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07645A - 프레임 연결부재 - Google Patents

프레임 연결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07645A
KR20050107645A KR1020040032636A KR20040032636A KR20050107645A KR 20050107645 A KR20050107645 A KR 20050107645A KR 1020040032636 A KR1020040032636 A KR 1020040032636A KR 20040032636 A KR20040032636 A KR 20040032636A KR 20050107645 A KR20050107645 A KR 200501076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tting portion
frame
fitting
rear end
g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26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57482B1 (ko
Inventor
김병훈
Original Assignee
영광금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영광금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영광금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326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57482B1/ko
Publication of KR200501076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76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74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7482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04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 F16B7/044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for rods or tubes being in angled relationship
    • F16B7/0446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for rods or tubes being in angled relationship for tubes using the innerside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 A47B47/0008Three-dimensional corner connectors, the legs thereof being received within hollow, elongated frame memb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 A47B47/0016Node corner connectors, e.g. cubic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14Bars, uprights, struts, or like supports, for cabinets, brackets, or the like
    • A47B96/145Composite members, i.e. made up of several elements joined togethe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19Three-dimensional framework structures
    • E04B1/1903Connecting nod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388Separate connect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5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bar-shaped building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4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internal, i.e. with spreading ac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36Brack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공의 프레임들을 연결하기 위한 프레임 연결부재에 관한 것으로, 중공 형성된 프레임에 끼워지고, 폭방향으로 벌어지면서 프레임 내벽에 강하게 밀착되어 프레임을 고정하는 두개 이상의 끼움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못이나 나사 등과 같이 프레임 자체에 손상을 주는 부품들의 사용은 줄이면서도 간단하고 견고하게 프레임들을 원하는 구조로 연결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Description

프레임 연결부재{Frame connection material}
본 발명은 프레임 연결부재에 관한 것으로, 특히 못이나 나사 등과 같이 프레임 자체에 손상을 주는 부품들의 사용은 줄이면서도 간단하고 견고하게 프레임들을 원하는 구조로 고정하여 연결시키는 데 적당하도록 한 프레임 연결부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싱크대, 테이블, 선반 등과 같은 주방용 가구는 물론 다양한 건축물에 이르기까지 기본 뼈대 구조를 구성하기 위해 중공의 프레임들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중공의 프레임은 그 자체로 가볍고 견고하며 가공성이 용이하다는 장점으로 그 사용범위가 지속적으로 넓혀지는 추세에 있다. 이에 따라, 뼈대 구조를 구성하기 위해 상기 중공의 프레임을 연결시키는 프레임 연결부재 역시 그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이에, 도 1은 종래의 프레임 연결부재를 설명하기 위해 간단한 프레임 구조물을 도시한 참조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프레임 연결부재는 나사공이 형성된 체결기(101)와 상기 체결기의 나사공을 통해 프레임(f)에 나사결합되는 체결나사(103)로 구성되었으며, 이로써 프레임(f)들을 지지 연결시키면서 하나의 뼈대를 완성시킬 수 있었다.
그러나, 종래의 프레임 연결부재는 상기 체결나사(103)가 프레임(f)을 뚫고 들어가 프레임(f) 자체에 지지되는 관계로 프레임(f)의 손상이 불가피하였으며, 프레임(f)의 재질이 연성이 아니고 강성인 경우 작업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프레임 연결부재는 좁은 접촉면적으로 프레임(f)의 일부 측면만을 지지하는 관계로 하중을 분산시키기가 어렵고 모멘트 하중에 취약하게 되어 안정된 지지력을 확보하는데 곤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못이나 나사 등과 같이 프레임 자체에 손상을 주는 부품들의 사용은 줄이면서도 간단하고 견고하게 프레임들을 원하는 구조로 고정하여 연결시키는 프레임 연결부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프레임 연결부재는, 내부가 비어 있는 중공의 프레임들을 연결하기 위한 프레임 연결부재로서, 중공 형성된 프레임에 끼워지고, 폭방향으로 벌어지면서 프레임 내벽에 강하게 밀착되어 프레임을 고정하는 두개 이상의 끼움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끼움부는 선단부가 폭방향으로 벌어질 수 있도록 전후방향으로 형성된 좁은 틈새의 슬릿에 의해 선단부가 양측으로 분할되고, 상기 끼움부의 슬릿 사이로 설치되어 슬릿의 틈새를 벌려주는 틈새확장자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끼움부의 선단부는 상기 슬릿에 의해 상하 양측과 좌우 양측으로 사분할되고, 슬릿의 교차지점에 상기 틈새확장자가 설치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끼움부의 선단부는 대각선 방향으로 교차 형성된 두개의 슬릿에 의해 사분할되고, 슬릿의 교차지점에 상기 틈새확장자가 설치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끼움부의 선단에는 슬릿이 형성된 부위에 후방으로 갈수록 내주면이 좁아지는 경사홀이 형성되고, 상기 틈새확장자는, 선단으로 갈수록 외주면이 넓게 형성되어 상기 경사홀에 부합되게 설치되고, 후퇴시 외주면에 의해 상기 슬릿의 틈새를 벌려주는 확장편과, 상기 끼움부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어 그 후단은 끼움부에 지지되고 선단은 상기 확장편을 후퇴시키는 회전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틈새확장자의 회전바는, 상기 끼움부의 후단부로부터 관통하여 설치되고, 그 후단은 폭이 넓고 렌치용 육각홈을 갖는 머리부가 형성되어 상기 끼움부 후단부에 걸쳐져 지지되고 그 선단은 상기 확장편에 이르러 나선 결합되어 회전시 상기 확장편을 진퇴시키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틈새확장자의 회전바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확장편을 관통하면서 상기 끼움부의 선단부로부터 관통하여 설치되고, 그 후단은 상기 끼움부 후단부에 나선결합되고, 그 선단은 상기 확장편에 걸쳐지는 폭이 넓은 머리부가 형성되어, 회전시 상기 끼움부에서 진퇴하면서 상기 확장편을 후퇴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나머지 틈새확장자의 회전바는, 상기 끼움부의 후단부로부터 관통하여 설치되고, 그 후단은 폭이 넓고 렌치용 육각홈을 갖는 머리부가 형성되어 상기 끼움부 후단부에 걸쳐져 지지되고 그 선단은 상기 확장편에 이르러 나선 결합되어 회전시 상기 확장편을 진퇴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확장편의 외주면에는 상기 슬릿 틈새에 끼워져 확장편의 회전을 방지하는 끼움돌기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틈새확장자는 상기 끼움부의 선단부 일측면에 진퇴 가능하도록 관통 설치되고, 진출시 그 선단이 슬릿에 의해 분할된 반대편 선단부를 밀어서 끼움부의 틈새를 벌리는 푸쉬볼트인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푸쉬볼트의 후단에는 렌치용 육각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끼움부가 보다 작은 힘에 의해 폭방향으로 벌어지는 것이 가능하도록 상기 끼움부의 중간에 슬릿과 이어지는 개구부가 넓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프레임 연결부재는 두개의 끼움부가 직각을 이루면서 후단부를 공유하여 일체형으로 형성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 연결부재는 두개의 끼움부가 직각을 이루면서 후단부를 공유하여 수평방향으로 형성되고, 또 다른 끼움부가 상기 두개의 끼움부와 직각을 이루면서 후단부를 공유하여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끼움부는 단면이 사각으로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프레임 구조물을 포함한 본 발명의 프레임 연결부재의 사용상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프레임 연결부재는 프레임(f) 내부 중공에 끼워진 후 폭방향으로 소정 정도 넓혀지면서 프레임(f1,f2) 내벽에 강하게 밀착되는 방식에 의해 프레임(f1,f2)들을 고정시켜 연결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본 발명은 못이나 나사 등과 같이 프레임(f1,f2) 자체에 손상을 주는 부품들을 거의 사용하지 않으면서도 간단하고 견고하게 프레임(f1,f2)들을 연결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견고하고 안정된 연결을 위해, 프레임(f1,f2) 일측의 좁은 부위에서가 아니라 해당 프레임(f1,f2)의 다측에서 보다 넓게 접촉된 상태로 프레임(f1,f2)들을 연결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하, 제 1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의 프레임 연결부재의 구성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제 1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의 정면측 입면도이고, 도 4는 제 1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의 배면측 입면도이며, 도 5는 제 1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절단면도이며, 도 6은 제 1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의 평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끼움부(1)와, 틈새확장자(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끼움부(1)에는 선단부 전측 끝에서 시작해서 선단부 후측까지 이어지는 좁은 틈새의 두 슬릿(11a,11b)이 서로 직각으로 교차 형성된다. 이러한 슬릿(11a,11b)에 의해 끼움부(1)의 선단부가 상하 양측과 좌우 양측으로 등분되어 사분할된다.
이로써, 상기 끼움부(1)의 선단부는 폭방향으로 벌어지면서 소정 정도 넓어질 수 있게 되며, 끼움부(1)의 선단부가 중공 형성된 프레임에 끼워진 상태에서 폭방향으로 넓어지면 즉, 그 폭이 넓어지면 프레임 내벽에 강하게 밀착되면서 프레임을 압박하여 고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끼움부(1) 선단에는 상기 틈새확장자(2)가 관통되어 설치되도록 끼움부(1)의 전후방을 관통하는 관통홀(13)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홀(13)은 두 슬릿(11a,11b)이 교차되는 중앙 지점에 후방으로 들어갈수록 내주면이 좁아지게 형성된 경사홀(13a)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경사홀(13a)의 내주면은 상기 틈새확장자(2)의 확장편(21)이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매끄럽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끼움부(1)는 보다 작은 힘에 의해서도 폭방향으로 벌어지는 것이 가능하도록 상기 끼움부(1) 중간에 슬릿(11a,11b)과 이어지면서 원형으로 넓게 절개된 개구부(15)가 형성된다.
이같이 개구부(15)가 형성되면 끼움부(1)의 선단부와 후단부를 연결하는 중간부에서 잘록하고 협소한 형태로 탄성을 갖는 탄성부(17)가 형성되어 전체 중량이 줄어드는 것은 물론, 가해지는 힘에 대하여 끼움부(1)의 선단부가 보다 유연하게 벌어졌다가 가해지는 힘이 제거되면 원상으로 원활히 복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틈새확장자(2)는 슬릿(11a,11b)에 의해서 벌어질 수 있도록 구성된 상기 끼움부(1)를 벌려주는 역할을 수행하며, 이를 위해 상기 틈새확장자(2)는 확장편(21), 회전바(23), 머리부(25)로 구성된다.
먼저, 상기 틈새확장자(2)의 확장편(21)은 끼움부(1)의 경사홀(13a)에 부합하여 끼워질 수 있도록 선단으로 갈수록 외주면이 점차 넓어지는 형태를 가지며, 외주면의 경사진 정도는 원활한 슬라이딩을 위하여 상기 경사홀(13a)과 같거나 대략 비슷한 정도로 형성된다.
이로써, 상기 확장편(21)이 후퇴하게 되면 후방으로 갈수록 내경이 좁아지는 상기 경사홀(13a)을 파고 들면서 그 내주면을 밀어내어 슬릿(11a,11b)의 틈새가 벌어지게 되며 이때 끼움부(1)의 폭이 소정 정도 넓혀지게 된다.
한편, 상기 회전바(23)는 상기 끼움부(1)에 형성된 관통홀(13)을 통해 끼움부(1)를 관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그 선단은 상기 확장편(21)에 나선결합되며 이를 위해 상기 회전바(23)의 선단부 외주면과 상기 확장편(21)의 내측에는 각각 서로 부합되는 나선(23a,21a)이 형성된다.
이같은 구성에 의해, 상기 회전바(23)가 회전하게 되면 상기 확장편(21)이 진퇴하게 되며, 상기 확장편(21)이 후퇴하는 경우 상기 확장편(21)의 외주면이 상기 경사홀(13a)의 내주면에 슬라이딩되면서 경사홀(13a) 내주면을 밀어내어 슬릿(11a,11b)의 틈새를 벌리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확장편(21)의 외주면에는 상기 슬릿(11a,11b)의 틈새 중 어느 한곳에 끼워지는 띠모양의 끼움돌기(21b)가 전후 길이방향으로 형성된다. 이로써, 상기 회전바(23)가 회전할 때 상기 회전바(23)에 나사결합된 확장편(21)이 함께 회전하지 않고 나사결합에 의해 진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회전바(23)의 길이는, 둘 이상의 끼움부(1)를 구비하는 경우 각각의 끼움부(1)에 설치되는 회전바(23)가 상호 간섭되지 않는 정도로 짧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회전바(23)의 후단은 상기 회전바(23)가 회전하면서 확장편(21)을 후방으로 끌어당길 때 전방으로 이동되는 것을 막을 수 있도록 회전바(23)의 다른 부분보다 큰 직경을 갖는 머리부(25)가 설치 혹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머리부(25)에는 렌치를 이용할 수 있도록 육각홈(25a)이 형성된다. 이로써 렌치를 사용하게 되면 상기 회전바(23)를 인력에 의한 작은 힘으로 회전시켜 상기 끼움부(1)의 폭을 쉽게 벌릴 수 있게 된다.
도 7a 내지 도 7c는 도 6의 끼움부를 절단한 절단면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틈새확장자(2)가 끼움부(1)에 설치되어 슬릿(11a,11b)의 틈새를 벌리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여준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틈새확장자(2)는 끼움부(1)에 설치되며, 슬릿(11a,11b)의 틈새를 점진적으로 벌려주어 끼움부(1)의 폭을 소정 정도 넓혀주게 된다. 이를 단계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틈새확장자(2)의 확장편(21)과 회전바(23)를 분리하여, 확장편(21)은 끼움부(1) 선단에 형성된 경사홀(13a)에 최대한 끼워 넣고, 회전바(23)는 상기 끼움부(1)의 후단부까지 형성된 관통홀(13)을 통해 삽입하여 그 선단을 상기 확장편(21)과 나사결합시킨다. 그러면 최초 도 7a에서 도 7b의 상태가 된다.
이후, 렌치를 준비하여 상기 회전바(23) 후단에 형성된 육각홈(25a)에 끼운 후 힘을 주어 돌리면, 회전바(23)가 회전하면서 상기 확장편(21)이 회전바(23)를 따라 점진적으로 후퇴하기 시작한다.
이때, 후퇴하는 상기 확장편(21)이 후방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상기 경사홀(13a)의 내주면을 밀어내면서 슬릿(11a,11b)의 틈새는 벌어지고 끼움부(1)의 선단부는 폭이 넓혀지게 된다. 도 7c는 상기 끼움부(1)의 폭이 소정 정도 벌어져 넓혀진 상태이다.
따라서, 상기 끼움부(1)가 연결하고자 하는 프레임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끼움부(1)의 선단부를 폭방향으로 넓혀주게 되면, 상기 끼움부(1)의 외측면이 프레임 내벽에 강하게 밀착되면서 프레임을 안정되게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이같이, 본 발명은 상기 끼움부(1) 선단부의 넓은 외측면 모두가 프레임 내벽에 접촉하면서 프레임을 고정하기 때문에 프레임들을 상당히 안정되게 연결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끼움부(1)가 폭방향으로 벌어지면서 프레임을 고정시켜 프레임들을 연결할 수 있게 된다. 아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해 프레임들이 연결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8은 변형된 제 1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절단면도이며, 도 9는 변형된 제 1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변형된 제 1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은 두 개 이상 형성된 끼움부(1,1b) 중 적어도 하나의 끼움부(1b)에서는 틈새확장자(2)의 회전바(23)가 끼움부(1b)의 선단부로부터 관통하여 설치되는 구성적 특징으로 갖는다.
이를 위해 상기 회전바(23)는 상기 확장편(21)을 관통하면서 변형된 끼움부(1b)의 선단부로부터 관통하여 설치되고, 그 후단은 변형된 끼움부(1b) 후단부에 형성된 나선부(18)에 나선결합된다. 또한, 그 회전바(23)의 선단은 상기 확장편(21)에 걸쳐지는 폭이 넓은 머리부(25)가 형성된다.
이로써, 상기 회전바(23)는 회전시 상기 끼움부(1b)에서 진퇴하는 가운데 상기 확장편(21)을 머리부(25)에 의해 당기면서 후퇴시켜 변형된 끼움부(1b)를 폭방향으로 벌어지게 한다.
이같이 구성되는 변형된 제 1실시예에서는 회전바(23)의 경우 별도 제작의 필요 없이 변형 이전의 회전바(23)를 방향만 거꾸로 하여 그대로 사용하면 되며, 끼움부(1b)의 후단부에만 회전바(23)와의 나선결합을 위한 나선을 형성시키면 된다. 따라서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회전바(23)는 변형 이전과 동일한 부호로 표기하였다.
이같이 회전바(23)가 끼움부(1b)의 선단부로부터 설치되는 변형된 구성에 의해 프레임을 천공하지 않고서도 원활하게 연결할 수 있게 되며, 연결된 프레임의 미려한 외관이 손상되지 않게 된다.
이에, 도 10a 내지 도 10e는 변형된 제 1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에 의해 프레임들이 연결되어지는 순차적인 과정을 보여주는 참조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각각의 끼움부(1)에 프레임(f1,f2)을 끼워 고정시킴으로서 두 개의 프레임(f1,f2)을 연결시킬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먼저 도 10a와 같이, 확장편(21)이 설치된 상태인 끼움부(1) 하나에 연결하고자 하는 프레임(f1) 하나를 끝까지 끼우고, 도 10b와 같이 회전바(23)를 상기 끼움부(1)의 후단부까지 형성된 관통홀(13)을 통해 삽입하여 그 선단을 상기 확장편(21)과 나사결합시킨다. 그리고, 렌치를 준비하여 상기 회전바(23) 후단에 형성된 육각홈(25a)에 끼운 후 힘을 주어 돌리면 도 7a 내지 7c를 참고로 전술된 바와 같이, 끼움부(1)가 폭방향으로 벌어지면서 프레임(f1)에 강하게 밀착하여 고정된다.
이후 도 10c와 같이, 확장편(21)이 설치된 상태인 변형된 끼움부(1b)에 다른 프레임(f2)을 또한 끝까지 끼운다. 그러면, 본 발명의 후단부가 모두 빈틈없이 프레임(f1,f2)에 의해 감싸여 가려지게 된다.
그러면, 도 10d와 같이 회전바(23)를 끼움부(1b)의 후단부가 아닌 선단부측프레임(f2)의 개구부로부터 삽입한다. 이후, 상기 회전바(23)를 확장편(21)에 관통시키면서 변형된 끼움부(1b)의 선단부로부터 후단부까지 삽입하고 회전시켜 그 후단부에 나사결합시킨다.
이로써 도 10e와 같이 프레임(f1,f2) 자체에 어떠한 손상도 없이 매끄럽고 미려한 모습으로 프레임(f1,f2)간 연결이 마쳐지게 된다.
이때, 상기 회전바(23)를 상기 변형된 끼움부(1b)의 선단부로부터 설치하기 위해서 프레임(f2) 길이에 적당한 긴 렌치 혹은 드라이버를 사용하면 된다.
도 11은 또 다른 형태로 변형된 제 1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입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끼움부(1c)의 선단부가 대각선 방향으로 교차 형성되는 두개의 슬릿(11c)에 의해 사분할되는 특징으로 갖는다.
또한, 상기 슬릿(11c)의 교차지점에는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틈새확장자(2)가 설치된다.
이처럼 두개의 슬릿(11c)이 대각선 방향으로 형성되면 상기 틈새확장자(2)에 의해 슬릿(11c)의 틈새가 벌어질 때 끼움부(1c)의 폭이 모서리보다 측면(19)방향으로 늘어나면서, 상기 끼움부(1c)가 그 측면(19)에 의해 넓고 균일하게 접촉되어 보다 강하게 밀착되는 효과가 있게 된다.
도 12a 내지 도 12f는 다양한 변형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구비되는 끼움부(1)의 수와 배치형태에 따라 다양한 변형 실시예가 가능하다.
먼저, 도 12a를 참조하면, 두개의 끼움부(1)가 구비되고 구비된 끼움부(1)가 후단부를 공유하는 형태는 전술된 실시예와 유사하지만, 끼움부(1) 서로간에 형성하는 사잇각에서 차이가 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은 구비되는 끼움부(1)가 다양한 각도로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같은 구성에 의하여 프레임들을 직각뿐만 아니라 다양한 각도로 연결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2b를 참조하면, 두개의 끼움부(1)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구비된 것으로 프레임들을 한방향으로 길게 연결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형태이다.
이때 서로의 상기 끼움부(1)의 후단부는 동일선상에 놓여지는 것이 아니라 서로 어긋나게 구성된 것을 볼 수 있다. 이는 상기 끼움부(1)의 후단부를 통하여 틈새확장자(2)의 회전바(23)를 설치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도 12c를 참조하면, 두개의 끼움부(1)가 동일한 방향을 향하도록 구비되고, 끼움부(1) 상호간에 이격된 간격이 넓게 형성되는 특징이 있다.
도 12d 및 도 12e를 참조하면, 세 개의 끼움부(1)가 동일한 방향 또는 반대방향으로 구비되어, 단지 두개의 프레임만이 아니라 두개 이상의 프레임을 다양한 방향으로 연결할 수 있게 된다.
도 12f를 참조하면, 끼움부(1d)의 단면이 사각형이 아닌 원형으로 형성되어, 프레임의 내부 단면이 원형으로 형성된 경우에도 프레임들을 원활하게 연결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이처럼, 본 발명은 연결하고자 하는 프레임의 내부 형태가 다양한 경우에 그에 맞는 단면 형태로 구성하는 데 제한되지 않는다.
도 13은 또 다른 변형 제 1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입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또 다른 변형 제 1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의 경우 틈새확장자가 끼움부(1)의 전후 길이방향으로 관통 설치되는 제 1실시예와는 달리 끼움부(1e)의 선단부 일측면에 진퇴 가능하도록 관통 설치되는 푸쉬볼트(2')가 틈새확장자로 구비된다.
상기 푸쉬볼트(2')는 후단에 육각홈(25a')이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나선이 형성되는 볼트 형태의 간단한 구성을 가지며, 설치된 끼움부(1')의 선단부 일측면에서 진출시 그 선단이 슬릿(11')에 의해 분할된 반대편 선단부를 밀면서 끼움부(1')의 틈새를 벌리게 된다. 이로서 전체적으로 끼움부(1')의 폭이 벌어져 넓혀지게 된다.
여기서, 상기 푸쉬볼트(2')가 설치되는 경우 슬릿(11')이 각각의 끼움부(1') 선단에 하나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푸쉬볼트(2')는 상기 슬릿(11')이 형성되지 않은 일측면을 관통하여 설치된다.
이때, 상기 끼움부(1') 선단부의 일측면에는 상기 푸쉬볼트(2')의 관통을 위한 나사공(13')이 형성된다.
이처럼, 상기와 같이 간단한 구성을 갖는 푸쉬볼트(2')가 틈새확장자로서 구비되면, 실시예에서의 경사홀(13a)을 포함하여 틈새확장자(2)를 설치하기 위해 필요했던 관통홀(13)을 끼움부(1')에 형성시킬 필요가 없게 된다.
그러나, 끼움부(1')가 프레임 내측 중공에 삽입된 상태에서 푸쉬볼트(2')를 진출시키기 위해서는 미리 프레임 측면 적정 위치에 푸쉬볼트(2') 및 렌치가 통행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로 통공을 형성시켜야 한다.
도 14는 제 2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입면도이고, 도 15a 내지 도 15c는 제 2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에 의해 프레임이 연결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세 개의 프레임(f1,f2,f3)을 연결하는 데 적절하도록 세 개의 끼움부(201,201b)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제 1실시예와 다른 특징적인 구성을 중심으로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본 발명은 두개의 끼움부(201)가 직각을 이루면서 후단부를 공유하여 수평방향으로 형성되고, 또 다른 끼움부(201b)가 상기 두개의 끼움부(201)와 직각을 이루면서 후단부를 공유하여 수직방향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두개의 끼움부(201)는 선단부가 슬릿(211a,211b)에 의해 상하 양측과 좌우 양측으로 사분할되되, 슬릿(211a,211b)의 교차점은 회전바(223)의 관통 위치가 프레임(f1,f2)에 의하여 가려지지 않도록 좌우 및 상하 위치에서 약간 치우쳐 형성된다.
또한, 상기 수평방향 끼움부(201)에 설치되는 틈새확장자의 경우 그 구성은 실시예와 같다.
그러나,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끼움부(201b)는 상기 수평방향의 끼움부(201)와는 달리 회전바(223)가 끼움부(201b)의 선단부로부터 관통하여 설치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은 이미 전술된 변형된 제 1실시예를 통하여 설명된 바 있으므로 상세한 구성상의 설명은 생략한다.
이로써, 상기 회전바(223)는 회전시 상기 끼움부에서 진퇴하는 가운데 상기 확장편(221)을 머리부에 의해 당기면서 후퇴시켜 수직방향 끼움부(201b)를 폭방향으로 벌어지게 한다.
이처럼 상기 수직방향 끼움부(201b)의 경우 수평방향 끼움부(201)와는 달리 틈새확장자의 회전바(223)가 선단부로부터 관통하여 설치되도록 한 구성은, 도 15a 내지 도 15c의 순으로 연결하고자 하는 세 개의 프레임(f1,f2,f3) 중 두 개의 프레임(f1,f2)을 수평방향 끼움부에 끼워 고정되게 한 후, 나머지 프레임(f3)을 끼워 고정할 때 끼움부(223)들의 후단부가 프레임(f1,f2,f3)들에 의해 둘러싸여 완전히 가리워지더라도 틈새확장자의 회전바(223)를 프레임에 대한 천공 없이 설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틈새확장자의 회전바(223)가 끼움부(201b)의 선단부로부터 관통하여 설치되는 구성은 수평방향이든 수직방향이든 세 개의 끼움부(201,201b) 중 어느 하나에 적용시킬 수 있으며, 프레임(f1,f2,f3)의 연결작업시 이러한 구성이 적용된 끼움부(201)에는 프레임(f3)을 가장 마지막으로 끼워 고정시키면 된다.
이처럼, 본 발명은 프레임(f1,f2,f3)을 천공하지 않고 연결할 수 있게 되어 연결된 프레임(f1,f2,f3)의 외관이 한층 미려해지는 것은 물론 프레임을 천공하는 등의 별도의 작업을 위해 번거롭지 않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프레임 연결부재는, 못이나 나사 등과 같이 프레임 자체에 손상을 주는 부품들의 사용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매우 간단하면서도 견고하게 프레임들을 연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프레임들을 불가피하게 재연결해야 할 경우에 해체작업 및 재연결 작업이 용이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연결되는 프레임을 천공하는 등의 작업이 불필요하게 되어 작업에 따른 번거로움이 없는 것은 물론, 연결된 프레임의 미려한 외관이 손상되지 않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프레임들을 원하는 각도 및 숫자로 연결하기 위하여 다양한 제품으로의 폭넓은 응용이 가능한 파급효과가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프레임 연결부재를 설명하기 위해 간단한 프레임 구조물을 도시한 참조도.
도 2는 프레임 구조물을 포함한 본 발명의 프레임 연결부재의 사용상태도.
도 3은 제 1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의 정면측 입면도.
도 4는 제 1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의 배면측 입면도.
도 5는 제 1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절단면도.
도 6은 제 1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의 평면도.
도 7a 내지 도 7c는 도 6의 끼움부를 절단한 절단면도.
도 8은 변형된 제 1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절단면도.
도 9는 변형된 제 1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도 10a 내지 도 10e는 변형된 제 1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에 의해 프레임들이 연결되어지는 순차적인 과정을 보여주는 참조도.
도 11은 또 다른 형태로 변형된 제 1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입면도.
도 12a 내지 도 12f는 다양한 변형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
도 13은 또 다른 변형 제 1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입면도.
도 14는 제 2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입면도.
도 15a 내지 도 15c는 제 2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에 의해 프레임이 연결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끼움부 2 : 틈새확장자
11a,11b : 슬릿 13 : 관통홀
13a : 경사홀 15 :개구부
17 : 탄성부 21 : 확장편
23 : 회전바 25 : 머리부
25a : 육각홈

Claims (14)

  1. 내부가 비어 있는 중공의 프레임들을 연결하기 위한 프레임 연결부재로서,
    중공 형성된 프레임에 끼워지고, 폭방향으로 벌어지면서 프레임 내벽에 강하게 밀착되어 프레임을 고정하는 두개 이상의 끼움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프레임 연결부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부는 선단부가 폭방향으로 벌어질 수 있도록 전후방향으로 형성된 좁은 틈새의 슬릿에 의해 선단부가 양측으로 분할되고,
    상기 끼움부의 슬릿 사이로 설치되어 슬릿의 틈새를 벌려주는 틈새확장자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연결부재.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부의 선단부는 상기 슬릿에 의해 상하 양측과 좌우 양측으로 사분할되고, 슬릿의 교차지점에 상기 틈새확장자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연결부재.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부의 선단부는 대각선 방향으로 교차 형성된 두개의 슬릿에 의해 사분할되고, 슬릿의 교차지점에 상기 틈새확장자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연결부재.
  5. 제 2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부의 선단에는 슬릿이 형성된 부위에 후방으로 갈수록 내주면이 좁아지는 경사홀이 형성되고,
    상기 틈새확장자는, 선단으로 갈수록 외주면이 넓게 형성되어 상기 경사홀에 부합되게 설치되고, 후퇴시 외주면에 의해 상기 슬릿의 틈새를 벌려주는 확장편과, 상기 끼움부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어 그 후단은 끼움부에 지지되고 선단은 상기 확장편을 후퇴시키는 회전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연결부재.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틈새확장자의 회전바는, 상기 끼움부의 후단부로부터 관통하여 설치되고, 그 후단은 폭이 넓고 렌치용 육각홈을 갖는 머리부가 형성되어 상기 끼움부 후단부에 걸쳐져 지지되고 그 선단은 상기 확장편에 이르러 나선 결합되어 회전시 상기 확장편을 진퇴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연결부재.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틈새확장자의 회전바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확장편을 관통하면서 상기 끼움부의 선단부로부터 관통하여 설치되고, 그 후단은 상기 끼움부 후단부에 나선결합되고, 그 선단은 상기 확장편에 걸쳐지는 폭이 넓은 머리부가 형성되어, 회전시 상기 끼움부에서 진퇴하면서 상기 확장편을 후퇴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나머지 틈새확장자의 회전바는, 상기 끼움부의 후단부로부터 관통하여 설치되고, 그 후단은 폭이 넓고 렌치용 육각홈을 갖는 머리부가 형성되어 상기 끼움부 후단부에 걸쳐져 지지되고 그 선단은 상기 확장편에 이르러 나선 결합되어 회전시 상기 확장편을 진퇴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연결부재.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편의 외주면에는 상기 슬릿 틈새에 끼워져 확장편의 회전을 방지하는 끼움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연결부재,
  9.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틈새확장자는 상기 끼움부의 선단부 일측면에 진퇴 가능하도록 관통 설치되고, 진출시 그 선단이 슬릿에 의해 분할된 반대편 선단부를 밀어서 끼움부의 틈새를 벌리는 푸쉬볼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연결부재.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푸쉬볼트의 후단에는 렌치용 육각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연결부재.
  11.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부가 보다 작은 힘에 의해 폭방향으로 벌어지는 것이 가능하도록 상기 끼움부의 중간에 슬릿과 이어지는 개구부가 넓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연결부재.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연결부재는 두개의 끼움부가 직각을 이루면서 후단부를 공유하여 일체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연결부재.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연결부재는 두개의 끼움부가 직각을 이루면서 후단부를 공유하여 수평방향으로 형성되고, 또 다른 끼움부가 상기 두개의 끼움부와 직각을 이루면서 후단부를 공유하여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연결부재.
  14. 제 12항 또는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부는 단면이 사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연결부재.
KR1020040032636A 2004-05-10 2004-05-10 프레임 연결부재 KR1005574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2636A KR100557482B1 (ko) 2004-05-10 2004-05-10 프레임 연결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2636A KR100557482B1 (ko) 2004-05-10 2004-05-10 프레임 연결부재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2963U Division KR200358881Y1 (ko) 2004-05-10 2004-05-10 프레임 연결부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7645A true KR20050107645A (ko) 2005-11-15
KR100557482B1 KR100557482B1 (ko) 2006-03-07

Family

ID=372840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2636A KR100557482B1 (ko) 2004-05-10 2004-05-10 프레임 연결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5748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7126A (ko) * 2018-01-16 2019-07-24 주식회사 주경 침대프레임
KR20190133509A (ko) * 2018-05-23 2019-12-03 주식회사 중앙산업 연결 구조를 개선한 가구용 프레임 커넥터
KR102144843B1 (ko) * 2019-03-08 2020-08-14 뷰로맥스 주식회사 선반 겸용 조립식 행거
KR20210108616A (ko) 2020-02-26 2021-09-03 이흥룡 중공 프레임 연결 보조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28221A (ko) * 2016-09-08 2018-03-16 주식회사 랜드랜 조립이 용이한 작업공간이 구비된 볼트러스 및 이를 이용한 트러스 체결구조
KR101904290B1 (ko) * 2016-09-08 2018-10-05 주식회사 랜드랜 콜렛척 타입의 조립구조를 구비한 볼트러스 및 이를 이용한 트러스 체결구조
KR102177118B1 (ko) * 2019-05-16 2020-11-10 신경철 빔부재 연결장치
KR102058671B1 (ko) 2019-08-13 2019-12-23 주식회사 스토즈 가구용 프레임 연결 고정구
KR102260777B1 (ko) 2020-09-24 2021-06-03 김민수 프레임 결합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7126A (ko) * 2018-01-16 2019-07-24 주식회사 주경 침대프레임
KR20190133509A (ko) * 2018-05-23 2019-12-03 주식회사 중앙산업 연결 구조를 개선한 가구용 프레임 커넥터
KR102144843B1 (ko) * 2019-03-08 2020-08-14 뷰로맥스 주식회사 선반 겸용 조립식 행거
KR20210108616A (ko) 2020-02-26 2021-09-03 이흥룡 중공 프레임 연결 보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57482B1 (ko) 2006-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94975B2 (en) Plastic anchor for drywall, plaster, brick and concrete
KR100557482B1 (ko) 프레임 연결부재
EP2808567B1 (en) Anchor assembly with toggle for hollow walls
US6186716B1 (en) Anchor bolt
US8192123B2 (en) Drywall fastener
JP2501165B2 (ja) ドエル形スリ―ブを備えた緊締具
CN1526962A (zh) 连接元件
RU2513470C2 (ru) Держатель изоляционного материала
JPH09177741A (ja) 拡張アンカ
US6524046B2 (en) Wedge anchor
CA2308182C (en) Cantilever fastener assembly
US4377358A (en) Expansion fastner
KR200358881Y1 (ko) 프레임 연결부재
EP3502491B1 (en) Connection device
KR20230162173A (ko) 석고보드용 앵커볼트
US20220090616A1 (en) Wall anchor with deformable expandable part
KR200352238Y1 (ko) 셋트 앵커볼트
AU2021202266A1 (en) Plastic anchor for drywall, plaster, brick, concrete, etc
WO2007065510A1 (en) Fastening device, particularly adapted to be fastened on members having a grooved profile
AU2004200862C1 (en) A toggle
KR20010087918A (ko) 가구조립용 체결구
JP2009024477A (ja) アンカーボルトおよびアンカーボルトの製造方法
RU2229038C2 (ru) Крепежная деталь
EP4356013A1 (en) Wall anchor with deformable expandable part
JP2002021829A (ja) 締結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6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5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9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