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92987A -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92987A
KR20190092987A KR1020180012369A KR20180012369A KR20190092987A KR 20190092987 A KR20190092987 A KR 20190092987A KR 1020180012369 A KR1020180012369 A KR 1020180012369A KR 20180012369 A KR20180012369 A KR 20180012369A KR 20190092987 A KR20190092987 A KR 201900929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iling
shape
unit
installation position
in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23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94221B1 (ko
Inventor
신규열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123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4221B1/ko
Publication of KR201900929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29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42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42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72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 F24F11/79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the supplied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2Indication arrangements, e.g. displa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70Determining position or orientation of objects or cameras
    • G06T7/73Determining position or orientation of objects or cameras using feature-based metho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2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users or occupants
    • F24F2120/10Occupancy
    • F24F2120/12Position of occupa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실내 공간에 대한 영상을 촬영하여, 상기 영상으로부터 상기 실내 공간에 대한 형태 및 본체의 설치위치를 추출하여 기류를 설정하고, 기류 설정에 대응하여, 상기 토출구를 개폐하고, 상기 토출구에 설치되는 풍향조절수단의 개폐정도를 제어하여 바람의 토출방향을 제한함으로써, 실내 공간의 형태와 공기조화기의 설치 위치를 쉽고,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고, 실내 공간의 구조가 변경되는 경우에도 재인식하여 기류를 토출을 제어할 수 있으며, 설치 위치에 따라 기류의 토출 방향을 제어하여 설정온도 도달시간을 단축하고, 에너지 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Air-conditioner and Contral Method}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공간의 형태에 따라 기류를 제어하는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공기조화기는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실내로 냉온의 공기를 토출하여, 실내 온도를 조절하고, 실내 공기를 정화하도록 함으로서 인간에게 보다 쾌적한 실내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설치된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열교환기로 구성되어 실내에 설치되는 실내기와, 압축기 및 열교환기 등으로 구성되어 실내기로 냉매를 공급하는 실외기를 포함한다.
공기조화기는 열교환기로 구성된 실내기와, 압축기 및 열교환기 등으로 구성된 실외기로 분리되어 제어되며, 실외기 및 실내기가 냉매배관으로 연결되어, 실외기의 압축기로부터 압축된 냉매가 냉매배관을 통해 실내기의 열교환기로 공급되고, 실내기의 열교환기에서 열교환된 냉매는 다시 냉매배관을 통해 실외기의 압축기로 유입된다. 그에 따라 실내기는 냉매를 이용한 열교환을 통해 냉온의 공기를 실내로 토출한다.
이러한 공기조화기는 실내기에 구비되는 토출구의 위치, 토출구에 구비되는 베인 또는 루퍼의 방향에 따라 기류의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실내기는 토출구의 개폐 여부, 베인의 각도를 조절하여 특정 영역으로 기류가 도달하도록 하거나, 공간에 고르게 기류가 도달하도록 한다.
그러나, 실내기의 설치위치 또는 실내기가 설치된 공간의 형태에 따라 불필요하게 기류가 토출되는 경우가 발생된다.
즉, 실내기가 벽면에 근접하여 설치되는 경우, 벽면에 인접한 토출구의 경우, 기류가 벽면을 향해 토출되는 경우가 발생된다. 또한, 공간 배치에 따라, 재실자가 접근할 수 없는 영역으로 기류가 토출되는 경우도 발생한다.
따라서, 보다 효과적으로 기류를 제어할 방안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에 있어서, 실내 공간 또는 설치위치에 따라 기류를 제어하는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를 포함하여, 실내 공간에 대한 영상을 촬영하는 젼비모듈, 열교환된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구, 상기 젼비모듈로부터 촬영되는 상기 영상으로부터 상기 실내 공간에 대한 형태 및 본체의 설치위치를 추출하여 기류를 설정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기류 설정에 대응하여, 상기 토출구를 개폐하고, 상기 토출구에 설치되는 풍향조절수단의 개폐정도를 제어하여 바람의 토출방향을 제한하는 구동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의 천장모양에 대한 천장데이터가 저장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천장모양의 특징을 추출하여 상기 메모리로부터 상기 천장모양에 대응하는 천장데이터를 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천장모양에 대응하는 천장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조작부의 입력에 대응하여 수동으로 설치위치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천장모양에 대응하는 천장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외부의 서버로부터 천장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메모리의 데이터를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실내 공간에 대한 영상을 촬영하는 단계, 상기 영상을 분석하여 천장모양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천장모양에 대응하는 천장데이터를 검색하고, 상기 천장데이터로부터 본체의 설치위치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설치위치에 대응하여 바람의 토출방향에 대한 기류를 설정하는 단계 및 기류설정에 대응하여 바람이 토출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천장모양을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영상의 상단부의 중앙에 중심점을 설정하고, 상기 중심점으로부터 각 방향에 위치하는 선분을 검출하여 상기 천장모양을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천장모양의 특징을 추출하여, 상기 천장모양에 대응하는 천장데이터를 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서버로부터 새로운 천장데이터를 수신하여 메모리를 갱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은, 실내 영상을 바탕으로 실내 공간의 형태와 공기조화기의 설치 위치를 쉽고,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설정 없이, 실내 공간의 형태를 인식할 수 있고, 설치 위치 또는 실내 공간의 구조가 변경되는 경우에도 재인식하여 기류를 토출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실내 공간의 형태 및 설치 위치에 따라 기류의 토출 방향을 제어하여 설정온도 도달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불필요한 기류의 토출을 방지함에 따라 에너지 효율이 향상되고, 쾌적한 실내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구성이 도시된 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 구성이 간략하게 도시된 블록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용 프로세서의 구성이 도시된 블록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설치 위치 및 실내 공간의 형태를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예시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 공간을 인식하는 예가 도시된 도이다.
도 6 은 도 5의 실내 공간의 형태를 판단하는 과정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 공간의 형태를 구분하는 방법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이다.
도 8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 공간을 인식하는 다른예가 도시된 도이다.
도 9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내 공간의 형태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설치 위치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10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 공간에 대한 형태 인식 과정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이다.
도 1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기류토출방향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이다.
도 1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발명에 포함되는 제어부 및 그 외 각 부의 구성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고, 하드웨어 장치로 구현될 수 있음을 명시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구성이 도시된 도이다.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조화기는 실내기(20)와 실외기(10)를 포함한다. 또한, 공기조화기는 실외기와 실내기를 모니터링하고 제어하는 제어기(미도시) 그리고 리모컨(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실내기(20) 및 실외기(10)는 복수로 구비될 수 있고, 그 개수, 타입, 유닛 간의 연결은 도면에 한정되지 않음을 명시한다. 또한, 실내기는 스탠드형인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하나, 천장형, 벽걸이형 또한 사용 가능하다.
실내기(20)는 실외기(10)와 냉매배관으로 연결된다. 실외기(10)는 연결되는 실내기의 수에 대응하여 용량이 변경될 수 있다. 실외기(10)는 별도의 통신선을 통해 연결되어 실내기와 유선통신방식으로 통신할 수 있고, 또한, 무선통신으로 통신할 수 있다.
실내기(20)는 전면에 토출구(9)가 형성되어, 공기 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공기를 내부에서 공조한 후 공기 토출구를 통해 토출한다. 본체의 측면 또는 상부에는 보조 토출구가 구비될 수 있다.
실내기(20)는 실외기(10)로부터 냉매를 공급받아 냉온의 공기를 토출한다. 실내기(20)는 실내 열교환기(미도시)와, 실내기팬(미도시), 공급되는 냉매가 팽창되는 팽창밸브(미도시), 다수의 센서(미도시)를 포함한다.
또한, 실내기(20)는 본체의 측면 또는 후면에 구비되는 흡입구(미도시)를 통해 실내공기를 흡입하고, 토출구(9)를 통해 열교환된 냉온의 공기를 토출한다. 흡입구에는 흡입된 공기에 포함된 먼지 등의 이물질을 걸러내는 필터부(미도시)가 설치된다. 또한, 본체에는 필터부를 청소하는 청소모듈(미도시)이 설치된다.
토출구(9)는 본체의 전면에 좌측토출구와 우측토출구로 구성될 수 있다. 각 토출구는 독립적으로 동작하여 기류를 토출할 수 있다.
토출구(9)에는 풍향조절수단(미도시)이 구비된다. 풍향조절수단은 기류의 방향을 제어하는 루버(미도시) 또는 베인(미도시)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풍향조절수단은 회전에 의해 개폐의 정도 및 바람의 방향을 조절하는 토출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토출유닛은, 토출구에 설치되어, 소정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함으로써, 회전각에 따라 바람의 토출방향을 변경한다.
본체는 전면에 디스플레이모듈(미도시)이 구비되고, 상부에 적어도 하나의 영상획득부를 포함하는 비젼모듈(미도시)이 설치된다. 또한, 전면패널(11)은 근접센서(미도시), 오디오입력부(미도시), 오디오출력부(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본체의 전면에는 스위치, 버튼 또는 터치패드의 적어도 하나의 입력수단으로 구성된 조작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모듈(미도시)은 터치패드가 레이어드된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모듈은 동작상태 및 설정정보를 표시하고, 또한, 터치패드가 레이어드되어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디스플레이모듈은 조명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모듈의 어느 일측에는 근접센서(미도시)와 리모컨 수신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실외기(10)는 냉매를 공급받아 압축하는 압축기(미도시)와, 냉매와 실외공기를 열교환하는 실외 열교환기(미도시)와, 공급되는 냉매로부터 기체 냉매를 추출하여 압축기로 공급하는 어큐뮬레이터(미도시)와, 난방운전에 따른 냉매의 유로를 선택하는 사방밸브(미도시)를 포함한다. 또한, 다수의 센서, 밸브 및 오일회수기 등을 더 포함하나, 그 구성에 대한 설명은 하기에서 생략하기로 한다.
실외기(10)는 구비되는 압축기 및 실외 열교환기를 동작시켜 설정에 따라 냉매를 압축하거나 열교환하여 실내기(20)로 냉매를 공급한다.
리모컨은 실내기(20)와 유선통신방식 또는 무선통신방식으로 통신하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데이터를 실내기로 전송하고, 공기조화기의 동작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실내기와 리모컨은 통신방식에 따라 단방향 또는 양방향 통신이 가능하다.
제어기는 실외기(10) 및 실내기(20)와 연결되어 그 동작을 모니터링하고, 제어할 수 있다. 제어기는 실내기의 예약운전은 물론 스케줄을 설정하고, 적어도 하나로 구성된 그룹을 생성하여 그룹단위로 제어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단말(미도시)과 통신할 수 있고, 소정 거리 내의 다른 기기와 소정의 네트워크, 예를 들어 공기조화기 네트워크, 빌딩 네트워크 또는 홈네트워크를 형성하여 네트워크에 연결되는 복수의 기기와 통신할 수 있다. 또한, 공기조화기는 인터넷을 통해 외부의 서버 또는 다른 가전기기와 통신할 수 있다.
또한, 공기조화기는 실외기 및 실내기 외에도, 환기장치(미도시), 공기청정장치(미도시), 가습장치(미도시) 및 히터(미도시)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보안장치, 조명장치 등과 연동하여 동작할 수 있다.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 구성이 간략하게 도시된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기(20)는 센서부(215), 전원부(299), 구동부(280), 조작부(230), 디스플레이모듈(292), 메모리(256), 통신부(270), 오디오출력부(291), 오디오입력부(220), 비젼모듈(210), 청소모듈(400), 가습모듈(300), 그리고 동작전반을 제어하는 제어부(240)를 포함한다.
전원부(299)는 본체로 동작전원을 공급한다. 전원부(299)는 연결되는 상용전원을 정류 및 평활하여, 각 부에서 요구되는 전압을 생성하여 공급한다. 전원부(299)는 돌입전류를 방지하고, 정전압을 생성한다. 또한, 전원부(299)는 동작전원을 실외기(미도시)로 공급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전원부는 실외기와 연결되어 실외기로부터 일정 크기의 동작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조작부(230)는 버튼, 스위치, 터치입력수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실내기로 사용자 명령 또는 소정의 데이터를 입력한다.
조작부(230)는 본체의 전면에 배치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조작부(230)는 그 일부가 본체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모듈(292)은 LCD, LED, OLED 등의 표시수단으로 구성되고, 터치패드가 레이어드된 터치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모듈(292)은 실내기의 운전설정 또는 동작정보를, 문자, 이미지, 특수문자, 기호, 이모티콘, 아이콘 중 적어도 하나의 조합으로 표시한다. 또한, 디스플레이부는 점등 여부, 점등색상, 점멸 여부에 따라 동작상태를 출력하는 조명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모듈(292)은 본체의 전면에 배치될 수 있다.
오디오출력부(291)는 음성안내, 소정의 경고음, 효과음을 출력한다. 오디오출력부(291)는 버저 또는 스피커를 포함한다.
오디오입력부(220)는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받아 인식하고, 그에 대한 명령을 제어부(240)로 입력한다. 오디오입력부(220)는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를 포함한다.
메모리(256)에는 실내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데이터, 동작모드에 대한 데이터, 센서부(215)로부터 감지되는 데이터, 통신부를 통해 송수신되는 데이터, 조작부(230)에 의해 입력되는 데이터, 출력데이터, 동작의 이상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데이터가 저장된다.
또한, 메모리(256)에는 영상 분석을 위한 데이터, 천장모양에 대한 천장데이터가 저장된다. 제어부(240)는 통신부(270)는 통해 외부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여 메모리(256)의 천장데이터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메모리(256)는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 processor)에 의해 읽힐 수 있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으로,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270)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모듈을 포함하여 유선 또는 무선통신 방식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통신부(270)는 실외기(미도시)와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리모컨(미도시)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한다. 또한, 통신부(270)는 소정의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외부의 서버 또는 단말과 통신할 수 있다. 통신부(270)는 지그비, 블루투스, 적외선 등의 근거리 무선통신뿐 아니라, 와이파이, 와이브로 등의 통신모듈을 포함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센서부(215)는 복수의 센서를 포함하여 측정되는 데이터는 제어부(240)로 입력한다. 센서부(215)는 근접센서(17), 온도센서, 압력센서, 습도센서를 포함하고, 물통감지부를 포함한다.
근접센서(17)는 소정 거리 내로 접근하는 사람 또는 물체를 감지한다. 근접센서(17)는 본체의 하부, 베이스의 전면부에 설치될 수 있고, 또한, 디스플레이모듈(292)에 인접하여 설치될 수 있다. 근접센서는 소정거리 내에 소정의 물체 또는 사람이 접근하는 경우 접근신호를 제어부(240)로 입력한다.
온도센서는 흡입구에 설치되어 실내온도를 측정하고,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열교환온도를 측정하며, 토출구의 어느 일측에 설치되어 토출되는 공기의 온도를 측정하고, 냉매배관에 설치되어 냉매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습도센서는 실내공기에 대한 습도를 측정한다.
구동부(280)는 실내팬(미도시)이 회전동작하도록 구동력을 제공한다. 구동부(280)는 실내팬으로부터 기류가 토출되는 토출구의 베인 또는 루버의 개폐 및 개도각을 조절하기 위한 구동수단에 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구동부(280)는 내부에 설치되는 밸브의 개폐를 제어한다. 필요에 따라 구동부(280)는 실내팬 구동부, 베인 구동부, 밸브 제어부로 구분될 수 있다.
구동부(280)는 팬구동부(미도시)와, 밸브제어부(미도시), 베인 구동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팬구동부는 제어부(240)의 제어명령에 대응하여 실내팬(미도시)에 구비되는 모터의 구동을 제어함으로써, 실내팬이 회전동작하도록 한다. 팬구동부는 실내팬으로 동작전원을 공급하여 설정된 회전속도로 회전동작하도록 제어한다.
실내팬은 실내열교환기에 구비된다. 필요에 따라 실내팬은 본체의 전면에 구비될 수 있다. 실내팬은 실내공기를 흡입하고, 흡입된 실내공기를 열교환기로 공급한다. 실내팬은 회전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인버터팬이 사용될 수 있다. 실내팬은 모터와 팬으로 구성되며, 팬구동부의 제어에 의해 모터가 동작함에 따라 팬이 회전하게 된다.
비젼모듈(210)은 적어도 하나의 영상획득부를 포함하여 실내 환경을 촬영하고, 사용자의 위치를 감지한다. 또한, 비젼모듈은 동작 모드에 따라 실내 침입을 감지할 수 있다. 비젼모듈(210)은 본체의 전면에 설치되고, 경우에 따라 본체의 상측 패널에 설치될 수 있다.
청소모듈(400)은 필터부에 설치되어, 필터부의 이물질을 청소한다. 청소모듈은 청소로봇(미도시)을 포함한다. 청소로봇은 필터부의 표면을 따라 이동하면서 필터부의 이물질을 흡입한다. 또한, 청소로봇은 필터부를 청소하면서 살균램프를 이용하여 필터부를 살균할 수 있다. 청소모듈(400)은 로봇청소기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습모듈(300)은 물통(미도시)의 물을 가열하거나 분해하여 가습된 공기를 제공한다. 가습모듈(300)은 스팀을 발생시켜 공기를 가습하고, 가습된 공기가 공조된 공기와 함께 토출구를 통해 실내로 토출되도록 한다. 가습모듈(300)은 진동을 이용한 진동식, 가열식, 물을 분사하는 분사방식이 사용될 수 있고, 그외 다양한 가습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제어부(240)는 입출력되는 데이터를 처리하고 메모리(256)에 데이터를 저장하고, 조작부를 통해 입력되는 설정에 따라 공기조화기가 동작하도록 설정한다. 제어부(240)는 각 모듈의 동작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인가되는 데이터에 따라 동작상태가 디스플레이모듈(292)을 통해 출력되도록 한다.
제어부(110)는 통신부(150)를 통해, 소정 시간 간격으로 실외기(10)와 통신하여 실내기의 데이터를 실외기로 전송하고, 또한 데이터를 수신하며, 제어기 등의 다른 기기의 요청에 따라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240)는 센서부(140)의 복수의 센서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에 대응하여 냉매, 실내팬, 실내의 상태를 판단하고, 그에 대응하여 제어명령을 생성하여 구동부(280)로 인가하며, 실외기와의 데이터 송수신하여 실외기로부터 공급되는 냉매에 의해 공조된 냉온의 공기가 실내로 토출되도록 구동부(280)를 제어한다.
제어부(240)는 설정되는 동작모드 또는 센서부(215)로부터 측정되는 데이터에 대응하여, 가습모듈(300)이 동작하여 가습된 공기가 토출되고, 비젼모듈(210)을 통해 재실자를 감지하며, 또한, 필터가 청소되도록 청소모듈(400)을 제어한다.
제어부(240)는 비젼모듈(210)을 통해 촬영되는 실내영상을 바탕으로 실내 공간의 형태 및 본체의 설치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240)는 실내 공간의 형태 및 설치위치에 대응하여, 토출되는 기류가 변경되도록 구동부(280)로 제어명령을 인가한다.
제어부(240)는 토출유닛 또는 베인의 최대 개도각을 설정하여 지정된 방향으로 기류가 토출되지 않도록 제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40)는 어느 하나의 베인이 오픈되지 않도록 설정할 수 있다.
그에 따라 구동부(280)는 실내 공간의 형태 및 설치위치에 대응하여, 특정 방향으로 기류가 토출되지 않도록 베인 또는 루버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구동부는 전체 영역으로 기류가 도달하도록 스윙이 설정되더라도, 지정된 방향으로는 기류가 토출되지 않도록 한다.
제어부(240)는 바람이 노출되지 않도록 지정된 방향에 대하여 조작부를 통해 풍향이 설정되는 경우 그에 따른 경고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모듈(292) 또는 오디오출력부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40)는 기류를 제한하는 설정에 대하여, 조작부를 통해 지정된 방향을 설정할 수 없도록 입력을 제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젼비모듈을 통해 촬영되는 실내 공간에 대한 영상이 변경되는 경우, 즉 설치 위치가 변경되거나 실내 공간의 구조가 변경되는 경우, 영상을 분석하여 기류를 재설정할 수 있다.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용 프로세서의 구성이 도시된 블록도이다.
제어부(240)는 하나 또는 복수의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 Processor)로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240)는 기능에 따라 메인제어부(241), 비젼모듈제어부(242), 전원공급제어부(243), 조명제어부(244), 디스플레이모듈제어부(245), 가습모듈제어부(246), 청소모듈제어부(247)를 포함한다.
각 제어부는 하나의 마이크로 프로세서로 구성될 수 있고, 각 모듈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통해 비젼모듈(210), 청소모듈(400), 가습모듈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각 모듈에 마이크로 프로세서가 설치되어, 비젼모듈(210)에 비젼모듈제어부(242)가 구비되고, 가습모듈에 가습모듈제어부가 구비되어 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메인제어부(241)는 각 제어부로 제어명령을 인가하고, 각 제어부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여 처리한다. 메인제어부와 각 제어부는 버스(BUS)형식으로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설치 위치 및 실내 공간의 형태를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예시도이다.
도 4를 참고하면, 실내기(20)의 본체(21)는 실내공간에 설치된다. 실내기는 스탠드형인 것을 예로 하며 설명하나, 벽걸이형 또는 천장형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기(20)가 실내공간의 어느 일측 모서리에, 벽면에 인접하여 제 1 지점(P1)설치될 수 있다. 천장(111)에는 조명(115)이 복수로 설치되고, 바닥면(114)에는 가구 등이 배치될 수 있다.
도 4의 (a) 위치에서, 실내기(20)는 제 1 벽면(112)이 본체의 후면에 대항하고, 본체의 정면에 구비되는 전면패널과 수평을 이루면서, 전면패널이 제 2 벽면(113)에 대하여 수직을 이루도록 설치될 수 있다.
실내기(20)는 열교환된 공기를 토출하는 경우, 좌측에 인접한 제 2 벽면(113)에 의해 제한받을 수 있다. 즉 토출된 기류가 벽면에 부딪혀 원하지 않는 방향으로 토출될 수 있고, 또한 다른 방향의 기류에 영향을 줄 수 있다. 그에 따라 실내기(20)는 좌측으로 토출되는 기류를 제한할 수 있다.
또한, 실내기(20)는 제 1 벽면과 제 2 벽면에 대하여 45도 각도로 설치될 수 있다.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기(20)는 본체가 실내공간의 일측면 중앙인 제 2 지점(P2)에 설치될 수 있다. 천장(101)에는 조명(105)이 복수로 설치되고, 바닥면(104)에는 가구 등이 배치될 수 있으며, 실내 공간은 다각형의 형상일 수 있다.
실내기(20)는 실내공간의 중앙으로 기류를 토출할 수 있다. 또한, 실내기(20)는 실내공간의 좌측과 우측으로 각각 기류를 토출할 수 있다. 실내기는 중앙의 메인 토출구와 좌측과 우측의 보조토출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중앙의 메인 토출구의 토출 기류의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비젼모듈(210)은 각각 실내기(20)의 본체가 설치된 위치에서, 실내공간을 촬영할 수 있다.
제어부(240)는 촬영된 영상을 분석하여 재실자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촬영된 영상을 분석하여 실내공간의 형태를 감지할 수 있다.
제어부(240)는 실내공간의 형태 및 본체의 설치위치를 판단하여 토출구에 대한 설정을 변경하여 그에 대한 제어명령을 구동부(280)로 인가한다. 그에 따라 구동부는 바람의 토출이 제한된 지정된 방향으로 기류가 토출되지 않도록 토출구의 풍향조절수단을 제어한다. 그에 따라 토출구의 토출유닛, 또는 베인/루어의 동작을 제어하여 지정된 방향을 제외한 나머지 방향으로 바람이 토출된다.
따라서, 실내기(20)는 실내 공간의 형태와, 설치위치(설치방향)에 대응하여 기류를 제어할 수 있다.
도 5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 공간을 인식하는 예가 도시된 도이다.
앞서 설명한 도 4의 (a)와 같이 제 1 지점(P1)에 본체가 설치되는 경우 비젼모듈을 통해 영상이 촬영된다.
비젼모듈을 통해 촬영된 영상에는 실내 영역의 형태 및 실내 공간 내에 위치는 재실자 또는 가구 등의 형상이 포함된다.
예를들어 영상에는,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장(121), 조명(124), 바닥, 좌우의 벽면(122, 125), 정면의 벽면, 그리고 실내 공간에 위치는 가구(126, 127) 등이 촬영될 수 있다. 또한, 영상에는 재실자가 촬영될 수 있다.
제어부(240)는 천장의 형상을 추출하기 위해, 촬영된 영상의 상단 중앙부의 어느 하나의 중심점(P11)을 설정한다. 제어부(240)는 중심점(P11)을 기준으로 주변에 위치하는 선분(128, 129)을 추출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240)는 천장과 벽면이 맞닿는 모서리에 대한 선분(128, 129)를 추출할 수 있다.
제어부(240)는 천장의 경우 조명이 설치됨에 따라, 조명의 형상을 구분하여 제외시킬 수 있다.
제어부(240)는 도 5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출된 선분을 상호 연결하여 천장의 형상을 추출한다. 제어부(240)는 영상처리를 통해, 에지(Edge)를 추출하여 모서리에 해당하는 선분을 추출할 수 있다.
제어부(240)는 추출된 천장에 대한 제 1 형상(131)의 형태를 분석하여 천장의 형상으로부터 실내 공간의 형태를 판단하고, 또한, 실내기의 설치위치를 판단할수 있다.
도 6 은 도 5의 실내 공간의 형태를 판단하는 과정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이고, 도 7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 공간의 형태를 구분하는 방법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어부(240)는, 실내 공간에 대한 영상으로부터, 실내 공간의 천장에 대한 형상을 추출할 수 있다.
도 6의 (a)를 참조하면, 영상으로부터 추출된 제 1 형상(131)은 직선과 곡선으로 연결된 형상을 갖는다. 경우에 따라 영상의 에지가 정확하게 추출되지 않거나, 천장에 특정 형태의 구조물이 존재하는 경우 천장의 형상은 일그러진 자유도형을 형상일 수 있다.
제어부(240)는 추출된 제 1 형상(131)을 도 6의 (b)와 같이 다각형의 형태인 제 2 형상(132)으로 변환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240)는 자유도형의 형태를 분석하여 특징을 추출한다.
제어부(240)는 자유도형(151)을 복수의 부분으로 분할하여 직선성분(153 내지 156)을 추출한다. 또한, 제어부(240)는 자유도형(151)의 무게중심(152)을 추출한다.
제어부(240)는 자유도형(151)의 형상에서 선이 일정 각도 이상으로 꺽이는 부분을 꼭지점으로 추정하고, 각 꼭지점을 연결하는 직선성분(153 내지 156)을 추출할 수 있다.
제어부(240)는 꼭지점을 기준으로, 각 부분에 대한 직선을 추출한 후, 각 직선을 상호 연결하여, 다각형의 천장모양을 생성한다.
제어부(240)는 추출된 각 직선성분이 각각 도형의 변을 이루도록 하여 다각형을 형성할 수 있다. 제 1 내지 제 4 직선성분(153 내지 156)은 각각 다각형의 변이 되어 제 1 형상은 다각형의 형상으로 변환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어부(240)는 천장모양을 도 6의 (b)와 같은 다각형의 형태로 변환하여 제 2 형상(132)을 추출한다.
제어부(240)는 천장의 형상을 바탕으로 실내 영역의 형태 및 설치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도 8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 공간을 인식하는 다른예가 도시된 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젼모듈(210)은, 실내 공간에 대한 영상을 촬영한다. 촬영된 영상에는 천장(141), 천장에 설치된 조명(142), 벽면(134), 바닥(145) 그리고 재실자(146)가 포함된다.
비젼모듈(210)은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재실자를 감지할 수 있고, 제어부(240)는 재실자의 위치를 기준으로 기류가 토출되도록 구동부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40)는 영상을 분석하여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영상의 상단부에 중심점을 설정하고, 중심점을 기준으로 주변의 선 성분을 추출한다. 제어부(240)는 추출된 선 성분을 상호 연결하여 천장에 대한 제 3 형상(133)을 추출한다.
제어부(24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자유도형인 제 3 형상(133)으로부터 직선 성분을 추출하고, 직선성분을 상호 연결하여 자유도형에 대응하는 다각형의 제 4 형상(미도시)으로 변환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형상은 사용자 입력에 의해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이 흐리게 촬영되거나, 주변의 장애물 또는 천장의 구조물로 인하여 실제 천장의 형상과 추출된 형상이 상이한 경우, 조작부의 입력에 의해 형상을 수정할 수 있다.
조작부를 통한 사용자의 키입력 또는 터치입력에 의해 형상을 수정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자유도형의 각 선분이 추출되면 추출된 선분 중 어느 하나가 롱터치 또는 더블터치되는 경우 터치 후 드래그되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천장모양을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모서리의 꼭지점 중 어느 하나가 롱터치 또는 더블터치되는 경우 드래그 되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천장모양을 변경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실내기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는 단말(미도시)에 의해 천장모양이 수정될 수 있다.
도 9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내 공간의 형태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설치 위치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9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모리(256)에는 실내공간의 형태를 구분하기 위한 천장의 형태에 대한 데이터가 저장된다. 별도의 데이터베이스(DB)가 구비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천장데이터는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외부의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제어부(240)는 기 저장된 천장데이터를 바탕으로, 추출된 실내 공간의 천장모양을 분석한다.
제어부(240)는 추출된 천장모양에 대하여, 무게중심, 각 변의 길이, 모서리 각을 특징으로 추출하여 천장모양을 분석할 수 있다.
제어부(240)는 무게중심의 위치에 따라, 가로가 긴 형태(161 내지 163)와 세로가 긴 형태(164 내지 166)를 구분할 수 있다.
제어부(240)는 다각형의 어느 하나의 변을 기준으로 천장모양의 무게중심(152)까지의 길이가 소정길이 이상인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를 구분하여 형태를 분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각형의 어느 하나의 변, 또는 길이가 가장 긴 변을 기준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40)는 어느 하나의 변과, 다른 변이 형성하는 기울기, 두변에 의해 형성되는 각도를 바탕으로 천장모양을 구분할 수 있다. 또한, 각 변의 길이를 바탕으로 천장모양을 구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40)는 제 1 형상을 제 2 형상의 다각형으로 변환한 후, 제 6 천장데이터(166)인 것으로 판단하고, 또한, 제 3 형상에 대하여, 제 2 천장데이터(162)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40)는 기 저장된 천장데이터 중 천장모양에 대응되는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새로운 천장모양을 추가하도록 한다. 이때, 제어부(240)는 바람의 토출방향에 대하여 조작부를 통해 수동으로 설정할 수 있다.
제어부(240)는 천장데이터에 대응하는 설치위치를 판단한다.
한편, 제어부(240)는 천장모양에 대응하는 천장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조작부를 통한 사용자 입력에 따라 수동으로 설치위치를 설정할 수 있다. 제어부(240)는 천장모양과 그에 대한 설치위치에 대한 데이터를 통신부(270)를 통해 서버로 전송하여, 새로운 천장데이터를 등록할 수 있고, 서버로부터 새로운 천장데이터를 수신하여 메모리의 데이터의 갱신할 수 있다.
도 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천장데이터(161)는 가로타입의 좌측 설치위치(171)에 대응하고, 제 2 천장데이터(162)는 가로타입의 중앙설치위치(172)에 대응하며, 제 3 천장데이터(163)는 가로타입의 우측설치위치(173)에 대응한다.
또한, 제 4 천장데이터(164)는 세로타입의 좌측설치위치(174)에 대응하고, 제 5 천장데이터(165)는 세로타입의 중앙설치위치(175)에 대응하며, 제 6 천장데이터(166)는 세로타입의 우측설치위치(176)에 대응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제어부(240)는 본체의 설치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도면에서 천장데이터는 6가지 형태로 분류하는 것을 예로하여 설명하였으나, 설치위치 또는 실내 공간의 형태에 따라 보다 세분화하여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는 통신부를 통해 외부의 서버등에 접속하여 천장모양에 대한 천장데이터를 업데이트 할 수 있다. 또한, 추출된 천장모양에 대응하는 천장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제어부(240)는 통신부(270)를 통해 외부의 서버에 접속하여 천장데이터를 요청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40)는 조작부를 통한 사용자 입력에 의해 천장모양이 수정되는 경우, 수정된 천장모양에 대한 천장데이터를 요청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40)는 실내 공안의 형태가 사각형이 아닌 원형, 삼각형인 경우에도 천장데이터를 분류하여 설치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도 10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 공간에 대한 형태 인식 과정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이다.
도 10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천장모양을 추출하고, 도 10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장모양의 특징을 추출하여 기 저장된 천장데이터로부터 유사한 형태의 천장모양을 검색한다.
도 10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장모양에 대응하는 천장데이터를 바탕으로 실내공간에서의 실내기의 설치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40)는 본체가 제 1 형상으로부터 세로형 실내공간의 어느 일면의 우측에 위치하는 것으로 설치위치를 판단할 수 있고, 또한, 제 3 형상으로부터 본체가 가로형 실내 공간의 어느 일면의 중앙에 위치하는 것으로 설치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도 1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기류토출방향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이다.
도 11를 참조하면, 제어부(240)는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천장모양을 추출하여 실내 공간에서의 본체의 설치위치를 판단함으로써, 토출구를 통한 기류의 토출방향을 제어한다.
토출구의 기류 토출방향으로 A1 내지 A9로 구분할 때, 제어부(240)는 본체의 설치위치에 따라 지정된 방향으로 기류의 토출을 제한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 1 형상에 대하여, 본체가 세로타입의 어느 일면의 우측에 설치된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240)는 우측으로는 벽면이 위치함에 따라 우측으로의 기류 토출을 제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40)는 A1 또는 A1 내지 A3으로를 기류가 토출되지 않도록 설정할 수 있다. 기류토출방향을 설정하면, 구동부(280)는 토출구의 방향을 제어한다.
구동부(280)는 제어부의 설정에 따라, A1 내지 A3에 대하여 기류가 토출되지 않도록 하고, A4 내지 A9에 대한 기류만을 토출한다. 전방향으로 기류가 토출되도록 풍향이 설정되더라도, 예를 들어 스윙모드(swing mode)가 설정되더라도 구동부(280)는 A4 내지 A9에 대하여 기류가 도달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240)는 조작부(230)를 통해 풍향이 변경되더라도, 지정된 방향으로는 풍향이 설정되지 않도록 제한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제한된 방향으로 풍향이 설정되는 경우, 기류제한에 대한 안내가 디스플레이모듈(292)을 통해 안내문으로 출력될 수 있고, 또한 오디오출력부(291)를 통해 기류제한에 따른 음성안내가 출력될 수 있다.
이때, 두개의 토출구가 구비되는 경우, 좌측토출구는 정면과 좌측으로 기류를 토출하고, 우측토출구는 정면 고정으로 기류를 토출할 수 있다.
한편, 제 3 형상의 천장모양이 추출되는 경우, 제어부(240)는 제 2 천장데이터로부터, 본체가 가로타입의 어느 일면의 중앙에 설치된 것으로 판단한다.
그에 따라 제어부(240)는 전방향에 대해 기류가 토출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도 1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기(20)는 구비되는 젼비모듈(210)을 통해 실내 영상을 촬영한다(S310).
제어부(240)는 촬영된 영상을 분석하여, 천장의 형태를 추출한다(S320).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어부(240)는 촬영된 영상의 상단부의 중앙에 중심점을 설정하고,중심점을 기준으로 위치하는 선분을 추출하여 천장의 형태를 추출한다.
또한, 제어부(240)는 추출된 천장의 형태를 분석하여 다각형의 천장모양을 추출한다.
제어부(240)는 천장모양을 분석하여 특징을 추출한다(S330).
제어부(240)는 천장모양의 각 변의 길이, 각 변이 이루는 각도, 천장모양의 무게중심을 특징으로 추출하여 실내 공간희 형태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240)는 추출된 특징을 바탕으로 천장데이터를 검색한다(S340).
제어부(240)는 각 특징으로 바탕으로 천장모양과 유사한 형태의 천장데이터를 검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게중심을 기준으로 가로타입과 세로타입을 구분할 수 있고, 가장 긴 변을 기준으로 양측의 각도와 각 변의 길이를 바탕으로 좌측 또는 우측으로 기울어진 형태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240)는 천장모양에 대응하는 천장데이터를 바탕으로 실내 공간의 형태와 실내공간에서의 설치위치를 추출한다(S350, S360).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천장모양이 제 6 천장데이터에 대응하는 경우, 세로타입의 실내 공간을 기준으로 벽면의 우측에 실내기의 본체가 설치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40)는 기 저장된 천장데이터 중 천장모양에 대응되는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새로운 천장모양을 추가하도록 한다. 경우에 따라 천장데이터는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외부의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제어부(240)는 설치위치에 따라 토출구의 기류를 설정한다(S370).
구동부(280)의 제어부의 설정에 따라, 토출구의 기류 토출방향을 제어한다. 구동부(280)는 베인 또는 루버의 개폐 및 회전각도를 조절하여 지정된 방향으로 기류가 토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구동부(280)는 상, 하, 좌, 우 방향에 대하여 바람의 토출방향을 제어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실시예에 따라서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10: 실외기 20: 실내기
210: 젼비모듈 230: 조작부
240: 제어부 270: 통신부
280: 구동부

Claims (18)

  1.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를 포함하여, 실내 공간에 대한 영상을 촬영하는 젼비모듈;
    열교환된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구;
    상기 젼비모듈로부터 촬영되는 상기 영상으로부터 상기 실내 공간에 대한 형태 및 본체의 설치위치를 추출하여 기류를 설정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기류 설정에 대응하여, 상기 토출구를 개폐하고, 상기 토출구에 설치되는 풍향조절수단의 개폐정도를 제어하여 바람의 토출방향을 제한하는 구동부; 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의 상단부의 중앙에 중심점을 설정하고,
    상기 중심점으로부터 각 방향에 위치하는 선분을 검출하여 상기 실내 공간에 대한 천장모양을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3. 제 2 항에 있어서,
    복수의 천장모양에 대한 천장데이터가 저장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천장모양의 특징을 추출하여 상기 메모리로부터 상기 천장모양에 대응하는 천장데이터를 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천장모양의 무게중심, 각 변의 길이, 각 변이 이루는 각도를 특징으로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천장모양에 대응하는 천장데이터가 검색되면, 상기 천장데이터로부터 상기 실내 공간의 형태 및 상기 본체의 설치위치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설치위치에 대응하여, 소정 방향으로 바람이 토출되지 않도록 기류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설치위치에 대응하여, 벽면 또는 장애물에 위치한 방향으로 바람이 토출되지 않도록 기류를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기류 설정에 대응하여, 지정된 방향으로 바람이 토출되지 않도록 상기 토출구의 풍향조절수단의 개폐각도 또는 회전각도를 설정하여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조작부를 통해 바람이 토출되지 않도록 지정된 방향에 대하여 풍향이 설정되는 경우, 경고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10.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조작부의 입력에 대응하여, 터치 및 드래그 되는 방향에 따라 모서리의 꼭지점 또는 선분의 위치를 이동하여 상기 천장모양을 수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공기조화기.
  11.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천장모양에 대응하는 천장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조작부의 입력에 대응하여 수동으로 설치위치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12.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천장모양에 대응하는 천장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외부의 서버로부터 천장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메모리의 데이터를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13. 실내 공간에 대한 영상을 촬영하는 단계;
    상기 영상을 분석하여 천장모양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천장모양에 대응하는 천장데이터를 검색하고, 상기 천장데이터로부터 본체의 설치위치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설치위치에 대응하여 바람의 토출방향에 대한 기류를 설정하는 단계; 및
    기류설정에 대응하여 바람이 토출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천장모양을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영상의 상단부의 중앙에 중심점을 설정하고, 상기 중심점으로부터 각 방향에 위치하는 선분을 검출하여 상기 천장모양을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천장모양의 특징을 추출하여, 상기 천장모양에 대응하는 천장데이터를 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천장모양의 무게중심, 각 변의 길이, 각 변이 이루는 각도를 특징으로 추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17.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천장모양에 대응하는 천장데이터에 따라, 가로타입과 세로타입의 상기 실내 공간의 형태를 판단하고, 상기 실내 공간에서의 본체의 설치위치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18.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위치에 대응하여, 벽면 또는 장애물이 위치한 방향으로 바람이 토출되지 않도록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KR1020180012369A 2018-01-31 2018-01-31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0942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2369A KR102094221B1 (ko) 2018-01-31 2018-01-31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2369A KR102094221B1 (ko) 2018-01-31 2018-01-31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2987A true KR20190092987A (ko) 2019-08-08
KR102094221B1 KR102094221B1 (ko) 2020-03-27

Family

ID=676134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2369A KR102094221B1 (ko) 2018-01-31 2018-01-31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422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083528A4 (en) * 2019-12-23 2024-01-10 LG Electronics Inc. AIR CONDITIONER AND ITS CONTROL METHOD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11053A (ko) * 2003-07-21 2005-01-29 주식회사 한울로보틱스 천장 영상을 이용한 청소용 로봇의 자기위치 추정방법
KR20090087365A (ko) * 2008-02-12 2009-08-17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JP2016044863A (ja) * 2014-08-22 2016-04-04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空気調和機
JP2016156507A (ja) * 2015-02-23 2016-09-01 ジョンソンコントロールズ ヒタチ エア コンディショニング テクノロジー(ホンコン)リミテッド 空気調和機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11053A (ko) * 2003-07-21 2005-01-29 주식회사 한울로보틱스 천장 영상을 이용한 청소용 로봇의 자기위치 추정방법
KR20090087365A (ko) * 2008-02-12 2009-08-17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JP2016044863A (ja) * 2014-08-22 2016-04-04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空気調和機
JP2016156507A (ja) * 2015-02-23 2016-09-01 ジョンソンコントロールズ ヒタチ エア コンディショニング テクノロジー(ホンコン)リミテッド 空気調和機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083528A4 (en) * 2019-12-23 2024-01-10 LG Electronics Inc. AIR CONDITIONER AND ITS CONTROL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4221B1 (ko) 2020-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41050B2 (ja) 送風機器
JP4487809B2 (ja) 空気調和装置
US7881827B2 (en) Air conditioner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JP5112031B2 (ja) 空気調和機
CN108151150B (zh) 一种嵌入式空调、系统及其控制方法
KR20100026353A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20090081919A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20064492A (ko) 공기조화기 및 그 동작방법
KR20090085895A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JP2010091142A (ja) 空気調和機
KR20090085368A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JP2016156507A (ja) 空気調和機
JP2015055384A (ja) 空気調和機
JP2015137836A (ja) 空気調和機、およびその室内ユニット
JP2015052431A (ja) 空気調和機の室内機および空気調和機
KR20090087366A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20090116299A (ko) 공기조화기의 제습운전방법
KR20090091527A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JP2015048956A (ja) 空気調和機
KR101919824B1 (ko) 공기조화기의 동작 방법
KR102094221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20090113630A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20090087364A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20090087365A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WO2022041077A1 (zh) 一种自动调节风向和风速的控温空调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