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95390A - 마찰식 피팅 및/또는 일체식 커플링 부싱이 있는 이송 롤러 - Google Patents

마찰식 피팅 및/또는 일체식 커플링 부싱이 있는 이송 롤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95390A
KR20190095390A KR1020197020471A KR20197020471A KR20190095390A KR 20190095390 A KR20190095390 A KR 20190095390A KR 1020197020471 A KR1020197020471 A KR 1020197020471A KR 20197020471 A KR20197020471 A KR 20197020471A KR 20190095390 A KR20190095390 A KR 201900953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coupling bushing
roller body
circumferential surface
radial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204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리 린데만
도미니크 란겐시에펜
라인홀드 바이흐브로트
Original Assignee
인테롤 홀딩 악팅 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테롤 홀딩 악팅 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인테롤 홀딩 악팅 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201900953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539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9/00Rollers, e.g. drive rollers, or arrangements thereof incorporated in roller-ways or other types of mechanical conveyors 
    • B65G39/02Adaptations of individual rollers and supports therefor
    • B65G39/09Arrangements of bearing or seal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3/00Roller-ways
    • B65G13/02Roller-ways having driven rollers
    • B65G13/06Roller driv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3/00Driving gear for endless conveyors; Belt- or chain-tensioning arrangements
    • B65G23/02Belt- or chain-engaging elements
    • B65G23/04Drums, rollers, or wheels
    • B65G23/08Drums, rollers, or wheels with self-contained driving mechanisms, e.g. motors and associated gea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8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weld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1/00Couplings for rigidly connecting two coaxial shafts or other movable machine elements
    • F16D1/06Couplings for rigidly connecting two coaxial shafts or other movable machine elements for attachment of a member on a shaft or on a shaft-end
    • F16D1/064Couplings for rigidly connecting two coaxial shafts or other movable machine elements for attachment of a member on a shaft or on a shaft-end non-disconnectable
    • F16D1/068Couplings for rigidly connecting two coaxial shafts or other movable machine elements for attachment of a member on a shaft or on a shaft-end non-disconnectable involving gluing, welding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1/00Couplings for rigidly connecting two coaxial shafts or other movable machine elements
    • F16D1/06Couplings for rigidly connecting two coaxial shafts or other movable machine elements for attachment of a member on a shaft or on a shaft-end
    • F16D1/08Couplings for rigidly connecting two coaxial shafts or other movable machine elements for attachment of a member on a shaft or on a shaft-end with clamping hub; with hub and longitudinal ke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1/00Couplings for rigidly connecting two coaxial shafts or other movable machine elements
    • F16D1/10Quick-acting couplings in which the parts are connected by simply bringing them together axially
    • F16D1/104Quick-acting couplings in which the parts are connected by simply bringing them together axially having retaining means rotating with the coupling and acting only by fri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1/00Couplings for rigidly connecting two coaxial shafts or other movable machine elements
    • F16D1/10Quick-acting couplings in which the parts are connected by simply bringing them together axially
    • F16D2001/103Quick-acting couplings in which the parts are connected by simply bringing them together axially the torque is transmitted via splined connections

Abstract

본 발명은 용기, 팔레트 등을 이송하기 위한 이송 설비용 모터 구동식 이송 롤러(1)에 관한 것으로, 외부 원주면이 물품에 대한 지지면을 구성하는 롤러 본체(2)를 가지며, 상기 롤러 본체(2)의 내부에 배치된 구동 유닛(18)을 가지며, 상기 구동 유닛(18)으로부터 상기 롤러 본체(2)의 내부(14)의 내부 원주면(12)으로 토크를 전달하도록 설계되고, 상기 구동 유닛(18)에 연결된 구동부와 외주 출력부(52)를 갖는 커플링 부싱(50)을 갖는 커플링 유닛(30)을 가지며, 상기 커플링 부싱(50)은 특정 지점에서만 토크 전달 목적으로 마찰식 피팅 및/또는 일체식으로 상기 롤러 본체(2)의 내부 원주면(12)에 연결된다.

Description

마찰식 피팅 및/또는 일체식 커플링 부싱이 있는 이송 롤러
본 발명은 용기, 팔레트 등을 이송하기 위한 이송 설비용 모터 구동식 이송 롤러에 관한 것으로, 외부 원주면(outer circumferential surface)이 물품에 대한 지지면을 구성하는 롤러 본체를 가지며, 롤러 본체의 내부에 배치된 구동 유닛을 가지며, 구동 유닛으로부터 롤러 본체의 내부의 내부 원주면으로 토크를 전달하도록 설계되고 구동 유닛에 연결된 구동부와 외주(outer peripheral) 출력부를 갖는 커플링 부싱을 갖는 커플링 유닛을 갖는다.
이러한 유형의 모터 구동식 이송 롤러는 물류 어플리케이션에서 다른 용도로 사용된다. 따라서 예를 들어 소포 분배 센터에서 소포 이송, 여러 유형의 창고에서 컨테이너 이송 또는 공항에서 짐을 수송하기 위한 팔레트 이송에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모터 구동식 이송 롤러는 보통 이송 경로에서 사용되며, 나란히 배치된 복수개의 롤러를 포함하며, 그 상부 원주면은 각 경우에 품목을 수용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으로, 이러한 이송 경로는 구동되지 않고 이송 프레임 워크 내에서 단지 회전 가능한 방식으로 장착되는 아이들러 롤러(idler roller)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이송 경로는 모터 구동식이며, 전기 구동 유닛에 의해 회전되는 피구동 이송 롤러를 포함하는 경우이다. 이들 모터 구동식 이송 롤러는 구동 유닛이 롤러 자체 내에 배치되도록 구성되므로, 롤러를 회전 시키기 위해 롤러 본체의 외부에 배치되는 어떠한 기계적 구성 요소도 필요하지 않다. 한편으로, 모터 구동식 이송 롤러는 롤러 본체의 외부 원주면을 통해 직접 물품을 수송하는 기능을 한다. 다른 한편으로는, 예를 들어 벨트 구동과 같은 변속 요소에 의해 모터 구동식 이송 롤러의 회전을 하나 이상의 아이들러 롤러에 전달함으로써, 모터 구동식 이송 롤러는 아이들러 롤러를 회전하게 할 수 있어, 물품이 또한 아이들러 롤러의 외부 원주면을 통해 구동된다.
EP 1 656 312 B1은 구동 유닛이 이송 롤러 내에 배치되는 경우 모터 구동식 이송 롤러를 개시한다. 이 모터 구동식 이송 롤러는 탄성 가압 링이 삽입되는 V 자 형상을 원주로 규정하는 제1 및 제2 디스크를 포함하는 가압 유닛을 구비한다. 두 개의 디스크는 구동 유닛의 원추형 구동 샤프트에 밀어 넣고 중앙 나사를 사용하여 함께 밀어 넣을 수 있다. 이 공정에서, 압입(force-fitting) 토크 저항을 갖는 구동 샤프트로의 연결이 2 개의 디스크 중 하나의 디스크 사이에 형성됨과 동시에, 가압 링은 롤러 본체의 내부 원주로 도입될 수 있는 상태로부터 강제로 함께 클램프되는 상태로 이동될 수 있으며, 방사상 외부 방향으로 변형될 수 있으며, 따라서 V자 형상을 형성하는 디스크의 2개의 원추형 클램핑면에 대해 및 롤러 본체의 내부 원주면에 대해 모두에서 압입(press fit)을 형성한다. 구동 유닛의 구동 모멘트는 상기 압입 커플링의 결과로서 롤러 본체로 전달된다.
여기서 잡음 전개가 높을 수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따라서, DE 20 2012 005 380 U1 은 커플링 유닛에 의해 구동 유닛으로부터 롤러 본체 내부의 내부 원주면으로 토크가 전달되는 개선된 이송 롤러를 제안하고, 이는 클램핑 부싱, 클램핑 부싱과 관련하여 축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는 클램핑 링, 클램프 위치에서 클램핑 부싱에 대한 클램핑 링의 축방향 위치를 유지하기 위한 고정 요소, 및 클램프 위치에서 클램핑 부싱의 클램핑면과 클랭핑 링의 클램핑 면 사이에서 고정되는 가압 링을 포함하며, 클램프 위치에 있는 경우 외부 원주에서 롤러 본체의 내부의 내부 원주면과 마찰 맞춤된다. 여기서 커플링 요소의 클램핑 부싱은 내부 캐비티를 가지며, 고정 요소는 상기 캐비티에 대한 방사상 외부 방향으로 배치된다.
두 솔루션은 토크를 전달하기에 적합한 것으로 증명되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특히 허용 범위가 변동하는 경우, 예비 응력(prestressing)의 수준이 너무 높을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고, 이 결과 롤러 본체의 외부면 상에 형성되는 볼록함을 초래할 수 있다. 이는 롤러가 동작 중에 있는 경우에는 매우 바람직하지 않다.
윤활된 모터 구동식 이송 롤러에서는 마찰식 피팅이 오일 필름에 의해 손상될 수 있다는 문제도 있다. 설치 도중 또는 설치 전에 롤러 본체를 내부로부터 청소할 수는 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방식으로는 작동 중을 포함하여 오일로부터의 영구적 자유가 달성될 수는 없다.
또한, DE 10 2015 120 922 A1 은 연결 요소, 중간 요소 및 결합 요소를 갖는 동력 전달 요소가 사용되는 해결책을 제안하였다. 연결 요소는 환형 영역을 갖는다. 환상 영역의 외주면에는 원호형의 영역이 제공되고, 환상 영역의 내주면에는 요철 영역이 제공되어 있다. 결합 요소는 돌출부 및 샤프트 삽입 구멍을 갖는다. 연결 요소의 원호형 영역은 롤러 본체의 내주면과 접촉하고, 연결 요소와 롤러 본체는 고정 장치에 의해 서로 단단히 연결된다. 중간 요소는 요철 영역 및 돌출부와 결합하고, 결합 요소의 샤프트 삽입 구멍은 롤러 본체의 중심에 유지되고, 구동 유닛은 샤프트 삽입 구멍과 결합한다. 토크 전달 목적을 위해, 개별 돌출부 또는 핀이 제공되며, 상기 돌출부 또는 핀은 롤러 본체의 내주면으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되고 연결 요소의 구멍에 결합할 수 있다.
구동 유닛과 롤러 본체 사이의 폼 피팅(form-fitting) 결합으로 인하여, 과도한 가압 동작으로 인한 롤로 본체 변형의 문제는 회피되나, 디자인이 매우 복잡하게 된다. 또한, 제조 과정에서 좁은 공차가 유지되어야 하므로, 비용이 많이 든다. 또한, 유지 보수 또한 문제가 있는데, 특히 폼 피팅 연결에 결함이 있는 경우이다. 클램핑 연결의 경우, 종래 기술에서 공지인 것처럼, 간편한 재조정이 수행될 수 있는 반면, 폼 피팅 연결은 부품이 교체될 것을 요구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도입부에서 언급된 단순한 설계의 이송 롤러를 특정하는 것으로, 이 경우, 공차가 넓은 경우라도, 롤러 본체의 변형없이 토크가 구동부로부터 이송 롤러로 신뢰성 있게 전달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은, 도입부에서 언급된 유형의 모터 구동식 이송 롤러의 경우에, 커플링 부싱이 특정 지점에서만 토크 전달 목적으로 마찰식 피팅 및/또는 일체식으로 롤러 본체의 내부 원주면에 연결된다는 점에서 본 발명에 의해 달성된다.
원주 방향 마찰식 피팅 연결 또는 폼 피팅 연결이 제공되는 종래 기술과는 대조적으로, 본 발명은 특정 지점에서의 마찰식 피팅 연결 또는 특정 지점에서 일체식 연결을 사용하는 것을 제안한다. 마찰식 피팅 및 일체식 연결은 모두 폼 피팅 연결과 관련하여 상당히 단순화된 디자인이다. 이들은 폼 피팅 연결보다 상당히 높은 공차를 허용하며, 그 결과 제조 비용이 감소된다. 특정 지점에서의 마찰식 피팅 연결은 원주 방향 마찰식 연결과 관련하여 마찬가지로 단순화되며, 이는 더 높은 공차를 허용한다. 이는 불충분한 공차로 인한 과도한 가압 동작의 문제를 피하고 따라서 제조가 전체적으로 단순화되고 이송 롤러는 보다 비용 효율적으로 생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해 제안된 바와 같은 특정 지점에서의 마찰식 피팅 연결은 롤러 본체의 내부 원주 표면 상에 존재하는 오일이 보다 쉽게 제거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은 오일 윤활된 이송 롤러의 경우에도, 수행되어야하는 번거로운 탈지 작업 없이 또는 작동 중에 마찰 맞춤이 악화되지 않으면서 효과적인 마찰식 피팅 연결을 달성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은 모터 구동식 이송 롤러의 경우, 전달되어야 하는 매우 높은 모멘트가 없으므로, 모멘트 전달 목적을 위해 현저하게 큰 표면적을 제공하는, 원주 방향 마찰식 연결과는 대조적으로, 특정 지점에서의 마찰식 피팅 연결로 충분하다. 이는 특정 지점에서 마찰식 피팅 연결의 이점 특히 제조 공차에 대한 보상을 활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여, 결과적으로 제조가 간단해진다. 특정 지점에서 제조 공차가 설정되면 이를 보상할 수 있기 때문에, 일체식 연결에 의해서도 비슷한 이점이 제공된다. 따라서 두 가지 변형은 동등한 조치로 선호되며, 동일한 문제를 해결한다.
제1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커플링 부싱의 출력부는 롤러 본체의 내부 원주면과 접촉하도록 제공되는 복수의 방사상 노우즈들을 갖는다. 따라서, 노우즈들은 접촉 지점을 형성하며, 이 지점에서, 커플링 부싱과 롤러 본체 사이에 마찰식 피팅 연결이 형성된다. 노우즈들은 바람직하게는 단면이 둥글게 설계되고 및/또는 약간 사다리꼴 형상을 가지며, 방사상 외측 단부에서 약간의 고원(plateau)을 형성한다. 노우즈들은 바람직하게는 대략 부분적으로 원통형인 외형을 가지며, 커플링 부싱에 걸쳐 적어도 어느 정도, 바람직하게는 전체 범위에 걸쳐, 축 방향으로 연장된다.
방사상 노우즈들들이 함께 내부 원주면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노우즈들들이 대형이기 때문에 커플링 부싱과 롤러 본체 사이에 특히 양호한 마찰식 피팅 연결을 달성하고, 따라서 커플링 부싱은 롤러 본체 내로 예비 응력을 가하여 삽입된다.
이 목적을 위해, 노우즈들은 바람직하게는 순응 설계(compliant design)를 갖는다. 노우즈들의 순응 설계는 롤러 본체가 커플링 부싱에 의해 받는 방사상으로 작용하는 힘을 제한하여, 결과적으로 롤러 본체의 변형이 효과적으로 회피될 수 있다.
노우즈들은 바람직하게는 내부가 중공 설계되어 있다. 이것은 노우즈들이 방사상으로 압축되어 일정한 순응도를 달성할 수 있게 한다. 노우즈들들은 예를 들어, 롤러 본체를 방사상으로 가압하기 위해 탄성적으로 작용하는 시트 금속 부분의 형태로 설계될 수 있으며, 따라서 마찰식 피팅 연결이 커플링 부싱과 롤러 본체 사이에 형성된다. 특히 이런 측면에 관해서는, 노우즈들들이 미리 정의된 알려진 스프링 상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일정한 공차 편차가 있는 경우에도 정의된 범위 내에 있고 커플링 부싱에서 롤러 본체로 토크를 전달하고 오일을 제거하기에 충분히 높은 방사상의 가압력을 제공할 수 있게 하지만, 동시에, 롤러 본체의 변형을 피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출력부는 롤러 본체의 내부 원주면에 용접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러한 용접은 토크가 소정의 일체식으로 연결된 지점에서만 커플링 부싱으로부터 롤러 본체로 전달될 수 있게 하기 위해 특정 지점에서만 제공된다. 출력부는 스폿 용접에 의해 롤러 본체의 내부 원주면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롤러 본체에는 일반적으로 열 유입이 많은 경우 손상되는 아연 층이 제공된다. 스폿 용접의 경우 열 입력 수준이 매우 낮다. 이는 커플링 부싱이 롤러 본체의 외부 측면상의 아연 코팅의 시각적 외관 또는 구조 토폴로지에 어떠한 수정없이 롤러 본체에 일체식으로 연결될 수 있게 한다. 이는 특히 스폿 용접 중에 최소 수준의 에너지 및 열의 입력에 의해 달성된다. 이 경우, 에너지 및 열의 입력이 특히 낮은 수준으로 유지될 수 있기 때문에 특히 바람직한 것을 레이저 스폿 용접이다.
예를 들어, 방사상 노우즈들 영역에 스폿 용접 연결이 제공된다. 예비 응력으로 인하여, 방사상의 노우즈들은 내부 원주면에 대해 영구적으로 돌출(butt)하고, 따라서 이 부분들은 스폿 용접에 의해 일체식으로 연결하기에 특히 적합하다. 일정한 치수 편차의 경우에도, 커플링 부싱과 내부 원주면 사이의 양호한 어버트먼트(abutment)가 이들 부분에서 달성되고, 이는 스폿 용접을 허용한다.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3 내지 20개,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5개, 특히 바람직하게는 7 내지 10개의 개별 연결 지점이 출력부의 원주 둘레에 제공되고, 상기 커플링 부싱은 상기 연결 지점에서 상기 롤러 본체의 내부 원주면에 연결된다. 양호한 토크 전달을 달성하고 동시에 롤러 본체의 회전 축 상에서 축 방향 및 수직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조차도 흡수하기 위해서는 연결점이 3 내지 20개, 특히 바람직하게는 7 내지 10개로 충분하다는 것이 밝혀졌다. 전술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이는 3 내지 20개의 노우즈들 및/또는 3 내지 20개의 용접 스폿이 제공됨을 의미한다. 개개의 개별 연결점은 바람직하게는 원주 둘레에 균일하게 분포된다. 정확한 수는 전달될 토크 및 롤러 본체의 지름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커플링 부싱은 2 개 이상의 부분으로 이루어지며, 출력부를 형성하는 방사상 외측 부분과 샤프트/허브 연결부의 일부를 형성하는 방사상 내측 부분을 가지며, 구동 장치의 출력 샤프트에 연결된다. 내측 부분은 샤프트/허브 연결부의 일부를 형성하기 때문에, 구동 장치의 출력 샤프트에 특히 직접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 장치의 출력 샤프트는 다각형 프로파일을 가지며, 커플링 부싱의 내측 부분은 구동 장치의 출력 샤프트의 다각형 스터브(stub)에 해당하는 다각형 소켓을 가지고 있다. 또한 바람직한 샤프트/허브 연결은 키웨이/키 연결, 클램핑 연결 등이다. 치형 연결(toothed connection)도 생각할 수 있으며 선호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내측 부분으로부터 외측 부분으로의 토크 전달을 보장하기 위해 내측 부분이 외측 부분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드라이브 관련 자링(jarring), 다른 충격 또는 진동을 보상하기 위해 내부 및 외측 부분이 서로 탄력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방사상 외측 부분은 주름진 시트 금속 스트립의 형태로 설계되고,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스프링 강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주름진 시트 금속 스트립은 예를 들어 내측 부분의 본질적으로 원통형인 원주면 상에 위치될 수 있다. 방사상 외측 부분이 주연면 상에 예비 응력을 가하여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일단 롤러 본체 내로 가압되면, 방사상 외측 부분이 내측 부분의 원주면과 롤러 본체 모두에 마찰식 피팅 방식으로 연결되도록 압축되어, 토크는 방사상 내측 부분으로부터 방사상 외측 부분을 통해 롤러 본체로 전달될 수 있다.
또한, 방사상 내측 부분에 대한 회전에 대하여 방사상 외측 부분을 고정하기 위한 예를 들면 폼 피팅 회전-방지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 또한 바람직하다. 이러한 회전 방지 수단은 특정 회전(특히, 몇 도)후에 결합하여 더 이상의 회전을 방지 하는 한 일정량의 회전을 허용할 수 있다. 회전 방지 수단은, 특히 고 토크가 전달되어야 하는 경우에, 내측 부분과 외측 부분 사이의 마찰 피팅 연결이 불충분 할 때 결합되어야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회전 방지 수단은, 방사상 외측 부분 타격의 원주 단부가 충돌하는 것에 대해 스톱(stop) 형태로 설계된다. 이 경우, 회전 방지 수단은 폼 피팅 방식으로 동작한다. 대안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일체식으로 작용하는 회전 방지 수단이 또한 고려될 수 있고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방사상 외측 부분은 하나 이상의 용접 스폿에 의해 방사상 내측 부분에 고정될 수 있다. 방사상 외측 부분이 핀 배열에 의해 폼 피팅 방식으로 방사상 내측 부분에 연결되는 것도 고려할 수 있다.
양호한 전개예에서, 방사상 내측 부분은 유연한 재료, 특히 엘라스토머 재료로 형성된다. 이는 드라이브의 내측 부분과 출력 샤프트 사이의 샤프트/허브 연결 이 회전 방향으로 탄성적이며, 따라서 자링(jarring)이나 다른 형태의 하중을 흡수 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탄성 구성 요소의 재료 특성이 경질 요소보다 제조 공차를 더 잘 보상할 수 있기 때문에 제조 공차에 의해 또 다른 이점이 구성된다.
바람직한 구성에서, 커플링 부싱이 구동 유닛에 대하여 축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장착된다. 허브가 축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이 또한 바람직하다. 추가적인 축 방향 고정 수단, 예를 들어 허브를 고정하기 위한 단부측 스크류가 없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허브는 축 방향 플로팅 베어링에 의해 구동 장치의 출력 샤프트 상에 장착되거나, 또는 커플링 부싱은 축 방향 플로팅 베어링에 의해 허브 상에 장착된다. 이는 커플링 부싱과 구동 유닛 사이의 축 방향 상대 변위를 허용한다. 한편으로, 이것은 공차를 보상하기 위해 선호되며, 다른 한편으로, 이것은 커플링 부싱과 롤러 본체 사이의 연결에 의해 가능해진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커플링 부싱은 구동 장치의 출력 샤프트가 삽입되는 중심 구멍을 가지며, 중심 구멍은 원주 둘레에서 교대로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돌출부 및 구멍을 갖는다. 구멍은 커플링 부싱의 내측 부분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샤프트/허브 연결부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구멍은 바람직하게는 관통-개구의 형태로 설계된다. 이 실시예에 따르면, 중앙 개구는 본질적으로 별 모양의 단면 윤곽을 가지며, 이는 또한 제조 공차를 보상할 수 있게 한다. 별 모양의 내부 구멍은 내측 부분 또는 커플링 부싱이 약간 유연하며 따라서 작은 제조 공차를 보상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 다른 이점은 별 모양의 윤곽이 구동 장치의 출력 샤프트에서 커플링 부싱으로 토크의 폼 피팅 전달에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다.
바람직한 전개예에서, 돌출부가 방사상 내측 선단에서 오목하게 평탄화된다. 이는 구동 장치의 출력 샤프트의 본질적으로 원통형 부분에 대해 어버트먼트를 달성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커플링 부싱은 방사상 돌출부 영역에 축 방향 구멍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축 방향 구멍은 커플링 부싱을 통해 축 방향으로 어느 정도까지 연장되며, 바람직하게는 커플링 부싱을 통해 전체 범위까지 연장된다. 구멍은 특히 바람직하게는 단면이 본질적으로 사다리꼴 형상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구멍의 단면이 돌출부의 단면에 대응하고, 따라서 돌출부의 구멍과 중심 구멍 사이에 대략 균일한 벽 두께를 발생시킨다. 이러한 구멍은 중량 및 사용되는 재료의 양을 감소시키며, 돌출부는 또한 유연한 방식으로 형성되고, 자링 또는 다른 하중 피크를 흡수할 수 있다.
방사상 돌출부의 측 방향 플랭크가 본질적으로 방사상으로 배향되는 것이 또한 바람직하다. 이것은 방사상 돌출부의 플랭크가 토크 전달 목적을 위해 어버트먼트 면을 제공하고, 드라이브가 커플링 부싱을 구동하는 경우에 커플링 부싱이 구동 장치의 출력 샤프트에 의해 받는 힘이 돌출부의 플랭크에 수직으로 작용함을 의미한다.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커플링 부싱은 출력부가 형성되는 축 방향 연장 칼라(collar)를 갖는다. 축 방향 연장 칼라는 바람직하게는 내측 부분으로부터 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바람직하게는 외측 부분 상에 형성된다. 칼라는 바람직하게는 커플링 부싱의 축 방향으로 인접한 부분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다. 이는 제조 공차를 더욱 보상한다. 이 실시예는 특히 출력부가 롤러 본체에 일체식으로 연결될 때 바람직하다. 이 경우, 축 방향 연장 칼라는 특히 레이저 스폿 용접에 의한 스폿 용접에 의해 롤러 본체에 간단하게 연결될 수 있는 박판 금속 부분으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예시적인 실시예를 참조하여 아래에보다 상세히 설명 될 것이다. 도면에서:
도 1은 이송 롤러를 통한 단면을 도시한다.
도 2는 도 1의 이송 롤러의 확대 단면을 도시한다.
도 3은 도 2에 따른 단면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4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커플링 부싱의 측면도.
도 5는 도 4에 따른 횡단면 AA를 도시한다.
도 6은 도 4의 상세 A를 도시한다.
도 7은 도 4의 상세 B를 도시한다.
도 8은 제3 실시예에 따른 커플링 부싱의 사시도.
도 9는 제4 실시예에 따른 커플링 부싱의 측면도.
도 10은 도 2 및 4 내지 도 9에 따른 커플링 부싱용 허브의 사시도.
도 11은 도 10에 따른 허브를 통한 단면을 도시한다.
도 12는 제2 실시예에 따른 커플링 부싱의 사시도.
도 13은 도 12의 커플링 부싱을 통한 단면을 도시한다.
도 14는 도 10에 따른 허브와 함께 제5 실시예에 따른 커플링 부싱의 사시도.
도 15는 제5 실시예에 따른 커플링 부싱의 다른 사시도.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모터 구동식 이송 롤러(1)의 기본 구성을 도시한다. 롤러 본체(2)는 제1 단부(3)에서 롤러 본체(2)에 고정되고 롤링-접촉 베어링(6)이 배치되는 단부 캡(4)을 삽입한다. 롤링 접촉 베어링(6)은 베어링 저널(8)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베어링 저널(8)은 외부로 배향된 단부에 너트(10)가 나사 결합되는 수나사를 구비하며, 이의 도움으로 베어링 저널(8)은 토크 저항 방식으로 프레임워크(framework)의 개구부에 고정될 수 있다. 이 프레임워크는 너트(미도시)와 너트에 대해 안쪽 방향으로 나사산(10)에 고정된 슬리브 사이에 고정되어 있다.
롤러 본체(2)는 롤러 본체(2)의 내부(14)를 방사상 외측으로 구획하는 내부 원주면(12)을 갖는다.
베어링 저널(8)은 중공 설계이며, 공급 및 제어 라인(16)은 베어링 저널(8)의 내부 보어를 통해 내부 배치된 구동 유닛(18)으로 안내된다. 구동 유닛(18)은 롤러 본체(2)내에 배치되고, 토크 저항 방식으로 베어링 저널(8)에 연결된다. 베어링 저널(8)을 향하여 배향되는 단부에서, 구동 유닛(18)은 바람직하게는 내부 회 전자를 갖는 브러시없는 3 상 DC 모터의 형태로 설계된 전기 구동 모터(22)를 작동시키기 위한 제어 전자 장치(20)를 갖는다. 구동 모터(22)는 제어 전자 장치(20)와 베어링 저널(8)로부터 멀리 배향된 구동 유닛(18)의 단부에 배치된 유성 기어 변속 장치(24) 사이의 구동 유닛(18)내에 배치된다.
유성 기어 변속 장치(24)는 차례로 롤러 베어링(28)에 장착된 출력 샤프트(26)를 갖는다.
출력 샤프트(26)로부터 롤러 본체(2)로 토크를 전달하기 위해, 이송 롤러(1)는 커플링 유닛(30)을 가지며, 이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출력 샤프트(28)로부터 커플링 유닛(30)을 통해 롤러 본체(2)로 전달되는 토크의 결과로, 롤러 본체는 결과적으로 베어링 저널(8)및 구동 유닛(18)에 대해 구동 토크를 통해 회전한다.
롤러 본체(2)의 단부(5)에서, 상기 단부는 상기 베어링 저널(8)에 대향하여 위치되고, 헤드피스(32)는 토크 저항 방식으로 상기 롤러 본체(2)에 삽입된다. 이 헤드피스(32)는 복수의 W자형 원주 홈(34)을 가지며, 이를 통해 이송 롤러(1)의 회전 및 토크가 인접한 아이들러 롤러로 전달될 수 있다. 헤드피스(32)는 단부 측 베어링 저널(미도시)상에 이송 롤러(1)를 지지하기 위한 롤링 접촉 베어링 배열용 홀더(36)를 포함한다.
다음으로, 도 2는 도 1로부터의 상세 B의 확대된 도면이다. 출력 샤프트(26) 상에 설치된 커플링 유닛(30)을 볼 수 있다. 커플링 유닛(30)은 먼저 허브(40)를 가지며, 허브(40)는 스크류(42)를 이용하여 출력 샤프트(26)에 대해 설치된다. 이 목적을 위해, 출력 샤프트(26)는 내부 나사산이 제공된 블라인드 보어(44)를 갖는다. 허브(40)는 도시된 실시예에서와 같이, 상기 허브가 스크류(42)를 통해 출력 샤프트(26)상에 축 방향으로 고정될 때 롤러 베어링(28)에 대향하여 놓이는 단부(46)를 갖는다.
방사상 외측 방향에서, 허브(40)는 방사상 돌출부(48a, 48b)가 제공된 본질적으로 원통형인 기본 형상을 갖는다.
이 제1 실시예(도 2)에 따르면, 단일 부분 커플링 부싱(50)이 허브(40)상에 제공된다(도 10 및 도 11 참조). 커플링 부싱(50)은 출력부(52)를 가지며, 이 실시예에서 출력부(52)는 특정 지점에서 토크 전달 목적으로 마찰식 피팅 방식으로 롤러 본체의 내부 원주면(12)에 연결된다. 이 목적을 위해, 커플링 부싱(50)은 내부 원주면(12)과 접촉하는 다수의 방사상 노우즈들(54)을 갖는다.
보다 구체적으로, 노우즈들(54)은 롤러 본체(2)의 내경인 지경(D2) 보다 어느 정도 더 큰 직경(D1)을 함께 규정한다. 개별 노우즈들(54)은 약간 탄력성이 있고, 특히 직경(D1)의 크기가 감소되도록 탄성적으로 변형할 수 있다. 이는 커플링 부싱(50)이 롤러 본체(2)의 내부(14)에 축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음을 의미하며, 여기서 노우즈들(54)은 내부 원주면(12)을 방사상 힘을 탄성적으로 받도록 하고, 이는 커플링 부싱(50)과 롤러 본체(2) 사이의 마찰식 피팅 연결을 달성한다.
이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커플링 부싱(50)은 또한 출력부(52)의 축 방향 단부에서 방사상으로 연장하지만 직경(D2)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가로대(56)를 갖는다. 가로대(56)는 토크 전달 목적으로 작용하는 것이 아니라 커플링 부싱(50)을 단독으로 위치 지정하는 역할을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동일하고 유사한 요소는 동일한 참조 부호로 제공되며, 이 정도까지, 도 2 및 도 1에 관한 상기 설명을 참조한다.
도 3은 마찬가지로 도 1의 상세(B)를 도시하며, 이 경우에는 다른 커플링 부싱(50)이 사용된다.
커플링 부싱(50)은 허브(40)상에 안착되고, 이는 다시 제1 실시예(도 2)에 따른 허브(40)와 유사하게 방사상 돌출부(48c, 48d)를 구비한다. 이 예시적인 실시예(도 3)에 따르면, 커플링 부싱(50)은 두 부분으로 되어 있으며,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이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커플링 부싱(50)은 방사상 외측 부분(60)과 방사상 내측 부분(62)을 가지며, 여기서 방사상 내측 부분(62)은 순응적 재료(compliant material), 특히 플라스틱 또는 엘라스토머로 형성된다. 외측 부분(60)은 이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축 방향 연장 칼라의 형태로 설계된 출력부(52)를 갖는다. 출력부(52)의 칼라(64)는 특히 롤러 본체(2)보다 작은 두께를 갖는 박판(thin-walled) 시트 금속 재료로 형성된다. 이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칼라(64)의 두께는 롤러 본체(2)의 두께의 약 절반, 특히 상기 두께의 40 %, 30 % 또는 그 이하이다.
본 실시예에서, 커플링 부싱(50)이 일체식 연결을 통해 롤러 본체(2)에 연결된다. 이러한 목적으로 칼라(64)를 롤러 본체(2)의 내부 원주면(12)에 연결하기 위해 복수 개의 용접 스폿(66a, 66b)이 제공된다. 개별 용접 스폿(66a, 66b)이 용접 스폿(66a)에 대해 도시된 것처럼 축 방향으로 약간 오프셋되거나, 또는 용접 스폿(66b)에 대해 도시된 것처럼 축방향 단부에 직접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칼라(64) 및 롤러 본체(2)의 제조 공차 및 제조 관련 부정확성을 보상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칼라(64)는 비교적 얇은 시트 금속 재료로 형성되고, 따라서 방사상으로 어느 정도 압축될 수 있다. 이는 칼라(64)가 롤러 본체(2)의 직경에 비해 약간 큰 경우에도 커플링 부싱(50)이 삽입되게 한다. 그러나, 칼라(64)는 비교적 얇은 시트 금속 재료로 만들어지기 때문에, 커플링 부싱(50)과 롤러 본체(2) 사이에 충분한 끼워 맞춤 압입(force-fitting press-fit) 연결을 제공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토크 전달을 위해, 칼라(64)는 복수의 개별 용접 지점에서 롤러 본체(2)에 일체식으로 연결된다.
용접 스폿을 만들기 위해서는, 바람직하게는 레이저 공구는 외부로부터 관형 본체의 단부에 위치되고, 용접 목적을 위해, 연결될 구성 요소가 특정 지점에서 용융되도록 하기 위해, 레이저 빔은 관형 본체 내의 원하는 위치에 초점을 맞춘다.
도 2 및 도 3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결합될 수 있으며, 도 2 및 도 3은 단지 제1 예에서 상기 실시예의 구조의 상이한 대안을 도시하는 것임을 이해해야 한다. 용접 노치(66a, 66b)를 통해 롤러 본체(2)의 내부 원주면(12)에 추가로 개별 노우즈들(54)이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보다 효과적인 토크 전달을 달성한다.
도 4 내지 도 13은 커플링 부싱(50)의 다양한 예시적인 실시예의 개별적으로 도시하고 보다 상세한 설명을 제공한다.
제1 예에서, 도 4는 도 1 및 도 2에 따른 예시적 실시예에서 커플링 부싱(50)이 기본적으로 설치됨을 도시한다. 도 5는 도 4로부터의 횡단면 A-A을 도시하며, 두 도면은 이하에 동일한 정도로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여 이미 설명된 바와 같이, 커플링 부싱(50)은 출력부(52) 및 그 위에 배치 된 복수의 방사상 노우즈들(54)을 갖는다. 이러한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총 7개의 노우즈들(54)(도 4에서, 단지 2개의 참조 부호가 제공됨)이 원주 둘레에 균일하게 분포된다. 노우즈들(54)은 함께 롤러 본체(2)의 직경(D2)보다 약간 큰 직경(D1)(도 5 참조)을 규정한다. 노우즈들(54)은 단면이 볼록한 프로파일을 가지며(도 4 참조), 2개의 본질적으로 편평한 플랭크(68a, 68b) 및 둥근 선단(70)을 갖는다. 이 구성은 노우즈들(54)이 방사상 압축에 의해 원주 방향으로 팽창할 수 있다는 점에서 노우즈들(54)을 다소 탄성으로 만든다. 공차를 보상할 수 있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커플링 부싱(50)과 롤러 본체(2) 사이에 양호한 마찰 피팅 연결을 확립하는 것이 가능하다.
노우즈들(54)은 마찬가지로 축 방향으로 볼록한 도입 표면(72a, 72b)을 가지므로, 커플링 부싱(50)이 롤러 본체(2)의 내부(14) 내로 축 방향으로 쉽게 삽입될 수 있다.
방사상 내측 방향에서, 커플링 부싱(50)은 관통 구멍의 형태로 설계된 중심 구멍(74)을 갖는다. 이 구멍(74)은 커플링 부싱(50)이 허브(40)상으로 축 방향으로 밀리도록 허용한다. 중심 구멍(74)의 내부 원주면(76)은 허브(40)와 커플링 부싱(50) 사이의 회전 방향으로 폼 피팅 연결을 허용하는 윤곽을 갖는다. 이 목적을 위해, 복수의 돌출부(78)및 구멍(80)(도 4에서 각각 하나만 참조 부호로 제공됨)이 중심 구멍(74) 상에 제공되고, 중심 구멍(74)의 원주 주위로 교대로 균일하게 분포된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축방향 구멍(82)(참조, 도 6)이 돌출 영역(78)에 제공된다. 이들 축방향 구멍(82)은 커플링 부싱(50)의 회전축에 수직인 단면에서(다시 말하면, 도 6에 따른 도면의 평면에서) 실질적으로 사다리꼴 형상을 갖는다. 상기 사다리꼴 형상의 선단(83)은 본질적으로 돌출부(78)의 윤곽에 대응하고, 따라서 돌출 영역(78)에서 중심 구멍(74)으로부터 축 방향 구멍(82)을 분리하는 벽(84)은 본질적으로 일정한 벽 두께를 갖는다.
방사상 내측 방향에서, 상기 돌출부의 선단(78)은 오목 윤곽(86)을 갖는다. 돌출부(78)의 측방향 플랭크(88a, 88b)는 본질적으로 방사상으로 배향된다. 결과적으로, 구멍(80)은 방사상 외측 방향으로 약간 넓어지고 오목한 기부(90)로 더 커진다. 특히, 측방향 플랭크(88a, 88b)의 방사상 배향으로 허브(40)상의 방사상 돌출부(48a, 48b)가 플랭크(88a, 88b)와 평면 접촉하게 되고, 플랭크(88a, 88b)에서는 돌출부(48a, 48b)에 의해 본질적으로 수직인 힘을 받게 된다.
한편으로, 축 방향 구멍(82)은 무게의 감소를 야기하고, 다른 한편으로, 돌출부(78)의 경미한 탄성 디자인을 제공하여, 자링(jarring) 및 다른 하중 피크를 흡수한다.
도 8 및 도 9는 제3 실시예를 도시하지만, 제1 실시예와 유사하다. 제3 실시예(도 8 및 도 9)에 따르면, 커플링 부싱(50)가 두 부분으로 형성된다. 이는 방사상 내측 부분(62) 및 출력부(52)를 형성하는 방사상 외측 부분(60)을 갖는다.
내측 부분(62)은 주름진 시트 금속 스트립 형태의 외측 부분(60)이 그 위에 끼워 맞춰지는 본질적으로 원통형인 원주 표면(92)을 갖는다. 외측 부분(60)의 주름진 시트 금속 스트립은 이 실시예에서 중공이어서 내부에 공동(94)을 한정하는 복수의 노우즈들(54)을 규정한다. 이는 노우즈들(54)의 탄성을 발전시키고, 제조 공차는 더욱 효과적으로 보상될 수 있다.
도 9는 사다리꼴 구멍(82)이 돌출 영역(78)에 형성되는 경우만 아니라, 추가로 본질적으로 직사각형 축방향 구멍(96)이 구멍(80)의 영역에 형성되는 경우의 약간 변형된 예시적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는 중량 감소 및 커플링 부싱(50)의 추가적인 탄성 설계를 초래한다.
도 2 및 도 4 내지 도 9로부터의 상술한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커플링 부싱(50)과 이용될 수 있는 허브(40)가 도 10 및 도 11을 참조로 보다 정확한 관점에서 설명될 것이다. 도 10 및 도 11에 따른 허브(40)는 본질적으로 강성 재료, 특히 내마모성 플라스틱 예를 들면, 폴리아미드와 같은 것으로 형성되는 내측 허브 부분(41)을 갖는다. 내측 허브 부분(41)은 중심 구멍(43)을 가지며, 이를 통해 허브(40)가 출력 샤프트(26)의 대응 부분에 연결될 수 있다. 중심 구멍(43)은 다각형 소켓을 갖는 제1 부분(43a)을 가지며, 또한 스톱 링(43b)을 갖는다. 다각형 소켓은 토크 전달 목적으로 출력 샤프트(26)의 대응하는 다각형 스터브와 협력한다. 스톱 링(43b)은 축 방향 위치 설정의 역할을 한다.
허브(40)는 또한 내측 부분(41)을 방사상 및 원주 방향으로 둘러싸는 외측 부분(45)을 가지며, 바람직하게는 탄성중합체 재료와 같은 순응적 재료로 형성된다. 외측 부분(41)은 돌출부(48a, 48b, 48c, 48d)를 규정한다(도 10 및 도 11에서, 모든 돌출부가 참조 부호로 제공되는 것은 아님). 내측 방향에서, 돌출부(48a, 48b, 48c, 48d)는 내측 부분(41) 상에 형성되고 이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하는 가로대(47a, 47b, 47d)에 의해 각각 지지된다. 가로대(47a, 47b, 47d)는 돌출부(48a, 48b, 48c, 48d)에 대한 보강을 제공한다.
제1 축 방향 단부에서, 돌출부(48a, 48b, 48c, 48d)는 각각 방사상 설부(49a, 49b, 49d)를 가지며, 이들 설부들은 함께 돌출부(48a, 48b, 48c, 48d)의 직경(D3) 보다 큰 직경(D4)을 갖는 칼라를 규정한다. 설부(49a, 49b, 49d)의 목적은 나사(42)에 의해 체결되지 않을 때 동작 중의 "이동(migrating)"으로부터 허브(40)를 보호하는 것이다. 허브(40)는 출력 샤프트(26) 상에 배치된 부분(43a)을 갖는다. 커플링 부싱(50)은 다음으로 푸시 온되고, 그 후, 설부(49a, 49b, 49d)에 맞닿는 드라이브쪽으로 향하는 단부 측면을 갖는다. 드라이브 및 커플링 부싱(50)은 그 부분에 대해 축 방향으로 고정되고; 상기 드라이브는 단부 캡(4)을 통해 고정되고, 커플링 부싱(50)은 롤러 본체(2)로의 연결을 통해 고정된다. 그러므로, 허브(40)는 플로팅 베어링 배치를 가지고 나사(42)에 의해 클램프되지 않더라도 또한 축 방향으로 고정되고, "이동"이 방지된다.
도 12 및 도 13은 도 3에 도시된 커플링 부싱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2 및 도 13에 따른 커플링 부싱은 다시 2 부분으로 이루어지며, 내측 부분(62)및 외측 부분(60)을 갖는다. 내측 부분(62)은 자링 또는 또는 다른 하중 피크를 보상하기 위해 플라스틱 또는 탄성중합체 재료로 만들어진다. 이 경우, 이미 도 3을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상기 출력부(52)는 내측 부분(62)을 둘러싸는 부분(98)으로부터 멀리 연장하는 칼라(64)의 형태로 설계된다. 부분(98)이 가요성 내측 부분(62)을 위한 방사상 외측 시스를 형성하는 반면에, 칼라(64)는 스폿 용접을 이용하여 양호한 효과를 위해 롤러 본체(2)에 연결될 수 있는 상대적으로 얇은 시트 금속 재료로 형성된다. 한편으로, 칼라(64)의 축 방향 범위는 칼라(64)가 가요성을 유지하도록 작용하여, 제조 공차를 보상하기 위해 칼라는 크기가 방사상으로 넓어지거나 방사상으로 축소될 수 있다. 반면에, 이러한 형성은 또한 가요성 내측 부분(62)의 가열을 피하기 위해 용접 스폿과 내측 부분(62) 사이의 공간 거리를 제공한다. 레이저 스폿 용접의 사용은 이러한 효과를 더욱 증가시킨다.
제1 실시예에 대응하는 방식으로, 내측 부분(62)은 대략 별 모양의 내부 윤곽(76)을 갖는 중심 구멍(74)을 갖는다. 이 윤곽(76)이 원주 주위에 균등하게 분포하는 돌출부(78) 및 구멍(80)을 갖는다. 교대하는 구멍들(80)과 돌출부들(78)은 허브(40)로부터 커플링 부싱(50)으로의 힘 및 토크의 폼 피팅 전송을 가능하게 한다.
도 14 및 도 15는 커플링 부싱(50)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 예시적인 실시예는 원칙적으로 제3 실시예(도 8)와 유사하며, 커플링 부싱(50)은 출력부(52)를 규정하는 방사상 외측 부분(60) 및 방사상 내측 부분(62)을 형성한다. 방사상 외측 부분(60)은 다시 주름진 시트 금속 스트립의 형태로 설계되고, 방사상 내측 부분(62)의 원통형 원주면(92)상에 안착된다.
주름진 시트 금속 스트립은 제1 단부 부분(104) 및 제2 단부 부분(105)에 의해 구획된 방사상 간극(99)을 갖는다. 이 간극(99)은 제3 실시예의 시트 금속 스트립(도 8)에도 존재한다. 그것은 시트 금속 스트립을 방사상 내측 부분(62)의 직경에 보다 용이하게 적응시키는 역할을 한다.
제1 실시예(도 5)로부터 이미 공지된 바와 같이, 방사상 내측 부분(62)은 원주면(92) 보다 큰 직경을 가져서, 방사상 외측 부분(60)을 축 방향으로 위치시키는 역할을 하는 가로대(56)를 갖는다.
방사상 외측 부분(60)이 방사상 내측 부분(62)에 대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이 예시적인 실시예(도 14 및 도 15)는 회전 방지 수단(100)을 제공한다. 이들 예시적 실시예에 따르면, 회전 방지 수단(100)은 제1 및 제2 단부 부분(104, 105)이 부딪칠 수 있는 스톱(102)을 갖는다. 스톱(102)은 간극(99) 내에 안착되지만, 원주 방향으로 더 작은 범위를 가지며, 따라서 방사상 외측 부분(60)은 제1 또는 제2 단부 부분(104, 105)이 스톱(102)과 접촉할 때까지 일정 정도로 회전할 수 있다.
스톱(102)의 원주 방향 단부 측면(106, 107)(도 14 참조)은 방사상으로 배향되고, 따라서 단부 부분(104, 105)을 위한 평면 접합면을 제공한다. 이는 방사상 외측 부분(60)이 풀리고 가로대(56)로부터 멀리 축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신뢰할 만한 접촉을 제공한다. 스톱(102)의 직경 또는 방사상 범위는 가로대(56)의 것에 비해 작거나 동일하며, 이는 간편한 설치를 제공한다.
그러나, 스톱(102) 대신에, 시트 금속 스트립을 원주면(90)에 연결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용접 스폿을 제공함으로써 순전히 일체식의 회전 방지 수단을 갖는 것도 고려할 수 있다.
여기서 예시적인 목적으로, 도 10의 허브(40)는 내부 관통 통로에 삽입되어있다. 이 예시적인 실시예(도 14 및 도 15)에서, 구멍(82)은 블라인드 홀(blind-hole)형 함몰부의 형태로 설계되고, 따라서 도 15의 축 방향 단부 측이 폐쇄된 것처럼 보인다. 이는 한편으로는 사용되는 재료의 양(질량 관성/비용)을 줄이는 한편, 다른 한편으로는 대략 일정한 벽 두께를 달성 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는 주조/사출 성형에 유리하다.

Claims (21)

  1. 용기, 팔레트 등을 이송하기 위한 이송 설비용 모터 구동식 이송 롤러(1)로서,
    - 외부 원주면이 물품에 대한 지지면을 구성하는 롤러 본체(2)를 가지며,
    - 상기 롤러 본체(2)의 내부(14)에 배치된 구동 유닛(18)을 가지며,
    - 상기 구동 유닛(18)으로부터 상기 롤러 본체(2)의 내부(14)의 내부 원주면(12)으로 토크를 전달하도록 설계되고,
    상기 구동 유닛(18)에 연결된 구동부와 외주 출력부(52)를 갖는 커플링 부싱(50)을 갖는 커플링 유닛(30)을 가지며,
    상기 커플링 부싱(50)은 특정 지점에서만 토크 전달 목적으로 마찰식 피팅 및/또는 일체식으로 상기 롤러 본체(2)의 내부 원주면(12)에 연결되는, 이송 롤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 부싱(50)의 상기 출력부(52)는 상기 롤러 본체(2)의 내부 원주면(12)과 접촉하도록 제공되는 복수개의 방사상 노우즈들(54)을 갖는, 이송 롤러.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방사상 노우즈들(54)은 함께 상기 내부 원주면(12)의 직경(D2)보다 큰 직경(D1)을 규정하는, 이송 롤러.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노우즈들(54)은 순응적 설계(compliant design)인 것인, 이송 롤러.
  5. 청구항 3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노우즈들(54)은 내부 중공 설계인 것인, 이송 롤러.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52)는 상기 롤러 본체(12)의 내부 원주면에 용접되는, 이송 롤러.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52)의 원주 주위로 3개 내지 20개, 바람직하게는 5개 내지 15개, 특히 바람직하게는 7개 내지 10개의 개별 연결점(54, 66a, 66b)이 제공되며, 상기 커플링 부싱(50)은 상기 연결점에서 상기 롤러 본체(2)의 내부 원주면(12)에 연결되는, 이송 롤러.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 부싱(50)은 2 개 이상의 부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출력부(52)를 규정하는 방사상 외측 부분(60) 및 샤프트/허브 연결의 일부를 형성하고 구동 장치의 출력 샤프트(26)에 연결되는 방사상 내측 부분(62)을 갖는, 이송 롤러.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방사상 내측 부분(62)은 가요성 재료, 특히 탄성중합체 재료로 형성되는, 이송 롤러.
  10. 청구항 8 또는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방사상 외측 부분(60)은 주름진 시트 금속 스트립의 형태로 설계되는, 이송 롤러.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방사상 내측 부분(62)은 상기 외측 부분(60)이 위치되는 본질적으로 원통형 원주면(92)을 갖는, 이송 롤러.
  12. 청구항 8 내지 청구항 11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상 외측 부분(60)을 상기 방사상 내측 부분(62)에 대한 회전에 대해 고정하도록 회전 방지 수단(100), 특히 폼 피팅(form-fitting) 회전 방지 수단을 갖는, 이송 롤러.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회전 방지 수단(100)은 방사상 외측 부분(60)의 원주 단부 부분(104, 105)이 부딪치는 스톱(102)의 형태로 설계되는, 이송 롤러.
  1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 부싱(50)은 상기 구동 유닛(18)에 대해 축방향 변위 가능한 방식으로 장착되는, 이송 롤러.
  1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 부싱(50)은 출력 샤프트(26)가 삽입되는 중심 구멍(74)을 가지며, 상기 중심 구멍(74)은 원주 둘레에서 교대로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돌출부(78) 및 구멍(80)을 갖는, 이송 롤러.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78)는 상기 방사상 내측 선단(86)에서 오목하게 평탄화되는, 이송 롤러.
  17. 청구항 15 또는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 부싱(50)은 상기 방사상 돌출부(78)의 영역에서 축 방향 구멍(82)을 갖는, 이송 롤러.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축 방향 구멍(82)은 단면이 본질적으로 사다리꼴인, 이송 롤러.
  19. 청구항 15 내지 청구항 1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상 돌출부(78)의 측방향 플랭크(88a, 88b)는 본질적으로 방사상으로 배향되는, 이송 롤러.
  20.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 부싱(50)은 상기 출력부(52)가 형성되는 축방향 연장 칼라(64)를 갖는, 이송 롤러.
  21.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칼라(64)는 상기 내측 부분(62)을 둘러싸는 부분(98)으로부터 축방향으로 멀리 연장되고, 특정 지점에서만 토크 전달 목적으로 일체식으로 상기 롤러 본체(2)의 내부 원주면(12)에 연결되는, 이송 롤러.
KR1020197020471A 2016-12-16 2017-12-15 마찰식 피팅 및/또는 일체식 커플링 부싱이 있는 이송 롤러 KR2019009539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6124689.1A DE102016124689B4 (de) 2016-12-16 2016-12-16 Förderrolle mit reib- und/oder stoffschlüssiger Kupplungsbuchse
DE102016124689.1 2016-12-16
PCT/EP2017/083025 WO2018109165A1 (de) 2016-12-16 2017-12-15 Förderrolle mit reib- und/oder stoffschlüssiger kupplungsbuchs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5390A true KR20190095390A (ko) 2019-08-14

Family

ID=607886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0471A KR20190095390A (ko) 2016-12-16 2017-12-15 마찰식 피팅 및/또는 일체식 커플링 부싱이 있는 이송 롤러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10926959B2 (ko)
EP (1) EP3554968A1 (ko)
JP (1) JP6923651B2 (ko)
KR (1) KR20190095390A (ko)
CN (1) CN110214118B (ko)
BR (1) BR112019011971A2 (ko)
CA (1) CA3046111C (ko)
DE (2) DE102016124689B4 (ko)
WO (1) WO201810916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7121486B4 (de) 2017-09-15 2019-05-23 Interroll Holding Ag Motorbetriebene Förderrolle mit in das Trommelrohr eingepresster Kühlhülse
DE102018133478A1 (de) * 2018-12-21 2020-06-25 Interroll Holding Ag Motorbetriebene Förderrolle mit integrierter Steuerung
US11136194B2 (en) 2019-03-08 2021-10-05 Intelligrated Headquarters, Llc Motorized conveyor roller with drive assembly
US11014756B2 (en) 2019-06-04 2021-05-25 Nidec Motor Corporation Integrated conveyor motor
US20240116716A1 (en) * 2021-02-12 2024-04-11 Interroll Holding Ag Conveyor Roller
US11827455B2 (en) 2021-02-26 2023-11-28 Nidec Motor Corporation Dual conveyor for autonomous guided vehicle
DE102021112177A1 (de) 2021-05-10 2022-11-10 Interroll Holding Ag Förderrolle
US11603269B2 (en) * 2021-08-05 2023-03-14 Dorner Mfg. Corp. Mounting assembly for gearmotor of a conveyor assembly
DE102021121235A1 (de) 2021-08-16 2023-02-16 Vecoplan Ag Zerkleinerungsanordnung mit Einzugswalze
WO2023174997A1 (en) 2022-03-16 2023-09-21 Interroll Holding Ag Brake roller, roller conveyor and method of installation of a roller conveyor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14678B2 (ko) 1973-10-01 1978-05-19
JPH0678324A (ja) 1992-08-25 1994-03-18 Sony Corp デジタルカラー映像信号の振幅制限方法及び振幅制限装置
US5442248A (en) * 1994-04-11 1995-08-15 Interroll Holding, A.G. Motorized pulley with integral electrical connector
US7566102B2 (en) * 2000-09-21 2009-07-28 Innowheel Pty Ltd. Multiple roller wheel
JP3673923B2 (ja) 2002-12-09 2005-07-20 伊東電機株式会社 ローラ装置、並びに、ローラ装置の製造方法
DE10336304B4 (de) 2003-07-31 2020-08-27 Interroll Holding Ag Motorbetriebene Förderrolle, Steuervorrichtung für eine motorbetriebene Förderrolle, Rollenförderanlage und Steuerverfahren für eine Rollenförderanlage
JP2006220172A (ja) 2005-02-08 2006-08-24 Kurashiki Kako Co Ltd アルミ金具複合防振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4992006B2 (ja) * 2007-07-11 2012-08-08 伊東電機株式会社 モータ内蔵ローラ
JP5314678B2 (ja) 2008-05-16 2013-10-16 株式会社協和製作所 ローラコンベヤー用モータ内蔵ローラおよびそれを用いるローラコンベヤー装置
JP2010001900A (ja) 2008-06-18 2010-01-07 Bridgestone Corp 防振装置
EP2466730A1 (de) * 2010-12-20 2012-06-20 Cyoris Ag Getriebeloser Rollenantrieb
DE202012005380U1 (de) 2012-06-01 2013-09-03 Interroll-Holding Ag Motorbetriebene Förderrolle für Förderanlagen zum Fördern von Behältern, Paletten und dergleichen
DE202013002290U1 (de) 2013-03-11 2014-06-12 Interroll-Holding Ag Förderrolle mit Versteifungselement
JP6432078B2 (ja) * 2014-05-07 2018-12-05 伊東電機株式会社 モータ内蔵ローラ、動力伝達部材及びモータ内蔵ローラの製造方法
EP3031758A1 (de) 2014-12-10 2016-06-15 Reifenhäuser GmbH & Co. KG Maschinenfabrik Wickelwelle und Verfahren zum Einlegen einer Wickelwelle in eine Wickelvorrichtung
DE102014018769B3 (de) * 2014-12-16 2016-03-03 Interroll Holding Ag Rolle mit Innenbaugruppe
JP6610922B2 (ja) * 2015-04-24 2019-11-27 伊東電機株式会社 モータ内蔵ローラ、及び動力伝達部材
DE102016125136B4 (de) * 2016-12-21 2020-09-10 Interroll Holding Ag Förderrolle mit konischem Aufschiebl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109165A1 (de) 2018-06-21
US20200102151A1 (en) 2020-04-02
DE102016124689A1 (de) 2018-06-21
JP6923651B2 (ja) 2021-08-25
BR112019011971A2 (pt) 2019-11-05
EP3554968A1 (de) 2019-10-23
CN110214118A (zh) 2019-09-06
CA3046111C (en) 2022-04-05
CA3046111A1 (en) 2018-06-21
JP2020502007A (ja) 2020-01-23
DE202017006722U1 (de) 2018-03-02
US10926959B2 (en) 2021-02-23
DE102016124689B4 (de) 2021-07-29
CN110214118B (zh) 2021-09-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95390A (ko) 마찰식 피팅 및/또는 일체식 커플링 부싱이 있는 이송 롤러
KR102660226B1 (ko) 벨트 풀리 디커플러
US11946510B2 (en) Shaft assembly
KR101413521B1 (ko) 차동장치
CA2660399C (en) Drift conveyor having a bearing element
DE102008021960A1 (de) Freilauf mit verringerter Masse
EP1262677A1 (en) Combination of a shaft and a bearing
JP5091314B2 (ja) 膨張部材を備えるシャフトハブ組立体
US10865862B2 (en) Pulley and ball nut assembly
US9493305B2 (en) Conveyor roller with reinforcement element
US8695788B2 (en) Conveyor roller mounted via bearing pots
US7950154B2 (en) Method for forming a taper roller bearing assembly
EP1262678A2 (en) An attachment unit
GB2066926A (en) Assembly of a support member and a roller fixed thereto
KR101190229B1 (ko) 전동 모터
CN111480022B (zh) 啮合设施
US5439421A (en) Structure comprising shaft and outer member having improved play-preventing sleeve
CN111306204A (zh) 用于将齿部连接至轴以与其共同旋转的装置、该装置的制造方法以及角齿轮
EP2897887B1 (de) Förderrolle mit kopfelement
DE102015210641A1 (de) Antrieb
US11808312B2 (en) Cage freewheel
JP5168205B2 (ja) ボールねじ装置
KR101595376B1 (ko) 롤러의 결합 구조
US20160348732A1 (en) Elastic jaw coupl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