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63982A - 소방설비용 유체 제어 선택밸브 - Google Patents

소방설비용 유체 제어 선택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63982A
KR20230063982A KR1020210147985A KR20210147985A KR20230063982A KR 20230063982 A KR20230063982 A KR 20230063982A KR 1020210147985 A KR1020210147985 A KR 1020210147985A KR 20210147985 A KR20210147985 A KR 20210147985A KR 20230063982 A KR20230063982 A KR 202300639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fire extinguishing
extinguishing agent
pressure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79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광호
안태웅
Original Assignee
영도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영도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영도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479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63982A/ko
Publication of KR202300639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398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8Details, e.g. of pipes or valve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9/00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 F16H19/02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 F16H19/04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comprising a rack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1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 F16K31/12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the fluid acting on a piston
    • F16K31/1225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the fluid acting on a piston with a plurality of pist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F16K31/53Mechanical actuating means with toothed gearing
    • F16K31/54Mechanical actuating means with toothed gearing with pinion and rack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5/00Plug valves; Taps or cocks comprising only cut-off apparatus having at least one of the sealing faces shaped as a more or less complete surface of a solid of revolution, the opening and closing movement being predominantly rotary
    • F16K5/06Plug valves; Taps or cocks comprising only cut-off apparatus having at least one of the sealing faces shaped as a more or less complete surface of a solid of revolution, the opening and closing movement being predominantly rotary with plugs having spherical surfaces; Packings therefor

Abstract

본 발명의 소화약제 제어 선택밸브는 소화약제가 통과하는 배관에 설치되고 유로가 형성되는 밸브바디와, 상기 밸브바디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유로를 개폐하는 볼 부재와, 상기 볼 부재와 액추에이터 사이를 연결하는 회전축과, 상기 밸브바디의 배관 입구측 내면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볼 부재의 일측 외면에 밀착되는 제1시트부재와, 상기 밸브바디의 배관 출구측 내면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볼 부재의 타측 외면에 밀착되는 제2시트부재와, 상기 볼 부재가 닫힘 동작일 때 배관 입구측으로 유입되는 소화약제의 압력을 제2시트부재로 제공하고 제2시트부재가 상기 볼 부재에 밀착되는 방향으로 소화약제의 압력이 작용하도록 하는 유압 작용부로 구성되어, 볼 부재의 소화약제의 압력이 작용하는 반대쪽면에 소화약제의 압력이 작용하도록 하여 볼 부재의 닫힘 동작시 볼 부재의 변형을 방지하고 시트부재의 변형 및 마모를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소방설비용 유체 제어 선택밸브{FLUID CONTROL VALVE FOR FIRE EXTINGUISHING EQUIPMENT}
본 발명은 소방설비에 설치되어 화재 발생시 소화약제를 용기에 저장된 소화 약제를 화재가 발생된 지역으로 공급하는 배관에 장착되어 배관을 자동 또는 수동으로 개폐하는 소방설비용 유체 제어 선택밸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방설비는 화재가 발생되면 화재가 발생된 지역으로 소화약제를 공급하여 화재를 진압하는 설비이고, 소방설비는 소화약제가 저장되는 소화약제 용기와, 소화약제 용기에 저장된 소화약제를 화재가 발생된 구역으로 공급하는 공급라인과, 공급라인을 개폐하는 개폐밸브와, 소화약제 용기를 개폐하는 용기 밸브 등이 구비된다.
이러한 개폐 밸브 중 한 종류로 볼 밸브가 사용되는데 볼 밸브는 소화약제가 통과하는 배관에 장착되고 유로가 형성되는 밸브 하우징과, 밸브 하우징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유로를 개폐하는 볼 부재와, 밸브 하우징의 내면과 볼 부재 사이의 기밀을 유지하기 위한 시트부재와, 볼 부재를 회전 구동하여 볼 부재를 작동시키는 액추에이터 또는 레버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볼 밸브는 닫힘 동작시 밸브 하우징의 입구측에서 작용하는 압력에 의해 볼 부재가 밸브 하우징의 출구측으로 밀리게 되고 출구측에 장착된 시트부재가 압력에 의해 변형되거나 마모가 발생되어 누수가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등록특허공보 10-1911719(2018년 10월 19일)
본 발명의 목적은 밸브의 닫힘 동작시 소화약제의 압력에 의해 밸브부재의 기밀을 유지하는 시트부재가 손상되거나 마모되어 누수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소방설비용 유체 제어 선택밸브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액추에이터와 용기 밸브에 제공되는 작동압이 설정된 압력으로 감압되어 공급되도록 하여 액추에이터와 용기 밸브가 작동압의 충격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소방설비용 유체 제어 선택밸브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소방설비용 유체 제어 선택밸브는 소화약제가 통과하는 배관에 설치되고 유로가 형성되는 밸브바디와, 상기 밸브바디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유로를 개폐하는 볼 부재와, 상기 볼 부재를 회전 구동하는 작동부와, 상기 밸브바디의 배관 입구측 내면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볼 부재의 일측 외면에 밀착되는 제1시트부재와, 상기 밸브바디의 배관 출구측 내면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볼 부재의 타측 외면에 밀착되는 제2시트부재와, 상기 볼 부재가 닫힘 동작일 때 배관 입구측으로 유입되는 소화약제의 압력을 제2시트부재로 제공하고 제2시트부재가 상기 볼 부재에 밀착되는 방향으로 소화약제의 압력이 작용하는 유압 제공부를 포함한다.
상기 밸브바디는 배관의 입구측에 밀봉 가능하게 연결되고 소화약제가 유입되는 입구부재와, 상기 배관의 출구측에 밀봉 가능하게 연결되고 소화약제가 배출되는 출구부재와, 상기 입구부재와 출구부재 사이에 장착되어 볼 부재가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입구부재의 내면 및 출구부재의 내면에는 제1시트부재 및 제2시트부재가 슬라이드 이동되는 슬라이드부가 형성된다.
상기 제2시트부재는 메탈재질로 형성되고 볼 부재와 접촉되는 전면에는 수지재질의 밀착부재가 장착되며, 후면에는 출구부재와의 사이에 스프링이 장착되어 제2시트부재가 볼 부재에 밀착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드부는 출구부재의 내면에 높이가 다르게 단차진 형태로 형성되는 제1슬라이드부와 제2슬라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슬라이드부와 제2시트부재 사이에는 기밀을 유지하는 제1시일링이 장착되고, 상기 제2슬라이드부와 제2시트부재 사이에는 기밀을 유지하는 제2시일링이 장착되며, 상기 제2시트부재에는 소화약제의 압력이 제공되는 챔버부가 형성되고, 상기 챔버부는 제1슬라이드부와 제2슬라이드부 사이에 형성되어 챔버부로 제공되는 소화약제의 압력이 누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유압 제공부는 입구부재에 장착되고 입구부재의 유입통로와 연통되는 인렛부재와, 출구부재에 장착되는 아웃렛 부재와, 상기 출구부재에 형성되어 아웃렛 부재와 챔버부 사이를 연통하는 연결 통로부와, 인렛부재와 아웃렛 부재 사이를 연결하는 바이패스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소방설비용 유체 제어 선택밸브는 배관의 입구측으로 작용하는 소화약제의 압력을 출구측 시트부재로 바이패스하여 출구측 시트부재에 작용하도록 하여 시트부재와 볼 부재 사이의 기밀 성능을 향상시켜 누수를 방지하고, 시트부재에 마모가 발생되더라도 시트부재와 볼 부재 사이의 기밀유지가 가능하여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방설비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압 제어 선택밸브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압 제어선택밸브의 밸브 유닛의 열림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압 제어선택밸브의 밸브 유닛의 닫힘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압 제어선택밸브의 시트부의 확대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압 제어선택밸브의 시트부재의 확대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압 제어선택밸브의 액추에이터 및 감압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압 제어선택밸브의 액추에이터 및 감압유닛의 작동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소방설비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화약제가 충진된 소화약제 용기(102)와, 소화약제 용기(102)에 연결되어 소화약제 용기(102)에 저장된 소화약제를 화재가 발생된 지역으로 공급하는 공급라인(104)과, 공급라인(104)에 설치되고 화재 발생시 공급라인(104)을 개방하는 유체 제어 선택밸브(20)를 포함한다.
소화약제 용기(102)의 입구부에는 소화약제 용기(102)를 개폐하고 소화약제를 공급하는 공급라인(104)과 소화약제를 충전하는 충전라인이 각각 연결되는 용기 밸브(106)가 장착된다. 여기에서 용기 밸브(106)는 작동압이 제공되면 개방되어 소화약제를 공급라인(104)으로 공급하는 구조를 갖는다.
유체 제어 선택밸브(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급라인(104)에 설치되어 공급라인(104)을 개폐하는 밸브유닛(110)와, 작동압이 제공되면 밸브유닛(110)를 작동시키는 액추에이터(30)와, 액추에이터(30) 및 용기 밸브(106)로 공급되는 작동압을 발생하는 작동압 공급부(112)와, 액추에이터(30)와 제1라인(114)으로 연결되고 용기 밸브(106)와 제2라인(116)으로 연결되며, 작동압 공급부(112)와 제3라인(118)으로 연결되어 작동압 공급부(112)에 제공되는 작동압을 설정된 압력으로 감압하여 액추에이터(30) 및 용기 밸브(106)에 공급하는 감압유닛(120)을 포함한다.
밸브유닛(110)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화약제가 통과하는 공급라인(104)에 설치되고 유로가 형성되는 밸브바디(10)와, 밸브바디(1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유로의 개폐 작용을 하는 개폐유닛(20)을 포함한다.
밸브바디(10)는 공급라인(104)의 입구측에 밀봉 가능하게 연결되고 소화약제가 유입되는 입구부재(12)와, 배관의 출구측에 밀봉 가능하게 연결되고 소화약제가 배출되는 출구부재(14)와, 입구부재(12)와 출구부재(14) 사이에 장착되어 밸브유닛(20)이 장착되는 연결부재(16)를 포함한다.
입구부재(12)는 소화약제가 유입되는 유입통로(42)가 형성되고 배관의 입구측에 볼트 체결되는 제1플랜지부(44)와, 연결부재(16)에 밀봉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2플랜지부(46)가 형성된다.
출구부재(14)는 소화약제가 배출되는 배출통로(52)가 형성되고 배관의 출구측에 볼트 체결되는 제3플랜지부(54)와, 연결부재(16)에 밀봉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4플랜지부(56)가 형성된다.
연결부재(16)는 원통형태이고, 그 양단이 입구부재(12) 및 출구부재(14)가 밀봉 가능하게 장착되고 밸브유닛(20)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공간을 확보한다.
밸브유닛(20)은 연결부재(16)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소화약제가 통과하는 통로부(24)가 관통되게 형성되는 구 형태의 볼 부재(22)와, 볼 부재(22)와 작동부(30) 사이에 연결되어 작동부(30)의 구동력을 볼 부재(22)로 전달하여 볼 부재(22)를 회전 구동하는 회전축(26)을 포함한다.
연결부재(16)에는 회전축(26)이 통과하고 회전축(26)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축 지지부(90)가 형성되고, 연결부재(16)의 상측에는 회전축(26)을 보호하는 커버부재(28)가 장착된다.
작동부(30)는 회전축(26)과 연결되어 회전축(26)을 자동으로 구동하는 액추에이터가 사용될 수 있고, 커버부재(28)에 위치되는 회전축(26)에 장착되어 회전축을 수동으로 조작하는 레버(100)가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액추에이터는 공압 또는 유압에 작동하거나 전기적인 신호에 의해 작동될 수 있다.
그리고, 입구부재(12)와 출구부재(14)의 내면에는 볼 부재(22)의 외면에 밀착되어 기밀 작용을 수행하는 시트부(60,62)가 장착된다.
시트부(60,62)는 원형 링 형태이고, 입구부재(12)의 내면에 장착되어 볼 부재(22)의 일측 외면에 밀착되는 제1시트부(60)와, 출구부재(14)의 내면에 장착되어 볼 부재(22)의 타측 외면에 밀착되는 제2시트부(62)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소화약제 제어밸브는 밸브가 닫힘 동작일 때 입구통로(42)로 유입되는 소화약제의 압력이 볼 부재(22)에 작용하게 되고 이에 따라 볼 부재(22)는 출구측 방향으로 항상 힘이 작용되게 되어 출구부재(14)에 장착되는 제2시트부(62)에 압력이 작용하게 되고 이에 따라 제2시트부(62)가 변형되거나 마모가 발생되어 기밀유지력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입구통로(42)로 유입되는 소화약제를 제2시트부(62)에 제공하여 제2시트부(62)에 소화약제의 압력이 작용하도록 하는 압력 작용부를 형성하여 시트부가 변형되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한다.
제2시트부(62)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구부재(14)의 내면에 형성되는 슬라이드부(80,82)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시트부재(70)와, 시트부재(70)와 출구부재(14)의 내면 사이에 설치되어 시트부재(70)가 볼 부재(22)에 밀착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74)을 포함한다. 그리고 시트부재(70)에는 슬라이드부(80,82) 사이와 기밀을 유지하기 위한 시일링(86,88)이 장착된다.
스프링(74)은 원형 링 형태인 시트부재의 둘레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복수로 설치될 수 있다.
시트부재(70)는 메탈 재질로 형성되고 시트부재(70)의 전면에 볼 부재(22)와 접촉되는 부분은 수지 재질의 기밀부재(72)가 장착되어 기밀 능력을 향상시킨다.
기존의 시트부재는 압력 100bar 이상의 고압력하에서는 테프론 재질의 시트부재와 같은 연질의 재질의 경우 밸브 닫힘 압력을 받은 후 열었을 때 시트부재의 변형으로 밸브를 다시 닫았을 때 기밀이 유지 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압력에 변형되지 않는 충분한 강도와 내구성을 갖는 메탈 재질의 시트부재가 적용하게 되었으며, 완벽한 밀봉을 위하여 메탈재질의 시트부재에 테프론 재질의 기밀부재(72)를 장착하여 시트부재의 변형을 방지하면서 밀봉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시트부재(70)의 기밀부재(72)에 직접 접촉 회전 구동되는 볼 부재(22)는 PVD 피막처리하여 표면 경도를 높여 습동중 마찰에 의한 내구성 약화를 방지하였으며, 윤활 작용이 있어 부드러운 개폐가 이뤄질 수 있도록 하였다.
시트부재(70)는 스프링(74)이 장착되고 유압이 작용하는 챔버부(76)가 형성되고, 슬라이드부(80,82)는 단차진 형태로 형성되는 제1슬라이드부(80)와 제2슬라이드부(82)로 구성된다. 그리고, 시트부재(70)에는 제1슬라이드부(80)에 슬라이드 이동되는 제1슬라이드면(92)과, 제2슬라이드부(82)에 슬라이드 이동되는 제2슬라이드면(94)이 형성된다.
시일링(86,88)은 제1슬라이드면(92)에 장착되고 제1슬라이드부에 밀착되어 기밀을 유지하는 제1시일링(86)과, 제2슬라이드면(94)에 장착되고 제2슬라이드부(82)에 밀착되어 기밀을 유지하는 제2시일링(88)을 포함한다.
챔버부(76)는 제1슬라이드면(92)과 제2슬라이드면(94) 사이에 형성되고 제1시일링(86) 및 제2시일링(88)에 의해 밀폐된 상태를 유지하여 챔버부(76) 내부로 제공되는 유압이 누설되는 것을 방지한다.
유압 작용부는 입구부재(12)에 장착되고 유입통로(42)와 연통되어 입구부재(12)의 소화약제가 유입되는 인렛 부재(32)와, 출구부재(14)에 장착되는 아웃렛 부재(34)와, 인렛 부재(32)와 아웃렛 부재(34) 사이를 연결하는 바이패스 관(36)과, 아웃렛 부재(34)와 챔버부(76) 사이를 연결하여 아웃렛 부재(34)를 통과한 소화약제를 챔버부(76)로 공급하는 연결유로(84)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유압 작용부는 볼 부재(22)가 닫힘 상태일 때 입구부재(12)의 유입통로(42)로 유입되는 소화약제가 바이패스 관(36)을 통해 출구부재(14)의 연결유로(84)를 통과하여 챔버부(76)에 공급된다. 그러면 출구부재(14)에 장착되는 시트부재(70)에 소화약제의 압력이 작용하여 시트부재(70)는 볼 부재(22)에 밀착되어 기밀 성능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시트부재(70)의 변형 및 마모를 줄일 수 있고 볼 부재(22)가 소화약제의 압력에 의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추에이터 및 감압유닛의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추에이터 및 감압유닛의 작동 상태도이다.
액추에이터(30)는 밸브바디(10)의 상측에 장착되고 내부에 작동압이 공급되는 챔버(132)가 형성되고 작동압이 제공되는 유입구(134)가 형성되는 하우징(130)과, 하우징(130) 내부에 직선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제1피스톤 부재(136) 및 제2피스톤 부재(138)와, 회전축(26)에 연결되어 같이 회전되는 피니언 기어(140)와, 피니언 기어(140)와 기어물림되고 제1피스톤 부재(136) 및 제2피스톤 부재(138)에 형성되는 제1랙 기어부(142) 및 제2랙 기어부(144)와, 제1피스톤 부재(136)의 후방에 배치되어 제1피스톤 부재(136)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1스프링(146)과, 제2피스톤 부재(138)의 후방에 배치되어 제2피스톤 부재(138)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2스프링(148)을 포함한다.
제1피스톤 부재(136)와 제2피스톤 부재(138)는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고 하우징(130)의 내면과의 사이에 시일링(150)이 장착된다. 그리고 제1랙 기어부(142)와 제2랙 기어부(144)는 각각 피니언 기어(140)의 좌우측에 수평하게 배치되어 서로 반대방향으로 직선 이동된다.
이와 같은 액추에이터의 작용을 살펴보면, 유입구(134)를 통해 작동압이 챔버(132) 내부로 공급되면 작동압의 미는 힘에 의해 제1피스톤 부재(136) 및 제2피스톤 부재(138)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직선 이동되고, 이에 따라 제1랙 기어부(142) 및 제2랙 기어부(144)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직선 이동되면 피니언 기어(140)가 회전되고 피니언 기어(140)가 연결된 회전축(26)이 회전되면서 볼 부재(22)가 회전되면서 통로를 개방하여 소화약제가 화재가 발생된 지역으로 공급되도록 한다.
감압유닛(120)은 바디부(160)와, 바디부(160)에 형성되고 유입구(134)와 제1라인(114)으로 연결되어 작동압을 액추에이터(30)의 챔버(132) 내부로 공급하는 제1포트부(162)와, 제1포트부(162)의 반대쪽 측면에 형성되고 작동압을 용기 밸브(106)로 공급하도록 용기 밸브(106)와 제2라인(116)으로 연결되는 제2포트부(164)와, 바디부(160)의 하부에 형성되어 작동압 공급부(112)와 제3라인(118)으로 연결되어 작동압 공급부(112)로부터 작동압이 공급되는 제3포트부(166)와, 바디부(160)의 내부에 장착되어 제3포트부(166)을 통해 유입되는 작동압을 설정된 압력으로 감압하여 제1포트부(162) 및 제2포트부(164)를 통해 배출하는 감압부를 포함한다.
제1라인(114)은 파이프 형태로 형성되어 파이프의 일단은 유입구(134)에 고정되고 타단은 제1포트부(162)에 고정되어 제1포트부(162)와 유입구(134) 사이를 연통시킴과 아울러 감압유닛(120)을 액추에이터(30)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제1포트부(162)와 제2포트부(164)는 바디부(160)의 양쪽 측면에 좌우방향으로 180도 간격으로 상호 마주보게 수평하게 형성되고, 제3포트부(166)는 바디부(160)의 하부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며, 제1포트부(162), 제2포트부(164) 및 제3포트부(166)는 서로 연통된다.
감압부는 바디부(160) 내부에 형성되고 제3포트부(166)가 상측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시트부(172)와, 하우징(160)의 상측에 수직방향으로 직선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시트부(172)에 밀착되어 시트부(172)를 개폐하는 플런저부(170)와, 플런저부(170)와 하우징(160) 사이에 설치되어 플런저부(170)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174)을 포함하고, 하우징(160) 내부는 플런저부(170)를 중심으로 하측에 제1챔버(182)가 형성되고 상측에 제2챔버(184)가 형성되어 제1챔버(182)와 제2챔버(184)의 압력차에 의해 플런저부(170)가 직선 이동되면서 작동압의 감압이 이루어진다.
플런저부(170)의 하면에는 시트부(172)에 밀착되는 밀착패드(176)가 장착된다.
제1포트부(162)와 제2포트부(164)는 제1챔버(182)와 연통되어 감압이 이루어진 작동압이 제1포트부(162)를 통해 액추에이터(30)로 공급됨과 아울러 제2포트부(164)를 통해 용기 밸브(106)로 공급되어 액추에이터(30)를 작동시킴과 아울러 용기 밸브(106)를 작동시킨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방설비용 밸브 어셈블리의 작용을 다음에서 설명한다.
화재가 발생되면, 제어유닛은 화재 감지부, 온도센서 또는 연기 감지기 등으로부터 인가되는 신호에 따라 화재가 발생된 것을 판단하여 작동압 공급부(112)를 제어한다. 작동압 공급부(112)는 제어유닛에서 인가되는 신호에 의해 작동되어 작동압을 제3라인(118)을 통해 감압유닛(120)의 제3포트부(166)로 유입한다.
감압유닛(120)의 하우징(160) 내부로 공급된 작동압은 감압부의 작용에 따라 설정된 압력으로 감압이 이루어진 후 제1포트부(162)를 통해 액추에이터(30)로 공급되어 액추에이터(30)를 작동시키고 제2포트부(164)를 통해 용기 밸브(106)로 공급되어 용기 밸브(106)를 작동한다.
그러면 용기 밸브(106)의 개방에 따라 소화약제 용기(102)에 저장된 소화약제가 공급라인(104)을 통해 화재가 발생된 지역으로 공급되어 소화작용을 수행한다. 이때, 제1포트부(162)로 배출되는 작동압은 액추에이터(30)로 공급되어 액추에이터(30)를 작동시키고 밸브유닛(110)이 작동되어 공급라인(14)이 개방되어 원하는 지역으로 소화약제가 공급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10: 밸브바디 12: 입구부재
14: 출구부재 16: 연결부재
22: 볼 부재 26: 회전축
30: 작동부 32: 인렛 부재
34: 아웃렉 부재 36: 바이패스 관
70: 시트부재 74: 스프링
76: 챔버부 84: 연결유로

Claims (11)

  1. 소화약제가 충진된 소화약제 용기;
    상기 소화약제 용기의 입구부에 장착되어 개폐작용을 수행하는 용기 밸브;
    상기 용기 밸브에 연결되어 소화약제를 화재가 발생된 지역으로 공급하는 공급라인; 및
    상기 공급라인에 설치되고 화재 발생시 공급라인을 개방함과 아울러 용기 밸브를 개방하는 유체 제어 선택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유체 제어 선택밸브는 상기 공급라인에 설치되어 공급라인을 개폐하는 밸브유닛와, 작동압이 제공되면 밸브부를 작동시키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밸브유닛은 소화약제가 통과하는 공급라인에 설치되고 유로가 형성되는 밸브바디;
    상기 밸브바디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유로를 개폐하는 볼 부재;
    상기 볼 부재를 회전 구동하도록 액추에이터와 볼 부재 사이를 연결하는 회전축;
    상기 밸브바디의 배관 입구측 내면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볼 부재의 일측 외면에 밀착되는 제1시트부재;
    상기 밸브바디의 배관 출구측 내면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볼 부재의 타측 외면에 밀착되는 제2시트부재; 및
    상기 볼 부재가 닫힘 동작일 때 배관 입구측으로 유입되는 소화약제의 압력을 제2시트부재로 제공하고 제2시트부재가 상기 볼 부재에 밀착되는 방향으로 소화약제의 압력이 작용하도록 하는 유압 작용부를 포함하는 소방설비용 유체 제어 선택밸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바디는 배관의 입구측에 밀봉 가능하게 연결되고 소화약제가 유입되는 입구부재; 상기 배관의 출구측에 밀봉 가능하게 연결되고 소화약제가 배출되는 출구부재; 및 상기 입구부재와 출구부재 사이에 장착되어 볼 부재가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입구부재의 내면 및 출구부재의 내면에는 제1시트부재 및 제2시트부재가 슬라이드 이동되는 슬라이드부가 형성되는 소방설비용 유체 제어 선택밸브.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시트부재는 메탈재질로 형성되고 볼 부재와 접촉되는 전면에는 수지재질의 밀착부재가 장착되며, 후면에는 출구부재와의 사이에 스프링이 장착되어 제2시트부재가 볼 부재에 밀착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이 제공되는 소방설비용 유체 제어 선택밸브.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부는 출구부재의 내면에 높이가 다르게 단차진 형태로 형성되는 제1슬라이드부와 제2슬라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시트부재는 상기 제1슬라이드부에 슬라이드 이동되는 제1슬라이드면과, 상기 제2슬라이드부에 슬라이드 이동되는 제2슬라이드면이 형성되며,
    상기 시일링은 제1슬라이드면에 장착되고 제1슬라이드부에 밀착되어 기밀을 유지하는 제1시일링과, 제2슬라이드면에 장착되고 제2슬라이드부에 밀착되어 기밀을 유지하는 제2시일링을 포함하는 소방설비용 유체 제어 선택밸브.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시트부재에는 소화약제의 압력이 제공되는 챔버부가 형성되고, 상기 챔버부는 제1슬라이드면과 제2슬라이드면 사이에 형성되어 챔버부로 제공되는 소화약제의 압력이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챔버부 내부에는 스프링이 장착되는 소방설비용 유체 제어 선택밸브.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 작용부는 입구부재에 장착되고 입구부재의 유입통로와 연통되는 인렛 부재와, 출구부재에 장착되는 아웃렛 부재와, 상기 출구부재에 형성되어 아웃렛 부재와 챔버부 사이를 연통하는 연결 통로와, 인렛 부재와 아웃렛 부재 사이를 연결하는 바이패스관을 포함하는 소방설비용 유체 제어 선택밸브.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 및 용기 밸브를 작동시키는 작동압을 제공하는 작동압 공급부와, 상기 액추에이터와 제1라인으로 연결되고 상기 용기 밸브와 제2라인으로 연결되며, 상기 작동압 공급부와 제3라인으로 연결되어 작동압 공급부에서 공급되는 작동압을 설정된 압력으로 감압하여 제1라인 및 제2라인으로 배출하는 감압유닛을 더 포함하는 소방설비용 유체 제어 선택밸브.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는 상기 밸브바디의 상측에 장착되고 내부에 작동압이 공급되는 챔버가 형성되며 작동압이 제공되는 유입구가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직선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서로 마주보게 위치되어 상기 챔버 내부로 작동압이 제공되면 직선 이동되는 제1피스톤 부재 및 제2피스톤 부재;
    상기 회전축에 연결되어 같이 회전되는 피니언 기어;
    상기 피니언 기어와 기어물림되고 제1피스톤 부재 및 제2피스톤 부재에 형성되는 제1랙 기어부 및 제2랙 기어부;
    상기 제1피스톤 부재 및 제2피스톤 부재의 후방에 배치되어 제1피스톤 부재 및 제2피스톤 부재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1스프링 및 제2스프링을 포함하는 소방설비용 유체 제어 선택밸브.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감압유닛은 바디부;
    상기 바디부의 일측면에 형성되고 액추에이터의 유입구와 제1라인으로 연결되는 제1포트부;
    상기 제1포트부의 타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용기 밸브와 제2라인으로 연결되는 제2포트부;
    상기 바디부의 하부에 형성되어 작동압 공급부와 제3라인으로 연결되는 제3포트부; 및
    상기 바디부의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제3포트부을 통해 유입되는 작동압을 설정된 압력으로 감압하여 제1포트부 및 제2포트부를 통해 배출하는 감압부를 포함하는 소방설비용 유체 제어 선택밸브.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포트부와 제2포트부는 상기 바디부의 양쪽 측면에 좌우방향으로 180도 간격으로 상호 마주보게 수평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3포트부는 상기 바디부의 하부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며, 제1포트부, 제2포트부 및 제3포트부는 서로 연통되는 소방설비용 유체 제어 선택밸브.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감압부는 상기 바디부 내부에 형성되고 제3포트부가 상측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시트부;
    상기 하우징의 상측에 수직방향으로 직선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시트부에 밀착되어 시트부를 개폐하는 플런저부; 및
    상기 플런저부와 하우징 사이에 설치되어 플런저부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 내부는 플런저부를 중심으로 하측에 제1챔버가 형성되고 상측에 제2챔버가 형성되어 제1챔버와 제2챔버의 압력차에 의해 플런저부가 직선 이동되면서 작동압의 감압이 이루어지는 소방설비용 유체 제어 선택밸브.
KR1020210147985A 2021-11-01 2021-11-01 소방설비용 유체 제어 선택밸브 KR2023006398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7985A KR20230063982A (ko) 2021-11-01 2021-11-01 소방설비용 유체 제어 선택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7985A KR20230063982A (ko) 2021-11-01 2021-11-01 소방설비용 유체 제어 선택밸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3982A true KR20230063982A (ko) 2023-05-10

Family

ID=863865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7985A KR20230063982A (ko) 2021-11-01 2021-11-01 소방설비용 유체 제어 선택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63982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1719B1 (ko) 2018-05-02 2018-10-25 전중기 자동 간극 보상 배관개폐밸브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1719B1 (ko) 2018-05-02 2018-10-25 전중기 자동 간극 보상 배관개폐밸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08976A (en) Breathing protective apparatus with inhalation and exhalation regulator
JP3837391B2 (ja) ゲートバルブ
WO2018236223A2 (en) VALVE SEALING DEVICE
CA2514607A1 (en) Control valve
US3070924A (en) Remote control system for fluid actuated mechanism
US2391278A (en) High pressure shutoff valve
US4877049A (en) Pneumatic, water leakage safety device for washing machines
WO2016205105A1 (en) Ball valve tertiary seal assembly and method
KR102422682B1 (ko) 급속 개방 고온 구면 밀봉 차단 밸브의 급속 개방 기구
KR20230063982A (ko) 소방설비용 유체 제어 선택밸브
JP2007139010A (ja) ボールバルブ
KR101438427B1 (ko) 밸브 시스템
JP4822675B2 (ja) 統合圧力逃し弁を備えるマニホルド
EP2770236B1 (en) Butterfly valve
GB2340917A (en) Valve with metal to metal sealing
KR100305139B1 (ko) 오프셋관통덕트를구비한볼밸브
US1128228A (en) Hydraulic valve.
US3643912A (en) Dynamic shutoff valve
CN114288599B (zh) 紧凑的快开阀和灭火系统
US3738430A (en) System and method of fluid flow control utilizing a dynamic shutoff valve
KR200421459Y1 (ko) 자동소화기용 씨오투 실린더밸브
JP5658213B2 (ja) 遮断弁
KR102250883B1 (ko) 프리액션 밸브용 클래퍼 및 이를 포함하는 프리액션 밸브
CN110848444A (zh) 阀芯组件和安全阀
KR20040040807A (ko) 스톱밸브용 세라믹 디스크형 개폐카트리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