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2499A - 한외여과막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한외여과막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2499A
KR20190082499A KR1020180000165A KR20180000165A KR20190082499A KR 20190082499 A KR20190082499 A KR 20190082499A KR 1020180000165 A KR1020180000165 A KR 1020180000165A KR 20180000165 A KR20180000165 A KR 20180000165A KR 20190082499 A KR20190082499 A KR 201900824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riod
film
ultrafiltration membrane
temperature
membra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01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성민 리
Original Assignee
상하이 지슈아이 바이오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상하이 지슈아이 바이오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상하이 지슈아이 바이오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to KR10201800001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82499A/ko
Publication of KR201900824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2499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7/00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 B01D67/0002Organic membrane manufacture
    • B01D67/0009Organic membrane manufacture by phase separation, sol-gel transition, evaporation or solvent quenching
    • B01D67/0013Casting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1/00Processes of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e.g. dialysis, osmosis or ultrafiltration; Apparatu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1/14Ultrafiltration; Microfiltration
    • B01D61/145Ultrafilt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7/00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 B01D67/0002Organic membrane manufacture
    • B01D67/0009Organic membrane manufacture by phase separation, sol-gel transition, evaporation or solvent quenching
    • B01D67/0016Coagu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7/00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 B01D67/0002Organic membrane manufacture
    • B01D67/0009Organic membrane manufacture by phase separation, sol-gel transition, evaporation or solvent quenching
    • B01D67/0016Coagulation
    • B01D67/00165Composition of the coagulation bath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7/00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 B01D67/0081After-treatment of organic or inorganic membranes
    • B01D67/0095Dry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preparation
    • B01D2323/08Specific temperatures appli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preparation
    • B01D2323/12Specific ratios of components us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preparation
    • B01D2323/15Use of additives
    • B01D2323/218Additive materials
    • B01D2323/2182Organic additives
    • B01D2323/21839Polymeric addit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5/00Details relating to properties of membranes
    • B01D2325/24Mechanical properties, e.g. strength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계적 성질이 우수한 한외여과막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기계적 성질이 높은 가황 리그닌이 주조 막 용액에 첨가되므로 본 발명의 한외여과막의 유지율이 향상된다.

Description

한외여과막 및 이의 제조방법 {An Ultrafiltration Membrane and Its Preparation Method}
본 발명은 기계적 성질이 우수한 한외여과막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한외여과막은 장시간 눌려있지만 기계적 성질이 좋지 않기 때문에, 한외여과막의 사용기간이 짧아지고, 막 모듈의 한외여과막을 자주 교체해야 한다.
따라서, 한외여과막의 기계적 성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한외여과막을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기계적 성질이 우수한 한외여과막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기계적 성질이 우수한 한외여과막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기계적 성질이 높은 가황 리그닌이 주조 막 용액에 첨가되므로 본 발명의 한외여과막의 유지율이 향상된다.
실시예 1
1단계: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Polyvinylidene fluoride) 16g, 가황 리그닌 (Vulcanized lignin) 8g 및 에틸 에테르 (Ethyl ether) 0.8g을 삼구플라스크에 넣음;
2단계: 그 다음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 50g을 삼구플라스크에 넣어 혼합물을 수득한 후, 혼합물을 65℃에서 5시간 동안 교반함;
3단계: 온도 20℃ 및 습도 20%의 환경에서 8시간 동안 거품을 제거하여 균일한 거품이 없는 주조 (casting) 막 용액을 수득함;
4단계: 주조 막 용액을 유리 기판상에 붓고, 유리 기판상의 주조 막 용액을 막 어플리케이터로 도포하여 200㎛ 두께의 액상 막을 수득함;
5단계: 액상 막이 형성된 유리 기판을 온도 20℃ 및 습도 20%의 환경에서 15초 동안 휘발시킴;
6단계: 액상 막이 형성된 유리 기판을 탈 이온수에 넣어 액상 막을 고형 막으로 응고시킴; 및
7단계: 고형 막을 탈 이온수로부터 꺼내어 공기 중에서 건조시키고, 10분 동안 건조 오븐에 넣어 한외여과막을 수득하였다.
참고 예의 모든 실험 조건은 가황 리그닌을 첨가하지 않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다.
항목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실시예 7 실시예 8 실시예 9 실시예 10 참고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의 질량 농도(%) 32 20 50 32 32 32 32 32 32 32 32
가황 리그닌과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의 질량비 0.5:1 0.5:1 0.5:1 0.1:1 1:1 0.5:1 0.5:1 0.5:1 0.5:1 0.5:1 -
에틸 에테르와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의 질량비 0.05:1 0.05:1 0.05:1 0.05:1 0.05:1 0.01:1 0.1:1 0.05:1 0.05:1 0.05:1 0.05:1
제1온도 (→) 65 65 65 65 65 65 65 65 50 90 65
제2온도 (→) 20 20 20 20 20 20 20 15 20 20 20
제3온도 (→) 20 20 20 20 20 20 20 25 20 20 20
제1습도 (%) 20 20 20 20 20 20 20 10 20 20 20
제2습도 (%) 20 20 20 20 20 20 20 30 20 20 20
제1기간 (시간,h) 8
8 8 8 8 8 8 8 10 6 8
제2기간 (초, s) 15
15 15 15 15 15 15 15 10 120 15
제3기간 (분, min) 10
10 10 10 10 10 10 10 5 60 10
실시예 1 내지 3은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의 질량 농도가 각각 32%, 20% 및 50%라는 것을 제외하고는 모든 실험 조건이 동일하다.
실시예 1, 4 및 5는 가황 리그닌과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의 질량비가 각각 0.5:1, 0.1:1 및 1:1이라는 것을 제외하고는 모든 실험 조건이 동일하다.
실시예 1, 6 및 7은 에틸 에테르와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의 질량비가 각각 0.05:1, 0.01:1 및 0.1:1이라는 것을 제외하고는 모든 실험 조건이 동일하다.
실시예 1 및 8에서, 제2 및 제3온도, 제1 및 제2습도 각각이 예 1은 20℃, 20℃, 20% 및 20%이지만, 실시예 8은 각각이 15℃, 25℃, 10% 및 30%라는 것을 제외하고는 모든 실험 조건이 동일하다. 즉, 거품제거 및 고체 상태 막의 형성 환경이 다르다.
실시예 1, 9 및 10은 제1온도, 제1, 제2, 제3기간이 상이한 것을 제외하고는 모든 실험 조건이 동일하며, 이는 주조 막 용액 제조 온도, 주조 막 용액 제조 기간, 도포된 액상 막을 휘발시키는 기간 및 막 샘플을 건조시키는 기간이 다른 것이다.
실험예 1
실시예 1 내지 10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막의 기계적 성질을 측정하고 비교하여, 측정 결과를 표 2에 나타냈다.
기계적 성질 시험:
시험장비: 종이 및 보드지 인장 시험기 ZL-100A
시험 단계:
첫째, 시험할 막 샘플을 시험기에 적합한 모양으로 자르고 스케일 거리를 2개의 선으로 표시한다;
둘째, 자른 막 샘플을 시험기의 홀더에 놓고, 막 샘플의 단면상에 늘리는 힘이 균일하게 분포되도록 대칭 위치로 조심스럽게 조절한다;
마지막으로, 시험기를 시동하여, 막 샘플이 파단되는 최대 힘 (오차 ±1%) 및 2개의 표시된 선의 안쪽 사이의 거리 (오차 ±1.25 mm)를 기록한다.
기계적 성질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Figure pat00001
상기 식에서, P는 평균 인장 강도이고, F는 파단시 최대 힘이며, A는 평균 초기 단면적이고,
Figure pat00002
상기 식에서, α는 파손시 신장률이고, L은 파단시 스케일 거리이며, L 0 는 초기 스케일 거리이다.
시험예 2
유수량 (water flux) 및 메틸렌 블루 보유율 측정
시험 압력: 0.1Mpa
시험 단계:
첫째, 막 샘플을 막 성질 시험기에 장착한다;
둘째, 탈 이온수를 막 성질 시험기의 막 풀 (pool)에 채운다;
마지막으로, 막 풀내의 탈 이온수가 막을 통과하여 배출구 말단으로부터 유출되도록 막 풀을 가압하고, 막 샘플의 유수량을 계산한다.
유출의 계산식:
Figure pat00003
상기 식에서, B는 (Lㆍm -2 ㆍh -1 ) 단위의 막 샘플의 유수량이며, V는 막 성질 시험기의 배출구 말단으로부터 유출되는 물의 총 부피이고, D는 막 샘플의 면적이며, t는 총 시험 시간이다.
보유율 시험:
시험 장비: 한외 여과 컵, 자외선-분광 광도계
시험 압력: 1Mpa
시험 단계:
첫째, 막 샘플을 한외 여과 컵에 장착한다.
둘째, 1g/L 메틸렌 블루 수용액을 한외 여과 컵의 막 풀 (pool)에 채운다.
셋째, 막 풀내의 메틸렌 블루 수용액이 막을 통과할 수 있도록 막 풀을 가압하며, 상기 메틸렌 블루의 적어도 일부는 막에 보유되고 메틸렌 블루 수용액의 나머지는 배출구 말단으로부터 유출된다.
마지막으로, 막 풀내의 메틸렌 블루 수용액의 메틸렌 블루 농도 및 배출구 말단으로부터 유출되는 메틸렌 블루 수용액을 자외선 분광 광도계로 검출하고, 막 샘플의 메틸렌 블루 보유율을 계산한다.
보유율의 계산식:
Figure pat00004
상기 식에서, R은 막 샘플의 메틸렌 블루 보유율이며, c는 배출구 말단으로부터 유출되는 메틸렌 블루 수용액의 메틸렌 블루 농도이고, c 0 은 막 풀내의 메틸렌 블루 수용액의 메틸렌 블루 농도이다.
실시예 평균 인장 강도 (Mpa) (23℃) 파단시 신장률
(%)
유수량
(Lm-2ㆍMPa-1ㆍh-1)
메틸렌 블루 보유율 (%)
실시예 1 150.9 100 139.2 56
실시예 2 101.1 60 144.5 19
실시예 3 129.3 76 100.7 47
실시예 4 104.1 58 135.5 39
실시예 5 136.9 90 99.7 49
실시예 6 149.5 93 94.8 41
실시예 7 143.2 80 112.4 38
실시예 8 141.1 93 130.2 52
실시예 9 132.1 86 128.9 36
실시예 10 134.5 87 105.9 62
참고 89.7 55 103.6 34
표 2에서 볼 수 있는 것과 같이, 실시예 1-10은 평균 인장 강도 및 파단시 신장률이 참고 예의 것보다 높고, 이는 가황 리그닌의 첨가가 막의 기계적 성질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나타낸다.
또한, 실시예 1-10 및 침고예 사이에 유수량 및 메틸렌 블루 보유율을 비교하여 얻어진 결과는 다음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주조 막 용액에 적당량의 가황 리그닌을 첨가하면, 유출 (flux)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환경에서 본 발명의 한외여과막의 유지율은 향상된다.
표 1 및 2를 조합하면, 다음 결론을 얻는다:
실시예 1-3에서,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의 질량 농도는 각각 32%, 20% 및 50%이며, 다른 실험조건은 동일하다. 실시예 1은 평균 인장 강도, 파단시 신장율, 유수량 및 메틸렌 블루 보유율이 실시예 2 및 3의 것보다 더 좋은 것을 볼 수 있으며, 이는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의 바람직한 질량 농도가 32%임을 나타낸다.
실시예 1, 4 및 5에서, 실시예 1은 평균 인장 강도, 파단시 신장율, 유수량 및 메틸렌 블루 보유율이 실시예 4 및 5의 것보다 더 좋은 것을 볼 수 있으며, 이는 가황 리그닌과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의 바람직한 질량비가 0.5:1임을 나타낸다.
실시예 1, 6 및 7에서, 실시예 1은 평균 인장 강도, 파단시 신장율, 유수량 및 메틸렌 블루 보유율이 실시예 6 및 7의 것보다 더 좋은 것을 볼 수 있으며, 이는 에틸 에테르와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의 바람직한 질량비가 0.05:1임을 나타낸다.
실시예 1 및 8을 비교하면, 실시예 1은 평균 인장 강도, 파단시 신장율, 유수량 및 메틸렌 블루 보유율이 실시예 8의 것보다 더 좋은 것을 볼 수 있으며, 이는 제2온도, 제3온도, 제1습도 및 제2습도가 각각 20℃, 20℃, 20% 및 20%인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1, 9 및 10을 비교하면, 실시예 1은 평균 인장 강도, 파단시 신장율, 유수량 및 메틸렌 블루 보유율이 실시예 9-10의 것보다 더 좋은 것을 볼 수 있으며, 이는 제1온도, 제1기간, 제2기간 및 제3기간이 각각 65℃, 8시간, 15초 및 10분인 것이 바람직하다.
결론적으로, 참고 예와 비교하여, 실시예 1-10이 바람직하고, 실시예 1, 실시예 4, 실시예 7 및 실시예 8이 더욱 바람직하며, 실시예 1이 가장 바람직하다.

Claims (5)

  1. 다음 단계를 포함하는 한외여과막의 제조방법:
    제1온도에서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Polyvinylidene fluoride), 가황 리그닌 (Vulcanized lignin ) 및 에틸 에테르 (Ethyl ether)를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에 용해시켜 초기 주조 (casting) 막 용액을 형성시키고, 제2온도 및 제1습도에서 제1기간 동안 거품을 제거하여 처리된 주조 막 용액을 얻는 단계;
    상기 처리된 주조 막 용액을 유리 기판상에 붓고, 막 어플리케이터 (applicator)를 이용하여 150-250㎛ 두께의 액상 막을 얻는 단계;
    상기 액상 막을 제3온도 및 제2습도에서 제2기간 동안 휘발시키고, 상기 액상 막이 형성된 유리 기판을 응고 조 (bath)에 넣어 액상 막을 고형화시켜 고형 막을 얻는 단계; 및
    응고 조에서 고형 막을 꺼내어 공기 건조시키고, 제3기간 동안 건조 오븐에서 건조시켜 한외여과막을 얻는 단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온도는 50-90℃;
    제2온도는 15-25℃;
    제3온도는 15-25℃;
    제1습도는 10%-30%;
    제2습도는 10%-30%;
    제1기간은 6-10시간;
    제2기간은 10-120초; 및
    제3기간은 60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외여과막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된 주조 막 용액은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의 질량 농도가 20%-40%,
    가황 리그닌과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의 질량비가 0.1-1:1, 및
    에틸 에테르와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의 질량비가 0.01-0.1: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외여과막의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에서 응고 조는 탈 이온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외여과막의 제조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으로 제조된 한외여과막.
KR1020180000165A 2018-01-02 2018-01-02 한외여과막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9008249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0165A KR20190082499A (ko) 2018-01-02 2018-01-02 한외여과막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0165A KR20190082499A (ko) 2018-01-02 2018-01-02 한외여과막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2499A true KR20190082499A (ko) 2019-07-10

Family

ID=672550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0165A KR20190082499A (ko) 2018-01-02 2018-01-02 한외여과막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8249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65217B2 (en) Composition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ulfone polymer membrane
US4964990A (en) Filtration membranes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EP3103546A1 (en) Hollow fiber membrane, and method for producing hollow fiber membrane
US20220297066A1 (en) Purification methods comprising the use of membranes obtained from bio-based sulfone polymers
JP3698078B2 (ja) 非対称中空糸ガス分離膜の製造方法
KR20190087175A (ko) 한외여과 막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90082499A (ko) 한외여과막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90084631A (ko) 한외여과 막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473581B1 (ko) 한외여과막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464154B1 (ko) 한외여과막 및 그 제조 방법
KR20160071394A (ko) 플루오로중합체 막의 제조 방법
KR101002597B1 (ko) 다공성 멤브레인의 제조 방법
KR20190056660A (ko) 한외여과 멤브레인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190077994A (ko) 한외 여과 멤브레인과 이의 제조 방법
KR20190083732A (ko) 한외 여과 멤브레인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90071286A (ko) 초미세여과 멤브레인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90063307A (ko) 한외여과막 및 그 제조 방법
KR20160080377A (ko) 중공사형 정삼투 분리막 및 이의 제조방법
US20200039121A1 (en) Ultrafiltration membrane and its preparation method
CN114768560A (zh) 聚二甲基硅氧烷/聚砜超薄复合膜、制备方法和应用
KR20190093888A (ko) 초미세여과 멤브레인 및 이의 제조 방법
ES2712483A1 (es) Una membrana de ultrafiltración y su procedimiento de preparación
JP2022515734A (ja) 高圧濾過のための多孔質膜
KR20230004125A (ko) 셀룰로오스계 고분자 정밀여과 분리막의 제조방법
CH714931A2 (de) Ultrafiltrationsmembran und Herstellungsverfahren dafü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