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05277A - 유격조절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철재절단장치 - Google Patents

유격조절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철재절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05277A
KR20110105277A KR1020100024448A KR20100024448A KR20110105277A KR 20110105277 A KR20110105277 A KR 20110105277A KR 1020100024448 A KR1020100024448 A KR 1020100024448A KR 20100024448 A KR20100024448 A KR 20100024448A KR 20110105277 A KR20110105277 A KR 201101052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member
rotating
cutting
cover
clear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44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10346B1 (ko
Inventor
임종혁
박종호
박용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버다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버다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버다임
Priority to KR10201000244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0346B1/ko
Publication of KR201101052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52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03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03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15/00Shearing machines or shearing devices cutting by blades which move parallel to themselves
    • B23D15/04Shearing machines or shearing devices cutting by blades which move parallel to themselves having only one moving bla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15/00Shearing machines or shearing devices cutting by blades which move parallel to themselves
    • B23D15/12Shearing machines or shearing devices cutting by blades which move parallel to themselves characterised by drives or gearings therefor
    • B23D15/14Shearing machines or shearing devices cutting by blades which move parallel to themselves characterised by drives or gearings therefor actuated by fluid or gas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35/00Tools for shearing machines or shearing devices; Holders or chucks for shearing tools
    • B23D35/005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cutting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96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arrangements for alternate or simultaneous use of different digging elements
    • E02F3/965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arrangements for alternate or simultaneous use of different digging elements of metal-cutting or concrete-crushing imp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Abstract

철재절단장치에서 절단날들 사이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게 한 유격조절장치가 개시된다. 이를 위한, 유격조절장치는 상기 회전축과 몸체부재 사이에 회전가능하도록 개재되고, 일측은 상기 회전부재에 접촉되도록 형성된 지지부재와, 상기 회전축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에 일측이 각각 결합된 커버부재와, 상기 몸체부재와 상기 커버부재 사이에 개재되고, 개재된 개수에 따라 상기 지지부재와 상기 회전부재 사이의 유격이 조절될 수 있게 하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부재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절단날들 사이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게 하여 절단날들 사이에 피절단물이 끼이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유격조절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철재절단장치{APPARATUS FOR ADJUSTING CLEARANCE AND CUTTING APPARATUS FOR INCLUDONG IN THE SAME}
본 발명은 유격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철재를 절단하기 위한 철재절단장치에 포함된 유격조절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철재절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철재절단장치는 철재를 절단하는 장치이다. 종래의 철재절단장치의 구조의 일예로 몸체와, 몸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죠를 포함할 수 있다. 죠에는 절단날이 형성되어 있고, 몸체에서 죠의 절단날과 대응되는 부분에도 절단날이 형성된다. 몸체에 대해 죠를 회전시켜서 이러한 절단날들이 인접하게위치하도록 하여 철재의 특정 부분을 절단한다. 죠는 몸체 내에 배치된 유압실린더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한편, 죠는 회전축에 의해 몸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죠와 부시 사이에는 복수개의 쉼(shims)들이 배치되어 죠와 몸체 사이의 틈을 최소화한다. 죠가 몸체에 대해 회전되는 과정에서 죠와 부시 사이에서 마찰이 발생되게 된다. 이 경우, 죠와 부시가 접촉되는 면이 마모되는 현상이 나타나게 된다. 이로 인하여 죠가 회전축의 길이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는 축방향의 유격이 더욱 증가되어 절단날들 사이의 간격이 더욱 벌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죠의 절단날과 몸체의 절단날 사이의 간격이 유지되지 않게 되면, 철재절단장치의 절단성능이 저하된다. 뿐만 아니라, 얇은 철재가 절단날들 사이에 끼여 들어가게 된다.
통상적으로 철재절단장치에서는 죠를 오므리게하는 힘을 벌리는 힘보다 크게 하기 위하여 죠를 회전시키는 유압실린더의 축력이 크게 발휘되는 신장 방향으로 작동할 때 죠가 오므려지게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철재가 절단날들 사이에 끼이게 될 때는, 큰 힘으로 물려 들어가게 된다. 이때, 죠를 벌리는 힘은 죠를 오므리는 힘보다 상대적으로 약하기 때문에 유압실린더의 힘만으로는 죠를 벌릴 수 없다. 그러므로, 유압 잭이나 햄머등을 이용하여 죠를 벌리고, 이러한 조치로 충분하지 않을 때에는 가스토치로 열을 가하여 절단날 사이에 끼인 대상물을 제거한다. 이 경우, 대상물을 제거하는 과정에서 죠 또는 절단날들을 손상시키게 되고, 제거 작업 시간 동안 절단 작업이 멈추게 되므로 가동 효율이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철재절단장치를 장기간 사용하면서 죠와 부시가 접촉되는 면들의 마모가 진전되어 죠와 본체 사이의 틈이 커지게 되면, 쉼을 철재절단장치에 더 추가 조립하여 유격을 최소화 할 수 있다. 그러나, 쉼을 철재절단장치에 추가하기 위해서는 철재절단장치를 분해시켜야만 하기 때문에 많은 시간과 인력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철재절단장치에서 절단날들 사이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게한 유격조절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유격조절장치는 상기 회전축과 몸체부재 사이에 회전가능하도록 개재되고, 일측은 상기 회전부재에 접촉되도록 형성된 지지부재와, 상기 회전축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에 일측이 각각 결합된 커버부재와, 상기 몸체부재와 상기 커버부재 사이에 개재되고, 개재된 개수에 따라 상기 지지부재와 상기 회전부재 사이의 유격이 조절될 수 있게 하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격조절장치는 탄성부재의 개수를 조절하여 회전부재와 지지부재 사이의 유격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회전부재가 회전축을 따라 이동되지 않음으로써, 피절단물을 절단하기 위해 회전부재가 회전되어 과정에서 제1절단부와 제2절단부들 사이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유격조절장치는 지지부재에 대한 커버부재의 밀착된 정도에 따라 몸체부재와 회전부재의 간격을 조절하여 제1절단부와 제2절단부의 유격을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철재절단장치의 절단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종래의 철재절단장치와 다르게 몸체부재의 제2절단부와 회전부재의 제1절단부 사이에 철재가 끼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철재절단장치 전체를 분해하지 않고, 커버부재만 분리하여 탄성부재의 개수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유격 보정으로 인해 절단 작업이 장시간 멈추게 되는 일이 없어지게 되어 장비의 가동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유격조절장치를 포함하는 철재절단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유격조절장치를 포함하는 철재절단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유격조절장치를 포함하는 철재절단장치의 측면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철재절단장치에서 E-E 라인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철재절단장치에서 F-F 라인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유격조절장치에 포함된 탄성부재의 변형예를 도시한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유격조절장치를 설명하기에 앞서, 철재절단장치의 구조의 일예를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철재절단장치(10)는 회전부재(20)와, 몸체부재(30)와, 회전축(40)을 포함한다.
회전부재(20)에는 제1절단부(21)가 형성된다. 더욱 바람직하게, 회전부재(20)의 일단에는 제1절단부(21)가 형성된다. 제1절단부(21)일예로 금속재질의 절단날일 수 있다. 회전부재(20)의 타단에는 유압실린더(50)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유압실린더(50)는 회전부재(20)가 일정 각도로 회전 왕복운동 할 수 있게 한다. 단, 회전부재(20)의 타단에 유압실린더(50)가 결합된 것으로 한정하지는 않으며, 회전부재(20)를 회전 왕복운동 시킬 수 있는 것이면 어느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몸체부재(30)에는 제2절단부(31)가 형성된다. 이러한 몸체부재(30)는 회전부재(20)의 양면을 감싸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제2절단부(31)는 회전부재(20)가 회전 왕복운동함에 따라 제1절단부(21)와 가까워지거나 멀어지게 된다. 제2절단부(31)일예로 금속재질의 절단날일 수 있다.
철재절단장치(10)는 유압실린더(50)의 신장 및 수축에 의해 제1절단부(21)와 제2절단부(31)가 매우 인접하게 위치된 상태에서 철재의 절단이 이루어진다. 회전축(40)은 몸체부재(30)에 대해 회전부재(20)가 회전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즉, 회전축(40)은 몸체부재(30)의 일측과, 회전부재(20)와, 몸체부재(30)의 타측을 관통하게 결합된다. 본 발명의 유격조절장치는 제1절단부(21)와 제2절단부(31) 사이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게 하여 철재절단장치(10)에서 철재의 절단이 안정적으로 처리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유격조절장치는 지지부재(110)와, 커버부재(120)와, 탄성부재(130)를 포함한다.
지지부재(110)는 회전축(40)과 몸체부재(30) 사이에 회전가능하도록 개재된다. 지지부재(110)의 일측은 회전부재(20)에 접촉되도록 배치된다. 즉, 지지부재(110)에는 중공이 형성되고, 중공의 내경은 회전축(40)의 직경과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된다. 더욱 바람직하게 유격조절장치는 2개의 지지부재(110)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지지부재(110)는 회전축(4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회전부재(20)를 기준으로 회전부재(20)의 양면에 각각 배치된다.
커버부재(120)는 회전축(40)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커버부재(120)의 일측은 몸체부재(30)와 지지부재(110)에 각각 결합된다. 즉, 커버부재(120)는 철재절단장치(10)의 몸체부재(30)에서 회전축(40)이 관통되는 부분에 결합된다. 커버부재(120)와 몸체부재(30), 커버부재(120)와 지지부재(110)의 결합은 볼트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 단, 커버부재(120)와 몸체부재(30), 커버부재(120)와 지지부재(110)의 결합을 볼트로 한정하지는 않는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커버부재(120)는 지지부재(110)가 외부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커버부재(120)는, 후술한 탄성부재(130)가 외부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커버부재(120)에는 회전축(40)이 고정 결합됨으로써, 커버부재(120)에 의해 회전축(40)의 회전이 방지될 수 있다.
탄성부재(130)는 몸체부재(30)와 커버부재(120) 사이에 개재된다. 탄성부재(130)가 몸체부재(30)와 커버부재(120) 사이에 개재된 개수에 따라 지지부재(110)와 회전부재(20) 사이의 유격이 조절될 수 있다. 탄성부재(130)에 의해 지지부재(110)와 회전부재(20) 사이의 유격이 조절되는 것은 후술하기로 한다. 탄성부재(130)는 몸체부재(30)와 커버부재(120) 사이에 하나 또는 복수개가 개재될 수 있다. 이러한 탄성부재(130)의 일예로 와셔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유격조절장치에 의해 철재절단장치(10)의 제1절단부(21)와 제2절단부(31) 사이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을 설명한다. 철재 등의 피절단물을 절단하기 위하여 철재절단장치(10)가 동작되는 과정에서 회전부재(20)가 특정 각도로 회전 왕복하게 된다. 여기서, 지지부재(110)는 회전되지 않으므로 지지부재(110)와 회전부재(20)가 접촉되는 면들(22, 112)이 서로 마찰된다. 이에 따라, 각각의 면들(22, 112)에 마모가 발생되고, 지지부재(110)와 회전부재(20) 사이에 유격이 발생하게 된다. 이 경우, 지지부재(110)와 회전부재(20)가 마모되어 서로 이격된 거리만큼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탄성부재(130)를 제거한다. 이에 따라, 커버부재(120)가 회전부재(20)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커버부재(120)가 지지부재(110)를 회전부재(20)측으로 이동시켜서 지지부재(110)와 회전부재(20) 사이의 유격이 제거될 수 있다. 즉, 철재절단장치(10) 전체를 분해하지 않고도 간단하게 유격을 보정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유격조절장치는 탄성부재(130)의 개수를 조절하는 것 만으로 회전부재(20)와 지지부재(110) 사이의 유격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회전부재(20)와 지지부재(110) 사이의 유격이 제거되어 회전부재(20)가 회전축(40)을 따라 이동되지 않음으로써, 피절단물을 절단하기 위해 회전부재(20)가 회전되는 과정에서 제1절단부(21)와 제2절단부(31)들 사이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유격조절장치는 지지부재(110)에 대한 커버부재(120)의 밀착된 정도에 따라 몸체부재(30)와 회전부재(20)의 간격을 조절하여 제1절단부(21)와 제2절단부(31)의 유격을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철재절단장치(10)의 절단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종래의 철재절단장치(10)와 다르게 몸체부재(30)의 제2절단부(31)와 회전부재(20)의 제1절단부(21) 사이에 철재가 끼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지지부재(110)에 대한 커버부재(120)의 밀착 정도는 몸체부재(30)와 커버부재(120) 사이에 개재된 탄성부재(130)의 개수를 조절하여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지지부재(110)에 대한 커버부재(120)의 밀착된 정도는 지지부재(110)와 커버부재(120)를 체결하는 볼트를 조이거나 풀어서 제어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철재절단장치(10) 전체를 분해하지 않고, 커버부재(120)만 분리하여 탄성부재(130)의 개수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유격 보정으로 인해 절단 작업이 장시간 멈추게 되는 일이 없어지게 되어 장비의 가동 효율을 높일 수 있다.
한편, 탄성부재(230, 도 6참조)의 다른 일예로, 특정 폭으로 이루어진 아크(Arc)형상의 와셔(Washer)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탄성부재(230)는 반원 형상일 수 있다. 이러한 탄성부재(230)에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홀(231)과 탈착홈(232)이 형성될 수 있다. 고정홀(231)은 탄성부재(230)를 특정 직경으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탄성부재(230)가 몸체부재(30)와 커버부재(120) 사이에 개재된 상태에서 고정핀 또는 볼트 등으로, 커버부재(120)와 탄성부재(230)의 고정홀(231)과 몸체부재(30)를 관통시켜서 탄성부재(230)가 몸체부재(30) 또는 커버부재(120)로부터 분리되지 않게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 고정홀(231)은 탄성부재(230)의 양단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이는, 탄성부재(230)가 몸체부재(30)와 커버부재(120) 사이에 개재된 상태에서 더욱 안정적으로 고정되게 하기 위함이다.
탈착홈(232)은, 탄성부재(230)가 외부로부터 커버부재(120)와 몸체부재(30) 사이에 용이하게 탈착될 수 있게 한다. 이를 위한 탈착홈(232)은 입구가 개구되게 형성된다. 더욱 바람직하게, 탈착홈(232)의 형상은, 탄성부재(230)가 몸체부재(30)와 커버부재(120) 사이에 끼워지는 방향으로 개구되게 형성된 것이다. 몸체부재(30)와 커버부재(120)는 고정핀 또는 볼트 등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와셔(230)에 탈착홈(232)이 형성됨으로써, 와셔(230)가 몸체부재(30)와 커버부재(120) 사이에 개재되는 과정에서 탈착홈(232)에 의해 고정핀 또는 볼트가 와셔(230)를 간섭하지 않게 된다. 이에 따라, 와셔(230)의 교체가 필요한 경우, 커버부재(120)를 체결하는 고정핀 또는 볼트 전체를 풀지 않더라도, 교체해야 될 와셔(230)를 용이하게 제거하고, 새로운 와셔를 몸체부재(30)와 커버부재(120) 사이에 용이하게 개재할 수 있다.
한편, 와셔(230)가 몸체부재(30)와 커버부재(120) 사이에 개재된 상태에서는 고정핀 또는 볼트로 와셔(230)의 고정홀(231)을 관통시켜서 와셔(230)가 몸체부재(30)와 커버부재(120)로부터 분리되지 않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와셔(230)를 몸체부재(30)와 커버부재(120)로부터 분리시키는 경우에는, 와셔(230)의 고정홀(231)에 끼워진 고정핀 또는 볼트만 분리시키고, 와셔(230)의 탈착홈(232)에 끼워진 고정핀 또는 볼트는 몸체부재(30)와 커버부재(120) 사이의 간격이 발생되어 와셔(230)가 분리될 수 있을 때까지만 푼다. 이 과정에서는 전술한 바와 다르게 커버부재(120)를 몸체부재(30)로부터 분리시키지 않아도 된다. 따라서, 탄성부재(230)에 의해 철재절단장치(10)를 메인터넌스하는 시간이 종래의 철재절단장치를 메인터넌스 하는 시간보다 현저히 감소됨으로써, 철재절단장치(10)의 가동 효율을 더욱 높일 수 있다.
한편, 회전축(40)에는 걸림부(41)가 형성될 수 있고, 커버부재(120)에는 제1회전방지홀(121)이 형성될 수 있다. 걸림부(41)는 회전축(40)의 양단에 형성된다. 걸림부(41)은 회전축(40)의 양단으로부터 다각형 형상으로 돌출형성된다. 제1회전방지홀(121)은 회전축(40)의 걸림부(41)가 수용되도록 커버부재(120)의 적어도 일부에 관통되게 형성된다. 더욱 바람직하게. 제1회전방지홀(121)은 걸림부(41)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걸림부(41)는 제1회전방지홀(121)에 억지끼움 결합될 수 있다. 단, 걸림부(41)가 제1회전방지홀(121)에 억지끼움 결합되는 것으로 한정하지는 않는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회전축(40)이 커버부재(120)에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 결합됨으로써, 회전부재(20)가 회전되는 과정에서 회전축(40)이 회전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한편, 회전축(40)은 돌출부(42)를 포함하고, 돌출부(42)에는 너트(140)가 결합될 수 있다. 돌출부(42)는 회전축(40)의 걸림부(41)의 단부로부터 돌출형성되어 적어도 일부가 커버부재(120)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렇게 돌출된 부분에는 너트(140)가 결합된다. 회전축(40)은 회전되는 과정에서 이러한 너트(140)에 의해 커버부재(120)에 안정적으로 고정된다.
이 경우, 유격조절장치는 풀림방지부재(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풀림방지부재(150)는 너트(140)의 풀림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한 풀림방지부재(150)는 너트(140)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도록 형성되고, 커버부재(120)에 고정결합된다. 이를 위해 풀림방지부재(150)에는 너트(140)의 둘레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으로 관통되게 형성된 홀이 형성된다. 철재절단장치(10)가 동작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진동이 너트(140)에 전달되더라도, 너트(140)가 풀림방지부재(150)에 의해 회전축(40)으로부터 풀리지 않게 된다.
한편, 지지부재(110)에는 고정홈(111)이 형성되고, 커버부재(120)에는 제2회전방지홀(122)이 형성될 수 있다. 고정홈(111)은 지지부재(110)에서 커버부재(120)가 접촉되는 면(113)에 형성된다. 제2회전방지홀(122)은 커버부재(120)에서 지지부재(110)의 고정홈(111)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그리고, 지지부재(110)는 고정홈(111)과 제2회전방지홀(122)을 관통하는 체결부재(160)에 의해 커버부재(120)에 고정결합된다. 이러한 커버부재(120)의 제2회전방지홀(122)과, 지지부재(110)의 고정홈(111)과, 체결부재(160)에 의해 회전부재(20)가 회전되는 과정에서 지지부재(110)가 회전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 철재절단장치 20 : 회전부재
21 : 제1절단부 30 : 몸체부재
31 : 제2절단부 40 : 회전축
41 : 걸림부 42 : 돌출부
50 : 유압실린더 110 : 지지부재
111 : 고정홈 120 : 커버부재
121 : 제1회전방지홀 122 : 제2회전방지홀
130,230 : 탄성부재 231 : 고정홀
232 : 탈착홈 140 : 너트
150 : 풀림방지부재 160 : 체결부재
170 : 고정핀(볼트)

Claims (6)

  1. 제1절단부가 형성된 회전부재와, 제2절단부가 형성되고 상기 회전부재의 양면을 감싸도록 형성된 몸체부재와, 상기 몸체부재에 대해 상기 회전부재가 회전될 수 있도록 형성된 회전축을 포함하는 철재절단장치에 포함된 유격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과 몸체부재 사이에 회전가능하도록 개재되고, 일측은 상기 회전부재에 접촉되도록 형성된 지지부재;
    상기 회전축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에 일측이 각각 결합된 커버부재; 및
    상기 몸체부재와 상기 커버부재 사이에 개재되고, 개재된 개수에 따라 상기 지지부재와 상기 회전부재 사이의 유격이 조절될 수 있게 하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부재;
    를 포함하는 유격조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특정 폭으로 이루어진 아크(Arc)형상의 와셔(Washer)이고,
    상기 탄성부재에는 특정 직경으로 관통되게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고정홀이 형성되며,
    상기 탄성부재가 외부로부터 상기 커버부재와 상기 몸체부재 사이에 용이하게 탈착가능하도록, 상기 탄성부재에는 입구가 개구되게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탈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격조절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의 양단에는 다각형 형상으로 돌출형성된 걸림부가 형성되고,
    상기 커버부재에는 상기 회전축의 걸림부가 수용되도록 관통 형성된 제1회전방지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격조절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은 상기 걸림부의 단부로부터 돌출형성되어 적어도 일부가 상기 커버부재로부터 돌출되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에는 너트가 결합되며,
    상기 너트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커버부재에 고정결합되어 상기 너트의 풀림을 방지하는 풀림방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격조절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에서 상기 커버부재가 접촉되는 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홈이 형성되고,
    상기 커버부재에는 상기 지지부재의 고정홈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2회전방지홀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고정홈과 상기 제2회전방지홀을 관통하는 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커버부재에 고정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격조절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구조로 이루어진 유격조절장치를 포함하는 철재절단장치.
KR1020100024448A 2010-03-18 2010-03-18 유격조절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철재절단장치 KR1011103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4448A KR101110346B1 (ko) 2010-03-18 2010-03-18 유격조절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철재절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4448A KR101110346B1 (ko) 2010-03-18 2010-03-18 유격조절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철재절단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5277A true KR20110105277A (ko) 2011-09-26
KR101110346B1 KR101110346B1 (ko) 2012-04-05

Family

ID=449556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4448A KR101110346B1 (ko) 2010-03-18 2010-03-18 유격조절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철재절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034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4912B1 (ko) * 2012-04-23 2013-04-15 주식회사 제이케이 중장비용 절단기의 간극 조절장치
KR20180062878A (ko) * 2016-12-01 2018-06-11 삼일산업기계 (주) 절단기
CN109551043A (zh) * 2013-04-09 2019-04-02 创元配件有限责任公司 拆除剪及拆除剪的刺尖插件和端头部配件
KR20210087826A (ko) * 2020-01-03 2021-07-13 대모 엔지니어링 주식회사 건설장비용 죠오 어셈블리 구조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4913B1 (ko) 2012-04-23 2013-04-19 주식회사 제이케이 굴삭기의 어태치먼트용 유격 조절장치
KR101524665B1 (ko) * 2013-12-11 2015-06-03 정수동 고형물 쇄석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66088A (ja) 2002-08-05 2004-03-04 Komatsu Ltd 破砕機およびそれを搭載した自走式破砕装置
KR200319901Y1 (ko) 2003-03-31 2003-07-18 주식회사 대호기공 유압파쇄기의 크러셔 죠 간극조정장치
KR100660526B1 (ko) * 2004-10-22 2006-12-26 주식회사 한우티엔씨 철재 절단파쇄기의 죠 유격조절장치
KR200381253Y1 (ko) 2005-01-04 2005-04-14 대모 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유압절단기의 가동아암 벌어짐 방지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4912B1 (ko) * 2012-04-23 2013-04-15 주식회사 제이케이 중장비용 절단기의 간극 조절장치
CN109551043A (zh) * 2013-04-09 2019-04-02 创元配件有限责任公司 拆除剪及拆除剪的刺尖插件和端头部配件
KR20180062878A (ko) * 2016-12-01 2018-06-11 삼일산업기계 (주) 절단기
KR20210087826A (ko) * 2020-01-03 2021-07-13 대모 엔지니어링 주식회사 건설장비용 죠오 어셈블리 구조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10346B1 (ko) 2012-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10346B1 (ko) 유격조절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철재절단장치
US7434502B2 (en) Bar knob with cam-operated locking mechanism
CA2802602C (en) Roller for high pressure roller grinder, roller grinder, and method for assembling a roller for a roller grinder
KR102383406B1 (ko) 토목 기계의 마모 부재를 위한 잠금장치
CA2620231C (en) Swing arm assembly with replaceable insert for use with a debarker apparatus
JPH0235171A (ja) 破砕機における旋回調整装置
AU2011253666B2 (en) Pick Assembly
TWI547649B (zh) 固定裝置
US5996655A (en) Pivoting knife clamp
KR20090046452A (ko) 파이프 절단 장치
KR101803581B1 (ko) 건설기계 어태치먼트의 퀵 클램프 유격 조절장치
JP4584875B2 (ja) 燃料噴射弁分解用治具
KR200463053Y1 (ko) 철재 절단기
EP2039234A1 (en) Flail device and method for coupling and uncoupling a flail
DK2780623T3 (en) Device and system for removing pipe renovation material from pipe and use of such unit
RU2697083C1 (ru) Молотковая система для вала соломоизмельчителя с крепежным отверстием в консоли и вал соломоизмельчителя
KR101103988B1 (ko) 건설 중장비 구조물의 회전체 틈새 조정 및 이물질방지장치
KR100625093B1 (ko) 철재절단기의 죠 유격조절장치
KR101161306B1 (ko) 건설기계의 유압실린더용 피스톤 록킹 구조
KR100874215B1 (ko) 유압절단기의 가동암 유격조절장치
US9574330B2 (en) Retention system for a wear member
KR20200089525A (ko) 파이프용 클램프
JP3246223U (ja) スパナ
KR101541492B1 (ko) 하우징 커버용 스윙 볼트 어셈블리
KR20020046544A (ko) 안전장치가 있는 기어풀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6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