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8887A -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8887A
KR20190088887A KR1020190004731A KR20190004731A KR20190088887A KR 20190088887 A KR20190088887 A KR 20190088887A KR 1020190004731 A KR1020190004731 A KR 1020190004731A KR 20190004731 A KR20190004731 A KR 20190004731A KR 20190088887 A KR20190088887 A KR 201900888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unting surface
connector
fixed
contacts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47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사토루 와타나베
료 나에무라
Original Assignee
니혼앗짜쿠단시세이소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앗짜쿠단시세이소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앗짜쿠단시세이소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888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888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5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5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 H01R12/57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surface mounting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005Guiding, mounting, polarizing or locking means; Extractors
    • H01R12/7011Locking or fixing a connector to a PCB
    • H01R12/707Soldering or wel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9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1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 H01R4/1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Abstract

회로 기판(10)의 관통공(13)을 관통하여 배치되는 커넥터(1)에서, 커넥터 본체(2)의 일부(2p)가 관통공(13)으로부터 비실장면(12)측으로 돌출한다. 상기 일부(2p)에 형성된 삽입 공간(S1)에 대해서, 접속 부재가 상기 비실장면(12)과 평행한 삽입 방향(X1)으로 삽입된다. 상기 커넥터 본체(2)에 고정되어 실장면(11)에 납땜되는 납땜 요소(H)가, 상기 접속 부재와 접속되는 복수의 콘택트(3)만으로 구성된다. 상기 콘택트(3)가, 상기 커넥터 본체(2)에 고정된 피고정부(31)와, 상기 피고정부(31)로부터 연장되는 리드부를 포함한다. 상기 리드부가, 상기 실장면(11)과 평행하게 서로 역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리드부(32) 및 제2 리드부(33) 중 적어도 일방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리드부(32)의 선단부(32b)와 상기 제2 리드부(33)의 선단부(33b)가, 상기 실장면(11)에서 상기 삽입 방향(X1)에 관해서 상기 관통공(13)의 양측에서 납땜된다.

Description

커넥터{Connector}
본 발명은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일본특허 제5736077호 공보에서 제안되는 플렉시블 케이블 커넥터 재치(載置) 구조에서는, 케이스(커넥터 본체)가, PCB(회로 기판)의 관통공을 관통하여 배치되어 있다. 또, 플렉서블 케이블 커넥터를 PCB에 강고하게 장착하기 위해서, 상기 케이스에 고정된 다수(예를 들면 30개)의 콘택트 외에, 상기 케이스에 고정된 복수(예를 들면 7개)의 장착 못(보강 탭)이, PCB의 상면(실장면)에 납땜되어 있다.
그렇지만, 상기 플렉서블 케이블 커넥터 재치 구조에서는, PCB에 납땜되는 요소로서, 콘택트 외에 장착 못을 이용하기 때문에, 구조가 복잡해진다.
본 발명의 목적은, 회로 기판으로의 장착 강도가 높고 또한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는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실장면과 상기 실장면의 반대측의 비실장면을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된 회로 기판에서의 상기 관통공을 관통하여 배치되는 커넥터로서, 일부가 상기 관통공으로부터 상기 비실장면측으로 돌출하고, 상기 일부에, 플렉시블한 접속 부재가 일단측으로부터 상기 비실장면과 평행한 삽입 방향으로 삽입되는 삽입 공간이 형성된 절연성의 커넥터 본체와, 상기 커넥터 본체에 고정되고 또한 상기 실장면에 납땜되는 납땜 요소를 구비하며, 상기 납땜 요소가, 상기 삽입 공간에 삽입된 상기 접속 부재와 접속되는 복수의 콘택트만으로 구성되고, 상기 복수의 콘택트가, 상기 삽입 방향과 직교하는 폭방향으로 늘어서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콘택트의 각각이, 상기 커넥터 본체에 고정된 피고정부와, 상기 피고정부로부터 연장되는 리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리드부가, 상기 피고정부로부터 상기 실장면과 평행하게 서로 역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리드부와 제2 리드부 중 적어도 일방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리드부와 상기 제2 리드부가, 상기 복수의 콘택트의 각각에 마련되거나, 또는, 상기 폭 방향으로 인접하는 콘택트에 교호로 마련되고, 상기 제1 리드부의 선단부와 상기 제2 리드부의 선단부가, 상기 실장면에서 상기 삽입 방향에 관해서 상기 관통공의 양측에서 납땜되는 커넥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는, 회로 기판의 실장면에 납땜되는 납땜 요소가, 복수의 콘택트만으로 구성된다. 이 때문에, 특허 문헌 1에서 이용되는 장착 못이 불필요하게 되어,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다. 또, 피고정부로부터 서로 역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리드부 및 제2 리드부가, 각 콘택트에 마련되거나, 또는 폭 방향으로 인접하는 콘택트에 교호로 마련된다. 제1 리드부 및 제2 리드부의 선단부가, 실장면에서 삽입 방향에 관해서 관통공의 양측에서 납땜된다. 이 때문에, 회로 기판에 대해서 높은 장착 강도를 달성할 수 있다.
상기 커넥터 본체에, 복수의 고정 홈이 형성되고, 각 상기 고정 홈에는, 대응하는 콘택트의 피고정부가 압입(壓入) 고정되며, 각 상기 고정 홈이, 상기 대응하는 콘택트의 피고정부를 상기 실장면측으로부터 상기 관통공으로 삽입 가능하도록, 상기 실장면과 직교하는 방향에 관해서 상기 실장면측으로 개방되어 있어도 괜찮다. 이 경우, 커넥터를 조립시 콘택트를 커넥터 본체에 조립할 때에, 콘택트의 피고정부로부터 연장되는 한 쌍의 리드부에 방해되지 않고, 피고정부를 커넥터 본체의 고정 홈에 압입 고정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커넥터의 조립성이 향상된다.
상기 회로 기판이 금속 기판을 포함하며, 상기 커넥터 본체가, 상기 피고정부를 상기 삽입 방향으로 사이에 끼워 배치되고, 서로의 사이에 상기 고정 홈을 형성하는 한 쌍의 제1 개재부와, 상기 한 쌍의 제1 개재부로부터 상기 실장면과 평행하게 서로 역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제2 개재부를 포함하며, 각 상기 제1 개재부가, 상기 피고정부와 상기 관통공의 내주면과의 사이에 개재하고, 각 상기 제2 개재부가, 대응하는 리드부와 상기 실장면에서의 상기 관통공의 가장자리부와의 사이에 개재해도 괜찮다. 이 경우, 커넥터 본체의 제1 개재부와 제2 개재부에 의해서, 콘택트가, 회로 기판의 실장면에 납땜되는 부분 이외에서, 금속 기판과 접촉하는 것이 회피된다.
상기 커넥터 본체는, 상기 삽입 공간에 삽입된 상기 접속 부재의 한 쌍의 측가장자리에 마련된 걸림부와 걸리는 것에 의해, 상기 접속 부재가 상기 삽입 방향의 반대 방향인 빼냄 방향으로 빼내어지는 것을 규제하는 한 쌍의 빼냄 규제 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콘택트가, 각 상기 빼냄 규제 돌기의 상기 삽입 방향측에 배치된 한 쌍의 콘택트를 포함하고 있어도 괜찮다. 이 경우, 빼냄 규제 돌기의 삽입 방향측에도 콘택트가 배치된다. 이 때문에, 스페이스의 유효 이용을 도모하고 또한 장착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커넥터가 적용된 접속 구조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1b는, 도 1a와는 다른 각도로부터의 접속 구조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2a는, 접속 구조의 평면도이다.
도 2b는, 접속 구조의 단면도로서, 도 2a의 IIB-IIB선을 따라서 절단된 단면도이다.
도 3a는, 접속 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3b는, 접속 부재의 저면도이다.
도 3c는, 접속 부재의 측면도이다.
도 4a는, 커넥터의 평면도이다.
도 4b는, 커넥터의 저면도이다.
도 5a는, 커넥터의 단면도로서, 도 4a의 VA-VA선을 따라서 절단된 단면도이다.
도 5b는, 커넥터의 단면도로서, 도 4a의 VB-VB선을 따라서 절단된 단면도이다.
도 6은, 콘택트의 정면도이다.
도 7은, 커버가 개방된 상태의 커넥터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8은, 빼냄 규제 돌기와 접속 부재의 모식적 저면도이다.
도 9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의 커넥터의 개략 평면도이다.
도 9b는, 제2 실시 형태의 커넥터의 단면도로서, 도 9a의 IXB-IXB선을 따라서 절단된 단면도이다.
도 9c는, 제2 실시 형태의 커넥터의 단면도로서, 도 9a의 IXC-IXC선을 따라서 절단된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화한 실시 형태를 도면을 따라서 설명한다.
(제1 실시 형태)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커넥터(1)가 적용된, 커넥터와 회로 기판의 접속 구조(100)(이하에서는, 간단하게 '접속 구조(100)'라고도 함)의 서로의 다른 각도로부터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2a는, 접속 구조(100)의 평면도이다. 도 2b는, 접속 구조(100)의 단면도로서, 도 2a의 IIB-IIB선을 따라서 절단된 단면도이다. 도 1a 및 도 1b, 그리고 도 2a 및 도 2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넥터(1)는, 접속 부재(6)와 회로 기판(10)을 접속하기 위한 커넥터이다.
회로 기판(10)은, 상면인 실장면(11)과, 하면으로서 실장면(11)의 반대측의 면인 비(非)실장면(12)을 구비한다. 회로 기판(10)에는, 실장면(11) 및 비실장면(12)을 관통하는 관통공(13)이 형성되어 있다.
회로 기판(10)은,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알루미늄 등의 방열성이 뛰어난 재료에 의해 형성된 금속 기판과, 상기 금속 기판 상에 적층된 절연층과, 상기 절연층 상에 적층된 동박으로 이루어지는 도전층을 구비하고 있다.
회로 기판(10)의 실장면(11)에는, 상기 도전층의 일부로서, 납땜을 위한 한 쌍의 랜드군(14G, 15G)이 배치되어 있다. 한 쌍의 랜드군(14G, 15G)은, 실장면(11)에서 관통공(13)을 접속 부재(6)의 삽입 방향(X1)으로 사이에 두는 양측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랜드군(14G)은, 실장면(11) 상에서, 삽입 방향(X1)과 직교하는 폭방향(W)으로 늘어놓아서 배치된 다수의 랜드(14)를 포함한다. 랜드군(15G)은, 실장면(11) 상에서, 폭방향(W)으로 늘어놓아서 배치된 다수의 랜드(15)를 포함한다.
커넥터(1)는, 커넥터 본체(2)와, 복수의 콘택트(3)만으로 구성되는 납땜 요소(H)와, 커버(4)와, 한 쌍의 지지구(支持具)(5)를 포함한다.
커넥터 본체(2)는, 절연성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도 2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넥터 본체(2)는, 관통공(13)에 삽입 통과되어 있고, 커넥터 본체(2)의 일부(2p)가, 관통공(13)을 삽입 통과하여 비실장면(12)측으로 돌출하고 있다. 커넥터 본체(2)의 일부(2p)에는, 접속 부재(6)가, 그 일단(6e)측으로부터 비실장면(12)과 평행한 삽입 방향(X1)으로 삽입되는 삽입 공간(S1)이 형성되어 있다.
납땜 요소(H)인 각 콘택트(3)는, 커넥터 본체(2)에 유지되어 있다. 또, 도 2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콘택트(3)는, 실장면(11)에 마련된 대응하는 랜드(14, 15)에 납땜된다. 커버(4)는, 커넥터 본체(2)와 한 쌍의 지지구(5)에 의해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도 7을 참조). 도 2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버(4)는, 삽입 공간(S1)에 삽입된 접속 부재(6)를 콘택트(3)의 접촉부측으로 가압하는 기능을 한다.
다음으로, 접속 부재(6)에 대해 설명한다. 도 3a는, 접속 부재(6)의 평면도이고, 도 3b는, 접속 부재(6)의 저면도이며, 도 3c는, 접속 부재(6)의 측면도이다. 도 3a~도 3c를 참조하여, 접속 부재(6)는, FFC(플렉서블·플랫·케이블)나 FPC(플렉서블·프린티드(printed)·서킷(circuit)) 등의 플렉시블한 평형(平形)의 접속 부재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접속 부재(6)가 FFC인 경우에 준거하여 설명한다.
접속 부재(6)는, 길이 방향(L)으로 연장되어 있다. 접속 부재(6)는, 상면인 제1 면(6a)과, 하면인 제2 면(6b)과, 길이 방향(L)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측가장자리(6c)와, 길이 방향(L)의 일단(6e)을 포함한다. 접속 부재(6)는, 커넥터 본체(2)의 삽입 공간(S1)(도 2b를 참조)에 대해서 일단(6e)측으로부터 길이 방향(L)(삽입 방향(X1)에 상당)으로 삽입된다.
도 3a~도 3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속 부재(6)는, 길이 방향(L)으로 연장되는 절연부(61)와 복수의 도체부(62)를 포함한다. 절연부(61)는, 접속 부재(6)의 두께 방향(T)으로 적층된 베이스부(63)와 커버부(64)와 보강판(65)을 포함한다. 도체부(62)는, 서로의 사이에 길이 방향(L) 및 두께 방향(T)과 직교하는 폭방향(W)으로 등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커버부(64)는, 제1 면(6a)에서 각 도체부(62)의 단부가 노출되도록, 베이스부(63) 및 각 도체부(62)를 덮고 있다.
보강판(65)은, 베이스부(63)에 대해서 커버부(64)와는 반대측에 배치되어 있다. 보강판(65)은, 베이스부(63)에 대해서 접속 부재(6)의 길이 방향(L)의 일단(6e)으로부터 소정 거리까지의 단부 부분에 적층되고, 상기 단부 부분을 보강하고 있다.
한 쌍의 측가장자리(6c)에는, 커넥터 본체(2)에 마련되는 빼냄 규제 돌기(23b)(도 7을 참조)에 대해서 삽입 방향(X1)의 반대 방향인 빼냄 방향(X2)으로 걸리는 걸림부(66)가 마련되어 있다. 각 걸림부(66)는, 일단(6e)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간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고, 각 걸림부(66)는, 대응하는 측가장자리(6c)에 형성된 노치 모양의 홈부(67)에서의, 일단(6e)측의 내벽부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홈부(67)는, 커버부(64)와 베이스부(63)와 보강판(65)을 두께 방향(T)으로 관통하고 있다.
도 3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도체부(62) 중, 각 측가장자리(6c)에 인접하는 도체부(62s)는, 대응하는 홈부(67)에 의해서 부분적으로 협폭(狹幅)이 되도록 노치되어 있다. 즉, 각 도체부(62s)의 일부의 폭방향(W)의 폭이, 나머지의 부분의 폭방향(W)의 폭보다도 좁게 되어 있다.
도 4a는, 커넥터(1)의 평면도이며, 도 4b는, 커넥터(1)의 저면도이다. 도 5a는, 커넥터(1)의 단면도로서, 도 4a의 VA-VA선을 따라서 절단된 단면도이다. 도 5b는, 커넥터(1)의 단면도로서, 도 4a의 VB-VB선을 따라서 절단된 단면도이다. 도 6은, 콘택트(3)의 정면도이다.
다음으로, 콘택트(3)에 대해 설명한다. 도 2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콘택트(3)는, 삽입 방향(X1)과 직교하는 폭방향(W)으로 늘어서 배치되어 있다. 도 5a 및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콘택트(3)는, 피고정부(31)와, 제1 리드부(32)와, 제2 리드부(33)와, 접속부(34)와, 접촉부(35a)를 포함하는 제1 탄성편부(35)와, 제2 탄성편부(36)를 포함한다.
피고정부(31)는, 커넥터 본체(2)에 압입 고정된다. 구체적으로는, 피고정부(31)는, 대략 직사각형 판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부(31a)와, 하부(31b)와, 한 쌍의 측부(31c, 31d)를 가지고 있다. 각 측부(31c, 31d)에, 압입에 의해 커넥터 본체(2)에 걸리는 걸림 돌기(31e)가 마련되어 있다.
제1 리드부와 제2 리드부(33)는, 피고정부(31)의 상부(31a)로부터, 삽입 방향(X1)과 평행하게(도 2b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장면(11)과 평행하게), 서로 역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각 리드부(32, 33)는, 피고정부(31)와 접속된 기단부(32a, 33a)와, 기단부(32a, 33a)의 반대측의 선단부(32b, 33b)를 포함한다. 선단부(32b, 33b)는, 실장면(11)측을 향하여 돌출하는 볼록부에 형성되어 있다. 제1 리드부(32)의 선단부(32b)와 제2 리드부(33)의 선단부(33b)가, 실장면(11)에서 삽입 방향(X1)에 관해서 관통공(13)의 양측에서 대응하는 랜드(14, 15)에 납땜되어 접속되어 있다.
접속부(34)는, 피고정부(31)의 측부(31c)측의 하부(31b)로부터, 측부(31c)와 평행하게 하부로 연장되어 있다. 접속부(34)의 선단부(34a)로부터, 제1 탄성편부(35) 및 제2 탄성편부(36)가, 두 갈래 모양으로 분기되어 있다. 제1 탄성편부(35) 및 제2 탄성편부(36)는, 접속부(34)를 매개로 하여 피고정부(31)에 의해서 편(片)지지 모양으로 지지되어 있다.
제1 탄성편부(35)는, 피고정부(31)와 제2 탄성편부(36)와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제1 탄성편부(35)는, 앵글 모양으로 형성되어 제2 탄성편부(36)와 평행하게 빼냄 방향(X2)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1 탄성편부(35)는, 선단부 또는 선단부에 근접하는 위치에, 제2 탄성편부(36)측을 향하여 돌출하는 산형(山形)의 하나 내지 복수의 접촉부(35a)를 가지고 있다.
제2 탄성편부(36)는, 접속부(34)의 선단부(34a)로부터, 삽입 방향(X1)의 반대 방향인 빼냄 방향(X2)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2 탄성편부(36)의 선단부(36a)는, 제1 탄성편부(35)의 접촉부(35a)와 대향하고 있다.
다음으로, 커넥터 본체(2)에 대해 설명한다. 도 7은 커넥터(1)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5a, 도 5b 및 도 7을 참조하여, 커넥터 본체(2)는, 상벽부(21)와, 하벽부(22)와, 중간벽부(23)와, 한 쌍의 후측 측벽부(24)와, 후벽부(25)와, 한 쌍의 전측 측벽부(26)와, 한 쌍의 유지벽부(27)와, 개방부(28)를 포함한다.
상벽부(21)와 하벽부(22)와 중간벽부(23)는, 삽입 방향(X1)으로 연장되는 판 모양을 이루고 있다. 중간벽부(23)는, 상벽부(21)의 하부에 연속하여 마련되어 있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간벽부(23)는, 안내면(23a)과, 한 쌍의 빼냄 규제 돌기(23b)를 포함한다. 안내면(23a)은, 중간벽부(23)의 하면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빼냄 규제 돌기(23b)는, 안내면(23a)의 전부(前部)로서 폭방향(W)의 양단의 위치에 하부로 돌출하도록 형성된 돌기이다.
도 5a, 도 5b 및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간벽부(23)의 하면인 안내면(23a)과 하벽부(22)의 상면과의 사이에, 삽입 공간(S1)이 형성되어 있다. 중간벽부(23)는 하벽부(22)보다도 전방측(빼냄 방향(X2))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다. 중간벽부(23)의 전측 부분의 하부에, 개방부(28)가 형성되어 있다. 개방부(28)는, 커버(4)의 회동에 의해서 개폐된다.
삽입 공간(S1)은, 전방으로 개방되어 있다. 후벽부(25)는, 상벽부(21)로부터 하부로 연장되어 중간벽부(23)의 후부(後部)와 하벽부(22)의 후부를 연결하고 있다. 후벽부(25)는 삽입 공간(S1)의 후방을 폐색하고 있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빼냄 규제 돌기(23b)는, 삽입 공간(S1)에 삽입된 접속 부재(6)의 대응하는 측가장자리(6c)의 홈부(67)의 걸림부(66)와 걸리는 것에 의해, 접속 부재(6)가 빼냄 방향(X2)으로 빼내어지는 것을 규제한다. 또, 콘택트(3)에서 폭방향(W)의 양단 위치에 배치된 한 쌍의 콘택트(3s)(도 7도 참조)는, 대응하는 빼냄 규제 돌기(23b)의 삽입 방향(X1)측에 배치되어 있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후측 측벽부(24)는, 상벽부(21)로부터 하부로 연장되고, 중간벽부(23)의 대응하는 측부와 하벽부(22)의 대응하는 측부를 연결하고 있다. 한 쌍의 후측 측벽부(24)는, 삽입 공간(S1)의 측부를 폐색하고 있다.
도 5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벽부(21)를 하부로 관통하는 형태로 중간벽부(23) 및 하벽부(22)에, 각 콘택트(3)에 대응하는 콘택트 수용부(29)가 형성되어 있다. 콘택트 수용부(29)는, 중간벽부(23)에 형성된 고정 홈(29a) 및 제1 탄성편부 수용홈(29b)과, 하벽부(22)에 형성된 제2 탄성편부 수용홈(29c)을 포함한다.
고정 홈(29a)이, 대응하는 콘택트(3)의 피고정부(31)를 회로 기판(10)의 실장면(11)측으로부터 관통공(13)으로 삽입 가능하도록, 실장면(11)과 직교하는 직교 방향(V)에 관해서 실장면(11)측으로 개방되어 있다. 콘택트(3)의 피고정부(31)의 2쌍의 걸림 돌기(31e)가, 고정 홈(29a)의 내면에 압입되어 걸려진다. 이것에 의해, 피고정부(31)가 커넥터 본체(2)의 고정 홈(29a)에 고정된다.
또, 커넥터 본체(2)는, 한 쌍의 제1 개재부(71, 81)와, 한 쌍의 제2 개재부(72, 82)를 포함한다. 한 쌍의 제1 개재부(71, 81)는, 피고정부(31)를 삽입 방향(X1)으로 사이에 끼워 배치하고, 서로의 사이에 고정 홈(29a)을 형성한다. 일방의 제1 개재부(71)는, 커넥터 본체(2)의 후벽부(25)의 일부에 의해 형성된다. 타방의 제2 개재부(72)는, 중간벽부(23)의 전부(前部)의 일부에 의해 형성된다. 한 쌍의 제2 개재부(72, 82)는, 한 쌍의 제1 개재부(71, 81)로부터 실장면(11)과 평행하게 서로 역방향으로 연장된다.
각 제1 개재부(71, 81)가, 피고정부(31)와 관통공(13)의 내주면(13a)과의 사이에 개재한다. 또, 각 제2 개재부(72, 82)가, 대응하는 리드부(32, 33)와 실장면(11)에서의 관통공(13)의 가장자리부(13b)와의 사이에 개재한다. 이것에 의해, 콘택트(3)가, 실장면(11)에 납땜되는 부분(각 리드부(32, 33)의 선단부(32b, 33b)) 이외에서, 회로 기판(10)을 구성하는 금속 기판과 접촉하는 것이 회피되어, 절연성이 확보된다.
제1 탄성편부 수용홈(29b)에는, 제1 탄성편부(35)가 수용된다. 제1 탄성편부 수용홈(29b)은, 개방부(28)측과 연통되어 있고, 자유 상태의 제1 탄성편부(35)의 접촉부(35a)는, 제1 탄성편부 수용홈(29b)으로부터 개방부(28)측으로 돌출되어, 삽입 공간(S1)에 면하고 있다.
제2 탄성편부 수용홈(29c)은, 개방부(28)측과 연통되어 있다. 제2 탄성편부(36)의 선단부(36a)는, 제2 탄성편부 수용홈(29c)으로부터 개방부(28)측으로 돌출되어, 커버(4)와 걸려져 있다. 도 5a 및 도 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폐쇄 위치에 있는 커버(4)와 중간벽부(23)와의 사이에, 삽입 공간(S1)으로의 삽입로(S2)가 구획 형성된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 쌍의 전측 측벽부(26)는, 중간벽부(23)의 전측의 한 쌍의 측부로부터 하부로 연장 마련되어 있다. 한 쌍의 유지벽부(27)는, 한 쌍의 전측 측벽부(26)의 연장 단부(26a)로부터 서로 가까워지도록 내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다음으로, 도 7을 참조하여, 커버(4)에 대해 설명한다. 커버(4)는, 커버 본체(41)와, 한 쌍의 지지축(42)과, 한 쌍의 돌기부(43)를 포함한다. 커버 본체(41)는, 폭방향(W)으로 긴 직사각형 형상을 이룬다. 커버 본체(41)는, 직사각형의 장변부인 기단부(41a) 및 선단부(41b)와, 내면(41c)과, 외면(41d)과, 한 쌍의 측면(41e)을 포함한다.
커버 본체(41)의 기단부(41a)에 형성된 삽통공(揷通孔)(41f)에, 콘택트(3)의 제2 탄성편부(36)의 선단부가 삽입되어 있다.
한 쌍의 지지축(42)은, 기단부(41a)에서의 한 쌍의 측면(41e)으로부터 폭방향(W)의 양측으로 돌출되는 원기둥축이다. 각 지지축(42)은, 커넥터 본체(2)의 대응하는 후측 측벽부(24)와 지지구(5)와의 유지홈의 내면에 의해 형성되는 회동 지지부에 의해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즉, 커버(4)의 커버 본체(41)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넥터 본체(2)의 중간벽부(23)로부터 기립하는 상태에서, 개방부(28)를 개방시킨다. 또, 커버(4)의 커버 본체(41)는, 도 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간벽부(23)와 대략 평행이 되는 상태에서, 개방부(28)를 닫는다. 폐쇄 상태의 커버 본체(41)는, 콘택트(3)의 제2 탄성편부(36)에 의해 제1 탄성편부(35)측으로 가압된다. 이 때문에, 도 2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속 부재(6)를 제1 탄성편부(35)의 접촉부(35a)측으로 가압하는 기능을 한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회로 기판(10)의 실장면(11)에 납땜되는 납땜 요소(H)가, 복수의 콘택트(3)만으로 구성된다. 이 때문에, 특허 문헌 1에서 이용되는 장착 못이 불필요하게 되어,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다. 또, 도 5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콘택트(3)에서, 피고정부(31)로부터 서로 역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리드부(32) 및 제2 리드부(33)의 선단부(32b, 33b)가, 실장면(11)에서 삽입 방향(X1)에 관해서 관통공(13)의 양측에서 납땜된다. 이 때문에, 회로 기판(10)에 대해서 높은 장착 강도를 달성할 수 있다.
또, 커넥터 본체(2)의 각 고정 홈(29a)이, 대응하는 콘택트(3)의 피고정부(31)를 실장면(11)측으로부터 관통공(13)으로 삽입 가능하도록, 실장면(11)과 직교하는 직교 방향(V)에 관해서 실장면(11)측으로 개방되어 있다. 이 때문에, 커넥터(1)를 조립할 때에 콘택트(3)를 커넥터 본체(2)에 조립할 때에, 콘택트(3)의 피고정부(31)로부터 연장되는 제1 리드부(32) 및 제2 리드부(33)에 방해되지 않고, 피고정부(31)를 커넥터 본체(2)의 고정 홈(29a)에 압입 고정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커넥터(1)의 조립성이 향상된다.
또, 절연성의 커넥터 본체(2)에 마련된 제1 개재부(71, 81)와 제2 개재부(72, 82)에 의해서, 콘택트(3)가, 회로 기판(10)의 실장면(11)에 납땜되는 부분(각 리드부(32, 33)의 선단부(32b, 33b)) 이외에서, 회로 기판(10)을 구성하는 금속 기판과 접촉하는 것이 회피된다. 이것에 의해, 금속 기판에 대한 절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 도 7 및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콘택트(3)에서 폭방향(W)의 양단 위치에 배치된 한 쌍의 콘택트(3s)는, 대응하는 빼냄 규제 돌기(23b)의 삽입 방향(X1)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스페이스의 유효 이용을 도모하고 또한 장착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
도 9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의 커넥터(1P)의 개략 평면도이다. 도 9b는, 커넥터(1P)의 단면도로서, 도 9a의 IXB-IXB선을 따라서 절단된 단면도이다. 도 9c는, 커넥터(1P)의 단면도로서, 도 9a의 IXC-IXC선을 따라서 절단된 단면도이다.
도 9a~도 9b를 참조하여, 제2 실시 형태의 커넥터(1P)가 제1 실시 형태의 커넥터(1)와 주로 다른 것은, 이하와 같다. 즉, 커넥터(1P)에서는, 납땜 요소(H)를 구성하는 콘택트가, 삽입 방향(X1)과 직교하는 폭방향(W)으로 교호로 배치된 제1 콘택트(3Q)와 제2 콘택트(3R)를 포함한다.
제1 콘택트(3Q)가, 커넥터 본체(2)에 고정된 제1 피고정부(31Q)와, 제1 피고정부(31Q)로부터 삽입 방향(X1) 및 빼냄 방향(X2) 중 일방(본 실시 형태에서는, 빼냄 방향(X2))으로 연장되는 제1 리드부(32Q)를 포함한다. 제1 콘택트(3Q)는, 커넥터 본체(2)에 대해서 삽입 방향(X1)을 따라서 조립되어진다.
제2 콘택트(3R)가, 커넥터 본체(2)에 고정된 제2 피고정부(31R)와, 제2 피고정부(31R)로부터 제1 리드부(32Q)와는 반대 방향인 삽입 방향(X1)으로 연장되는 제2 리드부(32R)를 포함한다. 제2 콘택트(3R)는, 커넥터 본체(2)에 대해서 빼냄 방향(X2)을 따라서 조립되어진다.
제1 리드부(32Q)의 선단부(32Qb)와 제2 리드부(32R)의 선단부(32Rb)가, 실장면(11)에서 삽입 방향(X1)에 관해서 관통공(13)의 양측에 서로 엇갈리게 납땜된다. 도 9a~도 9c의 제2 실시 형태의 구성요소에서, 제1 실시 형태의 구성요소와 동일한 구성요소에는, 공통의 참조 부호가 붙여져 있다.
제2 실시 형태에 의하면, 회로 기판(10)의 실장면(11)에 납땜되는 납땜 요소(H)가, 복수의 콘택트(3Q, 3R)만으로 구성되므로,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다. 또, 복수의 콘택트가, 삽입 방향(X1)과 직교하는 폭방향(W)으로 교호로 배치된 제1 콘택트(3Q) 및 제2 콘택트(3R)를 포함하며, 또, 제1 콘택트(3Q)의 제1 리드부(32Q)의 선단부(32Qb)와 제2 콘택트(3R)의 제2 리드부(32R)의 선단부(32Rb)가, 실장면(11)에서 삽입 방향(X1)에 관해서 관통공(13)의 양측에 서로 엇갈리게 납땜된다. 이 때문에, 회로 기판(10)에 대해서 높은 장착 강도를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접속 부재(6)의 측가장자리(6c)에 인접하는 도체부(62s)가, 빼냄 규제 돌기(23b)의 삽입 방향(X1)측으로 돌아들어도록 크랭크(crank) 모양으로 형성되어도 괜찮다. 또, 빼냄 규제 돌기(23b)의 삽입 방향(X1)측에 콘택트가 배치되지 않아도 좋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형태에 의해 상세하게 설명했지만, 상기의 내용을 이해한 당업자는, 그 변경, 개변 및 균등물을 용이하게 생각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클레임의 범위와 그 균등의 범위로 해야 하는 것이다.
1 : 1P 커넥터 2 : 커넥터 본체
2p : 일부 3, 3s : 콘택트(납땜 요소)
3Q : 제1 콘택트(납땜 요소) 3R : 제2 콘택트(납땜 요소)
6 : 접속 부재 6c : 측가장자리
6e : 일단 10 : 회로 기판
11 : 실장면 12 : 비실장면
13 : 관통공 13a : 내주면
13b : 가장자리부 23b : 빼냄 규제 돌기
29a : 고정 홈 31, 31Q, 31R : 피고정부
32 : 제1 리드부 33 : 제2 리드부
32b, 33b : 선단부 32Q : 제1 리드부
32R : 제2 리드부 32Qb , 32Rb : 선단부
66 : 걸림부 71, 81 : 제1 개재부
72, 82 : 제2 개재부 H : 납땜 요소
S1 : 삽입 공간 X1 : 삽입 방향
X2 : 빼냄 방향

Claims (4)

  1. 실장면과 상기 실장면의 반대측의 비(非)실장면을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된 회로 기판에서의 상기 관통공을 관통하여 배치되는 커넥터로서,
    일부가 상기 관통공으로부터 상기 비실장면측으로 돌출하고, 상기 일부에, 플렉시블한 접속 부재가 일단측으로부터 상기 비실장면과 평행한 삽입 방향으로 삽입되는 삽입 공간이 형성된 절연성의 커넥터 본체와,
    상기 커넥터 본체에 고정되고 또한 상기 실장면에 납땜되는 납땜 요소를 구비하며,
    상기 납땜 요소가, 상기 삽입 공간에 삽입된 상기 접속 부재와 접속되는 복수의 콘택트만으로 구성되고,
    상기 복수의 콘택트가, 상기 삽입 방향과 직교하는 폭방향으로 늘어서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콘택트의 각각이, 상기 커넥터 본체에 고정된 피고정부와, 상기 피고정부로부터 연장되는 리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리드부가, 상기 피고정부로부터 상기 실장면과 평행하게 서로 역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리드부와 제2 리드부 중 적어도 일방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리드부와 상기 제2 리드부가, 상기 복수의 콘택트의 각각에 마련되거나, 또는, 상기 폭 방향으로 인접하는 콘택트에 교호로 마련되고,
    상기 제1 리드부의 선단부와 상기 제2 리드부의 선단부가, 상기 실장면에서 상기 삽입 방향에 관해서 상기 관통공의 양측에서 납땜되는 커넥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본체에, 복수의 고정 홈이 형성되고,
    각 상기 고정 홈에는, 대응하는 콘택트의 피고정부가 압입(壓入) 고정되며,
    각 상기 고정 홈이, 상기 대응하는 콘택트의 피고정부를 상기 실장면측으로부터 상기 관통공으로 삽입 가능하도록, 상기 실장면과 직교하는 방향에 관해서 상기 실장면측으로 개방되어 있는 커넥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회로 기판이 금속 기판을 포함하며,
    상기 커넥터 본체가, 상기 피고정부를 상기 삽입 방향으로 사이에 끼워 배치되고, 서로의 사이에 상기 고정 홈을 형성하는 한 쌍의 제1 개재부와, 상기 한 쌍의 제1 개재부로부터 상기 실장면과 평행하게 서로 역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제2 개재부를 포함하며,
    각 상기 제1 개재부가, 상기 피고정부와 상기 관통공의 내주면과의 사이에 개재하고,
    각 상기 제2 개재부가, 대응하는 리드부와 상기 실장면에서의 상기 관통공의 가장자리부와의 사이에 개재하는 커넥터.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본체는, 상기 삽입 공간에 삽입된 상기 접속 부재의 한 쌍의 측가장자리에 마련된 걸림부와 걸리는 것에 의해, 상기 접속 부재가 상기 삽입 방향의 반대 방향인 빼냄 방향으로 빼내어지는 것을 규제하는 한 쌍의 빼냄 규제 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콘택트가, 각 상기 빼냄 규제 돌기의 상기 삽입 방향측에 배치된 한 쌍의 콘택트를 포함하는 커넥터.
KR1020190004731A 2018-01-19 2019-01-14 커넥터 KR2019008888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8-007599 2018-01-19
JP2018007599A JP7037373B2 (ja) 2018-01-19 2018-01-19 コネクタ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8887A true KR20190088887A (ko) 2019-07-29

Family

ID=673163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4731A KR20190088887A (ko) 2018-01-19 2019-01-14 커넥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7037373B2 (ko)
KR (1) KR20190088887A (ko)
CN (1) CN11006137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33920A1 (ko) * 2019-08-20 2021-02-25 주식회사 엘지화학 커넥터
CN112563774A (zh) * 2019-09-26 2021-03-26 日本航空电子工业株式会社 连接器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25072A (en) * 1995-01-10 1996-06-11 Molex Incorporate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for interconnecting a flat cable to a circuit board
JP3022986U (ja) 1995-09-22 1996-04-02 京セラエルコ株式会社 Fpcコネクタ
JP3762216B2 (ja) 2000-12-07 2006-04-05 Smk株式会社 フレキシブル基板接続用コネクタ
JP2004311204A (ja) 2003-04-07 2004-11-04 Jst Mfg Co Ltd 電気コネクタ
JP4318686B2 (ja) 2005-10-27 2009-08-26 株式会社デンソー フラットケーブル用コネクタ
JP5501788B2 (ja) 2010-02-17 2014-05-28 第一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5732250B2 (ja) 2010-12-28 2015-06-10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ユニット及びコネクタ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33920A1 (ko) * 2019-08-20 2021-02-25 주식회사 엘지화학 커넥터
US11764504B2 (en) 2019-08-20 2023-09-19 Lg Energy Solution, Ltd. Connector
CN112563774A (zh) * 2019-09-26 2021-03-26 日本航空电子工业株式会社 连接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9128984A (ja) 2019-08-01
JP7037373B2 (ja) 2022-03-16
CN110061373A (zh) 2019-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47481B2 (en) Shielded electrical connector with anti-mismatching means
JP5197742B2 (ja) 電気コネクタ
EP1538716A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circuit board module
US20080261422A1 (en) Flat Circuit Connector
US20220173550A1 (en) Integrally shielded cable connector
JPH06208874A (ja) カードリーダ用電気コネクタ
CN111146630B (zh) 连接器和连接器组件
US11233345B2 (en) Safe, robust, compact connector
TW201036282A (en) Electrical connector for circuit board
US20210184383A1 (en) Connector for high-speed transmission and method for fixing solder to fork portion of connector for high-speed transmission
US7112072B2 (en) Ground bus for an electrical connector
US7188408B2 (en) Method of making a straddle mount connector
JP2021174770A (ja) 基板側コネクタおよびコネクタアセンブリ
JP2022080518A (ja) コネクタ
US6692273B1 (en) Straddle mount connector
KR20190088887A (ko) 커넥터
US6036506A (en) Right angle electrical connector
JP2001143797A (ja) ケーブルコネクタ
JP6815029B2 (ja) コンタクト、コネクタ部材、コネクタ及び被接続部材
JP4623735B2 (ja) コネクタ
TWI519009B (zh) 配線端子連結裝置
JP7202529B2 (ja) コネクタおよびコネクタ実装体
JP5959212B2 (ja) コネクタ
JP2007128875A (ja) 電気コネクタ
US6475031B1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improved retention devi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