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7126A - 침대프레임 - Google Patents

침대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7126A
KR20190087126A KR1020180005531A KR20180005531A KR20190087126A KR 20190087126 A KR20190087126 A KR 20190087126A KR 1020180005531 A KR1020180005531 A KR 1020180005531A KR 20180005531 A KR20180005531 A KR 20180005531A KR 20190087126 A KR20190087126 A KR 201900871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support
bolt
coupling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55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86741B1 (ko
Inventor
한성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주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주경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주경
Priority to KR10201800055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6741B1/ko
Publication of KR201900871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71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67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67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9/00Bedsteads
    • A47C19/20Multi-stage bedsteads; e.g. bunk beds; Bedsteads stackable to multi-stage bedsteads
    • A47C19/202Stacking or nesting bedstea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9/00Bedsteads
    • A47C19/02Parts or details of bedsteads not fully covered in a single one of the following subgroups, e.g. bed rails, post rails
    • A47C19/021Bedstead fram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54Fittings for bedsteads or the like
    • F16B12/56Brackets for bedsteads; Coupling joints consisting of bolts or the like; Latche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침대프레임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지주프레임에 가로프레임과 세로프레임을 간단하게 조립설치하여, 조립성 및 견고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침대프레임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기립설치되는 복수의 지주프레임; 길이방향으로 위치하는 지주프레임에 양단부가 연결설치되는 가로프레임; 폭방향으로 위치하는 지주프레임에 양단부가 연결설치되는 세로프레임; 마주보는 가로프레임(20)에 양단이 결합되는 복수의 지지프레임;으로 이루어진 침대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가로프레임과 세로프레임이 이중결합구에 의해 지주프레임에 손쉽게 또한 견고하게 조립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침대프레임{Bed frame}
본 발명은 침대프레임에 관한 것으로, 금속재질로 이루어진 침대프레임에 있어서, 가로프레임과 세로프레임이 이중결합구에 의해 작업현장에서 손쉽게 또한 견고하게 지주프레임에 조립될 수 있는 침대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침대는 금속제 또는 목재로 형성된 침대프레임의 상부에 매트리스를 설치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침대프레임은 원형 또는 사각형으로 이루어진 4개의 지주프레임과, 상기 지주프레임에 결합되도록 설치되는 가로프레임 및 세로프레임으로 구성되어 있다.
통상적인 침대프레임은 지주프레임에 가로프레임 및 세로프레임이 용접 고정되고, 양측면에 장공을 천공하여 목재 또는 수지재의 외장판을 나사 등의 체결부재로 조립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이와 같은 침대프레임은 수직프레임과 지지프레임이 용접공정에 의해 단일프레임으로 형성되므로, 용접공정에 의해 생산성 및 작업능률이 저하될 뿐 아니라, 많은 작업시간이 소요되어 경제성이 떨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침대프레임이 단일 프레임으로 이루어질 경우, 운반 및 설치가 곤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으로 인하여, 근래에는 반제품 상태로 출하되어 현장에서 조립설치되는 침대프레임이 널리 유통되고 있으나, 이와 같은 종래의 반제품 침대프레임은 그 구조가 복잡하고 부품수가 많아, 설치를 전문으로 하는 작업자가 아니면, 설치작업에 어려움이 있었다.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1228981(2013.01.28)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20-0465564(2013.02.20)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1322621(2013.10.22)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20-0478132(2015.08.26)
본 발명의 목적은 지주프레임에 가로프레임과 세로프레임을 간단하게 조립설치하여, 조립성 및 견고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침대프레임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기립설치되는 복수의 지주프레임; 길이방향으로 위치하는 지주프레임에 양단부가 연결설치되는 가로프레임; 폭방향으로 위치하는 지주프레임에 양단부가 연결설치되는 세로프레임; 마주보는 가로프레임(20)에 양단이 결합되는 복수의 지지프레임;으로 이루어진 침대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가로프레임과 세로프레임이 이중결합구에 의해 지주프레임에 손쉽게 또한 견고하게 조립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은 지주프레임에 가로프레임과 세로프레임이 직접적으로 접촉결합되지 않고, 사출물로 이루어진 이중결합구에 의해 연결되도록 되어 있어, 외부 충격 및 진동발생시, 이를 흡수하여 소음발생이 예방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4개의 지주프레임 양측에 가로프레임 및 세로프레임이 이중결합구에 의해 각각 결합되되, 상기 이중결합구의 중앙돌기가 지주프레임내로 삽입지지되고, 이중결합구의 플랜지부의 상/하단이 지주프레임에 볼트체결되도록 되어 있어, 위로부터 받는 하중이 볼트는 물론 이중결합구에 의해 지지되기 때문에, 하중에 대한 대응력이 향상된다.
본 발명은 제1결합부내로 삽입되는 제2결합부에 의해 제1결합부에 구비된 복수의 가압편이 가로/세로프레임의 내면에 밀착되도록 되어 있어, 가로/세로프레임에 대한 이중결합구의 체결력이 증대되며, 이를 통해 지주프레임과의 결합력 역시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가로/세로프레임에 별도의 볼트홀을 가공하지 않아도 조립이 이루어지므로, 가로/세로프레임의 내구성 향상은 물론, 외관을 더욱 수려하게 연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지주프레임에 대하여 가로/세로프레임이 간단하면서 손쉽게 조립되도록 되어 있어, 조립 공정을 단축하여 작업 능률을 개선시킴은 물론, 생산성 증대를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지주프레임, 가로프레임, 세로프레임 및 지지프레임이 끼움 및 볼트에 의해 간단하게 조립될 수 있어, 전문적 경험이나 기술이 없는 일반 소비자도 손쉽고 간편하게 침대프레임을 분해조립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특별한 공구 없이도 쉽고 간편하게 조립이 가능하면서도 결합된 부품들이 쉽사리 분리되지 않도록 되어 있어, 침대에 가해지는 적지 않은 하중을 충분히 지탱할 수 있는 견고함을 구비한다.
본 발명은 상단 침대프레임과 하단 침대프레임에 수직연결구에 의해 간단하게 조립되도록 되어 있어, 이층침대프레임에 대항 조립시간이 단축된다.
본 발명에 따른 수직연결구는 조절볼트에 따른 제1,2연결구의 사이간격조절을 통해 상/하단 침대프레임의 지주프레임에 수직연결구가 밀착결합되도록 되어 있어, 보다 간편하게 이층침대를 조립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수직연결구의 제1,2연결구가 지주프레임의 내면에 밀착되도록 되고, 제1,2연결구의 중간지지체에 지주프레임이 접촉지지되도록 되어 있어, 상단침대프레임의 지주프레임과 하단 침대프레임이 지주프레임의 일체성이 향상되어, 상단 침대프레임과 하단 침대프레임이 흔들림 없이 견고하게 조립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지주프레임내로 끼움결합되는 수직연결구에 의해 상/하단 침대프레임이 연결되도록 되어 있어, 상/하로 위치하는 지주프레임을 상호 결합하기 위한 별도의 브래킷 및 볼트/너트 등이 불필요하게 되며, 이로 인해 부품수가 감소되어 조립 공정이 단축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지주프레임의 중공홀내로 수직연결구가 삽입되어 채움연결되므로, 상/하단 침대프레임의 연결부위에 대한 강성이 증대될 뿐 아니라, 외력에 대한 저항력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수직연결구의 조립볼트에 수건걸이 등으로 활용가능한 다용도 걸이 등이 더 설치될 수 있어, 상/하단 침대프레임의 결합기능뿐 아니라, 다양한 목적의 부가적 기능을 구비하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동일한 크기 및 형상의 침대프레임을 상/하 적층하여 2층침대프레임으로 조립할 수 있어, 철재 제품이면서도 용접에 의하지 않고 조립이 가능함과 동시에 용접 이상의 강도를 구비하는 등 많은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구성을 보인 침대프레임 예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공정을 보인 예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제1결합부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결합부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결합볼트 제외)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결합부의 체결과정을 예시도
도 6 은 본 발명의 지주프레임과 가로/세로프레임의 조립과정 예시도
도 7 은 본 발명의 가로프레임과 지지프레임의 조립과정을 보인 예시도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연결대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9 는 본 발명에 따른 이층 침대프레임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이층 침대프레임의 조립과정을 보인 예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직연결구의 결합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수직연결구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수직연결구의 구성을 보인 또다른 예시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 설치용 상단캡과 난간손잡이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 설치용 상단캡과 난간손잡이의 설치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구성을 보인 침대프레임 예시도를,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공정을 보인 예시도를,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제1결합부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를,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결합부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결합볼트 제외)를,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결합부의 체결과정을 예시도를, 도 6 은 본 발명의 지주프레임과 가로/세로프레임의 조립과정 예시도를, 도 7 은 본 발명의 가로프레임과 지지프레임의 조립과정을 보인 예시도를,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연결대 구성을 보인 예시도를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은 길이방향으로 위치하는 지주프레임에 가로프레임의 양단부가 이중결합부에 의해 일체로 연결설치되고, 폭방향으로 위치하는 지주프레임에 세로프레임의 양단부가 이중결합구에 의해 일체로 연결설치되는 침대프레임(100)에 있어서;
상기 이중결합구(50)는, 지주프레임(10)에 플랜지부(61)가 고정설치되고 플랜지부(61)에 일체로 밀착가압부(62)가 가로/세로프레임의 중공홀(21,31)내로 삽입설치되는 제1결합부(60)와, 제1결합부의 밀착가압부(62)에 형성된 중앙홀(63)내로 면접촉되며 삽입되는 제2결합부(70)와, 제1결합부(60)를 관통하여 제2결합부(70)에 체결되는 결합볼트(80)를 포함하도록 하여,
결합볼트(80)의 회전조작에 의해 밀착가압부의 중앙홀(63)내로 삽입되는 제2결합부의 테이퍼진 외부면(71)이 제1결합부에 구비된 복수의 가압편(64)을 밀어 가로/세로프레임의 내면(22,32)에 밀착접촉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침대프레임(100)은 지주프레임(10)을 중심으로 가로프레임(20) 및 세로프레임(30)이 이중결합구(50)에 의해 지주프레임(10)에 결합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침대프레임(100)은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립설치되는 복수의 지주프레임(10); 길이방향으로 위치하는 지주프레임(10)에 양단부가 연결설치되는 가로프레임(20); 폭방향으로 위치하는 지주프레임(10)에 양단부가 연결설치되는 세로프레임(30); 마주보는 가로프레임(20)에 양단이 결합되는 복수의 지지프레임(40);을 포함한다.
상기 지주프레임(10), 가로프레임(20), 세로프레임(30) 및 지지프레임(40)은 내부에 중공홀을 구비하는 원형 또는 사각 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사각파이프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지주프레임(10), 가로프레임(20), 세로프레임(30) 및 지지프레임(40)은 철재 등의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
상기 지주프레임(10)은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에 이중결합구(50)가 볼트체결되어 고정되는 체결부(12)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체결부(12)는, 이중결합구(50)의 일측이 삽입되는 지지홀(13)과, 상기 지지홀(13)의 상/하단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체결구(14)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체결구(14)는 팝너트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가로프레임(20) 및 세로프레임(30)은 도 5 및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의 중공홀(21,31)내로 이중결합구(50)의 일측이 삽입되어 결합되고, 상기 이중결합구(50)에 의해 지주프레임(10)에 견고하게 연결설치된다.
상기 이중결합구(50)는, 지주프레임(10)에 가로/세로프레임(20,30)을 견고하게 결합시키기 위한 것으로, 도 2 내지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볼트(80)의 회전조작력에 의해 제2결합부(70)가 제1결합부(60)의 밀착가압부(62)내로 삽입되고, 삽입되는 제2결합부(70)에 의해 밀착가압부에 구비된 복수의 가압편(64)이 가로/세로프레임의 내면(22,32)에 밀착되도록 확장되어 가로/세로프레임(20,30)에 일체로 결합되며, 지주프레임의 체결부(12)에 제1결합부의 플랜지부(61)가 볼트체결되어 고정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1결합부(60)는 도 3 및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주프레임(10)에 고정설치되는 플랜지부(61)와, 플랜지부 일측에 중앙홀(63)을 구비하도록 연장형성된 밀착가압부(62)와, 플랜지부(61)를 관통하여 중앙홀(63)에 연통되도록 형성되어 결합볼트(80)가 삽입되는 결합볼트홀(65)을 포함하되,
상기 밀착가압부(62)는 테이퍼진 내면(66)을 구비하고, 둘레를 따라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절개홈(67)에 의해 일정한 강성 및 탄성을 구비하는 복수개의 가압편(64)이 구비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플랜지부(61)는 밀착가압부(62)가 형성된 일측이 가로/세로프레임의 단부(23,33)에 밀착접촉되고, 타측이 지지프레임의 체결부(12)에 밀착접촉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플랜지부(61)는 지주프레임의 체결부(12)에 형성된 지지홀(13)내로 끼움결합되도록 중앙돌기(68)가 돌출형성되어 있으며, 중앙돌기(68)의 상/하단에 지주프레임의 체결구(14)와 연통되는 볼트홀(69)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중앙돌기(68)는 지주프레임(10)에 대하여 플랜지부(61)의 위치를 설정 및 지지하는 기능을 구비할 뿐 아니라, 도 5 및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볼트(80)의 머리를 수용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즉, 상기 플랜지부(61)에는 중앙돌기(68)를 관통하여 밀착가압부의 중앙홀(63)과 연통되는 결합볼트홀(65)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밀착가압부(62)는 가로/세로 프레임의 중공홀(21,31)내로 삽입되는 것으로, 내면(66)이, 플랜지부(61)와 연결된 일측단(62b)에서 타측단(62a)으로 갈 수록 중앙홀(63)이 점진적으로 확장되는 경사면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복수의 절개홈(67)에 의해 일정한 강성 및 탄성을 구비하는 복수개의 가압편(64)을 구비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즉, 상기 밀착가압부(62)는 중앙홀(63)의 중심축(O)에 대하여 일측단에서 타측단방향으로 예각의 경사각(θ)을 구비하도록 테이퍼진 내면(66)을 구비하고, 절개홈(67)에 의해 복수개로 분리된 가압편(64)을 구비한다.
상기 가압편(64)은 결합볼트(80)의 회전조작에 의해 제2결합부(70)가 밀착가압부의 중앙홀(63)내로 삽입될 시, 삽입되는 제2결합부(70)에 의해 밀리어 가로/세로 프레임의 내면(22,32)에 압착된다. 즉, 가압편(64)은 내면 즉, 밀착가압부의 테이퍼진 내면(66)이 제2결합부(70)에 의해 밀려 확장되며, 확장되는 가압편(64)이 가로/세로 프레임의 내면(22,32)에 압착되어 결합된다.
또한, 상기 밀착가압부의 테이퍼진 내면(66)은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경사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도 3 및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방향으로 복수의 가이드홈(66a)과 경사돌기(66b)가 반복형성되고, 경사돌기(66b)가 경사면(66c)을 구비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절개홈(67)은 도 3 및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이 밀착가압부의 타측단(62a) 방향으로 개방되도록 슬롯타입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절개홈(67)은 플랜지부(61)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절개홈(67)은 끝단에 원형홈(67a)을 더 구비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절개홈(67)은 원형홈(67a)과 슬롯(67b)이 연결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와 같이 원형홈(67a)과 슬롯(67b)이 연결된 형상으로 이루어질 경우, 가압편(64)의 강도가 유지되면서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은 탄성가변거리(L)가 늘어나게 되어, 가로/세로 프레임(20,30)에 대한 결합력이 증진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절개홈(67)은 밀착가압부의 테이퍼진 내면(66)이 복수의 가이드홈(66a)과 경사돌기(66b)로 이루어질 경우, 가이드홈(66a)에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밀착가압부(62)는 가로/세로 프레임의 내면(22,32)에 가압접촉되는 외부면(62c)에는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둘레를 따라 래칫 형상 또는 톱니형상을 구비하는 복수의 가압돌기(62d)가 더 돌출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가압돌기(62d)는 가로/세로프레임의 내면(22,32)을 가압하여 결합력(고정력)을 향상시키는 기능을 구비한다.
상기 제2결합부(70)는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면(71)이 테이퍼진 경사면 즉, 제1결합부의 테이퍼진 내면(66)에 대응되도록 테이퍼진 경사면으로 이루어지고, 결합볼트(80)가 삽입되는 관통구(72)가 양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관통구(72)내에 결합볼트(80)가 체결되는 체결너트(73)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2결합부의 외부면(71) 역시, 밀착부의 테이퍼진 내면(66)에 대응되도록 도 3 및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가이드돌기(71a)와 경사홈(71b)이 반복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경사홈(71b)은 테이퍼진 경사바닥면(71c)을 구비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결합부의 외부면(71)에는 밀착가압부의 가이드홈(66a)내로 삽입되는 가이드돌기(71a) 및, 밀착가압부의 경사돌기(66b)가 끼움되는 경사홈(71b)이 형성되고, 상기 경사돌기(66b)에는 경사홈(71b)의 경사면(66c)에 면접촉되는 경사바닥면(71c)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결합부 밀착가압부(62)의 테이퍼진 내면(66)에 복수의 가이드홈(66a)과 경사돌기(66b)이 구비되고, 상기 테이퍼진 내면(66)에 대응되는 제2결합부의 외부면(71)에 복수의 가이드돌기(71a)와 경사홈(71b)을 구비할 경우, 제1결합부의 밀착가압부(62)와 제2결합부(70)의 접촉면적이 증대되어 견고한 결합이 이루어지게 될 뿐 아니라, 암수결합에 따른 유격현상이 방지되고, 결합볼트(80)에 의한 제2결합부(70)의 수평이동성을 향상시키게 되는 효과가 발생된다.
특히, 결합볼트(80)의 회전조작에 의해 제2결합부의 경사바닥면(71c)이 밀착가압부의 경사면(66c)에 접촉되며 제1결합부의 밀착가압부내로 제2결합부가 삽입될 시, 밀착가압부의 가이드홈(66a)과 제2결합부의 가이드돌기(71a)는 계속하여 암수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제2결합부의 수평이동성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면서 밀착가압부의 가압편이 일률적으로 확장되어 가로/세로프레임의 내면(22,32)에 복수의 가압편(64)이 균일한 압력으로 압착되게 된다.
상기 결합볼트(80)는 회전조작에 의해 제1결합부의 중앙홀(63)내로 제2결합부(70)가 끼움되도록 이동시키는 것으로,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머리(81)는 제1결합부의 플랜지부에 형성된 중앙돌기(68)내에 위치하고, 볼트몸체(82)는 플랜지부의 결합볼트홀(65)을 관통하여 밀착가압부의 중앙홀(63)내로 삽입되는 제2결합부의 관통구(72)내에 설치되어 있는 체결너트(73)에 체결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구성된 이중결합구(60)는 사출물로 이루어지고, 제1결합부(60)와 제2결합부(70)가 경사면에 의해 면접촉되도록 되어 있어, 침대프레임(100)에 충격 및 진동이 발생될 시, 발생되는 진동 및 충격을 흡수하는 기능도 구비한다.
상기 지지프레임(40)은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가로프레임(20)과 'T'자형상으로 연결되도록 서로 마주보도록 위치하는 가로프레임(20)에 설치된 연결대(24)에 지지프레임(40)의 양단이 끼움결합되어 일자결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 지지프레임(40)은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프레임(20)에 직교하도록 양단이 연결설치되어 보강 및 매트리스를 지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가로프레임(20)에는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결대(24)가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대(24)에 지지프레임(40)의 양단이 끼움결합된다.
상기 연결대(24)는 가로프레임(20)과 'T'자 형상을 이루도록 소정간격을 유지하며 다수개가 일체로 고정설치되어 있다.
상기 연결대(24)는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프레임의 일측면(20a)에 소정간격을 유지하도록 이격되어 일측단이 고정설치되는 한쌍의 지지편(25)과, 지지편(25)의 타측단에 양단이 일체로 연결되고 지지프레임(40)내로 끼움결합되는 결합편(26)과, 한쌍의 지지편 (25)및 결합편(26)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개방되도록 형성되어 지지프레임(40)의 양단이 삽입지지되는 지지공간(27)을 포함하되, 결합편의 높이(h2)는 지지편의 높이(h1)의 ⅓∼½에 해당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연결대(24)는 한쌍의 지지편(25)과 이에 연결된 결합편(26)에 의해 'ㄷ'자형상의 평면구조를 구비하며 가로프레임의 일측면(20a)에 직교하도록 일체로 설치되어 있으며, 결합편(26)과 지지편(25)의 높이편차에 의해 결합편(26) 상측에는 지지공간(27)과 연통되는 개방구(28)가 구비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연결대(24)가 설치되는 가로프레임의 일측면(20a)은 평행하게 설치되는 가로프레임에서 서로 마주보는 일측면을 의미한다.
상기 지지프레임(40)은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끝단에, 연결대의 결합편(26)이 끼움결합되도록 하부방향으로 개방된 결합홈(41)이 소정깊이를 구비하고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결합홈(41)은 하측이 상측보다 폭이 넓은 테이퍼진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연결대의 결합편(26)이 삽입될 경우, 약 1∼2㎜의 여유를 구비하도록 일자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결합홈의 깊이(h3)는 지지편의 높이(h2)와 동일하거나 조립공차범위내를 구비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결합홈(41)의 형상은, 연결대 결합편과의 결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하기 위한 것일 뿐 아니라, 가로프레임(20)과 지지프레임(40)의 조립결합시, 조립오차발생시에도 비틀림현상 및 불완전결합 없이 연결대의 결합편(26)이 지지프레임의 결합홈(41)내로 완전하게 삽입되어 견고한 지지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지지프레임(40)은 연결대의 지지편(25)에 지지프레임의 끝단측면(42)이 접촉지지되도록 끼움설치된다. 즉, 상기 지지프레임(40)은 도 7 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편(26)과 결합홈(41)의 끼움결합 및, 지지편(25)과의 끝단측면(42)의 면접촉에 의해 연결대(24)와 일자결합으로 연결되어 흔들림없이 견고한 지지력을 구비하도록 조립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 및 조립되는 지지프레임(40)은 하나 이상이 서로 평행하도록 가로프레임(20)에 직교하여 연결설치되어, 침대프레임(100)을 지지하는 기능, 안착설치되는 매트리스트를 견고하게 지지하는 기능을 구비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침대프레임(100)은 도 9 내지 도 1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 2단으로 적층된 이층 침대프레임(200)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9 은 본 발명에 따른 이층 침대프레임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를, 도 10 은 본 발명에 따른 이층 침대프레임의 조립과정을 보인 예시도를, 도 11 은 본 발명에 따른 수직연결구의 결합상태를 보인 예시도를, 도 12 는 본 발명에 따른 수직연결구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를, 도 13 은 본 발명에 따른 수직연결구의 구성을 보인 또다른 예시도를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의 침대프레임은 단층으로 이루어지거나, 일측 침대프레임의 지주프레임(10b)에 또다른 침대프레임의 지주프레임(10a)이 수직연결구(90)에 의해 결합되어 2개의 침대프레임(100a,100b)이 상/하 2단으로 적층되는 이층 침대프레임(20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수직연결구(90)는 도 10 및 도 1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로 분리형성된 제1연결구(91)와 제2연결구(92)가 조절볼트(93)에 의해 사이간격(G)이 조절되어 상/하단에 위치하는 침대프레임(100a,100b)의 지주프레임 내면(18a,18b)에 밀착지지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1,2연결구(91,92)는 도 12 및 도 1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 침대프레임(100a)의 지주프레임(10a)내로 삽입되는 상단지지체(94)와, 하단 침대프레임(100b)의 지주프레임(10b)내로 삽입되는 하단지지체(95)와, 상단지지체(94)와 하단지지체(95) 사이에 위치하도록 둘레를 따라 돌출형성된 중단지지체(96)를 포함하되, 상기 중단지지체(96)는 상단면(96a)에 상단 침대프레임의 지주프레임 하단(19a)이 지지되고, 하단면(96b)이 하단 침대프레임의 지주프레임 상단(19b)에 지지되도록 설치된다.
또한, 상기 제1,2연결구(91,92)는 서로 마주보는 대응면(97,98)에 지지돌기(97a) 및 이에 대응되는 지지홈(98a)이 형성되어 있다. 즉, 제1연결구의 대응면(97)에 지지돌기(97a)가 돌출형성될 경우, 이에 대응되는 제2연결구의 대응면(98)에 지지홈(98a)이 형성될 수 있으며, 제2연결구에 지지돌기가 위치하고, 제1연결구에 지지홈이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연결구(91)는 중단지지체(96)에서 대응면(97)을 관통하도록 조절볼트(93)가 체결되는 나사홀(91a)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나사홀(91a)과 동일 중심선을 구비하도록 제2연결구의 대응면(98)에는 가압홈(92a)이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나사홀(91a)과 가압홈(92a)은 서로 연통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조절볼트(93)는 도 1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연결구의 가압홈(92a)에 끝단(93d)이 접촉지지되도록 제1연결구의 나사홀(91a)에 체결되며, 체결력에 의해 제2연결구(92)를 밀어 제1,2연결구의 사이간격(G)이 벌어지도록 조절하게 된다.
상기 조절볼트(93)는 제1연결구의 나사홀(91a)내로 완전히 삽입되도록 무두볼트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다용도 걸이(150)가 체결될 수 있도록 작업공구가 결합되는 공구홈내에 나사산이 형성된 이중스크류 방식의 무두볼트가 설치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조절볼트(93)는 도 10 및 도 1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에 제1연결구의 나사홀(91a)에 체결되는 외측나사산(93a)을 구비하고, 공구홈(93b)내에 다용도 걸이가 체결되는 내측나사산(93c)이 구비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조절볼트(93)는 일예로, 다각형상의 공구홈을 구비하는 렌치소켓타입 무두볼트 또는 일자형 공구홈을 구비하는 홈붙이 소켓타입 무두볼트의 공구홈에 나사산이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다용도 걸이(99)는 수건 등의 직물, 모자, 책가방 등등이 연결지지되기 위한 것으로, 도 9 및 도 10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절볼트(93)의 내측나사산(93c)에 체결되는 체결걸이(99a)와, 상기 체결걸이(99a)에 힌지 결합되어 수평방향으로 회전이동되도록 설치되는 지지걸이(99b)를 포함한다. 즉, 상기 체결걸이(99a)는 조절볼트의 공구홈(93b)에 형성되어 있는 내측나사산(93c)에 체결되어 지지되고, 상기 지지걸이(99b)는 체결걸이(99a)와 연결된 힌지(99c)를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도록 연결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지지걸이(99b)는 수건 등의 직물이 삽입되어 널릴 수 있도록 장방향 걸이홈(99d)이 더 구비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수직연결구(90)는 지지돌기(97a) 및 지지홈(98a)에 의해 제1,2연결구(91,92)가 결합된 상태에서 제1,2연결구의 하단지지체(95)가 하단 침대프레임의 지주프레임(10b)내로 삽입된 후, 제1,2연결구의 상단지지체(94)에 상단 침대프레임의 지주프레임(10a)이 올려져 결합된 후, 제1연결구의 나사홀(91a)을 통해 제2연결구의 가압홈(92a)내로 끝단(93d)이 접촉되는 설치되는 조절볼트(93)에 의해 제1,2연결구의 사이거리(G) 즉, 대응면(97,98)간의 거리가 조절되어 상단지지체와 하단지지체의 외측면(94a,95a)이 상/하단 지주프레임의 내면(18a,18b)에 밀착접촉되어, 상/하단 침대프레임(100a,100b)이 견고하게 연결되게 된다.
또한, 이와 같이 수직 연결구(90)에 의해 상/하단 침대프레임(100a,100b)의 지주프레임(10a,10b)이 견고하게 조립된 후, 상기 조절볼트의 내측나사산에 다용도 걸이(99)가 체결되어, 상/하단 침대프레임(100a,100b) 사이에 다용도 걸이가 위치하도록 조립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층 침대프레임(200)은 도 14 및 도 1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주프레임(10a)의 상단에, 손잡이 설치용 상단캡(15) 및 난간손잡이(16)가 더 설치될 수 있으며, 손잡이 설치용 상단캡(15)이 설치될 경우, 지주프레임의 상단 일측에는 손잡이 설치용 상단캡의 일측이 삽입관통되는 관통홀(17)이 더 형성될 수 있다.
도 14 는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 설치용 상단캡과 난간손잡이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를, 도 15 은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 설치용 상단캡과 난간손잡이의 설치상태를 보인 예시도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손잡이 설치용 상단캡(15) 및 난간손잡이(16)는 볼트/너트 결합방식에 의해 결합되며, 손잡이 설치용 상단캡(15)에 볼트부분이 형성될 경우, 난간손잡이(16)에 너트부분이 형성될 수 있으며, 손잡이 설치용 상단캡(15)에 너트부분이 형성될 경우, 난간손잡이(16)에 볼트부분이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손잡이 설치용 상단캡(15)은 도 1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프레임의 상단에 끼움결합되어 고정되는 캡부(15a)와, 상기 캡부(15a)의 하단에 돌출형성된 지지대(15b)와, 상기 지지대(15b)에서 돌출형성되고 외부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난간손잡이(16)가 체결되는 체결대(15c)를 포함하되, 상기 체결대(15c)는 지지프레임의 관통홀(17)을 관통하여 지주프레임의 중공홀(11)에서 지주프레임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된다.
즉, 상기 손잡이 설치용 상단캡(15)은 지주프레임의 중공홀(11)내로 지지대(15b)가 삽입되도록 지지프레임의 상단에 캡부(15a)가 끼움설치되고, 체결대(15c)가 지주프레임의 중공홀(11)에서 관통홀(17)을 관통하여 지주프레임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며, 지주프레임 외측으로 돌출된 체결대(15c)에 난간손잡이(16)가 체결되도록 되어 있다. 이때, 상기 지지대(15b)와 체결대(15c)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지주프레임의 상단에 손잡이 설치용 상단캡(15)과 이에 체결되는 난간손잡이(16)를 더 구비하도록 되어 있어, 손잡이 설치를 위한 별도의 가공 및 부품설치 없이도, 지주프레임(10)에 다목적 용도를 구비하는 난간손잡이(16)를 설치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난간손잡이(16)는 일예로 아이볼트 타입으로 형성되어 손잡이 기능뿐 아니라, 물건을 걸어놓거나 끼울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난간손잡이(16) 및 손잡이 설치용 상단캡(15)은 이층 침대프레임에 설치되어 안전한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10) : 지주프레임 (11) : 중공홀
(12) : 체결부 (13) : 지지홀
(14) : 체결구 (15) : 손잡이 설치용 상단캡
(15a) : 캡부 (15b) : 지지대
(15c) : 체결대 (16) : 난간손잡이
(17) : 관통홀 (18a) : 내면
(18b) : 내면 (19a) : 지주프레임 하단
(19b) : 지주프레임 상단 (20) : 가로프레임
(20a) : 일측면 (21) : 중공홀
(22) : 내면 (23) : 단부
(24) : 연결대 (25) : 지지편
(26) : 결합편 (27) : 지지공간
(28) : 개방구 (30) : 세로프레임
(31) : 중공홀 (32) : 내면
(33) : 단부 (40) : 지지프레임
(41) : 결합홈 (42) : 끝단측면
(50) : 이중결합구 (60) : 제1결합부
(61) : 플랜지부 (62) : 밀착가압부
(62a) : 타측단 (62b) : 일측단
(62c) : 외부면 (62d) : 가압돌기
(63) : 중앙홀 (64) : 가압편
(65) : 결합볼트홀 (66) : 테이퍼진 내면
(66a) : 가이드홈 (66b) : 경사돌기
(66c) : 경사면 (67) : 절개홈
(68) : 중앙돌기 (69) : 볼트홀
(70) : 제2결합부 (71) : 외부면
(71a) : 가이드돌기 (71b) : 경사홈
(71c) : 경사바닥면 (72) : 관통구
(80) : 결합볼트 (90) : 수직연결구
(91) : 제1연결구 (91a) : 나사홀
(92) : 제2연결구 (92a) : 가압홈
(93) : 조절볼트 (93a) : 외측나사산
(93b) : 공구홈 (93c) : 내측나사산
(93d) : 끝단 (94) : 상단지지체
(94a) : 외측면 (95) : 하단지지체
(95a) : 외측면 (96) : 중단지지체
(96a) : 상단면 (96b) : 하단면
(97,98): 대응면 (97a) : 지지돌기
(98a) : 지지홈 (99) : 다용도 걸이
(99a) : 체결걸이 (99b) : 지지걸이
(99c) : 힌지 (99d) : 장방향 걸이홈
(100) : 침대프레임 (200) : 이층 침대프레임

Claims (14)

  1. 길이방향으로 위치하는 지주프레임에 가로프레임의 양단부가 이중결합부에 의해 일체로 연결설치되고, 폭방향으로 위치하는 지주프레임에 세로프레임의 양단부가 이중결합구에 의해 일체로 연결설치되는 침대프레임(100)에 있어서;
    상기 이중결합구(50)는, 지주프레임(10)에 플랜지부(61)가 고정설치되고 플랜지부(61)에 일체로 밀착가압부(62)가 가로/세로프레임의 중공홀(21,31)내로 삽입설치되는 제1결합부(60)와, 제1결합부의 밀착가압부(62)에 형성된 중앙홀(63)내로 면접촉되며 삽입되는 제2결합부(70)와, 제1결합부(60)를 관통하여 제2결합부(70)에 체결되는 결합볼트(80)를 포함하도록 하여,
    결합볼트(80)의 회전조작에 의해 밀착가압부의 중앙홀(63)내로 삽입되는 제2결합부의 테이퍼진 외부면(71)이 제1결합부에 구비된 복수의 가압편(64)을 밀어 가로/세로프레임의 내면(22,32)에 밀착접촉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프레임.
  2. 청구항 1 에 있어서;
    제1결합부(60)는, 지주프레임(10)에 고정설치되는 플랜지부(61)와, 플랜지부 일측에 중앙홀(63)을 구비하도록 연장형성된 밀착가압부(62)와, 플랜지부(61)를 관통하여 중앙홀(63)에 연통되도록 형성되어 결합볼트(80)가 삽입되는 결합볼트홀(65)을 포함하되,
    상기 밀착가압부(62)는 테이퍼진 내면(66)을 구비하고, 둘레를 따라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절개홈(67)에 의해 일정한 강성 및 탄성을 구비하는 복수개의 가압편(64)이 구비되도록 구성되고,
    제2결합부(70)는 제1결합부의 테이퍼진 내면(66)에 대응되도록 외부면(71)이 테이퍼진 경사면으로 이루어지고, 결합볼트(80)가 삽입되는 관통구(72)가 양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관통구(72)내에 결합볼트(80)가 체결되는 체결너트(73)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프레임.
  3. 청구항 2 에 있어서;
    밀착가압부의 테이퍼진 내면(66)은, 길이방향으로 복수의 가이드홈(66a)과 경사돌기(66b)가 반복형성되고,
    제2결합부의 외부면(71)은 밀착부의 테이퍼진 내면(66)에 대응되도록 복수의 가이드돌기(71a)와 경사홈(71b)이 반복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경사돌기(66b)는 경사면(66c)을 구비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경사홈(71b)은 테이퍼진 경사바닥면(71c)을 구비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프레임.
  4. 청구항 2 에 있어서;
    절개홈(67)은, 원형홈(67a)과 슬롯(67b)이 연결된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프레임.
  5. 청구항 2 에 있어서;
    플랜지부(61)는, 지주프레임의 체결부(12)에 형성된 지지홀(13)내로 끼움결합되도록 중앙돌기(68)가 돌출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프레임.
  6. 청구항 1 에 있어서;
    가로프레임(20)에는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결대(24)가 돌출설치되고, 상기 연결대(24)에 지지프레임(40)이 일자로 끼움결합되되,
    상기 지지프레임(40)은 양단에, 연결대의 결합편(26)이 끼움결합되도록 하부방향으로 개방된 결합홈(41)이 소정깊이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대(24)는, 가로프레임의 일측면(20a)에 소정간격을 유지하도록 이격되어 일측단이 고정설치되는 한쌍의 지지편(25)과, 지지편(25)의 타측단에 양단이 일체로 연결되고 지지프레임(40)내로 끼움결합되는 결합편(26)과, 한쌍의 지지편 (25)및 결합편(26)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개방되도록 형성되어 지지프레임(40)의 양단이 삽입지지되는 지지공간(27)을 포함하며,
    결합편의 높이(h2)는 지지편의 높이(h1)의 ⅓∼½에 해당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프레임.
  7. 청구항 1 에 있어서;
    침대프레임은 하단 침대프레임의 지주프레임(10b)에, 상단 침대프레임의 지주프레임(10a)이 수직연결구(90)에 의해 결합된 이층 침대프레임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수직연결구(90)는 좌우로 분리형성된 제1연결구(91)와 제2연결구(92)가 조절볼트(93)에 의해 사이간격(G)이 조절되어 상/하단에 위치하는 침대프레임(100a,100b)의 지주프레임 내면(18a,18b)에 밀착지지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프레임.
  8. 청구항 7 에 있어서;
    제1,2연결구(91,92)는, 상단 침대프레임(100a)의 지주프레임(10a)내로 삽입되는 상단지지체(94)와, 하단 침대프레임(100b)의 지주프레임(10b)내로 삽입되는 하단지지체(95)와, 상단지지체(94)와 하단지지체(95) 사이에 위치하도록 둘레를 따라 돌출형성된 중단지지체(96)를 포함하되,
    상기 중단지지체(96)는 상단면(96a)에 상단 침대프레임의 지주프레임 하단(19a)이 지지되고, 하단면(96b)이 하단 침대프레임의 지주프레임 상단(19b)에 지지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프레임.
  9. 청구항 7 또는 청구항 8 에 있어서;
    제1,2연결구(91,92)는, 서로 마주보는 대응면(97,98)에 지지돌기(97a) 및 이에 대응되는 지지홈(98a)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프레임.
  10. 청구항 7 에 있어서;
    조절볼트(93)는, 무두볼트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프레임.
  11. 청구항 10 에 있어서;
    조절볼트(93)는 외측에 제1연결구의 나사홀(91a)에 체결되는 외측나사산(93a)을 구비하고, 공구홈(93b)내에 다용도 걸이가 체결되는 내측나사산(93c)이 구비된 이중스크류 방식의 무두볼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프레임.
  12. 청구항 11 에 있어서;
    조절볼트의 내측나사산(93c)에는 다용도 걸이(99)가 체결되되,
    상기 다용도 걸이(99)는, 조절볼트(93)의 내측나사산(93c)에 체결되는 체결걸이(99a)와, 상기 체결걸이(99a)에 힌지 결합되어 수평방향으로 회전이동되도록 설치되는 지지걸이(99b)를 포함하여, 힌지(99c)를 중심으로 지지걸이(99b)가 수평방향으로 회전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프레임.
  13. 청구항 7 에 있어서;
    지주프레임(10a)에는, 볼트/너트 결합방식에 의해 결합되는 손잡이 설치용 상단캡(15) 및 난간손잡이(16)가 더 설치되되,
    상기 손잡이 설치용 상단캡(15) 및 난간손잡이(16)는, 손잡이 설치용 상단캡(15)에 볼트부분이 형성될 경우, 난간손잡이(16)에 너트부분이 형성되고, 손잡이 설치용 상단캡(15)에 너트부분이 형성될 경우, 난간손잡이(16)에 볼트부분이 형성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프레임.
  14. 청구항 13 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 설치용 상단캡(15)은 지지프레임의 상단에 끼움결합되어 고정되는 캡부(15a)와, 상기 캡부(15a)의 하단에 돌출형성된 지지대(15b)와, 상기 지지대(15b)에서 돌출형성되고 외부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난간손잡이(16)가 체결되는 체결대(15c)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대(15c)는 지지프레임의 관통홀(17)을 관통하여 지주프레임의 중공홀(11)에서 지주프레임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프레임.
KR1020180005531A 2018-01-16 2018-01-16 침대프레임 KR1020867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5531A KR102086741B1 (ko) 2018-01-16 2018-01-16 침대프레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5531A KR102086741B1 (ko) 2018-01-16 2018-01-16 침대프레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7126A true KR20190087126A (ko) 2019-07-24
KR102086741B1 KR102086741B1 (ko) 2020-03-09

Family

ID=674811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5531A KR102086741B1 (ko) 2018-01-16 2018-01-16 침대프레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674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13405515U (zh) * 2020-10-28 2021-06-11 厦门康瑞清家具有限公司 一种床架支撑杆连接结构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516163A (ja) * 2002-01-31 2005-06-02 セアン カンパニー エス.ピー.エー. 管状エレメントの接続デバイス
KR20050107645A (ko) * 2004-05-10 2005-11-15 영광금속 주식회사 프레임 연결부재
KR101228981B1 (ko) 2012-01-18 2013-02-14 주식회사 우드메탈 침대프레임
KR200465564Y1 (ko) 2012-05-22 2013-02-26 박상영 조립이 용이한 침대 프레임
KR101322621B1 (ko) 2013-05-20 2013-10-29 주식회사 이노프 침대 프레임 구조
KR200478132Y1 (ko) 2014-12-17 2015-09-07 김동기 결합이 용이한 침대 프레임
KR101583332B1 (ko) * 2015-07-22 2016-01-19 (주)캠퍼스라인 브라켓이 구비된 테이블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516163A (ja) * 2002-01-31 2005-06-02 セアン カンパニー エス.ピー.エー. 管状エレメントの接続デバイス
KR20050107645A (ko) * 2004-05-10 2005-11-15 영광금속 주식회사 프레임 연결부재
KR101228981B1 (ko) 2012-01-18 2013-02-14 주식회사 우드메탈 침대프레임
KR200465564Y1 (ko) 2012-05-22 2013-02-26 박상영 조립이 용이한 침대 프레임
KR101322621B1 (ko) 2013-05-20 2013-10-29 주식회사 이노프 침대 프레임 구조
KR200478132Y1 (ko) 2014-12-17 2015-09-07 김동기 결합이 용이한 침대 프레임
KR101583332B1 (ko) * 2015-07-22 2016-01-19 (주)캠퍼스라인 브라켓이 구비된 테이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6741B1 (ko) 2020-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87127A (ko) 이층 침대프레임
JP2008543485A (ja) 支持棒用の多目的固定具
US20220361681A1 (en) Kind of Easy Assembly Metal Bed Frame
US9044100B1 (en) Bed frame
KR20190087126A (ko) 침대프레임
JP6711882B2 (ja) テーブル等の脚継手
US11849837B2 (en) Fastener system for furniture
KR200484346Y1 (ko) 창틀 고정용 브라켓
KR200228609Y1 (ko) 조립식 앵글선반 결합구조
KR20170000826A (ko) 창틀 고정용 브라켓 제조방법
KR20190010152A (ko) 조립 선반
JPH0450825Y2 (ko)
JP2005087625A (ja)
KR20140005360U (ko) 조립식 탁자의 프레임 연결구
KR200489569Y1 (ko) 가구 프레임용 파이프의 결합구조
JPH0574329U (ja) デスク
KR20100009676U (ko) 일체형 하부체결구조를 가지는 테이블
CN220791657U (zh) 一种新型抗震专用钢结构梁夹
KR101837007B1 (ko) 테이블 프레임의 연결부재 및 이를 구비하는 테이블
KR20120026891A (ko) 체결공을 갖는 스탠드용 프레임 구조 및 이 프레임을 이용한 스탠드
CN213899517U (zh) 一种型材专用直角连接件
KR102343106B1 (ko) 가구용 금속재 프레임 체결 구조
CN220408455U (zh) 一种支柱固定夹
JP4285739B2 (ja) 机天板の支持装置
KR102068974B1 (ko) 모서리부 결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