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9617A - 가스계 소화설비의 시험장치 및 시험방법 - Google Patents
가스계 소화설비의 시험장치 및 시험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90089617A KR20190089617A KR1020180008385A KR20180008385A KR20190089617A KR 20190089617 A KR20190089617 A KR 20190089617A KR 1020180008385 A KR1020180008385 A KR 1020180008385A KR 20180008385 A KR20180008385 A KR 20180008385A KR 20190089617 A KR20190089617 A KR 2019008961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as
- test
- valve
- container
- extinguish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50—Testing or indicating devices for determining the state of readiness of the equipment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36—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 A62C37/3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by both sensor and actuator, e.g. valve, being in the danger zone
- A62C37/4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by both sensor and actuator, e.g. valve, being in the danger zone with electric connection between sensor and actuator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7/00—Teaching read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스계 소화설비의 시험장치 및 시험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가스계 소화설비의 시험장치는, 소화가스용기와, 상기 소화가스용기를 개폐하는 제1 개폐밸브와, 상기 소화가스용기의 소화가스를 방호구역으로 방출시키는 분사관을 개폐하는 제2 개폐밸브와, 기동가스 공급관을 통해 상기 제2 개폐밸브와 상기 제1 개폐밸브에 기동가스를 공급하는 기동용기와, 상기 기동용기의 기동가스를 방출시키는 전자밸브와, 감지기에서 감지한 화재신호를 수신하여 화재경보를 발생시키고 상기 전자밸브로 소화신호를 송신하는 신호수신부를 포함하는 가스계 소화설비를 점검하는 가스계 소화설비의 시험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동가스 공급관에 연결되는 공급라인을 구비하여, 상기 제2 개폐밸브를 개폐하는 시험용 기동가스를 공급하는 시험가스 공급부와, 상기 공급라인 상에 구비되고, 상기 전자밸브와 연결되어 상기 신호수신부로부터 소화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공급라인을 개폐하는, 제1 제어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시험가스 공급부는, 상기 시험용 기동가스를 실제 소화설비의 작동조건에 기초한 압력으로 압축하여 공급한다.
상기 가스계 소화설비의 시험장치는, 소화가스용기와, 상기 소화가스용기를 개폐하는 제1 개폐밸브와, 상기 소화가스용기의 소화가스를 방호구역으로 방출시키는 분사관을 개폐하는 제2 개폐밸브와, 기동가스 공급관을 통해 상기 제2 개폐밸브와 상기 제1 개폐밸브에 기동가스를 공급하는 기동용기와, 상기 기동용기의 기동가스를 방출시키는 전자밸브와, 감지기에서 감지한 화재신호를 수신하여 화재경보를 발생시키고 상기 전자밸브로 소화신호를 송신하는 신호수신부를 포함하는 가스계 소화설비를 점검하는 가스계 소화설비의 시험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동가스 공급관에 연결되는 공급라인을 구비하여, 상기 제2 개폐밸브를 개폐하는 시험용 기동가스를 공급하는 시험가스 공급부와, 상기 공급라인 상에 구비되고, 상기 전자밸브와 연결되어 상기 신호수신부로부터 소화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공급라인을 개폐하는, 제1 제어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시험가스 공급부는, 상기 시험용 기동가스를 실제 소화설비의 작동조건에 기초한 압력으로 압축하여 공급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가스계 소화설비의 시험장치 및 시험방법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동작신뢰도와 안정성이 향상된 친환경 가스계 소화설비의 시험장치 및 시험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발전소, 변전소 공장 등에 설치된 가스계 소화설비는 정기적으로작동상태를 점검하며, 소화설비의 점검에는 작동기능점검, 종합정밀점검, 종합연동시험 등이 있다. 종합연동시험은 종합정밀점검 시 병행 시행하며, 감지기의 동작, 기동용 솔레노이드 밸브의 작동여부, 선택밸브의 작동여부, 니들밸브의 작동여부 등을 종합 점검한다.
종래 가스계 소방설비의 종합연동시험 시에, 방호구역으로 소화가스를 분사시키는 분사관을 개폐하는 선택밸브와 이산화탄소 기동용기를 분리한 후, 선택밸브에 공기압축기를 연결하고 압축공기를 방출하여 선택밸브를 작동시킴으로써 설비동작을 확인하고 있다.
그런데, 공기압축기에 의한 압축공기를 이용하는 경우, 기동용 이산화탄소 가스 압력(40~60㎏f/㎠)보다 압축공기의 압력(8~10㎏f/㎠)이 작아서, 시험조건이 실제 작동조건과 상이하여 정확한 기계적 동작특성 시험 및 성능 확인이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시험을 위한 기동가스로 이산화탄소(CO2)를 실제 작동조건으로 하여 시험하는 경우가 있으나, 이산화탄소를 이용한 작동 시험 시에 작업자의 질식사고의 우려가 있고, 온실가스가 대기중으로 대량 방출되는 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소화설비의 작동을 시험하는 종합연동시험 시에, 가스계 소화설비의 실제 작동환경을 구축하여 동작의 신뢰도를 높이면서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하는 시험장치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실제 화재 발생 시의 작동환경을 구축함으로써, 종합연동시험 시에 소화설비의 기계적인 동작특성과 성능을 정확하게 시험하여 소화설비의 동작신뢰도를 높이는 가스계 소화설비의 시험장치 및 시험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작업자의 안전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환경오염을 미연에 방지하는, 가스계 소화설비의 시험장치 및 시험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현장에서 간편하게 설치하고 여러 사업소의 소화설비에 반영구적으로 사용함으로써, 시험과정을 간소화하고 시험비용을 절감하는 가스계 소화설비의 시험장치 및 시험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가스계 소화설비의 시험장치는, 소화가스용기와, 상기 소화가스용기를 개폐하는 제1 개폐밸브와, 상기 소화가스용기의 소화가스를 방호구역으로 방출시키는 분사관을 개폐하는 제2 개폐밸브와, 기동가스 공급관을 통해 상기 제2 개폐밸브와 상기 제1 개폐밸브에 기동가스를 공급하는 기동용기와, 상기 기동용기의 기동가스를 방출시키는 전자밸브와, 감지기에서 감지한 화재신호를 수신하여 화재경보를 발생시키고 상기 전자밸브로 소화신호를 송신하는 신호수신부를 포함하는 가스계 소화설비를 점검하는 가스계 소화설비의 시험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동가스 공급관에 연결되는 공급라인을 구비하여, 상기 제2 개폐밸브를 개폐하는 시험용 기동가스를 공급하는 시험가스 공급부와, 상기 공급라인 상에 구비되고, 상기 전자밸브와 연결되어 상기 신호수신부로부터 소화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공급라인을 개폐하는, 제1 제어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시험가스 공급부는, 상기 시험용 기동가스를 실제 소화설비의 작동조건에 기초한 압력으로 압축하여 공급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스계 소화설비의 시험방법은 소화가스용기와, 상기 소화가스용기를 개폐하는 제1 개폐밸브와, 상기 소화가스용기의 소화가스를 방호구역으로 방출시키는 분사관을 개폐하는 제2 개폐밸브와, 기동가스 공급관을 통해 상기 제2 개폐밸브와 상기 제1 개폐밸브에 기동가스를 공급하는 기동용기와, 상기 기동용기의 기동가스를 방출시키는 전자밸브와, 감지기에서 감지한 화재신호를 수신하여 화재경보를 발생시키고 상기 전자밸브로 소화신호를 송신하는 신호수신부을 포함하는 가스계 소화설비를 시험하는 가스계 소화설비 시험방법에 있어서, 상기 기동가스 공급관과 상기 기동용기를 분리하고, 상기 기동가스 공급관에 시험가스 공급원과 연결된 공급라인을 연결하는, 시험장치설치단계와, 상기 신호수신부가 상기 전자밸브로 소화신호를 송신하면 상기 전자밸브와 연결된 제1 제어밸브가 상기 공급라인을 개방하여, 실제 소화설비의 작동조건을 기초한 압력으로 압축된 시험용 기동가스를 상기 제2 개폐밸브로 공급하는, 시험용 기동가스 공급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스계 소화설비의 시험장치를 이용하면, 질소가스를 시험용 기동가스로 공급하고 실제 화재 발생 시의 작동환경을 구축함으로써, 종합연동시험 시에 소화설비의 기계적인 동작특성과 성능을 정확하게 시험하여 소화설비의 동작신뢰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기동가스로 친환경의 질소가스를 공급함으로써 작업자의 안전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환경오염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시험장치는 기존의 소화설비의 각 부품과 연동되는 부품들을 키트 형태로 미리 제작하여, 현장에서 간편하게 설치하고 여러 사업소의 소화설비에 반영구적으로 사용함으로써, 시험과정을 간소화하고 시험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가스계 소화설비의 계통도이다.
도 2는 종래 소화설비의 시험 계통도이다.
도 3은 도 1의 소화설비에 본 발명에 따른 가스계 소화설비의 시험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계통도이다.
도 4는 도 3의 가스계 소화설비의 시험장치와 소화설비의 연결상태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가스계 소화설비의 시험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가스계 소화설비의 동작체계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가스계 소화설비의 시험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2는 종래 소화설비의 시험 계통도이다.
도 3은 도 1의 소화설비에 본 발명에 따른 가스계 소화설비의 시험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계통도이다.
도 4는 도 3의 가스계 소화설비의 시험장치와 소화설비의 연결상태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가스계 소화설비의 시험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가스계 소화설비의 동작체계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가스계 소화설비의 시험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인 가스계 소화설비의 시험장치 및 시험방법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시키기에 적합한 실시예들이다. 다만, 본 발명이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하여 적용되거나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가스계 소화설비의 시험장치(10)는, 가스계 소화설비(10)의 작동과 주요구성부품을 점검하는 장치이다.
도 1에는 피시험 대상인 가스계 소화설비(10)의 계통도가 도시된다.
가스계 소화설비(10)는, 소화가스가 저장되는 소화가스용기(20)와, 소화가스용기(20)를 개폐하는 제1 개폐밸브(23)를 포함한다. 소화가스용기(20)에서 방출된 소화가스는 주배관(21)을 통해 분사관(24)을 이동하여 방호구역으로 방출된다. 소화가스용기(20)와 주배관(21)을 연결하는 연결라인에는 체크밸브(22)가 구비되어 소화가스가 소화가스용기(20)에서 주배관(21)으로만 흐르도록 할 수 있다. 분사관(24)으로 이동한 소화가스는 각 구역에 설치된 방출구를 통해 방호구역으로 분사될 수 있다. 방호구역에는 화재를 감지하는 복수의 감지기(51)가 설치될 수 있다. 제1 개폐밸브(23)는 니들밸브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제2 개폐밸브(40)는 분사관(24)을 개방시켜서 주배관(21)과 연통시킬 수 있다. 제2 개폐밸브(40)는 기동가스를 공급받아 레버 회전에 의해 분사관(24)을 개방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개폐밸브(23)와 제2 개폐밸브(40)는 기동관(41)을 통해 연결되고, 제2 개폐밸브(40)는 공급된 기동가스에 의해 개방되어 기동가스 공급관(35)과 기동관(41)을 연통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개폐밸브(23)가 동작하여 소화가스용기(20)를 개방할 수 있다.
기동가스는 기동용기함(30)에 구비된 기동용기(31)로부터 기동가스 공급관(35)을 통해 제2 개폐밸브(40)로 공급될 수 있다. 기동용기함(30)에는 기동용기(31)와 전자밸브(32)와 회로(33)가 포함될 수 있다. 기동용기(31)에는 이산화탄소(CO2)가 적정압력(40~60㎏f/㎠)으로 수용되고, 회로(33)는 신호수신부(50)에서 수신한 소화신호를 통해 전자밸브(32)를 작동시킬 수 있다. 신호수신부(50)는 감지기(51)에서 감지한 화재신호를 수신하여 화재경보를 발생시키고 전자밸브(32)로 소화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도 2에는 종래 가스계 소화설비(10)의 시험 계통도가 도시된다.
종래 가스계 소화설비(10)의 시험은, 주배관(21)과 압축기(60)을 연결하여 압축공기를 시험용 소화가스로 공급한다. 또한, 상기 압축기(60)를 기동가스 공급관(35)과 연결하여 압축공기를 시험용 기동가스로 공급한다. 여기서 압축기 (60)와 주배관(21)은 압축기배관(61)으로 연결될 수 있고, 압축기배관(61)에서 분기된 압축기분기배관(62)을 통해 기동가스 공급관(35)에 압축공기가 공급될 수 있다.
그런데, 종래 방식에 의해 기동가스 공급관(35)에 시험용 기동가스를 공급하는 경우, 압축공기의 압력(예를 들어, 8~10㎏f/㎠)이 실제 작동조건에서의 기동가스의 압력(예를 들어, 40~60㎏f/㎠)과 상이하게 되어, 소화설비의 정확한 기계적 동작특성 및 성능을 확인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구체적으로, 종래 시험에서 압축기(60)는 이동의 편의성을 위해 휴대가 용이한 경량식 압축기를 이용하므로, 공기압축의 압력에 한계가 있다. 따라서 종래 시험에 사용되는 압축기(60)로는 실제 작동조건에서의 기동가스의 압력으로 압축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소화설비의 작동시험 과정에서 실제 기동용기(31)의 기동가스를 공급하는 방안이 고려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에 의할 경우 실제 기동가스인 이산화탄소가 온실가스가 되어 환경오염이 될 수 있고, 이산화탄소를 실제 작동압력(40~60㎏f/㎠)으로 공급하는 경우 작업자의 질식사고의 우려가 있다. 또한, 여러 변전소에서 작동시험을 위해 기동용기(31)를 설치하는 비용으로 인해 시험비용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동작신뢰도가 향상된 친환경 가스계 소화설비의 시험장치(10)를 제공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가스계 소화설비의 시험장치(10)는, 시험가스 공급부(200)와 제1 제어밸브(300)를 포함할 수 있다.
시험가스 공급부(200)는, 기동가스 공급관(35)에 연결되는 공급라인(220)을 구비하여, 제2 개폐밸브(40)를 개폐하는 시험용 기동가스를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시험가스 공급부(200)는 시험용 기동가스를 실제 소화설비의 작동조건에 기초한 압력으로 압축하여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제 소화설비에 사용되는 기동가스의 압력이 40~60㎏f/㎠인 경우, 시험가스 공급부(200)는 시험용 기동가스를 40~60㎏f/㎠로 압축한 후, 기동가스 공급관(35)으로 공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실제 화재발생 시의 소화설비의 동작환경을 구현하는 시험조건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적용되는 시험용 기동가스는 질소가스로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시험용 기동가스를 실제 기동가스의 압력으로 압축하여 공급하는 경우에도 작업자의 안전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온실가스 방출의 위험이 없는 친환경 시험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제1 제어밸브(300)는, 공급라인(220) 상에 구비되고, 전자밸브(32)와 연결되어 신호수신부(50)로부터 소화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공급라인(220)을 개폐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제어밸브(300)는, 기동용기함(30)에 구비된 전자밸브(32)와 병렬로 연결되어 전자밸브(32)를 통해 신호수신부(50)에서 출력된 화재신호를 수신하여 작동할 수 있다. 즉, 신호수신부(50)는 감지기(51)에서 감지한 화재신호를 수신하여 이를 일정시간 동안(일례로 약 30초) 알림동작을 하고, 기동용기함(30)의 회로(33)에 소화신호를 송신하여 전자밸브(32)를 작동시킬 수 있고, 제1 제어밸브(300)는 전자밸브(3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신호수신부(50)로부터 출력된 소화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전자밸브(32)와 제1 제어밸브(300)는 솔레노이드 밸브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을 이용하여 감지기(51)의 동작에 의한 기동용기함(30)의 전자밸브(32) 및, 전자밸브(32)와 연동되는 제1 개폐밸브(23) 및 제2 개폐밸브(40)의 작동상태를 점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가스계 소화설비의 시험장치(10)를 이용하면, 질소가스를 시험용 기동가스로 공급하고 실제 화재 발생 시의 작동환경을 구축함으로써, 종합연동시험 시에 소화설비의 기계적인 동작특성과 성능을 정확하게 시험하여 소화설비의 동작신뢰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기동가스로 친환경의 질소가스를 공급함으로써 작업자의 안전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환경오염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시험장치는 기존의 소화설비의 각 부품과 연동되는 부품들을 키트 형태로 미리 제작하여, 현장에서 간편하게 설치하고 여러 사업소의 소화설비에 반영구적으로 사용함으로써, 시험과정을 간소화하고 시험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4를 참조하면 시험가스 공급부(200)는, 축압용기(2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시험가스 공급부(200)는 제2 제어밸브(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시험가스 공급원(210)은 공급라인(220)과 연결되고 시험용 기동가스인 질소가스를 저장하는 저장탱크일 수 있다.
축압용기(230)는 시험가스 공급원(210)과 공급라인(220)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축압용기(230)는 시험가스 공급원(210)과 제1 제어밸브(300) 사이의 위치에서 공급라인(220)으로부터 분기된 분기라인(231)에 연결될 수 있고, 시험가스 공급원(210)에서 공급된 시험용 기동가스가 실제 소화설비의 작동조건에 기초한 압력으로 압축되어 저장될 수 있다.
제2 제어밸브(240)는 공급라인(220)과 분기라인(231)의 연결지점에 설치되고, 축압용기(230)를 시험가스 공급원(210)과 연결시키거나 축압용기(230)를 기동가스 공급관(35)과 연결시키도록 유로를 전환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제2 제어밸브(240)는, 시험가스 공급원(210)과 축압용기(230)를 연결시키는 제1 위치와, 축압용기(230)와 기동가스 공급관(35)을 연결시키는 제2 위치 간에 유로를 전환시킬 수 있다. 그리고 시험가스 공급부(200)는, 제1 위치에서 축압용기(230)에 기설정된 압력으로 시험용 기동가스가 충진되면 제2 제어밸브(240)를 제2 위치로 전환시킬 수 있다.
즉, 제1 위치가 되도록 제2 제어밸브(240)를 조작하여 시험가스 공급원(210)의 질소가스를 축압용기(230)에 압축하여 충진하고, 축압용기(230)에 충진된 가스의 압력이 실제 작동환경의 기동가스의 압력이 되면 제2 제어밸브(240)가 제2 위치가 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제어밸브(240)가 종합연동시험의 시험준비를 위한 위치가 되도록 할 수 있으며, 제1 제어밸브(300)에 의해 공급라인(220)이 개방되면, 기동가스 공급관(35)으로 적정압력의 시험용 기동가스를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감압밸브(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감압밸브(250)는, 시험가스 공급원(210)과 축압용기(230) 사이의 공급라인(220)에 구비되어, 축압용기(230)로 공급되는 시험용 기동가스의 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시험가스 공급원(210)과 축압용기(230) 사이의 공급라인(220)에는 압력계(262)와 볼밸브(261)를 구비하여, 공급라인(220)을 통해 공급되는 시험용 기동가스의 유량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볼밸브(261)는 시험 완료후 공급라인(220) 등에 남아있는 잔류압력을 시험장치 분리전에 배출시키는 안전장치의 역할을 겸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한 가스계 소화설비의 시험방법을 설명한다. 가스계 소화설비의 시험방법은 상기한 가스계 소화설비의 시험장치(10)(도 3 및 도 4 참조)를 이용한 방법으로써, 동일한 구성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스계 소화설비의 시험방법은, 시험장치 설치단계(S110)와 시험용 기동가스 공급단계(S130)를 포함할 수 있다.
시험장치 설치단계(S110)는, 기동가스 공급관(35)과 기동용기(31)를 분리하고(도 4의 S1 참조), 기동가스 공급관(35)에 시험가스 공급원(210)과 연결된 공급라인(220)을 연결할 수 있다. 이때 제1 개폐밸브(23)와 소화가스용기(20)를 분리할 수 있다(도 4의 S2 참조).
시험용 기동가스 공급단계(S130)는, 신호수신부(50)가 전자밸브(32)로 소화신호를 송신하면 전자밸브(32)와 연결된 제1 제어밸브(300)가 공급라인(220)을 개방하여, 실제 소화설비의 작동조건을 기초한 압력으로 압축된 시험용 기동가스를 제2 개폐밸브(40)로 공급할 수 있다.
여기서 시험용 기동가스 공급단계(S130)는 시험용 기동가스로 질소가스를 압축하여 공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가스계 소화설비의 시험방법은 소화설비와 연동되어 동작하고 하므로 실제 화재 발생 시의 작동환경을 구축함으로써, 소화설비의 기계적인 동작특성을 정확하게 시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기동가스로 친환경의 질소가스를 공급함으로써 작업자의 안전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환경오염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시험용 기동가스 공급단계(S130) 전에 소화가스 충진단계(S120)가 수행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소화가스 충진단계(S120)는, 시험용 기동가스 공급단계(S130)에서 기동가스를 방출하기 전에 수행될 수 있다.
소화가스 충진단계(S120)는, 제1 개폐밸브(23)와 소화가스용기(20)를 분리하고, 분사관(24)과 연통된 주배관(21)에 공기압축기(410)에서 압축된 시험용 소화가스를 충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공기압축기(410)는 주배관(21)에 압축기라인(410)을 통해 연결될 수 있고, 공기압축기(410)에서 압축된 공기를 소화용 소화가스로 공급할 수 있다. 이때 공기압축기(410)에서 압축된 시험용 소화가스는 약 10kgf/㎠정도의 압력으로 압축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압축기라인(410)에는 볼밸브(422)와 압력계(421)를 구비하여, 압축기라인(410)을 통해 유입되는 시험용 소화가스의 유량을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시험용 기동가스 공급단계(S130)는, 축압용기 충진단계(S131)와, 유로 전환단계(S133)와, 기동가스 방출단계(S135)를 포함할 수 있다.
축압용기 충진단계(S131)는, 공급라인(220)에서 분기된 분기라인(231)에 연결된 축압용기(230)에, 시험가스 공급원(210)에서 공급된 시험용 기동가스를 실제 소화설비의 작동조건에 기초한 압력으로 압축하여 충진할 수 있다. 이때 제2 제어밸브(240)는 제1 위치로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유로 전환단계(S133)는, 축압용기 충진단계(S131)가 완료된 후 기동가스 방출단계(S135) 전에, 제2 제어밸브(240)는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유로를 전환할 수 있다.
기동가스 방출단계(S135)는, 축압용기 충진단계(S131) 후에, 제1 제어밸브(300)가 공급라인(220)을 개방하면 축압용기(230)에 충진된 시험용 기동가스를 기동가스 공급관(35)을 통해 제2 개폐밸브(40)로 방출할 수 있다. 이때 시험용 기동가스가 실제 작동환경의 압력으로 공급되므로 제2 개폐밸브(40)의 실제 작동환경에서의 성능을 정확하게 실험할 수 있다. 또한, 기동가스 공급관(35)의 누기를 점검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개폐밸브(40)는, 기동가스가 공급되면 레버(미도시) 회전에 의해 분사관(24)을 개방시킴과 동시에, 제1 개폐밸브(23)를 작동시키도록 기동가스 공급관(35)으로부터 공급된 기동가스를 기동관(41)을 통해 제1 개폐밸브(23)로 이동시키는 선택밸브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가스계 소화설비의 시험방법은, 기동가스 방출단계(S135)가 수행되면 기동가스 이동단계(S140)와, 소화가스 방출단계(S150)가 수행될 수 있다.
기동가스 이동단계(S140)는, 기동가스 방출단계(S135)에서 시험용 기동가스가 제2 개폐밸브(40)로 방출되면, 제2 개폐밸브(40)와 제1 개폐밸브(23)를 연결하는 기동관(41)으로 시험용 기동가스가 이동할 수 있다.
기동가스 이동단계(S140)를 통해, 기동관(41)의 누가와 제1 개폐밸브(23)의 작동상태를 점검할 수 있다.
소화가스 방출단계(S150)는, 기동가스 방출단계(S135)에서 시험용 기동가스가 방출되어 제2 개폐밸브(40)가 개방되면, 주배관(21)에 충진된 시험용 소화가스가 분사관(24)을 통해 방호구역으로 방출될 수 있다.
소화가스 충진단계(S120)와 소화가스 방출단계(S150)를 통해 주배관(21)에 연결된 체크밸브(22)의 누기와 역류를 점검하여 체크밸브(22)의 설치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주배관(21)과 분사관(24) 및 방출구의 결함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소화가스 방출단계(S150)와 기동가스 이동단계(S140)를 통해 선택밸브로 제공되는 제2 개폐밸브(40)의 누기와 그리스 고착 여부를 점검할 수 있다. 또한, 공급되는 기동가스의 압력에 의해 제2 개폐밸브(40)가 오작동하여 오버런 현상이 발생하는지를 점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시험방법에서는 기존 가스계 소화설비(10)의 작동과 마찬가지로 기동가스 이동단계(S140)가 수행된 후 소화가스 방출단계(S150)가 수행될 수 있다. 즉, 기존의 가스계 소화설비(10)에서는, 기동가스가 기동관(41)으로 이동하여 제1 개폐밸브(23)(예를 들어 니들밸브)를 작동시킴으로써 소화가스용기(20)가 주배관(21)과 연통되어, 제2 개폐밸브(40)(예를 들어 선택밸브)에 의해 개방된 분사관(24)을 통해 소화가스가 방출될 수 있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가스계 소화설비(10)의 동작체계의 흐름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가스계 소화설비의 시험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여기서 도 7의 A는 본 발명에 따른 가스계 소화설비의 시험장치(10)를 가스계 소화설비(10)와 연동시켜서 종합연동시험을 수행할 수 있는 동작을 표기한 부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가스계 소화설비(10)는 감지기(51)의 동작에 의해 2 또는 3회로(33) 이상에서 화재를 감지한 후(도 6의 1단계), 신호수신부(50)에서 화재신호를 수신하고 기동용기함(30)의 전자밸브(32)로 소화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2단계). 이후 전자밸브(32)가 작동하여(3단계) 기동용기함(30)의 기동가스 방출되면(4단계) 기동용기함(30)의 선택밸브(제2 개폐밸브(40))가 개방되고(5단계), 기동관(41)으로 기동가스 이동하여(6단계) 니들밸브(제1 개폐밸브(23))를 동작시킬 수 있다(7단계).
이 후 소화가스용기(20)에서 소화가스가 방출되어(8단계), 주배관(21)과 분사관(24)으로 소화가스가 이동하고(9단계), 이동한 소화가스는 방출구를 통해 화재발생구역(방호구역)으로 방출되어 화재를 진압할 수 있다(10단계).
다음으로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가스계 소화설비의 시험방법의 동작체계를 설명한다. 도 6의 3단계에서 소화신호를 송신하면 전자밸브(32)와 제1 제어밸브(300)가 연동되게 작동하여 전자밸브(32)인 솔레노이드 밸브의 작동상태를 점검할 수 있다. 4단계에서 기동가스 대신 질소가스인 시험용 기동가스를 40~60kgf/㎠ 압력으로 방출함으로써 기동가스 공급관(35)의 누기를 점검할 수 있다. 그리고 5단계에서 선택밸브(40)의 작동을 확인하여 선택밸브(40)의 누기와 오버런 동작을 점검할 수 있다.
6단계에서 기동관(41)을 통해 시험용 기동가스가 이동함으로써 기동관(41)의 누기 등을 점검할 수 있고, 7단계에서 니들밸브의 동작과 소화가스용기(20)에 구비된 체크밸브(22)의 역류를 점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가스계 소화설비의 시험장치를 이용하면, 질소가스를 시험용 기동가스로 공급하고 실제 화재 발생 시의 작동환경을 구축함으로써, 종합연동시험 시에 소화설비의 기계적인 동작특성과 성능을 정확하게 시험하여 소화설비의 동작신뢰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기동가스로 친환경의 질소가스를 공급함으로써 작업자의 안전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환경오염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하였지만,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10: 가스계 소화설비
20: 소화가스용기
21: 주배관 22: 체크밸브
23: 제1 개폐밸브 24: 분사관
25: 방출구 30: 기동용기함
31: 기동용기 32: 전자밸브
33: 회로 35: 기동가스 공급관
40: 제2 개폐밸브 41: 기동관
50: 신호수신부 51: 감지기
60: 압축기 61: 압축기배관
62: 압축기분기배관
100: 가스계 소화설비의 시험장치 200: 시험가스 공급부
210: 시험가스 공급원 220: 공급라인
230: 축압용기 240: 제2 제어밸브
250: 감압밸브 300: 제1 제어밸브
400: 공기압축기 410: 압축기라인
21: 주배관 22: 체크밸브
23: 제1 개폐밸브 24: 분사관
25: 방출구 30: 기동용기함
31: 기동용기 32: 전자밸브
33: 회로 35: 기동가스 공급관
40: 제2 개폐밸브 41: 기동관
50: 신호수신부 51: 감지기
60: 압축기 61: 압축기배관
62: 압축기분기배관
100: 가스계 소화설비의 시험장치 200: 시험가스 공급부
210: 시험가스 공급원 220: 공급라인
230: 축압용기 240: 제2 제어밸브
250: 감압밸브 300: 제1 제어밸브
400: 공기압축기 410: 압축기라인
Claims (16)
- 소화가스용기와, 상기 소화가스용기를 개폐하는 제1 개폐밸브와, 상기 소화가스용기의 소화가스를 방호구역으로 방출시키는 분사관을 개폐하는 제2 개폐밸브와, 기동가스 공급관을 통해 상기 제2 개폐밸브와 상기 제1 개폐밸브에 기동가스를 공급하는 기동용기와, 상기 기동용기의 기동가스를 방출시키는 전자밸브와, 감지기에서 감지한 화재신호를 수신하여 화재경보를 발생시키고 상기 전자밸브로 소화신호를 송신하는 신호수신부를 포함하는 가스계 소화설비를 점검하는 가스계 소화설비의 시험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동가스 공급관에 연결되는 공급라인을 구비하여, 상기 제2 개폐밸브를 개폐하는 시험용 기동가스를 공급하는 시험가스 공급부; 및,
상기 공급라인 상에 구비되고, 상기 전자밸브와 연결되어 상기 신호수신부로부터 소화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공급라인을 개폐하는, 제1 제어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시험가스 공급부는, 상기 시험용 기동가스를 실제 소화설비의 작동조건에 기초한 압력으로 압축하여 공급하는, 가스계 소화설비의 시험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험용 기동가스는 질소가스로 제공되는, 가스계 소화설비의 시험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밸브는, 상기 전자밸브와 병렬로 연결되어 상기 전자밸브를 통해 상기 신호수신부에서 출력된 화재신호를 수신하여 작동하는, 가스계 소화설비의 시험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험가스 공급부는,
상기 공급라인으로 상기 시험용 기동가스를 공급하는 시험가스 공급원과 상기 제1 제어밸브 사이의 위치에서 상기 공급라인으로부터 분기된 분기라인에 연결되고, 상기 시험가스 공급원에서 공급된 시험용 기동가스가 실제 소화설비의 작동조건에 기초한 압력으로 압축되어 저장되는 축압용기를 더 포함하는, 가스계 소화설비의 시험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시험가스 공급부는, 상기 공급라인과 상기 분기라인의 연결지점에 설치되고, 상기 축압용기를 상기 시험가스 공급원과 연결시키거나 상기 축압용기를 상기 기동가스 공급관과 연결시키도록 유로를 전환하는 제2 제어밸브를 더 포함하는, 가스계 소화설비의 시험장치.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제어밸브는, 상기 시험가스 공급원과 상기 축압용기를 연결시키는 제1 위치와, 상기 축압용기와 상기 기동가스 공급관을 연결시키는 제2 위치 간에 유로를 전환시키고,
상기 시험가스 공급부는,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축압용기에 기설정된 압력으로 시험용 기동가스가 충진되면 상기 제2 제어밸브를 제2 위치로 전환시키는, 가스계 소화설비의 시험장치.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시험가스 공급원과 상기 축압용기 사이의 상기 공급라인에 구비되어, 상기 축압용기로 공급되는 시험용 기동가스의 압력을 조절하는 감압밸브를 더 포함하는, 가스계 소화설비의 시험장치. - 소화가스용기와, 상기 소화가스용기를 개폐하는 제1 개폐밸브와, 상기 소화가스용기의 소화가스를 방호구역으로 방출시키는 분사관을 개폐하는 제2 개폐밸브와, 기동가스 공급관을 통해 상기 제2 개폐밸브와 상기 제1 개폐밸브에 기동가스를 공급하는 기동용기와, 상기 기동용기의 기동가스를 방출시키는 전자밸브와, 감지기에서 감지한 화재신호를 수신하여 화재경보를 발생시키고 상기 전자밸브로 소화신호를 송신하는 신호수신부을 포함하는 가스계 소화설비를 시험하는 가스계 소화설비 시험방법에 있어서,
상기 기동가스 공급관과 상기 기동용기를 분리하고, 상기 기동가스 공급관에 시험가스 공급원과 연결된 공급라인을 연결하는, 시험장치 설치단계; 및,
상기 신호수신부가 상기 전자밸브로 소화신호를 송신하면 상기 전자밸브와 연결된 제1 제어밸브가 상기 공급라인을 개방하여, 실제 소화설비의 작동조건을 기초한 압력으로 압축된 시험용 기동가스를 상기 제2 개폐밸브로 공급하는, 시험용 기동가스 공급단계를 포함하는, 가스계 소화설비의 시험방법.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시험용 기동가스 공급단계는, 상기 시험용 기동가스로 질소가스를 압축하여 공급하는, 가스계 소화설비의 시험방법.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시험용 기동가스 공급단계는,
상기 공급라인에서 분기된 분기라인에 연결된 축압용기에, 상기 시험가스 공급원에서 공급된 시험용 기동가스를 실제 소화설비의 작동조건에 기초한 압력으로 압축하여 충진하는, 축압용기 충진단계; 및,
상기 축압용기 충진단계 후에, 상기 제1 제어밸브가 상기 공급라인을 개방하면 축압용기에 충진된 시험용 기동가스를 상기 기동가스 공급관을 통해 상기 제2 개폐밸브로 방출하는, 기동가스 방출단계를 포함하는, 가스계 소화설비의 시험방법.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라인과 상기 분기라인의 연결지점에 설치되고, 상기 시험가스 공급원과 상기 축압용기를 연결시키는 제1 위치와, 상기 축압용기와 상기 기동가스 공급관을 연결시키는 제2 위치 간에 유로를 전환시키는 제2 제어밸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축압용기 충진단계에서, 상기 제2 제어밸브는 상기 제1 위치로 유로를 형성하고,
상기 시험용 기동가스 공급단계는, 상기 축압용기 충진단계가 완료된 후 기동가스 방출단계 전에, 상기 제2 제어밸브는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유로를 전환하는 유로 전환단계를 더 포함하는, 가스계 소화설비의 시험방법.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기동가스 방출단계 전에,
상기 제1 개폐밸브(니들밸브)와 상기 소화가스용기를 분리하고, 상기 분사관과 연통된 주배관에 공기압축기에서 압축된 시험용 소화가스를 충진하는 소화가스 충진단계를 더 포함하는, 가스계 소화설비의 시험방법.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기동가스 방출단계에서 시험용 기동가스가 방출되어 상기 제2 개폐밸브가 개방되면, 상기 주배관에 충진된 시험용 소화가스를 상기 분사관을 통해 방출하는, 소화가스 방출단계를 더 포함하는, 가스계 소화설비의 시험방법.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계 소화설비는, 상기 소화가스용기와 상기 주배관을 연결하는 연결라인을 개폐하며, 상기 소화가스용기에서 상기 주배관으로만 소화가스가 이동하게 구비되는 체크밸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소화가스 충진단계는, 상기 시험용 소화가스를 상기 주배관에 충진하여 상기 체크밸브의 누기와 역류를 점검하는, 가스계 소화설비의 시험방법.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기동가스 방출단계에서 상기 시험용 기동가스가 상기 제2 개폐밸브로 방출되면, 상기 제2 개폐밸브와 상기 제1 개폐밸브를 연결하는 기동관으로 시험용 기동가스가 이동하는, 기동가스 이동단계를 더 포함하는, 가스계 소화설비의 시험방법.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개폐밸브는, 기동가스가 공급되면 레버 회전에 의해 상기 분사관을 개방시킴과 동시에, 상기 제1 개폐밸브를 작동시키도록 상기 기동가스 공급관으로부터 공급된 기동가스를 상기 기동관을 통해 상기 제1 개폐밸브로 이동시키는 선택밸브로 제공되고, 가스계 소화설비의 시험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08385A KR20190089617A (ko) | 2018-01-23 | 2018-01-23 | 가스계 소화설비의 시험장치 및 시험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08385A KR20190089617A (ko) | 2018-01-23 | 2018-01-23 | 가스계 소화설비의 시험장치 및 시험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89617A true KR20190089617A (ko) | 2019-07-31 |
Family
ID=674741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08385A KR20190089617A (ko) | 2018-01-23 | 2018-01-23 | 가스계 소화설비의 시험장치 및 시험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90089617A (ko) |
Cited B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0503871A (zh) * | 2019-08-08 | 2019-11-26 | 湖北三江航天江北机械工程有限公司 | Lng双用卸车增压撬的快速制造方法 |
CN111091735A (zh) * | 2019-12-31 | 2020-05-01 | 新兴际华应急装备技术有限公司 | 一种嵌入式真火模拟阀控实操装置 |
KR102176163B1 (ko) * | 2020-04-17 | 2020-11-10 | 한주케미칼 주식회사 | 자동 소화 시스템 |
KR20210147280A (ko) * | 2020-05-28 | 2021-12-07 | 한국전력공사 | 가스계 소화설비 점검장치 |
CN114115167A (zh) * | 2020-08-27 | 2022-03-01 | 郑州深澜动力科技有限公司 | 一种电池包灭火测试系统 |
KR20220115387A (ko) | 2021-02-10 | 2022-08-17 | 신성대학교 산학협력단 | 소방용 스프링클러 모의 시험 장치 및 그 방법 |
KR20230063982A (ko) * | 2021-11-01 | 2023-05-10 | 영도산업 주식회사 | 소방설비용 유체 제어 선택밸브 |
KR20230114533A (ko) * | 2022-01-25 | 2023-08-01 | 이종기 | 가스소화시스템용 일체형 t형 체크밸브 |
KR20240033344A (ko) | 2022-09-05 | 2024-03-12 | 주식회사 아산에스앤테크 | 소화기용 밸브의 시험장치 |
-
2018
- 2018-01-23 KR KR1020180008385A patent/KR20190089617A/ko unknown
Cited By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0503871A (zh) * | 2019-08-08 | 2019-11-26 | 湖北三江航天江北机械工程有限公司 | Lng双用卸车增压撬的快速制造方法 |
CN110503871B (zh) * | 2019-08-08 | 2021-08-10 | 湖北三江航天江北机械工程有限公司 | Lng双用卸车增压撬的快速制造方法 |
CN111091735A (zh) * | 2019-12-31 | 2020-05-01 | 新兴际华应急装备技术有限公司 | 一种嵌入式真火模拟阀控实操装置 |
KR102176163B1 (ko) * | 2020-04-17 | 2020-11-10 | 한주케미칼 주식회사 | 자동 소화 시스템 |
KR20210147280A (ko) * | 2020-05-28 | 2021-12-07 | 한국전력공사 | 가스계 소화설비 점검장치 |
CN114115167A (zh) * | 2020-08-27 | 2022-03-01 | 郑州深澜动力科技有限公司 | 一种电池包灭火测试系统 |
CN114115167B (zh) * | 2020-08-27 | 2024-03-26 | 郑州深澜动力科技有限公司 | 一种电池包灭火测试系统 |
KR20220115387A (ko) | 2021-02-10 | 2022-08-17 | 신성대학교 산학협력단 | 소방용 스프링클러 모의 시험 장치 및 그 방법 |
KR20230063982A (ko) * | 2021-11-01 | 2023-05-10 | 영도산업 주식회사 | 소방설비용 유체 제어 선택밸브 |
KR20230114533A (ko) * | 2022-01-25 | 2023-08-01 | 이종기 | 가스소화시스템용 일체형 t형 체크밸브 |
KR20240033344A (ko) | 2022-09-05 | 2024-03-12 | 주식회사 아산에스앤테크 | 소화기용 밸브의 시험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90089617A (ko) | 가스계 소화설비의 시험장치 및 시험방법 | |
CN215841362U (zh) | 水灭火设施,控制单元和火警和/或灭火控制中心 | |
CN109538936A (zh) | 配备有罐的装置 | |
US8453688B2 (en) | Kit and device for connecting and transferring fluid and the use of said device | |
CN106267659B (zh) | 一种备压式七氟丙烷灭火系统 | |
KR101036021B1 (ko) | 소방 설비의 기동장치 | |
RU2615973C1 (ru) | Установка газового пожаротушения с применением двуокиси углерода | |
CN113198130A (zh) | 一种计量注入式压缩空气泡沫的灭火系统及其使用方法 | |
CN102755709A (zh) | 酒店消防系统调试方法 | |
CN115123588A (zh) | 一种火箭地面加注控制系统及控制方法 | |
JP3571453B2 (ja) | ガス供給装置 | |
JP2013192583A (ja) | スプリンクラ消火設備 | |
KR101893591B1 (ko) | 내구성과 유지보수의 편의성을 향상시킨 압축공기포 소화장치 | |
CN115445123B (zh) | 一种具有驱动介质的灭火系统 | |
CN109630241B (zh) | 一种柴油机舷侧排气海水冷却控制方法及系统 | |
CN113864635B (zh) | 小型储罐供气方法及系统 | |
US10709918B2 (en) | Preaction sprinkler system operation booster | |
JP2011080599A (ja) | 水素ステーションの防災設備 | |
CN115414620A (zh) | 一种基于预作用系统的液氮灭火装置 | |
CN111596077B (zh) | 烟丝加料系统的料液喷淋检测方法 | |
JP3538232B2 (ja) | ガス供給装置 | |
JPH11333017A (ja) | セルフ給油所用消火設備 | |
KR200341163Y1 (ko) | 소화설비 원격 수동 조작 장치 | |
CN106893611B (zh) | 煤加压气化设备 | |
JP2014188309A5 (ko)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