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25971A - 디지털방송 시스템의 광고를 출력하는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털방송 시스템의 광고를 출력하는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25971A
KR20080025971A KR1020060090815A KR20060090815A KR20080025971A KR 20080025971 A KR20080025971 A KR 20080025971A KR 1020060090815 A KR1020060090815 A KR 1020060090815A KR 20060090815 A KR20060090815 A KR 20060090815A KR 20080025971 A KR20080025971 A KR 200800259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vertisement
content
digital broadcasting
screen
rece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908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광우
홍소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908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25971A/ko
Publication of KR200800259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2597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6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transport stream, by combining a video stream with other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inserting a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into a video stream, multiplexing software data into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Insertion of stuffing bits into the multiplex stream, e.g. to obtain a constant bit-rate; Assembling of a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04N21/4316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for displaying supplemental content in a region of the screen, e.g. an advertisement in a separate window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방송 시스템의 광고를 출력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디지털방송 컨텐츠와 광고를 동시에 출력하는 방송국 장치에 있어서,
디지털방송 컨텐츠와 광고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부와, 상기 메모리부로부터 상기 디지털방송 컨텐츠와 상기 광고 데이터를 제공받아 복합컨텐츠를 생성하는 복합컨텐츠 생성부와, 상기 복합컨텐츠 생성부로부터 제공받은 상기 복합컨텐츠를 변조하여 송신하는 방송국 송수신부를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디지털방송 컨텐츠와 함께 상기 광고를 출력할 수 있고, 시청자의 시청요금 및 광고 기업 측의 광고비용에 따라 선별적인 광고 효과를 볼 수 있다.
디지털방송 시스템, 광고, 디지털방송 컨텐츠, 방송국, 화면 속 화면(Picture In Picture: PIP)

Description

디지털방송 시스템의 광고를 출력하는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ADVERTISEMENT DISPLAYING IN DIGITAL BROADCATING SYSTEM}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주 방송 컨텐츠와 광고를 출력하는 방송영상 데이터 스트림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방송 컨텐츠와 광고를 출력하는 방송영상 데이터 스트림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방송 컨텐츠와 광고를 동시에 출력하는 디지털방송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송국의 광고를 송신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광고를 출력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광고를 다양하게 출력하는 영상표시장치의 표시부를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은 디지털방송 시스템의 광고를 출력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방송국으로부터 디지털방송 컨텐츠뿐만 아니라 동시에 광고 및 광고의 위치를 제어하는 데이터를 제공받아 영상표시장치의 주 화면에는 상기 디지털방송 컨텐츠를 출력하고 부 화면에는 설정한 위치에 상기 광고를 출력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방송은 다중화 기술의 발전으로 영상, 음성, 데이터 등을 내용 및 크기에 관계없이 동시에 묶어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지털 방송은 모뎀을 통한 리턴 채널이 형성되어 대화형 서비스가 가능하다. 이러한 기술 발전에 힘입어 디지털 방송은 기존 아날로그 방송에 실현되던 부가서비스의 한계를 넘어 한 차원 높은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시청자에게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상기 디지털 방송의 특징은 다채널화, 고품질화, 및 다기능화로 요약된다. 그 중 디지털 방송의 다채널 특징은 시청자들에게 분야별로 전문적인 방송을 제공하는 다양한 채널의 등장이 예상된다. 다기능 특징은 영상과 음성 이외에 다양한 부가 서비스를 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디지털 방송이 아날로그 방송과 차별화될 수 있는 가장 큰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종래의 아날로그 방송의 광고는 시간의 순서대로 주 방송 컨텐츠 사이에 끼워 넣는 연속적인 정렬 구조로 출력되어 시청자에게 수동적으로 보여지는 연속적인 화상에 지나지 않았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주 방송 컨텐츠와 광고를 출력하는 방송영상 데이터 스트림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광고는 상기 주 방송 컨텐츠 전후 사이에 삽입되어 있으며, 상기 주 방송 컨텐츠와 동시에 상기 광고를 출력할 수 없는 구조임을 나타낸다.
상기와 같이, 주 방송 컨텐츠를 출력한 후에 광고를 출력하는 종래의 기술에서는 시청자가 상기 광고를 무의식적으로 흘려 보낼 수 있으며 또한, 광고하는 기업의 입장에서는 선별적인 광고 효과를 얻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주 방송 컨텐츠 전후에 출력하는 수동적인 광고 시청이 아닌, 방송국으로부터 주 방송 컨텐츠뿐만 아니라 동시에 광고 및 광고의 위치를 제어하는 데이터를 제공받아 영상표시장치의 주 화면에는 상기 디지털방송 컨텐츠를 출력하고 부 화면에는 설정한 위치에 상기 광고를 출력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이 요구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디지털방송 시스템의 광고를 출력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방송국으로부터 디지털방송 컨텐츠뿐만 아니라 동시에 광고 및 광고의 위치를 제어하는 데이터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제공받은 데이터에서 디지털방송 컨텐츠와 광고 및 상기 광고의 위치정보를 추출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영상표시장치의 주 화면에는 상기 디지털방송 컨텐츠를 출력하고 부 화면에는 설정한 위치에 상기 광고를 출력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견지에 따르면, 디지털방송 컨텐츠와 광고를 동시에 출력하는 방송국 장치에 있어서,디지털방송 컨텐츠와 광고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부와, 상기 메모리부로부터 상기 디지털방송 컨텐츠와 상기 광고 데이터를 제공받아 복합컨텐츠를 생성하는 복합컨텐츠 생성부와, 상기 복합컨텐츠 생성부로부터 제공받은 상기 복합컨텐츠를 변조하여 송신하는 방송국 송수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견지에 따르면, 디지털방송 컨텐츠와 광고를 동시에 출력하는 영상표시 장치에 있어서, 방송국 송수신부에서 송신한 복합컨텐츠를 수신하여 복조하는 장치송수신부와, 상기 장치송수신부로부터 상기 복합컨텐츠를 제공받아 디지털방송 컨텐츠와 광고 데이터를 각각 분리하는 채널파서부와, 상기 채널파서부로부터 상기 디지털방송 컨텐츠와 상기 광고 데이터를 제공받아 상기 디지털방송 컨텐츠와 상기 광고 데이터를 결합한 혼합영상을 생성하는 영상혼합부와, 상기 영상혼합부로부터 상기 혼합영상을 제공받아 주 화면에는 상기 디지털방송 컨텐츠를 출력하고, 부 화면에는 상기 광고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화면위치 조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3 견지에 따르면, 방송국의 디지 털방송 컨텐츠와 광고를 동시에 송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방송 컨텐츠와 상기 광고를 동시에 송신하는지 검사하는 과정과, 동시에 방송하는 경우, 상기 디지털방송 컨텐츠와 상기 광고 데이터를 메모리부에서 읽어오는 과정과, 상기 디지털방송 컨텐츠와 상기 광고 데이터를 결합한 복합컨텐츠를 생성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4 견지에 따르면, 영상표시장치의 디지털방송 컨텐츠와 광고를 동시에 출력하는 방법에 있어서, 혼합영상을 제공받아 상기 영상표시장치의 주 화면에 상기 디지털방송 컨텐츠를 출력하는 과정과, 상기 혼합영상을 제공받아 상기 영상표시장치의 부 화면에는 광고를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은 디지털방송 시스템의 광고를 출력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방송국으로부터 디지털방송 컨텐츠뿐만 아니라 동시에 광고 및 광고의 위치를 제어하는 데이터를 제공받아 영상표시장치의 주 화면에는 상기 디지털방송 컨텐츠를 출력하고 부 화면에는 설정한 위치에 상기 광고를 출력하는 장치 및 방법에 대해 설명할 것이다.
상기 디지털방송 시스템은 아날로그방송과 달리 디지털 부호체계를 통한 시스템 통합과 상호운용성이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으며, 대화형 기능이 가미되어 일방적이고 하향적이었던 아날로그방송 영역을 새롭게 바꾸는 계기가 되고 있다.
또한, 상기 디지털방송 시스템은 화면 속 화면(Picture In Picture: 이하 "PIP") 기능을 제공하는데, 상기 PIP 기능은 모니터, TV, 또는 이동통신 단말기 표시부의 전체화면(주화면)에 다른 작은 화면(부화면)을 제공하여, 주 채널은 메인화면으로 디스플레이하고, 부 채널은 서브화면으로 디스플레이하는 기능을 의미한다. 이러한 PIP 기능을 이용하면 시청하고자 하는 방송채널은 메인화면으로 출력하고, 광고와 같은 부가적인 방송채널은 서브화면을 통하여 출력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방송 컨텐츠와 광고를 출력하는 방송영상 데이터 스트림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 2는 하나의 채널에 디지털방송 컨텐츠를 광고 없이 전송하면서, 동시에 하나 혹은 복수의 광고 데이터를 함께 전송할 수 있는 구조임을 나타낸다. 즉, 상기 영상표시장치는 상기 디지털방송 컨텐츠와 상기 광고를 동시에 출력할 수 있도록 한다.
도면의 참조와 함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방송 컨텐츠와 광고를 동시에 출 력하는 디지털방송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디지털방송 시스템은 방송국(310)과 영상표시장치(350)를 포함하며, 상기 방송국(310)은 메모리부(315), 방송국 송수신부(320), 복합컨텐츠 생성부(325)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영상표시장치(350)는 표시부(355), 장치송수신부(360), 채널파서부(365), 영상혼합부(370), 화면위치 조정부(375), 그리고 제어부(38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부(315)는 디지털방송 컨텐츠와 광고 데이터를 저장하며, 상기 방송국(310)에서 방송 출력 시, 상기 디지털방송 컨텐츠와 상기 광고 데이터를 상기 복합컨텐츠 생성부(325)에 제공한다. 상기 광고 데이터에는 상기 광고의 위치, 크기, 모양, 그리고 효과에 대한 정보를 담은 화면위치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화면위치 정보는 시청자의 시청료 및 광고 기업 측의 광고비용에 따라 상기 방송국(310)에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복합컨텐츠 생성부(325)는 상기 메모리부(315)로부터 상기 디지털방송 컨텐츠와 상기 광고 데이터를 제공받아 상기 디지털방송 컨텐츠와 상기 광고 데이터를 결합하여 복합컨텐츠를 생성한 후, 상기 방송국 송수신부(320)에 제공한다.
상기 방송국 송수신부(320)는 상기 복합컨텐츠 생성부(325)에서 생성한 상기 복합컨텐츠를 변조하여 송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장치송수신부(360)는 상기 방송국 송수신부(320)에서 송신한 상기 복합컨텐츠를 수신하여 복조한 후, 상기 복조한 복합컨텐츠를 상기 채널파서부(365)에 제공한다.
상기 채널파서부(365)는 상기 장치송수신부(360)로부터 상기 복합컨텐츠를 제공받아, 상기 디지털방송 컨텐츠와 상기 광고 데이터의 광고를 각각 분리하여 상기 영상혼합부(370)에 제공한다. 또한, 상기 채널파서부(365)는 상기 광고 데이터에 포함된 화면위치 정보를 분리하여 상기 화면위치 조정부(375)에 제공한다.
상기 영상혼합부(370)는 상기 채널파서부(365)로부터 제공받은 상기 디지털방송 컨텐츠와 상기 광고를 동시에 출력하도록 결합한 혼합영상을 상기 화면위치 조정부(375)에 제공한다.
상기 화면위치 조정부(375)는 상기 영상혼합부(370)에서 결합한 상기 혼합영상을 제공받아 주 화면에는 상기 디지털방송 컨텐츠를 출력하고, 부 화면에는 상기 채널파서부(365)로부터 화면위치 정보를 제공받아 상기 화면위치 정보에 맞게 상기 광고를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표시부(355)는 상기 PIP(Picture In Picture) 기능을 제공하며, 상기 화면위치 조정부(375)의 제어에 따라 상기 혼합영상을 입력받아 주 화면에는 상기 디지털방송 컨텐츠를 출력하고, 부 화면에는 상기 광고를 출력한다.
상기 제어부(380)는 상기 채널파서부(365), 상기 영상혼합부(370), 그리고 화면위치 조정부(375)를 제어한다. 즉, 상기 제어부(380)는 상기 채널파서부(365), 상기 영상혼합부(370), 그리고 화면위치 조정부(375)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이를 별도로 구성하여 도시한 것은 각 기능들을 구별하여 설명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실제로 제품을 구현하는 경우에 이들 모두를 상기 제어부(380)에서 처리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으며, 이들 중 일부만을 상기 제어부(380)에서 처리하도 록 구성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송국의 광고를 송신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상기 복합컨텐츠 생성부(325)는 410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방송국에서 디지털방송을 송신하는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검사한다.
상기 410단계 검사결과, 상기 디지털방송을 송신하는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상기 복합컨텐츠 생성부(325)는 415단계로 진행하여 방송할 디지털방송 컨텐츠를 메모리부(315)에서 읽어온다.
이후, 상기 복합컨텐츠 생성부(325)는 420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디지털방송 컨텐츠와 광고를 동시에 송신하는지 검사한다. 상기 420단계의 검사결과, 상기 디지털방송 컨텐츠와 광고를 동시에 송신하지 않은 경우, 상기 복합컨텐츠 생성부(325)는 상기 광고 없이 상기 디지털방송 컨텐츠만을 송신하기 위해 하기에서 설명할 435단계로 진행한다.
만약, 상기 420단계의 검사결과, 상기 디지털방송 컨텐츠와 광고를 동시에 송신하는 경우, 상기 복합컨텐츠 생성부(325)는 425단계로 진행하여 송신할 광고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부(315)에서 읽어온다. 상기 광고 데이터에는 상기 광고의 위치, 크기, 모양, 그리고 효과에 대한 정보를 담은 화면위치 정보를 포함한다.
이후, 상기 복합컨텐츠 생성부(325)는 430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디지털방송 컨텐츠와 상기 광고 데이터를 결합한 복합컨텐츠를 생성한다. 이후, 상기 복합컨텐 츠 생성부(325)는 435단계로 진행하여 준비한 컨텐츠를 송신하도록 제어한다.
이후, 본 발명의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광고를 출력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상기 도 5를 참조하면, 먼저 채널파서부(365)는 510단계로 진행하여 디지털방송 컨텐츠와 광고 데이터를 결합한 복합컨텐츠를 수신하는지 검사한다.
상기 510단계의 검사결과 상기 복합컨텐츠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채널파서부(365)는 515단계로 진행하여 수신한 상기 복합컨텐츠에서 디지털방송 컨텐츠와 광고 데이터를 각각 분리하고, 상기 광고 데이터에 포함된 화면위치 정보를 분리한다.
이후, 영상혼합부(370)는 520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디지털방송 컨텐츠와 상기 광고를 동시에 출력하도록 결합한 혼합영상을 생성한다. 이후, 화면위치 조정부(375)는 525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혼합영상을 제공받아 상기 영상표시장치의 주 화면에 상기 디지털방송 컨텐츠를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이후, 화면위치 조정부(375)는 530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채널파서부(365)로부터 상기 화면위치 정보를 제공받아 상기 광고의 위치, 크기, 모양, 그리고 효과에 대한 정보를 확인한다. 상기 화면위치 정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하기 도 6에서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광고를 다양하게 출력하는 영상표시장 치의 표시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 6은 상기 광고의 위치, 크기, 모양, 그리고 효과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화면위치 정보에 따라 다양하게 출력됨을 알 수 있다.
상기 도 6의 a는 상기 디지털방송 컨텐츠를 출력하는 영상표시장치의 주 화면과 함께 네모 모양, 별 모양, 둥근 모양으로 출력하는 부 화면을 도시한 일 실시 예이고, 상기 도 6의 b는 상기 디지털방송 컨텐츠를 출력하는 영상표시장치의 주 화면과 함께 여러 개의 부 화면을 도시한 일 실시 예이다.
또한, 상기 도 6의 c는 상기 디지털방송 컨텐츠를 출력하는 영상표시장치의 주 화면과 함께 화면 비율이 시시각각 변화할 수 있는 부 화면을 도시한 일 실시 예이고, 상기 도 6의 d는 상기 디지털방송 컨텐츠를 출력하는 영상표시장치의 주 화면과 함께 화면위치가 시시각각 변화할 수 있는 부 화면을 도시한 일 실시 예이다.
상기 화면위치 정보를 확인하는 과정 이후, 상기 화면위치 조정부(375)는 535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혼합영상을 제공받아 상기 영상표시장치의 부 화면에는 상기 채널파서부(365)로부터 화면위치 정보를 제공받아 상기 화면위치 정보에 맞게 상기 광고를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이후, 본 발명의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 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방송국으로부터 디지털방송 컨텐츠뿐만 아니라 동시에 광고를 제공받아 영상표시장치의 주 화면에는 상기 디지털방송 컨텐츠를 출력하고 부 화면에는 다양한 방식으로 상기 광고를 출력하므로, 상기 디지털방송 컨텐츠와 함께 상기 광고를 출력할 수 있고, 시청자의 시청요금 및 광고 기업 측의 광고비용에 따라 선별적인 광고 효과를 볼 수 있다.

Claims (17)

  1. 디지털방송 컨텐츠와 광고를 동시에 출력하는 방송국 장치에 있어서,
    디지털방송 컨텐츠와 광고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부와,
    상기 메모리부로부터 상기 디지털방송 컨텐츠와 상기 광고 데이터를 제공받아 복합컨텐츠를 생성하는 복합컨텐츠 생성부와,
    상기 복합컨텐츠 생성부로부터 제공받은 상기 복합컨텐츠를 변조하여 송신하는 방송국 송수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방송 컨텐츠와 광고를 동시에 출력하는 방송국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 데이터에는 상기 광고의 위치, 크기, 모양, 그리고 효과에 대한 정보를 담은 화면위치 정보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방송 컨텐츠와 광고를 동시에 출력하는 방송국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위치 정보는 시청자의 시청료 및 광고 기업 측의 광고비용에 따라 설정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방송 컨텐츠와 광고를 동시에 출력하는 방 송국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컨텐츠는 상기 디지털방송 컨텐츠와 상기 광고 데이터를 결합한 방송정보임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방송 컨텐츠와 광고를 동시에 출력하는 방송국 장치.
  5. 디지털방송 컨텐츠와 광고를 동시에 출력하는 영상표시 장치에 있어서,
    방송국 송수신부에서 송신한 복합컨텐츠를 수신하여 복조하는 장치송수신부와,
    상기 장치송수신부로부터 상기 복합컨텐츠를 제공받아 디지털방송 컨텐츠와 광고 데이터를 각각 분리하는 채널파서부와,
    상기 채널파서부로부터 상기 디지털방송 컨텐츠와 상기 광고 데이터를 제공받아 상기 디지털방송 컨텐츠와 상기 광고 데이터를 결합한 혼합영상을 생성하는 영상혼합부와,
    상기 영상혼합부로부터 상기 혼합영상을 제공받아 주 화면에는 상기 디지털방송 컨텐츠를 출력하고, 부 화면에는 상기 광고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화면위치 조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방송 컨텐츠와 광고를 동시에 출력하 는 영상표시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화면 속 화면(Picture In Picture: PIP) 기능을 제공하며, 상기 화면위치 조정부의 제어에 따라 방송정보를 출력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방송 컨텐츠와 광고를 동시에 출력하는 영상표시 장치.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 데이터에는 상기 광고의 위치, 크기, 모양, 그리고 효과에 대한 정보를 담은 화면위치 정보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방송 컨텐츠와 광고를 동시에 출력하는 영상표시 장치.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파서부는 상기 광고 데이터에 포함된 화면위치 정보를 분리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방송 컨텐츠와 광고를 동시에 출력하는 영상표시 장치.
  9.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위치 조정부는 상기 채널파서부로부터 화면위치 정보를 제공받아 상기 화면위치 정보에 맞게 상기 광고를 출력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방송 컨텐츠와 광고를 동시에 출력하는 영상표시 장치.
  10. 방송국의 디지털방송 컨텐츠와 광고를 동시에 송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방송 컨텐츠와 상기 광고를 동시에 송신하는지 검사하는 과정과,
    동시에 방송하는 경우, 상기 디지털방송 컨텐츠와 상기 광고 데이터를 메모리부에서 읽어오는 과정과,
    상기 디지털방송 컨텐츠와 상기 광고 데이터를 결합한 복합컨텐츠를 생성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국의 디지털방송 컨텐츠와 광고를 동시에 송신하는 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 데이터에는 상기 광고의 위치, 크기, 모양, 그리고 효과에 대한 정보를 담은 화면위치 정보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국의 디지털방송 컨텐츠와 광고를 동시에 송신하는 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위치 정보는 시청자의 시청료 및 광고 기업 측의 광고비용에 따라 설정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국의 디지털방송 컨텐츠와 광고를 동시에 송신하는 방법.
  13. 영상표시장치의 디지털방송 컨텐츠와 광고를 동시에 출력하는 방법에 있어서,
    혼합영상을 제공받아 상기 영상표시장치의 주 화면에 상기 디지털방송 컨텐츠를 출력하는 과정과,
    상기 혼합영상을 제공받아 상기 영상표시장치의 부 화면에는 광고를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의 디지털방송 컨텐츠와 광고를 동시에 출력하는 방법.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영상을 제공받아 상기 영상표시장치의 주 화면에 상기 디지털방송 컨텐츠를 출력하는 과정 전에,
    복합컨텐츠를 수신하는 경우, 수신한 상기 복합컨텐츠에서 디지털방송 컨텐 츠와 광고 데이터 및 상기 광고 데이터에 포함된 화면위치 정보를 각각 분리하는 과정과,
    상기 디지털방송 컨텐츠와 상기 광고 데이터를 동시에 출력하도록 결합한 혼합영상을 생성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의 디지털방송 컨텐츠와 광고를 동시에 출력하는 방법.
  15.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영상을 제공받아 상기 영상표시장치의 부 화면에는 광고를 출력하는 과정 전에 화면위치 정보를 확인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의 디지털방송 컨텐츠와 광고를 동시에 출력하는 방법.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영상을 제공받아 상기 영상표시장치의 부 화면에는 광고를 출력하는 과정은 상기 혼합영상을 제공받아 상기 화면위치 정보에 맞게 상기 영상표시장치의 부 화면에 상기 광고를 출력함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의 디지털방송 컨텐츠와 광고를 동시에 출력하는 방법.
  17. 제 14항 내지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위치 정보는 시청자의 시청료 및 광고 기업 측의 광고비용에 따라 설정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의 디지털방송 컨텐츠와 광고를 동시에 출력하는 방법.
KR1020060090815A 2006-09-19 2006-09-19 디지털방송 시스템의 광고를 출력하는 장치 및 방법 KR2008002597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0815A KR20080025971A (ko) 2006-09-19 2006-09-19 디지털방송 시스템의 광고를 출력하는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0815A KR20080025971A (ko) 2006-09-19 2006-09-19 디지털방송 시스템의 광고를 출력하는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5971A true KR20080025971A (ko) 2008-03-24

Family

ID=394136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0815A KR20080025971A (ko) 2006-09-19 2006-09-19 디지털방송 시스템의 광고를 출력하는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2597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126408A2 (en) * 2008-04-07 2009-10-15 Sony Computer Entertainment America Inc. Characterization of content distributed over a network
KR100935009B1 (ko) * 2009-07-28 2010-01-06 주식회사 콤텍시스템 Iptv의 부가정보 제공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126408A2 (en) * 2008-04-07 2009-10-15 Sony Computer Entertainment America Inc. Characterization of content distributed over a network
WO2009126408A3 (en) * 2008-04-07 2009-12-03 Sony Computer Entertainment America Inc. Characterization of content distributed over a network
KR100935009B1 (ko) * 2009-07-28 2010-01-06 주식회사 콤텍시스템 Iptv의 부가정보 제공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91343B2 (en) Communicating primary content streams and secondary content streams
US9124945B2 (en) Integrating, at user's premises, TV channel format material with IP format material through overlays
JP3447207B2 (ja) 番組情報作成伝送装置及び方法
JP6077200B2 (ja) 受信装置、表示制御方法、放送システム、並びにコンピューター・プログラム
KR20080109261A (ko) 멀티동영상컨텐츠 탐색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130205343A1 (en) Method & Apparatus for an Enhanced Television Viewing Experience
EP2579583B1 (en) Reception device, display control method, transmission device, and transmission method
KR20150009122A (ko) 지역 광고를 합성하는 서버 및 장치, 그리고 영상 스트림을 합성하는 서버
US20050066366A1 (en) Receiving apparatus, method for displaying in conjunction with television program, and printing control method
US11936936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nd displaying optional overlays
JP4352196B2 (ja) Cm送受信システム及びこれを用いたcm送受信方法
JP3958249B2 (ja) 番組情報作成伝送装置及び方法
KR20080025971A (ko) 디지털방송 시스템의 광고를 출력하는 장치 및 방법
KR102179181B1 (ko) 송수신 시스템, 송신장치, 및 송수신 방법
JPH08289277A (ja) 映像データ送出装置
KR20000010146A (ko) 캡션을 이용한 광고시스템
KR100652660B1 (ko)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용 단말기의 영상 표시 방법
KR101100779B1 (ko) 정보 제작 구성이 결합된 hd 디지털 방송 신호 송출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80003608A (ko) 오디오-비디오 컨텐츠를 렌더링하는 방법, 이 방법을 구현하는 디코더 및 오디오-비디오 컨텐츠를 렌더링하는 렌더링 장치
KR101529316B1 (ko)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0867857B1 (ko) 디지털 방송 시스템의 영상다중 방송 선택방법
KR20030059871A (ko) 공청유선방송통신망을 이용한 텔레비젼광고시스템
KR20060054162A (ko) 방송의 시청 단계에서 컨텐츠의 재편집이 이루어지는 장치및 그 서비스 방법
JP2017108415A (ja) 受信装置、表示制御方法、並びに放送システム
KR20010058377A (ko) 방송 채널의 다중화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