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6062Y1 - 이층침대 프레임의 구조 - Google Patents

이층침대 프레임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6062Y1
KR200356062Y1 KR20-2004-0011704U KR20040011704U KR200356062Y1 KR 200356062 Y1 KR200356062 Y1 KR 200356062Y1 KR 20040011704 U KR20040011704 U KR 20040011704U KR 200356062 Y1 KR200356062 Y1 KR 20035606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d
frame
ladder
corner
bu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170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공기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원일퍼니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원일퍼니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원일퍼니처
Priority to KR20-2004-001170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606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606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6062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9/00Bedsteads
    • A47C19/20Multi-stage bedsteads; e.g. bunk beds; Bedsteads stackable to multi-stage bedsteads

Landscapes

  • Ladd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침대프레임에 관련된다.
특히 금속재로 2층침대의 프레임을 형성함에 있어서, 상하부침대의 가로 및 세로프레임과 상하부침대 외장판의 장착이 매우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게 하고, 더불어 조립성과 안전성이 극대화되게 하며, 2층침대에 오르내릴 수 있게 한 사다리를 간편하게 벌리거나 오므릴 수 있게 하여 공간활용효과 또한 극대화되게 한 것이다.
구성상 특징으로는 침대의 코너부에 위치하는 통상의 기둥프레임과, 철판을 프레스 및 절곡성형하여 코너부에 상기 기둥프레임의 소정위치에 대고 용접 또는 볼트체결할 수 있는 곡면형태의 부착부가 형성되고 양측벽면 중앙부에는 내측벽면에 가로 및 세로프레임 안착부가 형성되며, 하단에는 외측방향으로 외장판 안착부가 형성된 ""형의 코너지지구와, 이층침대로 오르내릴 수 있는 통상의 사다리는 상단에 걸고리를 가진 걸대 프레임의 측면에 안내장공을 경사지게 형성하여 사다리를 펴거나 오므릴 수 있게 구성하였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르면, 이층침대를 매우 안정적으로 조립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 조립성과 내구성이 뛰어난 이점이 따르고, 더불어 사다리의 위치이동으로 인하여 공간활용이 극대화되며, 내구성이 뛰어난 이층침대 프레임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층침대 프레임의 구조{the construction of a bed frame}
본 고안은 이층침대 프레임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하부 침대의 가로 및 세로프레임 및 외장판의 안정적인 거치와 조립이 이루어지게 하고, 이층으로 오르내릴 수 있게 하기 위해 설치되는 사다리의 이동이 간편하게 이루어지게 하여 공간활용이 극대화될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이다.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철재를 이용하여 제작되는 통상의 이층침대 구조는, 원형 또는 사각봉을 수직으로 세워 구성되는 4개의 지주봉(1)과, "ㄱ"자 형상으로 절곡되어 절곡부(201)가 지주봉(1)에 용접고정되고, 양측면에 장공(203)을 천공하여 목재 또는 수지재 외장판(3)을 나사 등의 체결부재(202)로 조립고정시킬 수 있게 한 연결편(20), 그리고 상기 연결편(20)에 결합 고정되는 외장판(3)과 이층 침대의 일측부에 장착되어 이층으로 오르내릴 수 있게 하는 사다리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이층침대 프레임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따르게 된다.
즉, 지주봉(1)에 외장판(3) 및 침대판을 결합시키기 위해 단순히 "ㄱ"자 형태로 된 연결편(20)을 이용하여 조립시킴에 따라 외장판(3) 및 침대판이 볼트나 너트에 의해 지지되는 구성이기에 충격이나 고하중이 작용할 경우는 처지거나 변형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게 되어 신뢰성이 크게 떨어지고, 또, 조립성이 극히 저조한 폐단이 따르게 된다.
또한, 사다리의 경우는 침대 프레임에 소정위치에 수직으로 부착설치되거나 또는 별도형성하여 걸수 있게 구성되어 있는데, 통상 수직으로 설치되는 구성이기에 오르내리기에 매우 불편하고 불안정한 폐단이 따른다.
다시 말하면, 종래의 이층침대 프레임은 외장판 및 침대판의 설치시 수평을 유지하여 조립하기가 쉽지 않고, 또, 상기 외장판 및 침대판에 고하중이 작용하게 되면 침대판 및 외장판에 처짐이 발생되거나 오래가지 않아 체결부위에 유격이 발생하여 각종 잡소리가 발생됨은 물론, 이로 인한 내구성이 크게 떨어지는 폐단이 따르게 되며, 조립에 따른 시간이 과다소요되고, 또, 사다리의 경사조절이 이루어지지못하여 오르내릴 때 안정적이지 못하고 불편하였다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제반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특히, 철재를 이용하여 이층침대의 프레임을 구성함에 있어서, 목재 또는 합성수지재로 된 외장판과 원형파이프 또는 사각파이프로 되어 침대프레임을 형성하게 되는 가로 및 세로바의 조립이 매우 안정적이고도 양호하게 이루어지고, 충격, 진동 및 하중에도 매우 안정적으로 지탱됨은 물론 내구성이 뛰어난 침대프레임을 제공하려는 데 고안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사다리를 유동가능하게 구성함으로서 오르내리기가 편하게 이루어지면서 공간활용이 극대화되게 하는데도 고안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이층침대 프레임의 요부사시도.
도 2는 종래 이층침대 프레임의 평면예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이층침대 프레임의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조립상태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요부 평면예시도.
도 6은 도 5의 A-A'선 단면도.
도 7은 도 5의 B-B'선 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요부측면도로서 사다리의 작용상태를 나타낸 것임.
이층침대의 프레임을 구성함에 있어서,
침대프레임의 코너부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상하침대를 안정적으로 지탱하는 통상의 지주봉(1)과,
상기 지주봉(1)의 소정위치에 용접 또는 볼트 등의 체결부재에 의해 체결고정되며, 외장판과 침대 받침용 가로 및 세로 바를 안정적으로 받쳐 줌과 동시에 고정시켜주는 ""형의 코너 지지구(2)와,
상기 코너지지구(2)에 의해 조립고정되며 침대의 외관을 구성하는 목재 또는 합성수지로 된 통상의 외장판(3)과,
상기 코너지지구(2)에 안착 고정되며 침대를 안정적으로 받쳐줄수 있게 하기 위해 설치되는 가로 및 세로 바(4)(4')와,
이층 침대에 걸어 사용되는 사다리(5)로 구성된다.
상기 코너지지구(1)는 두꺼운 철재 판을 프레스 등의 성형기를 이용하여 절곡성형하되, 코너부에 상기 기둥프레임의 소정위치에 대고 용접 또는 볼트체결할 수 있는 곡면형태의 부착부(21)를 형성하고, 상기 부착부(21)와 연장 형성된 양측벽면(22)(22') 중앙부에는 벽면의 하부를 타공 절곡시켜 가로 및 세로프레임 안착부(23)(23')를 절곡 형성하며, 하단에는 외측방향으로 절곡시켜서 된 외장판 안착부(24)(24')를 형성하고 양측벽면(22)(22') 상하소정위치에 외장판(3)을 결합고정시킬 수 있는 구멍(25)(25')을 형성함으로서 구성된다.
사다리(5)는 상단에 걸고리(51)가 형성된 ""형의 프레임(52) 양측벽면에 경사지게 장공(53)을 천공하고 상기 프레임(52)안에 사다리(5) 상단을 끼운 뒤 핀(54)을 이용하여 결합시킴으로서 사용시에는 사다리(5)의 하부를 뒤로 빼내어 안정적으로 거치시키고, 사용하지 않을 때는 침대 프레임에 밀착시킴으로서 공간활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그 핵심이 코너지지구(2)와 사다리(5)에 있으며, 따라서 침대 프레임의 코너부에 수직으로 세워 설치되는 4개의 지주봉(1) 소정위치에 각각 코너지지구(2)의 부착부(21)를 대고 용접하거나 또는 볼트나 너트 등의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지주봉(1)과 일체화시키면 된다.
이어서 코너지지구(1)의 양측 벽면(22)(22') 중앙부에 절곡형성된 안착부(23)(23')에 사각봉으로 된 가로 바(4)와 세로 바(4')를 안착시킨뒤 나사 또는 볼트 등의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고정설치하고(이때 가로 바와 세로 바의 맞닿는 부분은 용접하는 것이 보다 견고하게 조립될 수 있어 바람직한 방법이라 할 수 있음) 하단에는 외측방향으로 절곡형성된 외장판 안착부(24)(24')에 외장판을 안착시킨 상태에서 벽면 상하부에 형성된 구멍(25)(25')을 통하여 나사를 체결하여 외장판(3)을 결합 고정시킨다.
또, 침대 프레임을 형성시 서로 대향설치되는 가로바(4) 위에는 일정간격으로 다수의 침대 받침봉(4a)을 나사결합시키거나 또는 용접시켜 구성한 뒤, 이 위에 통상의 침대 또는 침대 받침판을 안착시킨다.
이와 같이 조립되면 외장판(3) 및 침대가 벽면 중앙부 내측으로 돌출되게 끔 절곡된 안착부(22)(22')와 하단 외측으로 절곡형성된 외장판 안착부(24)(24')에 의해 매우 안정적으로 안착지지되게 되며, 더불어 고하중, 충격 진동 등이 작용하더라도 처짐이나 변형이 발생될 염려가 전혀 없게 된다.
또한 외장판(3)과 가로 바(4) 및 세로 바(4')가 상기 안착부(24(24')(22)(22')에 안착된 상태에서 볼트 등의 체결부재로 결합됨으로서 조립이 매우 신속하면서도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게 되며 이에따라 조립원가를 절감시킬 수 있고, 내구성을 크게 증대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상하 침대가 조립되면 2층침대의 외장판(3) 소정위치에사다리(5)를 연결 설치하는데, 이때 상기 사다리(5)는 상단에 걸고리(51)가 형성되고 양측벽면에 경사지게 장공(53)이 형성된 ""형의 프레임(52)에 핀(54)을 이용하여 결합시킨 상태이므로 상기 걸고리(51)를 외장판(3)의 소정위치에 걸어지지시킨 상태에서 사다리(5)의 하단을 뒤로 당기면 사다리(5)가 경사지게 설치되어 2층 침대위로 원활하게 올라갈 수 있게 되며, 사용하지 않을 때는 사다리(5)를 본래의 위치로 밀어붙여 수직으로 설치되게하면 공간활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의 구성은 2층침대에만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따라서 단층으로 된 침대를 비롯하여 하부에 책상이 구비된 이층침대에도 적용이 가능한 것으로서 이부분에도 본 고안의 권리범위가 미친다 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코너지지구(2)에 의해 이층침대를 매우 안정적으로 조립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 조립성과 내구성이 뛰어난 이점이 따르고, 더불어 사다리(5)의 위치이동이 가능하여 공간활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등의 이점이 따르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이층침대의 프레임을 구성함에 있어서,
    침대프레임의 코너부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상하침대를 안정적으로 지탱하는 통상의 지주봉(1)과,
    상기 지주봉(1)의 소정위치에 용접 또는 볼트 등의 체결부재에 의해 체결고정되며, 외장판과 침대 받침용 가로 및 세로 바를 안정적으로 받쳐 줌과 동시에 고정시켜주는 ""형의 코너 지지구(2)와,
    상기 코너지지구(2)에 의해 조립고정되며 침대의 외관을 구성하는 목재 또는 합성수지로 된 통상의 외장판(3)과,
    상기 코너지지구(2)에 안착 고정되며 침대를 안정적으로 받쳐줄수 있게 하기 위해 설치되는 가로 및 세로 바(4)(4')와,
    이층 침대에 걸어 사용되는 사다리(5)로 구성하되,
    상기 코너지지구(1)는 코너부에 상기 지주봉(1) 소정위치에 대고 용접 또는 볼트체결할 수 있는 곡면형태의 부착부(21)와, 상기 부착부(21)를 중심으로 양측벽면(22)(22') 중앙부에 벽면의 하부를 타공 절곡시켜서 된 가로 및 세로프레임 안착부(23)(23')와, 하단에 외측방향으로 절곡시켜서 된 외장판 안착부(24)(24')와, 양측벽면(22)(22') 상하소정위치에 외장판(3)을 결합고정시킬 수 있는 구멍(25)(25')으로 이루어지고,
    사다리(5)는 상단에 걸고리(51)가 형성되고 양측면에 경사지게 장공(53)이 형성된 ""형의 프레임(52)에 핀(54)을 이용하여 결합시킴으로서 사용시에는 사다리(5)의 하부를 뒤로 빼내어 안정적으로 거치시키고, 사용하지 않을 때는 침대 프레임에 밀착시킴으로서 공간활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2층침대 프레임의 구조.
KR20-2004-0011704U 2004-04-27 2004-04-27 이층침대 프레임의 구조 KR20035606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1704U KR200356062Y1 (ko) 2004-04-27 2004-04-27 이층침대 프레임의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1704U KR200356062Y1 (ko) 2004-04-27 2004-04-27 이층침대 프레임의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6062Y1 true KR200356062Y1 (ko) 2004-07-14

Family

ID=494337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1704U KR200356062Y1 (ko) 2004-04-27 2004-04-27 이층침대 프레임의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6062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5564Y1 (ko) * 2012-05-22 2013-02-26 박상영 조립이 용이한 침대 프레임
KR101383869B1 (ko) 2014-01-08 2014-04-17 오금애 침대프레임 조립구조
KR101396492B1 (ko) * 2013-09-26 2014-05-19 유인규 침대프레임
KR101807880B1 (ko) * 2011-09-07 2017-12-12 주식회사 하나로오에이퍼니처 마감판재가 구비된 침대프레임
US20220265056A1 (en) * 2021-02-22 2022-08-25 Cursonia Wilkins Toddler Bunk Beds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7880B1 (ko) * 2011-09-07 2017-12-12 주식회사 하나로오에이퍼니처 마감판재가 구비된 침대프레임
KR200465564Y1 (ko) * 2012-05-22 2013-02-26 박상영 조립이 용이한 침대 프레임
KR101396492B1 (ko) * 2013-09-26 2014-05-19 유인규 침대프레임
KR101383869B1 (ko) 2014-01-08 2014-04-17 오금애 침대프레임 조립구조
US20220265056A1 (en) * 2021-02-22 2022-08-25 Cursonia Wilkins Toddler Bunk Beds
US11992126B2 (en) * 2021-02-22 2024-05-28 Cursonia Wilkins Toddler bunk bed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27716B1 (ko) 고정 브라켓
JP5078493B2 (ja) 天井用補強金具とそれを用いた吊り天井
KR102027992B1 (ko) 정밀도와 내구성을 가진 조립식 다용도 테이블
KR200356062Y1 (ko) 이층침대 프레임의 구조
JP4815483B2 (ja)
JP2778514B2 (ja) 間仕切壁
KR102092858B1 (ko) 가구용 철재 프레임 연결구조
KR101997755B1 (ko) 하부 구조체에 대한 보강 체결구조를 갖는 책상
JP4727369B2 (ja)
JP2009220893A (ja) エレベータのかご枠
JPH0813286B2 (ja) ワゴン
KR20070000825U (ko) 침대 프레임 체결구조
KR100996101B1 (ko) 창틀 고정용 브래킷
JP2020197046A (ja) 柱脚金物、土台と柱の連結構造及び耐力壁
JP7389664B2 (ja) 棚板支持構造体、什器、什器ユニット
JP3940221B2 (ja) 昇降パネル付きテーブル
JP4261327B2 (ja) 木造家屋
JP4472055B2 (ja) 作業台における支柱構造
CN212672879U (zh) 一种槽钢联动连接件以及支架转角连接结构
KR20240000700A (ko) 처짐 방지용 평와셔
JP4800005B2 (ja) 家具の脚体
KR200378375Y1 (ko) 옹벽 및 합벽용 거푸집버팀대의 연장버팀대
KR200373842Y1 (ko) 파티션의 프레임 조립구조
JP4156613B2 (ja) キャビネット取付用基台
JP3533561B2 (ja) 組立式棚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1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0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