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7175A - 한외여과 막 및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한외여과 막 및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7175A
KR20190087175A KR1020180005630A KR20180005630A KR20190087175A KR 20190087175 A KR20190087175 A KR 20190087175A KR 1020180005630 A KR1020180005630 A KR 1020180005630A KR 20180005630 A KR20180005630 A KR 20180005630A KR 20190087175 A KR20190087175 A KR 201900871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mbrane
period
temperature
film
humid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56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셩민 리
Original Assignee
셩민 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셩민 리 filed Critical 셩민 리
Priority to KR10201800056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87175A/ko
Publication of KR201900871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7175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7/00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 B01D67/0081After-treatment of organic or inorganic membranes
    • B01D67/0093Chemical modific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1/00Processes of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e.g. dialysis, osmosis or ultrafiltration; Apparatu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1/14Ultrafiltration; Microfiltration
    • B01D61/145Ultrafilt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7/00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 B01D67/0002Organic membrane manufacture
    • B01D67/0009Organic membrane manufacture by phase separation, sol-gel transition, evaporation or solvent quenching
    • B01D67/0016Coagulation
    • B01D67/00165Composition of the coagulation bath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7/00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 B01D67/0079Manufacture of membranes comprising organic and inorganic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7/00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 B01D67/0081After-treatment of organic or inorganic membranes
    • B01D67/0095Dry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preparation
    • B01D2323/08Specific temperatures appli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preparation
    • B01D2323/12Specific ratios of components us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preparation
    • B01D2323/15Use of additives
    • B01D2323/218Additive materials
    • B01D2323/2181Inorganic additives
    • B01D2323/21817Sa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5/00Details relating to properties of membranes
    • B01D2325/24Mechanical properties, e.g. strength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우수한 기계적 성질을 갖는 한외여과 막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우수한 기계적 성질을 갖는 리그노술폰산 나트륨을 캐스팅 막 용액에 첨가함으로써 본 발명의 한외여과 막의 보유율이 개선된다.

Description

한외여과 막 및 이의 제조 방법{AN ULTRAFILTRATION MEMBRANE AND ITS PREPARATION METHOD}
본 발명은 우수한 기계적 성질을 갖는 한외여과 막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한외여과 막 (ultrafiltration membrane)은 장시간 동안 가압되기는 하지만 기계적 성질이 좋지 않기 때문에, 한외여과 막의 수명이 단축되고, 막 모듈 (membrane module) 중의 한외여과 막을 자주 교체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한외여과 막의 기계적 성질을 개선시킬 수 있는 한외여과 막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우수한 기계적 성질을 갖는 한외여과 막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우수한 기계적 성질을 갖는 한외여과 막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우수한 기계적 성질을 갖는 리그노술폰산 나트륨을 캐스팅 막 용액에 첨가함으로써 본 발명의 한외여과 막의 보유율 (retention rate)이 개선된다.
실시예 1
단계 1: 폴리에테르 술폰 케톤 (Polyether sulfone ketone) 16g, 리그노술폰산 나트륨 (Sodium lignosulfonate) 8g 및 폴리에틸렌 글리콜 400 (polyethylene glycol 400) 0.8g을 3구 플라스크에 첨가하는 단계;
단계 2: 그 후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 50g를 3구 플라스크에 첨가하여, 혼합물을 수득하고, 상기 혼합물을 65℃에서 5시간 동안 교반하는 단계;
단계 3: 20℃의 온도, 20%의 습도인 환경에서 8시간 동안 거품 제거 (defoaming)를 위해 둠으로써 균일한 무-거품 (foam-free) 캐스팅 막 (casting membrane) 용액을 수득하는 단계;
단계 4: 상기 캐스팅 막 용액을 유리 기판 (glass substrate) 상에 붓고, 유리 기판 상의 캐스팅 막 용액을 막 어플리케이터 (membrane applicator)로 도포하여 200㎛의 두께를 갖는 액상 막을 수득하는 단계;
단계 5: 그 위에 액상 막이 형성된 유리 기판을 20℃의 온도, 20%의 습도인 환경에서 15초 동안 휘발시키도록 두는 단계;
단계 6: 그 위에 액상 막이 형성된 유리 기판을 탈이온수 중에 두어서, 상기 액상 막이 고상 (solid-state) 막이 되도록 고형화시키는 단계;
단계 7: 상기 고상 막을 탈이온수에서 꺼내어, 공기-건조시키고 (air-dried), 10분 동안 건조 오븐에 두어서 한외여과 막을 수득하는 단계.
참조예로서, 리그노술폰산 나트륨이 첨가되지 않는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모든 실험 조건들은 실시예 1의 것과 동일하다.
Figure pat00001
실시예 1-3에서, 폴리에테르 술폰 케톤의 질량 농도가 각각 32%, 20% 및 50%인 것을 제외하고는, 모든 실험 조건들은 동일하다.
실시예 1, 4 및 5에서, 리그노술폰산 나트륨과 폴리에테르 술폰 케톤 사이의 질량비가 각각 0.5:1, 0.1:1 및 1:1인 것을 제외하고는, 모든 실험 조건들은 동일하다.
실시예 1, 6 및 7에서, 폴리에틸렌 글리콜 400과 폴리에테르 술폰 케톤 사이의 질량비가 각각 0.05:1, 0.01:1 및 0.1:1인 것을 제외하고는, 모든 실험 조건들은 동일하다.
실시예 1 및 8에서, 다음을 제외하고 모든 실험 조건들은 동일하다: 실시예 1에서, 제2 온도 및 제3 온도, 제1 습도 및 제2 습도는 각각 20℃, 20℃, 20% 및 20%이지만; 실시예 8에서는 이들은 각각 15℃, 25℃, 10% 및 30%이다. 즉, 거품을 제거하고 고상막을 형성하기 위한 환경이 상이하다.
실시예 1, 9 및 10에서, 이들의 제1 온도, 제1 기간, 제2 기간 및 제3 기간이 상이한 것을 제외하고 모든 실험 조건들은 동일한데, 즉, 캐스팅 막 용액을 제조하기 위한 온도, 캐스팅 막 용액을 제조하기 위한 기간, 도포된 액상 막을 휘발시키기 위한 기간 및 막 샘플을 건조시키기 위한 기간이 상이하다.
시험예 1
실시예 1-10 및 참조예에서 제조된 막의 기계적 성질을 측정 및 비교하였고, 측정 결과들을 표 2에 나타내었다.
기계적 성질 테스트:
테스트 장비: 종이 및 판지 (paper board) 인장 시험기 ZL-100A
테스트 단계:
첫번째로, 테스트되어질 (to-be-tested) 막 샘플을 시험기에 적합한 형상으로 절단하고 스케일 거리 (scale distance)를 2개의 마킹 라인으로 표시하는 단계;
둘째로, 상기 절단된 막 샘플을 시험기의 홀더 (holder)에 놓고 조심스럽게 대칭 위치를 조절하여 신장력 (stretching force)이 막 샘플의 횡단면 상에 균일하게 분포되도록 하는 단계;
최종적으로, 시험기를 개시하고, 막 샘플이 파단되는 최대 힘 (± 1%의 오차를 포함)과 2개의 마킹 라인의 내측 면들 사이의 거리 (± 1.25mm 오차를 포함)를 기록하는 단계.
기계적 성질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Figure pat00002
여기서, P는 평균 인장 강도이고, F는 파단 시 최대 힘, A는 평균 초기 단면적이고,
Figure pat00003
여기서, α는 파단 시 연신율 (elongation), L은 파단 시 스케일 거리, L 0는 초기 스케일 거리이다.
시험예 2
수-플럭스 (water fluxes) 및 메틸렌 블루의 보유율 측정
테스트 압력: 0.1Mpa
테스트 단계:
첫번째로, 막 샘플을 막 특성 시험기에 장착하는 단계;
두번째로, 탈이온수를 막 특성 시험기의 멤브레인 풀 (membrane pool)에 채우는 단계;
최종적으로, 막 샘플의 수-플럭스를 계산하기 위하여, 상기 멤브레인 풀을 가압하여 멤브레인 풀 중의 탈이온수가 막을 통과하여 출구 단부 (outlet end)로부터 유출되도록 하는 단계.
상기 플럭스의 계산식은 다음과 같다:
Figure pat00004
여기서, B는
Figure pat00005
의 단위를 갖는 막 샘플의 수-플럭스이고, V는 막 특성 시험기의 출구 단부로부터 유출되는 물의 총 부피이고, D는 막 샘플의 면적이며, t는 총 테스트 시간이다.
보유율 테스트:
테스트 장비: 한외여과 컵, 자외선-가시광선 분광광도계
테스트 압력: 1Mpa
테스트 단계:
첫번째로, 막 샘플을 한외여과 컵에 장착하는 단계.
두번째로, 1g/L의 메틸렌 블루 수용액을 한외여과 컵의 멤브레인 풀에 채우는 단계.
세번째로, 상기 멤브레인 풀을 가압하여 상기 멤브레인 풀 중의 메틸렌 블루 수용액이 막을 통과하도록 하고, 여기서 메틸렌 블루의 적어도 일부가 막 상에 보유되고, 나머지 메틸렌 블루 수용액이 출구 단부로부터 유출되는 단계.
최종적으로, 멤브레인 풀 중의 메틸렌 블루 수용액의 메틸렌 블루 농도 및 출구 단부로부터 유출되는 메틸렌 블루 수용액을 자외선 분광광도계로 검출하여, 막 샘플의 메틸렌 블루 보유율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보유율의 계산식은 다음과 같다:
Figure pat00006
여기서, R은 막 샘플의 메틸렌 블루 보유율이고, c는 출구 단부로부터 유출되는 메틸렌 블루 수용액의 메틸렌 블루 농도이고, c 0 멤브레인 풀 중의 메틸렌 블루 수용액의 메틸렌 블루 농도이다.
Figure pat00007
표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시예 1-10은 참조예보다 더 높은, 평균 인장 강도 및 파단 시 연신율을 가지며, 이는 리그노술폰산 나트륨의 첨가가 막의 기계적 성질을 개선시킬 수 있음을 나타낸다.
또한, 실시예 1-10과 참조예 사이의 수-플럭스 및 메틸렌 블루 보유율을 비교함으로써 얻어진 비교 결과는 다음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캐스팅 막 용액 중의 적절한 양의 리그노술폰산 나트륨의 첨가로, 본 발명의 한외여과 막의 보유율은 상기 플럭스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환경 하에서 개선된다.
표 1 및 표 2를 조합하여, 하기의 결론을 얻는다:
실시예 1-3에서, 폴리에테르 술폰 케톤의 질량 농도는 각각 32%, 20% 및 50%이며, 반면에 다른 실험 조건들은 동일하다. 실시예 1은 평균 인장 강도, 파단 시 연신율, 수-플럭스 및 메틸렌 블루 보유율이 실시예 2 및 실시예 3의 것보다 더 우수한 것을 알 수 있으며, 이는 폴리에테르 술폰 케톤의 바람직한 질량 농도가 32%임을 나타낸다.
실시예 1, 4 및 5에서, 실시예 1은 평균 인장 강도, 파단 시 연신율, 수-플럭스 및 메틸렌 블루 보유율이 실시예 4 및 실시예 5의 것보다 더 우수한 것을 알 수 있으며, 이는 리그노술폰산 나트륨과 폴리에테르 술폰 케톤의 바람직한 질량비가 0.5:1임을 나타낸다.
실시예 1, 6 및 7에서, 실시예 1은 평균 인장 강도, 파단 시 연신율, 수-플럭스 및 메틸렌 블루 보유율이 실시예 6 및 실시예 7의 것보다 더 우수한 것을 알 수 있으며, 이는 폴리에틸렌 글리콜 400과 폴리에테르 술폰 케톤의 바람직한 질량비가 0.05:1임을 나타낸다.
실시예 1과 실시예 8을 비교하면, 실시예 1은 평균 인장 강도, 파단 시 연신율, 수-플럭스 및 메틸렌 블루 보유율이 실시예 8의 것보다 더 우수한 것을 알 수 있으며, 이는 제2 온도, 제3 온도, 제1 습도 및 제2 습도가 각각 20℃, 20℃, 20% 및 20%인 것이 바람직한 것임을 나타낸다.
실시예 1, 9 및 10을 비교하면, 실시예 1은 평균 인장 강도, 파단 시 연신율, 수-플럭스 및 메틸렌 블루 보유율이 실시예 9-10의 것보다 더 우수한 것을 알 수 있으며, 이는 제1 온도, 제1 기간, 제2 기간 및 제3 기간이 각각 65℃, 8시간, 15초 및 10분인 것이 바람직한 것임을 나타낸다.
결론적으로, 참조예와 비교하여, 실시예 1-10이 바람직하고; 실시예 1, 실시예 4, 실시예 7 및 실시예 8가 더욱 바람직하며; 실시예 1이 가장 바람직하다.

Claims (5)

  1. 하기 단계들을 포함하는, 한외여과 (ultrafiltration) 막의 제조 방법:
    제1 온도에서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 중의 폴리에테르 술폰 케톤, 리그노술폰산 나트륨 (Sodium lignosulfonate) 및 폴리에틸렌 글리콜 400을 용해시켜 초기 캐스팅 막 (casting membrane) 용액을 형성하고, 제2 온도 및 제1 습도에서 제1 기간 동안 거품 제거를 위해 둠으로써 처리된 캐스팅 막 용액을 수득하는 단계;
    상기 처리된 캐스팅 막 용액을 유리 기판 (glass substrate) 상에 붓고, 막 어플리케이터 (membrane applicator)를 사용하여 150-250㎛의 두께를 갖는 액상 막을 수득하는 단계;
    상기 액상 막을 제3 온도 및 제2 습도에서 제2 기간 동안 휘발시키도록 하고, 유리 기판을 그 위에 형성된 상기 액상 막과 함께 응고욕 (coagulation bath) 중에 두어서, 상기 액상 막이 고형화되도록 하여 고상 (solid-state) 막을 수득하는 단계; 및
    상기 고상 막을 응고욕에서 꺼내어, 공기-건조시키고 (air-drying), 이를 제3 기간 동안 건조 오븐에서 건조시켜 한외여과 막을 수득하는 단계.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온도는 50-90℃이고;
    상기 제2 온도는 15-25℃이고;
    상기 제3 온도는 15-25℃이고;
    상기 제1 습도는 10%-30%이고;
    상기 제2 습도는 10%-30%이고;
    상기 제1 기간은 6-10 시간이고;
    상기 제2 기간은 10-120 초이고;
    상기 제3 기간은 60 분인, 한외여과 막의 제조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처리된 캐스팅 막 용액에서,
    폴리에테르 술폰 케톤의 질량 농도는 20%-40%이고,
    리그노술폰산 나트륨과 폴리에테르 술폰 케톤 사이의 질량비는 0.1-1:1이고,
    폴리에틸렌 글리콜 400과 폴리에테르 술폰 케톤 사이의 질량비는 0.01-0.1:1인, 한외여과 막의 제조 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세번째 단계에서, 상기 응고욕은 탈이온수 (deionized water)인, 한외여과 막의 제조 방법.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따라 제조된 한외여과 막.
KR1020180005630A 2018-01-16 2018-01-16 한외여과 막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9008717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5630A KR20190087175A (ko) 2018-01-16 2018-01-16 한외여과 막 및 이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5630A KR20190087175A (ko) 2018-01-16 2018-01-16 한외여과 막 및 이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7175A true KR20190087175A (ko) 2019-07-24

Family

ID=674810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5630A KR20190087175A (ko) 2018-01-16 2018-01-16 한외여과 막 및 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8717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992041A (zh) * 2020-09-10 2020-11-27 德州学院 一种木质素基聚电解质纳滤膜及其制备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992041A (zh) * 2020-09-10 2020-11-27 德州学院 一种木质素基聚电解质纳滤膜及其制备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66769C9 (ru) Полиимидные мембраны из полимеризационных растворов
CN109012236B (zh) 铸膜液、超滤膜以及制备超滤膜的方法
US11565217B2 (en) Composition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ulfone polymer membrane
KR100903804B1 (ko) 개질막
US4964990A (en) Filtration membranes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5108607A (en) Filtration membranes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KR102147691B1 (ko) 폴리이미드 막의 제조 방법
Alsalhy et al. Poly (ether sulfone)(PES) hollow-fiber membranes prepared from various spinning parameters
US20050229681A1 (en) Gas permeation method for porous membrane
EP3479892A1 (en) Composite semipermeable membrane and method for producing composite semipermeable membrane
Lang et al.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s of charged poly (vinyl butyral) hollow fiber ultrafiltration membranes with perfluorosulfonic acid as additive
KR20190087175A (ko) 한외여과 막 및 이의 제조 방법
JP3698078B2 (ja) 非対称中空糸ガス分離膜の製造方法
KR102473581B1 (ko) 한외여과막 및 이의 제조 방법
JP5633128B2 (ja) 分離膜の製造方法
KR20190084631A (ko) 한외여과 막 및 이의 제조방법
CN105611993B (zh) 用于制造氟聚合物膜的方法
KR20190082499A (ko) 한외여과막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002597B1 (ko) 다공성 멤브레인의 제조 방법
KR20190056660A (ko) 한외여과 멤브레인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2464154B1 (ko) 한외여과막 및 그 제조 방법
KR20190071286A (ko) 초미세여과 멤브레인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90077994A (ko) 한외 여과 멤브레인과 이의 제조 방법
KR20190083732A (ko) 한외 여과 멤브레인 및 이의 제조 방법
US20200039121A1 (en) Ultrafiltration membrane and its preparation metho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