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97696A - 향상된 광투과율, 정전기방지 기능 및 반사저감 기능을 가지는 코팅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코팅 조성물을 이용한 코팅 필름 - Google Patents

향상된 광투과율, 정전기방지 기능 및 반사저감 기능을 가지는 코팅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코팅 조성물을 이용한 코팅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97696A
KR20190097696A KR1020180017442A KR20180017442A KR20190097696A KR 20190097696 A KR20190097696 A KR 20190097696A KR 1020180017442 A KR1020180017442 A KR 1020180017442A KR 20180017442 A KR20180017442 A KR 20180017442A KR 20190097696 A KR20190097696 A KR 201900976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ating composition
coating
colloidal silica
weight
pet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74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72903B1 (ko
Inventor
황헌
Original Assignee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174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2903B1/ko
Publication of KR201900976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76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29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29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8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83/02Polysilic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006Anti-reflective coat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16Antifouling paints; Underwater pai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1Additives non-macromolecular in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6Additives characterised by particle size
    • C09D7/67Particle size smaller than 100 nm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Nanotechn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S1) 산촉매를 이용하여 테트라에톡시실란을 가수분해하여 얻은 수용성 에틸실리케이트를 포함한 용액에 콜로이달 실리카 분산액을 첨가하여 실리케이트 졸을 제조하는 단계; (S2) 금속산화물 미립자 수용액과 콜로이달 실리카 분산액을 혼합하여 산화물 졸을 제조하는 단계; 및 (S3) 상기 실리케이트 졸과 산화물 졸을 혼합한 후 중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AR(anti-reflective, 반사방지)에 의한 광투과성과 AS(anti-static, 정전기방지)와 프랙탈 층구조에 의한 오염방지 기능을 증진시킨 코팅 조성물의 제조방법, 이에 따라 제조된 코팅 조성물 및 상기 코팅 조성물을 고분자 수지 소재에 코팅하여 제조된 코팅 필름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AR(anti-reflective, 반사방지)에 의한 광투과성과 AS(anti-static, 정전기방지)와 프랙탈 층구조에 의한 오염방지 기능을 증진시킨 코팅 조성물 및 이를 고분자 수지 소재에 코팅하여 표면의 반사율을 저감시킴으로써 광투과율을 향상시키고 정전기방지 기능 및 프랙탈 구조의 표면층으로 미세먼지의 부착을 최소화하여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코팅 필름을 제조할 수 있다.

Description

향상된 광투과율, 정전기방지 기능 및 반사저감 기능을 가지는 코팅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코팅 조성물을 이용한 코팅 필름{A METHOD FOR PREPARING A COATING COMPOSITION HAVING IMPROVED LIGHT TRANSMITTANCE AND ANTI-STATIC FUNCTIONS AND LIGHT REFLECTION REDUCTION FUNCTIONS AND A COATING FILME USING THE COATING COMPOSITION PREPARED BY THE SAME}
본 발명은 PET(Polyethyleneterephthalate), PC(Polycarbonate), PMMA(polymethylmethacrylate)등 고분자 수지 소재 필름에 코팅 시 표면의 반사광을 저감시켜 광투과율을 향상시키고 정전기방지 성질 그리고 연잎의 표면구조와 유사한 프랙탈 구조의 코팅층을 생성하여 공기 중에 부유하는 미세 먼지의 표면 흡착을 최소화시키는 기능을 부여하는 코팅 조성물과 이를 고분자 수지 소재 필름 표면에 도포하여 광투과율을 향상시키고 표면오염을 방지하는 기능을 갖는 고투명 코팅 필름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S1) 산촉매를 이용하여 테트라에톡시실란을 가수분해하여 얻은 수용성 에틸실리케이트를 포함한 용액에 콜로이달 실리카 분산액을 첨가하여 실리케이트 졸을 제조하는 단계; (S2) 금속산화물 미립자 수용액과 콜로이달 실리카 분산액을 혼합하여 산화물 졸을 제조하는 단계; 및 (S3) 상기 실리케이트 졸과 산화물 졸을 혼합한 후 중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AR(anti-reflective, 반사방지)에 의한 광투과성과 AS(anti-static, 정전기방지)와 프랙탈 층구조에 의한 오염방지 기능을 증진시킨 코팅 조성물의 제조방법, 이에 따라 제조된 코팅 조성물 및 상기 코팅 조성물을 고분자 수지 소재에 코팅하여 제조된 코팅 필름에 관한 것이다.
AR(anti-reflective, 반사방지)기능은 기재의 표면에 굴절률이 다른 층을 둠으로서 설치된 층의 표면에서의 반사광과 기재의 계면에서의 반사광의 위상을 역전시켜 상호 삭감함으로써 반사광을 경감하는 원리에 근거한다(도 1).
일반적으로 한 개의 층을 갖는 층구조에서는 반사율 경감이 적기 때문에 두 개 층 이상의 다층구조를 통하여 반사면을 늘려 반사율 방지 기능을 구현하기도 하나 고비용에 공정이 복잡하며, 생산수율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AR(anti-reflective, 반사방지) 필름의 종류와 특징은 다음 표 1과 같다(홍영준, Flat Panel Display용 유/무기 복합 코팅, 한국고분자학회, 2006).
AR 필름의 종류 및 특징
구조 대표적인 물질 특징
사λ/4
Figure pat00001

코팅층 1 (n1)
MgF2, n1=1.38 ·높은 반사율(∼2%)
·공정이 용이함
사λ/4 λ/4
Figure pat00002

코팅층 2 (n1, n2)
MgF2, n1=1.38
CeF3, n2=1.65 or Al2O3, n2=1.76
·낮은 반사율(∼1%)
·V 모양의 반사 패턴
·반사 색상을 나타냄
λ/4 λ/2 λ/4
Figure pat00003

코팅층 3 (n1, n2, n3)
MgF2, n1=1.38
ZrO2, n2=2.10 or TiO2, n2=2.50
CeF3, n3=1.65 or Al2O3, n3=1.76
·가시광선 전 영역에서 낮은 반사율을 가짐(< 1%)
·W 모양의 반사 패턴
·공정이 복잡함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액정의 경우에 휘도개선용 AR 기능 구현은 증착 대신 습식도포에 의해 제조되는 AR 코팅필름으로 대체되고 있으며 커버유리의 경우에도 공극(air gap)에 의한 반사방지를 위해 AR 필름을 적용하는 등 디스플레이에 있어서 시인성 개선과 휘도를 개선하는 목적으로 광학 AR 필름의 적용이 확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반사율 0.4% 미만을 AR 필름, 그 이상을 LR(Low-Reflective, 반사저감)필름으로 구분하기도 하나 통칭해서 AR로 한다.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13433호(공고일자: 2011.02.14.)에서는 태양광모듈의 표면 유리에 코팅하여 친수기능을 부여하고 미흡하지만 광투과를 향상시키는 특성을 갖는 코팅소재를 제안하였으며,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31518호(공고일자: 2011.04.29.)에서는 광투과성을 증진시킨 초친수 무기코팅제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태양광모듈용 코팅필름을 제안하였다. 아울러,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789403호(공고일자: 2007.12.28.)은 (주)옴니켐의 반사방지 및 대전방지 필름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AR과 대전방지를 위해 별도의 층을 두고 있으며, 반사도를 낮추기 위해 층을 둔 이유도 있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8-0055699호(공개일자: 2008.06.19.)는 한국생산기술연구원의 대전방지성을 갖는 반사방지 광학 필름, 이의 대전방지성 하드코팅층 형성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하드코팅제에 대전방지 기능을 부여한 것으로 2개 층 이상의 코팅 방식에 해당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96128호(공고일자: 2011.12.20)에서는 AR과 AS 기능이 동시에 적용된 하지만 AR 층과 AS 층이 별도로 존재하는 2개의 층 구조로 된 AR 필름을 제안하였다.
본 발명자들은 가시광의 입사각에 따른 광투과율을 현저하게 향상시키고 필름 표면의 오염문제를 물리적 구조 측면과 화학적 기능 측면의 복합적 효과를 통하여 해결할 수 있는 복합기능의 코팅 조성물을 개발하였으며 상기의 코팅조성물을 고분자 수지 소재의 필름에 습식 코팅 방식으로 한 개 층 구조로 코팅하여 380 내지 780 nm에 걸쳐 광투과율을 평균 4% 향상시키고 정전기방지 기능을 갖는 코팅필름을 개발하였다.
상술한 기능들은 실리카 입자의 크기와 고분자 수지 표면에 생성되는 코팅층의 형상 구조를 제어하여 구현되며 다양한 각도로 입사되는 가시광의 반사광을 반영구적으로 현저하게 저감시킨다. 또한 조성물에 포함된 미립자가 갖는 AS 특성과 연잎의 표면구조와 유사하게 생성되는 프랙탈 표면 구조상을 이용하여 오염방지기능을 구현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KR 101013433 B1 KR 101031518 B1 KR 100789403 B1 KR 1020080055699 A KR 101096128 B1
본 발명의 AR 및 AS 복합기능의 코팅 조성물과 이를 고분자 수지 소재의 필름에 습식 코팅 방식으로 구현한 단층 구조의 코팅 필름은 AR 코팅이 되지 않은 고분자 수지필름 표면과 단층 구조의 기존 AR 필름의 표면 반사특성과 비교하여 가시광 파장 전체 대역에 걸쳐 거의 균일하게 반사광을 저감시키며, 특히 광의 입사각에 따른 반사율을 현저하게 저감시켜 경사지게 입사하는 광의 투과율을 현저히 향상시키고 필름 표면의 오염문제를 물리적 구조 측면과 화학적 기능 측면의 복합적 효과를 통하여 해결하였다.
본 발명의 AR 및 AS 복합기능은 실리카 입자의 크기에 따른 굴절율과 고분자 수지 표면에 생성되는 코팅층의 요철형상 구조를 제어하여 구현되며 다양한 각도로 입사되는 가시광의 반사광을 반영구적으로 현저하게 저감시킨다. 또한 코팅 조성물에 포함된 미립자가 갖는 대전방지 특성과 연잎의 표면구조와 유사하게 생성되는 요철 표면 구조상을 이용하여 AS(anti-static, 정전기방지) 기능을 구현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S1) 산촉매를 이용하여 테트라에톡시실란을 가수분해하여 얻은 수용성 에틸실리케이트를 포함한 용액에 콜로이달 실리카 분산액을 첨가하여 실리케이트 졸을 제조하는 단계; (S2) 금속산화물 미립자 수용액과 콜로이달 실리카 분산액을 혼합하여 산화물 졸을 제조하는 단계; 및 (S3) 상기 실리케이트 졸과 산화물 졸을 혼합한 후 중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AR(anti-reflective, 반사방지)에 의한 광투과성과 AS(anti-static, 정전기방지)와 프랙탈 층구조에 의한 오염방지 기능을 증진시킨 코팅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코팅 조성물 및 상기 코팅 조성물을 고분자 수지 소재에 코팅하여 제조된 코팅 필름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본 발명의 목적은 (S1) 산촉매를 이용하여 테트라에톡시실란을 가수분해하여 얻은 수용성 에틸실리케이트를 포함한 용액에 콜로이달 실리카 분산액을 첨가하여 실리케이트 졸을 제조하는 단계; (S2) 금속산화물 미립자 수용액과 콜로이달 실리카 분산액을 혼합하여 산화물 졸을 제조하는 단계; 및 (S3) 상기 실리케이트 졸과 산화물 졸을 혼합한 후 중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AR(anti-reflective, 반사방지)에 의한 광투과성과 AS(anti-static, 정전기방지)와 프랙탈 층구조에 의한 오염방지 기능을 증진시킨 코팅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코팅 조성물 및 상기 코팅 조성물을 고분자 수지 소재에 코팅하여 제조된 코팅 필름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AR(anti-reflective, 반사방지)에 의한 광투과성과 AS(anti-static, 정전기방지)와 프랙탈 층구조에 의한 오염방지 기능을 증진시킨 코팅 조성물 및 이를 고분자 수지 소재에 코팅하여 표면의 반사율을 저감시킴으로써 광투과율을 향상시키고 정전기방지 기능 및 프랙탈 구조의 표면층으로 미세먼지의 부착을 최소화하여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코팅 필름을 제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코팅 조성물을 코로나 표면처리 또는 아크릴 표면처리 또는 우레탄 표면처리 PET 필름을 포함한 고분자 수지 소재 필름에 습식으로 코팅 후 10 내지 30 초 동안 열경화(70 내지 120 ℃)시켜 120 내지 150 nm 건조 도막 두께로 코팅하면 코팅하지 않은 필름과 비교하여 광투과율을 3% 이상 향상시키고 코팅하지 않은 필름의 표면저항이 1012 ohm 이상의 절연 특성을 보이는 것과 비교하여, 본 발명에 따른 코팅 조성물이 코팅된 표면은 108~10 ohm의 표면 저항값을 갖는 반도체 특성을 보이며, 표면에 미세먼지의 부착을 방지하는 대전방지 기능이 생성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코팅 조성물이 함유하고 있는 소재의 대전방지 특성과 코팅 층의 구조적 특성에 따른 연잎의 표면구조와 유사하게 생성되는 요철 표면 구조상에 의하여 물방울이 표면에서 구르는 성질과 유사하게 미세먼지가 표면에 부착되지 않고 구르는 성질에 의해 공기 중에 부유하는 미세 먼지나 오염물질의 코팅 필름의 표면 부착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AR의 원리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코팅 필름의 구조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확대 단면도이다. (a)는 AR 및 AS 기능을 주목적으로 하는 고투명 단면코팅 PET 필름으로서, 고분자 수지 필름인 PET 필름의 바깥 표면에 본 발명의 코팅 조성물로 이루어진 박막층을 형성한 것이며, 박막층의 표면은 표면에 상처가 생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EVA 보호 박리 필름으로 피복되어 있다; (b)는 AR 및 AS 기능을 주목적으로 하는 고투명 양면코팅 PET 필름으로서, 고분자 수지 필름인 PET 필름의 바깥 표면과 안쪽 면에 본 발명의 코팅 조성물로 이루어진 박막층을 형성한 것이며, 고투명 단면코팅 필름과 비교하여 광투과율을 1.5 내지 2 배 향상시키는 구조의 필름으로, 양면에 코팅된 박막층의 표면에 상처가 생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EVA 보호 박리 필름으로 피복되어 있다; (c)는 AR 및 AS 기능의 PSA 점착층을 갖는 고투명 단면코팅 PET 필름으로서, 고분자 수지 필름인 PET 필름의 바깥 표면에 본 발명의 코팅 조성물로 이루어진 박막층을 형성한 것이며, PET 필름의 안쪽 면에 점착층이 만들어져, 이 점착층을 이용하여 임의의 기재로의 점착이 가능하며, 자외선에 의한 점착층의 열화를 방지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자외선 흡수 기능의 UVA(UV Absorber) 소재를 첨가하고, 박막층에 자외선 차단 효과를 부여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박막층의 코팅 함유물에 ZnO 성분을 함유하도록 하나, 자외선 차단 효과를 극대화하는 경우 박막층의 투과율이 저하된다. 박막층의 표면은 표면에 상처가 생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EVA 보호 박리 필름으로 피복되어 있으며, 점착층은 점착 작업을 행할 때까지 점착력을 유지하기 위해 PSA 점착 보호 박리 필름으로 피복되어 있다.
도 3은 실시예 2-1의 광투과율을 비교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본 발명의 코팅 조성물을 고분자 수지 PET 필름의 바깥 한 쪽면에 코팅한 필름과 코팅하지 않은 PET 필름의 광투과율을 380 내지 780 nm 파장 대역에 걸쳐 측정하여 비교한 그래프이다. 단면코팅 PET 필름의 평균 광투과율은 94.48%이고, 코팅하지 않은 필름의 평균 광투과율은 90.53%이며, 평균 광투과율 향상은 3.95%, 최대 광투과율 향상은 470nm에서 4.26%이며, 4% 이상의 광투과율 향상을 보인 파장대역은 430 내지 660 nm이다.
도 4는 실시예 2-2의 광반사율을 비교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본 발명의 코팅 조성물을 고분자 수지 PET 필름의 바깥 한 쪽면에 코팅한 필름과 코팅하지 않은 PET 필름의 광반사율을 380 내지 780 nm 파장 대역에 걸쳐 측정하여 비교한 그래프이다. 단면코팅 PET 필름의 평균 광반사율은 0.96%이고, 코팅하지 않은 필름의 평균 광반사율은 4.57%이며, 평균 광반사율 저하는 3.61%, 최대 광반사율 저감은 505nm에서 3.93%이며, 0.7% 이하의 광반사율 저하를 보인 파장대역은 490 내지 650 nm이다.
도 5 내지 도 7은 실시예 2-3의 본 발명의 코팅 조성물을 고분자 수지 PET 필름의 바깥 한 쪽면에 코팅한 필름과 코팅하지 않은 PET 필름에 대하여 수직으로부터 3종류의 입사각(20도, 60도 및 80도 입사각)에 따른 반사광량을 글로스(Gloss) 미터를 이용하여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광 입사각과 반사광 측정 개념도이다; 도 6은 글로스 미터 보정판, 코팅하지 않은 PET 필름, 본 발명의 코팅 조성물로 코팅 처리한 PET 필름에 대하여 3번에 걸쳐 측정한 평균 반사광량을 나타낸다; 도 7은 입사각에 따른 반사광량 측정값을 나타낸다.
도 8은 실시예 2-4의 본 발명의 코팅 조성물을 고분자 수지 PET 필름의 바깥 면에 코팅한 필름의 표면 구조 디지털 현미경 영상(HiRox KH-7700)과 AFM(atomic force microscope, 원자현미경) 영상이다. (a)는 HiRox 디지털 표면 영상이고; (b)는 AFM 영상이다.
도 9는 실시예 2-5의 본 발명의 코팅 조성물을 고분자 수지 PET 필름의 바깥 면에 코팅한 필름과 코팅하지 않은 PET 필름에 대하여 공기 중에 부유하는 미세한 먼지의 부착을 방지하는 대전방지 기능을 수치적으로 보여주는 전기저항 측정값을 나타낸 것이다. 표면의 전기저항 값이 108- 10Ω 범위에서 반도체 특성을 가지면 표면에 정전기가 방지되어 미세 먼지 등의 부착이 최소화된다.
도 10은 실시예 2-6의 본 발명의 코팅 조성물을 고분자 수지 PET 필름의 바깥 면에 코팅한 필름과 코팅하지 않은 PET 필름에 대하여 탄화먼지를 도포하여 AS에 의한 오염방지 성능을 비교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11은 실시예 3-1의 광투과율을 비교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본 발명의 코팅 조성물을 고분자 수지 PET 필름의 양쪽면에 코팅한 필름과 코팅하지 않은 PET 필름의 광투과율을 380 내지 780 nm 파장 대역에 걸쳐 측정하여 비교한 그래프이다. 양면코팅 PET 필름의 평균 광투과율은 97.12%이고, 코팅하지 않은 필름의 평균 광투과율은 90.53%이며, 평균 광투과율 향상은 6.59%, 최대 광투과율 향상은 390nm에서 7.75%이며, 7% 이상의 광투과율 향상을 보인 파장대역은 380 내지 480 nm이고, 6.5% 이상의 광투과율 향상을 보인 파장대역은 380 내지 560 nm이다.
도 12는 실시예 3-2의 광반사율을 비교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본 발명의 코팅 조성물을 고분자 수지 PET 필름의 양쪽면에 코팅한 필름과 코팅하지 않은 PET 필름의 광반사율을 380 내지 780 nm 파장 대역에 걸쳐 측정하여 비교한 그래프이다. 양면코팅 PET 필름의 평균 광반사율은 0.78%이고, 코팅하지 않은 필름의 평균 광반사율은 4.58%이며, 평균 광반사율 저하는 3.8%, 최대 광반사율 저감은 415nm에서 4.23%이며, 0.7% 이하의 광반사율 저하를 보인 파장대역은 480 내지 665 nm이다.
도 13은 실시예 4의 광투과율을 비교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본 발명의 코팅 조성물을 고분자 수지 PET 필름의 양쪽면에 코팅한 필름과 본 발명의 코팅 조성물을 고분자 수지 PET 필름의 한쪽면에 코팅한 필름, 및 코팅하지 않은 PET 필름의 광투과율을 380 내지 780 nm 파장 대역에 걸쳐 측정하여 비교한 그래프이다. 양면코팅 PET 필름의 평균 광투과율은 97.12%이고, 단면코팅 PET 필름의 평균 광투과율은 94.48%이며, 코팅하지 않은 필름의 평균 광투과율은 90.53%이고, 양면코팅 PET 필름의 단면코팅 PET 필름 대비 평균 광투과율 향상은 2.64%이다.
도 14는 실시예 4의 광반사율을 비교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본 발명의 코팅 조성물을 고분자 수지 PET 필름의 양쪽면에 코팅한 필름과 본 발명의 코팅 조성물을 고분자 수지 PET 필름의 한쪽면에 코팅한 필름, 및 코팅하지 않은 PET 필름의 광반사율을 380 내지 780 nm 파장 대역에 걸쳐 측정하여 비교한 그래프이다. 양면코팅 PET 필름의 평균 광반사율은 0.78%이고, 단면코팅 PET 필름의 평균 광반사율은 0.96%이며, 코팅하지 않은 필름의 평균 광반사율은 4.58%이고, 양면코팅 PET 필름의 단면코팅 PET 필름 대비 평균 광반사율 저하는 0.18%이다.
다른 식으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모든 기술적 및 과학적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전문가에 의해서 통상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명명법은 본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져 있고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시되는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일 관점에서, (S1) 산촉매를 이용하여 테트라에톡시실란을 가수분해하여 얻은 수용성 에틸실리케이트를 포함한 용액에 콜로이달 실리카 분산액을 첨가하여 실리케이트 졸을 제조하는 단계; (S2) 금속산화물 미립자 수용액과 콜로이달 실리카 분산액을 혼합하여 산화물 졸을 제조하는 단계; 및 (S3) 상기 실리케이트 졸과 산화물 졸을 혼합한 후 중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AR(anti-reflective, 반사방지)에 의한 광투과성과 AS(anti-static, 정전기방지)와 프랙탈 층구조에 의한 오염방지 기능을 증진시킨 코팅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코팅 조성물은 가시광을 투과시킬 수 있는 5 내지 10 nm 크기의 금속산화물 미립자와 5 내지 35 nm 입자 크기의 콜로이달 실리카 그리고 에틸실리케이트를 물로 가수분해함으로써 얻어진 수용성 에틸실리케이트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코팅 조성물의 입자 크기를 이용한 굴절률과 코팅층의 형상구조를 이용하여 기존의 AR 처리 디스플레이 필름과는 다르게 다양한 각도로 입사되는 가시광의 표면 반사율을 현저하게 감소시켜 발전량을 대폭 증대시키고 코팅 조성물에 함유된 미립자의 대전방지 특성 및 연잎의 표면구조와 유사하게 생성되는 나노 크기의 요철 표면 구조상으로 AS 기능을 부여하며 고분자 수지 기재에 코팅 시에 10 내지 30 초 동안 열경화(70 내지 120 ℃)시켜 균일한 코팅막을 형성토록 하는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S1) 단계에서, 실리케이트 졸은 테트라에톡시실란 및 산촉매를 포함한 용액 4 내지 6 중량%, 콜로이달 실리카 분산액 10 내지 30 중량%, 에틸알코올 45 내지 55 중량%, 이소프로필 알코올 10 내지 30 중량% 및 PGME(폴리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5 내지 10 중량%를 혼합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테트라에톡시실란이 중합반응을 통해 실란올의 형태로 변화하는 과정에 염산, 질산, 황산 등의 산촉매가 필요하다. 산촉매의 비율이 적으면 반응이 일어나지 못하고, 산촉매의 비율이 많으면 반응 중 겔화 현상이 가속될 수 있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S2) 단계에서, 산화물 졸은 금속산화물 미립자 0.1 내지 2 중량%, 콜로이달 실리카 분산액의 콜로이달 실리카 미립자 2 내지 4 중량%, 에틸알코올 45 내지 55 중량%, 이소프로필 알코올 10 내지 30 중량%, 탈이온수 10 내지 15 중량%, 비등점이 높은 PGME(폴리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5 내지 10 중량% 및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0.1 내지 1 중량%를 혼합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금속산화물 미립자, 콜로이달 실리카 미립자 및 에틸실리케이트의 비율은 코팅 조성물을 도포하여 형성하는 코팅막의 필요한 성질에 따라 적절히 결정될 수 있다. 금속 산화물 미립자의 함유량이 증가하면 380 내지 780 nm 가시광 파장 대역에서의 광투과율이 저하된다. 금속 산화물 미립자로 인하여 대전방지 기능은 향상되나 코팅막의 고분자 수지 소재와의 부착력이 약해진다. 그리고 실리카 미립자가 과도하게 함유되면 도막에 헤이즈를 발생시키고 고분자 수지 소재와의 부착력을 약화시키며 심한 경우에는 도막 경화 후 코팅면에 겔(Gel)화된 실리카 입자가 생성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S2) 단계에서, 금속산화물은 5 내지 10 nm 크기의 미립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금속산화물의 경우 5 내지 10 nm 크기의 미립자를 물 또는 에틸알코올에 분산한 형태로서 상기의 수용성 에틸실리케이트 또는 메틸실리케이트와 응집 반응이 생기지 않아야 하고, 생성되는 코팅층의 광투과율을 저하시키지 않아야 한다. 특히 적용의 용이성을 고려한다면 널리 시장에서 유통되고 있는 산화인듐(InO2), 산화주석(SnO2), 산화아연(ZnO)이 적정하나 상대적으로 투명하고 가격이 저렴한 산화주석(SnO2)과 산화아연(ZnO)이 바람직하다. 특히 산화아연은 자외선 흡수 기능이 있어서 자외선에 의하여 열화하는 피도포 기재 필름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자외선에 의한 열화방지에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S2) 단계에서, 콜로이달 실리카 분산액은 5 내지 35 nm 크기의 콜로이달 실리카 미립자를 포함하고, 콜로이달 실리카 분산액은 5 내지 20 nm 미만 크기의 콜로이달 실리카 미립자와 20 내지 35 nm 크기의 콜로이달 실리카 미립자를 4:1 내지 5:1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중량비로 콜로이달 실리카 미립자를 조성하여, 코팅 조성물의 굴절률을 조정하고 부가적으로 표면의 프랙탈 형상 구조를 최적화하여 AR 기능을 최대화할 수 있다. 또한, 금속 산화물 미립자들은 도전성을 가지기 때문에, 정전기의 대전을 방지하고 대전에 의해 공지 중에 부유하는 먼지 입자가 코팅층 표면에 부착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프랙탈한 표면구조 형상은 먼지 입자와 접촉 면적을 상대적으로 작게 만들어 먼지 입자가 코팅 표면에서 미끄러지거나 구르게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S3) 단계에서, 실리케이트 졸과 산화물 졸을 1:1의 중량비로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S3) 단계에서 실리케이트 졸과 산화물 졸을 중합한 후 6 내지 12 시간 동안 숙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른 관점에서, 상기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코팅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 다른 관점에서, 상기 코팅 조성물을 고분자 수지 소재에 코팅하여 제조된 코팅 필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코팅 조성물을 도포한 후의 건조 코팅 도막의 두께가 120 내지 150 nm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건조 코팅 도막의 두께가 상기 범위 내에 있는 경우 380 내지 780 nm의 광파장 대역에 이르는 광투과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실시예 1: 코팅 조성물의 제조
1-1: 실리케이트 졸의 제조
테트라에톡시실란을 염산, 질산, 황산 등의 산촉매를 이용하여 물로 가수분해하여 얻어진 수용성 에틸실리케이트를 포함한 용액에 콜로이달 실리카 분산액을 첨가한 실리케이트 졸을 제조하였다. 실리케이트 졸은 테트라에톡시실란 및 산촉매 4 내지 6 중량%와 콜로이달 실리카 분산액 10 내지 30 중량%, 그리고 에틸알코올 45 내지 55 중량%, 이소프로필 알코올 10 내지 30 중량% 및 PGME(propyleneglycolmonomethylether) 등의 용제를 5 내지 10 중량%를 혼합하여 제조하였다.
1-2: 산화물 졸의 제조
금속산화물 미립자 수용액과 콜로이달 실리카 분산액을 첨가한 산화물 졸을 제조하였다. 금속산화물은 5 내지 10 nm 크기의 InO2, SnO2, ZnO 중 어느 하나 또는 이상을 혼합하고, 5 내지 35 nm 입자 크기의 콜로이달 실리카를 혼합하여 제조하였다. 금속 산화물 미립자의 함유량은 0.1 내지 2 중량%, 및 콜로이드 실리카 졸의 콜로이드 실리카 미립자 함유량은 2 내지 4 중량%이며, 에틸알코올을 45 내지 55 중량%, 이소프로필 알코올 10 내지 30 중량%, 탈이온수 10 내지 15 중량%, 그리고 레블링 향상을 위하여 PGME 등의 용제를 5 내지 10 중량% 혼합하여 제조하였다. 부가적으로 친수와 발수 기능을 갖는 비이온 계면활성제를 0.1 내지 1 중량% 첨가하여 고분자 수지 소재와의 부착력을 강화시켰다.
5 내지 35 nm 크기의 콜로이달 실리카 입자들은 10 내지 20 nm 크기의 입자와 20 내지 35 nm 크기의 입자를 4:1 내지 5:1의 중량비로 조성하였다.
1-3: 코팅 조성물의 제조
실시예 1-1에서 제조한 실리케이트 졸과 실시예 1-2에서 제조한 산화물 졸을 혼합한 후 중합하여 코팅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리케이트 졸과 산화물 졸을 1: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중합한 후, 상온에서 6 내지 12 시간 이상 숙성하여 코팅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1-4: 코팅 필름의 제조
실시예 1-3에서 제조한 코팅 조성물을 이용하여 고분자 수지 필름인 PET 필름의 바깥 한쪽면에 박막층을 형성하여 코팅 필름을 제조하였다(이하, "단면코팅 PET 필름"이라 함). 아울러, 실시예 1-3에서 제조한 코팅 조성물을 이용하여 고분자 수지 필름인 PET 필름의 양쪽면에 박막층을 형성하여 코팅 필름을 제조하였다(이하, "양면코팅 PET 필름"이라 함). 대조군으로서, 코팅하지 않은 PET 필름을 준비하였다.
실시예 2: 단면코팅 PET 필름과 코팅하지 않은 PET 필름의 특성의 측정 및 비교
2-1: 단면코팅 PET 필름과 코팅하지 않은 PET 필름의 광투과율의 측정 및 비교
단면코팅 PET 필름과 코팅하지 않은 PET 필름에 대하여 적분구 부착 UV-VIS-IR 분광계측기(LAMDA PerkinElmer)를 이용하여 380 내지 780 nm 파장 대역에 걸쳐 광투과율을 측정하였다. 광투과율을 측정한 결과는 도 3에 나타내었다. 단면코팅 PET 필름은 코팅 처리하지 않은 PET 필름과 비교하였을 때 380 내지 780 nm 전 파장 대역에 걸쳐 고르게 광투과율이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단면코팅 PET 필름과 코팅하지 않은 필름의 380 내지 780 nm 파장대역에서의 광투과율 평균값은 각각 94.48%와 90.53%이었으며, 단면코팅 PET 필름은 코팅하지 않은 PET 필름에 비하여 평균 3.95% 이상 광투과율이 더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최대 투과율 향상은 470 nm에서 4.26%이었으며, 430 내지 660 nm 파장대역에 걸쳐, 즉 가시광 전 파장대역의 50% 이상(230nm 범위의 구간) 파장대역에서 4% 이상의 투과율 향상을 보였다.
2-2: 단면코팅 PET 필름과 코팅하지 않은 PET 필름의 광반사율의 측정 및 비교
단면코팅 PET 필름과 코팅하지 않은 PET 필름에 대하여 적분구 부착 UV-VIS-IR 분광계측기(LAMDA 750, PerkinElmer)를 이용하여 380 내지 780nm 파장 대역에 걸쳐 광반사율을 측정하였다. 광반사율을 측정한 결과는 도 4에 나타내었다. 단면코팅 PET 필름은 코팅 처리하지 않은 PET 필름과 비교하였을 때 450 내지 600 nm 전 파장 대역에 걸쳐 고르게 광반사율이 현저하게 감소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단면코팅 PET 필름과 코팅 처리하지 않은 필름의 380 내지 780 nm 파장대역에서의 광반사율 평균값은 각각 0.96%와 4.57%이었으며, 단면코팅 PET 필름은 코팅 처리하지 않은 PET 필름에 비하여 380 내지 780 nm 파장대역에 걸쳐 평균 3.61% 이상 광반사율이 감소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최대 반사율 저감은 505nm에서 3.93%이었으며, 490 내지 650nm 파장대역에 걸쳐, 즉 가시광 전 파장대역의 40% 이상(160nm 범위의 구간)의 파장대역에서 0.7% 이하의 반사율을 보였다.
2-3: 단면코팅 PET 필름과 코팅하지 않은 PET 필름의 입사각에 따른 반사광량의 측정 및 비교
단면코팅 PET 필름과 코팅하지 않은 PET 필름에 대하여,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직으로부터 3 종류의 입사각 20도, 60도, 80도 입사각에 따른 반사광량을 글로스(Gloss) 미터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글로스 미터의 측정값 보정을 위하여 기준이 되는 아크릴 기재면을 대상으로 기재 표면에 수직인 입사선을 기준으로 20도, 60도, 80도 경사로 입사되는 광에 대한 반사광의 광량값을 측정하였다. 기준이 되는 아크릴 기재면에 대해서 각각의 경사 입사광에 대한 반사광량은 평균적으로 89.53 GU, 91.3 GU, 97.73 GU를 보였다. 코팅 처리를 하지 않은 PET 필름의 경우에는 20도, 60도, 80도 경사 입사각의 반사광량 평균값이 각각 172.5 GU, 179.46 GU, 125.0 GU이었다(도 6).
단면코팅 PET 필름은 20도, 60도, 80도 경사 입사각의 반사광량 평균값이 각각 102.43 GU, 137.77 GU, 118.2 GU를 보였으며 코팅 처리하지 않은 PET 필름과 비교해서는 20도, 60도, 80도 경사 입사각의 반사광량이 평균적으로 각각 70.07 GU, 42.16 GU, 6.8 GU 감소하였다(도 7). 이를 통해서 본 발명에 따른 코팅 조성물을 코팅 처리한 PET 필름은 경사지게 입사하는 광에 대해서도 반사광을 현저하게 저감함으로써 광투과율을 향상시킴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PET 필름을 통하여 대상체를 비스듬하게 보는 경우에 반사로 인한 시인성 저하를 개선하는 것을 기대할 수 있다.
2-4: 단면코팅 PET 필름의 표면 구조의 확인
단면코팅 PET 필름의 표면 구조를 디지털 현미경 영상(HiRox KH-7700)(도 8(a))과 AFM(atomic force microscope, 원자현미경) 영상(도 8(b))으로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서 코팅층의 표면구조가 다공구조로서 프랙탈한 형상을 갖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8). 프랙탈한 형상은 골과 산의 주기와 높이가 다양하게 펼쳐져 있어서 380 내지 780 nm 파장 대역에 고르게 광투과율을 향상시키는 기능을 보여주게 되며 뾰족한 산의 모양으로 인하여 상대적으로 크기가 큰 먼지 입자의 부착 역시 최소화하게 된다.
2-5: 단면코팅 PET 필름과 코팅하지 않은 PET 필름의 전기저항의 측정 및 비교
단면코팅 PET 필름과 코팅하지 않은 PET 필름에 대하여 표면의 전기저항을 측정하였다(도 9). 단면코팅 PET 필름의 표면전기저항 108. 2Ω이었으며 코팅하지 않은 필름의 표면전기저항 1013. 5Ω로서 단면코팅 PET 필름의 표면저항은 AS(anti-static, 정전기방지)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표면저항값을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2-6: 단면코팅 PET 필름과 코팅하지 않은 PET 필름의 AS 기능에 의한 오염방지 시험
단면코팅 PET 필름과 코팅하지 않은 PET 필름에 대하여 미세 탄화먼지를 이용하여 AS(anti-static, 정전기방지) 기능에 의한 오염방지 시험을 수행하였다(도 10). 육안 관찰결과 코팅하지 않은 필름과 비교하여 단면코팅 PET 필름은 함유하고 있는 금속산화물 미립자의 자유전자에 의한 정전기 방지 특성과 연잎의 표면구조와 유사하게 생성되는 프랙탈 표면 구조상에 의해 미세 탄화 먼지의 부착으로 인한 표면오염이 거의 생기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3: 양면코팅 PET 필름과 코팅하지 않은 PET 필름의 특성의 측정 및 비교
3-1: 양면코팅 PET 필름과 코팅하지 않은 PET 필름의 광투과율의 측정 및 비교
양면코팅 PET 필름과 코팅하지 않은 PET 필름에 대하여 적분구 부착 UV-VIS-IR 분광계측기 LAMDA 750을 이용하여 380 내지 780nm 파장 대역에 걸쳐 광투과율을 측정하였다. 광투과율을 측정한 결과를 도 11에 나타내었다. 양면코팅 PET 필름은 코팅 처리하지 않은 PET 필름과 비교하였을 때 380 내지 780 nm 전 파장 대역에 걸쳐 고르게 광투과율이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양면코팅 PET 필름과 코팅 처리하지 않은 필름의 380 내지 780 nm 파장대역에서의 광투과율 평균값은 각각 97.12%와 90.53%이었으며, 양면코팅 PET 필름은 코팅 처리하지 않은 PET 필름에 비하여 평균 6.59% 광투과율이 더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최대 광투과율 향상은 390nm에서 7.75%이었으며, 380 내지 480 nm 파장대역에 걸쳐 7% 이상의 광투과율 향상을 보였으며, 380 내지 560 nm 파장대역에 걸쳐 6.5% 이상의 광투과율 향상을 보였다.
3-2: 양면코팅 PET 필름과 코팅하지 않은 PET 필름의 광반사율의 측정 및 비교
양면코팅 PET 필름과 코팅하지 않은 PET 필름에 대하여 적분구 부착 UV-VIS-IR 분광계측기 LAMDA 750을 이용하여 380 내지 780 nm 파장 대역에 걸쳐 광반사율을 측정하였다. 광반사율을 측정한 결과를 도 12에 나타내었다. 양면코팅 PET 필름은 코팅 처리하지 않은 PET 필름과 비교하였을 때 450 내지 670 nm 파장 대역에 걸쳐 고르게 광반사율이 현저하게 감소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양면코팅 PET 필름과 코팅 처리하지 않은 필름의 380 내지 780 nm 파장대역에서의 광반사율 평균값은 각각 0.78% 와 4.58%이었으며, 양면코팅 PET 필름은 코팅 처리하지 않은 PET 필름에 비하여 380 내지 780nm 파장대역에 걸쳐 평균 3.8% 광반사율이 감소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최대 반사율 저감은 415nm에서 4.23%이었으며, 480 내지 665 nm 파장대역에 걸쳐 0.7% 이하의 반사율을 보였다.
실시예 4: 양면코팅 PET 필름, 단면코팅 PET 필름 및 코팅하지 않은 PET 필름의 광투과율 및 광반사율의 측정 및 비교
양면코팅 PET 필름, 단면코팅 PET 필름 그리고 코팅하지 않은 PET 필름에 대하여 적분구 부착 UV-VIS-IR 분광계측기 LAMDA 750을 이용하여 380 내지 780 nm 파장 대역에 걸쳐 광투과율과 광반사율을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광투과율과 광반사율을 측정하여 비교한 결과를 각각 도 13 및 14에 나타내었다.
양면코팅 PET 필름은 단면코팅 PET 필름과 비교하였을 때 380 내지 780 nm 전 파장 대역에 걸쳐 고르게 광투과율이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양면코팅 PET 필름과 단면코팅 PET 필름의 380 내지 780 nm 파장대역에서의 광투과율 평균값은 각각 97.12%와 94.48%이었으며, 양면코팅 PET 필름은 단면코팅 PET 필름에 비하여 평균 2.64% 광투과율이 더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최대 투과율 향상은 470nm에서 4.26%이었으며, 430 내지 660 nm 파장대역에 걸쳐, 즉 가시광 전 파장대역의 50% 이상(230nm 범위의 구간) 파장대역에서 4% 이상의 투과율 향상을 보였다(도 13).
양면코팅 PET 필름은 단면코팅 PET 필름과 비교하였을 때 460 내지 695 nm의 대역에서는 크게 반사율이 저감되지는 않았으며 380 내지 450nm와 740 내지 780nm에서 광반사율이 현저하게 저감하였다. 양면코팅 PET 필름과 단면코팅 PET 필름의 380 내지 780 nm 파장대역에서의 광반사율 평균값은 각각 0.78%와 0.96%이었으며, 양면코팅 PET 필름은 단면코팅 PET 필름에 비하여 평균 0.18% 광반사율이 저감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최대 광반사율 저감은 380nm이었으며, 양면코팅 PET 필름은 400 내지 780 nm 전파장대역에 1% 미만의 광반사율을 보였다(도 14).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태양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2)

  1. (S1) 산촉매를 이용하여 테트라에톡시실란을 가수분해하여 얻은 수용성 에틸실리케이트를 포함한 용액에 콜로이달 실리카 분산액을 첨가하여 실리케이트 졸을 제조하는 단계;
    (S2) 금속산화물 미립자 수용액과 콜로이달 실리카 분산액을 혼합하여 산화물 졸을 제조하는 단계; 및
    (S3) 상기 실리케이트 졸과 산화물 졸을 혼합한 후 중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AR(anti-reflective, 반사방지)에 의한 광투과성과 AS(anti-static, 정전기방지)와 프랙탈 층구조에 의한 오염방지 기능을 증진시킨 코팅 조성물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S1) 단계에서, 실리케이트 졸은 테트라에톡시실란 및 산촉매를 포함한 용액 4 내지 6 중량%, 콜로이달 실리카 분산액 10 내지 30 중량%, 에틸알코올 45 내지 55 중량%, 이소프로필 알코올 10 내지 30 중량% 및 PGME(폴리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5 내지 10 중량%를 혼합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팅 조성물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S2) 단계에서, 산화물 졸은 금속산화물 미립자 0.1 내지 2 중량%, 콜로이달 실리카 분산액의 콜로이달 실리카 미립자 2 내지 4 중량%, 에틸알코올 45 내지 55 중량%, 이소프로필 알코올 10 내지 30 중량%, 탈이온수 10 내지 15 중량%, PGME(폴리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5 내지 10 중량% 및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0.1 내지 1 중량%를 혼합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팅 조성물의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S2) 단계에서, 금속산화물은 5 내지 10 nm 크기의 미립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팅 조성물의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S2) 단계에서, 금속산화물은 산화인듐(InO2), 산화주석(SnO2) 및 산화아연(ZnO)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팅 조성물의 제조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S2) 단계에서, 콜로이달 실리카 분산액은 5 내지 35 nm 크기의 콜로이달 실리카 미립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팅 조성물의 제조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콜로이달 실리카 분산액은 5 내지 20 nm 미만 크기의 콜로이달 실리카 미립자와 20 내지 35 nm 크기의 콜로이달 실리카 미립자를 4:1 내지 5:1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팅 조성물의 제조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S3) 단계에서, 실리케이트 졸과 산화물 졸을 1:1의 중량비로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팅 조성물의 제조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S3) 단계에서 실리케이트 졸과 산화물 졸을 중합한 후 6 내지 12 시간 동안 숙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팅 조성물의 제조방법.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에 따라 제조된 코팅 조성물.
  11. 제10항의 코팅 조성물을 고분자 수지 소재에 코팅하여 제조된 코팅 필름.
  12. 제11항에 있어서, 코팅 도막의 두께가 120 내지 150 n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팅 필름.
KR1020180017442A 2018-02-13 2018-02-13 향상된 광투과율, 정전기방지 기능 및 반사저감 기능을 가지는 코팅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코팅 조성물을 이용한 코팅 필름 KR1020729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7442A KR102072903B1 (ko) 2018-02-13 2018-02-13 향상된 광투과율, 정전기방지 기능 및 반사저감 기능을 가지는 코팅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코팅 조성물을 이용한 코팅 필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7442A KR102072903B1 (ko) 2018-02-13 2018-02-13 향상된 광투과율, 정전기방지 기능 및 반사저감 기능을 가지는 코팅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코팅 조성물을 이용한 코팅 필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7696A true KR20190097696A (ko) 2019-08-21
KR102072903B1 KR102072903B1 (ko) 2020-02-03

Family

ID=678086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7442A KR102072903B1 (ko) 2018-02-13 2018-02-13 향상된 광투과율, 정전기방지 기능 및 반사저감 기능을 가지는 코팅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코팅 조성물을 이용한 코팅 필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2903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57106A (ja) * 2005-10-05 2006-03-02 Seiko Epson Corp コーティング用組成物、その製造方法および積層体
KR100789403B1 (ko) 2006-07-24 2007-12-28 주식회사 옴니켐 반사방지 및 대전방지 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20080055699A (ko) 2006-12-13 2008-06-19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대전방지성을 갖는 반사방지 광학필름, 이의 대전방지성하드코팅층 형성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KR101013433B1 (ko) 2010-06-17 2011-02-14 주식회사 카이네틱에너지 광투과성, 오염방지기능 및 자기세정성이 향상된 태양전지 모듈 및 이를 이용한 건물일체형 태양광 발전시스템
KR101031518B1 (ko) 2010-06-15 2011-04-29 주식회사 카이네틱에너지 광투과성을 증진시킨 초친수 무기 코팅제,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코팅필름
KR101096128B1 (ko) 2004-03-31 2011-12-20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간섭 무늬 발생을 방지한 대전 방지성 반사 방지 필름
KR101604630B1 (ko) * 2015-10-01 2016-03-18 정미양 광투과율 향상과 오염방지 및 자기세정기능을 갖는 태양전지 모듈을 이용한 태양광 발전장치 시스템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6128B1 (ko) 2004-03-31 2011-12-20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간섭 무늬 발생을 방지한 대전 방지성 반사 방지 필름
JP2006057106A (ja) * 2005-10-05 2006-03-02 Seiko Epson Corp コーティング用組成物、その製造方法および積層体
KR100789403B1 (ko) 2006-07-24 2007-12-28 주식회사 옴니켐 반사방지 및 대전방지 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20080055699A (ko) 2006-12-13 2008-06-19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대전방지성을 갖는 반사방지 광학필름, 이의 대전방지성하드코팅층 형성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KR101031518B1 (ko) 2010-06-15 2011-04-29 주식회사 카이네틱에너지 광투과성을 증진시킨 초친수 무기 코팅제,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코팅필름
KR101013433B1 (ko) 2010-06-17 2011-02-14 주식회사 카이네틱에너지 광투과성, 오염방지기능 및 자기세정성이 향상된 태양전지 모듈 및 이를 이용한 건물일체형 태양광 발전시스템
KR101604630B1 (ko) * 2015-10-01 2016-03-18 정미양 광투과율 향상과 오염방지 및 자기세정기능을 갖는 태양전지 모듈을 이용한 태양광 발전장치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2903B1 (ko) 2020-0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74948B1 (ko) 반사 방지 필름, 전자파 실드성 광 투과창재, 가스 방전형발광 패널, 플랫 디스플레이 패널, 진열창재 및 태양 전지모듈
JP4096278B2 (ja) 日射遮蔽膜用塗布液及びこれを用いた日射遮蔽膜
EP3063002B1 (fr) Element en couches transparent
TWI541534B (zh) Optical film, polarizing plate and image display device
EP1334381B1 (en) Optically active film composite
TWI356084B (ko)
US7645502B2 (en) Anti-dazzling film
EP1701184A1 (en) Polarizing plate protective film, polarizing plate with reflection preventing function and optical product
JP2017520437A (ja) ハードコートを有する物品及び該物品の製造方法
JP6427968B2 (ja) 反射防止フィルム及びディスプレイ
KR101203465B1 (ko) 대전방지층용 조성물
WO2007000856A1 (ja) 防眩性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
TW200808883A (en) Hard-coated antiglare film, polarizing plate, and image display
JP2010079101A (ja) 光学フィルム、偏光板、及び画像表示装置
KR20070028407A (ko) 반사방지 적층체 및 광학 부재
KR20110025146A (ko) 광학 적층체, 편광판 및 그것을 이용한 표시장치
JP2010078886A (ja) 防眩フィルム、反射防止フィルム、偏光板および画像表示装置
WO2004031813A1 (ja) 反射防止フィルム
KR100858049B1 (ko) 무색의 반사색상을 갖고 내스크래치성이 우수한 저반사필름
JP6428608B2 (ja) 赤外線遮蔽フィルム、赤外線遮蔽フィルムの設置方法及び赤外線遮蔽フィルムの虹彩防止方法
EP2192424B1 (en) Optical article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KR101094633B1 (ko) 단일층 반사방지(ar)필름용 유무기 하이브리드 코팅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2072903B1 (ko) 향상된 광투과율, 정전기방지 기능 및 반사저감 기능을 가지는 코팅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코팅 조성물을 이용한 코팅 필름
JP2004352524A (ja) 低反射物品及びその製法
JP3490214B2 (ja) 反射防止フィル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