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5564Y1 - 조립이 용이한 침대 프레임 - Google Patents

조립이 용이한 침대 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5564Y1
KR200465564Y1 KR2020120004293U KR20120004293U KR200465564Y1 KR 200465564 Y1 KR200465564 Y1 KR 200465564Y1 KR 2020120004293 U KR2020120004293 U KR 2020120004293U KR 20120004293 U KR20120004293 U KR 20120004293U KR 200465564 Y1 KR200465564 Y1 KR 20046556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bed
leg
easy
assem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429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상영
Original Assignee
박상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상영 filed Critical 박상영
Priority to KR202012000429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556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556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556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9/00Bedsteads
    • A47C19/02Parts or details of bedsteads not fully covered in a single one of the following subgroups, e.g. bed rails, post rails
    • A47C19/021Bedstead fram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9/00Bedsteads
    • A47C19/02Parts or details of bedsteads not fully covered in a single one of the following subgroups, e.g. bed rails, post rails
    • A47C19/028Parts or details of bedsteads not fully covered in a single one of the following subgroups, e.g. bed rails, post rails for joining separate bedsteads

Landscapes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조립이 용이한 침대 프레임에 관한 것으로, 침대 프레임을 금속제로 제작하고 프레임 전체를 용접하여 견고하게 형성함과 동시에 프레임과 다리 및 다리와 마감판의 조립과정을 비숙련자인 소비자도 쉽게 조립할 수 있어 간단한 방법으로 견고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새로운 조립형태를 갖는 침대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조립이 용이한 침대 프레임{Easy to assemble bed frames}
본 고안은 조립이 용이한 침대 프레임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침대 프레임을 금속제로 제작하고 프레임 전체를 용접하여 견고하게 형성함과 동시에 프레임과 다리 및 다리와 마감판의 조립과정을 비숙련자인 소비자도 쉽게 조립할 수 있어 간단한 방법으로 견고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새로운 조립형태를 갖는 침대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면 및 휴식을 취하기 위한 침대는 금속제 또는 목재로 형성된 프레임의 상부에 매트리스를 설치하여 사용된다.
또한, 상기 침대는 크기가 대형이어서 주로 반제품 상태로 출하되어 설치현장에서 조립하여 사용되는 특징이 있으며 이러한 배송의 특징에 의하여 제조업체에서는 포장비와 배송비를 절감하고 있어 대다수의 침대들이 반제품이나 분해된 상태로 유통되고 있다.
상기와 같이 반제품의 형태로 제작되어 판매되는 제품의 특성상 프레임을 현장에서 견고하게 조립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설치를 전문으로 하는 작업자가 배송을 담당하여 제품의 배송과 설치작업을 병행하고 있다.
그러나, 설치작업이 어렵고 견고하게 조립되지 못하는 경우 프레임이 흔들려 소음이 발생하거나 침대가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근래에 들어서는 소비자가 직접 조립할 수 있을 정도로 쉽고 견고하게 조립할 수 있도록 형성한 침대들이 다양하게 제공되고 있다.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1-0010719호는 그 고안의 명칭을 조립식 침대로 하는 고안으로서 받침프레임과 기둥프레임과, 연결소켓 및 체결 나사로 구성되며 이러한 구성들을 이용하여 설치현장에서 조립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다른 종래기술로는 실용신안등록 제452056호의 조립식 침대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종래기술의 특징은 한 쌍의 제1 매트리스 지지바(bar)와 상기 제1 매트리스 지지바의 단부에 인접하여 상기 제1 매트리스 지지바 사이에 설치된 제2매트리스지지바(bar)로 이루어지는 프레임과, 상기 제1 매트리스 지지바 사이에 설치되어 매트리스를 지지하는 리브와, 상기 제1 매트리스 지지바의 단부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삽입부를 갖는 지지봉으로 이루어지는 조립식침대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는 상기 제1 매트리스 지지바의 단면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1 매트리스 지지바가 삽입되는 삽입구와, 상기 삽입구의 내측면과 연접하여 절곡되어 상기 삽입구에 삽입되는 상기 제1 매트리스 지지바의 단부를 지지하는 지지플레이트로 포함하며, 상기 지지플레이트는 상기 지지봉의 외주면이 절개되어 절곡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침대를 제공함에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은 프레임과 다리의 결착부분을 견고하게 조립한다 하더라고 장기간 사용에 의하여 쉽게 벌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프레임과 다리 이외에 프레임과 다리를 연결하기 위한 별도의 자재가 필요하며 이러한 연결용 자재들이 배송이나 조립중에 분실되는 경우 조립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으며 조립과정이 복잡하여 일반 소비자가 직접 조립작업을 수행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프레임과 다리의 연결되는 부분이 볼트의 나사체결만으로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체결부분이 쉽게 느슨해져 침대가 흔들리는 문제점이 빈번하게 발생하였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사정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침대 프레임을 금속재로 형성하고 조립을 사용자도 쉽게 조립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장기간 사용시에도 견고한 조립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소비자가 쉽게 조립 및 해체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조립구조를 갖는 침대 프레임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금속재의 프레임이 외부로 노출됨을 최소화함으로써 프레임의 외부측에 쉽게 목재나 합성수지재 등의 다양한 재질의 마감판을 쉽고 정확하게 부착할 수 있어 고급스러운 미감을 갖도록 할 수 있는 침대 프레임을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른 조립이 용이한 침대 프레임은 금속재의 가로프레임과 세로프레임의 단부가 복수개의 연결공과 개방공이 형성된 "ㄱ"자 형태의 연결부재에 의하여 각형으로 용접연결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연결부재에 이면이 착탈가능하게 조립되며 상하부에 마감판 고정용 연결판이 절곡되어 돌출되는 다리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에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에서 다리로부터 절곡 돌출되는 연결판의 절곡부분에 장홈을 형성하여 절곡된 부분이 라운드지지 않고 직각으로 형성될 수 있도록 함에 특징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조립이 용이한 침대 프레임은 프레임을 금속재로 형성하고 연결부재와의 결착부분을 용접하여 프레임 전체를 견고하게 형성할 수 있으며, 프레임의 연결부재와 다리가 쉽고 간편한 과정으로 조립 및 분해됨으로써 비숙련자인 소비자도 쉽고 견고하게 조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프레임과 다리 및 마감판 등의 침대를 구성하는 구성품들이 조립식으로 형성되어 배송시 부피가 크지 않아 배송이 원활하다.
또한, 다리에 형성된 마감판 연결을 위한 연결판이 다리에서 절곡되어 돌출되는 형태를 갖음으로써 절곡되는 부분이 라운지짐이 없이 직각으로 형성되어 조립되는 마감판의 단부와 다리의 측면을 정확하게 밀착시킬 수 있어 우수한 품질의 침대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조립이 용이한 침대 프레임의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립이 용이한 침대 프레임의 프레임과 다리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조립이 용이한 침대 프레임 중 연결부재 부분의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립이 용이한 침대 프레임 중 프레임과 다리가 조립된 상태의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립이 용이한 침대 프레임을 이용하여 침대의 완제품 형태를 갖도록 형성한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조립이 용이한 침대 프레임 중 연결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조립이 용이한 침대 프레임 중 다른 실시예의 연결부재를 설치한 상태의 사용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조립이 용이한 침대 프레임 중 다른 실시예의 연결부재를 설치한 상태의 사용상태를 보인 사시도.
이하,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음 본 고안의 실시 예를 도면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조립이 용이한 침대 프레임의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립이 용이한 침대 프레임의 프레임과 다리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조립이 용이한 침대 프레임 중 연결부재 부분의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조립이 용이한 침대 프레임(100)은 크게 금속재로 형성된 프레임(10)과 이 프레임(10)에 착탈가능하게 조립되는 여러 개의 다리(20)로 구성된다.
상기 프레임(10)은 2개의 가로프레임(11)과 2개의 세로프레임(12) 및 상기 가로프레임(11)과 세로프레임(12)을 연결하는 4개의 연결부재(13)에 의해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내부에 여러 개의 보강프레임(14)이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13)는 "ㄱ"자 형태로 외면 중앙부분에 가로프레임(11)과 세로프레임(12)이 견고하게 용접되며 상부와 하부에 각각 "8"자 형태의 연결공(131)과 일측이 개방된 "ㄱ"자 형태의 개방공(132)이 형성된다.
상기 다리(20)는 금속재질의 부채꼴 형태로 형성되어 2면이 연결부재(13)에 밀착되는 형태를 갖으며, 상부와 하부에 결착부(21)가 다리(20)로부터 절곡되어 형성되고 중앙부분에 여러 개의 암나사공(22)이 형성된다.
즉, 상기 결착부(21)는 다리(20)의 일면을 "ㄷ"자 형태로 레이저절단하고 내부에 볼트체결공(211)을 형성한 상태에서 미절단된 부분을 회전축으로 회전시켜 다리의 면과 직각이 되도록 형성한다.
이때, 미절단된 부분에 레이저절단방식으로 장홈(212)을 형성하면 더욱 정교하게 다리의 면으로부터 직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결착부(21)를 다리(20)로부터 직각으로 형성함으로써 부착되는 마감판(50)의 끝면을 다리(20)의 일면과 밀착시켜 조립할 수 있어 우수한 품질의 침대를 제작할 수 있다.
이하, 프레임(10)과 다리(20)의 조립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다리(20)에 형성된 암나사공(22)에 볼트(40)를 느슨하게(나사산이 노출되도록)체결하고 프레임(10)을 들어올려 연결부재(13)의 연결공(131)과 개방공(132)을 노출된 볼트(40)의 나사산에 올려놓는다.(다리(20)에 결합되는 볼트(40)는 볼트(40)의 분실을 방지하고 조립을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암나사공(22)에 느슨하게 조립된 상태로 출하될 수 있다.)
이때, 연결공(131)의 하부 구멍이 볼트(40)의 머리보다 크게 형성함으로써 원활하게 볼트머리가 관통될 수 있으며 개방공(132)은 일측의 개방된 부분을 통하여 쉽게 끼움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작업을 4회 반복실시하여 각각의 연결부재(13)와 다리(20)를 연결하고 각각의 볼트(40)을 견고하게 체결함으로써 프레임(10)과 다리(20)를 단순하면서도 견고하게 조립한다.
또한, 상기 다리(20)에 형성된 결착부(21)는 하부의 결착부(21)에 마감판(50)의 하부를 안착한 상태에서 상부 결착부(21)에 마감판(50)을 밀착시키고 볼트체결공(211)을 통하여 볼트(30)로 나사체결하여 다리(20)에 마감판(50)을 조립한다.
상기와 같이 프레임(10)을 완성한 후 프레임의 상면에 매트리스(1)를 안착하는 것으로 침대의 조립은 완성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반제품 형태로 배송된 침대를 조립함에 있어 프레임(10)을 다리(20)에 들어 끼움하고 볼트(40)를 견고하게 체결하고 마감판(50)을 연결하는 단순한 과정과 가정에 비치된 드라이버, 랜치 등의 소공구만을 이용하여 침대를 조립함으로써 소비자가 쉽게 침대를 견고하게 조립할 수 있다.
또한, 침대의 외부로는 다리(20)의 일부분만의 금속재가 노출됨으로써 다양한 재질의 마감판(50)을 사용함으로써 고급스러운 미감을 느낄 수 있도록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도 6 내지 도 8에는 상기 연결부재(13)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앞서 설명한 연결부재(13)의 구성에서 상부 일측에 직각으로 절곡된 확장부(133)를 더 형성함에 특징이 있다.
상기와 같은 확장부(133)을 형성함으로써 도 7 내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임(10)의 상면에 마감판(50) 없이 매트리스(1)을 안착하는 경우 모서리에 형성된 확장부(133)가 안착된 매트리스(1)의 모서리 부분을 감싸도록 형성됨으로써 매트리스(1)의 이탈을 방지한다.
이러한 연결부재(13)를 이용하여 침대프레임(10)을 형성함으로써 별도의 마감판을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침대의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음과 동시에 기숙사와 같은 대형 시설에서 화재의 발생시 연소될 수 있는 자재의 사용을 최소화해야하는 조건을 만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13)을 사용하고 마감판(50)을 부착하더라도 외부에서 확장판(133)부분이 안보임으로 미관을 저해하는 문제점이 없다.
본 고안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한 것이나,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에게는 다양한 변형 및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이 이해될 것이다.
10 ... 프레임 11 ... 가로프레임
12 ... 세로프리임 13 ... 연결부재
131 ... 연결공 132 ... 개방공
14 ... 보강프레임 20 ... 다리
21 ... 결착부 211 ... 볼트체결공
212 ... 장홈 30, 40 ... 볼트
50 ... 마감판

Claims (3)

  1. 금속재의 가로프레임(11)과 세로프레임(12)의 단부가 복수개의 연결공(131)과 개방공(132)이 형성된 "ㄱ"자 형태의 일측면 상부에 직각으로 절곡시켜 형성된 확장부(133)가 일체로 이루어진 연결부재(13)에 의하여 각형으로 용접연결되는 프레임(10);
    상기 프레임(10)의 연결부재(13)에 이면이 착탈가능하게 조립되며 중앙부분에 연결부재(13)와 볼트(40)로 연결되는 암나사공(22)과 상하부의 절곡부분에 장홈(212)이 형성된 마감판 고정용 결착부(21)가 절곡되어 돌출되는 다리(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이 용이한 침대 프레임.
  2. 삭제
  3. 삭제
KR2020120004293U 2012-05-22 2012-05-22 조립이 용이한 침대 프레임 KR20046556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4293U KR200465564Y1 (ko) 2012-05-22 2012-05-22 조립이 용이한 침대 프레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4293U KR200465564Y1 (ko) 2012-05-22 2012-05-22 조립이 용이한 침대 프레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5564Y1 true KR200465564Y1 (ko) 2013-02-26

Family

ID=513599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4293U KR200465564Y1 (ko) 2012-05-22 2012-05-22 조립이 용이한 침대 프레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5564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7465B1 (ko) * 2017-01-05 2017-07-12 주식회사 사모스 조립이 용이한 조립식 침대 프레임
WO2019094889A1 (en) * 2017-11-13 2019-05-16 Balanced Body, Inc. Corner member for a supportive frame assembly
KR20190087126A (ko) 2018-01-16 2019-07-24 주식회사 주경 침대프레임
KR102261458B1 (ko) * 2020-12-17 2021-06-07 주식회사 하나로오에이퍼니처 조립이 간편한 침대프레임 결합구조
KR20220138125A (ko) 2021-04-05 2022-10-12 이예닮 조립 및 변형이 용이한 조각침대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4540Y1 (ko) * 2000-04-11 2000-09-01 윤관호 침대의 보료 받침대
KR200356062Y1 (ko) * 2004-04-27 2004-07-14 주식회사 원일퍼니처 이층침대 프레임의 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4540Y1 (ko) * 2000-04-11 2000-09-01 윤관호 침대의 보료 받침대
KR200356062Y1 (ko) * 2004-04-27 2004-07-14 주식회사 원일퍼니처 이층침대 프레임의 구조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7465B1 (ko) * 2017-01-05 2017-07-12 주식회사 사모스 조립이 용이한 조립식 침대 프레임
WO2019094889A1 (en) * 2017-11-13 2019-05-16 Balanced Body, Inc. Corner member for a supportive frame assembly
CN111246922A (zh) * 2017-11-13 2020-06-05 平衡体公司 用于支撑性框架组件的角部构件
US10820698B2 (en) 2017-11-13 2020-11-03 Balanced Body, Inc. Corner member for a supportive frame assembly
US10973324B2 (en) 2017-11-13 2021-04-13 Balanced Body, Inc. Corner member for a supportive frame assembly
AU2018365160B2 (en) * 2017-11-13 2022-03-31 Balanced Body, Inc. Corner member for a supportive frame assembly
CN111246922B (zh) * 2017-11-13 2022-06-24 平衡体公司 用于支撑性框架组件的角部构件
KR20190087126A (ko) 2018-01-16 2019-07-24 주식회사 주경 침대프레임
KR102261458B1 (ko) * 2020-12-17 2021-06-07 주식회사 하나로오에이퍼니처 조립이 간편한 침대프레임 결합구조
KR20220138125A (ko) 2021-04-05 2022-10-12 이예닮 조립 및 변형이 용이한 조각침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65564Y1 (ko) 조립이 용이한 침대 프레임
CA2566744C (en) Bed frame with extended bumper assembly
KR101453493B1 (ko) 조립식 책상
KR101030212B1 (ko) 철재 프레임 침대
KR20140001930U (ko) 조립식 앵글 선반
KR101322621B1 (ko) 침대 프레임 구조
US4261667A (en) Cove joints, furniture therefrom, and furniture manufacturing method
KR20170100829A (ko) 거푸집용 상단 간격유지부재
US11672353B2 (en) Hotel bed frame
KR101077107B1 (ko) 판형너트를 이용한 연결구조를 갖는 침대
KR20190010152A (ko) 조립 선반
KR20130060417A (ko) 조립식 가구
KR20110061029A (ko) 조립식 장의자
BRPI0905876A2 (pt) Método de manufatura de um balaustrada e balaustrada
KR102249215B1 (ko) 놀이용 인디언 텐트
KR200272736Y1 (ko) 조립이 간편한 침대프레임
KR102003181B1 (ko) 절곡 판재 형상의 다리프레임을 구비한 테이블 프레임 어셈블리
KR200470612Y1 (ko) 조립식 테이블
KR20130000992U (ko) 테이블
KR200363225Y1 (ko) 조립식 침대
KR200424336Y1 (ko) 회전의자 받침다리
KR20200077223A (ko) 경사지 시공이 용이한 펜스의 설치 조립체
KR200470355Y1 (ko) 테이블
KR101757465B1 (ko) 조립이 용이한 조립식 침대 프레임
AU2013101230A4 (en) Furniture k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