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92295A - 분무노즐의 커버 - Google Patents

분무노즐의 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92295A
KR20190092295A KR1020190010569A KR20190010569A KR20190092295A KR 20190092295 A KR20190092295 A KR 20190092295A KR 1020190010569 A KR1020190010569 A KR 1020190010569A KR 20190010569 A KR20190010569 A KR 20190010569A KR 20190092295 A KR20190092295 A KR 201900922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spray nozzle
blade
main body
nozz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05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37000B1 (ko
Inventor
준 이시마츠
테츠히코 야노
요시나리 이마가와
토모히로 이케구치
Original Assignee
닛산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야마호고오교오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산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야마호고오교오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닛산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922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22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70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70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2/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05B12/16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05B12/32Shielding elements, i.e. elements preventing overspray from reaching areas other than the object to be sprayed
    • B05B12/36Side shields, i.e. shields extending in a direction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spray j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02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produce a jet, spray, or other discharge of particular shape or nature, e.g. in single drops, or having an outlet of particular shape
    • B05B1/1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produce a jet, spray, or other discharge of particular shape or nature, e.g. in single drops, or having an outlet of particular shape in the form of a fine jet, e.g. for use in wind-screen wash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2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 B05B13/0278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Landscapes

  • Nozzles (AREA)
  • Details Or Accessories Of Spraying Plant Or Apparatus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과제] 분무노즐에 있어서, 바람의 영향을 받는 것에 의한 액체의 미세한 입자의 비산을 억제하는 것에 있다.
[해결수단] 커버(1)는, 커버 본체(11)의 외면으로부터 커버 본체(11) 외측으로 세워지는 블레이드(13)를 마련하고, 이 블레이드(13)는, 쥘부채부(15)의 타원형상의 단면형의 장축CL을 따라, 장착부(17)를 사이에 두고 마련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해, 바람이 커버 본체(11)의 타원형상 단면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에 맞는 것과 같은 경우, 기류는, 커버 본체(11)를 넘을 때에, 커버 본체(11)의 외면으로부터 블레이드(13) 및 블레이드(13)의 복수의 리브(25)를 따라 흐르고, 블레이드(13)의 외연을 넘어, 커버 본체(11) 및 블레이드(13)의 바람 하측으로 흐른다. 이때, 커버 본체(11) 및 블레이드(13)의 바람 하측에서는, 기류가 흐트러져 소용돌이형상을 이룬다. 이 소용돌이형상을 이룬 기류에 의해, 혼합유체의 미세한 입자가 커버 본체(11) 및 블레이드(13)측으로 되돌아가고, 커버 본체(11) 및 블레이드(13)의 바람 하측의 근방에 머무르게 한다.

Description

분무노즐의 커버{COVER FOR SPRAY NOZZLE}
본 발명은, 액체를 안개형상으로 분사하는 분무노즐의 커버에 관한 것이다.
종래로부터, 액체를 안개형상으로 살포할 때, 액체를 안개형상으로 분사하는 분무노즐에 커버를 장착하여, 분무작업이 행해지고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는, 고랑의 잡초를 제초하기 위해, 제초제를 분무하는 분무노즐을 덮도록 하여, 커버로서의 후드부가 마련된 것이 개시되어 있다. 이 후드부는, 분무노즐의 분사구로부터 안개형상으로 분사된 제초제의 비산을 방지하는 것이다.
일본특허 제5037967호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분무노즐을 덮는 후드부에서는, 분무노즐로부터 분무된 제초제의 미세한 입자가 후드부로부터 외부에 분사될 때, 바람의 영향에 의해 비산하여, 이랑에 심어진 작물에도 부착되어 버린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분무노즐에 있어서, 바람의 영향을 받게 되는 것에 의한 액체의 미세한 입자의 비산을 억제하는 것에 있다.
(발명의 태양)
이하의 발명의 태양은, 본 발명의 태양을 예시하는 것이며, 본 발명의 다양한 구성요소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항을 구분하여 설명한 것이다. 이하의 각 항은,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을 실시하는 최량의 형태를 참작하면서, 각 항의 구성요소의 일부를 치환하고, 삭제하거나, 또는, 또 다른 구성요소를 부가한 태양에 대해서도, 본 발명의 일태양이 될 수 있는 것이다.
(1) 액체를 안개형상으로 분무하는 분무노즐의 커버로서, 적어도 상기 분무노즐의 분사구의 주위를 덮는 통형상의 커버 본체와, 이 커버 본체의 외면으로부터 이 커버 본체외측으로 세워지는 블레이드를 구비하고, 상기 커버 본체는, 상기 분무노즐이 고정되는 장착부를 구비하는 기단으로부터, 개구가 형성된 선단을 향하여, 타원(長圓)형상 단면을 유지하면서, 적어도 상기 타원형상 단면의 길이방향으로 확경하는 쥘부채부(末廣がり)를 갖고,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쥘부채부의 타원형상의 단면형의 장축을 따라, 상기 장착부를 사이에 두고 한 쌍 마련되어 있는 분무노즐의 커버(청구항 1).
본 항에 따른 분무노즐의 커버에 있어서, 적어도 분무노즐의 분사구의 주위를 덮는 통형상의 커버 본체를 구비하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해, 통형상의 커버 본체에 의해, 분무노즐의 분사구가 덮이므로, 액체가 분무노즐의 분무구로부터 분무된 후, 분무구 근방의 범위에서는 바람의 영향을 받지 않고, 액체가 커버 본체의 외부에 분사되는 것이 된다. 또한, 이 커버 본체는, 분무노즐이 고정되는 장착부를 구비하는 기단으로부터, 개구가 형성된 선단을 향하여, 타원형상 단면을 유지하면서, 적어도 타원형상 단면의 길이방향으로 확경하는 쥘부채부를 가짐으로써, 해당 형상의 커버의 내부공간에 있어서, 상기 작용을 발휘하는 것이 된다.
또한, 본 항에 따른 분무노즐의 커버에 있어서, 커버 본체의 외면으로부터 커버 본체외측으로 세워지는 블레이드를 구비하고, 이 블레이드는, 쥘부채부의 타원형상의 단면형의 장축을 따라, 장착부를 사이에 두고 한 쌍 마련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해, 바람이 커버 본체의 타원형상 단면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에 맞는 것과 같은 경우, 기류는, 커버 본체의 쥘부채부를 넘을 때에, 커버 본체의 외면으로부터 블레이드를 따라 흐르고, 블레이드의 외연을 넘어, 커버 본체 및 블레이드의 바람 하측(즉, 바람을 받는 면(바람 상측)에 대하여 반대측의 면)으로 흐른다. 이때, 커버 본체 및 블레이드의 바람 하측에서는, 기류가 흐트러져 소용돌이형상을 이룬다. 이 소용돌이형상을 이룬 기류에 의해, 액체의 미세한 입자가 커버 본체 및 블레이드측으로 되돌아가고, 액체의 미세한 입자를 커버 본체 및 블레이드의 바람 하측의 근방에 머물게 하는 것이 된다.
(2) 상기 (1)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의 외연은, 상기 커버 본체의 선단으로부터 기단을 향하여, 상기 쥘부채부보다도 급경사를 이루어, 상기 커버 본체외측으로 세워지는 분무노즐의 커버(청구항 2).
본 항에 따른 분무노즐의 커버에 있어서, 블레이드의 외연이, 커버 본체의 선단으로부터 기단을 향하여, 쥘부채부보다 급경사를 이루어, 커버 본체외측으로 세워지도록 형성함으로써, 커버 본체의 기단측에서는 바람을 받는 면적이 증가한다. 그 결과, 블레이드의 면적을 따라, 커버 본체 및 블레이드의 바람 하측에서 발생하는 소용돌이형상의 기류의 영역이 넓어지고, 액체의 미세한 입자를 커버 본체 및 블레이드측의 후방으로 되돌아가는 작용이 발생하는 범위가 넓어지는 것이 된다.
(3) 상기 (1)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쥘부채부는, 상기 장착부에 고정되는 상기 분무노즐로부터 분무되는 액체의 분무패턴에 대응한 쥘부채형상을 이루고 있는 분무노즐의 커버(청구항 3).
본 항에 따른 분무노즐의 커버에 있어서, 쥘부채부가, 분무노즐로부터 분무되는 액체의 분무패턴에 대응한 쥘부채형상을 이룸으로써, 분무노즐로부터 소정의 분무패턴으로 분무된 액체가 커버 본체의 내면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여, 액체를 낭비없이 안정적으로 분무하는 것이 된다.
(4) 상기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분무노즐이, 기단으로부터 선단으로 연장되는 유로가 형성된 노즐홀더과, 이 노즐홀더의 선단측에 배치되고, 액체를 분사하는 슬릿이 형성된 선분판과, 상기 노즐홀더의 선단에 상기 선분판을 유지(保持)하는 노즐캡과, 상기 선분판과 상기 노즐홀더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유로로부터 액체를 받고, 상기 선분판의 상기 슬릿으로 안내하는 복수의 안내유로가 형성된 정류중자와, 상기 노즐홀더의 기단측에 배치되고, 액체를 상기 노즐홀더의 상기 유로에 공급하는 핀홀이 형성된 오리피스판과, 이 오리피스판보다 상기 노즐홀더의 기단측에 배치되고, 액체가 흐르는 유로가 형성된 오리피스중자를 구비하고, 상기 선분판에는, 하류측을 향하여 줄기형상으로 돌출되는 줄기형상 조리개부가 형성되고, 이 줄기형상 조리개부를 가로지르는 태양으로 상기 슬릿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정류중자에는, 상기 선분판의 상기 슬릿을 향하여 선단폭이 축소되는 태양으로 정류돌기부가 형성되고, 또한, 이 정류돌기부를 구성하는 벽면이 상기 복수의 안내유로를 구성하는 벽면의 하류측에 배치되고, 상기 오리피스판에는, 하류측을 향하여 돔형상으로 돌출되는 돔형상 조리개부가 형성되고, 이 돔형상 조리개부의 꼭대기부에 상기 핀홀이 형성되어 있는 분무노즐의 커버(청구항 4).
본 항에 따른 분무노즐의 커버에 있어서, 상기 서술한 분무노즐의 구성에 의해, 액체가, 오리피스중자의 유로 및 오리피스판의 핀홀을 통과하여, 노즐홀더의 유로에 공급된다. 그리고, 노즐홀더의 유로로부터 흐르는 액체는, 정류중자의 복수의 안내유로를 개재하여, 선분판의 슬릿을 향하여 안내되고, 슬릿으로부터 분무되는 것이 된다. 이 분무노즐에 있어서, 선분판에 하류측을 향하여 줄기형상으로 돌출되는 줄기형상 조리개부가 형성되고, 이 줄기형상 조리개부에 슬릿이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정류중자의 안내유로를 흐르는 액체는, 줄기형상 조리개부에 모이고, 줄기형상 조리개부의 슬릿을 개재하여, 분무노즐의 외부에 분무된다. 게다가, 정류중자에는, 줄기형상 조리개부에 형성된 슬릿을 향하여 선단폭이 축소되는 정류돌기부가 형성되어 있는 점에서, 정류중자의 안내유로를 통과하여 슬릿을 향하는 액체는, 정류돌기부를 구성하는 벽면을 따라 안내되고, 안내유로를 구성하는 벽면의 하류측에 배치된 줄기형상 조리개부를 향하여 원활하게 흐른다. 그리고, 액체는, 줄기형상 조리개부와 정류돌기부의 사이의 간극을 흐르고, 줄기형상 조리개부에 형성된 슬릿으로부터 분무된다. 이때, 슬릿으로부터 분무된 액체는, 바람의 영향을 받기 쉬운 미세한 입자의 비율이나, 확산되기 어려운 입자경이 큰 입자의 비율을 줄이고, 분무에 적합한 입자로 분무노즐의 외부에 분무하는 것이 된다. 나아가, 상기 서술한 분무노즐의 구성에 의해, 오리피스판에 대한 액체의 공급은, 오리피스판보다 유로의 상류측에 위치하는 오리피스중자의 유로를 개재하여 오리피스판에 공급되고, 오리피스판에 형성된 하류측을 향하여 돔형상으로 돌출되는 돔형상 조리개부의 돔의 꼭대기에 액체가 모이고, 돔형상 조리개부의 꼭대기부에 형성된 핀홀로부터 노즐홀더의 유로를 향하여 원활하게 흐르는 것이 된다.
(5) 상기 (4)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홀더의 상기 유로는, 하류측에서 분기되어 있고, 분기한 각각의 상기 유로의 하류측에 상기 선분판과, 상기 노즐캡과, 상기 정류중자가 배치되어 있는 분무노즐의 커버(청구항 5).
본 항에 따른 분무노즐의 커버에 있어서, 노즐홀더의 유로가 하류측에서 분기함으로써, 분기한 각 방향에 있어서 상기 (4)항의 분무노즐의 커버에서 얻어지는 것과 동등한 작용을 얻고, 혼합유체를 서로 상이한 방향으로 동시에 살포하는 것이 된다.
(6) 상기 (4) 또는 (5)항에 있어서, 상기 오리피스중자의 상기 유로는, 상기 노즐홀더의 상기 유로의 연장방향축에 대하여 경사져 있는 분무노즐의 커버.
본 항에 따른 분무노즐의 커버에 있어서, 상기 서술한 오리피스중자의 구성에 의해, 오리피스중자의 유로가 노즐홀더의 유로의 연장방향축에 대하여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유로를 통과한 액체는, 유로통과 전의 흐름상태 여하에 상관없이, 유로에 의해 흐름방향이 교정되고, 오리피스중자의 하류측에서 선회류가 된다. 이 선회류는, 오리피스판의 돔형상 조리개부의 돔내에 있어서도 유지되고, 오리피스판의 핀홀로부터 노즐홀더의 유로에 흐르는 액체의 흐름이 정류됨으로써, 유로에 있어서의 액체와 공기의 혼합상태를 안정시키는 것이 된다.
(7) 상기 (1) 내지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쥘부채부에는, 상기 블레이드를 착탈가능하게 유지하는 유지부를 구비하는 분무노즐의 커버(청구항 5).
본 항에 따른 분무노즐의 커버에 있어서, 쥘부채부에는, 블레이드를 착탈가능하게 유지하는 유지부를 구비함으로써, 필요에 따라, 파손, 형상변경 등에 대응하여, 블레이드의 착탈이나 교환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 된다.
(8) 상기 (1) 내지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본체는, 투명인 분무노즐의 커버(청구항 6).
본 항에 따른 분무노즐의 커버에 있어서, 커버 본체는, 투명함으로 인해, 작업자가 커버 본체의 내부를 시인하고, 분무된 액체의 분무패턴을 확인할 수 있고, 분무압력에 따라, 작업자가 적당히 분무압력을 조정하도록 촉진하는 것이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분무노즐에 있어서, 바람의 영향을 받는 것에 따른 액체의 미세한 입자의 비산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분무노즐의 커버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분무노즐 및 분무노즐의 커버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낸 분무노즐의 커버의 분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나타낸 커버의 쥘부채부의 타원형상 단면의 폭방향(短手方向)을 따른 분무노즐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나타낸 분무노즐의 부분단면도이며, (a)는, A-A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며, (b)는, B-B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2에 나타낸 분무노즐로부터 분무되는 액체의 분무패턴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a)는, 적정압력으로 액체를 분무한 분무패턴을 나타낸 도면이며, (b)는, 고압력으로 액체를 분무한 분무패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 1에 나타낸 분무노즐의 커버에 풍속 2m의 바람을 맞은 상태에 있어서의, 기류 및 액체입자의 살포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a)는, 기류를 나타낸 도면이며, (b)는, 액체입자의 살포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종래의 분무노즐의 커버에 풍속 2m의 바람을 맞은 상태에 있어서의, 기류 및 액체입자의 살포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a)는, 기류를 나타낸 도면이며, (b)는, 액체입자의 살포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분무노즐의 커버의 구성을 도 1~도 5에 기초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편의상, 도 1~도 3 및 도 6에 있어서의 커버(1)의 하측단을 선단(11a)(하류측)이라 정의함과 함께 상측단을 기단(11b)(상류측)이라 정의한다. 마찬가지로, 도 4 및 도 5에 있어서의 하측단을 기단(상류측)이라 정의함과 함께 상측단을 선단(하류측)이라 정의한다. 나아가, 도 7 및 도 8에 있어서의 우측이 바람 상측이며, 좌측이 바람 하측이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공기와 약액(액체)의 혼합유체를 분무노즐(3)로부터 분무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버(1)는, 분무노즐(3)을 덮고, 이 분무노즐(3)로부터 분무된 혼합유체 중의 작은 입자의, 바람의 영향에 의한 비산을 방지하는 것이다. 이 커버(1)는, 커버 본체(11)와, 블레이드(13)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커버(1)에 대하여, 분무노즐(3)이, 후술하는 플레이트(31) 및 연결부재(33)를 개재하여, 체결구(43)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커버 본체(11)는, 투명재료에 의해 구성되고, 적어도 분무노즐(3)의 선분판(59)(분사구)의 주위를 덮도록 개략 통형상을 이루고, 쥘부채부(15)와, 장착부(17)와, 유지부(19)와, 보강리브(23)를 구비하고, 선단이 개구(21)가 되어 있다. 쥘부채부(15)는, 기단(11b)으로부터 선단(11a)을 향하여, 타원형상 단면을 유지하면서, 적어도 타원형상 단면의 길이방향으로 확경되어 있다(도 2 참조). 구체적으로는, 쥘부채부(15)는, 장착부(17)에 고정되는 분무노즐(3)로부터 분무되는 혼합유체의 분무패턴(후술 참조)에 대응한 쥘부채형상을 이루고 있다. 또한, 쥘부채부(15)는, 평면시에 있어서, 대략 원형상의 기단(11b)측으로부터 선단(11a)측으로 가까워질수록, 타원형상의 길이방향의 길이가 증대하도록 하여, 타원형상으로 형상이 천이하는 태양으로 쥘부채부(15)의 타원형상 단면이 길이방향으로 확경되어 있다. 이 타원형상은, 도시의 예에서는, 직사각형의 길이방향 단부(端部)를 반원으로 한 것과 같은 형상으로 되어 있는데, 적당히 타원(楕圓)형 혹은 그에 가까운 형상으로 변경해도 된다. 장착부(17)는, 선단(11a)으로부터 기단(11b)을 향하여 축경된 대략 원통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내부에 분무노즐(3)이 부착되어 있다. 또한, 장착부(17)의 기단측의 단면은, 반경방향 외측으로부터 내측을 향하여 오름경사지도록 축경되고, 공급관(67)을 삽통하는 개구(17a) 및 체결구(43)를 삽통하는 복수의 삽통구멍(17b, 17b)(본 실시형태에서는, 2개)이 형성되어 있다(도 3 참조). 유지부(19)는, 쥘부채부(15)의 타원형상 단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한 쌍의 리브이며, 커버 본체(11)의 기단으로부터 선단에 이르도록 하여 마련되어 있다. 유지부(19)를 구성하는 한 쌍의 리브는, 블레이드(13)를 사이에 두고 유지하기에 적합한 소정의 간극을 두고 마련하고 있다. 보강리브(23)는, 쥘부채부(15)의 폭방향의 외주면의 둘레방향을 연장하도록 마련되고(본 실시형태에서는, 쥘부채부(15)의 길이방향 양측면에 1개씩의 합계 2개), 쥘부채부(15)를 보강하는 것이다.
블레이드(13)는, 투명재료에 의해 구성되고, 쥘부채부(15)의 타원형상의 단면형의 장축CL(편의상, 선단(11a)을 통과하는 장축을 도 1 및 도 2에 나타낸다.)을 따라, 장착부(17)를 사이에 두고, 유지부(19)에 착탈가능하게 한 쌍 마련되어 있다. 이 블레이드(13)의 외연(13oe)은, 커버 본체(11)의 선단(11a)으로부터 기단(11b)을 향하여, 쥘부채부(15)보다 급경사를 이루고 있다(도 1 및 도 2 참조). 또한, 블레이드(13)의 양면에는, 복수의 리브(25)(본 실시형태에서는, 4개)가 형성되어 있다. 이 복수의 리브(25)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연(13oe)으로부터 내연(13ie)(도 3 참조) 근방까지 연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플레이트(31)(도 2 및 도 3 참조)는, 커버 본체(11)의 장착부(17)의 기단측의 내단면을 따른 형상을 이루고, 공급관(67)을 삽입하는 개구(31a) 및 체결구(43)를 삽통하는 삽통구멍(31b)(본 실시형태에서는, 2개)이 형성되어 있다(도 3 참조). 연결부재(33)는, 커버(1)와 분무노즐(3)을 연결하는 것이며, 유로(35)를 구비하고, 필터(37)와, 링부재(39)와, O링(41)이 장착되어 있다. 유로(35)는, 노즐홀더(51)의 제1 노즐홀더(52)의 유로(77)(도 4 참조) 및 공급관(67)의 유로(67a)(도 1 및 도 3 참조)와 연통되어 있다. 필터(37)는, 약액내의 고형물을 여과하는 것이며, 연결부재(33)의 하류측에 마련되어 있다. 링부재(39)는, 공급관(67)으로부터 공급되어 약액의 압력에 의해, 필터(37)가 유로(35)내로부터 탈락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며, 필터(37)보다 연결부재(33)의 하류측에 마련되어 있다. O링(41)은, 공급관(67)과 연결부재(33)의 사이의 누설을 방지하는 것이며, 연결부재(33)의 상류측에 마련되어 있다.
다음에, 분무노즐(3)의 구성을 도 3~도 5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분무노즐(3)은, 노즐홀더(51)와, 정류중자(53)와, 오리피스판(55)과, 오리피스중자(57)와, 선분판(59)과, 노즐캡(61)과, O링(63)과, 연결구(65)를 구비하고 있다. 이 분무노즐(3)은, 플레이트(31) 및 연결부재(33)를 개재하여, 체결구(43)에 의해, 커버(1)에 장착되어 있다.
노즐홀더(51)는, 기단측이 연결부재(33)를 개재하여 공급관(67)에 연결되어 있고, 제1 노즐홀더(52)와, 제2 노즐홀더(54)로부터 구성되어 있다. 이 제1 노즐홀더(52)는, 유로(77)와, 공기의 도입관(79)과, 대경부(83)와, 수납부(84)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제1 노즐홀더(52)의 선단측의 외주부에는, 원뿔대형상을 이루고, 기단측을 향함에 따라 직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1 환상계지부(86)가 형성되어 있다. 제1 노즐홀더(52)의 기단측의 외주부에는, 그 외주부로부터 직경방향 외측으로 넓어지는 플랜지부(73)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제1 노즐홀더(52)는, 제2 노즐홀더(54)에 이른바 무리하게 끼우기(ムリバメ), 즉, 제1 노즐홀더(52)의 선단측을 제2 노즐홀더(54)의 접속부(90)(후술 참조)의 내주부에 압입했을 때, 제1 노즐홀더(52)의 제1 환상계지부(86)가 제2 노즐홀더(54)의 제2 환상계지부(88)(후술 참조)에 의해 탄성변형하고, 제1 노즐홀더(52)가 소정의 위치까지 압입됨으로써, 제1 환상계지부(86)의 형상이 탄성복귀하여, 제1 환상계지부(86)와 제2 환상계지부(88)가 계합하고, 제2 노즐홀더(54)에 연결된다.
제1 노즐홀더(52)의 유로(77)는, 수납부(84)에 연통되어 있고, 노즐홀더(51)의 선단측을 향하여 축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도입관(79)은, 제1 노즐홀더(52)의 외벽부로부터 유로(77)와 수납부(84)의 연통위치를 향하여 개구하도록, 복수 형성되어 있다(본 실시형태에서는 2개). 이 도입관(79)은, 오리피스판(55)의 핀홀(97)(즉, 오리피스판(55)의 항, 후술 참조)보다 하류측에 위치하는 것이다. 대경부(83)는, 제1 노즐홀더(52)의 기단측에 마련되고, 오리피스판(55) 및 오리피스중자(57)가 수납되어 있다. 수납부(84)는, 대경부(83)보다 제1 노즐홀더(52)의 선단측에 마련되고, 유로(77)와 연통하고, 오리피스판(55)의 돔형상 조리개부(95)(후술 참조)가 수납되어 있다.
제2 노즐홀더(54)는, 제1 노즐홀더(52)의 선단측의 외주부에 접속되는 접속부(90)와, 이 접속부(90)로부터 두 갈래로 분기하여 형성된 제1 분기유로(94) 및 제2 분기유로(96)를 갖는 분기부(92)를 구비하고 있다. 제2 노즐홀더(54)의 접속부(90)의 내주에는, 제1 환상계지부(86)의 무리하게 끼울 때에 제1 환상계지부(86)의 탄성변형을 촉진함과 함께, 무리하게 끼우기를 완료했을 때에, 제1 환상계지부(86)에 계합하기 위한, 직경방향 내측에 띠형상으로 일정 직경으로 돌출되는 제2 환상계지부(88)(도 4 및 도 5(b) 참조)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접속부(90)의 내주부에는, 제1 환상계지부(86)를 수용하기 위한, 제1 환상계지부(86)와 상보적인 형상을 갖는 테이퍼부(98)(도 5(b) 참조)가 형성되어 있다.
분기부(92)의 제1 분기유로(94) 및 제2 분기유로(96)는, 소정의 각도로 분기하고, 각각이 제1 노즐홀더(52)의 유로(77)에 연통되어 있다. 분기부(92)는, 그 선단측의 외주부에 노즐캡(61)의 암나사부(111)와 나합하는 숫나사부(69)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분기부(92)는, 정류중자(53)의 한 쌍의 제2 위치결정돌기부(93, 93)(후술 참조)를 삽입하는 위치결정구멍(81)(본 실시형태에서는 2개)이 형성되어 있다. 이 위치결정구멍(81)은, 한 쌍의 제2 위치결정돌기부(93, 93)를 삽입가능한 깊이, 또한, 감합가능한 직경으로 형성되어 있다. 분기부(92)의 선단측에는, 정류중자(53), O링(63), 선분판(59) 및 노즐캡(61)이 장착되어 있다.
정류중자(53)는, 대략 평판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제2 노즐홀더(54)의 분기부(92)의 선단측의 단면 상에 배치되어 있다(도 4 및 도 5(a) 참조). 이 정류중자(53)는, 안내유로(85)(도 5(a) 참조)를 구비하고, 하류측의 표면에 정류돌기부(87) 및 한 쌍의 제1 위치결정돌기부(89, 89)(도 5(a) 참조)가 형성되고, 상류측의 표면에 융기부(91) 및 한 쌍의 제2 위치결정돌기부(93, 93)(도 4 참조)가 형성되어 있다. 안내유로(85)는, 제1 분기유로(94) 및 제2 분기유로(96)를 흐르는 혼합유체를 선분판(59)의 슬릿(107)(후술 참조)으로 안내하는 것이며, 복수 형성되어 있다(본 실시형태에서는 2개). 정류돌기부(87)는, 정면에서 봤을 때 산형상, 즉, 선분판(59)의 슬릿(107)을 향하여 선단폭이 축소되는 돌기부이다(도 5(a) 참조). 이 정류돌기부(87)는, 상류측의 표면의 대략 중앙에 배치되고, 정류돌기부(87)의 벽면이 복수의 안내유로(85, 85)를 구성하는 벽면의 하류측에 배치되어 있다. 한 쌍의 제1 위치결정돌기부(89, 89)는, 선분판(59)의 줄기형상 조리개부(105)(후술 참조)를 향하여 연장되고, 평면에서 봤을 때 안내유로(85, 85) 및 정류돌기부(87)와 직렬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도 4 및 도 5(a) 참조). 융기부(91)는, 제1 분기유로(94) 및 제2 분기유로(96)에 대향하도록, 대략 중앙으로부터 제1 분기유로(94) 및 제2 분기유로(96)의 축방향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고, 안내유로(85, 85)와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도 5(a) 참조). 한 쌍의 제2 위치결정돌기부(93, 93)는, 대략 원기둥형상이며, 복수 형성되고(본 실시형태에서는 2개), 정류중자(53)의 상류측의 표면으로부터 제1 분기유로(94) 및 제2 분기유로(96)의 축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오리피스판(55)은, 돔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제1 노즐홀더(52)의 도입관(79)보다 상류에 위치하고, 제1 노즐홀더(52)의 대경부(83)에 마련되어 있다(도 4 참조). 이 오리피스판(55)은, 돔형상 조리개부(95)를 구비하고, 이 돔형상 조리개부(95)는, 수납부(84)에 수납되어 있다. 이 돔형상 조리개부(95)의 꼭대기부에는, 상류측으로부터 약액을 받아 수납부(84)내에 약액을 공급하는 핀홀(97)이 형성되어 있다.
오리피스중자(57)는, 대략 원판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오리피스판(55)보다 상류에 위치하고, 제1 노즐홀더(52)의 대경부(83)에 마련되어 있다(도 5(b) 참조). 이 오리피스중자(57)는, 외주면에 약액유로(99)(유로) 및 제1 돌기부(101)(도 4 참조)가 형성되고, 상류측의 표면에 제2 돌기부(103)가 형성되어 있다. 약액유로(99)는, 제1 노즐홀더(52)의 유로(77)의 연장방향축에 대하여 경사지도록 형성되고(도 4의 파선 참조), 둘레방향으로 180° 간극을 두고 마련되어 있다. 제1 돌기부(101)는, 외주의 일부로부터 직경방향 외측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고(도 4 참조), 오리피스중자(57)를 제1 노즐홀더(52)의 대경부(83)에 장착한 후, 오리피스중자(57)가 대경부(83)로부터 탈락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제2 돌기부(103)에는, 오리피스중자(57)를 분리할 때에, 사용자가 손가락을 걸기 위한 걸림부(103a)(도 4 및 도 5(b) 참조)가 형성되어 있다.
선분판(59)은, 대략 원판이며, 제2 노즐홀더(54)의 분기부(92)의 선단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 선분판(59)은, 줄기형상 조리개부(105)와, 슬릿(107)을 구비하고 있다. 줄기형상 조리개부(105)는, 하류측을 향하여 줄기형상으로 돌출되고, 정류중자(53)의 한 쌍의 제1 위치결정돌기부(89, 89)와 계합하는 계합부(105a)가 형성되어 있다. 슬릿(107)은, 줄기형상 조리개부(105)의 길이방향의 대략 중앙에 있어서, 줄기형상 조리개부(105)를 가로지르도록 하여, 줄기형상 조리개부(105)의 연장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적어도 줄기형상 조리개부(105)의 정점부분을 분단하는 태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노즐캡(61)은, 대략 원통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제2 노즐홀더(54)의 분기부(92)의 선단에 선분판(59)을 유지하는 것이다. 이 노즐캡(61)에는, 제1 분기유로(94) 및 제2 분기유로(96)를 흐르는 혼합유체의 압력에 의해, 선분판(59)이 노즐캡(61)으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선단측의 내주부로부터 직경방향 내측으로 연장하는 환상의 돌기부(109)가 형성되어 있다(도 4 및 도 5(a) 참조). 또한, 노즐캡(61)의 내주부에는, 제2 노즐홀더(54)의 숫나사부(69)에 나합하는 암나사부(111)가 형성되어 있다(도 3 및 도 4 참조). 또한, 제2 노즐홀더(54)의 선단측의 단면과 선분판(59)의 사이에, 또한, 정류중자(53)의 외주부를 둘러싸도록 하여 O링(63)이 배치되고, 이 O링(63)에 의해, 제2 노즐홀더(54)와 선분판(59)간의 액누설을 방지하고 있다.
연결구(65)는, 대략 원통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제1 노즐홀더(52)와 연결부재(33)를 연결시키는 것이다. 이 연결구(65)에는, 공급관(67)을 흐르는 약액의 압력에 의해, 제1 노즐홀더(52)가 연결구(65)로부터 빠지는 일이 없도록, 선단측의 내주부로부터 직경방향 내측으로 연장하여, 제1 노즐홀더(52)의 플랜지부(73)에 맞닿는 환상의 돌기부(113)가 형성되어 있다(도 4 참조). 또한, 연결구(65)의 내주부에는, 연결부재(33)의 숫나사부(45)(도 3 참조)에 나합하는 암나사부(115)가 형성되어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커버(1)를 장착한 분무노즐(3)에 있어서의 혼합유체의 흐름에 대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우선, 약액탱크(도시하지 않음) 등으로부터 공급되고, 공급관(67)을 흐르는 약액은, 연결부재(33)의 유로(35) 및 필터(37)를 통과한 후, 제1 노즐홀더(52)의 대경부(83)를 향하여 유입된다(도 5(b)의 화살표a 참조). 계속해서, 약액은, 오리피스중자(57)의 약액유로(99)를 통과하여, 오리피스판(55)의 돔형상 조리개부(95)내로 흐른다(도 4 및 도 5(b)의 화살표b 참조). 이때, 약액은, 약액유로(99)를 통과함으로써, 선회류가 되어, 돔형상 조리개부(95)내로 유입된다(도 4 및 도 5(b)의 화살표c 참조). 그리고, 약액이 오리피스판(55)의 핀홀(97)을 통과하고, 제1 노즐홀더(52)의 수납부(84)내에 유입된다. 이때, 약액은, 유로(77)와 수납부(84)의 연통위치에서, 도입관(79)으로부터 도입된 공기와 혼동되면서, 유로(77)에 흘러간다(도 4 및 도 5(b)의 화살표d 참조). 게다가, 핀홀(97)을 통과한 약액은, 선회류를 유지하면서 수납부(84)내에 유입되므로, 도입관(79)으로부터 수납부(84)에 도입되는 공기의 흐름이 안정되고, 분무노즐(3)로부터 분무되는 거품형상 입자의 입자경이나 그 분무패턴의 안정화에 기여하는 것이 된다.
그리고, 유로(77)를 흐르는 혼합유체는, 제2 노즐홀더(54)의 분기부(92)의 제1 분기유로(94) 및 제2 분기유로(96)에, 각각 분기하여 유입된다(도 4의 화살표e 참조). 그리고, 제1 분기유로(94) 및 제2 분기유로(96)를 각각 흐르는 혼합유체는, 정류중자(53)의 안내유로(85, 85)를 통과한다. 이때, 혼합유체가 정류중자(53)의 융기부(91)에 충돌함으로써, 혼합유체의 흐름방향이 변화되고, 안내유로(85, 85)로 유도된다(도 5(a)의 화살표f 참조). 그리고, 안내유로(85, 85)를 흐르는 혼합유체는, 정류돌기부(87)와 선분판(59)의 줄기형상 조리개부(105)의 간극을 통과하고(도 5(a)의 화살표g 참조), 슬릿(107)을 개재하여 2방향으로 분무된다(도 4 및 도 5(a)의 화살표h 참조). 여기서, 혼합유체의 분무압력을 적정압으로 조정함으로써(도 6(a)의 파선 참조), 선분판(59)의 슬릿(107)을 개재하여 분무된 혼합유체는, 커버 본체(11)의 쥘부채부(15)의 내면에 접촉하지 않고, 혼합유체가 커버(1)의 개구(21)로부터 외부에 분무된다.
한편,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분무노즐(3)로부터 혼합유체를 분무할 때, 혼합유체의 분무압력이 적정압보다 높을 때(도 6(b)의 파선 참조), 선분판(59)의 슬릿(107)을 개재하여 분무된 혼합유체는, 보다 광범위하게 분무되고, 커버 본체(11)의 쥘부채부(15)의 내면에 일부가 접촉하면서, 커버(1)의 개구(21)로부터 외부에 분무된다. 이 경우, 작업자는, 투명한 커버 본체(11)를 개재하여, 그 내부에 있어서의 혼합유체의 분무패턴을 확인하는 것이 가능해지며, 혼합유체의 분무압력을 적정압으로 조정하는 것을 촉진하게 된다.
상기 구성을 갖는 일실시형태의 분무노즐(3)의 커버(1) 및 분무노즐(3)에 따르면, 다음의 작용효과를 얻는 것이 가능해진다.
우선, 분무노즐(3)의 커버(1)에 있어서, 통형상의 커버 본체(11)에 의해, 분무노즐(3)이 덮이므로, 혼합유체가 분무노즐(3)의 선분판(59)으로부터 분무된 후, 선분판(59) 근방의 범위에서는 바람의 영향을 받지 않고, 혼합유체가 커버 본체(11)의 외부에 분사되게 된다. 또한, 이 커버 본체(11)는, 분무노즐(3)이 고정되는 장착부(17)를 구비하는 기단(11b)으로부터, 개구(21)가 형성된 선단(11a)을 향하여, 타원형상 단면을 유지하면서, 적어도 타원형상 단면의 길이방향으로 확경하는 쥘부채부(15)를 가짐으로써, 해당 형상의 커버(1)의 내부공간에 있어서, 상기 작용을 발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분무노즐(3)의 커버(1)에 있어서, 커버 본체(11)의 외면으로부터 커버 본체(11) 외측으로 세워지는 블레이드(13)를 구비하고, 이 블레이드(13)는, 쥘부채부(15)의 타원형상의 단면형의 장축CL을 따라, 장착부(17)를 사이에 두고 한 쌍 마련되어 있으므로, 바람이 커버 본체(11)의 타원형상 단면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에 맞는 경우, 기류는, 커버 본체(11)의 쥘부채부(15)를 넘을 때에, 커버 본체(11)의 외면으로부터 블레이드(13) 및 블레이드(13)의 복수의 리브(25)를 따라 흐르고, 블레이드(13)의 외연(13oe)을 넘어, 커버 본체(11) 및 블레이드(13)의 바람 하측으로 흐른다. 이때, 커버 본체(11) 및 블레이드(13)의 바람 하측에서는, 기류가 흐트러져 소용돌이형상을 이룬다(도 7(a) 참조). 이 소용돌이형상을 이룬 기류에 의해, 혼합유체의 미세한 입자가 커버 본체(11) 및 블레이드(13)측으로 되돌아가고, 혼합유체의 미세한 입자를 커버 본체(11) 및 블레이드(13)의 바람 하측의 근방에 머무르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나아가, 분무노즐(3)의 커버(1)에 있어서, 블레이드(13)의 외연(13oe)이, 커버 본체(11)의 선단으로부터 기단을 향하여, 쥘부채부(15)보다 급경사를 이루고, 커버 본체(11) 외측으로 세워지도록 형성함으로써, 커버 본체(11)의 기단측에서는 바람을 받는 면적이 증가한다. 그 결과, 블레이드(13)의 면적에 따라, 커버 본체(11) 및 블레이드(13)의 바람 하측에서 생기는 소용돌이형상의 기류의 영역이 넓어지고, 혼합유체의 미세한 입자를 커버 본체(11) 및 블레이드(13)측의 후방으로 되돌아가는 작용이 생기는 범위를 넓히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분무노즐(3)의 커버(1)에 있어서, 쥘부채부(15)가, 분무노즐(3)로부터 분무되는 혼합유체의 분무패턴에 대응한 쥘부채형상을 이룸으로써, 분무노즐(3)로부터 소정의 분무패턴으로 분무된 혼합유체가 커버 본체(11)의 내면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고, 혼합유체를 낭비없이 안정적으로 분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분무노즐(3)에 있어서, 상기 서술한 분무노즐(3)에 있어서의 혼합유체의 흐름에 의해, 선분판(59)의 슬릿(107)으로부터 분무된 액체는, 바람의 영향을 받기 쉬운 미세한 입자의 비율이나, 확산되기 어려운 입자경이 큰 입자의 비율을 줄이고, 분무에 적합한 입자로 분무노즐(3)의 외부에 분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분무노즐(3)에 있어서, 상기 서술한 오리피스중자(57)의 구성에 의해, 오리피스중자(57)의 약액유로(99)를 통과하는 약액이 선회류가 되므로, 오리피스판(55)의 핀홀(97)로부터 제1 노즐홀더(52)의 유로(77)로 흐르는 액체의 흐름이 정류되어, 유로(77)와 수납부(84)의 연통위치에 있어서의 약액과 공기의 혼합상태를 안정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분무노즐(3)의 커버(1)에 있어서, 블레이드(13)를 착탈가능하게 유지하는 유지부(19)를 구비함으로써, 필요에 따라, 파손, 형상변경 등에 대응하여, 블레이드(13)의 착탈이나 교환이 가능해진다.
또한, 분무노즐(3)의 커버(1)에 있어서, 커버 본체(11)는, 투명함으로 인해, 작업자가 커버 본체(11)의 내부를 시인하고, 분무된 혼합유체의 분무패턴을 확인할 수 있고, 분무압력에 따라, 작업자가 적당히 분무압력을 조정하는 것을 촉진하는 것이 된다.
한편, 일실시형태에 따른 분무노즐(3)의 커버(1)에 있어서, 커버 본체(11) 및 블레이드(13)는, 투명하나, 커버 본체(11)의 내부를 시인할 수 있는 범위내에서 투명도를 조정할 수도 있다.
또한, 분무노즐(3)의 커버(1)에 있어서, 작업자가 살포하는 범위를 변경하고자 했을 때에, 또는, 바람방향이 바뀌었을 때에, 커버(1)를 회전시킴으로써, 연결부재(33)에 의해 연결된 분무노즐(3)도 회전되고, 커버 본체(11) 및 블레이드(13)의 위치각도를 적당히 변경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일실시형태에 따른 분무노즐(3)의 커버(1)에 있어서, 블레이드(13)의 외연(13oe)은, 커버 본체(11)의 선단(11a)으로부터 기단(11b)을 향하여, 쥘부채부(15)보다 급경사를 이루고 있으나, 이 경사각도를 적당히 변경할 수도 있고, 보다 복잡한 다른 형상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일실시형태에 따른 분무노즐(3)의 커버(1)에 있어서, 블레이드(13)의 양면에는, 4개의 리브(25)가 형성되어 있으나, 리브(25)의 수를 적당히 변경할 수도 있고, 또한, 리브(25)를 구비하지 않는 블레이드(즉, 판형상의 블레이드)일 수도 있다.
또한, 일실시형태에 따른 분무노즐(3)의 커버(1)에 있어서, 블레이드(13)는, 쥘부채부(15)의 타원형상의 단면형의 장축CL을 따라, 장착부(17)를 사이에 두고, 유지부(19)에 착탈가능하게 한 쌍 마련되어 있으나, 블레이드(13)의 매수는, 적당히 변경할 수도 있다. 또한, 블레이드(13)는, 쥘부채부(15)에 대하여 수직으로 마련되어 있으나, 예를 들어 블레이드(13)가 바람 상측 또는 바람 하측으로 기울어지도록 마련할 수도 있고, 이 기울기각도를 적당히 변경할 수도 있다.
나아가, 도시의 예에서는, 커버(1)가 장착되는 분무노즐(3)은, 혼합유체를 2방향으로 분무하는 분무노즐(3)이나, 분무노즐의 분무구를 일두구(一頭口)로 하고, 혼합유체를 한방향으로 분무하는 것일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커버(1)가 장착된 분무노즐(3)에 의한 혼합유체의 입자의 살포상태를, 실험예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한편, 본 실험예의 조건으로서, 커버 본체(11)의 타원형상 단면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부터 풍속 2m의 바람을 맞히도록 한다. 또한, 혼합유체의 살포상태는, 고속도 카메라에 의해 촬영하는 것으로 하고, 기류의 유적선은, 1매당 1000매의 화상으로부터 구성한다.
그 결과, 커버 본체(11) 및 블레이드(13)의 바람 하측에 발생한 와류에 의해(도 7(a) 참조), 커버 본체(11) 및 블레이드(13)의 바람 하측으로 되돌아가고(도 7(b) 참조), 이 바람 하측에 혼합유체의 미세한 입자가 머무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바람의 영향을 받는 것에 의한 액체의 미세한 입자의 비산을 억제하는 것이 명백해졌다.
한편, 비교예로서, 종래의 커버(121)(구체적으로는, 블레이드 구비하지 않은 커버(121))가 장착된 분무노즐(3)에 의한 혼합유체의 입자의 살포상태를 확인하였다. 한편, 비교예의 조건은, 상기 서술한 실험예와 동일하다.
그 결과, 커버 본체(11) 및 블레이드(13)의 바람 하측에서는, 층류가 되어 있으므로(도 8(a) 참조), 혼합유체의 미세한 입자가 기류를 타고, 비산된다는 것이 확인되었다(도 8(b) 참조).
1: 커버
3: 분무노즐
11: 커버 본체
13: 블레이드
15: 쥘부채부
17: 장착부
21: 개구

Claims (7)

  1. 액체를 안개형상으로 분무하는 분무노즐의 커버로서,
    적어도 상기 분무노즐의 분사구의 주위를 덮는 통형상의 커버 본체와, 이 커버 본체의 외면으로부터 이 커버 본체외측으로 세워지는 블레이드를 구비하고,
    상기 커버 본체는, 상기 분무노즐이 고정된 장착부를 구비하는 기단으로부터, 개구가 형성된 선단을 향하여, 타원형상 단면을 유지하면서, 적어도 상기 타원형상 단면의 길이방향으로 확경하는 쥘부채부를 갖고,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쥘부채부의 타원형상의 단면형의 장축을 따라, 상기 장착부를 사이에 두고 한 쌍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무노즐의 커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의 외연은, 상기 커버 본체의 선단으로부터 기단을 향하여, 상기 쥘부채부보다 급경사를 이루고, 상기 커버 본체외측으로 세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무노즐의 커버.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쥘부채부는, 상기 장착부에 고정되는 상기 분무노즐로부터 분무되는 액체의 분무패턴에 대응한 쥘부채형상을 이루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무노즐의 커버.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분무노즐이, 기단으로부터 선단으로 연장하는 유로가 형성된 노즐홀더와, 이 노즐홀더의 선단측에 배치되고, 액체를 분사하는 슬릿이 형성된 선분판과, 상기 노즐홀더의 선단에 상기 선분판을 유지하는 노즐캡과, 상기 선분판과 상기 노즐홀더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유로로부터 액체를 받고, 상기 선분판의 상기 슬릿으로 안내하는 복수의 안내유로가 형성된 정류중자와, 상기 노즐홀더의 기단측에 배치되고, 액체를 상기 노즐홀더의 상기 유로에 공급하는 핀홀이 형성된 오리피스판과, 이 오리피스판보다 상기 노즐홀더의 기단측에 배치되고, 액체가 흐르는 유로가 형성된 오리피스중자를 구비하고,
    상기 선분판에는, 하류측을 향하여 줄기형상으로 돌출되는 줄기형상 조리개부가 형성되고, 이 줄기형상 조리개부를 가로지르는 태양으로 상기 슬릿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정류중자에는, 상기 선분판의 상기 슬릿을 향하여 선단폭이 축소되는 태양으로 정류돌기부가 형성되고, 또한, 이 정류돌기부를 구성하는 벽면이 상기 복수의 안내유로를 구성하는 벽면의 하류측에 배치되고,
    상기 오리피스판에는, 하류측을 향하여 돔형상으로 돌출되는 돔형상 조리개부가 형성되고, 이 돔형상 조리개부의 꼭대기부에 상기 핀홀이 형성되어 있는 분무노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무노즐의 커버.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홀더의 상기 유로는, 하류측에서 분기되어 있고, 분기한 각각의 상기 유로의 하류측에 상기 선분판과, 상기 노즐캡과, 상기 정류중자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무노즐의 커버.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쥘부채부에는, 상기 블레이드를 착탈가능하게 유지하는 유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무노즐의 커버.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본체는, 투명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무노즐의 커버.
KR1020190010569A 2018-01-29 2019-01-28 분무노즐의 커버 KR10263700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8012708 2018-01-29
JPJP-P-2018-012708 2018-01-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2295A true KR20190092295A (ko) 2019-08-07
KR102637000B1 KR102637000B1 (ko) 2024-02-16

Family

ID=675466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0569A KR102637000B1 (ko) 2018-01-29 2019-01-28 분무노즐의 커버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6775617B2 (ko)
KR (1) KR102637000B1 (ko)
TW (1) TWI79834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029142B2 (ja) * 2019-11-07 2022-03-03 日産化学株式会社 噴霧ノズルカバ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37967B1 (ko) 1969-06-20 1975-12-06
JPS5758448U (ko) * 1980-09-25 1982-04-06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44274U (ja) * 1984-08-25 1986-03-24 ヤマホ工業株式会社 除草機のノズルカバ−
JPS61132071U (ko) * 1985-02-05 1986-08-18
JPH1156201A (ja) * 1997-08-19 1999-03-02 Nikkei Kk 薬剤散布装置及びフード体
US6820821B2 (en) * 2001-04-13 2004-11-23 S.C. Johnson & Son, Inc. Automated cleansing sprayer
JP4346330B2 (ja) * 2003-03-19 2009-10-21 株式会社 マルナカ 広角除草用ノズル
CN2717527Y (zh) * 2003-06-03 2005-08-17 朱志明 一种除草剂专用喷头
JP4523484B2 (ja) * 2005-05-23 2010-08-11 株式会社丸山製作所 噴霧ノズル
JP5037967B2 (ja) * 2007-02-23 2012-10-03 株式会社丸山製作所 噴霧ノズル
JP5096773B2 (ja) * 2007-03-27 2012-12-12 独立行政法人農業・食品産業技術総合研究機構 二方向噴射ノズルを用いた液体噴霧方法および走行式噴霧装置
WO2009137835A2 (en) * 2008-05-09 2009-11-12 Fabian Santiago Overspray shield devices suitable for use with material application apparatus
US20150352583A1 (en) * 2014-06-08 2015-12-10 Ronald E. Anderson Shielded sprayer apparatus and method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37967B1 (ko) 1969-06-20 1975-12-06
JPS5758448U (ko) * 1980-09-25 1982-04-06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9130519A (ja) 2019-08-08
JP6775617B2 (ja) 2020-10-28
TW201940238A (zh) 2019-10-16
KR102637000B1 (ko) 2024-02-16
TWI798346B (zh) 2023-04-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87639B2 (en) Irrigation nozzle assembly and method
US9358559B2 (en) Spray gun
BRPI0512628B1 (pt) Conjunto de bocal de aspersão de líquido de indução de ar
KR20190092295A (ko) 분무노즐의 커버
JP2005059651A (ja) 車両用ウォッシャノズル及び車両用ウォッシャ装置
US20140042247A1 (en) Spray gun
JP4397608B2 (ja) 噴霧ノズル
US7584908B2 (en) Spray nozzle apparatus and method
JP4523484B2 (ja) 噴霧ノズル
JP6074719B2 (ja) シャワーヘッド
US6772967B1 (en) Misting nozzle
JP3935899B2 (ja) 液体循環式スプレーガン
JP6877288B2 (ja) 噴霧ノズル
JPS6212438Y2 (ko)
JP7502775B2 (ja) 噴霧ノズル
JP7104442B1 (ja) 噴霧ノズル
JP5198698B2 (ja) スプレーガンノズルアセンブリ・エアキャップ
CN211937474U (zh) 制雾装置、雾化装置和载具
JP3410972B2 (ja) 噴霧ノズル
JP2018167186A (ja) 散水部材
JP2002143266A (ja) 蒸気噴霧用ノズル体
JPH0410386B2 (ko)
JPH0410385B2 (ko)
WO2018123922A1 (ja) ノズル
CN117617588A (zh) 一种雾化器及电子雾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