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9133B1 - 공급자 참여형 실시간 영상 공유가 가능한 수요자 중심의 실시간 영상 공유 플랫폼 제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공급자 참여형 실시간 영상 공유가 가능한 수요자 중심의 실시간 영상 공유 플랫폼 제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9133B1
KR102499133B1 KR1020210191966A KR20210191966A KR102499133B1 KR 102499133 B1 KR102499133 B1 KR 102499133B1 KR 1020210191966 A KR1020210191966 A KR 1020210191966A KR 20210191966 A KR20210191966 A KR 20210191966A KR 102499133 B1 KR102499133 B1 KR 1024991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al
time video
user terminal
location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919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명철
Original Assignee
강명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명철 filed Critical 강명철
Priority to KR10202101919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913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91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91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58Client or end-user data management, e.g. managing client capabilities, user preferences or demographics, processing of multiple end-users preferences to derive collaborative data
    • H04N21/25808Management of client data
    • H04N21/25841Management of client data involving the geographical location of the cli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7Server based end-user applications
    • H04N21/274Storing end-user multimedia data in response to end-user request, e.g. network recorder
    • H04N21/2743Video hosting of uploaded data from cli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 H04N21/4784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receiving rewar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2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advertisement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5Assembly of content; Generation of multimedia applications
    • H04N21/858Linking data to content, e.g. by linking an URL to a video object, by creating a hotspot
    • H04N21/8586Linking data to content, e.g. by linking an URL to a video object, by creating a hotspot by using a UR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특정(선택한) 지역, 위치 혹은 특정(궁금하거나 알고 싶어 선택한) 활동(예를 들어, 주행, 이동, 항해, 비행 등)에 대한 실시간 영상이 요청되는 경우, 해당 지역, 위치 혹은 활동에 대하여 불특정 다수의 타 사용자 단말(본 발명 플랫폼 어플을 다운받아 사용하는 불특정 다수 중 선택한 위치에 가 있는 불특정 누구나)들을 통해 실시간으로 촬영 및 업로드 된 실시간 영상이 제공되도록 함으로써, 각 지역 별 실시간 현장 상황을 가공되지 않은 생생한 실시간 영상을 통해 타 사용자들과 즉시 공유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사용자가 해당 위치에 대한 정보를 정확히 인지하지 못하더라도 사용자 단말을 통해 입력되는 해당 위치에 대한 개략적인 정보 또는 캡쳐 이미지를 토대로 불특정 다수의 타 사용자 단말들로부터 실시간 영상 샘플을 획득한 후 이를 토대로 사용자가 원하는 지역, 위치, 장소가 파악될 수 있도록 하는 공급자 참여형 실시간 영상 공유가 가능한 수요자 중심의 실시간 영상 공유 플랫폼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은 '보고싶은 영상을 실시간으로 알고 싶어 영상 공유를 요청하는 사람(수요자 또는 요청자)'과 '주소록에 저장되지 않은 불특정 다수 또는 수요자의 주소록에 등록되어 있지만 미처 알지 못하는 상태에서 수요자가 보고 싶은 위치에 주소록의 지인이 가 있는 상황에서 수요자 또는 요청자의 콜에 의해 자기 위치의 해당 영상을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사람(영상 공급자)' 간 영상 요청 공급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그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특정 사용자 즉, 소상공인이나 특별히 자기의 영업홍보물(물건, 음식 등)을 광고하기 위한 사람들이 실시간으로 자기의 현 위치(단말기의 위치)를 노출시킨 후 홍보영상을 올릴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이는 일정한 규정과 계약을 기준으로 활동하면서 자신의 사업을 영업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부가적인 실시예로서, 실시간 공유 서비스가 완료된 후 서버에 저장된 동영상(수요자가 불특정 다수 중 콜에 응해 공급되고 있는 요청 영상)에 대하여 시청 중 화면을 1회 터치하면 영상의 위치가 어디인지 주소 문자가 스크린에 표시되도록 하되, 해당 문자가 표시된 스크린을 다시 터치(두번째 터치)하면 해당 위치를 목적지로 설정하는 네비게이션이 자동으로 연동 구동되도록 하는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공급자 참여형 실시간 영상 공유가 가능한 수요자 중심의 실시간 영상 공유 플랫폼 제공 시스템{SYSTEM FOR PROVIDING AN AUDIENCE-ORIENTED REAL-TIME VIDEO SHARING PLATFORM WHERE PROVIDERS CAN PARTICIPATE AND SHARE REAL-TIME VIDEOS}
본 발명은 공급자 참여형 실시간 영상 공유가 가능한 수요자 중심의 실시간 영상 공유 플랫폼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특정(선택한) 지역, 위치 혹은 특정(궁금하거나 알고 싶어 선택한) 활동(예를 들어, 주행, 이동, 항해, 비행 등)에 대한 실시간 영상이 요청되는 경우, 해당 지역, 위치 혹은 활동에 대하여 불특정 다수의 타 사용자 단말(본 발명 플랫폼 어플을 다운받아 사용하는 불특정 다수 중 선택한 위치에 가 있는 불특정 누구나)들을 통해 실시간으로 촬영 및 업로드 된 실시간 영상이 제공되도록 함으로써, 각 지역 별 실시간 현장 상황을 가공되지 않은 생생한 실시간 영상을 통해 타 사용자들과 즉시 공유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사용자가 해당 위치에 대한 정보를 정확히 인지하지 못하더라도 사용자 단말을 통해 입력되는 해당 위치에 대한 개략적인 정보 또는 캡쳐 이미지를 토대로 불특정 다수의 타 사용자 단말들로부터 실시간 영상 샘플을 획득한 후 이를 토대로 사용자가 원하는 지역, 위치, 장소가 파악될 수 있도록 하는 공급자 참여형 실시간 영상 공유가 가능한 수요자 중심의 실시간 영상 공유 플랫폼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은 '보고싶은 영상을 실시간으로 알고 싶어 영상 공유를 요청하는 사람(수요자 또는 요청자)'과 '주소록에 저장되지 않은 불특정 다수 또는 수요자의 주소록에 등록되어 있지만 미처 알지 못하는 상태에서 수요자가 보고 싶은 위치에 주소록의 지인이 가 있는 상황에서 수요자 또는 요청자의 콜에 의해 자기 위치의 해당 영상을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사람(영상 공급자)' 간 영상 요청 공급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그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특정 사용자 즉, 소상공인이나 특별히 자기의 영업홍보물(물건, 음식 등)을 광고하기 위한 사람들이 실시간으로 자기의 현 위치(단말기의 위치)를 노출시킨 후 홍보영상을 올릴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이는 일정한 규정과 계약을 기준으로 활동하면서 자신의 사업을 영업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부가적인 실시예로서, 실시간 공유 서비스가 완료된 후 서버에 저장된 동영상(수요자가 불특정 다수 중 콜에 응해 공급되고 있는 요청 영상)에 대하여 시청 중 화면을 1회 터치하면 영상의 위치가 어디인지 주소 문자가 스크린에 표시되도록 하되, 해당 문자가 표시된 스크린을 다시 터치(두번째 터치)하면 해당 위치를 목적지로 설정하는 네비게이션이 자동으로 연동 구동되도록 하는 특징이 있다.
최근, 정보통신 기술의 비약적 발전에 따라 각종 정보들이 수집되어 사용자들에게 제공되고 있으며, 사용자들은 인스타그램, 유튜브(YouTube) 등과 같은 영상 제공 서비스를 이용하여, 원하는 영상을 제공받을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영상 제공 방식은 영상 제공의 주도권이 제공자에게 있기 때문에, 수요자인 요청자는 자신이 원하는 영상을 능동적으로 제공받지 못하고, 제공자가 제공하는 영상들 중에서 자신이 원하는 영상을 수동적으로 선택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요청자는 자신이 원하는 영상을 찾을 때까지 다수의 영상들에 대한 시청을 반복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현재 특정 지역(혹은 위치)에서의 실시간 현장 상황을 확인하고 싶은데, 인스타그램 혹은 유튜브를 통해 제공되는 영상은 대부분이 영상을 업로드하는 제공자에 의해 가공된 영상에 해당하며, 실시간으로 올리는 영상의 경우에도 해당 제공자의 개인 계정 혹은 개인 채널에 업로드 된다는 점에서, 해당 채널을 구독하거나 팔로우하는 사람에 한해서만 실시간 영상이 공개된다는 한계점을 가지고 있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720940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특정(선택한) 지역, 위치 혹은 특정(궁금하거나 알고 싶어 선택한) 활동(예를 들어, 주행, 이동, 항해, 비행 등)에 대한 실시간 영상이 요청되는 경우, 해당 지역, 위치 혹은 활동에 대하여 불특정 다수의 타 사용자 단말(본 발명 플랫폼 어플을 다운받아 사용하는 불특정 다수 중 선택한 위치에 가 있는 불특정 누구나)들을 통해 실시간으로 촬영 및 업로드 된 실시간 영상이 제공되도록 함으로써, 각 지역 별 실시간 현장 상황을 가공되지 않은 생생한 실시간 영상을 통해 타 사용자들과 즉시 공유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사용자가 해당 위치에 대한 정보를 정확히 인지하지 못하더라도 사용자 단말을 통해 입력되는 해당 위치에 대한 개략적인 정보 또는 캡쳐 이미지를 토대로 불특정 다수의 타 사용자 단말들로부터 실시간 영상 샘플을 획득한 후 이를 토대로 사용자가 원하는 지역, 위치, 장소가 파악될 수 있도록 하는 공급자 참여형 실시간 영상 공유가 가능한 수요자 중심의 실시간 영상 공유 플랫폼 제공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을 통해 설정되는 세부 설정 옵션에 따라 최적의 맞춤형 실시간 영상을 제공하는 사용자를 매칭시킬 수 있도록 하는 영상 요청자 위치 식별 기능을 포함하는 불특정 다수와 연결 가능한 수요자 중심의 실시간 영상 공유 플랫폼 제공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요청하는 지역에 타 사용자가 위치하지 않을 경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설정되는 검색 반경 내에서 자동으로 촬영 요청 메시지를 재전송하는 과정을 반복할 수 있도록 하는 영상 요청자 위치 식별 기능을 포함하는 불특정 다수와 연결 가능한 수요자 중심의 실시간 영상 공유 플랫폼 제공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특히, 본 발명은 실시간 영상 공유를 요청하는 요청자측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우선적으로 공급자측 사용자 단말에 선 안내함으로써, 실시간 영상 공유를 위한 위치에 요청자가 미리 도착 후 공급자에 대해 범죄를 저지를 수 있는 행동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영상 요청자 위치 식별 기능을 포함하는 불특정 다수와 연결 가능한 수요자 중심의 실시간 영상 공유 플랫폼 제공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은 '보고싶은 영상을 실시간으로 알고 싶어 영상 공유를 요청하는 사람(수요자 또는 요청자)'과 '주소록에 저장되지 않은 불특정 다수 또는 수요자의 주소록에 등록되어 있지만 미처 알지 못하는 상태에서 수요자가 보고 싶은 위치에 주소록의 지인이 가 있는 상황에서 수요자 또는 요청자의 콜에 의해 자기 위치의 해당 영상을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사람(영상 공급자)' 간 영상 요청 공급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특정 사용자 즉, 소상공인이나 특별히 자기의 영업홍보물(물건, 음식 등)을 광고하기 위한 사람들이 실시간으로 자기의 현 위치(단말기의 위치)를 노출시킨 후 홍보영상을 올릴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이는 일정한 규정과 계약을 기준으로 활동하면서 자신의 사업을 영업할 수 있는 것을 제공하고자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부가적인 실시예로서, 실시간 공유 서비스가 완료된 후 서버에 저장된 동영상(수요자가 불특정 다수 중 콜에 응해 공급되고 있는 요청 영상)에 대하여 시청 중 화면을 1회 터치하면 영상의 위치가 어디인지 주소 문자가 스크린에 표시되도록 하되, 해당 문자가 표시된 스크린을 다시 터치(두번째 터치)하면 해당 위치를 목적지로 설정하는 네비게이션이 자동으로 연동 구동되도록 하는 것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급자 참여형 실시간 영상 공유가 가능한 수요자 중심의 실시간 영상 공유 플랫폼 제공 시스템(100)은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과 연결되며 각 사용자 단말 별 사용자 계정이 생성되도록 하는 사용자 계정 생성부(110) 및 실시간 영상 시청을 요청하는 사용자 단말을 통해 입력되는 실시간 영상에 대한 세부 설정 옵션 중 위치 찾기 정보를 불특정 다수의 타 사용자 단말에게 제공하고, 상기 위치 찾기 정보에 대한 피드백을 불특정 다수의 타 사용자 단말로부터 회신 후 상기 실시간 영상 시청을 요청하는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선택되는 불특정 다수의 타 사용자 단말에게 촬영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며, 상기 촬영 요청 메시지에 대하여 영상 촬영을 수락하는 피드백이 회신될 경우, 해당 불특정 다수의 타 사용자 단말과 해당 사용자 단말을 서로 매칭시킴으로써, 불특정 다수의 타 사용자 단말을 통해 촬영되는 실시간 영상이 사용자 단말에 제공되도록 하는 실시간 영상 제공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위치 찾기 정보는 특정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텍스트 정보 및 특정 위치에 대한 캡쳐 이미지를 포함하며, 상기 실시간 영상 제공부(120)는 상기 텍스트 정보 및 상기 캡쳐 이미지를 불특정 다수의 타 사용자 단말에게 제공하고, 각각의 타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텍스트 정보 및 상기 캡쳐 이미지를 토대로 촬영된 실시간 영상 샘플을 실시간 영상 시청을 요청하는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며, 실시간 영상 시청을 요청하는 사용자 단말에 의해 선택되는 실시간 영상 샘플을 촬영한 타 사용자 단말과 실시간 영상 시청을 요청하는 사용자 단말을 서로 매칭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실시간 영상 제공부(120)는 실시간 영상 시청을 요청하는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파악하고, 상기 실시간 영상 시청을 요청하는 사용자 단말을 통해 입력되는 실시간 영상에 대한 세부 설정 옵션 중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해당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불특정 다수의 타 사용자 단말들의 목록을 사용자 단말에게 제공하되, 기 파악된 상기 실시간 영상 시청을 요청하는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해당 불특정 다수의 타 사용자 단말들에 우선 제공하며, 상기 실시간 영상 시청을 요청하는 사용자 단말의 위치와, 해당 불특정 다수의 타 사용자 단말들 간의 거리가 기 설정된 범위 이내로 파악될 경우, 상기 실시간 영상 시청을 요청하는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에 대한 안내 메시지를 해당 불특정 다수의 타 사용자 단말들에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실시간 영상 제공부(120)는 실시간 영상 시청을 요청하는 사용자 단말과, 실시간 영상 촬영을 희망하는 사용자 단말 각각으로부터 실시간 영상에 대한 세부 설정 옵션을 입력받되, 실시간 영상 시청을 요청하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입력 받는 세부 설정 옵션은 요청하는 실시간 영상의 위치를 검색할 수 있는 위치 검색 영역 및 해당 요청하는 실시간 영상의 시청 목적을 선택 또는 입력할 수 있는 목적 입력 영역을 포함하고, 실시간 영상 촬영을 희망하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입력 받는 세부 설정 옵션은 촬영하고자 하는 실시간 영상의 위치를 선택할 수 있는 위치 선택 영역, 해당 촬영하고자 하는 실시간 영상의 촬영 목적을 선택 또는 입력할 수 있는 목적 입력 영역 및 해당 촬영하고자 하는 실시간 영상의 제목을 입력할 수 있는 제목 입력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실시간 영상 제공부(120)는 기 설정된 시간 내에 상기 촬영 요청 메시지를 확인 또는 영상 촬영을 수락하는 불특정 다수의 타 사용자 단말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설정된 검색 반경을 기 설정된 거리만큼 자동으로 확장시킨 후 확장된 검색 반경 내에서 상기 촬영 요청 메시지를 재전송하는 과정을 반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각 사용자 단말에 제휴 광고를 제공하고, 해당 제휴 광고 시청 시 해당 제휴 광고에 설정된 포인트를 사용자 계정에 지급하고, 실시간 영상 시청을 요청 시 해당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 계정에서 실시간 영상 시청에 포인트 결제가 차감되도록 하며, 차감된 포인트는 해당 실시간 영상을 촬영 및 제공하는 불특정 다수의 타 사용자 단말에게 보상으로 제공되도록 하는 포인트 제공부(1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포인트 제공부(130)는 사용자 단말을 통해 실시간 영상 시청이 요청되는 경우 해당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 계정이 보유중인 잔여 포인트를 확인하고, 상기 잔여 포인트가 기준 차감 포인트 이하에 해당하는 경우 해당 사용자 단말의 화면 상에 제휴 광고 시청을 유도하는 팝업 메시지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포인트 제공부(130)는 사용자 단말을 통해 실시간 영상의 제공이 요청되는 경우 해당 사용자 단말을 통해 차감 포인트의 변경이 가능하도록 하는 차감 포인트 설정 옵션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특정 지역 혹은 위치에 대한 실시간 영상이 요청되는 경우, 해당 지역 혹은 위치에 대하여 불특정 다수의 타 사용자 단말을 통해 실시간으로 촬영 및 업로드 된 실시간 영상이 제공되도록 함으로써, 각 지역 별 실시간 현장 상황을 가공되지 않은 생생한 실시간 영상을 통해 타 사용자들과 즉시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을 가진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사용자가 해당 위치에 대한 정보를 정확히 인지하지 못하더라도 사용자 단말을 통해 입력되는 해당 위치에 대한 개략적인 정보 또는 캡쳐 이미지를 토대로 불특정 다수의 타 사용자 단말들로부터 실시간 영상 샘플을 획득한 후 이를 토대로 사용자가 원하는 지역, 위치, 장소가 파악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을 통해 설정되는 세부 설정 옵션에 따라 최적의 맞춤형 실시간 영상을 제공하는 사용자를 매칭시킬 수 있으며, 영상을 데이터베이스 등에 별도로 저장하거나, 미리 저장된 영상을 제공하는 것이 아닌, 요청자와 공급자 간의 실시간 라이브 소통이 가능하도록 하는 이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사용자가 요청하는 지역을 검색하였을 때 해당 지역에 실시간 영상을 업로드 할 타 사용자가 없는 경우, 자동으로 검색 반경을 확대시켜 촬영 요청 메시지를 재전송함으로써 해당 위치에 인접한 타 사용자들을 최대한 검색하여 홍보할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별도의 계정 간 상호 작용(예를 들어, 사용자 간 구독, 즐겨찾기, 팔로우, 피드 등록 등) 없이도 모든 실시간 영상이 검색 가능하도록 하는 이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보고 싶거나 궁금한 지역, 위치에 대한 영상 업로드를 요청할 경우, 해당 지역 혹은 위치의 사용자들이 이를 확인하여 즉시 실시간 영상을 업로드할 수 있도록 중개역할을 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보고 싶거나 궁금한 지역, 위치에 대한 영상 업로드를 요청하는 과정에서 포인트가 차감되도록 하고, 이때 차감된 포인트를 실시간 영상을 업로드하는 사용자에게 수익으로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영상을 요청하는 요청자와 업로드하는 업로더 간의 더욱 능동적인 참여를 유도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개인의 경우 취향에 맞는 생활 영상을 직접 실시간으로 업로드 할 수 있고, 사업자의 경우에는 자신의 사업을 홍보할 수 있는 실시간 홍보 영상을 직접 실시간으로 업로드 할 수 있어 홍보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실시간 영상 공유를 요청하는 요청자측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우선적으로 공급자측 사용자 단말에 선 안내함으로써, 실시간 영상 공유를 위한 위치에 요청자가 의도적으로 미리 도착 후 공급자에 대해 범죄를 저지를 수 있는 행동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은 '보고싶은 영상을 실시간으로 알고 싶어 영상 공유를 요청하는 사람(수요자 또는 요청자)'과 '주소록에 저장되지 않은 불특정 다수 또는 수요자의 주소록에 등록되어 있지만 미처 알지 못하는 상태에서 수요자가 보고 싶은 위치에 주소록의 지인이 가 있는 상황에서 수요자 또는 요청자의 콜에 의해 자기 위치의 해당 영상을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사람(영상 공급자)' 간 영상 요청 공급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특정 사용자 즉, 소상공인이나 특별히 자기의 영업홍보물(물건, 음식 등)을 광고하기 위한 사람들이 실시간으로 자기의 현 위치(단말기의 위치)를 노출시킨 후 홍보영상을 올릴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이는 일정한 규정과 계약을 기준으로 활동하면서 자신의 사업을 영업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그리고, 본 발명은 부가적인 실시예로서, 실시간 공유 서비스가 완료된 후 서버에 저장된 동영상(수요자가 불특정 다수 중 콜에 응해 공급되고 있는 요청 영상)에 대하여 시청 중 화면을 1회 터치하면 영상의 위치가 어디인지 주소 문자가 스크린에 표시되도록 하되, 해당 문자가 표시된 스크린을 다시 터치(두번째 터치)하면 해당 위치를 목적지로 설정하는 네비게이션이 자동으로 연동 구동되도록 하는 이점을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급자 참여형 실시간 영상 공유가 가능한 수요자 중심의 실시간 영상 공유 플랫폼 제공 시스템(100)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사용자 계정 생성부(110)를 통해 사용자 계정이 생성되는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실시간 영상 제공부(120)에서 사용자 단말에 의해 입력되는 위치 찾기 정보를 불특정 다수의 타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고, 이를 토대로 실시간 영상 샘플이 획득되는 과정을 순서대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사용자 단말과 불특정 다수의 타 사용자 단말 간의 촬영 요청 메시지 전송 및 실시간 영상이 공유되는 과정을 나타낸 요청자 측 사용자 단말의 화면이다.
도 5는 실시간 영상이 공유된 후 요청자 측 사용자 단말을 통해 해당 실시간 영상의 평가가 진행되는 상태를 나타낸 화면이다.
도 6은 사용자 단말과 불특정 다수의 타 사용자 단말 간의 촬영 요청 메시지 전송 및 실시간 영상이 공유되는 과정을 나타낸 촬영자 측 사용자 단말의 화면이다.
도 7은 사용자 단말을 통해 촬영되는 실시간 영상 또는 기 저장된 영상이 별도의 데이터베이스에 업로드 되는 상태를 나타낸 화면이다.
도 8은 사용자 단말의 화면 조작을 통해 공영CCTV 화면 또는 인기 영상이 제공되는 상태를 나타낸 화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요청자 위치 식별 기능을 포함하는 불특정 다수와 연결 가능한 수요자 중심의 실시간 영상 공유 플랫폼 제공 시스템(100)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살펴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요청자 위치 식별 기능을 포함하는 불특정 다수와 연결 가능한 수요자 중심의 실시간 영상 공유 플랫폼 제공 시스템(100)은 크게 사용자 계정 생성부(110), 실시간 영상 제공부(120) 및 포인트 제공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요청자 위치 식별 기능을 포함하는 불특정 다수와 연결 가능한 수요자 중심의 실시간 영상 공유 플랫폼 제공 시스템(100)은 일종의 서버에서 실행 가능한 기능들을 물리적 구성으로 표현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는 바, 물리적, 하드웨어적인 구성을 포함하지 않더라도 본 발명은 서버를 통해 실행 및 구현되는 기술로 해석됨을 유의한다. 경우에 따라, 본 발명은 서버 자체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수요자(요청자)라 함은, 보고싶은 영상을 실시간으로 확인하고 싶어 그에 대한 영상 공유를 요청하는 사람을 의미할 수 있고, 공급자라 함은 불특정 다수를 지칭하며 수요자(요청자)의 콜(요청)에 의해 자기 위치를 영상으로 촬영 및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사람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단말이라 함은 수요자(요청자) 또는 공급자가 소지한 스마트폰이나 기타 유무선 네트워크 통신이 가능한 전자기기(혹은 전자 촬영기기)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용자의 단말은 보고싶은 영상에 대한 공유를 요청하는 수요자(요청자)가 소지한 스마트폰 혹은 유무선 네트워크 통신이 가능한 전자기기를 의미할 수 있고, 공급자의 단말은 수요자의 콜에 의해 자기 위치를 영상으로 촬영 및 실시간으로 제공하기 위한 공급자가 소지한 스마트폰 혹은 유무선 네트워크 통신이 가능한 전자기기를 의미할 수 있다.
사용자 계정 생성부(110)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과 연결되며, 각 사용자 단말 별 사용자 계정이 생성되도록 지원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생성된 사용자 계정 별로 제휴 광고 시청을 통해 지급되는 포인트(광고 수익)을 입금받을 수 있도록 계좌가 연계(연동)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대해 도 2를 통해 살펴보기로 한다.
도 2는 사용자 계정 생성부(110)를 통해 사용자 계정이 생성되는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살펴보면, 사용자 계정 생성부(110)는 사용자 계정을 생성할 수 있도록 사용자 단말 상에 카카오 로그인, 네이버 로그인, 구글 로그인과 같이 종래의 SNS 플랫폼과 연동하여 로그인이 진행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계정만들기(가입하기)와 같이 자체 사용자 계정을 신규로 생성되도록 할 수도 있다.
실시간 영상 제공부(120)는 실시간 영상 시청을 요청하는 사용자 단말을 통해 입력되는 실시간 영상에 대한 세부 설정 옵션 중 위치 찾기 정보를 불특정 다수의 타 사용자 단말에게 제공하고, 상기 위치 찾기 정보에 대한 피드백을 불특정 다수의 타 사용자 단말로부터 회신 후 상기 실시간 영상 시청을 요청하는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선택되는 불특정 다수의 타 사용자 단말에게 촬영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며, 상기 촬영 요청 메시지에 대하여 영상 촬영을 수락하는 피드백이 회신될 경우, 해당 불특정 다수의 타 사용자 단말과 해당 사용자 단말을 서로 매칭시킴으로써, 불특정 다수의 타 사용자 단말을 통해 촬영되는 실시간 영상이 사용자 단말에 제공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에 관해서는 도 3 내지 도 6을 통해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도 3은 실시간 영상 제공부(120)에서 사용자 단말에 의해 입력되는 위치 찾기 정보를 불특정 다수의 타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고, 이를 토대로 실시간 영상 샘플이 획득되는 과정을 순서대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사용자 단말과 불특정 다수의 타 사용자 단말 간의 촬영 요청 메시지 전송 및 실시간 영상이 공유되는 과정을 나타낸 요청자 측 사용자 단말의 화면이며, 도 5는 실시간 영상이 공유된 후 요청자 측 사용자 단말을 통해 해당 실시간 영상의 평가가 진행되는 상태를 나타낸 화면이고, 도 6은 사용자 단말과 불특정 다수의 타 사용자 단말 간의 촬영 요청 메시지 전송 및 실시간 영상이 공유되는 과정을 나타낸 촬영자 측 사용자 단말의 화면이다.
먼저 도 3을 살펴보면, 실시간 영상 제공부(120)는 실시간 영상 시청을 요청하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실시간 영상에 대한 세부 설정 옵션 중에서 위치 찾기 정보를 입력받아 이를 불특정 다수의 타 사용자 단말에게 제공할 수 있다(S301).
예를 들어, 사용자가 SNS 혹은 웹 사이트에서 특정 위치, 지역, 장소를 확인하였지만 해당 위치, 지역, 장소에 대한 장소명이나 정확한 정보를 모르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사용자가 가진 정보는 오로지 해당 SNS 혹은 웹 사이트에 출력된 위치, 지역 장소에 대한 간략한 텍스트 정보이거나, 또는 사용자 단말의 화면을 캡쳐한 캡쳐 이미지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간 영상 제공부(120)는 해당 사용자 단말로부터 SNS 혹은 웹 사이트에서 본 위치, 지역, 장소에 대한 간략한 텍스트 정보 혹은 이를 캡쳐한 캡쳐 이미지를 획득 한 후, 이를 불특정 다수의 타 사용자 단말에게 우선 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실시간 영상 제공부(120)는 불특정 다수의 타 사용자 단말들로부터 해당 위치, 지역, 장소에 대한 간략한 텍스트 정보 혹은 이를 캡쳐한 캡쳐 이미지를 근거로 촬영된 실시간 영상 샘플을 획득 후 이를 사용자 단말에 제공함으로써, 실시간 영상 샘플에 나타난 장소가 사용자가 보고싶어 하는 장소가 맞는지 확인받게 된다(S302).
예를 들어, 사용자가 보고싶은 장소가 제주도의 성산일출봉이라 가정할 경우, 이를 캡쳐한 캡쳐 이미지를 확인한 불특정 다수의 타 사용자들 중에서, 실제로 성산일출봉에 위치하고 있는 사용자가 자신의 사용자 단말을 통해 이를 촬영 후 실시간 영상 샘플을 실시간 영상 제공부(120)로 전송할 수 있다. 실시간 영상 제공부(120)에서는 해당 실시간 영상 샘플을 다시 실시간 영상 시청을 요청한 사용자 단말에게 제공함으로써, 실시간 영상 샘플에 나타난 장소가 실제로 사용자가 보고싶은 장소가 맞는지 확인받을 수 있는 것이다.
만약, 해당 실시간 영상 샘플에 나타난 장소가 사용자가 원하는 장소가 맞을 경우에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해당 실시간 영상 샘플에 나타난 장소에 대한 촬영 요청 메시지가 전송될 수 있으며, 실시간 영상 제공부(120)에서는 이를 토대로 해당 실시간 영상 샘플을 전송한 타 사용자 단말에게 촬영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여 실시간 영상이 제공되도록 하는 것이다(S303).
만약, 해당 실시간 영상 샘플에 나타난 장소가 사용자가 원하는 장소가 아닐 경우에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다른 실시간 영상 샘플을 확인하기 위한 피드백이 요청될 수 있으며, 실시간 영상 제공부(120)는 해당 피드백을 토대로 다른 불특정 다수의 타 사용자 단말에게 다시 해당 위치, 지역, 장소에 대한 간략한 텍스트 정보 혹은 이를 캡쳐한 캡쳐 이미지를 제공함으로써, 앞서 살펴본 과정이 반복적으로 진행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실시간 영상 제공부(120)는, 실시간 영상 시청을 요청하는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파악하고, 이를 촬영자측 사용자 단말, 즉 세부 설정 옵션 중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해당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불특정 다수의 타 사용자 단말들에게 우선 제공한 후, 해당 불특정 다수의 타 사용자 단말들로 하여금 요청자의 현재 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는, 실시간 영상 공유를 위한 위치에 요청자가 악의적인 의도로 미리 해당 위치에 도착 후 숨어있다가, 실시간 영상 공유 요청을 빌미로 공급자가 혼자 있는지를 우선적으로 파악한 후 범죄를 저지를 수 있는 범죄행동, 범죄행위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기 위함이다.
특히,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실시간 영상 제공부(120)는 소방청 서버 또는 경찰청 서버와 연동하여 실시간 영상 시청을 요청하는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범죄발생 시 범죄수사에 적극적으로 협조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관련하여 일 실시예에서 실시간 영상 제공부(120)는 실시간 영상 시청을 요청하는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파악하는 과정에서, 위치 정보 공개를 거부하는 사용자 단말에 대해 실시간 영상 시청을 요청하지 못하도록 제한할 수도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실시간 영상 제공부(120)는 기 파악된 상기 실시간 영상 시청을 요청하는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해당 불특정 다수의 타 사용자 단말들에 우선 제공하되, 상기 실시간 영상 시청을 요청하는 사용자 단말의 위치와, 해당 불특정 다수의 타 사용자 단말들 간의 거리가 기 설정된 범위 이내로 파악될 경우, 상기 실시간 영상 시청을 요청하는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에 대한 안내 메시지를 해당 불특정 다수의 타 사용자 단말들에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실시간 영상 제공부(120)는 도 4(a)와 같이, 실시간 영상 시청을 요청하는 사용자 단말에게, 요청하는 실시간 영상의 위치를 검색할 수 있는 위치 검색 영역과, 해당 요청하는 실시간 영상의 시청 목적을 선택 또는 입력할 수 있는 목적 입력 영역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 단말로 하여금 보고 싶은 위치, 지역을 세부적으로 설정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에서, 실시간 영상 제공부(120)는 실시간 영상 시청을 요청하는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지도를 출력 후 지도 상에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포인트로 표시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자신의 포인트를 선택(터치)할 경우, 보고 싶은 장소, 요청목적 등을 선택 또는 입력할 수 있는 영역이 표시되도록 한다.
뿐만 아니라, 해당 사용자가 이전에 위치 검색을 한 이력이 있을 경우, 과거 위치 검색되었던 목록을 함께 제공함으로써, 해당 위치를 다시 검색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특히, 이 경우, 시청 목적(요청 목적)을 주차장, 날씨확인, 풍경감상, 군중 수, 제보, 분위기, 대기, 사람찾기, 물건찾기, 기타(직접 목적 입력) 등으로 세분화함으로써, 실시간 영상의 촬영을 희망하는 타 사용자들로 하여금 실시간 영상 시청을 요청하는 사용자가 원하는 영상이 어떠한 것인지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 4(b)와 같이 사용자 단말을 통해 사용자가 특정 위치(예를 들어, 한라산 정상)를 검색할 경우, 해당 위치가 지도 상에 표시됨은 물론, 해당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불특정 다수의 타 사용자 단말들의 위치가 해당 지도 상에 포인트로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을 통해 바로 요청하기 영역을 선택(터치)할 경우, 본 발명에 따른 포인트 제공부(130)에서는 도 4(c)와 같이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 계정이 보유중인 잔여 포인트를 확인하고, 잔여 포인트가 기준 차감 포인트(예를 들어, 10포인트) 이하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해당 사용자 단말의 화면 상에 제휴 광고 시청을 유도하는 팝업 메시지를 출력함으로써, 포인트 충전을 유도할 수 있다.
여기에서, 포인트 제공부(130)는 각 사용자 단말에 제휴 광고를 제공하고, 해당 제휴 광고 시청 시 해당 제휴 광고에 설정된 포인트를 사용자 계정에 지급하고, 실시간 영상 시청을 요청 시 해당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 계정에서 실시간 영상 시청에 포인트 결제가 차감되도록 하며, 차감된 포인트는 해당 실시간 영상을 촬영 및 제공하는 불특정 다수의 타 사용자 단말에게 보상으로 제공되도록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실시간 영상 제공부(120)는 도 4(d)와 같이, 기 설정된 시간 내에 촬영 요청 메시지를 확인 또는 영상 촬영을 수락하는 불특정 다수의 타 사용자 단말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설정된 검색 반경을 기 설정된 거리만큼 자동으로 확장시킨 후 확장된 검색 반경 내에서 촬영 요청 메시지를 재전송하는 과정을 반복하여 진행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을 통해 특정 위치에 대한 키워드가 검색되거나 또는 사용자 단말을 통해 특정 위치에 대한 실시간 영상 촬영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해당 특정 위치에 위치하는 불특정 다수의 타 사용자 단말 들에게 해당 실시간 영상 촬영 요청에 대한 촬영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기 설정된 시간 내에 불특정 다수의 타 사용자 단말이 이를 확인하지 않거나 피드백 정보가 회신되지 않을 경우, 실시간 영상 제공부(120)는 해당 특정 위치를 기준으로 사용자 단말에 의해 설정된 검색 반경으로 범위를 확대시킨 후 촬영 요청 메시지를 재전송하게 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양재 코스트코 주차 대기줄에 대한 실시간 영상 촬영 요청에 대한 촬영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 경우, 실시간 영상 제공부(120)에서는 우선 양재 코스트코 주차장에 위치한 불특정 다수의 타 사용자 단말들에게 우선적으로 촬영 요청 메시지를 전달하게 된다.
이때, 만약 기 설정된 시간(예를 들어, 5분 등)이 경과하였는데도 양재 코스트코 주차장에 이를 확인한 불특정 다수의 타 사용자 단말이 검색되지 않거나, 또는 이를 확인한 불특정 다수의 타 사용자 단말이 있더라도 그에 상응하는 실시간 영상이 업로드 되지 않는 경우, 실시간 영상 제공부(120)는 양재 코스트코 주차장으로부터 반경 500m 이내에 존재하는 불특정 다수의 타 사용자 단말에게 촬영 요청 메시지가 전달될 수 있도록 검색 반경을 확대할 수 있다.
이러한 반복 과정은 실시간 영상 촬영을 수락하는 불특정 다수의 타 사용자 단말의 피드백이 회신되는 시점까지 계속해서 유지될 수도 있고, 일 실시예에서는 촬영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 사용자 단말을 통해 설정된 검색 시간(예를 들어, 5분 내, 10분 내 등)에 따라 검색 반경을 변경할 수도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포인트 제공부(130)는, 도 4(e)와 같이 실시간 영상을 요청하는 사용자 단말을 통해 직접 차감 포인트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 차감 포인트 설정 옵션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자신이 요청하는 실시간 영상의 중요도에 따라 자유롭게 차감 포인트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긴급하게 확인이 필요한 실시간 영상에 대해서는 차감 포인트를 100포인트로 설정할 수도 있고, 조금 지연되어도 상관없는 실시간 영상의 경우 10포인트로 설정할 수도 있다. 한편, 차감 포인트의 설정 범위는 제한되지 않으며, 해당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 계정이 보유중인 포인트 내에서 자유롭게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실시간 영상 제공부(120)는 실시간 영상 촬영을 희망하는 공급자의 단말로부터 실시간 영상의 위치에 대한 URL 정보를 입력받은 후 이를 실시간 영상 업로드 시 URL 정보를 노출시킬 수 있다. 만약, 해당 업로드된 실시간 영상을 불특정 다수의 수요자가 자신의 단말을 통해 확인 및 선택하는 경우 해당 수요자의 단말 화면 상에는 지도 화면이 출력될 수 있고, 이때 URL 정보에 해당하는 위치가 해당 지도 상에 표시될 수 있다. 더 나아가, URL 정보를 선택한 수요자의 단말 위치로부터 해당 URL 정보에 해당하는 위치까지의 이동 거리 및 이동 경로 안내를 위한 네비게이션 기능이 실행되도록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실시간 영상 촬영을 희망하는 특정 사용자(예를 들어, 고기집 사장과 같이 소상공인이거나 특별히 자기의 영업 홍보물을 광고하기 위해 실시간 영상을 업로드 하는 사람)가 자신의 단말을 통해 고기집 홍보를 위한 실시간 영상을 촬영 및 업로드하고, 이 과정에서 고기집 위치를 나타내는 URL 정보를 함께 제공함에 따라 실시간 영상 제공부(120)는 해당 고기집 홍보용 실시간 영상과 함께 위치를 알 수 있는 URL 정보를 함께 노출시키게 된다.
업로드 된 실시간 영상은 불특정 다수의 사람들에게 언제든 공유될 수 있도록 표시되며, 이를 확인한 특정 수요자가 자신의 단말을 통해 해당 실시간 영상을 시청하면서 해당 URL 정보를 선택하게 되면, 해당 수요자의 단말 화면에는 지도 화면과 함께 해당 고기집의 위치가 표시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현재 수요자의 단말 위치로부터 해당 고기집의 위치까지의 이동 거리, 이동 경로가 안내될 수 있으며, 수요자의 단말을 통해 '경로 안내 영역'이 선택될 경우 네비게이션 기능이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실시간 영상 제공부(120)는 업로드 되는 실시간 영상이 아닌, 실시간 영상 시청 요청에 따라 불특정 다수의 공급자의 단말 중 특정하게 매칭된 공급자의 단말로부터 맞춤형 실시간 영상이 촬영 및 제공되는 과정에도 이러한 URL 정보를 함께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점은, 수요자(요청자)가 자신이 요청한 촬영 요청 메시지에 대해, 매칭된 공급자의 단말을 통해 촬영되는 실시간 영상의 현재 위치가 궁금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실시간 영상을 촬영 및 제공하는 공급자의 단말 입장에서는 자신의 현재 위치에 대한 URL 정보를 함께 제공할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실시간 영상 시청을 요청하는 수요자(요청자)가 자신의 단말을 통해 직접 실시간 영상을 촬영하는 공급자의 단말의 위치에 대한 URL 정보를 요청할 수도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실시간 영상 제공부(120)는 해당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불특정 다수의 타 사용자 단말들의 목록을 사용자 단말에 제공함으로써, 사용자 단말을 통해 어느 하나의 불특정 다수의 타 사용자 단말이 선택되도록 제공할 수 있다. 이 중에서, 특정 불특정 다수의 타 사용자 단말이 사용자 단말을 통해 선택되는 경우, 도 4(g)와 같이 실시간 영상 제공부(120)는 해당 선택된 불특정 다수의 타 사용자 단말에게 촬영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게 되고, 도 3(h)와 같이 사용자 단말 간에 서로 매칭 및 연결됨으로써 불특정 다수의 타 사용자 단말을 통해 촬영되는 실시간 영상이 제공될 수 있다.
한편, 일 실시예에서 실시간 영상의 시청, 공유가 완료된 후, 도 5(a)와 같이 실시간 영상 제공부(120)는 요청자측 사용자 단말에 해당 실시간 영상에 대한 평가(예를 들어, 신고하기 등)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팝업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별도의 평가가 필요하지 않아 사용자가 종료하기 영역을 선택(터치)할 경우에는 다시 불특정 다수의 타 사용자 단말들의 목록을 사용자 단말에 제공함으로써 새로운 실시간 영상 시청을 요청할 수 있도록 하며, 만약 특정 평가 항목이 선택될 경우에는 도 5(b)와 같이 해당 실시간 영상을 촬영한 사용자 단말에 대한 조치가 진행되도록 한 후 다시 불특정 다수의 타 사용자 단말들의 목록을 사용자 단말에 제공함으로써 새로운 실시간 영상 시청을 요청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앞서 도 4(g)에서 특정 불특정 다수의 타 사용자 단말이 선택 후 해당 선택된 불특정 다수의 타 사용자 단말에게 촬영 요청 메시지가 전송되는 경우, 해당 선택된 불특정 다수의 타 사용자 단말의 화면에는 도 6(a)와 같은 팝업 메시지가 출력될 수 있다. 이는 촬영 요청 메시지에 대한 촬영 수락을 묻는 화면이며, 해당 타 사용자가 이를 수락할 경우 도 6(b) 및 도 6(c)와 같이 불특정 다수의 타 사용자 단말을 통해 촬영되는 실시간 영상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실시간 영상의 시청, 공유가 완료된 후, 포인트 제공부(130)는 도 6(d)와 같이 실시간 영상을 요청한 사용자 계정에서 차감된 포인트를 해당 실시간 영상을 촬영 및 제공한 불특정 다수의 타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 계정에 보상으로 지급하게 된다. 이를 통해 실시간 영상을 요청하는 사람과 이를 확인하여 실시간 영상을 촬영하여 업로드하는 사람 간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지급되는 가상 포인트는 외부 사이트에 적용된 결제 플랫폼에서도 이용될 수 있도록, 해당 결제 플랫폼과 연계하여 해당 결제 플랫폼에서 이용되는 가상 포인트로 환전이 가능하도록 제공될 수도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실시간 영상 제공부(120)는 사용자 단말을 통해 직접 촬영되거나 또는 기 저장된 영상을 별도의 데이터베이스에 업로드 되도록 제공할 수도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7을 통해 살펴보기로 한다.
도 7은 사용자 단말을 통해 촬영되는 실시간 영상 또는 기 저장된 영상이 별도의 데이터베이스에 업로드 되는 상태를 나타낸 화면이다.
도 7을 살펴보면, 실시간 영상 제공부(120)는 사용자 단말을 통해 실시간 영상의 업로드가 요청될 경우, 해당 실시간 영상 촬영을 희망하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촬영하고자 하는 실시간 영상의 위치를 선택할 수 있는 위치 선택 영역, 해당 촬영하고자 하는 실시간 영상의 촬영 목적을 선택 또는 입력할 수 있는 목적 입력 영역 및 해당 촬영하고자 하는 실시간 영상의 제목을 입력할 수 있는 제목 입력 영역을 포함하는 세부 설정 옵션을 입력 받게 된다.
이때, 촬영/업로드하기 버튼이 선택될 경우, 실시간 영상 제공부(120)는 해당 사용자 단말의 사진첩, 앨범에 기 저장된 동영상이 별도의 데이터베이스 상에 업로드 되도록 제공할 수도 있고, 또는 현재 실시간으로 촬영한 실시간 영상을 곧바로 별도의 데이터베이스 상에 업로드 되도록 제공할 수도 있다. 한편, 일 실시예에서 해당 데이터베이스에 업로드 되는 영상은 예를 들어 12시간 이후에는 삭제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실시간 영상 제공부(120)는 사용자 단말의 화면 조작을 통해 무료 공영CCTV 화면 또는 인기 영상이 제공되도록 할 수도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도 8을 통해 살펴보기로 한다.
도 8은 사용자 단말의 화면 조작을 통해 공영CCTV 화면 또는 인기 영상이 제공되는 상태를 나타낸 화면이다.
도 8을 살펴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영상 제공부(120)는 사용자 단말의 화면에 기본적으로 출력되는 지도 상에서 사용자 단말의 화면이 좌측으로 스와이프 될 경우 연계된 무료 공용CCTV 서버로부터 무료 공용CCTV가 스트리밍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무료 공용CCTV는 계약없이 무료로 사용할 수 있는 URL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의 화면이 우측으로 스와이프 될 경우, 요청자측 사용자 단말의 실시간 영상 요청에 의해 일정 기간(예를 들어, 하루) 동안 제공된 실시간 영상 중에서 가장 많은 포인트가 사용된(차감된) 영상이 제공될 수 있으며, 만약 해당 화면에서 사용자 단말의 화면이 하측으로 스와이프 될 경우, 요청자측 사용자 단말의 실시간 영상 요청이 이루어지지 않고 사용자들이 자신의 사용자 단말을 통해 데이터베이스에 별도로 업로드한 영상 중에서 조회수가 가장 많은 영상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각 사용자 단말을 통해 업로드되는 실시간 영상 중에서, 불특정 다수의 타 사용자 단말을 통한 재생 횟수가 일정 횟수 이상이거나, 불특정 다수의 타 사용자 단말을 통한 반응 지수(예를 들어, 좋아요, 공유, 추천 등)가 일정값 이상이거나, 또는 해당 사용자 단말과 연계된 개인 채널의 구독자수, 팔로워 수가 일정값 이상인 경우 해당 실시간 영상에 대해 외부 광고 데이터를 삽입할 수 있는 선택권을 부여하며, 외부 광고 데이터의 삽입에 따라 발생되는 광고 수익을 해당 사용자 계정과 연계된 계좌로 현금으로 지급하거나 또는 별도의 포인트로 지급하는 광고 삽입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포인트는 추후 현금화가 가능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광고 삽입부는 각 사용자 단말을 통해 업로드되는 실시간 영상 중에서, 불특정 다수의 타 사용자 단말을 통한 재생 횟수가 일정 횟수 이상이거나, 불특정 다수의 타 사용자 단말을 통한 반응 지수(예를 들어, 좋아요, 공유, 추천 등)가 일정값 이상이거나, 또는 해당 사용자 단말과 연계된 개인 채널의 구독자수, 팔로워 수가 일정값 이상인 경우 해당 실시간 영상에 대해 추가로 가상 포인트를 지급할 수도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광고 삽입부는 각 사용자 단말을 통해 업로드되는 실시간 영상의 종류나 장르에 관계없이, 업로드 영상의 수에 따라 가상 포인트를 해당 사용자 계정에 지급할 수도 있고, 또는 각 영상이 불특정 다수의 불특정 다수의 타 사용자 단말을 통해 시청될 경우 각 업로드 영상의 재생 전 짧은 광고 영상을 삽입할 수 있으며, 이때 삽입된 광고 수익 중 일정 비율은 기 설정된 비율값에 따라 해당 영상을 업로드한 사용자 단말의 계정에 포인트로써 지급될 수 있다.
한편, 가상 포인트의 일일 지급 횟수 혹은 주간 지급 횟수 등과 같이 가상 포인트의 지급 횟수를 각 사용자 단말과 연계된 개인 채널의 구독자수, 팔로워 수에 따라 차등적으로 적용하여 지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독자수가 1000명 이상일 경우 영상 업로드에 따른 가상 포인트의 지급 횟수를 10회로 설정할 수 있으며, 구독자 수가 1만명 이상일 경우 가상 포인트의 지급 횟수를 20회 등으로 설정할 수 있다. 앞서 예시로 든 구독자수는 하나의 예로써 해석될 뿐이며, 이는 관리자에 의해 얼마든지 변경 가능한 수치임을 유의한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각 사용자 단말을 통해 실시간 영상이 업로드 되는 과정에서, 업로드되는 각 영상의 촬영 요량을 식별할 수 있는 이미지 정보를 각 사용자 단말의 화면에 출력시킴으로써, 실시간 영상을 업로드하는 촬영자로 하여금 어느 정도의 용량만큼 실시간 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각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 계정 별로 기본적인 업로드 용량이 할당되며, 일 실시예에서는 비용 또는 포인트의 추가 결제를 통해 해당 용량을 추가할 수도 있도록 한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실시간 영상 제공부(120)는 실시간 영상 시청을 요청하는 사용자 단말이 촬영 요청 메시지를 불특정 다수의 타 사용자 단말이 아닌, 실시간 영상을 촬영(공급)하는 촬영자측 사용자 단말에서 실시간 영상을 시청할 수 있는 사용자 단말을 미리 지정 혹은 등록한 후, 해당 사용자 단말에게 실시간 영상이 공유되도록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실시간 영상을 촬영(공급)하는 촬영자가 제주도 공항과 같이 특정 위치에 도착할 예정인 경우, 해당 촬영자가 자신의 사용자 단말을 통해 기 등록된 사용자 단말에게 도착 예정을 알리는 푸시 알림 혹은 푸시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도착과 동시에 해당 사용자 단말에 실시간 영상을 공유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실시간 영상 제공부(120)는 실시간 영상을 요청하는 사용자 단말을 통해 실시간 영상을 요청하는 과정에서, 실시간 영상에 대한 세부 설정 옵션에 요청자가 자신이 보고 싶은 이미지 파일 혹은 해당 이미지 정보를 포함하는 웹 정보나 url 등의 정보를 포함되도록 함으로써, 해당 이미지 정보와 관련된 실시간 영상의 촬영이 가능한 불특정 다수의 타 사용자 단말들이 검색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실시간 영상 제공부(120)는 실시간 영상을 요청하는 사용자 단말을 통해 실시간 영상을 요청하는 과정에서, 각 사용자 단말 별 사용자 계정의 연령에 따라 유해 단어(예를 들어, 섹스, 자살, 동성, 일진 등)의 검색을 제한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공급자 참여형 실시간 영상 공유가 가능한 수요자 중심의 실시간 영상 공유 플랫폼 제공 시스템
110: 사용자 계정 생성부
120: 실시간 영상 제공부
130: 포인트 제공부

Claims (10)

  1.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과 연결되며 각 사용자 단말 별 사용자 계정이 생성되도록 하는 사용자 계정 생성부(110); 및
    실시간 영상 시청을 요청하는 사용자 단말을 통해 입력되는 실시간 영상에 대한 세부 설정 옵션 중 위치 찾기 정보를 불특정 다수의 타 사용자 단말에게 제공하고, 상기 위치 찾기 정보에 대한 피드백을 불특정 다수의 타 사용자 단말로부터 회신 후 상기 실시간 영상 시청을 요청하는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선택되는 불특정 다수의 타 사용자 단말에게 촬영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며, 상기 촬영 요청 메시지에 대하여 영상 촬영을 수락하는 피드백이 회신될 경우, 해당 불특정 다수의 타 사용자 단말과 해당 사용자 단말을 서로 매칭시킴으로써, 불특정 다수의 타 사용자 단말을 통해 촬영되는 실시간 영상이 사용자 단말에 제공되도록 하는 실시간 영상 제공부(120);를 포함함에 있어서,
    상기 실시간 영상 제공부(120)는,
    실시간 영상 시청을 요청하는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파악하고, 상기 실시간 영상 시청을 요청하는 사용자 단말을 통해 입력되는 실시간 영상에 대한 세부 설정 옵션 중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해당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불특정 다수의 타 사용자 단말들의 목록을 사용자 단말에게 제공하되, 기 파악된 상기 실시간 영상 시청을 요청하는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해당 불특정 다수의 타 사용자 단말들에 우선 제공하며, 상기 실시간 영상 시청을 요청하는 사용자 단말의 위치와, 해당 불특정 다수의 타 사용자 단말들 간의 거리가 기 설정된 범위 이내로 파악될 경우, 상기 실시간 영상 시청을 요청하는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에 대한 안내 메시지를 해당 불특정 다수의 타 사용자 단말들에 제공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급자 참여형 실시간 영상 공유가 가능한 수요자 중심의 실시간 영상 공유 플랫폼 제공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찾기 정보는,
    특정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텍스트 정보 및 특정 위치에 대한 캡쳐 이미지를 포함하며,
    상기 실시간 영상 제공부(120)는 상기 텍스트 정보 및 상기 캡쳐 이미지를 불특정 다수의 타 사용자 단말에게 제공하고, 각각의 타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텍스트 정보 및 상기 캡쳐 이미지를 토대로 촬영된 실시간 영상 샘플을 실시간 영상 시청을 요청하는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며, 실시간 영상 시청을 요청하는 사용자 단말에 의해 선택되는 실시간 영상 샘플을 촬영한 타 사용자 단말과 실시간 영상 시청을 요청하는 사용자 단말을 서로 매칭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급자 참여형 실시간 영상 공유가 가능한 수요자 중심의 실시간 영상 공유 플랫폼 제공 시스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시간 영상 제공부(120)는,
    실시간 영상 시청을 요청하는 사용자 단말과, 실시간 영상 촬영을 희망하는 사용자 단말 각각으로부터 실시간 영상에 대한 세부 설정 옵션을 입력받되,
    실시간 영상 시청을 요청하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입력 받는 세부 설정 옵션은,
    요청하는 실시간 영상의 위치를 검색할 수 있는 위치 검색 영역 및 해당 요청하는 실시간 영상의 시청 목적을 선택 또는 입력할 수 있는 목적 입력 영역을 포함하고,
    실시간 영상 촬영을 희망하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입력 받는 세부 설정 옵션은,
    촬영하고자 하는 실시간 영상의 위치를 선택할 수 있는 위치 선택 영역, 해당 촬영하고자 하는 실시간 영상의 촬영 목적을 선택 또는 입력할 수 있는 목적 입력 영역 및 해당 촬영하고자 하는 실시간 영상의 제목을 입력할 수 있는 제목 입력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급자 참여형 실시간 영상 공유가 가능한 수요자 중심의 실시간 영상 공유 플랫폼 제공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시간 영상 제공부(120)는,
    기 설정된 시간 내에 상기 촬영 요청 메시지를 확인 또는 영상 촬영을 수락하는 불특정 다수의 타 사용자 단말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설정된 검색 반경을 기 설정된 거리만큼 자동으로 확장시킨 후 확장된 검색 반경 내에서 상기 촬영 요청 메시지를 재전송하는 과정을 반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급자 참여형 실시간 영상 공유가 가능한 수요자 중심의 실시간 영상 공유 플랫폼 제공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각 사용자 단말에 제휴 광고를 제공하고, 해당 제휴 광고 시청 시 해당 제휴 광고에 설정된 포인트를 사용자 계정에 지급하고, 실시간 영상 시청을 요청 시 해당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 계정에서 실시간 영상 시청에 포인트 결제가 차감되도록 하며, 차감된 포인트는 해당 실시간 영상을 촬영 및 제공하는 불특정 다수의 타 사용자 단말에게 보상으로 제공되도록 하는 포인트 제공부(1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급자 참여형 실시간 영상 공유가 가능한 수요자 중심의 실시간 영상 공유 플랫폼 제공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포인트 제공부(130)는,
    사용자 단말을 통해 실시간 영상 시청이 요청되는 경우 해당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 계정이 보유중인 잔여 포인트를 확인하고, 상기 잔여 포인트가 기준 차감 포인트 이하에 해당하는 경우 해당 사용자 단말의 화면 상에 제휴 광고 시청을 유도하는 팝업 메시지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급자 참여형 실시간 영상 공유가 가능한 수요자 중심의 실시간 영상 공유 플랫폼 제공 시스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포인트 제공부(130)는,
    사용자 단말을 통해 실시간 영상의 제공이 요청되는 경우 해당 사용자 단말을 통해 차감 포인트의 변경이 가능하도록 하는 차감 포인트 설정 옵션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급자 참여형 실시간 영상 공유가 가능한 수요자 중심의 실시간 영상 공유 플랫폼 제공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실시간 영상 제공부(120)는,
    실시간 영상 촬영을 희망하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실시간 영상의 위치에 대한 URL 정보를 입력받은 후 해당 실시간 영상의 업로드 시 상기 URL 정보를 노출시키며, 타 사용자 단말을 통해 해당 URL 정보가 선택되는 경우 사용자 단말의 화면 상에 지도 화면이 출력되면서 상기 URL 정보에 해당하는 위치가 상기 지도 화면 상에 표시되고, 또한 상기 URL 정보를 선택한 사용자 단말의 위치로부터 상기 URL 정보에 해당하는 위치까지의 이동 거리 및 이동 경로 안내를 위한 네비게이션 기능이 실행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급자 참여형 실시간 영상 공유가 가능한 수요자 중심의 실시간 영상 공유 플랫폼 제공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실시간 영상 제공부(120)는,
    불특정 다수의 타 사용자 단말을 통해 촬영되는 실시간 영상이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되, 해당 실시간 영상을 촬영하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 단말로부터 실시간 영상의 위치에 대한 URL 정보를 입력받은 후 실시간 영상 제공 시 상기 URL 정보를 노출시키며, 실시간 영상 시청을 요청하는 사용자 단말을 통해 해당 URL 정보가 선택되는 경우 사용자 단말의 화면 상에 지도 화면이 출력되면서 상기 URL 정보에 해당하는 위치가 상기 지도 화면 상에 표시되고, 또한 상기 URL 정보를 선택한 사용자 단말의 위치로부터 상기 URL 정보에 해당하는 위치까지의 이동 거리 및 이동 경로 안내를 위한 네비게이션 기능이 실행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급자 참여형 실시간 영상 공유가 가능한 수요자 중심의 실시간 영상 공유 플랫폼 제공 시스템.
KR1020210191966A 2021-12-30 2021-12-30 공급자 참여형 실시간 영상 공유가 가능한 수요자 중심의 실시간 영상 공유 플랫폼 제공 시스템 KR1024991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1966A KR102499133B1 (ko) 2021-12-30 2021-12-30 공급자 참여형 실시간 영상 공유가 가능한 수요자 중심의 실시간 영상 공유 플랫폼 제공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1966A KR102499133B1 (ko) 2021-12-30 2021-12-30 공급자 참여형 실시간 영상 공유가 가능한 수요자 중심의 실시간 영상 공유 플랫폼 제공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9133B1 true KR102499133B1 (ko) 2023-02-10

Family

ID=852235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91966A KR102499133B1 (ko) 2021-12-30 2021-12-30 공급자 참여형 실시간 영상 공유가 가능한 수요자 중심의 실시간 영상 공유 플랫폼 제공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9133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15264A (ko) * 2007-08-08 2009-02-12 (주)디지프렌즈 위치 기반 콘텐츠 정보 제공 서비스 시스템
KR20120059239A (ko) * 2010-11-30 2012-06-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 실시간 로드뷰 공유방법
KR101720940B1 (ko) 2013-01-28 2017-04-10 네이버 주식회사 메신저 채팅창을 통한 실시간 영상 공유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1909194B1 (ko) * 2017-09-14 2018-10-18 (주)글루버 위치기반 영상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2290581B1 (ko) * 2021-04-22 2021-08-17 강명철 실시간 영상 공유 플랫폼 제공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15264A (ko) * 2007-08-08 2009-02-12 (주)디지프렌즈 위치 기반 콘텐츠 정보 제공 서비스 시스템
KR20120059239A (ko) * 2010-11-30 2012-06-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 실시간 로드뷰 공유방법
KR101720940B1 (ko) 2013-01-28 2017-04-10 네이버 주식회사 메신저 채팅창을 통한 실시간 영상 공유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1909194B1 (ko) * 2017-09-14 2018-10-18 (주)글루버 위치기반 영상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2290581B1 (ko) * 2021-04-22 2021-08-17 강명철 실시간 영상 공유 플랫폼 제공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62028B1 (en) System and method for simultaneous real time video streaming from multiple mobile devices or other sources through a server to recipient mobile devices or other video displays, enabled by sender or recipient requests, to create a wall or matrix of real time live videos, and to enable responses from those recipients
KR101720940B1 (ko) 메신저 채팅창을 통한 실시간 영상 공유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WO2022225230A1 (ko) 위치 기반 불특정 다수의 사용자와 실시간 영상 공유가 가능한 수요자 중심의 실시간 영상 공유 플랫폼 제공 시스템
CN103327057B (zh) 电影购票系统及其手持式电子装置及电影购票方法
JP2019022072A (ja) コンテンツ配信装置および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
KR101909194B1 (ko) 위치기반 영상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030086326A (ko) 디지털 데이터의 중개방법
US20130159462A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information distribution method
JP2015075969A (ja) ポイント提供装置、ポイント提供システム、ポイント提供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US11393048B2 (en) Location-based open social networks and incentivization methods
KR20180001540A (ko) 지피에스를 이용한 실시간 동영상 거래방법 및 시스템
US20200242666A1 (en) Location-Based Open Social Networks And Incentivization Methods
KR20170129073A (ko) 지피에스를 이용한 실시간 동영상 거래방법 및 시스템
KR102499133B1 (ko) 공급자 참여형 실시간 영상 공유가 가능한 수요자 중심의 실시간 영상 공유 플랫폼 제공 시스템
KR101190062B1 (ko) 개인 방송 홈페이지 시스템
KR102499134B1 (ko) 영상 요청자 위치 식별 기능을 포함하는 불특정 다수간의 실시간 영상 공유 플랫폼 제공 시스템
KR102378073B1 (ko) 불특정 다수와 연결 가능한 수요자 중심의 실시간 영상 공유 플랫폼 제공 시스템
KR20170103442A (ko) 지피에스를 이용한 실시간 동영상 거래방법 및 시스템
KR101145641B1 (ko) 개인 방송 홈페이지 시스템
US10368213B1 (en) Location-based open social networks
KR102394426B1 (ko) 요청 영상의 세부 설정이 가능한 불특정 다수간의 실시간 영상 공유 플랫폼 제공 시스템
US10230676B2 (en) Location-based open social networks
KR102118441B1 (ko) 자연공원 관광서비스 관리서버
KR102499135B1 (ko) 검색 반경 설정이 가능한 실시간 영상 공유 플랫폼 제공 시스템
US10116757B2 (en) Location-based open social network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