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8088A - 영상 서비스 기반의 광고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영상 서비스 기반의 광고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8088A
KR20190088088A KR1020170179283A KR20170179283A KR20190088088A KR 20190088088 A KR20190088088 A KR 20190088088A KR 1020170179283 A KR1020170179283 A KR 1020170179283A KR 20170179283 A KR20170179283 A KR 20170179283A KR 20190088088 A KR20190088088 A KR 201900880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otographing
image
brand
photograph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92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병민
Original Assignee
(주)글루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글루버 filed Critical (주)글루버
Priority to KR10201701792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88088A/ko
Publication of KR201900880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808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7Wireless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5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ill image data
    • G06F16/58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 G06F16/583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using metadata automatically derived from the content
    • G06F16/5854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using metadata automatically derived from the content using shape and object relationshi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1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user lo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언제 어디서나 사용자가 원하는 영상을 제공할 때 영상내의 브랜드에 관련된 광고를 함께 제공해줄 수 있는 영상 서비스 기반의 광고 제공 방법을 제시한다. 제시된 방법은 운영자 서버가 영상 서비스 기반의 광고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요청자 단말로부터 관심 대상 및 관심 대상에 대한 관심 카테고리를 수신하는 단계, 요청자 단말로부터의 촬영대상의 위치, 영상 촬영시간, 촬영방향을 포함하는 촬영 요청 조건에 따라 촬영된 영상을 수신하는 단계, 수신된 영상에서 관심 대상을 검색하는 단계, 검색된 관심 대상에 대하여 관심 카테고리에 연관된 광고를 검색하는 단계, 및 광고가 검색됨에 따라 해당 광고를 요청자 단말에게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영상 서비스 기반의 광고 제공 방법{Method for providing advertisement based on video service}
본 발명은 영상 서비스 기반의 광고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원하는 원격지의 영상(동영상 등)을 서비스할 때 광고를 함께 제공해 주도록 하는 영상 서비스 기반의 광고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다양한 여행 패키지를 상품으로 제공하는 여행사들은 여행자들에게 보다 유용한 관광지를 개발하고 있으며, 새로운 관광지를 홍보하기 위하여 신문이나 TV 및 인터넷 등을 이용하여 대대적인 광고를 실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홍보 및 광고에 사용되는 관광지의 모습은 예전에 촬영한 것을 사용하기 때문에, 계절적인 요인과 시간적인 요인으로 관광객들에게 현재의 정확한 관광지의 모습을 알려줄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예를 들어, 흔히 여행가기 전에 검색해 보는 구글지도, 포털검색, SNS 검색에서는 오래된 정보, 상업화된 정보만을 제공할 뿐, 지금 이순간의 관광지 영상을 볼 수 없다.
또한, 기존 관광지의 영상은 과장된 장면들로 편집 및 재구성되어 관광객의 판단을 흐리게 하고, 해당 관광지를 여행하고 돌아온 관광객이 실망하는 예가 자주 발생하게 된다.
선행기술 1 :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42550호(동영상 파노라마 기반의 스토리텔링형 지역 정보 제공방법 및 시스템) 선행기술 2 :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52691호(시점 선택이 가능한 3차원 가상 콘텐츠 동영상을 제공하는 장치 및 그 방법) 선행기술 3 :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07617호(관광지 홍보용 실시간 영상 제공 시스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사정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언제 어디서나 사용자가 원하는 영상을 제공할 때 영상내의 브랜드에 관련된 광고를 함께 제공해줄 수 있는 영상 서비스 기반의 광고 제공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따른 영상 서비스 기반의 광고 제공 방법은, 운영자 서버가 영상 서비스 기반의 광고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요청자 단말로부터 관심 대상 및 상기 관심 대상에 대한 관심 카테고리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요청자 단말로부터의 촬영대상의 위치, 영상 촬영시간, 촬영방향을 포함하는 촬영 요청 조건에 따라 촬영된 영상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영상에서 상기 관심 대상을 검색하는 단계; 상기 검색된 관심 대상에 대하여 상기 관심 카테고리에 연관된 광고를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광고가 검색됨에 따라 해당 광고를 상기 요청자 단말에게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관심 대상은 브랜드 및 상품명 중에서 어느 하나일 수 있고, 상기 브랜드에 대한 관심 카테고리는 상기 브랜드에 연관된 다양한 상품 또는 상품군중에서 특히 관심이 가는 상품 또는 상품군일 수 있고, 상기 상품명에 대한 관심 카테고리는 상기 상품명에 대하여 시청하고 싶은 브랜드 광고일 수 있다.
상기 검색된 관심 대상에 대하여 상기 관심 카테고리에 연관된 광고를 검색하는 단계는, 상기 검색된 관심 대상이 브랜드인 경우, 상기 브랜드에 대하여 관심 카테고리가 되는 상품 또는 상품군의 광고를 검색할 수 있다.
상기 검색된 관심 대상에 대하여 상기 관심 카테고리에 연관된 광고를 검색하는 단계는, 상기 검색된 관심 대상이 상품명인 경우, 상기 상품명에 대하여 관심 카테고리가 되는 시청하고 싶은 브랜드 광고를 검색할 수 있다.
상기 관심 대상을 검색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된 영상의 프레임을 분석하여 상기 관심 대상의 존재 여부를 파악하는 단계; 및 상기 파악결과에 따라 상기 관심 대상을 인식해 내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신된 영상의 프레임을 분석하여 상기 관심 대상의 존재 여부를 파악하는 단계는, 한 명 이상의 촬영자가 업로드한 영상의 프레임을 분석하여 상기 관심 대상의 존재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
상기 수신된 영상의 프레임을 분석하여 상기 관심 대상의 존재 여부를 파악하는 단계는, 한 명 이상의 촬영자가 업로드한 영상중에서 상기 요청자 단말에서 선택한 하나의 영상에 대해서만 프레임을 분석하여 상기 관심 대상의 존재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따른 영상 서비스 기반의 광고 제공 장치는, 요청자 단말로부터 관심 대상 및 상기 관심 대상에 대한 관심 카테고리를 수신하는 관심 카테고리 수신부; 상기 요청자 단말로부터의 촬영대상의 위치, 영상 촬영시간, 촬영방향을 포함하는 촬영 요청 조건에 따라 촬영된 영상을 수신하는 영상 수신부; 상기 수신된 영상에서 상기 관심 대상을 검색하는 브랜드 검색부; 상기 검색된 관심 대상에 대하여 상기 관심 카테고리에 연관된 광고를 검색하는 브랜드 광고 검색부; 및 상기 광고가 검색됨에 따라 해당 광고를 상기 요청자 단말에게로 전송하는 광고 전송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언제 어디서나 요청자가 원하는 영상을 서비스해 줄 수 있다.
그리고, 요청자의 촬영 요청 조건에 부합되는 영상을 제공한 촬영자에게는 소정의 리워드를 제공함으로써, 촬영자에게 만족감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보다 신뢰성있는 영상을 제공할려는 의지를 높혀주게 된다.
특히, 요청자가 원하는 영상을 제공할 때 영상내의 브랜드에 대하여 요청자의 관심 카테고리에 연관된 광고를 함께 제공해줄 수 있으므로, 광고 시청율을 높일 수 있고, 새로운 타겟 마겟팅을 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서비스 기반의 광고 제공 장치가 적용되는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요청자 단말의 내부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촬영자 단말의 내부 구성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운영자 서버의 내부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채용되는 위치기반 영상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6은 도 5의 주요 단계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을 나타낸 플로우차트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서비스 기반의 광고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서비스 기반의 광고 제공 장치가 적용되는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1의 시스템은, 요청자 단말(10), 촬영자 단말(20), 네트워크(30), 데이터베이스(40), 및 운영자 서버(50)를 포함할 수 있다.
요청자 단말(10)은 휴대용 단말기 또는 휴대용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휴대용 단말기는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휴대용 컴퓨터는 노트북,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요청자 단말(10)은 스마트폰, 스마트 노트, 태블릿 PC, 웨어러블(wearable) 컴퓨터 등의 각종 스마트 기기일 수도 있다.
요청자 단말(10)은 위치기반 영상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운영자 서버(50)에게 요청하여 다운로드받는다. 요청자 단말(10)은 위치기반 영상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위치기반 영상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요청자 단말(10)은 화면상에 표시된 지도에서 촬영대상에 대한 촬영 요청 조건(예컨대, 촬영대상의 위치, 영상 촬영시간, 촬영방향 등 포함)을 입력할 수 있다.
요청자 단말(10)은 촬영 요청 조건에 대하여 하나 이상의 촬영자 단말(20)에서 촬영된 영상을 수신하고, 수신된 하나 이상의 영상에서 가장 만족하는 영상을 선택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요청자 단말(10)은 해당 영상을 선택하였음을 의미하는 영상 선택 신호를 네트워크(30)를 통해 운영자 서버(50)에게로 전송하게 된다.
특히, 요청자 단말(10)은 브랜드별로 관심 카테고리를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사의 브랜드 B에 대해 관심 카테고리가 C임을 입력할 수 있다. 여기서, 관심 카테고리는 상품명(제품명)이 될 수 있다.
물론, 요청자 단말(10)은 브랜드 대신에 상품명을 직접 입력할 수 있는데, 이 경우 상품별로 시청하고 싶은 브랜드 광고에 대한 정보를 함께 입력할 수 있다. 여기서, 시청하고 싶은 브랜드 광고는 관심 카테고리가 될 수 있다.
촬영자 단말(20)은 촬영기능을 갖춘 휴대용 단말기 또는 휴대용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휴대용 단말기는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휴대용 컴퓨터는 노트북,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촬영자 단말(20)은 촬영기능을 갖춘 기기로서, 스마트폰, 스마트 노트, 태블릿 PC, 웨어러블(wearable) 컴퓨터 등의 각종 스마트 기기일 수도 있다.
촬영자 단말(20)은 위치기반 영상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운영자 서버(50)에게 요청하여 다운로드받는다. 촬영자 단말(20)은 위치기반 영상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통해서 촬영 영상을 업로드할 수 있다.
촬영자 단말(20)은 요청자 단말(10)에서의 촬영 요청 조건을 수신하여 그에 상응하는 영상(예컨대, 사진, 동영상 등)을 촬영하고, 촬영한 영상을 운영자 서버(50)에게로 업로드할 수 있다.
네트워크(30)는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 LAN), 광역 통신망(Wide Area Network;WAN) 또는 부가가치 통신망(Value Added Network; VAN) 등과 같은 유선 네트워크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30)는 이동 통신망(mobile radio communication network), 위성 통신망, 블루투스(Bluetooth),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무선 네트워크로 구현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 네트워크(30)는 유선 및 무선이 혼용된 네트워크일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40)는 하나 이상의 요청자 정보 및 촬영자 정보를 저장한다. 여기서, 요청자 정보는 성명, 주소, 전화번호, 이메일주소, ID, 비밀번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촬영자 정보는 성명, 주소, 전화번호, 이메일주소, ID, 비밀번호, 활동지역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요청자 및 촬영자는 넓은 의미에서 회원이 될 수 있다. 요청자는 항상 요청자만 되는 것이 아니라 필요에 따라서는 촬영자가 될 수도 있다. 즉, 상황에 따라 요청자도 동영상 촬영 등을 하여 업로드할 수 있으므로, 촬영자가 될 수도 있다. 촬영자는 항상 촬영자만 되는 것이 아니라 필요에 따라서는 요청자가 될 수도 있다. 즉, 상황에 따라 촬영자도 동영상 촬영 등을 요청할 수 있으므로, 요청자가 될 수도 있다.
또한, 데이터베이스(40)는 요청자별로의 촬영 요청 조건, 요청자별 촬영 요청 조건을 근거로 하는 한 명 이상의 촬영자의 촬영 영상, 한 명 이상의 촬영자의 촬영 영상중에서 선택된 촬영자의 촬영 영상 등을 저장할 수 있다.
한편, 데이터베이스(40)는 촬영자별로 수신한 촬영 요청 조건, 수신한 촬영 요청 조건을 근거로 촬영자가 촬영한 영상, 촬영자별 리워드(reward)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촬영자별로 수신한 촬영 요청 조건의 개수와 수신한 촬영 요청 조건을 근거로 촬영자가 촬영한 영상의 개수는 동일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촬영자 A가 수신한 촬영 요청 조건이 모두 5개라고 하더라도, 촬영자의 의사에 따라 하나 이상의 촬영 요청 조건에 대하여 반응(즉, 영상 촬영)하지 않을 수도 있기 때문이다.
이때, 데이터베이스(40)에 저장되는 영상은 해당 영상의 프레임별 분석 결과가 카테고리로 나누어져서 저장될 수 있다. 그에 따라, 데이터베이스(40)에는 시간대별로, 촬영 방향별로, 촬영한 위치에서 보이는 특정 랜드마크를 기준으로 정렬된 영상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특히, 데이터베이스(40)에는 브랜드별로 다양한 종류의 광고 정보가 미리 저장되어 있다. 예를 들어, A사의 브랜드 B에 대해 관심 카테고리별로 연관된 광고 정보 및/또는 광고 노출시간대, 광고 노출위치 등이 미리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즉, 브랜드별로 다양한 관심 카테고리의 광고 정보가 저장된 것을 브랜드 DB라고 할 수 있다. 그에 따라, 데이터베이스(40)는 브랜드 DB를 포함한다고 볼 수 있다.
또한, 데이터베이스(40)에는 상품별로 다양한 종류의 브랜드 광고 정보가 미리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A 상품에 대해 제공가능한 브랜드 광고가 하나 이상 연계되어 있을 수 있다.
운영자 서버(50)는 요청자 단말(10)로부터의 촬영 요청 조건(예컨대, 촬영대상의 위치, 영상 촬영시간, 촬영방향 등 포함)을 수신하고, 필요에 따라 영상 제공 과정에서의 과금을 실시할 수 있다.
운영자 서버(50)는 촬영 요청 조건을 근거로 해당 촬영대상을 촬영가능한 촬영자를 검색하고, 검색된 촬영자의 단말(20)에게로 영상 요청을 알린다. 예를 들어, 운영자 서버(50)는 요청자가 요청한 촬영대상의 위치의 소정 반경에 존재하는 다수의 사람들을 촬영자로 하되 이들 중에서 그 위치에 자주 방문하는 사람이나 그 위치에서 영상을 올린 히스토리가 있는 사람이라던지 아니면 그 위치에 대해 앱을 통해 자주 영상을 본다던지 하는 사람들로 우선순위를 지정하고 요청 알림을 보낼 수 있다. 한편, 운영자 서버(50)는 요청자가 요청한 촬영대상의 위치의 반경 안에 존재하는 다수의 사람들을 촬영자로 하되 이들 중에서 촬영대상의 위치를 기반으로 최소 반경부터 최대 반경까지 순차적으로 검색하여 요청을 보낼 수 있다.
운영자 서버(50)는 하나 이상의 촬영자 단말(20)로부터의 촬영 영상을 수신하고, 수신한 하나 이상의 촬영 영상이 촬영 요청 조건에 부합되는지를 확인하여 해당 촬영 요청 조건에 부합되는 영상만을 해당 요청자 단말(10)에게로 보낸다. 여기서, 수신한 촬영 영상이 촬영 요청 조건에 부합되는지를 확인하는 이유는 무분별하게 촬영된 영상이 요청자에게 제공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다시 말해서, 요청자는 촬영 요청 조건을 입력할 때 촬영 요청 조건에 상응하는 영상을 제공하는 자에게 소정의 금액을 지불하겠다는 영상 지불 금액을 제시할 수 있다. 물론, 영상 지불 금액을 제시하지 않을 수도 있다. 그에 따라, 한 명 이상의 촬영자는 촬영 요청 조건을 근거로 해당 촬영대상을 촬영하여 운영자 서버(50)를 통해 요청자에게 제공한다. 이때, 운영자 서버(50)는 해당 촬영 요청 조건을 충족시키지 못하는 영상을 필터링함으로써, 요청자에게 그나마 제대로 촬영된 영상들이 제공되게 한다. 이에 의해, 요청자는 선별된 영상들 중에서 희망하는 영상을 선택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촬영자는 제대로 촬영한 영상을 제공하여야 소정의 리워드(reward)를 제공받을 수 있음을 알게 된다.
그리고, 운영자 서버(50)는 요청자 단말(10)로부터의 영상 선택 신호에 근거하여 해당하는 촬영자 단말(20)에게로 소정의 리워드(reward)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운영자 서버(50)는 촬영 영상의 프레임별 분석을 통해 카테고리로 나누어 데이터베이스화할 수 있다. 이때, 운영자 서버(50)는 시간대별로, 촬영 방향별로, 촬영한 위치에서 보이는 특정 랜드마크를 기준으로 정렬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시간대별로, 촬영 방향별로, 촬영한 위치에서 보이는 특정 랜드마크를 기준으로 정렬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게 되면 나중에 해당 촬영대상 및/또는 그 주변환경에 대한 그동안의 변화과정을 손쉽게 알 수 있게 된다. 수신된 촬영 영상의 프레임별 분석은 촬영 요청 조건에 부합되는 것으로 확인된 영상에 대해 행해질 수 있다.
한편, 필요에 따라서 운영자 서버(50)는 촬영 요청 조건(위치, 영상 촬영시간, 촬영방향 등)을 충족시킬 수 없는 촬영자의 단말(20)에서는 촬영을 수행할 수 없도록 할 수 있다.
특히, 운영자 서버(50)는 요청자 단말(10)로부터 하나 이상의 브랜드 각각에 대한 관심 카테고리(예컨대, 상품명(제품명))를 수신하고, 요청자가 주문한 영상(즉, 한 명 이상의 촬영자가 촬영한 영상)의 프레임을 분석하여 브랜드 또는 상품명을 검색한다. 즉, 운영자 서버(50)는 영상 프레임내에 브랜드 또는 상품명이 있다면 해당 브랜드 또는 상품명을 검색할 것이다. 운영자 서버(50)는 검색된 브랜드 또는 상품명을 근거로 브랜드 DB를 구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촬영 요청 조건(예컨대, 촬영대상의 위치, 영상 촬영시간, 촬영방향 등 포함)에 근거하여 촬영된 영상의 프레임에서 소정의 브랜드 또는 상품명을 검색하게 되면 해당 브랜드 또는 상품명, 해당 브랜드 또는 상품명의 노출위치, 촬영시간, 촬영방향 등이 브랜드 DB에 저장될 것이다. 여기서, 해당 브랜드 또는 상품명의 노출위치는 해당 브랜드 또는 상품명의 표시가 보여지는 위치를 의미한다. 촬영시간은 해당 브랜드 또는 상품명을 촬영한 시간이 될 것이다. 촬영방향은 해당 브랜드 또는 상품명을 촬영한 방향이 될 것이다.
이러한 브랜드 또는 상품 정보(위치, 시간, 방향 등)를 통해 브랜드 또는 상품이 노출되는 실세계의 위치, 현재 시간 등을 파악할 수 있으므로, 운영자 서버(50)는 이를 근거로 해당 노출위치 및 노출시간대, 요청자의 관심 카테고리에 연관된 광고를 선별적으로 제공해 줄 수 있게 된다. 이는 새로운 타겟 마케팅 전략이라고 할 수 있다.
상술한 도 1에서는 요청자 단말(10) 및 촬영자 단말(20)을 각각 1개씩만 도시하였으나, 실제로는 각각 다수개가 존재하는 것으로 이해하면 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요청자 단말(10)의 내부 구성도이다.
요청자 단말(10)은 지도 표시부(11), 촬영 요청 조건 입력부(12), 영상 수신부(13), 영상 선택부(14), 전송부(15), 제어부(16), 및 관심 카테고리 입력부(17)를 포함할 수 있다.
지도 표시부(11)는 소정의 지도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지도 화면에는 지명, 도로명, 촬영대상이 될 수 있는 관광명소 또는 건물명 등이 표시될 수 있다. 위치기반 영상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활성화시키게 되면 지도 표시부(11)가 동작하여 소정의 지도 화면을 표시할 것이다.
촬영 요청 조건 입력부(12)는 촬영대상에 대한 촬영 요청 조건(예컨대, 촬영대상의 위치, 영상 촬영시간, 촬영방향 포함)을 입력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촬영 요청 조건 입력부(12)는 촬영 요청 조건을 문자, 숫자 등으로 입력할 수 있는 키보드를 포함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 요청자가 지도 표시부(11)의 지도 화면에서 해당 촬영대상을 터치함에 따라 자동으로 해당 촬영대상의 위치가 입력되는 것으로 하여도 된다.
영상 수신부(13)는 촬영 요청 조건에 따라 하나 이상의 촬영자 단말(20)에서 촬영된 영상을 수신한다. 여기서, 영상 수신부(13)에 수신되는 하나 이상의 촬영자 단말(20)로부터의 영상은 운영자 서버(50)에서 필터링된 영상이다. 그리고, 필터링이라 함은 촬영 요청 조건을 무시하고 임의로 촬영된 영상을 제거하는 것으로 이해하면 된다.
영상 수신부(13)는 수신된 하나 이상의 영상을 재생하여 디스플레이시킬 수 있다.
특히, 영상 수신부(13)는 수신된 영상에 포함된 브랜드에 대한 요청자의 관심 카테고리에 연관된 광고를 운영자 서버(50)로부터 제공받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만약, 수신된 영상에 브랜드 대신에 특정 상품이 포함되어 있다면 특정 상품에 연관된 광고를 운영자서버(50)로부터 제공받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영상 선택부(14)는 영상 수신부(13)에 수신된 하나 이상의 영상 중에서 가장 만족하는 영상을 선택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영상 선택부(14)는 영상 선택 신호를 출력한다. 여기서, 여러 개의 영상 중에서 가장 마음에 드는 영상을 선택하는 방식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지 않았지만, 동종업계에 종사하는 자라면 주지의 기술로 충분히 파악할 수 있으리라 본다. 예를 들어, 요청자가 수신된 각각의 영상을 재생시켜 보다가 영상 선택부(14)를 통해 가장 마음에 드는 영상을 선택하게 되면, 영상 선택부(14)는 해당 영상을 선택한 신호(즉, 영상 선택 신호)를 출력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운영자 서버(50)는 요청자 단말(10)에게 촬영 요청 조건에 부합하는 영상에 대하여 시간대별로, 촬영 방향별로, 촬영한 위치에서 보이는 특정 랜드마크를 기준으로 정렬한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영상 선택부(14)는 이를 바탕으로 타임라인 형태로 영상을 재생시켜 보다가 가장 마음에 드는 영상을 선택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는 영상을 재생할 수 있는 영상 재생부를 별도로 표시하지 않았지만, 영상 수신부(13) 또는 영상 선택부(14)가 영상 재생의 기능을 함께 포함하는 것으로 보면 될 것이다.
전송부(15)는 촬영 요청 조건 입력부(12)에서의 촬영 요청 조건 및 영상 선택부(14)에서의 영상 선택 신호를 네트워크(30)를 통해 운영자 서버(50)에게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전송부(15)는 관심 카테고리 입력부(17)로부터의 관심 카테고리를 네트워크(30)를 통해 운영자 서버(50)에게로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16)는 지도 표시부(11), 촬영 요청 조건 입력부(12), 영상 수신부(13), 영상 선택부(14), 전송부(15), 및 관심 카테고리 입력부(17)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관심 카테고리 입력부(17)는 브랜드 또는 상품별로 소정의 관심 카테고리를 입력할 수 있다. 여기서, 관심 카테고리는 요청자가 관심 카테고리 입력부(17)를 직접 조작함에 따라 입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심 카테고리 입력부(17)는 A사의 브랜드 B에 대해 관심 카테고리가 C임을 입력할 수 있다. 여기서, 관심 카테고리는 상품명(제품명) 또는 상품군이 될 수 있다. 이 경우, 브랜드는 관심 대상이 되고, 관심 카테고리는 관심 대상에 연관된 다양한 상품 또는 상품군중에서 특히 관심이 가는 상품 또는 상품군을 의미할 수 있다.
다른 예로는, 관심 카테고리 입력부(17)는 브랜드 대신에 상품명을 직접 입력하면서 해당 상품명에 대하여 시청하고 싶은 브랜드 광고에 대한 정보를 함께 입력할 수 있다. 이 경우는, 하나의 상품명(예를 들어, 라면)에 대하여 다수의 브랜드 광고가 존재하는 경우로서, 브랜드를 입력하는 대신 상품명 및 시청하고자 하는 브랜드 광고를 직접 입력하는 것이 훨씬 편리하기 때문이다. 이 경우, 상품명은 관심 대상이 되고, 시청하고 싶은 브랜드 광고는 관심 카테고리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품명 및 시청하고 싶은 브랜드 광고를 직접 입력하게 되면 해당 상품명에 대하여 다수의 회사의 브랜드 광고가 있더라도 요청자가 선택한 회사의 브랜드 광고를 제공해 줄 수 있게 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촬영자 단말(20)의 내부 구성도이다.
촬영자 단말(20)은 촬영 요청 조건 수신부(21), 촬영부(22), 영상 업로드부(23), 및 제어부(24)를 포함할 수 있다.
촬영 요청 조건 수신부(21)는 운영자 서버(50)를 매개로 하는 요청자 단말(10)로부터의 촬영 요청 조건을 수신하여 보여 줄 수 있다.
촬영부(22)는 촬영대상을 촬영할 수 있다. 여기서, 촬영부(22)는 위치기반 영상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이 활성화되어야 촬영할 수 있는 것으로 한다.
영상 업로드부(23)는 촬영부(22)에서 촬영한 영상(예컨대, 사진, 동영상 등)을 운영자 서버(50)에게로 업로드할 수 있다.
제어부(24)는 촬영 요청 조건 수신부(21), 촬영부(22), 및 영상 업로드부(23)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운영자 서버(50)의 내부 구성도이다.
운영자 서버(50)는 촬영 요청 조건 수신부(51), 과금부(52), 촬영자 검색부(53), 영상 요청 알림부(54), 영상 수신부(55), 영상 확인부(56), 영상 선택 신호 수신부(57), 리워드 제공부(58), 제어부(59), 관심 카테고리 수신부(61), 영상 프레임 분석부(62), 브랜드 검색부(63), 브랜드 DB 구축부(64), 브랜드 광고 검색부(65), 및 광고 전송부(66)를 포함할 수 있다.
촬영 요청 조건 수신부(51)는 네트워크(30)를 통해 입력되는 요청자 단말(10)로부터의 촬영 요청 조건(예컨대, 촬영대상의 위치, 영상 촬영시간, 촬영방향 등 포함)을 수신한다.
과금부(52)는 요청자 단말(10)에서 촬영 요청 조건에 대한 영상 지불 금액을 입금함에 따라 그에 따른 과금을 행한다. 예를 들어, 요청자가 해당 촬영 요청 조건에 대한 영상 지불 금액을 1달러로 하고 1달러의 영상 지불 금액을 입금하였다고 가정하면, 과금부(52)는 1달러를 그에 상응하는 값어치의 전자코인으로 환전하고 소정의 수수료를 차감한다. 여기서, 수수료를 차감하고 남은 전자코인은 리워드(reward)로서 해당 촬영자에게 제공될 것이다.
만약, 영상 지불 금액이 없는 경우에는 과금을 하지 않게 된다.
촬영자 검색부(53)는 촬영 요청 조건 수신부(51)에 수신된 촬영 요청 조건을 근거로 해당 촬영대상을 촬영가능할 것으로 판단되는 한 명 이상의 촬영자를 검색한다.
여기서, 촬영자 검색부(53)는 해당 촬영대상의 위치 및 촬영자의 현재 위치를 근거로 촬영자를 검색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촬영자 검색부(53)는 요청자가 요청한 촬영대상의 위치의 소정 반경에 존재하는 다수의 사람들을 촬영자로 하여 이들 중에서 그 위치에 자주 방문하는 사람이나 그 위치에서 영상을 올린 히스토리가 있는 사람이라던지 아니면 그 위치에 대해 앱을 통해 자주 영상을 본다던지 하는 사람들을 검색하되, 우선순위를 지정할 수 있다. 한편으로, 촬영자 검색부(53)는 요청자가 요청한 촬영대상의 위치의 반경 안에 존재하는 다수의 사람들을 촬영자로 하여 이들 중에서 촬영대상의 위치를 기반으로 최소 반경부터 최대 반경까지 순차적으로 검색할 수 있다.
상술한 예에서와 같이, 촬영자 검색부(53)는 촬영자의 현재 위치가 해당 촬영대상의 근방(예컨대, 소정 반경내)이면 해당 촬영자는 해당 촬영대상을 촬영가능할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의 해당 촬영대상의 위치 및 촬영자의 현재 위치를 근거로 촬영자를 검색하는 경우는 요청자의 촬영 요청 조건중의 영상 촬영 시간이 현재의 시간인 것으로 이해하면 된다.
또한, 촬영자 검색부(53)는 해당 촬영대상의 위치 및 촬영자의 활동지역을 근거로 촬영자를 검색할 수 있다. 촬영자의 활동지역은 촬영자가 주로 많이 활동하는 지역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지역명, 해당 활동지역에서의 활동시간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촬영자 검색부(53)는 촬영자의 활동지역이 해당 촬영대상의 근방(예컨대, 소정 반경내) 및 영상 촬영시간과 겹쳐지게 되면 해당 촬영자는 해당 촬영대상을 촬영가능할 것으로 판단한다. 상기의 해당 촬영대상의 위치 및 촬영자의 활동지역을 근거로 촬영자를 검색하는 경우는 요청자의 촬영 요청 조건중의 영상 촬영 시간이 미래의 시간인 것으로 이해하면 된다.
한편, 촬영자 검색부(53)는 GPS 또는 DGPS(Differential Global Positioning System)를 이용하여 촬영자의 위치를 측위할 수 있다.
영상 요청 알림부(54)는 촬영자 검색부(53)에서 검색된 한 명 이상의 촬영자의 단말(20)에게로 영상 요청을 알린다. 여기서, 영상 요청을 알리는 경우 해당 촬영 요청 조건을 함께 전송한다.
영상 수신부(55)는 하나 이상의 촬영자 단말(20)로부터의 영상을 수신한다. 영상 수신부(55)에 수신된 영상은 데이터베이스(40)에 저장될 수 있다.
영상 확인부(56)는 촬영 요청 조건 수신부(51)에 수신된 촬영 요청 조건을 근거로 현재 수신된 하나 이상의 촬영 영상의 적합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수신한 촬영 영상이 촬영 요청 조건에 부합되는지를 확인하는 이유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무분별하게 촬영된 영상이 요청자에게 제공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예를 들어, 촬영 요청 조건의 위치에 존재하는 촬영자로부터의 영상이라고 하더라도 시간 또는 방향을 무시하고 대충 찍어서 보낸 영상일 수도 있으므로, 이러한 영상은 필터링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영상 확인부(56)는 해당 촬영 요청 조건(위치, 영상 촬영시간, 촬영방향 등)에 부합되는 영상만을 해당 요청자 단말(10)에게로 보낸다.
한편, 영상 확인부(56)는 촬영 요청 조건에 부합되는 영상을 프레임별 분석을 통해 카테고리별로 나누어 DB화할 수 있다. 즉, 영상 확인부(56)에 의해 확인된 영상은 시간대별로, 촬영 방향별로, 촬영한 위치에서 보이는 특정 랜드마크를 기준으로 정렬되어 데이터베이스화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영상 확인부(56)는 촬영 요청 조건에 부합되는 영상을 시간대별로, 촬영 방향별로, 촬영한 위치에서 보이는 특정 랜드마크를 기준으로 분리하여 데이터베이스(40)에 저장시킬 수 있다.
영상 선택 신호 수신부(57)는 요청자 단말(10)로부터의 영상 선택 신호를 수신한다. 여기서, 영상 선택 신호는 촬영 요청 조건에 대하여 촬영된 하나 이상의 영상 중에서 가장 만족하는 영상을 선택함에 따른 신호이다.
리워드 제공부(58)는 요청자 단말(10)로부터의 영상 선택 신호에 근거하여 해당하는 촬영자 단말(20)에게로 소정의 리워드(reward)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리워드 제공부(58)는 하나의 촬영 요청 조건에 대해 하나의 촬영자 단말(20)에게만 리워드를 제공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하나의 촬영 요청 조건에 대해 다수의 촬영자로부터의 영상이 존재하더라도 요청자가 선택한 영상의 촬영자에게만 소정의 리워드를 제공할 수 있다.
이와 다르게는, 하나의 촬영 요청 조건에 대해 다수의 촬영자에게 리워드를 제공할 수 있다. 하나의 촬영 요청 조건에 대해 3명의 촬영자(A, B, C)가 정상적으로 영상 촬영하여 업로드하고 업로드된 3명의 촬영자의 영상이 요청자에게 제공되었다고 가정하였을 경우, 요청자가 3개의 영상중에서 촬영자(A)의 영상을 선택하게 되면 리워드 제공부(58)는 촬영자 A에게는 제공해야 할 리워드의 지분을 60%로 하고, 나머지 촬영자(B, C)에게는 각각 20%의 지분으로 하여 리워드를 제공할 수 있다.
만약, 요청자가 영상 지불 금액을 제시하지 않은 경우에는 리워드 제공부(58)는 수수료를 차감하고 남은 전자코인을 리워드로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그와 다른 별도의 포인트를 리워드로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59)는 촬영 요청 조건 수신부(51), 과금부(52), 촬영자 검색부(53), 영상 요청 알림부(54), 영상 수신부(55), 영상 확인부(56), 영상 선택 신호 수신부(57), 리워드 제공부(58), 관심 카테고리 수신부(61), 영상 프레임 분석부(62), 브랜드 검색부(63), 브랜드 DB 구축부(64), 브랜드 광고 검색부(65), 및 광고 전송부(66)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59)는 촬영 요청 조건(위치, 영상 촬영시간, 촬영방향 등)을 충족시킬 수 없는 촬영자의 단말(20)에서는 촬영을 수행할 수 없도록 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촬영 요청 조건의 위치, 영상 촬영시간, 촬영방향을 모두 충족시킬 수 없는 촬영자는 영상 촬영을 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촬영자가 주로 활동하는 지역명 및 활동시간대가 촬영 요청 조건의 위치, 영상 촬영시간, 촬영방향을 모두 충족시킬 수 없다면 해당 촬영자는 영상 촬영을 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에는 제어부(59)는 해당 촬영자의 단말(20)내의 위치기반 영상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이 비활성화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위치기반 영상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이 비활성화된 촬영자의 단말(20)은 촬영을 할 수 없게 된다.
관심 카테고리 수신부(61)는 네트워크(30)를 통한 요청자 단말(10)로부터의 관심 카테고리를 수신한다.
영상 프레임 분석부(62)는 영상 수신부(55)에 수신된 하나 이상의 촬영자 단말(20)로부터의 영상의 프레임을 분석한다. 여기서, 영상 프레임 분석부(62)는 영상 프레임별로 촬영대상 영역, 배경 영역을 서로 분리해 낼 수 있다. 촬영대상 영역은 촬영대상이 존재하는 영역이고, 배경 영역은 촬영 대상이 존재하는 영역을 제외한 영역을 의미한다.
브랜드 검색부(63)는 영상 프레임 분석부(62)의 분석 결과를 근거로 브랜드를 검색한다. 예를 들어, 브랜드 검색부(63)는 촬영대상 영역에서 관심 대상(예컨대, 브랜드)가 포함된 영역을 분리해 낸 후에 해당 영역의 브랜드가 무엇인지를 파악한다. 또한, 브랜드 검색부(63)는 배경 영역에서 브랜드가 포함된 영역을 분리해 낸 후에 해당 영역의 브랜드가 무엇인지를 파악한다. 여기서, 촬영대상 영역 및 배경 영역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브랜드가 있다면 해당 브랜드는 브랜드 검색부(63)에 의해 파악될 것이다. 만약, 촬영대상 영역 및 배경 영역에 모두 브랜드가 없다면 브랜드 검색부(63)는 아무런 브랜드를 파악할 수 없을 것이다.
한편, 브랜드 검색부(63)는 영상 프레임 분석부(62)의 분석 결과를 근거로 상품명을 검색한다. 예를 들어, 브랜드 검색부(63)는 촬영대상 영역에서 관심 대상(예컨대, 상품명)이 포함된 영역을 분리해 낸 후에 해당 영역의 상품명이 무엇인지를 파악한다. 또한, 브랜드 검색부(63)는 배경 영역에서 상품명이 포함된 영역을 분리해 낸 후에 해당 영역의 상품명이 무엇인지를 파악한다. 여기서, 촬영대상 영역 및 배경 영역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상품명이 있다면 해당 상품명은 브랜드 검색부(63)에 의해 파악될 것이다. 만약, 촬영대상 영역 및 배경 영역에 모두 상품명이 없다면 브랜드 검색부(63)는 아무런 상품 또는 상품명을 파악할 수 없을 것이다.
이와 같이, 브랜드 검색부(63)는 영상 프레임 분석부(62)의 분석 결과를 근거로 브랜드 및 상품명 중에서 하나 이상을 검색할 수 있다. 그에 따라, 브랜드 검색부(63)는 관심 대상 검색부라고 할 수 있다.
도 4에서는 영상 프레임 분석부(62)와 브랜드 검색부(63)를 별개로 구성시켰으나, 영상 프레임 분석부(62)가 브랜드 검색부(63)에 포함된 것으로 보아도 무방하다.
브랜드 DB 구축부(64)는 브랜드 검색부(63)에서 검색된 관심 대상(브랜드, 상품, 상품명)을 근거로 브랜드 DB를 구축한다. 예를 들어, 브랜드 검색부(63)가 촬영 요청 조건(예컨대, 촬영대상의 위치, 영상 촬영시간, 촬영방향 등 포함)에 근거하여 촬영된 영상에서 소정의 브랜드, 상품, 상품명을 검색하게 되면, 브랜드 DB 구축부(64)는 해당 관심 대상의 명칭(브랜드명 또는 상품명), 해당 관심 대상에 연관된 하나 이상의 광고, 해당 관심 대상의 노출위치, 촬영시간, 촬영방향 등을 브랜드 DB에 저장할 것이다.
브랜드 광고 검색부(65)는 브랜드 검색부(63)에서 검색된 브랜드 또는 상품명에 대한 광고를 데이터베이스(40)의 브랜드 DB에서 검색하되, 요청자의 관심 카테고리에 따라 상응하는 광고를 검색한다. 예를 들어, 브랜드 검색부(63)에서 A사의 브랜드 B를 검색한 경우에는 브랜드 광고 검색부(65)는 해당 A사의 브랜드 B에 대한 요청자의 관심 카테고리(예컨대, 상품)에 연관된 광고를 검색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브랜드 검색부(63)에서 브랜드는 검색하지 못하고 상품 A를 검색한 경우라면 브랜드 광고 검색부(65)는 해당 상품 A에 대한 요청자의 관심 카테고리(즉, 시청하고 싶은 브랜드 광고)에 상응하는 브랜드 광고를 검색할 수 있다. 그에 따라, 브랜드 광고 검색부(65)는 관심 대상의 광고 검색부라고 할 수 있다.
광고 전송부(66)는 브랜드 광고 검색부(65)에서 검색된 광고를 해당 요청자 단말(10)에게로 전송한다.
상술한 운영자 서버(50)는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영상 서비스 기반의 광고 제공 장치의 일 예가 될 수 있다.
이하부터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서비스 기반의 광고 제공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위치기반 영상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 도 5의 플로우차트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왜냐하면, 영상 서비스를 기반으로 광고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위치기반의 영상을 서비스하는 과정을 수행해야 되기 때문이다.
요청자는 자신의 단말(10)을 조작하여 촬영 요청 조건을 입력한다.
즉, 요청자는 자신의 단말(10)을 조작하여 촬영대상의 위치를 선정한다(S10). 이 경우, 요청자가 자신의 단말(10)상의 지도 화면상에서 촬영대상을 손가락 등으로 터치하면 해당 촬영대상의 위치가 자동으로 입력될 수 있다. 이와 다르게는, 요청자가 지도 화면상에서 촬영대상의 위치를 확인한 후에 문자, 숫자 등으로 직접 입력할 수도 있다.
그리고 나서, 요청자는 해당 촬영대상에 대한 영상 촬영 시간 및 촬영방향 등을 설정한다(S20). 이 경우, 요청자는 문자, 숫자 등을 포함하는 텍스트 입력을 통해 영상 촬영 시간 및 촬영방향 등을 설정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는, 상술한 촬영 요청 조건의 입력을 음성으로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요청자 단말(10)에는 음성 인식 수단이 포함되어 있어야 할 것이다.
한편, 상술한 요청자 단말(10)로부터의 촬영 요청 조건은 네트워크(30)를 통해 운영자 서버(50)에게로 전송된다.
이후, 요청자는 소정의 영상 지불 금액을 입금한다(S30). 여기서, 영상 지불 금액은 촬영 요청 조건의 반대급부가 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촬영 요청 조건에 부합되는 영상을 제공하는 자에게 소정의 리워드를 지불할 수 있는데, 이때의 소정의 리워드는 영상 지불 금액에 준하는 전자코인이 될 수 있다.
운영자 서버(50)는 해당 영상 지불 금액을 과금처리한다(S40). 이때, 요청자가 해당 촬영 요청 조건에 대한 영상 지불 금액을 1달러로 하고 1달러의 영상 지불 금액을 입금하였다고 가정하면, 운영자 서버(50)는 1달러를 그에 상응하는 값어치의 전자코인으로 환전하고 수수료를 차감한다. 수수료를 차감하고 남은 전자코인은 촬영자에게 제공되는 리워드(reward)로 사용될 것이다.
만약, 요청자가 영상 지불 금액을 제시하지 않은 경우에는 상술한 단계 S30 및 S40은 필요없게 된다.
운영자 서버(50)는 수신한 촬영 요청 조건을 하나 이상의 촬영자 단말(20)에게로 보낸다. 즉, 운영자 서버(50)는 촬영자의 활동지역 및/또는 현재 위치를 근거로 촬영대상을 촬영할 수 있는 한 명 이상의 촬영자를 검색하고, 검색한 촬영자에게 촬영 요청 조건을 보낸다(S50). 만약, 촬영 요청 조건에 대한 리워드(reward)가 있다면 운영자 서버(50)는 그 사실을 촬영자에게 알린다. 촬영자를 검색함에 있어서, 운영자 서버(50)는 요청자가 요청한 촬영대상의 위치의 소정 반경에 존재하는 다수의 사람들 중에서 그 위치에 자주 방문하는 사람이나 그 위치에서 영상을 올린 히스토리가 있는 사람이라던지 아니면 그 위치에 대해 앱을 통해 자주 영상을 본다던지 하는 사람들을 검색하되, 우선순위를 지정할 수 있다. 한편으로, 운영자 서버(50)는 요청자가 요청한 촬영대상의 위치의 반경 안에 존재하는 다수의 사람들 중에서 촬영대상의 위치를 기반으로 최소 반경부터 최대 반경까지 순차적으로 검색할 수 있다. 또한, 운영자 서버(50)는 해당 촬영대상의 위치 및 촬영자의 활동지역을 근거로 촬영자를 검색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촬영자는 촬영 요청 조건에 근거하여 해당 촬영대상을 촬영한다(S60). 여기서, 촬영 요청 조건을 수신한 촬영자는 무조건 촬영해야 되는 것은 아니라, 촬영을 원하는 경우에만 촬영하면 된다.
해당 촬영대상을 촬영한 촬영자는 촬영 영상을 운영자 서버(50)에게로 업로드한다(S70).
이후, 운영자 서버(50)는 수신한 하나 이상의 촬영 영상이 촬영 요청 조건에 부합되는지를 확인하여 해당 촬영 요청 조건에 부합되는 영상(하나 이상이 될 수 있음)만을 해당 요청자 단말(10)에게로 보낸다(S80). 한편, 도 5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운영자 서버(50)는 촬영 요청 조건에 부합되는 영상을 프레임별 분석을 통해 카테고리별로 나누어 DB화할 수 있다. 즉, 운영자 서버(50)는 촬영 요청 조건에 부합되는 영상을 시간대별로, 촬영 방향별로, 촬영한 위치에서 보이는 특정 랜드마크를 기준으로 분리하여 데이터베이스(40)에 저장시킬 수 있다.
그리고, 요청자는 수신한 하나 이상의 촬영 영상 중에서 가장 만족하는 영상을 선택한다. 예를 들어, 촬영 요청 조건에 부합되게 촬영된 영상이 모두 3개라고 가정하면, 해당 촬영대상을 촬영한 촬영자들의 위치가 서로 약간씩 다를 수 있고, 촬영대상과의 거리 및 촬영방향에서도 서로 약간씩 다를 수 있다. 그에 따라, 촬영 요청 조건에 부합되게 촬영되었다고 하더라도 서로 약간의 차이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요청자는 수신한 하나 이상의 촬영 영상 중에서 가장 만족하는 영상을 선택하게 되는 것이다. 다시 말해서, 운영자 서버(50)는 요청자 단말(10)에게 촬영 요청 조건에 부합하는 영상에 대하여 시간대별로, 촬영 방향별로, 촬영한 위치에서 보이는 특정 랜드마크를 기준으로 정렬한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요청자 단말(10)에서는 시간대별로, 촬영 방향별로, 촬영한 위치에서 보이는 특정 랜드마크를 기준으로 정렬된 영상을 타임라인 형태로 재생시키고, 요청자는 이를 보다가 가장 마음에 드는 영상을 선택한다.
그에 따라, 그에 상응하는 영상 선택 신호가 운영자 서버(50)에게로 전송된다. 운영자 서버(50)는 요청자 단말(10)로부터의 영상 선택 신호에 근거하여 해당하는 영상을 제공한 촬영자 단말(20)에게로 소정의 리워드를 지급한다(S90). 여기서, 리워드를 지급하는 방식은 하나의 촬영 요청 조건에 대해 다수의 촬영자로부터의 영상이 존재하더라도 요청자가 선택한 영상의 촬영자에게만 소정의 리워드를 제공하는 방식이 있을 수 있다. 이와 다르게는, 하나의 촬영 요청 조건에 대해 다수의 촬영자에게 리워드를 분할하여 제공하는 방식이 있을 수 있다.
한편, 필요에 따라, 운영자 서버(50)는 위치기반 영상 제공 서비스를 진행하는 중에, 촬영 요청 조건의 위치, 영상 촬영시간, 촬영방향을 모두 충족시킬 수 없는 촬영자는 영상 촬영을 못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촬영자가 주로 활동하는 지역명 및 활동시간대가 촬영 요청 조건의 위치, 영상 촬영시간, 촬영방향을 모두 충족시킬 수 없다면 해당 촬영자는 영상 촬영을 못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운영자 서버(50)는 이러한 촬영자들에 대해서는 해당 촬영자의 단말(20)내의 위치기반 영상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이 비활성화되도록 제어함으로써, 해당 촬영자의 단말(20)은 촬영을 할 수 없게 된다. 상술한 촬영자 단말(20)에서의 촬영을 금지시키는 단계는 촬영 요청 조건을 수신하는 단계(S10, S20)와 촬영 요청 조건을 촬영자에게 전송하는 단계(S50) 사이에 있을 수 있다.
도 6은 도 5의 주요 단계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을 나타낸 플로우차트로서, 도 5에서의 단계 S50 ~ S70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촬영 요청 조건을 촬영자에게 알리기 전에, 우선적으로 촬영자에 대한 정보를 알아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촬영자의 활동지역 설정(즉, 등록)이 선행되어야 한다(S100). 즉, 촬영자는 자신이 주로 활동하는 지역에 대한 정보(예를 들어, 지역명, 해당 활동지역에서의 활동시간대 등)를 운영자 서버(50)에 등록한다. 예를 들어, 촬영자 A의 활동지역명이 B이고 활동시간대가 오후 7시 ~ 10시이고, 요청자의 촬영 요청 조건의 촬영대상의 위치가 B에 속하고 영상 촬영시간이 오후 8시라면, 해당 촬영자 A는 해당 촬영대상을 촬영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
이와 같이 입력된 촬영자의 활동지역 정보는 네트워크(30)를 통해 운영자 서버(50)에게로 전송되고, 운영자 서버(50)는 수신한 촬영자의 활동지역 정보를 데이터베이스(40)에 저장해 둔다.
이후, 운영자 서버(50)는 촬영 요청 조건에 부합되는 활동지역을 갖는 촬영자 및/또는 현재 촬영자의 위치가 촬영대상의 소정 반경내에 있는 촬영자를 검색한다(S102).
예를 들어, 현재 시각이 오전 10시인데 요청자가 오후 7시에 잠실대교를 남단에서 북단 방향으로 촬영한 영상을 요청하였다면, 운영자 서버(50)는 오후 7시쯤에 잠실대교 근처를 활동지역으로 하는 촬영자들을 데이터베이스(40)에서 검색할 것이다.
한편, 요청자가 지금 바로 잠실대교를 남단에서 북단 방향으로 촬영한 영상을 요청하였다면, 운영자 서버(50)는 현재 잠실대교의 남단에서 소정 반경내에 있는 촬영자를 검색할 것이다. 이 경우, 운영자 서버(50)는 요청자가 요청한 촬영대상의 위치의 소정 반경에 존재하는 다수의 사람들을 촬영자로 하여 이들 중에서 그 위치에 자주 방문하는 사람이나 그 위치에서 영상을 올린 히스토리가 있는 사람이라던지 아니면 그 위치에 대해 앱을 통해 자주 영상을 본다던지 하는 사람들로 우선순위를 지정할 수 있다. 한편으로, 운영자 서버(50)는 요청자가 요청한 촬영대상의 위치의 반경 안에 존재하는 다수의 사람들 중에서 촬영대상의 위치를 기반으로 최소 반경부터 최대 반경까지 순차적으로 검색할 수 있다.
운영자 서버(50)는 검색된 촬영자에게 촬영대상에 대한 촬영 요청 조건을 전달한다(S104).
그에 따라, 해당 촬영 요청 조건을 확인한 한 명 이상의 촬영자는 촬영 요청 조건에 맞추어 영상 촬영을 한다(S106).
그리고 나서, 해당 촬영자는 촬영한 영상을 운영자 서버(50)에게로 업로드한다(S108).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서비스 기반의 광고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먼저, 요청자로부터 관심대상 및 관심 카테고리를 입력받는다. 즉, 운영자 서버(50)는 위치 기반의 영상을 요청한 요청자의 단말(10)로부터 관심대상별 관심 카테고리를 수신한다(S120). 예를 들어, 요청자 단말(10)은 A사의 브랜드 B에 대해 관심 카테고리가 C임을 입력할 수 있다. 여기서, 관심 카테고리는 상품명(제품명)이 될 수 있다. 한편으로, 요청자 단말(10)은 브랜드 대신에 상품명을 직접 입력할 수 있는데, 이 경우 상품별로 시청하고 싶은 브랜드 광고에 대한 정보를 함께 입력할 수 있다. 여기서, 시청하고 싶은 브랜드 광고는 관심 카테고리가 될 수 있다.
이후, 운영자 서버(50)는 요청자의 촬영 요청 조건에 따라 촬영자가 촬영한 영상을 수신하여 해당 영상을 확인하기 시작한다(S122).
즉, 운영자 서버(50)는 영상 수신부(55)에 수신된 하나 이상의 촬영자 단말(20)로부터의 영상의 프레임을 분석한다. 이때, 운영자 서버(50)는 영상 프레임별로 촬영대상 영역, 배경 영역을 서로 분리해 낼 수 있다. 그리고, 운영자 서버(50)는 분석 결과를 근거로 관심 대상을 검색한다. 예를 들어, 운영자 서버(50)는 촬영대상 영역에서 브랜드 또는 상품명(또는 상품)이 포함된 영역을 분리해 내면 해당 영역내의 브랜드 또는 상품명이 무엇인지를 파악(인식)한다. 또한, 운영자 서버(50)는 배경 영역에서 브랜드 또는 상품명이 포함된 영역을 분리해 내면 해당 영역내의 브랜드 또는 상품명이 무엇인지를 파악(인식)한다. 여기서, 브랜드 또는 상품명을 파악(즉, 인식)해 내는 방식은 당업자라면 주지의 기술로 충분히 알 수 있으리라 본다.
상술한 영상 프레임 분석은 여러 개의 영상에 대해 프레임 분석을 행할 수도 있고, 요청자가 선택한 하나의 영상에 대해서만 프레임 분석을 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요청자의 촬영 요청 조건에 따라 3명의 촬영자가 제각각 영상을 업로드하였다고 가정하면, 3명의 촬영자로부터의 영상에 대한 프레임 분석을 각각 행할 수도 있다. 한편으로는, 3명의 촬영자로부터의 영상중에서 요청자가 선택한 하나의 영상에 대해서만 프레임 분석을 행할 수도 있다. 다시 말해서, 상술한 영상 프레임 분석은 운영자 서버(50)내의 영상 프레임 분석부(62)에서 행해진다. 상기에서 영상 프레임 분석부(62)는 브랜드 검색부(63)에 포함되는 것으로 하여도 무방하다고 하였으므로, 브랜드 검색부(63)가 영상 프레임 분석을 한다고 보아도 된다.
이와 같이 운영자 서버(50)가 각각의 영상 프레임에서 브랜드 또는 상품명을 검색해 내면(S124에서 "Yes") 해당 요청자의 관심 카테고리를 확인(S126)한 후에 검색된 브랜드 또는 상품명에 대하여 요청자의 관심 카테고리에 연관된 광고를 데이터베이스(40)의 브랜드 DB에서 검색한다(S128). 여기서, 관심 카테고리 확인은 상술한 단계 S120에서 수신한 관심 카테고리를 통해 쉽게 확인할 수 있다.
광고가 검색됨에 따라, 운영자 서버(50)는 검색된 광고를 해당 요청자 단말(10)에게로 전송한다(S130). 그에 따라, 요청자는 자신의 단말(10)을 통해 광고를 볼 수 있다. 예를 들어, 요청자는 자신이 요청한 영상을 단말(10)을 통해 보게 되는데, 이때 해당 영상 하단에 광고가 노출되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영상 하단에 노출되는 광고는 영상내의 브랜드 또는 상품에 대한 요청자의 관심 카테고리에 연관된 것이므로, 광고 시청율이 높게 될 것이다. 이로 인해, 새로운 타겟 마겟팅을 행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의 영상 서비스 기반의 광고 제공 방법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의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 요청자 단말 11 : 지도 표시부
12 : 촬영 요청 조건 입력부 13, 55 : 영상 수신부
14 : 영상 선택부 15 : 전송부
16, 24, 59 : 제어부 17 : 관심 카테고리 입력부
20 : 촬영자 단말 21 : 촬영 요청 조건 수신부
22 : 촬영부 23 : 영상 업로드부
30 : 네트워크 40 : 데이터베이스
50 : 운영자 서버 51 : 촬영 요청 조건 수신부
52 : 과금부 53 : 촬영자 검색부
54 : 영상 요청 알림부 56 : 영상 확인부
57 : 영상 선택 신호 수신부 58 : 리워드 제공부
61 : 관심 카테고리 수신부 62 : 영상 프레임 분석부
63 : 브랜드 검색부 64 : 브랜드 DB 구축부
65 : 브랜드 광고 검색부 66 : 광고 전송부

Claims (1)

  1. 운영자 서버가 영상 서비스 기반의 광고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요청자 단말로부터 관심 대상 및 상기 관심 대상에 대한 관심 카테고리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요청자 단말로부터의 촬영대상의 위치, 영상 촬영시간, 촬영방향을 포함하는 촬영 요청 조건에 따라 촬영된 영상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영상에서 상기 관심 대상을 검색하는 단계;
    상기 검색된 관심 대상에 대하여 상기 관심 카테고리에 연관된 광고를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광고가 검색됨에 따라 해당 광고를 상기 요청자 단말에게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서비스 기반의 광고 제공 방법.
KR1020170179283A 2017-12-26 2017-12-26 영상 서비스 기반의 광고 제공 방법 KR2019008808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9283A KR20190088088A (ko) 2017-12-26 2017-12-26 영상 서비스 기반의 광고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9283A KR20190088088A (ko) 2017-12-26 2017-12-26 영상 서비스 기반의 광고 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8088A true KR20190088088A (ko) 2019-07-26

Family

ID=674698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9283A KR20190088088A (ko) 2017-12-26 2017-12-26 영상 서비스 기반의 광고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88088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2550B1 (ko) 2011-05-30 2013-03-20 (주)포스트미디어 동영상 파노라마 기반의 스토리텔링형 지역 정보 제공방법 및 시스템
KR101607617B1 (ko) 2015-01-14 2016-03-30 주식회사 펫츠뷰 관광지 홍보용 실시간 영상 제공 시스템
KR101752691B1 (ko) 2011-12-14 2017-07-0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시점 선택이 가능한 3차원 가상 콘텐츠 동영상을 제공하는 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2550B1 (ko) 2011-05-30 2013-03-20 (주)포스트미디어 동영상 파노라마 기반의 스토리텔링형 지역 정보 제공방법 및 시스템
KR101752691B1 (ko) 2011-12-14 2017-07-0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시점 선택이 가능한 3차원 가상 콘텐츠 동영상을 제공하는 장치 및 그 방법
KR101607617B1 (ko) 2015-01-14 2016-03-30 주식회사 펫츠뷰 관광지 홍보용 실시간 영상 제공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9194B1 (ko) 위치기반 영상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US7474959B2 (en) Method for providing recommendations using image, location data, and annotations
JP4297193B2 (ja) デジタルデータの仲介方法、デジタルデータの仲介システムおよびデジタルデータの仲介サービス用プログラム
US8793770B2 (en) Method for authorizing use of augmented reality (AR) information and apparatus
JP4680179B2 (ja) マルチメディアデータを共有する方法
KR101952623B1 (ko) 개인정보 보호처리된 영상 서비스 방법 및 장치
JP2002245077A (ja) 情報配信サービスシステムおよび移動体データ送受信装置
WO2022225230A1 (ko) 위치 기반 불특정 다수의 사용자와 실시간 영상 공유가 가능한 수요자 중심의 실시간 영상 공유 플랫폼 제공 시스템
JPWO2012127799A1 (ja) 通信サーバ、通信方法、記録媒体、および、集積回路
US6832101B1 (en) Image registration server and an image mediation distributing system
KR20150064485A (ko) Poi 연관 동영상 제공 방법, poi 연관 동영상 재생 방법, 컴퓨팅 장치 및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JP2003242152A (ja) 地図情報システム、情報処理機器、地図情報提供サーバ、地図情報提供プログラム、情報処理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2020184165A (ja) 撮像データ提供システム
JP3971768B2 (ja) 情報提供者と情報利用者とを連携させるサーバ
KR20190088088A (ko) 영상 서비스 기반의 광고 제공 방법
KR102118441B1 (ko) 자연공원 관광서비스 관리서버
JP2005117566A (ja) 画像提供サービスシステム
JP2003029625A (ja) 地図作成方法
KR102499133B1 (ko) 공급자 참여형 실시간 영상 공유가 가능한 수요자 중심의 실시간 영상 공유 플랫폼 제공 시스템
JP2022026967A (ja) 投稿権限付与装置、投稿権限付与方法、投稿権限付与プログラム
KR101635169B1 (ko) 모바일 단말 상에서 위치 정보를 활용한 콘텐츠 제공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2378073B1 (ko) 불특정 다수와 연결 가능한 수요자 중심의 실시간 영상 공유 플랫폼 제공 시스템
KR102499134B1 (ko) 영상 요청자 위치 식별 기능을 포함하는 불특정 다수간의 실시간 영상 공유 플랫폼 제공 시스템
KR101541179B1 (ko) 목표지 설정을 통한, 단말기 상호간의 지역 정보 공유 시스템
JP6809558B2 (ja) サーバ及び課金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