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38125A - 조립 및 변형이 용이한 조각침대 - Google Patents

조립 및 변형이 용이한 조각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38125A
KR20220138125A KR1020210043856A KR20210043856A KR20220138125A KR 20220138125 A KR20220138125 A KR 20220138125A KR 1020210043856 A KR1020210043856 A KR 1020210043856A KR 20210043856 A KR20210043856 A KR 20210043856A KR 20220138125 A KR20220138125 A KR 202201381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d
support frame
mattress
sculpture
lower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38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04419B1 (ko
Inventor
이예닮
Original Assignee
이예닮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예닮 filed Critical 이예닮
Priority to KR10202100438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4419B1/ko
Priority to JP2023561771A priority patent/JP2024513922A/ja
Priority to PCT/KR2022/004145 priority patent/WO2022215913A1/ko
Publication of KR202201381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81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44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44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9/00Bedsteads
    • A47C19/02Parts or details of bedsteads not fully covered in a single one of the following subgroups, e.g. bed rails, post rails
    • A47C19/028Parts or details of bedsteads not fully covered in a single one of the following subgroups, e.g. bed rails, post rails for joining separate bedstea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9/00Bedsteads
    • A47C19/02Parts or details of bedsteads not fully covered in a single one of the following subgroups, e.g. bed rails, post rai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9/00Bedsteads
    • A47C19/02Parts or details of bedsteads not fully covered in a single one of the following subgroups, e.g. bed rails, post rails
    • A47C19/021Bedstead frames
    • A47C19/024Le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9/00Bedsteads
    • A47C19/02Parts or details of bedsteads not fully covered in a single one of the following subgroups, e.g. bed rails, post rails
    • A47C19/021Bedstead frames
    • A47C19/025Direct mattress support frames, Cross-ba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47C31/02Upholstery attaching means

Landscapes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사용자가 누워 안락감을 느끼는 소재로 형성되는 매트리스; 및 상기 매트리스가 안착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며 바닥으로 부터 상기 매트리스가 이격 배치되도록 형성되는 침대유닛; 을 포함하고 상기 침대유닛은 상부면에 상기 매트리스이 안착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는 하부받침틀; 및 상기 하부받침틀을 설치면에서 이격되도록 형성되는 침대다리; 를 포함하는 조각침대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조립 및 변형이 용이한 조각침대{Bed Easy to assemble and deform}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이 용이하도록 조립 및 분할되는 조각침대에 관한 것이다.
최근 1 인가구가 증가하고 있는 상황과 특히 혼자 생활하는 젊은이들이 증가하는 추세에 따라 그들의 취향에 맞추어 가구 배치를 새롭게 하거나 원룸이나 투룸 등 생활공간에 맞게 침대를 자유롭게 배치하기 위하여, 또는 진취적이고 새로운 환경을 지향하는 성향에 따라서 집안 분위기를 바꾸고자 가구를 재배치하거나 재구입하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추세에 따라 소비자가 자신이 원하는 물건을 스스로 만들 수 있도록 한 상품으로 DIY(DO It Yourself)가구가 생산되고 있다. DIY가구는 반제품상태의 제품을 구입해 직접 조립하거나 제작하도록 한 상품을 말한다. 소비자는 제품을 조립하는 과정을 통해 창조적인 재미를 느낄 수 있을뿐더러 조립비용이 저감된 상품을 받게되어 저렴한 가격에 구매를 할 수 있어 최근 많은 인기를 누리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등록실용신안20-0465564에서는 조립이 용이한 침대 프레임을 개시하고 있다. 이와 같은 기술은 사용자가 직접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는 가구를 제공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동종업계에 사용환경에 따라 규격변경이 가능한 가구들의 개발이 진행중에 있다.
등록실용신안 제20-0465564호(2020.03.03. 등록)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종래의 침대를 대체하여 사용환경에 따른 형태의 변형이 용이한 침대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사용자가 누워 안락감을 느끼는 소재로 형성되는 매트리스; 및 상기 매트리스가 안착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며 바닥으로부터 상기 매트리스가 이격 배치되도록 형성되는 침대유닛; 을 포함하고 상기 침대유닛은 상부면에 상기 매트리스이 안착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는 하부받침틀; 및 상기 하부받침틀을 설치면에서 이격되도록 형성되는 침대다리; 를 포함하는 조각침대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조각침대는 조각형태로 분할된 복수개의 조각침대유닛의 결합을 통해 사용환경에 따른 형태의 변형이 용이한 침대가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이와 같은 본 실시예들의 조각침대는 환경 또는 체형이 달라질 경우 재구매를 필요로 하는 종래 침대를 대체하여 활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각침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침대유닛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2에 도시된 하부받침틀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침대유닛의 단면형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침대유닛의 제1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침대유닛의 제1 변형예의 측면 단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의 (a), (b) 및 (c)는 침대유닛의 제2 변형예와 작동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수개의 조각침대가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각침대가 배열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의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알려둔다. 이하의 실시예들은 해당 기술 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으로, 불필요하게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의 구성에 대해서는 상세한 기술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각침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조각침대(10)는 사용자가 누워 안락감을 느끼는 소재로 형성되는 매트리스(100) 및 상기 매트리스(100)가 안착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매트리스(100)가 설치면으로부터 소정높이 이격 배치되도록 형성되는 침대유닛(200); 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각 구성을 상세히 설명키로 한다.
본 실시예의 조각침대는 사용자의 매트리스를 포함할 수 있다. 매트리스(100)는 겉감이 사용자가 안락감을 느끼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매트리스의 겉감은 오가닉코튼(orgarnic cotton), 텐셀(tencel), 자가드(Jacguard) 등 이 될 수 있다. 또한, 매트리스(100)는 겉감의 내부에 스프링 또는 충진재가 구비되어 사용자의 착좌자세 또는 눕는 자세를 취할 경우, 안락함을 느낄 수 있도록 탄성 및 충격완화 효과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매트리스(100)는 침대유닛(200)의 상부에 결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매트리스(100)는 침대유닛(200)의 크기와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침대유닛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조각침대는 침대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침대유닛(200)은 상부면에 상기 매트리스(100)이 안착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는 하부받침틀(210); 및 상기 하부받침틀(210)을 설치면에서 이격되도록 형성되는 침대다리(220); 를 포함할 수 있다. 침대유닛(20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조각침대의 한 개 유닛을 이루는 형태가 될 수 있다. 침대유닛(200)은 매트리스(100)가 설치면으로부터 소정높이 이격 배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침대유닛(200)은 플라스틱, 재활용 플라스틱, 철, 또는 나무와 같은 일반적인 기구에 쓰이는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침대유닛(200)은 복수개가 서로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침대유닛(200)은 적어도 일측면이 접촉되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침대유닛(200)은 하부받침틀(21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도2에 도시된 하부받침틀(210)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하부받침틀(210)은 외관이 직육면체형태로 하부가 개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하부받침틀(210)은 측면에 자성이 형성된 도체(211)가 매립된 형태로 결합되어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하부받침틀(210)은 가로 x 세로의 크기가 30 x 30 또는 40 x 40 또는 50 x 40의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가로 및 세로의 길이 단위는 cm가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부에 안착되는 매트리스의 크기 또한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하부받침틀(210)은 상부면의 중심에 격자형태로 형성된 매트리스받침면(212)이 형성될 수 있다. 매트리스받침면(212)은 사각 격자의 중심에 소정 두께로 형성된 두개의 단부가 'X'형태로 교차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매트리스받침면(212)에는 좌우 대칭형태로 벨크로면(213)이 소정면적에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벨크로면(213)은 매트리스(100)가 안착될 수 있도록 부착되는 부분이 될 수 있다. 또한, 하부받침틀(210)은 측면이 격벽으로 둘러쌓인 형태로 하부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침대유닛의 단면형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고하면, 하부받침틀(210)이 하부가 개방된 직육면체 형태로'П'단면형태로 형성됨에 따라, 하부에 형성된 하부공간(A)에는 보강지지대(214)가 형성될 수 있다.
보강지지대(214)는 하부받침틀(210)의 하부공간(A)의 상면과 측면에 접촉된 형태로 지지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보강지지대(214)는 침대다리(220)가 고정될 수 있도록 발생되는 지지력이 보강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침대유닛(200)은 제1 봉끼움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봉끼움대(230)는 침대다리(220)가 끼워져 고정되는 기둥이 될 수 있다. 제1 봉끼움대(23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기둥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필요에 따라 삼각, 육각 등 다각형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 봉끼움대(230)는 중심에 제1 침대다리결합홀(231)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침대다리결합홀(231)은 침대다리(220)가 결합되어 지지되는 홀이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봉끼움대(230)에는 침대다리(220)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1 봉끼움대(230)는 보강지지대(214)의 하측에 연결되어 지지될 수 있다.
한편, 침대유닛(200)은 제1 봉끼움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봉끼움대(240)는 제1 봉끼움대(230)의 하부방향으로 소정간격 이격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봉끼움대(240)는 제1 봉끼움대(230)에 결합되는 침대다리(220)의 중심부분을 지지하여 침대다리(220)의 지지력을 보강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봉끼움대(240)에는 제2 침대다리결합홀(241)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침대다리(220)는 제2 침대다리결합홀(241)에는 삽입되어 제1 침대다리결합홀(231)까지 도달하여 삽입될 수 있다.
침대유닛(200)은 침대다리를 포함할 수 있다.
침대다리(220)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일측이 설치면에 접촉될 수 있다. 또한, 침대다리(220)의 타측은 상기 하부받침틀(210)의 하부에 접촉되어 설치면으로부터 이격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침대다리는 스테인리스 스틸, 플라스틱와 같은 구조용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침대다리(220)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기둥형태의 삽입부(221) 및 하부 끝단에 형성되는 바닥접촉부(222)로 형성될 수 있다.
침대다리(220)에 형성된 삽입부(221)는 제1 봉끼움대(230) 및 제2 봉끼움대(240)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부분이 될 수 있다. 또한, 삽입부(221)는 제1 봉끼움대(230) 및 제2 봉끼움대(240)에 모두 삽입될 수 있는 충분한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삽입부(221)는 하부받침틀(210)과 설치되는 바닥면이 이격될 수 있는 충분한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침대다리(220)에 형성된 바닥접촉부(222)는 삽입부(221)의 하측 끝단에 형성되는 부분이 될 수 있다. 바닥접촉부(222)는 삽입부(221)의 두께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된 원기둥형태가 될 수 있다. 바닥접촉부(222)는 바닥접촉면(222a)이 널링가공 또는 미끄럼방지코팅과 같은 가공이 되어 설치되는 바닥면과 미끄러짐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침대유닛(200)은 도 4와 같은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와 같은 구조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5는 본 발명의 침대유닛(200)의 제1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침대유닛(200)은 하부받침틀(210)과 침대다리(220)의 결합이 힌지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침대다리(220)는 절첩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침대다리(220)는 하부받침틀(210)의 내측에서 외측방향으로 펴지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침대다리(220)에 의해 침대유닛(200)은 운송이 용이하도록 외관의 크기가 작게 변환될 수 있다.
도 6은 침대유닛(200)의 제1 변형예의 측면 단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고하면, 보강지지대(214)와 침대다리(220) 사이에는 침대다리회전축고정판(215)이 형성될 수 있다. 침대다리회전축고정판(215)은 침대다리(220)의 회전각도를 제한하는 판이 될 수 있다. 침대다리회전축고정판(215)은 침대다리(220)의 회전이 내측으로 90˚이상 형성되는 동작을 제한하기위해 90˚이상 회전되는 침대다리(220)의 일측을 지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침대다리회전축고정판(215)의 침대다리(220)의 회전각도를 제한하기 위하여 접촉되는 부분은 충격완화부(215a)가 형성될 수 있다. 충격완화부(215a)는 고무 또는 실리콘과 같은 탄성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충격완화부(215a)는 결합홈(H)이 형성될 수 있다. 결합홈(H)은 침대다리(220)에 형성된 결합돌기(D)와 결합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침대다리(220)가 접혔을 경우, 결합돌기(D)와 결합홈(H)의 체결로 인해 침대다리(220)가 하부받침틀(210)의 내측에 위치된 형태로 고정이 유지될 수 있다.
도 7의 (a), (b) 및 (c)는 침대유닛의 제2 변형예와 작동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을 참고하면, 제2 변형예에 따른 침대유닛(200)은 봉끼움대레일(250)을 포함할 수 있다.
봉끼움대레일(250)은 하부받침틀(210)의 하부공간(A)의 측면에 결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봉끼움대레일(250)은 'ㄷ'형태의 레일로 제1, 2 봉끼움대(230, 240)가 결합되어 이동경로가 안내되는 레일이 될 수 있다. 봉끼움대레일(250)은 하부받침틀(210)의 하부공간(A)의 상측에서부터 하측 끝단까지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봉끼움대레일(250)은 하부받침틀(210)의 일측에 매립된 형태로 형성되어 돌출되지 않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봉끼움대레일(250)은 상하로 연장된 경로로 형성되는 승하강이동로(250a)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봉끼움대레일(250)은 승하강이동로(250a)의 일측에는 복수개의 퇴출로(250b)가 형성될 수 있다. 퇴출로(250b)는 원호형태의 경로로 형성된 통로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퇴출로(250b)는 제1, 2 봉끼움대(230, 240)가 이탈될 수 있도록 봉끼움대레일(250)의 외측으로 개방되는 경로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은 봉끼움대레일(250)을 통해 이동되는 제1, 2 봉끼움대(230, 240)에는 레일을 타고 이동될 수 있도록 확대도와 같이 대응되는 형태의 휠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봉끼움대레일(250)을 통해 이동되는 제1, 2 봉끼움대(230, 240)는 임의위치에서 정지될 수 있는 정지수단(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정지수단(미도시)은 레일과 휠을 밀착하여 마찰을 형성하거나 휠의 구름동작을 제한하는 장치가 될 수 있다.
또한, 제1 봉끼움대(230)의 휠이 형성된 부분의 반대측에는 보강지지대(214)와 힌지결합구조로 결합되는 힌지레일(260)이 형성될 수 있다. 힌지레일(260)은 두개의 레일 결합된 형태가 될 수 있다. 또한, 힌지레일(260)은 상측과 하측에 형성된 레일이 포개어져 결합된 형태의 레일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힌지레일(260)의 상측에 결합된 레일은 보강지지대(214)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하측에 결합된 레일은 하측끝단에 힌지가 형성되어 제1 봉끼움대(230)가 회전동작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힌지레일(260)에 ?쳬蘭풔? 제1 봉끼움대(230)는 상하이동 및 회전운동이 가능하게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침대유닛(200)은 제1, 2 봉끼움대(230, 240)의 높이를 임의로 설정할 수 있게 되어 침대다리(220)의 길이조절이 용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2 봉끼움대(230, 240)와 결합은 레일과 힌지구조가 병합되어 체결된 형태가 되어 제1 실시예와 같이 접이식자세가 구현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되는 조각침대(10)는 배치되는 배열에 따라 복수의 용도 및 규격으로 활용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수개의 조각침대가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조각침대(10)는 복수개가 서로 측면이 접촉된 형태로 결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조각침대(10)의 측면에 위치된 도체(211)가 서로 접촉된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 조각침대(10)는 접촉된 도체(211)에서 작용되는 인력에 의해 서로 결합이 유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조각침대(10)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여러가지 배열로 결합되어 활용될 수 있다.
도 9,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각침대가 배열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크기의 단위는 cm이다.
도 9를 참고하면, 조각침대(10)는 1)번 예시와 같이 한개 조각침대(10)의 가로 x 세로의 크기가 50 x 40의 크기로 형성되어 가로 100 x 200의 크기를 형성하여 1인용 침대의 크기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조각침대(10)는 사용자의 체형에 따라 40 x 40의 크기로 형성된 조각침대(10)가 배열되어 2)번, 3)번 예와 같이 80 x 200 및 120 x 200의 크기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4)번 예와 같이 30 x 30의 크기로 형성된 조각침대(10)가 배열되어 90 x 180의 크기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5)번 예와 같이 40 x 30의 크기로 형성된 조각침대(10)가 배열되어 80 x 180의 크기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배치로 1인용 침대 또는 소파의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조각침대(10)는 사용자의 허리부분의 보강을 위해 6)번 예와 같이 허리가 배치되는 부분에 척추길이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는 조각침대를 배치하여 허리보강용 조립형태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7)번 예와 같이 대형침대를 형성할 수 있도록 50 x 40의 조각침대를 배열하여 150 x 200 크기의 침대를 형성하게 될 수 있다.
상기한 예시 외에도 다양한 크기와 모양으로 자신만의 침대를 조립하게 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 본 실시예들에 따른 조각침대는 조각형태로 분할된 복수개의 조각침대유닛의 결합을 통해 사용환경에 따른 형태의 변형이 용이한 침대가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이와 같은 본 실시예들의 조각침대는 환경 또는 체형이 달라질 경우 재구매를 필요로 하는 종래 침대를 대체하여 활용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 매트리스 200 : 침대유닛
210 : 하부받침틀 211 : 도체
213 : 벨크로 214 : 보강지지대
220 : 침대다리 230 : 제1 봉끼움대
240 : 제2 봉끼움대

Claims (6)

  1. 사용자가 안락감을 느끼는 소재로 된 겉감과 스프링 또는 충진재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매트리스(100); 및
    상기 매트리스(100)가 상부에 안착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며 바닥으로 부터 상기 매트리스(100)가 이격 배치되도록 형성되는 침대유닛(200); 을 포함하고
    상기 침대유닛(200)은
    상부면에 상기 매트리스(100)이 안착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는 하부받침틀(210); 및
    상기 하부받침틀(210)을 설치면에서 이격되도록 형성되는 침대다리(220); 를 포함하는 조각침대.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부받침틀(210)은
    외관이 하부가 개방된 직육면체형태로 형성되어 측면에 자성이 형성된 도체(211)가 매립된 형태로 체결되어 돌출되지 않도록 형성되는 조각침대.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침대유닛(200)은
    상기 하부받침틀(210)의 하부에 결합되어 위치되어 상기 침대다리(220)이 결합되어 지지되는 고정판 보강지지대(214); 를 포함하는 조각침대.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침대유닛(200)은
    상기 보강지지대(214)의 하부에 적층된 형태로 위치되는 제1 봉끼움대(230); 및
    상기 제1 봉끼움대(230)의 하부방향으로 소정간격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하부받침틀(210)에 일측이 접촉되어 지지되는 제2 봉끼움대(240);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봉끼움대(230) 및 상기 제2 봉끼움대(240)에 상기 침대다리(220)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조각침대.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보강지지대(214)와 상기 침대다리(220)는 힌지구조로 결합되는 조각침대.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부받침틀(210)은
    중심에 격자형태로 지지구조가 형성되고 좌우 대칭형태로 벨크로(213)가 소정면적에 형성된 조각침대.
KR1020210043856A 2021-04-05 2021-04-05 조립 및 변형이 용이한 조각침대 KR1025044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3856A KR102504419B1 (ko) 2021-04-05 2021-04-05 조립 및 변형이 용이한 조각침대
JP2023561771A JP2024513922A (ja) 2021-04-05 2022-03-24 組立および変形が容易な断片ベッド
PCT/KR2022/004145 WO2022215913A1 (ko) 2021-04-05 2022-03-24 조립 및 변형이 용이한 조각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3856A KR102504419B1 (ko) 2021-04-05 2021-04-05 조립 및 변형이 용이한 조각침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8125A true KR20220138125A (ko) 2022-10-12
KR102504419B1 KR102504419B1 (ko) 2023-02-27

Family

ID=835464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3856A KR102504419B1 (ko) 2021-04-05 2021-04-05 조립 및 변형이 용이한 조각침대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24513922A (ko)
KR (1) KR102504419B1 (ko)
WO (1) WO2022215913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8854U (ko) * 1993-09-17 1995-04-17 박상길 일회용 식품용기
KR200447798Y1 (ko) * 2007-08-17 2010-02-22 장현수 절첩다리를 구비하는 침대
KR200465564Y1 (ko) 2012-05-22 2013-02-26 박상영 조립이 용이한 침대 프레임
KR101977618B1 (ko) * 2017-08-01 2019-05-13 윤영식 암염 침대
KR20200139593A (ko) * 2019-06-04 2020-12-14 문영범 퍼즐 침대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80699A (ja) * 2003-09-04 2005-03-31 Maruhachi Mawata Co Ltd 連結形ベッド
US9277813B2 (en) * 2010-11-12 2016-03-08 Sac Acquisition Llc Modular furniture assembly and display kit with magnetic coupling assembly
WO2012009376A1 (en) * 2010-07-12 2012-01-19 Holly Elizabeth Everett Modular furniture system
KR20180137894A (ko) * 2017-06-20 2018-12-28 박형국 선반이 구비된 접이식 침대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8854U (ko) * 1993-09-17 1995-04-17 박상길 일회용 식품용기
KR200447798Y1 (ko) * 2007-08-17 2010-02-22 장현수 절첩다리를 구비하는 침대
KR200465564Y1 (ko) 2012-05-22 2013-02-26 박상영 조립이 용이한 침대 프레임
KR101977618B1 (ko) * 2017-08-01 2019-05-13 윤영식 암염 침대
KR20200139593A (ko) * 2019-06-04 2020-12-14 문영범 퍼즐 침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215913A1 (ko) 2022-10-13
KR102504419B1 (ko) 2023-02-27
JP2024513922A (ja) 2024-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0227109B2 (en) A self-adjusting mattress with balancing bars and an integrated movement mechanism
US4481684A (en) Single sleeper furniture having flexible support frame
US4022502A (en) Arm or cushion support for furniture
US8959684B2 (en) Wall hung slipcover headboard to incorporate art into a bed
WO2002028231A1 (en) A mattress and bed assembly providing an enlarged sleeping surface area
JP2013031577A (ja) ソファ兼ベッド機能を有する多用途家具
KR20220138125A (ko) 조립 및 변형이 용이한 조각침대
US2888687A (en) Bed-chest unit
US3105976A (en) Bedframe having snap-in leg means
KR20170123804A (ko) 침대 및 책상 겸용 가구
KR102099536B1 (ko) 가구 다리용 조립식 쿠션장치
KR20170028695A (ko) 가변식 가구 시스템
KR101248020B1 (ko) 골판지로 제조된 휴대용 접철식 침대
KR101274910B1 (ko) 소파 겸 침대기능을 갖는 다용도 가구
US20120204346A1 (en) Modular metamorphosis: parsimonious pedestal-platform furniture system™, (alternatively called the modular metamorphosis 3-P system™ or the modular metamorphasis base-pair furniture system™)
KR200400955Y1 (ko) 침대용 수납장
KR20110006382U (ko) 가구 이송용 볼 트랜스퍼
KR20170004222U (ko) 유아용 매트
KR200476697Y1 (ko) 접이식 매트
KR200331215Y1 (ko) 접이식 침대
KR200401964Y1 (ko) 의자일체형 테이블
KR100196781B1 (ko) 다목적매트용 매트대
KR200339562Y1 (ko) 의자용 쿠션 바퀴볼
KR20190002200U (ko) 다용도 사이드 침대 테이블
KR102367460B1 (ko) 수납형 침대가 구비된 책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