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37894A - 선반이 구비된 접이식 침대 - Google Patents

선반이 구비된 접이식 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37894A
KR20180137894A KR1020170077755A KR20170077755A KR20180137894A KR 20180137894 A KR20180137894 A KR 20180137894A KR 1020170077755 A KR1020170077755 A KR 1020170077755A KR 20170077755 A KR20170077755 A KR 20170077755A KR 20180137894 A KR20180137894 A KR 201801378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ng
shelf
rotary
frame
too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77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형국
Original Assignee
박형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형국 filed Critical 박형국
Priority to KR10201700777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137894A/ko
Publication of KR201801378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789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7/00Sofas; Couches; Beds
    • A47C17/38Wall be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5/00Furniture convertible into other kinds of furnitu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7/00Sofas; Couches; Beds
    • A47C17/86Parts or details for beds, sofas or couches only not fully covered in a single one of the sub-groups A47C17/02, A47C17/04, A47C17/38, A47C17/52, A47C17/64, or A47C17/84; Drawers in or under be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반이 구비된 접이식 침대에 관한 것으로, 본체, 상기 본체에 힌지로 연결되어 회전가능한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연결된 두 개의 선반다리 및 상기 두 개의 선반다리 사이를 연결하는 선반대를 포함하는 선반, 및 제1구동부, 제2구동부 및 연결부를 포함하는 소정의 구조를 두 개 포함하되, 상기 제1구동부는 제1 회전톱니 및 상기 제1 회전톱니에 맞물리는 톱니형상이 구비된 제1 회전막대를 포함하고, 상기 제2구동부는 제2 회전톱니 및 상기 제2 회전톱니에 맞물리는 톱니형상이 구비된 제2 회전막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의 일단은 상기 제1 회전막대에 연결되고, 상기 연결부의 타단은 상기 제2 회전막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소정의 구조는 상기 프레임의 내측에 서로 마주보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선반다리는 상기 제2 회전톱니의 체결구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선반이 구비된 접이식 침대{FOLDABLE BED HAVING SHELF}
본 발명은 선반이 구비된 접이식 침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접이식 침대가 접힌 상태 또는 펼쳐진 상태에서 침대에 구비된 선반의 수평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접이식 침대에 관한 것이다.
제한된 크기의 주거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침대와 책상을 결합하거나 또는 침대와 쇼파를 결합하는 등 다양한 시도가 행해지고 있다. 또다른 예로서, 수면을 취하기 전까지 일상 활동시에는 침대를 접어서 벽면에 밀착시킴으로써 생활 공간을 최대화시키는 반면, 수면을 취할 때에는 벽면에 밀착되어 있는 상태의 침대를 하향하여 바닥면과 수평 상태를 만듦으로써 편한 수면 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접이식 침대가 시판되고 있다.
접이식 침대에 관한 종래 기술인 공개특허공보 제10-2003-0090352호에서 지지대, 선반 부재 및 손잡이는 접이식 침대를 펼치기 위한 손잡이 또는 프레임을 지지하는 역할을 할 뿐 실제로 선반으로서의 역할을 지속적으로 수행하기 어렵다. 또한 종래 기술은 랙, 제1치, 또는 제2치가 고장나는 경우, 침대 프레임 자체를 교체하거나 전체 부속품을 한꺼번에 교체해야 하므로, 접이식 침대가 고장난 경우 용이하게 수리할 수 없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03-0090352호
본 발명은 접이식 침대가 접힌 상태, 접힌 상태에서 펼쳐진 상태로 변형되는 경우, 펼쳐진 상태, 또는 펼쳐진 상태에서 접힌 상태로 변형되는 경우에서도 접이식 침대에 구비된 선반이 수평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하여 선반으로서의 기능을 실제로 수행할 수 있으면서도 펼쳐진 상태에서 프레임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접이식 침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본체, 상기 본체에 힌지로 연결되어 회전가능한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연결된 두 개의 선반다리 및 상기 두 개의 선반다리 사이를 연결하는 선반대를 포함하는 선반, 및 제1구동부, 제2구동부 및 연결부를 포함하는 소정의 구조를 두 개 포함하되, 상기 제1구동부는 제1 회전톱니 및 상기 제1 회전톱니에 맞물리는 톱니형상이 구비된 제1 회전막대를 포함하고, 상기 제2구동부는 제2 회전톱니 및 상기 제2 회전톱니에 맞물리는 톱니형상이 구비된 제2 회전막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의 일단은 상기 제1 회전막대에 연결되고, 상기 연결부의 타단은 상기 제2 회전막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소정의 구조는 상기 프레임의 내측에 서로 마주보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선반다리는 상기 제2 회전톱니의 체결구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침대에 구비된 선반은 침대가 접힌 상태에서 펼쳐진 상태로 변형되는 경우와 그 역의 경우 모두 수평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접이식 침대를 변형시킬 때마다 선반 위에 놓여져 있는 임의의 물건을 치우지 않더라도 그 상태 그대로 유지한채 안정적으로 접이식 침대를 변형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접이식 침대가 접힌 상태인 경우, 침대에 구비되어 있는 선반 위에 인테리어를 목적으로 화분, 사진액자 등을 올려놓을 수 있다. 수면을 취하고자 할 때 접힌 상태의 침대는 바닥면에 펼쳐진 상태로 변형되는데, 이때 침대가 변형되는 동안에도 선반은 계속하여 수평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선반 위에 놓여있는 화분, 사진액자 등이 쓰러지거나 넘어지지 않는다. 따라서, 선반 위에 위치되어 있는 물건을 별도로 치울 필요가 없으므로 매우 간편하게 침대를 접고 펼칠 수 있으며, 선반 위의 물건 배치를 처음 그대로 유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종래 접이식 침대에 비해 선반의 수평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구성이 간결화되어 있기 때문에, 부착 및 설치가 매우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침대는 단순한 구성으로 인해 고장률을 유의적으로 낮출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동부, 연결부 또는 선반에 이상이 생긴 경우에는 해당 부재만 선별하여 쉽게 교체할 수 있으므로, 접이식 침대를 반영구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구현예에 따른 접이식 침대가 접힌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구현예에 따른 접이식 침대가 펼쳐진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구동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3b는 제2 구동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c는 연결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구동부, 제2 구동부 및 연결부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상면도이고, 4b는 제1 구동부, 제2 구동부 및 연결부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구현예에 따른 접이식 침대가 접힌 상태에서 펼쳐진 상태로 변형되는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하기의 실시예에 기초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나, 이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려는 것이 아니다. 또한,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취지를 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에 대해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을 가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구현예에 따른 접이식 침대가 접힌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접이식 침대(1)가 접힌 상태에서 본체(10), 프레임(20) 및 선반(30)이 드러난다.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침대(1)는 프레임(20) 내측에 제1구동부(40), 제2구동부(50) 및 연결부(60)를 더 포함하는데 이는 도 2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프레임(20)은 벽면과 평행하게 본체(10) 내에 보관되며, 이는 수면을 취하지 않을 때 생활공간을 실질적으로 넓혀주는 효과를 부여한다. 프레임(20)은 회전이 가능하며, 수면을 취하고자 할 때에는 후술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면과 평행하도록 하향 회전될 수 있다. 본체(10)와 프레임(20)은 힌지 등으로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프레임(20)의 재질은 목재, 금속재, 플라스틱재 등일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프레임(20)은 항상 매트리스(도시되지 않음)와 결합된 상태로 있을 수 있으며, 이때 프레임(20)과 매트리스를 결합하는 수단에는 볼트와 너트, 벨크로, 끈 등이 포함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필요에 따라서는, 프레임(20)이 벽면과 평행하게 본체(10) 내에 보관될 때에는 매트리스를 별도의 공간에 분리하여 보관하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20)을 바닥면과 평행하게 위치시킨 후에 별도의 공간에 보관되어 있던 매트리스를 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선반(30)은 프레임(20)에 연결된다. 선반(30)은 선반다리(31) 및 선반대(32)를 포함하는데, 도 2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선반(30)은 하나 또는 둘 이상일 수 있다. 선반(30)이 둘 이상인 경우에는,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침대(1)가 접혀져 벽면과 평행한 상태에 있을 때 물건을 놓을 수 있는 공간이 더욱 많이 제공되며,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침대(1)가 펼쳐져 바닥면과 평행한 상태에 있을 때에는 프레임(20) 및 프레임(20) 위의 매트리스를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는 점에서 유리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구현예에 따른 접이식 침대가 펼쳐진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이식 침대(1)가 펼쳐져 프레임(20)이 바닥면과 평행한 상태에 있는 경우, 선반(30)은 프레임(20) 및 프레임(20) 위의 매트리스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선반(30)이 둘 이상인 경우 프레임(20) 및 프레임(20) 위의 매트리스를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선반(30)은 선반다리(31) 및 선반대(32)를 포함한다. 선반다리(31)의 일단은 프레임(20)에 체결구를 통해 연결되며, 프레임(20)이 회전하여 접힌 상태에서 펼쳐진 상태로 변형되는 경우, 선반다리(31)도 프레임(20)의 회전 정도에 따라 회전되며, 선반대(32)가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회전된다. 체결구는 하나 이상의 볼트와 너트 등이 포함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체결구는 하기 도 4b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된다. 바람직하게는, 선반다리(31)는 0~90°의 범위에서 회전하도록 설정된다.
선반대(32)는 좌측과 우측의 선반다리(31)를 연결하며 편평한 판의 형상을 갖는다. 접이식 침대(1)가 접힌 상태에서 선반대(32)는 수평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으므로, 그 위에 임의의 물건이 안정적으로 놓여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인테리어를 목적으로 화분, 사진액자 등이 선반(30) 위에 놓여질 수 있으며, 수납을 목적으로 모자, 신발, 핸드백, 의류 등이 선반(30) 위에 놓여질 수 있으며, 임시 보관을 목적으로 휴대폰, 독서 중인 서적 또는 신문 등이 선반(30) 위에 놓여질 수 있다.
접이식 침대(1)의 본체(10)의 저면과 접촉하는 바닥면이 편평하지 않은 경우가 있을 수 있으며, 이때 접이식 침대(1) 전체가 일정한 각도로 기울어지게 되며, 결국 선반대(32) 위의 놓여져 있는 물건들도 안정한 상태를 유지하지 못한다. 이 경우에는, 바닥면에 따라 기울어져 있는 본체(10)와는 독립적으로 선반다리(31)의 높이를 변경하여 선반대(32)의 수평을 맞춰줄 수 있다. 편평하지 않은 바닥면에서도 선반대(32)는 물건을 안정적으로 수평하게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선반다리(31)는 복수의 홈(groove)를 구비할 수 있고, 복수의 홈 중 하나를 선택적으로 제2구동부(50)의 체결구에 결합시킴으로써, 선반다리(31)의 높이를 변경할 수 있다.
접이식 침대(1)가 펼쳐진 상태인 경우, 프레임(20) 내측에 구비된 제1구동부(40), 제2구동부(50) 및 연결부(60)가 나타난다. 제1구동부(40), 제2구동부(50) 및 연결부(60)는 하나의 구조를 이루어 하나의 선반다리에 연결될 수 있다. 일실시예로서, 선반 하나가 구비된 경우, 프레임(20) 내측에서 서로 마주보도록 제1구동부(40), 제2구동부(50) 및 연결부(60)가 각각 구비된다.
제1구동부(40)는 회전톱니 및 회전막대를 포함하는 장치로서, 프레임 내측에 구비된다. 프레임(20)이 접히거나 펼쳐지는 동안 회전톱니가 회전된다. 제1구동부(40)는 본체(10) 및 프레임(20) 사이에 연결되어 프레임(20)이 회전하는 동안, 자동으로 프레임(20)이 회전하는 정도만큼 회전톱니가 회전될 수도 있으며, 수동 장치(미도시)를 별도로 구비하여 수동 장치의 회전 정도에 따라 회전톱니가 회전될 수도 있다. 자동으로 회전하는 경우, 제1구동부(40)는 본체(10)와 프레임(20)이 연결된 부분에 구비될 수 있다.
제2구동부(50)는 회전톱니 및 회전막대를 포함하는 장치로서, 프레임 내측에서 선반(30)의 선반다리(31)에 연결된다. 제2구동부(50)의 체결구를 통해 프레임(20)과 선반다리(31)가 연결된다. 제2구동부(50)는 선반다리(31)의 개수만큼 구비된다. 예를 들어, 2개의 선반이 이용되어 4개의 선반다리가 접이식 침대에 설치되는 경우, 4개의 제2구동부(50)가 설치된다.
연결부(60)는 제1구동부(40)와 제2구동부(50)를 연결하는 것으로서, 직선형 막대의 형상을 하고 있으며, 금속 재질로 구현될 수 있다. 연결부(60)는 톱니형상을 포함하지 않는 단순 막대 형상일 수 있으므로, 톱니형상을 포함하는 막대 형상보다 효율적이고 경제적으로 구현할 수 있으며, 고장이 나는 경우도 드물고, 고장이 나더라도 교체하기 용이하다.
제1구동부(40), 제2구동부(50) 및 연결부(60)는 하기 도 3 내지 도 6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된다. 제1구동부(40), 제2구동부(50) 및 연결부(60)는 하나의 구조를 이루어 프레임 내측에서 좌측 및 우측에 각각 구현될 수 있다.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구동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3b는 제2 구동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c는 연결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구동부(40)는 제1 회전톱니(41), 제1 회전막대(42), 제1 가이드(43), 두 개의 제1 원반(44-1, 44-2) 및 하우징(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회전톱니(41)는 프레임(20)이 회전하는 정도에 따라 자동으로, 또는 수동 장치에 연결되어 수동으로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회전톱니(41)는 본체(10)와 프레임(20)이 연결된 부분에 함께 힌지로 연결될 수도 있으며, 수동 장치로부터 힘을 전달하는 장치가 제1 회전톱니(41)에 설치될 수도 있다.
제1 회전막대(42)는 제1 회전톱니(41)에 맞물려 제1 회전톱니(41)의 회전 운동을 직선 운동으로 변환할 수 있는 막대이다. 제1 회전막대(42)의 일단은 제1 회전톱니(41)에 맞물릴 수 있는 톱니형상이 구비되고, 제1 회전막대(42)의 타단은 연결부(60)와 연결되기 위한 채결형상이 구비된다. 제1 회전톱니(41)에 맞물리는 톱니 형상은 제1 회전막대(42)의 일부 또는 전부에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a에서 제1 회전톱니(41)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제1 회전막대(42)는 제1 회전톱니(41)에 맞물려 이동하므로 우측으로 이동하며, 제1 회전톱니(41)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제1 회전막대(42)는 좌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1 가이드(43)는 제1 회전톱니(41)와 제1 회전막대(42)가 맞물린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1 회전막대(42)를 지지하는 것으로, 제1 가이드(43)와 제1 회전톱니(41) 사이에서 제1 회전막대(42)가 이동할 수 있다.
두 개의 제1 원반(44-1, 44-2)는 제1 회전톱니(41) 및 제1 가이드(43)의 양단에 구비되는 것으로, 제1 회전톱니(41)의 회전축에 연결되고, 제1 가이드(43)를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프레임(20)의 회전 또는 수동적으로 가해지는 힘에 따라 제1 회전톱니(41)가 회전되고, 상기 제1 회전톱니(41)의 회전 정도에 따라 제1 회전막대(42)가 직선 운동을 한다. 제1 회전막대(42)의 직선 운동에 따라 제1 회전막대(42)의 타단에 연결된 연결부(60)도 직선 운동을 하게 된다.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구동부(50)는 제2 회전톱니(51), 제2 회전막대(52), 제2 가이드(53), 두 개의 제2 원반(54-1, 54-2) 및 하우징(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회전톱니(51)는 제2 회전막대(52)의 움직임에 따라 회전한다. 예를 들어, 제2 회전막대(52)가 우측으로 이동하는 경우, 제2 회전톱니(51)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제2 회전막대(52)가 좌측으로 이동하는 경우, 제2 회전톱니(51)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제2 회전톱니(51)의 회전축은 체결구(51-1)를 포함하며, 상기 체결구(51-1)를 통해 프레임(20) 및 선반다리(31)가 연결된다. 따라서 제2 회전톱니(51)가 회전하는 경우, 체결구(51-1)를 통해 연결된 선반다리(31)도 회전하게 된다. 예를 들어, 제2 회전톱니(51)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선반다리(31)는 아래 방향으로 회전하고, 제2 회전톱니(51)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선반다리(31)가 윗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제2 회전막대(52)는 제2 회전톱니(51)에 맞물려 제2 회전톱니(51)를 회전시킬 수 있는 막대이다. 제2 회전막대(52)의 일단은 제2 회전톱니(51)에 맞물릴 수 있는 톱니형상이 구비되고, 제2 회전막대(52)의 타단은 연결부(60)와 연결되기 위한 채결형상이 구비된다. 제2 회전톱니(51)에 맞물리는 톱니 형상은 제2 회전막대(52)의 일부 또는 전부에 구비될 수 있다.
제2 가이드(53)는 제2 회전톱니(51)와 제2 회전막대(52)가 맞물린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며, 제2 가이드(53)와 제2 회전톱니(51) 사이에서 제2 회전막대(52)가 이동할 수 있다.
두 개의 제2 원반(54-1, 54-2)은 제2 회전톱니(51) 및 제2 가이드(53)의 양단에 구비되는 것으로, 제2 회전톱니(51)의 회전축에 연결되고, 제2 가이드(53)를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연결부(60)를 통해 제1구동부(40)로부터 제2구동부(50)로 전달되는 힘에 따라 제2 회전막대(52)가 직선 운동을 하고, 상기 제2 회전막대(52)의 톱니형상에 맞물린 제2 회전톱니(51)가 회전함으로써, 선반다리(31)가 아래 방향 또는 윗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선반다리(31)의 회전 범위는 바람직하게는 0~90도 사이이다.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60)는 제1구동부(40) 및 제2구동부(50)와 연결하기 위한 체결부재를 양단에 구비할 수 있다. 체결부재는 나사/홈, 너트/볼트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1구동부(40) 및 제2구동부(50)에서 각각 가이드와 두 개의 원반을 통해 회전톱니와 회전막대가 안정적으로 지지됨으로써, 접이식 침대가 접힌 상태에서 펼쳐진 상태로 변형되는 경우 또는 펼쳐진 상태에서 접힌 상태로 변형되는 경우에도 제1구동부(40) 및 제2구동부(50)가 안정적으로 구동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선반(30)의 수평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회전톱니(41)에 맞물리는 톱니 형상은 제1 회전막대(42)의 일부에만 구비될 수 있으며, 제2 회전톱니(51)에 맞물리는 톱니 형상은 제2 회전막대(52)의 일부에만 구비될 수 있으므로, 전체가 톱니 형상인 경우보다 효율적으로 회전막대를 생성할 수 있다.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구동부, 제2 구동부 및 연결부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상면도이고, 4b는 제1 구동부, 제2 구동부 및 연결부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60)의 일단은 제1구동부(40)의 제1 회전막대(42)에 연결되고, 연결부(60)의 타단은 제2구동부(50)의 제2 회전막대(52)에 연결된다. 연결부(60)를 통해 제1구동부(40)로부터 제2구동부(50)로 힘이 전달될 수 있다. 따라서, 제1구동부(40), 제2구동부(50) 및 연결부(60)는 결합된 상태로 구동될 수 있으며, 제1구동부(40), 제2구동부(50) 및 연결부(60) 중 어느 하나가 고장나는 경우, 고장난 부분만 교체할 수 있으므로, 접이식 침대에서 선반의 수평을 유지하는데 필요한 장치를 손쉽게 교체할 수 있다.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침대(1)가 접힌 상태에서 펼쳐진 상태로 변형되는 경우, 제1구동부(40)의 제1 회전막대(42)가 직선 방향으로 움직이며, 이에 따라 제1 회전막대(42)가 움직이는 거리만큼 연결부(60) 및 제2구동부(50)의 제2 회전막대(52)가 직선 방향으로 움직이게 되고, 이에 따라 제2 회전톱니(51)가 회전한다. 제2 회전톱니(51)가 회전하면, 제2 회전톱니(51)의 체결구(51-1)에 고정되어 있는 선반다리(31)도 회전하게 된다. 선반다리(31)는 0~90°의 범위에서 회전하도록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선반다리(31)가 0°에서 90°로 회전하는 동안 선반대(32)는 지속적으로 수평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선반대(32) 위에 놓여져 있던 물건을 치울 필요가 없게 된다. 이는 사용자로 하여금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침대(1)를 접거나 펼칠 때 소요되는 시간과 노력을 유의적으로 경감시킬 수 있게 해준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제1구동부(40), 제2구동부(50), 연결부(60)는 매우 단순한 구성을 가지면서도 접이식 침대(1)를 접거나 펼칠 때 선반대(32)가 지속적으로 수평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보장해준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구현예에 따른 접이식 침대가 접힌 상태에서 펼쳐진 상태로 변형되는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접이식 침대가 접힌 상태에서, 프레임(20)은 본체(10) 내에 보관되고, 선반대(32) 위에 화분이 수납된다. 접이식 침대가 접힌 상태에서 펼쳐진 상태로 변형되는 경우, 선반다리(31)가 제1구동부(40), 제2구동부(50) 및 연결부(60)에 의해 회전되므로 선반대(32)의 수평이 지속적으로 유지되며, 화분을 따로 옮길 필요없이 선반대(32)에 계속 수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개량이 가능하며, 상기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0 : 본체 40 : 제1구동부
20 : 프레임 50 : 제2구동부
30 : 선반 60 : 연결부

Claims (7)

  1. 본체;
    상기 본체에 힌지로 연결되어 회전가능한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연결된 두 개의 선반다리 및 상기 두 개의 선반다리 사이를 연결하는 선반대를 포함하는 선반; 및
    제1구동부, 제2구동부 및 연결부를 포함하는 소정의 구조를 두 개 포함하되,
    상기 제1구동부는 제1 회전톱니 및 상기 제1 회전톱니에 맞물리는 톱니형상이 구비된 제1 회전막대를 포함하고, 상기 제2구동부는 제2 회전톱니 및 상기 제2 회전톱니에 맞물리는 톱니형상이 구비된 제2 회전막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의 일단은 상기 제1 회전막대에 연결되고, 상기 연결부의 타단은 상기 제2 회전막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소정의 구조는 상기 프레임의 내측에 서로 마주보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선반다리는 상기 제2 회전톱니의 체결구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침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구동부는 제1 가이드 및 두 개의 제1 원반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1 가이드는 상기 제1 가이드와 상기 제1 회전톱니 사이에 상기 제1 회전막대가 이동하도록 상기 제1 회전막대를 지지하고 상기 두 개의 제1 원반은 상기 제1 회전톱니의 회전축에 연결되고, 상기 제1 가이드를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침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구동부는 제2 가이드 및 두 개의 제2 원반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2 가이드는 상기 제2 가이드와 상기 제2 회전톱니 사이에 상기 제2 회전막대가 이동하도록 상기 제2 회전막대를 지지하고 상기 두 개의 제2 원반은 상기 제2 회전톱니의 회전축에 연결되고, 상기 제2 가이드를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침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전막대 및 상기 제2 회전막대는 일부분에만 톱니형상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침대.
  5. 제1항에 있어서,
    둘 이상의 선반을 포함하되, 상기 제2구동부의 개수는 상기 선반다리의 개수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침대.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톱니형상을 포함하지 않는 막대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침대.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전톱니가 회전하는 경우, 상기 제1 회전막대가 직선 운동하고, 상기 제1 회전막대의 이동에 따라, 상기 연결부 및 상기 제2 회전막대가 직선 운동하고, 상기 제2 회전막대의 직선 운동에 따라 상기 제2 회전톱니가 회전하고, 상기 제2 회전톱니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2 회전톱니의 체결구에 연결된 선반다리가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침대.
KR1020170077755A 2017-06-20 2017-06-20 선반이 구비된 접이식 침대 KR2018013789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7755A KR20180137894A (ko) 2017-06-20 2017-06-20 선반이 구비된 접이식 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7755A KR20180137894A (ko) 2017-06-20 2017-06-20 선반이 구비된 접이식 침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7894A true KR20180137894A (ko) 2018-12-28

Family

ID=650085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7755A KR20180137894A (ko) 2017-06-20 2017-06-20 선반이 구비된 접이식 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13789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27554A (zh) * 2020-03-14 2020-06-05 南京林业大学 墙体收纳式家居折叠床
WO2022215913A1 (ko) * 2021-04-05 2022-10-13 이예닮 조립 및 변형이 용이한 조각침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27554A (zh) * 2020-03-14 2020-06-05 南京林业大学 墙体收纳式家居折叠床
WO2022215913A1 (ko) * 2021-04-05 2022-10-13 이예닮 조립 및 변형이 용이한 조각침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162066A1 (en) Convertible furniture construction
US7540042B2 (en) Sitting and sleeping furniture
KR20180137894A (ko) 선반이 구비된 접이식 침대
JPH1170032A (ja) 家 具
KR101762811B1 (ko) 회전각도 조절이 가능한 침대용 테이블
KR101439769B1 (ko) 수납식 침대
US5522097A (en) Convertible counter-couch-bed unit
KR101445231B1 (ko) 다기능 가구
KR101771079B1 (ko) 수납장이 구비된 접이식 매트리스
KR101903878B1 (ko) 의자부착형 접이식 테이블
US20030218365A1 (en) Modular transformable furniture system
KR101423870B1 (ko) 침대 및 테이블을 겸용하는 다용도 가구
CN112120439B (zh) 一种方便学生学习的实木公寓床
RU2614967C1 (ru) Мольберт
GB2449479A (en) Collapsible shelving unit
JP3128259U (ja) 折り畳めるナイトテーブルがヘッドボードに格納できるベッド
KR20200001905A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책상
CN211021673U (zh) 一种多功能柜子
US3805307A (en) Folding bed
CN207870611U (zh) 一种树屋用床柜
KR101033756B1 (ko) 수직기둥에 설치되는 독서대
JP2017131328A (ja) 収納ベッド
RU2265387C2 (ru) Мобильный стенд
JP2003172067A (ja) 仕切り装置
KR200288279Y1 (ko) 장식장 겸용 침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