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95721A - 에어나이프의 립 간격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에어나이프의 립 간격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95721A
KR20190095721A KR1020180015063A KR20180015063A KR20190095721A KR 20190095721 A KR20190095721 A KR 20190095721A KR 1020180015063 A KR1020180015063 A KR 1020180015063A KR 20180015063 A KR20180015063 A KR 20180015063A KR 20190095721 A KR20190095721 A KR 201900957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p
air knife
spacing
gap adjusting
g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50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26322B1 (ko
Inventor
허기복
김윤자
강법성
백경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우에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우에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우에코
Priority to KR10201800150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6322B1/ko
Publication of KR201900957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57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63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63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00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 C23C2/14Removing excess of molten coatings; Controlling or regulating the coating thickness
    • C23C2/16Removing excess of molten coatings; Controlling or regulating the coating thickness using fluids under pressure, e.g. air kn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00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 C23C2/003Apparatu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00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 C23C2/14Removing excess of molten coatings; Controlling or regulating the coating thickness
    • C23C2/16Removing excess of molten coatings; Controlling or regulating the coating thickness using fluids under pressure, e.g. air knives
    • C23C2/18Removing excess of molten coatings from elongated material
    • C23C2/20Strips; Pl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00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 C23C2/50Controlling or regulating the coating process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ating With Molten Metal (AREA)
  • Electroplating Methods And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어나이프의 하부립 또는 상부립의 일측에 형성하는 간격 조절부; 상기 간격 조절부를 확장하거나 축소시켜 상기 하부립 또는 상부립의 선단 기울기를 조절하여 하부립 및 상부립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한 간격 조절유닛;을 포함하는 에어나이프의 립 간격조절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하부립 및 상부립의 간격을 정밀하게 조절하여 강판의 도금부착량을 제어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특히 본 발명은 하부립 또는 상부립의 선단 기울기를 조절하여 하부립 및 상부립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고압 기체의 분사범위 및 분사량을 조절하여 강판의 도금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에어나이프의 립 간격조절장치{Device for controlling nozzle gap of air knife}
본 발명은 에어나이프의 립 간격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에어나이프의 립 간격을 조절하여 강판의 도금부착량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에어나이프의 립 간격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에어나이프는 고압 기체를 강판 표면에 분사하여 도금 부착량(도금량)을 조절하기 위해서 사용한다.
여기서 고압 기체의 분사량을 제어하기 위해서 에어나이프의 상부립 및 하부립을 전후방향으로 이동시켜 간격을 조절한다.
그러나 종래에는 상부립 및 하부립의 간격을 정밀하게 조절할 수 없는 구조상의 한계를 갖게 되었다.
특히 강판의 정밀한 도금 부착량을 제어할 수 없으므로 도금품질을 저하시키는 문제를 갖게 되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2-0050858호(2002.06.28) 한국공개특허 제10-2003-0052337호(2003.06.27) 한국공개특허 제10-2007-0064145호(2007.06.20) 한국공개특허 제10-2015-0074993호(2015.07.02)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에어나이프의 하부립 또는 상부립의 선단 기울기를 조절하여 하부립 및 상부립의 간격을 조절함으로써 강판의 도금부착량을 제어할 수 있는 에어나이프의 립 간격조절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에어나이프의 립 간격조절장치는,
에어나이프의 하부립 또는 상부립의 일측에 형성하는 간격 조절부; 상기 간격 조절부를 조절하여 상기 하부립 또는 상부립의 선단 기울기를 조절하기 위한 간격 조절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간격 조절부는 내측에서 외측으로 일정넓이를 갖도록 절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간격 조절유닛은 상기 간격 조절부의 일측에 나사 결합하여 회전방향에 따라서 간격 조절부를 확장하거나 축소시키기 위한 조절구;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간격 조절부의 일측은 상기 조절구와 나사 결합하는 나사공;을 형성하고, 타측은 상기 조절구가 관통할 수 있도록 통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간격 조절부의 타측에 나사 결합하고 선단은 간격 조절부의 일측에 맞닿도록 고정구;를 형성하며, 상기 고정구와 나사 결합하여 간격 조절부의 타측에 밀착할 수 있도록 체결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간격 조절유닛은 상기 간격 조절부의 내측 사이에 나사 결합하여 회전방향에 따라서 간격 조절부를 확장하거나 축소시키기 위한 조절구;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간격 조절부의 양측에 회동구;를 형성하여 상기 조절구의 양측과 나사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간격 조절부의 양측에 상기 회동구를 헛돌지 않도록 고정하는 지지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지지구의 내측에 상기 회동구의 표면에 맞닿아 고정하는 돌기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하부립 또는 상부립의 전방에 탈착할 수 있도록 교체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하부립 및 상부립의 간격을 정밀하게 조절하여 강판의 도금부착량을 제어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특히 본 발명은 하부립 또는 상부립의 선단 기울기를 조절하여 하부립 및 상부립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고압 기체의 분사범위 및 분사량을 조절하여 강판의 도금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 에어나이프의 립 간격조절장치에 대한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서 조절구 및 체결구의 설치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확대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 에어나이프의 립 간격조절장치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서 조절구 및 회동구의 설치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확대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 에어나이프의 립 간격조절장치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단면도.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 에어나이프의 립 간격조절장치에 대한 작동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단면도.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구성을 첨부한 도면에 의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 에어나이프의 립 간격조절장치에 대한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서 조절구 및 체결구의 설치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확대도이며,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 에어나이프의 립 간격조절장치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서 조절구 및 회동구의 설치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확대도이며,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 에어나이프의 립 간격조절장치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 에어나이프의 립 간격조절장치에 대한 작동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은 에어나이프(10)의 하부립(11) 또는 상부립(12)의 일측에 형성하는 간격 조절부(110); 상기 간격 조절부(110)를 조절하여 상기 하부립(11) 또는 상부립(12)의 선단 기울기를 조절하기 위한 간격 조절유닛(120);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간격 조절부(110)는 내측에서 외측으로 일정넓이를 갖도록 절개함으로써 상기 간격 조절유닛(120)의 작동으로 절개 넓이를 확장하거나 축소할 수 있다.
즉, 상기 간격 조절부(110)는 내측은 연결한 상태이고 외측은 절개하여 개방한 상태이므로 절개 넓이를 확장 또는 축소할 경우 상기 하부립(11) 및 상부립(12)의 선단(전방)이 상하방향으로 기울어지므로, 결과적으로 하부립(11) 및 상부립(12)의 사이 간격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간격 조절부(11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업환경 및 설치여건에 따라서 상기 하부립(11) 또는 상부립(12)의 일측 또는 중간에 선택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간격 조절유닛(120)의 실시예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간격 조절부(110)의 일측에 나사 결합하여 회전방향에 따라서 간격 조절부(110)를 확장하거나 축소시키기 위한 조절구(121);로 구성한다.
특히 상기 조절구(121)는 볼트 등과 같이 나사 결합방식을 채택하는 다양한 형태의 수단을 적용하여 회전방향에 따라서 나사 결합하는 상기 간격 조절부(110)의 일측을 당기거나 밀어서 상기 하부립(11) 또는 상부립(12)의 선단이 기울어지는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간격 조절부(110)의 일측은 상기 조절구(121)와 나사 결합하는 나사공(111);을 형성하고, 타측은 상기 조절구(121)가 관통할 수 있도록 통공(112);을 형성하여 상기 조절구(121)의 회전방향에 따라서 상기 나사공(111)을 감거나 풀면서 상기 간격 조절부(110)를 확장하거나 축소시킬 수 있다.
한편,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간격 조절부(110)의 타측에 나사 결합하고 선단은 간격 조절부(110)의 일측에 맞닿도록 고정구(122);를 형성하며, 상기 고정구(122)와 나사 결합하여 간격 조절부(110)의 타측에 밀착할 수 있도록 체결구(123);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간격 조절부(110)를 확장 또는 축소시켜 상기 하부립(11) 또는 상부립(12)의 간격을 조절한 상태의 상기 조절구(121)가 진동 및 충격 등으로 쉽게 회전하지 않도록 고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고정구(122)는 상기 간격 조절부(110)의 타측에 나사 결합하고 선단은 간격 조절부(110)의 일측에 맞닿은 상태이므로 상기 간격 조절부(110)가 확장 또는 축소되지 않도록 지지하고, 상기 체결구(123)는 상기 고정구(122)가 풀리지 않도록 고정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간격 조절유닛(120)의 다른 실시예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간격 조절부(110)의 내측 사이에 나사 결합하여 회전방향에 따라서 간격 조절부(110)를 확장하거나 축소시키기 위한 조절구(124);로 구성한다.
특히 상기 조절구(124)는 상기 간격 조절부(110)의 내측 사이에 나사 결합하되 일측은 오른나사, 타측은 왼나사로 형성하여 회전방향에 따라서 간격 조절부(110)를 확장하거나 축소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간격 조절부(110)의 양측에 구 형상의 회동구(125);를 형성하여 상기 조절구(124)의 양측과 나사 결합함으로써, 간격 조절부(110)를 확장하거나 축소시키는 과정에서 회동구(125)의 위치가 변경되면서 조절구(124)의 변형 및 부하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간격 조절부(110)의 양측에 상기 회동구(125)를 헛돌지 않도록 고정하는 지지구(126);를 형성하여 상기 조절구(124)를 회전시킬 경우 원활하게 나선 회전을 유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지지구(126)의 내측에 상기 회동구(125)의 표면에 맞닿아 고정하는 돌기(126a)를 형성하여 더욱 견고하게 회동구(125)가 헛돌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 상기 하부립(11) 또는 상부립(12)은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방에 탈착할 수 있도록 교체립(11a);을 포함하여 일정기간 사용 후 마모되거나 이물질이 교체립(11a)에 고착될 경우 쉽게 교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교체립(11a)은 볼트 등과 같은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고정 및 분리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도 9 및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간격 조절유닛(120)을 작동하여 상기 간격 조절부(110)를 확장하거나 축소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상기 하부립(11) 또는 상부립(12)의 선단 기울기를 조절하여 하부립(11) 및 상부립(12)의 간격(A)을 조절할 수 있다.
이처럼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균등의 범위에 있는 구성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됨은 당연하다.
10: 에어나이프 11: 하부립
11a: 교체립 12: 상부립
100: 본 발명 에어나이프의 립 간격조절장치
110: 간격 조절부 111: 나사공
112: 통공
120: 간격 조절유닛 121: 조절구
122: 고정구 123: 체결구
124: 조절구 125: 회동구
126: 지지구 126a: 돌기
A: 간격

Claims (10)

  1. 에어나이프의 하부립 또는 상부립의 일측에 형성하는 간격 조절부; 상기 간격 조절부를 조절하여 상기 하부립 또는 상부립의 선단 기울기를 조절하기 위한 간격 조절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나이프의 립 간격조절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간격 조절부는 내측에서 외측으로 일정넓이를 갖도록 절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나이프의 립 간격조절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간격 조절유닛은 상기 간격 조절부의 일측에 나사 결합하여 회전방향에 따라서 간격 조절부를 확장하거나 축소시키기 위한 조절구;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나이프의 립 간격조절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간격 조절부의 일측은 상기 조절구와 나사 결합하는 나사공;을 형성하고, 타측은 상기 조절구가 관통할 수 있도록 통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나이프의 립 간격조절장치.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간격 조절부의 타측에 나사 결합하고 선단은 간격 조절부의 일측에 맞닿도록 고정구;를 형성하며, 상기 고정구와 나사 결합하여 간격 조절부의 타측에 밀착할 수 있도록 체결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나이프의 립 간격조절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간격 조절유닛은 상기 간격 조절부의 내측 사이에 나사 결합하여 회전방향에 따라서 간격 조절부를 확장하거나 축소시키기 위한 조절구;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나이프의 립 간격조절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간격 조절부의 양측에 회동구;를 형성하여 상기 조절구의 양측과 나사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나이프의 립 간격조절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간격 조절부의 양측에 상기 회동구를 헛돌지 않도록 고정하는 지지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나이프의 립 간격조절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지지구의 내측에 상기 회동구의 표면에 맞닿아 고정하는 돌기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나이프의 립 간격조절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부립 또는 상부립의 전방에 탈착할 수 있도록 교체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나이프의 립 간격조절장치.
KR1020180015063A 2018-02-07 2018-02-07 에어나이프의 립 간격조절장치 KR1020263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5063A KR102026322B1 (ko) 2018-02-07 2018-02-07 에어나이프의 립 간격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5063A KR102026322B1 (ko) 2018-02-07 2018-02-07 에어나이프의 립 간격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5721A true KR20190095721A (ko) 2019-08-16
KR102026322B1 KR102026322B1 (ko) 2019-09-27

Family

ID=678066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5063A KR102026322B1 (ko) 2018-02-07 2018-02-07 에어나이프의 립 간격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632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43917A (zh) * 2019-11-13 2020-01-03 甘肃酒钢集团宏兴钢铁股份有限公司 连续热镀锌铝镁的生产方法及气刀装置、气刀系统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5896B1 (ko) 2024-03-19 2024-05-13 정해동 립간격 조절장치를 가지는 갈바나이징 에어나이프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5731U (ko) * 1997-07-19 1999-02-18 김종진 에어나이프 장치
KR20020050858A (ko) 2000-12-22 2002-06-28 신현준 에어나이프의 노즐 갭 조절장치 및 그 방법
KR20030052337A (ko) 2001-12-21 2003-06-27 주식회사 포스코 강판 패싱라인의 움직임을 보상하는연속식용융도금공정에서의 에어나이프 간격 제어 장치 및방법
KR20040110831A (ko) * 2003-06-20 2004-12-31 주식회사 포스코 강판도금용 에어나이프
KR20070064145A (ko) 2005-12-16 2007-06-20 주식회사 케이씨텍 에어나이프 간격조절장치
KR20150074993A (ko) 2013-12-24 2015-07-02 주식회사 포스코 에어나이프의 노즐갭 조절장치
KR101583619B1 (ko) * 2014-07-16 2016-01-11 주식회사 삼우에코 스트립 표면의 이물질 제거노즐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5731U (ko) * 1997-07-19 1999-02-18 김종진 에어나이프 장치
KR20020050858A (ko) 2000-12-22 2002-06-28 신현준 에어나이프의 노즐 갭 조절장치 및 그 방법
KR20030052337A (ko) 2001-12-21 2003-06-27 주식회사 포스코 강판 패싱라인의 움직임을 보상하는연속식용융도금공정에서의 에어나이프 간격 제어 장치 및방법
KR20040110831A (ko) * 2003-06-20 2004-12-31 주식회사 포스코 강판도금용 에어나이프
KR20070064145A (ko) 2005-12-16 2007-06-20 주식회사 케이씨텍 에어나이프 간격조절장치
KR20150074993A (ko) 2013-12-24 2015-07-02 주식회사 포스코 에어나이프의 노즐갭 조절장치
KR101583619B1 (ko) * 2014-07-16 2016-01-11 주식회사 삼우에코 스트립 표면의 이물질 제거노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43917A (zh) * 2019-11-13 2020-01-03 甘肃酒钢集团宏兴钢铁股份有限公司 连续热镀锌铝镁的生产方法及气刀装置、气刀系统
CN110643917B (zh) * 2019-11-13 2021-07-30 甘肃酒钢集团宏兴钢铁股份有限公司 连续热镀锌铝镁的生产方法及气刀装置、气刀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6322B1 (ko) 2019-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26322B1 (ko) 에어나이프의 립 간격조절장치
US9389039B2 (en) Adjustable limb systems for archery bows
KR102080262B1 (ko) 살수장치가 구비된 건물 철거용 중장비
US8439566B2 (en) Wear pad adjustment assembly
RU2006105379A (ru) Устройство регулирования лопаток с изменяемым шагом в турбомашине
KR100957840B1 (ko) 분수 노즐 어셈블리
EP2990159B1 (de) Wasserstrahl-schneideinrichtung
KR20110105277A (ko) 유격조절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철재절단장치
KR100756563B1 (ko) 슬릿형 코팅장치
CN105171238A (zh) 激光焊接气体保护装置
US9097269B2 (en) Bracket assemblies for use with actuators
KR101583619B1 (ko) 스트립 표면의 이물질 제거노즐
CN208218948U (zh) 防松脱式引弧装置
CN205008742U (zh) 一种激光焊接气体保护装置
JP2010046631A (ja) 散水ノズル付き高所解体機
CA3122150C (en) Gauge wheel arm with split end and threaded bore
KR20090054575A (ko) 폐기변
KR20180089098A (ko) 조절기능을 갖는 나비힌지
KR20110110627A (ko)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장치
JP5228875B2 (ja) ハイハットシンバルの角度調整構造
JP2006102924A (ja) フライスカッター
KR102665896B1 (ko) 립간격 조절장치를 가지는 갈바나이징 에어나이프
KR101354888B1 (ko) 사출장치의 노즐 높이 조절장치
KR200409502Y1 (ko) 너트를 회전하는 높낮이 조절용 캐스터
CN114575216B (zh) 一种施工宽度自适应洒布装置及洒布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