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8519A - 송수신 시스템, 송신장치, 및 송수신 방법 - Google Patents

송수신 시스템, 송신장치, 및 송수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8519A
KR20190088519A KR1020197018390A KR20197018390A KR20190088519A KR 20190088519 A KR20190088519 A KR 20190088519A KR 1020197018390 A KR1020197018390 A KR 1020197018390A KR 20197018390 A KR20197018390 A KR 20197018390A KR 20190088519 A KR20190088519 A KR 201900885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gram
broadcast
data
screen
image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183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79181B1 (ko
Inventor
히로키 나카가와
코타로 카사이
후미치카 챠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뉴메디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뉴메디아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뉴메디아
Publication of KR201900885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85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91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91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04N21/4314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for fitting data in a restricted space on the screen, e.g. EPG data in a rectangular gri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28Arrangements for simultaneous broadcast of plural pieces of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86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broadcast information itself
    • H04H20/93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broadcast information itself which locates resources of other pieces of information, e.g.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61Arrangements for services using the result of monitoring, identification or recognition covered by groups H04H60/29-H04H60/54
    • H04H60/65Arrangements for services using the result of monitoring, identification or recognition covered by groups H04H60/29-H04H60/54 for using the result on users' si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76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ransmission systems other than for broadcast, e.g. the Internet
    • H04H60/81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ransmission systems other than for broadcast, e.g. the Internet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system itself
    • H04H60/82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ransmission systems other than for broadcast, e.g. the Internet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system itself the transmission system being the Intern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6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transport stream, by combining a video stream with other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inserting a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into a video stream, multiplexing software data into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Insertion of stuffing bits into the multiplex stream, e.g. to obtain a constant bit-rate; Assembling of a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2365Multiplexing of several video stre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62Content or additional data distribution scheduling, e.g. sending additional data at off-peak times, updating software modules, calculating the carousel transmission frequency, delaying a video stream transmission, generating play-lis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04N21/4316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for displaying supplemental content in a region of the screen, e.g. an advertisement in a separate window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2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2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 H04N21/4821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using a grid, e.g. sorted out by channel and broadcast ti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35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r recognising characteristics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e.g.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or for identifying users
    • H04H60/37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r recognising characteristics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e.g.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or for identifying users for identifying segments of broadcast information, e.g. scenes or extracting programme I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35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r recognising characteristics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e.g.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or for identifying users
    • H04H60/38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r recognising characteristics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e.g.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or for identifying users for identifying broadcast time or space
    • H04H60/41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r recognising characteristics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e.g.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or for identifying users for identifying broadcast time or space for identifying broadcast space, i.e. broadcast channels, broadcast stations or broadcast areas
    • H04H60/43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r recognising characteristics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e.g.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or for identifying users for identifying broadcast time or space for identifying broadcast space, i.e. broadcast channels, broadcast stations or broadcast areas for identifying broadcast chan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송 프로그램의 안내수에 상관없이, 시청자에게 있어서 시인성이 높은 프로그램 안내화면을 제공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송수신 시스템은, 제1 그룹에 포함되는 복수의 방송화상 데이터를 동일 화면 상에 배열된 복수의 표시 프레임의 각각에 표시하는 제1 프로그램 안내용 화면 데이터, 및 제2 그룹에 포함되는 복수의 방송화상 데이터를 복수의 표시 프레임과 동일한 표시 프레임의 각각에 표시하는 제2 프로그램 안내용 화면 데이터가, 소정의 시간간격으로 전환되는 프로그램 안내용 화면 데이터를 생성하는 화면 데이터 생성부와, 소정의 시간간격에 관한 시간정보, 및 제1 및 제2 프로그램 안내용 화면 데이터의 각각에 포함되는 복수의 방송화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방송 프로그램 식별정보를 생성하는 방송정보 생성부와, 프로그램 안내용 화면 데이터, 시간정보 및 방송 프로그램 식별정보를 송신하는 송신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송수신 시스템, 송신장치, 및 송수신 방법
본 발명은, 송수신 시스템, 송신장치 및 송수신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시청자가 방송국의 방송장치로부터 방송된 프로그램 안내화면을 표시하는 수신장치를 조작함으로써, 수신장치가 송신장치로부터 송신되는 방송 프로그램을 선국할 수 있는 송수신 시스템이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송수신 시스템에서는, 수신장치에 의하여, 안내문자정보 또는 안내화상정보 등의 프로그램 안내정보가 선택 가능하게 표시된다. 수신장치에 표시된 프로그램 안내정보가 시청자에 의하여 선택 조작되면, 선택된 프로그램 안내정보에 대한 방송 프로그램이 선국된다. 그리고, 수신장치는, 선국된 방송 프로그램의 방송화상 데이터를 표시한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는, 1개의 화면을 복수로 분할한 자화면의 각각에 16 방송채널만큼의 화상이 표시되는 멀티화면을, 표시장치에 표시시키는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수신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이러한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수신장치에서는, 시청자에 의하여 어떤 자화면이 선택된 경우, 선택된 자화면에 대응하는 방송채널이 선국된다. 또한, 이러한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수신장치에서는, 표시장치에 표시된 커서가 각 자화면에 위치한 경우, 시청자의 선국조작에 의한 선국처리, 커서가 위치하는 자화면의 프로그램의 프로그램 내용의 표시처리 등이 실행된다.
특허문헌 1: 일본공개특허공보 평8-289264호
하지만, 종래의 방송 프로그램 선택 시스템에서는, 안내할 수 있는 방송 프로그램의 수는, 1개의 화면을 분할한 복수의 표시영역(자화면)의 수로 한정되어 있었다. 이 때문에, 안내되는 방송 프로그램의 수가 증대함에 따라서, 각 표시영역의 크기가 작아지므로, 시청자는, 안내되는 방송 프로그램의 수가 소정수를 넘으면, 표시영역 내의 프로그램의 내용을 시인하기 어려워지는 경우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방송 프로그램의 안내수에 상관없이, 시청자에 있어서 시인성이 높은 프로그램 안내화면을 제공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송수신 시스템, 송신장치, 및 송수신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송수신 시스템은, 송신장치와 수신장치로 이루어지는 송수신 시스템으로서, 송신장치는, 복수의 방송 프로그램에 대응한 방송화상 데이터를 취득하는 취득부와, 취득된 복수의 방송화상 데이터를 적어도 제1 그룹과 제2 그룹으로 분류하는 분류부와, 제1 그룹에 포함되는 복수의 방송화상 데이터를 동일 화면 상에 배열된 복수의 표시 프레임의 각각에 표시하는 제1 프로그램 안내용 화면 데이터, 및 제2 그룹에 포함되는 복수의 방송화상 데이터를 동일 화면 상에 배열된 복수의 표시 프레임과 동일한 표시 프레임의 각각에 표시하는 제2 프로그램 안내용 화면 데이터가, 소정의 시간간격으로 전환되는 프로그램 안내용 화면 데이터를 생성하는 화면 데이터 생성부와, 소정의 시간간격에 관한 시간정보, 그리고 제1 및 제2 프로그램 안내용 화면 데이터의 각각에 포함되는 복수의 방송화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방송 프로그램 식별정보를 생성하는 방송정보 생성부와, 프로그램 안내용 화면 데이터, 시간정보, 및 방송 프로그램 식별정보를 송신하는 송신부를 구비하고, 수신장치는, 복수의 방송 프로그램에 대응한 방송화상 데이터, 프로그램 안내용 화면 데이터, 시간정보, 및 방송 프로그램 식별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프로그램 안내용 화면 데이터를 출력하는 화상 데이터 출력부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어떤 표시 프레임이 선택된 경우, 선택된 시각에 출력되어 있는 제1 또는 제2 프로그램 안내용 화면 데이터에 포함되며, 또한 선택된 표시 프레임에 대응하는 방송 프로그램 식별정보를 검출하는 검출부와, 검출된 방송 프로그램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방송화상 데이터가 화상 데이터 출력부로부터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또한, 송수신 시스템에 있어서, 수신부에 의하여 수신되는 방송 프로그램에 대응한 방송화상 데이터는, 방송국으로부터 송신되는 방송 데이터에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송수신 시스템에 있어서, 송신부는, 복수의 방송 프로그램에 대응한 방송화상 데이터를 수신장치에 송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송수신 시스템에 있어서, 화상 데이터 출력부는, 출력된 프로그램 안내용 화면 데이터에 근거하여, 프로그램 안내용 화면을 표시하고, 표시된 프로그램 안내용 화면에 배열한 복수의 표시 프레임의 어느 위치에, 커서 도형을 이동 가능하게 표시하고, 검출부는,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 입력된 경우, 커서 도형이 위치하는 표시 프레임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송수신 시스템에 있어서, 수신장치는, 기억부를 더 구비하고, 제어부는, 선택된 표시 프레임의 표시위치를 기억부에 기억시키며, 사용자에 의하여 프로그램 안내용 화면 데이터의 출력이 지시된 경우, 기억부에 기억된 표시위치를 취득하고, 프로그램 안내용 화면을 표시하는 동시에, 취득한 표시위치의 표시 프레임에 커서 도형을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송수신 시스템에 있어서, 커서 도형은, 소정의 조건에 따른 표시형태로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송신장치는, 수신장치에 방송 데이터를 송신하는 송신장치로서, 복수의 방송 프로그램에 대응한 방송화상 데이터를 취득하는 취득부와, 취득된 복수의 방송화상 데이터를 적어도 제1 그룹과 제2 그룹으로 분류하는 분류부와, 제1 그룹에 포함되는 복수의 방송화상 데이터를 동일 화면 상에 배열된 복수의 표시 프레임의 각각에 표시하는 제1 프로그램 안내용 화면 데이터, 및 제2 그룹에 포함되는 복수의 방송화상 데이터를 동일 화면 상에 배열된 복수의 표시 프레임과 동일한 표시 프레임의 각각에 표시하는 제2 프로그램 안내용 화면 데이터가, 소정의 시간간격으로 전환되는 프로그램 안내용 화면 데이터를 생성하는 화면 데이터 생성부와, 소정의 시간간격에 관한 시간정보, 그리고 제1 및 제2 프로그램 안내용 화면 데이터의 각각에 포함되는 복수의 방송화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방송 프로그램 식별정보를 생성하는 방송정보 생성부와, 프로그램 안내용 화면 데이터, 시간정보, 및 방송 프로그램 식별정보를 수신장치에 송신하는 송신부를 구비한다.
송수신 방법은, 송신장치와 화상 데이터 출력부를 구비하는 수신장치로 이루어지는 송수신 시스템에 의한 송수신 방법으로서, 송신장치는, 복수의 방송 프로그램에 대응한 방송화상 데이터를 취득하고, 취득된 복수의 방송화상 데이터를 적어도 제1 그룹과 제2 그룹으로 분류하며, 제1 그룹에 포함되는 복수의 방송화상 데이터를 동일 화면 상에 배열된 복수의 표시 프레임의 각각에 표시하는 제1 프로그램 안내용 화면 데이터, 및 제2 그룹에 포함되는 복수의 방송화상 데이터를 동일 화면 상에 배열된 복수의 표시 프레임과 동일한 표시 프레임의 각각에 표시하는 제2 프로그램 안내용 화면 데이터가, 소정의 시간간격으로 전환되는 프로그램 안내용 화면 데이터를 생성하고, 소정의 시간간격에 관한 시간정보, 그리고 제1 및 제2 프로그램 안내용 화면 데이터의 각각에 포함되는 복수의 방송화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방송 프로그램 식별정보를 생성하며, 프로그램 안내용 화면 데이터, 시간정보, 및 방송 프로그램 식별정보를 송신하고, 수신장치는, 복수의 방송 프로그램에 대응한 방송화상 데이터, 프로그램 안내용 화면 데이터, 시간정보, 및 방송 프로그램 식별정보를 수신하며, 프로그램 안내용 화면 데이터를 출력하고,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어떤 표시 프레임이 선택된 경우, 선택된 시각에 출력되어 있는 제1 또는 제2 프로그램 안내용 화면 데이터에 포함되며, 또한 선택된 표시 프레임에 대응하는 방송 프로그램 식별정보를 검출하고, 검출된 방송 프로그램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방송화상 데이터가 화상 데이터 출력부로부터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포함한다.
송수신 시스템, 송신장치 및 송수신 방법에 의하여, 방송 프로그램의 안내수에 상관없이, 시청자에게 있어서 시인성이 높은 프로그램 안내화면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송수신 시스템(1)의 개략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2는, 송수신 시스템(1)의 개략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3은, 송수신 시스템(1)의 개략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송신장치(2)의 개략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수신장치(3)의 개략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a는, 제1 프로그램 안내용 화면 데이터의 개략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6b는, 제2 프로그램 안내용 화면 데이터의 개략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7은, 커서 도형의 개략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8a는, 제1 프로그램 안내용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b는, 제2 프로그램 안내용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a는, 제1 프로그램 안내용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b는, 방송 프로그램의 방송화상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a는, 제2 프로그램 안내용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b는, 방송 프로그램의 방송화상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방송 데이터 생성처리의 동작 흐름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프로그램 안내용 화면표시처리의 동작 흐름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선국처리의 동작 흐름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송신장치(20)의 개략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수신장치(30)의 개략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단,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그들 실시형태로 한정되지 않으며,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과 그 균등물에 미치는 점에 유의하길 바란다.
송수신 시스템(1)은, 방송사업자 등이 소유하는 송신장치(2)와 각 가정 등에 설치된 수신장치(3)를 가진다. 송신장치(2)는, 방송사업자 등의 조작에 따라서 방송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한 방송 데이터를, 중계국 등을 통하여 수신장치(3)에 송신한다. 한편, 송신장치(2)는, 생성한 방송 데이터를, 케이블 텔레비전(Cable Television, CATV)망을 통하여 수신장치(3)에 송신하여도 좋다.
한편, 방송 데이터는, 화상 데이터, 음성 데이터, 및 방송정보 데이터 등을 포함한다. 화상 데이터는, 예를 들어, 방송 프로그램의 영상 데이터, 정지화상 데이터 등이다. 방송정보 데이터는, BML(Broadcast Markup Language) 등의 기술언어에 의하여 기술된 도형화상 데이터, 문자 데이터 및/또는 제어 데이터이다. 도형화상 데이터 및 문자 데이터는, 수신장치(3)에 의하여 실행되는 BML 브라우저 등에 의하여 표시된다. 제어 데이터는, 표시제어 등의 제어정보가 특정된 데이터이고, 예를 들어 도형화상 데이터를 이동 표시시키거나, 시청자의 조작입력정보에 근거하여 선국처리를 실행시키거나 하는 제어정보를 특정하기 위한 데이터이다.
송신장치(2)는, 방송 프로그램을 선택하기 위한 방송 데이터로서, 프로그램 안내용 화면 데이터를 생성한다. 프로그램 안내용 화면 데이터는, 적어도 2개 이상의 프로그램 안내용 화면을 수신장치(3)에 표시시키기 위한 화상 데이터이다. 이하, 프로그램 안내용 화면 데이터가 2개 있는 경우를 예로 들어, 도 1 및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한편, 2개의 프로그램 안내화면 데이터 중, 한쪽 프로그램 안내용 화면 데이터를 제1 프로그램 안내용 화면 데이터라고 하고, 다른 쪽 프로그램 안내용 화면 데이터를 제2 프로그램 안내용 화면 데이터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도 1은, 송수신 시스템(1)의 개략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우선, 송신장치(2)는, 복수의 방송 프로그램에 대응한 방송화상 데이터를 취득한다. 도 1의 (1)에 나타나는 예에서는, 송신장치(2)는, 채널 1~8의 복수의 방송 프로그램의 각각에 대응하고, 또한 방송중인 방송화상 데이터를 취득한다. 한편, 채널 1~8의 각각을 식별하기 위한 방송 프로그램 식별정보는, CH-1~CH-8이다.
다음으로, 송신장치(2)는, 취득된 복수의 방송화상 데이터를 제1 그룹과 제2 그룹으로 분류한다. 도 1의 (1)에 나타나는 예에서는, 취득된 복수의 방송화상 데이터는, 채널 1~4에 대응하는 방송화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제1 그룹과, 채널 5~8에 대응하는 방송화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제2 그룹으로 분류된다. 한편, 송신장치(2)는, 취득된 복수의 방송화상 데이터를 3 이상의 그룹으로 분류하여도 좋다. 이하, 제1 그룹에 포함되는 방송화상 데이터의 방송 프로그램을 제1 방송 프로그램이라고 하고, 제2 그룹에 포함되는 방송화상 데이터의 방송 프로그램을 제2 방송 프로그램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다음으로, 송신장치(2)는, 제1 그룹에 포함되는 복수의 제1 방송화상 데이터를 동일 화면 상에 배열된 복수의 표시 프레임의 각각에 표시하는 제1 프로그램 안내용 화면 데이터를 생성한다. 복수의 표시 프레임의 각각은, 예를 들어 직사각형 형상이고, 복수의 제1 방송화상 데이터의 각각에 대응한다. 각 제1 방송화상 데이터는, 대응하는 각 표시 프레임 내에 표시되는 화상 사이즈로 축소된다. 한편, 각 표시 프레임의 형상은, 직사각형 형상으로 한정되지 않고, 어떠한 형상이어도 좋다. 또한, 표시 프레임 내에 표시되는 화상 사이즈의 축소율은, 어떠한 축소율이어도 좋다.
또한, 송신장치(2)는, 제2 그룹에 포함되는 복수의 제2 방송화상 데이터를, 동일 화면 상에 배열된 복수의 표시 프레임의 각각에 표시하는 제2 프로그램 안내용 화면 데이터를 생성한다. 제1 프로그램 안내용 화면 데이터에 있어서의 복수의 표시 프레임과 제2 프로그램 안내용 화면 데이터에 있어서의 복수의 표시 프레임은, 동일한 표시 프레임이다. 한편, 복수의 표시 프레임의 각각에 대하여, 방송 프로그램 식별정보와 표시위치가 관련지어져 기억된다. 각 표시 프레임에 관련지어진 표시위치는, 동일 화면 상에 있어서의 각 표시 프레임의 위치를 나타내는 좌표정보, 또는 각 표시 프래임의 형상을 규정하기 위한 좌표정보 등이다.
도 1에 나타나는 예에서는, 복수의 표시 프레임의 각각은, 세로방향으로 2열, 및 가로방향으로 2열이 배열되어 있다. 제1 프로그램 안내용 화면 데이터에 있어서의 채널 1의 표시 프레임 및 제2 프로그램 안내용 화면 데이터에 있어서의 채널 5의 표시 프레임에는, (1, 1)의 좌표정보가 표시위치로서 대응지어진다. 또한, 제1 프로그램 안내용 화면 데이터에 있어서의 채널 2의 표시 프레임 및 제2 프로그램 안내용 화면 데이터에 있어서의 채널 6의 표시 프레임에는, (2, 1)의 좌표정보가 표시위치로서 대응지어진다. 또한, 제1 프로그램 안내용 화면 데이터에 있어서의 채널 3의 표시 프레임 및 제2 프로그램 안내용 화면 데이터에 있어서의 채널 7의 표시 프레임에는, (1, 2)의 좌표정보가 표시위치로서 대응지어진다. 또한, 제1 프로그램 안내용 화면 데이터에 있어서의 채널 4의 표시 프레임 및 제2 프로그램 안내용 화면 데이터에 있어서의 채널 8의 표시 프레임에는, (2, 2)의 좌표정보가 표시위치로서 대응지어진다.
다음으로, 송신장치(2)는, 생성한 제1 프로그램 안내용 화면 데이터 및 제2 프로그램 안내용 화면 데이터를 소정의 시간간격으로 전환하는 프로그램 안내용 화면 데이터를 생성한다. 소정의 시간간격은, 예를 들어 20초이다.
또한, 송신장치(2)는, 도 1의 (2)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방송 프로그램을 선택하기 위한 방송 데이터로서, 프로그램 안내정보 데이터를 생성한다. 프로그램 안내정보 데이터는, 프로그램 안내용 화면 데이터에 포함되는 방송 프로그램 식별정보, 그리고 제1 프로그램 안내용 화면 데이터 및 제2 프로그램 안내용 화면 데이터를 전환하는 소정의 시간간격에 관한 시간정보를 포함하는 방송정보 데이터이다. 또한, 프로그램 안내정보 데이터에는, 커서 도형을 포함하는 도형 화상 데이터가 포함되어도 좋다.
프로그램 안내용 화면 데이터에 포함되는 방송 프로그램 식별정보는, 복수의 제1 방송 프로그램 및 복수의 제2 방송 프로그램의 각각에 대응하는 방송 프로그램 식별정보이다. 제1 프로그램 안내용 화면 데이터에 있어서의 복수의 표시 프레임의 표시위치에, 각 표시 프레임에 대응하는 방송 프로그램의 방송 프로그램 식별정보가 관련지어진다. 또한, 제2 프로그램 안내용 화면 데이터에 있어서의 복수의 표시 프레임의 표시위치에, 각 표시 프레임에 대응하는 방송 프로그램의 방송 프로그램 식별정보가 관련지어진다. 도 1의 (2)에 나타나는 예에서는, 좌표정보 (1, 1)의 표시위치의 표시 프레임에는, 제1 방송 프로그램의 방송 프로그램 식별정보로서 CH-1이 대응지어지고, 제2 방송 프로그램의 방송 프로그램 식별정보로서 CH-5가 대응지어진다. 또한, 좌표정보 (2, 1)의 표시위치의 표시 프레임에는, 제1 방송 프로그램의 방송 프로그램 식별정보로서 CH-2가 대응지어지고, 제2 방송 프로그램의 방송 프로그램 식별정보로서 CH-6가 대응지어진다. 또한, 좌표정보 (1, 2)의 표시위치의 표시 프레임에는, 제1 방송 프로그램의 방송 프로그램 식별정보로서 CH-3이 대응지어지고, 제2 방송 프로그램의 방송 프로그램 식별정보로서 CH-7이 대응지어진다. 또한, 좌표정보 (2, 2)의 표시위치의 표시 프레임에는, 제1 방송 프로그램의 방송 프로그램 식별정보로서 CH-4가 대응지어지고, 제2 방송 프로그램의 방송 프로그램 식별정보로서 CH-8이 대응지어진다.
제1 프로그램 안내용 화면 데이터 및 제2 프로그램 안내용 화면 데이터를 전환하는 소정의 시간간격에 관한 시간정보는, 예를 들어 상태(status) 정보 또는 전환 타이밍 정보 등이다. 상태 정보는, 제1 프로그램 안내용 화면 데이터가 송신되고 있는 시간간격에서는, 제1 프로그램 안내용 화면 데이터를 나타내는 화면식별정보이고, 제2 프로그램 안내용 화면 데이터가 송신되고 있는 시간간격에서는, 제2 프로그램 안내용 화면 데이터를 나타내는 화면식별정보이다. 또한, 전환 타이밍 정보는, 제1 프로그램 안내용 화면 데이터로부터 제2 프로그램 안내용 화면 데이터로 전환되는 시각을 나타내는 정보, 및 제2 프로그램 안내용 화면 데이터로부터 제1 프로그램 안내용 화면 데이터로 전환되는 시각을 나타내는 정보이다.
송신장치(2)는, 방송 프로그램을 선택하기 위한 방송 데이터로서 생성된 프로그램 안내용 화면 데이터 및 프로그램 안내 정보 데이터를, 수신장치(3)에 송신한다. 한편, 송신장치(2)는, 방송 데이터를, CATV망을 통하여 수신장치(3)에 송신하는 경우에는, 복수의 방송 프로그램의 방송화상 데이터의 전부 또는 일부를 수신장치(3)로 송신하여도 좋다.
도 2는, 송수신 시스템(1)의 개략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2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송신장치(2)에 의하여 송신된 프로그램 안내용 화면 데이터 및 프로그램 안내 정보 데이터, 그리고 취득한 각 방송 프로그램의 방송화상 데이터를 수신한 수신장치(3)는, 프로그램 안내용 화면 데이터를 표시부에 출력한다. 즉, 수신장치(3)는, 프로그램 안내용 화면 데이터에 근거하여, 제1 프로그램 안내용 화면 및 제2 프로그램 안내용 화면을, 시간정보에 따라서 전환하여 표시부에 표시한다.
또한, 수신장치(3)는, 프로그램 안내 정보 데이터에 포함되는 도형 화상 데이터에 근거하여, 커서 도형을, 표시되는 제1 프로그램 안내용 화면 및 제2 프로그램 안내용 화면에 중첩하여 이동 가능하게 표시한다. 커서 도형은, 복수의 표시 프레임의 각각과 동일 또는 유사한 형상의 프레임 도형이고, 사용자에 의한 리모컨 등의 조작장치의 조작에 따라서, 화면 상의 각 표시 프레임의 위치로 이동 표시된다. 한편, 커서 도형은, 그 커서 도형이 표시 프레임 상에 표시된 경우에, 커서 도형이 위치하는 표시 프레임을 사용자가 식별할 수 있다면, 어떠한 형상이어도 좋다.
커서 도형이, 사용자가 원하는 표시 프레임의 위치에 표시되고, 사용자에 의한 조작장치의 조작에 따라서, 선택지시가 입력되면, 수신장치(3)는, 커서 도형이 위치하는 표시 프레임의 표시위치를 선택위치로서 취득한다. 다음으로, 수신장치(3)는, 시간정보에 근거하여, 선택지시가 입력된 시각에 있어서 출력되고 있는 안내용 화면 데이터가, 제1 프로그램 안내용 화면 데이터 및 제2 프로그램 안내용 화면 데이터 중 어느 것인지를 판정한다.
다음으로, 수신장치(3)는, 취득한 선택위치로 판정한 안내용 화면 데이터에 근거하여, 방송 프로그램 식별정보를 검출한다. 도 2에 나타나는 예에서는, 선택지시가 입력된 시각에 있어서 표시되어 있는 안내용 화면이, 제1 프로그램 안내용 화면이라고 판단되며, 또한 선택위치로서 좌표정보 (2, 2)가 취득된다. 이에 따라, 제1 방송 프로그램 중, 좌표정보 (2, 2)의 선택위치의 표시 프레임에 대응하는 방송 프로그램 식별정보(CH-4)가 검출된다.
그리고, 수신장치(3)는, 검출된 방송 프로그램 식별정보(CH-4)에 대응하는 방송 프로그램의 방송화상 데이터를 표시부에 표시한다.
상술과 같이, 송수신 시스템(1)은, 복수의 프로그램 안내용 화면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 프로그램 안내용 화면에 있어서, 각 프로그램을 소개하는 화상 등이 너무 작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사용자는 쉽게 방송 프로그램을 선택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방송 프로그램의 안내수에 상관없이, 시청자에게 있어서 시인성이 높은 프로그램 안내화면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한편, 상술한 도 1 및 도 2의 설명은, 본 발명의 내용에 대한 이해를 심화하기 위한 설명에 불과하다. 본 발명은, 구체적으로는, 다음에 설명하는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 실시되며, 또한 본 발명의 원칙을 실질적으로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변형예에 의하여 실시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변형예는 모두 본 발명 및 본 명세서의 개시범위에 포함된다.
(송수신 시스템(1)의 개략 구성)
도 3은, 송수신 시스템(1)의 개략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송수신 시스템(1)은, 송신장치(2) 및 수신장치(3)를 가진다. 수신장치(3)는, 예를 들어 텔레비전 수상기 등이며, 안테나부(4)와 접속된다. 수신장치(3)는, 송신장치(2)로부터 송신된 방송 데이터를, 안테나부(4)를 통하여 수신하고, 방송 데이터에 포함되는 화상 데이터를 표시하는 동시에, 방송 데이터에 포함되는 음성 데이터를 음성출력한다.
(송신장치(2)의 개략구성)
도 4는, 송신장치(2)의 개략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송신장치(2)는, 방송 프로그램을 선택하기 위한 방송 데이터로서 프로그램 안내용 화면 데이터 및 프로그램 안내 정보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한 방송 데이터를 수신장치(3)로 송신하는 기능을 가진다. 그 때문에, 송신장치(2)는, 신호생성부(201)와, 혼합분배부(202)와, 제1 STB(Set Top Box)(203)와, 제2 STB(204)와, 제1 화면분할부(205)와, 제2 화면분할부(206)와, 송출제어부(207)와, 입력전환부(208)와, 데이터 방송송출부(209)와, 다중화부(210)와, 제1 변조부(211)와, 송신부(212)를 구비한다.
신호생성부(201)는, 복수의 방송국의 각각으로부터 제공되는 프로그램 방송의 방송화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방송 데이터를 취득하고, 취득한 방송 데이터에 근거하여,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신호를 생성한다. 그리고, 신호생성부(201)는, 생성한 OFDM 신호를 혼합분배부(202)로 송출한다. 한편, 신호생성부(201)에 의하여 생성된 OFDM 신호는, 각 프로그램 방송의 방송화상 데이터를 나타내는 신호이다. 또한, 신호생성부(201)는, 취득부의 일례이다.
혼합분배부(202)는, 신호생성부(201)로부터 접수한 복수의 방송국의 각각의 방송 프로그램의 OFDM 신호를, 제1 STB(203) 및 제2 STB(204)로 송출하고, 후술하는 제1 변조부(211)로부터 접수한 OFDM 신호를 송신부(212)로 송출한다. 한편, 혼합분배부(202)는, 분류부의 일례이다.
송신장치(2)는, 제1 그룹에 포함되는 복수의 방송 프로그램의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제1 STB(203)를 구비한다. 각 제1 STB(203)는, 혼합분배부(202)로부터 접수한 제1 그룹에 포함되는 각 방송 프로그램의 OFDM 신호를 복조함으로써 방송화상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한 방송화상 데이터를 입력전환부(208)로 송출한다.
또한, 송신장치(2)는, 제2 그룹에 포함되는 복수의 방송 프로그램의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제2 STB(204)를 구비한다. 제2 STB(204)는, 혼합분배부(202)로부터 접수한 제2 그룹에 포함되는 각 방송 프로그램의 OFDM 신호를 복조함으로써 방송화상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한 방송화상 데이터를 입력전환부(208)로 송출한다.
제1 화면분할부(205)는, 예를 들어 화면분할유닛이고, 제1 STB(203)로부터 접수한 복수의 방송화상 데이터의 각각을 동일 화면 상에 배열된 복수의 표시 프레임 중 미리 정해진 각 표시 프레임에 표시하는 제1 프로그램 안내용 화면 데이터를 생성한다. 그리고, 제1 화면분할부(205)는, 생성한 제1 프로그램 안내용 화면 데이터를 입력전환부(208)로 송출한다.
제2 화면분할부(206)는, 예를 들어 화면분할유닛이고, 제2 STB(204)로부터 접수한 복수의 방송화상 데이터의 각각을 동일 화면 상에 배열된 복수의 표시 프레임 중 미리 정해진 각 표시 프레임에 표시하는 제2 프로그램 안내용 화면 데이터를 생성한다. 그리고, 제2 화면분할부(206)는, 생성한 제2 프로그램 안내용 화면 데이터를 입력전환부(208)로 송출한다.
송출제어부(207)는, 예를 들어 제어서버이다. 송출제어부(207)는, 입력전환부(208)에, 제1 프로그램 안내용 화면 데이터 및 제2 프로그램 안내용 화면 데이터 중 어느 하나를 다중화부(210)에 송출하기 위한 지시정보를 생성한다. 송출제어부(207)는, 소정의 시간간격이 경과할 때마다, 생성한 지시정보를 입력전환부(208)로 송출한다.
또한, 송출제어부(207)는, 소정의 시간간격마다 입력전환부(208)가 다중화부(210)에 송출하고 있는 프로그램 안내용 화면 데이터의 화면식별정보를 데이터 방송송출부(209)로 송출한다. 즉, 송출제어부(207)는, 제1 프로그램 안내용 화면 데이터가 송출되고 있는 시간에는, 제1 프로그램 안내용 화면 데이터를 나타내는 화면식별정보(예를 들어, 'Page.1' 등)를 데이터 방송송출부로 송출한다. 또한, 송출제어부(207)는, 제2 프로그램 안내용 화면 데이터가 송출되고 있는 시간에는, 제2 프로그램 안내용 화면 데이터를 나타내는 화면식별정보(예를 들어, 'Page.2' 등)를 데이터 방송송출부(209)로 송출한다. 예를 들어, 16시48분0초에서 16시48분20초까지, 제1 프로그램 안내용 화면 데이터가 송출되고 있는 경우, 송출제어부(207)는, 'Page.1'의 화면식별정보를 데이터 방송송출부로 송출한다. 또한, 예를 들어 16시48분20초에서 16시48분40초까지, 제2 프로그램 안내용 화면 데이터가 송출되고 있는 경우, 송출제어부(207)는, 'Page.2'의 화면식별정보를 데이터 방송송출부로 송출한다.
입력전환부(208)는, 예를 들어 입력전환장치이며, 제1 화면분할부(205)로부터 접수한 제1 프로그램 안내용 화면 데이터와 제2 화면분할부(206)로부터 접수한 제2 프로그램 안내용 화면 데이터의 어느 하나를 다중화부(210)로 송출한다. 입력전환부(208)는, 제1 프로그램 안내용 화면 데이터를 다중화부(210)에 송출하고 있을 때, 송출제어부(207)로부터 지시정보를 접수하면, 제1 프로그램 안내용 화면 데이터의 송출을 중지하고, 제2 프로그램 안내용 화면 데이터를 다중화부(210)로 송출한다. 또한, 입력전환부(208)는, 제2 프로그램 안내용 화면 데이터를 다중화부(210)에 송출하고 있을 때, 송출제어부(207)로부터 지시정보를 접수하면, 제2 프로그램 안내용 화면 데이터의 송출을 중지하고, 제1 프로그램 안내용 화면 데이터를 다중화부(210)로 송출한다. 이와 같이, 입력전환부(208)는, 제1 프로그램 안내용 화면 데이터와 제2 프로그램 안내용 화면 데이터가 소정의 시간간격으로 전환되는 프로그램 안내용 화면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한 프로그램 안내용 화면 데이터를 다중화부(210)로 송출한다. 한편, 입력전환부(208)는, 화면 데이터 생성부의 일례이다.
데이터 방송송출부(209)는, 제1 프로그램 안내용 화면 데이터 및 제2 프로그램 안내용 화면 데이터의 각각에 포함되는 복수의 방송화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방송 프로그램 식별정보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데이터 방송송출부(209)는, 송신장치(2)를 소유하는 방송사업자에 의하여 입력된 방송 프로그램 정보에 근거하여, 방송 프로그램 식별정보를 생성한다. 또한, 데이터 방송송출부(209)는, 혼합분배부(202)로부터 제1 STB(203) 및 제2 STB(204)에 송출한 방송 프로그램의 방송 프로그램 식별정보를 취득하여도 좋다. 한편, 각 방송 프로그램 식별정보에는, 표시되는 표시 프레임의 표시위치가 대응지어져 있다.
또한, 데이터 방송송출부(209)는, 송출제어부(207)로부터 접수한 화면식별정보에 근거하여, 소정의 시간간격마다 화면식별정보를 나타내는 이벤트 메시지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16시48분0초에서 16시48분20초까지, 제1 프로그램 안내용 화면 데이터가 송출되고 있는 경우, 데이터 방송송출부(209)는, 'Page.1'을 나타내는 이벤트 메시지를 생성한다. 또한, 예를 들어 16시48분20초에서 16시48분40초까지, 제2 프로그램 안내용 화면 데이터가 송출되고 있을 경우, 데이터 방송송출부(209)는, 'Page.2'를 나타내는 이벤트 메시지를 생성한다. 더욱이, 데이터 방송송출부(209)는, 커서 도형을 포함하는 도형화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한편, 데이터 방송송출부(209)는 방송정보생성부의 일례이며, 이벤트 메시지는 시간정보의 일례이다.
그리고, 데이터 방송송출부(209)는, 생성한 각종 정보를 방송정보 데이터로서 다중화부(210)로 송출한다.
다중화부(210)는, 입력전환부(208)로부터 프로그램 안내용 화면 데이터를 접수하고, 데이터 방송송출부(209)로부터 방송정보 데이터를 접수하면, 프로그램 안내용 화면 데이터 및 방송정보 데이터를 TS(Transpot Stream)의 신호형식으로 다중화하여, TS 신호를 생성한다. 다중화부(210)는, 생성한 TS 신호를 제1 변조부(211)로 송출한다. 한편, TS 신호로 나타나는 프로그램 안내용 화면 데이터가 제1 프로그램 안내용 화면 데이터인 시간에서는, 방송정보 데이터에 'Page.1'을 나타내는 이벤트 메시지가 포함된다. 또한, TS 신호로 나타나는 프로그램 안내용 화면 데이터가 제2 프로그램 안내용 화면 데이터인 시간에는, 방송정보 데이터에 'Page.2'를 나타내는 이벤트 메시지가 포함된다.
제1 변조부(211)는, 다중화부(210)로부터 TS 신호를 접수하면, 취득한 TS 신호에 근거하여 OFDM 신호를 생성한다. 그리고, 제1 변조부(211)는, 생성한 OFDM 신호를, 혼합분배부(202)를 통하여 송신부(212)로 송출한다. 한편, 제1 변조부(211)는, OFDM 신호로 변조하는 변조방식으로 한정되지 않고, 수신장치(3)가 처리 가능한 신호라면, 취득한 TS 신호를 어떠한 변조방식으로 변조하여 좋다. 예를 들어, 제1 변조부(211)는, 다중화부(210)로부터 취득한 TS 신호에 근거하여, 64QAM의 변조방식에 의하여 64값 데이터를 생성하여도 좋다.
송신부(212)는, 접수한 OFDM 신호를, 방송신호로서 수진장치(3)에 송신한다. 이에 따라, 송신장치(2)에 의하여 생성된 프로그램 안내용 화면 데이터 및 방송정보 데이터를 포함하는 방송 데이터가, 송신장치(2)로부터 수신장치(3)에 송신된다.
(수신장치(3)의 개략구성)
도 5는, 수신장치(3)의 개략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수신장치(3)는, 송신장치(2)로부터 송신된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한 방송 데이터에 근거하여, 프로그램 안내용 화면을 표시하는 기능을 가진다. 그 때문에, 수신장치(3)는, 수신제어부(301)와, 선국부(302)와, 복조부(303)와, 다중분리부(304)와, 디코딩부(305)와, 음성출력부(306)와, 화상중첩부(307)와, 표시부(308)와, 기억부(309)를 구비한다.
수신제어부(301)는,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세서 및 그 주변회로를 구비한다. 수신제어부(301)는, 수신장치(3)의 전체적인 동작을 총괄적으로 제어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CPU(Central Processing Unit)이다. 수신제어부(301)는, 사용자에 의한 리모컨 등의 조작장치의 조작에 따라서 수신한 선택입력신호에 따라서, 선택된 방송 프로그램을 선국하는 선국지시를 선국부(302)로 송출한다. 또한, 수신제어부(301)는, 다중분리부(304)로부터 접수한 방송정보 데이터에 근거하여, 커서 도형 등의 도형화상 데이터 및 문자 데이터 등을 생성하고, 생성한 도형화상 데이터 및 문자 데이터 등을 화상중첩부(307)에 송출하는 동시에, 기억부(309)에, 접수한 방송정보 데이터를 기억시킨다. 한편, 기억부(309)에 커서 도형의 표시위치가 기억되어 있는 경우에는, 수신제어부(301)는, 기억부(309)로부터 표시위치를 판독하고, 표시위치를 커서 도형의 도형화상 데이터와 함께 화상중첩부(307)로 송출한다.
또한, 수신제어부(301)는, 표시부(308)에 프로그램 안내용 화면이 표시되어 있는 경우, 사용자에 의한 리모컨 등의 조작장치의 조작에 따라서 수신한 프로그램 안내용 화면에 중첩표시되어 있는 커서 도형의 이동지시에 따라서, 이동 후의 표시 프레임의 위치정보를 화상중첩부(307)로 송출한다.
또한, 수신제어부(301)는, 표시부(308)에 프로그램 안내용 화면이 표시되어 있는 경우, 사용자에 의한 리모컨 등의 조작장치의 조작에 따라서 수신한 커서 도형의 선택지시에 따라서, 커서 도형이 위치하는 표시 프레임을 선택하고, 선택한 표시 프레임의 표시위치를 기억부(309)에 기억시킨다. 더욱이, 수신제어부(301)는, 기억부(309)에 기억된 방송정보 데이터에 포함되는 이벤트 메시지와 선택한 표시 프레임에 대응하는 표시위치를 취득한다. 그리고, 수신제어부(301)는, 이벤트 메시지에 근거하여, 표시되어 있는 프로그램 안내화면이 제1 프로그램 안내화면 및 제1 프로그램 안내화면 중 어느 것인지를 판정하고, 제1 프로그램 안내화면에 포함되는 방송 프로그램 식별정보 중, 취득한 표시위치의 표시 프레임에 대응하는 방송 프로그램 식별정보를 검출한다. 그리고, 수신제어부(301)는, 선택된 방송 프로그램 식별정보의 방송 프로그램을 선국하는 선국지시를 선국부(302)로 송출한다. 한편, 수신제어부(301)는, 검출부 및 제어부의 일례이다.
선국부(302)는, 안테나부(4)를 통하여 수신한 각 채널에 대응하는 방송신호 중, 수신제어부(301)로부터 접수한 선국지시에 대응하는 채널의 방송신호를 추출한다. 그리고, 선국부(302)는, 추출한 방송신호를 복조부(303)로 송출한다. 한편, 선국부(302)는, 수신부의 일례이다.
복조부(303)는, 선국부(302)로부터 접수한 방송신호를 복조하는 동시에 오류 정정을 함으로써, 방송신호를 TS 신호로 복귀시킨다. 그리고, 복조부(303)는, TS 신호를 다중분리부(304)로 송출한다.
다중분리부(304)는, 복조부(303)로부터 TS 신호를 접수하면, TS 신호에 포함되는 프로그램 안내용 화면 데이터 및 방송정보 데이터를 분리한다. 다중분리부(304)는, 프로그램 안내용 화면 데이터를 디코딩부(305)에 송출하는 동시에, 방송정보 데이터를 수신제어부(301)로 송출한다. 한편, 복조부(303)로부터 접수한 TS 신호가, 각 방송국으로부터 송신된 방송 프로그램의 방송 데이터를 나타내는 TS 신호인 경우, 다중분리부(304)는, TS 신호에 포함되는 방송화상 데이터, 음성 데이터 및 방송정보 데이터를 분리한다. 이 경우, 다중분리부(304)는, 방송화상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를 디코딩부(305)로 송출하는 동시에, 방송정보 데이터를 수신제어부(301)로 송출한다.
디코딩부(305)는, 다중분리부(304)로부터 접수한 프로그램 안내용 화면 데이터, 방송화상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를 복호한다. 그리고, 디코딩부(305)는, 복호한 프로그램 안내용 화면 데이터 및 방송화상 데이터를 화상중첩부(307)에 송출하는 동시에, 복호한 음성 데이터를 음성출력부(306)로 송출한다.
음성출력부(306)는, 예를 들어 스피커이고, 디코딩부(305)로부터 접수한 음성 데이터를 음성 출력한다.
화상중첩부(307)는, 수신제어부(301)로부터 접수한 도형화상 데이터 및 문자 데이터 등과, 디코딩부(305)로부터 접수한 프로그램 안내용 화면 데이터 또는 방송화상 데이터를 중첩하여 작성한 화상 데이터를 표시부(308)에 출력한다. 한편, 화상중첩부(307)는, 커서 도형의 도형화상 데이터를 표시위치와 함께 접수한 경우, 표시위치에 대응하는 표시 프레임에 커서 도형을 배치한 프로그램 안내용 화면 데이터의 화상 데이터를 표시부(308)에 출력한다. 한편, 화상출력부(504)는, 제2 송신부의 일례이다.
또한, 화상중첩부(307)는, 프로그램 안내용 화면이 표시부(308)에 표시되어 있는 경우, 커서 도형의 표시위치만을 수신제어부(301)로부터 접수하면, 접수한 표시위치에 대응하는 표시 프레임에 커서 도형을 배치한 프로그램 안내용 화면 데이터의 화상 데이터를 표시부(308)에 출력한다.
표시부(308)는, 예를 들어, 표시장치이고, 화상중첩부(307)로부터 접수한 화상 데이터를 표시 출력한다. 표시부(308)는, 프로그램 안내용 화면 데이터와 함께 커서 도형의 도형화상 데이터를 접수한 경우, 커서 도형이 중첩된 프로그램 안내용 화면을 표시한다. 또한, 표시부(308)는, 방송 프로그램의 방송화상 데이터를 접수한 경우, 방송화상 데이터를 표시한다. 한편, 표시부(308)는, 화상 데이터 출력부의 일례이다.
기억부(309)는, 예를 들어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구비한다. 기억부(309)는, 수신제어부(301)에서의 처리에 이용되는 각종 프로그램, 데이터 등을 기억한다. 기억부(309)는, 데이터로서, 커서 도형이 위치한 표시 프레임의 표시위치 등을 기억한다.
(제1 프로그램 안내용 화면 데이터의 개략)
도 6a는, 제1 프로그램 안내용 화면 데이터(600)의 개략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제1 프로그램 안내용 화면 데이터(600)는, 복수의 표시 프레임(601)의 각각에 배치된, 제1 그룹에 포함되는 복수의 제1 방송 프로그램의 방송화상 데이터(602)를 가진다. 도 6a에 나타나는 예에서는, 복수의 표시 프레임(601)은, 동일 화면 상에 규정된 세로 4행 및 가로 5열로 배열된 직사각형의 동일 형상의 표시 프레임이다. 한편, 표시 프레임의 배열은, 세로 4행 및 가로 5열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1 그룹에 포함되는 복수의 제1 방송 프로그램 또는 제2 그룹에 포함되는 복수의 제2 방송 프로그램의 수에 따라서, 자동적으로 배열이 변경되어도 좋다. 한편, 복수의 표시 프레임(601)의 각각에는, 각 표시 프레임(601)의 표시위치와 표시되는 방송 프로그램의 방송 프로그램 식별정보가 대응된다. 도 6a에 나타나는 예에서는, 위에서부터 1행째 및 왼쪽에서부터 1열째의 표시 프레임(601)에 대하여, 좌표정보 (1,1)의 표시위치와, CH-01의 방송 프로그램 식별정보가 대응된다.
(제2 프로그램 안내용 화면 데이터의 개략)
도 6b는, 제2 프로그램 안내용 화면 데이터(610)의 개략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제2 프로그램 안내용 화면 데이터(610)는, 복수의 표시 프레임(611)의 각각에 배치된, 제2 그룹에 포함되는 복수의 제2 방송 프로그램의 방송화상 데이터(612)를 가진다. 도 6b에 나타나는 예에서는, 복수의 표시 프레임(611)은, 동일 화면 상에 규정된 세로 4행 및 가로 5열로 배열된 직사각형의 동일 형상의 표시 프레임으로, 복수의 표시 프레임(601)과 동일하다. 한편, 일부의 표시 프레임(611)만이, 대응하는 표시 프레임(601)과 동일하여도 좋다. 한편, 복수의 표시 프레임(611)의 각각에는, 각 표시 프레임(611)의 표시위치와 표시되는 방송 프로그램의 방송 프로그램 식별정보가 대응된다. 도 6b에 나타나는 예에서는, 위에서부터 1행째 및 왼쪽에서부터 1열째의 표시 프레임(611)에 대하여, 좌표정보 (1,1)의 표시위치와, CH-21의 방송 프로그램 식별정보가 대응된다.
(커서 도형의 개략)
도 7은, 커서 도형(700)의 개략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커서 도형(700)은, 복수의 표시 프레임(701)의 어느 것에 배치된다. 도 7에 나타나는 예에서는, 복수의 표시 프레임(701)은, 동일 화면 상에 규정된 세로 4행 및 가로 5열에 배치된 직사각형의 동일 형상의 표시 프레임으로, 복수의 표시 프레임(601)과 동일하다. 한편, 일부의 표시 프레임(701)만이, 대응하는 표시 프레임(601)과 동일하여도 좋다. 커서 도형(700)은, 사용자에 의한 리모컨 등의 조작장치의 조작에 따라서, 복수의 표시 프레임(701)의 어느 위치로 이동표시된다.
(프로그램 안내용 화면)
도 8a는, 수신장치(3)에 의하여 표시되는 제1 프로그램 안내용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a에 나타나는 예에서는, 제1 프로그램 안내용 화면에는, 제1 그룹에 포함되는 복수의 제1 방송 프로그램의 방송화상 데이터를 나타내는 화상(영상)이 표시된다. 또한, 제1 프로그램 안내용 화면의 소정의 표시 프레임의 위치에 커서 도형(700)이 표시된다. 한편, 수신장치(3)가 제1 프로그램 안내용 화면을 표시하는 경우, 각 표시 프레임의 표시위치와 표시되는 방송 프로그램의 방송 프로그램 식별정보가 기억부(309)에 기억되어도 좋다.
도 8b는, 수신장치(3)에 의하여 표시되는 제2 프로그램 안내용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b에 나타나는 예에서는, 제2 프로그램 안내용 화면에는, 제2 그룹에 포함되는 복수의 제2 방송 프로그램의 방송화상 데이터를 나타내는 화상(영상)이 표시된다. 또한, 제2 프로그램 안내용 화면의 소정의 표시 프레임의 위치에 커서 도형(700)이 표시된다. 한편, 수신장치(3)가 제2 프로그램 안내용 화면을 표시하는 경우, 각 표시 프레임의 표시위치와 표시되는 방송 프로그램의 방송 프로그램 식별정보가, 기억부(309)에 기억되어도 좋다.
(방송 프로그램의 방송화상 화면의 표시예)
도 9a는, 수신장치(3)에 의하여 표시되는 제1 프로그램 안내용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사용자에 의한 리모컨 등의 조작장치의 조작에 따라서, 커서 도형(700)이 화면 상의 각 표시 프레임의 위치로 이동 표시된다. 도 9a에 나타나는 예에서는, 커서 도형(700)은, 채널(12)에 대응하는 표시 프레임의 위치에 표시되어 있다.
도 9b는, 수신장치(3)에 의하여 표시되는 방송 프로그램의 방송화상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b에 나타나는 예에서는, 도 9a에 나타나는 제1 프로그램 안내용 화면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한 조작장치의 조작에 따라서, 선택지시가 입력되면, 커서 도형이 위치하는 표시 프레임의 표시위치에 대응하는 제1 방송 프로그램(채널 12)의 방송화상 데이터가 표시된다.
도 10a는, 수신장치(3)에 의하여 표시되는 제2 프로그램 안내용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사용자에 의한 리모컨 등의 조작장치의 조작에 따라서, 커서 도형(700)이 화면 상의 각 표시 프레임의 위치로 이동 표시된다. 도 10a에 나타나는 예에서는, 커서 도형(700)은, 채널 29에 대응하는 표시 프레임의 위치에 표시되어 있다.
도 10b는, 수신장치(3)에 의하여 표시되는 방송 프로그램의 방송화상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b에 나타나는 예에서는, 도 10a에 나타나는 제2 프로그램 안내용 화면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한 조작장치의 조작에 따라서, 선택지시가 입력되면, 커서 도형이 위치하는 표시 프레임의 표시위치에 대응하는 제2 방송 프로그램(채널 29)의 방송화상 데이터가 표시된다.
(방송 데이터 생성처리)
도 11은, 송출제어부(207)에 의하여 실행되는 방송 데이터 생성처리의 동작 흐름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송출제어부(207)는, 현재 시각이 소정 타이밍에 도달하였는지 아닌지를 감시한다(스텝 S101). 즉, 송출제어부(207)는, 소정의 시간간격이 경과한 경우, 현재 시각이 소정 타이밍에 도달하였다고 판정한다.
다음으로, 송출제어부(207)는, 현재 시각이 소정 타이밍에 도달하였다고 판정한 경우(스텝 S101-Yes), 송출제어부(207)는, 프로그램 안내용 화면 데이터를 전환한다(스텝 S102). 즉, 송출제어부(207)는, 생성한 지시정보를 입력전환부(208)로 송출한다.
그리고, 송출제어부(207)는, 전환한 프로그램 안내용 화면 데이터에 따른 화면식별정보를 데이터 방송송출부(209)로 송출하고(스텝 S103), 일련의 스텝을 종료한다. 한편, 데이터 방송송출부(209)에 있어서, 화면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이벤트 메시지가 생성된다. 한편, 방송 데이터 생성처리의 일련의 스텝이 종료된 경우, 송출제어부(207)는, 방송 데이터 생성처리를 다시 실행한다.
(프로그램 안내용 화면표시처리)
도 12는, 수신제어부(301)에 의하여 실행되는 프로그램 안내용 화면표시처리의 동작 흐름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우선, 수신제어부(301)는, 선국정보를 취득한다(스텝 S201).
다음으로, 수신제어부(301)는, 취득한 선국지시를 선국부(302)에 송출한다(스텝 S202).
다음으로, 수신제어부(301)는, 다중분리부(304)로부터 데이터 방송정보를 취득한다(스텝 S203).
다음으로, 수신제어부(301)는, 기억부(309)에 커서 도형의 표시위치가 기억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스텝 S204).
다음으로, 수신제어부(301)는, 기억부(309)에 커서 도형의 표시위치가 기억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한 경우(스텝 S204-No), 커서 위치의 표시위치로서, 소정위치(예를 들어, 좌표정보 (1,1) 등)를 설정하고, 기억부(309)에 기억시킨다(스텝 S205). 또한, 수신제어부(301)는, 기억부(309)에 커서 도형의 표시위치가 기억되어 있다고 판정한 경우(스텝 S204-Yes), 스텝 S206으로 처리를 진행한다.
그리고, 수신제어부(301)는, 기억부(309)에 기억되어 있는 커서 도형의 표시위치를 판독하여, 화상중첩부(307)에 대하여, 커서 도형의 도형화상 데이터와 표시위치를 건네는 동시에 표시지시를 송출하여(스텝 S206), 일련의 스텝을 종료한다.
(선국처리)
도 13은, 수신제어부(301)에 의하여 실행되는 선국처리의 동작 흐름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우선, 수신제어부(301)는, 커서 도형의 표시위치를 취득한다(스텝 S301).
다음으로, 수신제어부(301)는, 커서 도형의 표시위치를 기억부(309)에 기억시킨다(스텝 S302).
다음으로, 수신제어부(301)는, 기억부(309)에 기억된 방송정보 데이터에 포함되는 이벤트 메시지를 취득한다(스텝 S303).
다음으로, 수신제어부(301)는, 방송 프로그램 식별정보를 검출한다(스텝 S304). 즉, 수신제어부(301)는, 이벤트 메시지에 근거하여, 표시되어 있는 프로그램 안내화면이, 제1 프로그램 안내화면 및 제1 프로그램 안내화면 중 어느 것인지를 판정하고, 제1 프로그램 안내화면에 포함되는 방송 프로그램 식별정보 중, 취득한 표시위치의 표시 프레임에 대응하는 방송 프로그램 식별정보를 검출한다.
그리고, 수신제어부(301)는, 선택된 방송 프로그램 식별정보의 방송 프로그램을 선국하는 선국지시를 선국부(302)에 송출한다(스텝 S305).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송수신 시스템(1)은, 복수의 프로그램 안내용 화면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고, 각 프로그램 안내용 화면에 있어서, 각 프로그램을 소개하는 화상 등이 너무 작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쉽게 방송 프로그램을 선택할 수 있게 되므로, 방송 프로그램의 안내수에 상관없이, 시청자에게 있어서 시인성이 높은 프로그램 안내화면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변형예 1)
한편, 송신장치(2)는, BS(Broadcasting Satellite) 방송 및/또는 CS(Communications Satellite) 방송의 방송 프로그램에 대응한 방송화상 데이터를 취득하여도 좋다. 도 14는, 송신장치(20)의 개략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에 있어서, 도 4에 나타나는 송신장치(2)와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변환부(213)는, CS 방송의 방송 프로그램에 대응한 방송 데이터를 나타내는 방송신호를 취득하면, 취득한 방송신호를 TS 신호로 변환한다.
제2 변조부(214)는, 변환부(213)로부터 TS 신호를 접수하면, 취득한 TS 신호에 근거하여 OFDM 신호를 생성한다. 그리고, 제2 변조부(214)는, 생성한 OFDM 신호를, 혼합분배부(202)를 통하여 제1 STB 또는 제2 STB로 송출한다. 한편, 제1 변조부(211) 및 제2 변조부(214)는, 생성된 신호가 제1 STB 또는 제2 STB로 처리 가능하면, 취득한 TS 신호를 어떠한 변조방식으로 변조하여도 좋다. 예를 들어, 제1 변조부(211)는, 다중화부(210)로부터 취득한 TS 신호에 근거하여, 64QAM의 변조방식에 의하여 64값 데이터를 생성하여도 좋고, 또한 제2 변조부(214)는, 변환부(213)로부터 취득한 TS 신호에 근거하여, 64QAM의 변조방식에 의하여 64값 데이터를 생성하여도 좋다.
이에 따라, 송신장치(2)는, 프로그램 안내용 화면 데이터를 송신하는 동시에, 복수의 방송 프로그램에 대응한 방송화상 데이터를 송신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변형예 2)
또한, 수신장치(3)는, CATV망을 통하여 수신한 방송 데이터를 출력하여도 좋다. 도 15는, 수신장치(30)의 개략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에 있어서, 도 5에 나타나는 수신장치(3)와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수신장치(30)는, 분배부(310), 제1 선국부(311) 및 제2 선국부(312)를 더 구비한다.
분배부(310)는, 수신제어부(301)로부터의 선국지시에 따라서, 지상 디지털 방송의 방송 프로그램의 방송 데이터를 나타내는 방송신호를 제1 선국부(311)로 송출하고, 또한 케이블 텔레비전 사업자에 의하여 자주(自主) 방송된 방송 프로그램의 방송 데이터를 나타내는 방송신호를 제2 선국부(312)로 송출한다.
제1 선국부(311)는, CATV망을 통하여 수신한 지상 디지털 방송의 방송 프로그램의 방송 데이터를 나타내는 방송신호 중, 수신제어부(301)로부터 접수한 선국지시에 대응하는 채널의 방송신호를 추출한다.
제2 선국부(312)는, CATV망을 통하여 수신한 케이블 텔레비전 사업자에 의하여 자주 방송된 방송 프로그램의 방송 데이터를 나타내는 방송신호 중, 수신제어부(301)로부터 접수한 선국지시에 대응하는 채널의 방송신호를 추출한다.
이상에 의하여, 수신장치(30)는, 지상 디지털 방송의 방송 프로그램의 방송 데이터 및 케이블 텔레비전 사업자에 의하여 자주 방송된 방송 프로그램의 방송 데이터의 양쪽에 대응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변형예 3)
또한, 표시부(308)에 표시되는 커서 도형은, 소정의 조건에 따른 표시형태로 표시되어도 좋다. 예를 들어, 송신장치(2)는, 각 방송 프로그램 식별정보에 대하여, 시청률, 시청자수, 추천정보 등의 부가정보를 부가하여 방송정보 데이터로서, 수신장치(3)에 송신한다. 수신장치(3)의 수신제어부(301)는, 기억부(309)에 기억된 방송정보 데이터를 참조하고, 커서 도형이 위치하는 표시 프레임에 대응하는 방송 프로그램 식별정보에, 부가정보가 대응되어 있는 경우, 커서 도형의 표시 형태를 변경하여 표시부(308)에 표시시킨다. 한편, 표시형태는, 커서 도형의 색, 크기, 스타일(점선, 굵은선), 동적표시 등이다. 한편, 수신제어부(301)는, 사용자에 의한 리모컨 등의 조작장치의 조작에 따라서 수신한 커서 도형의 선택지시에 따라서, 커서 도형이 위치하는 표시 프레임에 대응하는 방송 프로그램 식별정보를 검출하고, 검출된 방송 프로그램 식별정보의 방송 프로그램을 선국하는 선국지시를 선국부(302)에 송출하는 동시에, 송신장치(2)의 송출제어부(207)에, 선국된 방송 프로그램 식별정보에 관한 시청이력 데이터를, 인터넷 등의 소정의 통신망을 통하여 송신한다. 이에 따라, 송출제어부(207)는, 각 방송 프로그램 식별정보에 대하여, 시청률, 시청자수, 추천정보 등의 부가정보를 작성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송신장치(2) 및 수신장치(3)는, 인터넷 등의 통신망과 접속하는 통신부를 구비한다.
이에 따라, 방송사업자는, 커서 도형이 위치하는 표시 프레임에 대응하는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부가정보를 시각적으로 표시하게 할 수 있게 된다.
(변형예 4)
또한, 수신장치(3)는, 수신장치(3)의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시청자 식별정보에 근거하여, 방송 데이터에 포함되는 방송정보 데이터의 표시 형태를 변경하고, 표시 형태가 변경된 방송정보 데이터를 표시부(308)에 표시하여도 좋다.
우선, 수신장치(3)의 수신제어부(301)는, 기억부(309)에 기억된 시청자 식별정보 및 계약정보 등에 근거하여, 복수의 방송 프로그램의 각각을 식별하기 위한 각 방송 프로그램 식별정보에 관련지어진 시청가능정보를 작성한다. 계약정보는, 시청계약한 경우에 시청 가능한 방송 프로그램인 것을 나타내는 정보 또는 시청계약하지 않아도 시청 가능한 방송 프로그램인 것을 나타내는 정보, 또는, 시청계약이 필요한 경우에 시청계약 완료인 것을 나타내는 정보 등이다. 한편, 시청자 식별번호는, 수신장치(3)의 각각에 고유의 개체식별번호(STBID 등)여도 좋다. 또한, 시청자 식별번호는, C-CAS(Conditional Access System) 카드 등의 방송사업자로부터 제공된 기억매체에 기억된 식별정보여도 좋고, 이러한 경우, 수신장치(3)는, 기억매체를 장착하는 장착부(CAS 카드용 슬롯 등)를 구비한다.
다음으로, 수신제어부(301)는, 사용자에 의한 리모컨 등의 조작장치의 조작에 따라서 수신한 커서 도형의 선택지시에 따라서, 커서 도형이 위치하는 표시 프레임에 대응하는 방송 프로그램 식별정보를 검출한다. 다음으로, 수신제어부(301)는, 검출된 방송 프로그램 식별정보에 관련지어진 시청가능정보가 시청가능을 나타내는 정보인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수신제어부(301)는, 검출된 방송 프로그램 식별정보에 관련지어진 시청가능정보가 시청가능을 나타내는 정보인 경우, 검출된 방송 프로그램 식별정보의 방송 프로그램을 선국하는 선국지시를 선국부(302)에 송출한다.
또한, 수신제어부(301)는, 검출된 방송 프로그램 식별정보에 관련지어진 시청가능정보가 시청가능을 나타내는 정보가 아닌 경우, 시청불가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도형화상 데이터를 화상중첩부(307)에 송출한다. 다음으로, 화상중첩부(307)는, 수신제어부(301)로부터 접수한 시청불가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도형화상 데이터에 근거하여, 시청불가화상을 포함하는 화상 데이터를 표시부(308)로 한다. 그리고, 표시부(308)는, 화상중첩부(307)로부터 접수한, 시청불가화상을 포함하는 화상 데이터를 표시출력한다.
(변형예 5)
또한, 수신장치(3)는, 사용자의 속성을 나타내는 시청자 속성 식별정보에 근거하여, 방송 데이터에 포함되는 방송정보 데이터의 표시 형태를 변경하고, 표시 형태가 변경된 방송정보 데이터를 표시부(308)에 표시하여도 좋다.
수신장치(3)의 수신제어부(301)는, 기억부(309)에 기억된 시청자 식별정보, 또는 사용자에 의한 리모컨 등의 조작장치의 조작에 따라서, 사용자의 속성을 나타내는 시청자 속성 식별정보를 기억부(309)에 기억시킨다.
또한, 송신장치(2)의 송출제어부(207)는, 시청자 속성마다 미리 정해진 광고정보(도형화상 데이터 또는 문자 데이터)를 관련지어 기억한다. 송출제어부(207)는, 복수의 시청자 속성의 각각에 관련지어진 광고정보를, 표시위치와 함께 데이터 방송송출부(209)로 송출한다. 다음으로, 데이터 방송송출부(209)는, 커서 도형, 및 송출된 표시위치에 대응하며, 또한 송출된 광고정보를 포함하는 도형화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다음으로, 데이터 방송송출부(209)는, 생성된 도형화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방송정보 데이터를 생성하고, 다중화부(210)로 송출한다. 그리고, 다중화부(201)에 의하여 생성된 TS 신호가, 제1 변조부(211) 및 혼합분배부(202)를 통하여, OFDM 신호로서 송신부(212)로 송출된다.
다음으로, 수신장치(3)의 수신제어부(301)는, 수신한 방송신호에 근거하는 방송정보 데이터와, 기억부에 기억된 시청자 속성정보에 근거하여, 시청자 속성 정보에 관련된 광고정보와 커서 도형을 포함하는 도형화상 데이터 및 문자 데이터 등을 생성하고, 생성한 도형화상 데이터 및 문자 데이터 등을 화상중첩부(307)로 송출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자신의 속성에 따른 광고정보 등을 표시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한편, 광고정보를 나타내는 도형화상 데이터는, 인터넷 등의 소정의 통신망을 통하여 송출제어부(207)로부터 수신장치(3)로 송신되어도 좋다. 이 경우, 송신장치(2) 및 수신장치(3)는, 인터넷 등의 통신망과 접속하는 통신부를 구비한다. 송신장치(2)의 수신제어부(301)는, 소정의 시간간격 또는 선국시에, 광고정보의 송신요구를, 소정의 통신망을 통하여, 송출제어부(207)에 송신한다. 그리고, 송출제어부(207)는, 생성한 복수의 시청자 속성의 각각에 관련지어진 광고정보를, 표시위치와 함께 송신장치(2)로 송신한다. 그리고, 수신장치(3)의 수신제어부(301)는, 수신한 방송신호에 근거하는 방송정보 데이터와, 수신한 광고정보와, 기억부에 기억된 시청자 속성정보에 근거하여, 시청자 속성정보에 관련된 광고정보와 커서 도형을 포함하는 도형화상 데이터 및 문자 데이터 등을 생성하고, 생성한 도형화상 데이터 및 문자 데이터 등을 화상중첩부(307)에 송출한다.
한편, 데이터의 속성을 나타내는 시청자 속성 식별정보에 근거하여, 방송 데이터에 포함되는 방송정보 데이터의 표시 형태를 변경하는 처리에 있어서, 방송정보 데이터는, 광고정보를 포함하는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방송정보 데이터는, 지역안내정보, 프로그램 안내정보 또는 방송국에 관한 정보 등을 포함하는 것이어도 좋다.
또한, 송출제어부(207)와 수신장치(3)의 소정의 통신망을 통한 통신은, 하이브리드 캐스트 등의 서비스를 이용하여도 좋다. 이러한 경우, 통신되는 정보는, BML, HTML(HyperText Markup Language)5,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 등의 기술언어에 의하여 기술되는 도형화상 데이터, 문자 데이터 및/또는 제어 데이터이다. 이에 따라, 송출제어부(207)는, 표시 프레임의 표시위치에, 각종 사이트의 URL(Uniform Resource Locator)을 대응시키고, 수신장치(3)는, 사용자의 표시 프레임의 지정에 따라서, 각종 사이트를 표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당업자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변경, 치환, 및 수정을 이에 부가하는 것이 가능한 것을 이해하길 바란다.
1: 송수신 시스템
2: 송신장치
201: 신호생성부
202: 혼합분배부
203: 제1 STB
204: 제2 STB
205: 제1 화면분할부
206: 제2 화면분할부
207: 송출제어부
208: 입력전환부
209: 데이터 방송송출부
210: 다중화부
211: 제1 변조부
212: 송신부
213: 변환부
214: 제2 변조부
3: 수신장치
301: 수신제어부
302: 선국부
303: 복조부
304: 다중분리부
305: 디코딩부
306: 음성출력부
307: 화상중첩부
308: 표시부
309: 기억부
310: 분배부
311: 제1 선국부
312: 제2 선국부
4: 안테나부

Claims (8)

  1. 송신장치와 수신장치로 이루어지는 송수신 시스템으로서,
    상기 송신장치는,
    복수의 방송 프로그램에 대응한 방송화상 데이터를 취득하는 취득부와,
    상기 취득된 복수의 방송화상 데이터를 적어도 제1 그룹과 제2 그룹으로 분류하는 분류부와,
    상기 제1 그룹에 포함되는 복수의 방송화상 데이터를 동일 화면 상에 배열된 복수의 표시 프레임의 각각에 표시하는 제1 프로그램 안내용 화면 데이터, 및 상기 제2 그룹에 포함되는 복수의 방송화상 데이터를 동일 화면 상에 배열된 상기 복수의 표시 프레임과 동일한 표시 프레임의 각각에 표시하는 제2 프로그램 안내용 화면 데이터가, 소정의 시간간격으로 전환되는 프로그램 안내용 화면 데이터를 생성하는 화면 데이터 생성부와,
    상기 소정의 시간간격에 관한 시간정보, 및 상기 제1 및 제2 프로그램 안내용 화면 데이터의 각각에 포함되는 복수의 방송화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방송 프로그램 식별정보를 생성하는 방송정보 생성부와,
    상기 프로그램 안내용 화면 데이터, 상기 시간정보, 및 상기 방송 프로그램 식별정보를 송신하는 송신부를 구비하고,
    상기 수신장치는,
    상기 복수의 방송 프로그램에 대응한 방송화상 데이터, 상기 프로그램 안내용 화면 데이터, 상기 시간정보, 및 상기 방송 프로그램 식별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프로그램 안내용 화면 데이터를 출력하는 화상 데이터 출력부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어떤 표시 프레임이 선택된 경우, 선택된 시각에 출력되어 있는 상기 제1 또는 제2 프로그램 안내용 화면 데이터에 포함되며, 또한 선택된 표시 프레임에 대응하는 방송 프로그램 식별정보를 검출하는 검출부와,
    상기 검출된 방송 프로그램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방송화상 데이터가 상기 화상 데이터 출력부로부터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수신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에 의하여 수신되는 상기 방송 프로그램에 대응한 방송화상 데이터는, 방송국으로부터 송신되는 방송 데이터에 포함되는, 송수신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는, 상기 복수의 방송 프로그램에 대응한 방송화상 데이터를 상기 수신장치에 송신하는, 송수신 시스템.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데이터 출력부는,
    상기 프로그램 안내용 화면 데이터에 근거하여, 프로그램 안내용 화면을 표시하고,
    상기 표시된 프로그램 안내용 화면에 배열한 상기 복수의 표시 프레임의 어느 위치에, 커서 도형을 이동 가능하게 표시하며,
    상기 검출부는,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 입력된 경우, 상기 커서 도형이 위치하는 표시 프레임을 선택하는, 송수신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장치는, 기억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된 표시 프레임의 표시위치를 상기 기억부에 기억시키며,
    사용자에 의하여 상기 프로그램 안내용 화면 데이터의 출력이 지시된 경우, 상기 기억부에 기억된 표시위치를 취득하고, 프로그램 안내용 화면을 표시하는 동시에, 상기 취득한 표시위치의 표시 프레임에 상기 커서 도형을 표시하는, 송수신 시스템.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커서 도형은, 소정의 조건에 따른 표시형태로 표시되는, 송수신 시스템.
  7. 수신장치에 방송 데이터를 송신하는 송신장치로서,
    복수의 방송 프로그램에 대응한 방송화상 데이터를 취득하는 취득부와,
    상기 취득된 복수의 방송화상 데이터를 적어도 제1 그룹과 제2 그룹으로 분류하는 분류부와,
    상기 제1 그룹에 포함되는 복수의 방송화상 데이터를 동일 화면 상에 배열된 복수의 표시 프레임의 각각에 표시하는 제1 프로그램 안내용 화면 데이터, 및 상기 제2 그룹에 포함되는 복수의 방송화상 데이터를 동일 화면 상에 배열된 상기 복수의 표시 프레임과 동일한 표시 프레임의 각각에 표시하는 제2 프로그램 안내용 화면 데이터가, 소정의 시간간격으로 전환되는 프로그램 안내용 화면 데이터를 생성하는 화면 데이터 생성부와,
    상기 소정의 시간간격에 관한 시간정보, 및 상기 제1 및 제2 프로그램 안내용 화면 데이터의 각각에 포함되는 복수의 방송화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방송 프로그램 식별정보를 생성하는 방송정보 생성부와,
    상기 프로그램 안내용 화면 데이터, 상기 시간정보, 및 상기 방송 프로그램 식별정보를 상기 수신장치에 송신하는 송신부,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수신 시스템.
  8. 송신장치와 화상 데이터 출력부를 구비하는 수신장치로 이루어지는 송수신 시스템에 의한 송수신 방법으로서,
    상기 송신장치는,
    복수의 방송 프로그램에 대응한 방송화상 데이터를 취득하고,
    상기 취득된 복수의 방송화상 데이터를 적어도 제1 그룹과 제2 그룹으로 분류하며,
    상기 제1 그룹에 포함되는 복수의 방송화상 데이터를 동일 화면 상에 배열된 복수의 표시 프레임의 각각에 표시하는 제1 프로그램 안내용 화면 데이터, 및 상기 제2 그룹에 포함되는 복수의 방송화상 데이터를 동일 화면 상에 배열된 상기 복수의 표시 프레임과 동일한 표시 프레임의 각각에 표시하는 제2 프로그램 안내용 화면 데이터가, 소정의 시간간격으로 전환되는 프로그램 안내용 화면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소정의 시간간격에 관한 시간정보, 및 상기 제1 및 제2 프로그램 안내용 화면 데이터의 각각에 포함되는 복수의 방송화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방송 프로그램 식별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프로그램 안내용 화면 데이터, 상기 시간정보, 및 상기 방송 프로그램 식별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수신장치는,
    상기 복수의 방송 프로그램에 대응한 방송화상 데이터, 상기 프로그램 안내용 화면 데이터, 상기 시간정보, 및 상기 방송 프로그램 식별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프로그램 안내용 화면 데이터를 출력하고,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어느 표시 프레임이 선택된 경우, 선택된 시각에 출력되어 있는 상기 제1 또는 제2 프로그램 안내용 화면 데이터에 포함되며, 또한 선택된 표시 프레임에 대응하는 방송 프로그램 식별정보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방송 프로그램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방송화상 데이터가 상기 화상 데이터 출력부로부터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수신 방법.
KR1020197018390A 2016-12-27 2017-03-31 송수신 시스템, 송신장치, 및 송수신 방법 KR10217918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254306 2016-12-27
JP2016254306A JP6285007B1 (ja) 2016-12-27 2016-12-27 送受信システム、送信装置、及び送受信方法
PCT/JP2017/013788 WO2018123093A1 (ja) 2016-12-27 2017-03-31 送受信システム、送信装置、及び送受信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8519A true KR20190088519A (ko) 2019-07-26
KR102179181B1 KR102179181B1 (ko) 2020-11-16

Family

ID=612826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8390A KR102179181B1 (ko) 2016-12-27 2017-03-31 송수신 시스템, 송신장치, 및 송수신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044515B2 (ko)
JP (1) JP6285007B1 (ko)
KR (1) KR102179181B1 (ko)
PH (1) PH12019501483A1 (ko)
WO (1) WO201812309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678703B2 (ja) * 2018-07-18 2020-04-08 株式会社ニューメディア 制御システム、制御方法、サーバ及び制御プログラム
CN111510788B (zh) * 2020-04-07 2022-02-11 海信视像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双屏双系统屏幕切换动画的显示方法及显示设备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51017A (ja) * 1993-06-08 1994-12-22 Toshiba Corp 画像信号送信装置及び画像信号受信装置
JPH08289264A (ja) 1995-04-17 1996-11-01 Sony Corp 電子番組ガイド伝送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電子番組ガイド受信装置および方法
JP2004274257A (ja) * 2003-03-06 2004-09-30 Nippon Hoso Kyokai <Nhk> データ放送における送出装置、受信装置、及び視聴履歴情報利用型放送システム
JP2005260647A (ja) * 2004-03-12 2005-09-2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コンテンツ案内サービスシステム、コンテンツ案内装置、コンテンツ案内方法及びコンテンツ案内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9211926T2 (de) * 1991-07-24 1997-01-16 Philips Electronics Nv Fernsehempfänger mit einem Videotext Decoder
US5537153A (en) 1992-11-16 1996-07-16 Kabushiki Kaisha Toshiba Television signal transmission and reception system with multi-screen display for tuning operation
JP2003299043A (ja) * 2002-04-03 2003-10-17 Mitsubishi Electric Corp 電子番組ガイド伝送装置及び電子番組ガイド受信装置及び電子番組ガイド送信方法及び電子番組ガイド受信方法
US20100083316A1 (en) * 2008-09-29 2010-04-01 Kabushiki Kaisha Toshiba Electronic Apparatus and Electronic Program Guide Display Method
KR101541351B1 (ko) * 2008-11-17 2015-08-03 주식회사 알티캐스트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 수신한 방송 컨텐츠의 화면 구성 제어 방법 및 장치
JP5938800B2 (ja) * 2013-03-27 2016-06-22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映像受信装置および映像受信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51017A (ja) * 1993-06-08 1994-12-22 Toshiba Corp 画像信号送信装置及び画像信号受信装置
JPH08289264A (ja) 1995-04-17 1996-11-01 Sony Corp 電子番組ガイド伝送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電子番組ガイド受信装置および方法
JP2004274257A (ja) * 2003-03-06 2004-09-30 Nippon Hoso Kyokai <Nhk> データ放送における送出装置、受信装置、及び視聴履歴情報利用型放送システム
JP2005260647A (ja) * 2004-03-12 2005-09-2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コンテンツ案内サービスシステム、コンテンツ案内装置、コンテンツ案内方法及びコンテンツ案内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123093A1 (ja) 2018-07-05
PH12019501483A1 (en) 2020-03-02
JP6285007B1 (ja) 2018-02-28
JP2018107717A (ja) 2018-07-05
US11044515B2 (en) 2021-06-22
US20190342604A1 (en) 2019-11-07
KR102179181B1 (ko) 2020-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70201784A1 (en) Providing secondary media content via a subdivision of a picture area
US864018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lient-side compositing of video streams
KR20090025038A (ko) 동영상 컨텐츠를 수신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화면 구성 제어 방법 및 장치
CA268616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screen configuration of broadcast contents received in digital broadcasting receiver
US11265600B2 (en) Reception apparatus, reception method, transmission apparatus, and transmission method for flexible simulcast operation
US20050066366A1 (en) Receiving apparatus, method for displaying in conjunction with television program, and printing control method
KR20020029844A (ko) 디지털 티브이의 출력언어 표시방법
JP2015005917A (ja) 情報送信装置、情報送信方法、及び情報受信装置
KR102179181B1 (ko) 송수신 시스템, 송신장치, 및 송수신 방법
EP173722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dding background of auxiliary information of television program
JP2009302993A (ja) 緊急情報報知システム、catv受信機、及び緊急情報報知方法
KR100926911B1 (ko) 디지털 방송에서 광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1102386B1 (ko) 디지털 케이블 방송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지역정보 제공방법
JP2006340019A (ja) 情報表示システム、放送配信センタ装置、放送受信サーバ装置及びそれらに用いる情報表示方法
JP2006352652A (ja) 受信端末装置
KR20080025971A (ko) 디지털방송 시스템의 광고를 출력하는 장치 및 방법
KR101562676B1 (ko) 멀티디코더 기반 채널 서핑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JP2016225853A (ja) 放送番組選択システム、及び放送番組選択方法
KR20100073344A (ko)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표시 장치 및 방법
KR101572266B1 (ko) 방송 수신 방법 및 장치, 그를 이용한 방송 시스템
KR101025212B1 (ko) 프로그램 가이드 제공시 선호 채널 팝업창 표시 시스템 및방법
JP2024014363A (ja) 受信装置、放送システム、受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529316B1 (ko)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0774188B1 (ko) Tv 수신장치 및 이를 위한 방송정보 디스플레이 방법
KR100867857B1 (ko) 디지털 방송 시스템의 영상다중 방송 선택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