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8294A - 모바일 단말기 사용자에게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모바일 단말기 사용자에게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8294A
KR20190088294A KR1020180006668A KR20180006668A KR20190088294A KR 20190088294 A KR20190088294 A KR 20190088294A KR 1020180006668 A KR1020180006668 A KR 1020180006668A KR 20180006668 A KR20180006668 A KR 20180006668A KR 20190088294 A KR20190088294 A KR 201900882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terminal
information
identification code
content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66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호
Original Assignee
㈜ 헬씨티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 헬씨티슈 filed Critical ㈜ 헬씨티슈
Priority to KR10201800066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88294A/ko
Publication of KR201900882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829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45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supporting Internet browser applications
    • H04M1/72561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가 광학방식의 식별코드에 기초하여 모바일 단말기에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화장지에 표시된 광학방식의 식별코드에 기초한 웹페이지의 요청을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제공할 컨텐츠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요청에 따른 응답으로서, 상기 선택된 컨텐츠가 포함된 웹페이지를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광학방식의 식별코드는 상기 웹페이지의 URL 주소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의해 스캐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에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Description

모바일 단말기 사용자에게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Method for providing user of mobile device with contents}
본 발명은 모바일 단말기 사용자에게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광학방식의 식별코드를 스캐닝한 모바일 단말기의 사용자에게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스마트폰을 소지하는 이용자들이 급증함에 따라 스마트폰의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물품에 부착된 바코드나 RF 태그 등의 식별코드를 스캐닝하고 이로부터 제품 정보를 제공하거나 제품에 관한 할인권, 쿠폰 등의 정보를 제공하여 홍보하는 기술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물품의 표면에 바코드나 QR 코드가 인쇄되어 있는 경우, 사용자가 스마트폰의 카메라로 바코드나 QR 코드를 촬영하고 이 촬영된 이미지를 애플리케이션에서 처리하여 제품 정보를 얻는 방식이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 방식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째, 예컨대 화장지와 같이 내용물을 계속 사용하여 소비하는 특성을 갖는 물품의 경우에는 내용물을 포장하는 포장지에 바코드나 QR 코드를 인쇄하였다. 그러나 이런 경우 사용자가 내용물(예컨대 화장지)을 지속적으로 사용하면서도 포장지에는 주의를 기울이지 않는 경우가 많아서 제품 정보나 제품 홍보 등의 컨텐츠를 제공하는 효과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둘째, 내용물을 포장하는 포장지에 바코드나 QR 코드를 인쇄한 경우, 물품을 부정하게 소지한(예컨대 물품을 훔친) 사람들도 물품에 관한 컨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는 문제가 있다. 즉 물품을 어떻게 취득했는지에 관계없이 사용자는 단순히 물품 포장지에 인쇄된 바코드나 QR 코드를 스캐닝하기만 하면 컨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으므로, 예컨대 기업이 제품의 할인권이나 할인 쿠폰을 컨텐츠로서 제공하는 경우, 이러한 부정한 사람들이 할인권이나 할인 쿠폰 등을 이용하는 것을 막을 수 없게 된다.
따라서 물품 이용자에게 지속적으로 컨텐츠 제공에 대한 관심을 갖게 하여 상품 구매나 각종 홍보 등의 효과를 더욱 높이면서도 부정한 사용자에 대한 컨텐츠 제공을 방지할 수 있는 컨텐츠 제공 방법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특허문헌1: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11-0070938호 (2011년 6월 27일 공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물품 자체에 식별코드를 표시하여 사용자가 물품을 사용하는 동안 지속적으로 식별코드를 사용자에게 노출시키고 사용자로 하여금 식별코드에 관심을 가지고 더 나아가 식별코드를 스캐닝하여 컨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 컨텐츠 제공 방법을 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화장지 뿐만 아니라 화장지를 수용하는 디스펜서에 각각 식별코드를 부착하여 사용자가 두 개의 식별코드를 모두 스캐닝한 경우에만 컨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는 컨텐츠 제공 방법을 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바일 단말기의 사용자가 위치한 위치도 고려하여 사용자에게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컨텐츠 제공 방법을 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가 광학방식의 식별코드에 기초하여 모바일 단말기에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화장지에 표시된 광학방식의 식별코드에 기초한 웹페이지의 요청을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제공할 컨텐츠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요청에 따른 응답으로서, 상기 선택된 컨텐츠가 포함된 웹페이지를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광학방식의 식별코드는 상기 웹페이지의 URL 주소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의해 스캐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에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가 광학방식의 식별코드에 기초하여 모바일 단말기에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화장지에 표시된 광학방식의 식별코드로부터 추출된 정보 및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식별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제공할 컨텐츠를 선택하는 단계; 및 선택된 상기 컨텐츠를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광학방식의 식별코드로부터 추출된 정보는 상기 광학방식의 식별코드를 다른 식별코드와 구별하는 고유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광학방식의 식별코드가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의해 스캐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에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가 광학방식의 식별코드에 기초하여 모바일 단말기에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광학방식의 제1 식별코드 및 제2 식별코드로부터 각각 추출된 제1 정보 및 제2 정보, 그리고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식별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및 제2 정보가 기설정된 대응관계를 갖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1 및 제2 정보가 상기 대응관계를 가진다고 판단되면,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제공할 컨텐츠를 선택하는 단계; 및 선택된 상기 컨텐츠를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광학방식의 제1 및 제2 식별코드로부터 추출된 제1 및 제2 정보의 각각은 상기 제1 및 제2 식별코드의 각각을 다른 식별코드와 구별하는 고유정보를 각각 포함하며, 상기 제1 식별코드는 화장지에 표시된 식별코드이고 상기 제2 식별코드는 상기 화장지를 수용하는 화장지 디스펜서에 표시된 식별코드로서, 각각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의해 스캐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에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바일 단말기가 광학방식의 식별코드에 기초하여 서버로부터 컨텐츠를 제공받는 방법으로서, 화장지에 표시된 광학방식의 식별코드를 스캐닝하는 단계; 스캐닝된 상기 식별코드에서 추출된 정보 및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식별정보를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에서 선택된 컨텐츠를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광학방식의 식별코드로부터 추출된 상기 정보는 상기 식별코드를 다른 식별코드와 구별하는 고유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가 컨텐츠를 제공받는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바일 단말기가 광학방식의 식별코드에 기초하여 서버로부터 컨텐츠를 제공받는 방법으로서, 화장지에 표시된 광학방식의 제1 식별코드 및 상기 화장지를 수용하는 화장지 디스펜서에 표시된 광학방식의 제2 식별코드를 스캐닝하는 단계; 스캐닝된 상기 제1 및 제2 식별코드로부터 각각 추출된 제1 정보 및 제2 정보, 그리고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식별정보를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에서 선택된 컨텐츠를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광학방식의 제1 및 제2 식별코드로부터 추출된 제1 및 제2 정보의 각각은 상기 제1 및 제2 식별코드의 각각을 다른 식별코드와 구별하는 고유정보를 각각 포함하며, 상기 서버는, 상기 제1 및 제2 정보가 기설정된 대응관계를 갖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대응관계를 가진다고 판단되면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제공할 컨텐츠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가 컨텐츠를 제공받는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화장지 자체에 식별코드를 표시하여 사용자가 화장지를 사용하는 동안 지속적으로 식별코드를 사용자에게 노출시키고 사용자로 하여금 식별코드에 관심을 가지고 식별코드를 스캐닝하여 컨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컨텐츠의 이용기회를 더 많이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화장지와 화장지를 수용하는 디스펜서에 각각 식별코드를 부착하여 사용자가 두 개의 식별코드를 모두 스캐닝한 경우에만 컨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부정한 사용자가 컨텐츠를 제공받지 못하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바일 단말기의 사용자가 위치한 위치도 고려하여 사용자에게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현재 위치에 적절한 맞춤형 컨텐츠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3 및 도4는 대안적인 실시예에 화장지 디스펜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5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 흐름도,
도6은 제2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 흐름도,
도7은 제3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 흐름도,
도8은 제4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 흐름도이다.
이상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발명의 구성요소를 지칭하기 위해 사용된 "...부", "…모듈", "...보드", "…블록"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할 수 있고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래의 특정 실시예들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이 분야의 지식을 갖고 있는 독자는 이러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이 없어도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발명을 기술하는 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발명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 데 있어 혼돈이 오는 것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츠 제공 시스템은 광학방식의 식별코드(15)가 표시된 화장지(11)를 수용하는 화장지 디스펜서(10), 화장지에 표시된 식별코드(15)를 스캐닝할 수 있는 모바일 단말기(20), 및 모바일 단말기(20)와 통신 네트워크로 연결된 서버(30)를 포함한다.
화장지 디스펜서(10)는 롤 형상의 화장지(11)를 수용하는 장치로서 예컨대 공공건물의 화장실에 설치될 수 있다. 디스펜서(10)의 하부에는 롤 형태로 감긴 화장지(11)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있다. 디스펜서(10)는 화장지(11)를 수용할 수 있으면 어떤 형상이어도 무방하다.
도시한 실시예에서 화장지(11)에는 일정 간격마다 광학방식의 식별코드(15)가 표시되어 있다. 여기서 '광학방식'의 식별코드는 예컨대 카메라로 식별코드를 촬영하고 이 촬영된 이미지를 분석함으로써 식별코드에 담긴 정보를 추출하는 방식을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광학방식의 식별코드(15)는 예를 들어 바코드(bar code) 또는 QR 코드와 같은 2차원 바코드 중 하나일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는 식별코드(15)로서 QR 코드를 사용한다고 가정한다. 화장지(11)에 식별코드(15)를 표시하는 방식은 특정 방식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화장지(11)를 제조할 때 일정 길이 간격마다 식별코드(15)를 인쇄하여 식별코드(15)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에에서 광학방식의 식별코드(15)는 모바일 단말기(20)의 사용자에게 컨텐츠를 제공하는 서버를 특정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웹페이지 내에 컨텐츠를 포함시켜 모바일 단말기(20)에 전송할 경우, 식별코드(15)는 웹페이지의 URL(uniform resource locator) 주소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식별코드(15)는 이 식별코드(15)를 다른 식별코드와 구별하는 고유정보(고유번호나 고유기호 등)를 포함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기(20)는 네트워크 통신이 가능한 휴대용 컴퓨팅 장치로서, 예를 들면 스마트폰, 태블릿 PC, 노트북 등과 같은 장치일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20)의 일부 구성요소를 블록도로 나타내었다. 당업자는 모바일 단말기(20)를 구성하는 여러 구성요소들 중 본 발명의 설명에 필요한 구성요소만 도2에 도시하였음을 이해할 것이다. 도2를 참조하면, 모바일 단말기(20)는 QR 스캐너(21) 및 정보처리 애플리케이션(22)를 포함할 수 있다. 그 외에 모바일 단말기(20)는 운영체제(OS)(23), 카메라(24), 디스플레이(25), 및 송수신 장치(26)를 포함하며 이 구성요소들은 모바일 단말기(20)의 일반적이고 기본적인 구성요소들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QR 코드 스캐너(21)는 QR 코드를 스캐닝하고 이를 처리하는 애플리케이션이다. QR 코드 스캐너(21)는 카메라(24)로 촬영한 QR 코드의 이미지를 분석하고 이로부터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정보처리 애플리케이션(22)은 QR 코드 스캐너(21)가 추출한 정보를 처리하는 애플리케이션이다. 예를 들어 QR 코드에 특정 웹페이지의 URL 주소가 포함된 경우, QR 코드 스캐너(21)는 촬영된 QR 코드 이미지로부터 이 URL 주소 정보를 추출하고, 정보처리 애플리케이션(22)은 예컨대 일반적인 클라이언트-서버간 데이터 전송 방식에 따라 URL 주소의 웹페이지를 서버(30)에 요청(request)하여 전송받을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QR 코드에 식별코드(15)를 다른 식별코드와 구별하는 고유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QR 코드 스캐너(21)는 촬영된 QR 코드 이미지로부터 이 고유정보(예컨대 일련의 숫자열이나 문자열 또는 이들의 조합)를 추출하고, 정보처리 애플리케이션(22)은 이 고유정보와 함께 모바일 단말기(20)의 식별정보를 서버(3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모바일 단말기(20)의 '식별정보'는 모바일 단말기(20)를 다른 모바일 단말기와 구별하는 고유의 식별정보로서,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기의 전화번호, 기기번호, IP 어드레스, MAC 어드레스 등의 정보 중 하나일 수 있다.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QR 코드 스캐너(21)와 정보처리 애플리케이션(22)을 각기 독립적인 애플리케이션으로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 형태에 따라 QR 코드 스캐너(21)와 정보처리 애플리케이션(22)이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될 수도 있고, 또는 QR 코드 스캐너(21)의 일부 기능이 정보처리 애플리케이션(22)에서 구현되거나 정보처리 애플리케이션(22)의 일부 기능이 QR 코드 스캐너(21)에서 구현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시 도1을 참조하면, 서버(30)는 모바일 단말기(20)와 통신할 수 있고, 모바일 단말기(20)로부터 웹페이지의 요청을 수신하면 이 요청에 대한 응답(response)으로 해당 웹페이지를 모바일 단말기(2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서버는 기설정된 컨텐츠를 상기 웹페이지를 통해 모바일 단말기(20)로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서버(30)는 모바일 단말기(20)로부터 식별코드(15)의 고유정보 및 모바일 단말기(20)의 식별정보를 수신받을 수 있고, 식별코드(15)의 고유정보에 기초하여 기설정된 컨텐츠를 모바일 단말기(20)에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서버(30)가 모바일 단말기(20)로 컨텐츠를 전송하는 방식은 특정 방식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서 서버(30)는 푸시 방식으로 컨텐츠를 전송할 수 있다. 즉 컨텐츠가 포함된 푸시 메시지를 단말기(20)로 전송하고, 단말기(20)에 설치된 임의의 모바일 앱에서 이 푸시 메시지를 단말기(20)의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대안적 실시예에서 서버(20)는 문자메시지(SMS, MMS 등) 방식으로 모바일 단말기(20)에 컨텐츠를 전송하여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서버(30)는 모바일 단말기(20) 내의 정보처리 애플리케이션(22)을 통해 컨텐츠를 사용자에게 보여줄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서버(30)가 모바일 단말기(20) 사용자에게 전송하는 '컨텐츠'는 사용자에게 필요한 임의의 정보나 데이터가 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컨텐츠는 상품이나 서비스 구매시 적용가능한 할인권이나 쿠폰이 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컨텐츠는 모바일 단말기 사용자가 화장실에서 잠깐의 시간 동안 즐길 수 있는 정보나 게임 컨텐츠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제 도3을 참조하여 대안적 실시예에 따른 화장지 디스펜서(40)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3(a)는 대안적 실시예에 따른 화장지 디스펜서(40)의 사시도이고 도3(b)는 일 측면의 측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하였다.
도면을 참조하면, 대안적 실시예에 따른 화장지 디스펜서(40)는 도1의 화장지 디스펜서(10)와 형상이 동일 또는 유사하다. 즉 롤 형상의 화장지(11)를 수용하며 화장지(11)가 디스펜서(40)의 일 측면(예컨대 하부면)으로부터 배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때 화장지(11)에는 일정 간격마다 광학방식의 식별코드(15)(이하 "제1 식별코드"라 함)가 표시되어 있다. 그리고 도3의 대안적 실시예에서 디스펜서(40)에도 광학방식의 식별코드(17)(이하 "제2 식별코드"라 함)가 표시되어 있다.
제1 식별코드(15) 및 제2 식별코드(17)는 각각 바코드(bar code) 또는 QR 코드와 같은 2차원 바코드 중 하나일 수 있다. 제1 식별코드(15)는 서버(30)와 통신하기 위한 정보(예컨대 서버의 URL 주소)의 적어도 일부 또는 제1 식별코드(15)를 다른 식별코드와 구별하는 고유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식별코드(17)는 제1 식별코드(17)를 다른 식별코드와 구별하는 고유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식별코드(15)와 제2 식별코드(17)는 기설정된 대응관계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기(20)가 제1 식별코드(15)와 제2 식별코드(17)를 (따로 또는 한꺼번에) 스캐닝하여 정보를 추출하는 경우, 제1 식별코드(15)에서 추출된 정보와 제2 식별코드(17)에서 추출된 정보가 상기 기설정된 대응관계에 있는 경우에만 서버(30)가 컨텐츠를 모바일 단말기(20)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이 구성에 의하면, 예컨대 누군가가 화장실이 아닌 다른 장소에서 화장지(11)의 제1 식별코드(15)만 스캐닝하거나 디스펜서(40)의 제2 식별코드(17)만 스캐닝한다면 서버(30)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할 수 없으므로, 화장실 이용자가 아닌 사람이 부정하게 컨텐츠를 수신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이러한 제1 식별코드(15)와 제2 식별코드(17)의 대응관계는 서버(30)가 예컨대 룩업테이블 형태로 미리 저장하고 있다가, 서버(30)가 제1 식별코드(15)와 제2 식별코드(17)에서 각각 추출한 정보를 기설정된 소정 시간내에 모두 수신하면, 기설정된 룩업테이블을 참조하여 대응관계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제1 식별코드(15)와 제2 식별코드(17)가 각각 정보를 부분적으로만 포함하고 있어서, 제1 및 제2 식별코드(15,17)를 모두 스캐닝하여 추출한 정보를 합한 경우 온전한 정보(예컨대 웹페이지의 URL 주소, 또는 제1 식별코드를 다른 식별코드와 구별하는 고유정보 등)가 완성되어 정보처리 애플리케이션(22)이 이 완성된 정보를 서버(30)로 전송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제2 식별코드(17)가 표시되는 위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예컨대 디스펜서(40)의 일 측면에 관통구(42)가 형성되고 이 관통구(42)에 인접하여 제2 식별코드(17)가 인쇄되어 있을 수 있고, 모바일 단말기(20)의 사용자가 도4에 도시한 것처럼 관통구(42)를 통해 제1 식별코드(15)가 보이도록 한 상태에서 제1 식별코드(15)와 제2 식별코드(17)를 한꺼번에 스캐닝하여 정보를 추출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는 대안적 실시예로서, 제2 식별코드(17)가 디스펜서(40)의 임의의 위치에 부착되어 있어서, 사용자가 제1 식별코드(15)와 제2 식별코드(17)를 각각 순차적으로 스캐닝하여 정보를 추출할 수도 있다.
한편 또 다른 대안적 실시예에서 제2 식별코드(17)는 디스펜서(40)가 설치된 위치에 관한 위치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모바일 단말기(20)는 이 위치정보도 함께 서버(30)로 전송하고, 서버(30)는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컨텐츠를 선택하고 선택된 컨텐츠를 모바일 단말기 사용자에게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이 구성에 의하면 디스펜서(40)가 설치된 화장실의 장소를 고려하여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펜서(40)가 백화점, 극장, 또는 식당의 화장실에 설치되고 이러한 위치정보가 서버(30)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경우, 서버(30)는 예컨대 컨텐츠로서 백화점의 물품 구매 할인권, 영화 할인권, 또는 음식 할인권 등을 선택하여 이를 모바일 사용자에게 전송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에게 관련성 있는 맞춤형 컨텐츠를 제공하는 이점이 있다.
한편 도4는 또 다른 대안적 실시예에 따른 화장지 디스펜서(50)의 측면을 나타낸다. 도면을 참조하면, 대안적 실시예에 따른 화장지 디스펜서(50)는 도3의 화장지 디스펜서(40)와 형상이 동일 또는 유사하다. 즉 롤 형상의 화장지를 수용하며 화장지가 디스펜서(50)의 일 측면(예컨대 하부면)으로부터 배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때 화장지에는 일정 간격마다 광학방식의 식별코드(55)(이하 "제1 식별코드"라 함)가 표시되어 있다. 그리고 도4의 대안적 실시예에서 디스펜서(50)에도 광학방식의 식별코드(57)(이하 "제2 식별코드"라 함)가 표시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 제1 식별코드(55)는 예컨대 온전한 하나의 QR 코드 중 일부만 포함하고 있고 제2 식별코드(57)는 이 온전한 하나의 QR 코드의 나머지 부분을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도5에 도시한 것처럼 관통구(52)를 통해 제1 식별코드(55)와 제2 식별코드(57)를 인접하게 배치한 상태에서 한꺼번에 스캐닝함으로써 온전한 하나의 식별코드(59)를 식별할 수 있다. 이 때 온전한 하나의 식별코드(59)는 서버(30)와 통신하기 위한 정보(예컨대 서버의 URL 주소)를 포함할 수도 있고, 이 식별코드(59)를 다른 식별코드와 구별하는 고유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술한 도4의 구성에 의하면 디스펜서(50)와 화장지에 각각 표시된 식별코드(55,57)를 한번에 스캐닝해야만 온전한 식별코드(59)로 완성되므로 화장실 이용자가 아닌 사람이 부정하게 컨텐츠를 제공받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4에서는 제1 및 제2 QR 코드(55,57)가 각각 온전한 QR 코드(59)의 절반씩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각 QR 코드(55,57)가 반드시 절반씩 표시할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제1 QR 코드(55)가 온전한 QR 코드(59)의 일부분(예컨대 QR 코드의 1/4)을 표시하고 제2 QR 코드(57)는 나머지 일부분(예컨대 QR 코드의 3/4)를 표시하여도 무방하다.
이제 도5 내지 도8을 참조하여 모바일 단말기 사용자에게 컨텐츠를 제공하는 예시적 방법들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5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 흐름도이다. 제1 실시예의 흐름도는 예컨대 도1에 도시한 화장지(11)를 수용하는 화장지 디스펜서(10)가 화장실에 설치되었고 또한 광학방식 식별코드(15)가 QR 코드인 것으로 가정한다. 또는 대안적으로, 도4에 도시한 디스펜서(50)가 화장실에 설치되었다고 가정할 수도 있다.
우선 단계(S110)에서, 모바일 단말기(20)의 사용자가 화장지(11)에 표시된 QR 코드(15)를 스캐닝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모바일 단말기(20)의 QR 코드 스캐너(21)를 실행한 후 카메라(24)를 활성화하여 QR 코드(15)를 스캐닝할 수 있다. 도4의 디스펜서(50)가 설치된 경우, 모바일 단말기(20) 사용자는 제1 QR 코드(55)와 제2 QR 코드(57)를 적절히 배열하여 하나의 온전한 QR 코드(59)가 되도록 한 상태에서 QR 코드(59)를 스캐닝할 수 있다.
스캐닝 후 예컨대 정보처리 애플리케이션(22)이 실행되어 QR 코드(15)로부터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22)이 QR 코드(15)에 포함된 서버(30)의 URL 주소에 관한 정보를 추출할 수 있고, 이 추출한 URL 주소에 따라 모바일 단말기(20)가 서버(30)에 요청(request)을 전송한다(S120).
이 때 대안적 실시예에서, 단계(S110)에서 사용자가 정보처리 애플리케이션(22)을 먼저 실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22)을 실행하면, 이 애플리케이션(22)이 QR 코드 스캐너(21)를 실행하고 카메라(24)를 활성화하여 QR 코드 스캐닝 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다른 대안적 실시예에서, QR 코드 스캐너(21)와 정보처리 애플리케이션(22)이 하나의 통합된 애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단계(S130)에서, 모바일 단말기(20)로부터 요청을 수신받은 서버(30)는 모바일 단말기(20)에 제공할 컨텐츠를 선택한다. 서버(30)가 어떤 컨텐츠를 선택하는지는 구체적 실시 형태에 따라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30)는 사용자에게 제공할 컨텐츠를 일정 시간주기마다 변경할 수 있다. 예컨대 전체 컨텐츠의 개수가 10개라고 가정하면, 서버(30)는 6분의 시간주기마다 컨텐츠를 바꾸면서 제공함으로써 전체 10개의 컨텐츠를 1시간 마다 순환시키며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서버(30)는 이러한 시간주기에 기초하여 각 컨텐츠를 제공할 시간표(이하 “컨텐츠 제공 시간표”라 함)를 미리 마련할 수 있고, 단계(S120)에서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요청을 수신하면, 서버(30)는 예컨대 요청을 수신한 시각을 기준으로 컨텐츠 제공 시간표에 따른 컨텐츠를 선택할 수 있다. 그러나 상술한 컨텐츠 선택 방법은 하나의 예시에 불과하고, 구체적 실시 형태에 따라 다양한 컨텐츠 선택 방식을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일 실시예에서, 서버(30)가 모바일 단말기(20)에 전송할 컨텐츠를 선택할 때, 해당 모바일 단말기(20)로부터 일정 시간 내에 복수회의 요청이 왔는지 판단하고, 컨텐츠 선택시 이 판단 결과를 반영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기 사용자가 짧은 시간에 2회 이상의 요청을 서버(30)로 전송한 경우(예컨대 사용자가 QR 코드(15)를 반복적으로 스캐닝하여 요청을 전송한 경우), 만일 컨텐츠가 물품 구매시 적용가능한 할인권이나 쿠폰이라면, 이러한 할인권이나 쿠폰을 요청의 횟수만큼 반복적으로 동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서버(30)는 동일한 모바일 단말기(20)로부터 동일한 요청을 기설정된 시간 주기내에 수신하는지 판단하고, 만일 이 소정 시간주기 내에 동일한 요청을 수신하지 않았다면 모바일 단말기(20)의 요청에 따른 응답으로서 컨텐츠를 제공하고, 만일 상기 소정 시간주기 내에 동일한 모바일 단말기(20)로부터 동일한 요청을 2회 이상 수신하였다면 컨텐츠를 제공하지 않도록 설정할 수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단계(S140)에서, 서버(30)는 요청에 따른 응답(response)으로서 상기 선택된 컨텐츠가 포함된 웹페이지를 모바일 단말기(20)로 전송한다.
모바일 단말기(20)는 컨텐츠가 포함된 웹페이지를 수신하여 모바일 단말기의 디스플레이(25)로 출력하고(S150), 사용자는 디스플레이(25)에 출력되는 컨텐츠를 보거나 다운로드하여 각종 온/오프라인 상의 관련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S160). 예를 들어 컨텐츠가 물품이나 서비스 구매를 위한 할인권이나 쿠폰인 경우 사용자가 해당 컨텐츠(할인권 또는 쿠폰)을 다운로드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컨텐츠가 임의의 정보를 포함하는 텍스트나 이미지 파일이라면 사용자는 단순히 디스플레이 상에서 해당 컨텐츠를 읽거나 볼 수 있고, 또 다른 예로서 컨텐츠가 간단한 게임 프로그램일 수 있고, 이 경우 사용자는 컨텐츠를 다운로드 받아서 즐길 수 있다.
도6은 제2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 흐름도이다. 제2 실시예에서도 도1에 도시한 화장지(11)를 수용하는 화장지 디스펜서(10)가 화장실에 설치되고 광학방식 식별코드(15)가 QR 코드인 것으로 가정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단계(S210)에서 모바일 단말기(20)의 사용자가 화장지(11)에 표시된 QR 코드(15)를 스캐닝하고 정보를 추출한다. 이 때 QR 코드(15)에 포함된 정보는 이 QR 코드(15)를 다른 QR 코드와 구별하는 고유정보를 포함하고 있다고 가정한다.
한편 도6은 제4에 도시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50)가 화장실에 설치된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 경우, 단계(S210)에서 사용자는 화장지의 제1 식별코드(55)와 디스펜서(50)의 제2 식별코드(57)를 인접하게 배열하여 하나의 온전한 QR 코드(59)를 스캐닝하여 정보를 추출한다. 이 때 하나의 온전한 QR 코드(59)는 이 QR 코드(59)를 다른 QR 코드와 구별하는 고유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모바일 단말기(20)는 이 추출된 고유정보와 함께 모바일 단말기(20)의 식별정보(예컨대 모바일 단말기(20)의 전화번호, 기기번호, 또는 IP 어드레스 또는 MAC 어드레스 등)를 서버(30)로 전송한다(S220).
단계(S230)에서 서버(30)는 도5를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같이 미리 정해진 컨텐츠 제공 시간표에 따라 컨텐츠를 선택할 수 있고, 대안적으로 기설정된 다른 다양한 방식에 따라 컨텐츠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이 때 서버(30)는 모바일 단말기(20)로부터 수신한 QR 코드의 고유정보와 단말기의 식별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모바일 단말기(20)로부터 동일 정보를 일정 시간 내에 복수회 수신하였는지 판단하고, 컨텐츠 선택시 이 판단 결과를 반영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단계(S240)에서, 서버(30)는 모바일 단말기의 식별정보에 기초하여, 수신한 QR 코드의 고유정보와 동일한 고유정보를 기설정된 시간주기 내에 동일한 모바일 단말기(20)로부터 수신하였는지 판단할 수 있고, 이 판단 결과 소정 시간주기 내에 동일한 고유정보를 수신하지 않았다면 컨텐츠를 모바일 단말기(20)로 전송하고, 동일한 정보를 2회 이상 수신하였다면 컨텐츠를 전송하지 않도록 설정할 수 있다.
단계(S240)에서 컨텐츠를 전송하기로 결정한 경우, 서버(30)는 선택된 컨텐츠를 모바일 단말기(20)로 전송한다(S250). 이 때 컨텐츠 전송은 예컨대 푸시 메시지, SMS나 MMS 등의 문자 메시지 형태로 전송할 수 있다.
단계(S260)에서 모바일 단말기(20)는 컨텐츠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25)에 출력하고, 사용자는 디스플레이(25)에 출력되는 컨텐츠를 보거나 다운로드하여 각종 온/오프라인 상의 관련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S270).
도7은 제3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 흐름도이다. 제3 실시예에서는 도3에 도시한 디스펜서(40)가 화장실에 설치되고 광학방식 식별코드로서 화장지(11)에 표시된 제1 QR 코드(15) 및 디스펜서(40)에 표시된 제2 QR 코드(17)를 사용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이 때 일 실시예에서 제1 QR 코드(15) 및 제2 QR 코드(17)에서 각각 추출된 정보는 각각 제1 QR 코드(15)와 제2 QR 코드(17)를 다른 QR 코드와 구별하는 고유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제1 QR 코드(15)의 정보와 제2 QR 코드(17)의 정보를 조합하였을 때 하나의 온전한 정보가 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단계(S310)에서 모바일 단말기(20)의 사용자가 화장지(11)에 표시된 제1 QR 코드(15)와 디스펜서(40)에 표시된 제2 QR 코드(17)를 스캐닝한다. 이 때 스캐닝 동작은 두 개의 QR 코드(15,17)를 동시에 스캔할 수도 있고 각각 순차적으로 스캐닝할 수도 있다.
그 후 모바일 단말기(20)는 QR 코드(15,17)로부터 추출한 정보 및 모바일 단말기(20)의 식별정보를 서버(30)로 전송한다(S320).
모바일 단말기(20)가 서버(30)로 정보를 전송한 경우, 단계(S330)에서, 서버(30)는 제1 QR 코드(15)에서 추출한 정보와 제2 QR 코드(17)에서 추출한 정보가 서로 관련성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30)가 제1 QR 코드(15)와 제2 QR코드(17)의 대응관계를 미리 룩업 테이블의 형태로 저장하고 있을 수 있고, 서버(30)가 단말기(20)로부터 제1 및 제2 QR 코드에서 각각 추출한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룩업 테이블을 참조하여 대응관계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대안적 실시예로서 제1 QR 코드(15)의 정보와 제2 QR 코드(17)의 정보를 조합하였을 때 하나의 온전한 정보가 되도록 설정한 경우, 이 단계(S330)에서 서버(30)가 두 정보를 조합하여 온전한 정보가 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다른 대안적 실시예로서 모바일 단말기(20)의 정보처리 애플리케이션(22)이 이러한 정보의 대응관계 판단이나 정보의 조합 작업을 수행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정보처리 애플리케이션(22)에서 제1 및 제2 QR 코드(15,17)에서 추출한 정보를 조합하여 온전한 하나의 정보가 되는지를 판단하고, 온전한 정보가 만들어지지 않는다면 정보처리 애플리케이션(22)이 서버(30)로 정보를 전송하지 않고 제1 QR 코드(15) 및/또는 제2 QR 코드(17)를 다시 스캐닝하라는 메시지를 예컨대 디스플레이(25)를 통해 사용자에게 통지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단계(S340)에서 서버(30)는 도5 또는 도6을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같이 미리 정해진 컨텐츠 제공 시간표에 따라 컨텐츠를 선택할 수 있고, 대안적으로 기설정된 다른 다양한 방식에 따라 컨텐츠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단계(S350)에서 서버(30)는 모바일 단말기(20)로부터 수신한 QR 코드의 고유정보와 단말기의 식별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모바일 단말기(20)로부터 동일 정보를 일정 시간 내에 복수회 수신하였는지 판단하고, 컨텐츠 선택시 이 판단 결과를 반영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단계(S340,S350)의 실행 순서를 바꿀 수도 있고 동시에 실행할 수도 있다.
단계(S350)에서 컨텐츠를 전송하기로 결정한 경우, 서버(30)는 선택된 컨텐츠를 모바일 단말기(20)로 전송한다(S360). 컨텐츠 전송은 예컨대 푸시 메시지, SMS나 MMS 등의 문자 메시지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단계(S370)에서, 모바일 단말기(20)는 수신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는 디스플레이(25)에 출력되는 컨텐츠를 보거나 다운로드하여 각종 온/오프라인 상의 관련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S380).
도8은 제4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 흐름도이다. 도8의 제4 실시예는 도7의 제3 실시예와 거의 동일 또는 유사하고, 다만 제4 실시예에서 제2 QR 코드(17)가 디스펜서(40)가 설치된 위치에 관한 위치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4 실시예의 단계(S420)에서 모바일 단말기(20)는 제1 및 제2 QR 코드(15,17)에서 추출한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정보 및 모바일 단말기의 식별정보를 서버(30)로 전송한다.
그 후 단계(S440)에서 서버(30)가 컨텐츠를 선택할 때 서버(30)는 위치정보도 고려하여 컨텐츠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30)는 각 디스펜서(40)가 설치된 위치 및 각 위치에 대응하여 제공할 컨텐츠를 미리 룩업 테이블 등의 방식으로 저장하고 있을 수 있고, 모바일 단말기(20)로부터 위치정보를 수신하면 룩업 테이블을 참조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컨텐츠를 선택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기 사용자가 현재 위치하는 장소에 맞는 맞춤형 컨텐츠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상술한 명세서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 40, 50: 화장지 디스펜서
15, 17, 55, 57, 59: 광학방식 식별코드
20: 모바일 단말기
30: 서버

Claims (21)

  1. 서버가 광학방식의 식별코드에 기초하여 모바일 단말기에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화장지에 표시된 광학방식의 식별코드에 기초한 웹페이지의 요청(request)을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제공할 컨텐츠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요청에 따른 응답(response)으로서, 상기 선택된 컨텐츠가 포함된 웹페이지를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광학방식의 식별코드는 상기 웹페이지의 URL(uniform resource locator) 주소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의해 스캐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에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하는 단계가,
    상기 모바일 단말기를 다른 모바일 단말기와 식별하는 식별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상기 요청과 동일한 요청을 기설정된 소정 시간주기 내에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수신하였는지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소정 시간주기 내에 상기 동일한 요청을 수신하지 않았다면, 상기 요청에 따른 상기 응답으로서 상기 컨텐츠가 포함된 웹페이지를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소정 시간주기 내에 상기 동일한 요청을 수신하였다면, 상기 컨텐츠를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에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방식의 식별코드가 바코드 또는 QR(Quick Response) 코드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에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4. 서버가 광학방식의 식별코드에 기초하여 모바일 단말기에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화장지에 표시된 광학방식의 식별코드로부터 추출된 정보 및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식별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제공할 컨텐츠를 선택하는 단계; 및
    선택된 상기 컨텐츠를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광학방식의 식별코드로부터 추출된 정보는 상기 광학방식의 식별코드를 다른 식별코드와 구별하는 고유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광학방식의 식별코드가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의해 스캐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에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하는 단계가,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식별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추출된 정보와 동일한 정보를 기설정된 소정 시간주기 내에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수신하였는지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소정 시간주기 내에 상기 동일한 정보를 수신하지 않았다면 상기 컨텐츠를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소정 시간주기 내에 상기 동일한 정보를 수신하였다면 상기 컨텐츠를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에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방식의 식별코드가 바코드 또는 QR(Quick Response) 코드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에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7. 서버가 광학방식의 식별코드에 기초하여 모바일 단말기에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광학방식의 제1 식별코드 및 제2 식별코드로부터 각각 추출된 제1 정보 및 제2 정보, 그리고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식별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및 제2 정보가 기설정된 대응관계를 갖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1 및 제2 정보가 상기 대응관계를 가진다고 판단되면,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제공할 컨텐츠를 선택하는 단계; 및
    선택된 상기 컨텐츠를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광학방식의 제1 및 제2 식별코드로부터 추출된 제1 및 제2 정보의 각각은 상기 제1 및 제2 식별코드의 각각을 다른 식별코드와 구별하는 고유정보를 각각 포함하며,
    상기 제1 식별코드는 화장지에 표시된 식별코드이고 상기 제2 식별코드는 상기 화장지를 수용하는 화장지 디스펜서에 표시된 식별코드로서, 각각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의해 스캐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에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하는 단계가,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식별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추출된 제1 정보와 동일한 정보를 기설정된 소정 시간주기 내에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수신하였는지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소정 시간주기 내에 상기 동일한 정보를 수신하지 않았다면 상기 컨텐츠를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소정 시간주기 내에 상기 동일한 정보를 수신하였다면 상기 컨텐츠를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에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식별코드의 각각이 바코드 또는 QR(Quick Response) 코드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에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식별코드로부터 추출된 상기 제2 정보가 상기 제2 식별코드가 표시되어 있는 화장지 디스펜서의 위치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선택하는 단계가, 상기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컨텐츠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에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11. 모바일 단말기가 광학방식의 식별코드에 기초하여 서버로부터 컨텐츠를 제공받는 방법으로서,
    화장지에 표시된 광학방식의 식별코드를 스캐닝하는 단계;
    스캐닝된 상기 식별코드에서 추출된 정보 및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식별정보를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에서 선택된 컨텐츠를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광학방식의 식별코드로부터 추출된 상기 정보는 상기 식별코드를 다른 식별코드와 구별하는 고유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가 컨텐츠를 제공받는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가,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식별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추출된 정보와 동일한 정보를 기설정된 소정 시간주기 내에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수신하였는지 판단하고,
    상기 서버가, 상기 소정 시간주기 내에 상기 동일한 정보를 수신하지 않았다면 상기 컨텐츠를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소정 시간주기 내에 상기 동일한 정보를 수신하였다면 상기 컨텐츠를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가 컨텐츠를 제공받는 방법.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방식의 식별코드가 바코드 또는 QR(Quick Response) 코드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가 컨텐츠를 제공받는 방법.
  14. 모바일 단말기가 광학방식의 식별코드에 기초하여 서버로부터 컨텐츠를 제공받는 방법으로서,
    화장지에 표시된 광학방식의 제1 식별코드 및 상기 화장지를 수용하는 화장지 디스펜서에 표시된 광학방식의 제2 식별코드를 스캐닝하는 단계;
    스캐닝된 상기 제1 및 제2 식별코드로부터 각각 추출된 제1 정보 및 제2 정보, 그리고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식별정보를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에서 선택된 컨텐츠를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광학방식의 제1 및 제2 식별코드로부터 추출된 제1 및 제2 정보의 각각은 상기 제1 및 제2 식별코드의 각각을 다른 식별코드와 구별하는 고유정보를 각각 포함하며,
    상기 서버는, 상기 제1 및 제2 정보가 기설정된 대응관계를 갖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대응관계를 가진다고 판단되면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제공할 컨텐츠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가 컨텐츠를 제공받는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가,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식별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추출된 제1 정보와 동일한 정보를 기설정된 소정 시간주기 내에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수신하였는지 판단하고,
    상기 서버가, 상기 소정 시간주기 내에 상기 동일한 정보를 수신하지 않았다면 상기 컨텐츠를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소정 시간주기 내에 상기 동일한 정보를 수신하였다면 상기 컨텐츠를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가 컨텐츠를 제공받는 방법.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식별코드로부터 추출된 상기 제2 정보가 상기 제2 식별코드가 표시되어 있는 화장지 디스펜서의 위치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서버가 상기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컨텐츠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가 컨텐츠를 제공받는 방법.
  17.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식별코드의 각각이 바코드 또는 QR(Quick Response) 코드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가 컨텐츠를 제공받는 방법.
  18. 서버가 광학방식의 식별코드에 기초하여 모바일 단말기에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광학방식의 제1 식별코드와 제2 식별코드로 이루어진 제3 식별코드로부터 추출된 정보, 그리고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식별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제공할 컨텐츠를 선택하는 단계; 및
    선택된 상기 컨텐츠를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식별코드는 화장지에 표시된 식별코드로서 상기 제3 식별코드의 일부분을 구성하고, 상기 제2 식별코드는 상기 화장지를 수용하는 화장지 디스펜서에 표시된 식별코드로서 상기 제3 식별코드의 나머지 일부분을 구성하며, 상기 제3 식별코드가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의해 스캐닝된 것이며,
    상기 제3 식별코드에서 추출되는 정보는 상기 제3 식별코드를 다른 식별코드와 구별하는 고유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에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하는 단계가,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식별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추출된 정보와 동일한 정보를 기설정된 소정 시간주기 내에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수신하였는지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소정 시간주기 내에 상기 동일한 정보를 수신하지 않았다면 상기 컨텐츠를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소정 시간주기 내에 상기 동일한 정보를 수신하였다면 상기 컨텐츠를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에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20. 모바일 단말기가 광학방식의 식별코드에 기초하여 서버로부터 컨텐츠를 제공받는 방법으로서,
    화장지에 표시된 광학방식의 제1 식별코드 및 상기 화장지를 수용하는 화장지 디스펜서에 표시된 광학방식의 제2 식별코드를 서로 인접하게 배열함으로써 완성되는 제3 식별코드를 스캐닝하는 단계;
    스캐닝된 상기 제3 식별코드로부터 추출된 정보, 및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식별정보를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에서 선택된 컨텐츠를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식별코드는 상기 제3 식별코드의 일부분을 구성하고 상기 제2 식별코드는 상기 제3 식별코드의 나머지 일부분을 구성하며, 상기 제3 식별코드에서 추출되는 정보는 상기 제3 식별코드를 다른 식별코드와 구별하는 고유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가 컨텐츠를 제공받는 방법.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가,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식별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추출된 정보와 동일한 정보를 기설정된 소정 시간주기 내에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수신하였는지 판단하고,
    상기 서버가, 상기 소정 시간주기 내에 상기 동일한 정보를 수신하지 않았다면 상기 컨텐츠를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소정 시간주기 내에 상기 동일한 정보를 수신하였다면 상기 컨텐츠를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가 컨텐츠를 제공받는 방법.
KR1020180006668A 2018-01-18 2018-01-18 모바일 단말기 사용자에게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KR2019008829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6668A KR20190088294A (ko) 2018-01-18 2018-01-18 모바일 단말기 사용자에게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6668A KR20190088294A (ko) 2018-01-18 2018-01-18 모바일 단말기 사용자에게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8294A true KR20190088294A (ko) 2019-07-26

Family

ID=674695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6668A KR20190088294A (ko) 2018-01-18 2018-01-18 모바일 단말기 사용자에게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88294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70938A (ko) 2009-12-19 2011-06-27 김경중 정보기록부를 구비하는 판촉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70938A (ko) 2009-12-19 2011-06-27 김경중 정보기록부를 구비하는 판촉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43584B2 (ja) 遠隔アクセス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102052932B1 (ko) 모바일 디바이스를 사용하는 제품 정보 시스템 및 방법
KR101141204B1 (ko) 큐알코드를 이용한 외식매장 주문접수 시스템 및 방법
CA2991966A1 (en) System and method for obtaining information relating to an item of commerce using a portable imaging device
US7519682B2 (en) Wireless programmable user interaction system with machine-readable tags for physical objects
JP2007163621A (ja) 広告配信システム、広告配信方法、広告配信装置および広告受信端末
US2013025403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dvertisement service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JP2005301585A (ja) 情報提供システム,タイミング提供装置,情報提供サーバ,情報提供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20130218675A1 (en) Mobile dedicated gift token management system
JP2009053837A (ja) レジシステムおよび会員登録サーバ
KR20140039101A (ko) 전자 쿠폰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190088294A (ko) 모바일 단말기 사용자에게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KR20150064768A (ko) 상품정보 등록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5251003A (ja) 2次元コードを利用したポイント管理システム、このポイント管理システムの管理サーバ及び2次元コードを利用したポイント管理システムの携帯端末に具備されるプログラム。
US20090210508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providing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consumer good
CN109918168A (zh) 显示图形码的方法、电子设备和计算机可读介质
JP2000250854A (ja) カメラで撮影した画像をサーバで表示するシステム、そのサーバ及びそのサーバ用制御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2001265800A (ja) 2次元コードを用いた商品・サービスの取引情報処理システム
KR20180126890A (ko) 주문정보 관리 시스템
WO2016095725A1 (zh) 一种条形码扫描方法及装置
US20190124483A1 (en) A technique for allowing registered mobile users of the same or different social networks in the vicinity to use mobile devices of the same or different operation system to identify each other and exchange business information
CN104766218A (zh) 基于数据标签的会员身份信息应用管理系统
KR20130033516A (ko) 2차원 코드를 이용한 동적 정보 제공 방법
JP7216159B2 (ja) 報酬管理システム、報酬付与方法、ならびに、プログラム
TWM529228U (zh) 資訊系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