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7600B1 - 입력감지부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입력감지부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7600B1
KR102487600B1 KR1020170175230A KR20170175230A KR102487600B1 KR 102487600 B1 KR102487600 B1 KR 102487600B1 KR 1020170175230 A KR1020170175230 A KR 1020170175230A KR 20170175230 A KR20170175230 A KR 20170175230A KR 102487600 B1 KR102487600 B1 KR 1024876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xiliary
auxiliary electrode
electrodes
sensing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52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74336A (ko
Inventor
이인남
구교원
김미영
김창범
이현재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752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7600B1/ko
Priority to US16/012,466 priority patent/US10795190B2/en
Priority to CN201811558235.7A priority patent/CN109933233A/zh
Publication of KR201900743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43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76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76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64Connections between sensors and controllers, e.g. routing lines between electrodes and connection pad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06Details
    • G02F1/1309Repairing; Testing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7Surface-induced orientation of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e.g. by alignment lay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3Electrodes
    • G02F1/134309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ir geometrical arran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8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for error correction or compensation, e.g. based on parallax, calibration or align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3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single layer of sensing electr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6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grid-like structure of electrodes in at least two directions, e.g. using row and column electr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8Details of the electrode shape, e.g. for enhancing the detection of touches, for generating specific electric field shapes, for enhancing display quality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력감지부는 감지영역에 배치된 감지전극들; 및 상기 감지영역에 인접한 비감지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비감지영역 중 보조영역에 발생하는 손상을 감지하기 위한 보조전극들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입력감지부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AN INPUT SENSING UNIT AND A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입력감지부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정보 디스플레이에 관한 관심이 고조되고 휴대가 가능한 정보매체를 이용하려는 요구가 높아지면서, 표시 장치에 대한 연구 및 상업화가 중점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최근의 표시 장치는 영상 표시 기능과 더불어 사용자의 터치를 입력받기 위한 터치 센서를 구비하고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터치 센서를 통해 보다 편리하게 표시 장치를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손상을 감지할 수 있는 입력감지부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력감지부는 감지영역에 배치된 감지전극들; 및 상기 감지영역에 인접한 비감지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비감지영역 중 보조영역에 발생하는 손상을 감지하기 위한 보조전극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영역 상에 버튼부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전극들은, 제1 보조전극 및 제2 보조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보조전극 및 상기 제2 보조전극은 제1 방향으로 나열되며, 상기 제1 방향과 상이한 제2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보조전극은 상기 제2 보조전극과 보조 커패시터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보조전극 및 상기 제2 보조전극은 빗살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보조전극 및 상기 제2 보조전극은, 상기 제2 방향으로 나열되는 서브전극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보조전극의 상기 서브전극들은, 상기 제2 보조전극을 향하여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제2 보조전극의 상기 서브전극들은, 상기 제1 보조전극을 향하여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브전극들은 사각형 또는 삼각형의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보조전극은 상기 제2 보조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보조전극 및 상기 제2 보조전극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전극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결전극은, 상기 제2 방향으로 나열되며,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보조전극 및 상기 제2 보조전극은 지그재그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지전극들 및 상기 보조전극들은 동일한 층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지전극들 및 상기 보조전극들은 상이한 층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이미지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패널; 상기 표시패널 상에 배치된 입력감지부; 및 상기 입력감지부 상에 배치된 버튼부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감지부는, 감지영역에 배치된 감지전극들; 상기 감지영역에 인접한 비감지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비감지영역 중 보조영역에 발생하는 손상을 감지하기 위한 보조전극들을 포함하고, 상기 버튼부는 상기 보조영역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전극들은, 제1 보조전극 및 제2 보조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보조전극 및 상기 제2 보조전극은 제1 방향으로 나열되며, 상기 제1 방향과 상이한 제2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보조전극은 상기 제2 보조전극과 보조 커패시터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보조전극은 상기 제2 보조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력감지부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는 손상을 감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감지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a는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영역을 상세하게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b는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영역을 상세하게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입력감지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a는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영역을 상세하게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b는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영역을 상세하게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 및 그 밖에 당업자가 본 발명의 내용을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필요한 사항에 대하여 상세히 기재한다. 다만, 본 발명은 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므로 하기에 설명하는 실시예는 표현 여부에 불구하고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다.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두께, 비율, 및 치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및/또는"은 연관된 구성들이 정의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조합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아래에", "하측에", "위에", "상측에" 등의 용어는 도면에 도시된 구성들의 연관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다. 상기 용어들은 상대적인 개념으로, 도면에 표시된 방향을 기준으로 설명된다.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즉,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하의 설명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번호 및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표시장치(DD)는 표시면(DD-IS) 및 표시면(DD-IS)에 배치된 버튼부(HKU)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면(DD-IS)은 표시장치(DD)의 전면에 위치할 수 있다. 표시장치(DD)는 표시면(DD-IS)을 통해 이미지(IM)를 표시할 수 있다.
표시면(DD-IS)은 제1 방향(DR1) 및 제2 방향(DR2)이 정의하는 면과 평행한다. 법선 방향, 즉 표시장치(DD)의 표시면(DD-IS)에 따른 두께 방향은 제3 방향(DR3)이 지시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각 부재들 또는 유닛들의 전면(또는 상면)과 배면(또는 하면)은 제3 방향(DR3)에 의해 구분된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 도시된 제1 내지 제3 방향들(DR1, DR2, DR3)은 예시에 불과하고 제1 내지 제3 방향들(DR1, DR2, DR3)이 지시하는 방향들은 상대적인 개념으로서 다른 방향들로 변환될 수 있다. 이하, 제1 내지 제3 방향들은 제1 내지 제3 방향들(DR1, DR2, DR3) 각각 이 지시하는 방향으로써 동일한 도면 부호를 참조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평면형 표시면(DD-IS)을 구비한 표시장치(DD)를 도시하였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표시장치(DD)는 곡면형 표시면(DD-IS) 또는 입체형 표시면(DD-IS)을 포함할 수도 있다. 입체형 표시면(DD-IS)은 서로 다른 방향을 지시하는 복수 개의 표시영역들을 포함하고, 예컨대, 다각 기둥형 표시면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DD)는 리지드 표시장치일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본 발명에 따른 표시장치(DD)는 플렉서블 표시장치(DD)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핸드폰 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는 표시장치(DD)를 예시적으로 도시하였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메인보드에 실장된 전자모듈들, 카메라 모듈, 전원모듈 등이 표시장치(DD)와 함께 브라켓/케이스 등에 배치됨으로써 핸드폰 단말기를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표시장치(DD)는 텔레비전, 모니터 등과 같은 대형 전자장치를 비롯하여, 테블릿, 자동차 네비게이션, 게임기, 스마트 와치 등과 같은 중소형 전자장치 등에 적용될 수 있다.
표시면(DD-IS)은 이미지(IM)가 표시되는 표시영역(DD-DA) 및 표시영역(DD-DA)에 인접한 비표시영역(DD-NDA)을 포함할 수 있다. 비표시영역(DD-NDA)은 이미지가 표시되지 않는 영역이다. 도 1에는 이미지(IM)의 일 예로 온도 및 날씨 이미지들을 도시하였다.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표시영역(DD-DA)은 사각형상일 수 있다. 비표시영역(DD-NDA)은 표시영역(DD-DA)을 에워싸을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표시영역(DD-DA)의 형상과 비표시영역(DD-NDA)의 형상은 상대적으로 디자인될 수 있다.
버튼부(HKU)는 표시장치(DD)의 버튼(예컨대, 홈 키(home key))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에서, 버튼부(HKU)는 사각형으로 도시되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에 따라, 버튼부(HKU)는 삼각형, 원형 등과 같은 다양한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버튼부(HKU)는 비표시영역(DD-NDA)에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에 따라, 버튼부(HKU)는 표시영역(DD-DA)에 배치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에서, 도 1에 도시된 표시장치(DD)의 직선 I1-I1'에 따른 단면이 도시된다.
도 2는 제1 방향(DR1)과 제3 방향(DR3)이 정의하는 단면을 도시하였다. 도 2는 표시장치(DD)를 구성하는 기능성 패널 및/또는 기능성 유닛들의 적층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단순하게 도시되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DD)는 표시부(DU), 입력감지부(ISU) 및 윈도우부(WU)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부, 입력감지부, 반사방지부, 및 윈도우부 중 적어도 일부의 구성들은 연속공정에 의해 형성되거나, 적어도 일부의 구성들은 접착부재를 통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도 2에는 접착부재로써 광학 투명 접착부재(OCA)가 예시적으로 도시되었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접착부재는 통상의 접착제 또는 점착제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윈도우부는 다른 구성으로 대체되거나 생략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달리, 입력감지부(ISU) 및 윈도우부(WU)는 다른 구성과 연속공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감지부(ISU) 및 윈도우부(WU)는 다른 구성과 접착부재를 통해 결합될 수 있다.
입력감지부, 윈도우부는 베이스층의 유/무에 따라 입력감지패널, 윈도우패널 또는 입력감지층, 윈도우층으로 지칭될 수 있다.
“패널”은 베이스면을 제공하는 베이스층, 예컨대 합성수지 필름, 복합재료 필름, 유리 기판 등을 포함하지만, "층"은 상기 베이스층이 생략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층”으로 표현되는 상기 부들은 다른 부가 제공하는 베이스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B의 구성이 A의 구성 상에 직접 배치된다"는 것은 A의 구성과 B의 구성 사이에 별도의 접착층/접착부재가 배치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B 구성은 A 구성이 형성된 이후에 A구성이 제공하는 베이스면 상에 연속공정을 통해 형성된다.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표시장치(DD)는 표시부(DU), 입력감지부(ISU), 버튼부(HKU) 및 윈도우부(WU)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부(DU)는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예컨대, 표시부(DU)는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는 표시패널일 수 있다. 표시부(DU) 및 입력감지부(ISU) 사이에 광학 투명 접착부재(OCA)가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부(DU)는 발광형 표시패널일 수 있고,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컨대, 표시부(DU)는 유기발광 표시패널 또는 퀀텀닷 발광 표시패널일 수 있다. 유기발광 표시패널의 발광층은 유기발광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퀀텀닷 발광 표시패널의 발광층은 퀀텀닷, 및 퀀텀로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표시부(DU)는 유기발광 표시패널로 설명된다.
입력감지부(ISU)는 외부입력(예컨대, 터치 이벤트)의 좌표정보 또는 압력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입력감지부(ISU)는 표시부(DU) 상에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입력감지부(ISU)는 표시부(DU)와 일체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입력감지부(ISU)는 표시영역(DD-DA)에 전면적으로 중첩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실시예에 따라, 입력감지부(ISU)는 표시영역(DD-DA)의 일부분에만 중첩할 수 있다.
입력감지부(ISU)는 사용자의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감지패널이거나, 사용자 손가락의 지문 정보를 감지하는 지문감지패널일 수 있다.
도 1에서, 입력감지부(ISU)가 단일층으로 구현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에 따라, 입력감지부(ISU)는 복수의 감지층 및 복수의 절연층을 포함할 수 있다.
버튼부(HKU)는 입력감지부(ISU)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버튼부(HKU)는 비표시영역(DD-NDA)에 상응하는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버튼부(HKU)는 표시장치(DD)의 버튼으로 구현될 수 있다.
표시부(DU) 및 입력감지부(ISU)는 표시모듈(DM)로 정의될 수 있다. 별도로 도시하지 않았으나, 표시모듈(DM)은 표시부(DU)의 하면에 배치된 보호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호부재와 표시부(DU)는 접착부재를 통해 결합될 수 있다. 표시모듈(DM) 및 윈도우부(WU) 사이에 광학 투명 접착부재(OCA)가 배치될 수 있다.
윈도우부(WU)는 표시모듈(DM) 및 버튼부(HKU)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윈도우부(WU)에는 버튼부(HKU)가 형성된 영역에 상응하는 빈 공간(예컨대, 홀(hole))이 형성될 수 있다.
윈도우부(WU)는 베이스 필름 및 차광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필름은 유리 기판 및/또는 합성수지 필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필름은 단층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베이스 필름은 접착부재로 결합된 2 이상의 필름들을 포함할 수 있다.
차광 패턴은 베이스 필름에 부분적으로 중첩할 수 있다. 차광 패턴은 베이스 필름의 배면에 배치되어 표시장치(DD)의 베젤영역 즉, 비표시영역(DD-NDA)을 정의할 수 있다. 차광 패턴은 유색의 유기막으로써 예컨대, 코팅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별도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윈도우부(WU)는 베이스 필름의 전면에 배치된 기능성 코팅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기능성 코팅층은 지문 방지층, 반사 방지층, 및 하드 코팅층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감지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입력감지부(ISU)는 감지전극들(IE1, IE2) 및 감지라인들(SL)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으나, 입력감지부(ISU)는 제1 감지전극들(IE1-1 내지 IE1-5)과 제2 감지전극들(IE2-1 내지 IE2-4) 사이의 경계영역에 배치된 광학적 더미전극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감지전극들(IE1, IE2)은 감지영역(ISA)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감지영역(ISA)은 표시영역(DD-DA)에 대응되는 영역일 수 있다. 감지영역(ISA)에 인접한 비감지영역(NISA)은 비표시영역(DD-NDA)에 대응되는 영역일 수 있다.
감지전극들(IE1, IE2)은 제1 감지전극들(IE1) 및 제2 감지전극들(IE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감지전극들(IE1)과 제2 감지전극들(IE2)은 서로 교차할 수 있다. 제1 감지전극들(IE1)은 제1 방향(DR1)으로 나열되며, 각각이 제2 방향(DR2)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 감지전극들(IE2)은 제2 방향(DR2)으로 나열되며, 각각이 제1 방향(DR1)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감지전극들(IE1)과 제2 감지전극들(IE2)은 뮤추얼 캡 방식 및/또는 셀프 캡 방식으로 외부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제1 감지전극들(IE1) 각각은 제1 센서부들(SP1) 및 제1 연결부들(CP1)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감지전극들(IE2) 각각은 제2 센서부들(SP2) 및 제2 연결부들(CP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센서부들(SP1) 중 제1 감지전극들(IE1)의 양단에 배치된 2개 제1 센서부들은 중앙에 배치된 제1 센서부 대비 작은 크기, 예컨대 1/2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제2 센서부들(SP2) 중 제2 감지전극들(IE2)의 양단에 배치된 2개 제2 센서부들은 중앙에 배치된 제2 센서부 대비 작은 크기, 예컨대 1/2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도 3에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감지전극들(IE1)과 제2 감지전극들(IE2)을 도시하였으나, 그 형상은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 감지전극들(IE1)과 제2 감지전극들(IE2)은 센서부와 연결부의 구분이 없는 형상(예컨대 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마름모 형상의 제1 센서부들(SP1)과 제2 센서부들(SP2)을 예시적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제1 센서부들(SP1)과 제2 센서부들(SP2)또 다른 다각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하나의 제1 감지전극 내에서, 제1 센서부들(SP1)은 제2 방향(DR2)을 따라 나열되고, 하나의 제2 감지전극 내에서 제2 센서부들(SP2)은 제1 방향(DR1)을 따라 나열될 수 있다.
제1 연결부들(CP1) 각각은 인접한 제1 센서부들(SP1)을 연결하고, 제2 연결부들(CP2) 각각은 인접한 제2 센서부들(SP2)을 연결할 수 있다.
감지라인들(SL)은 감지전극들(IE1, IE2)에 연결될 수 있다.
입력감지부(ISU)는 보조전극들(RIE1, RIE2) 및 보조라인들(RL)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보조전극들(RIE1, RIE2)은 비감지영역(NISA) 중 보조영역(RTA)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보조영역(RTA)은 버튼부(HKU)에 대응되는 영역일 수 있다.
보조전극들(RIE1, RIE2)은 제1 보조전극(RIE1) 및 제2 보조전극(RIE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보조전극(RIE1) 및 제2 보조전극(RIE2)은 서로 평행할 수 있다. 제1 보조전극(RIE1) 및 제2 보조전극(RIE2)은 제1 방향(DR1)으로 나열되며, 각각이 제2 방향(DR2)으로 연장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보조전극(RIE1) 및 제2 보조전극(RIE2)은 보조 커패시터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보조전극(RIE1) 및 제2 보조전극(RIE2)은 뮤추얼 캡 방식 및/또는 셀프 캡 방식으로 외부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도 3에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보조전극(RIE1)과 제2 보조전극(RIE2)을 도시하였으나, 그 형상은 제한되지 않는다.
보조라인들(RL)은 보조전극들(RIE1, RIE2)에 연결될 수 있다.
입력감지부(ISU)는 신호패드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신호패드들은 감지영역(ISA)에 인접한 비감지영역(NISA) 중 패드영역(PA) 및 보조패드영역(RPA)에 배치될 수 있다.
신호패드들은 감지라인들(SL) 및 보조라인들(RL)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감지전극들(IE1, IE2)은 입력감지부(ISU)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감지층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보조전극들(RIE1, RIE2)은 감지전극들(IE1, IE2)과 동일한 층 상이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보조전극들(RIE1, RIE2)은 감지전극들(IE1, IE2)과 상이한 층 상이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패드영역(PA) 및 보조패드영역(RPA)은 보조영역(RTA)에 인접할 수 있다.
버튼부(HKU)에 압력이 지속적으로 가해짐에 따라, 신호패드들, 감지라인들(SL) 및 보조라인들(RL)을 포함하는 입력감지부(ISU)에 손상이 발생할 수 있다. 예컨대, 입력감지부(ISU)에 균열 또는 크랙(Crack)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력감지부(ISU)는 버튼부(HKU)에 상응하는 영역에 보조전극들(RIE1, RE2)를 배치시킴으로써, 입력감지부(ISU)에 발생한 손상을 감지할 수 있다.
도 4a는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영역을 상세하게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b는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영역을 상세하게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제1 보조전극(RIE1) 및 제2 보조전극(RIE2)은 빗살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보조전극(RIE1) 및 제2 보조전극(RIE2)은 서브전극들(SIE)을 포함할 수 있다.
서브전극들(SIE)은 제2 방향(DR2)으로 나열될 수 있다. 제1 보조전극(RIE1)의 서브전극들은 제2 보조전극(RIE2)을 향하여, 제1 방향(DR1)으로 연장되고, 제2 보조전극(RIE2)의 서브전극들은 제1 보조전극(RIE1)을 향하여, 제1 방향(DR1)으로 연장될 수 있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브전극들(SIE)은 사각형의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브전극들(SIE)은 사각형의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서브전극들(SIE)은 다양한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입력감지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설명의 중복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 3의 설명과 중복된 내용은 생략된다.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제1 보조전극(RIE1) 및 제2 보조전극(RIE2)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보조전극(RIE1) 및 제2 보조전극(RIE2)은 저항 감지 방식으로 외부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버튼부(HKU)에 압력이 지속적으로 가해짐에 따라, 신호패드들, 감지라인들(SL) 및 보조라인들(RL)을 포함하는 입력감지부(ISU)에 손상이 발생할 수 있다. 예컨대, 입력감지부(ISU)에 균열 또는 크랙(Crack)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력감지부(ISU)는 버튼부(HKU)에 상응하는 영역에 보조전극들(RIE1, RE2)를 배치시킴으로써, 입력감지부(ISU)에 발생한 손상을 감지할 수 있다.
도 6a는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영역을 상세하게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b는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영역을 상세하게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면, 입력감지부(ISU, 도 5 참조)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전극(CIE)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연결전극(CIE)은 제1 보조전극(RIE1) 및 제2 보조전극(RIE2)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연결전극(CIE)은 제2 방향(DR2)으로 나열되며, 제1 방향(DR1)으로 연장될 수 있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연결전극(CIE), 제1 보조전극(RIE1) 및 제2 보조전극(RIE2)은 사다리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연결전극(CIE), 제1 보조전극(RIE1) 및 제2 보조전극(RIE2)은 지그재그 패턴으로 구현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서브전극들(SIE)은 다양한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DD: 표시장치
DD-IS: 표시면
WU: 윈도우부
DU: 표시부
ISU: 입력감지부

Claims (19)

  1. 감지영역에 배치된 감지전극들; 및
    상기 감지영역에 인접한 비감지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비감지영역 중 보조영역에 발생하는 손상을 감지하기 위한 보조전극들을 포함하고,
    상기 보조전극들은, 제1 보조전극 및 제2 보조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보조전극은 상기 제2 보조전극과 보조 커패시터를 형성하는 입력감지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영역 상에 버튼부가 배치되는 입력감지부.
  3. 삭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보조전극 및 상기 제2 보조전극은 제1 방향으로 나열되며, 상기 제1 방향과 상이한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입력감지부.
  5. 삭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보조전극 및 상기 제2 보조전극은 빗살 패턴으로 형성되는 입력감지부.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보조전극 및 상기 제2 보조전극은,
    상기 제2 방향으로 나열되는 서브전극들을 포함하는 입력감지부.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보조전극의 상기 서브전극들은, 상기 제2 보조전극을 향하여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제2 보조전극의 상기 서브전극들은, 상기 제1 보조전극을 향하여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입력감지부.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전극들은 사각형 또는 삼각형의 형상으로 구현되는 입력감지부.
  10. 감지영역에 배치된 감지전극들; 및
    상기 감지영역에 인접한 비감지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비감지영역 중 보조영역에 발생하는 손상을 감지하기 위한 보조전극들을 포함하고,
    상기 보조전극들은, 제1 보조전극 및 제2 보조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보조전극은 상기 제2 보조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 보조전극 및 상기 제2 보조전극은 지그재그 패턴으로 형성되는 입력감지부.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전극들 및 상기 보조전극들은 동일한 층 상에 배치되는 입력감지부.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전극들 및 상기 보조전극들은 상이한 층 상에 배치되는 입력감지부.
  16. 이미지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패널;
    상기 표시패널 상에 배치된 입력감지부; 및
    상기 입력감지부 상에 배치된 버튼부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감지부는,
    감지영역에 배치된 감지전극들;
    상기 감지영역에 인접한 비감지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비감지영역 중 보조영역에 발생하는 손상을 감지하기 위한 보조전극들을 포함하고,
    상기 버튼부는 상기 보조영역 상에 배치되며,
    상기 버튼부는 상기 보조전극들 중 적어도 하나에 중첩되는 표시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전극들은, 제1 보조전극 및 제2 보조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보조전극 및 상기 제2 보조전극은 제1 방향으로 나열되며, 상기 제1 방향과 상이한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표시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보조전극은 상기 제2 보조전극과 보조 커패시터를 형성하는 표시장치.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보조전극은 상기 제2 보조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표시장치.
KR1020170175230A 2017-12-19 2017-12-19 입력감지부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KR1024876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5230A KR102487600B1 (ko) 2017-12-19 2017-12-19 입력감지부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US16/012,466 US10795190B2 (en) 2017-12-19 2018-06-19 Input sensing unit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input sensing unit
CN201811558235.7A CN109933233A (zh) 2017-12-19 2018-12-19 输入感测单元和包括输入感测单元的显示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5230A KR102487600B1 (ko) 2017-12-19 2017-12-19 입력감지부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4336A KR20190074336A (ko) 2019-06-28
KR102487600B1 true KR102487600B1 (ko) 2023-01-13

Family

ID=668159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5230A KR102487600B1 (ko) 2017-12-19 2017-12-19 입력감지부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795190B2 (ko)
KR (1) KR102487600B1 (ko)
CN (1) CN109933233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44135B2 (en) 2019-08-01 2022-02-08 Novatek Microelectronics Corp. Electronic circuit having display driving function, touch sensing function and fingerprint sensing function
US11625939B2 (en) * 2019-08-01 2023-04-11 Novatek Microelectronics Corp. Electronic circuit having display driving function, touch sensing function and fingerprint sensing function
TWI813164B (zh) * 2022-01-28 2023-08-21 義隆電子股份有限公司 觸控裝置以及使用該觸控裝置的控制系統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06960A (ja) * 2012-11-23 2014-06-09 Elan Microelectronics Corp 仮想機能ボタンを有するタッチパネル、同タッチパネルを製造する方法、及び同タッチパネル上のタッチ競合を識別する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42370A (en) * 1987-08-13 1995-08-15 Seiko Epson Corporation System for driving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ES2223247B1 (es) 2002-11-22 2006-04-16 Tomas Mulet Valles Maquina alimentadora-dispensadora de recipientes y articulos alargados en general.
KR101090255B1 (ko) 2004-11-16 2011-12-06 삼성전자주식회사 표시 장치용 표시판 및 표시 장치의 검사 방법
KR101040846B1 (ko) * 2010-03-16 2011-06-14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패널 및 그 제조방법
JP2014021479A (ja) 2012-07-24 2014-02-03 Japan Display Inc 表示装置
KR101535825B1 (ko) * 2012-09-25 2015-07-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및 이의 라인결함 검출방법
WO2015106414A1 (zh) 2014-01-16 2015-07-23 华为终端有限公司 液晶显示器及液晶显示器检测方法和电子装置
KR102233696B1 (ko) 2014-03-18 2021-03-3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터치 패널
KR102275876B1 (ko) * 2014-04-01 2021-07-1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터치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터치 디바이스
KR101638336B1 (ko) * 2014-07-24 2016-07-1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패널을 포함한 표시 장치
KR102288842B1 (ko) * 2015-01-30 2021-08-1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터치 윈도우 및 터치 디바이스 장치
KR20160125691A (ko) 2015-04-22 2016-11-0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터치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터치 디바이스
KR101935433B1 (ko) * 2015-07-30 2019-01-04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터치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06960A (ja) * 2012-11-23 2014-06-09 Elan Microelectronics Corp 仮想機能ボタンを有するタッチパネル、同タッチパネルを製造する方法、及び同タッチパネル上のタッチ競合を識別する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90187496A1 (en) 2019-06-20
CN109933233A (zh) 2019-06-25
US10795190B2 (en) 2020-10-06
KR20190074336A (ko) 2019-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62445B2 (en) Electrode sheet for pressure detection and pressure detecting module including the same
KR102481443B1 (ko) 보호 필름 제조 방법 및 표시 장치 제조 방법
JP6196652B2 (ja) スマートフォン
KR102330585B1 (ko) 터치 스크린 장치와 그의 구동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 기기
US9207819B2 (en) Touch sensing display panel and touch sensing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US20170357346A1 (en) Touch screen and pressure touch detection method
TWI559197B (zh) 觸控螢幕面板及其製造方法
JP2019502203A (ja) 温度補償が適用された圧力を検出できる電極シート及びタッチ入力装置
KR102483235B1 (ko) 감지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242540B1 (ko)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20140073207A (ko) 터치패널을 포함하는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2487600B1 (ko) 입력감지부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KR101693337B1 (ko) 터치 입력 장치
KR102579896B1 (ko)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US20230376141A1 (en) Input sensing unit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US20170083147A1 (en)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with pressure sensing
KR102632927B1 (ko) 표시 장치
CN108595052B (zh) 背框具有触控按键的触控装置
KR20220088603A (ko) 전자 장치
US20140333853A1 (en) Touch panel
KR102262549B1 (ko) 터치 패널
TWI636390B (zh) 觸控面板
KR101683680B1 (ko) 압력 검출을 위한 전극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압력 검출 모듈
US20180143719A1 (en) Touch panel and display device using same
KR20150104850A (ko) 터치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