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7134A -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7134A
KR20200027134A KR1020180104791A KR20180104791A KR20200027134A KR 20200027134 A KR20200027134 A KR 20200027134A KR 1020180104791 A KR1020180104791 A KR 1020180104791A KR 20180104791 A KR20180104791 A KR 20180104791A KR 20200027134 A KR20200027134 A KR 202000271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s
electrode
display device
mode
dr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47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79896B1 (ko
Inventor
최재우
김태준
서은솔
조현욱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047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9896B1/ko
Priority to US16/449,049 priority patent/US11195447B2/en
Priority to CN201910825979.9A priority patent/CN110875012A/zh
Publication of KR202000271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7134A/ko
Priority to US17/457,818 priority patent/US11495165B2/en
Priority to US17/937,805 priority patent/US11942018B2/en
Priority to KR1020230121904A priority patent/KR202301344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98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98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6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 H04W52/0267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by controlling user interface components
    • H04W52/027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by controlling user interface components by controlling a display operation or backlight uni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092Details of a display terminals using a flat panel, the details relating to the control arrangement of the display terminal and to the interfaces thereto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64Connections between sensors and controllers, e.g. routing lines between electrodes and connection p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66Details of scanning methods, e.g. sampling time, grouping of sub areas or time sharing with display driving
    • G06F3/041662Details of scanning methods, e.g. sampling time, grouping of sub areas or time sharing with display driving using alternate mutual and self-capacitive scan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3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single layer of sensing electr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5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two or more layers of sensing electrodes, e.g. using two layers of electrodes separated by a dielectric lay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6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grid-like structure of electrodes in at least two directions, e.g. using row and column electr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8Details of the electrode shape, e.g. for enhancing the detection of touches, for generating specific electric field shapes, for enhancing display qualit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092Details of a display terminals using a flat panel, the details relating to the control arrangement of the display terminal and to the interfaces thereto
    • G09G3/2096Details of the interface to the display terminal specific for a flat panel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5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according to context-related or environment-related condi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6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to restrict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40OLEDs integrated with touch scree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12.5D-digitiser, i.e. digitiser detecting the X/Y position of the input means, finger or stylus, also when it does not touch, but is proximate to the digitiser's interaction surface and also measures the distance of the input means within a short range in the Z direction, possibly with a separate measurement setu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8Touchless 2D- digitiser, i.e. digitiser detecting the X/Y position of the input means, finger or stylus, also when it does not touch, but is proximate to the digitiser's interaction surface without distance measurement in the Z dire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12Electrode mesh in capacitive digitiser: electrode for touch sensing is formed of a mesh of very fine, normally metallic, interconnected lines that are almost invisible to see. This provides a quite large but transparent electrode surface, without need for ITO or similar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2Composi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23Display panel composed of stacked pane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2Details of power systems and of start or stop of display operation
    • G09G2330/021Power management, e.g. power sav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2Details of power systems and of start or stop of display operation
    • G09G2330/021Power management, e.g. power saving
    • G09G2330/022Power management, e.g. power saving in absence of operation, e.g. no data being entered during a predetermined tim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2Details of power systems and of start or stop of display operation
    • G09G2330/027Arrangements or methods related to powering off a displa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54/00Aspects of interface with display us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이미지를 생성하기 위한 표시 패널; 및 상기 표시 패널 상에 배치되며,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기 위한 입력 감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 감지부는, 서로 교차하는 제1 전극들 및 제2 전극들을 포함하는 전극부; 및 상기 제1 전극들 및 상기 제2 전극들의 정전용량 변화 값들을 기초로, 물체의 근접 여부 또는 상기 물체의 형상을 판단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셀프 커패시턴스 방식으로 구동되는 제1 모드에서, 상기 정전용량 변화 값들을 병합하고, 상기 병합된 값을 기초로 상기 물체의 근접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Description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의 실시예는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정보화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사용자와 정보간의 연결매체인 표시 장치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이에 부응하여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등, 표시 장치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표시 장치는 각 화소에 목적하는 계조를 표현할 수 있는 데이터 전압을 기입하고, 데이터 전압에 대응하여 유기 발광 다이오드를 발광시키거나 액정의 배향을 조정하여 백라이트 광을 편광시킴으로써 목적하는 화상을 사용자에게 표시한다.
표시 장치는, 영상 표시 기능과 더불어, 사용자의 터치를 입력받기 위한 터치 센서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전력 소비를 감소시킬 수 있는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이미지를 생성하기 위한 표시 패널; 및 상기 표시 패널 상에 배치되며,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기 위한 입력 감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 감지부는, 서로 교차하는 제1 전극들 및 제2 전극들을 포함하는 전극부; 및 상기 제1 전극들 및 상기 제2 전극들의 정전용량 변화 값들을 기초로, 물체의 근접 여부 또는 상기 물체의 형상을 판단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셀프 커패시턴스 방식으로 구동되는 제1 모드에서, 상기 정전용량 변화 값들을 병합하고, 상기 병합된 값을 기초로 상기 물체의 근접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물체가 근접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호 커패시턴스 방식으로 구동되는 제2 모드에서, 상기 정전용량 변화 값들을 기초로 상기 물체의 형상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모드에서, 상기 제1 전극들 및 상기 제2 전극들은 하나의 전극으로 통합되어 구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물체가 얼굴의 측면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표시 패널은, 제3 모드에서, 상기 이미지의 표시를 중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 감지부는, 상기 표시 패널 상에 직접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 감지부는, 접착부재를 통해 상기 표시 패널과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 감지부는, 상기 제1 전극들로 제1 구동 전압을 제공하기 위한 제1 전극 구동부; 및 상기 제2 전극들로 제2 구동 전압을 제공하기 위한 제2 전극 구동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전극 구동부 및 상기 제2 전극 구동부는, 상기 제1 모드에서, 상기 제1 구동 전압 및 상기 제2 구동 전압을 상기 제1 전극들 및 상기 제2 전극들로 동시에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구동 전압 및 상기 제2 구동 전압은, 서로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 감지부는, 상기 제1 전극들의 정전용량 변화 값들을 나타내는 제1 감지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제1 전극 감지부; 상기 제2 전극들의 정전용량 변화 값들을 나타내는 제2 감지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제2 전극 감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전극들 각각은, 제1 센서부들 및 상기 제1 센서부들을 서로 연결시키기 위한 제1 연결부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전극들 각각은, 제2 센서부들 및 상기 제2 센서부들을 서로 연결시키기 위한 제2 연결부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센서부들 및 상기 제2 센서부들은, 서로 동일한 층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연결부들 및 상기 제2 연결부들은, 서로 상이한 층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물체가 근접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표시 패널은, 제3 모드에서, 상기 이미지의 표시를 중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를 생성하기 위한 표시 패널; 및 상기 표시 패널 상에 배치되며, 서로 교차하는 제1 전극들 및 제2 전극들을 포함하는 입력 감지부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은, 통화 시, 셀프 커패시턴스 방식으로 구동되는 제1 모드로 진입하는 단계; 상기 제1 모드에서, 상기 제1 전극들 및 상기 제2 전극들의 정전용량 변화 값들을 병합하고, 상기 병합된 값을 기초로 물체의 근접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물체가 근접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호 커패시턴스 방식으로 구동되는 제2 모드로 진입하는 단계; 상기 제2 모드에서, 상기 물체의 형상을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물체가 얼굴의 측면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이미지의 표시가 중단되는 제3 모드로 진입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물체의 형상을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제2 모드에서, 상기 정전용량 변화 값들을 기초로 상기 물체의 형상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 감지부는, 상기 제1 전극들로 제1 구동 전압을 제공하기 위한 제1 전극 구동부; 및 상기 제2 전극들로 제2 구동 전압을 제공하기 위한 제2 전극 구동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모드에서, 상기 제1 전극 구동부 및 상기 제2 전극 구동부는, 상기 제1 구동 전압 및 상기 제2 구동 전압을 상기 제1 전극들 및 상기 제2 전극들로 동시에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 감지부는, 상기 제1 전극들의 정전용량 변화 값들을 나타내는 제1 감지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제1 전극 감지부; 상기 제2 전극들의 정전용량 변화 값들을 나타내는 제2 감지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제2 전극 감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모드에서, 상기 제1 전극들 및 상기 제2 전극들은 하나의 전극으로 통합되어 구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를 생성하기 위한 표시 패널; 및 상기 표시 패널 상에 배치되며, 서로 교차하는 제1 전극들 및 제2 전극들을 포함하는 입력 감지부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은, 셀프 커패시턴스 방식으로 구동되는 제1 모드로 진입하는 단계; 상기 제1 모드에서, 상기 제1 전극들 및 상기 제2 전극들의 정전용량 변화 값들을 병합하고, 상기 병합된 값을 기초로 물체의 근접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물체가 근접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이미지의 표시가 중단되는 제3 모드로 진입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은 전력 소비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은 통화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력 감지부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력 감지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 및 그 밖에 당업자가 본 발명의 내용을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필요한 사항에 대하여 상세히 기재한다. 다만, 본 발명은 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므로 하기에 설명하는 실시예는 표현 여부에 불구하고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다.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두께, 비율, 및 치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및/또는"은 연관된 구성들이 정의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조합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아래에", "하측에", "위에", "상측에" 등의 용어는 도면에 도시된 구성들의 연관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다. 상기 용어들은 상대적인 개념으로, 도면에 표시된 방향을 기준으로 설명된다.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즉,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하의 설명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번호 및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DD)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표시 장치(DD)는 표시면(DD-IS)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면(DD-IS)은 표시 장치(DD)의 전면에 위치할 수 있다. 표시 장치(DD)는 표시면(DD-IS)을 통해 이미지(IM)를 표시할 수 있다. 표시면(DD-IS)은 제1 방향(DR1) 및 제2 방향(DR2)이 정의하는 면과 평행한다. 법선 방향, 즉 표시 장치(DD)의 표시면(DD-IS)에 따른 두께 방향은 제3 방향(DR3)이 지시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각 부재들 또는 유닛들의 전면(또는 상면)과 배면(또는 하면)은 제3 방향(DR3)에 의해 구분된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 도시된 제1 내지 제3 방향들(DR1, DR2, DR3)은 예시에 불과하고 제1 내지 제3 방향들(DR1, DR2, DR3)이 지시하는 방향들은 상대적인 개념으로서 다른 방향들로 변환될 수 있다. 이하, 제1 내지 제3 방향들은 제1 내지 제3 방향들(DR1, DR2, DR3) 각각 이 지시하는 방향으로써 동일한 도면 부호를 참조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평면형 표시면(DD-IS)을 구비한 표시 장치(DD)를 도시하였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표시 장치(DD)는 곡면형 표시면(DD-IS) 또는 입체형 표시면(DD-IS)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DD)는 리지드 표시 장치일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DD)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DD)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핸드폰 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는 표시 장치(DD)를 예시적으로 도시하였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메인보드에 실장된 전자모듈들, 카메라 모듈, 전원모듈 등이 표시 장치(DD)와 함께 브라켓/케이스 등에 배치됨으로써 핸드폰 단말기를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DD)는 텔레비전, 모니터 등과 같은 대형 전자장치를 비롯하여, 테블릿, 자동차 네비게이션, 게임기, 스마트 와치 등과 같은 중소형 전자장치 등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표시면(DD-IS)은 이미지(IM)가 표시되는 표시영역(DD-DA) 및 표시영역(DD-DA)에 인접한 비표시영역(DD-NDA)을 포함할 수 있다. 비표시영역(DD-NDA)은 이미지가 표시되지 않는 영역일 수 있다. 도 1에는 이미지(IM)의 일 예로 온도 및 날씨 이미지들을 도시하였다.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표시영역(DD-DA)은 사각형상일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표시영역(DD-DA) 및 비표시영역(DD-NDA) 은 다양한 형상(예컨대, 마름모형, 원형, 타원형 등)으로 디자인될 수 있다.
비표시영역(DD-NDA)은 표시영역(DD-DA)을 에워싸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DD)는 휴대 전화로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가 표시 장치(DD)를 이용하여 통화 시, 표시 장치(DD)는 제1 모드, 제2 모드 및 제3 모드 중 어느 하나로 구동될 수 있다.
제1 모드는 근접 감지 모드를 의미할 수 있다. 제2 모드는 형상 감지 모드를 의미할 수 있다. 이와 관련된 상세한 내용은 도 5에서 설명된다.
제3 모드는 통화 활성 모드를 의미할 수 있다. 제 3모드에서, 표시 장치(DD)는 표시 영역(DD-DA)으로 이미지(IM) 표시를 중단함으로써, 전력 소비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표시 장치(DD)는 제3 모드에서, 시스템 리소스를 통화 기능에 보다 할당함으로써, 통화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관련된 표시 장치(DD)의 구동 방법에 대한 상세한 내용은 도 6a 및 도 6b에서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DD)의 단면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제2 방향(DR2)과 제3 방향(DR3)이 정의하는 단면을 도시한다. 도 2는 표시 장치(DD)를 구성하는 기능성 패널 및/또는 기능성 유닛들의 적층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단순하게 도시되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DD)는 표시 패널, 입력 감지부 및 윈도우부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패널, 입력 감지부 및 윈도우부 중 적어도 일부의 구성들은 연속공정에 의해 형성되거나, 적어도 일부의 구성들은 접착부재를 통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도 2a 및 도 2b에서 광학 투명 접착부재(OCA)는 접착부재의 대표적인 예로서 도시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접착부재는 통상의 접착제 또는 점착제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 감지부 및 윈도우부 중 다른 구성과 연속공정을 통해 형성된 해당 구성은 "층"으로 표현된다.
입력 감지부 및 윈도우부 중 다른 구성과 접착부재를 통해 결합된 구성은 "패널"로 표현된다.
"패널"은 베이스면을 제공하는 베이스층, 예컨대 합성수지 필름, 복합재료 필름, 유리 기판 등을 포함하지만, "층"은 상기 베이스층이 생략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층"으로 표현되는 상기 유닛들은 다른 유닛이 제공하는 베이스면 상에 배치된다.
입력 감지부, 윈도우부는 베이스층의 유/무에 따라 입력 감지 패널, 윈도우 패널 또는 입력 감지층, 윈도우층으로 지칭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B의 구성이 A의 구성 상에 직접 배치된다"는 것은 A의 구성과 B의 구성 사이에 별도의 접착층/접착부재가 배치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B 구성은 A 구성이 형성된 이후에 A구성이 제공하는 베이스면 상에 연속공정을 통해 형성된다.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표시 장치(DD)는 표시 패널(DU), 입력 감지부(ISU) 및 윈도우부(WU)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a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입력 감지부(ISU)는 표시 패널(DU) 상에 직접 배치될 수 있다. 즉, 도 2a에 도시된 입력 감지부(ISU)는 입력 감지층일 수 있다.
도 2b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입력 감지부(ISU)는 표시 패널(DU) 상에 배치되며, 표시 패널(DU)과 광학 투명 접착부재(OCA)를 통해 결합될 수 있다. 즉, 도 2b에 도시된 입력 감지부(ISU)는 입력 감지 패널일 수 있다.
이하에서,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DD)의 공통적인 특징이 설명된다.
표시 패널(DU)은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표시 패널(DU)과 입력 감지부(ISU)는 표시 모듈(DM)로 정의될 수 있다.
표시 모듈(DM)은 윈도우부(WU)와 광학 투명 접착부재(OCA)를 통해 결합될 수 있다. 즉,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윈도우부(WU)는 윈도우 패널일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실시예에 따라, 윈도우부(WU)는 표시 모듈(DM) 상에 직접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윈도우부(WU)는 윈도우층일 수 있다. 윈도우부(WU)는 외부로부터 표시 패널(DU) 및 입력 감지부(ISU)를 보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DU)은 발광형 표시 패널일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에 따라, 표시 패널(DU)은 유기발광 표시 패널 또는 퀀텀닷 발광 표시 패널일 수 있다. 유기발광 표시 패널의 발광층은 유기발광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퀀텀닷 발광 표시 패널의 발광층은 퀀텀닷, 및 퀀텀로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 표시 패널(DU)은 유기발광 표시 패널로 설명된다.
입력 감지부(ISU)는 사용자 입력(예컨대, 터치, 압력, 지문 등)을 감지할 수 있다. 즉, 입력 감지부(ISU)는 사용자 입력의 좌표정보 또는 압력정보 등을 획득할 수 있다.
도 2a 및 도 2b에서, 입력 감지부(ISU)는 표시 패널(DU)에 전체적으로 중첩하는 것으로 도시하였다. 도 1,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입력 감지부(ISU)는 표시영역(DD-DA)에 전체적으로 중첩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입력 감지부(ISU)는 표시영역(DD-DA)에 부분적으로 중첩하거나, 비표시영역(DD-NDA)에만 중첩할 수도 있다.
입력 감지부(ISU)는 사용자의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감지패널이거나, 사용자 손가락의 지문 정보를 감지하는 지문감지패널일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DU)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표시 패널(DU)은 베이스층(BL), 베이스층(BL) 상에 배치된 회로 소자층(DU-CL), 표시 소자층(DU-OLED), 및 박막 봉지층(TFE)을 포함할 수 있다. 별도로 도시되지 않았으나, 표시 패널(DU)은 반사방지층, 굴절률 조절층 등과 같은 기능성층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층(BL)은 합성수지층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패널(DU)의 제조시에 이용되는 작업기판 상에 합성수지층을 형성한다. 이후 합성수지층 상에 도전층 및 절연층 등을 형성한다. 작업기판이 제거되면 합성수지층은 베이스층(BL)에 대응한다. 합성수지층은 폴리이미드계 수지층일 수 있고, 그 재료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그밖에 베이스층(BL)은 유리 기판, 금속 기판, 또는 유/무기 복합재료 기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회로 소자층(DU-CL)은 적어도 하나의 절연층과 회로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회로 소자층(DU-CL)에 포함된 절연층은 중간 절연층으로 지칭된다. 중간 절연층은 적어도 하나의 중간 무기막과 적어도 하나의 중간 유기막을 포함할 수 있다.
회로 소자는 신호선, 화소의 구동회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코팅, 증착 등에 의한 절연층, 반도체층 및 도전층 형성공정과 포토리소그래피 공정에 의한 절연층, 반도체층 및 도전층층의 패터닝 공정을 통해 회로 소자층(DU-CL)이 형성될 수 있다.
표시 소자층(DU-OLED)은 발광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소자층(DU-OLED)은 유기발광 다이오드들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소자층(DU-OLED)은 화소 정의막과 같은 유기막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박막 봉지층(TFE)은 표시 소자층(DU-OLED)을 밀봉한다. 박막 봉지층(TFE)은 적어도 하나의 절연층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박막 봉지층(TFE)은 적어도 하나의 무기막(이하, 봉지 무기막)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박막 봉지층(TFE)은 적어도 하나의 유기막(이하, 봉지 유기막) 및 적어도 하나의 봉지 무기막을 포함할 수 있다.
봉지 무기막은 수분/산소로부터 표시 소자층(DU-OLED)을 보호하고, 봉지 유기막은 먼지 입자와 같은 이물질로부터 표시 소자층(DU-OLED)을 보호한다. 봉지 무기막은 실리콘 나이트라이드층, 실리콘 옥시 나이트라이드층, 실리콘 옥사이드층, 티타늄옥사이드층, 또는 알루미늄옥사이드층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이에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봉지 유기막은 아크릴 계열 유기막을 포함할 수 있고,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 영역(DD-DA)은 표시 소자층(DU-OLED)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력 감지부(ISU)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a에서 설명된 "층" 형태의 입력 감지부(ISU)는 표시 패널(DU)이 제공하는 베이스면 상에 직접 배치된다. 따라서, "층" 형태의 입력 감지부(ISU)는 "패널" 형태의 입력감지패널과 달리 베이스층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으므로, 표시 모듈(DM)의 두께는 감소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입력 감지부(ISU)의 베이스면은 도 3에 도시된 표시 패널(DU)의 박막 봉지층(TFE)의 상면일 수 있다.
도 2b에서 설명된 "패널" 형태의 입력 감지부(ISU)는 별도의 베이스층(미도시) 상에 배치된다. 이때, 별도의 베이스층(미도시)은 표시 패널(DU) 상에 배치될 수 있다.
"패널" 형태이든, "층" 형태이든 입력 감지부(ISU)는 다층구조를 가질 수 있다.
입력 감지부(ISU)는 제1 전극들(예컨대, 구동 전극들), 제2 전극들(예컨대, 감지 전극들) 및 적어도 하나의 절연층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 감지부(ISU)는 정전용량 방식으로 외부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입력 감지부(ISU)는 제1 도전층(IS-CL1), 제1 절연층(IS-IL1), 제2 도전층(IS-CL2), 및 제2 절연층(IS-IL2)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도전층(IS-CL1), 제1 절연층(IS-IL1), 제2 도전층(IS-CL2), 및 제2 절연층(IS-IL2)은 차례로 적층될 수 있다.
제1 도전층(IS-CL1) 및 제2 도전층(IS-CL2) 각각은 단층구조를 갖거나, 제3 방향(DR3)을 따라 적층된 다층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1 도전층(IS-CL1) 및 제2 도전층(IS-CL2) 각각은 금속층 및 투명 도전층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1 도전층(IS-CL1) 및 제2 도전층(IS-CL2) 각각은 제1 전극들 또는 제2 전극들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도전층(IS-CL1) 및 제2 도전층(IS-CL2) 중 어느 하나는 제1 전극들 및 제2 전극들을 포함할 수 있다.
감지전극들의 적층 구조 및 재료는 센싱감도를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RC 딜레이가 센싱감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데, 금속층을 포함하는 감지전극들은 투명 도전층 대비 저항이 작기 때문에 RC 값이 감소된다, 따라서 감지전극들 사이에 정의된 커패시터의 충전시간이 감소된다. 투명 도전층을 포함하는 감지전극들은 금속층 대비 사용자에게 시인되지 않고, 입력 면적이 증가하여 커패시턴스를 증가시킨다. 금속층을 포함하는 감지전극들은 사용자에게 시인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메쉬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절연층(IS-IL1) 및 제2 절연층(IS-IL2) 각각은 단층 또는 다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1 절연층(IS-IL1) 및 제2 절연층(IS-IL2) 각각은 무기물 또는 유기물 또는 복합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력 감지부(ISU)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력 감지부(ISU)는, 제1 모드(예컨대, 근접 감지 모드)에서, 셀프 커패시턴스(self-capacitance) 방식으로 구동될 수 있다. 입력 감지부(ISU)는, 제2 모드(예컨대, 형상 감지 모드)에서, 상호 커패시턴스(mutual-capacitance) 방식으로 구동될 수 있다. 이와 관련된 상세한 내용은 아래에서 설명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입력 감지부(ISU)는 전극부(110), 제1 전극 구동부(120), 제2 전극 구동부(130), 제1 전극 감지부(140), 제2 전극 감지부(150) 및 제어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전극부(110)는 도 1에 도시된 표시 영역(DD-DA)에 대응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에 따라, 전극부(110)는 표시 영역(DD-DA) 및 비표시 영역(DD-NDA)에 대응되거나, 표시 장치(DD)의 전면부, 측면부 또는 배면부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될 수 있다.
전극부(110)는 제1 전극들(E1) 및 제2 전극들(E2)을 포함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5에서는 제1 전극들(E1) 및 제2 전극들(E2)이 각각 5개인 실시예가 도시되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에 따라, 제1 전극들(E1) 및 제2 전극들(E2)은 다양한 수로 설계될 수 있다.
제1 전극들(E1)은 제1 방향(DR1)을 따라 배열되고, 제2 방향(DR2)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제2 전극들(E2)은 제2 방향(DR2)을 따라 배열되고, 제1 방향(DR1)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제1 방향(DR1) 및 제2 방향(DR2)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제1 전극들(E1) 및 제2 전극들(E2)은 서로 교차할 수 있다.
제1 전극들(E1)은 제1 센서부들(CE1) 및 제1 연결부들(BE1)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센서부들(CE1)은 제1 전극들(E1)이 연장된 제2 방향(DR2)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도 5에서는, 다이아몬드 형상을 갖는 제1 센서부들(CE1)이 도시되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에 따라, 제1 센서부들(CE1) 각각은 다양한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제1 센서부들(CE1)은 제2 전극들(E2)과 이격될 수 있다.
제1 연결부들(BE1)은 제1 센서부들(CE1)을 서로 연결시킬 수 있다.
제2 전극들(E2)은 제2 센서부들(CE2) 및 제2 연결부들(BE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센서부들(CE2)은 제2 전극들(E2)이 연장된 제1 방향(DR1)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도 5에서는, 다이아몬드 형상을 갖는 제2 센서부들(CE2)이 도시되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에 따라, 제2 센서부들(CE2) 각각은 다양한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제2 센서부들(CE2)은 제1 전극들(E1)과 이격될 수 있다.
제2 연결부들(BE2)은 제2 센서부들(CE2)을 서로 연결시킬 수 있다.
제1 센서부들(CE1) 및 제2 센서부들(CE2)은 서로 동일한 공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제1 연결부들(BE1) 및 제2 연결부들(BE2)은 서로 상이한 공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제1 연결부들(BE1) 및 제2 연결부들(BE2) 사이에 절연층이 배치될 수 있다. 제1 연결부들(BE1) 및 제2 연결부들(BE2) 중 어느 하나는 제1 센서부들(CE1) 및 제2 센서부들(CE2)과 동일한 공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제1 센서부들(CE1) 및 제2 센서부들(CE2)은 제1 도전층(IS-CL1) 및 제2 도전층(IS-CL2) 중 어느 하나에 포함될 수 있다.
제1 연결부들(BE1) 및 제2 연결부들(BE2) 중 어느 하나는 제1 도전층(IS-CL1)에 포함되고, 다른 하나는 제2 도전층(IS-CL2)에 포함될 수 있다.
따로 도시되지 않았으나, 서로 상이한 층에 형성된 연결부들 및 센서부들은 컨택홀(미도시)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전극 구동부(120)는 제어부(160)로부터 제1 구동 제어 신호(EDS1)를 수신할 수 있다. 제1 전극 구동부(120)는 제1 구동 제어 신호(EDS1)에 기초하여, 제1 전극들(E1)로 제1 구동 전압을 공급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전극 구동부(120)는 제1 전극들(E1)로 제1 구동 전압을 순차적으로 또는 동시에 공급할 수 있다.
제2 전극 구동부(130)는 제어부(160)로부터 제2 구동 제어 신호(EDS2)를 수신할 수 있다. 제2 전극 구동부(130)는 제2 구동 제어 신호(EDS2)에 기초하여, 제2 전극들(E2)로 제2 구동 전압을 공급할 수 있다. 예컨대, 제2 전극 구동부(130)는 제2 전극들(E2)로 제2 구동 전압을 순차적으로 또는 동시에 공급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구동 전압은 제2 구동 전압과 서로 동일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에 따라, 제1 구동 전압 및 제2 구동 전압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외부의 물체가 제1 전극들(E1) 및 제2 전극들(E2)에 근접하게 위치하거나 접촉하게 되면, 제1 전극들(E1) 및 제2 전극들(E2) 각각의 정전용량은 변화될 수 있다.
제1 전극 감지부(140)는 제1 전극들(E1)의 정전용량 변화를 기초로, 제1 감지 신호(ESS1)를 생성하여, 제어부(16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제1 감지 신호(ESS1)는 제1 전극들(E1) 각각의 정전용량 변화 값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전극 감지부(150)는 제2 전극들(E2)의 정전용량 변화를 기초로, 제2 감지 신호(ESS2)를 생성하여, 제어부(16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제2 감지 신호(ESS2)는 제2 전극들(E2) 각각의 정전용량 변화 값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입력 감지부(ISU) 전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제1 전극들(E1) 및 제2 전극들(E2)의 정전용량 변화 값들을 기초로, 물체의 근접 여부 또는 물체의 형상을 판단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모드에서, 제어부(160)는 제1 전극들(E1) 및 제2 전극들(E2)의 정전용량 변화 값들을 병합하고, 상기 병합된 값을 기초로 물체의 근접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2 모드에서, 제어부(160)는 제1 전극들(E1) 및 제2 전극들(E2)의 정전용량 변화 값들을 기초로 물체의 형상을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60)는 제1 전극 구동부(120)로 제1 구동 제어 신호(EDS1)를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제2 전극 구동부(130)로 제2 구동 제어 신호(EDS2)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60)는 제1 전극 감지부(140)로부터 제1 감지 신호(ESS1)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제2 전극 감지부(150)로부터 제2 감지 신호(ESS2)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제1 감지 신호(ESS1) 및 제2 감지 신호(ESS2)에 기초하여, 터치 여부뿐만 아니라, 물체의 근접 여부 및 물체의 형상을 각각 판단할 수 있다.
도 5에서는, 제1 전극 구동부(120), 제2 전극 구동부(130), 제1 전극 감지부(140), 제2 전극 감지부(150) 및 제어부(160) 각각이 서로 다른 구성인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예에 따라, 제1 전극 구동부(120), 제2 전극 구동부(130), 제1 전극 감지부(140), 제2 전극 감지부(150) 및 제어부(160) 중 적어도 두개의 구성은 서로 통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
제1 모드(예컨대, 셀프 커패시턴스(self-capacitance) 방식으로 구동)에서, 제1 전극 구동부(120)는 제1 구동 전압을 제1 전극들(E1)로 동시에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제2 전극 구동부(130)는 제2 구동 전압을 제2 전극들(E2)로 동시에 공급할 수 있다. 이때, 제1 전극들(E1) 및 제2 전극들(E2)은 하나의 전극처럼 구동될 수 있다. 외부의 물체가 전극부(110)에 근접하게 위치하거나 접촉하게 되면, 제1 전극들(E1) 및 제2 전극들(E2)의 각각의 정전용량은 변화될 수 있다. 제1 전극 감지부(140)는 제1 감지 신호(ESS1)를 생성하여 제어부(160)로 전송하고, 제2 전극 감지부(150)는 제2 감지 신호(ESS2)를 생성하여, 제어부(160)로 전송할 수 있다.
제1 모드에서, 제어부(160)는 제1 감지 신호(ESS1) 및 제2 감지 신호(ESS2)를 수신하고, 제1 전극들(E1) 각각의 정전용량 변화 값들 및 제2 전극들(E2) 각각의 정전용량 변화 값들을 모두 병합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60)는 병합된 값을 기초로, 물체의 근접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컨대, 병합된 값이 소정의 값보다 큰 경우, 제어부(160)는 물체가 근접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동을 통해, 제1 모드에서 입력 감지부(ISU)의 감지 감도는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입력 감지부(ISU)(즉, 제어부(160))는 물체의 근접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2 모드(예컨대, 상호 커패시턴스(mutual-capacitance) 방식으로 구동)에서, 제1 전극 구동부(120)는 제1 구동 전압을 제1 전극들(E1)로 순차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제2 전극 구동부(130)는 제2 구동 전압을 제2 전극들(E2)로 동시에 공급할 수 있다. 외부의 물체가 전극부(110)에 근접하게 위치하거나 접촉하게 되면, 제1 전극들(E1) 및 제2 전극들(E2)의 각각의 정전용량은 변화될 수 있다. 제1 전극 감지부(140)는 제1 감지 신호(ESS1)를 생성하여 제어부(160)로 전송하고, 제2 전극 감지부(150)는 제2 감지 신호(ESS2)를 생성하여, 제어부(160)로 전송할 수 있다.
제2 모드에서, 제어부(160)는 제1 감지 신호(ESS1) 및 제2 감지 신호(ESS2)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제1 감지 신호(ESS1) 및 제2 감지 신호(ESS2)를 기초로, 물체의 형상을 판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동을 통해, 제2 모드에서 입력 감지부(ISU)의 분해능은 향상될 수 있고, 입력 감지부(ISU)는 물체의 형상을 판단할 수 있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 내지 도 6a를 참조하면, 표시 장치(DD)의 구동 방법은 아래와 같은 단계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DD)는 휴대 전화로 구현될 수 있고, 표시 장치(DD)의 구동 방법은 사용자가 표시 장치(DD)를 이용하여 통화 시의 구동 방법을 의미할 수 있다.
먼저, 통화 시, 표시 장치(DD)의 입력 감지부(ISU)는 제1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S10). 입력 감지부(ISU)는, 제1 모드(예컨대, 근접 감지 모드)에서, 셀프 커패시턴스(self-capacitance) 방식으로 구동될 수 있다. 제1 모드에서, 제1 전극 구동부(120)는 제1 구동 전압을 제1 전극들(E1)로 동시에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제2 전극 구동부(130)는 제2 구동 전압을 제2 전극들(E2)로 동시에 공급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전극 감지부(140)는 제1 감지 신호(ESS1)를 생성하여 제어부(160)로 전송하고, 제2 전극 감지부(150)는 제2 감지 신호(ESS2)를 생성하여, 제어부(160)로 전송할 수 있다.
제1 모드에서, 입력 감지부(ISU)의 제어부(160)는 물체의 근접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20). 제1 모드에서, 제어부(160)는 제1 감지 신호(ESS1) 및 제2 감지 신호(ESS2)를 수신하고, 제1 전극들(E1) 각각의 정전용량 변화 값들 및 제2 전극들(E2) 각각의 정전용량 변화 값들을 모두 병합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60)는 병합된 값을 기초로, 물체의 근접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컨대, 병합된 값이 소정의 값보다 큰 경우, 제어부(160)는 물체가 근접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물체가 근접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S30의 YES), 입력 감지부(ISU)는 제2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S40). 입력 감지부(ISU)는, 제2 모드(예컨대, 형상 감지 모드)에서, 상호 커패시턴스(mutual-capacitance) 방식으로 구동될 수 있다. 제2 모드에서, 제1 전극 구동부(120)는 제1 구동 전압을 제1 전극들(E1)로 순차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제2 전극 구동부(130)는 제2 구동 전압을 제2 전극들(E2)로 동시에 공급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전극 감지부(140)는 제1 감지 신호(ESS1)를 생성하여 제어부(160)로 전송하고, 제2 전극 감지부(150)는 제2 감지 신호(ESS2)를 생성하여, 제어부(160)로 전송할 수 있다.
제2 모드에서, 입력 감지부(ISU)의 제어부(160)는 물체의 형상을 판단할 수 있다(S50). 제2 모드에서, 제어부(160)는 제1 감지 신호(ESS1) 및 제2 감지 신호(ESS2)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제1 감지 신호(ESS1) 및 제2 감지 신호(ESS2)를 기초로, 물체의 형상을 판단할 수 있다.
물체가 얼굴의 측면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S60), 표시 장치(DD)는 제3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S70). 제3 모드는 통화 활성 모드를 의미할 수 있다. 제3 모드에서, 표시 장치(DD)는 표시 영역(DD-DA)으로 이미지(IM)의 표시를 중단함으로써, 전력 소비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표시 장치(DD)는 제3 모드에서, 시스템 리소스를 통화 기능에 보다 할당함으로써, 통화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6b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동작 방법은, S40, S50, S60 단계가 없다는 점에서, 도 6a에 도시된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즉, 도 6b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DD)는, 물체가 근접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S30의 YES), 바로 제3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S70).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7에서는 입력 감지부(ISU) 및 그에 포함된 전극부(110)와 이에 근접하여 위치된 물체(예컨대, 사용자의 얼굴의 측면(10))이 도시된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사용자 얼굴의 측면(10)은 귀(11), 볼(12) 및 턱(13)을 갖는다.
제1 모드에서, 제1 전극 구동부(120)는 제1 구동 전압을 제1 전극들(E1)로 동시에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제2 전극 구동부(130)는 제2 구동 전압을 제2 전극들(E2)로 동시에 공급할 수 있다. 이때, 제1 전극들(E1) 및 제2 전극들(E2)은 하나의 전극으로 통합되어 구동될 수 있다.
외부의 물체가 전극부(110)에 근접하게 위치하거나 접촉하게 되면, 전극부(110)의 전극들(E1, E2)의 정전용량은 변화될 수 있다. 제1 전극 감지부(140) 및 제2 전극 감지부(150)는 상기 정전용량 변화를 기초로, 제1 감지 신호(ESS1) 및 제2 감지 신호(ESS2)를 생성하여, 제어부(160)로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제1 감지 신호(ESS1) 및 제2 감지 신호(ESS2)를 수신하고, 제1 전극들(E1) 각각의 정전용량 변화 값들 및 제2 전극들(E2) 각각의 정전용량 변화 값들을 모두 병합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60)는 병합된 값을 기초로, 물체(예컨대, 사용자의 얼굴의 측면(10))의 근접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컨대, 병합된 값이 소정의 값보다 큰 경우, 제어부(160)는 물체가 근접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제2 모드에서, 제1 전극 구동부(120)는 제1 구동 전압을 제1 전극들(E1)로 순차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제2 전극 구동부(130)는 제2 구동 전압을 제2 전극들(E2)로 동시에 공급할 수 있다. 이 때, 입력 감지부(ISU)는 제1 모드와 달리, 물체의 형상을 판별할 수 있는 분해능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입력 감지부(ISU)는 근접한 물체의 형상을 판단할 수 있다.
예컨대, 얼굴의 측면(10)은 귀(11), 볼(12) 및 턱(13)을 갖고 있으므로, 귀(11), 볼(12) 및 턱(13)에 상응하는 위치의 전극들(E1, E2)의 정전용량은 다르게 변화될 수 있다.
제1 전극 감지부(140) 및 제2 전극 감지부(150)는 상기 정전용량 변화를 기초로, 제1 감지 신호(ESS1) 및 제2 감지 신호(ESS2)를 생성하여, 제어부(160)로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제1 감지 신호(ESS1) 및 제2 감지 신호(ESS2)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제1 감지 신호(ESS1) 및 제2 감지 신호(ESS2)를 기초로, 물체의 형상을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판단된 물체의 형상을 기저장된 얼굴 데이터와 비교하여, 물체가 사용자의 얼굴의 측면(10)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기저장된 얼굴 데이터는 얼굴의 측면(10)의 형상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물체가 얼굴의 측면(10)인 것으로 판단되면, 표시 장치(DD)는 제3 모드로 구동될 수 있다. 제3 모드는 통화 활성 모드를 의미할 수 있다. 제 3모드에서, 표시 장치(DD)는 표시 영역(DD-DA)으로 이미지(IM) 표시를 중단함으로써, 전력 소비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표시 장치(DD)는 제3 모드에서, 시스템 리소스를 통화 기능에 보다 할당함으로써, 통화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은 전력 소비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은 통화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DD: 표시 장치
DU: 표시 패널
ISU: 입력 감지부
WU: 윈도우부
110: 전극부
120: 제1 전극 구동부
130: 제2 전극 구동부
140: 제1 전극 감지부
150: 제2 전극 감지부

Claims (19)

  1. 이미지를 생성하기 위한 표시 패널; 및
    상기 표시 패널 상에 배치되며,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기 위한 입력 감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 감지부는,
    서로 교차하는 제1 전극들 및 제2 전극들을 포함하는 전극부; 및
    상기 제1 전극들 및 상기 제2 전극들의 정전용량 변화 값들을 기초로, 물체의 근접 여부 또는 상기 물체의 형상을 판단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셀프 커패시턴스 방식으로 구동되는 제1 모드에서, 상기 정전용량 변화 값들을 병합하고, 상기 병합된 값을 기초로 상기 물체의 근접 여부를 판단하는,
    표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체가 근접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호 커패시턴스 방식으로 구동되는 제2 모드에서, 상기 정전용량 변화 값들을 기초로 상기 물체의 형상을 판단하는,
    표시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모드에서, 상기 제1 전극들 및 상기 제2 전극들은 하나의 전극으로 통합되어 구동되는,
    표시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물체가 얼굴의 측면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표시 패널은, 제3 모드에서, 상기 이미지의 표시를 중단하는,
    표시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감지부는, 상기 표시 패널 상에 직접 배치되는,
    표시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감지부는, 접착부재를 통해 상기 표시 패널과 결합되는,
    표시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감지부는,
    상기 제1 전극들로 제1 구동 전압을 제공하기 위한 제1 전극 구동부; 및
    상기 제2 전극들로 제2 구동 전압을 제공하기 위한 제2 전극 구동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전극 구동부 및 상기 제2 전극 구동부는, 상기 제1 모드에서, 상기 제1 구동 전압 및 상기 제2 구동 전압을 상기 제1 전극들 및 상기 제2 전극들로 동시에 공급하는,
    표시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동 전압 및 상기 제2 구동 전압은, 서로 동일한,
    표시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감지부는,
    상기 제1 전극들의 정전용량 변화 값들을 나타내는 제1 감지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제1 전극 감지부;
    상기 제2 전극들의 정전용량 변화 값들을 나타내는 제2 감지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제2 전극 감지부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들 각각은, 제1 센서부들 및 상기 제1 센서부들을 서로 연결시키기 위한 제1 연결부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전극들 각각은, 제2 센서부들 및 상기 제2 센서부들을 서로 연결시키기 위한 제2 연결부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센서부들 및 상기 제2 센서부들은, 서로 동일한 층에 배치되는,
    표시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부들 및 상기 제2 연결부들은, 서로 상이한 층에 배치되는,
    표시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체가 근접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표시 패널은, 제3 모드에서, 상기 이미지의 표시를 중단하는,
    표시 장치.
  13. 이미지를 생성하기 위한 표시 패널; 및 상기 표시 패널 상에 배치되며, 서로 교차하는 제1 전극들 및 제2 전극들을 포함하는 입력 감지부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에 있어서,
    통화 시, 셀프 커패시턴스 방식으로 구동되는 제1 모드로 진입하는 단계;
    상기 제1 모드에서, 상기 제1 전극들 및 상기 제2 전극들의 정전용량 변화 값들을 병합하고, 상기 병합된 값을 기초로 물체의 근접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물체가 근접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호 커패시턴스 방식으로 구동되는 제2 모드로 진입하는 단계;
    상기 제2 모드에서, 상기 물체의 형상을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물체가 얼굴의 측면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이미지의 표시가 중단되는 제3 모드로 진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물체의 형상을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제2 모드에서, 상기 정전용량 변화 값들을 기초로 상기 물체의 형상을 판단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감지부는,
    상기 제1 전극들로 제1 구동 전압을 제공하기 위한 제1 전극 구동부; 및
    상기 제2 전극들로 제2 구동 전압을 제공하기 위한 제2 전극 구동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모드에서, 상기 제1 전극 구동부 및 상기 제2 전극 구동부는, 상기 제1 구동 전압 및 상기 제2 구동 전압을 상기 제1 전극들 및 상기 제2 전극들로 동시에 공급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감지부는,
    상기 제1 전극들의 정전용량 변화 값들을 나타내는 제1 감지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제1 전극 감지부;
    상기 제2 전극들의 정전용량 변화 값들을 나타내는 제2 감지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제2 전극 감지부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모드에서, 상기 제1 전극들 및 상기 제2 전극들은 하나의 전극으로 통합되어 구동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18. 이미지를 생성하기 위한 표시 패널; 및 상기 표시 패널 상에 배치되며, 서로 교차하는 제1 전극들 및 제2 전극들을 포함하는 입력 감지부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에 있어서,
    통화 시, 셀프 커패시턴스 방식으로 구동되는 제1 모드로 진입하는 단계;
    상기 제1 모드에서, 상기 제1 전극들 및 상기 제2 전극들의 정전용량 변화 값들을 병합하고, 상기 병합된 값을 기초로 물체의 근접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물체가 근접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이미지의 표시가 중단되는 제3 모드로 진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모드에서, 상기 제1 전극들 및 상기 제2 전극들은 하나의 전극으로 통합되어 구동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KR1020180104791A 2018-09-03 2018-09-03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KR1025798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4791A KR102579896B1 (ko) 2018-09-03 2018-09-03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US16/449,049 US11195447B2 (en) 2018-09-03 2019-06-21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CN201910825979.9A CN110875012A (zh) 2018-09-03 2019-09-03 显示装置
US17/457,818 US11495165B2 (en) 2018-09-03 2021-12-06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US17/937,805 US11942018B2 (en) 2018-09-03 2022-10-04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1020230121904A KR20230134461A (ko) 2018-09-03 2023-09-13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4791A KR102579896B1 (ko) 2018-09-03 2018-09-03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21904A Division KR20230134461A (ko) 2018-09-03 2023-09-13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7134A true KR20200027134A (ko) 2020-03-12
KR102579896B1 KR102579896B1 (ko) 2023-09-20

Family

ID=6964067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4791A KR102579896B1 (ko) 2018-09-03 2018-09-03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KR1020230121904A KR20230134461A (ko) 2018-09-03 2023-09-13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21904A KR20230134461A (ko) 2018-09-03 2023-09-13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3) US11195447B2 (ko)
KR (2) KR102579896B1 (ko)
CN (1) CN110875012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9896B1 (ko) 2018-09-03 2023-09-2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USD997920S1 (en) * 2019-01-09 2023-09-05 Intel Corporation Electronic device
USD959423S1 (en) * 2019-12-06 2022-08-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KR20230131321A (ko) * 2022-03-03 2023-09-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08556A (ko) * 2010-08-23 2013-10-04 사이프레스 세미컨덕터 코포레이션 컨패시턴스 스캐닝 근접성 검출
KR20180008968A (ko) * 2016-07-14 2018-01-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
KR20180049461A (ko) * 2016-11-02 2018-05-11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패널 컨트롤러
US20180157371A1 (en) * 2014-09-25 2018-06-07 Qeexo, Co. Classifying contacts or associations with a touch sensitive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95473U (ja) 1982-12-15 1984-06-28 ソニー株式会社 テ−プカセツト
JPS6177627U (ko) 1984-10-29 1986-05-24
JPH06177627A (ja) 1992-12-10 1994-06-24 Nippon Sheet Glass Co Ltd Tv帯受信アンテナ装置
KR20100109996A (ko) 2009-04-02 2010-10-12 에이디반도체(주) 근접인식이 가능한 다채널 정전용량 터치센서
DE102011002447B4 (de) 2011-01-04 2014-07-10 Ident Technology Ag Kapazitiver Annäherungsensor sowie Verfahren zur kapazitiven Annäherungsdetektion
US8866491B2 (en) * 2011-02-24 2014-10-21 Cypress Semiconductor Corporation Tail effect correction for SLIM pattern touch panels
KR20130078937A (ko) 2012-01-02 2013-07-10 엘지전자 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및 터치 스크린의 제어 방법
JP5995473B2 (ja) 2012-03-19 2016-09-21 ローム株式会社 静電容量センサのコントロール回路、それを用いた電子機器
US9864463B2 (en) * 2013-03-05 2018-01-09 Atmel Corporation Touch panel deformation compensation
US9886141B2 (en) * 2013-08-16 2018-02-06 Apple Inc. Mutual and self capacitance touch measurements in touch panel
JP6177627B2 (ja) 2013-08-29 2017-08-09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タッチ操作装置及びタッチ操作プログラム
US10474295B2 (en) 2016-11-10 2019-11-12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including sensor and auxiliary sensor parts
KR20180067772A (ko) * 2016-12-12 2018-06-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모듈
US10795493B2 (en) * 2017-06-21 2020-10-06 Stmicroelectronics Asia Pacific Pte Ltd Palm touch detection in a touch screen device having a floating ground or a thin touch panel
KR102553544B1 (ko) * 2018-07-20 2023-07-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 터치 회로 및 구동 방법
CN112534384A (zh) * 2018-07-27 2021-03-19 株式会社日本显示器 带检测装置的显示设备
KR102579896B1 (ko) 2018-09-03 2023-09-2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08556A (ko) * 2010-08-23 2013-10-04 사이프레스 세미컨덕터 코포레이션 컨패시턴스 스캐닝 근접성 검출
US20180157371A1 (en) * 2014-09-25 2018-06-07 Qeexo, Co. Classifying contacts or associations with a touch sensitive device
KR20180008968A (ko) * 2016-07-14 2018-01-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
KR20180049461A (ko) * 2016-11-02 2018-05-11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패널 컨트롤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4461A (ko) 2023-09-21
US20220100320A1 (en) 2022-03-31
US11942018B2 (en) 2024-03-26
US20230041419A1 (en) 2023-02-09
KR102579896B1 (ko) 2023-09-20
US11495165B2 (en) 2022-11-08
US20200074913A1 (en) 2020-03-05
CN110875012A (zh) 2020-03-10
US11195447B2 (en) 2021-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51618B1 (ko) 표시장치
US11416094B2 (en) Touch sensor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KR200480701Y1 (ko) 감지 전극들과 연결하기 위하여 금속 와이어를 사용한 인셀 터치 디스플레이 패널 시스템
KR102579896B1 (ko)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KR101048974B1 (ko) 터치 스크린 패널
KR20190018591A (ko) 표시장치
US10372278B2 (en) Display device and detection device
JP2024038257A (ja) ディスプレイ装置
KR20120065687A (ko) 터치 스크린 패널
TW202028955A (zh) 驅動可攜式資料處理裝置的方法
TW201435950A (zh) 輸入裝置,電子器件及感測器薄片
KR20140095278A (ko) 터치 스크린 패널
KR20180125676A (ko) 입력감지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모듈
CN113821118B (zh) 透明触摸显示装置
KR20190071032A (ko) 입력감지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KR102464268B1 (ko) 표시장치
KR102487600B1 (ko) 입력감지부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KR20190124352A (ko) 표시 장치
KR102557952B1 (ko) 표시장치
KR20200060601A (ko) 입력감지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KR20210127295A (ko) 표시 장치
US20230280863A1 (en) Display device
KR20220132724A (ko) 표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30134011A (ko) 표시 장치 및 그것의 동작 방법
KR20230088569A (ko) 표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