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4630B1 - 광투과율 향상과 오염방지 및 자기세정기능을 갖는 태양전지 모듈을 이용한 태양광 발전장치 시스템 - Google Patents

광투과율 향상과 오염방지 및 자기세정기능을 갖는 태양전지 모듈을 이용한 태양광 발전장치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4630B1
KR101604630B1 KR1020150138550A KR20150138550A KR101604630B1 KR 101604630 B1 KR101604630 B1 KR 101604630B1 KR 1020150138550 A KR1020150138550 A KR 1020150138550A KR 20150138550 A KR20150138550 A KR 20150138550A KR 101604630 B1 KR101604630 B1 KR 1016046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ar cell
tempered glass
coating
coating agent
power gene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85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무영
임명희
Original Assignee
정미양
(주)에이스나노텍
쏠라리버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미양, (주)에이스나노텍, 쏠라리버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미양
Priority to KR10201501385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463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46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46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H01L31/042PV modules or arrays of single PV cells
    • H01L31/048Encapsulation of modules
    • H01L31/049Protective back she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H01L31/042PV modules or arrays of single PV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18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thes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18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thes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31/186Particular post-treatment for the devices, e.g. annealing, impurity gettering, short-circuit elimination, recrystallis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투과율 향상과 오염방지 및 자기세정기능의 개선으로 발전량이 향상된 태양전지 모듈을 이용한 태양광 발전장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도전성 리본에 의해 직렬 또는 병렬로 배열되어 광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시키는 다수의 태양전지 셀(110)과, 코팅제(121)(122)가 코팅되어 상기 태양전지 셀 상면에 부착되는 강화유리(120)와, 상기 태양전지 셀(110)의 배면에 EVA 필름(130)에 의해 부착되는 백시트(140)를 포함하는 태양전지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강화유리(120)는, 수직 방향에 대해 9°~11°의 경사를 갖고 코팅챔버 내에서 수평 이송되면서 상기 코팅제의 도포가 이루어진 후에 건조 후 열처리에 의해 제조되되, 상기 코팅제는 이산화티타늄 입자표면에 전이금속과 산화주석 금속 미립자, 20~40nm 입자 사이즈의 콜로이달 실리카가 수용성 메틸실리케이트 또는 에틸실리케이트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광투과율 향상과 오염방지 및 자기세정기능을 갖는 태양전지 모듈을 이용한 태양광 발전장치 시스템{Solar generating system utilizing a solar cell module with improved light transmission, anti-dirt and self-cleaning}
본 발명은 광투과율 향상과 오염방지 및 자기세정기능의 개선으로 발전량이 향상된 태양전지 모듈을 이용한 태양광 발전장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원자력설비의 사고로 인한 방사능 유출과 원자력설비에서 발생된 핵폐기물로 인한 방사능 오염과, 화석연료의 사용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지구의 온난화 등과 같은 심각한 환경적인 문제가 나타나고 있으며,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지구의 환경과 에너지에 대한 무공해 대체에너지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무공해 대체에너지로는 태양광, 바이오매스, 풍력, 지열, 해양에너지 등과 같은 것이 있으며, 이러한 재생에너지는 깨끗하고 고갈될 염려가 없을 뿐만 아니라, 무공해 재생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반면에, 현재 연구 개발되고 있는 재생에너지들은 에너지 밀도가 너무 낮아 실용성이 떨어지고, 기후 등의 환경적인 영향을 받기 때문에 안정적인 에너지 획득에 어려움이 있다.
한편, 태양광발전은 발전기의 도움 없이 태양전지를 이용하여 태양광을 직접 전기에너지를 변환시키는 발전형식으로써, 반영구적으로 활용할 수 있고 다른 재생에너지와 비교하여 비교적 유지 보수가 간편하여 미래의 대체 에너지원으로 각광을 받고 있다.
태양광 발전설비는 태양전지와, 축전지, 전력변환장치로 구성되며, n형 반도체와 p형 반도체를 접합시킨 태양전지에 태양광이 조사되어 태양전지 내에 발생된 정공과 전자에 의한 전위차에 의해 전류가 흐르게 되며, 이와 같이 발생된 전류는 축전지에 저장되고 전력변환장치에서는 직류 전력을 상용 교류 전력으로 변환하여 필요한 수요처에 공급하게 된다.
특히, 태양전지는 태양광의 빛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게 되는 핵심적인 소자로써, 광에너지의 변환 효율 개선에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한편, 태양발전설비는 발전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태양전지가 효과적으로 태양광에 노출되는 것이 매우 중요하며, 이에 따라서 태양전지는 자연 환경에 그대로 장기간 노출됨에 따라서 태양전지 표면이 쉽게 오염되어 광투과성 저하로 인한 효율 저하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기술로써 등록특허공보 제10-0997537호(공고일자: 2010.11.30)와 등록특허공보 제10-1013433호(공고일자: 2011.02.14)에서는 방오성 기능을 갖는 태양전지를 제안하고 있으며, 태양전지 표면에 무기 코팅제를 코팅하여 방오 기능을 개선하였다.
등록특허공보 제10-0997537호(공고일자: 2010.11.30)
등록특허공보 제10-1013433호(공고일자: 2011.02.14)
본 발명은 광투과율 향상과 오염방지 및 자기세정기능이 개선됨으로 발전량이 향상된 태양전지 모듈을 이용한 태양광 발전장치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광투과율 향상, 오염방지 기능 및 자기세정 기능을 갖는 태양전지 모듈을 이용한 태양광 발전장치 시스템은, 도전성 리본에 의해 직렬 또는 병렬로 배열되어 광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시키는 다수의 태양전지 셀과, 코팅제가 코팅되어 상기 태양전지 셀 상면에 부착되는 강화유리와, 상기 태양전지 셀의 배면에 EVA 필름에 의해 부착되는 백시트를 포함하는 태양전지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강화유리는, 수직 방향에 대해 9°~11°의 경사를 갖고 코팅챔버 내에서 수평 이송되면서 상기 코팅제의 도포가 이루어진 후에 건조 후 열처리에 의해 제조되고, 상기 코팅제는 이산화티타늄 입자표면에 전이금속과 산화주석 금속 미립자, 20~40nm 입자 사이즈의 콜로이달 실리카가 수용성 메틸실리케이트 또는 에틸실리케이트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코팅챔버는, 상기 강화유리의 하단 테두리와 상단 테두리와 접촉하여 수평 이송을 안내하게 되는 복수의 롤러와; 상기 강화유리에 상기 코팅제의 코팅이 이루어지는 코팅부와; 상기 코팅부를 경유하면서 상기 코팅제의 코팅이 이루어진 강화유리의 건조 처리가 이루어지는 건조부와; 상기 건조부를 경유하면서 건조 처리가 이루어진 강화유리의 열처리가 이루어지는 열처리부;를 포함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열처리부는, 150 ℃ ~ 200 ℃ 온도범위에서 10 ~ 20분 동안 강화유리의 열처리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강화유리, 태양전지 셀 및 백시트는 110℃~160℃의 온도 범위에서 10~22분간 진공 압착하여 제조됨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코팅제는, 티타늄 알콕사이드(Titanium Alkoxide)를 이용하여 아나타아제형 이산화티타늄(Anatase type Titanium Dioxide) 분산액을 제조하는 제1단계; 전이금속이 1~3개 치환된 전이금속EDTA염을 제조하는 제2단계; 및 메틸실리케이트(Methylsilicate) 또는 에틸실리케이트(Ethylsilicate)를 가수분해함으로써 얻어낸 수용성 메틸실리케이트 또는 에틸실리케이트를 이용하여 이산화티타늄 입자표면에 전이금속과 금속산화물 미립자 그리고 콜로이달 실리카가 결합되도록 하는 제3단계를 통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발전장치 시스템은, 태양광 전지모듈에 균일한 두께의 오염 코팅제를 코팅 처리함으로써, 광투과율을 향상시키고 오염물질 부착 현상을 개선하고 초친수성에 의한 자기 세정 기능으로 태양전지의 발전량 향상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전지모듈의 단면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코팅제의 제조 과정을 간략히 보여주는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코팅챔버를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코팅챔버에 있어서 코팅부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여주는 측면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코팅챔버의 평면 구성도,
도 6의 (a)(b)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코팅제의 방오 특성 및 자기 세정 특성을 비교하여 보여주는 사진.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시되는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태양전지 모듈(100)은, 리본에 의해 직렬 또는 병렬로 배열되어 광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시키는 다수의 태양전지 셀(110)과, 코팅제(121)(122)가 코팅되어 상기 태양전지 셀 상면에 부착되는 강화유리(120)와, 상기 태양전지 셀(110)의 배면에 EVA 필름(130)에 의해 부착되는 백시트(140);를 포함한다.
단위 태양전지 셀은 p-n 접합구조의 비정질 실리콘(amorphous silicon) 박막 구조 또는 p형 비정질 실리콘층과 n형 비정질 실리콘층 사이에 도핑이 되지 않은 무첨가(intrinsic, i형) 비정질 실리콘 광흡수층이 삽입된 p-i-n 접합구조를 갖는 비정질 실리콘 박막에 의해 제공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미세결정 실리콘(micro-crystalline silicon) 등의 박막형 실리콘 태양전지 또는 단결정(single-crystalline), 다결정(poly-crystalline)의 기판형 실리콘 태양전지, 또는 유기 태양전지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단위 태양전지 셀은 다수 개가 도전성 리본에 의해 직렬(또는 병렬)로 연결된다.
강화유리(120)는 태양전지 셀(110) 상면에 부착되어 외부의 충격 등으로 태양전지 셀(110)을 보호하게 되며, 특히 본 발명에서 강화유리는 양면 또는 일면에 코팅제(121)(122)가 도포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강화유리(120)의 양면에 코팅제(121)(122)가 도포된 것을 예시하고 있으며, 강화유리의 어느 일면에만 코팅제가 도포되는 경우에는 바깥으로 노출되는 강화유리의 상면에 도포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코팅제는 광투과율 향상, 오염방지, 자기세정 기능을 갖는 것으로서, 이산화티타늄(Titanium Dioxide) 입자표면에 전이금속과 금속산화물 미립자, 콜로이달 실리카(Colloidal Silica), 수용성 실리케이트(Silicate)가 결합된 형태로서, 대전방지 기능과 친수기능을 생성하고 자외선에 의해 생성되는 OH 레디칼로 유기화합물을 분해함으로써 모듈표면에 대한 자기세정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코팅제의 제조 방법은 본 출원인의 등록특허 제10-0997537호(공고일자: 2010.11.30)에서 개시하고 있는 오염방지 코팅제 제조단계의 일부가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코팅제의 제조 방법은, 티타늄 알콕사이드(Titanium Alkoxide)를 이용하여 아나타아제형 이산화티타늄(Anatase type Titanium Dioxide) 분산액을 제조하는 제1단계(S10), 전이금속이 1~3개 치환된 전이금속EDTA염을 제조하는 제2단계(S20), 및 메틸실리케이트(Methylsilicate) 또는 에틸실리케이트(Ethylsilicate)를 가수분해함으로써 얻어낸 수용성 메틸실리케이트 또는 에틸실리케이트를 이용하여 이산화티타늄 입자표면에 전이금속과 금속산화물 미립자 그리고 콜로이달 실리카가 결합되도록 하는 제3단계(S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단계(S10)는 티타늄 알콕사이드(Titanium Alkoxide)를 이용하여 아나타아제형 이산화티타늄(Anatase type Titanium Dioxide) 분산액을 제조한다. 구체적으로는, 물과 산을 1:0.01~0.1 몰비율로 섞은 후, 티타늄 알콕사이드 0.01~0.1몰을 추가하고 60~80℃ 온도에서 6~8시간 교반하여 티타늄 알콕사이드를 물과 산으로 가수분해 및 해교반응시킴으로써, 입자 크기가 1~10㎚인 아나타아제형 이산화티타늄 분산액을 제조할 수 있다.
이때 물은 탈이온수를 사용하여 의도하지 않은 화학 반응이 일어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산은 질산(HNO3), 염산(HCl), 황산(H2SO4) 또는 아세트산(CH3COOH)을 사용할 수 있으며, 티타늄 알콕사이드는 티타늄 프로폭사이드(Titanium propoxide), 티타늄 이소프로폭사이드(Titanium isopropoxide), 또는 티타늄 부톡사이드(Titanium buthoxide)를 사용할 수 있다.
제2단계(S20)는 전이금속이 1~3개 치환된 전이금속EDTA염을 제조한다. 구체적으로는, Na4 EDTA(ethylenediaminetetraacetic acid, 에틸렌다이아민테트라아세트산)와 전이금속화합물을 1:0.1~0.75 몰비율로 물에 녹여 혼합하고 40~60℃ 온도범위에서 1~10시간 교반시킴으로써, Na원자 대신 전이금속이 1~3개 치환된 전이금속 EDTA염을 제조할 수 있다.
이때 Na4 EDTA 분자에서 전이금속원자가 많이 치환될수록 불용성화합물로 바뀔 수 있기 때문에, 전이금속원자의 치환개수는 1~2개가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전이금속으로 중량비가 이산화티타늄에 대하여 10중량%인 은(Ag)을 사용함으로써, 살균력과 대전방지기능을 향상시켜 태양광 발전의 효율을 유지할 수 있다.
제3단계(S30)는 메틸실리케이트(Methylsilicate) 또는 에틸실리케이트(Ethylsilicate)를 가수분해함으로써 얻어낸 수용성 메틸실리케이트 또는 에틸실리케이트를 이용하여 이산화티타늄 입자표면에 전이금속과 금속산화물 미립자 그리고 콜로이달 실리카가 결합시킨다. 구체적으로는, 아나타아제형 이산화티타늄 분산액의 이산화티타늄 표면에, 상기 전이금속EDTA염이 용해된 분산액과 표면적이 200~1000㎡/g이고 크기가 20~40nm 입자의 콜로이달 실리카 분산액 그리고 입자 크기가 30nm 인 산화주석 분산액을 넣고 30~60℃에서 1~2시간 교반하여 반응시킴으로써, 이산화티타늄 입자표면에 전이금속과 금속산화미립자, 콜로이달 실리카가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콜로이달 실리카는 콜로이드 상태의 실리콘 입자(통상 실리카라고 함)로서 물이나 에탄올 등의 분산상에 실리카 입자들이 분산되어 있는 상태를 말한다.
제3단계(S30)에서 전이금속EDTA염이 물에 용해됨에 따라, EDTA는 4개 이하의 카르복실기(COO-)를 갖는 음이온으로 존재하게 되며, 콜로이달 실리카는 표면이 음으로 대전되어 있으므로, 양으로 대전된 이산화티타늄의 입자표면과 정전기적 상호작용으로 강하게 결합하여 안정화될 수 있다. 이때 전이금속EDTA염의 EDTA는, 중량비가 이산화티타늄에 대하여 40~60중량%일 수 있으며, 콜로이달 실리카는, 중량비가 이산화티타늄에 대하여 50~150중량%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광투과율 향상, 자기세정, 오염방지 기능을 갖는 코팅제는, 금속 산화물 산화주석(Tin Oxide)미립자와 입자 크기 20~40nm의 실리카(Silica) 미립자에 의해 프랙탈 표면 구조를 형성하고 정전기의 축적을 방지하여 먼지가 표면에 부착하는 것을 최소화하며 먼지가 표면에붙더라도 접촉면적이 작아 표면에서 구르게 되어 미세 무기먼지로 인한 부착을 최소화한다. 또한 실리카에 의해 상시 친수기능이 확보되어 오염을 방지한다.
이와 같이 제조된 코팅제는 자동화 코팅 시스템의 코팅챔버 내에서 강화유리에 균일하게 코팅이 이루어진다.
도 3을 참고하면, 코팅챔버(200)는 코팅제가 저장되는 저장조(210)가 마련되며, 저장조(210)는 펌프(미도시)에 의해 코팅챔버(200)로 공급되어 코팅제의 도포가 이루어진다.
특히 본 발명에서 강화유리(120)는 일정한 경사를 갖고 투입되어 수평 이송되면서 코팅제의 도포가 이루어지며, 바람직하게는, 수직 방향에 대해 대략 9°~11°의 경사각(θ)을 갖고 투입이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서 코팅챔버(200)는 일정한 각도를 갖고 투입되는 강화유리(120)에 코팅제의 코팅이 이루어지는 코팅부(220)와, 코팅부(220)를 경유하면서 코팅제의 코팅이 이루어진 강화유리(120)의 건조 처리가 이루어지는 건조부(230)와, 건조부(230)를 경유하면서 건조 처리가 이루어진 강화유리(120)의 열처리가 이루어지는 열처리부(240)를 포함하며, 코팅챔버(200) 전방으로는 공정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도 4는 코팅부의 바람직할 실시예로써 스프레이 방식의 코팅예를 보여주고 있다.
도 4를 참고하면, 코팅부(220)는 강화유리(120)를 소정 경사각(θ)을 갖고 수평 이송을 안내하게 되는 하부 롤러(201) 및 상부 롤러(202)와, 강화유리(120)의 양면에 코팅제를 분사하는 복수의 분사노즐(221)을 포함한다.
하부 롤러(201)와 상부 롤러(202)는 각각 강화유리(120)의 하단 테두리와 상단 테두리와 접촉하여 수평 이송을 안내하게 되며, 이러한 롤러는 코팅챔버의 강화유리 수평 이송 구간을 따라서 복수 개가 마련되어 강화유리의 수평 이송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때 복수의 롤러는 별도의 구동모터에 의해 구동이 이루어지는 구동롤러와 자유 회동이 이루어지는 아이들 롤러가 조합되어 배치됨으로써 강화유리의 원활한 수평 이송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복수의 분사노즐(221)은 적어도 서로 다른 높이에 2개소 이상 배치됨이 바람직하며, 분사노즐(221)을 통해 분사된 코팅제는 강화유리(120) 표면에 분사된 후에 아래로 흘려 내리면서 강화유리(120) 표면에 균일하게 도포될 수 있으며,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제조된 코팅제는 강화유리가 대략 9°~11° 범위의 경사각을 갖는 경우에 가장 균일한 코팅두께를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강화유리의 이송 속도가 8~12m/분 범위일 때 최적의 코팅막을 얻을 수 있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코팅챔버의 평면 구성도이며,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강화유리를 수직하게 도시하고 있으나,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강화유리를 수직 방향에 대해 소정 각도의 경사각을 갖고 수평 이송이 이루어짐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도 5를 참고하면, 코팅챔버는 코팅부(220) 다음으로 건조부(230)와 열처리부(240)가 차례로 마련되며, 건조부(230)는 강화유리의 이송 구간을 따라서 마련된 급기팬(231)을 포함할 수 있으며, 열처리부(240)는 강화유리의 양 측면으로 일정 온도로 가열이 이루어지는 히터(241)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열처리부(240)는 150 ℃ ~ 200 ℃ 온도범위의 조건에서 대략 10 ~ 20분 동안 열건조가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코팅제의 도포 과정으로써 스프레이법을 예시하여 설명하였으나, 와이핑(wiping), 플로우 코팅(flow coating) 등이 사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다시 도 1을 참고하면, 이와 같이 코팅제(121)(122)가 코팅된 강화유리(120)는 태양전지 셀(110) 상면에 배치되고 태양전지 셀(110) 하면에는 EVA 필름(130)에 의해 백시트(140)가 부착되며, 이때 강화유리(120), 태양전지 셀(110) 및 백시트(140)의 조립 공정은 고온에서 진공 압착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10℃~160℃의 온도 범위에서 대략 10~22분간 진행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코팅제가 코팅된 강화유리가 적용된 태양전지 모듈(100)은 습도가 낮은 상태에서도 전도성 물질로 표면에 고르게 분포한 이산화티탄과 은이 정전기(대전) 현상을 방지하게 되어 잡부착물의 오염을 방지하게 되며, 또한 대기 중의 유기성 오염물에 대하여 이산화티탄이 유기성 오염물질을 지속적으로 강력하게 분해함으로써 기름때나 먼지에 의한 태양광 흡수량 저하를 방지하여 발전량의 향상을 가져올 수 있다.
도 6의 (a)(b)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코팅제의 방오 특성 및 자기 세정 특성을 비교하여 보여주는 사진이다.
구체적으로, 도 6의 (a)는 본 발명의 코팅제를 태양광 전지모듈의 일부(우측의 녹색 영역)에만 코팅하고 오염된 공간에 노출된 경우를 보여주는 사진으로써, 코팅제가 코팅되지 않은 영역과 대비하여 본 발명의 코팅제가 코팅된 영역(녹색 영역)이 오염도가 낮은 것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도 6의 (b)는 (a)와 동일한 태양광 전지모듈에 대해 물을 살포한 후에 건조된 상태의 태양광 전지모듈을 보여주는 사진으로써, 코팅제가 코팅되지 않은 영역에는 표면에 오염물질이 고착되어 남아 있는 반면에, 본 발명의 코팅제가 코팅된 영역(녹색 영역)에서는 오염물질이 없이 깨끗한 상태임을 알 수 있다.
다음의 [표 1]은 본 발명의 코팅제가 코팅된 태양전지 모듈과, 비교예로서 코팅제가 코팅되지 않은 태양전지 모듈에 대한 광투과율과 자기세정에 대한 시험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참고로 본 발명의 태양전지 모듈은 강화유리의 일면에만 코팅제가 코팅된 상태이다.
[표 1]
Figure 112015095226475-pat00001
[표 1]에서 알 수 있듯이, 비교예의 접촉각은 26.1°이며, 본 발명은 5.2°임을 보여주고 있다. 일반적으로 물의 접촉각이 7° 이하이면 초친수성이라 한다.
촉진내후성 시험은 자연계에서 일어날 수 있는 모든 현상을 짧은 시간에 반복적으로 시행하여 시간이 경과된 후에도 친수성 기능이 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은 240시간 촉진내후성 실험에서도 5.7°의 접촉각을 보여주고 있어서 초친수성이 유지됨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비교예의 가시광 투과율과 태양열 투과율이 각각 87.8%, 82.8%인 반면에, 본 발명의 가시광 투과율과 태양열 투과율은 각각 89.2%, 83.9%로서, 비교예보다 우수함을 알 수 있으며, 또한 반사율은 비교예보다 작게 나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다음의 [표 2]는 본 발명의 코팅제가 코팅된 태양전지 모듈과, 비교예로서 코팅제가 코팅되지 않은 태양전지 모듈에 대한 월간 누적 발전량을 비교한 결과이다.
[표 2]
Figure 112015095226475-pat00002
[표 2]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본 발명과 비교예의 월간 누적 발전량은 각각 34.72 kWh, 31.55 kWh이며, 본 발명은 비교예와 대비하여 약 10%의 발전 효율이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100 : 태양전지 모듈 110 : 태양전지 셀
120 : 강화유리 130 : EVA필름
140 : 백시트 200 : 코팅챔버
201 : 하부 롤러 202 : 상부 롤러
210 : 저장조 220 : 코팅부
221 : 분사노즐 230 : 건조부
231 : 급기팬 240 : 열처리부
241 : 히터 250 : 제어부

Claims (5)

  1. 태양광 발전장치 시스템에 있어서,
    도전성 리본에 의해 직렬 또는 병렬로 배열되어 광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시키는 다수의 태양전지 셀과, 코팅제가 코팅되어 상기 태양전지 셀 상면에 부착되는 강화유리와, 상기 태양전지 셀의 배면에 EVA 필름에 의해 부착되는 백시트를 포함하는 태양전지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강화유리는,
    수직 방향에 대해 9°~11°의 경사를 갖고 코팅챔버 내에서 수평 이송되면서 상기 코팅제의 도포가 이루어진 후에 건조 후 열처리에 의해 제조되고,
    상기 코팅제는 이산화티타늄 입자표면에 전이금속과 산화주석 금속 미립자, 20~40nm 입자 사이즈의 콜로이달 실리카가 수용성 메틸실리케이트 또는 에틸실리케이트와 결합되며,
    상기 코팅챔버는,
    상기 강화유리의 하단 테두리와 상단 테두리와 접촉하여 상기 강화유리를 8~12m/분의 이송 속도로 수평 안내하게 되는 복수의 롤러와;
    상기 강화유리의 양면에 상기 코팅제를 분사하게 되는 복수의 분사노즐이 마련된 코팅부와;
    상기 코팅부를 경유하면서 상기 코팅제의 코팅이 이루어진 강화유리의 건조 처리가 이루어지는 건조부와;
    상기 건조부를 경유하면서 건조 처리가 이루어진 강화유리의 열처리가 이루어지는 열처리부;를 포함하는 광투과율 향상과 오염방지 기능 및 자기세정기능을 갖는 태양전지 모듈을 이용한 태양광 발전장치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처리부는, 150 ℃ ~ 200 ℃ 온도범위에서 10 ~ 20분 동안 강화유리의 열처리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투과율 향상과 오염방지 기능 및 자기세정기능을 갖는 태양전지 모듈을 이용한 태양광 발전장치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강화유리, 태양전지 셀 및 백시트는 110℃~160℃의 온도 범위에서 10~22분간 진공 압착하여 제조됨을 특징으로 하는 광투과율 향상과 오염방지 기능 및 자기세정기능을 갖는 태양전지 모듈을 이용한 태양광 발전장치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제는,
    티타늄 알콕사이드(Titanium Alkoxide)를 이용하여 아나타아제형 이산화티타늄(Anatase type Titanium Dioxide) 분산액을 제조하는 제1단계;
    전이금속이 1~3개 치환된 전이금속EDTA염을 제조하는 제2단계; 및
    메틸실리케이트(Methylsilicate) 또는 에틸실리케이트(Ethylsilicate)를 가수분해함으로써 얻어낸 수용성 메틸실리케이트 또는 에틸실리케이트를 이용하여 이산화티타늄 입자표면에 전이금속과 금속산화물 미립자 그리고 콜로이달 실리카가 결합되도록 하는 제3단계를 통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투과율 향상과 오염방지 기능 및 자기세정기능을 갖는 태양전지 모듈을 이용한 태양광 발전장치 시스템.
KR1020150138550A 2015-10-01 2015-10-01 광투과율 향상과 오염방지 및 자기세정기능을 갖는 태양전지 모듈을 이용한 태양광 발전장치 시스템 KR1016046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8550A KR101604630B1 (ko) 2015-10-01 2015-10-01 광투과율 향상과 오염방지 및 자기세정기능을 갖는 태양전지 모듈을 이용한 태양광 발전장치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8550A KR101604630B1 (ko) 2015-10-01 2015-10-01 광투과율 향상과 오염방지 및 자기세정기능을 갖는 태양전지 모듈을 이용한 태양광 발전장치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04630B1 true KR101604630B1 (ko) 2016-03-18

Family

ID=556518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8550A KR101604630B1 (ko) 2015-10-01 2015-10-01 광투과율 향상과 오염방지 및 자기세정기능을 갖는 태양전지 모듈을 이용한 태양광 발전장치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4630B1 (ko)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789358A (zh) * 2016-04-29 2016-07-20 乐凯胶片股份有限公司 一种太阳能电池背板
KR101869510B1 (ko) 2017-11-07 2018-06-21 (주) 비제이파워 심미성이 증대된 건축 외장재 형태의 태양광 모듈
KR101872004B1 (ko) 2018-04-04 2018-06-28 (주) 비제이파워 패턴을 형성하여 심미성과 발전량이 증대되는 태양광 모듈
KR101890102B1 (ko) 2018-04-04 2018-08-22 (주) 비제이파워 전면에 패턴을 형성하여 발전량이 증대되는 태양광 모듈
CN109346557A (zh) * 2018-09-27 2019-02-15 江苏润阳悦达光伏科技有限公司 提高光伏板发电功率的方法
KR101959545B1 (ko) 2017-11-07 2019-03-20 (주) 비제이파워 패턴 글라스를 활용하고 발전 기능을 가지며 심미성이 증대된 태양광 모듈
KR20190097696A (ko) * 2018-02-13 2019-08-21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향상된 광투과율, 정전기방지 기능 및 반사저감 기능을 가지는 코팅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코팅 조성물을 이용한 코팅 필름
KR102205984B1 (ko) * 2019-12-03 2021-01-21 에스지에너지주식회사 자정작용 특성을 갖는 칼라 태양광 모듈 제조방법
KR102352348B1 (ko) * 2021-07-19 2022-01-18 김성원 베란다 설치형 태양광모듈
KR20220022205A (ko) 2020-08-18 2022-02-25 주식회사 엠팸 태양광 패널용 코팅 조성물
CN114941159A (zh) * 2022-06-08 2022-08-26 云南云天化股份有限公司 一种具有自清洁功能的光伏电解水制氢设备及其方法
KR102450775B1 (ko) 2021-11-22 2022-10-06 김영지 오염 방지 태양광 발전 모듈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55705A (ja) * 2007-12-27 2009-07-16 Fujifilm Corp 熱処理方法およびバリアフィルム
JP4628502B1 (ja) * 2010-06-09 2011-02-09 日立設備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太陽電池モジュール等のラミネートモジュールを製造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55705A (ja) * 2007-12-27 2009-07-16 Fujifilm Corp 熱処理方法およびバリアフィルム
JP4628502B1 (ja) * 2010-06-09 2011-02-09 日立設備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太陽電池モジュール等のラミネートモジュールを製造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789358A (zh) * 2016-04-29 2016-07-20 乐凯胶片股份有限公司 一种太阳能电池背板
KR101959545B1 (ko) 2017-11-07 2019-03-20 (주) 비제이파워 패턴 글라스를 활용하고 발전 기능을 가지며 심미성이 증대된 태양광 모듈
KR101869510B1 (ko) 2017-11-07 2018-06-21 (주) 비제이파워 심미성이 증대된 건축 외장재 형태의 태양광 모듈
KR102072903B1 (ko) * 2018-02-13 2020-02-03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향상된 광투과율, 정전기방지 기능 및 반사저감 기능을 가지는 코팅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코팅 조성물을 이용한 코팅 필름
KR20190097696A (ko) * 2018-02-13 2019-08-21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향상된 광투과율, 정전기방지 기능 및 반사저감 기능을 가지는 코팅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코팅 조성물을 이용한 코팅 필름
KR101890102B1 (ko) 2018-04-04 2018-08-22 (주) 비제이파워 전면에 패턴을 형성하여 발전량이 증대되는 태양광 모듈
KR101872004B1 (ko) 2018-04-04 2018-06-28 (주) 비제이파워 패턴을 형성하여 심미성과 발전량이 증대되는 태양광 모듈
CN109346557A (zh) * 2018-09-27 2019-02-15 江苏润阳悦达光伏科技有限公司 提高光伏板发电功率的方法
KR102205984B1 (ko) * 2019-12-03 2021-01-21 에스지에너지주식회사 자정작용 특성을 갖는 칼라 태양광 모듈 제조방법
KR20220022205A (ko) 2020-08-18 2022-02-25 주식회사 엠팸 태양광 패널용 코팅 조성물
KR102352348B1 (ko) * 2021-07-19 2022-01-18 김성원 베란다 설치형 태양광모듈
KR102450775B1 (ko) 2021-11-22 2022-10-06 김영지 오염 방지 태양광 발전 모듈
CN114941159A (zh) * 2022-06-08 2022-08-26 云南云天化股份有限公司 一种具有自清洁功能的光伏电解水制氢设备及其方法
CN114941159B (zh) * 2022-06-08 2023-08-01 云南云天化股份有限公司 一种具有自清洁功能的光伏电解水制氢设备及其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4630B1 (ko) 광투과율 향상과 오염방지 및 자기세정기능을 갖는 태양전지 모듈을 이용한 태양광 발전장치 시스템
CN107078172B (zh) 用于增强可靠性的涂层材料和方法
US9598586B2 (en) Coating materials and methods for enhanced reliability
Mondal et al. A brief history and future aspects in automatic cleaning systems for solar photovoltaic panels
CN105378510B (zh) 太阳能电池组件用防眩膜、带有防眩膜的太阳能电池组件及它们的制造方法
US8237047B2 (en) Method of making a photovoltaic device or front substrate for use in same with scratch-resistant coating and resulting product
JP6193244B2 (ja) 防眩膜を備える太陽電池モジュー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太陽電池用防眩膜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防眩膜形成用塗布液
Mondal et al. An overview of cleaning and prevention processes for enhancing efficiency of solar photovoltaic panels
US20080295884A1 (en) Method of making a photovoltaic device or front substrate with barrier layer for use in same and resulting product
US20110000539A1 (en) Self-cleaning protective coatings for use with photovoltaic cells
CN105047742A (zh) 一种双面n型晶体硅电池及其制备方法
US20120024365A1 (en) Solar energy systems
Giolando Transparent self-cleaning coating applicable to solar energy consisting of nano-crystals of titanium dioxide in fluorine doped tin dioxide
US20130125961A1 (en) Optical passivation film,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solar cell
CN204243062U (zh) 一种高耐污性的光伏组件背板
Noh et al. Antireflective coating using a WO3–TiO2 nanoparticle photocatalytic composition for high efficiency thin-film Si photovoltaic modules
CN109912231A (zh) 一种光伏玻璃的高透过率镀膜装置及镀膜方法
CN106655995B (zh) 自洁式光电转换太阳能瓦
CN113583523B (zh) 一种涂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02769072B (zh) N型晶硅太阳能电池及其制备方法
KR100997537B1 (ko) 오염방지 코팅된 태양광 발전 장치
CN201336312Y (zh) 一种双面增透减反膜太阳能光伏玻璃
CN104708882A (zh) 二氧化硅涂布的防反射膜或板
KR20150012450A (ko) 성능이 향상된 기판을 포함하는 태양전지 및 그 제조 방법.
JP2012209525A (ja) 太陽電池向け透明導電膜用組成物および透明導電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