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5962A -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정보 처리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정보 처리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5962A
KR20190085962A KR1020197016852A KR20197016852A KR20190085962A KR 20190085962 A KR20190085962 A KR 20190085962A KR 1020197016852 A KR1020197016852 A KR 1020197016852A KR 20197016852 A KR20197016852 A KR 20197016852A KR 20190085962 A KR20190085962 A KR 201900859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reservation
battery
destination
s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168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사노부 시라카와
마리에 구로나가
Original Assignee
도시바 메모리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시바 메모리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시바 메모리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859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596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453Special cost functions, i.e. other than distance or default speed limit of road segments
    • G01C21/3492Special cost functions, i.e. other than distance or default speed limit of road segments employing speed data or traffic data, e.g. real-time or historic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50Charging stations characterised by energy-storage or power-generation means
    • B60L53/53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B60L58/12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responding to state of charge [SoC]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79Retrieval, searching and output of POI information, e.g. hotels, restaurants, shops, filling stations, parking facilit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2Reservations, e.g. for tickets, services or ev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8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40/00Control parameters of input or output; Target parameters
    • B60L2240/60Navigation input
    • B60L2240/64Road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50/00Driver interactions
    • B60L2250/14Driver interactions by input of vehicle departure ti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02T10/7005
    • Y02T10/7044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2Electric charging st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Navigation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는,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를 충전하는 급전 스테이션을 예약한다. 정보 처리 장치는, 배터리 잔량을 나타내는 제1 정보, 목적지에 관한 제2 정보, 및 경로에 관한 제3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제2 정보와 제3 정보에 기초하여, 목적지에 이르기까지의 추천 경로를 검색하는 제1 검색부와, 급전 스테이션을 검색하는 제2 검색부와, 제1 정보와 추천 경로에 기초하여, 목적지에 이르기까지의 동안에 배터리의 충전이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1 판단부와, 배터리의 충전이 필요하다고 판단된 경우, 급전 스테이션을, 유저로부터의 명령을 기다리는 일 없이 예약하는 예약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정보 처리 프로그램
실시 형태는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정보 처리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근년, 전기 자동차가 보급되고 있다. 추가적인 보급에는,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를 충전하는 급전 스테이션의 환경 정비가 요구되고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3-262525호 공보
효율적으로 충전 예약 가능한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정보 처리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본 실시 형태의 정보 처리 장치는,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를 충전하는 급전 스테이션을 예약하기 위한 정보 처리 장치이다. 정보 처리 장치는 수신부와 제1 검색부와 제2 검색부와 제1 판단부와 예약부를 구비한다. 수신부는,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 잔량을 나타내는 제1 정보, 목적지에 관한 제2 정보, 및 목적지에 이르기까지의 경로에 관한 제3 정보를 수신한다. 제1 검색부는 적어도 제2 정보와 제3 정보에 기초하여, 목적지에 이르기까지의 추천 경로를 검색한다. 제2 검색부는, 목적지까지의 사이에 있는 급전 스테이션을 검색한다. 제1 판단부는, 제1 정보와, 검색된 추천 경로에 기초하여, 목적지에 이르기까지의 동안에 배터리의 충전이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한다. 예약부는, 제1 판단부에 있어서 배터리의 충전이 필요하다고 판단된 경우, 제2 검색부에 있어서 검색된 어느 급전 스테이션을, 유저로부터의 명령을 기다리는 일 없이 예약한다.
도 1은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전기 자동차 충전 예약 시스템의 개념도.
도 2는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전기 자동차 충전 예약 시스템의 블록도.
도 3은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전기 자동차의 블록도.
도 4는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스마트폰의 블록도.
도 5는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서버의 블록도.
도 6a는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서버의 블록도.
도 6b는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서버의 프로세서의 기능 블록도.
도 7은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서버의 블록도.
도 8은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급전 스테이션의 예약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
도 9는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루트 탐색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
도 10은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스마트폰 또는 카 내비게이션 시스템의 화면을 도시하는 모식도.
도 11은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스마트폰 또는 카 내비게이션 시스템의 화면을 도시하는 모식도.
도 12는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스마트폰 또는 카 내비게이션 시스템의 화면을 도시하는 모식도.
도 13은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스마트폰의 화면을 도시하는 모식도.
도 14는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스마트폰의 화면을 도시하는 모식도.
도 15는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스마트폰의 화면을 도시하는 모식도.
도 16은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스마트폰의 화면을 도시하는 모식도.
도 17은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스마트폰의 화면을 도시하는 모식도.
도 18은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급전 스테이션의 예약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
도 19a는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서버의 기능 블록도.
도 19b는 제3 실시 형태의 제1 예에 따른 급전 스테이션의 예약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
도 20은 제3 실시 형태의 제1 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의 예약 상황을 나타내는 화면의 모식도.
도 21은 제3 실시 형태의 제1 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의 예약 상황을 나타내는 화면의 모식도.
도 22는 제3 실시 형태의 제2 예에 따른 급전 스테이션의 예약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
도 23은 제3 실시 형태의 제2 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의 예약 상황을 나타내는 화면의 모식도.
도 24는 제3 실시 형태의 제2 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의 예약 상황을 나타내는 화면의 모식도.
도 25는 제3 실시 형태의 제2 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의 예약 상황을 나타내는 화면의 모식도.
도 26은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전기 자동차 충전 예약 시스템의 블록도.
도 27은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스마트폰의 블록도.
도 28은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급전 스테이션의 예약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
도 29는 제5 실시 형태에 따른 전기 자동차 충전 예약 시스템의 개념도.
도 30은 제5 실시 형태에 따른 전기 자동차 충전 예약 시스템의 블록도.
도 31은 제5 실시 형태에 따른 카 내비게이션 시스템의 블록도.
도 32는 제5 실시 형태에 따른 급전 스테이션의 예약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
도 33은 제5 실시 형태에 따른 카 내비게이션 시스템의 화면을 도시하는 모식도.
도 34는 제5 실시 형태에 따른 카 내비게이션 시스템의 화면을 도시하는 모식도.
도 35는 제5 실시 형태에 따른 카 내비게이션 시스템의 화면을 도시하는 모식도.
도 36은 제5 실시 형태에 따른 카 내비게이션 시스템의 화면을 도시하는 모식도.
도 37은 제5 실시 형태에 따른 카 내비게이션 시스템의 화면을 도시하는 모식도.
도 38은 제5 실시 형태에 따른 카 내비게이션 시스템의 화면을 도시하는 모식도.
도 39는 제5 실시 형태에 따른 카 내비게이션 시스템의 화면을 도시하는 모식도.
도 40은 제5 실시 형태에 따른 카 내비게이션 시스템의 화면을 도시하는 모식도.
도 41은 제5 실시 형태에 따른 스마트폰 및 카 내비게이션 시스템의 화면을 도시하는 모식도.
도 42는 제5 실시 형태에 따른 스마트폰 및 카 내비게이션 시스템의 화면을 도시하는 모식도.
도 43은 제5 실시 형태에 따른 스마트폰 및 카 내비게이션 시스템의 화면을 도시하는 모식도.
도 44는 제5 실시 형태에 따른 스마트폰 및 카 내비게이션 시스템의 화면을 도시하는 모식도.
도 45는 제5 실시 형태에 따른 스마트폰 및 카 내비게이션 시스템의 화면을 도시하는 모식도.
도 46은 제5 실시 형태에 따른 스마트폰 및 카 내비게이션 시스템의 화면을 도시하는 모식도.
도 47은 제5 실시 형태에 따른 스마트폰 및 카 내비게이션 시스템의 화면을 도시하는 모식도.
도 48은 제5 실시 형태에 따른 스마트폰 및 카 내비게이션 시스템의 화면을 도시하는 모식도.
도 49는 제5 실시 형태에 따른 스마트폰 및 카 내비게이션 시스템의 화면을 도시하는 모식도.
도 50은 제5 실시 형태에 따른 스마트폰 및 카 내비게이션 시스템의 화면을 도시하는 모식도.
도 51은 제6 실시 형태에 따른 전기 자동차 충전 예약 시스템의 블록도.
도 52는 제6 실시 형태에 따른 카 내비게이션 시스템의 블록도.
도 53은 제6 실시 형태에 따른 급전 스테이션의 예약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
도 54는 제6 실시 형태에 따른 전기 자동차 충전 예약 시스템의 블록도.
도 55는 제6 실시 형태에 따른 카 내비게이션 시스템의 블록도.
도 56은 제6 실시 형태에 따른 급전 스테이션의 예약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
도 57은 제1 내지 제6 실시 형태의 변형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 충전 예약 시스템의 블록도.
도 58은 제1 내지 제6 실시 형태의 변형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 및 급전 스테이션의 블록도.
도 59는 제1 내지 제6 실시 형태의 변형예에 따른 카 내비게이션 시스템의 화면을 도시하는 모식도.
도 60은 제1 내지 제6 실시 형태의 변형예에 따른 카 내비게이션 시스템의 화면을 도시하는 모식도.
도 61은 제1 내지 제6 실시 형태의 변형예에 따른 카 내비게이션 시스템의 화면을 도시하는 모식도.
도 62는 제1 내지 제6 실시 형태의 변형예에 따른 카 내비게이션 시스템의 화면을 도시하는 모식도.
도 63은 제1 내지 제6 실시 형태의 변형예에 따른 카 내비게이션 시스템의 화면을 도시하는 모식도.
도 64는 제1 내지 제6 실시 형태의 변형예에 따른 카 내비게이션 시스템의 화면을 도시하는 모식도.
도 65는 제1 내지 제6 실시 형태의 변형예에 따른 카 내비게이션 시스템의 화면을 도시하는 모식도.
도 66은 제1 내지 제6 실시 형태의 변형예에 따른 카 내비게이션 시스템의 화면을 도시하는 모식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동일한 기능 및 구성을 갖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공통되는 참조 부호를 붙인다.
1. 제1 실시 형태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정보 처리 프로그램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는, 전기 자동차의 급전 스테이션의 예약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1.1 구성에 대하여
1.1.1 전체 구성에 대하여
도 1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예약 시스템의 구성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예약 시스템(1)은 전기 자동차(100), 휴대 정보 단말기(200) 및 서버(300, 400 및 500)를 구비하고 있다. 이하에서는, 휴대 정보 단말기가 스마트폰(200)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휴대 전화, 태블릿 PC, 노트북 PC 등의 휴대 가능한 정보 통신 단말기이면 된다. 스마트폰(200)은, 예를 들어 무선 통신에 의하여, 네트워크(600)를 통하여 서버(300, 400 및 500)와 통신 가능하다.
전기 자동차(100)도 또한 무선 통신 기능을 가지며, 네트워크(600)를 통하여 서버(300, 400 및 500)와 통신 가능하다.
서버(300, 400 및 500)는 전기 자동차(100)나 스마트폰(200)으로부터의 요구에 따라 다양한 연산을 행하며, 다양한 정보를 전기 자동차(100) 및 스마트폰(200)에 제공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하는 예약 시스템(1)의 블록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스마트폰(200)은 유저로부터 각종 설정 정보를 접수하고, 접수한 정보(유저 설정 정보)를 서버(400)로 송신한다. 또한 스마트폰(200)은 서버(400)로부터 추천 루트에 관한 정보를 수신한다.
전기 자동차(100)는 서버(400)로부터의 리퀘스트에 따라, 배터리 잔량에 관한 정보를 서버(400)로 송신한다.
서버(300)는 도로의 지체 정보를 유지한다. 그리고 서버(300)는 서버(400)로부터의 리퀘스트에 따라 지체 정보를 송신한다. 지체 정보는 현재의 지체 정보뿐 아니라, 앞으로 예측되는 지체 예측 정보나, 사고 정보, 또한 재해 등에 의한 교통 제한 정보 등 모든 교통 정보를 포함하며, 서버(400)로 제공된다. 또한 지체 정보는 교통 정보뿐 아니라, 예를 들어 산길이나 고속 도로 등, 배터리(110)의 소비 속도에 영향이 있는, 예를 들어 도로 정보를 포함해도 된다.
서버(500)는 전기 자동차의 급전 스테이션에 관한 정보를 유지한다. 이 정보에는, 복수의 장소에 마련된 급전 스테이션의 위치 정보 등을 나타내는 급전 스테이션 정보와, 각 급전 스테이션 정보에 있어서의 예약 상황을 나타내는 예약 정보를 포함한다. 그리고 서버(500)는 서버(400)로부터의 리퀘스트에 따라 급전 스테이션 정보 및 예약 정보를 송신하고, 또한 서버(400)로부터의 급전 스테이션의 예약을 접수한다. 그리고 예약을 접수했을 때는, 서버(500)는 예약 정보를 갱신하여 예약 완료 정보를 서버(400)로 송신한다. 또한 도면에서는, 그 지면(紙面)의 사정상 「급전 스테이션」을 「급전 st」라 표기하는 경우가 있다.
서버(400)는 전기 자동차(100)의 정보를 관리한다. 즉, 서버(400)는, 스마트폰(200)으로부터의 유저 설정 정보, 전기 자동차(100)로부터의 배터리 잔량 정보, 서버(300)로부터의 지체 정보, 및 서버(500)로부터의 급전 스테이션 정보에 따라 유저의 목적지로의 추천 루트를 산출하여, 추천 루트 정보를 스마트폰(200)으로 송신한다. 또한 서버(400)는, 추천 루트 내에 있어서 배터리(110)의 충전이 필요한지 여부를 예측하여, 필요하다고 예측되는 경우에는 서버(500)에 대하여 급전 스테이션의 가예약 및 본 예약을 행한다.
또한 서버(300)는 공적인 기관이 제공하는 것이어도 되며, 이에 반하여 서버(500)는 급전 스테이션을 운영하는 사업자가 제공하고, 서버(400)는 본 예약 시스템을 운영하는 사업자가 제공하는 것이어도 된다. 그러나 서버(300, 400, 500)의 제공자는 이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사업자나 개인이 제공해도 된다.
다음으로, 상기 전기 자동차(100), 스마트폰(200) 및 서버(300, 400 및 500)에 대하여 설명한다.
1.1.2 전기 자동차(100)의 구성
먼저, 상기 전기 자동차(100)의 구성에 대하여 도 3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3은, 전기 자동차(100)의, 특히 예약 시스템에 관한 부분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전기 자동차(100)는 배터리(110), 배터리 감시 유닛(120), 제어부(130) 및 통신부(140)를 구비하고 있다.
배터리(110)는, 전기 자동차(100)를 구동하기 위한 것이다.
배터리 감시 유닛(예를 들어 배터리 감시 회로)(120)은 배터리(110)의 잔량을 감시한다. 배터리 잔량의 감시는 시간적으로 연속적으로 행해져도 되고, 또는 일정 시간마다 행해져도 된다. 또한 배터리 감시 유닛(120)은 배터리(110)의, 예를 들어 충전 횟수를 카운트한다. 왜냐하면 배터리(110)는 충전을 반복할 때마다 열화된다. 따라서 배터리 감시 유닛(120)은 배터리(110)의, 예를 들어 충전 횟수를 카운트함으로써, 배터리 잔량뿐 아니라 배터리(110)의 열화 정도도 감시한다.
통신부(140)는, 무선 통신에 의하여 서버(400)와의 사이에서 정보를 송수신 가능한, 예를 들어 통신용 회로이다. 예를 들어 통신부(140)는 서버(400)로부터 배터리 잔량 정보 리퀘스트를 수신한다. 그러면 통신부(140)는, 제어부(130)로부터 수신한 배터리 잔량 정보를 서버(400)로 송신한다. 배터리 잔량 정보는 배터리(110)의 잔량뿐 아니라, 상술한 배터리(110)의 열화 정도에 관한 정보를 포함해도 된다. 열화 정도에 관한 정보를 송신함으로써 서버(400)는, 장래에 있어서의 배터리(110)의 소비 예측을 보다 정밀하게 행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전기 자동차(100)에 있어서의 예약 시스템에 관한 처리를 제어한다. 제어부(130)는, 예를 들어 제어 회로를 포함하거나 또는 제어 회로로 이루어지는, 예를 들어 CPU 등의 프로세서(131)(이하에 등장하는 프로세서(231, 331, 431, 531, 731)도 마찬가지임), ROM(132), RAM(133) 및 입출력 회로(134)를 구비하고 있다. ROM(132)은, 프로세서(131)에 의하여 실행되는 프로그램이나 필요한 데이터를 유지한다. RAM(133)은 프로세서(131)의 작업 영역으로서 기능한다. 입출력 회로(134)는, 통신부(140)와의 사이의 정보의 송수신을 담당한다. 프로세서(131)는 ROM(132) 내의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예약 시스템에 관한 처리를 실행한다. 예를 들어 입출력 회로(134)를 통하여 배터리 잔량 정보의 리퀘스트를 수신하면, 프로세서(131)는 배터리 감시 유닛(120)에 대하여 현재의 배터리(110)의 잔량 정보를 요구한다. 이것에 응답하여 배터리 감시 유닛(120)은 배터리 잔량 정보를 프로세서(131)로 송신한다. 그리고 프로세서(131)는 배터리 잔량 정보를 통신부(140)로 송신한다. 또한 프로세서(131)는 현재의 배터리 잔량뿐 아니라, 서버(400)로부터의 리퀘스트에 따라, 예를 들어 몇 시간 후 또는 며칠 후의 배터리 잔량의 예측값을 서버(400)로 송신해도 된다. 이때는, 예를 들어 ROM(132)이나 RAM(133)에 유지된 현재의 배터리의 소모도나, 과거에 있어서의 배터리의 소비율을 이용하여 프로세서(131)가 계산한다. 이하에서는, 「배터리 잔량 정보」라는 문언에는 이들 정보도 포함되는 것으로 한다.
1.1.3 스마트폰(200)의 구성
다음으로, 상기 스마트폰(200)의 구성에 대하여 도 4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4는, 스마트폰(200)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스마트폰(200)은 표시부(210), 유저 입력부(220), 제어부(230) 및 통신부(240)를 구비하고 있다.
표시부(210)는 유저에 대하여 다양한 정보를 제시하며, 예를 들어 액정 디스플레이 등이다.
유저 입력부(220)는, 유저로부터의 다양한 정보나 명령의 입력(이를 유저 설정 정보라 칭함)을 접수한다. 예를 들어 표시부(210)가 터치 패널형 표시 장치이고, 표시부(210)와 유저 입력부(220)가 일체로 되어 있어도 된다.
통신부(240)는 무선 통신에 의하여 서버(400)와의 사이에서 정보를 송수신한다. 예를 들어 통신부(240)는 서버(400)에 대하여, 유저 입력부(220)에서 접수한 유저 설정 정보를 서버(400)로 송신하고, 또한 서버(400)로부터 추천 루트 정보를 수신한다.
제어부(230)는 스마트폰(200) 전체의 처리를 제어한다. 제어부(230)는 CPU 등의 프로세서(231), ROM(232), RAM(233) 및 입출력 회로(234)를 구비하고 있다. ROM(232)은, 프로세서(231)에 의하여 실행되는 프로그램이나 필요한 데이터를 유지한다. RAM(233)은 프로세서(231)의 작업 영역으로서 기능한다. 입출력 회로(234)는, 통신부(240)와의 사이의 정보의 송수신을 담당한다. 프로세서(231)는 ROM(232) 내의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예약 시스템에 관한 처리를 포함하는, 스마트폰(200)이 갖는 다양한 기능을 실현한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31)는, 유저 입력부(220)에서 접수한 유저 설정 정보를, 예를 들어 RAM(233)에 유지시킨다. 유저 설정 정보의 구체예는, 예를 들어 전기 자동차(100)를 운전하는 일시, 목적지, 또는 우선 순위에 관한 정보 등이다. 우선 순위란, 목적지로의 루트 탐색에 있어서 고속 도로를 이용할지 여부, 또한 배터리(110)의 충전 룰 등이다. 충전 룰이란, 배터리(110)에 허용하는 최저 잔량이나, 급전 스테이션에 있어서 허용할 수 있는 대기 시간 등 중, 어느 것을 우선하는가 하는 정보이다.
1.1.4 서버(300)의 구성
다음으로, 상기 서버(300)의 구성에 대하여 도 5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5는, 서버(300)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서버(300)는 제어부(330) 및 통신부(340)를 구비하고 있다.
통신부(340)는, 무선 통신에 의하여 서버(400)와의 사이에서 정보를 송수신한다. 예를 들어 통신부(340)는 서버(400)로부터 지체 정보 리퀘스트를 수신한다. 그러면 통신부(340)는, 제어부(330)로부터 수신한 지체 정보를 서버(400)로 송신한다.
제어부(330)는 지체 정보를 실시간으로 유지한다. 즉, 제어부(330)는 CPU 등의 프로세서(331), ROM(332), RAM(333) 및 입출력 회로(334)를 구비하고 있다. ROM(332)은, 프로세서(331)에 의하여 실행되는 프로그램이나 필요한 데이터를 유지한다. RAM(333)은 프로세서(331)의 작업 영역으로서 기능함과 함께, 지체 정보(335)를 유지한다. 지체 정보(335)는 현재의 지체의 상황뿐 아니라 과거의 지체 정보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이것에 의하여 장래의 지체 예측이 가능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명세서에 있어서 「지체 정보」는, 지체에 관한 정보뿐 아니라 사고 정보나 현재 및 장래의 교통 금지 정보 등 다양한 교통 정보를 포함한다. 입출력 회로(334)는, 통신부(340)와의 사이의 정보의 송수신을 담당한다. 프로세서(331)는 ROM(332) 내의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예약 시스템에 관한 처리를 실행한다. 예를 들어 입출력 회로(334)를 통하여 지체 정보(335)의 리퀘스트를 수신하면, 프로세서(331)는 RAM(333)으로부터 판독한 지체 정보(335)를, 통신부(340)를 통하여 서버(400)로 송신한다. 또한 프로세서(331)는, 현재 일시에 따른 지체 예측을 행하여 얻어진 지체 예측 정보를 서버(400)로 송신해도 된다.
1.1.5 서버(400)의 구성
다음으로, 상기 서버(400)의 구성에 대하여 도 6a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6a는, 서버(400)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서버(400)는 제어부(430) 및 통신부(440)를 구비하고 있다.
통신부(440)는 무선 통신에 의하여 전기 자동차(100), 스마트폰(200), 서버(300) 및 서버(500)와의 사이에서 정보를 송수신한다. 또한 서버(300 및 500)와의 사이는 유선으로의 통신이어도 되고, 또는 서버(300, 400 및 500) 중 어느 둘 또는 모두가 하나의 서버에 의하여 실현되어도 된다. 그리고 통신부(440)는 전기 자동차(100)에 대하여 배터리 잔량 정보의 리퀘스트를 송신하고, 서버(300)에 대하여 지체 정보의 리퀘스트를 송신하고, 서버(500)에 대하여, 후술하는 급전 스테이션 정보의 리퀘스트, 예약 정보의 리퀘스트, 및 예약의 리퀘스트를 송신하고, 스마트폰(200)에 대하여 추천 루트 정보를 송신한다. 또한 통신부(440)는 전기 자동차(100)로부터 배터리 잔량 정보를 수신하고, 스마트폰(200)으로부터 유저 설정 정보를 수신하고, 서버(300)로부터 지체 정보를 수신하고, 서버(500)로부터 급전 스테이션 정보, 예약 정보 및 예약 완료 정보를 수신한다.
제어부(430)는 CPU 등의 프로세서(431), ROM(432), RAM(433) 및 입출력 회로(434)를 구비하고 있다. ROM(432)는, 프로세서(331)에 의하여 실행되는 프로그램이나 필요한 데이터를 유지한다. RAM(433)은 프로세서(431)의 작업 영역으로서 기능함과 함께, 통신부(440)에서 수신한 유저 설정 정보(436), 배터리 잔량 정보(437), 지체 정보(335), 급전 스테이션 정보(535) 및 예약 정보(536)를 유지한다. 또한 RAM(433)은 루트 검색 프로그램(435) 및 지도 정보(438)를 유지한다. 입출력 회로(434)는, 통신부(440)와의 사이의 정보의 송수신을 담당한다. 프로세서(431)는 상기 정보(436, 437, 438, 335, 535 및 536)를 이용하여 루트 검색 프로그램(435)을 실행함으로써, 유저에게 최적이라 생각되는 추천 루트를 산출한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431)는 지도 정보(438) 상에 있어서의 출발지와 목적지를 파악하고, 양자를 잇는 루트 중, 지체 정보(335)에 기초하는 속달성, 배터리 잔량 정보(437), 급전 스테이션 정보(535) 및 예약 정보(536)에 기초하는 급전 스테이션 예약 용이성, 그리고 유저 설정 정보(436)에 기초하는 유저 지향성에 기초하여 추천 루트를 산출한다. 이와 같이 하여 산출된 추천 루트 정보가 스마트폰(200)에 송신된다. 또한 필요에 따라 서버(500)에 대하여 급전 스테이션의 예약 명령을 발행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급전 스테이션의 예약에는 가예약과 본 예약이 포함된다. 예를 들어 본 예에서는, 가예약은, 일정 기한까지 본 예약을 하지 않으면 캔슬되는 예약이며, 유저의 승인 없이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본 예약은 확정된 예약이며, 캔슬되지 않는 한 유효하고 유저의 승인에 기초하여 행해진다. 물론 예약의 형태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하기 기재에 있어서의 「예약」은 모두 본 예약인 경우여도 된다. 또한 가예약은, 일정 기한까지 유저에 의한 본 예약이 승인도 부인도 되지 않는 경우에는, 자동적으로 본 예약으로 변경되는 경우여도 된다. 단, 이하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하기와 같이 정의한다.
·가예약: 일정 기한까지 본 예약을 하지 않으면 캔슬됨. 유저의 승인 없이 행하는 것이 가능. 캔슬 요구에 의하여 캔슬하는 것도 가능.
·본 예약: 확정된 예약. 캔슬하기 위해서는 캔슬 요구를 다시 할 필요가 있음. 본 예약을 행하기 위해서는 유저의 승인이 필요.
또한 가예약과 본 예약을 구별하지 않는 경우에는 단순히 「예약」이라 칭하는 일이 있다.
도 6b는, 루트 검색 프로그램(435)을 실행하였을 때에 있어서의 프로세서(431)(또는 제어부(430) 전체)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로세서(431)는 프로그램(435)을 실행함으로써 수신부(450), 제1 검색부(451), 제2 검색부(452), 제1 판단부(453), 예약부(454) 및 제2 판단부(455)로서 기능한다.
수신부(450)는 통신부(440)를 통하여, 배터리(110)의 잔량을 나타내는 제1 정보(배터리 잔량 정보(437))를 전기 자동차(100)로부터 수신하고, 목적지에 관한 제2 정보(유저 설정 정보(436))를 스마트폰(200)으로부터 수신하고, 또한 목적지에 이르기까지의 경로에 관한 제3 정보(지체 정보(335))를 수신한다. 수신부(450)는 서버(500)로부터 급전 스테이션 정보(535), 예약 정보(536) 및 예약 완료 정보를 수신해도 된다.
제1 검색부(451)는 적어도 제2 정보(436)와 제3 정보(335)에 기초하여, 목적지에 이르기까지의 추천 경로를 검색한다. 제2 검색부(452)는 제3 정보(335)와 급전 스테이션 정보(535) 및 예약 정보(536)에 기초하여, 목적지까지의 사이에 있고 예약 가능한 급전 스테이션을 검색한다.
제1 판단부(453)는, 제1 정보(437)와, 제1 검색부(451)에 의하여 탐색된 추천 경로에 기초하여, 목적지에 이르기까지의 동안에 배터리(110)의 충전이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예약부(454)는, 제1 판단부에 있어서 배터리(110)의 충전이 필요하다고 판단된 경우, 제2 검색부(452)에 있어서 검색된 어느 급전 스테이션을, 유저로부터의 명령을 기다리는 일 없이 가예약한다.
또한 제2 판단부(455)는, 그 상세에 대해서는 제2 실시 형태에서 설명하겠지만 적어도 제3 정보(335)에 기초하여, 예약부(454)에 있어서 가예약대로 전기 자동차(100)가 급전 스테이션에 도착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 판단은 제3 정보(335)뿐 아니라 또한 제1 정보(437)에 기초해도 된다. 그리고 예약부(454)는, 가예약대로 급전 스테이션에 도착하지 못한다고 제2 판단부(455)가 판단한 경우, 당해 예약을 캔슬하고, 다음으로 추천되는 어느 급전 스테이션을, 유저로부터의 명령을 기다리는 일 없이 가예약한다.
1.1.6 서버(500)의 구성
다음으로, 상기 서버(500)의 구성에 대하여 도 7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7은, 서버(500)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서버(500)는 제어부(530) 및 통신부(540)를 구비하고 있다.
통신부(540)는, 무선 통신에 의하여 서버(400)와의 사이에서 정보를 송수신한다. 예를 들어 통신부(540)는 서버(400)로부터 급전 스테이션 정보의 리퀘스트, 예약 정보의 리퀘스트, 및 가예약 또는 본 예약의 리퀘스트를 수신한다. 또한 통신부(540)는, 제어부(530)로부터 수신한 급전 스테이션 정보, 예약 정보 및 예약 완료 정보를 서버(400)로 송신한다.
제어부(530)는 급전 스테이션에 관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유지한다. 즉, 제어부(530)는 CPU 등의 프로세서(531), ROM(532), RAM(533) 및 입출력 회로(534)를 구비하고 있다. ROM(532)는, 프로세서(531)에 의하여 실행되는 프로그램이나 필요한 데이터를 유지한다. RAM(533)은 프로세서(531)의 작업 영역으로서 기능함과 함께, 급전 스테이션 정보(535) 및 예약 정보(536)를 유지한다. 급전 스테이션 정보(535)는, 급전 스테이션의 위치나 동시에 급전 가능한 자동차 대수, 급전에 요하는 시간 등의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예약 정보(536)는 급전 스테이션의 현재의 예약 상황을 포함한다. 이들 정보는, 예를 들어 통신부(540)가 급전 스테이션으로부터 수신받아 RAM(533)에 기억된다. 입출력 회로(534)는, 통신부(540)와의 사이의 정보의 송수신을 담당한다. 프로세서(531)는 ROM(532) 내의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예약 시스템에 관한 처리를 실행한다. 예를 들어 입출력 회로(534)를 통하여 급전 스테이션 정보 및 예약 정보의 리퀘스트를 수신하면, 프로세서(531)는 RAM(533)로부터 판독한 급전 스테이션 정보(535) 및 예약 정보(536)를, 통신부(540)를 통하여 서버(400)로 송신한다. 또한 프로세서(531)는 서버(400)로부터 가예약 리퀘스트를 수신하면, 예약 정보(536)를 참조하여 예약이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여, 예약 가능한 경우에는 가예약을 등록하고 그러한 취지를 예약 완료 정보로서 서버(400)로 송신한다. 그리고 이 예약 정보는 통신부(540)에 의하여, 대응하는 급전 스테이션에 송신된다. 또한 예약할 수 없는 경우에도 그러한 취지를 서버(400)로 송신한다. 이때, 예약 가능한 시간대에 관한 정보를 송신해도 된다. 또한 서버(400)로부터 본 예약의 리퀘스트를 수신한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가예약은, 예를 들어 예약 시간이 되더라도 유저가 급전 스테이션에 도착하지 않거나 또는 도착할 가망이 없다는 것이 밝혀진 시점에서, 예를 들어 서버(400)의 명령에 의하여 프로세서(531)가 캔슬해도 된다.
1.2 동작에 대하여
다음으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전기 자동차의 급전 스테이션의 예약 시스템(1)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1.2.1 동작의 전체 흐름에 대하여
먼저, 예약 시스템의 전체 흐름에 대하여 도 8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8은, 유저가 전기 자동차(100)에 승차하고 나서, 또는 전기 자동차(100)에 승차할 것을 결정하였을 때(승차 자체는 이튿날 등이어도 됨)의, 스마트폰(200), 서버(400)(서버(300 및 500)의 동작도 포함함) 및 전기 자동차(100)의, 급전 스테이션의 예약에 관한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또한 이하에 있어서의 서버(400)의 처리는, 프로세서(431)가 프로그램(435)을 실행함으로써 주로 제어부(430)에 의하여 실현된다.
도시한 바와 같이, 먼저 스마트폰(200)은 유저로부터의 유저 설정 정보를 접수한다(스텝 S10). 즉, 스마트폰(200)은, 유저에 의한 일시 등록이나 노정(목적지·경유지) 등록, 및 우선 순위 설정을 접수한다. 우선 순위의 구체예는 앞서에서도 설명하였지만, 예를 들어 루트 탐색에 있어서, 고속 도로 등의 유료 도로를 이용할지 여부에 더하여 충전 정책에 관한 정보도 포함한다. 이것에는, 예를 들어 이하와 같은 정보가 포함된다. 즉,
·배터리(110)의 잔량이, 예를 들어 20%를 하회하지 않도록 급전을 행함.
·경로에 가까운 급전 스테이션이 혼잡한 경우에는, 최종적으로 빨리 목적지에 도착할 수 있다면 멀리 돌아가더라도 먼 곳의 급전 스테이션을 예약함.
·반대로 어느 정도 기다리더라도 불필요하게 배터리를 소비하지 않도록 가장 가까운 급전 스테이션을 선택함.
등이다.
스마트폰(200)은 이들 정보(436)를 서버(400)에 송신하고, 서버(400)는 수신한 정보(436)를 RAM(433)에 유지한다. 그리고 서버(400)(제1 검색부(451))는 루트 탐색을 개시한다(스텝 S11). 즉, 예를 들어 전기 자동차(100)나 스마트폰(200)의 GPS 기능, 또는 유저에 의하여 입력된 정보에 의하여 유저(전기 자동차(100))의 현재 위치를 취득함과 함께, 전기 자동차(100)로부터 배터리 잔량 정보(437)를 취득한다(스텝 S12, S13). 계속해서 서버(400)는 서버(300)로부터 지체 정보(335)를 취득하고(스텝 S14), 또한 서버(500)로부터 급전 스테이션 정보(535)와 예약 정보(536)를 취득한다(스텝 S14, S15).
그리고 서버(400)(제1 판단부(453))는 충전의 필요성을 판단한다(스텝 S16). 이 판단은, 프로세서(431)가 스텝 S11 내지 S14에서 얻은 정보에 기초하여 행한다. 즉, 목적지까지의 거리와 교통 상황을 감안하였을 때, 현재의 배터리의 충전 상태로 목적지에 닿을지 여부, 또한 닿을 수 있다고 하더라도 유저의 충전 정책을 감안하였을 때, 충전을 행해야 할지 여부 등에 기초하여 결정한다. 계속해서 프로세서(431)는 스텝 S16의 결과에 기초하여 목적지까지의 추천 루트를 결정한다(스텝 S17). 그리고 프로세서(431)는, 스텝 S16에 있어서 충전이 필요하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스텝 S17에서 결정된 루트 내에 있어서의 급전 스테이션을 검색함(제2 검색부(452))과 함께, 검색된 급전 스테이션 중, 가장 추천되는 급전 스테이션을 서버(500)에 대하여 가예약한다(예약부(454), 스텝 S18). 이때, 프로세서(431)(제2 검색부(452))는 서버(500)로부터 수신한 급전 스테이션 정보(535)와 예약 정보(536)에 기초하여, 추천되는 급전 스테이션을 결정한다. 즉, 현재의 배터리 잔량이 극히 적은 경우에는, 예약 정보(536)에 있어서 대기 시간이 길어지더라도 가장 가까운 급전 스테이션을 가예약한다. 한편, 배터리 잔량에 여유가 있는 경우에는, 예를 들어 현재지로부터 먼 거리이더라도 대기 시간이 적거나, 또는 충전에 요하는 시간이 짧은 급전 스테이션을 가예약하는 등이다. 또는 이동 거리는 길어지지만 혼잡의 정도가 가장 낮아, 그 결과로서 목적지에 가장 빨리 도착할 수 있는 급전 스테이션을 가예약하는 것 등이어도 된다. 그리고 서버(400)는 추천 루트 정보를 스마트폰(200)에 송신한다.
스마트폰(200)은 수신한 추천 루트를 표시부(210)에 표시한다(스텝 S19). 이때, 표시부(210)는, 가예약된 급전 스테이션에 관한 정보도 표시한다. 그리고 스마트폰(200)은, 서버(400)에 의한 급전 스테이션의 가예약의 승인 또는 부인을 유저 입력부(220)에 있어서 유저로부터 접수하면(스텝 S21), 그러한 취지를 서버(400)로 송신한다. 승인되지 않은 경우(스텝 S20, "아니오"), 서버(400)의 프로세서(431)는 스텝 S16 내지 S18의 처리를 반복한다. 즉, 서버(400)는 다음 추천 루트를 계산하여, 필요가 있다면 급전 스테이션의 가예약을 행한다.
또한 스텝 S16 내지 S18의 처리를 반복한 결과, 유저에게 부인된 루트가 다시 검색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서버(400)의 프로세서(431)는, 유저에게 부인된 루트에 플래그를 표시하거나 함으로써, 부인된 루트가 재제안되지 않도록 해도 된다. 또한/또는 서버(400)의 프로세서(431)는, 유저에게 부인된 루트와 함께, 새로이 검색된 루트에 우선 순위를 매겨도 된다. 이 우선 순위는, 서버(400)가 유저에게 추천하는 순서를 나타낸다. 우선 순위를 매기는 경우, 예를 들어 도 8의 흐름도에 있어서 스텝 S16 내지 S18을 복수 회 반복함으로써, 스텝 S19에서 유저에게 복수의 루트를 우선 순위와 함께 제시해도 된다.
또한 스텝 S10으로부터 유저로부터의 승인(스텝 S20)을 얻기까지 타임 래그가 있는 경우에는, 구체적으로는 추천 루트를 제시하고 나서 어느 역치에 상당하는 기간이 지나더라도 승인되지 않는 경우에는, 서버(400)는 스텝 S12 및 S14의 처리를 행하고 또한 스텝 S16 내지 S18의 처리를 행하여, 추천하는 루트를 갱신해도 된다.
승인된 경우(스텝 S21), 프로세서(431)는 스텝 S10에서 수신한 유저 설정 정보에, 추가로 결정된 추천 루트 및 급전 스테이션 정보를 등록한다(스텝 S21). 또한 서버(400)의 프로세서(431)(예약부(454))는 서버(500)에 대하여 스텝 S18에서 행한 가예약을 본 예약으로 변경한다(스텝 S22). 이 가예약 및 본 예약에 관한 정보는, 예를 들어 서버(500)의 예약 정보(536)에 등록된다. 그리고 본 등록이 완료되면, 서버(400)는 확정 루트 정보를 스마트폰(200)에 송신하고, 스마트폰(200)은 수신한 확정 루트를 표시부(210)에 표시한다(스텝 S23).
도 9는, 서버(400)에 있어서의 루트 탐색의 기본적인 사고 방식을 도시하고 있으며, 특히 배터리(110)의 충전의 필요성의 유무에 따른 처리의 흐름도이다. 도 9에 도시하는 처리는, 도 6b에 있어서의, 예를 들어 제1 검색부(451), 제2 검색부(452) 및 제1 판단부(453)에 의하여 실행된다.
도시한 바와 같이, 유저 설정 정보에 있어서 목적지가 설정되어 있고(스텝 S30, "예"), 또한 배터리(110)의 충전이 필요하다고 프로세서(431)가 판단하면(스텝 S31, "예"), 프로세서(431)는, 어느 급전 스테이션을 경유하여 목적지에 도달하는 루트를 탐색한다(스텝 S32). 이때는, 상술한 바와 같이 급전 스테이션에 대한 가예약도 행해진다(예약부(454)). 한편, 스텝 S31에 있어서 배터리(110)의 충전은 불필요하다고 판단되면(스텝 S31, "아니오"), 프로세서(431)는 목적지로의 루트를 탐색하는데, 그때 급전 스테이션을 경유할지 여부는 고려하지 않는다(스텝 S33).
또한 스텝 S31 및 S34에 있어서의 충전의 필요성의 판단은, 예를 들어 프로세서(431)가 아니라 유저가 행하는 경우여도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스마트폰(200)은, 유저로부터의 충전의 필요성에 대한 정보를 접수하고, 그러한 취지의 정보를 서버(400)로 송신한다. 그러면 서버(400)는 수신한 정보에 따라 스텝 S32, S33, S35 또는 S36의 처리를 실행한다.
스텝 S30에 있어서 목적지가 설정되어 있지 않고(스텝 S30, "아니오"), 또한 배터리(110)의 충전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면(스텝 S34, "예"), 프로세서(431)는 가장 추천되는 급전 스테이션으로의 루트를 탐색한다(스텝 S35). 이때도 급전 스테이션에 대한 가예약이 행해진다. 이 경우에 가장 추천되는 급전 스테이션이란, 예를 들어 현재 위치로부터 가장 가까운 급전 스테이션, 또는 현재 위치로부터 가장 가깝지는 않지만 대기 시간이 적은 급전 스테이션 등이다. 목적지가 설정되어 있지 않고(스텝 S30, "아니오"), 또한 배터리(110)의 충전도 불필요하면(스텝 S34, "아니오"), 프로세서(431)는 루트 탐색을 행하지 않는다(스텝 S36).
1.2.2 동작의 구체예에 대하여
다음으로, 상기 도 8에서 설명한 동작의 구체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0은, 전기 자동차의, 예를 들어 인스트루멘탈 패널(카 내비게이션 시스템의 표시 화면(홈 화면)이어도 됨)의 표시 화면의 일례이다. 물론 배터리 잔량 정보(437)를 수신할 수 있는 것이면, 스마트폰(200)의 표시부(210)가 도 10과 같은 화면을 표시해도 된다.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 화면에는 현재의 배터리(110)의 충전량이 표시되어 있다. 도 10의 예의 경우는, 배터리(110)의 충전량은 34%여서 완전 충전 상태의 약 1/3 정도밖에 잔량이 없음을 나타내고 있다.
도 11 및 도 12는, 스마트폰(200)의 표시부(210)에 있어서의 표시 화면의 일례이며, 도 8에 있어서의 스텝 S10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1 및 도 12는, 예를 들어 본 예에서 설명하는 예약 시스템(1)의 애플리케이션을 기동함으로써 표시된다. 예약 시스템의 애플리케이션은, 예를 들어 RAM(133) 등에 유지된 프로그램을 프로세서(231)가 실행함으로써 실현된다.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예를 들어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부(210)는 캘린더를 표시하여 전기 자동차(100)의 승차일의, 유저로부터의 입력을 접수한다. 도 12는, 왕로 설정의 접수 화면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12의 예에서는 출발 시각이나 목적지 등을 설정할 수 있다. 이들 정보가 입력되면, 그 정보는 유저 설정 정보(436)로서 서버(400)에 송신된다.
또한 스마트폰(200)에 다운로드된 애플리케이션에는, 사전에 유저에 의하여 특정 전기 자동차(100) 또는 복수의 전기 자동차(100)가 등록된다. 그리고 승차의 일정과 충전의 타이밍 스케줄이 복수의 애플리케이션 사용자에 의하여 공유되어도 된다. 이 일례에 대해서는 제3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다.
도 13은, 도 8에 있어서의 스텝 S19에서 설명한, 추천 루트가 표시된 스마트폰(200)의 표시부(210)의 표시예를 도시한다. 도 13의 예에서는, 가와사키가 출발지이고 목적지는 가마쿠라로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도면 중에 있어서 굵은 선으로 나타낸 것이 추천 루트이다. 또한 서버(400)는 가와사키에서 가장 가까운 급전 스테이션(스테이션 A)을 추천하고, 유저의 승인을 기다리는 일 없이 16:55에 가예약을 행하고 있다. 이 가예약은, 서버(400)가 추천 루트를 산출하는 과정에서 서버(400)가 행한다. 단, 이 시점에서는 가예약이므로, 스마트폰(200)은 본 예약해도 되는지 여부의 입력을 유저에게 촉구한다.
유저가 스테이션 A 이외의 급전 스테이션을 희망하는 경우에는,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표시부(210)에 표시된 「더 보기」라는 아이콘을 선택한다. 이 아이콘이 선택되면,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마트폰(200)은, 서버(400)에 의하여 얻어진 그 외의 추천 루트를 표시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추천 루트는 스테이션 A보다도 먼 급전 스테이션(스테이션 B)을 추천한다. 도 15에서는 스테이션 B의 가예약이 이루어져 있지 않지만, 서버(400)는 이 시점에서 스테이션 B에 대한 가예약을 행해도 된다. 또한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테이션 B에 대한 「더 보기」라는 아이콘이 선택되면, 예약 가능한 시간대가 표시된다. 이 정보는, 서버(400)가 서버(500)로부터 수신한, 스테이션 B에 관한 예약 정보(536)에 기초하여 표시된다. 이 시간대 중, 예를 들어 18:50이라는 시간대의 선택을 유저로부터 접수하였다고 하자. 그러면 스마트폰(200)은 이 정보를 서버(400)에 송신하고, 필요에 따라 서버(500)에 대하여 가예약을 행한다. 계속해서 스마트폰(200)은, 본 예약해도 될지 여부의 입력을 유저에게 촉구한다. 도 16의 예에서는 「예」 아이콘이 선택됨으로써, 서버(400)는 서버(500)에 대하여 스테이션 B의 18:50의 본 예약을 행한다.
도 17은, 유저가 제3 추천 루트를 선택한 경우를 도시한다. 제3 추천 루트는 급전 스테이션에서의 충전을 행하지 않는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어느 급전 스테이션도 예약되지 않는다.
이상과 같이, 서버(400)는 유저 설정 정보 등에 기초하여 복수의 추천 루트를 추천 순으로 제시함과 함께 급전 스테이션의 가예약을 행하고, 선택된 추천 루트에 기초하여 본 예약을 행한다.
1.3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효과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전기 자동차의 효율적인 충전 예약이 가능해진다. 본 효과에 대하여 이하, 설명한다.
근년, 전기 자동차가 급속하게 보급되고 있지만, 추가적인 보급을 위해서는 배터리에 대한 유저의 불안을 불식시킬 필요가 있다. 한편, 지체 예측 등의 정밀도 향상에 의하여, 내비게이션 시스템에 있어서 목적지로의 도착 시각 예측의 정밀도도 향상되고 있다.
그래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지체 예측 등에 기초하는 루트 검색에 더하여, 배터리(110)의 잔량(잔량 정보(437)), 급전 스테이션에 관한 정보(급전 스테이션 정보(535), 예약 정보(536), 및 유저의 희망(유저 설정 정보(436))에 기초하여, 검색된 루트에 있어서 추천되는 급전 스테이션을, 유저에 의한 요구를 기다리는 일 없이 서버(400)가 자발적으로 가예약한다. 그리고 서버(400)에 의한 제안을 유저가 접수했을 때는, 서버(400)는 급전 스테이션을 본 예약한다.
본 구성에 의하면, 서버(400)가, 배터리 고갈이 일어나지 않도록 최적의 급전 타이밍에서의 급전 스테이션의 가예약을 행한 루트를 유저에게 제안한다. 그 때문에 배터리 고갈에 대한 유저의 불안을 완화하고, 또한 배터리 고갈을 고려하여 유저가 급전 스테이션의 장소를 탐색하고 예약하는 등의 번거로움을 해소하여, 급전 스테이션의 효율적인 예약이 가능해진다.
2. 제2 실시 형태
다음으로,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정보 처리 프로그램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는, 상기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 급전 스테이션의 본 예약 후에, 예약 시간에 급전 스테이션에 닿지 못한다는 것이 판명되었을 때의 처리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제1 실시 형태와 상이한 점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2.1 동작에 대하여
도 18은, 전기 자동차(100) 주행 중에 있어서의 스마트폰(200), 서버(400)(서버(300 및 500)의 동작도 포함함) 및 전기 자동차(100)의, 급전 스테이션 예약에 관한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또한 이하에 있어서의 서버(400)의 처리는, 도 8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프로세서(431)가 프로그램(435)을 실행함으로써 주로 제어부(430)에 의하여 실행된다.
도시한 바와 같이, 서버(400)는, 예를 들어 일정 기간마다 서버(300)로부터 지체 정보(335)를 취득한다(스텝 S30). 그때, 취득한 지체 정보(335)에 있어서, 예상 이상으로 긴 지체의 발생, 또는 사고 발생에 의한 통행 금지 등이 생겼음이 판명되었다고 하자. 그러면 서버(400)(제2 판단부(455))는 신속히 전기 자동차(100)로부터 현재의 배터리 잔량 정보(437)를 취득하고(스텝 S31), 유저에 의하여 승인된 현재의 권장 루트에 있어서, 예약 시각에 급전 스테이션에 도착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32).
도착할 수 있는 경우에는(스텝 S32, "아니오"), 서버(400)는 특별히 추천 루트의 변경 등은 행하지 않고 그대로 당초의 급전 스테이션의 본 예약(아직 가예약의 경우여도 됨)을 유지한다. 한편, 도착하지 못한다고 판단한 경우에는(스텝 S32, "예"), 서버(400)(예약부(454))는 급전 스테이션의 본 예약(또는 가예약)을 캔슬한다(스텝 S33). 즉, 서버(400)는 서버(500)에 대하여 급전 스테이션의 예약 캔슬의 리퀘스트를 송신한다. 그러면 서버(500)는 당해 리퀘스트에 따라, 예약 정보(536)에 있어서의 당해 예약을 캔슬한다.
그 후, 서버(400)는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스텝 S30에서 얻어진 지체 정보(335)에 기초하여 새로운 루트를 탐색하고(스텝 S11), 얻어진 루트에 있어서 추천되는 급전 스테이션을 가예약한다(스텝 S15). 그리고 제1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스텝 S16 내지 S23의 처리가 실행된다.
2.2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효과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상정 외의 지체나 사고가 생긴 경우에는, 서버(400)가 현재의 추천 루트로 문제없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문제가 있는 경우에는 그때까지의 급전 스테이션의 예약을 캔슬한다. 또한 새로운 루트를 탐색함과 함께, 필요가 있다면 최적의 급전 스테이션을 새로이 가예약하여 유저에게 제시한다.
따라서 예상 외의 사태가 발생한 경우에도, 전기 자동차(100)에 있어서의 배터리 고갈에 대한 유저의 불안을 완화하고, 또한 실제로 배터리 고갈이 되지 않도록 최적의 루트 산출과 급전 스테이션의 예약을 행함으로써, 전기 자동차(100)의 운행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는 기후(바람, 강우, 적설 등)나 전기 자동차(100)의 중량(승차 인원 수나 적하물의 무게)의 영향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즉, 이들 요소에 의해서도 배터리(110)의 소비율은 변화된다. 따라서 서버(400)는 지체나 사고뿐 아니라 이들 요소도 감안하여, 현재의 추천 루트로 문제없는지 여부를 판단해도 된다.
또한 예약을 변경하는 구체예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제5 실시 형태에서 설명하므로 그쪽을 참조하기 바란다.
3. 제3 실시 형태
다음으로,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정보 처리 프로그램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는, 상기 제1 및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전기 자동차(100)의 승차 예정일을 미리 서버(400)에 등록하고, 이 등록 상황에 따라 서버(400)가 유저의 리퀘스트를 받는 일 없이 자발적으로 급전 스테이션의 예약을 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제1 및 제2 실시 형태와 상이한 점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3.1 구성에 대하여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서버(400)의 구성은, 제1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도 6a대로이며, 예를 들어 RAM(433)은 추가로 스케줄링 프로그램을 유지한다(이는 루트 검색 프로그램(435)의 일부여도 됨). 이 스케줄링 프로그램이 실행됨으로써, 서버(400)는 이하에 설명하는 기능을 실행한다.
도 19a는, 스케줄링 프로그램을 실행하였을 때에 있어서의 프로세서(431)(또는 제어부(430) 전체)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19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로세서(431)는 스케줄링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등록부(460), 제3 판단부(461), 예약부(454), 제1 검색부(451) 및 제2 검색부(452)로서 기능한다.
등록부(460)는 전기 자동차(100)의 승차 예약을 관리한다. 즉, 등록부(460)는 승차 스케줄 데이터베이스를 작성한다. 작성된 데이터베이스는, 예를 들어 RAM(433)에 유지된다. 그리고 등록부(460)는 유저로부터의 제1 승차 예약 입력을 접수함으로써, 제1 승차 예약에 관한 제1 승차 예정 기간을 나타내는 제1 정보, 및 승차 시에 있어서의 배터리(110)의 잔량을 나타내는 제2 정보(437)를 등록한다. 제2 정보(437)는 전기 자동차(100)로부터 주어진다. 제3 판단부(461)는 제2 정보(437)에 기초하여, 제1 승차 예정 기간 내에 있어서 배터리(110)의 충전이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는, 예를 들어 제1 승차 예정 기간에 있어서 예상되는 배터리의 소비량을 산출하고, 이 소비량과 제2 정보(437)를 비교하는 것 등에 의하여 판단된다. 예약부(454)는, 제3 판단부(461)에 있어서 배터리(110)의 충전이 필요하다고 판단된 경우, 어느 급전 스테이션을, 유저로부터의 명령을 기다리는 일 없이 가예약(본 예약까지 행하는 경우여도 됨)한다. 예약부(454)는, 예를 들어 급전 스테이션 정보(535) 및 예약 정보(536)에 기초하여 어느 급전 스테이션을 가예약한다.
또한 등록부(460)가 제1 승차 예약에 있어서의 목적지에 관한 제3 정보(예를 들어 유저 설정 정보(436))를 등록하는 경우, 도 6a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검색부(451)는 목적지에 이르기까지의 추천 경로를 검색하고, 제2 검색부(452)는 목적지까지의 사이에 있는 급전 스테이션을 검색한다. 그리고 제3 판단부(461)에 있어서, 추천 경로를 주행한 경우에 배터리(110)의 충전이 필요하다고 판단된 경우, 예약부(454)는, 제2 검색부(452)에서 검색된 어느 급전 스테이션을, 유저로부터의 명령을 기다리는 일 없이 가예약한다(마찬가지로 본 예약까지 행해도 됨).
3.2 동작에 대하여
이하에서는, 목적지를 등록하는 경우로 하지 않는 경우의 두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 예>
제1 예는 목적지를 등록하지 않는 경우이다. 도 19b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예약 시스템의 흐름도이며, 사전의 승차일 등록과 급전 스테이션의 예약 방법의 제1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있다. 또한 이하에 있어서의 서버(400)의 처리는, 프로세서(431)가 스케줄링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주로 제어부(430)에 의하여 실현된다. 그리고 유저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등록이 완료된 후에, 실제로 제1 및 제2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전기 자동차(100)에 승차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스마트폰(200)은, 제1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예약 시스템의 애플리케이션을 기동한다. 그리고 스마트폰(200)은 유저에 의한 승차 일시 입력을 접수한다(스텝 S40).
그러면 서버(400)(등록부(460))는 RAM(433)에 있어서 승차 스케줄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하고, 이 데이터베이스에 승차 일시를 등록한다(스텝 S41). 이때, 서버(400)는 현재의 배터리 잔량 정보를 전기 자동차(100)로부터 수신하고, 프로세서(431)는 등록된 유저의 승차에 의한 배터리 소비를 계산함과 함께, 배터리 잔량을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한다(스텝 S42). 그리고 배터리(110)의 충전이 필요하다고 프로세서(431)(제3 판단부(461))가 판단하면, 어느 급전 스테이션(예를 들어 자택에서 가장 가까운 급전 스테이션)을 가예약한다(예약부(454), 스텝 S44). 그리고 프로세서(431)(제3 판단부(461), 등록부(460))는, 스텝 S44에서 가예약된 급전 스테이션에서 배터리(110)가 충전되었다고 가정하여 배터리 잔량을 계산하고, 그 결과를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한다(스텝 S45).
이상의 모습을 도 20에 나타낸다. 도 20은, 승차 스케줄 데이터베이스의 개념도이다. 본 데이터베이스 정보를 서버(400)가 스마트폰(200)에 송신함으로써, 유저는 스마트폰(200)의 표시부(210)에 있어서 도 20과 같은 표시를 열람할 수 있다.
도 20의 예에서는, 5/24(수)의 7:30으로부터 10:30까지의 기간, 및 18:00으로부터 21:00까지의 기간에 승차의 예정이 등록된다. 그리고 5/24의 최초 승차인 7:30의 시점에서 배터리 잔량은 54%이다. 그래서 프로세서(431)는, 예를 들어 배터리 잔량과 주행 예정 기간과 평균 배터리 소비량 등의 정보에 기초하여, 배터리(110)를 충전하는 경우와 하지 않는 경우의, 승차 종료 시각인 10:30에 있어서의 배터리 잔량을 예측한다. 그 결과, 배터리 잔량이, 예를 들어 유저에 의하여 설정된 역치를 하회한다고 판단하여, 예를 들어 출발지(예를 들어 자택) 부근에 있어서의 급전 스테이션을, 예를 들어 출발 시인 9:00에 가예약한다. 급전 스테이션의 예약은 별표로 나타나 있다. 그리고 급전 스테이션에서 배터리(110)가 거의 100%까지 충전되었다고 가정하여, 프로세서(431)는 그 후의 배터리 잔량을 계산한다. 도 20의 예에서는, 5/24의 맨 처음의 승차가 완료된 시점에서의 배터리 잔량은 86%이고 2회째의 승차 완료 시에도 배터리 잔량은 61%여서, 이날은 더 이상의 배터리 충전은 불필요하다.
도 19b로 되돌아가 설명을 계속한다. 스텝 S41에 있어서 승차일이 등록되고, 또한 스텝 S44에서 새로이 급전 스테이션이 가예약된 경우, 이미 되어 있던 가예약이 불필요해지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스텝 S46, "예")에는, 프로세서(431)(제3 판단부(461))는 서버(500)에 대하여 당해 가예약의 캔슬을 통지한다(스텝 S47). 이 상태를 도 21에 나타낸다. 도 21은, 도 20과 마찬가지로 승차 스케줄 데이터베이스의 개념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도 20에 나타내는 승차 예정이 등록되고, 5/24에 급전 스테이션이 가예약된 후, 5/23(화)의 12:30으로부터 13:30까지의 기간, 및 15:30으로부터 16:30까지의 기간에 승차 예정이 등록되고, 또한 5/23의 2회째의 승차 후(예를 들어 자택에 귀가하였을 때)에 자택 부근에 있어서의 급전 스테이션이 가예약되었다고 가정한다. 그러면 도 20의 경우와 달리, 5/24의 1회째의 승차 개시 시점에서의 배터리 잔량은 96%로 되어, 5/24에는 배터리(110)의 충전이 불필요해진다. 그래서 프로세서(431)는, 5/24에 있어서의 급전 스테이션의 가예약을 캔슬한다.
또한 상기 설명에서는, 예약부(454)에 있어서의 예약이 가예약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다. 그러나 어느 것은 본 예약으로 되어 있어도 된다. 즉, 스마트폰(200)은, 예를 들어 급전 스테이션을 자동으로 가예약한 후, 유저에 대하여 본 예약의 승인을 촉구한다. 그리고 유저로부터의 승인을 수신하였을 때는 가예약을 본 예약으로 전환한다. 따라서 본 예약으로 전환한 후에 스텝 S47의 처리를 행할 때는, 캔슬되는 예약은 본 예약이고, 본 예약으로 전환하기 전이라면, 캔슬되는 예약은 가예약이다. 유저로부터의 본 예약의 승인을 수신하는 타이밍은, 전기 자동차(100)의 승차 전이어도 되고 승차 후의 주행 중이어도 된다. 또한 스텝 S44에 있어서 예약부(454)는, 가예약이 아니라 본 예약을 행해도 된다.
<제2 예>
제2 예는, 승차 일시와 함께 목적지를 등록하는 경우이다. 도 22는, 본 예에 따른 예약 시스템의 흐름도이며, 제1 예에서 설명한 도 19b에 대응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스마트폰(200)은, 제1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예약 시스템의 애플리케이션을 기동한다. 그리고 스마트폰(200)은 유저에 의한 승차 일시 입력을 접수한다(스텝 S50). 계속해서 스마트폰(200)은 유저에 의한 목적지 입력을 접수한다(스텝 S51)
그러면 서버(400)(등록부(460))는 RAM(433)에 있어서 승차 스케줄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하고, 이 데이터베이스에 승차 일시를 등록한다(스텝 S52). 또한 서버(400)의 프로세서(431)(제1 검색부(451))는 목적지까지의 루트 검색을 행하고(스텝 S53), 또한 검색된 루트 내에 있어서의 급전 스테이션을 검색한다(제2 검색부(452), 스텝 S54). 그리고 이들 급전 스테이션에 있어서 배터리(110)를 충전하는 경우와 하지 않는 경우의 배터리 잔량을 계산하고(스텝 S55), 급전 스테이션의 추천 예약을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한다(스텝 S56). 프로세서(431)는, 예를 들어 이 시점에서, 추천한 급전 스테이션을 가예약 또는 본 예약한다.
이상의 모습을 도 23에 나타낸다. 도 23은, 승차 스케줄 데이터베이스의 개념도이며, 제1 예에서 설명한 도 20 및 도 21에 대응하고, 유저는 스마트폰(200)의 표시부(210)에 있어서 도 23과 같은 표시를 열람할 수 있다.
도 23의 예에서는 하기 요일에 승차 예정이 등록되어 있다. 즉,
·월요일: 12:00 ~ 19:00
·화요일: 7:30 ~ 24:00
·수요일: 15:00 ~ 22:00
·목요일: 12:00 ~ 19:00
프로세서(431)는 이들 네 승차 예정에 대하여 루트 검색을 행하여, 루트 부근에 있는 급전 스테이션을 별표로 표시한다. 별표는, 큰 것일수록 검색된 루트에 가까워 경로의 낭비가 적은 급전 스테이션을 나타내며, 백색 별표가, 프로세서(431)가 추천하는 급전 스테이션이다. 도 23의 예에서는, 월요일의 14시경에 급전 스테이션을 예약하는 것이 추천되어 있다. 예약부(454)는, 이 시점에서 추천하는 급전 스테이션을 가예약해도 된다.
또한 프로세서(431)는 데이터베이스에 있어서, 가장 최근의 승차 예정(도 23에서는 월요일)에 대하여, 목적지로의 도착 예정 시각과, 도착한 시점에서 예측되는 배터리 잔량을 표시한다. 도 23의 예에서는, 월요일의 도착 예정 시각은 19:00이며, 배터리(110)의 충전을 행하지 않은 경우, 예상 잔량은 α%이다. 이에 비해, 포인트 A(이는 14시에서 추천되어 있는 급전 스테이션)에서 충전한 경우의 예상 잔량은 β%이고, 포인트 B(이는 18시에 주행 중이라 예측되는 위치에 있는 급전 스테이션)에서 충전한 경우의 예상 잔량은 γ%임이 나타나 있다.
도 22에 되돌아가 설명을 계속한다. 도 23의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스마트폰(200)이 유저로부터의 예약 선택을 접수하면(스텝 S57), 서버(400)의 프로세서(431)(예약부(454))는 유저에 의하여 선택된 급전 스테이션을 본 예약한다(스텝 S58). 그리고 이 본 예약에 기초하여, 필요하다면 배터리 잔량을 재계산하고(스텝 S59), 다음 추천 예약을 데이터베이스에 표시시킨다(제3 판단부(461), 등록부(460), 스텝 S60). 이 상태를 도 24에 나타낸다. 도 24는, 도 23과 마찬가지로 승차 스케줄 데이터베이스의 개념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도 23에서 추천된 월요일의 14:00의 예약이 유저에 의하여 선택되면, 프로세서(431)는 서버(500)에 대하여 본 예약을 요청한다. 도 24의 예에서는, 본 예약된 급전 스테이션은, 동그라미로 둘러싼 백색 별표로 나타난다. 그리고 프로세서(431)는 다음 추천 예약을 계산하여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한다. 도 24의 예에서는, 금요일의 14시경에 급전 스테이션을 예약하는 것이 추천되어 있다.
또한 상기 설명에서는, 스텝 S58에 있어서의 예약부(454)에서의 예약이 본 예약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다. 왜냐하면 스텝 S57에서 유저에 의한 승인을 이미 수신하였기 때문이다. 그러나 예약부(454)는, 예를 들어 스텝 S56의 단계에서 추천하는 급전 스테이션을 가예약하고, 스텝 S57에서 승인을 수신하였을 때 가예약을 본 예약으로 전환하는 경우여도 된다. 또는 스텝 S58에서는, 예약부(454)는 가예약을 행하고, 다시 유저로부터의 승인을 수신하였을 때 가예약을 본 예약으로 전환해도 된다. 왜냐하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승차일 등록은, 실제로 승차하는 것보다도 전에 행해지는 경우도 있기 때문이다. 특히 카 셰어링 시스템 등에 적용되는 경우에는, 승차의 며칠 또는 몇 주 전에 승차일 등록이 이루어지는 것이 상정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경우에는, 등록 시의 예약은 가예약에 그치게 하고, 실제의 승차일 당일 또는 그 며칠 전을 기한으로 하여 유저로부터의 본 예약의 입력을 기다려도 된다. 물론 제1 예와 마찬가지로, 유저로부터 본 예약의 승인을 수신하는 타이밍은, 전기 자동차(100)의 승차 전이어도 되고 승차 후의 주행 중이어도 된다.
3.3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효과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승차 예정을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고, 그 승차 예정에 따라 서버(400)가 추천 급전 스테이션을 제안한다. 따라서 급전 스테이션의 예약에 대한 유저의 번거로움을 완화할 수 있다. 또한 며칠 간의 승차 예정에 기초하여 최적의 급전 타이밍을 결정할 수 있어, 효율적인 충전 스케줄을 세울 수 있다.
또한 상기 예에서는, 유저가 전기 자동차(100)에 빈번히 승차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다. 그러나, 예를 들어 휴일밖에 이용하지 않는 유저나 장기간에 걸쳐 승차하지 않는 유저의 경우, 배터리의 자연 방전을 고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어느 승차로부터 다음 승차까지의 동안이 어느 일정 역치 기간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어느 타이밍에 전기 자동차(100)를 기동시키고, 그때 서버(400)에 다시 배터리 잔량 정보를 송신하여 스텝 S56 내지 S60의 처리를 다시 행해도 된다.
또한 도 23 및 도 24의 예에서는, 월요일의 14시에 충전하는 것이 추천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다. 그러나 도 23 및 도 24의 예에서는 화요일의 주행 시간이 매우 길다. 따라서 배터리 잔량에 여유를 갖게 하려면, 월요일이 아니라 화요일에 충전하는 편이 나을지도 모른다. 그와 같은 경우에는, 도 2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월요일이 아니라 화요일의 장거리 주행 중에 있는 급전 스테이션을 추천해도 된다. 예를 들어 도 23의 추천을 유저가 승인하지 않는 경우에는 도 25의 추천을 제시하도록 해도 된다. 또는 유저 설정 정보(436)에 있어서의 우선 순위 정보에 기초하여 도 23이 아니라 도 25를 추천해도 된다.
4. 제4 실시 형태
다음으로,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정보 처리 프로그램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는, 상기 제1 내지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 서버(400)을 폐지하고, 서버(400)의 기능을 스마트폰(200)에 갖게 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제1 내지 제3 실시 형태와 상이한 점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4.1 구성에 대하여
도 26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예약 시스템(1)의 블록도이며, 제1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도 2에 대응하는 것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예가 제1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도 2와 상이한 점은,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 서버(400)가 행하고 있던 하기 처리를 스마트폰(200)이 행한다는 점이다. 즉,
·서버(300)로부터의 지체 정보를 취득
·서버(500)로부터의 급전 스테이션 정보, 예약 정보 및 예약 완료 정보의 취득
·급전 스테이션의 예약
·전기 자동차(100)로부터의 배터리 잔량 정보의 취득
·추천 루트 계산
도 27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스마트폰(200)의 블록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예에 따른 구성은, 제1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도 4에 있어서, 서버(400)로서의 기능을 실현하기 위하여, 예를 들어 RAM(233)이, 도 6a에서 설명한 서버(400)의 RAM(433) 내의 다양한 데이터 및 루트 검색 프로그램(435)을 유지한다. 이 프로그램(435) 및 지도 정보(438)는 서버(300 또는 500)로부터 무선 통신 회선 또는 유선 통신 회선에 의하여 스마트폰(200)에 다운로드되거나, 또는 그 외의 서버(예를 들어 제1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예약 시스템을 운영하는 사업자의 서버)로부터 다운로드되어도 된다. 물론 스마트폰(200)이 유저에게 판매되는 시점에 있어서 이미 프로그램(435)이 RAM(233)에 유지되어 있는 경우여도 된다.
그리고 프로세서(231)가 프로그램(435)을 실행함으로써 프로세서(231)(또는 제어부(230) 전체)는,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도 6b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수신부(450), 제1 검색부(451), 제2 검색부(452), 제1 판단부(453), 예약부(454) 및 제2 판단부(455)로서 기능한다.
도 2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마트폰(200)은 배터리(110)의 잔량 정보의 리퀘스트를 전기 자동차(100)로 송신하고, 지체 정보의 리퀘스트를 서버(300)로 송신하고, 급전 스테이션 정보 및 예약 정보의 리퀘스트를 서버(500)로 송신한다. 그리고 스마트폰(200)은 배터리 잔량 정보를 전기 자동차(100)로부터 수신하고, 지체 정보를 서버(300)로부터 수신하고, 급전 스테이션 정보, 예약 정보 및 예약 완료 정보를 서버(500)로부터 수신하여 이들을 RAM(233)에 유지한다.
4.2 동작에 대하여
도 28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전기 자동차의 급전 스테이션의 예약 시스템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며, 제1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도 8에 대응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가 제1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도 8과 상이한 점은, 스텝 S10 내지 S13 및 S14 내지 S23 모두가 스마트폰(200)에서 실행되는 점이다. 당연히 각 스텝에 있어서의 각종 판단, 연산 및 명령 발행 등은, 스마트폰(200)의 프로세서(231)가 주체로 되어 행해진다. 도 9의 판단도 마찬가지이다.
제2 및 제3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동작도 마찬가지이며, 도시는 생략하지만 도 18, 도 19b 및 도 22에 있어서의 서버(400)의 처리는 스마트폰(200)에서 실행된다.
4.3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효과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서버(400)가 불필요해져 예약 시스템(1)의 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유저에게 있어서는, 처리 시마다 서버에 액세스할 필요가 없고, 자신이 보유하는 스마트폰(200)으로 처리를 완결할 수 있으므로, 스마트폰(200)의 통신량을 억제하여 예약 시스템(1)의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처리를 스마트폰(200)이 주체로 되어 실행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다. 이는 제2 실시 형태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즉, 스마트폰(200)은, 제2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스케줄링 프로그램을 어느 서버로부터 다운로드한다. 그리고 스마트폰(200)의 프로세서(231)가 스케줄링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프로세서(231)(또는 제어부(230) 전체)가, 제2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도 19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능한다. 이 경우, 도 19b에서 설명한 스텝 S40 내지 S47의 처리는 스마트폰(200)에 의하여 실행되며, 급전 스테이션의 예약이나 예약의 캔슬 처리도 스마트폰(200)으로부터 서버(500)에 직접 행해진다.
5. 제5 실시 형태
다음으로, 제5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정보 처리 프로그램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는, 상기 제1 내지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 또한 카 내비게이션 시스템을 가지며, 스마트폰(200)의 표시부(210)의 기능의 일부를 카 내비게이션 시스템에 갖게 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제1 내지 제3 실시 형태와 상이한 점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5.1 구성에 대하여
도 29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예약 시스템(1)의 구성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예에 따른 예약 시스템(1)은, 제1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도 1에 있어서, 전기 자동차(100) 내에 마련된 카 내비게이션 시스템(700)을 추가로 구비하고 있다.
도 30은, 도 29에 도시하는 예약 시스템(1)의 블록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예에 따른 예약 시스템(1)은, 제1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도 2에 있어서, 스마트폰(200)이 확정 루트 정보를 카 내비게이션 시스템(700)에 송신하고, 카 내비게이션 시스템(700)이 확정 루트 정보를 표시한다.
도 31은, 카 내비게이션 시스템(700)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카 내비게이션 시스템(700)은 표시부(710), 유저 입력부(720), 제어부(730) 및 통신부(740)를 구비하고 있다.
표시부(710)는 루트 내비게이션 등, 유저에 대하여 다양한 정보를 제시하며, 예를 들어 액정 디스플레이 등이다.
유저 입력부(720)는, 유저로부터의 다양한 카 내비게이션 시스템의 기능에 관한 명령 입력을 접수한다. 예를 들어 표시부(710)가 터치 패널형 표시 장치이고, 표시부(710)와 유저 입력부(720)가 일체로 되어 있어도 된다.
통신부(740)는 무선 통신에 의하여 스마트폰(200)과의 사이에서 정보를 송수신한다. 예를 들어 통신부(740)는 스마트폰(200)으로부터 확정 루트 정보를 수신한다.
제어부(730)는 카 내비게이션 시스템(700) 전체의 처리를 제어한다. 제어부(730)는 CPU 등의 프로세서(731), ROM(732), RAM(733) 및 입출력 회로(734)를 구비하고 있다. ROM(732)은, 프로세서(731)에 의하여 실행되는 프로그램이나 필요한 데이터를 유지한다. RAM(733)은 프로세서(731)의 작업 영역으로서 기능한다. 입출력 회로(734)는 통신부(740)와의 사이의 정보의 송수신을 담당한다. 프로세서(731)는, 예를 들어 ROM(732) 내의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루트 내비게이션을 행한다. 즉, 프로세서(731)는, 통신부(740)에서 수신된 확정 루트 정보에 기초하여 확정 루트를 표시부(710)에 표시시키고, 또한, 예를 들어 도시하지 않은 GPS 정보에 기초하여 전기 자동차(100)의 위치를 파악하여 루트 내비게이션을 행한다.
5.2 동작에 대하여
다음으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전기 자동차의 급전 스테이션의 예약 시스템(1)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2는, 유저가 전기 자동차(100)에 승차하고 나서, 또는 전기 자동차(100)에 승차하는 것을 결정하였을 때(승차 자체는 이튿날 등이어도 됨)의, 스마트폰(200), 서버(400)(서버(300 및 500)의 동작도 포함함), 카 내비게이션 시스템(700) 및 전기 자동차(100)의, 급전 스테이션 예약에 관한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며, 제1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도 8에 대응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예약 시스템(1)의 동작이 제1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도 8과 상이한 점은, 확정 루트가 카 내비게이션 시스템(700)의 표시부(710)에 표시되는 점뿐이다. 또한 확정 루트는 카 내비게이션 시스템(700)의 표시부(710)에 표시되고, 스마트폰(200)의 표시부(210)에는 표시되지 않는 경우여도 되고, 양자에 표시되는 경우여도 된다. 또한 확정 루트가 카 내비게이션 시스템(700)과 스마트폰(200)의 양쪽에 표시되는 경우에도, 표시 내용이 상이해도 된다. 즉, 예를 들어 스마트폰(200)은 출발지로부터 목적지까지를 나타내는 광역 지도를 표시함과 함께, 추천하는 하나 또는 복수의 급전 스테이션을 표시하고, 카 내비게이션 시스템(700)은 운전자에 대한 내비게이션을 제1 목적으로 하여, 예를 들어 현재 주행 중인 좁은 범위의 지도를 3차원적으로 표시해도 된다.
또한 카 내비게이션 시스템(700)의 표시부(710) 쪽이, 스마트폰(200)의 표시부(210)보다도 표시 면적 쪽이 큰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스마트폰(200)이 담당하고 있던 기능의 일부, 예를 들어 급전 스테이션에 관한 정보의 표시, 유저에 대한 정보 입력을 촉구하는 표시, 및 유저로부터의 입력의 접수의 일부를 카 내비게이션 시스템(700)이 대체해도 된다. 정보를 표시하는 경우에는 필요한 데이터를 스마트폰(200) 또는 서버(400)로부터 수신하면 되고, 유저로부터의 입력을 접수하는 경우에는 접수한 내용을 스마트폰(200) 또는 서버(400)에 송신하면 된다.
다음으로, 동작 시에 있어서의 표시 화면의 변화의 구체예로서 두 사례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제1 예>
먼저, 제1 예에 대하여 도 33 내지 도 40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33 내지 도 40은, 카 내비게이션 시스템(700)의 표시부(710)의 표시 화면의 모식도이다. 본 예에서는, 스마트폰(200) 또는 서버(400)로부터의 데이터에 기초하여 정보 표시 및 유저 입력의 접수의 대부분을 카 내비게이션 시스템(700)이 담당한다. 즉, 도 31에서 설명한 카 내비게이션 시스템(700)의 유저 입력부(720)는, 도 4에서 설명한 스마트폰(200)의 유저 입력부(220)의 기능의 적어도 일부를 갖는다.
도 33은, 카 내비게이션 시스템(700)의 표시부(710)의 내비게이션 개시 전의 표시 화면을 도시한다. 제1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도 10과 마찬가지로 배터리(110)의 잔량이 표시되어 있다(도 33의 예에서는 54%). 제1 실시 형태와 상이한 점은, 표시부(710)에 「스케줄」이란 아이콘이 표시된다는 점이다. 이 「스케줄」 아이콘이 선택됨으로써 루트 내비게이션이 개시됨과 함께, 제1 내지 제3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예약 시스템(1)이 실행된다.
도 34는, 도 33에 있어서 유저로부터의 「스케줄」 아이콘의 선택을 접수하였을 때의 표시 화면을 나타낸다.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도 12와 마찬가지로 유저 설정 정보를 접수하는 화면으로 변화된다. 즉, 카 내비게이션 시스템(700)이 도 32의 스텝 S10의 동작을 실행한다. 계속해서, 도 3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 내비게이션 시스템(700)은, 유저로부터의 목적지의 입력을 접수한다. 본 예에서는 「가마쿠라」가 목적지이다. 계속해서, 도 3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 내비게이션 시스템(700)은 귀로 설정 정보의 입력을 접수한다. 도 34 내지 도 36에서 접수한 정보는, 예를 들어 스마트폰(200)을 통하여 서버(400)로 송신되거나, 또는 직접 서버(400)로 송신된다.
그러면 서버(400)는 루트 탐색(도 32의 스텝 S11 내지 S17)을 행하고, 그 결과를, 예를 들어 스마트폰(200)을 통하여 카 내비게이션 시스템(700)에 송신한다. 그리고 카 내비게이션 시스템(700)의 표시부(710)는, 도 3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신한 루트를 지도 상에 표시한다. 도 37은, 일례로서 이하의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왕로
·출발지=마쓰도(자택), 출발 시각=미정
·목적지=가마쿠라, 도착 시각=10:30
·귀로
·출발지=가마쿠라, 출발 시각=18:00
·목적지=마쓰도(자택), 도착 시각=미정
그리고 「급전 예약」이라는 표시가 하이라이트되고, 서버(400)는 추천 루트에 있어서의 어느 급전 스테이션을 가예약한다(도 32의 스텝 S18). 그 결과를 도시하고 있는 것이 도 38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서버(400)는, 추천 루트 부근에 위치하는 복수의 급전 스테이션을, 예를 들어 별표로 표시한다. 도 38의 예에서는, 별표가 클수록 추천도가 높다. 그리고 도 38에서는, 제1 추천은 도쿄 도심의 시나가와 부근이고, 제2 추천은 사이타마켄의 도다 부근이고, 제3 추천은 도쿄도의 마치다 부근이다. 이 시점에서 서버(400)는 제1 추천의 급전 스테이션을 가예약한다(스텝 S18).
다음으로, 유저가 제1 추천의 급전 스테이션을 선택(예를 들어 표시부(710)가 터치 패널이고, 또한 도 38에 도시한 바와 같은 화면을 표시하고 있을 때, 유저가 제1 추천의 급전 스테이션의 표시 부분에 터치)하면, 도 3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 내비게이션 시스템(700)의 표시부(710)는, 제1 추천의 급전 스테이션(스테이션 A)에 관한 상세 정보를 표시한다. 이 표시 처리는, 예를 들어 서버(400 또는 500)로부터 급전 스테이션 정보(535) 및 예약 정보(536)를 수신함으로써 가능하다. 현재, 서버(400)에 의하여 시각 8:50에 가예약이 되어 있다. 그 외에 예약 가능한 시간이 표시되며, 유저의 선택에 따라 서버(400)는 제1 추천의 급전 스테이션을 본 예약한다(도 32의 스텝 S22).
그 후의 최종적인 화면이 도 40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급전 스테이션의 예약이 완료됨으로써, 서버(400)는 지체 예측 등에 따라, 이 급전 스테이션의 예약에 늦지 않도록 왕로에 있어서의 출발지(자택)의 출발 시각(도 40의 예에서는 7:20)과 귀로에 있어서의 목적지(자택)의 도착 시각(도 40의 예에서는 21:10)을 산출하고, 그 결과를 확정 루트로서 카 내비게이션 시스템(700)의 표시부(710)에 표시시킨다(도 32의 스텝 S70). 그리고 카 내비게이션 시스템(700)은 확정 루트에 따라 루트 내비게이션을 개시한다.
<제2 예>
다음으로, 제2 예에 대하여 도 41 내지 도 50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제2 예는, 제2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당초 가예약한 급전 스테이션에 예약 시각에 닿지 못할 것으로 예상되는 경우, 및 추천된 급전 스테이션을 유저가 요망하지 않는 경우의 동작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제2 예에서는, 도 41 내지 도 50과 함께 도 18도 이용하면서 이하, 설명한다. 도 41 내지 도 50에 있어서, 좌측의 세로로 긴 표시는 스마트폰(200)의 표시부(210)의 표시 화면을 모식적으로 도시하고, 우측의 가로로 긴 표시는 카 내비게이션 시스템(700)의 표시부(710)의 표시 화면을 모식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본 예에서는, 스마트폰(200)의 표시부(210)는 추천 루트 전체와 함께, 급전 스테이션에 관한 정보를 표시한다. 이에 비해, 카 내비게이션 시스템(700)의 표시부(710)는, 주로 현재 주행 중인 루트를 내비게이트함과 함께, 유저에 의한 급전 스테이션의 예약 선택 입력을 접수한다.
도 41은, 가마쿠라를 목적지로 하여 가와사키 부근을 주행 중인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 시점에서는, 가와사키보다도 가마쿠라에 가까운 급전 스테이션(스테이션 B)이 16:55에 예약되어 있다. 그러나 서버(300)로부터 수신한 지체 정보(335)에 의하면, 현재지로부터 스테이션 B까지의 사이에 지체가 발생하여 유저(전기 자동차(100))는 16:55까지 스테이션 B에 닿지 못한다고 서버(400)가 판단하였다고 하자(도 18의 스텝 S32, "예"). 그러면 서버(400)는 서버(500)에 대하여 스테이션 B의 예약의 캔슬을 명령한다(도 18의 스텝 S33). 그리고 서버(400)는 지체를 고려하여 최적의 급전 스테이션을 다시 탐색한다(도 18의 스텝 S11 내지 S17). 그 결과의 표시예가 도 42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서버(400)는, 가와사키에 가까운 급전 스테이션(스테이션 A)을 제1 추천으로서 제안하고, 또한 스테이션 A에 대하여 16:40의 가예약을 한다(도 18의 스텝 S18). 그러한 취지의 정보가 카 내비게이션 시스템(700)의 표시부(710)에도 표시되며, 표시부(710)는, 본 예약해도 되겠느냐는, 유저 입력을 촉구하는 화면을 표시한다.
유저가 상기 가예약을 원하지 않는 경우, 예를 들어 도 4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저는, 표시부(710)에 표시된 「더 보기」라는 아이콘을 선택한다. 그러면 표시부(710)의 표시 화면은 도 44로 변화되어, 각 급전 스테이션에 대한 상세를 표시한다. 즉, 서버(400)는 스마트폰(200)을 통하여 카 내비게이션 시스템(700)에 대하여 복수의 추천 루트에 대한 정보를 송신하고, 카 내비게이션 시스템(700)은 수신한 정보에 기초하여, 추천되는 급전 스테이션의 정보를 표시부(710)에 표시한다. 도 44에서의 예는, 제1 내지 제3 추천으로서 스테이션 A, 스테이션 B 및 스테이션 C가 표시부(710)에 표시되어 있다. 추가로 표시부(710)는 유저의 요구에 따라, 제1 추천인 스테이션 A에 대한 예약 가능 시간대를 표시하고 있다. 이들 정보도 서버(400)로부터 송신된 급전 스테이션 정보(535) 및 예약 정보(536)로부터 얻어진다. 그리고 유저가 스테이션 A에 대하여 18:50의 시간대를 선택하면, 표시부(710)의 표시 화면은 도 45와 같이 전환된다. 이 화면에 있어서, 유저가 「예」 아이콘을 선택하면(도 18의 스텝 S20, "예"), 그 정보는 카 내비게이션 시스템(700)으로부터 스마트폰(200)을 통하여 서버(400)로 송신되고, 서버(400)는 스테이션 A에 대하여 18:50의 본 예약을 서버(500)에 대하여 명령한다(도 18의 스텝 S22). 도 46은, 그 후의 내비게이션 화면이다. 스마트폰(200)의 표시부(210)에서는, 본 예약된 스테이션 A가 강조 표시되어 있다.
도 47은, 도 44의 화면에 있어서 유저가, 예를 들어 스테이션 C를 선택한 경우의 상태를 도시한다. 스테이션 C는 현재의 추천 루트로부터 떨어져 있으므로, 도 47의 스마트폰(200)의 표시부(2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테이션 C를 경유할 때 변경할 루트가 파선으로 표시된다. 이는, 예를 들어 도 18의 스텝 S11의 처리에서 얻어진 루트이다. 그리고 도 48에 있어서 스테이션 C가 본 예약되면, 스마트폰(200)의 표시부(210)의 표시는 도 49로 전환되어, 스테이션 C를 경유하는 루트가 강조 표시되며, 이 루트에 따라 이후, 카 내비게이션 시스템(700)은 내비게이트한다.
도 50은, 주행 중에 배터리(110)의 잔량이 일정값보다도 소비된 경우의 표시 화면을 도시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서버(400) 또는 스마트폰(200)은 일정 기간 마다, 또는 실시간으로 배터리(110)의 잔량을 감시한다(도 18의 스텝 S31). 그 결과, 배터리 잔량이 저하된 때는, 서버(400)는 그 긴급도에 따라 급전 스테이션의 가예약을 추천하는 화면을 카 내비게이션 시스템(700)의 표시부(710)에 표시시킨다. 도 50의 예에서는, 스테이션 B 대신 스테이션 A의 가예약의 제안과 함께 「긴급도」도 동시에 표시된다. 긴급도 1은 가장 긴급성이 높아, 전기 자동차(100)가 당장에라도 주행 불능으로 될 상태임을 나타낸다. 긴급도 5는 가장 긴급성이 낮아, 당분간 충전이 불필요함을 나타낸다.
5.3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효과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카 내비게이션 시스템(700)이 스마트폰(200)의 기능의 일부를 담당할 수 있다.
6. 제6 실시 형태
다음으로, 제6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정보 처리 프로그램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는, 상기 제5 실시 형태에 있어서, 카 내비게이션 시스템(700)이 스마트폰(200)의 기능을 실행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두 예를 이용하여, 상기 제1 내지 제5 실시 형태와 상이한 점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6.1 제1 예
먼저 제1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1은, 본 예에 따른 예약 시스템(1)의 블록도이고, 도 52는 카 내비게이션 시스템(700)의 블록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예에 따른 예약 시스템(1)은, 제5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도 30에 있어서 스마트폰(200)을 폐지하고, 스마트폰(200)이 담당하고 있던 기능을 카 내비게이션 시스템(700)이 실현하는 것이다. 따라서 카 내비게이션 시스템(700)은 유저 입력부(720)로부터 유저 설정 정보(436)의 입력을 접수하고, 이를 서버(400)로 송신한다. 또한 통신부(740)는 서버(400)로부터 추천 루트 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표시부(710)에 표시한다.
도 53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예약 시스템(1)의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며, 제5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도 32 및 제1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도 8에 대응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예에서는, 제1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스텝 S10, S19, S20 및 S23의 처리가 카 내비게이션 시스템(700)에 있어서 행해진다. 그 외에는 제1 실시 형태 및 제5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6.2 제2 예
다음으로, 제2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4는, 본 예에 따른 예약 시스템(1)의 블록도이고, 도 55는 카 내비게이션 시스템(700)의 블록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예에 따른 예약 시스템(1)은, 상기 제1 예에서 설명한 도 51에 있어서 서버(400)를 폐지하고, 서버(400)가 담당하고 있던 기능을 카 내비게이션 시스템(700)이 실현하는 것이다. 또는 제4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도 26에 도시하는 구성에 있어서, 스마트폰(200)을 카 내비게이션 시스템(700)으로 치환한 것이라 할 수도 있다. 따라서 도 55에 도시하는 카 내비게이션 시스템(700)은, 도 27에서 설명한 스마트폰(200)과 마찬가지로, 도 31에 도시하는 구성에 있어서, 도 6a에서 설명한 서버(400)의 RAM(433) 내의 다양한 데이터 및 루트 검색 프로그램(435)을, 예를 들어 RAM(733)에 유지한다. 이것에 의하여 카 내비게이션 시스템(700)은 서버(400)로서의 기능을 실현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카 내비게이션 시스템(700)은, 제4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서버(400)가 행하고 있던 하기 처리를 행한다. 즉,
·서버(300)로부터의 지체 정보를 취득
·서버(500)로부터의 급전 스테이션 정보, 예약 정보 및 예약 완료 정보의 취득
·급전 스테이션의 예약
·전기 자동차(100)로부터의 배터리 잔량 정보의 취득
·추천 루트 계산
또한 루트 검색 프로그램(435)을 실행하였을 때에 있어서의, 카 내비게이션 시스템(700)의 프로세서(731)(또는 제어부(730) 전체)의 기능 블록도는, 제1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다. 즉, 프로세서(731)는 프로그램(435)을 실행함으로써 수신부(450), 제1 검색부(451), 제2 검색부(452), 제1 판단부(453), 예약부(454) 및 제2 판단부(455)로서 기능한다.
또한 본 예에 있어서도 프로그램(435) 및 지도 정보(438)는, 서버(300 또는 500) 또는 그 외의 서버(예를 들어 본 실시 형태에서 설명하는 예약 시스템을 운영하는 사업자의 서버)로부터 무선 통신 회선 또는 유선 통신 회선에 의하여 카 내비게이션 시스템(700)에 다운로드되어도 되고, 카 내비게이션 시스템(700)이 유저에 판매되는 시점에 있어서 이미 프로그램(435)이 RAM(733)에 유지되어 있는 경우여도 된다. 또는, 예를 들어 CD-ROM이나 DVD 등의 정보 기록 매체에 의하여 카 내비게이션 시스템(700)의 RAM(733)에 제공되어도 된다.
도 56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예약 시스템(1)의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며, 제5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도 32 및 제4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도 28에 대응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예에서는, 제1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스텝 S10 내지 S12 및 스텝 S14 내지 S23의 처리가 카 내비게이션 시스템(700)에 있어서 행해진다. 그 외에는 제1 실시 형태 및 제4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달리 말하면, 도 28에 있어서 스마트폰(200)의 처리의 전부를 카 내비게이션 시스템(700)이 실행하는 것이라 할 수도 있다.
6.3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효과
이상과 같이, 카 내비게이션 시스템(700)이 서버(400) 또는 서버(300 및 500)와 통신함으로써, 스마트폰을 이용하지 않더라도 예약 시스템(1)을 실현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는, 예를 들어 전기 자동차(100)에 승차 중에 예약 시스템(1)에 액세스하는 경우에 있어서 특히 사용 편의성이 좋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제1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처리를 카 내비게이션 시스템(700)이 주체로 되어 행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카 내비게이션 시스템(700)은 제2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처리를 행해도 된다.
물론 카 내비게이션 시스템(700)은 제3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처리를 주체로 되어 행해도 된다. 이때는, 카 내비게이션 시스템(700)의 RAM(733)이 또한 스케줄링 프로그램을 유지한다. 이 스케줄링 프로그램이 실행됨으로써 카 내비게이션 시스템(700)의 프로세서(431)(또는 제어부(730) 전체)는, 도 19a에 도시하는 기능을 실현한다. 그리고 도 20 내지 도 25에 나타내는 다이어그램은, 예를 들어 카 내비게이션 시스템(700)의 표시부(710)에 표시된다. 스케줄링 프로그램 또한 어느 서버로부터 다운로드되어도 되고, 유저에게 판매되는 시점에서 RAM(733)에 보유되어 있어도 된다.
7. 변형예 등
이상과 같이, 상기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는,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를 충전하는 급전 스테이션을 예약하기 위한 정보 처리 장치이다. 정보 처리 장치(200, 400, 또는 700)는,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 잔량을 나타내는 제1 정보(도 6a의 437), 목적지에 관한 제2 정보(도 6a의 436), 및 목적지에 이르기까지의 경로에 관한 제3 정보(도 6a의 지체 정보(335))를 수신하는 수신부(도 6b의 450)와, 적어도 제2 정보(도 6a의 목적지(436))와 제3 정보(도 6a의 지체 정보(335))에 기초하여, 목적지에 이르기까지의 추천 경로를 검색하는 제1 검색부(도 6b의 451)와, 목적지까지의 사이에 있는 급전 스테이션을 검색하는 제2 검색부(도 6b의 452)와, 제1 정보(도 6a의 437)와, 검색된 추천 경로에 기초하여, 목적지에 이르기까지의 동안에 배터리의 충전이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1 판단부(도 6b의 453)와, 제1 판단부에 있어서 배터리의 충전이 필요하다고 판단된 경우(도 8의 S16), 제2 검색부에 있어서 검색된 어느 급전 스테이션을, 유저로부터의 명령을 기다리는 일 없이 예약(도 8의 S18)하는 예약부(도 6b의 454)를 구비한다.
본 구성에 의하면, 정보 처리 장치가 배터리 잔량 등에 따라 적절한 급전 스테이션을 예약한다. 따라서 효율적으로 급전 스테이션의 예약이 가능해진다. 또한 전기 자동차에 승차 중인 유저는 배터리 잔량을 신경 쓸 필요가 없어, 유저에 대하여 안심감을 줄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는 일례에 불과하며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도 57은, 급전 스테이션(800)이 유지하는 정보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시한 바와 같이, 급전 스테이션(800)(스테이션 1, 스테이션 2)은 각각 하기 정보를 유지한다.
·ID: 급전 스테이션 고유의 식별 번호
·대기 대수: 현재의 대기 대수
·요금: 충전 요금
·위치: 급전 스테이션이 설치된 위치 좌표
·예약 리스트: 현재의 예약 상황.
정보 처리 장치(스마트폰(200), 서버(400), 또는 카 내비게이션 시스템(700))는, 설정된 루트 부근에 마련된 급전 스테이션(800)으로부터 이들 정보를 급전 스테이션 정보(535) 및 예약 정보(536)로서 수신한다. 그리고 현재의 상황 및 상황 예측(예를 들어 지체 등), 그리고 유저 설정 정보(436)에 기초하여, 추천할 급전 스테이션(800)을 결정하고, 결정된 급전 스테이션(800)에 대하여 예약을 요구한다(도 57의 예에서는 스테이션 1). 주행 중에 유저가 가장 가까운 급전 스테이션(800)을 알려는 경우에는, 예를 들어 스마트폰(200)이나 카 내비게이션 시스템(700)에 마련된 급전 스테이션 탐색 버튼을 누른다. 그러면 스마트폰(200)이나 카 내비게이션 시스템(700)의, 예를 들어 통신부(740)는 급전 스테이션(800)으로부터의 비콘을 수신하여, 도 57의 예에서는 두 급전 스테이션(스테이션 1, 스테이션 2)의 존재를 인식하고, 이들에 대하여 급전 스테이션 정보(535) 및 예약 정보(536)를 요구할 수 있다. 복수의 급전 스테이션이 존재하는 경우, 정보 처리 장치는, 각 급전 스테이션에 할당된 ID에 의하여 각 스테이션을 식별할 수 있다.
도 58은, 전기 자동차(100) 및 급전 스테이션(800)의 블록도이며, 특히 이들이 보유하는 정보에 대하여 나타내고 있다. 도 58에 나타내는 전기 자동차(100)는, 승차 중인 유저가 보유하는 스마트폰(200), 및 전기 자동차에 장착된 카 내비게이션 시스템(700)을 포함한다.
먼저, 도시한 바와 같이 급전 스테이션(800)은, 도 57에서 설명한 정보(위치, 대기 대수, 요금, ID, 예약 시각과 예약 상황 등)를 유지한다. 그리고 급전 스테이션(800)이 갖는 통신 기능에 의하여 이들 정보를 전기 자동차(100)로 송신 가능하다. 또한 급전 스테이션(800)은 스마트폰(200)과 마찬가지로, 유저 입력을 접수하는 기능 및 표시부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그리고 이들 기능에 의하여 급전 스테이션(800)이, 유저로부터의 다음 회의 충전 예약을 접수해도 된다. 즉, 충전 예약은 스마트폰(또는 카 내비게이션 시스템)뿐 아니라 급전 스테이션(800)에 있어서 이루어져도 된다.
다음으로 전기 자동차(10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전기 자동차(100)는, 센서에 의하여 차의 위치 정보, 목적 위치, 현재 시각 및 배터리 잔량에 관한 정보를 얻는다. 또한 서버로부터 최신의 지도 데이터를 수신한다. 또한 전기 자동차(100)는, 급전 스테이션으로부터의 위치, 대기 대수, 요금, ID, 예약 시각 및 예약 상황에 관한 정보를 취득한다. 그리고 이들 정보로부터 전기 자동차(100)의 연산부(프로세서)가 현재지와 급전 스테이션 사이의 거리와 소요 시간을 계산하고, 또한 급전 스테이션으로부터 목적지까지의 거리와 소요 시간을 계산한다. 이 결과, 급전 스테이션 도착 시각, 예약 가능 시각, 귀가 시의 배터리 잔량, 및 귀가 예정 시각이 산출되며, 이들에 더하여 대기 대수, 요금 및 ID가 표시부에 표시된다. 그리고 전기 자동차(100)는, 추천하는 급전 스테이션 중 어느 것을 가예약한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급전 스테이션의 예약의 구체예에 대하여 몇 가지 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그 외에도 다양한 사용 방법을 생각할 수 있다. 이 점에 대하여 도 59 내지 도 66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59 내지 도 66은, 스마트폰(200) 또는 카 내비게이션 시스템(700)의 표시 화면예의 모식도이다. 도 59는, 목적지를 자택으로 지정한 경우이며, 신바시 방면으로부터 기바에 있는 자택까지의 루트가 강조 표시되어 있다. 이 화면의 좌하방에 표시되어 있는 「가장 가까운 급전 스테이션」이라는 표시를 유저가 선택하면, 도 6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택을 향하는 루트 부근에 있는 급전 스테이션 A, B가 검색 결과로서 표시된다. 급전 스테이션 A로의 루트는 실선으로 나타나고, 급전 스테이션 B로의 루트는 파선으로 나타나 있다. 또한 정보 처리 장치에 의하여, 급전 스테이션 A 및 B의 각각을 선택하였을 때의, 스테이션 도착 시각, 귀가 예정 시각, 및 귀가 시의 전지 잔량이 산출되어 표시부에 표시된다. 또한 각 급전 스테이션 A 및 B로부터 수신한 대기 대수, 가장 빠른 급전 개시 시각 및 예약 가능 시각도 표시부에 표시된다.
그리고 유저의 충전 정책이, 자택까지의 루트보다 멀더라도 자택 도착 시각을 우선하는 경우에는, 도 6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보 처리 장치는 급전 스테이션 A의 제1 추천(18:40)을 가예약 또는 본 예약한다.
도 62는, 유저의 충전 정책이, 귀가 시에 있어서의 배터리의 잔량을 우선하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급전 스테이션 A를 선택하였을 때의 배터리 잔량은 95%이고, 급전 스테이션 B를 선택하였을 때는 98%이다. 따라서 정보 처리 장치는, 급전 스테이션 B의 제1 추천(19:40)을 가예약 또는 본 예약한다.
도 63은, 유저의 충전 정책이, 귀가 시에 있어서의 배터리의 잔량을 우선함과 함께, 대기 시간을 사용하여 용무를 마치는 등의 이유로, 가장 이른 시각의 급전 예약은 행하지 않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정보 처리 장치는 급전 스테이션 B의 제2 추천(20:10)을 가예약 또는 본 예약한다. 도 63의 충전 정책의 경우, 유저가 대기 시간의 설정을 자유로이 행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도 6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더 보기」라는 아이콘을 선택함으로써, 제1 내지 제3 추천 이외에 충전 가능한 시간대가 표시된다.
도 65는, 유저가 식사를 위하여 경유하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화면 좌하방의 「경유」라는 아이콘을 선택함으로써, 루트 부근에서 추천하는 음식점이 표시된다. 그 중 어느 것을 유저가 선택하면, 전기 자동차(100)는 그때까지의 예약을 캔슬하고, 자동적으로 늦은 시간의 예약을 다시 잡는다. 예를 들어 당초에는 도 62와 같이 19:40에 급전 스테이션 B가 예약되어 있었다고 하면, 전기 자동차(100)는 이 예약을 캔슬하고, 도 6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급전 스테이션 B의 20:10의 예약을 다시 잡는다. 또한 이 예약 변경에 수반하여 급전 스테이션 도착 시각 및 귀가 예정 시각이 재계산된다. 또한 음식점 등의 정보는, 예를 들어 무선 통신에 의하여, 네트워크(600)를 통하여 어느 서버로부터 정보 처리 장치에 다운로드되어도 된다.
도 66은, 당초에는 도 6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급전 스테이션 A가 18:50에 예약되어 있는 경우이며, 급전 스테이션 A로의 루트가 사고 등에 의하여 통행 금지된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이 경우, 전기 자동차(100)는 급전 스테이션 A의 예약을 캔슬하고, 현시점에서의 가장 추천할 수 있는 급전 스테이션을 가예약 또는 본 예약한다. 도 66의 예에서는, 전기 자동차(100)는 급전 스테이션 B의 19:40을 가예약 또는 본 예약한다.
또한 상기 제2 실시 형태에서는, 당초의 예약된 시각에 급전 스테이션에 도착하지 못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다. 그러나 당초의 예약된 시각보다도 이른 시각에 급전 스테이션에 도착하는 경우에도 상기 제2 실시 형태는 적용할 수 있다. 즉, 예를 들어 지체 정보나 지체 예측과 달리, 예측 이상으로 이른 시각에 급전 스테이션에 도착한다고 정보 처리 장치(제2 판단부)가 판단한 경우, 예약부가 현재의 예약을 캔슬하고, 당초의 예약보다도 이른 시각을 가예약 또는 본 예약해도 된다. 이 경우, 정보 처리 장치는 표시부에, 예를 들어 「예약을 전환할까요?」 라는 메시지를 표시하여, 유저에 의한 승인을 촉구해도 된다.
또한 현재의 예약에서는, 급전 스테이션에서의 대기 시간이 발생하는 경우에, 다른 사람에 의한, 더 좋은 시각의 예약 캔슬이 발생한 경우, 정보 처리 장치는 그러한 취지를 예약 정보로서 서버(500)로부터 수신하고, 현재의 예약을, 캔슬되어 빈 시각으로 자동적으로 앞당겨도 된다. 이 경우도, 앞당긴 예약은 가예약으로 하고, 본 예약해도 되는지 여부의 승인을 유저에게 구해도 된다.
또한 정보 처리 장치는, 유저에 의한 예약의 끼어들기 리퀘스트를 접수해도 된다. 예를 들어 이미 예약 완료된 시간대에 다른 유저가 예약하려고 생각했을 때, 정보 처리 장치는 끼어들기 리퀘스트를 접수한다. 그리고 정보 처리 장치는, 예를 들어 예약 정보의 일부로서, 당해 시간대에 예약한 유저에 대하여 끼어들기 리퀘스트가 발생하였음을 통지한다. 당해 유저가 끼어들기 리퀘스트를 승인한 경우에는, 정보 처리 장치는 그러한 취지를 서버(500)에 송신하여 예약의 전환을 명령한다. 이 경우에는, 예를 들어 예약을 양보한 유저에 대하여 다음 회의 충전 요금의 할인을 행하거나, 또는 끼어든 유저에 대해서는 할증 요금을 적용하도록 하거나 해도 된다.
이상과 같이 정보 처리 장치는, 유저의 희망에 따라 그때그때 최적이라 예상되는 급전 스테이션을 자동적으로 예약한다. 따라서 유저는 급전 스테이션의 예약의 번거로움으로부터 해방되고, 또한 돌발적인 사정이 발생한 경우에도 급전 스테이션의 예약을 고려할 필요가 없다. 그 결과, 전기 자동차의 사용 편의성이 현저히 향상된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다양한 기능은 하드웨어로 실장되어도 되고,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의 조합으로 실장되어도 된다. 소프트웨어로 실장되는 경우, 그 기능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명령 또는 코드(프로그램)로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 매체에 기억되거나, 또는 당해 기억 매체에 의하여 전송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기록 매체로서는,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에 의하여 액세스할 수 있으면 되며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일례로서는 RAM, ROM, EEPROM(등록 상표)(USB 메모리나 메모리 카드를 포함함), CD-ROM 등의 광 디스크, 하드 디스크 등의 자기 디스크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무선 또는 유선의 전기 통신 회선에 의하여 전송될 수 있다. 각종 데이터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본 발명의 몇 가지 실시 형태를 설명하였지만, 이들 실시 형태는 예로서 제시한 것이며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의도하고 있지 않다. 이들 실시 형태는 그 외의 다양한 형태로 실시되는 것이 가능하며,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생략, 치환, 변경을 행할 수 있다. 이들 실시 형태나 그 변형은 발명의 범위나 요지에 포함되는 것과 마찬가지로,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발명과 그 균등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이다.

Claims (13)

  1.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를 충전하는 급전 스테이션을 예약하기 위한 정보 처리 장치이며,
    상기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 잔량을 나타내는 제1 정보, 목적지에 관한 제2 정보, 및 목적지에 이르기까지의 경로에 관한 제3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적어도 상기 제2 정보와 상기 제3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목적지에 이르기까지의 추천 경로를 검색하는 제1 검색부와,
    상기 목적지까지의 사이에 있는 상기 급전 스테이션을 검색하는 제2 검색부와,
    상기 제1 정보와, 상기 검색된 추천 경로에 기초하여, 상기 목적지에 이르기까지의 동안에 상기 배터리의 충전이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1 판단부와,
    상기 제1 판단부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의 충전이 필요하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제2 검색부에 있어서 검색된 어느 상기 급전 스테이션을, 유저로부터의 명령을 기다리는 일 없이 예약하는 예약부
    를 구비하는, 정보 처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예약대로 상기 급전 스테이션에 도착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2 판단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예약부는, 상기 제2 판단부가 상기 예약대로 상기 급전 스테이션에 도착하지 못한다고 판단한 경우, 당해 예약을 캔슬하고, 다음으로 추천되는 어느 상기 급전 스테이션을, 상기 유저로부터의 명령을 기다리는 일 없이 예약하는, 정보 처리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정보는, 상기 목적지에 이르는 복수의 경로에 있어서의 현재의 지체 정보 및/또는 예측되는 지체 정보인, 정보 처리 장치.
  4.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를 충전하는 급전 스테이션을 예약하기 위한 정보 처리 장치이며,
    상기 전기 자동차의 제1 승차 예약에 관한 제1 승차 예정 기간을 나타내는 제1 정보, 및 승차 시에 있어서의 배터리 잔량을 나타내는 제2 정보를 등록하는 등록부와,
    상기 제2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승차 예정 기간 내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의 충전이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1 판단부와,
    상기 제1 판단부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의 충전이 필요하다고 판단된 경우, 어느 상기 급전 스테이션을, 유저로부터의 명령을 기다리는 일 없이 예약하는 예약부
    를 구비하는, 정보 처리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부는, 상기 제1 승차 예약에 있어서의 목적지에 관한 제3 정보를 등록하고,
    상기 정보 처리 장치는, 상기 목적지에 이르기까지의 추천 경로를 검색하는 제1 검색부와,
    상기 목적지까지 사이에 있는 상기 급전 스테이션을 검색하는 제2 검색부
    를 또한 구비하고, 상기 제1 판단부에 있어서, 상기 추천 경로를 주행한 경우에 상기 배터리의 충전이 필요하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예약부는, 상기 제2 검색부에 있어서 검색된 어느 상기 급전 스테이션을, 유저로부터의 명령을 기다리는 일 없이 예약하는, 정보 처리 장치.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승차 예약보다도 전의 시각에 있어서의 제2 승차 예약을 등록하고,
    상기 제1 판단부가, 상기 제2 승차 예약에 있어서의 제2 승차 예정 기간 내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의 충전이 필요하고, 상기 제1 승차 예정 기간 내에 있어서의 상기 배터리의 충전이 필요하지 않다고 판단한 경우, 상기 예약부는, 상기 제1 승차 예약에 있어서 한 상기 급전 스테이션의 예약을 캔슬하는, 정보 처리 장치.
  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예약부에 의한, 상기 유저로부터의 명령을 기다리는 일 없이 한 예약은 가예약이고,
    상기 가예약 후, 상기 유저로부터의 승인을 접수했을 때 상기 예약부는 상기 가예약을 본 예약으로 전환하는, 정보 처리 장치.
  8.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를 충전하는 급전 스테이션을 예약하기 위한 정보 처리 장치이며,
    목적지까지의 루트를 탐색함과 함께, 상기 루트에 있어서의 어느 상기 급전 스테이션을 예약하는 제어부와,
    상기 루트를 표시하는 표시부
    를 구비하고, 상기 표시부는,
    상기 탐색된 목적지에 이르는 루트에 있어서 후보로 되는 복수의 급전 스테이션과, 상기 복수의 급전 스테이션 중 제1 추천 급전 스테이션을 표시하고,
    또한, 상기 제1 추천 급전 스테이션에 대하여 가예약 완료라는 것과, 해당 가예약을 본 예약으로 전환하는 것의 승인을 촉구한다는 취지를 표시하고,
    상기 승인을 수신한 경우에, 상기 가예약이 본 예약으로 전환된 상기 제1 추천 급전 스테이션과 함께 상기 루트를 표시하는, 정보 처리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전기 자동차가 상기 예약대로 상기 제1 추천 급전 스테이션에 도착하지 못한다고 판단한 경우, 상기 표시부는,
    상기 제1 추천 급전 스테이션과 상이한 제2 추천 급전 스테이션에 대하여 가예약 완료라는 것과, 해당 가예약을 본 예약으로 전환하는 것의 승인을 촉구한다는 취지를 표시하는, 정보 처리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제1 추천 급전 스테이션과 상이한 제2 추천 급전 스테이션을 추가로 표시하고,
    상기 제1 추천 급전 스테이션의 부인과 상기 제2 추천 급전 스테이션의 선택을 접수했을 때 상기 표시부는, 상기 제2 추천 급전 스테이션을 경유하여 상기 목적지에 이르는 루트를 표시하는, 정보 처리 장치.
  11. 제8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제1 추천 급전 스테이션을 표시함과 함께, 해당 제1 추천 급전 스테이션에 있어서 예약 가능한 시각을 추가로 표시 가능한, 정보 처리 장치.
  12.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를 충전하는 급전 스테이션을 예약하기 위한 정보 처리 방법이며,
    상기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 잔량을 나타내는 제1 정보, 목적지에 관한 제2 정보, 및 목적지에 이르기까지의 경로에 관한 제3 정보를 수신하는 것과,
    적어도 상기 제2 정보와 상기 제3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목적지에 이르기까지의 추천 경로를 검색하는 것과,
    상기 목적지까지의 사이에 있는 상기 급전 스테이션을 검색하는 것과,
    상기 제1 정보와, 상기 검색된 추천 경로에 기초하여, 상기 목적지에 이르기까지의 동안에 상기 배터리의 충전이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과,
    상기 배터리의 충전이 필요하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검색된 어느 상기 급전 스테이션을, 유저로부터의 명령을 기다리는 일 없이 예약하는 것
    을 구비하는, 정보 처리 방법.
  13.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를 충전하는 급전 스테이션을 예약하기 위한 정보 처리 프로그램이며,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됨으로써 상기 프로세서에 대하여,
    상기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 잔량을 나타내는 제1 정보, 목적지에 관한 제2 정보, 및 목적지에 이르기까지의 경로에 관한 제3 정보를 수신시키고,
    적어도 상기 제2 정보와 상기 제3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목적지에 이르기까지의 추천 경로를 검색시키고,
    상기 목적지까지의 사이에 있는 상기 급전 스테이션을 검색시키고,
    상기 제1 정보와, 상기 검색된 추천 경로에 기초하여, 상기 목적지에 이르기까지의 동안에 상기 배터리의 충전이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시키고,
    상기 배터리의 충전이 필요하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검색된 어느 상기 급전 스테이션을, 유저로부터의 명령을 기다리는 일 없이 예약시키는, 정보 처리 프로그램.
KR1020197016852A 2017-10-24 2018-08-20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정보 처리 프로그램 KR2019008596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205282A JP2019078616A (ja) 2017-10-24 2017-10-24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JPJP-P-2017-205282 2017-10-24
PCT/JP2018/030699 WO2019082482A1 (ja) 2017-10-24 2018-08-20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5962A true KR20190085962A (ko) 2019-07-19

Family

ID=662464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6852A KR20190085962A (ko) 2017-10-24 2018-08-20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정보 처리 프로그램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00003571A1 (ko)
EP (1) EP3702979A4 (ko)
JP (1) JP2019078616A (ko)
KR (1) KR20190085962A (ko)
CN (1) CN110114785A (ko)
TW (1) TWI670675B (ko)
WO (1) WO201908248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35321A (ko) * 2021-03-30 2022-10-07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전기 자동차의 충전 예약 제어시스템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86599B2 (en) * 2015-07-17 2019-11-26 Magna Mirrors Of America, Inc. Rearview vision system for vehicle
JP6939440B2 (ja) * 2017-11-08 2021-09-2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電動車両の充電予約サーバおよび充電予約方法
US20190277650A1 (en) * 2018-03-12 2019-09-12 Honda Motor Co., Ltd. Navigation using contextual analysis
KR102353103B1 (ko) * 2019-01-07 2022-01-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인공 지능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JP7182090B2 (ja) * 2019-04-05 2022-12-02 矢崎総業株式会社 充電サービスシステム、及び、サーバ装置
US20190250616A1 (en) * 2019-04-24 2019-08-15 Madhusoodhan Ramanujam Performing a service on an autonomous vehicle enroute to a destination
WO2021002515A1 (ko) * 2019-07-04 2021-01-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KR102304745B1 (ko) * 2019-07-09 2021-09-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기차 충전소 추천 시스템
JP6667863B1 (ja) * 2019-07-18 2020-03-18 株式会社MaaS Tech Japan 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装置
TWI706366B (zh) * 2019-08-16 2020-10-01 大陸商萬幫數字能源股份有限公司 電動車充電站電能管理方法
US11567503B1 (en) * 2019-12-17 2023-01-31 Matthew MacGregor Roy Cold weather battery capacity prediction for electric vehicle
JP7161782B2 (ja) * 2020-01-04 2022-10-27 株式会社MaaS Tech Japan 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装置
KR102495393B1 (ko) * 2020-11-18 2023-02-06 한국전력공사 전기차 충전 서비스를 위한 장치 및 방법
US11953329B2 (en) * 2021-03-12 2024-04-09 Aurora Flight Sciences Corporation Planning system for multimodal travel
CN113432619A (zh) * 2021-06-24 2021-09-24 海信集团控股股份有限公司 导航路线的显示方法、车辆及移动终端
US11783371B2 (en) 2021-09-13 2023-10-10 Iotecha Corp. Methods, devices, and systems for home based electric vehicle (EV) charging
DE102022106823A1 (de) 2022-03-23 2023-09-28 Audi Aktiengesellschaft Ladeinfrastruktur für Elektrofahrzeuge und Betriebsverfahren
CN116486606B (zh) * 2023-03-07 2023-11-24 智能网联汽车(山东)协同创新研究院有限公司 一种智能网联车载终端中央控制系统
CN116663869B (zh) * 2023-08-01 2024-01-12 国网安徽省电力有限公司巢湖市供电公司 一种基于虚拟电厂的电动汽车集中充电管理系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62525A (ja) 2002-03-08 2003-09-19 Nissan Motor Co Ltd 充電スタンド情報提供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04593B2 (ja) * 2002-11-01 2009-07-29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5413042B2 (ja) * 2009-08-07 2014-02-12 株式会社デンソー 蓄電情報出力装置および蓄電情報出力システム
TW201128900A (en) * 2010-02-02 2011-08-16 Delta Electronics Inc High voltage battery charging system for electric vehicle
US9123035B2 (en) * 2011-04-22 2015-09-01 Angel A. Penilla Electric vehicle (EV) range extending charge systems, distributed networks of charge kiosks, and charge locating mobile apps
JP5392861B2 (ja) * 2011-05-16 2014-01-22 ソニー株式会社 電力供給装置および方法、電力供給システム、並びにプログラム
EP2578997B1 (en) * 2011-10-07 2020-01-08 Hitachi, Ltd. System for supporting a user of an electrically driven vehicle
EP2894436A4 (en) * 2012-09-03 2016-04-27 Hitachi Ltd CHARGING ASSISTING SYSTEM AND LOADING ASSISTING METHOD FOR ELECTRIC VEHICLE
KR101800287B1 (ko) * 2013-01-21 2017-11-23 주식회사 케이티 쉐어링 전기차 반납 관리 방법 및 이를 제공하기 위한 쉐어링 전기차 관리 시스템
TWI479772B (zh) * 2013-02-21 2015-04-01 台達電子工業股份有限公司 電動車充電系統及其適用之充電方法
KR20140109568A (ko) * 2013-03-05 2014-09-16 주식회사 케이티 전기자동차의 충전 예약 서비스 방법
JP6235036B2 (ja) * 2013-10-31 2017-11-22 パナソニック インテレクチュアル プロパティ コーポレーション オブ アメリカ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制御方法、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および予約システム
JP6081899B2 (ja) * 2013-11-13 2017-02-15 三菱重工業株式会社 充電式自動車用経路検索装置、充電式自動車用経路検索方法、充電式自動車管理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US9488493B2 (en) * 2014-01-16 2016-11-0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electric vehicle trip and recharge planning
JP2016217770A (ja) * 2015-05-15 2016-12-22 日産自動車株式会社 情報表示装置、及び、情報表示方法
CN104864883B (zh) * 2015-05-22 2017-09-22 清华大学 基于云平台的电动汽车路径规划方法
US9576490B1 (en) * 2016-02-08 2017-02-21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Personalized navigation route for transportation devic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62525A (ja) 2002-03-08 2003-09-19 Nissan Motor Co Ltd 充電スタンド情報提供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35321A (ko) * 2021-03-30 2022-10-07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전기 자동차의 충전 예약 제어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702979A1 (en) 2020-09-02
CN110114785A (zh) 2019-08-09
US20200003571A1 (en) 2020-01-02
WO2019082482A1 (ja) 2019-05-02
TWI670675B (zh) 2019-09-01
TW201923690A (zh) 2019-06-16
JP2019078616A (ja) 2019-05-23
EP3702979A4 (en) 2021-07-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85962A (ko)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정보 처리 프로그램
CN107784620B (zh) 用于自主车辆调度的方法与设备
US9373259B2 (en) Situation-aware mobile travel advisory to public transport commuters
JP5967205B2 (ja) オンデマンド車両運行管理装置、オンデマンド車両運行管理方法及びオンデマンド車両運行管理システム
US20180143027A1 (en) Dynamic route planning for demand-based transport
CN107533734B (zh) 用于帮助自动安排用户行程的方法和装置
US20190383623A1 (en) Dynamic connection determinations
US20140365250A1 (en) Transportation service reservation method and apparatus
EP3080774A1 (en) Optimizing selection of drivers for transport requests
US20190303806A1 (en) Boarding management system, boarding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JP2010204708A (ja) 配車管理装置、配車システム、配車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13035481A1 (ja) 充電計画システム、充電計画装置、充電計画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7475985B2 (ja) 配車管理装置及び配車管理方法
AU2020361447B2 (en) Multi-modal transportation system
JP5068706B2 (ja) 時刻表更新報知システム、時刻表提供サーバ、端末装置および時刻表更新報知方法ならびにプログラム
JP2023168477A (ja) 自律走行制御装置、自律走行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JP2019079267A (ja) 情報提供装置、情報提供システムおよび情報提供方法
JP2020034377A (ja) 自律走行制御装置、自律走行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JP7223623B2 (ja) 車両管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6901511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JP2004302943A (ja) 移動車両配車プログラム、移動車両配車方法
JP2022139230A (ja) 情報処理装置
JP2021179793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処理方法
JP2022045374A (ja) 乗合車両管理システム
JP2022073933A (ja) 配車管理装置及び配車管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