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93364A - 메모리 컨트롤러, 이를 포함하는 메모리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메모리 컨트롤러, 이를 포함하는 메모리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93364A
KR20190093364A KR1020180012916A KR20180012916A KR20190093364A KR 20190093364 A KR20190093364 A KR 20190093364A KR 1020180012916 A KR1020180012916 A KR 1020180012916A KR 20180012916 A KR20180012916 A KR 20180012916A KR 20190093364 A KR20190093364 A KR 201900933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eck
memory device
state
status
memo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29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05920B1 (ko
Inventor
천동엽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129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5920B1/ko
Priority to US16/117,426 priority patent/US10678471B2/en
Priority to CN201811109320.5A priority patent/CN110109797B/zh
Publication of KR201900933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33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59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59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 G06F3/0601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 G06F3/0602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chieve a particular effect
    • G06F3/0604Improving or facilitating administration, e.g. storage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30Monitoring
    • G06F11/3003Monitor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o the computing system or computing system component being monitored
    • G06F11/3037Monitor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o the computing system or computing system component being monitored where the computing system component is a memory, e.g. virtual memory, cach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 G06F3/0601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 G06F3/0628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making use of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0646Horizontal data movement in storage systems, i.e. moving data in between storage devices or systems
    • G06F3/065Replication mechanis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 G06F3/0601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 G06F3/0628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making use of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0646Horizontal data movement in storage systems, i.e. moving data in between storage devices or systems
    • G06F3/0652Erasing, e.g. deleting, data cleaning, moving of data to a wastebaske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 G06F3/0601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 G06F3/0628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making use of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0653Monitoring storage devices or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 G06F3/0601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 G06F3/0628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making use of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0655Vertical data movement, i.e. input-output transfer; data movement between one or more hosts and one or more storage devices
    • G06F3/0659Command handling arrangements, e.g. command buffers, queues, command schedu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 G06F3/0601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 G06F3/0668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adopting a particular infrastructure
    • G06F3/0671In-line storage system
    • G06F3/0673Single storage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 G06F3/0601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 G06F3/0668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adopting a particular infrastructure
    • G06F3/0671In-line storage system
    • G06F3/0673Single storage device
    • G06F3/0679Non-volatil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e.g. flash memory, one time programmable memory [OTP]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10Input/output [I/O] data interface arrangements, e.g. I/O data control circuits, I/O data buffers
    • G11C7/1051Data output circuits, e.g. read-out amplifiers, data output buffers, data output registers, data output level conversion circuits
    • G11C7/1063Control signal output circuits, e.g. status or busy flags, feedback command signal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6/00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ies
    • G11C16/02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ies electrically programmable
    • G11C16/04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ies electrically programmable using variable threshold transistors, e.g. FAMOS
    • G11C16/0483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ies electrically programmable using variable threshold transistors, e.g. FAMOS comprising cells having several storage transistors connected in seri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6/00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ies
    • G11C16/02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ies electrically programmable
    • G11C16/06Auxiliary circuits, e.g. for writing into memory
    • G11C16/34Determination of programming status, e.g. threshold voltage, overprogramming or underprogramming, retention
    • G11C16/3436Arrangements for verifying correct programming or erasur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29/00Checking stores for correct operation ; Subsequent repair; Testing stores during standby or offline operation
    • G11C29/04Detection or location of defective memory elements, e.g. cell constructio details, timing of test signals
    • G11C2029/0409Online test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상태 체크 커맨드들 중 메모리 장치가 지원하는 상태 체크 커맨드를 확인하는 상태 체크 커맨드 결정부; 및 상기 확인된 상태 체크 커맨드를 이용하여 상기 메모리 장치에 대한 상태 체크 동작을 수행하는 상태 체크 수행부를 포함하는 메모리 컨트롤러, 이를 포함하는 메모리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메모리 컨트롤러, 이를 포함하는 메모리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Memory controller, memory system having the sam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메모리 컨트롤러, 이를 포함하는 메모리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메모리 장치의 타입에 따라 상태 체크를 수행할 수 있는 메모리 컨트롤러, 이를 포함하는 메모리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메모리 시스템(memory system)은, 메모리 장치(memory device) 및 메모리 컨트롤러(memory controller)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 장치는, 메모리 컨트롤러의 제어에 따라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저장된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메모리 장치는, 전원 공급이 차단되면 저장된 데이터가 소멸되는 휘발성 메모리 장치, 또는 전원 공급이 차단되더라도 저장된 데이터가 유지되는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메모리 컨트롤러는, 호스트(host)와 메모리 장치 사이의 데이터 통신을 제어할 수 있다.
호스트는, PCI-E(Peripheral Component Interconnect-Express), ATA(Advanced Technology Attachment), SATA(Serial ATA), PATA(Parallel ATA) 또는 SAS(serial attached SCSI) 등의 인터페이스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메모리 시스템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호스트와 메모리 시스템 간의 인터페이스 프로토콜들은 상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호스트는, USB(Universal Serial Bus), MMC(Multi-Media Card), ESDI(Enhanced Small Disk Interface) 또는 IDE(Integrated Drive Electronics) 등의 다양한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메모리 시스템과 통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메모리 장치의 타입에 따라 상태 체크를 수행할 수 있는 메모리 컨트롤러, 이를 포함하는 메모리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메모리 컨트롤러는, 복수의 상태 체크 커맨드들 중 메모리 장치가 지원하는 상태 체크 커맨드를 확인하는 상태 체크 커맨드 결정부; 및 상기 확인된 상태 체크 커맨드를 이용하여 상기 메모리 장치에 대한 상태 체크 동작을 수행하는 상태 체크 수행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메모리 시스템은, 상태 체크 커맨드에 응답하여 상태 정보를 출력하는 메모리 장치; 및 복수의 상태 체크 커맨드 중 상기 메모리 장치가 지원하는 상태 체크 커맨드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상태 체크 커맨드를 이용하여 상기 메모리 장치에 대한 상태 체크를 수행하는 메모리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메모리 컨트롤러의 동작 방법은, 호스트로부터 메모리 장치의 타입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메모리 장치의 타입 정보와 복수의 상태 체크 커맨드 각각에 대하여 해당 상태 체크 커맨드를 지원하는 메모리 장치의 타입 정보가 맵핑된 제 1 테이블을 기반으로 상기 메모리 장치가 지원하는 상태 체크 커맨드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된 상태 체크 커맨드를 이용하여 상기 메모리 장치에 대한 상태 체크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기술에 따르면, 메모리 장치의 타입에 따른 상태 체크를 수행할 수 있으므로, 메모리 시스템의 신뢰도를 개선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메모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메모리 컨트롤러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메모리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4는 2차원 구조의 메모리 블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5는 3차원 구조의 메모리 블록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6은 3차원 구조의 메모리 블록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태 체크 수행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 1 테이블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 2 테이블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 3 테이블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상태 정보를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2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메모리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메모리 시스템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메모리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메모리 시스템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메모리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메모리 시스템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메모리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메모리 시스템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통해 설명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메모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메모리 시스템(memory system; 2000)은, 데이터가 저장되는 메모리 장치(memory device; 2200) 및 호스트(host; 1000)의 제어에 따라 메모리 장치(2200)를 제어하는 메모리 컨트롤러(memory controller; 2100)를 포함할 수 있다.
호스트(1000)는, PCI-E(Peripheral Component Interconnect - Express), ATA(Advanced Technology Attachment), SATA(Serial ATA), PATA(Parallel ATA) 또는 SAS(serial attached SCSI) 등의 인터페이스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메모리 시스템(2000)과 통신할 수 있다. 호스트(1000)와 메모리 시스템(2000) 간에 이용되는 인터페이스 프로토콜들은 상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USB(Universal Serial Bus), MMC(Multi-Media Card), ESDI(Enhanced Small Disk Interface) 또는 IDE(Integrated Drive Electronics) 등의 인터페이스 프로토콜이 이용될 수도 있다.
메모리 시스템(2000)에는, 다양한 타입의 메모리 장치(2200)가 탑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 시스템(2000)에는, A 타입의 메모리 장치(2200)가 탑재되거나, B 타입의 메모리 장치(2200)가 탑재될 수 있다. 여기서, A 타입의 메모리 장치(2200)가 지원하는 상태 체크 ("READ STATUS") 커맨드는, B 타입의 메모리 장치(2200)가 지원하는 상태 체크 커맨드와 다를 수 있다. 즉, 서로 다른 타입의 메모리 장치(2200)는, 서로 지원하는 상태 체크 커맨드가 다를 수 있다.
메모리 시스템(2000)에 특정 타입의 메모리 장치(2200)가 탑재되는 경우, 호스트(1000)는, 해당 메모리 장치(2200)의 타입 정보를 메모리 컨트롤러(21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메모리 장치(2200)의 타입 정보는, 예를 들어, 메모리 장치(2200)의 제품명, 시리얼 넘버 또는 패키지 정보일 수 있다. 그러나, 메모리 장치(2200)의 타입 정보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메모리 장치(2200)를 식별할 수 있는 다양한 정보들이 타입 정보로서 이용될 수 있다.
메모리 컨트롤러(2100)는, 메모리 시스템(2000)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하며, 호스트(1000)와 메모리 장치(2200) 사이의 데이터 교환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 컨트롤러(2100)는 호스트(1000)와 메모리 장치(2200) 사이에서 커맨드(command), 어드레스(address) 및 데이터(data)가 통신될 수 있도록 수신된 정보를 변환하고 변환된 정보를 저장 및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그램 동작 시, 메모리 컨트롤러(2100)는, 커맨드(command), 어드레스(address) 및 데이터(data) 등을 메모리 장치(2200)에 전송할 수 있다.
메모리 컨트롤러(2100)는, 메모리 장치(2200)에 대한 상태 체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 컨트롤러(2100)는, 상태 체크 커맨드를 생성하여 메모리 장치(2200)에게 전송하고, 상태 체크 커맨드에 대한 응답으로 메모리 장치(2200)로부터 상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 컨트롤러(2100)는, 메모리 장치(2200)로부터 수신된 상태 정보에 따라 메모리 장치(2200)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즉, 메모리 컨트롤러(2100)는 현재 메모리 장치(2200)가 동작 중인지 또는 유휴 상태인지 등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메모리 장치(2200)로부터 출력되는 상태 정보는 다양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태 정보는, 메모리 컨트롤러(2100)로부터 출력된 상태 체크 커맨드를 정상적으로 수신했는지에 대한 정보, 메모리 장치(2200)가 현재 유휴(idle) 상태인지에 대한 정보, 메모리 장치(2200)가 현재 비지(busy) 상태인지에 대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 장치(2200)의 프로그램 동작 이후에 상태 체크 동작이 수행되는 경우, 메모리 컨트롤러(2100)는, 메모리 장치(2200)로부터 수신되는 상태 정보를 확인하여 메모리 장치(2200)의 프로그램 동작이 정상적으로 수행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 장치(2200)의 리드 동작 이후에 상태 체크 동작이 수행되는 경우, 메모리 컨트롤러(2100)는, 메모리 장치(2200)로부터 수신되는 상태 정보를 확인하여 메모리 장치(2200)의 리드 동작이 정상적으로 수행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메모리 컨트롤러(2100)는, 메모리 장치(2200)가 지원하는 상태 체크 커맨드를 확인하고, 확인된 상태 체크 커맨드를 이용하여 메모리 장치(2200)에 대한 상태 체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 컨트롤러(2100)는, 호스트(1000)로부터 메모리 장치(2200)의 타입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메모리 장치(2200)의 타입 정보를 기반으로 메모리 장치(2200)가 지원하는 상태 체크 커맨드를 확인할 수 있다. 메모리 장치(2200)가 지원하는 상태 체크 커맨드의 확인은, 복수의 상태 체크 커맨드 각각에 대하여 해당 상태 체크 커맨드를 지원하는 메모리 장치(2200)의 타입 정보가 저장된 테이블(이하, 제 1 테이블)을 기반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 컨트롤러(2100)는, 제 1 테이블을 참조하여, 호스트(1000)로부터 수신된 메모리 장치(2200)의 타입 정보에 대응하는 상태 체크 커맨드를 확인할 수 있다.
메모리 컨트롤러(2100)는, 확인된 상태 체크 커맨드를 이용하여 메모리 장치(2200)에 대한 상태 체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 컨트롤러(2100)는, 확인된 상태 체크 커맨드를 생성하고, 생성된 상태 체크 커맨드를 메모리 장치(22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메모리 컨트롤러(2100)는, 상태 체크 커맨드에 대한 응답으로 메모리 장치(2200)로부터 상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메모리 컨트롤러(2100)는, 메모리 장치(2200)로부터 수신된 상태 정보를 확인하여 상태 체크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상태 체크 결과의 확인은, 복수의 상태 체크 커맨드 각각에 대하여 해당 상태 체크 커맨드에 대응하는 상태 정보의 정의(definition)가 기록된 테이블(이하, 제 2 테이블)을 기반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 컨트롤러(2100)는, 제 2 테이블을 참조하여, 메모리 장치(2200)로부터 수신된 상태 정보의 비트들이 의미하는 바를 확인함으로써 상태 체크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메모리 컨트롤러(2100)는, 상태 체크를 수행함에 있어, 메모리 장치(2200)로부터 수신되는 상태 정보 중에서 확인하여야 할 비트를 결정하고, 결정된 비트에 따라 메모리 장치(2200)에 대한 상태 체크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확인하여야 할 비트의 결정은, 복수의 상태 체크 커맨드 각각에 대응하는 상태 정보 중 확인하여야 할 참조 비트의 정보가 저장된 테이블(이하, 제 3 테이블)을 기반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 컨트롤러(2100)는, 제 3 테이블을 참조하여, 메모리 장치(2200)로부터 수신된 상태 정보 중 참조 비트에 해당하는 비트에 따라 메모리 장치(2200)의 상태 체크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상태 체크 결과의 확인은, 제 2 테이블을 기반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 컨트롤러(2100)는, 메모리 장치(2200)로부터 수신된 상태 정보 중 참조 비트에 해당하는 비트를 제 2 테이블을 참조하여 확인함으로써 메모리 장치(2200)의 상태 체크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메모리 컨트롤러(2100)는, 상태 체크의 대상이 되는 동작의 종류를 더 고려하여 확인하여야 할 상태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3 테이블에는, 각각의 동작에 대응되는 참조 비트가 저장될 수 있다. 즉, 제 3 테이블에는, 복수의 상태 체크 커맨드들이 저장될 수 있고, 상태 체크 커맨드 각각에 대한 상태 정보 중 확인하여야 할 참조 비트가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메모리 컨트롤러(2100)는, 제 3 테이블을 참조하여, 메모리 장치(2200)로부터 수신된 상태 정보 중, 상태 체크의 대상이 된 동작에 매핑된 참조 비트에 해당하는 비트를, 확인하여야 할 상태 정보로 결정할 수 있다.
한편, 메모리 장치(2200)에서 지원하는 상태 체크 커맨드는 복수 개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메모리 컨트롤러(2100)는, 복수의 상태 체크 커맨드 중 어느 하나의 상태 체크 커맨드를 선택하여 메모리 장치(2200)에 대한 상태 체크를 수행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메모리 컨트롤러(2100)는, 메모리 장치(2200)에서 지원하는 복수의 상태 체크 커맨드들 중 어느 하나의 상태 체크 커맨드를 이용한 상태 체크를 수행하고, 그 결과에 따라 다른 하나의 상태 체크 커맨드를 이용한 상태 체크를 더 수행할 수 있다.
메모리 장치(2200)는, 메모리 컨트롤러(2100)의 제어에 따라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 장치(2200)는, 프로그램 동작, 리드 동작, 소거 동작, 서스펜드 동작, 및 카피백 동작 등을 수행할 수 있다.
메모리 장치(2200)는, 메모리 컨트롤러(2100)의 제어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면서 상태 정보를 상태 레지스터(status register)에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 장치(2200)는, 메모리 컨트롤러(2100)로부터 상태 체크 커맨드가 수신되는 경우, 상태 레지스터에 저장된 상태 정보를 메모리 컨트롤러(21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메모리 장치(2200)는 전원 공급이 차단되면 저장된 데이터가 소멸되는 휘발성 메모리 장치, 또는 전원 공급이 차단되더라도 저장된 데이터가 유지되는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에서는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에 포함되는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를 예를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메모리 컨트롤러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메모리 컨트롤러(2100)는, 호스트 인터페이스(host interface; 2110), ECC 유닛(Error Correcting Code unit; 2120), 메모리 인터페이스(memory interface; 2130), 버퍼 메모리(buffer memory; 2140), CPU(Central Processing Unit; 2150) 및 SRAM(Static Random-Access Memory; 2160)을 포함할 수 있다. 호스트 인터페이스(2110), ECC 유닛(2120) 메모리 인터페이스(2130), 버퍼 메모리(2140) 및 SRAM(2160)은, CPU(215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호스트 인터페이스(2110)는,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호스트(1000)와 데이터 교환을 수행할 수 있다.
ECC 유닛(2120)은, 프로그램 동작 또는 리드 동작 시 에러를 검출하고 검출된 에러를 정정할 수 있다.
메모리 인터페이스(2130)는,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메모리 장치(220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버퍼 메모리(2140)는, 메모리 컨트롤러(2100)가 메모리 장치(2200)를 제어하는 동안 데이터를 임시로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그램 동작이 완료될 때까지 호스트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는 버퍼 메모리(2140)에 임시로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리드 동작 시 메모리 장치(2200)로부터 리드된 데이터가 버퍼 메모리(2140)에 임시로 저장될 수도 있다.
CPU(2150)는, 메모리 장치(2200)를 제어하기 위하여, 각종 연산을 수행하거나 커맨드 및 어드레스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CPU(2150)는, 프로그램 동작, 리드 동작, 소거 동작, 서스펜드 동작 및 카피백 동작들에 필요한 다양한 커맨드들(commands)을 생성할 수 있다.
CPU(2150)는, 메모리 장치의 타입에 대응하는 상태 체크 커맨드를 이용하여 메모리 장치(2200)에 대한 상태 체크를 수행할 수 있다. 메모리 장치(2200)의 타입 정보는, 호스트(1000)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CPU(2150)는, 상태 체크 커맨드 결정부(2151) 및 상태 체크 수행부(2155)를 포함할 수 있다.
상태 체크 커맨드 결정부(2151)는, 복수의 상태 체크 커맨드 중 메모리 장치(2200)가 지원하는 상태 체크 커맨드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태 체크 커맨드 결정부(2151)는, 제 1 테이블(2152)을 참조하여, 호스트(1000)로부터 수신된 메모리 장치(2200)의 타입 정보에 대응하는 상태 체크 커맨드를 확인할 수 있다. 상태 체크 커맨드 결정부(2151)는, 확인된 상태 체크 커맨드에 대한 정보를 상태 체크 수행부(2155)에게 제공할 수 있다. 상태 체크 커맨드에 대한 정보는, 해당 상태 체크 커맨드를 식별할 수 있는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상태 체크 수행부(2155)는, 상태 체크 커맨드 결정부(2151)로부터 메모리 장치(2200)가 지원하는 상태 체크 커맨드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해당 상태 체크 커맨드를 이용하여 메모리 장치(2200)에 대한 상태 체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태 체크 수행부(2155)는, 상태 체크 커맨드 결정부(2151)에서 확인된 상태 체크 커맨드를 생성하고, 생성된 상태 체크 커맨드를 메모리 장치(22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상태 체크 수행부(2155)는, 상태 체크 커맨드에 대응하여 메모리 장치(2200)로부터 수신된 상태 정보를 확인하여 상태 체크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상태 체크 결과의 확인은, 제 2 테이블(2156) 및 제 3 테이블(2158)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태 체크 수행부(2155)는, 제 2 테이블(2156)을 참조하여, 메모리 장치(2200)로부터 수신된 상태 정보의 각 비트가 나타내는 바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태 체크 수행부(2155)는, 제 3 테이블(2158)을 참조하여, 메모리 장치(2200)로부터 수신된 상태 정보 중 참조 비트에 해당하는 비트를 확인하여 상태 체크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상태 체크 수행부(2155)는, 메모리 장치(2200)에서 지원하는 상태 체크 커맨드가 복수 개인 경우, 해당 복수의 상태 체크 커맨드 중 어느 하나의 상태 체크 커맨드를 선택하여 메모리 장치(2200)에 대한 상태 체크를 수행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태 체크 수행부(2155)는, 메모리 장치(2200)에서 지원하는 복수의 상태 체크 커맨드들 중 어느 하나의 상태 체크 커맨드를 이용한 상태 체크를 수행하고, 그 결과에 따라 다른 하나의 상태 체크 커맨드를 이용한 상태 체크를 더 수행할 수 있다.
SRAM(2160)은, 메모리 컨트롤러(2100)의 동작에 필요한 다양한 정보들을 저장하는 저장부(storage unit)로서 사용될 수 있다.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메모리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메모리 장치(2200)는, 제어 로직(2210), 주변 회로들(2220) 및 메모리 셀 어레이(2240)를 포함할 수 있다. 주변 회로들(2220)은, 전압 생성 회로(voltage generation circuit; 2222), 로우 디코더(row decoder; 2224), 입출력 회로(input/output circuit; 2226), 칼럼 디코더(column decoder; 2228), 페이지 버퍼 그룹(page buffer group; 2232) 및 전류 센싱 회로(current sensing circuit; 2234)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 로직(2210)은, 도 2에 도시된 메모리 컨트롤러(2100) 메모리 컨트롤러(2100)의 제어 하에 주변 회로들(2220)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 로직(2210)은, 입출력 회로(2226)를 통하여 메모리 컨트롤러(2100)로부터 수신되는 커맨드(CMD) 및 어드레스(ADD)에 응답하여 주변 회로들(2220)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로직(2210)은, 커맨드(CMD) 및 어드레스(ADD)에 응답하여 동작 신호(OP_CMD), 로우 어드레스(RADD), 페이지 버퍼 제어 신호들(PBSIGNALS) 및 허용 비트(VRY_BIT<#>)를 출력할 수 있다. 제어 로직(2210)은, 전류 센싱 회로(2234)로부터 수신되는 패스 신호(PASS) 또는 페일 신호(FAIL)에 응답하여 검증 동작이 패스되었는지 또는 페일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메모리 컨트롤러(2100)로부터 수신되는 커맨드(CMD)는 동작 커맨드 및 상태 체크 커맨드를 포함할 수 있다. 동작 커맨드는, 프로그램 동작 커맨드, 소거 동작 커맨드, 리드 동작 커맨드, 서스펜드 동작 커맨드 및 카피백 동작 커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 로직(2210)은, 메모리 컨트롤러(2100)로부터 수신되는 커맨드에 따라 동작을 수행하면서 상태 레지스터(2212)에 메모리 장치(2200)의 상태를 기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 컨트롤러(2100)로부터 수신된 커맨드가 프로그램 동작 커맨드인 경우, 해당 프로그램 동작 커맨드가 성공적으로 수행되었는지 또는 실패하였는지에 대한 정보를 상태 레지스터(2212)에 기록할 수 있다.
제어 로직(2210)은, 메모리 컨트롤러(2100)로부터 상태 체크 커맨드가 수신되는 경우 상태 레지스터(2212)에 저장된 상태 체크 비트들을 메모리 컨트롤러(21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주변 회로들(2220)은, 제어 로직(2210)의 제어 하에, 메모리 셀 어레이(2240)에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프로그램 동작(program operation), 메모리 셀 어레이(2240)에 저장된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한 리드 동작(read operation), 메모리 셀 어레이(2240)에 저장된 데이터를 소거하기 위한 소거 동작(erase operation)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주변 회로들(2220)은 현재 수행 중인 동작을 멈추는 서스펜드 동작 또는 데이터를 다른 메모리 블록으로 카피(copy)하는 카피백(copy-back)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전압 생성 회로(2222)는, 제어 로직(2210)으로부터 수신되는 동작 신호(OP_CMD)에 응답하여 프로그램 동작, 리드 동작 및 소거 동작에 이용되는 다양한 동작 전압들(Vop)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압 생성 회로(2222)는, 프로그램 전압, 검증 전압, 패스 전압, 보상 프로그램 전압, 리드 전압, 소거 전압 및 턴-온 전압 등을 생성할 수 있다.
로우 디코더(2224)는, 제어 로직(2210)으로부터 수신되는 로우 어드레스(RADD)에 응답하여 메모리 셀 어레이(2240)에 포함된 메모리 블록들 중 선택된 메모리 블록에 연결된 로컬 라인들(Local Lines; LL)에 동작 전압들(Vop)을 전달할 수 있다. 로컬 라인들(LL)은, 로컬 워드 라인들(local word lines), 로컬 드레인 셀렉트 라인들(local drain select lines) 및 로컬 소스 셀렉트 라인들(local source select lines)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외에도, 로컬 라인들(LL)은 소스 라인(source line) 등 메모리 블록에 연결된 다양한 라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 회로(2226)는, 입출력 라인들(DQ)을 통해 메모리 컨트롤러로부터 수신되는 커맨드(CMD) 및 어드레스(ADD)를 제어 로직(2210)에 전달하거나, 칼럼 디코더(2228)와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칼럼 디코더(2228)는, 제어 로직(2210)으로부터 수신되는 칼럼 어드레스(CADD)에 응답하여 입출력 회로(2226)와 페이지 버퍼 그룹(2232) 사이에서 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칼럼 디코더(2228)는, 데이터 라인들(DL)을 통해 페이지 버퍼들(PB1~PBI)과 데이터를 주고 받거나, 칼럼 라인들(CL)을 통해 입출력 회로(2226)와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페이지 버퍼 그룹(2232)은, 메모리 셀 어레이(2240)에 포함된 메모리 블록들에 공통으로 연결된 비트 라인들(BL1~BLI)에 연결될 수 있다. 페이지 버퍼 그룹(2232)은, 비트 라인들(BL1~BLI)에 연결된 복수의 페이지 버퍼들(PB1~PBI)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각의 비트 라인마다 하나의 페이지 버퍼가 연결될 수 있다. 페이지 버퍼들(PB1~PBI)은, 제어 로직(2210)으로부터 수신되는 페이지 버퍼 제어 신호들(PBSIGNALS)에 응답하여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페이지 버퍼들(PB1~PBI)은, 프로그램 동작 시 메모리 컨트롤러로부터 수신된 프로그램 데이터를 임시로 저장하고, 프로그램 데이터에 따라 비트 라인들(BL1~BLI)에 인가되는 전압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페이지 버퍼들(PB1~PBI)은, 리드 동작 시 비트 라인들(BL1~BLI)을 통하여 수신되는 데이터를 임시로 저장하거나, 비트 라인들(BL1~BLI)의 전압 또는 전류를 센싱할 수 있다. 전류 센싱 회로(2234)는, 리드 동작 또는 검증 동작 시 제어 로직(2210)으로부터 수신되는 허용 비트(VRY_BTI<#>)에 응답하여 기준 전류를 생성하고, 기준 전류에 의하여 생성된 기준 전압과 페이지 버퍼 그룹(2232)으로부터 수신되는 센싱 전압(VPB)을 비교하여 패스 신호(PASS) 또는 페일 신호(FAIL)를 출력할 수 있다.
메모리 셀 어레이(2240)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복수의 메모리 블록들(MB1~MBk)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 블록들(MB1~MBk)에는 사용자 데이터(user data) 및 메모리 장치(2200)의 동작에 필요한 다양한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메모리 블록들(MB1~MBk)은, 2차원 구조로 구현되거나 3차원 구조로 구현될 수 있으며, 서로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도 4는 2차원 구조의 메모리 블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메모리 셀 어레이는 복수의 메모리 블록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도 4에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복수의 메모리 블록들 중 어느 하나의 메모리 블록(MBk)이 도시되었다.
메모리 블록(MBk)은 비트 라인들(BL1~BLI)과 소스 라인(source line; SL) 사이에 연결된 복수의 셀 스트링(cell string; ST)들을 포함할 수 있다. 셀 스트링(cell string; ST)들은 비트 라인들(BL1~BLI)에 각각 연결될 수 있고, 소스 라인(SL)에는 공통으로 연결될 수 있다. 셀 스트링(ST)들은 서로 유사한 구조를 가지므로, 이하에서는 제 1 비트 라인(BL1)에 연결된 셀 스트링(ST)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셀 스트링(ST)은, 소스 라인(SL)과 제 1 비트 라인(BL1) 사이에서 서로 직렬로 연결된 소스 셀렉트 트랜지스터(source select transistor; SST), 제 1 내지 제 n 메모리 셀들(memory cells; F1~Fn; n은 양의 정수) 및 드레인 셀렉트 트랜지스터(drain select transistor; DST)를 포함할 수 있다. 소스 셀렉트 트랜지스터(SST) 및 드레인 셀렉트 트랜지스터들(DST)의 개수는, 도 5에 도시된 개수로 한정되지 않는다.
소스 셀렉트 트랜지스터(SST)는, 소스 라인(SL)과 제 1 메모리 셀(F1)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제 1 내지 제 n 메모리 셀들(F1~Fn)은, 소스 셀렉트 트랜지스터(SST)와 드레인 셀렉트 트랜지스터(DST) 사이에서 서로 직렬로 연결될 수 있다. 드레인 셀렉트 트랜지스터(DST)는, 제 n 메모리 셀(Fn)과 제 1 비트 라인(BL1)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메모리 셀들(F1~Fn) 사이, 또는 소스 셀렉트 트랜지스터(SST)와 드레인 셀렉트 트랜지스터(DST) 사이에 더미 셀들(dummy cells)이 더 연결될 수도 있다.
셀 스트링(ST)들에 포함된 소스 셀렉트 트랜지스터(SST)들의 게이트들은, 소스 셀렉트 라인(source select line; SSL)에 연결될 수 있다. 제 1 내지 제 n 메모리 셀들(F1~Fn)의 게이트들은, 제 1 내지 제 n 워드라인들(word lines; WL1~WLn)에 연결될 수 있다. 드레인 셀렉트 트랜지스터들(DST)의 게이트들은, 드레인 셀렉트 라인(drain select lines; DSL)에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워드 라인들(WL1~WLn) 각각에 연결된 메모리 셀들의 그룹을 물리 페이지(physical page; PPG)라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셀 스트링(ST)들에 포함된 메모리 셀들(F1~Fn) 중 제 1 워드 라인(WL1)에 연결된 제 1 메모리 셀(F1)들의 그룹이 하나의 물리 페이지(PPG)가 될 수 있다. 멀티 레벨 셀(multi-level cell; MLC) 방식이 이용되는 경우, 하나의 물리 페이지(PPG)에 복수의 논리 페이지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5는 3차원 구조의 메모리 블록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메모리 셀 어레이는 복수의 메모리 블록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도 5에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복수의 메모리 블록들 중 어느 하나의 메모리 블록(MBk)을 도시하였다.
도 5를 참조하면, 3차원 구조의 메모리 블록(MBk)은, 기판 상에 기판에 수직한 방향(Z 방향)으로 I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메모리 블록(MBk)은, 비트 라인(BL)들과 소스 라인(SL) 사이에 배열된 복수의 셀 스트링(ST)들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소스 라인(SL) 대신 웰(well)이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조는 BiCS(Bit Cost Scalable)라고 언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스 라인(SL)이 기판의 상부에서 기판에 평행하게 형성된 경우, BiCS 구조를 갖는 셀 스트링(ST)들은 소스 라인(SL)의 상부에서 기판에 수직한 방향(Z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셀 스트링(ST)들은 제 1 방향(X 방향) 및 제 2 방향(Y 방향)으로 각각 배열될 수 있다. 셀 스트링(ST)들은 서로 이격되어 적층된 소스 셀렉트 라인들(SSL), 워드 라인들(WL) 및 드레인 셀렉트 라인들(DSL)을 포함할 수 있다. 소스 셀렉트 라인(SSL)들, 워드 라인들(WL) 및 드레인 셀렉트 라인(DSL)들의 개수는 도면에 도시된 개수에 한정되지 않으며, 실시 예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셀 스트링(ST)들은 수직 채널막(CH)들과 비트 라인(BL)들을 포함할 수 있다. 수직 채널막(CH)들은 소스 셀렉트 라인(SSL)들, 워드라인들(WL) 및 드레인 셀렉트 라인(DSL)들을 수직으로 관통할 수 있다. 비트 라인들(BL)은 드레인 셀렉트 라인(DSL)들의 상부로 돌출된 수직 채널막(CH)들의 상부에 접하며, 제 2 방향(Y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메모리 셀들은 워드 라인(WL)들과 수직 채널막(CH)들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비트 라인(BL)들과 수직 채널막(CH)들 사이에는 콘택 플러그(contact plug; CT)가 더 형성될 수도 있다.
도 6은 3차원 구조의 메모리 블록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메모리 셀 어레이는 복수의 메모리 블록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도 6에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복수의 메모리 블록들 중 어느 하나의 메모리 블록(MBk)을 도시하였다.
도 6을 참조하면, 3차원 구조의 메모리 블록(MBk)은, 기판 상에 기판에 수직한 방향(Z 방향)으로 U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메모리 블록(MBk)은, 비트 라인(BL)들과 소스 라인(SL) 사이에 연결되며 쌍을 이루는 소스 스트링들(ST_S)과 드레인 스트링들(ST_D)을 포함할 수 있다. 소스 스트링들(ST_S)과 드레인 스트링들(ST_D)은, 파이프 게이트(Pipe Gate; PG)를 통해 서로 연결되어 U자 구조를 이룰 수 있다. 파이프 게이트(PG)는, 파이프 라인(Pipe Line; PL) 내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소스 스트링들(ST_S)은 소스 라인(SL)들과 파이프 라인(PL) 사이에서 기판에 대하여 수직하게 형성될 수 있고, 드레인 스트링들(ST_D)은 비트 라인들(BL)과 파이프 라인(PL) 사이에서 기판에 대하여 수직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P-BiCS(Pipe-shaped Bit Cost Scalable)라고 언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드레인 스트링들(ST_D) 및 소스 스트링들(ST_S)은 제 1 방향(X 방향) 및 제 2 방향(Y 방향)으로 각각 배열될 수 있다. 드레인 스트링들(ST_D)과 소스 스트링들(ST_S)은, 제 2 방향(Y 방향)을 따라 서로 교대로 배열될 수 있다. 드레인 스트링들(ST_D)은, 서로 이격되어 적층된 워드 라인들(WL) 및 드레인 셀렉트 라인(DSL)을 포함할 수 있다. 드레인 스트링들(ST_D)은, 워드 라인들(WL) 및 드레인 셀렉트 라인(DSL)을 수직으로 관통하는 드레인 수직 채널막(D_CH)들을 포함할 수 있다. 소스 스트링들(ST_S)은, 서로 이격되어 적층된 워드 라인들(WL) 및 소스 셀렉트 라인(SSL)을 포함할 수 있다. 소스 스트링들(ST_S)은, 워드 라인들(WL) 및 소스 셀렉트 라인(SSL)을 수직으로 관통하는 소스 수직 채널막(S_CH)들을 포함할 수 있다. 드레인 수직 채널막(D_CH)들과 소스 수직 채널막(S_CH)들은 파이프 라인(PL) 내에서 파이프 게이트(PG)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비트 라인(BL)들은, 드레인 셀렉트 라인(DSL)의 상부로 돌출된 드레인 수직 채널막(D_CH)들의 상부에 접하며 제 2 방향(Y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태 체크 수행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실시 예는,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메모리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도 7에 도시된 단계들 중 적어도 하나는 생략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도 7에 도시된 단계들의 순서는 바뀔 수 있다.
단계 '701'에서, 상태 체크 커맨드 결정부는, 메모리 장치가 지원하는 상태 체크 커맨드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태 체크 커맨드 결정부는, 호스트로부터 수신된 메모리 장치의 타입 정보와 제 1 테이블을 기반으로 해당 메모리 장치가 지원하는 상태 체크 커맨드를 확인할 수 있다.
단계 '703' 내지 단계 '711'에서, 상태 체크 수행부는, 상태 체크 커맨드 결정부에서 확인된 상태 체크 커맨드를 이용하여 메모리 장치에 대한 상태 체크를 수행할 수 있다.
단계 '703'에서, 상태 체크 수행부는, 메모리 장치가 지원하는 상태 체크 커맨드를 생성하고, 생성된 상태 체크 커맨드를 메모리 장치에게 전송할 수 있다. 메모리 장치가 지원하는 상태 체크 커맨드가 복수 개인 경우, 해당 복수 개의 상태 체크 커맨드들 중 어느 하나의 상태 체크 커맨드를 선택하여 선택된 상태 체크 커맨드를 메모리 장치에게 전송할 수 있다.
단계 '705'에서, 상태 체크 수행부는, 상태 체크 커맨드에 대응하여 메모리 장치로부터 상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단계 '707'에서, 상태 체크 수행부는, 수신된 상태 정보 중 확인해야 할 상태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태 체크 수행부는, 제 3 테이블을 참조하여, 메모리 장치에게 전송한 상태 체크 커맨드에 대응하는 상태 정보 중 확인해야 할 상태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태 체크 수행부는, 상태 체크의 대상이 되는 동작의 종류를 더 고려하여 확인해야 할 상태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태 체크 수행부는, 상태 체크 커맨드를 전송하기 이전에, 동작 커맨드 큐(queue)를 참조하여 메모리 장치에게 전송된 동작 커맨드의 종류를 확인할 수 있다. 이어서, 상태 체크 수행부는 제 3 테이블을 참조하여, 해당 동작에 대응하여 확인하여야 할 상태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단계 '709'에서, 상태 체크 수행부는, 결정된 상태 정보를 확인하여 상태 체크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태 체크 수행부는, 제 2 테이블을 참조하여, 메모리 장치로부터 수신된 상태 정보 중 참조 비트에 해당하는 비트에 대한 정의를 확인함으로써 메모리 장치에 대한 상태 체크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상태 체크 수행부는, 메모리 장치가 지원하는 상태 체크 커맨드가 복수 개인 경우, 해당 복수 개의 상태 체크 커맨드들 중 어느 하나의 상태 체크 커맨드를 이용하여 메모리 장치에 대한 상태 체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태 체크 수행부는, 해당 어느 하나의 상태 체크 커맨드를 이용한 상태 체크 수행 결과에 따라 다른 하나의 상태 체크 커맨드를 이용하여 메모리 장치에 대한 상태 체크를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서는, 도 11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 1 테이블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제 1 테이블에는, 복수의 상태 체크 커맨드 각각에 대하여 해당 상태 체크 커맨드를 지원하는 메모리 장치의 타입 정보가 맵핑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A 타입에 해당하는 메모리 장치는 제 1 상태 체크 커맨드(70h), 제 2 상태 체크 커맨드(78h) 및 제 N 상태 체크 커맨드(7Ah)를 지원하고, B 타입에 해당하는 메모리 장치는 제 2 상태 체크 커맨드(78h)를 지원함을 알 수 있다.
만약, 호스트로부터 수신된 메모리 장치의 타입 정보가 A 타입을 나타내는 경우, 상태 체크 커맨드 결정부는, 제 1 상태 체크 커맨드(70h), 제 2 상태 체크 커맨드(78h) 및 제 N 상태 체크 커맨드(7Ah)를 해당 메모리 장치에 적용할 상태 체크 커맨드로 결정하고, 해당 상태 체크 커맨드들 중 적어도 하나의 상태 체크 커맨드를 이용하여 메모리 장치에 대한 상태 체크를 수행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 2 테이블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제 2 테이블에는, 복수의 상태 체크 커맨드 각각에 대하여 해당 상태 체크 커맨드에 대응하는 상태 정보의 정의가 기록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는 실시 예에서, 메모리 장치는 4개의 플레인(plane)을 포함한다고 가정한다.
제 1 상태 체크 커맨드(70h)에 대응하는 상태 정보 중 제 1 입출력 라인(DQ0)을 통해 수신되는 비트는, 4개의 플레인들 중 적어도 하나의 플레인 상에서 가장 최근에 수행된 동작의 패스(pass) 또는 페일(fail)을 나타낼 수 있다.
제 1 상태 체크 커맨드(70h)에 대응하는 상태 정보 중 제 2 입출력 라인(DQ1)을 통해 수신되는 비트는, 4개의 플레인들 중 적어도 하나의 플레인에 수행된 이전 동작의 패스 또는 페일을 나타낼 수 있다.
제 1 상태 체크 커맨드(70h)에 대응하는 상태 정보 중 제 3 입출력 라인(DQ2) 및 제 4 입출력 라인(DQ3)을 통해 수신되는 비트는, 추후 사용을 위하여 예약된 비트일 수 있다.
제 1 상태 체크 커맨드(70h)에 대응하는 상태 정보 중 제 5 입출력 라인(DQ4)를 통해 수신되는 비트는, 프로그램 동작 또는 소거 동작이 서스펜드된 상태인지 여부를 나타낼 수 있다.
제 1 상태 체크 커맨드(70h)에 대응하는 상태 정보 중 제 6 입출력 라인(DQ5)을 통해 수신되는 비트는, 4개의 플레인들 중 적어도 하나의 플레인 상에서 어레이 동작(array operation)이 수행 중인지 여부를 나타낼 수 있다.
제 1 상태 체크 커맨드(70h)에 대응하는 상태 정보 중 제 7 입출력 라인(DQ6)을 통해 수신되는 비트는, 메모리 장치가 새로운 동작 커맨드를 수신할 준비가 되었는지 여부를 나타낼 수 있다.
제 1 상태 체크 커맨드(70h)에 대응하는 상태 정보 중 제 8 입출력 라인(DQ7)을 통해 수신되는 비트는, OTP(One Time Programmable) 영역이 보호되었는지 여부를 나타낼 수 있다.
제 2 상태 체크 커맨드(78h) 및 제 N 상태 체크 커맨드(7Ah)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각각의 상태 체크 커맨드에 대응하는 상태 정보는 서로 다른 상태 체크 결과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상태 체크 커맨드(70h)에 대응하여 제 1 입출력 라인(DQ0)을 통해 수신된 비트와 제 2 상태 체크 커맨드(78h)에 대응하여 제 1 입출력 라인(DQ0)을 통해 수신된 비트는 서로 다른 상태 체크 결과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술한 바와 같이, 제 1 상태 체크 커맨드(70h)에 대응하여 제 1 입출력 라인(DQ0)을 통해 수신된 비트는 메모리 장치의 플레인들 중 적어도 하나의 플레인에서 수행된 가장 최근의 동작이 성공 또는 실패하였는지 여부를 나타낼 수 있다. 반면, 제 2 상태 체크 커맨드(78h)에 대응하여 제 1 입출력 라인(DQ0)을 통해 수신된 비트는, 메모리 장치의 플레인들 중 선택된 플레인에서 수행된 가장 최근의 동작이 성공 또는 실패하였는지 여부를 나타낼 수 있다. 즉, 동일한 상태 체크 비트라 하더라도, 상태 체크 커맨드의 종류에 따라 의미하는 상태 체크 결과가 상이할 수 있다.
이에, 상태 체크 수행부는, 제 2 테이블을 참조하여, 메모리 장치로부터 수신된 상태 정보가 의미하는 바를 확인함으로써 상태 체크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 3 테이블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제 3 테이블에는, 복수의 상태 체크 커맨드 각각에 대하여 동작이 맵핑되고, 각각의 동작에 대응하여 확인하여야 할 참조 비트가 맵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상태 체크 커맨드(70h)가 프로그램 동작 이후에 발행된 경우를 가정한다. 이러한 경우, 제 3 테이블은, 제 1 입출력 라인(DQ0)을 통해 수신되는 비트, 제 2 입출력 라인(DQ1)을 통해 수신되는 비트, 제 4 입출력 라인(DQ5)을 통해 수신되는 비트 및 제 5 입출력 라인(DQ6)을 통해 수신되는 비트를 참조 비트로 정의한다. 따라서, 메모리 컨트롤러는, 제 1 상태 체크 커맨드(70h)에 대응하여 메모리 장치로부터 수신된 상태 정보 중 제 1 입출력 라인(DQ0)을 통해 수신된 비트, 제 2 입출력 라인(DQ1)을 통해 수신된 비트, 제 4 입출력 라인(DQ5)을 통해 수신된 비트 및 제 5 입출력 라인(DQ6)을 통해 수신된 비트를 확인하여 프로그램 동작에 대응하는 상태 체크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상태 체크 커맨드(70h)가 리드 동작 이후에 발행된 경우를 가정한다. 이러한 경우, 제 3 테이블은, 제 5 입출력 라인(DQ6)을 통해 수신되는 비트를 참조 비트로 정의한다. 따라서, 메모리 컨트롤러는, 제 1 상태 체크 커맨드(70h)에 대응하여 메모리 장치로부터 수신된 상태 정보 중 제 5 입출력 라인(DQ6)을 통해 수신된 비트를 확인하여 리드 동작에 대응하는 상태 체크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상태 체크 커맨드(70h)가 서스펜드 동작 이후에 발행된 경우를 가정한다. 이러한 경우, 제 3 테이블은, 제 3 입출력 라인(DQ4)을 통해 수신되는 비트를 참조 비트로 정의한다. 따라서, 메모리 컨트롤러는, 제 1 상태 체크 커맨드(70h)에 대응하여 메모리 장치로부터 수신된 상태 정보 중 제 3 입출력 라인(DQ4)을 통해 수신된 비트를 확인하여 서스펜드 동작에 대응하는 상태 체크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제 2 상태 체크 커맨드(78h) 및 제 N 상태 체크 커맨드(7Ah)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하나의 메모리 장치가 지원하는 상태 체크 커맨드는 복수 개일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메모리 컨트롤러는 메모리 장치가 지원하는 복수의 상태 체크 커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메모리 장치에 대한 상태 체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선택은, 랜덤하게 이루어지거나 미리 지정된 우선 순위에 따라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 장치가 제 1 상태 체크 커맨드(70h) 및 제 2 상태 체크 커맨드(78h)를 지원하며, 제 1 상태 체크 커맨드(70h)의 우선 순위가 제 2 상태 체크 커맨드(78h)의 우선 순위에 비하여 높게 설정된 경우를 가정하자. 이러한 경우, 메모리 컨트롤러는, 제 1 상태 체크 커맨드(70h)를 이용하여 메모리 장치에 대한 상태 체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메모리 컨트롤러는, 제 1 상태 체크 커맨드(70h)를 이용한 상태 체크 수행 결과에 따라 제 2 상태 체크 커맨드(78h)를 이용한 상태 체크를 더 수행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이를 도 11을 참조하여 살펴본다.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상태 정보를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11에는 도 9에 도시된 상태 정보 중 일부만을 도시하였다.
제 1 상태 체크 커맨드(70h)에 대응하여 제 1 입출력 라인(DQ0)을 통해 수신된 비트는, 메모리 장치의 플레인들(플레인 0, 플레인 1, 플레인 2 및 플레인 3) 중 적어도 하나의 플레인에서 수행된 가장 최근의 동작이 성공 또는 실패하였는지 여부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상태 체크 커맨드(70h)에 대응하여 제 1 입출력 라인(DQ0)을 통해 수신된 비트가 '0'인 경우, 메모리 장치의 플레인들에서 수행된 가장 최근의 동작이 성공하였음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제 1 상태 체크 커맨드(70h)에 대응하여 제 1 입출력 라인(DQ0)을 통해 수신된 비트가 '1'인 경우, 메모리 장치의 플레인들 중 적어도 하나의 플레인에서 수행된 가장 최근의 동작이 실패하였음을 나타낼 수 있다.
제 1 상태 체크 커맨드(70h)에 대응하여 제 2 입출력 라인(DQ1)을 통해 수신된 비트는, 메모리 장치의 플레인들(플레인 0, 플레인 1, 플레인 2 및 플레인 3) 중 적어도 하나의 플레인에서 수행된 이전의 동작이 성공 또는 실패하였는지 여부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상태 체크 커맨드(70h)에 대응하여 제 2 입출력 라인(DQ1)을 통해 수신된 비트가 '0'인 경우, 메모리 장치의 플레인들에서 수행된 이전의 동작이 성공하였음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제 1 상태 체크 커맨드(70h)에 대응하여 제 2 입출력 라인(DQ1)을 통해 수신된 비트가 '1'인 경우, 메모리 장치의 플레인들 중 적어도 하나의 플레인에서 수행된 이전의 동작이 실패하였음을 나타낼 수 있다.
제 2 상태 체크 커맨드(78h)에 대응하여 제 1 입출력 라인(DQ0)을 통해 수신된 비트는, 메모리 장치의 플레인들(플레인 0, 플레인 1, 플레인 2 및 플레인 3) 중 선택된 플레인에서 수행된 가장 최근의 동작이 성공 또는 실패하였는지 여부를 나타낼 수 있다. 즉, 제 2 상태 체크 커맨드(78h)에 대응하여 제 1 입출력 라인(DQ0)을 통해 수신된 비트는, 제 1 상태 체크 커맨드(70h)에 대응하여 제 1 입출력 라인(DQ0)을 통해 수신된 비트와는 다르게 하나의 플레인에 해당하는 상태 체크 결과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상태 체크 커맨드(78h)에 대응하여 제 1 입출력 라인(DQ0)을 통해 수신된 비트가 '0'인 경우, 메모리 장치의 선택된 플레인에서 수행된 가장 최근의 동작이 성공하였음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제 2 상태 체크 커맨드(78h)에 대응하여 제 1 입출력 라인(DQ0)을 통해 수신된 비트가 '1'인 경우, 메모리 장치의 선택된 플레인에서 수행된 가장 최근의 동작이 실패하였음을 나타낼 수 있다.
제 2 상태 체크 커맨드(78h)에 대응하여 제 2 입출력 라인(DQ1)을 통해 수신된 비트는, 메모리 장치의 플레인들(플레인 0, 플레인 1, 플레인 2 및 플레인 3) 중 선택된 플레인에서 수행된 이전의 동작이 성공 또는 실패하였는지 여부를 나타낼 수 있다. 즉, 제 2 상태 체크 커맨드(78h)에 대응하여 제 2 입출력 라인(DQ1)을 통해 수신된 비트는, 제 1 상태 체크 커맨드(70h)에 대응하여 제 2 입출력 라인(DQ1)을 통해 수신된 비트와는 다르게 하나의 플레인에 해당하는 상태 체크 결과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상태 체크 커맨드(78h)에 대응하여 제 2 입출력 라인(DQ1)을 통해 수신된 비트가 '0'인 경우, 메모리 장치의 선택된 플레인에서 수행된 이전의 동작이 성공하였음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제 2 상태 체크 커맨드(78h)에 대응하여 제 2 입출력 라인(DQ1)을 통해 수신된 비트가 '1'인 경우, 메모리 장치의 선택된 플레인에서 수행된 이전의 동작이 실패하였음을 나타낼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상태 체크 커맨드(70h) 및 제 2 상태 체크 커맨드(78h)에 대응하는 상태 정보에 대한 정의가 이루어진 상태에서, 메모리 장치가 제 1 상태 체크 커맨드(70h) 및 제 2 상태 체크 커맨드(78h)를 지원하는 경우를 가정하자. 이러한 경우, 메모리 컨트롤러는, 제 1 상태 체크 커맨드(70h)를 이용하여 메모리 장치에 대한 상태 체크를 수행할 수 있다. 제 1 상태 체크 커맨드(70h)를 이용하여 상태 체크를 수행한 결과 제 1 입출력 라인(DQ0)을 통해 수신된 비트가 '1'인 경우, 즉 메모리 장치의 플레인들 중 적어도 하나의 플레인에서 수행된 동작이 실패한 경우를 가정하자. 이러한 경우, 메모리 컨트롤러는 어느 플레인에서 수행된 동작이 실패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에러 처리 등을 수행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 메모리 컨트롤러는, 제 2 상태 체크 커맨드(78h)를 이용한 상태 체크를 더 수행함으로써 메모리 장치의 플레인들 중 어느 플레인에서 수행된 동작이 실패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도 12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메모리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메모리 시스템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메모리 시스템(Memory System; 30000)은, 이동 전화기(cellular phone), 스마트폰(smart phone), 태블릿(tablet) PC(personal comput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또는 무선 통신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 시스템(30000)은, 메모리 장치(2200)와 상기 메모리 장치(22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메모리 컨트롤러(21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메모리 장치(22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메모리 장치(2200)에 대응될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메모리 컨트롤러(21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메모리 컨트롤러(2100) 에 대응될 수 있다.
메모리 컨트롤러(2100)는, 프로세서(Processor; 3100)의 제어에 따라 메모리 장치(2200)의 데이터 액세스 동작, 예컨대 프로그램(program) 동작, 소거(erase) 동작 또는 리드(read) 동작 등을 제어할 수 있다.
메모리 장치(2200)에 프로그램된 데이터는 메모리 컨트롤러(2100)의 제어에 따라 디스플레이(Display; 3200)를 통하여 출력될 수 있다.
무선 송수신기(RADIO TRANSCEIVER; 3300)는, 안테나(ANT)를 통하여 무선 신호를 주고받을 수 있다. 예컨대, 무선 송수신기(3300)는, 안테나(ANT)를 통하여 수신된 무선 신호를 프로세서(3100)에서 처리(process)될 수 있는 신호로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프로세서(3100)는, 무선 송수신기(3300)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처리(process)하고 처리(process)된 신호를 메모리 컨트롤러(2100) 또는 디스플레이(3200)로 전송할 수 있다. 메모리 컨트롤러(2100)는, 프로세서(3100)에 의하여 처리(process)된 신호를 메모리 장치(2200)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무선 송수신기(3300)는, 프로세서(3100)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무선 신호로 변경하고 변경된 무선 신호를 안테나(ANT)를 통하여 외부 장치로 출력할 수 있다. 입력 장치(Input Device; 3400)는, 프로세서(3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 또는 프로세서(3100)에 의하여 처리(process)될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는 장치로서, 터치 패드(touch pad)와 컴퓨터 마우스(computer mouse)와 같은 포인팅 장치(pointing device), 키패드(keypad) 또는 키보드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3100)는, 메모리 컨트롤러(2100)로부터 출력된 데이터, 무선 송수신기(3300)로부터 출력된 데이터, 또는 입력 장치(3400)로부터 출력된 데이터가 디스플레이(3200)를 통하여 출력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32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메모리 장치(22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메모리 컨트롤러(2100)는, 프로세서(3100)의 일부로서 구현될 수도 있고, 프로세서(3100)와는 별도의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3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메모리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메모리 시스템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메모리 시스템(Memory System; 40000)은 PC(personal computer), 태블릿(tablet) PC, 넷-북(net-book), e-리더(e-read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 플레이어, 또는 MP4 플레이어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 시스템(40000)은, 메모리 장치(2200)와 상기 메모리 장치(2200)의 데이터 처리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메모리 컨트롤러(21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3에 도시된 메모리 장치(22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메모리 장치(2200)에 대응될 수 있다. 도 13에 도시된 메모리 컨트롤러(21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메모리 컨트롤러(2100) 에 대응될 수 있다.
프로세서(Processor; 4100)는, 입력 장치(Input Device; 4200)를 통하여 입력된 데이터에 따라 메모리 장치(2200)에 저장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Display; 4300)를 통하여 출력할 수 있다. 예컨대, 입력 장치(4200)는, 터치 패드 또는 컴퓨터 마우스와 같은 포인팅 장치, 키패드, 또는 키보드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4100)는, 메모리 시스템(400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고 메모리 컨트롤러(21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메모리 장치(22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메모리 컨트롤러(2100)는, 프로세서(4100)의 일부로서 구현되거나, 프로세서(4100)와는 별도의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4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메모리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메모리 시스템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메모리 시스템(50000)은, 이미지 처리 장치, 예컨대 디지털 카메라, 디지털 카메라가 부착된 이동 전화기, 디지털 카메라가 부착된 스마트 폰, 또는 디지털 카메라가 부착된 태블릿 PC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 시스템(50000)은, 메모리 장치(2200)와 상기 메모리 장치(2200)의 데이터 처리 동작, 예컨대 프로그램 동작, 소거 동작 또는 리드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메모리 컨트롤러(2100)를 포함한다. 도 14에 도시된 메모리 장치(22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메모리 장치(2200)에 대응될 수 있다. 도 14에 도시된 메모리 컨트롤러(21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메모리 컨트롤러(2100) 에 대응될 수 있다.
메모리 시스템(50000)의 이미지 센서(Image Sensor; 5200)는, 광학 이미지를 디지털 신호들로 변환할 수 있고, 변환된 디지털 신호들은 프로세서(Processor; 5100) 또는 메모리 컨트롤러(2100)로 전송될 수 있다. 프로세서(5100)의 제어에 따라, 상기 변환된 디지털 신호들은 디스플레이(Display; 5300)를 통하여 출력되거나 메모리 컨트롤러(2100)를 통하여 메모리 장치(2200)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 장치(2200)에 저장된 데이터는, 프로세서(5100) 또는 메모리 컨트롤러(2100)의 제어에 따라 디스플레이(5300)를 통하여 출력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메모리 장치(22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메모리 컨트롤러(2100)는, 프로세서(5100)의 일부로서 구현되거나 프로세서(5100)와는 별개의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5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메모리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메모리 시스템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메모리 시스템(Memory System; 70000)은, 메모리 카드(memory card) 또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 시스템(70000)은 메모리 장치(2200), 메모리 컨트롤러(2100) 및 카드 인터페이스(Card Interface; 71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5에 도시된 메모리 장치(22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메모리 장치(2200)에 대응될 수 있다. 도 15에 도시된 메모리 컨트롤러(21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메모리 컨트롤러(2100) 에 대응될 수 있다.
메모리 컨트롤러(2100)는, 메모리 장치(2200)와 카드 인터페이스(7100) 사이에서 데이터의 교환을 제어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카드 인터페이스(7100)는, SD(secure digital) 카드 인터페이스 또는 MMC(multi-media card) 인터페이스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카드 인터페이스(7100)는, 호스트(HOST; 60000)의 프로토콜에 따라 호스트(60000)와 메모리 컨트롤러(2100) 사이에서 데이터 교환을 인터페이스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카드 인터페이스(7100)는, USB(Universal Serial Bus) 프로토콜, IC(InterChip)-USB 프로토콜을 지원할 수 있다. 여기서, 카드 인터페이스(7100)는, 호스트(60000)가 이용하는 프로토콜을 지원할 수 있는 하드웨어, 상기 하드웨어에 탑재된 소프트웨어 또는 신호 전송 방식을 의미할 수 있다.
메모리 시스템(70000)이 PC, 태블릿 PC, 디지털 카메라, 디지털 오디오 플레이어, 이동 전화기, 콘솔 비디오 게임 하드웨어, 또는 디지털 셋-탑 박스와 같은 호스트(60000)의 호스트 인터페이스(6200)와 접속될 때, 호스트 인터페이스(6200)는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 μP; 6100)의 제어에 따라 카드 인터페이스(7100)와 메모리 컨트롤러(2100)를 통하여 메모리 장치(2200)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와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상술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호스트 : 1000 메모리 시스템 : 2000
메모리 컨트롤러 : 2100 메모리 장치 : 2200
CPU : 2150 상태 체크 커맨드 결정부 : 2151
상태 체크 수행부 : 2155

Claims (19)

  1. 복수의 상태 체크 커맨드들 중 메모리 장치가 지원하는 상태 체크 커맨드를 확인하는 상태 체크 커맨드 결정부; 및
    상기 확인된 상태 체크 커맨드를 이용하여 상기 메모리 장치에 대한 상태 체크 동작을 수행하는 상태 체크 수행부
    를 포함하는 메모리 컨트롤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체크 커맨드 결정부는,
    호스트로부터 수신된 상기 메모리 장치의 타입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메모리 장치가 지원하는 상기 상태 체크 커맨드를 확인하는
    메모리 컨트롤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체크 커맨드 결정부는,
    상기 복수의 상태 체크 커맨드 각각에 대하여 해당 상태 체크 커맨드를 지원하는 메모리 장치의 타입 정보가 맵핑된 제 1 테이블을 저장하며,
    상기 제 1 테이블과 호스트로부터 수신된 상기 메모리 장치의 타입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메모리 장치가 지원하는 상기 상태 체크 커맨드를 확인하는
    메모리 컨트롤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체크 수행부는,
    상기 복수의 상태 체크 커맨드들 각각에 대응하는 상태 정보의 정의(definition)가 기록된 제 2 테이블을 저장하며,
    상기 제 2 테이블과 상기 메모리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상태 정보를 기반으로 상태 체크 결과를 확인하는
    메모리 컨트롤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체크 수행부는,
    상기 복수의 상태 체크 커맨드 각각에 대하여 해당 상태 체크 커맨드에 대응하는 상태 정보 중 확인하여야 할 참조 비트가 맵핑된 제 3 테이블을 저장하며, 상기 메모리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상태 정보 중 상기 참조 비트에 해당하는 비트를 확인하여 상태 체크 결과를 확인하는
    메모리 컨트롤러.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테이블에는, 각각의 동작에 더 대응하여 상기 참조 비트가 맵핑되고,
    상기 상태 체크 수행부는, 상기 메모리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상태 정보 중 상태 체크의 대상이 된 동작에 매핑된 참조 비트에 해당하는 비트를 확인하여 상태 체크 결과를 확인하는
    메모리 컨트롤러.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체크 수행부는,
    상기 확인된 상태 체크 커맨드가 복수 개인 경우, 상기 확인된 복수의 상태 체크 커맨드 중 어느 하나의 상태 체크 커맨드를 이용하여 상태 체크를 수행하고, 상기 어느 하나의 상태 체크 커맨드를 이용한 상태 체크 수행 결과에 따라 상기 확인된 복수의 상태 체크 커맨드 중 다른 하나의 상태 체크 커맨드를 이용한 상태 체크를 더 수행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메모리 컨트롤러.
  8. 상태 체크 커맨드에 응답하여 상태 정보를 출력하는 메모리 장치; 및
    복수의 상태 체크 커맨드 중 상기 메모리 장치가 지원하는 상태 체크 커맨드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상태 체크 커맨드를 이용하여 상기 메모리 장치에 대한 상태 체크를 수행하는 메모리 컨트롤러
    를 포함하는 메모리 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컨트롤러는,
    호스트로부터 수신된 상기 메모리 장치의 타입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메모리 장치가 지원하는 상태 체크 커맨드를 확인하는
    메모리 시스템.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컨트롤러는,
    상기 복수의 상태 체크 커맨드 각각에 대하여 해당 상태 체크 커맨드를 지원하는 메모리 장치의 타입 정보가 맵핑된 제 1 테이블을 저장하며, 상기 제 1 테이블과 호스트로부터 수신된 상기 메모리 장치의 타입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메모리 장치가 지원하는 상태 체크 커맨드를 확인하는
    메모리 시스템.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컨트롤러는,
    상기 복수의 상태 체크 커맨드 각각에 대하여 해당 상태 체크 커맨드에 대응하는 상태 정보의 정의(definition)가 기록된 제 2 테이블을 저장하며, 상기 제 2 테이블과 상기 메모리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상태 정보를 기반으로 상태 체크 결과를 확인하는
    메모리 시스템.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컨트롤러는,
    상기 복수의 상태 체크 커맨드 각각에 대하여 해당 상태 체크 커맨드에 대응하는 상태 정보 중 확인하여야 할 참조 비트가 맵핑된 제 3 테이블을 저장하며, 상기 메모리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상태 정보 중 상기 참조 비트에 해당하는 비트를 확인하여 상태 체크 결과를 확인하는
    메모리 시스템.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테이블에는, 각각의 동작에 더 대응하여 상기 참조 비트가 맵핑되고,
    상기 메모리 컨트롤러는, 상기 메모리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상태 정보 중 상태 체크의 대상이 된 동작에 매핑된 참조 비트에 해당하는 비트를 확인하여 상태 체크 결과를 확인하는
    메모리 시스템.
  14.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컨트롤러는,
    상기 확인된 상태 체크 커맨드가 복수 개인 경우, 상기 확인된 복수의 상태 체크 커맨드 중 어느 하나의 상태 체크 커맨드를 이용하여 상태 체크를 수행하고, 상기 어느 하나의 상태 체크 커맨드를 이용한 상태 체크 수행 결과에 따라 상기 확인된 복수의 상태 체크 커맨드 중 다른 하나의 상태 체크 커맨드를 이용한 상태 체크를 더 수행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메모리 시스템.
  15. 호스트로부터 메모리 장치의 타입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메모리 장치의 타입 정보와 복수의 상태 체크 커맨드 각각에 대하여 해당 상태 체크 커맨드를 지원하는 메모리 장치의 타입 정보가 맵핑된 제 1 테이블을 기반으로 상기 메모리 장치가 지원하는 상태 체크 커맨드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된 상태 체크 커맨드를 이용하여 상기 메모리 장치에 대한 상태 체크를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메모리 컨트롤러의 동작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장치로부터 상기 상태 체크 커맨드에 대한 응답으로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상태 정보와 상기 복수의 상태 체크 커맨드 각각에 대하여 해당 상태 체크 커맨드에 대응하는 상태 정보의 정의(definition)가 기록된 제 2 테이블을 기반으로 상태 체크 결과를 확인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메모리 컨트롤러의 동작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체크 결과를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상태 체크 커맨드 각각에 대하여 해당 상태 체크 커맨드에 대응하는 상태 정보 중 확인하여야 할 참조 비트가 맵핑된 제 3 테이블을 참조하여, 상기 메모리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상태 정보 중 상기 참조 비트에 해당하는 비트를 확인하여 상태 체크 결과를 확인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메모리 컨트롤러의 동작 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테이블에는, 각각의 동작에 더 대응하여 상기 참조 비트가 맵핑되고,
    상기 상태 체크 결과를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메모리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상태 정보 중 상태 체크의 대상이 된 동작에 매핑된 참조 비트에 해당하는 비트를 확인하여 상태 체크 결과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메모리 컨트롤러의 동작 방법.
  19.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체크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확인된 상태 체크 커맨드가 복수 개인 경우, 상기 확인된 복수의 상태 체크 커맨드 중 어느 하나의 상태 체크 커맨드를 이용하여 상태 체크를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어느 하나의 상태 체크 커맨드를 이용한 상태 체크 수행 결과에 따라 상기 확인된 복수의 상태 체크 커맨드 중 다른 하나의 상태 체크 커맨드를 이용한 상태 체크를 더 수행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메모리 컨트롤러의 동작 방법.
KR1020180012916A 2018-02-01 2018-02-01 메모리 컨트롤러, 이를 포함하는 메모리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 KR1025059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2916A KR102505920B1 (ko) 2018-02-01 2018-02-01 메모리 컨트롤러, 이를 포함하는 메모리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
US16/117,426 US10678471B2 (en) 2018-02-01 2018-08-30 Memory controller, memory system having the memory controller, and operating method of the memory controller
CN201811109320.5A CN110109797B (zh) 2018-02-01 2018-09-21 存储器控制器、存储器系统及存储器控制器的操作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2916A KR102505920B1 (ko) 2018-02-01 2018-02-01 메모리 컨트롤러, 이를 포함하는 메모리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3364A true KR20190093364A (ko) 2019-08-09
KR102505920B1 KR102505920B1 (ko) 2023-03-06

Family

ID=673921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2916A KR102505920B1 (ko) 2018-02-01 2018-02-01 메모리 컨트롤러, 이를 포함하는 메모리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678471B2 (ko)
KR (1) KR102505920B1 (ko)
CN (1) CN110109797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1649B1 (ko) * 2021-12-01 2022-12-28 삼성전자주식회사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 그것을 제어하는 제어기, 그것을 포함하는 저장 장치 및 그것의 동작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86393B2 (en) * 2020-12-30 2023-02-21 Macronix International Co., Ltd. Control method for requesting status of flash memory, flash memory die and flash memory with the sam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52471A (ko) * 2005-11-17 2007-05-22 삼성전자주식회사 낸드 플래쉬 메모리 제어 장치 및 방법
US7406572B1 (en) * 2004-03-26 2008-07-29 Cypress Semiconductor Corp. Universal memory circuit architecture supporting multiple memory interface options
US20130067455A1 (en) * 2011-09-08 2013-03-14 Via Technologies, Inc. Memory online update system and method
US20140201473A1 (en) * 2013-01-11 2014-07-17 Micron Technology, Inc. Host controlled enablement of automatic background operations in a memory device
KR20140128852A (ko) * 2013-04-29 2014-11-06 삼성전자주식회사 데이터 처리 지연에 대한 빠른 응답을 수행할 수 있는 데이터 저장 장치와 이를 이용한 데이터 처리 방법들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10030B2 (en) * 2004-07-22 2007-04-2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Programmable memory initialization system and method
US7376761B2 (en) * 2004-12-30 2008-05-20 Intel Corporation Configuration data management
JP4842563B2 (ja) * 2005-05-16 2011-12-2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メモリコントローラ、不揮発性記憶装置、不揮発性記憶システム、及びデータ書き込み方法
JP4896450B2 (ja) * 2005-06-30 2012-03-14 株式会社東芝 記憶装置
JP2007233903A (ja) * 2006-03-03 2007-09-13 Hitachi Ltd 記憶制御装置及び記憶制御装置のデータ回復方法
US20080082750A1 (en) * 2006-09-28 2008-04-03 Okin Kenneth A Methods of communicating to, memory modules in a memory channel
KR20100108697A (ko) 2009-03-30 2010-10-08 삼성전자주식회사 데이터 출력 패드들의 스왑 기능을 갖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CN103426453B (zh) * 2012-05-25 2015-12-16 华为技术有限公司 动态电压频率调节方法以及系统
KR20170059049A (ko) * 2015-11-19 2017-05-30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메모리 시스템 및 메모리 시스템의 동작 방법
KR20170086345A (ko) 2016-01-18 2017-07-26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메모리 칩 및 메모리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메모리 시스템
US9977603B2 (en) * 2016-05-02 2018-05-22 Micron Technology, Inc. Memory devices for detecting known initial states and related methods and electronic system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06572B1 (en) * 2004-03-26 2008-07-29 Cypress Semiconductor Corp. Universal memory circuit architecture supporting multiple memory interface options
KR20070052471A (ko) * 2005-11-17 2007-05-22 삼성전자주식회사 낸드 플래쉬 메모리 제어 장치 및 방법
US20130067455A1 (en) * 2011-09-08 2013-03-14 Via Technologies, Inc. Memory online update system and method
US20140201473A1 (en) * 2013-01-11 2014-07-17 Micron Technology, Inc. Host controlled enablement of automatic background operations in a memory device
KR20140128852A (ko) * 2013-04-29 2014-11-06 삼성전자주식회사 데이터 처리 지연에 대한 빠른 응답을 수행할 수 있는 데이터 저장 장치와 이를 이용한 데이터 처리 방법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1649B1 (ko) * 2021-12-01 2022-12-28 삼성전자주식회사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 그것을 제어하는 제어기, 그것을 포함하는 저장 장치 및 그것의 동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109797B (zh) 2023-06-13
CN110109797A (zh) 2019-08-09
US10678471B2 (en) 2020-06-09
KR102505920B1 (ko) 2023-03-06
US20190235786A1 (en) 2019-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78920B2 (en) Memory controller and memory system having the same
KR102567373B1 (ko) 메모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메모리 시스템
CN110413535B (zh) 存储器控制器及存储器控制器的操作方法
US11269551B2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KR20190087845A (ko) 메모리 시스템 및 그것의 동작 방법
KR102626048B1 (ko) 메모리 컨트롤러, 이를 포함하는 메모리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
KR20190043860A (ko) 메모리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
US10936421B2 (en) Memory system having storage device and memory controller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US11340802B2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controller, memory system and method thereof
KR102505920B1 (ko) 메모리 컨트롤러, 이를 포함하는 메모리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
KR102350644B1 (ko) 메모리 컨트롤러 및 이를 포함하는 메모리 시스템
US20180373586A1 (en) Memory system and operating method therefor
KR102409798B1 (ko) 메모리 시스템 및 그것의 동작 방법
US11132252B2 (en) Memory device, memory system including memory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memory system
KR20190029323A (ko) 메모리 컨트롤러, 이를 포함하는 메모리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
KR102398671B1 (ko) 메모리 컨트롤러 및 이를 포함하는 메모리 시스템
CN110362181B (zh) 电子装置、具有电子装置的存储器系统及其操作方法
US20210304819A1 (en) Memory system, memory device, and control method of memory system
KR20240002571A (ko) 메모리 장치, 메모리 장치를 포함하는 메모리 시스템 및 메모리 시스템의 동작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