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90179A - 웨어러블 자세유지 보조 장치 - Google Patents

웨어러블 자세유지 보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90179A
KR20190090179A KR1020180008709A KR20180008709A KR20190090179A KR 20190090179 A KR20190090179 A KR 20190090179A KR 1020180008709 A KR1020180008709 A KR 1020180008709A KR 20180008709 A KR20180008709 A KR 20180008709A KR 20190090179 A KR20190090179 A KR 201900901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air
support plate
spr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87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48931B1 (ko
Inventor
배경록
김용태
김유정
이재용
배규현
Original Assignee
(주)태림기연
재단법인 한국섬유기계융합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태림기연, 재단법인 한국섬유기계융합연구원 filed Critical (주)태림기연
Priority to KR10201800087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8931B1/ko
Publication of KR201900901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01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89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89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6/00Picking of fruits, vegetables, hops, or the like; Devices for shaking trees or shrubs
    • A01D46/24Devices for picking apples or like fruit
    • A01D46/243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manual picking, e.g. ladders, car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11/00Other hand implemen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nipulator (AREA)
  • Portable Outdoo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웨어러블 자세유지 보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 판형의 합성수지재로 형성됨과 아울러 양측 사이가 경사지게 후방으로 돌출되는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의 하부 양측에 양단이 각각 고정됨과 아울러 전방으로 연장되어 허리를 고정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버클과, 상기 지지판에 한 쌍이 서로 대칭 구비됨과 아울러 사용자의 양팔을 각각 넣어 어깨에 안착되도록 구비되며, 각각은 지지판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양단이 고정되는 어깨끈과, 상기 지지판의 양측에 사각의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지지판과 각각 결합 구비되며, 지지판에 비해 두껍게 형성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 하부 후방에 각각 연결 구비됨과 아울러 후방측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연결구와, 상기 연결구 외측에 각각 사각의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각각 연결구와 연결 구비됨과 아울러 각각은 전방 양측이 서로 이격되어 각각 전방으로 연장되는 힌지구를 갖는 한 쌍의 힌지축과, 상기 힌지축의 힌지구 사이에 각각 축 연결되어 축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각각은 전방이 전방측으로 경사지게 하향 연장됨과 아울러 연장된 내측에는 상부에서 하부로 관통됨과 아울러 전방으로 개방된 관통부가 형성되고, 관통부의 하부에는 상부측으로 내입되는 원통형의 고정홈이 형성되는 한 쌍의 회전체와, 상기 회전체의 고정홈에 전방이 끼움 구비되어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의 내측 및 관통부를 각각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관통됨과 아울러 전방 단부가 지지대의 외측 방향으로 각각 연장 절곡되는 한 쌍의 지지봉과, 상기 지지봉 각각의 후방에 나사 체결됨과 아울러 스프링의 후방을 지지하여 스프링의 장력을 조절하도록 구비되는 한 쌍의 장력조절구와, 상기 힌지축 한 쌍의 외측에 각각 평판형으로 형성되어 연결 구비되며, 전방에는 지지봉이 절곡 연장된 단부가 고정되는 고정판과, 상기 회전체의 후방에 각각 회전가능하도록 후방이 축 연결 구비됨과 아울러 전방으로 연장되는 각관 형상을 갖는 한 쌍의 연장대와, 상기 연장대의 상부 전방에 연결 구비됨과 아울러 사용자의 팔을 지지하도록 구비되는 한 쌍의 팔거치구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웨어러블 자세유지 보조 장치{WEARABLE APPARATUS FOR SUPPORT HOLDING POSTURE}
본 발명은 웨어러블 자세유지 보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농작물을 수확하거나 재배하기 위해 작업자가 팔을 들어올려 장시간 작업을 진행할 시에 팔과 어깨에 가해지는 부담을 경감할 수 있도록 하는 웨어러블 자세유지 보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기계화율이 낮은 작업, 예를 들어 산업 또는 농업환경에서 필수적으로 인력이 투입되어야만 하는 작업은 작업자세, 예를 들어 팔을 들어 올려 농작물을 수확하거나 높은 위치의 물건을 옮기는 등의 좋지 않은 자세로 반복적인 작업이 수행되기 때문에 근골격계 질환, 특히 어깨 및 관절 질환이 빈번하게 발생하게 된다.
이에 각종 의자나 지지대 등과 같이 사용자의 위치를 보조할 수 있는 보조장치를 두고 이를 통해 자세를 교정하기도 하나, 작업하는 장소마다 의자나 지지대 또는 사다리를 들고다니기에도 불편하고, 작업에 따라 높낮이가 달라지게 되므로 잘 사용하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의 기술로는 작업자가 리벳팅 작업을 수행할 때에 나타나는 하중 무게를 받쳐 주는 허리 고정대와, 상기 허리 고정대에 체결되며, 작업자의 신체의 길이에 맞게 종방향으로 길이 조절이 가능한 제1 지지대 및 횡방향으로 길이 조절이 가능한 제2 지지대를 포함하는 폴드 지지대 및 상기 폴드 지지대의 상부에 체결되며, 상기 리벳팅 작업을 수행할 때에 팔을 받쳐주는 받침부를 포함하고, 상기 받침부는, 상기 제1 지지대에 구성되며 상기 팔의 제1영역을 지지하는 제1 받침부 및 상기 제2 지지대에 구성되며 상기 팔의 제2 영역을 지지하는 제2 받침부로 구성되며, 상기 제1 받침부는, 상기 리벳팅 작업을 진행할 때 상기 팔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고정 밴드 및 상기 리벳팅 작업으로 발생되는 진동을 상기 폴드 지지대로 전달시키는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제1 지지대에 결합되는 가이드홀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술이 등록특허공보 제10-1310198호에서와 같이 공지된 바 있음과 아울러 또 다른 종래기술로는 사용자의 팔을 지지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사용자의 신체 상에 착용되도록 구성된 하니스, 상기 사용자의 팔을 지지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하니스에 결합된 팔 지지부로서, 상기 팔의 움직임에 부응하면서 상기 사용자의 팔의 상기 움직임을 실질적으로 방해하지 않고 상기 움직임을 따르도록 구성된 상기 팔 지지부 및 상기 사용자가 움직이고 상기 팔 지지부가 상기 사용자의 팔의 상기 움직임을 따를 때 상기 팔에 작용하는 중력힘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쇄할 상쇄 힘을 가하도록 상기 팔 지지부에 결합된 하나 이상의 보상 요소로서, 상기 팔 지지부의 배향에 기반하여 상기 상쇄 힘을 달리하는 힘 프로파일을 제공하는 상기 하나 이상의 보상 요소를 포함하는 기술이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96459호에서와 같이 공지된 바 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 중 등록특허공보 제10-1310198호에서는 팔을 일정한 높이로만 지지함으로 다양한 높이의 작업을 수행할 시에는 팔을 지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었으며,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96459호에서는 구성이 복잡하여 고장이 잦을 뿐만 아니라 제작 비용이 고가인 문제점이 있는 것이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한 웨어러블 자세유지 보조 장치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1. 등록특허공보 제10-1310198호 2.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96459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무게가 가벼워 착용상태에서도 자유로운 움직임이 가능하고 사용자의 자세유지를 보조할 수 있음과 아울러 구성이 간단하여 사용자의 탈부착이 쉽고, 제조 및 유지비용이 저렴한 웨어러블 자세유지 보조 장치를 제공하는데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판형의 합성수지재로 형성됨과 아울러 양측 사이가 경사지게 후방으로 돌출되는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의 하부 양측에 양단이 각각 고정됨과 아울러 전방으로 연장되어 허리를 고정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버클과, 상기 지지판에 한 쌍이 서로 대칭 구비됨과 아울러 사용자의 양팔을 각각 넣어 어깨에 안착되도록 구비되며, 각각은 지지판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양단이 고정되는 어깨끈과, 상기 지지판의 양측에 사각의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지지판과 각각 결합 구비되며, 지지판에 비해 두껍게 형성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 하부 후방에 각각 연결 구비됨과 아울러 후방측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연결구와, 상기 연결구 외측에 각각 사각의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각각 연결구와 연결 구비됨과 아울러 각각은 전방 양측이 서로 이격되어 각각 전방으로 연장되는 힌지구를 갖는 한 쌍의 힌지축과, 상기 힌지축의 힌지구 사이에 각각 축 연결되어 축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각각은 전방이 전방측으로 경사지게 하향 연장됨과 아울러 연장된 내측에는 상부에서 하부로 관통됨과 아울러 전방으로 개방된 관통부가 형성되고, 관통부의 하부에는 상부측으로 내입되는 원통형의 고정홈이 형성되는 한 쌍의 회전체와, 상기 회전체의 고정홈에 전방이 끼움 구비되어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의 내측 및 관통부를 각각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관통됨과 아울러 전방 단부가 지지대의 외측 방향으로 각각 연장 절곡되는 한 쌍의 지지봉과, 상기 지지봉 각각의 후방에 나사 체결됨과 아울러 스프링의 후방을 지지하여 스프링의 장력을 조절하도록 구비되는 한 쌍의 장력조절구와, 상기 힌지축 한 쌍의 외측에 각각 평판형으로 형성되어 연결 구비되며, 전방에는 지지봉이 절곡 연장된 단부가 고정되는 고정판과, 상기 회전체의 후방에 각각 회전가능하도록 후방이 축 연결 구비됨과 아울러 전방으로 연장되는 각관 형상을 갖는 한 쌍의 연장대와, 상기 연장대의 상부 전방에 연결 구비됨과 아울러 사용자의 팔을 지지하도록 구비되는 한 쌍의 팔거치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자세유지 보조 장치를 제공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한 웨어러블 자세유지 보조 장치는 무게가 가벼워 착용상태에서도 자유로운 움직임이 가능하고, 사용자의 자세유지를 보조할 수 있음과 아울러 구성이 간단하여 사용자의 탈부착이 쉽고, 제조 및 유지비용이 저렴한 이점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웨어러블 자세유지 보조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웨어러블 자세유지 보조 장치의 배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웨어러블 자세유지 보조 장치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웨어러블 자세유지 보조 장치의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웨어러블 자세유지 보조 장치의 일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에 의한 웨어러블 자세유지 보조 장치(2)는 판형의 합성수지재로 형성됨과 아울러 양측 사이가 경사지게 후방으로 돌출되는 지지판(10)과, 상기 지지판(10)의 하부 양측에 양단이 각각 고정됨과 아울러 전방으로 연장되어 허리를 고정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버클(12)과, 상기 지지판(10)에 한 쌍이 서로 대칭 구비됨과 아울러 사용자의 양팔을 각각 넣어 어깨에 안착되도록 구비되며, 각각은 지지판(10)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양단이 고정되는 어깨끈(14)과, 상기 지지판(10)의 양측에 사각의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지지판(10)과 각각 결합 구비되며, 지지판(10)에 비해 두껍게 형성되는 지지대(16)와, 상기 지지대(16) 하부 후방에 각각 연결 구비됨과 아울러 후방측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연결구(18)와, 상기 연결구(18) 외측에 각각 사각의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각각 연결구(18)와 연결 구비됨과 아울러 각각은 전방 양측이 서로 이격되어 각각 전방으로 연장되는 힌지구(20)를 갖는 한 쌍의 힌지축(22)과, 상기 힌지축(22)의 힌지구(20) 사이에 각각 축 연결되어 축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각각은 전방이 전방측으로 경사지게 하향 연장됨과 아울러 연장된 내측에는 상부에서 하부로 관통됨과 아울러 전방으로 개방된 관통부(24)가 형성되고, 관통부(24)의 하부에는 상부측으로 내입되는 원통형의 고정홈(26)이 형성되는 한 쌍의 회전체(28)와, 상기 회전체(28)의 고정홈(26)에 전방이 끼움 구비되어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30)과, 상기 스프링(30)의 내측 및 관통부(24)를 각각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관통됨과 아울러 전방 단부가 지지대(16)의 외측 방향으로 각각 연장 절곡되는 한 쌍의 지지봉(32)과, 상기 지지봉(32) 각각의 후방에 나사 체결됨과 아울러 스프링(30)의 후방을 지지하여 스프링(30)의 장력을 조절하도록 구비되는 한 쌍의 장력조절구(34)와, 상기 힌지축(22) 한 쌍의 외측에 각각 평판형으로 형성되어 연결 구비되며, 전방에는 지지봉(32)이 절곡 연장된 단부가 고정되는 고정판(36)과, 상기 회전체(28)의 후방에 각각 회전가능하도록 후방이 축 연결 구비됨과 아울러 전방으로 연장되는 각관 형상을 갖는 한 쌍의 연장대(38)와, 상기 연장대(38)의 상부 전방에 연결 구비됨과 아울러 사용자의 팔을 지지하도록 구비되는 한 쌍의 팔거치구(40)로 이루어진다.
먼저, 판형의 합성수지재로 형성됨과 아울러 양측 사이가 경사지게 후방으로 돌출되는 지지판(10)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지지판(10)의 전방에는 전방으로 돌출되는 다수개의 돌기(42)가 형성되어 사용자가 웨어러블 자세유지 보조장치(2)를 착용하고 작업을 할 시에 등에 땀이 차는 것이 방지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지지판(10)은 가벼운 합성수지재로 형성되어 사용자 신체에 가해지는 무게를 줄임이 바람직한 것이다.
상기 지지판(10)의 하부 양측에 양단이 각각 고정됨과 아울러 전방으로 연장되어 허리를 고정할 수 있도록 버클(12)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지지판(10)에 한 쌍이 서로 대칭 구비됨과 아울러 사용자의 양팔을 각각 넣어 어깨에 안착되도록 구비되며, 각각은 지지판(10)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양단이 고정되는 어깨끈(14)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버클(12) 및 어깨끈(14)은 사용자의 신체 조건에 따라 길이를 조절할 수 있게 형성 구비되는 것은 자명한 것이다.
상기 지지판(10)의 양측에 사각의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지지판(10)과 각각 결합 구비되며, 지지판(10)에 비해 두껍게 형성되는 지지대(16)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지지대(16)는 후술되는 연결구(18), 힌지축(22), 회전체(28), 연장대(38) 등으로부터 가해지는 힘을 버틸 수 있도록 금속재로 형성됨이 바람직한 것이다.
상기 지지대(16) 하부 후방에 각각 연결 구비됨과 아울러 후방측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연결구(18)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연결구(18)는 후술되는 힌지축(22)을 고정하기 위해 구비되는 것이다.
상기 연결구(18) 외측에 각각 사각의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각각 연결구(18)와 연결 구비됨과 아울러 각각은 전방 양측이 서로 이격되어 각각 전방으로 연장되는 힌지구(20)를 갖는 한 쌍의 힌지축(22)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힌지축(22)의 힌지구(20)는 후술되는 회전체(28)가 내입되어 축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힌지축(22)의 힌지구(20) 사이에 각각 축 연결되어 축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각각은 전방이 전방측으로 경사지게 하향 연장됨과 아울러 연장된 내측에는 상부에서 하부로 관통됨과 아울러 전방으로 개방된 관통부(24)가 형성되고, 관통부(24)의 하부에는 상부측으로 내입되는 원통형의 고정홈(26)이 형성되는 한 쌍의 회전체(28)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회전체(28)의 고정홈(26)은 후술되는 스프링(30)의 전방이 삽입됨과 아울러 이탈되지 않도록 형성되는 것이며, 관통부(24)는 후술되는 지지봉(32)이 관통부(24) 상에서 이탈되지 않고 슬라이딩되어 움직일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회전체(28)의 고정홈(26)에 전방이 끼움 구비되어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30)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스프링(30)은 회전체(28)에 탄성력을 제공하기 위해 구비되는 것이다.
상기 스프링(30)의 내측 및 관통부(24)를 각각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관통됨과 아울러 전방 단부가 지지대(16)의 외측 방향으로 각각 연장 절곡되는 한 쌍의 지지봉(32)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지지봉(32) 각각의 후방에 나사 체결됨과 아울러 스프링(30)의 후방을 지지하여 스프링(30)의 장력을 조절하도록 구비되는 한 쌍의 장력조절구(34)가 구비됨과 아울러 상기 힌지축(22) 한 쌍의 외측에 각각 평판형으로 형성되어 연결 구비되며, 전방에는 지지봉(32)이 절곡 연장된 단부가 고정되는 고정판(36)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지지봉(32)은 전방이 고정판(36)에 고정되며, 후방에는 장력조절구(34)가 구비됨으로써, 장력조절구(34)로 인해 스프링(30)의 탄성력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회전체(28)의 후방에 각각 회전가능하도록 후방이 축 연결 구비됨과 아울러 전방으로 연장되는 각관 형상을 갖는 한 쌍의 연장대(38)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연장대(38)는 회전체(28)에 축 연결 고정되어 양측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구비되는 것이며, 회전체(28)에 제공되는 스프링(30)의 장력으로 인해 사용자의 팔을 지지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연장대(38)의 상부 전방에 연결 구비됨과 아울러 사용자의 팔을 지지하도록 구비되는 한 쌍의 팔거치구(4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팔거치구(40)는 연질의 합성수지재로 형성됨과 아울러 양측이 상부측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며, 연장대(38)에 축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됨으로써 사용자의 팔이 팔거치구(40)에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지지대(10), 연결구(18), 힌지축(22), 회전체(28), 스프링(30), 지지봉(32), 장력조절구(34), 고정판(36) 및 연장대(38)는 금속재로 형성됨이 바람직한 것이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한 웨어러블 자세유지 보조 장치(2)는 무게가 가벼워 착용상태에서도 자유로운 움직임이 가능하고, 사용자의 자세유지를 보조할 수 있음과 아울러 구성이 간단하여 사용자의 탈부착이 쉽고, 제조 및 유지비용이 저렴한 이점이 있는 것이다.
2 : 웨어러블 자세유지 보조장치 10 : 지지판
12 : 버클 14 : 어깨끈
16 : 지지대 18 : 연결구
20 : 힌지구 22 : 힌지축
24 : 관통부 26 : 고정홈
28 : 회전체 30 : 스프링
32 : 지지봉 34 : 장력조절구
36 : 고정판 38 : 연장대
40 : 팔거치구 42 : 돌기

Claims (5)

  1. 판형의 합성수지재로 형성됨과 아울러 양측 사이가 경사지게 후방으로 돌출되는 지지판(10);
    상기 지지판(10)의 하부 양측에 양단이 각각 고정됨과 아울러 전방으로 연장되어 허리를 고정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버클(12);
    상기 지지판(10)에 한 쌍이 서로 대칭 구비됨과 아울러 사용자의 양팔을 각각 넣어 어깨에 안착되도록 구비되며, 각각은 지지판(10)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양단이 고정되는 어깨끈(14);
    상기 지지판(10)의 양측에 사각의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지지판(10)과 각각 결합 구비되며, 지지판(10)에 비해 두껍게 형성되는 지지대(16);
    상기 지지대(16) 하부 후방에 각각 연결 구비됨과 아울러 후방측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연결구(18);
    상기 연결구(18) 외측에 각각 사각의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각각 연결구(18)와 연결 구비됨과 아울러 각각은 전방 양측이 서로 이격되어 각각 전방으로 연장되는 힌지구(20)를 갖는 한 쌍의 힌지축(22);
    상기 힌지축(22)의 힌지구(20) 사이에 각각 축 연결되어 축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각각은 전방이 전방측으로 경사지게 하향 연장됨과 아울러 연장된 내측에는 상부에서 하부로 관통됨과 아울러 전방으로 개방된 관통부(24)가 형성되고, 관통부(24)의 하부에는 상부측으로 내입되는 원통형의 고정홈(26)이 형성되는 한 쌍의 회전체(28);
    상기 회전체(28)의 고정홈(26)에 전방이 끼움 구비되어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30);
    상기 스프링(30)의 내측 및 관통부(24)를 각각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관통됨과 아울러 전방 단부가 지지대(16)의 외측 방향으로 각각 연장 절곡되는 한 쌍의 지지봉(32);
    상기 지지봉(32) 각각의 후방에 나사 체결됨과 아울러 스프링(30)의 후방을 지지하여 스프링(30)의 장력을 조절하도록 구비되는 한 쌍의 장력조절구(34);
    상기 힌지축(22) 한 쌍의 외측에 각각 평판형으로 형성되어 연결 구비되며, 전방에는 지지봉(32)이 절곡 연장된 단부가 고정되는 고정판(36);
    상기 회전체(28)의 후방에 각각 회전가능하도록 후방이 축 연결 구비됨과 아울러 전방으로 연장되는 각관 형상을 갖는 한 쌍의 연장대(38);
    상기 연장대(38)의 상부 전방에 연결 구비됨과 아울러 사용자의 팔을 지지하도록 구비되는 한 쌍의 팔거치구(4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자세유지 보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10)의 전방에는 전방으로 돌출되는 다수개의 돌기(42)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자세유지 보조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팔거치구(40)는 연질의 합성수지재로 형성됨과 아울러 양측이 상부측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며, 연장대(38)에 축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자세유지 보조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클(12) 및 어깨끈(14)은 사용자에 따라 길이를 조절할 수 있게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자세유지 보조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10), 연결구(18), 힌지축(22), 회전체(28), 스프링(30), 지지봉(32), 장력조절구(34), 고정판(36) 및 연장대(38)는 금속재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자세유지 보조 장치.
KR1020180008709A 2018-01-24 2018-01-24 웨어러블 자세유지 보조 장치 KR1020489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8709A KR102048931B1 (ko) 2018-01-24 2018-01-24 웨어러블 자세유지 보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8709A KR102048931B1 (ko) 2018-01-24 2018-01-24 웨어러블 자세유지 보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0179A true KR20190090179A (ko) 2019-08-01
KR102048931B1 KR102048931B1 (ko) 2020-01-08

Family

ID=676158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8709A KR102048931B1 (ko) 2018-01-24 2018-01-24 웨어러블 자세유지 보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893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83956B2 (en) 2020-03-27 2024-01-30 Agency For Defense Development Wearable gravity compensation apparatus capable of multiple degrees of freedom of movement
KR102334392B1 (ko) * 2020-03-27 2021-12-02 국방과학연구소 다자유도 움직임이 가능한 착용형 중력 보상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0198B1 (ko) 2011-10-18 2013-09-24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리벳팅 작업용 보조대
KR20150018804A (ko) * 2012-08-08 2015-02-24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자세 유지구
KR20150096459A (ko) 2012-12-11 2015-08-24 레비테이트 테크놀로지스, 인코포레이티드 적응적 팔 지지 시스템 및 사용 방법
KR20170074814A (ko) * 2015-12-22 2017-06-30 엑소 바이오닉스, 인크. 외골격 및 착용자의 팔에 보조 토크를 제공하는 방법
KR20170118335A (ko) * 2016-04-15 2017-10-25 (주)태림기연 상부작업용 팔 받침용 보조기구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0198B1 (ko) 2011-10-18 2013-09-24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리벳팅 작업용 보조대
KR20150018804A (ko) * 2012-08-08 2015-02-24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자세 유지구
KR20150096459A (ko) 2012-12-11 2015-08-24 레비테이트 테크놀로지스, 인코포레이티드 적응적 팔 지지 시스템 및 사용 방법
KR20170074814A (ko) * 2015-12-22 2017-06-30 엑소 바이오닉스, 인크. 외골격 및 착용자의 팔에 보조 토크를 제공하는 방법
KR20170118335A (ko) * 2016-04-15 2017-10-25 (주)태림기연 상부작업용 팔 받침용 보조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8931B1 (ko) 2020-0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12527B1 (ko) 인간 팔 지지 외골격용 방법 및 장치
US11045342B2 (en) Adaptive arm support systems and methods for use
US20200323675A1 (en) Orthosis for correction of a varus/valgus malalignment
KR20150112591A (ko) 링크 조립체, 프레임 및 이를 포함하는 보행보조로봇
KR20150134770A (ko) 보행보조장치
KR890002691A (ko) 정밀작업용 광학기기
KR20190090179A (ko) 웨어러블 자세유지 보조 장치
CN108582042B (zh) 一种无动力助坐机械腿
WO2018191777A1 (en) Improved exoskeleton system for load carrying
KR102631409B1 (ko) 운동 보조 장치
JP2016052702A (ja) 上肢補助装置
KR20200101572A (ko) 착용식 근력 보조 장치
CN209474142U (zh) 按压式腰部支撑架
JP2721438B2 (ja) 腕の疲労軽減装置
KR101575998B1 (ko) 좌식 작업용 보조기구
JP2018033878A (ja) 姿勢保持装置
US20200121543A1 (en) Neck supporting exoskeleton
DE19545600C2 (de) Oberarmführung als Zubehör oder Aufrüstung für handelsübliche Arthritis-Gehstützen mit Unterarmauflage und senkrechtem Handgriff
KR101599670B1 (ko) 좌식 작업용 보조기구
KR20170118335A (ko) 상부작업용 팔 받침용 보조기구
CN215131028U (zh) 一种便于穿戴的儿童驼背矫正器
CN214259602U (zh) 一种自动调节式踝部支具
KR102516555B1 (ko) 근력보조장치
JP7196309B2 (ja) 頭上外骨格
CN109202860A (zh) 可穿戴的腿部支撑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