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98968A - 특히 자동차용의, 클러치 메커니즘을 위한 마모 조정 부재 - Google Patents

특히 자동차용의, 클러치 메커니즘을 위한 마모 조정 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98968A
KR20190098968A KR1020197017464A KR20197017464A KR20190098968A KR 20190098968 A KR20190098968 A KR 20190098968A KR 1020197017464 A KR1020197017464 A KR 1020197017464A KR 20197017464 A KR20197017464 A KR 20197017464A KR 20190098968 A KR20190098968 A KR 201900989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ar adjustment
adjustment member
pressure plate
notch
tooth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174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줄리앙 브레이
니콜라 딜리앙코트
올리비에 마레샬
Original Assignee
발레오 앙브라이아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발레오 앙브라이아쥐 filed Critical 발레오 앙브라이아쥐
Publication of KR201900989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896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13/00Friction clutches
    • F16D13/58Details
    • F16D13/75Features relating to adjustment, e.g. slack adjusters
    • F16D13/757Features relating to adjustment, e.g. slack adjusters the adjusting device being located on or inside the clutch cover, e.g. acting on the diaphragm or on the pressure pl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13/00Friction clutches
    • F16D13/58Details
    • F16D13/70Pressure members, e.g. pressure plates, for clutch-plates or lamellae; Guiding arrangements for pressure members
    • F16D13/71Pressure members, e.g. pressure plates, for clutch-plates or lamellae; Guiding arrangements for pressure members in which the clutching pressure is produced by springs on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Operated Clu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특히 자동차용의, 클러치 메커니즘(1)을 위한 마모 조정 부재(16)에 있어서, 축 X의 제 1 환형 요소(17)로서, 그것의 축방향 단부(19)는, 방사면에 대해 경사지고 클러치 메커니즘(1)의 카운터-램프(20a)와 협력하도록 의도된 적어도 하나의 램프(20)를 포함하는, 상기 제 1 환형 요소(17); 및 제 2 요소(22)로서, 제 2 요소는 반경방향 내측 환형 부분(23), 및 내측 환형 부분(23)에 연결된 치형 부분(24)을 포함하고, 제 2 요소(21)는 제 1 요소(17)에 고정되는, 상기 제 2 요소(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모 조정 부재(16)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특히 자동차용의, 클러치 메커니즘을 위한 마모 조정 부재
본 발명은 특히 자동차용의, 클러치 메커니즘을 위한 마모 조정 부재(wear adjustment member)에 관한 것이다.
클러치 메커니즘은 보다 일반적으로 클러치 장치에 속한다.
클러치 장치는 통상적으로 반동 플레이트, 이동가능한 압력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클러치 메커니즘, 및 상기 반동 플레이트와 압력 플레이트 사이에 장착된 마찰 디스크를 포함한다. 압력 플레이트의 이동은 다이어프램(diaphragm)에 의해 제어되며, 이 다이어프램은 이어서 클러치 베어링에 의해 제어된다.
클러치 베어링은 다이어프램 상에 사전결정된 힘을 가하기 위해, 그리고 그것을 맞물림 해제된 위치로 변위시키기 위해 액추에이터 제어식 또는 유압 제어식 또는 케이블 제어식 타입의 것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압력 플레이트는 마찰 디스크가 상기 압력 플레이트와 반동 플레이트 사이에 클램핑(clamping)되는 맞물린 위치와, 마찰 디스크가 해제되는 맞물림 해제된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다.
클러치 장치의 사용은 압력 플레이트 및 반동 플레이트의 관련 카운터 재료(counter-material)에 더하여 마찰 디스크의 라이닝에 대한 마모를 야기한다. 이것은 관련 다이어프램에 대한 그리고/또는 반동 플레이트에 대한 압력 플레이트의 위치에 있어서의 변동을 유발하여, 마찰 디스크의 클램핑력에 있어서의 변동과 클러치 베어링의 경로 및 바이팅 포인트(biting point)에 대한 변화를 생성한다. 바이팅 포인트는 그곳으로부터 토크가 클러치 장치를 통해 전달될 수 있는 위치임에 유의하여야 한다.
마모 조정을 갖는 클러치 장치가 본 출원인의 명의의 문헌 FR 2 847 626 호에 개시된다. 이 문헌은 자동차용의 마모 조정을 갖는 클러치 장치에 있어서, 클러치 장치의 마찰 디스크에 기대도록 설계된 압력 플레이트, 완전히 맞물린 위치 - 여기서 상기 압력 플레이트는 마찰 디스크에 대해 밀어내짐 - 와, 완전히 맞물림 해제된 위치 - 여기서 상기 압력 플레이트는 압력 플레이트를 복귀시키기 위한 수단에 의해 마찰 디스크로부터 분리됨 - 사이의 압력 플레이트의 작동을 위한 역할을 하는 다이어프램을 포함하는, 클러치 장치를 개시한다.
압력 플레이트, 마찰 디스크 및 다이어프램은 반동 플레이트에 대해 고정된 커버 내에 수용된다.
그 장치는 다이어프램과 압력 플레이트 사이에 개재되고, 특정 범위 내에서 축을 중심으로 한 회전으로 이동가능한, 마찰 디스크의 마모 조정 부재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마모 조정 부재는 다이어프램과 압력 플레이트 사이의 거리를 조정하고 카운터-램프(counter-ramp)에 대한 램프의 위치의 함수로서 마찰 디스크의 마모를 보상하도록 압력 플레이트의 측에 있는 카운터-램프와 협력하는 램프를 포함한다.
클러치 장치는 케이싱 상에 장착된 핀을 중심으로 피벗할 수 있는 래칫 휠(ratchet wheel)을 포함하는, 변위를 위한 수단을 추가로 포함한다. 변위를 위한 수단은 또한 커버에 고정된 본체를 포함하는 캐치(catch), 및 마모의 경우에 래칫 휠의 피벗을 작동시키도록 래칫 휠과 협력하는 작동 러그(actuating lug)를 포함한다. 래칫 휠은, 전술된 핀 주위에 장착되고 조정 부재의 치형부와 맞물리는 웜 스크류(worm screw)에 회전의 관점에서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래칫 휠의 회전은 조정 부재의 변위를 유발하여 마모를 보상한다.
마모 조정 부재는 보다 구체적으로 다음을 포함한다:
- 제 1 환형 요소, 그것의 하나의 축방향 단부는, 방사면(radial plane)에 대해 경사지며 압력 플레이트의 카운터-램프와 협력하도록 설계된 램프를 포함함,
- 치형 부분(toothed part)을 포함하고, 리베팅(riveting)에 의해 제 1 요소에 고정된 제 2 요소,
- 밸런싱 요소(balancing element)를 형성하고, 리베팅에 의해 제 1 요소에 고정되고, 제 2 요소 정반대편에 위치된 제 3 요소.
그러한 조정 부재는 제조하기에 복잡하고 비용이 높다.
제 2 요소는 상기 제 2 요소를 축방향으로 웜 스크류의 축 반대편의 위치에 유지하기 위해 러그와 케이싱의 방사상 벽 사이에 축방향으로 맞물린다. 이것은 치형 부분과 웜 스크류 사이의 효율적인 맞물림을 보장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제 2 요소는 맞물림 또는 맞물림 해제 단계 동안 압력 플레이트의 축방향 상승 및 하강 이동에 맞추기 위해 제 1 요소의 축방향 오프셋을 허용하기 위해서 탄성적으로 변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구현하기에 간단한 경제적인 대안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특히 자동차용의, 클러치 메커니즘을 위한 마모 조정 부재에 있어서,
- 축 X를 갖는 제 1 환형 요소로서, 제 1 환형 요소의 하나의 축방향 단부는, 방사면에 대해 경사지며 클러치 메커니즘의 카운터-램프(counter-ramp)와 협력하도록 설계된 적어도 하나의 램프를 포함하는, 상기 제 1 환형 요소,
- 반경방향 내측 환형 부분, 및 내측 환형 부분에 연결된 치형 부분을 포함하는 제 2 요소를 포함하며,
- 제 2 요소는 제 1 요소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모 조정 부재를 제안한다.
제 2 요소의 반경방향 내측 부분은, 예를 들어 클러치 메커니즘의 압력 플레이트의 스터드(stud)와의 협력에 의해, 조정 부재의 중심설정을 보장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스터드는 압력 플레이트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변형으로서, 스터드는 그것에 부착될 수 있다.
치형 부분은 램프를 대응하는 카운터-램프에 대해 피벗시키기 위해, 마찰 디스크의 마모의 경우에 작동되는 웜 스크류(worm screw)와 맞물릴 수 있다.
제 2 요소는 내측 환형 부분에 연결된, 축 X에 대해 치형 부분 정반대편에 있는 밸런싱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밸런싱 부분은 마모 조정 부재가 그것의 축을 중심으로 클러치 메커니즘의 나머지와 함께 회전 구동될 때 작동 동안 진동을 감소시키기 위해 불균형을 제한하거나 회피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치형 부분은 축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하거나, 제 1 요소에 대해 축방향으로 변위가능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맞물림 또는 맞물림 해제 단계 동안 압력 플레이트의 축방향 상승 또는 하강 이동에 맞추기 위해 램프를 지지하는 제 1 요소의 축방향 변위를 허용하면서, 치형 부분을 축방향으로 대응하는 웜 스크류의 축 반대편에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 상기 웜 스크류는 축방향으로 고정됨 -. 제 1 요소의 그러한 축방향 이동은 예를 들어 1 내지 5 mm이다.
치형 부분은 축 X를 갖는, 원호 형상의 중심 부분을 포함할 수 있고, 중심 부분의 반경방향 외측 에지는 치형부를 포함하고, 상기 중심 부분은 중심 부분의 둘레방향 단부의 영역에서,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연결 부분에 의해 제 2 요소의 내측 환형 부분에 연결된다.
다시 말해서, 치형 부분은 축 X를 갖는 원호 형상의 개방부(opening) 또는 슬롯(slot)에 의해 제 2 요소의 내측 환형 부분으로부터 분리된다. 상기 개방부 또는 상기 슬롯의 둘레방향 단부는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연결 부분에 의해 경계가 정해진다.
그러한 구조는, 비교적 간단하면서, 치형 부분에 우수한 축방향 탄성을 제공한다.
치형부는 반경방향 외측으로 배향될 수 있다.
밸런싱 부분은 축 X를 갖는, 원호 형상의 중심 부분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중심 부분은 중심 부분의 둘레방향 단부의 영역에서,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연결 부분에 의해 제 2 요소의 내측 환형 부분에 연결된다.
다시 말해서, 밸런싱 부분은 축 X를 갖는, 원호 형상의 적어도 하나의 개방부 또는 적어도 하나의 슬롯에 의해 제 2 요소의 내측 환형 부분으로부터 분리된다. 상기 개방부 또는 상기 슬롯의 둘레방향 단부는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연결 부분에 의해 경계가 정해진다. 변형으로서, 밸런싱 부분은 복수의 개방부 또는 복수의 슬롯에 의해 제 2 요소의 내측 환형 부분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내측 환형 부분, 치형 부분 및/또는 밸런싱 부분은 동일한 방사면 내에서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조립체는 예를 들어 금속 시트(sheet)로부터 절단하는 단계 동안 용이하게 제조될 수 있다.
치형 부분은 제 2 요소의 내측 환형 부분 및 밸런싱 부분에 의해 형성되는 평면에 평행한 평면 내에서 연장될 수 있다.
제 1 요소는 제 1 요소의 축방향 단부로부터 개방되는 노치(notch)를 포함할 수 있으며, 치형 부분 및/또는 밸런싱 부분의 연결 부분은 노치 내에 맞물린다.
노치는 램프를 포함하는 제 1 요소의 축방향 단부의 영역으로부터 개방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연결 부분은 용접에 의해, 또는 노치의 둘레방향 단부의 영역에서의 재료의 변형에 의해, 또는 적어도 하나의 노치로부터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러그(lug)의 리베팅에 의해 노치 내에 고정될 수 있다.
마모 조정 부재는, 축 X를 통과하고 노치의 영역에서 마모 조정 부재와 교차하는 평면에서 단면이 T-형상일 수 있으며, 제 1 요소와 제 2 요소는 서로 수직이다.
T-형상은 마모 조정 부재에 반경방향 강성을 제공하며, 이에 따라 그것의 타원화를 제한한다.
이에 따라 제 2 요소는 간단하고 저렴한 방법으로 제 1 요소에 고정된다. 고정이 재료의 변형에 의해 수행되는 경우에, 이러한 변형은 노치의 대응하는 단부의 영역에서의 크림핑(crimping)에 의해, 또는 노치로부터 연장되는 러그를 리베팅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상기 러그는 대응하는 연결 부분의 구멍 내에 맞물릴 수 있으며, 러그의 자유 단부는 리베팅의 방법으로 변형된다.
제 1 요소는 금속 시트로부터 절단함으로써 제조되는 스트립(strip)으로부터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상기 스트립은 축 X를 갖는, 원통형 링을 얻도록 구부러지거나 롤링되고, 이어서 스트립의 단부가 서로에 용접된다. 이어서 용접 시임(weld seam)이 사양에 따른 표면 상태를 얻기 위해 기계가공될 수 있다. 롤링-용접 방법으로 지칭되는 그러한 방법은 구현하기에 간단하고 저렴하다.
제 2 요소는 평탄한 금속 시트로부터 절단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제 1 요소는 예를 들어 연강으로부터, 예를 들어 유럽 기준 EN 10139에 따른 DC04로부터 제조된다.
제 2 요소는 예를 들어 냉간 라미네이트(cold laminated) 스프링강과 같은 사전처리된 강철로부터, 예를 들어 유럽 표준 NF EN 10132-4에 따른 C60S로부터 제조된다.
본 발명은 또한 특히 자동차용의, 클러치 메커니즘에 있어서,
- 고정 커버,
- 커버에 대해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압력 플레이트,
- 압력 플레이트의 변위를 작동시킬 수 있는, 맞물린 위치와 맞물림 해제된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한 다이어프램,
- 다이어프램과 압력 플레이트 사이에 축방향으로 개재된, 전술된 타입의 적어도 하나의 마모 조정 부재를 포함하는 마모 조정 수단으로서, 상기 부재의 램프는 메커니즘의 카운터-램프와 협력하여, 카운터-램프에 대한 램프의 회전이 다이어프램과 압력 플레이트 사이의 축방향 거리를 변경하게 하는, 상기 마모 조정 수단, 및
- 마모 조정 부재를 회전 구동시키기 위한 수단으로서, 마모 조정 부재의 치형 부분과 맞물리는 적어도 하나의 웜 스크류를 포함하는, 상기 회전 구동시키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클러치 메커니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전술된 타입의 클러치 메커니즘을 포함하는 장치에 있어서, 클러치 장치는 반동 플레이트 및 마찰 디스크를 포함하고, 마찰 디스크는 맞물린 위치에서는 압력 플레이트와 반동 플레이트 사이에 클램핑될 수 있도록, 그리고 맞물림 해제된 위치에서는 해제될 수 있도록, 압력 플레이트와 반동 플레이트 사이에 축방향으로 개재되고, 커버는 반동 플레이트에 대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비제한적인 예로서 이루어진 다음의 설명을 읽음으로써 본 발명이 더 명확히 이해될 것이고 본 발명의 추가의 상세 사항, 특징 및 이점이 명백해질 것이다.
-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클러치 메커니즘의 분해 사시도,
- 도 2는 메커니즘의 사시도,
- 도 3은 장치의 부분 절단 사시도,
- 도 4는 장치의 축방향 단면도,
-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마모 조정 부재의 위로부터의 사시도,
- 도 6은 도 5의 조정 부재의 평면 P를 따른 단면도,
- 도 7은 도 5의 마모 조정 부재의 아래로부터의 사시도,
- 도 8 및 도 9는 제 1 요소의 노치 내부에 제 2 요소의 연결 부분을 크림핑하기 위한 방법의 2개의 단계를 예시하는, 도 5 및 도 7의 부재의 상세도,
-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마모 조정 부재의 아래로부터의 사시도,
- 도 11 내지 도 13은 제 1 요소의 노치 내부에 제 2 요소의 연결 부분을 리베팅하기 위한 방법의 3개의 단계를 예시하는, 도 9의 부재의 상세도.
도 1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마모 조정을 갖는 클러치 메커니즘(1)을 도시한다. 이러한 메커니즘은 반동 플레이트에 고정되도록 설계된, 축 X를 갖는, 환형 고정 커버(2), 반동 플레이트(4)(도 4) 및 커버(2)에 대해 축 X를 따라 이동가능한 환형 압력 플레이트(3)를 포함한다. 마찰 디스크(5)는 압력 플레이트(3)와 반동 플레이트(4) 사이에 축방향으로 개재되도록 설계된다.
커버(2)는 대체로 중공 형상 또는 벨 형상을 갖는다. 보다 구체적으로, 커버(2)는 전체적으로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환형 부분(6), 및 방사상 부분(6)의 반경방향 외측 주연부로부터 연장되는 대체로 원통형 부분(7)을 포함한다. 원통형 부분의 자유 단부는 커버(2)의 방사상 플랜지(8)의 영역에서, 예를 들어 리베팅 또는 나사고정(screwing)에 의해, 반동 플레이트(4)에 고정된다.
압력 플레이트(3)는 커버(2)의 내부 체적부 내에 수용된다.
다이어프램(9)이 내부 체적부 내에 장착되며, 상기 다이어프램은 벨빌 와셔(Belleville washer)의 방식의 변형가능한 환형 부분(10), 그것으로부터 방사상으로 내부까지 연장되는 작동 핑거(actuating finger)(11)를 포함한다. 핑거(11)의 반경방향 내측 주연부는, 그 자체로 알려진 바와 같이, 클러치 베어링과 협력할 수 있다. 다이어프램(9)은 베어링 존(12)의 영역에서 커버(2)에 기대도록 장착되고, 리벳(14)에 의해 커버(2)에 고정된 후크(13)에 의해 상기 존에 기대도록 유지된다.
다이어프램(9)은 완전히 맞물린 위치 - 여기서 상기 압력 플레이트(3)는 마찰 디스크(5)를 상기 플레이트(3, 4) 사이에 클램핑하기 위해 반동 플레이트(4)를 향해 밀어내짐 - 와, 맞물림 해제된 위치 - 여기서 상기 압력 플레이트(3)는 마찰 디스크(5)를 해제하기 위해 반동 플레이트(4)로부터 분리됨 - 사이의 압력 플레이트(3)의 작동을 위한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축방향 힘을 가할 수 있는 탄성 텅(tongue)(15)이 커버(2)와 압력 플레이트(3)를 연결한다. 텅(15)은 압력 플레이트(3)를 그것의 맞물림 해제된 위치를 향해 탄성적으로 복귀시키도록 배열된다.
마모 조정 수단이 압력 플레이트(3)와 다이어프램(9) 사이에 축방향으로 개재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다이어프램(9)은 상기 커버(2) 상의 상기 다이어프램(9)의 베어링 존(12) 반경방향 외측에 위치된 존에서 상기 마모 조정 수단과 협력한다.
이러한 수단은 다이어프램(9)이 그것에 기댈 수 있는 축방향 단부(18), 및 압력 플레이트(3) 상에 직접 형성된 관련 카운터-램프(20a)(도 1)와 협력하는, 방사면에 대한 경사진 램프(20)를 포함하고 둘레방향으로 연장되는 축방향 단부(19)를 포함하는, 축 X를 갖는, 대체로 원통형 형상의 제 1 환형 요소(17)를 포함하는 이동가능한 마모 조정 부재(16)를 포함한다.
예로서, 마모 조정 부재의 각각의 램프(20) 및 압력 플레이트(3)의 관련 카운터-램프(20a)의 각도는 2° 내지 12°이다.
제 1 요소(17)는 제 1 요소(17)의 축방향 단부(19)로부터 개방된 노치(21)를 포함한다.
조정 부재(16)는 반경방향 내측 환형 부분(23), 내측 환형 부분(23)에 연결된 치형 부분(24), 및 내측 환형 부분(23)에 연결된, 축 X에 대해 치형 부분(24) 정반대편에 있는 밸런싱 부분(25)을 포함하는, 방사면 내에서 연장되는 제 2 요소(22)를 추가로 포함한다.
치형 부분(24)은 90° 내지 150°의 각도 범위에 걸친 소정 각도로 연장되는, 축 X를 갖는, 원호 형상의 중심 부분을 포함하며, 그것의 반경방향 외측 에지는 치형 섹터를 포함하고, 그것의 치형부(26)는 반경방향 외측으로 배향된다. 상기 중심 부분은 그것의 둘레방향 단부의 영역에서,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연결 부분(27)에 의해 제 2 요소(22)의 내측 환형 부분(23)에 연결된다. 치형 부분(24)은 축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하다.
다시 말해서, 치형 부분(24)은 축 X를 갖는, 원호 형상의 개방부 또는 슬롯(28)에 의해 제 2 요소(22)의 내측 환형 부분으로부터 분리된다. 상기 개방부 또는 상기 슬롯(28)의 둘레방향 단부는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연결 부분(27)에 의해 경계가 정해진다.
밸런싱 부분(25)은 80° 내지 150°의 각도 범위에 걸친 소정 각도로 연장되는, 축 X를 갖는, 원호 형상의 중심 부분을 포함한다. 상기 중심 부분은 그것의 둘레방향 단부의 영역에서, 이 경우에 3으로 넘버링하는,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연결 부분(27)에 의해 제 2 요소(22)의 내측 환형 부분(23)에 연결된다.
다시 말해서, 밸런싱 부분(25)은 축 X를 갖는, 원호 형상의 적어도 하나의 개방부 또는 적어도 하나의 슬롯(28)에 의해 제 2 요소(22)의 내측 환형 부분(23)으로부터 분리된다.
내측 환형 부분(23), 치형 부분(24) 및/또는 밸런싱 부분(25)은 동일한 방사면 내에서 연장된다.
변형으로서, 치형 부분(24)은 제 2 요소(22)의 내측 환형 부분(23) 및 밸런싱 부분(25)에 의해 형성되는 평면에 평행한 평면 내에서 연장된다. 2개의 평면은 축방향으로 오프셋된다.
내측 환형 부분(23)은 압력 플레이트(3)(도 4)의 스터드(stud)(29)와의 협력에 의해 조정 부재(16)의 중심설정을 보장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치형 부분(24) 및 밸런싱 부분(25)의 연결 부분(27)은 제 1 요소(17)의 노치(21) 내에 맞물린다.
도 6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조정 부재는, 축 X를 통과하고 노치(21)의 영역에서 마모 조정 부재(16)와 교차하는 평면 P에서 단면이 T-형상이며, 제 1 요소(17)와 제 2 요소(22)는 서로 수직이다.
T-형상은 마모 조정 부재(16)에 반경방향 강성을 제공하며, 이에 따라 그것의 타원화를 제한한다.
도 1 내지 도 9의 실시예에서, 연결 부분(27)은 노치(21)의 둘레방향 단부(31)의 영역에서 재료(30)의 변형에 의해 노치(21) 내에 고정된다. 재료의 그러한 변형은 노치의 대응하는 단부의 영역에서의 제 1 요소(17)의 크림핑에 의해 달성되며, 제 2 요소(22)가 제 1 요소(17)에 고정되게 한다. 도 7은 재료의 변형 전의 노치(21) 및 대응하는 연결 부분(27)을 예시하는 반면, 도 8은 재료(30)의 변형 후의 상기 노치(21) 및 상기 연결 부분(27)을 예시한다.
이에 따라 제 2 요소(22)는 간단하고 저렴한 방법으로 제 1 요소(17)에 고정된다.
제 1 요소(17)는 금속 시트(sheet)로부터 절단함으로써 만들어지는 스트립(strip)으로부터 제조되는데, 예를 들어 상기 스트립은 축 X를 갖는, 원통형 링을 얻도록 구부러지거나 롤링되고, 이어서 스트립의 단부가 서로에 용접된다. 이어서 용접 시임(weld seam)이 예를 들어 어브레이전(abrasion)에 의해 부분적으로 기계가공되어, 대체로 매끄러운 표면을 얻을 수 있다. 롤링-용접 방법으로 지칭되는 그러한 방법은 구현하기에 용이하고 저렴하다. 제 2 요소(22)는 평탄한 금속 시트로부터 절단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제 1 요소(17)는 예를 들어 연강으로부터, 예를 들어 유럽 기준 EN 10139에 따른 DC04로부터 제조된다.
제 2 요소(22)는 예를 들어 냉간 라미네이트(cold laminated) 스프링강과 같은 사전처리된 강철로부터, 예를 들어 유럽 표준 NF EN 10132-4에 따른 C60S로부터 제조된다. 그러한 재료는 특히 치형 부분(24)의 축방향 변형을 허용한다.
치형 부분(24)의 치형 섹터는, 둘레방향으로 연장되고, 마찰 디스크(5)의 마모의 경우에 축 X를 중심으로 한 회전으로 구동되도록 변위 수단과 협력할 수 있는 랙(rack)을 형성한다. 치형 섹터는 하나의 평면 내에 형성된다.
변위 수단은 치형 부분(24)의 랙과 맞물리도록 유지되는 웜 스크류(32)를 포함한다. 웜 스크류(32)는 작동 러그(35)를 포함하는 캐치(34)와 협력하는 래칫 휠(33)에 회전 결합되며, 그것의 자유 단부는 래칫 휠(33)과 맞물리고, 그것의 자유 단부의 작동은 마찰 디스크(5)의 마모에 의해 유발된다.
캐치(34)의 러그(35)의 상기 자유 단부에 대한 래칫 휠(33)의 위치는 마찰 디스크(5)의 마모 및 압력 플레이트(3)의 위치의 함수로서 달라지며, 따라서 캐치(34)는, 그 자체로 알려진 바와 같이, 그것의 맞물린 위치와 맞물림 해제된 위치 사이의 압력 플레이트(3)의 변위에 의해, 마찰 디스크(5)의 마모의 경우에 래칫 휠(33)을 구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래칫 휠(33)의 회전은 조정 부재(16)의 회전 변위를, 그리고 이에 따라, 램프(20) 및 카운터-램프(20a)의 존재로 인해, 베어링 구역과 압력 플레이트(3) 사이의 축방향 거리에 대한 변화를 유발한다. 거리에 있어서의 이러한 변동은 요구되는 경우 마찰 디스크(5)의 마모를 보상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래칫 휠(33) 및 웜 스크류(32)는 핀(33a) 주위에 피벗가능하게 장착되며, 조립체는 케이싱(36) 내에 수용된다. 케이싱(36)은 이어서 커버(2)의 원통형 부분(7) 내에 형성된 중공 구역(37) 내에 수용된다.
치형 부분(24)이 케이싱(36)의 방사상 기부(38)와 케이싱(36)의 위치설정 러그(positioning lug)(39) 사이에 축방향으로 개재되어, 치형 부분(24)을 축방향으로 웜 스크류(32)의 축에 대해 제 위치에 유지하여서, 최적의 맞물림을 보장한다.
작동 동안, 압력 플레이트(3)는 그것의 맞물린 위치와 맞물림 해제된 위치 사이에서 축방향으로 변위되어, 그것과 함께 제 1 요소(17)의, 특히 조정 부재(16)의 축방향 변위를 유발한다. 축방향으로 유지된 치형 부분(24)은 이에 따라 압력 플레이트(3)의 축방향 변위 동안 탄성적으로 변형된다. 제 2 요소(22)의 환형 부분(23)이 제 1 요소(17)와 함께 축방향으로 변위된다는 것을 알 것이다.
그것의 맞물린 위치와 맞물림 해제된 위치 사이의 압력 플레이트(3)의 축방향 변위는 예를 들어 0.5 내지 3 mm이다.
도 10 내지 도 13은 방사상 연결 부분(27)이 리베팅에 의해 노치(21) 내에 고정된다는 점에서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된 것과는 상이한 제 2 실시예를 도시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각각의 노치(21)는 제 1 요소(17)의 단부(19)의 방향으로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러그(40)를 포함하고, 각각의 러그(40)는 리베팅의 방법으로 그것의 단부(42)에서 변형되거나 크림핑되기 전에 제 2 요소(22)의 대응하는 방사상 부분(27) 내에 형성된 개방부(41)를 통과하여, 노치(21) 내에의 상기 연결 부분(27)의 고정을 보장한다.
도시되지 않은 추가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요소(22)의 각각의 연결 부분(27)은 노치(21) 내에 용접된다.

Claims (13)

  1. 특히 자동차용의, 클러치 메커니즘(1)을 위한 마모 조정 부재(wear adjustment member)(16)에 있어서,
    - 축 X를 갖는 제 1 환형 요소(17)로서, 상기 제 1 환형 요소의 하나의 축방향 단부(19)는 방사면(radial plane)에 대해 경사진 적어도 하나의 램프(20)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램프(20)는 상기 클러치 메커니즘(1)의 카운터-램프(counter-ramp)(20a)와 협력하도록 구성되는, 상기 제 1 환형 요소(17), 및
    - 제 2 요소(22)로서, 상기 제 2 요소(22)는 반경방향 내측 환형 부분(23), 및 상기 내측 환형 부분(23)에 연결된 치형 부분(toothed part)(24)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요소(22)는 상기 제 1 요소(17)에 고정되는, 상기 제 2 요소(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모 조정 부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요소(22)는 상기 내측 환형 부분(23)에 연결된, 상기 축 X에 대해 상기 치형 부분(24) 정반대편에 있는 밸런싱 부분(balancing part)(25)을 포함하는
    마모 조정 부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치형 부분(24)은 축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하거나, 상기 제 1 요소(17)에 대해 축방향으로 변위가능한
    마모 조정 부재.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치형 부분(24)은 상기 축 X를 갖는 원호 형상의 중심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중심 부분의 반경방향 외측 에지는 치형부(26)를 포함하고, 상기 중심 부분은 상기 중심 부분의 둘레방향 단부의 영역에서,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연결 부분(27)에 의해 상기 제 2 요소(22)의 내측 환형 부분(23)에 연결되는
    마모 조정 부재.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치형부(26)는 반경방향 외측으로 배향되는
    마모 조정 부재.
  6. 제 2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밸런싱 부분(25)은 상기 축 X를 갖는 원호 형상의 중심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중심 부분은 상기 중심 부분의 둘레방향 단부의 영역에서,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연결 부분(27)에 의해 상기 제 2 요소(22)의 내측 환형 부분(23)에 연결되는
    마모 조정 부재.
  7.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환형 부분(23), 상기 치형 부분(24) 및/또는 상기 밸런싱 부분(25)은 동일한 방사면 내에서 연장되는
    마모 조정 부재.
  8.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치형 부분(24)은 상기 제 2 요소(22)의 내측 환형 부분(23) 및 밸런싱 부분(25)에 의해 형성되는 평면에 평행한 평면 내에서 연장되는
    마모 조정 부재.
  9. 제 4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요소(17)는 상기 제 1 요소(17)의 축방향 단부(19)로부터 개방되는 노치(notch)(21)를 포함하고, 상기 치형 부분(24) 또는 상기 밸런싱 부분(25)의 연결 부분(27)은 상기 노치(21) 내에 맞물리는
    마모 조정 부재.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분(27)은 용접에 의해, 또는 상기 노치(21)의 둘레방향 단부(30)의 영역에서의 재료의 변형에 의해, 또는 적어도 하나의 노치(21)로부터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러그(lug)(40)의 리베팅(riveting)에 의해 상기 노치(21) 내에 고정되는
    마모 조정 부재.
  11.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마모 조정 부재는, 상기 축(X)을 통과하고 노치(21)의 영역에서 상기 마모 조정 부재(16)와 교차하는 평면(P)에서 T-형상 단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요소(17)와 상기 제 2 요소(22)는 서로 직교하는
    마모 조정 부재.
  12. 특히 자동차용의 클러치 메커니즘(1)에 있어서,
    - 고정 커버(2),
    - 상기 커버(2)에 대해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압력 플레이트(3),
    - 상기 압력 플레이트(3)의 변위를 작동시킬 수 있는, 맞물린 위치(engaged position)와 맞물림 해제된 위치(disengaged position) 사이에서 이동가능한 다이어프램(diaphragm)(9),
    - 상기 다이어프램(9)과 상기 압력 플레이트(3) 사이에 축방향으로 개재된,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적어도 하나의 마모 조정 부재(16)를 포함하는 마모 조정 수단으로서, 상기 마모 조정 부재(16)의 램프(20)는 상기 클러치 메커니즘(1)의 카운터-램프(20a)와 협력하여, 상기 카운터-램프(20a)에 대한 상기 램프(20)의 회전이 상기 다이어프램(9)과 상기 압력 플레이트(3) 사이의 축방향 거리를 변경하게 하는, 상기 마모 조정 수단, 및
    - 상기 마모 조정 부재(16)를 회전 구동시키기 위한 수단으로서, 상기 마모 조정 부재(16)의 치형 부분(24)과 맞물리는 적어도 하나의 웜 스크류(worm screw)(32)를 포함하는, 상기 회전 구동시키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클러치 메커니즘.
  13. 제 12 항에 기재된 클러치 메커니즘(1)을 포함하는 클러치 장치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 장치는 반동 플레이트(4) 및 마찰 디스크(5)를 포함하고, 상기 마찰 디스크(5)는 상기 맞물린 위치에서는 상기 압력 플레이트(3)와 상기 반동 플레이트(4) 사이에 클램핑(clamping)될 수 있도록, 그리고 상기 맞물림 해제된 위치에서는 해제될 수 있도록, 상기 압력 플레이트(3)와 상기 반동 플레이트(4) 사이에 축방향으로 개재되고, 상기 커버(2)는 상기 반동 플레이트(4)에 대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 장치.
KR1020197017464A 2016-12-19 2017-12-13 특히 자동차용의, 클러치 메커니즘을 위한 마모 조정 부재 KR2019009896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1662705A FR3060683B1 (fr) 2016-12-19 2016-12-19 Organe de rattrapage d'usure pour un mecanisme d'embrayage, notamment pour vehicule automobile
FR1662705 2016-12-19
PCT/EP2017/082705 WO2018114542A1 (fr) 2016-12-19 2017-12-13 Organe de rattrapage d'usure pour un mecanisme d'embrayage, notamment pour vehicule automobi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8968A true KR20190098968A (ko) 2019-08-23

Family

ID=585015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7464A KR20190098968A (ko) 2016-12-19 2017-12-13 특히 자동차용의, 클러치 메커니즘을 위한 마모 조정 부재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20190098968A (ko)
FR (1) FR3060683B1 (ko)
WO (1) WO2018114542A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53504B1 (fr) * 1996-09-17 1998-12-04 Valeo Embrayage a friction a dispositif de rattrapage d'usure, en particulier pour vehicule automobile
FR2847626B1 (fr) * 2002-11-25 2005-08-19 Valeo Embrayages Embrayages a friction comportant un dispositif de rattrapage d'usure des garnitures de friction, en particulier pour vehicule automobile
DE102009042077B4 (de) * 2008-10-09 2019-03-21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Reibungskupplung mit Nachstelleinrichtung
FR3032247B1 (fr) * 2015-02-04 2017-01-13 Valeo Embrayages Mecanisme d'embrayage equipe d'un dispositif de rattrapage d'usure comprenant un cliquet presentant un corps forme de deux plaqu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R3060683A1 (fr) 2018-06-22
WO2018114542A1 (fr) 2018-06-28
FR3060683B1 (fr) 2019-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02818B1 (en) Friction clutch with compensation for wear
US4228883A (en) Automatic wear adjuster for Belleville spring clutches
KR100430180B1 (ko) 간극을조정하기위한장치를구비한차량용마찰클러치
US6176360B1 (en) Friction clutch with wear adjusting device, in particular for motor vehicles
US5937986A (en) Friction clutch, particularly for motor vehicle, comprising a wear adjusting device
KR20180063257A (ko) 마찰 클러치
US6793058B2 (en) Clutch disk arrangement for a multi-disk clutch
KR20010032338A (ko) 자동차용 클러치 장치
KR20160119784A (ko) 상시 결합식 클러치 장치
KR102396061B1 (ko) 특히 자동차용의 클러치 장치용 어셈블리
JPH0680334B2 (ja) 摩擦クラツチ
US5823311A (en) Flywheel, in particular for motor vehicles
JPH05196060A (ja) 自動車用隔板式クラッチ
EP1290359B1 (en) High torque retention joint for a tensioner
JP4582913B2 (ja) クラッチカバーにダイヤフラムを取り付けるための装置
KR20190098968A (ko) 특히 자동차용의, 클러치 메커니즘을 위한 마모 조정 부재
JP2017510773A (ja) 多板デュアルクラッチ
CN113446354A (zh) 双质量飞轮
US5788039A (en) Clutch cover and clutch comprising such a cover
US5582280A (en) Motor vehicle manual transmission with a clutch which clutch has a fastening structure for fastening the lining spring segments to the driving plate
JP3465192B2 (ja) 特に自動車用のダンプフライホイール
US7434672B2 (en) Hub and clutch disk arrangement for a friction clutch, especially a multi-disk clutch
KR20190104143A (ko) 마찰 클러치
KR102160943B1 (ko) 클러치 장치
US4427103A (en) Diaphragm clutch mechanism, particularly for a motor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