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7972A - 증강현실 안경 - Google Patents

증강현실 안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7972A
KR20190087972A KR1020187019607A KR20187019607A KR20190087972A KR 20190087972 A KR20190087972 A KR 20190087972A KR 1020187019607 A KR1020187019607 A KR 1020187019607A KR 20187019607 A KR20187019607 A KR 20187019607A KR 20190087972 A KR20190087972 A KR 201900879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on
rotary shaft
augmented reality
gasket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196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34976B1 (ko
Inventor
싱 장
샤오? 츠
시앙? 랑
Original Assignee
고어텍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어텍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고어텍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900879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79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49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49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9/00Attaching auxiliary optical parts
    • G02C9/02Attaching auxiliary optical parts by hinging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9/00Attaching auxiliary optical par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02B27/0172Head mounted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02B27/0176Head mounted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 G02B27/22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11/00Non-optical adjuncts; Attachment thereof
    • G02C11/10Electronic devices other than hearing aid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49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 G02B2027/0154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with movable elements
    • G02B2027/0156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with movable elements with optionally usable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02B2027/0178Eyeglass type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2200/00Generic mechanical aspects applicable to one or more of the groups G02C1/00 - G02C5/00 and G02C9/00 - G02C13/00 and their subgroups
    • G02C2200/20Friction el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증강현실 안경을 개시하는 바, 안경 본체와 광학 어셈블리가 포함되고, 상기 광학 어셈블리는 상기 안경 본체 상에 연결되며, 상기 광학 어셈블리는 상기 안경 본체의 외측에 구비되고, 상기 광학 어셈블리의 적어도 일단은 상기 안경 본체의 어느 한 안경 다리 상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광학 어셈블리는 상기 안경 다리에 대하여 댐핑 회전한다. 본 발명의 증강현실 안경은 광학 소자를 안경 본체의 외측에 설치하고, 광학 어셈블리의 적어도 일단이 안경 본체의 어느 한 안경 다리 상에 회전 연결되어, 광학 어셈블리로 하여금 안경 다리에 대하여 댐핑 회전하도록 하여, 회전 범위 내에서 간편하게 광학 어셈블리의 눈 앞의 상하 방향 상의 위치를 조절하여, 증강현실 이미지와 사람의 눈의 시선을 정확하게 매칭시켜 비교적 바람직한 증강현실 체험을 취득할 수 있다.

Description

증강현실 안경
본출원은, 2017년 10월 19일에 중국 특허청에 출원된 출원번호 제201710979031.X호, “프라이머리 셀이 변경 가능하는 셀의 구성 방법 및 장치”를발명 명칭으로 하는 중국 특허출원의 우선권을 주장하며, 상기 중국 특허출원의 전체 내용은 참조로서 출원에 통합되어 본 출원의 일부분으로 한다.
본 발명은 웨어러블 장비 기술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증강현실 안경에 관한 것이다.
증강현실 기술의 끊임없는 발전에 따라, 증강현실 유형의 웨어러블 장비, 예를 들면 증강현실 안경 등 단말 설비가 빠르게 출시되고 있다. 증강형실 안경은 광학 어셈블리를 사용자의 눈 앞에 설치하여 증강현실 장면의 영상 효과를 제공하는 바, 단말 사용자의 체험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광학 어셈블리의 구조 설계도 날로 정교하여야 한다. 사용의 편리를 위하여, 광학 어셈블리 부분은 위치를 조절하는 것을 통하여 서로 다른 사람의 눈에 적응시켜, 가상 이미징으로 하여금 마침 안경의 바로 앞에 나타나도록 하여 사용자의 착용 체험을 향상시킨다.
증강현실 안경을 간편하게 사용하고, 광학 어셈블리의 위치를 조절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최적의 증강현실 장면 효과를 얻기 위하여,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는 광학 어셈블리 구조를 제공하여 제품 응용 효과와 사용자 체험을 향상시켜야 한다.
종래 기술의 증강현실 안경의 간편하게 조절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증강현실 안경을 개시하여 상기 문제를 극복하거나 또는 부분적으로 해결하도록 한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안은 하기와 같다.
증강현실 안경에 있어서, 안경 본체와 광학 어셈블리가 포함되고, 상기 광학 어셈블리는 상기 안경 본체 상에 연결되며, 상기 광학 어셈블리는 상기 안경 본체의 외측에 구비되고, 상기 광학 어셈블리의 적어도 일단은 상기 안경 본체의 어느 한 안경 다리 상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광학 어셈블리는 상기 안경 다리에 대하여 댐핑 회전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광학 어셈블리는 제1 컴포넌트와 제2 컴포넌트로 구성된 L형 구조이고, 상기 제1 컴포넌트는 상기 안경 다리와 댐핑 회전 연결되고, 또한 상기 안경 다리 외측을 따라 구비되며; 상기 제2 컴포넌트에는 광학 소자가 포함되고, 또한 상기 광학 소자는 상기 안경 다리와 인접된 렌즈를 따라 구비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컴포넌트는 연결부를 통하여 상기 안경 다리와 댐핑 회전 연결되고, 상기 연결부에는 제1 회전축, 제1 고무 링, 제1 누름 개스킷, 품림방지 개스킷, 제2 고무 링과 조임 고정 나사가 포힘되며;
상기 제1 회전축은 상기 제1 컴포넌트 외측에 고정되고, 상기 안경 다리 상에는 축공이 구비되며, 상기 제1 회전축은 상기 축공으로부터 관통되고 또한 순차적으로 상기 제1 고무 링, 제1 누림 개스킷, 품림방지 개스킷과 제2 고무 링을 관통하며, 상기 조임 고정 나사는 축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회전축의 말단에 회전 삽입되어 상기 제1 고무 링, 제2 누림 개스킷, 풀림방지 개스킷과 제2 고무 링을 잠금 고정시킨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컴포넌트는 연결부를 통하여 상기 안경 다리와 댐핑 회전 연결되고, 상기 연결부에는 제1 회전축, 고무 링과 제1 나비형 버클링 개스킷이 포함되며; 상기 제1 회전축은 상기 제1 컴포넌트 외측에 고정되고, 상기 안경 다리 상에 축공이 구비되며, 상기 제1 회전축은 상기 축공으로부터 관통되고 또한 순차적으로 상기 고무 링과 상기 제1 나비형 버클링 개스킷을 관통하며, 상기 제1 회전축 말단에는 제1 버클이 구비되고, 상기 제1 나비형 버클링 개스킷이 상기 버클을 버클링하여 상기 고무 링을 잠금 고정시킨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컴포넌트에는 또한 회전부가 포함되고, 상기 회전부는 상기 제1 컴포넌트를 앞부분과 뒤부분으로 구분하며, 상기 앞부분은 상기 제2 컴포넌트와 연결되고, 상기 뒤부분은 상기 안경 다리 외측벽과 댐핑 회전 연결되며, 또한 상기 앞부분과 상기 뒤부분은 상기 회전부를 통하여 댐핑 회전 연결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회전부에는 회전 연결 부품과 제2 회전축이 포함되며; 상기 제2 회전축은 상기 앞부분 상에 고정되고, 상기 회전부 연결 부품은 상기 제2 회전축 상에 씌워져 상기 제2 회전축과 억지끼움되며, 상기 회전 연결 부품의 말단은 상기 뒤부분에 고정 연결되고, 상기 제2 회전축과 상기 회전 연결 부품 사이에는 위치 제한 구조가 구비되며, 상기 위치 제한 구조는 상기 회전 연결 부품이 예정된 범위 내에서 상기 제2 회전축을 둘러싸고 회전하도록 제한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회전부에는 제2 회전축, 제1 회전축 어셈블리, 제2 회전축 어셈블리, 스프링, 제2 누름 개스킷과 제2 나비형 버클링 개스킷이 포함되며; 상기 제1 회전축 어셈블리와 상기 제2 회전축 어셈블리는 각각 상기 앞부분과 상기 뒤부분 상에 고정되고, 상기 제1 회전축 어셈블리와 상기 제2 회전축 어셈블리 상에는 모두 축공이 구비되며, 상기 제2 회전축은 상기 제1 회전축 어셈블리와 상기 제2 회전축 어셈블리를 관통한 후, 계속하여 순차적으로 상기 스프링, 상기 제2 누름 개스킷과 상기 제2 나비형 버클링 개스킷을 관통하며, 상기 제2 회전축 말단에는 제2 버클이 구비되고, 상기 제2 나비형 버클링 개스킷은 상기 제2 버클을 버클링하여 상기 제1 회전축 어셈블리, 상기 제2 회전축 어셈블리, 상기 스프링과 상기 제2 누름 개스킷을 잠금 고정시키며, 상기 제1 회전축 어셈블리와 상기 제2 회전축 어셈블리가 상호 접촉되는 면은 댐핑 마찰 면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회전부에는 제2 회전축과 클램핑 구조가 포함되며; 상기 제2 회전축은 상기 뒤부분 상에 고정되고, 상기 클램핑 구조는 상기 앞부분 상에 고정되며, 상기 클램핑 구조에는 복수개의 클램핑 턱이 포함되고, 복수개 상기 클램핑 턱은 모두 상기 제2 회전축에 클램핑되어 상기 제2 회전축과 억지끼움되며, 상기 제2 회전축 및/또는 상기 클램핑 턱은 자체 윤활 재질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회전부에는 제2 회전축과 실리카 겔 슬라이딩 홈이 포함되며; 상기 제2 회전축은 상기 앞부분 상에 고정되고, 상기 실리카 겔 슬라이딩 홈은 상기 뒤부분 상에 구비되며, 상기 실리카 겔 슬라이딩 홈은 복수개의 연통된 축공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2 회전축은 상기 실리카 겔 슬라이딩 홈 중의 한 축공을 관통하여 상기 축공과 억지끼움되며, 또한 상기 제2 회전축은 외력의 작용 하에 상기 실리카 겔 슬라이딩 홈을 따라 슬라이딩하여, 어느 한 상기 축공과 억지끼움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실리카 겔 슬라이딩 홈은 평행되는 두 개가 구비되고, 상기 제2 회전축은 두 상기 실리카 겔 슬라이딩 홈의 가지런한 축공을 관통하여 상기 축공과 억지끼움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증강현실 안경의 길이는 190mm보다 작거나 같고, 상기 증강현실 안경의 너비는 140mm보다 작거나 같으며, 상기 안경 다리 길이는 160mm보다 작거나 같다.
선택적으로, 상기 증강현실 안경의 중량은 100g보다 작거나 같다.
요약하면, 본 발명의 유익한 효과는 하기와 같다.
본 발명의 증강현실 안경은 광학 소자를 안경 본체의 외측에 설치하고, 광학 어셈블리의 적어도 일단이 안경 본체의 어느 한 안경 다리 상에 회전 연결되어, 광학 어셈블리로 하여금 안경 다리에 대하여 댐핑 회전하도록 하여, 회전 범위 내에서 간편하게 광학 어셈블리의 눈 앞의 상하 방향 상의 위치를 조절하여, 증강현실 이미지와 사람의 눈의 시선을 정확하게 매칭시켜 바람직한 증강현실 체험을 얻을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증강현실 안경의 조감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증강현실 안경의 측면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증강현실 안경 실시예1에서 보여주는 광학 어셈블리와 안경 본체 연결 구조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증강현실 안경 실시예2에서 보여주는 광학 어셈블리와 안경 본체 연결 구조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증강현실 안경 실시예3에서 보여주는 광학 어셈블리의 앞부분과 뒤부분 연결 구조도이다.
도6은 도5에 도시된 광학 어셈블리의 단면도.
도7은 본 발명의 증강현실 안경 실시예4에서 보여주는 광학 어셈블리의 앞부분과 뒤부분 연결 구조도이다.
도8은 도7에 도시된 광학 어셈블리의 단면도이다.
도9은 본 발명의 증강현실 안경 실시예5에서 보여주는 광학 어셈블리의 앞부분과 뒤부분 연결 구조도이다.
도10은 본 발명의 증강현실 안경의 다른 일 측면도이다.
도11은 본 발명의 증강현실 안경의 조절 각도 범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2는 본 발명의 증강현실 안경 실시예6에서 보여주는 광학 어셈블리의 앞부분과 뒤부분 연결 구조도이다.
도13은 도12 중의 실리카 겔 슬라이딩 홈 단면도이다.
도14는 본 발명의 증강현실 안경 실시예6의 조감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기술안 및 장점을 더욱 잘 이해하도록 하기 위하여, 아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방식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는, 광학 어셈블리를 안경 본체의 외측에 댐핑 회전 연결하여, 광학 어셈블리를 회전시키는 것을 통하여 증강현실 이미지의 위치를 조절하여 서로 다른 착용자의 두부 크기와 안경 위치에 적응시킴으로써, 착용자의 증강현실 체험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증강현실 안경의 조감도이고, 도2는 본 발명의 증강현실 안경의 측면도이다.
본 발명에서는 증강현실 안경을 개시하는 바,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경 본체(100)와 광학 어셈블리(200)가 포함된다. 광학 어셈블리(200)는 안경 본체(100) 상에 연결되고, 광학 어셈블리(200)는 안경 본체(100)의 외측에 구비된다. 안경 본체(100)의 외측이란 착용 시 안경 본체(100)가 사용자 두부와 등진 일측을 말한다. 광학 어셈블리(200)의 적어도 일단은 안경 본체(100)의 어느 한 안경 다리 상에 회전 연결된다. 광학 어셈블리(200)은 안경 다리에 대하여 댐핑 회전한다.
도1의 조감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학 어셈블리(200)의 일단은 안경 본체(100)의 안경 다리 외측에 연결되고, 광학 어셈블리(200)는 수직 주평면 방향에서 상하로 회전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가 해당 증강현실 안경을 착용할 때, 안경 전방의 상하 방향에서 광학 어셈블리(200)을 조절하여 광학 어셈블리(200)이 제공하는 증강현실 이미지와 시선이 정확하게 매칭되도록 한다. 예를 들면, 도2에서는 광학 어셈블리(200)가 (1) 위치로부터 아래로 (2) 위치로 회전되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광학 어셈블리(200)는 또한 여러 단이 안경 본체(100)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광학 어셈블리(200)를 두 렌즈를 가로지르도록 구비하고, 광학 어셈블리(200)의 양단이 각각 두 안경 다리와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광학 어셈블리(200)는 제1 컴포넌트(210)과 제2 컴포넌트(220)로 구성된 L형 구조로서, 도1에 도시된 바와 같다. 제1 컴포넌트(210)는 안경 다리와 댐핑 회전 연결되고, 또한 안경 다리 외측을 따라 구비된다. 제2 컴포넌트(220)에는 광학 소자가 포함되고, 또한 광학 소자는 안경 다리와 인접된 렌즈를 따라 구비된다. 광학 소자는 사용자에게 증강현실 장면의 영상 효과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프리즘 등 광학 렌즈를 포함할 수 있고, 또한 투명 또는 반투명의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는 바, 여기에서는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실시예1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1에서 보여주는 광학 어셈블리와 안경 본체 연결 구조 도면이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컴포넌트(210)는 연결부를 통하여 안경 다리와 댐핑 회전 연결되고, 연결부에는 제1 회전축(301), 제1 고무 링(302), 제1 누름 개스킷(303), 품림방지 개스킷(304), 제2 고무 링(305)과 조임 고정 나사(306)가 포힘된다.
제1 회전축(301)은 제1 컴포넌트(210) 외측에 고정되고, 안경 본체(100)의 안경 다리 상에는 축공이 구비된다. 제1 회전축(301)은 안경 다리의 축공으로부터 관통되고 또한 순차적으로 제1 고무 링(302), 제1 누림 개스킷(303), 품림방지 개스킷(304)과 제2 고무 링(305)을 관통하며, 조임 고정 나사(306)는 축 방향을 따라 제1 회전축(301)의 말단에 회전 삽입되어, 조임 고정 나사(306)가 제공하는 조임 고정력을 통하여, 제1 고무 링(301) 등 구조로 하여금 회전 시 마찰력을 발생시켜 댐핑 효과를 발생시킨다.
제1 누름 개스킷(303)은 평면형의 금속 개스킷으로서, 밀봉 효과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고, 강도가 높고 오래 사용할 수 있고 사용 수명이 길다. 풀림방지 개스킷(304)은 나사산 또는 뿔면이 구비된 금속 개스킷으로서, 조임 고정 나사(306)의 풀림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제1 고무 링(302)은 안경 본체(100)와 제1 누름 개스킷(303) 사이에 위치하고, 제2 고무 링(305)은 풀림방지 개스킷(304)과 조임 고정 나사(306) 사이에 위치한다. 제1 고무 링(302)과 제2 고무 링(305)은 탄력을 제공하는 동시에, 또한 금속 재질의 개스킷과 안경 본체(100) 또는 조임 고정 나사(306)의 마찰이 소음을 발생시키는 것을 방지하여, 무음 회전 조절을 구현하고 또한 제1 회전축(301)의 사용 수명을 연장시킨다.
실시예2
도4는 본 발명의 실시예2에서 보여주는 광학 어셈블리와 안경 본체의 다른 일 연결 구조 도면이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컴포넌트(210)는 연결부를 통하여 안경 다리와 댐핑 회전 연결되고, 연결부에는 제1 회전축(401), 고무 링(402)과 제1 나비형 버클링 개스킷(403)이 포함된다. 제1 회전축(401)은 제1 컴포넌트(210) 외측에 고정되고, 안경 다리 상에 축공이 구비되며, 제1 회전축(401)은 축공으로부터 관통되고 또한 순차적으로 고무 링(402)과 제1 나비형 버클링 개스킷(403)을 관통하며, 제1 회전축(401) 말단에는 제1 버클(4011)이 구비되고, 제1 나비형 버클링 개스킷(403)이 버클(4011)을 버클링하여 고무 링(402)을 잠금 고정시킨다.
해당 실시예2에서, 광학 어셈블리(200)와 안경 본체(100)의 안경 다리 사이는 제1 회전축(401)을 통하여 회전 연결을 구현하고, 또한 고무 링(402)이 존재하기 때문에, 고무 링(402)의 탄력과 마찰력의 작용 하에 광학 어셈블리(200)와 안경 다리 사이에 댐핑 회전을 형성하여, 회전 조절 감촉이 부드럽다. 또한 댐핑력에 의하여 광학 어셈블리(200)는 회전된 어느 한 위치에서 공중 정지할 수 있어, 서로 다른 사용자의 눈 위치에 적응하여, 양호한 증강현실 체험을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3
도5는 본 발명의 실시예3에서 보여주는 광학 어셈블리의 앞부분과 뒤부분의 제1 연결 구조 도면이다. 도6은 도5에 도시된 광학 어셈블리의 단면도이다.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컴포넌트(210)에는 또한 회전부가 포함되고, 회전부는 제1 컴포넌트(210)를 앞부분(211)과 뒤부분(212)으로 구분한다(도1 참조). 앞부분(211)은 제2 컴포넌트(220)와 연결되고, 뒤부분(212)은 안경 다리 외측벽과 댐핑 회전 연결되며, 또한 앞부분(211)과 뒤부분(212)은 회전부를 통하여 댐핑 회전 연결된다.
도5 및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앞부분(211)과 뒤부분(212) 사이의 회전부에는 제2 회전축(501)과 회전 연결 부품(502)이 포함된다. 제2 회전축(501)은 앞부분(211) 상에 고정된다. 회전부 연결 부품(502)은 제2 회전축(501) 상에 씌워져 제2 회전축(501)과 억지끼움된다. 회전 연결 부품(502)의 말단은 뒤부분(212)에 고정 연결된다. 제2 회전축(501)과 회전 연결 부품(502) 사이에는 위치 제한 구조가 구비되며, 위치 제한 구조는 회전 연결 부품(502)이 예정된 범위 내에서 제2 회전축(501)을 둘러싸고 회전하도록 제한한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회전 연결 부품(502)은 판금 공정 또는 금속 사출성형 공정을 통하여 가공 제작될 수 있고, 회전 연결 부품(502)과 제2 회전축(501)은 억지끼움을 통하여 댐핑 효과를 발생시킨다. 제2 회전축(501)은 나사(503)를 통하여 앞부분(211) 상에 잠금 고정되고, 회전 연결 부품(502)은 나사(504)를 통하여 뒤부분(212) 상에 잠금 고정된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제2 회전축(501)과 회전 연결 부품(502) 사이의 위치 제한 구조는 제2 회전축(501) 상의 축턱을 통하여 구현할 수 있다.
실시예4
도7은 본 발명의 실시예4에서 보여주는 광학 어셈블리의 앞부분과 뒤부분의 제2 연결 구조 도면이다. 도8은 도7에 도시된 광학 어셈블리의 단면도이다.
도7 및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학 어셈블리(200)의 앞부분(211)과 뒤부분(212) 사이의 회전부에는 제2 회전축(701), 제1 회전축 어셈블리(702), 제2 회전축 어셈블리(703), 스프링(704), 제2 누름 개스킷(705)과 제2 나비형 버클링 개스킷(706)이 포함된다. 제1 회전축 어셈블리9702)와 제2 회전축 어셈블리(703)은 각각 뒤부분(212)과 앞부분(211) 상에 고정된다. 제1 회전축 어셈블리(702)와 제2 회전축 어셈블리(703) 상에는 모두 축공이 구비된다. 제2 회전축(701)은 제1 회전축 어셈블리(702)와 제2 회전축 어셈블리(702)를 관통한 후, 계속하여 순차적으로 스프링(704), 제2 누름 개스킷(705)과 제2 나비형 버클링 개스킷(706)을 관통한다. 제2 회전축(701) 말단에는 제2 버클(7011)이 구비된다. 제2 나비형 버클링 개스킷(706)은 제2 버클(7011)을 버클링하여 제1 회전축 어셈블리(702), 제2 회전축 어셈블리(703), 스프링(704)과 제2 누름 개스킷(705)을 잠금 고정시킨다. 제1 회전축 어셈블리(702)와 제2 회전축 어셈블리(703)이 상호 접촉되는 면은 댐핑 마찰 면이다.
제1 회전축 어셈블리(702)과 제2 회전축 어셈블리(703) 상에는 나사산 홀이 구비되고, 제1 회전축 어셈블리(702)는 나사산 홀을 관통한 나사(707)를 통하여 뒤부분(212) 상에 고정된다. 제2 회전축 어셈블리(703)는 나사(708)를 통하여 앞부분(211) 상에 고정된다. 제2 회전축 어셈블리(701)는 순차적으로 제1 회전축 어셈블리(702)와 제2 회전축 어셈블리(702)의 축공 및 스프링(704), 제2 누름 개스킷(705)을 관통한다. 제2 회전축(701) 단부의 버클(7011)과 제2 나비형 버클링 개스킷(706)이 버클링되어 잠금 고정을 구현한다. 스프링(704)의 탄력의 작용 하에서, 제1 회전축 어셈블리(702)와 제2 회전축 어셈블리(703)이 한데 누름 고정된다. 회전 조절 시, 제1 회전축 어셈블리(702)와 제2 회전축 어셈블리(703) 사이의 마찰 저항력을 통하여 댐핑 효과를 구현한다.
실시예5
도9은 본 발명의 실시예5에서 보여주는 광학 어셈블리의 앞부분과 뒤부분의 제3 연결 구조 도면이다.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앞부분(211)과 뒤부분(212) 사이의 회전부에는 제2 회전축(901)과 클램핑 구조(902)가 포함된다. 제2 회전축(902)은 뒤부분(212) 상에 고정된다. 클램핑 구조(902)는 앞부분(211) 상에 고정된다. 클램핑 구조(902)에는 복수개의 클램핑 턱(9021)이 포함되는 바, 도9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두 개의 클램핑 턱(9021)이 포함된다. 하지만 클램핑 턱(9021)의 수량은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많은 수량을 구비하여 클램핑의 견고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복수개 클램핑 턱(9021)은 모두 제2 회전축(901)에 클램핑되어 제2 회전축(901)과 억지끼움된다. 제2 회전축(901) 및/또는 클램핑 턱(9021)은 자체 윤활 재질이다.
클램핑 구조(902)와 회전축(901)은 클램핑 방식으로 조립되기 때문에 조작이 간편하다. 또한 회전축(901)과 클램핑 턱(9021) 중의 적어도 하나에 자체 윤활 재질을 사용하기 때문에, 댐핑 회전 조절이 더욱 원활하고 조작 촉감이 더욱 편할 수 있다.
광학 어셈블리(200)의 제1 컴포넌트(210)을 분할 구조로 구성하고, 앞부분(211)과 뒤부분(212)의 상대적인 회전을 통하여 증강현실 이미지의 조절 범위를 더욱 확대할 수 있다. 도10은 본 발명의 증강현실 안경의 다른 일 측면도로서, 해당 측면도는 앞부분(211)이 뒤부분(212)에 대하여 아래로 회전하여, (1)’ 위치로부터 (2)’ 위치로 조절되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도11은 본 발명의 증강현실 안경의 조절 각도 범위 도면이다. 해당 도면은 안경 본체(100)와 광학 어셈블리(200) 사이 및 광학 어셈블리(100)의 앞부분(211)과 뒤부분(212) 사이의 2단계 회전 조절을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증강현실 안경은 2단계 회전축 조절을 구비하는 바, 안경 본체(100)와 광학 어셈블리(200) 사이의 제1 단계 회전축 조절 및 광학 어셈블리(100)의 앞부분(211)과 뒤부분(212) 사이의 제2 단계 회전축 조절이 포함된다.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학 어셈블리(200)가 곧게 펼쳐진 상태를 유지할 때, 제1 단계 회전축 회전 조절을 통하여, 광학 소자로 하여금 A단에 표시된 극한 위치와 B단에 표시된 극한 위치 사이에서 임의로 조절되게 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제1 단계 회전축을 이용하여 회전 조절을 진행한 후, 또한 다시 제2 단계 회전축 회전 조절을 통하여 계속하여 증강현실 이미지 위치에 대하여미세 조절을 진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A로 표시된 극한 위치에서, 제2 단계 회전축 회전 조절을 이용하여 광학 소자로 하여금 C1과 C2로 표시된 위치 사이에서 임의로 조절되게 할 수 있다. B로 표시된 극한 위치에서, 제2 단계 회전축 회전 조절을 통하여 광학 소자로 하여금 D1과 D2로 표시된 위치 사이에서 임의로 조절되게 할 수 있다.
제1 단계 회전축 회전 조절의 각도 범위는 φ로서, 예를 들면 도11에서는 φ=30°의 각도 범위 조절을 구현한다. 또한, 제2 단계 회전축 회전 조절을 통하여 해당 각도 조절 범위를 더욱 확대할 수 있는 바, 즉 원 A-B 각도 범위를 C1-D1 각도 범위로 확대할 수 있다. 이로써 착용 과정에서, 착용자는 제1 단계 회전축 회전 조절을 통하여 대략적인 조절을 진행하여 대략적인 위치로 조절한 후, 다시 제2 단계 회전축 회전 조절을 이용하여미세 조절을 구현하여, 증강현실 이미지로 하여금 사용자가 원하는 바람직한 위치에 도달하게 할 수 있다.
실시예6
도12는 본 발명의 실시예6에서 보여주는 광학 어셈블리의 앞부분과 뒤부분의 제4 연결 구조 도면이다. 도13은 도12 중의 실리카 겔 슬라이딩 홈 단면도이다. 도14는 본 발명의 증강현실 안경 실시예6의 조감도이다.
해당 실시예6에서, 광학 어셈블리(200)의 앞부분(211)과 뒤부분(212)은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조절을 구현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또한 슬라이딩 조절을 구현할 수 있다. 도12 및 도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앞부분(211)과 뒤부분(212) 사이의 회전부에는 제2 회전축(1201)과 실리카 겔 슬라이딩 홈(1202)이 포함된다. 제2 회전축(1201)은 나사(1203)에 의하여 앞부분(211) 상에 고정된다. 실리카 겔 슬라이딩 홈(1202)은 뒤부분(212) 상에 구비된다. 실리카 겔 슬라이딩 홈(1202)은 복수개의 연통된 축공(12021)으로 구성되고, 도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리카 겔 슬라이딩 홈(1202) 내에서 각 원호는 하나의 축공(12021)에 해당된다. 제2 회전축(1201)은 실리카 겔 슬라이딩 홈(1202) 중의 한 축공(12021)을 관통하여 축공(12021)과 억지끼움된다. 이로써 앞부분(211)과 뒤부분(212) 사이의 댐핑 회전 연결을 구현하여, 앞부분(211)으로 하여금 뒤부분(212)에 대하여 도12 중의 곡선 화살표에 따라 회전하도록 하여, 증강현실 이미지의 회전 조절을 구현한다.
그리고 제2 회전축(1201)은 또한 외력의 작용 하에 실리카 겔 슬라이딩 홈(1202)을 따라 슬라이딩하여, 어느 한 축공(12021)에 슬라이딩 삽입되고 또한 어느 한 축공과 억지끼움된다. 이로써 도12의 속이 빈 화살표의 방향에 따라 밀고 당기기 조작을 구현하여, 앞부분(211)으로 하여금 뒤부분(212)에 대하여 슬라이딩하도록 하여, 증강현실 이미지의 슬라이딩 조절을 구현한다.
바람직하게는, 실리카 겔 슬라이딩 홈(1202)은 평행되는 두 개가 구비되고, 제2 회전축(1201)은 두 실리카 겔 슬라이딩 홈(1202)의 가지런한 축공을 관통하여 축공(12021)과 억지끼움된다. 두 평행되는 실리카 겔 슬라이딩 홈(1202)을 통하여 제2 회전축(1201)과 배합됨으로써, 제2 회전축(1201)의 흔들림을 방지하고 회전 조절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실리카 겔 슬라이딩 홈(1202)의 수량은 이에 제한되지 않고, 더욱 많은 수량을 구비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바람직하게는, 실리카 겔 슬라이딩 홈(1202)과 뒤부분(212)의 플라스틱 케이스는 이중 재료 사출 공정을 통하여 제작된다. 이중 재료 사출 공정은 실리카 겔과 플라스틱 두 가지 재료가 더욱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하여, 본 실시예의 증강현실 안경으로 하여금 비교적 긴 사용 수명을 갖도록 할 수 있다.
도14의 조감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용 시 제2 컴포넌트(220) 상에 구비된 광학 소자가 증강현실 이미지를 제공한다. 주평면 내에서, 앞부분(211)을 밀고 당기는 것을 통하여 증강현실 안경의 눈 좌우 방향에서의 조절을 구현할 수 있다. 수직 주평면 상에서, 광학 어셈블리(200) 뒤부분(212)의 안경 본체(100)에 대한 회전 및 광학 어셈블리(200)의 앞부분(211)이 뒤부분(212)에 대한 회전을 통하여, 증강현실 이미지의 눈 전방의 상하 방향에서의 조절을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각 실시예에서, 증강현실 안경의 길이는 190mm보다 작거나 같고, 증강현실 안경의 너비는 140mm보다 작거나 같으며, 증강현실 안경의 안경 다리 길이는 160mm보다 작거나 같다.
본 발명의 상기 각 실시예에서, 증강현실 안경의 중량은 100g보다 작거나 같아, 안경의 경량화의 요구를 만족시키고 착용 쾌적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일부 실시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2)

  1. 안경 본체와 광학 어셈블리가 포함되고, 상기 광학 어셈블리는 상기 안경 본체 상에 연결되는 증강현실 안경에 있어서,
    상기 광학 어셈블리는 상기 안경 본체의 외측에 구비되고, 상기 광학 어셈블리의 적어도 일단은 상기 안경 본체의 어느 한 안경 다리 상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광학 어셈블리는 상기 안경 다리에 대하여 댐핑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안경.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어셈블리는 제1 컴포넌트와 제2 컴포넌트로 구성된 L형 구조이고, 상기 제1 컴포넌트는 상기 안경 다리와 댐핑 회전 연결되고, 또한 상기 안경 다리 외측을 따라 구비되며,상기 제2 컴포넌트에는 광학 소자가 포함되고, 또한 상기 광학 소자는 상기 안경 다리와 인접된 렌즈를 따라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안경.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컴포넌트는 연결부를 통하여 상기 안경 다리와 댐핑 회전 연결되고, 상기 연결부에는 제1 회전축, 제1 고무 링, 제1 누름 개스킷, 품림방지 개스킷, 제2 고무 링과 조임 고정 나사가 포힘되며,
    상기 제1 회전축은 상기 제1 컴포넌트 외측에 고정되고, 상기 안경 다리 상에는 축공이 구비되며, 상기 제1 회전축은 상기 축공으로부터 관통되고 또한 순차적으로 상기 제1 고무 링, 제1 누림 개스킷, 품림방지 개스킷과 제2 고무 링을 관통하며, 상기 조임 고정 나사는 축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회전축의 말단에 회전 삽입되어 상기 제1 고무 링, 제2 누림 개스킷, 풀림방지 개스킷과 제2 고무 링을 잠금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안경.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컴포넌트는 연결부를 통하여 상기 안경 다리와 댐핑 회전 연결되고, 상기 연결부에는 제1 회전축, 고무 링과 제1 나비형 버클링 개스킷이 포함되며,상기 제1 회전축은 상기 제1 컴포넌트 외측에 고정되고, 상기 안경 다리 상에 축공이 구비되며, 상기 제1 회전축은 상기 축공으로부터 관통되고 또한 순차적으로 상기 고무 링과 상기 제1 나비형 버클링 개스킷을 관통하며, 상기 제1 회전축 말단에는 제1 버클이 구비되고, 상기 제1 나비형 버클링 개스킷이 상기 버클을 버클링하여 상기 고무 링을 잠금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안경.
  5. 제2항 내지 제4항 중의 허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컴포넌트에는 또한 회전부가 포함되고, 상기 회전부는 상기 제1 컴포넌트를 앞부분과 뒤부분으로 구분하며, 상기 앞부분은 상기 제2 컴포넌트와 연결되고, 상기 뒤부분은 상기 안경 다리 외측벽과 댐핑 회전 연결되며, 또한 상기 앞부분과 상기 뒤부분은 상기 회전부를 통하여 댐핑 회전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안경.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에는 회전 연결 부품과 제2 회전축이 포함되며,상기 제2 회전축은 상기 앞부분 상에 고정되고, 상기 회전부 연결 부품은 상기 제2 회전축 상에 씌워져 상기 제2 회전축과 억지끼움되며, 상기 회전 연결 부품의 말단은 상기 뒤부분에 고정 연결되고, 상기 제2 회전축과 상기 회전 연결 부품 사이에는 위치 제한 구조가 구비되며, 상기 위치 제한 구조는 상기 회전 연결 부품이 예정된 범위 내에서 상기 제2 회전축을 둘러싸고 회전하도록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안경.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에는 제2 회전축, 제1 회전축 어셈블리, 제2 회전축 어셈블리, 스프링, 제2 누름 개스킷과 제2 나비형 버클링 개스킷이 포함되며, 상기 제1 회전축 어셈블리와 상기 제2 회전축 어셈블리는 각각 상기 앞부분과 상기 뒤부분 상에 고정되고, 상기 제1 회전축 어셈블리와 상기 제2 회전축 어셈블리 상에는 모두 축공이 구비되며, 상기 제2 회전축은 상기 제1 회전축 어셈블리와 상기 제2 회전축 어셈블리를 관통한 후, 계속하여 순차적으로 상기 스프링, 상기 제2 누름 개스킷과 상기 제2 나비형 버클링 개스킷을 관통하며, 상기 제2 회전축 말단에는 제2 버클이 구비되고, 상기 제2 나비형 버클링 개스킷은 상기 제2 버클을 버클링하여 상기 제1 회전축 어셈블리, 상기 제2 회전축 어셈블리, 상기 스프링과 상기 제2 누름 개스킷을 잠금 고정시키며, 상기 제1 회전축 어셈블리와 상기 제2 회전축 어셈블리가 상호 접촉되는 면은 댐핑 마찰 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안경.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에는 제2 회전축과 클램핑 구조가 포함되며,상기 제2 회전축은 상기 뒤부분 상에 고정되고, 상기 클램핑 구조는 상기 앞부분 상에 고정되며, 상기 클램핑 구조에는 복수개의 클램핑 턱이 포함되고, 복수개 상기 클램핑 턱은 모두 상기 제2 회전축에 클램핑되어 상기 제2 회전축과 억지끼움되며, 상기 제2 회전축 및/또는 상기 클램핑 턱은 자체 윤활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안경.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에는 제2 회전축과 실리카 겔 슬라이딩 홈이 포함되며; 상기 제2 회전축은 상기 앞부분 상에 고정되고, 상기 실리카 겔 슬라이딩 홈은 상기 뒤부분 상에 구비되며, 상기 실리카 겔 슬라이딩 홈은 복수개의 연통된 축공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2 회전축은 상기 실리카 겔 슬라이딩 홈 중의 한 축공을 관통하여 상기 축공과 억지끼움되며, 또한 상기 제2 회전축은 외력의 작용 하에 상기 실리카 겔 슬라이딩 홈을 따라 슬라이딩하여, 어느 한 상기 축공과 억지끼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안경.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카 겔 슬라이딩 홈은 평행되는 두 개가 구비되고, 상기 제2 회전축은 두 상기 실리카 겔 슬라이딩 홈의 가지런한 축공을 관통하여 상기 축공과 억지끼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안경.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증강현실 안경의 길이는 190mm보다 작거나 같고, 상기 증강현실 안경의 너비는 140mm보다 작거나 같으며, 상기 안경 다리 길이는 160mm보다 작거나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안경.
  12. 제1항 내지 제10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증강현실 안경의 중량은 100g보다 작거나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안경.
KR1020187019607A 2017-10-19 2017-11-14 증강현실 안경 KR10203497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710979031.XA CN107656382B (zh) 2017-10-19 2017-10-19 一种增强现实眼镜
CN201710979031.X 2017-10-19
PCT/CN2017/110920 WO2019075811A1 (zh) 2017-10-19 2017-11-14 一种增强现实眼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7972A true KR20190087972A (ko) 2019-07-25
KR102034976B1 KR102034976B1 (ko) 2019-11-08

Family

ID=611190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19607A KR102034976B1 (ko) 2017-10-19 2017-11-14 증강현실 안경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3499300A1 (ko)
JP (1) JP6695430B2 (ko)
KR (1) KR102034976B1 (ko)
CN (1) CN107656382B (ko)
WO (1) WO2019075811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1727A (ko) 2019-11-20 2021-05-28 김재근 스마트폰 거치 기능을 갖는 증강현실 기기
KR20220077000A (ko) 2020-12-01 2022-06-08 김재근 교육용 증강현실 기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98794A (zh) * 2018-04-20 2018-08-14 歌尔科技有限公司 一种增强现实设备
CN109031662B (zh) * 2018-07-19 2020-07-24 歌尔科技有限公司 增强现实设备的转轴机构和增强现实头戴设备
CN110837186A (zh) * 2020-01-02 2020-02-25 成都卧云科技有限公司 一种工业施工指导用ar眼镜
CN113655619A (zh) * 2021-08-17 2021-11-16 融信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增强现实单眼ar眼镜
CN116256898A (zh) * 2023-01-31 2023-06-13 富泰华工业(深圳)有限公司 Ar眼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022668A (ja) * 2015-07-15 2017-01-26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ウェアラブルディスプレイ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615516A5 (ko) * 1977-01-26 1980-01-31 Idf Co Ltd
AU3716495A (en) * 1994-08-31 1996-03-27 Virtual I/O, Inc. Personal display system
JP3930685B2 (ja) * 2001-01-29 2007-06-13 加藤電機株式会社 スナップフィットヒンジ
JP4198373B2 (ja) * 2002-03-26 2008-12-17 株式会社吉野工業所 簡易型蝶番を備えた蓋付きレフィル容器
JP2007243649A (ja) * 2006-03-09 2007-09-20 Konica Minolta Photo Imaging Inc 頭部装着式映像表示装置
US7631968B1 (en) * 2006-11-01 2009-12-15 Motion Research Technologies, Inc. Cell phone display that clips onto eyeglasses
JP2010078726A (ja) * 2008-09-24 2010-04-08 Brother Ind Ltd ヘッドマウントディスプレイ
JP2010226680A (ja) * 2009-03-25 2010-10-07 Olympus Corp 眼鏡装着型画像表示装置
JP5496030B2 (ja) * 2010-09-16 2014-05-21 オリンパス株式会社 頭部装着型画像表示装置
US20150009309A1 (en) * 2011-07-08 2015-01-08 Google Inc. Optical Frame for Glasses and the Like with Built-In Camera and Special Actuator Feature
US20130176626A1 (en) * 2012-01-05 2013-07-11 Google Inc. Wearable device assembly with input and output structures
JP2013258477A (ja) * 2012-06-11 2013-12-26 Nikon Corp ヘッドバンド及び頭部装着装置
EP2927735B1 (en) * 2014-03-14 2017-10-25 LG Electronics Inc. Head Mounted Display clipped on spectacles frame
TWI645230B (zh) * 2014-08-03 2018-12-21 帕戈技術股份有限公司 穿戴式照相機系統與用於將照相機系統或其他電子裝置附接至穿戴式製品之設備及方法
US10712573B2 (en) * 2015-07-06 2020-07-14 Frank Jones Methods and devices for demountable head mounted displays
JP6647036B2 (ja) * 2015-12-24 2020-02-14 オリンパス株式会社 ウェアラブル装置
CN205942091U (zh) * 2016-05-24 2017-02-08 北京云视智通科技有限公司 智能眼镜和智能眼镜转轴
CN206193388U (zh) * 2016-10-28 2017-05-24 沈阳万联科技股份有限公司 Ar智能学习眼镜
CN206489327U (zh) * 2017-01-24 2017-09-12 上海翊视皓瞳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智能眼镜的镜架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022668A (ja) * 2015-07-15 2017-01-26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ウェアラブルディスプレイ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1727A (ko) 2019-11-20 2021-05-28 김재근 스마트폰 거치 기능을 갖는 증강현실 기기
KR20220077000A (ko) 2020-12-01 2022-06-08 김재근 교육용 증강현실 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075811A1 (zh) 2019-04-25
KR102034976B1 (ko) 2019-11-08
EP3499300A4 (en) 2019-06-19
CN107656382A (zh) 2018-02-02
CN107656382B (zh) 2019-12-27
JP6695430B2 (ja) 2020-05-20
EP3499300A1 (en) 2019-06-19
JP2019537846A (ja) 2019-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87972A (ko) 증강현실 안경
US9164293B2 (en) Adjustable eyewear with fixed temple and method of manufacture
US10609467B1 (en) Head wearable equipment with adjustable bone-conductive acoustic device
KR102606307B1 (ko) 컴플라이언트 장착 암
EP3637794B1 (en) Head wearable equipment with adjustable bone-conductive acoustic device
WO2018003084A1 (ja) ウェアラブル装置及び調整方法
WO2021043305A1 (zh) 面罩及头戴式显示设备
US20080018859A1 (en) Apparatus for viewing two-dimensional images in 3-D
CN210427955U (zh) 眼镜壳体和头戴式显示设备
US10809536B2 (en) Augmented reality glasses
CN110730645A (zh) 耳罩组件
JPH07209616A (ja) 眼鏡におけるテンプルのクッション・モダン調節機構、およびそれに用いるアジャスト式クッション・モダン
CN207937712U (zh) 一种增强现实眼镜
KR101946990B1 (ko) 고정력을 향상시킨 탈부착 보조안경테가 구비된 안경
KR200455089Y1 (ko) 보조안경
CN112083571B (zh) 头戴式设备支架及头戴式设备
CN207924249U (zh) 一种头戴显示器
KR20160003557U (ko) 안경테
KR101077882B1 (ko) 안경테의 렌즈 설치구조
KR20120004635A (ko) 안경테용 안경다리의 힌지 구조
KR200310430Y1 (ko) 높이 조절 안경
CN205608313U (zh) 一种适用于影院的3d观影设备
CN207965350U (zh) 一种增强现实眼镜
CN212207878U (zh) 护目镜及组合眼镜
CN205880393U (zh) 一种眼镜束带定位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