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96075A - 경량 개비온 옹벽체 - Google Patents

경량 개비온 옹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96075A
KR20190096075A KR1020180015579A KR20180015579A KR20190096075A KR 20190096075 A KR20190096075 A KR 20190096075A KR 1020180015579 A KR1020180015579 A KR 1020180015579A KR 20180015579 A KR20180015579 A KR 20180015579A KR 20190096075 A KR20190096075 A KR 201900960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gabion
pillar
piece
colum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55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81874B1 (ko
Inventor
김흥태
서우형
박수오
임연국
육아름
Original Assignee
지평토건(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평토건(주) filed Critical 지평토건(주)
Priority to KR10201800155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1874B1/ko
Publication of KR201900960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60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18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18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08Gab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66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preformed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3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having at least a mesh por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Abstract

본 발명은, 개비온 옹벽체의 내측이 중공되어 개비온 옹벽체를 경량으로 구성할 수 있고, 개비온의 내측면이 고르지 않더라도 휘어지지 않고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는 경량 개비온 옹벽체에 관한 것으로서, 중공된 사각 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전면 또는 후면에 주 장착홀이 천공되고, 상기 주 장착홀로부터 내측으로 주 장착편이 수직하게 연장되는 주 기둥; 판형으로 형성되어 주 결속홀이 천공되고, 상기 주 결속홀로부터 주 결속편이 수직하게 연장되어서, 상기 주 결속편이 상기 주 장착홀에 인입되어 상기 주 장착편에 결합되는 주 결속구; 내측에 돌 또는 합성수지재의 덩어리를 수용할 수 있도록 철망으로 둘러싸인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주 기둥의 전면 또는 후면에 구비되되, 일면이 상기 주 기둥과 상기 주 결속구의 사이에 개재(介在)되어 위치 고정되는 주 개비온; 내측에 돌 또는 합성수지재의 덩어리를 수용할 수 있도록 철망으로 둘러싸인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주 개비온의 측면 또는 상기 주 개비온의 상기 주 기둥 방향 면의 측단에 결합되는 측면 개비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경량 개비온 옹벽체{Lightweight gabion retaining wall}
본 발명은, 경량 개비온 옹벽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개비온 옹벽체의 내측이 중공되어 개비온 옹벽체를 경량으로 구성할 수 있고, 개비온의 내측면이 고르지 않더라도 휘어지지 않고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는 경량 개비온 옹벽체에 관한 것이다.
개비온(Gabion, 돌망태)은 하천이나 경사지 등에서 옹벽이나 호안블록의 대안으로 사용되는 친환경적인 공법으로서, 최근에는 자연미, 예술성, 미관성, 친환경성, 시공성, 수명성 등의 장점을 활용하여 건축물의 내외장 마감재, 인테리어 내외벽, 조경용 담장 및 조경시설물 등에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개비온은 기본적으로 철망으로 망태를 구성하여 망태 내에 불규칙한 쇄석을 채워 넣는 구조로 이루어지며, 채워진 쇄석의 하중에 의한 변형을 최소화하기위하여 소정 크기로 만들어 다층 구조로 쌓는 방식으로 설치된다.
그러나, 이러한 개비온은 철망의 내부를 빼곡히 쇄석으로 채워야 하므로 쇄석의 무게에 의해 매우 무거운 형태가 될 수밖에 없었고, 특히, 옹벽체와 같이 벽체를 두껍게 형성해야 하는 경우 필요한 쇄석의 양이 많아지고, 그 무게 역시 선형으로 상승되어 설치에 어려움이 있었다.
따라서, 개비온 옹벽체를 경량으로 구성할 수 있고, 벽체를 두껍게 형성하는 경우에도 필요한 쇄석의 양 및 무게가 경미하게 상승되는 경량 개비온 옹벽체의 개발이 필요로 하게 되었다.
KR10-1439164(등록번호) 2014.09.02.
개비온 옹벽체의 내측이 중공되어 개비온 옹벽체를 경량으로 구성할 수 있는 경량 개비온 옹벽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개비온의 내측면이 고르지 않더라도 휘어지지 않고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는 경량 개비온 옹벽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중공된 사각 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전면 또는 후면에 주 장착홀이 천공되고, 상기 주 장착홀로부터 내측으로 주 장착편이 수직하게 연장되는 주 기둥; 판형으로 형성되어 주 결속홀이 천공되고, 상기 주 결속홀로부터 주 결속편이 수직하게 연장되어서, 상기 주 결속편이 상기 주 장착홀에 인입되어 상기 주 장착편에 결합되는 주 결속구; 내측에 돌 또는 합성수지재의 덩어리를 수용할 수 있도록 철망으로 둘러싸인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주 기둥의 전면 또는 후면에 구비되되, 일면이 상기 주 기둥과 상기 주 결속구의 사이에 개재(介在)되어 위치 고정되는 주 개비온; 내측에 돌 또는 합성수지재의 덩어리를 수용할 수 있도록 철망으로 둘러싸인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주 개비온의 측면 또는 상기 주 개비온의 상기 주 기둥 방향 면의 측단에 결합되는 측면 개비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상기 주 기둥은, 측면에 가로 장착홀이 천공되고, 상기 가로 장착홀로부터 내측으로 가로 장착편이 수직하게 연장되며, 사각 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일단이 상기 가로 장착홀에 인입되어 상기 가로 장착편에 결합되는 가로 기둥;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상기 가로 기둥은, 전면 또는 후면에 구비되어 상기 개비온을 전면 또는 후면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측면 지지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상기 측면 지지구는, 원형 기둥 또는 다각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가로 기둥의 전면 또는 후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제 1심과, 원형 기둥 또는 다각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 1 심의 내측면 또는 외측면에 접하여 상기 제 1 심을 따라 전후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 2 심과, 판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 2 심으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되는 측면 지지판과, 상기 제 1 심 또는 상기 제 2 심의 내측 또는 외측에 구비되어 상기 측면 지지판을 상기 가로 기둥으로부터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스프링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상기 주 기둥은, 상단 또는 하단으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되는 적층편을 포함하며, 상기 주 기둥의 하단에 형성된 상기 적층편은 지면에 고정되고, 상기 주 기둥의 상단에 형성된 상기 적층편은 다른 주 기둥의 하단에 형성된 적층편과 결합된다.
본 발명은, 개비온 옹벽체의 내측은 가로 기둥이 구비된 부분 이외에 중공되어 있으므로, 개비온 옹벽체를 경량으로 구성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측면 지지구가 구비됨으로써, 가로 기둥으로부터 주 개비온을 탄성적으로 이격 지지하여, 주 개비온의 면이 고르지 않더라도 가로 기둥에 의해 휘어지지 않고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경량 개비온 옹벽체의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경량 개비온 옹벽체의 주 기둥의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경량 개비온 옹벽체의 주 결속구의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경량 개비온 옹벽체의 가로 기둥의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경량 개비온 옹벽체의 가로 기둥의 단면도.
도 6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경량 개비온 옹벽체의 주 기둥과 가로 기둥의 결합 관계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7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경량 개비온 옹벽체의 주 기둥과 주 결속구의 결합 관계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8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경량 개비온 옹벽체의 평면도.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된 사각 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전면 또는 후면에 주 장착홀(110)이 형성되고, 주 장착홀(110)로부터 내측으로 주 장착편(111)이 수직하게 연장되는 주 기둥(100)과, 판형으로 형성되어 주 결속홀(210)이 형성되고, 주 결속홀(210)로부터 주 결속편(211)이 수직하게 연장되어서, 주 결속편(211)이 주 장착홀(110)에 인입되어 주 장착편(111)에 결합되는 주 결속구(200)와, 내측에 돌 또는 합성수지재의 덩어리를 수용할 수 있도록 철망으로 둘러싸인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주 기둥(100)의 전면 또는 후면에 구비되되, 일면이 주 기둥(100)과 주 결속구(200)의 사이에 개재(介在)되어 위치 고정되는 주 개비온(10)과, 내측에 돌 또는 합성수지재의 덩어리를 수용할 수 있도록 철망으로 둘러싸인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주 개비온(10)의 측면 또는 주 개비온(10)의 주 기둥(100) 방향 면의 측단에 결합되는 측면 개비온(11)과, 사각 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일단이 주 기둥(100)의 측면에 결합되는 가로 기둥(3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주 기둥(100)은, 주 결속구(200) 및 가로 기둥(300)을 고정하는 역할을 하며, 이를 위하여 중공된 사각 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전면 또는 후면에 주 장착홀(110)이 형성되고, 주 장착홀(110)로부터 내측으로 주 장착편(111)이 수직하게 연장되며, 또한, 측면에 가로 장착홀(120)이 천공되고, 가로 장착홀(120)로부터 내측으로 가로 장착편(121)이 수직하게 연장되어 구성된다.
또한, 주 기둥(100)은 지면에 고정하거나, 또는 다른 주 기둥(100)과의 적층을 위한 적층편(130)이 상단 또는 하단으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주 장착홀(110)은, 주 결속구(200)의 주 결속편(211)이 삽입될 수 있도록 하고, 주 결속편(211)과 주 장착편(111)을 결합할 때 공구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주 장착홀(110)은 주 기둥(100)의 전면 또는 후면에 상하 방향으로 복수 개 형성되며, 사각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나 마름모꼴, 삼각형, 사각 이상의 다각형 등 다양한 형상이 가능하며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주 장착편(111)은 주 결속편(211)을 고정하는 역할을 하며, 이를 위하여 주 장착홀(110)로부터 주 기둥(100)의 내측으로 수직하게 연장되어 형성된다. 주 장착편(111)은 판형으로서, 주 장착홀(110)의 단부에 용접하여 형성할 수도 있고, 주 장착홀(110)의 형성시에 주 장착홀(110)의 형성 위치에 있던 주 기둥(100)의 면을 절개하여 내측으로 절곡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그러나, 판형의 주 장착편(111)을 볼트 등의 기타 결합 부재를 이용하여 주 장착홀(110)에 결합하는 것 역시 가능하며 주 장착편(111)의 형성 방법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주 장착편(111)에는 주 결속편(211)과의 결합을 위한 볼트 홀이 형성될 수 있으며, 주 장착편(111)과 주 결속편(211)의 볼트 홀이 겹치도록 주 결속편(211)을 주 장착홀(110)의 내부로 인입시킨 후 볼트 등을 이용하여 주 장착편(111)과 주 결속편(211)을 결합시킬 수 있다. 이때, 공구가 들어갈 수 있는 공간은 주 장착홀(110)이므로, 너트를 고정할 공구의 삽입이 쉽지 않을 경우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에는 너트를 미리 주 장착편(111)에 용접하여 구비하거나, 주 장착편(111)의 볼트 홀에 나사산을 미리 형성할 수도 있다. 그러나, 주 장착편(111)과 주 결속편(211)의 결합 방법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가로 장착홀(120)은, 가로 기둥(300)이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며, 이를 위하여 주 기둥(100)의 측면에 상하 방향으로 복수 개 형성된다. 이러한 가로 장착홀(120)은 주 기둥(100)의 내측 방향으로 가로 장착편(121)이 연장 형성된다.
가로 장착편(121)은, 가로 기둥(300)을 고정하는 역할을 하며, 이를 위하여 가로 장착홀(120)로부터 주 기둥(100)의 내측으로 수직하게 연장되어 형성된다. 가로 장착편(121)은 판형으로서, 가로 장착홀(120)의 단부에 용접하여 형성할 수도 있고, 가로 장착홀(120)의 형성시에 가로 장착홀(120)의 형성 위치에 있던 주 기둥(100)의 면을 절개하여 내측으로 절곡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그러나, 판형의 가로 장착편(121)을 볼트 등의 기타 결합 부재를 이용하여 가로 장착홀(120)에 결합하는 것 역시 가능하며 가로 장착편(121)의 형성 방법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가로 장착편(121)에는 가로 기둥(300)과의 결합을 위한 볼트 홀이 형성될 수 있으며, 가로 장착편(121)과 가로 기둥(300)의 볼트 홀이 겹치도록 가로 기둥(300)을 가로 장착홀(120)의 내부로 인입시킨 후 볼트 등을 이용하여 가로 장착편(121)과 가로 기둥(300)을 결합시킬 수 있다. 이때, 공구가 들어갈 수 있는 공간은 주 장착홀(110)이므로, 너트를 고정할 공구의 삽입이 쉽지 않을 경우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에는 너트를 미리 가로 장착편(121)에 용접하여 구비하거나, 가로 장착편(121)의 볼트 홀에 나사산을 미리 형성할 수도 있다. 그러나, 가로 장착편(121)과 가로 기둥(300)의 결합 방법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적층편(130)은, 주 기둥(100)을 지면에 고정하거나, 상하로 적층된 주 기둥(100) 사이를 고정하는 역할을 하며, 이를 위하여 주 기둥(100)의 상단 또는 하단으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이러한 적층편(130)은 지면 또는 다른 주 기둥(100)의 적층편(130)과의 결합을 위한 볼트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공구가 들어갈 수 있는 공간은 주 장착홀(110)이므로, 너트를 고정할 공구의 삽입이 쉽지 않을 경우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에는 너트를 미리 상부 또는 하부 어느 한 적층편(130)에 용접하여 구비하거나, 또는 볼트 홀에 미리 나사산을 형성할 수도 있다. 그러나, 적층편(130)과 지면, 적층편(130) 사이의 결합 방법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주 결속구(200)는, 주 개비온(10)의 일측면을 주 기둥(100)에 밀착시켜 고정하는 역할을 하며, 이를 위하여 판형으로 형성되어 주 결속홀(210)이 형성되고, 주 결속홀(210)로부터 주 결속편(211)이 수직하게 연장되어서, 주 결속편(211)이 주 장착홀(110)에 인입되어 주 장착편(111)에 결합된다. 이러한 주 결속홀(210)과 주 결속편(211)은 상하 방향으로 복수 개 형성되며, 주 기둥(100)의 주 장착홀(110)의 수와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주 개비온(10)이 주 기둥(100)의 전면 방향에 결합되는 경우를 상정하여 상세한 설명을 이어보면, 주 개비온(10)의 내측에 주 결속구(200)가 삽입된 후 주 결속구(200)의 주 결속편(211)이 주 기둥(100)의 주 장착홀(110)의 내부로 인입된다. 이때, 주 결속구(200)와 주 기둥(100)의 사이에는 주 개비온(10)의 후면이 끼인 형태가 된다. 즉, 주 결속구(200)는 주 기둥(100)의 전면에 주 개비온(10)을 밀착시킨 상태를 유지하고, 주 개비온(10)이 이탈되거나 흔들리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때, 주 결속편(211)은 주 개비온(10)의 후면을 관통하게 되는데, 주 개비온(10)은 철망 형태로 형성되므로, 철망 사이의 틈으로 주 결속편(211)이 통과하여 주 장착홀(110)로 인입될 수 있다.
도 7 에는 이러한 주 기둥(100)과, 주 결속구(200)와, 주 개비온(10) 사이의 결합 관계가 분리 사시도 형태로 도시되어 있다. 이때, 도 7 의 주 개비온(10)은 결합 관계를 명확히 표현하기 위하여 주 기둥(100)에 밀착되는 면만 도시하였고, 나머지 3측면과 상하면은 생략한 상태이다.
또는, 주 개비온(10)은 도 7 과 같이 주 기둥(100)과 주 결속구(200)의 사이에 일면을 미리 결합시킨 후 나머지 3측면과 하면 및 상면을 미리 결합된 일면에 결합하여 육면체를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주 기둥(100)은 주 개비온(10) 하나당 최소 양측에 구비되어서 주 개비온(10)을 양측에서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데, 이때, 주 기둥(100) 사이에는 돌 또는 합성수지재의 덩어리가 삽입되지 않아 본 발명의 개비온 옹벽체가 경량으로 구성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경량화의 반대급부로서 주 기둥(100)에 의해 지지되지 않는 주 개비온(10)의 중단부는 주 기둥(100) 사이의 중공부 방향으로 휘어질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주 기둥(100) 사이의 중공부에서 주 개비온(10)을 지지할 수 있도록 가로 기둥(300)이 주 기둥(100)에 결합되어 구비된다.
가로 기둥(300)은,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 기둥(100)의 사이에서 주 개비온(10)의 주 기둥(100) 방향 면을 지지하여 주 개비온(10)이 내측으로 휘어지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하며, 이를 위하여 사각 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일단이 주 기둥(100)의 가로 장착홀(120)에 인입되어 가로 장착편(121)에 결합되어 구성된다. 가로 기둥(300)의 타단은 다른 주 기둥(100)의 가로 장착홀(120)에 입입되어 가로 장착편(121)에 결합된다. 가로 기둥(300)에는 가로 장착편(121)과의 결합을 위한 볼트 홀이 단부 방향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주 개비온(10)은 돌 또는 합성수지재의 덩어리를 내측에 쌓다보면 비교적 불균일한 형태로 면이 형성될 수 있는데, 이때 가로 기둥(300)에 의해 모든 면이 동일하게 지지되는 경우 튀어나온 부분에 의해 주 개비온(10)이 휘어진 형태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주 개비온(10)의 형태 변화를 방지하기 위하여 가로 기둥(300)을 주 개비온(10)으로부터 이격된 형태가 되도록 설치한 후, 주 개비온(10)의 일부를 가로 기둥(300)에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측면 지지구(310)가 더 구성된다.
측면 지지구(310)는, 원형 기둥 또는 다각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가로 기둥(300)의 전면 또는 후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제 1 심(311)과, 원형 기둥 또는 다각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 1 심(311)의 내측면 또는 외측면에 접하여 제 1 심(311)을 따라 전후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 2 심(312)과, 판형으로 형성되어 제 2 심(312)으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되는 측면 지지판(313)과, 제 1 심(311) 또는 제 2 심(312)의 내측 또는 외측에 구비되어 측면 지지판(313)을 가로 기둥(300)으로부터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스프링(31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주 개비온(10)과 가로 기둥(300)의 사이가 이격된 채 측면 지지구(310)에 의해서만 주 개비온(10)이 가로 기둥(300)에 지지되며, 측면 지지구(310)는 스프링(314)에 의해 탄성적으로 주 개비온(10)을 지지한다. 따라서, 주 개비온(10)의 가로 기둥(300) 방향측 면이 고르지 않더라도 측면 지지구(310)가 탄성적으로 압축 또는 신장되면서 주 개비온(10)을 지지하므로, 주 개비온(10)이 가로 기둥(300)에 의해 휘어지지 않으면서도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측면 지지구(310)는 본 발명에서는 가로 기둥(300)에 1개 구비된 것을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복수 개 구비되는 것 역시 가능함은 물론이다.
측면 개비온(11)은, 주 기둥(100)에 의해 지지된 주 개비온(10)의 측단부를 마감하여 본 발명의 개비온 옹벽체가 외형을 완성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며, 이를 위하여 내측에 돌 또는 합성수지재의 덩어리를 수용할 수 있도록 철망으로 둘러싸인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주 개비온(10)의 측면 또는 주 개비온(10)의 주 기둥(100) 방향 면의 측단에 결합되어 구성된다.
도 1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개비온 옹벽체를 상하 방향으로 2단 적층하고, 좌우 방향으로 2열 확장한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이때, 개비온 옹벽체의 내측은 가로 기둥(300)이 구비된 부분 이외에 중공되어 있으므로, 개비온 옹벽체를 경량으로 구성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측면 지지구(310)가 구비됨으로써, 가로 기둥(300)으로부터 주 개비온(10)을 탄성적으로 이격 지지하여, 주 개비온(10)의 면이 고르지 않더라도 가로 기둥(300)에 의해 휘어지지 않고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10 : 주 개비온 11 : 측면 개비온
100 : 주 기둥 110 : 주 장착홀
111 : 주 장착편 120 : 가로 장착홀
121 : 가로 장착편 130 : 적층편
200 : 주 결속구 210 : 주 결속홀
211 : 주 결속편 300 : 가로 기둥
310 : 측면 지지구 311 : 제 1 심
312 : 제 2 심 313 : 측면 지지판
314 : 스프링

Claims (5)

  1. 중공된 사각 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전면 또는 후면에 주 장착홀이 천공되고, 상기 주 장착홀로부터 내측으로 주 장착편이 수직하게 연장되는 주 기둥;
    판형으로 형성되어 주 결속홀이 천공되고, 상기 주 결속홀로부터 주 결속편이 수직하게 연장되어서, 상기 주 결속편이 상기 주 장착홀에 인입되어 상기 주 장착편에 결합되는 주 결속구;
    내측에 돌 또는 합성수지재의 덩어리를 수용할 수 있도록 철망으로 둘러싸인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주 기둥의 전면 또는 후면에 구비되되, 일면이 상기 주 기둥과 상기 주 결속구의 사이에 개재(介在)되어 위치 고정되는 주 개비온;
    내측에 돌 또는 합성수지재의 덩어리를 수용할 수 있도록 철망으로 둘러싸인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주 개비온의 측면 또는 상기 주 개비온의 상기 주 기둥 방향 면의 측단에 결합되는 측면 개비온;
    을 포함하는 경량 개비온 옹벽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 기둥은, 측면에 가로 장착홀이 천공되고, 상기 가로 장착홀로부터 내측으로 가로 장착편이 수직하게 연장되며,
    사각 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일단이 상기 가로 장착홀에 인입되어 상기 가로 장착편에 결합되는 가로 기둥;
    을 포함하는 경량 개비온 옹벽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 기둥은, 전면 또는 후면에 구비되어 상기 개비온을 전면 또는 후면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측면 지지구;를 포함하는 경량 개비온 옹벽체.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지지구는, 원형 기둥 또는 다각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가로 기둥의 전면 또는 후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제 1심과, 원형 기둥 또는 다각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 1 심의 내측면 또는 외측면에 접하여 상기 제 1 심을 따라 전후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 2 심과, 판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 2 심으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되는 측면 지지판과, 상기 제 1 심 또는 상기 제 2 심의 내측 또는 외측에 구비되어 상기 측면 지지판을 상기 가로 기둥으로부터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경량 개비온 옹벽체.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주 기둥은, 상단 또는 하단으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되는 적층편을 포함하며,
    상기 주 기둥의 하단에 형성된 상기 적층편은 지면에 고정되고, 상기 주 기둥의 상단에 형성된 상기 적층편은 다른 주 기둥의 하단에 형성된 적층편과 결합되는 경량 개비온 옹벽체.
KR1020180015579A 2018-02-08 2018-02-08 경량 개비온 옹벽체 KR1020818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5579A KR102081874B1 (ko) 2018-02-08 2018-02-08 경량 개비온 옹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5579A KR102081874B1 (ko) 2018-02-08 2018-02-08 경량 개비온 옹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6075A true KR20190096075A (ko) 2019-08-19
KR102081874B1 KR102081874B1 (ko) 2020-02-26

Family

ID=678071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5579A KR102081874B1 (ko) 2018-02-08 2018-02-08 경량 개비온 옹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1874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0074B1 (ko) * 2006-11-30 2007-03-28 오봉섭 강봉을 이용한 프리스트레스 돌망태 격자블럭 및 이의시공방법
KR20130034989A (ko) * 2011-09-29 2013-04-08 현승우 자립형 방음 개비온
KR20130104307A (ko) * 2012-03-13 2013-09-25 주식회사 효성씨엠씨 쇄석을 이용한 방음벽의 시공방법
KR101439164B1 (ko) 2012-11-22 2014-09-12 (주)대호철망휀스 채움재부착판을 갖는 조립식 개비온벽체
KR20140133146A (ko) * 2013-05-10 2014-11-19 송근직 입체공간부를 갖는 개비온
KR20170033176A (ko) * 2015-09-16 2017-03-24 김제용 지지부를 구비한 블럭 옹벽용 개비온
KR20170087213A (ko) * 2016-01-20 2017-07-28 주식회사 국제철망 개비온 펜스 및 개비온 펜스 시공방법
JP2019135111A (ja) * 2018-02-05 2019-08-1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ハイブリッド車両の制御装置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0074B1 (ko) * 2006-11-30 2007-03-28 오봉섭 강봉을 이용한 프리스트레스 돌망태 격자블럭 및 이의시공방법
KR20130034989A (ko) * 2011-09-29 2013-04-08 현승우 자립형 방음 개비온
KR20130104307A (ko) * 2012-03-13 2013-09-25 주식회사 효성씨엠씨 쇄석을 이용한 방음벽의 시공방법
KR101439164B1 (ko) 2012-11-22 2014-09-12 (주)대호철망휀스 채움재부착판을 갖는 조립식 개비온벽체
KR20140133146A (ko) * 2013-05-10 2014-11-19 송근직 입체공간부를 갖는 개비온
KR20170033176A (ko) * 2015-09-16 2017-03-24 김제용 지지부를 구비한 블럭 옹벽용 개비온
KR20170087213A (ko) * 2016-01-20 2017-07-28 주식회사 국제철망 개비온 펜스 및 개비온 펜스 시공방법
JP2019135111A (ja) * 2018-02-05 2019-08-1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ハイブリッド車両の制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1874B1 (ko) 2020-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65517B2 (en) Vibration damper device for prefabricated warehouses and similar buildings
KR101246268B1 (ko) 식생 강재틀 개비온 옹벽 시공방법 및 그 시공방법에 의해 시공된 식생 강재틀 개비온 옹벽
JP5496121B2 (ja) 貯水空間形成ブロック
KR20150098535A (ko) 조립식 옹벽블록과 블록조립 부속물.
JP5968838B2 (ja) デッキ構造の施工法およびデッキ構造
KR101276642B1 (ko) 조립식 건축물의 코너부 연결구
KR102081874B1 (ko) 경량 개비온 옹벽체
JP4596548B2 (ja) 補強土擁壁構造。
JP5731686B1 (ja) 大型擁壁ブロック
JP5198668B1 (ja) 柱脚用接合金具及び建築構造体
JP4999216B1 (ja) 耐震避難室用基礎ブロック
JP2008261218A (ja) 補強土擁壁を積層するための施工具
JP3171173U (ja) 目隠しフェンス
JP4571068B2 (ja) 壁ユニット、耐震壁およびその構築方法
KR101127497B1 (ko) 친환경 조립식 블럭 어셈블리
JP5829938B2 (ja) 地下貯留槽
JP6096659B2 (ja) 木造軸組建物
JP2011083200A (ja) 屋外構築物及び網状容器
JP4861882B2 (ja) 耐力壁
JP3177820U (ja) 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製ベースブロック
JP3187352U (ja) 石碑
KR101455321B1 (ko) 다양한 결합이 가능한 조립식 하우징 및 이의 제작방법
JP3184017U (ja) ユニットフェンス
KR101654930B1 (ko) 콘크리트 타설용 지주 연결장치
JP3183204U (ja) 柱フェンスおよび基台ユニ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