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95358A - 칫솔 - Google Patents

칫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95358A
KR20190095358A KR1020197020070A KR20197020070A KR20190095358A KR 20190095358 A KR20190095358 A KR 20190095358A KR 1020197020070 A KR1020197020070 A KR 1020197020070A KR 20197020070 A KR20197020070 A KR 20197020070A KR 20190095358 A KR20190095358 A KR 201900953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p
bristle
bristle group
toothbrush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200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쿠미코 요코누마
토시야 스즈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지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지씨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지씨
Publication of KR201900953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535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2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 A46B9/028Bristle profile, the end of the bristle defining a surface other than a single plane or deviating from a simple geometric form, e.g. cylinder, sphere or cone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2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 A46B9/04Arranged like in or for toothbrushe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DMANUFACTURE OF BRUSHES
    • A46D1/00Bristles; Selection of materials for bristles
    • A46D1/02Bristles detai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metry (AREA)
  • Brus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손잡이부와, 당해 손잡이부의 일단에 구비된 헤드부를 포함하는 칫솔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헤드부는, 받침부와, 당해 받침부에 심어져 있으며 복수 개의 칫솔모가 묶음지어진 칫솔모 군을 포함하며, 상기 칫솔모의 단면 형상은 거의 같은 길이의 변을 갖는 사각형이며, 상기 칫솔모의 경도가 15N/cm2 이상 40N/cm2 이하이다.

Description

칫솔
본 발명은 칫솔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칫솔에 심는 칫솔모 군의 칫솔모 단면 형상을 원형 이외의 형상으로 하는 것이 알려져 있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는, 단면 형상이 다각형인 칫솔모를 사용한 칫솔이 기재되어 있다. 그리고, 이러한 칫솔은 종래의 칫솔에 비해 치석(플라그)을 제거하는 성능이 좋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그런데, 양치질을 할 때에는, 치아의 풍융부(豊隆部, 바깥쪽으로 나온 부분) 뿐 아니라, 치간부(齒間部)에 부착된 플라그 등도 충분히 청소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치간부 청소를 잘 실행하기 위해서는, 풍융부에 닿아 휘어져 나누어진 칫솔모의 일부가 치간부에 들어가도록 하여, 치간부에도 칫솔모 끝이 닿도록 할 필요가 있다.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평6-233709호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것과 같은, 다각형의 단면 형상을 갖는 칫솔모는, 일반적으로 원형의 단면 형상을 갖는 칫솔모를 구비한 칫솔에 비해 휘기 어렵다. 따라서, 양치질할 때에 칫솔의 칫솔모 끝이 치간부에 들어가기 어려워서, 치간부를 충분히 닦을 수 없는 경우가 있다.
반면, 칫솔모의 휨을 고려하여 부드러운 칫솔모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다각형의 단면 형상을 갖는 칫솔모가 원래 갖는, 플라그 등을 닦아 제거하는 성능이 저하될 가능성이 있다.
상기를 고려하여, 본 발명의 일 형태에서는, 플라그 등을 잘 닦아 제거하는 칫솔모의 성능을 유지하면서, 치간부도 잘 닦을 수 있는 칫솔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의 일 형태는, 손잡이부와, 당해 손잡이부의 일단에 구비된 헤드부를 포함하는 칫솔로서, 상기 헤드부는, 받침부와, 당해 받침부에 심어져 있으며 복수 개의 칫솔모가 묶음지어진 칫솔모 군을 포함하며, 상기 칫솔모의 단면 형상은 거의 같은 길이의 변을 갖는 사각형이며, 상기 칫솔모의 경도가 15N/cm2 이상 40N/cm2 이하인 칫솔이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의하면, 플라그 등을 잘 닦아 제거하는 칫솔모의 성능을 유지하면서, 치간부도 잘 닦을 수 있는 칫솔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칫솔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칫솔의 헤드부의 개략적인 상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칫솔의 헤드부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칫솔의 칫솔모 군의 칫솔모 끝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칫솔의 칫솔모 단면 형상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칫솔의 칫솔모 단면 형상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칫솔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나, 본 발명이 아래의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칫솔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를 나타낸다. 또한, 도 2는 도 1의 칫솔의 헤드부를 확대하여 그린 상면도를 나타내고, 도 3은 도 1의 칫솔의 헤드부를 확대하여 그린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칫솔(1)은, 손잡이부(20)와, 손잡이부(20)의 일단에 구비된 헤드부(10)를 구비하고 있다. 본 형태의 칫솔(1)에서는, 헤드부(10)가 구비되어 있는 쪽을 전방, 손잡이부(20)가 구비되어 있는 쪽을 후방이라 한다. 손잡이부(20)는, 양치질할 때에 쥐는 손잡이 본체(40)와, 손잡이 본체(40)와 헤드부(10) 사이에 구비된 목부(30)를 포함할 수 있다. 헤드부(10)는 평탄한 상면 및 하면을 갖는 받침부(12)를 구비하며, 받침부(12)의 상면에는, 복수 개의 칫솔모(18, 브리슬)를 묶음지어 구성한 칫솔모 군(터프트)이 복수 개 심어져 있다. 칫솔모 군에는, 측면에서 보았을 때에 선단부가 받침부(12)의 상면에 대해 거의 수평인 선단 수평 칫솔모 군(14)과, 측면에서 보았을 때에 선단부가 받침부(12)의 상면에 대해 경사져 있는 선단 경사 칫솔모 군(15: 제1 선단 경사 칫솔모 군(151) 및 제2 선단 경사 칫솔모 군(152))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본 형태에서는, 칫솔모 군을 구성하는 칫솔모(18)의 단면 형상이, 거의 같은 길이의 변을 갖는 사각형으로 되어 있다. 즉, 칫솔모(18)의 중심선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자른 단면의 형상이 거의 등변인 사각형으로 되어 있다.
도 4는, 복수 개의 칫솔모(18)를 묶음지어 구성된 칫솔모 군(14)의 선단 일부를 확대한 모식도를 나타낸다. 도 4에 나타낸 모식도는, 치면(齒面)을 청소할 때에 힘이 가해져서 칫솔모 끝이 조금 벌어진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4에서는 칫솔모(18)의 단면 형상이 마름모꼴로 되어 있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면 형상이 거의 등변 사각형인 칫솔모(18)는 전체적으로 거의 사각 기둥 형상을 가진다. 이와 같은 칫솔모(18)는 에지(모서리)를 가진다. 구체적으로는, 사각 기둥의 측면과, 그 측면에 이웃하는 측면과의 교차부에 측면 능선부(181)를 구비한다. 또한, 칫솔모(18)의 선단이 평면 형상의 선단면을 가짐으로써, 각 측면과 선단면의 교차부인 선단 능선부(182)와, 2개의 측면과 선단면의 교차부인 꼭지점부(183)를 구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에지가 있기 때문에, 치면에 존재하는 플라그 등을 잘 닦아낼 수 있어서 칫솔의 치면 청소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그러나, 에지를 갖는 형상의 칫솔모는, 일반적으로 강성이 높아서 휘기 어렵다. 그러므로, 풍융부에 닿은 칫솔모가, 휘어서 치간부에 잘 들어갈 수 없는 경우가 있다. 또한, 치간부에 들어갔다 하더라도, 치간부의 치면에 추종하지 못하고 칫솔의 움직임에 따라 즉각적으로 치간부 밖으로 이동해 버리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자는 상기를 고려하여 면밀히 검토한 결과, 칫솔모의 단면 형상을 거의 같은 길이의 변을 갖는 사각형으로 하고, 칫솔모의 경도를 15N/cm2 이상 40N/cm2 이하로 함으로써, 등변 사각형의 단면 형상을 갖는 칫솔모에 의한 치면 청소 효과를 유지하면서도, 칫솔모가 잘 휘어질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칫솔에서는, 칫솔모 끝을 용이하게 치간부에 들어가도록 할 수 있고, 또한 치간부에 들어간 칫솔모 끝을 치간부의 치면에 잘 추종시킬 수 있다. 그리하여, 치아의 풍융부 뿐 아니라 치간부의 플라그 등도 충분히 닦아 제거할 수 있어서, 결과적으로 높은 치면 청소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플라그 등이라 함은, 플라그 외에도, 치면의 착색(얼룩), 치면에 부착된 음식물 찌꺼기 등을 포함한다.
도 5는, 본 형태의 칫솔에 사용되는 칫솔모(18)의 단면 형상을 확대한 모식도를 나타낸다. 도 5의 예에서, 칫솔모(18)의 단면(횡단면) 형상은 마름모꼴로 되어 있다. 즉, 칫솔모(18)의 단면 형상은, 모든 변의 길이가 같고, 마주보는 꼭지점의 내각 크기가 서로 같으며, 이웃하는 꼭지점의 내각 크기가 서로 다른 평행 사변형으로 되어 있다. 여기에서 네 변의 길이는 엄밀하게 동일하지 않아도 된다. 본 명세서에서 거의 같은 길이의 변을 가지는 사각형이라 함은, 예를 들어, 사각형의 가장 긴 변과 가장 짧은 변의 길이 차가, 네 변의 길이의 산술 평균의 10% 이하인 사각형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5%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3% 이하인 사각형일 수 있다.
칫솔모(18)의 단면 형상에 있어, 상기 사각형의 한 변 길이(도 5에서 a)는 3.5mil(약 0.089mm) 이상 6.5mil(약 0.165mm) 이하이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한 변 길이는, 3.8mil(약 0.0965mm) 이상 5.5mil(약 0.140mm) 이하이면 보다 바람직하며, 4mil(약 0.102mm) 이상 5mil(약 0.127mm) 이하이면 더 바람직하다. 칫솔모(18)의 횡단면의 사각형의 한 변 길이를 3.5mil 이상으로 함으로써, 플라그 등을 닦아 제거하는 칫솔모의 성능을 유지할 수 있으며, 한 변 길이를 6.5mil 이하로 함으로써, 칫솔모 끝을 치면에 닿게 했을 때에 칫솔모를 유연하게 휘도록 하여 칫솔모 끝을 치간부에도 도달시킬 수 있다. 그 결과, 풍융부의 치면에서도, 치간부의 치면에서도, 플라그 등을 충분하게 닦아 제거할 수 있어서 높은 치면 청소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사각형은 각도(내각)가 예각 θ인 꼭지점을 포함할 수 있다. 그 경우에, 마주보는 꼭지점의 내각을 같게 할 수 있다. 또한, 사각형의 꼭지점의 내각은 모두가 같을 필요는 없다. 상기 예각 θ는 70°이상 90°미만이면 바람직하며, 75°이상 85°미만이면 더 바람직하다. 사각형이 예각 θ인 꼭지점을 포함함으로써, 당해 꼭지점에 상당하는 위치에 형성된 에지(도 4의 측면 능선부(181), 선단 능선부(182), 꼭지점부(183))를 보다 예리하게 형성할 수 있어서, 플라그 등을 닦아 제거하는 작용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사각형이 70°이상인 꼭지점을 포함함으로써, 칫솔모의 강도 및 경도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지나치게 예리한 에지가 형성되는 것을 피할 수 있으므로, 칫솔 사용자가 과도하게 힘을 가하여 양치질을 한 경우에도 잇몸, 구강 등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각형에 포함되는 대각선의 길이는 서로 다를 수 있다. 즉, 도 5의 예와 같이, 2개의 대각선 b,c의 길이가 서로 다를 수 있다. 여기에서, 긴 대각선 b의 길이는 8mil(약 0.203mm) 이상 12mil(약 0.304mm) 이하일 수 있으며, 9mil(약 0.229mm) 이상 11mil(약 0.279mm) 이하이면 바람직하며, 9.5mil(0.229mm) 이상 10.5mil(약 0.279mm) 이하이면 더 바람직하다.
또한, 짧은 대각선 c의 길이는 5.0mil(약 0.127mm) 이상 9mil(약 0.229mm) 이하일 수 있으며, 5.5mil(약 0.140mm) 이상 8mil(약 0.203mm) 이면 바람직하며, 6mil(약 0.152mm) 이상 7.6mil(약 0.193mm) 이면 더 바람직하다. 단면 형상인 사각형이 상기 범위의 칫수를 가짐으로써, 칫솔모의 에지에 의한 치면 청소 효과를 유지하면서, 칫솔모 끝을 용이하게 치간부에 들어가게 할 수 있는 칫솔을 얻을 수 있다.
상기 긴 대각선 b의 짧은 대각선 c에 대한 비율 값은 2 이하로 할 수 있으며, 1.1 이상 1.7 이하이면 바람직하며, 1.2 이상 1.6 이하이면 더 바람직하다. 상기 범위의 비율 값을 갖는 형상으로 함으로써, 칫솔모의 에지에 의해 더러운 부분을 닦아 제거하는 작용을 유지하면서도, 칫솔모의 강도, 경도, 탄력 등을 유지할 수 있어서 또한 구강 내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설명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주로 마름모꼴 단면 형상의 칫솔모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도 5의 형상과는 다른 그 밖의 등변 사각형의 단면 형상을 갖는 칫솔모를 사용할 수도 있다. 도 6에서는, 도 5에 예시한 형상 이외의 단면 형상을 나타낸다. 본 형태의 칫솔은, 예를 들어, 도 6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정사각형일 수도 있다. 또한, 도 6의 (b) 및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사각형의 변 전부 또는 일부가 직선 형상이 아니라 사각형의 내측으로 오목하도록 만곡되어 있을 수도 있다. 도 6의 (b)는, 모든 변의 길이가 같고 내각이 예각인 꼭지점을 갖는 사각형을 변형시켜 각 변을 내측으로 만곡시킨 형상을 나타낸다. 또한, 도 6의 (c)는 정사각형을 변형시켜 각 변을 내측으로 만곡시킨 형상을 나타낸다.
도 6의 (b) 및 (c)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내측으로 만곡된 단면 형상을 가짐으로써, 에지(측면 능선부(181), 선단 능선부(182), 꼭지점부(183))를 보다 예리하게 형성할 수 있으므로, 더러운 부분을 닦아내는 작용을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단면 형상인 경우에도, 측면 능선부(181), 선단 능선부(182), 꼭지점부(183) 중 하나 이상에 둥근 부분(면따기)이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
도 6의 (b) 및 (c)에 나타내는 형상과 같이, 사각형의 변이 직선 형상이 아니라 변을 만곡시킴으로써 변형된 형상인 경우에는, 이웃하는 꼭지점 간의 직선 거리를 변의 길이라고 할 수도 있으며, 만곡되는 곡선의 길이를 변의 길이에 근사(近似)시킬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형태에 따른 칫솔의 칫솔모의 경도는 15N/cm2 이상 40N/cm2 이하이며, 또한 20N/cm2 이상 35N/cm2 이하이면 바람직하다. 거의 같은 길이의 변을 갖는 사각형을 단면 형상으로 하는 칫솔모의 경도를 40N/cm2 이하로 함으로써, 양치질할 때에 칫솔모 끝을 풍융부의 치면에 닿게 하고 가압하면 칫솔모 군을 적절하게 굽힐 수 있다. 이로써, 칫솔모가 휘어서 치간부에 안쪽에까지 잘 들어가며, 또한 치간부에 들어간 칫솔모 끝이 치면에 추종하여 치면을 말끔히 청소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러므로, 특별한 브러싱 기술이 없더라도, 스크러빙(scrubbing)법, 폰즈(Fones)법 등, 통상의 양치질 방법으로 치간부의 플라그 등도 충분히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칫솔모 군을 굽히기 위해 과도한 힘을 가할 필요가 없으므로, 과도한 힘에 의해 잇몸, 구강 등을 손상시킬 일도 없다. 한편, 칫솔모의 경도를 15N/cm2 이상으로 함으로써, 플라그 등을 닦아 제거하기 위한 칫솔모의 경도를 확보하여, 거의 같은 길이의 변을 갖는 사각형을 단면 형상으로 하는 칫솔모의 치면 청소 작용을 유지할 수 있다.
도 7에서 본 형태의 칫솔에 의해 치아(50)를 브러싱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헤드부의 칫솔모 군(14)을 치아(50)에 대었을 때에 칫솔모(18)가 잘 휘므로, 칫솔모(18)의 선단 에지(182)가 치아(50)의 풍융부(51) 치면에 닿으면서 치간부(52)에도 칫솔모(18)가 잘 들어감으로써, 치간부(52)의 치면에도 칫솔모(18)의 측면 에지(181) 및 선단 에지(182)가 닿는다. 그러므로, 측면 에지(181), 선단 에지(182)를 포함하는 에지에 의해 더러운 부분을 닦아내는 작용이 치간부(52)에서도 충분히 발휘된다.
한편, 헤드부(10)의 받침부(12)에 심어진 칫솔모 군에서 복수 개의 칫솔모(18)는, 모두 같을 수도 있으나, 경도, 재질, 단면 형상, 크기 등이 서로 다른 칫솔모를 복수 개 묶음지어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경도, 재질, 단면 형상, 크기 등을 같게 한 칫솔모를 복수 개 묶음지은 칫솔모 군을 사용하며, 칫솔모 군마다 칫솔모의 경도, 재질, 단면 형상, 크기 등을 다르게 할 수도 있다.
칫솔모(18)의 재질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으나, 나일론 6, 나일론 66, 나일론 610, 나일론 612, 나일론 46, 나일론 MDX6, 나일론 11, 나일론 12 등의 폴리아미드계 수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프로필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메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프로필렌나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페닐렌설파이드 수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폴리불화비닐리덴, 에틸렌·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 공중합체,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 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헥사플루오르프로필렌 공중합체,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퍼플루오르알킬비닐에테르 공중합체, 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불화비닐리덴 공중합체, 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헥사플루오르프로필렌·불화비닐리덴 공중합체, 폴리클로로트리플루오르에틸렌, 에틸렌클로라이드·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 공중합체, 플루오르비닐에테르 등의 불소계 수지를 들 수 있다. 이들 수지 중 2종류 이상의 공중합체를 사용할 수도 있으며, 이들 수지를 2종류 이상 섞은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본 형태의 칫솔(1)에서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헤드부(10)의 받침부(12)와 손잡이부(20)는 일체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그 경우, 헤드부(10)의 받침부(12) 및 손잡이부(20)의 재질은,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옥시메틸렌, 스틸렌·아크릴로니트릴 수지,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틸렌 수지, 셀룰로오스프로피오네이트, 폴리아미드,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아크릴레이트 등의 합성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형태의 칫솔(1)은, 전술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칫솔모(18)를 묶음지어 구성된 칫솔모 군(14,15)이 복수 개 심어져서 이루어진다. 복수개의 칫솔모 군(14,15)은, 도 1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칫솔(1)을 측면에서 보았을 때에 칫솔(1)의 길이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
도시된 형태에서는, 칫솔모 군은, 측면에서 보았을 때에 선단부가 받침부(12)의 상면에 대해 거의 수평인 선단 수평 칫솔모 군(14)과, 측면에서 보았을 때에 선단부가 받침부(12)의 상면에 대해 경사져 있는 제1 및 제2 선단 경사 칫솔모 군(151,152)을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 제1 및 제2 선단 경사 칫솔모 군(151,152)은,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헤드부(10)의 받침부(12)의 앞쪽에 심어져 있다. 제1 선단 경사 칫솔모 군(151)은 받침부(12)의 최전단에 구비되어 있고, 제2 선단 경사 칫솔모 군(152)은 제1 선단 경사 칫솔모 군(151)의 후방에 구비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선단 경사 칫솔모 군(151)의 선단부는, 가장 높은 위치에 있는 꼭대기부(161)와, 가장 낮은 위치에 있는 저부(171)를 포함한다. 또한, 제2 선단 경사 칫솔모 군(152)의 선단부는, 가장 높은 위치에 있는 꼭대기부(162)와, 가장 낮은 위치에 있는 저부(172)를 포함한다.
제1 선단 경사 칫솔모 군(151)의 선단부의 형상은, 칫솔(1)을 측면에서 보았을 때에 후방을 향해 높아지도록 되어 있다. 즉, 제1 선단 경사 칫솔모 군(151)의 선단부는, 칫솔(1)을 측면에서 보았을 때에, 저부(171)를 전방 쪽에, 꼭대기부(161)를 후방 쪽에 갖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제2 선단 경사 칫솔모 군(152)의 선단부의 형상은, 칫솔(1)을 측면에서 보았을 때에 후방을 향해 낮아지도록 되어 있다. 즉, 제2 선단 경사 칫솔모 군(152)의 선단부는, 칫솔(1)을 측면에서 보았을 때에, 꼭대기부(162)를 전방 쪽에, 저부(172)를 후방 쪽에 갖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제1 선단 경사 칫솔모 군(151)의 선단부 및 제2 선단 경사 칫솔모 군(152)의 선단부에 의해, 첨탑 형상, 즉, 중앙이 가장 높고 전후 방향으로 낮게 되어 있는 산 형상이 형성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제1 선단 경사 칫솔모 군(151)의 선단부의 꼭대기부(161)와 제2 선단 경사 칫솔모 군(152)의 선단부의 꼭대기부(162)가, 첨탑 형상의 첨단을 형성하고 있다.
이와 같이 경사진 선단부를 갖는 칫솔모 군에 의해 첨탑 형상이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칫솔을 움직일 때에 치면에 닿는 칫솔모 군의 높이가 급격히 변화하는 것을 완화시켜, 칫솔을 불편 없이 원활하게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도시된 형태에서는, 제1 선단 경사 칫솔모 군(151)의 선단부 및 제2 선단 경사 칫솔모 군(152)의 선단부가, 측면에서 보았을 때에 직선적으로 경사져 있으나, 측면에서 보았을 때에 곡선적으로 경사져 있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선단 경사 칫솔모 군(151) 및 제2 선단 경사 칫솔모 군(152)의 선단부는, 선단에서 멀어질수록 그 경사가 완만해지도록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헤드부(10)의 전단에 배치된 제1 선단 경사 칫솔모 군(151)과 제2 선단 경사 칫솔모 군(152)이 첨탑 형상을 형성함으로써, 첨탑 형상의 선예부(先銳部)가 치간부나 치아의 홈 등에도 도달하게 되어, 미세한 요철 부분에 부착된 플라그 등을 닦아내는 것이 가능하다.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선단 경사 칫솔모 군(151)의 선단부와 제2 선단 경사 칫솔모 군(152)의 선단부는 서로 접촉하고 있을 수 있으며, 서로 접촉하고 있는 칫솔모에 의해 상기 첨탑 형상의 선단을 형성하고 있을 수 있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선단 경사 칫솔모 군(151)과 제2 선단 경사 칫솔모 군(152) 이외의 칫솔모 군(선단 수평 칫솔모 군(14))의 높이는 같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제1 선단 경사 칫솔모 군(151)의 선단부의 꼭대기부(161)와, 제2 선단 경사 칫솔모 군(152)의 선단부의 꼭대기부(162)는 같은 높이이며, 그 높이는 선단 수평 칫솔모 군(14)의 높이보다 높게 되어 있다. 도 3으로 말하자면, 받침부(12)의 하면에서부터, 제1 선단 경사 칫솔모 군(151)의 선단부의 꼭대기부(161) 및 제2 선단 경사 칫솔모 군(152)의 선단부의 꼭대기부(162)까지의 높이 h1이, 받침부(12)의 하면에서부터 선단 수평 칫솔모 군(14)의 선단까지의 높이 h3보다 높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높이 h1이 높이 h3보다 높게 되어 있음으로써, 제1 선단 경사 칫솔모 군(151)의 선단부의 꼭대기부(161) 및 제2 선단 경사 칫솔모 군(152)의 선단부의 꼭대기부(162)가 선단 수평 칫솔모 군(14)의 선단보다 돌출해 있다. 이 구성에 의해, 제1 및 제2 선단 경사 칫솔모 군(151,152)에 의해 플라그 등을 닦아내는 작용을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제1 및 제2 선단 경사 칫솔모 군(151,152)은, 가장 안쪽의 어금니를 닦는 경우에도, 어금니의 안쪽 치면 및 어금니의 안쪽 치면과 잇몸의 경계에까지 칫솔모 군의 칫솔모 끝이 용이하게 도달한다. 그러므로, 특별한 브러싱 기술을 필요로 하지 않고서도 어금니를 잘 닦을 수 있다.
또한, 제2 선단 경사 칫솔모 군(152)의 선단부의 저부(172)의 높이는, 선단 수평 칫솔모 군(14)의 높이 이상으로 되어 있을 수 있다. 즉, 도 3으로 말하자면, 받침부(12)의 하면에서부터 제2 선단 경사 칫솔모 군(152)의 선단부 저부(172)까지의 높이 h2는, 받침부(12)의 하면에서부터 선단 수평 칫솔모 군(14)의 선단까지의 높이 h3와 같거나, 높이 h3보다 높게 되어 있을 수 있다. 제2 선단 경사 칫솔모 군(152)의 선단부 저부(172)의 높이 h2가 선단 수평 칫솔모 군(14)의 높이 h3보다 높게 되어 있는 경우, 전술한 안쪽의 어금니를 용이하게 닦을 수 있게 하는 효과가 한층 더 높아진다.
제1 선단 경사 칫솔모 군(151)의 선단부 저부(171)와, 제2 선단 경사 칫솔모 군(152)의 선단부 저부(172)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같은 높이로 되어 있을 수도 있고, 다른 높이로 되어 있을 수도 있다. 제1 선단 경사 칫솔모 군(151)의 선단부 꼭대기부(161)와 제2 선단 경사 칫솔모 군(152)의 선단부 꼭대기부(162)가 같은 높이이며, 또한 제1 선단 경사 칫솔모 군(151)의 선단부 저부(171)의 높이와 제2 선단 경사 칫솔모 군(152)의 선단부 저부(172)의 높이가 같은 높이인 경우에는, 두 선단 경사 칫솔모 군(151,152)의 선단부의 경사 정도를 동등하게 할 수 있으므로, 칫솔을 소정 기간 이상 사용한 경우에도 칫솔모가 전후 한 방향으로만 치우쳐서 변형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선단 경사 칫솔모 군(151)의 선단부 저부(171)의 높이가, 제2 선단 경사 칫솔모 군(152)의 선단부 저부(172)의 높이보다 낮은 경우에는, 헤드부(10)의 선단을 입 안쪽의 좁은 영역에까지 용이하게 삽입시켜 움직일 수 있으므로, 어금니를 보다 용이하게 닦는 것이 가능하다.
받침부(12)의 상면에서부터 제1 선단 경사 칫솔모 군(151)의 선단부 꼭대기부(161) 및 제2 선단 경사 칫솔모 군(152)의 선단부 꼭대기부(162)까지의 높이(제1 선단 경사 칫솔모 군 및 제2 선단 경사 칫솔모 군에 포함되는 가장 긴 칫솔모의 길이)는, 8.5mm 이상 9.5mm 이하일 수 있으며, 8.7mm 이상 9.3mm 이하이면 바람직하다.
또한, 받침부(12)의 하면에서부터 제1 선단 경사 칫솔모 군(151)의 선단부 꼭대기부(161) 및 제2 선단 경사 칫솔모 군(152)의 선단부 꼭대기부(162)까지의 높이(도 3의 h1)는, 12.5mm 이상 13.5mm 이하이면 바람직하며, 12.7mm 이상 13.3mm 이하이면 더 바람직하다. 받침부(12)의 하면에서부터 제2 선단 경사 칫솔모 군(152)의 선단부 저부(172)까지의 높이(도 3의 h2)는, 11.5mm 이상 12.5mm 이하이면 바람직하며, 11.7mm 이상 12.3mm 이하이면 더 바람직하다.
또한, 받침부(12)의 하면에서부터 제1 및 제2 선단 경사 칫솔모 군(151,152) 이외의 칫솔모 군(선단 수평 칫솔모 군(14))의 선단까지의 높이(도 3의 h3)는, 11.5mm 이상 12.5mm 이하이면 바람직하며, 11.7mm 이상 12.3mm 이하이면 더 바람직하다.
높이 h1,h2,h3을 상기 범위로 함으로써, 헤드부(10)를 보다 컴팩트하게 할 수 있어서 헤드부(10)를 구강 안쪽에까지 용이하게 넣어 용이하게 움직일 수 있으므로, 입을 여는 것은 어렵거나, 구토 반사가 강하거나, 볼의 점막이 단단하거나, 혀가 길거나, 치관(齒冠) 길이가 짧은 등의 사정이 있는 사용자라 하더라도 양치질을 잘 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형태의 칫솔(1)에서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칫솔(1, 헤드부(10))의 폭방향으로도 복수 개의 칫솔모 군(14,15)이 나란히 배치될 수 있다. 도시된 형태에서는, 헤드부(10)의 전단(칫솔(1)의 전단)으로부터 후단을 향해 총 8쌍(8열)의 칫솔모 군(14,15)이 심어져 있다.
구체적으로는, 헤드부(10)의 가장 전단(前端)의 제1 선단 경사 칫솔모 군(151)은, 폭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된 2개의 칫솔모 군(151A,151B)을 포함한다. 그 후방의 제2 선단 경사 칫솔모 군(152)은 폭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된 3개의 칫솔모 군(152A,152B,152C)을 포함한다. 그리고, 그 후방으로, 5열(5쌍)의 칫솔모 군이 구비되며, 각각 폭 방향으로 3개의 칫솔모 군을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헤드부(10)의 가장 후단(後端)의 열에는, 폭 방향으로 2개의 칫솔모 군이 배치되어 있다.
각 칫솔모 군 열에 포함되는 칫솔모 군의 갯수는, 상기의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칫솔모의 재질, 형상, 굵기, 심는 구멍의 형상, 크기 등에 따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장 전단의 칫솔모 군 열 및 가장 후단의 칫솔모 군 열에는, 3개 이상 5개 이하의 칫솔모 군이 포함될 수 있으며, 1개의 칫솔모 군만이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가장 전단의 칫솔모 군 열 및 가장 후단의 칫솔모 군 열 이외의 칫솔모 군 열에는, 4개 이상 6개 이하의 칫솔모 군이 포함될 수도 있으며, 2개 이하의 칫솔모 군이 포함될 수도 있다. 칫솔모 군 열이 각각 칫솔모 군을 1개만 가지는 형태로 할 수도 있다.
도시된 형태에서, 제1 선단 경사 칫솔모 군(151)과 그 후방에 인접하는 제2 선단 경사 칫솔모 군(152)은, 교차된 격자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즉, 제1 선단 경사 칫솔모 군(151)과 제2 선단 경사 칫솔모 군(152)은 폭 방향으로 서로 어긋나게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배치에 의해, 가장 전단의 선단 경사 칫솔모 군(151)의 헤드부(10) 폭 방향 위치가, 제1 선단 경사 칫솔모 군(151)의 후방에 인접하는 제2 선단 경사 칫솔모 군(152)의 사이에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로써 제1 선단 경사 칫솔모 군(151)과 제2 선단 경사 칫솔모(152)을 보다 촘촘히 배치할 수 있으므로, 이들 칫솔모 군(151,152)의 선단부에 의해 형성되는 첨탑 형상으로 인한, 더러운 부분을 닦아내는 작용을 더욱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도시된 형태에서는, 가장 전단 및 가장 후단의 칫솔모 군 이외의 칫솔모 군은, 폭 방향 위치가 같게 배치되도록 인접되어 있으나, 이들 칫솔모 군을 엇갈리게 배치할 수도 있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선단 경사 칫솔모 군(151)은 받침부(12)의 상면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부터 후방으로 경사지게 심어져 있을 수도 있고, 제2 선단 경사 칫솔모 군(152)은 받침부(12)의 상면에 대한 전방으로 경사지게 심어져 있을 수도 있다. 즉, 제1 및 제2 선단 경사 칫솔모 군(151,152)은, 측면에서 보았을 때에, 두 칫솔모 군의 선단부에 의해 형성되는 첨탑 형상의 첨단을 향해 경사져 있을 수 있다. 이로써 제1 및 제2 선단 경사 칫솔모 군(151,152)의 선단부에 의해 형성되는 첨탑 형상의 첨단에서의 칫솔모의 밀집 정도를 높일 수 있으므로, 선단 경사 칫솔모 군(151,152)에 의해 더러운 부분을 닦아내는 작용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1 및 제2 선단 경사 칫솔모 군(151,152)이 경사져 있는 각도는, 받침부(12)의 상면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에 대해 0.5°이상 5°이하로 할 수 있다.
제2 선단 경사 칫솔모 군(152)에 포함되는 칫솔모 군(152A~152C) 중, 폭 방향에서 보았을 때에 양 단부에 배치되어 있는 칫솔모 군(152A,152C)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선단 경사 칫솔모 군(151) 쪽으로 경사져 있으며, 칫솔모 군(152B) 쪽으로도 경사져 있을 수 있다. 즉,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선단 경사 칫솔모 군(152)에 포함되는 칫솔모(152A,152C)의 선단부는, 칫솔(1)의 길이 방향 중심선(CL) 쪽으로 경사져 있을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로써, 제1 선단 경사 칫솔모 군(151)의 선단부 및 제2 선단 경사 칫솔모 군(152)의 선단부에 의해, 측면에서 보았을 때에 첨탑 형상이 형성되고, 정면에서 보았을 때에도(칫솔의 전방에서 본 경우에도), 제1 선단 경사 칫솔모 군(151)의 선단부 및 제2 선단 경사 칫솔모 군(152)의 선단부에 의해 형성되는 칫솔모 군의 외관 형상은, 상면쪽이 하면쪽보다 폭이 좁은 사다리꼴로 된다.
제2 선단 경사 칫솔모 군(152A,152C)의 선단부가 길이 방향 중심선(CL) 쪽으로 경사져 있는 상기 구성에 의해, 칫솔모 끝이 치면에 닿은 경우에도 칫솔모 끝이 벌어지기 어려워서 결과적으로 제1 및 제2 선단 경사 칫솔모 군(151,152)의 선단부를 보다 확실하게 치면에 닿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로써, 예를 들어, 어금니 상면의 미세한 요철에 부착된 더러운 것도 용이하게 닦아낼 수 있다.
또한, 제2 선단 경사 칫솔모 군(152)의 칫솔모 군(152A,152C)의 전술한 경사에 더해, 제1 선단 경사 칫솔모 군(151)에 포함되는 칫솔모 군(151A,151B)의 선단부도 칫솔(1)의 길이 방향 중심선(CL) 쪽으로 경사지도록 배치할 수 있다. 이로써, 칫솔모 끝이 치면에 닿은 경우에도 칫솔모 끝이 벌어지기 어려워서 선단 경사 칫솔모 군의 선단부를 보다 확실하게 치면에 닿게 할 수 있다는 상기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전술한 제1 및 제2 선단 경사 칫솔모 군(151,152)의 선단부가 길이 방향 중심선(CL) 쪽을 향해 경사져 있는 각도는, 받침부(12)의 상면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에 대해 0.5°이상 5°이하로 할 수 있다.
한편, 받침부(12)에 형성된 심는 구멍의 크기는, 1.2mm2 이상 2.2mm2 이하로 할 수 있다. 또한, 도시된 형태에서는, 심는 구멍의 형상이 원형이나, 이 형상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다각형으로 할 수도 있다. 심는 구멍의 형상을 꼭지점의 갯수가 3개 이상 5개 이하인 다각형으로 한 경우, 칫솔모 군 자체로도 에지가 형성되므로, 플라그 등을 닦아 제거하는 작용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헤드부(10)의 받침부(11)와 손잡이부(20)는, 별체로 구성되어 그들이 조합되는 것일 수도 있다. 그 경우, 헤드부(10)를 교환 가능한 것으로 할 수도 있다.
[실시예]
이하에서 구체적인 실시예, 비교예를 들어 더욱 상세히 설명하나, 본 발명이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마름모꼴의 단면 형상을 갖는 칫솔모를 묶음지어 이루어진 칫솔모 군이 심어진 칫솔을 준비하였다. 칫솔모의 단면 형상인 마름모꼴은 80°의 예각을 포함하며, 그 한 변 길이가 4mil(약 0.102mm)이었다. 또한, 칫솔모에 대해 JIS S 3016-1995에 의거하여 측정한 경도는 22.8N/cm2이었다.
이 칫솔은, 도 2에 나타내는 것과 마찬가지의 배열로써, 헤드부의 길이 방향으로 8열(8쌍)의 칫솔모 군이 심어진 것이며,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단의 2열이 선단 경사 칫솔모 군으로 되어 있고, 이들 2열의 칫솔모 군에 의해 첨탑 형상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받침부의 하면에서부터 제1 선단 경사 칫솔모 군의 선단부의 꼭대기부까지의 높이 h1(도3)은 13mm이고, 받침부의 하면에서부터 선단 수평 칫솔모 군의 선단까지의 높이 h3(도3)는 12mm이었다.
상기 칫솔을 이용하여, 이하의 의사(疑似) 얼룩 제거 시험을 실시하였다.
<의사 얼룩 제거 시험>
치아 모형((주)닛신 제조, "500H 1-M")의 상악 우측의 제1 작은 어금니로부터 제1 큰 어금니까지 3개 치아의 볼쪽 면에, 의사 얼룩((주)데라니시 화학공업 제조, "매직 잉크")을 도포하였다. 의사 얼룩은, 치아의 풍융부 및 치간부에 있어 전면(前面)에서 보이는 영역에 도포하였다. 도포가 완료된 상태에서 치아를 전면 쪽에서 디지털 카메라로 촬영하여 도포 면적을 기록하였다. 초기의 도포 면적은 209mm2이었다.
이어서, 의사 얼룩이 도포된 치아 모형 및 칫솔을 5연속 마모 시험기((주)도쿄기켄 제조, "K834")에 각각 고정시켰다. 100g의 하중을 가해 170왕복/초의 속도로, 칫솔의 길이 방향이 치아의 배열 방향(수평 방향)에 거의 평행하도록 칫솔을 치아 모형에 대고 치아의 배열 방향으로 5왕복시켜 말끔히 청소하였다. 말끔히 청소한 후, 치아를 전면(前面)에서부터 디지털 카메라로 촬영하고, 디지털 화상 계측 소프트웨어((주)일본 폴라디지털)를 이용하여 의사 얼룩이 제거된 부분의 면적을 제거 면적(mm2)으로서 산출하였다. 또한, 초기 얼룩 도표 면적에 대한 제거 면적의 비율을 제거율(%)로 하였다.
얼룩의 제거 평가를 아래와 같이 실시하였다.
◎ : 제거율이 80% 이상이어서, 의사 얼룩을 매우 잘 제거할 수 있었음
○ : 제거율이 70% 이상 80% 미만이어서, 의사 얼룩을 잘 제거할 수 있었음
× : 제거율이 70% 미만이어서, 의사 얼룩을 충분히 제거할 수 없었음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한편, 표 1에서 "칫솔모의 굵기"는, 단면 형상이 마름모꼴인 칫솔모를 사용한 예(실시예1~3, 비교예1,2)에서는 마름모꼴의 한 변 길이이며, 단면 형상이 원형인 칫솔모를 사용한 예(비교예3~6)에서는 원의 직경이다.
Figure pct00001
(실시예 2,3)
단면 형상인 마름모꼴의 한 변 길이를, 표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5mil(약 0.127mm)과 6mil(약 0.152mm)으로 각각 변경한 점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구성된 칫솔을 준비하였다. 실시예 2,3의 칫솔의 칫솔모에 대해 JIS S 3016-1995에 의거하여 측정한 경도는, 각각 30.6N/cm2과 38.2N/cm2이었다.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의사 얼룩 제거 시험을 실시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비교예 1,2)
단면 형상인 마름모꼴의 한 변 길이를, 표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3mil(약 0.076mm)과 7mil(약 1.778mm)으로 각각 변경한 점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구성된 칫솔을 준비하였다. 비교예 1,2의 칫솔의 칫솔모에 대해 JIS S 3016-1995에 의거하여 측정한 경도는 각각 14.3N/cm2 및49.2N/cm2이었다.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의사 얼룩 제거 시험을 실시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비교예 3)
단면 형상이 마름모꼴인 칫솔모 대신에, 단면 형상이 원형이며 원의 직경이 3mil(약 0.076mm)인 칫솔모를 사용한 점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구성된 칫솔을 준비하였다. 비교예 3의 칫솔모에 대해 JIS S 3016-1995에 의거하여 측정한 경도는, 22.4N/cm2이었다.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의사 얼룩 제거 시험을 실시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비교예 4~6)
원의 직경을, 표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4mil(약 0.102mm), 5mil(약 0.127mm), 6mil(약 0.152mm)으로 각각 변경한 점 이외에는, 비교예 3과 마찬가지로 구성된 칫솔을 준비하였다. 비교예 4~6의 칫솔의 칫솔모에 대해 JIS S 3016-1995에 의거하여 측정한 경도는, 각각 29.6N/cm2, 37.0N/cm2, 44.6N/cm2이었다.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의사 얼룩 제거 시험을 실시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표 1의 결과로부터, 단면 형상이 마름모꼴이며 경도가 15N/cm2 이상 40N/cm2 이하인 칫솔모를 사용한 실시예 1~3에서는, 의사 얼룩 제거 면적이 커서 얼룩(플라그 등)을 제거하는 작용이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칫솔모의 경도가 20N/cm2 이상 35N/cm2 이하인 칫솔모를 사용한 실시예 1,2의 얼룩 제거 작용이 우수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대해, 단면 형상이 원형인 칫솔모를 사용한 비교예 3~6에서는, 상기 시험에서 충분한 제거 작용을 얻을 수 없었다.
한편, 비교예 1에서는, 풍융부 및 치간부를 포함하여 전체적으로 의사 얼룩 제거 면적이 작았다. 이것은, 단면 형상은 마름모꼴이지만 15N/cm2 미만의 경도를 갖는 칫솔모를 사용하고 있으므로, 칫솔모의 에지에 의해 더러운 부분을 닦아 내는 작용이 약했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한편, 비교예 2에서는, 의사 얼룩을 충분히 제거하지 못하였으며, 특히 치간부의 의사 얼룩 제거가 충분하지 않았다. 이것은, 단면 형상은 마름모꼴이지만 40N/cm2 을 넘는 경도의 칫솔모를 사용하였기 때문에, 치면에 닿는 칫솔모가 잘 휘지 않아 치면에 추종할 수 없었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또한, 비교예 2에서는, 말끔히 청소할 때의 모습을 관찰했더니, 칫솔모가 치간부로 충분히 들어가지 못했음도 확인되었다.
본 출원은, 2017년 1월 13일에 일본국 특허청에 출원된 특허출원 제2017-004388호에 기초하는 우선권을 주장하는 것으로서, 그 전체 내용이 참조로써 여기에 원용된다.
1 칫솔
10 헤드부
12 받침부
14 칫솔모 군(선단 수평 칫솔모 군)
15 칫솔모 군(선단 경사 칫솔모 군)
18 칫솔모
20 손잡이부
30 목부
40 손잡이 본체
50 치아
51 풍융부
52 치간부
151,151A,151B 제1 선단 경사 칫솔모 군
152,152A,152B,152C 제2 선단 경사 칫솔모 군
161 제1 선단 경사 칫솔모 군의 선단부의 꼭대기부
162 제2 선단 경사 칫솔모 군의 선단부의 꼭대기부
171 제1 선단 경사 칫솔모 군의 선단부의 저부
172 제2 선단 경사 칫솔모 군의 선단부의 저부
181 측면 능선부
182 선단 능선부
183 꼭지점부

Claims (7)

  1. 손잡이부와, 당해 손잡이부의 일단에 구비된 헤드부를 포함하는 칫솔로서,
    상기 헤드부는, 받침부와, 당해 받침부에 심어져 있으며 복수 개의 칫솔모가 묶음지어진 칫솔모 군을 포함하며,
    상기 칫솔모의 단면 형상은 거의 같은 길이의 변을 갖는 사각형이며,
    상기 칫솔모의 경도가 15N/cm2 이상 40N/cm2 이하인 칫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각형의 변의 길이가 3.5mil 이상 6.5mil 이하인 칫솔.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각형이 각도가 70°이상 90°미만인 꼭지점을 포함하는 것인 칫솔.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칫솔모가 묶음지어진 칫솔모 군이 복수 개 심어져 있으며,
    상기 복수 개의 칫솔모 군 중, 상기 받침부의 전단에 심어진 제1 칫솔모 군과, 당해 제1 칫솔모 군의 후방에 인접하는 제2 칫솔모 군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칫솔모 군의 선단부의 형상은, 측면에서 보았을 때에 후방을 향해 높아지도록 경사져 있으며,
    상기 제2 칫솔모 군의 선단부의 형상은, 측면에서 보았을 때에 후방을 향해 낮아지도록 경사져 있으며,
    상기 제1 칫솔모 군의 선단부와 상기 제2 칫솔모 군의 선단부에 의해, 측면에서 보았을 때에 첨탑 형상이 형성되어 있는 칫솔.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칫솔모 군은 상기 받침부의 상면에 대한 수직 방향으로부터 후방으로 경사지게 심어져 있으며,
    상기 제2 칫솔모 군이 상기 수직 방향으로부터 전방으로 경사지게 심어져 있는 칫솔.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칫솔모 군 및 상기 제2 칫솔모 군 이외의 칫솔모 군의 높이는 서로 같으며,
    상기 제1 칫솔모 군의 선단부의 꼭대기부의 높이와 상기 제2 칫솔모 군의 선단부의 꼭대기부의 높이는 같으며, 당해 양쪽 꼭대기부의 높이가 상기 제1 칫솔모 군 및 상기 제2 칫솔모 군 이외의 칫솔모 군의 높이보다 높은 칫솔.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칫솔모 군의 선단부의 저부의 높이가 상기 제1 칫솔모 군 및 상기 제2 칫솔모 군 이외의 칫솔모 군의 높이 이상으로 되어 있는 칫솔.
KR1020197020070A 2017-01-13 2017-11-29 칫솔 KR2019009535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004388 2017-01-13
JP2017004388 2017-01-13
PCT/JP2017/042859 WO2018131306A1 (ja) 2017-01-13 2017-11-29 歯ブラシ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5358A true KR20190095358A (ko) 2019-08-14

Family

ID=628400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0070A KR20190095358A (ko) 2017-01-13 2017-11-29 칫솔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WO2018131306A1 (ko)
KR (1) KR20190095358A (ko)
CN (1) CN110167392A (ko)
WO (1) WO2018131306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33709A (ja) 1991-12-17 1994-08-23 Hiroshi Takasugi 多角毛を植えた歯ブラシ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6822Y2 (ko) * 1985-12-23 1990-02-19
JP2595428Y2 (ja) * 1992-06-15 1999-05-31 豊和工業株式会社 床面清掃車のバッテリ交換装置
JPH0610334U (ja) * 1992-07-11 1994-02-08 ちづる 牧野 歯垢除去歯磨きセット
JP2000342337A (ja) * 1999-06-03 2000-12-12 Lion Corp 歯ブラシ
CN2513434Y (zh) * 2001-11-19 2002-10-02 华承麟 扁形刷毛牙刷
US7757326B2 (en) * 2003-10-30 2010-07-20 Cologate-Palmolive Company Toothbrush with enhanced cleaning effects
JP4350002B2 (ja) * 2003-12-19 2009-10-21 ライオン株式会社 歯ブラシ
JP3129537U (ja) * 2006-09-19 2007-03-01 ライオン株式会社 歯ブラシ
CN101932264B (zh) * 2007-12-18 2013-11-27 狮王株式会社 牙刷
CN201256715Y (zh) * 2008-07-26 2009-06-17 田华 刷毛交叉式牙刷
CN201398628Y (zh) * 2009-03-20 2010-02-10 严玉菊 抗菌按摩便携式牙刷
CN201409607Y (zh) * 2009-04-10 2010-02-24 何福顺 可深层清洁的牙刷
CA2780830C (en) * 2009-11-13 2016-05-03 Sunstar Inc. Core/sheath composite filament for toothbrushes, and toothbrush using same
JP2014000156A (ja) * 2012-06-15 2014-01-09 Sunstar Inc 歯ブラシ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33709A (ja) 1991-12-17 1994-08-23 Hiroshi Takasugi 多角毛を植えた歯ブラ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167392A (zh) 2019-08-23
JPWO2018131306A1 (ja) 2019-11-07
WO2018131306A1 (ja) 2018-07-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16037B2 (ja) 歯ブラシ
KR101819449B1 (ko) 구강 케어 기구용 헤드
KR101896894B1 (ko) 구강 케어 기구용 헤드
US7146675B2 (en) Handheld toothbrush
KR20170073629A (ko) 구강 케어 기구용 헤드
HU216799B (hu) Fogkefe
US20080201886A1 (en) Toothbrush Head
CN106998899B (zh) 用于口腔护理工具的头部
KR200473569Y1 (ko) 원형 후방경사모다발과 원형 전방경사모다발의 식모구조를 갖는 칫솔
JP2007530131A (ja) 歯ブラシ
US20230148743A1 (en) Toothbrush
KR20190095358A (ko) 칫솔
JP6692604B2 (ja) 歯ブラシ
JP6207808B2 (ja) 歯ブラシ
JP5922439B2 (ja) 歯ブラシ
JP2006130012A (ja) 歯ブラシ
CN215688668U (zh) 一种电动牙刷刷头以及电动牙刷
JP4656775B2 (ja) 歯ブラシ
KR200467406Y1 (ko) 칫솔
JP3152717U (ja) 歯ブラシ
JP6608610B2 (ja) 歯ブラシ
JP2017143928A (ja) 口腔内用ブラシ
JP3192049U (ja) 歯ブラシ
JP5922420B2 (ja) 歯ブラシ
KR20130003421U (ko) 칫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