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09996A - 근접인식이 가능한 다채널 정전용량 터치센서 - Google Patents

근접인식이 가능한 다채널 정전용량 터치센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09996A
KR20100109996A KR1020090028325A KR20090028325A KR20100109996A KR 20100109996 A KR20100109996 A KR 20100109996A KR 1020090028325 A KR1020090028325 A KR 1020090028325A KR 20090028325 A KR20090028325 A KR 20090028325A KR 20100109996 A KR20100109996 A KR 201001099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change rate
capacitance change
proximity
capacit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83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상보
이상철
Original Assignee
에이디반도체(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디반도체(주) filed Critical 에이디반도체(주)
Priority to KR10200900283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109996A/ko
Publication of KR201001099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999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94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control signals are generated
    • H03K17/945Proximity switches
    • H03K17/955Proximity switches using a capacitive detector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94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control signals are generated
    • H03K17/96Touch switches
    • H03K17/962Capacitive touch switch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2217/00Indexing scheme related to 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or -breaking covered by H03K17/00
    • H03K2217/94Indexing scheme related to 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or -breaking covered by H03K17/00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control signal is generated
    • H03K2217/96Touch switches
    • H03K2217/9607Capacitive touch switches
    • H03K2217/960735Capacitive touch switches characterised by circuit details

Landscapes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Electronic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다채널 정전용량 터치센서는, 복수개의 터치패드(P1-Pn); 터치패드(P1-Pn)에 물체가 접근할 때 각각의 터치패드(P1-Pn)에서의 정전용량 변화율을 센싱하여 각각의 터치패드(P1-Pn)의 정전용량변화율을 출력하는 정전용량 변화율 센싱블럭(31); 정전용량 변화율 센싱블럭(31)에서 출력되는 각각의 터치패드(P1-Pn)의 정전용량변화율을 합산하는 정전용량 변화율 합산블럭(32); 정전용량 변화율 합산블럭(32)에서 얻어지는 정전용량 변화율 합산값을 사용자가 미리 정해놓은 근접인식 기준값과 비교하여 상기 정전용량 변화율 합산값이 상기 근접인식 기준값보다 클 경우에 근접인식신호를 출력하는 근접인식블럭(33); 및 근접인식블럭(33)의 근접인식신호를 입력받아 근접신호를 외부로 출력하는 마이크로 컨트롤러(34);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근접을 인식하기 위한 근접인식패드가 필요없기 때문에 작은 공간에 다채널 정전용량 터치센서를 설치할 수 있다.
다채널 정전용량 터치센서, 근접인식패드, 합산블럭, 시분할

Description

근접인식이 가능한 다채널 정전용량 터치센서 {Multi-channel capacitance touch sensor for sensing proximity}
본 발명은 근접인식이 가능한 다채널 정전용량 터치센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별도의 근접인식용 패드를 설치하지 않고서도 근접인식이 가능한 다채널 정전용량 터치센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다채널 정전용량 터치센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PCB 기판(20)과 이를 덮는 케이스(10) 사이에 복수개의 터치패드(P1-Pn)가 형성되며, 터치패드(P1-Pn)에 연결되는 정전용량 센서칩(30)이 PCB 기판(20)의 소정부위에 설치된다.
터치패드(P1-Pn)에 터치가 이루어지면 정전용량 센서칩(30)은 터치패드(P1-Pn)의 정전용량변화를 입력받아 출력단자(K)를 통하여 터치신호를 외부로 출력한다. 이 때 터치 이외에 근접을 인식하기 위해서 별도의 근접인식패드(A1-An)가 설치되는데, 이는 정전용량이 유기되는 면적을 더 확보하기 위한 것이다.
근접인식패드(A1-An)에 의해, C= (8.85 x 10-12) * K * A/D 라는 정전용량값이 더 유기된다. 여기서, K는 케이스(10)의 유전율, A는 근접인식패드(A1-An)의 면적, D는 근접거리이다.
근접거리(D)를 인식하는 최소 정전용량값이 일정하다고 가정할 경우 근접인식패드(A1-An)의 면적(A)을 크게 할수록 인식할 수 있는 근접거리(D)가 더 길어진다. 따라서 일반적인 터치패드(P1-Pn)에 근접인식패드(A1-An)를 덧붙여서 정전용량변화가 유기되는 면적을 더 크게 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에는 근접을 인식하기 위하여 별도의 근접인식패드(A1-An)가 설치되었기 때문에 그로 인해 PCB 기판(20)의 크기가 커지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별도의 근접인식패드가 설치되지 않아도 근접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PCB 기판의 공간 활용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 다채널 정전용량 터치센서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다채널 정전용량 터치센서는, 복 수개의 터치패드; 상기 터치패드에 물체가 접근할 때 상기 각각의 터치패드에서의 정전용량 변화율을 센싱하여 각각의 상기 터치패드의 정전용량변화율을 출력하는 정전용량 변화율 센싱블럭; 상기 정전용량 변화율 센싱블럭에서 출력되는 각각의 상기 터치패드의 정전용량변화율을 합산하는 정전용량 변화율 합산블럭; 상기 정전용량 변화율 합산블럭에서 얻어지는 정전용량 변화율 합산값을 사용자가 미리 정해놓은 근접인식 기준값과 비교하여 상기 정전용량 변화율 합산값이 상기 근접인식 기준값보다 클 경우에 근접인식신호를 출력하는 근접인식블럭; 및 상기 근접인식블럭의 근접인식신호를 입력받아 근접신호를 외부로 출력하는 마이크로 컨트롤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정전용량 변화율 센싱블럭, 정전용량 변화율 합산블럭, 및 상기 근접인식블럭은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에 의해 시분할적으로 동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정전용량 변화율 센싱블럭, 정전용량 변화율 합산블럭, 근접인식블럭, 및 마이크로 컨트롤러는 하나의 정전용량 센서칩 내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근접을 인식하기 위한 근접인식패드가 필요없기 때문에 작은 공간에 다채널 정전용량 터치센서를 설치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아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제시된 것일 뿐이며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돼서는 안 된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채널 정전용량 터치센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PCB 기판(20)과 이를 덮는 케이스(10) 사이에는 복수개의 터치패드(P1-Pn)가 형성될 뿐이며, 여기에 도 1에서와 같은 근접인식패드(A1-An)는 설치되지 않는다.
정전용량 센서칩(30)은 정전용량 변화율 센싱블럭(31), 정전용량 변화율 합산블럭(32), 근접인식블럭(33), 및 마이크로 컨트롤러(3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물체가 터치패드(P1-Pn)에 접근하면 정전용량 변화율 센싱블럭(31)은 각 터치패드(P1-Pn)에서의 정전용량변화율을 센싱하여 각 터치패드(P1-Pn)의 정전용량변화율을 정전용량 변화율 합산블럭(32)으로 출력한다. 그러면 정전용량 변화율 합산블럭(32)은 정전용량 변화율 센싱블럭(31)에서 출력되는 각 터치패드(P1-Pn)의 정전용량 변화율을 모두 합산하여 그 합산값을 근접인식블럭(33)으로 출력한다.
근접인식블럭(33)은 정전용량변화율 합산블럭(32)으로부터 입력되는 정전용량 변화율 합산값을 사용자가 미리 세팅해놓은 근접인식 기준값과 비교하여 상기 정전용량 변화율 합산값이 상기 근접인식 기준값보다 클 경우에 근접인식출력을 마이크로 컨트롤러(34)로 출력한다. 따라서 상기 근접인식 기준값에 따라 근접인식거리가 결정될 것이다. 마이크로 컨트롤러(34)는 출력단자(K)를 통하여 근접되는 물 체가 있음을 알리는 근접신호를 외부로 출력한다.
도 4는 근접인식을 위한 도 3의 블록도의 동작 타이밍도로서, 도 4(a)는 정전용량 변화율 센싱블럭(31)의 동작 타이밍도이고, 도 4(b)는 각 터치패드(P1-Pn)의 정전용량 변화율의 타이밍도이고, 도 4(c)는 정전용량 변화율 합산블럭(32)에서의 합산타이밍도이고, 도 4(d)는 정전용량 변화율 합산블럭(32)에서의 정전용량 변화율 합산값에 대한 타이밍도이고, 도 4(e)는 근접인식블럭(33)의 동작 타이밍도이고, 도 4(f)는 마이크로 컨트롤러(34)의 근접신호 출력 타이밍도이다.
도 4에서와 같이, 정전용량변화율 센싱블럭(31), 정전용량 변화율 합산블럭(32), 근접인식블럭(33)의 각 동작 타이밍(T1, T2, T3)을 시분할적으로 구성하면 노이즈 없이 물체의 근접을 인식할 수 있게 되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근접을 인식하기 위한 근접인식패드가 필요없기 때문에 PCB 기판의 크기를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다채널 정전용량 터치센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채널 정전용량 터치센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
도 4는 근접인식을 위한 도 3의 블록도의 동작 타이밍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참조번호의 설명>
10: 케이스 20: PCB 기판
30: 정전용량 센서칩 31: 정전용량 변화율 센싱블럭
32: 정전용량 변화율 합산블럭 33: 근접인식블럭
34: 마이크로 컨트롤러 A1-An: 근접인식패드
P1-Pn: 터치패드

Claims (3)

  1. 복수개의 터치패드;
    상기 터치패드에 물체가 접근할 때 상기 각각의 터치패드에서의 정전용량 변화율을 센싱하여 각각의 상기 터치패드의 정전용량변화율을 출력하는 정전용량 변화율 센싱블럭;
    상기 정전용량 변화율 센싱블럭에서 출력되는 각각의 상기 터치패드의 정전용량변화율을 합산하는 정전용량 변화율 합산블럭;
    상기 정전용량 변화율 합산블럭에서 얻어지는 정전용량 변화율 합산값을 사용자가 미리 정해놓은 근접인식 기준값과 비교하여 상기 정전용량 변화율 합산값이 상기 근접인식 기준값보다 클 경우에 근접인식신호를 출력하는 근접인식블럭; 및
    상기 근접인식블럭의 근접인식신호를 입력받아 근접신호를 외부로 출력하는 마이크로 컨트롤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채널 정전용량 터치센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전용량 변화율 센싱블럭, 정전용량 변화율 합산블럭, 및 상기 근접인식블럭이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에 의해 시분할적으로 동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채널 정전용량 터치센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전용량 변화율 센싱블럭, 정전용량 변화율 합산블럭, 근접인식블럭, 및 마이크로 컨트롤러가 하나의 정전용량 센서칩 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채널 정전용량 터치센서.
KR1020090028325A 2009-04-02 2009-04-02 근접인식이 가능한 다채널 정전용량 터치센서 KR2010010999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8325A KR20100109996A (ko) 2009-04-02 2009-04-02 근접인식이 가능한 다채널 정전용량 터치센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8325A KR20100109996A (ko) 2009-04-02 2009-04-02 근접인식이 가능한 다채널 정전용량 터치센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9996A true KR20100109996A (ko) 2010-10-12

Family

ID=431307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8325A KR20100109996A (ko) 2009-04-02 2009-04-02 근접인식이 가능한 다채널 정전용량 터치센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10999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95447B2 (en) 2018-09-03 2021-12-07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95447B2 (en) 2018-09-03 2021-12-07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US11495165B2 (en) 2018-09-03 2022-11-08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US11942018B2 (en) 2018-09-03 2024-03-26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799302B (zh) 输入装置与触碰事件处理方法
KR20080032901A (ko) 멀티 터치 판단 장치 및 방법
US8174509B2 (en) Multi-touch positioning method for capacitive touch panel
WO2008007372A3 (en) Hover and touch detection for a digitizer
RU2014150601A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для распознавания нажатия на расстоянии
US8564546B1 (en) Multiple touch resolve
WO2014143200A1 (en) Hard press rejection
TWI358029B (en) Method for filtering out signals from touch device
CN102273075A (zh) 电容式传感器系统
JP2007013432A (ja) 入力装置
WO2009145455A3 (ko) 데이터 입력장치
US20120249446A1 (en) Touch-sensing apparatus
US11188181B2 (en) Capacitive sensor filtering apparatus, method, and system
US9430111B2 (en) Capacitive sensor filtering apparatus, method, and system
TW201115419A (en) Touch-sensing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TW201339935A (zh) 電容式觸控系統、觸控裝置及觸控方法
JP2014110013A (ja) タッチ位置検出装置
US20150212649A1 (en) Touchpad input device and touchpad control program
WO2015125119A1 (en) A piezoelectric sensor for detecting an actuation direction, and an electrical appliance comprising the same
KR100591042B1 (ko) 기준값 자동 설정 방법을 이용한 디지털 센서 감지 방법및 장치
JP2018500052A (ja) 同期信号入力を備える指紋センサ
KR20100109996A (ko) 근접인식이 가능한 다채널 정전용량 터치센서
KR101027987B1 (ko) 전압레벨조정과 출력채널 선택이 가능한 아날로그 전압출력을 가지는 다채널 정전용량 터치센서 집적회로 칩
US8508499B2 (en) Touch sensing circuits and methods for detecting touch events
KR20180020696A (ko) 터치 시스템 및 이에 채용되는 터치 센싱 콘트롤러 및 스타일러스 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