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94691A - 결정질 2차원 공액중합체, 이를 이용한 박막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결정질 2차원 공액중합체, 이를 이용한 박막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94691A
KR20190094691A KR1020180014149A KR20180014149A KR20190094691A KR 20190094691 A KR20190094691 A KR 20190094691A KR 1020180014149 A KR1020180014149 A KR 1020180014149A KR 20180014149 A KR20180014149 A KR 20180014149A KR 20190094691 A KR20190094691 A KR 201900946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ula
conjugated polymer
thin film
dimensional conjugated
independently selec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41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64394B1 (ko
Inventor
김기문
김지홍
백강균
절키 사믹
이연상
Original Assignee
기초과학연구원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초과학연구원,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기초과학연구원
Priority to KR10201800141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4394B1/ko
Publication of KR201900946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4691A/ko
Priority to KR1020190120448A priority patent/KR10231933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43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43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1/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to-carbon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1/12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atoms other than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1/122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atoms other than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derived from five- or six-membered heterocyclic compounds, other than im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65/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to-carbon link in the main chain;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 Polyoxymethylene Polymers And Polymers With Carbon-To-Carbon Bo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호 가역 공유결합이 가능한 유기 컨쥬게이션 분자를 단일 반응법을 이용하여 합성한 2차원 공액중합체, 이를 이용한 박막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결정질 2차원 공액중합체, 이를 이용한 박막 및 이의 제조방법{CRYSTALLINE TWO-DIMENSIONAL CONJUGATED POLYMER, THIN FILMS USING THE SAME,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본 발명은 상호 가역 공유결합이 가능한 유기 컨쥬게이션 분자를 단일 반응법을 이용하여 합성한 2차원 공액중합체, 이를 이용한 박막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기 고분자의 경우 이를 이루고 있는 분자의 배열이 균일하지 않다. 특히, 시간, 온도, 반응크기 등 다양한 반응 조건에 따라 그 형성이 다변하기 때문에 이를 조절하기는 극히 어렵다. 이러한 문제는 무엇보다, 소재의 물리적, 전기적 특성을 효율적으로 그리고 균일하게 발현시키는데 어려움을 유발함으로 그 응용을 어렵게 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결함을 보완 할 수 있는 자가 보수성(self-reparing)을 이용하여 유기 고분자이지만 비교적 균일한 분자적 배열을 가지는 소재 개발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발명은 결함을 보완 할 수 있는 자가 보수성 (self-reparing)을 이용하여 고분자 스스로가 분자적 배열을 유지, 보완하여 중합체를 형성하는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고분자내 분자들의 부정결합률을 낮추고, 보다 높은 안정성을 가지는 2차원 공액중합체 및 이를 이용한 박막의 고분자 필름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6개의 결합자리가 있는 트리페닐렌계 화합물과 가역적 결합이 가능한 이민 결합을 이용하여 결함이 적은 이차원의 고분자 및 이를 이용한 박막의 고분자 필름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태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하기 화학식 2 내지 화학식 4로 표시되는 화합물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화합물로부터 유도되는 결정질 2차원 공액중합체이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상기 화학식 1에서, 상기 L1 내지 L6는 각각 독립적으로 단일결합 또는 C1-C2의 알킬렌기에서 선택되고, 상기 R1 내지 R6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1-C3의 알킬기에서 선택된다.)
[화학식 2]
Figure pat00002
[화학식 3]
Figure pat00003
[화학식 4]
Figure pat00004
(상기 화학식 2 내지 4에서, R7 내지 R18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1-C3의 알킬기에서 선택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상기 결정질 2차원 공액중합체로 이루어진 박막이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상기 박막 또는 박막이 형성된 복합기재 및 이들을 포함하는 전자부품이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상기 화학식 2 내지 화학식 4로 표시되는 화합물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화합물, 산촉매 및 용매를 포함하는 결정질 2차원 공액중합체 제조용 중합조성물이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상기 중합조성물을 도포하고, 가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결정질 2차원 공액중합체 박막의 제조방법이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상기 화학식 2 내지 화학식 4로 표시되는 화합물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화합물을 산촉매 하에서 가열하여 중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결정질 2차원 공액중합체의 제조방법이다.
본 발명의 2차원 공액중합체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박막의 필름은 우수한 전기적 특성 및 광학적 특성을 가지므로 응용성이 다양하며, 새로운 2차원의 유기 전자소재, 구체적으로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유기 전계효과 트랜지스터(OFET) 등 다양한 전자부품 소재로 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넓은 빛 파장영역에서 높은 효율의 광민감 특성을 보여 줌으로써 광기반의 전기 소재로 적용이 가능하다. 이를 바탕으로 반도체와 같은 고부가 가치 산업에 적용이 가능하다.
도 1에서 a는 반응 전 후의 혼합물의 색상을 보이는 사진이고, b는 2,3,6,7,10,11-헥사하이드록시트리페닐렌(HHTP), 2,3,6,7,10,11-헥사아미노트리페닐렌(HATP) 및 C2P-5의 UV-Vis spectra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HHTP, HATP 및 C2P-5의 FT-IR spectra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C2P-5의 X-선 광전자 분광법(XPS)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C2P-5를 N-메틸-2-피롤리돈에 분산시킨 후 분산성을 평가한 사진이다.
도 5는 제조된 C2P-5 박막의 미시적 특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C2P-5 박막의 두께를 측정한 결과이다.
도 7은 박막이 용매에 의해 분리되는 것을 보이는 사진이다.
도 8은 C2P-5 박막의 결정 구조를 측정한 것이다.
도 9는 C2P-5 박막의 가스 흡착곡선(gas sorption isotherm)을 나타낸 것이다.
도 10은 C2P-5의 적층에 대한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11은 C2P-5의 전기적 특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12는 C2P-5의 CV 및 UV-VIS 스펙트럼을 나타낸 것이다.
도 13은 C2P-7의 합성 및 구조적 특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14는 C2P-7의 고해상도 XPS spectra이다.
도 15는 C2P-9의 합성 및 구조적 특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16은 C2P-9의 고해상도 XPS spectra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포함한 구체예 또는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 구체예 또는 실시예는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하나의 참조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여러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모든 기술적 용어 및 과학적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당업자 중 하나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본 발명에서 설명에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 구체예를 효과적으로 기술하기 위함이고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 및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는 문맥에서 특별한 지시가 없는 한 복수 형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알킬” 및 “알킬렌”은 직쇄 또는 분지쇄 형태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상기 “알킬” 및 “알킬렌”은 치환 또는 비치환된 것일 수 있으며, 별도의 기재가 없는 한 비치환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치환은 기 또는 부분의 구조적 골격에 플루오로(F), 클로로(Cl), 브로모(Br) 또는 요오드(I) 라디칼 등의 할로겐, 히드록시, 아미노, 옥소(=0), 티오(=S) 등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치환기로 더 치환됨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하기 화학식 2 내지 화학식 4로 표시되는 화합물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화합물로부터 유도되는 결정질 2차원 공액중합체이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5
(상기 화학식 1에서, 상기 L1 내지 L6는 각각 독립적으로 단일결합 또는 C1-C2의 알킬렌기에서 선택되고, 상기 R1 내지 R6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1-C3의 알킬기에서 선택된다.)
[화학식 2]
Figure pat00006
[화학식 3]
Figure pat00007
[화학식 4]
Figure pat00008
(상기 화학식 2 내지 4에서, R7 내지 R18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1-C3의 알킬기에서 선택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화학식 1은 2,3,6,7,10,11-헥사하이드록시트리페닐렌이고, 상기 화학식 2는 2,3,6,7,10,11-헥사아미노트리페닐렌이고, 상기 화학식 3은 1,2,4,5-벤젠테트라아민이고, 상기 화학식 4는 2,3,7,8-테트라아미노페나진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상기 결정질 2차원 공액중합체로 이루어진 박막이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박막은 화학적 또는 물리적으로 도핑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기재 상에 상기 결정질 2차원 공액중합체로 이루어진 박막이 형성된 복합기재이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상기 박막 또는 복합기재를 포함하는 전자부품이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하기 화학식 2 내지 화학식 4로 표시되는 화합물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화합물, 산촉매 및 용매를 포함하는 결정질 2차원 공액중합체 제조용 중합조성물이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9
(상기 화학식 1에서, 상기 L1 내지 L6는 각각 독립적으로 단일결합 또는 C1-C2의 알킬렌기에서 선택되고, 상기 R1 내지 R6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1-C3의 알킬기에서 선택된다.)
[화학식 2]
Figure pat00010
[화학식 3]
Figure pat00011
[화학식 4]
Figure pat00012
(상기 화학식 2 내지 4에서, R7 내지 R18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1-C3의 알킬기에서 선택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화학식 1은 2,3,6,7,10,11-헥사하이드록시트리페닐렌이고, 상기 화학식 2는 2,3,6,7,10,11-헥사아미노트리페닐렌이고, 상기 화학식 3은 1,2,4,5-벤젠테트라아민이고, 상기 화학식 4는 2,3,7,8-테트라아미노페나진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상기 중합조성물을 도포하고, 가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결정질 2차원 공액중합체 박막의 제조방법이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제조방법은 공기 또는 산소 분위기 하에서 수행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가열은 150 내지 300 ℃의 온도에서 수행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가열 후, 화학적 또는 물리적으로 도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하기 화학식 2 내지 화학식 4로 표시되는 화합물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화합물을 산촉매 및 공기 또는 산소 분위기 하에서 가열하여 중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결정질 2차원 공액중합체의 제조방법이다.
[화학식 1]
Figure pat00013
(상기 화학식 1에서, 상기 L1 내지 L6는 각각 독립적으로 단일결합 또는 C1-C2의 알킬렌기에서 선택되고, 상기 R1 내지 R6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1-C3의 알킬기에서 선택된다.)
[화학식 2]
Figure pat00014
[화학식 3]
Figure pat00015
[화학식 4]
Figure pat00016
(상기 화학식 2 내지 4에서, R7 내지 R18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1-C3의 알킬기에서 선택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화학식 1은 2,3,6,7,10,11-헥사하이드록시트리페닐렌이고, 상기 화학식 2는 2,3,6,7,10,11-헥사아미노트리페닐렌이고, 상기 화학식 3은 1,2,4,5-벤젠테트라아민이고, 상기 화학식 4는 2,3,7,8-테트라아미노페나진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가열은 150 내지 300 ℃의 온도에서 수행하는 것일 수 있다.
이하는 본 발명의 각 구성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자가보수성(self-reparing)을 가지며, 우수한 전기적 특성 및 광학적 특성을 갖는 고분자 소재를 개발하기 위하여 연구한 결과, 트리페닐렌 구조의 화합물과 디아민을 포함하는 화합물을 반응시킴으로서 안정적인 구조를 가지면서 전기적 및 광학적 특성이 우수한 신규한 고분자 소재를 제공할 수 있음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결정질 2차원 공액중합체는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상기 화학식 2 내지 화학식 4로 표시되는 화합물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화합물로부터 유도된다. 여기서 유도된다는 것은 중합에 의해 중합체를 형성함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더욱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상기 화학식 1에서 상기 L1 내지 L6는 각각 독립적으로 단일결합이고, 상기 R1 내지 R6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1-C3의 알킬기에서 선택되는 것일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상기 화학식 1에서 상기 L1 내지 L6는 각각 독립적으로 단일결합이고, 상기 R1 내지 R6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인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아래 1-1과 같이 표시되는 2,3,6,7,10,11-헥사하이드록시트리페닐렌인 것일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Figure pat00017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더욱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상기 화학식 2에서, R7 내지 R1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인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아래 2-1과 같이 표시되는 2,3,6,7,10,11-헥사아미노트리페닐렌인 것일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Figure pat00018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더욱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상기 화학식 3에서, R13 및 R14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인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아래 3-1과 같이 표시되는 1,2,4,5-벤젠테트라아민인 것일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Figure pat00019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화학식 4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더욱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상기 화학식 4에서, R15 및 R18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인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아래 4-1과 같이 표시되는 2,3,7,8-테트라아미노페나진인 것일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Figure pat00020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2차원 공액중합체는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과 상기 화학식 2의 화합물로부터 유도되는 것일 수 있으며, 하기 구조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구조식 1]
Figure pat00021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과 상기 화학식 2의 화합물을 1 : 0.8 내지 1.2 몰비, 더욱 구체적으로 1 : 1 몰비로 사용하여 중합한 것일 수 있다. 상기 구조식 1은 화학식 1의 화합물로 2,3,6,7,10,11-헥사하이드록시트리페닐렌을 사용하고, 화학식 2의 화합물로 2,3,6,7,10,11-헥사아미노트리페닐렌을 사용한 경우의 결정질 2차원 공액중합체의 일 예로써, 구체적으로 예시한 것일 뿐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2차원 공액중합체는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과 상기 화학식 3의 화합물로부터 유되는 것일 수 있으며, 하기 구조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구조식 2]
Figure pat00022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과 상기 화학식 3의 화합물을 1 : 1 내지 3 몰비, 더욱 구체적으로 1 : 1.2 내지 1.8 몰비, 더욱 구체적으로 1 : 1.5 몰비로 사용하여 중합한 것일 수 있다. 상기 구조식 2는 화학식 1의 화합물로 2,3,6,7,10,11-헥사하이드록시트리페닐렌을 사용하고, 화학식 3의 화합물로 1,2,4,5-벤젠테트라아민을 사용한 경우의 결정질 2차원 공액중합체의 일 예로써, 구체적으로 예시한 것일 뿐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2차원 공액중합체는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과 상기 화학식 4의 화합물로부터 유되는 것일 수 있으며, 하기 구조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구조식 3]
Figure pat00023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과 상기 화학식 4의 화합물을 1 : 1.5 내지 5 몰비, 더욱 구체적으로 1 : 2 내지 3 몰비, 더욱 구체적으로 1 : 2.5몰비로 사용하여 중합한 것일 수 있다. 상기 구조식 2는 화학식 1의 화합물로 2,3,6,7,10,11-헥사하이드록시트리페닐렌을 사용하고, 화학식 4의 화합물로 2,3,7,8-테트라아미노페나진을 사용한 경우의 결정질 2차원 공액중합체의 일 예로써, 구체적으로 예시한 것일 뿐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결정질 2차원 공액중합체를 제조하는 방법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상기 화학식 2 내지 화학식 4로 표시되는 화합물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화합물을 산촉매 하에서 가열하여 중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가열중합은 공기 또는 산소 분위기에서 수행할 수 있지만,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화학식 1은 2,3,6,7,10,11-헥사하이드록시트리페닐렌이고, 상기 화학식 2는 2,3,6,7,10,11-헥사아미노트리페닐렌이고, 상기 화학식 3은 1,2,4,5-벤젠테트라아민이고, 상기 화학식 4는 2,3,7,8-테트라아미노페나진인 것일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상기 화학식 2 내지 화학식 4로 표시되는 화합물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화합물의 혼합비는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1 : 0.8 내지 5 몰비로 투입하는 것일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과 상기 화학식 2의 화합물을 1 : 0.8 내지 1.2 몰비, 더욱 구체적으로 1 : 1 몰비로 사용하여 중합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과 상기 화학식 3의 화합물을 1 : 1 내지 3 몰비, 더욱 구체적으로 1 : 1.2 내지 1.8 몰비, 더욱 구체적으로 1 : 1.5 몰비로 사용하여 중합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과 상기 화학식 4의 화합물을 1 : 1.5 내지 5 몰비, 더욱 구체적으로 1 : 2 내지 3 몰비, 더욱 구체적으로 1 : 2.5몰비로 사용하여 중합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산촉매는 중합반응을 유도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그 함량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에 대하여 산촉매의 함량을 1 : 1 ~ 2 몰비, 더욱 구체적으로 1 : 1.2 ~ 1.6몰비로 사용하는 것일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trifluoroacetic acid), 톨루엔설폰산 및 메탄설폰산, 아세트산, 염산, 황산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중합 시 공기 또는 산소 분위기 하에서 가열하여 중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가열은 150 내지 300 ℃, 더욱 구체적으로 160 ~ 250 ℃의 온도에서 수행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공기 또는 산소 분위기 하에서 반응을 수행하는 것이 화합물의 산화과정을 유도하므로 바람직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반응시간은 10 내지 72시간, 더욱 구체적으로 24 내지 36 시간 동안 수행하는 것일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중합 시 용매를 첨가하여 중합하는 것일 수 있으며, 단량체를 용해할 수 있는 유기용매라면 제한되지 않지만,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N-메틸-2-피롤리돈(NMP), 디메틸포름아미드(DMF), 디메틸아세트아미드(DMAC) 및 디메틸설폭사이드(dimethylsulfoxide, DMSO), 이소프로필알콜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중합 후 상기 용매를 이용하여 모노머 및 올리고머를 제거하는 과정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상기 화학식 2 내지 화학식 4로 표시되는 화합물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화합물, 산촉매 및 용매를 포함하는 결정질 2차원 공액중합체 제조용 중합조성물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화학식 1은 2,3,6,7,10,11-헥사하이드록시트리페닐렌이고, 상기 화학식 2는 2,3,6,7,10,11-헥사아미노트리페닐렌이고, 상기 화학식 3은 1,2,4,5-벤젠테트라아민이고, 상기 화학식 4는 2,3,7,8-테트라아미노페나진인 것일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의 함량은 앞서 설명한 바와 동일한다. 또한, 상기 산촉매 및 용매의 종류 및 함량은 앞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상기 중합조성물을 도포하고, 가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결정질 2차원 공액중합체 박막의 제조방법이다. 상기 가열은 공기 또는 산소 분위기 하에서 수행하는 것일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중합조성물을 도포하는 방법은 나이프 코팅(knife coating), 롤 코팅(roll coating), 다이 코팅(die coating), 커튼 코팅(curtain coating) 및 캐스팅 코팅(casting coating)등에서 선택되는 방법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박막의 두께는 건조된 두께로써 0.1 내지 100 nm, 더욱 구체적으로 1 내지 50 nm, 더욱 구체적으로 2 내지 10nm인 것일 수 있으며, 상기 범위에서 다양한 박막의 전자부품에 적용이 가능하므로 바람직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일 양태에서, 상기 박막을 형성하는 방법은 기재 상에 상기 중합조성물을 도포하고, 150 내지 300 ℃, 더욱 구체적으로 160 ~ 250 ℃의 온도로 가열하는 것일 수 있다. 이때 반응시간은 10 내지 72시간, 더욱 구체적으로 24 내지 36 시간 동안 수행하는 것일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는 상기 중합조성물을 반응기 내에서 150 내지 300 ℃, 더욱 구체적으로 160 ~ 250 ℃의 온도로 가열하여 중합한 후, 제조된 중합체를 유기용매에 분산시켜 기재 상에 도포를 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중합 시 반응시간은 10 내지 72시간, 더욱 구체적으로 24 내지 36 시간 동안 수행하는 것일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상기 중합체를 분산시키기 위한 유기용매는 중합체를 용해할 수 있는 유기용매라면 제한되지 않지만,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N-메틸-2-피롤리돈(NMP), 디메틸포름아미드(DMF), 디메틸아세트아미드(DMAC) 및 디메틸설폭사이드(dimethylsulfoxide, DMSO), 이소프로필알콜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기재는 제한되지 않으며,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유리, 실리콘 웨이퍼, 플라스틱, 금속, 복합금속, 금속산화물, 금속질화물, 금속탄화물, 금속황화물 등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제조된 박막을 기재로부터 분리하는 방법은 용매침지법에 의해 계면을 탈리시키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N-메틸-2-피롤리돈(NMP)과 이소프로필알콜의 혼합용액에 담가두면 저절로 분리되는 것일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N-메틸-2-피롤리돈(NMP) : 이소프로필알콜을 1 : 1 ~ 20 (v / v)의 혼합 용액에 담가 분리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기재 상에 본 발명의 일 양태의 2차원 공액중합체로 이루어진 박막을 형성한 복합기재는 전자부품에 적용되는 것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유기반도체, 전극소재, 광센서, 수소발생 광촉매 또는 그 첨가제 등에 다양하게 적용이 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결정질 2차원 공액중합체로 이루어진 박막은 평균 전하이동도가 2 cm2V-1s-1 이상, 더욱 구체적으로 2.5 cm2V-1s-1 이상인 것일 수 있으며, 더욱 구체적으로 2 내지 5 cm2V-1s- 1 인 물성을 만족할 수 있어 기존에 보고된 유기박막에 비하여 매우 높은 전하 이동도를 나타낸다. 또한, UV, Vis 및 IR 전파장 영역에서 높은 광민감성 특성을 가진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결정질 2차원 공액중합체로 이루어진 박막은 화학적 또는 물리적으로 도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도핑된 것일 수 있다. 상기 도핑단계를 추가로 포함함으로써 전기적인 물성을 더욱 향상시키는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화학적인 도핑을 하기 위해 사용되는 도판트 용액의 종류는 제한되지 않으며 통상적으로 해당 분야에서 사용되는 것이라면 제한되지 않고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도판트는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염화철(III)(FeCl3), 나이트로소듐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NOPF6), 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설포닐 이미디늄((CF3SO2)2N-), 염화금(III)(AuCl3), 2,3,5,6-테트라플루오로-7,7,8,8-테트라시아노퀴노다이메탄(F4-TCNQ) 등에서 선택되는 것일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도판트 용액은 스핀코팅 등의 도포방법을 이용하여 도핑하는 것일 수 있으며, 도판트 용액의 농도를 조절함으로써 도핑된 공액 고분자 필름 내 도판트의 양을 조절하는 것일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바탕으로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 실시예 및 비교예는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하나의 예시일 뿐,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1) 2차원 공액중합체(이하 ‘C2P-5’라 함)의 제조
2,3,6,7,10,11-헥사하이드록시트리페닐렌 4.0 mg(1.2 mM), 2,3,6,7,10,11-헥사아미노트리페닐렌 6.6 mg(1.2 mM) 및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1 ㎕(1.3 mM)을 N-메틸-2-피롤리돈 10 mL에 용해하고, 압력 튜브(pressure tube)에 넣었다. 상기 혼합물을 단단히 밀봉하고, 10분간 초음파 처리한 후, 산소 분위기 하에서 180℃에서 2일 동안 가열하였다. 초기 투명한 황색 용액에서 반응 후 갈색 용액으로 변하였다. 2일 후, 반응 혼합물을 3시간에 걸쳐 서서히 냉각시키고, 미반응 단량체, 올리고머 및 산촉매를 제거하기 위하여 N-메틸-2-피롤리돈 용액으로 재생 셀룰로오스 분리막을 이용하여 3회 투석(dialysis)을 하였다. 이후, 메탄올로 세척을 한 후, 최종적으로 건조시켜 결정질 2차원 공액중합체(이하 ‘C2P-5’라 함)를 암갈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수율은 75%이었다.
원소 분석 결과 [(C18H6N3)(CH3OH)4(H2O)6.2]n : C52.42, H 6.88, N 8.34; found: C 52.42, H 6.32, N 7.99이었다. 하기 반응식 1을 나타내었다.
[반응식 1]
Figure pat00024
도 1에서 a는 반응 전 후의 혼합물의 색상을 보이는 사진으로, 왼쪽은 반응전의 혼합물 사진이고, 오른쪽은 반응 후 중합체가 갈색으로 변한 것을 보여준다. b는 2,3,6,7,10,11-헥사하이드록시트리페닐렌(HHTP), 2,3,6,7,10,11-헥사아미노트리페닐렌(HATP) 및 C2P-5의 UV-Vis spectra를 나타낸 것이다. C2P-5의 흡수 스펙트럼은 장파장으로 그리고 단량체보다 넓은 밴드를 가지며, 중합에 의해 π-결합이 잘 일어나서 중합이 됨을 알 수 있다.
도 2는 HHTP, HATP 및 C2P-5의 FT-IR spectra를 나타낸 것이다. 3385 cm-1에서 HATP의 -NH2 기 및 3350 cm-1에서 HHTP의 -OH 기와 관련된 스트레칭 밴드의 거의 완전한 소실을 나타내었고, 1250과 1350 cm-1에서 새로 형성된 피라진 모티프(pyrazine motif)의 특징적인 C = N 스트레칭 밴드가 나타나 중합이 됨을 알 수 있다.
도 3은 C2P-5의 X-선 광전자 분광법(XPS)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C2P-5의 X 선 광전자 분광법 (XPS) 결과는 N1s 및 C1s 피크를 보였다. 400.2eV 및 285.4eV에서 각각 나타났으며, 이는 피라진의 형성을 추가로 확인한다. 또한 원소 분석으로 얻은 N과 C의 원 자비는 1 : 6.3이며 이상적인 1 : 6 값과 일치함을 알 수 있었다. 실험값에서 약간 과량의 질소 함량은 C2P-5의 XPS 스펙트럼에서 sp3-혼성화 된 질소 원자에 상응하는 399.3 eV의 작은 피크의 존재와 일치하는 가장자리에서의 미 반응 아미노 그룹으로부터 발생할 수 있다. 위의 모든 관찰 결과는 서로 일치하며, HHTP와 HATP 사이의 중합 반응이 잘 수행되어 피라진 모티프의 형성 및 결과적으로 π- 접합의 신장을 가능하게 함을 확인하였다.
2) 박막의 제조
상기 1)에서 합성된 C2P-5를 N-메틸-2-피롤리돈에 재분산 시키고, 드롭 캐스팅(drop-casting) 방법으로 300 nm 산화층이 형성되어있는 실리콘 웨이퍼 상에 박막을 형성하였다.
도 4는 C2P-5를 N-메틸-2-피롤리돈에 분산시킨 후 분산성을 평가한 사진이다. 도 4에서 보는 바과 같이, N-메틸-2-피롤리돈에 잘 분산이 됨을 확인하였으며, a의 왼쪽은 C2P-5를 N-메틸-2-피롤리돈에 분산시킨 사진이며, 오른쪽은 UV 빛 하에서 찍은 사진이다. 분산성을 평가한 결과 6개월 이상 분산이 안정적으로 유지됨을 확인하였다. b는 C2P-5의 파우더 상태를 찍은 사진이며, 오른쪽은 N-메틸-2-피롤리돈에 넣고 상온에서 흔들어서 분산시킨 상태를 찍은 사진이다.
도 5는 제조된 C2P-5 박막의 미시적 특성을 나타낸 것이다. C2P-5의 광학 현미경(OM) (a), 주사 전자 현미경 (SEM) (b), 원자 힘 현미경 (AFM) (c), 투과 전자 현미경 (TEM) (d), HR-TEM (e) 이미지 및 EDP (f) 의 다양한 현미경 기술로 미시적 특성을 측정하였다. SEM 이미지는 수십 마이크로 미터의 측면 크기를 갖는 박막을 나타냈다. SEM 및 AFM 이미지는 초박막 표면의 파동을 더욱 보여 주었으며 유연성을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C2P-5의 AFM 높이 프로파일은 막 두께가 약 0.7 ~ 4 nm 범위에 있음을 보여 주었으며, 이는 용액에서 단층에서 수 층으로 적층된 C2P-5 필름의 존재를 나타낸다.
도 6은 C2P-5 박막의 두께를 측정한 결과로, 도 6의 a는 C2P-5 박막의 대표 AFM 이미지와 최고점 프로파일의 두께를 나타낸 것이다. b는 C2P-5 박막의 두께 분포에 대한 히스토그램(histogram)이다. 광범위한 AFM 연구 결과, 단일, 이중, 삼중 및 다층 C2P-5 필름의 통계 분포가 각각 10 %, 10 %, 12 % 및 68 %로 나타났다.
도 7은 박막이 용매에 의해 분리되는 것을 보이는 사진이다. 흥미롭게도, Si 웨이퍼에 도포된 박막의 필름을 NMP와 이소프로필알콜의 1:10 (v / v) 혼합 용액에 담그면 박리되어 단일 층 필름이 생성되었다. 도 7의 a는 박리되는 것을 보이는 도식이며, b의 왼쪽의 2nm에서 박리되어 오른쪽과 같이 0.7nm임을 확인하여 박리됨을 확인하였다.
도 8은 C2P-5 박막의 unit cell parameter를 측정한 것이다. 도8의 a는 HR-TEM 이미지, b는 FFT-패턴을 나타낸 것이다. c는 단층 모델 구조로 중첩된 P3 대칭을 적용한 후 마스크 필터링된 TEM이미지이다. d는 FFT-패턴의 각 스팟번호의 역거리(reciprocal distance) 및 인덱스를 표로 나타낸 것이다.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고해상도 TEM (HR-TEM)과 전자 회절 패턴 (EDP) 층상 C2P-5는 육각형 격자 (P6, a = b = 1.637 nm, γ = 120 °)를 가진 고도로 정돈 된 내부 구조를 가지고 있음을 입증했다. 단층 C2P-5가 너무 많은 전자빔에 민감하여 선명한 이미지를 얻을 수 없다는 것도 알 수 있었다.
이 모든 결과를 종합 해 볼 때, 결정질 π- 접합의 측면 확장에 의해 결정질 단일 내지 수 층 C2P-5를 얻을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도 9는 C2P-5 박막의 가스 흡착곡선(gas sorption isotherm)을 나타낸 것이다. 77K에서 C2P-5의 N2 흡착 능력을 측정하였다. 비표면적은 20 ㎡/g이었다.
HR-TEM 분석은 단층 C2P-5의 구멍이있는 구조 임에도 불구하고 다층 C2P-5는 전형적으로 AA 적층 배열이 가려져있는 2D-COF에서 발견되는 어떠한 1D 채널도 가지지 않았으며, 이것은 다층 C2P-5의 무시할 수 있는 N2 흡착 능력과 일치한다.
도 10은 C2P-5의 결정성에 대한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10의 a는 단층 구조 및 셀 파라미터의 겹침(a=b=1.637(10)nm)을 나타낸 마스크 필터링 된 HR-TEM 이미지이다. b는 상호 6각형 격자 시스템을 보여주는 고속 퓨리에 변환 패턴(Fast Fourier transform pattern)이다. c는 방사광 파장(radiation wavelength) 1.5178 Å을 사용하는 Synchrotron PXRD(powder X-ray diffraction) 패턴이다. d는 일정한 층간 거리(3.45 Å)에서 유지되는 첫 번째 층의 피라진 중심에 대한 두 번째 층의 X-translational offset 및 Y-translational offset에 의해 계산된 표면 전위 에너지 맵이다. 구역 I, II 및 III는 노란색, 빨간색 및 검은 색으로 표시된다. e는 이중층 단위 셀에 대해 고려된 9가지 적층 유형의 주기적인 배열을 나타낸다. f 및 g는 스태킹 모델(stacking model)의 투시도이다. 도 10의 C2P-5의 분말 X 선 회절 (PXRD)에서 보는 바와 같이, 층간 분리 3.45 Å에 해당하는 25.4 °에서 가장 강렬한 신호를 제외하고는 8.96 Å, 12.62°, 15.54° 및 17.82°의 약한 피크를 관찰 할 수 있었다.
도 11은 C2P-5의 전자특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11의 a는 단층 C2P-5의 계산된 GGA 밴드 구조이다. b는 HOMO 및 LUMO 전자 밀도 맵이다. c는 Si/SiO2 기판 상에 C2P-5 및 Au를 전극으로 사용하여 제조 된 OFET 장치에서 10V의 Vds에 대한 전형적인 전달 곡선이다. a에서 보는 바와 같이, 단일 층 C2P-5의 전자 구조가 Brillouin 영역의 Γ 지점에서 0.94 eV의 직접적인 밴드 갭을 가짐을 보여 주었다. 보다 정확한 추정을 위해 Heyd, Scuseria 및 Ernzerhof (HSE) 하이브리드 기능을 사용하여 대략 1.53 eV의 유한 대역 갭을 추정하였다. UV-Vis 스펙트럼(1.4eV)과 순환 전압 전류 법 (1.2eV) 연구에서 얻은 밴드 갭은 두 이론적 인 값 사이에 떨어지며, 필름의 결함을 최소화함을 확인하였다(도 12 참조, a는 블랭크(회색) 및 C2P-5 코팅된 Pt 전극(검정)의 cyclic voltammogram이고, b는 석영 표면에 코팅된 C2P-5의 UV-Vis 스펙트럼). C2P-5의 밴드 구조는 이전에 보고 된 2D 공액 폴리머에서 발견 된 플랫 밴드 구조와 완전히 대조적으로 Γ 지점 근처의 원자가와 전도대에 대해 상당히 큰 곡률을 보였다. 이는 C2P-5 전하 캐리어의 유효 질량이 더 낮을 것이고, 따라서 더 높은 캐리어 이동성을 가질 것이다. 실제로, C2P-5의 전자와 정공의 유효 질량은 각각 0.27m0과 0.41m0(m0은 자유 전자 질량)이며, 이는 단일 층 전이 금속 디칼코게나이드(dichalcogenides)의 전자와 정공과 비교할 만하다. 더욱이, 탄소 원자와 질소 원자상의 p z 오비탈로 구성된 프론티어 분자 오비탈은 C2P-5의 전체 2D 네트워크에서 비확산되어 C2P-5가 높은 전하 캐리어 이동성을 나타낸다고 예측된다.
C2P-5의 전하 캐리어 이동도를 측정하기 위해 C2P-5가 능동 반도체 층으로 사용되고 Au가 전극으로 사용되는 Si 웨이퍼 상에 종래의 상부 접촉 형 OFET 장치를 제작했다. 전형적인 전달 곡선은 홀 강화 된 작동 하에서 잘 정의 된 전계 효과 거동을 보였다(도 11의 c 참조)
30 개의 소자로부터 계산 된 C2P-5의 평균 정공 이동도는 2.5 cm2V-1s-1이었고, 최대 값은 4.0 cm2V-1s-1에 달했다.
[실시예 2]
1) 2차원 공액중합체(이하 ‘C2P-7’라 함)의 제조
2,3,6,7,10,11-헥사하이드록시트리페닐렌 6.0 mg(1.8 mM), 1,2,4,5-벤젠테트라아민 테트라하이드로클로라이드 7.7 mg(2.7 mM) 및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1 ㎕(1.3 mM)을 N-메틸-2-피롤리돈에 용해하여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결정질 2차원 공액중합체(이하 ‘C2P-7’라 함)를 암갈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수율은 67%이었다. 중합체의 분석방법은 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확인하였다.
2) 박막의 제조
상기 1)에서 제조된 C2P-7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300 nm 산화층이 형성되어있는 실리콘 웨이퍼 상에 박막을 형성하였다.
도13은 C2P-7의 합성 및 물성을 나타낸 것이다. a는 반응식을 나타낸 것이고, b는 OM이미지이다. c는 SEM 이미지이다.(스케일 바 : 100㎛) d는 TEM이미지이다.(스케일 바 : 5nm) e는 C2P-7의 2.3nm의 포어사이즈를 보이는 구조이다.
도 14는 C2P-7의 고해상도 XPS spectra이다.
[실시예 3]
1) 2차원 공액중합체(이하 ‘C2P-9’라 함)의 제조
2,3,6,7,10,11-헥사하이드록시트리페닐렌 5.0 mg(1.5 mM), 2,3,7,8-테트라아미노페나진 테트라하이드로클로라이드 8.9 mg(2.25 mM) 및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1 ㎕(1.3 mM)을 N-메틸-2-피롤리돈에 용해하여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결정질 2차원 공액중합체(이하 ‘C2P-9’라 함)를 암갈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수율은 62%이었다. 중합체의 분석방법은 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확인하였다.
2) 박막의 제조
상기 1)에서 제조된 C2P-9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300 nm 산화층이 형성되어있는 실리콘 웨이퍼 상에 박막을 형성하였다.
도 15는 C2P-9의 합성 및 물성을 나타낸 것이다. a는 반응식을 나타낸 것이고, b는 OM이미지이다. c는 SEM 이미지이다.(스케일 바 : 100㎛) d는 TEM이미지이다.(스케일 바 : 5nm) e는 C2P-7의 3.3nm의 포어사이즈를 보이는 구조이다.
도 16은 C2P-9의 고해상도 XPS spectra이다.

Claims (15)

  1.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하기 화학식 2 내지 화학식 4로 표시되는 화합물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화합물로부터 유도되는 2차원 공액중합체.
    [화학식 1]
    Figure pat00025

    (상기 화학식 1에서, 상기 L1 내지 L6는 각각 독립적으로 단일결합 또는 C1-C2의 알킬렌기에서 선택되고, 상기 R1 내지 R6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1-C3의 알킬기에서 선택된다.)
    [화학식 2]
    Figure pat00026

    [화학식 3]
    Figure pat00027

    [화학식 4]
    Figure pat00028

    (상기 화학식 2 내지 4에서, R7 내지 R18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1-C3의 알킬기에서 선택된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은 2,3,6,7,10,11-헥사하이드록시트리페닐렌이고,
    상기 화학식 2는 2,3,6,7,10,11-헥사아미노트리페닐렌이고, 상기 화학식 3은 1,2,4,5-벤젠테트라아민이고, 상기 화학식 4는 2,3,7,8-테트라아미노페나진인 2차원 공액중합체.
  3. 제 1항의 2차원 공액중합체로 이루어진 박막.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박막은 화학적 또는 물리적으로 도핑된 것인 박막.
  5. 기재 상에 제 3항 또는 제 4항의 박막이 형성된 복합기재.
  6. 제 3항 또는 제 4항의 박막을 포함하는 전자부품.
  7. 제 5항의 복합기재를 포함하는 전자부품.
  8.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하기 화학식 2 내지 화학식 4로 표시되는 화합물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화합물, 산촉매 및 용매를 포함하는 2차원 공액중합체 제조용 중합조성물.
    [화학식 1]
    Figure pat00029

    (상기 화학식 1에서, 상기 L1 내지 L6는 각각 독립적으로 단일결합 또는 C1-C2의 알킬렌기에서 선택되고, 상기 R1 내지 R6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1-C3의 알킬기에서 선택된다.)
    [화학식 2]
    Figure pat00030

    [화학식 3]
    Figure pat00031

    [화학식 4]
    Figure pat00032

    (상기 화학식 2 내지 4에서, R7 내지 R18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1-C3의 알킬기에서 선택된다.)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은 2,3,6,7,10,11-헥사하이드록시트리페닐렌이고,
    상기 화학식 2는 2,3,6,7,10,11-헥사아미노트리페닐렌이고, 상기 화학식 3은 1,2,4,5-벤젠테트라아민이고, 상기 화학식 4는 2,3,7,8-테트라아미노페나진인 2차원 공액중합체 제조용 중합조성물.
  10. 제 8항의 중합조성물을 도포하고, 가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2차원 공액중합체 박막의 제조방법.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은 150 내지 300 ℃의 온도에서 수행하는 것인 2차원 공액중합체 박막의 제조방법.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 후, 화학적 또는 물리적으로 도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2차원 공액중합체 박막의 제조방법.
  13.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하기 화학식 2 내지 화학식 4로 표시되는 화합물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화합물을 산촉매 하에서 가열하여 중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2차원 공액중합체의 제조방법.
    [화학식 1]
    Figure pat00033

    (상기 화학식 1에서, 상기 L1 내지 L6는 각각 독립적으로 단일결합 또는 C1-C2의 알킬렌기에서 선택되고, 상기 R1 내지 R6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1-C3의 알킬기에서 선택된다.)
    [화학식 2]
    Figure pat00034

    [화학식 3]
    Figure pat00035

    [화학식 4]
    Figure pat00036

    (상기 화학식 2 내지 4에서, R7 내지 R18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1-C3의 알킬기에서 선택된다.)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은 2,3,6,7,10,11-헥사하이드록시트리페닐렌이고,
    상기 화학식 2는 2,3,6,7,10,11-헥사아미노트리페닐렌이고, 상기 화학식 3은 1,2,4,5-벤젠테트라아민이고, 상기 화학식 4는 2,3,7,8-테트라아미노페나진인 2차원 공액중합체의 제조방법.
  15.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은 150 내지 300 ℃의 온도에서 수행하는 것인 2차원 공액중합체의 제조방법.
KR1020180014149A 2018-02-05 2018-02-05 결정질 2차원 공액중합체, 이를 이용한 박막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643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4149A KR102064394B1 (ko) 2018-02-05 2018-02-05 결정질 2차원 공액중합체, 이를 이용한 박막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190120448A KR102319333B1 (ko) 2018-02-05 2019-09-30 결정질 2차원 공액중합체, 이를 이용한 박막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4149A KR102064394B1 (ko) 2018-02-05 2018-02-05 결정질 2차원 공액중합체, 이를 이용한 박막 및 이의 제조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0448A Division KR102319333B1 (ko) 2018-02-05 2019-09-30 결정질 2차원 공액중합체, 이를 이용한 박막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4691A true KR20190094691A (ko) 2019-08-14
KR102064394B1 KR102064394B1 (ko) 2020-01-10

Family

ID=676220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4149A KR102064394B1 (ko) 2018-02-05 2018-02-05 결정질 2차원 공액중합체, 이를 이용한 박막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439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437219A (zh) * 2021-06-09 2021-09-24 中国科学院合肥物质科学研究院 一种基于Ni3(HHTP)2导电薄膜的场效应晶体管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2309B1 (ko) 2007-11-21 2008-05-26 한국과학기술원 금속 양이온이 도핑된 수소저장용 유기물질 골격구조 물질유도체 및 그의 사용방법
EP2078720A1 (en) 2007-12-28 2009-07-15 Université de la Méditerranée - Aix-Marseille II Novel method for the preparation of derivatives of dihydrotetraazapentacenes, products such as obtained and uses thereof
WO2017031062A1 (en) 2015-08-14 2017-02-23 Cornell University Conducting-polymer modified covalent organic frameworks and methods of making sam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437219A (zh) * 2021-06-09 2021-09-24 中国科学院合肥物质科学研究院 一种基于Ni3(HHTP)2导电薄膜的场效应晶体管及其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64394B1 (ko) 2020-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22162B2 (en) Thin film production
KR101969300B1 (ko) 그래핀으로 코팅된 코어-쉘 구조를 가지는 금속 나노와이어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7104792A1 (ja) 錯体及びペロブスカイト材料、並びに該錯体若しくはペロブスカイト材料を用いたペロブスカイト型太陽電池
WO2016021900A1 (ko) 무 /유기 하이브리드 페로브스카이트 화합물 막의 제조방법
CN108350003B (zh) 卤化铅加合物和使用该卤化铅加合物的钙钛矿元件
KR20180122393A (ko) 알킬아민을 사용한 a/m/x 재료의 제조 방법
DE102011052041A1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Kohlenstoff-Dünnfilms, den Kohlenstoff-Dünnfilm umfassende elektronische Bauteile und den Kohlenstoff-Dünnfilm umfassende elektrochemische Vorrichtung
Liu et al. Two-dimensional conjugated microporous polymer films: Fabrication strategies and potential applications
Chen et al. Methoxy groups on bifluorenylidene-based hole transporting materials result in highly efficient and stable dopant-free inverted perovskite solar cells
CN111548485A (zh) 一种共轭微孔有机聚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Xu et al. On-surface synthesis of two-dimensional imine polymers with a tunable band gap: a combined STM, DFT and Monte Carlo investigation
Ram et al. Fabr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poly [(2-methoxy-5-(2′-ethyl-hexyloxy) phenylene vinylene](MEH-PPV) Langmuir–Schaefer films and their application as photoelectrochemical cells
Yi et al. Molecular design of diazo compound for carbene-mediated cross-linking of hole-transport polymer in QLED with reduced energy barrier and improved charge balance
KR102064394B1 (ko) 결정질 2차원 공액중합체, 이를 이용한 박막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6021402A1 (ja) 有機無機層状ペロブスカイト型化合物及び有機無機層状ペロブスカイト型化合物の製造方法
KR101832401B1 (ko) 고전도도 폴리(하이드록시메틸-edot) 박막 제조 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박막
EP3778711A1 (en) Method for the synthesis of a two-dimensional or quasi-two-dimensional polymer film, the two-dimensional or quasi-two-dimensional polymer film and the use
Mohammed et al. The role of formic acid as secondary dopant and solvent for poly (o-toluidine) intrinsically doped with camphor sulfonic acid
US10121971B2 (en) Cellulose-polymer composites for solar cells
KR102319333B1 (ko) 결정질 2차원 공액중합체, 이를 이용한 박막 및 이의 제조방법
WO2020260891A1 (en) Semi-transparent perovskite films
KR101484850B1 (ko) 2차원 판상 구조 탄소 소재와 그 제조 방법
KR102224357B1 (ko) 도데실 설페이트 도핑된 pedot 필름 및 그 제조방법
Zhu et al. Modifying CH3NH3PbBr3 nanocrystals with arylamines
KR101410251B1 (ko) 질소 함유 다공성 2차원 결정성 구조의 그래핀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