러부(1)와;
    상기 롤러부(1)가 상기 택배화물을 좌우 양측 90도 각도로 구분토록 피봇회전되는 피봇기어(50)가 구비된 피봇부(2);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분기용 피봇회전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브라켓(10)은 상기 이송롤러(A)의 축심의 양단부가 상부에서 끼움식으로 결합되어 고정되도록 상부 선단에서 하부방향으로 요입된 장방형상으로 축심안착홈(11a)이 구비된 한쌍의 롤러안착판(11)과, 상기 롤러안착판(11)의 하단부 사이에 연장된 브라켓하면(12)과, 상기 브라켓하면(12)의 하면에서 하부로 연장된 피봇축(13)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분기용 피봇회전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부(1)는 상기 롤러브라켓(10)과; 상기 이송롤러(A)의 상부가 노출되도록 중앙이 통공된 캡상판(21)과, 상기 캡상판(21)의 양측단부에서 하부로 연장되어 상기 롤러안착판(11)의 외측부에 결합되며 상기 축심안착홈(11a)과 대응되는 캡축심공(22a)이 통공된 축심결합판(22)이 구비된 롤러캡(20)과; 상기 피봇축(13)의 하부 내주연에 요입되어 결합되는 서포터(30);가 구비되고,
    상기 피봇부(2)는 상기 롤러부(1)가 두 개 라인으로 배치되도록 상기 서포터(30)가 결합되는 다수개의 판축심공(41)이 통공된 판축심부(42)가 구비된 롤러지지판(40)과; 상기 롤러지지판(40)의 양측 대각방향에 배치된 상기 서포터(30)에 결합되어 피봇회전동력을 전달하는 원판형상의 피봇기어(50)와; 상기 피봇기어(50)의 피봇회전 동력을 생성하는 피봇모터(61)와, 상기 피봇모터(61)의 회전동력을 전달하는 타이밍벨트(62)가 구비된 피봇회전모터부(60)와; 상기 피봇기어(50)의 회전동력을 상기 롤러브라켓(10)에 전달하는 장방형상의 피봇연결자(7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분기용 피봇회전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피봇기어(50)는 상기 타이밍벨트(62)와 연동되도록 외주연에 타이밍풀리가 형성된 외면기어부(51)와, 상기 외면기어부(51)의 내주연에서 내측으로 연장된 중앙결합부(52)와, 상기 이송롤러(A)에 이송동력을 전달하는 이송벨트(B)가 지나며 상기 이송롤러(A)가 좌우 양측으로 90도 각도로 피봇회전가능토록 상기 중앙결합부(52)의 둘레를 따라 통공된 벨트관통부(53)가 구비되며,
    상기 중앙결합부(52)의 내측 중심부에는 상기 피봇축(13)이 요입되어 안착되도록 통공된 피봇축심공(52a)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분기용 피봇회전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피봇축심공(52a)의 내주연에는 상기 피봇축(13)의 안착시 고정되도록 내측으로 요입된 피봇축고정홈(52b)이 구비되고,
    상기 피봇축(13)에는 상기 피봇축고정홈(52b)에 끼움되어 결합되는 피봇축고정키(13a)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분기용 피봇회전장치.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지지판(40)에는 상기 벨트관통부(53)와 대응되도록 통공된 지지판관통부(43)가 구비되고,
    상기 롤러지지판(40)의 하면에는 상기 택배화물이 이송되는 상기 롤러부(1)를 지지토록 상기 판축심부(42)의 하면에 결합된 T자형상의 하중보강판(45)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분기용 피봇회전장치.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밍벨트(62)는 좌우 방향에 배치된 다수개의 상기 피봇기어(50)에 동력을 전달토록 좌현타이밍벨트(62a)와 우현타이밍벨트(62b)로 이루어지고,
    상기 피봇모터(61)에는 상기 피봇모터(61)의 동력을 전달하는 모터타이밍벨트(61a)와, 상기 모터타이밍벨트(61a)와 연동되어 상기 좌현타이밍벨트(62a)에 피봇회전력을 전달토록 직립된 제1동력전달축심(61b)과, 상기 모터타이밍벨트(61a)와 연동되어 상기 우현타이밍벨트(62b)에 피봇회전력을 전달토록 직립된 제2동력전달축심(61c)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분기용 피봇회전장치.
  8.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캡(20)에는 상기 롤러부(1)의 피봇회전이 용이토록 상기 캡상판(21)의 상부에 결합되는 롤러캡보호구(23)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분기용 피봇회전장치.
  9.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하면(12)에는 상기 피봇축(13)과 얼라인먼트를 조절 가능토록 호형상으로 통공된 얼라인결합공(12a)이 구비되고, 상기 브라켓하면(12)의 일측부에는 상기 피봇연결자(70)와 결합되도록 외측으로 연장된 연결자결합단(14)이 구비되며,
    상기 피봇연결자(70)는 상기 연결자결합단(14)이 결합되어 평행하게 배열된 두 개 라인의 상기 롤러부(1)가 일체로 회전되도록, 장방형상의 연결자테두리(71)와, 상기 연결자테두리(71)의 일측 장축에서는 내측으로 연장되고, 타측 장축에서는 외측으로 연장된 브라켓결합단(72)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분기용 피봇회전장치.
KR1020180020421A 2018-02-21 2018-02-21 구분기용 피봇회전장치 KR1020642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0421A KR102064293B1 (ko) 2018-02-21 2018-02-21 구분기용 피봇회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0421A KR102064293B1 (ko) 2018-02-21 2018-02-21 구분기용 피봇회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0631A true KR20190100631A (ko) 2019-08-29
KR102064293B1 KR102064293B1 (ko) 2020-01-09

Family

ID=677759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0421A KR102064293B1 (ko) 2018-02-21 2018-02-21 구분기용 피봇회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4293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264311A (zh) * 2020-09-04 2021-01-26 杭州默鑫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多角度皮带斜轮分拣机
CN112407868A (zh) * 2020-11-20 2021-02-26 江苏天知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万向分路机构
KR102284967B1 (ko) * 2020-03-04 2021-08-04 현대무벡스 주식회사 휠 소터 장치
KR20210112097A (ko) * 2020-03-04 2021-09-14 현대무벡스 주식회사 휠 소터 장치용 이송 휠 유닛
KR20210123605A (ko) * 2020-04-03 2021-10-14 현대무벡스 주식회사 휠 소터 장치
CN113928619A (zh) * 2021-09-17 2022-01-14 彩虹(合肥)液晶玻璃有限公司 一种关于tft-lcd打包传输机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891718B (zh) * 2020-07-24 2022-05-24 中邮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轮式分拣机的改良结构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555065A (zh) * 2016-07-01 2018-01-09 青岛科捷物流科技有限公司 一种转向轮分拣模块
KR101753248B1 (ko) * 2016-11-08 2017-07-04 전원 스퍼기어형 택배화물 고속 구분기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4967B1 (ko) * 2020-03-04 2021-08-04 현대무벡스 주식회사 휠 소터 장치
KR20210112097A (ko) * 2020-03-04 2021-09-14 현대무벡스 주식회사 휠 소터 장치용 이송 휠 유닛
KR20210123605A (ko) * 2020-04-03 2021-10-14 현대무벡스 주식회사 휠 소터 장치
CN112264311A (zh) * 2020-09-04 2021-01-26 杭州默鑫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多角度皮带斜轮分拣机
CN112407868A (zh) * 2020-11-20 2021-02-26 江苏天知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万向分路机构
CN113928619A (zh) * 2021-09-17 2022-01-14 彩虹(合肥)液晶玻璃有限公司 一种关于tft-lcd打包传输机构
CN113928619B (zh) * 2021-09-17 2023-03-28 彩虹(合肥)液晶玻璃有限公司 一种关于tft-lcd打包传输机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64293B1 (ko) 2020-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64293B1 (ko) 구분기용 피봇회전장치
KR101753248B1 (ko) 스퍼기어형 택배화물 고속 구분기
KR101753252B1 (ko) 소화물용 고속구분기
KR102534415B1 (ko) 이중층 직선식 선별기
US8997971B2 (en) Postal sorting machine for sorting flat articles with a separation flap
US5575465A (en) Apparatus for transporting documents conveyed from two directions
CN112246652A (zh) 一种电子商务物流运输件重量分拣机构
JP2003341830A (ja) 分岐設備
CN113289907B (zh) 一种居中输送及便于货物转向的分拣运输装置
JPH0640593A (ja) シート搬送装置
KR102484943B1 (ko) 화물 분류용 휠타입 소터 및 이를 포함하는 화물 분류장치
US5538239A (en) Right angle transfer apparatus with enabling and disabling means
CN212387163U (zh) 包裹单件分离机张紧机构
KR102542560B1 (ko) 푸시형 디버터
JP4085102B2 (ja) 仕分け装置
JP6833448B2 (ja) 配達物処理装置
US7520503B2 (en) Sheet material inverter
KR20200106241A (ko) 나선형 이송장치
KR102290286B1 (ko) 소터
JP4314941B2 (ja) 搬送設備
CN213264253U (zh) 连接组件、回转传输装置以及分拣设备
CN216420219U (zh) 转盘式分拣装置及分拣系统
KR102381407B1 (ko) 물류용 소터
CN211077731U (zh) 双向输送卸料装置
WO2021131112A1 (ja) 紙葉類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