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8585A -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8585A
KR20190088585A KR1020180006653A KR20180006653A KR20190088585A KR 20190088585 A KR20190088585 A KR 20190088585A KR 1020180006653 A KR1020180006653 A KR 1020180006653A KR 20180006653 A KR20180006653 A KR 20180006653A KR 20190088585 A KR20190088585 A KR 201900885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ise
voltage
display device
sensing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66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57952B1 (ko
Inventor
김장희
이상철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066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7952B1/ko
Priority to US16/214,213 priority patent/US10877601B2/en
Publication of KR201900885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85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79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79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1L27/323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8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for error correction or compensation, e.g. based on parallax, calibration or alignment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40OLEDs integrated with touch scree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8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for error correction or compensation, e.g. based on parallax, calibration or alignment
    • G06F3/04182Filtering of noise external to the device and not generated by digitiser compon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6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grid-like structure of electrodes in at least two directions, e.g. using row and column electrod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09G3/3225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using an active matrix
    • G09G3/3233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using an active matrix with pixel circuitry controlling the current through the light-emitting elemen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09G3/3266Details of drivers for scan electrod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09G3/3275Details of drivers for data electrodes
    • H01L27/3211
    • H01L27/3262
    • H01L27/3265
    • H01L51/5203
    • H01L51/56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05Electrod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1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characterised by the geometry or disposition of pixel elements
    • H10K59/1213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characterised by the geometry or disposition of pixel elements the pixel elements being TF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1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characterised by the geometry or disposition of pixel elements
    • H10K59/1216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characterised by the geometry or disposition of pixel elements the pixel elements being capacito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3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 H10K59/35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red-green-blue [RGB] subpixe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2Fingerprints or palmprints
    • G06V40/13Sensors therefor
    • G06V40/1306Sensors therefor non-optical, e.g. ultrasonic or capacitive sens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8Active matrix structure, i.e. with use of active elements, inclusive of non-linear two terminal elements, in the pixels together with light emitting or modulating elements
    • G09G2300/0809Several active elements per pixel in active matrix pane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8Active matrix structure, i.e. with use of active elements, inclusive of non-linear two terminal elements, in the pixels together with light emitting or modulating elements
    • G09G2300/0809Several active elements per pixel in active matrix panels
    • G09G2300/0842Several active elements per pixel in active matrix panels forming a memory circuit, e.g. a dynamic memory with one capacito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6Handling electromagnetic interferences [EMI], covering emitted as well as received electromagnetic radi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54/00Aspects of interface with display user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이미지를 생성하기 위한 표시패널; 및 상기 표시패널 상에 배치되며,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기 위한 입력감지층을 포함하고, 상기 표시패널은, 제1 전원으로부터 제2 전원으로 흐르는 구동전류에 따라서 발광하는 유기발광 다이오드를 각각 포함하는 화소들; 및 상기 제2 전원으로부터 노이즈를 검출하여, 노이즈전압을 생성하는 노이즈 검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감지층은, 서로 교차하는 제1 감지전극들 및 제2 감지전극들; 및 상기 노이즈전압을 기초로, 상기 제2 감지전극들로부터 수신한 감지전압에 포함된 상기 노이즈를 제거하는 리드아웃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표시장치{A DISPLAY DEVICE}
본 발명의 실시예는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정보화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사용자와 정보간의 연결매체인 표시장치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이에 부응하여 액정 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및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등과 같은 표시장치(Display Device)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최근에, 터치를 감지하기 위한 터치 센서, 지문 센서, 압력 센서 등이 포함된 표시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구동전원으로부터 노이즈를 검출하는 표시패널 및 감지신호의 노이즈를 제거할 수 있는 입력감지층을 포함하는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이미지를 생성하기 위한 표시패널; 및 상기 표시패널 상에 배치되며,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기 위한 입력감지층을 포함하고, 상기 표시패널은, 제1 전원으로부터 제2 전원으로 흐르는 구동전류에 따라서 발광하는 유기발광 다이오드를 각각 포함하는 화소들; 및 상기 제2 전원으로부터 노이즈를 검출하여, 노이즈전압을 생성하는 노이즈 검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감지층은, 서로 교차하는 제1 감지전극들 및 제2 감지전극들; 및 상기 노이즈전압을 기초로, 상기 제2 감지전극들로부터 수신한 감지전압에 포함된 상기 노이즈를 제거하는 리드아웃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감지층은, 상기 표시패널 상에 직접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패널은, 상기 화소들로 상기 제1 전원 및 상기 제2 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노이즈 검출부로 제3 전원 및 제4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구동 전원 공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노이즈 검출부는, 상기 노이즈전압을 저장하기 위한 감지 커패시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노이즈 검출부는, 상기 감지 커패시터의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원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스위치; 및 상기 감지 커패시터의 제2 전극으로, 제3 전원 및 제4 전원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제2 스위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스위치가 턴-온 되면, 상기 제2 스위치는 상기 감지 커패시터의 상기 제2 전극으로 상기 제3 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제1 스위치가 턴-오프 되면, 상기 제2 스위치는 상기 감지 커패시터의 상기 제2 전극으로 상기 제4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전원은, 상기 노이즈가 포함되지 않은 상기 제2 전원의 전압을 갖고, 상기 제4 전원은, 그라운드 전압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수평라인마다 형성된 주사선들로 주사신호들을 공급하기 위한 주사 구동부; 및 수직라인마다 형성된 데이터선들로 데이터신호들을 공급하기 위한 데이터 구동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화소들은, 상기 주사선들 및 상기 데이터선들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소들 중 제i 주사선(i는 자연수) 및 제j 데이터선(j는 자연수)에 연결된 화소는, 상기 유기발광 다이오드; 상기 제1 전원 및 상기 유기발광 다이오드 사이에 연결되며, 제1 노드의 전압에 대응하여, 상기 구동전류를 제어하기 위한 제1 트랜지스터; 상기 제j 데이터선 및 상기 제1 노드 사이에 연결되며, 상기 제i 주사선으로 주사신호가 공급될 때 턴-온될 수 있다 제2 트랜지스터; 및 상기 제1 노드 및 상기 제1 전원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스토리지 커패시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리드아웃회로는, 상기 감지전압을 수신하는 제1 입력단자, 상기 노이즈 전압을 수신하는 제2 입력단자 및 출력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단자를 포함하는 차동증폭기; 및
상기 제1 입력단자 및 상기 출력단자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보조 커패시터; 상기 제2 감지전극들 중 어느 하나 및 상기 제1 입력단자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제3 스위치; 및
상기 보조 커패시터와 병렬로 배치되며, 상기 제1 입력단자 및 상기 출력단자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제4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입력단자는, 상기 감지전압을 수신하고, 상기 제2 입력단자는 상기 노이즈전압을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제1 전원으로부터 제2 전원으로 흐르는 구동전류에 따라서 발광하는 유기발광 다이오드, 및 상기 제2 전원의 노이즈를 검출하는 노이즈 검출부를 포함하는 표시패널; 및 서로 교차하는 제1 감지전극들과 제2 감지전극들, 및 상기 제2 감지전극들로부터 수신한 감지전압에 포함된 상기 노이즈를 제거하는 리드아웃회로를 포함하는 입력감지층을 포함하고, 상기 노이즈 검출부는, 상기 노이즈를 나타내는 노이즈전압을 생성하여, 상기 리드아웃회로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노이즈 검출부는, 상기 노이즈전압을 저장하기 위한 감지 커패시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리드아웃회로는, 상기 감지전압을 수신하는 제1 입력단자, 상기 노이즈전압을 수신하는 제2 입력단자 및 출력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단자를 포함하는 차동증폭기; 및
상기 제1 입력단자 및 상기 출력단자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보조 커패시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감지층은, 상기 표시패널 상에 직접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에 포함된 표시패널은 구동전원으로부터 노이즈를 검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에 포함된 입력감지층은 감지신호의 노이즈를 제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패널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력감지층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패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소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이즈 검출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력감지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드아웃회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 및 그 밖에 당업자가 본 발명의 내용을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필요한 사항에 대하여 상세히 기재한다. 다만, 본 발명은 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므로 하기에 설명하는 실시예는 표현 여부에 불구하고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다.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두께, 비율, 및 치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및/또는"은 연관된 구성들이 정의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조합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아래에", "하측에", "위에", "상측에" 등의 용어는 도면에 도시된 구성들의 연관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다. 상기 용어들은 상대적인 개념으로, 도면에 표시된 방향을 기준으로 설명된다.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즉,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하의 설명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번호 및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DD)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표시장치(DD)는 표시면(DD-IS)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면(DD-IS)은 표시장치(DD)의 전면에 위치할 수 있다. 표시장치(DD)는 표시면(DD-IS)을 통해 이미지(IM)를 표시할 수 있다. 표시면(DD-IS)은 제1 방향(DR1) 및 제2 방향(DR2)이 정의하는 면과 평행한다. 법선 방향, 즉 표시장치(DD)의 표시면(DD-IS)에 따른 두께 방향은 제3 방향(DR3)이 지시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각 부재들 또는 유닛들의 전면(또는 상면)과 배면(또는 하면)은 제3 방향(DR3)에 의해 구분된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 도시된 제1 내지 제3 방향들(DR1, DR2, DR3)은 예시에 불과하고 제1 내지 제3 방향들(DR1, DR2, DR3)이 지시하는 방향들은 상대적인 개념으로서 다른 방향들로 변환될 수 있다. 이하, 제1 내지 제3 방향들은 제1 내지 제3 방향들(DR1, DR2, DR3) 각각 이 지시하는 방향으로써 동일한 도면 부호를 참조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평면형 표시면(DD-IS)을 구비한 표시장치(DD)를 도시하였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표시장치(DD)는 곡면형 표시면(DD-IS) 또는 입체형 표시면(DD-IS)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DD)는 리지드 표시장치일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DD)는 플렉서블 표시장치(DD)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핸드폰 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는 표시장치(DD)를 예시적으로 도시하였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메인보드에 실장된 전자모듈들, 카메라 모듈, 전원모듈 등이 표시장치(DD)와 함께 브라켓/케이스 등에 배치됨으로써 핸드폰 단말기를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표시장치(DD)는 텔레비전, 모니터 등과 같은 대형 전자장치를 비롯하여, 테블릿, 자동차 네비게이션, 게임기, 스마트 와치 등과 같은 중소형 전자장치 등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표시면(DD-IS)은 이미지(IM)가 표시되는 표시영역(DD-DA) 및 표시영역(DD-DA)에 인접한 비표시영역(DD-NDA)을 포함할 수 있다. 비표시영역(DD-NDA)은 이미지가 표시되지 않는 영역일 수 있다. 도 1에는 이미지(IM)의 일 예로 온도 및 날씨 이미지들을 도시하였다.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표시영역(DD-DA)은 사각형상일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표시영역(DD-DA) 및 비표시영역(DD-NDA) 은 다양한 형상(예컨대, 마름모형, 원형, 타원형 등)으로 디자인될 수 있다.
비표시영역(DD-NDA)은 표시영역(DD-DA)을 에워싸을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DD)의 단면도이다.
도 2는 제2 방향(DR2)과 제3 방향(DR3)이 정의하는 단면을 도시한다. 도 2는 표시장치(DD)를 구성하는 기능성 패널 및/또는 기능성 유닛들의 적층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단순하게 도시되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DD)는 표시패널, 입력감지유닛 및 윈도우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패널, 입력감지유닛 및 윈도우유닛 중 적어도 일부의 구성들은 연속공정에 의해 형성되거나, 적어도 일부의 구성들은 접착부재를 통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도 2에서 광학 투명 접착부재(OCA)는 접착부재의 대표적인 예로서 도시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접착부재는 통상의 접착제 또는 점착제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감지유닛 및 윈도우유닛 중 다른 구성과 연속공정을 통해 형성된 해당 구성은 "층"으로 표현된다.
입력감지유닛 및 윈도우유닛 중 다른 구성과 접착부재를 통해 결합된 구성은 "패널"로 표현된다.
“패널”은 베이스면을 제공하는 베이스층, 예컨대 합성수지 필름, 복합재료 필름, 유리 기판 등을 포함하지만, "층"은 상기 베이스층이 생략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층”으로 표현되는 상기 유닛들은 다른 유닛이 제공하는 베이스면 상에 배치된다.
입력감지유닛, 윈도우유닛은 베이스층의 유/무에 따라 입력감지패널, 윈도우패널 또는 입력감지층, 윈도우층로 지칭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B의 구성이 A의 구성 상에 직접 배치된다"는 것은 A의 구성과 B의 구성 사이에 별도의 접착층/접착부재가 배치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B 구성은 A 구성이 형성된 이후에 A구성이 제공하는 베이스면 상에 연속공정을 통해 형성된다.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표시장치(DD)는 표시패널(DP), 입력감지층(ISL) 및 윈도우패널(WP)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패널(DP)은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입력감지층(ISL)은 표시패널(DP) 상에 직접 배치될 수 있다.
표시패널(DP)과 표시패널(DP) 상에 직접 배치된 입력감지층(ISL)을 포함하여 표시모듈로 정의될 수 있다.
표시모듈과 윈도우패널(WP) 사이에 광학 투명 접착부재(OCA)가 배치될 수 있다.
윈도우패널(WP)은 외부로부터 표시패널(DP) 및 입력감지층(ISL)을 보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패널(DP)은 발광형 표시패널일 수 있고,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컨대, 표시패널(DP)은 유기발광 표시패널 또는 퀀텀닷 발광 표시패널일 수 있다. 유기발광 표시패널의 발광층은 유기발광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퀀텀닷 발광 표시패널의 발광층은 퀀텀닷, 및 퀀텀로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 표시패널(DP)은 유기발광 표시패널로 설명된다.
입력감지층(ISL)은 사용자 입력(예컨대, 터치, 압력, 지문 등)을 감지할 수 있다. 즉, 입력감지층(ISL)은 사용자 입력의 좌표정보 또는 압력정보 등을 획득할 수 있다.
도 2에서, 입력감지층(ISL)은 표시패널(DP)에 전체적으로 중첩하는 것으로 도시하였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입력감지층(ISL)은 표시영역(DD-DA)에 전체적으로 중첩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입력감지층(ISL)은 표시영역(DD-DA)에 부분적으로 중첩하거나, 비표시영역(DD-NDA)에만 중첩할 수도 있다.
입력감지층(ISL)은 사용자의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감지패널이거나, 사용자 손가락의 지문 정보를 감지하는 지문감지패널일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패널(DP)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표시패널(DP)은 베이스층(BL), 베이스층(BL) 상에 배치된 회로 소자층(DP-CL), 표시 소자층(DP-OLED), 및 박막 봉지층(TFE)을 포함할 수 있다. 별도로 도시되지 않았으나, 표시패널(DP)은 반사방지층, 굴절률 조절층 등과 같은 기능성층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층(BL)은 합성수지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패널(DP)의 제조시에 이용되는 작업기판 상에 합성수지층을 형성한다. 이후 합성수지층 상에 도전층 및 절연층 등을 형성한다. 작업기판이 제거되면 합성수지층은 베이스층(BL)에 대응한다. 합성수지층은 폴리이미드계 수지층일 수 있고, 그 재료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그밖에 베이스층(BL)은 유리 기판, 금속 기판, 또는 유/무기 복합재료 기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회로 소자층(DP-CL)은 적어도 하나의 절연층과 회로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회로 소자층(DP-CL)에 포함된 절연층은 중간 절연층으로 지칭된다. 중간 절연층은 적어도 하나의 중간 무기막과 적어도 하나의 중간 유기막을 포함할 수 있다.
회로 소자는 신호선, 화소의 구동회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코팅, 증착 등에 의한 절연층, 반도체층 및 도전층 형성공정과 포토리소그래피 공정에 의한 절연층, 반도체층 및 도전층층의 패터닝 공정을 통해 회로 소자층(DP-CL)이 형성될 수 있다.
표시 소자층(DP-OLED)은 발광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소자층(DP-OLED)은 유기발광 다이오드들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소자층(DP-OLED)은 화소 정의막과 같은 유기막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박막 봉지층(TFE)은 표시 소자층(DP-OLED)을 밀봉한다. 박막 봉지층(TFE)은 적어도 하나의 절연층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박막 봉지층(TFE)은 적어도 하나의 무기막(이하, 봉지 무기막)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박막 봉지층(TFE)은 적어도 하나의 유기막(이하, 봉지 유기막) 및 적어도 하나의 봉지 무기막을 포함할 수 있다.
봉지 무기막은 수분/산소로부터 표시 소자층(DP-OLED)을 보호하고, 봉지 유기막은 먼지 입자와 같은 이물질로부터 표시 소자층(DP-OLED)을 보호한다. 봉지 무기막은 실리콘 나이트라이드층, 실리콘 옥시 나이트라이드층, 실리콘 옥사이드층, 티타늄옥사이드층, 또는 알루미늄옥사이드층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이에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봉지 유기막은 아크릴 계열 유기막을 포함할 수 있고,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력감지층(ISL)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층" 형태의 입력감지층(ISL)은 표시패널(DP)이 제공하는 베이스면 상에 직접 배치된다. 따라서, 입력감지층(ISL)은 "패널" 형태의 입력감지패널과 달리 베이스층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으므로, 표시모듈의 두께는 감소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입력감지층(ISL)의 베이스면은 도 3에 도시된 표시패널(DP)의 박막 봉지층(TFE)의 상면일 수 있다.
박막 봉지층(TFE)이 노이즈를 차단할 만큼 충분히 두껍지 않기 때문에, 표시 소자층(DP-OLED)의 구성들에 의해 발생한 노이즈는 표시 소자층(DP-OLED)의 구성들 또는 입력감지층(ISL)에 영향을 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유기발광 다이오드(OLED, 도 6 참조)의 캐소드 전극은 표시 소자층(DP-OLED)의 상부에 위치하고, 제2 전원(ELVSS, 도 6 참조)에 연결되기 때문에, 노이즈는 제2 전원(ELVSS) 및 입력감지층(ISL)에 영향을 줄 수 있다.
"패널" 형태이든, "층" 형태이든 입력감지층(ISL)은 다층구조를 가질 수 있다.
입력감지층(ISL)은 감지전극들, 감지전극들에 연결된 신호선 및 적어도 하나의 절연층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감지층(ISL)은 예컨대, 정전용량 방식으로 외부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실시예에 따라, 입력감지층(ISL)은 전자기 유도방식 또는 압력 감지방식으로 외부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감지층(ISL)은 제1 도전층(IS-CL1), 제1 절연층(IS-IL1), 제2 도전층(IS-CL2), 및 제2 절연층(IS-IL2)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도전층(IS-CL1), 제1 절연층(IS-IL1), 제2 도전층(IS-CL2), 및 제2 절연층(IS-IL2)은 차례로 적층될 수 있다.
제1 도전층(IS-CL1) 및 제2 도전층(IS-CL2) 각각은 단층구조를 갖거나, 제3 방향(DR3)을 따라 적층된 다층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1 도전층(IS-CL1) 및 제2 도전층(IS-CL2) 각각은 금속층 및 투명 도전층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1 도전층(IS-CL1) 및 제2 도전층(IS-CL2) 각각은 감지전극들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도전층(IS-CL1) 및 제2 도전층(IS-CL2) 중 어느 하나는 감지전극들을 포함할 수 있다.
감지전극들의 적층 구조 및 재료는 센싱감도를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RC 딜레이가 센싱감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데, 금속층을 포함하는 감지전극들은 투명 도전층 대비 저항이 작기 때문에 RC 값이 감소된다, 따라서 감지전극들 사이에 정의된 커패시터의 충전시간이 감소된다. 투명 도전층을 포함하는 감지전극들은 금속층 대비 사용자에게 시인되지 않고, 입력 면적이 증가하여 커패시턴스를 증가시킨다. 금속층을 포함하는 감지전극들은 사용자에게 시인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메쉬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절연층(IS-IL1) 및 제2 절연층(IS-IL2) 각각은 단층 또는 다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1 절연층(IS-IL1) 및 제2 절연층(IS-IL2) 각각은 무기물 또는 유기물 또는 복합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패널(DP)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표시패널(DP)은 타이밍 제어부(110), 화소부(120), 구동 전원 공급부(130), 주사 구동부(140), 데이터 구동부(150) 및 노이즈 검출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타이밍 제어부(110)는 호스트 시스템(미도시)으로부터 출력된 영상 데이터 및 타이밍 신호들(예컨대, 수직동기신호, 수평동기신호,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 및 클럭신호 등)에 기초하여, 표시패널(DP)에 포함된 다른 구성들(예컨대, 구동 전원 공급부, 주사 구동부, 데이터 구동부, 노이즈 검출부)을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타이밍 제어부(110)는 전원 공급 제어 신호(PCS)를 구동 전원 공급부(130)로 출력하고, 주사 구동 제어 신호(SCS)를 주사 구동부(140)로 출력하고, 데이터 구동 제어 신호(DCS)를 데이터 구동부(150)로 출력하고, 노이즈 검출 제어 신호(NCS)를 노이즈 검출부(160)로 출력할 수 있다.
화소부(120)는 화소들(125)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화소부(120)는 도 1에 도시된 표시영역(DD-DA)에 대응될 수 있다.
화소들(125)은 매트릭스 구조로 배열될 수 있다. 예컨대, 화소들(125)은 수평라인마다 형성된 주사선들(S1 내지 Sn)(n은 자연수) 및 수직라인마다 형성된 데이터선들(D1 내지 Dm)(m은 자연수)에 연결될 수 있다.
화소들(125)은 데이터신호에 대응하여 소정 휘도의 빛을 외부로 공급할 수 있다.
구동 전원 공급부(130)는 타이밍 제어부(110)로부터 수신한 전원 공급 제어 신호(PCS)에 기초하여, 동작할 수 있다.
구동 전원 공급부(130)는 제1 전원(ELVDD) 및 제2 전원(ELVSS)을 화소부(120)로 공급하고, 제3 전원(VREF) 및 제4 전원(GND)을 노이즈 검출부(160)로 공급할 수 있다.
제1 전원(ELVDD)은 제2 전원(ELVSS)보다 높은 전압을 가질 수 있다.
제3 전원(VREF)은 기설정된 전압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제3 전원(VREF)은 노이즈가 포함되지 않은 제2 전원(ELVSS)의 전압을 가질 수 있다.
제4 전원(GND)은 그라운드 전압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제4 전원(GND)은 0의 전압을 가질 수 있다.
주사 구동부(140)는 타이밍 제어부(110)로부터 수신한 주사 구동 제어 신호(SCS)에 기초하여, 동작할 수 있다.
주사 구동부(140)는 주사선들(S1 내지 Sn)로 주사신호들을 공급할 수 있다.
주사신호들이 주사선들(S1 내지 Sn)로 공급되면, 화소들(125) 각각에 포함된 트랜지스터가 턴-온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주사신호들은 화소들(125) 각각에 포함된 트랜지스터가 턴-온될 수 있도록 게이트 온 전압(예컨대, 로우전압)으로 설정될 수 있다.
데이터 구동부(150)는 타이밍 제어부(11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 구동 제어 신호(DCS)에 기초하여, 동작할 수 있다.
데이터 구동부(150)는 데이터선들(D1 내지 Dm)로 데이터신호들을 공급할 수 있다.
예컨대, 데이터 구동부(150)는 데이터선들(D1 내지 Dm)로 영상 데이터에 상응하는 전압을 갖는 데이터신호들을 공급할 수 있다.
데이터 구동부(150)는 주사선들(S1 내지 Sn)로 순차적으로 공급되는 주사신호들에 동기되도록 데이터신호들을 공급할 수 있다.
이때, 영상 데이터에 상응하는 전압은 화소들(125)에 저장될 수 있다.
노이즈 검출부(160)는 타이밍 제어부(110)로부터 수신한 노이즈 검출 제어 신호(NCS)에 기초하여, 동작할 수 있다.
노이즈 검출부(160)는 제3 전원(VREF) 및 제4 전원(GND)을 공급받을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박막 봉지층(TFE)이 노이즈를 차단할 만큼 충분히 두껍지 않기 때문에, 표시 소자층(DP-OLED)의 구성들에 의해 발생한 노이즈는 표시 소자층(DP-OLED) 및 입력감지층(ISL)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노이즈 검출부(160)는 제2 전원(ELVSS)으로부터 노이즈를 검출할 수 있다. 즉, 노이즈 검출부(160)는 노이즈를 나타내는 노이즈전압을 생성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소(125)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소(125)의 등가회로도 및 노이즈 검출부(160)를 도시한다.
도 6에서는 화소부의 i(i는 자연수)번째 행 및 j(j는 자연수)번째 열에 배치된 화소를 도시하였다. 편의상, i번째 행의 현재 주사선을 "제i 주사선(Si)"으로, j번째 열의 데이터선을 "데이터선(Dj)"으로 지칭한다.
도 6에서, 제i 주사선(Si)은 i번째 행의 화소들로 주사 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현재 주사선일 수 있다.
도 6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화소(125)는 표시소자(예컨대, 유기발광 다이오드(OLED)), 제1 트랜지스터(T1), 제2 트랜지스터(T2) 및 스토리지 커패시터(Cst)를 포함할 수 있다.
유기발광 다이오드(OLED)의 애노드 전극은 제1 트랜지스터(T1)에 접속되고, 캐소드 전극은 제2 전원(ELVSS)에 접속될 수 있다. 이러한 유기발광 다이오드(OLED)는 제1 트랜지스터(T1)로부터 공급되는 구동전류의 전류량에 대응하여 소정 휘도의 빛을 생성한다. 유기발광 다이오드(OLED)로 구동전류가 흐를 수 있도록 제1 전원(ELVDD)의 전압 값은 제2 전원(ELVSS)의 전압 값보다 높게 설정될 수 있다. 예컨대, 유기발광 다이오드(OLED)는 제1 전원(ELVDD)으로부터 제2 전원(ELVSS)으로 흐르는 구동전류에 따라서 발광할 수 있다.
제1 트랜지스터(T1: 구동 트랜지스터)의 제1 전극은 제1 전원(ELVDD)에 접속되고, 제2 전극은 유기발광 다이오드(OLED)의 애노드 전극에 접속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트랜지스터(T1)의 게이트 전극은 제1 노드(N1)에 접속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트랜지스터(T1)는 제1 노드(N1)의 전압에 대응하여 제1 전원(ELVDD)으로부터 유기발광 다이오드(OLED)를 경유하여 제2 전원(ELVSS)으로 흐르는 구동전류의 전류량을 제어할 수 있다.
제2 트랜지스터(T2: 주사 트랜지스터)는 데이터선(Dj)과 제1 노드(N1) 사이에 접속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트랜지스터(T2)의 게이트 전극은 제i 주사선(Si)에 접속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트랜지스터(T2)는 제i 주사선(Si)으로 주사 신호가 공급될 때 턴-온되어 데이터선(Dj)과 제1 트랜지스터(T1)의 제1 전극을 전기적으로 접속시킬 수 있다. 즉, 제2 트랜지스터(T2)는, 제i 주사선(Si)으로 인가되는 주사신호에 따라, 제1 트랜지스터(T1)로 데이터선(Dj)에 인가되는 데이터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스토리지 커패시터(Cst)는 제1 전원(ELVDD)과 제1 노드(N1) 사이에 접속될 수 있다. 이러한 스토리지 커패시터(Cst)는 데이터 신호 및 제1 트랜지스터(T1)의 문턱 전압에 대응하는 전압을 저장할 수 있다.
등가회로는 하나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화소(125)는 복수 개의 트랜지스터들을 더 포함할 수 있고, 더 많은 개수의 커패시터들을 포함할 수 있다.
노이즈 검출부(160)는 제2 전원(ELVSS)에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노이즈 검출부(160)는 노이즈 검출선(NDL)을 통해 제2 전원(ELVSS)에 연결될 수 있다.
노이즈 검출선(NDL)은 유기발광 다이오드(OLED)들의 캐소드 전극, 즉, 제2 전원(ELVSS)과 노이즈 검출부(160)를 연결할 수 있다.
노이즈 검출부(160)는 제3 전원(VREF) 및 제4 전원(GND)을 공급받을 수 있다.
노이즈 검출부(160)는 제2 전원(ELVSS)으로부터 노이즈를 검출하고, 노이즈를 나타내는 노이즈전압(VN)을 생성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이즈 검출부(16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7은 유기발광 다이오드(OLED)를 포함하는 화소(125) 및 노이즈 검출부(160)를 도시한다.
도 7을 참조하면, 노이즈 검출부(160)는 제2 전원(ELVSS)에 연결될 수 있다. 노이즈 검출부(160)는 제2 전원(ELVSS)에 발생한 노이즈를 검출하고, 노이즈를 나타내는 노이즈전압(VN)을 생성할 수 있다.
노이즈 검출부(160)는 감지 커패시터(Cs), 제1 스위치(SW1) 및 제2 스위치(SW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스위치(SW1)는 감지 커패시터(Cs)의 제1 전극 및 제2 전원(ELVSS)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스위치(SW2)는 감지 커패시터(Cs)의 제2 전극으로, 제3 전원(VREF) 및 제4 전원(GND)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스위치(SW1) 및 제2 스위치(SW2)의 제어 신호는 도 6에 도시된 노이즈 검출 제어 신호(NCS)에 포함될 수 있다.
노이즈 검출부(160)의 구체적인 동작은 아래와 같다.
먼저, 제1 스위치(SW1)가 턴-온된다. 제1 스위치(SW1)가 턴-온 되면, 제2 스위치(SW2)는 토글 되어, 감지 커패시터(Cs)의 제2 전극으로 제3 전원(VREF)을 공급할 수 있다.
이때, 감지 커패시터(Cs)의 제1 전극으로 노이즈가 포함된 제2 전원(ELVSS)이 공급될 수 있고, 또한, 감지 커패시터(Cs)의 제2 전극으로 제3 전원(VREF)이 공급될 수 있다. 따라서, 감지 커패시터(Cs)는 두 전극에 공급되는 전원들의 전압 차를 저장할 수 있다. 예컨대, 제2 전원(ELVSS)의 전압을 [ELVSS]으로 지칭하고, 노이즈의 전압을 [VN]으로 지칭하고, 제3전원(VREF)의 전압을 [VREF]으로 지칭하면, 감지 커패시터(Cs)는 [ELVSS + VN - VREF]의 전압을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제3 전원(VREF)의 전압을 제2 전원(ELVSS)의 전압과 동일하게 조절하게 되면, 감지 커패시터(Cs)는 [VN]의 전압, 즉, 노이즈전압(VN)을 저장할 수 있다.
그 다음, 제1 스위치(SW2)가 턴-오프된다. 제1 스위치(SW1)가 턴-오프되면, 제2 스위치(SW2)는 감지 커패시터(Cs)의 제2 전극으로 제4 전원(GND)을 공급할 수 있다.
이때, 제4 전원(GND)은 0의 전압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감지 커패시터(Cs)의 제1 전극의 전압은 노이즈전압(VN)과 동일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력감지층(ISL)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입력감지층(ISL)은 감지제어부(210), 전극부(220), 제1 전극 구동부(230) 및 리드아웃회로(250)를 포함할 수 있다.
감지제어부(210)는 호스트 시스템(미도시)의 제어에 기초하여, 입력감지층(ISL)에 포함된 다른 구성들을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감지제어부(210)는 제1 전극 구동 제어 신호(ECS1)를 제1 전극 구동부(230)로 출력할 수 있다.
전극부(220)는 감지전극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전극부(220)는 도 1에 도시된 표시영역(DD-DA)에 대응될 수 있다.
감지전극들 중 적어도 일부는 도 2에 도시된 표시패널(DP)의 박막 봉지층(TFE) 상에 직접 배치될 수 있다.
감지전극들은 제1 감지전극들(IE1) 및 제2 감지전극들(IE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감지전극들(IE1)은 제1 방향(DR1)을 따라 나열되고, 각각이 제2 방향(DR2)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감지전극들(IE1)은 뮤추얼 캡 방식 및/또는 셀프 캡 방식으로 외부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제1 구간 동안에 뮤추얼 캡 방식 외부 입력의 좌표를 산출한 후 제2 구간 동안에 셀프 캡 방식으로 외부 입력의 좌표를 재 산출할 수도 있다.
도 8에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감지전극들(IE1)을 도시하였으나, 그 형상은 제한되지 않으며, 제1 감지전극들(IE1)은 마름모 모양 등의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감지전극들(IE1)은 신호선들을 통해 제1 전극 구동부(230)에 연결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1 감지전극들(IE1)은 메쉬 형상을 갖고,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감지전극들(IE1)은 메탈 메쉬 패턴으로 지칭될 수 있다.
제2 감지전극들(IE2)은 제2 방향(DR2)을 따라 나열되고, 각각이 제1 방향(DR1)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 감지전극들(IE2)은 뮤추얼 캡 방식 및/또는 셀프 캡 방식으로 외부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제1 구간 동안에 뮤추얼 캡 방식 외부 입력의 좌표를 산출한 후 제2 구간 동안에 셀프 캡 방식으로 외부 입력의 좌표를 재 산출할 수도 있다.
도 8에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감지전극들(IE2)을 도시하였으나, 그 형상은 제한되지 않으며, 제2 감지전극들(IE2)은 마름모 모양 등의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 감지전극들(IE2)은 신호선들을 통해 제2 전극 구동부(240)에 연결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2 감지전극들(IE2)은 메쉬 형상을 갖고,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2 감지전극들(IE2)은 메탈 메쉬 패턴으로 지칭될 수 있다.
제1 감지전극들(IE1) 및 제2 감지전극들(IE2)은 서로 교차할 수 있다.
제1 전극 구동부(230)는 감지제어부(210)로부터 수신한 제1 전극 구동 제어 신호(ECS1)에 기초하여, 동작할 수 있다.
제1 전극 구동부(230)는 제1 감지전극들(IE1)로 제1 전극 구동 신호들을 공급할 수 있다.
제1 전극 구동 신호들이 공급되면, 제1 감지전극들(IE1)은 임의의 특정 전압을 가질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1 전극 구동부(230)는 제1 전극 구동 신호들을 순차적으로 또는 동시에 공급할 수 있다.
제1 감지전극들(IE1) 및 제2 감지전극들(IE2)의 전압은 사용자의 터치에 의해 변경될 수 있다. 이하에서, 제2 감지전극들(IE2)의 전압은 감지전압으로 칭한다.
예컨대,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전극부(220)와 중첩되는 표시장치(DD, 도 1 참조)의 전면부를 터치하게 되면, 제1 감지전극들(IE1) 및 제2 감지전극들(IE2)의 상부에 사용자의 손가락이 접촉될 수 있다. 제1 감지전극들(IE1) 및 제2 감지전극들(IE2)의 상부에 사용자의 손가락이 접촉되면, 제1 감지전극들(IE1) 및 제2 감지전극들(IE2) 사이에 형성된 전기장(electric field) 중 일부가 감소될 수 있다. 전기장이 감소하게 되면, 제1 감지전극들(IE1) 및 제2 감지전극들(IE2) 사이에 형성된 정전용량이 변경되어, 제1 감지전극들(IE1) 및 제2 감지전극들(IE2) 사이에 형성된 정전용량이 변경될 수 있다. 제1 감지전극들(IE1) 및 제2 감지전극들(IE2) 사이에 형성된 정전용량이 변경됨에 따라, 감지전압이 변경될 수 있다.
또한, 감지전압은 표시 소자층(DP-OLED, 도 3 참조)의 구성들에 의해 발생한 노이즈에 의해 변경될 수 있다.
예컨대, 박막 봉지층(TFE)이 노이즈를 차단할 만큼 충분히 두껍지 않기 때문에, 표시 소자층(DP-OLED)의 구성들에 의해 발생한 노이즈는 표시 소자층(DP-OLED) 및 입력감지층(ISL)의 제2 감지전극들(IE2)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상기 영향으로 인하여, 감지전압은 변경될 수 있다.
리드아웃회로(250)는 감지전압을 입력받을 수 있다. 또한, 리드아웃회로(250)는 도 7에서 설명된 노이즈전압(VN)을 입력받을 수 있다.
리드아웃회로(250)는 노이즈전압(VN)을 기초로, 감지전압에 포함된 노이즈를 제거함으로써, 출력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드아웃회로(25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9는 제2 감지전극(IE2), 노이즈 검출부(160), 및 리드아웃회로(250)를 도시한다.
도 9를 참조하면, 리드아웃회로(250)는 노이즈전압(VN)을 기초로, 감지전압(VS)에 포함된 노이즈를 제거함으로써, 출력신호(VO)를 생성할 수 있다.
리드아웃회로(250)는 차동증폭기(251), 보조 커패시터(Ctch), 제3 스위치(SW3) 및 제4 스위치(SW4)를 포함할 수 있다.
차동증폭기(251)는 감지전압(VS)을 수신하는 제1 입력단자, 노이즈전압(VN)을 수신하는 제2 입력단자 및 출력신호(VO)를 출력하는 출력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입력단자는 음극단자이고, 제2 입력단자는 양극단자일 수 있다.
보조 커패시터(Ctch)는 제1 입력단자 및 출력단자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제3 스위치(SW3)는 제2 감지전극들(IE2) 중 어느 하나 및 제1 입력단자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회로적으로 볼 때, 차동증폭기(251), 보조 커패시터(Ctch) 및 제3 스위치(SW3)는 적분회로를 구성할 수 있다.
제4 스위치(SW4)는 보조 커패시터(Ctch)와 병렬로 배치되며, 제1 입력단자 및 출력단자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제3 스위치(SW3) 및 제4 스위치(SW4)의 제어 신호는 도 8에 도시된 감지제어부(210)로부터 생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제4 스위치(SW4)는 생략될 수 있다.
리드아웃회로(250)의 구체적인 동작은 아래와 같다.
먼저, 제3 스위치(SW3)가 턴-온 된다. 제3 스위치(SW3)가 턴-온 되면, 보조 커패시터(Ctch)는 초기화될 수 있다.
이후, 제3 스위치(SW3)가 턴-오 프되고, 제4 스위치(SW4)가 턴-온 되면, 제1 입력단자로 노이즈가 포함된 감지전압(VS)이 입력될 수 있고, 제2 입력단자로 노이즈전압(VN)이 입력될 수 있다. 예컨대, 감지전압을 [VS]으로 지칭하고, 노이즈의 전압을 [VN]으로 지칭하면, 제1 입력단자로 [VS + VN]의 전압이 인가되고, 제2 입력단자로 [VN]의 전압이 인가될 수 있다.
따라서, 차동증폭기(251)는 제1 입력단자 및 제2 입력단자의 차이 전압 [VS]을 기초로, 출력신호(V0)를 생성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DD: 표시장치
DD-IS: 표시면
DP: 표시패널
ISL: 입력감지층
OLED: 유기발광 다이오드
TFE: 박막 봉지층

Claims (15)

  1. 이미지를 생성하기 위한 표시패널; 및
    상기 표시패널 상에 배치되며,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기 위한 입력감지층을 포함하고,
    상기 표시패널은,
    제1 전원으로부터 제2 전원으로 흐르는 구동전류에 따라서 발광하는 유기발광 다이오드를 각각 포함하는 화소들; 및
    상기 제2 전원으로부터 노이즈를 검출하여, 노이즈전압을 생성하는 노이즈 검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감지층은,
    서로 교차하는 제1 감지전극들 및 제2 감지전극들; 및
    상기 노이즈전압을 기초로, 상기 제2 감지전극들로부터 수신한 감지전압에 포함된 상기 노이즈를 제거하는 리드아웃회로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감지층은, 상기 표시패널 상에 직접 배치되는,
    표시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패널은,
    상기 화소들로 상기 제1 전원 및 상기 제2 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노이즈 검출부로 제3 전원 및 제4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구동 전원 공급부를 더 포함하는,
    표시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이즈 검출부는,
    상기 노이즈전압을 저장하기 위한 감지 커패시터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노이즈 검출부는,
    상기 감지 커패시터의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원 사이에 연결되는 제1 스위치; 및
    상기 감지 커패시터의 제2 전극으로, 제3 전원 및 제4 전원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제2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표시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위치가 턴-온 되면, 상기 제2 스위치는 상기 감지 커패시터의 상기 제2 전극으로 상기 제3 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제1 스위치가 턴-오프 되면, 상기 제2 스위치는 상기 감지 커패시터의 상기 제2 전극으로 상기 제4 전원을 공급하는,
    표시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전원은, 상기 노이즈가 포함되지 않은 상기 제2 전원의 전압을 갖고,
    상기 제4 전원은, 그라운드 전압을 갖는,
    표시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수평라인마다 형성된 주사선들로 주사신호들을 공급하기 위한 주사 구동부; 및
    수직라인마다 형성된 데이터선들로 데이터신호들을 공급하기 위한 데이터 구동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화소들은, 상기 주사선들 및 상기 데이터선들에 연결되는,
    표시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소들 중 제i 주사선(i는 자연수) 및 제j 데이터선(j는 자연수)에 연결된 화소는,
    상기 유기발광 다이오드;
    상기 제1 전원 및 상기 유기발광 다이오드 사이에 연결되며, 제1 노드의 전압에 대응하여, 상기 구동전류를 제어하기 위한 제1 트랜지스터;
    상기 제j 데이터선 및 상기 제1 노드 사이에 연결되며, 상기 제i 주사선으로 주사신호가 공급될 때 턴-온되는 제2 트랜지스터; 및
    상기 제1 노드 및 상기 제1 전원 사이에 연결되는 스토리지 커패시터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아웃회로는,
    상기 감지전압을 수신하는 제1 입력단자, 상기 노이즈 전압을 수신하는 제2 입력단자 및 출력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단자를 포함하는 차동증폭기; 및
    상기 제1 입력단자 및 상기 출력단자 사이에 연결되는 보조 커패시터;
    상기 제2 감지전극들 중 어느 하나 및 상기 제1 입력단자 사이에 연결되는 제3 스위치; 및
    상기 보조 커패시터와 병렬로 배치되며, 상기 제1 입력단자 및 상기 출력단자 사이에 연결되는 제4 스위치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입력단자는, 상기 감지전압을 수신하고,
    상기 제2 입력단자는 상기 노이즈전압을 수신하는,
    표시장치.
  12. 제1 전원으로부터 제2 전원으로 흐르는 구동전류에 따라서 발광하는 유기발광 다이오드, 및 상기 제2 전원의 노이즈를 검출하는 노이즈 검출부를 포함하는 표시패널; 및
    서로 교차하는 제1 감지전극들과 제2 감지전극들, 및 상기 제2 감지전극들로부터 수신한 감지전압에 포함된 상기 노이즈를 제거하는 리드아웃회로를 포함하는 입력감지층을 포함하고,
    상기 노이즈 검출부는, 상기 노이즈를 나타내는 노이즈전압을 생성하여, 상기 리드아웃회로로 출력하는,
    표시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노이즈 검출부는,
    상기 노이즈전압을 저장하기 위한 감지 커패시터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아웃회로는,
    상기 감지전압을 수신하는 제1 입력단자, 상기 노이즈전압을 수신하는 제2 입력단자 및 출력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단자를 포함하는 차동증폭기; 및
    상기 제1 입력단자 및 상기 출력단자 사이에 연결되는 보조 커패시터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감지층은, 상기 표시패널 상에 직접 배치되는,
    표시장치.
KR1020180006653A 2018-01-18 2018-01-18 표시장치 KR1025579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6653A KR102557952B1 (ko) 2018-01-18 2018-01-18 표시장치
US16/214,213 US10877601B2 (en) 2018-01-18 2018-12-10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6653A KR102557952B1 (ko) 2018-01-18 2018-01-18 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8585A true KR20190088585A (ko) 2019-07-29
KR102557952B1 KR102557952B1 (ko) 2023-07-24

Family

ID=672132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6653A KR102557952B1 (ko) 2018-01-18 2018-01-18 표시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877601B2 (ko)
KR (1) KR10255795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41289A (ko) * 2020-09-24 2022-04-0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것의 동작 방법
CN115128358A (zh) * 2022-07-28 2022-09-30 深圳市汇顶科技股份有限公司 电容检测电路、芯片及电子设备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110040A1 (en) * 2008-10-30 2010-05-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Touch controller having increased sensing sensitivity, and display driving circuit and display device and system having the touch controller
US20140152617A1 (en) * 2012-12-05 2014-06-05 Japan Display Inc. Display device with touch detection function, drive method thereof, and electronic apparatus
US20140218331A1 (en) * 2013-02-07 2014-08-07 Au Optronics Corporation Dynamic power adjustment of level shift for noise rejection in capacitance touch system
US20140333676A1 (en) * 2013-05-10 2014-11-13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US20170131838A1 (en) * 2015-11-06 2017-05-11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Touch control apparatus and noise compensating circuit and method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91380A (ko) * 2010-02-05 2011-08-11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패널의 노이즈 보상 방법 및 장치
KR101763939B1 (ko) 2010-12-08 2017-08-0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스크린 패널 일체형 표시장치와 그의 노이즈 보상방법
TWI402731B (zh) 2010-12-14 2013-07-21 Au Optronics Corp 觸控面板及降低觸控面板上共同電壓耦合的雜訊的方法
KR101958448B1 (ko) * 2012-12-04 2019-07-0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KR101614057B1 (ko) * 2012-12-07 2016-04-2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터치 인식 방법
TWI531949B (zh) * 2014-06-26 2016-05-01 矽創電子股份有限公司 電容電壓資訊感測電路及其相關抗雜訊觸控電路
KR102356368B1 (ko) * 2014-11-18 2022-01-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방법
KR102375274B1 (ko) 2015-09-10 2022-03-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감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JP2017091224A (ja) * 2015-11-10 2017-05-25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タッチ検出機能付き表示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110040A1 (en) * 2008-10-30 2010-05-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Touch controller having increased sensing sensitivity, and display driving circuit and display device and system having the touch controller
US20140152617A1 (en) * 2012-12-05 2014-06-05 Japan Display Inc. Display device with touch detection function, drive method thereof, and electronic apparatus
US20140218331A1 (en) * 2013-02-07 2014-08-07 Au Optronics Corporation Dynamic power adjustment of level shift for noise rejection in capacitance touch system
US20140333676A1 (en) * 2013-05-10 2014-11-13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US20170131838A1 (en) * 2015-11-06 2017-05-11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Touch control apparatus and noise compensating circuit and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57952B1 (ko) 2023-07-24
US20190220143A1 (en) 2019-07-18
US10877601B2 (en) 2020-1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95483B2 (en) Touch display device, touch circuit, and driving method
KR102601207B1 (ko) 표시장치
US20220036826A1 (en) Display panel having an input sensing function and a display device
KR102614333B1 (ko) 표시장치
KR102586113B1 (ko) 터치스크린 내장형 표시패널, 터치스크린 내장형 표시장치, 통합 구동 회로 및 구동 방법
CN108231835B (zh) 显示模块
US10846499B2 (en) Fingerprint sensor,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of operating fingerprint sensor
US20230266849A1 (en) Display device
EP3483708B1 (en) Sensing part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2426008B1 (ko) 입력감지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모듈
KR20190018591A (ko) 표시장치
KR20200066471A (ko) 표시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EP3719622A1 (en) Touch sensing unit having force sensor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touch sensing unit
KR20180074880A (ko) 표시장치
KR20200084496A (ko) 터치 감지 유닛 및 그것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20190071032A (ko) 입력감지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KR20200027134A (ko)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KR20210100786A (ko)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102557952B1 (ko) 표시장치
KR102464268B1 (ko) 표시장치
KR20180052830A (ko) 표시모듈
KR102559457B1 (ko) 표시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CN112447794A (zh) 显示装置
US11740738B2 (en) Display device including sensing driver that drives input sensing layer
KR20240051006A (ko) 표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모바일 전자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