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4772A - 미세분진 측정장치용 챔버 - Google Patents

미세분진 측정장치용 챔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4772A
KR20190084772A KR1020180002903A KR20180002903A KR20190084772A KR 20190084772 A KR20190084772 A KR 20190084772A KR 1020180002903 A KR1020180002903 A KR 1020180002903A KR 20180002903 A KR20180002903 A KR 20180002903A KR 20190084772 A KR20190084772 A KR 201900847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e dust
measurement
fine
housing
guid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29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27673B1 (ko
Inventor
이종덕
Original Assignee
이종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덕 filed Critical 이종덕
Priority to KR10201800029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7673B1/ko
Publication of KR201900847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47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76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76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02Investigating particle size or size distribu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2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gaseous state
    • G01N1/2273Atmospheric sampl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2015/0019Means for transferring or separating particles prior to analysis, e.g. hoppers or particle conveyo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세분진 측정장치용 챔버에 관한 것으로, 실내 또는 실외에 설치되어 대기 중의 미세분진이 유입됨에 따른 미세분진에 포함된 유해성분의 양을 측정한 후, 이를 알림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미세분진 측정장치에 설치되어, 특히 실외에 설치되어도 눈이나 비와 같은 외부 영향에도 미세분진을 균일하게 공급시켜 측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미세분진 측정장치용 챔버{Chamber forfine dust measuring device}
본 발명은 미세분진 측정장치용 챔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실내 또는 실외에 설치되어 대기 중의 미세분진이 유입됨에 따른 미세분진에 포함된 유해성분의 양을 측정한 후, 이를 알림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미세분진 측정장치에 설치되어, 특히 실외에 설치되어도 눈이나 비와 같은 외부 영향에도 미세분진을 균일하게 공급시켜 측정할 수 있도록 한 미세분진 측정장치용 챔버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대기 중에 존재하는 분진량을 측정하는 것은 반도체 산업, 의약 산업, 철강 산업 및 중공업 등에서 인체의 유해성 판단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이러한, 분진 측정장치는 대기 중에 존재하는 분진의 양을 측정하기 위한 장치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분진 측정 장치는 여과 필터를 이용한 기계적, 화학적 방법을 사용하여 분진량을 측정하거나, 또는, 빛의 반사량, 투과량 및 흡수량을 측정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다만, 기계적으로나 화학적으로 측정하는 방법은 실시간으로 분진을 측정하는 것이 불가능하고, 측정기 내부에 먼지가 쌓이게 되면 오차 발생률이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 경우에는 측정기에 먼지가 끼게 됨으로써 유지 보수가 힘들어서 비용이 많이 드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빛을 투과시키는 방법의 경우, 빛의 투과 전후의 신호 차이가 미세하여 측정이 정확하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특허출원번호 10-2013-0140012호에 분진 측정장치가 게시된 바 있다.
살펴보면 종래의 일반적인 분진 측정장치는 분진이 이동하는 통로인 챔버와, 상기 챔버 외부에서 상기 챔버 방향으로 기 설계된 표준 영상을 출력하는 표준 영상 표시부와, 상기 챔버를 사이에 두고 상기 표준 영상 표시부와 반대편에 위치하여 상기 표준 영상이 분진에 의해 변형된 왜곡 영상을 촬영하는 영상 측정부 및 상기 왜곡 영상이 상기 표준 영상에서 변형된 정도를 분석하여 상기 챔버 내의 분진량을 분석하는 분진량 분석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왜곡 영상의 특징값에 대응되는 분진량 값들을 정리한 분진량 관계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분진량 분석부는 상기 왜곡 영상의 특징값을 추출하고, 상기 왜곡 영상의 특징값 및 상기 분진량 관계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챔버 내의 분진량을 분석하며, 상기 챔버는 상기 표준 영상이 투시될 수 있는 투명한 창으로 구성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일반적인 분진 측정장치는 상기한 바와 같이 챔버는 투명한 창으로 구성되므로 인해 시간 경과에 따른 분진이 내측면에 적층되면, 표준 영상 표시부에서 정확한 분진량의 측정이 어렵다라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분진의 측정은 실내뿐만 아니라 실외에서도 측정이 가능하여야 하나 상기한 종래의 일반적인 분진 측정장치의 챔버는 실외에 설치되어 비나 눈이 올 경우, 비나 눈으로 인해 측정이 불가능할 수 밖에 없는 단점이 있다.
특허출원번호 10-2013-0140012호, 출원일;2013년11월18일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실내 또는 실외에 설치되어 대기 중의 미세분진이 유입됨에 따른 미세분진에 포함된 유해성분의 양을 측정한 후, 이를 알림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미세분진 측정장치에 설치되어, 특히 실외에 설치되어도 눈이나 비와 같은 외부 영향에도 미세분진을 균일하게 공급시켜 측정할 수 있도록 한 미세분진 측정장치용 챔버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기술이 진행되면서 명확해질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미세분진 측정장치용 챔버는, 미세분진 측정장치의 미세분진 측정용 지지부재 타단에 저면이 고정되고, 전면은 미세분진 측정용 개폐도어에 의해 개폐가능하게 구비되는 미세분진 측정용 하우징과, 상기 미세분진 측정용 하우징에 내설되되, 일단과 타단은 미세분진 측정용 하우징의 양측면으로부터 외부로 각각 노출되어 대기중의 미세분진을 내측으로 유입시켜 중앙부에 설치된 미세분진 측정용 센서측으로 확산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미세분진 측정용 안내부재와, 상기 미세분진 측정용 안내부재의 노출된 부분을 각각 관통시켜 미세분진 측정용 하우징의 외측면에 고정되는 것에 의해 상기 미세분진 측정용 안내부재 외주면과 홀 사이로 이물질과 빗물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가능하게 구비되는 미세분진 측정용 실링판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미세분진 측정용 안내부재는, 미세분진 측정용 하우징에 형성된 홀에 삽입되는 것에 의해 일단과 타단은 상기 미세분진 측정용 하우징의 홀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도록 원형 또는 다각 형상의 단면으로 형성되되, 양측면에는 대기중의 미세분진이 내측으로 유입되면서 확산가능하도록 유입홀이 각각 천공되고, 중앙부 전면에는 미세분진 측정용 센서를 설치할 수 있도록 설치홀이 형성되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한 미세분진 측정장치용 실링판부재는, 상기 미세분진 측정용 안내부재가 미세분진 측정용 하우징에 설치됨에 따른 차단가능하게 중앙부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테두리에는 미세분진 측정용 하우징에 고정될 수 있도록 고정홀이 각각 형성되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미세분진 측정장치용 챔버에 따르면, 대기중의 미세분진을 유입시킬 수 있는 유입홀이 미세분진 측정용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되어 있고, 미세분진 측정용 센서는 미세분진 측정용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어 있어서, 실외에 설치되어도 눈이나 비와 같은 외부 영향에도 미세분진을 균일하게 공급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미세분진 측정장치용 챔버가 미세분진 측정장치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미세분진 측정장치용 챔버에 미세분진 측정용 센서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미세분진 측정장치용 챔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미세분진 측정장치용 챔버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미세분진 측정용 안내부재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미세분진 측정장치용 챔버의 일실시 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미세분진 측정장치용 챔버는 미세분진 측정장치에 설치되어, 특히 실외에 설치되어도 눈이나 비와 같은 외부 영향에도 미세분진을 균일하게 공급시켜 측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미세분진 측정장치용 챔버(100)는 미세분진 측정장치(10)의 미세분진 측정용 지지부재(11) 타단에 저면이 고정되고, 전면은 미세분진 측정용 개폐도어(12a)에 의해 개폐가능하게 구비되는 미세분진 측정용 하우징(12)과, 상기 미세분진 측정용 하우징(12)에 내설되되, 일단과 타단은 미세분진 측정용 하우징(12)의 양측면으로부터 외부로 각각 노출되어 대기중의 미세분진을 내측으로 유입시켜 중앙부에 설치된 미세분진 측정용 센서(13)측으로 확산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미세분진 측정용 안내부재(110)와, 상기 미세분진 측정용 안내부재(110)의 노출된 부분을 각각 관통시켜 미세분진 측정용 하우징(12)의 외측면에 고정되는 것에 의해 상기 미세분진 측정용 안내부재(110) 외주면과 홀 사이로 이물질과 빗물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가능하게 구비되는 미세분진 측정용 실링판부재(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에서,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미세분진 측정장치용 챔버를 상세하세 설명하기에 앞서 상기한 미세분진 측정장치를 먼저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한 미세분진 측정장치(10)는 첨부된 도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 또는 실외에 바닥면으로부터 이격 설치가능하게 일단이 바닥면에 고정가능하게 구비되는 미세분진 측정용 지지부재(11)와, 상기 미세분진 측정용 지지부재(11)의 타단에 저면이 고정되고, 전면은 실링된 미세분진 측정용 개폐도어(12a)에 의해 개폐가능하게 구비되는 미세분진 측정용 하우징(12)과, 상기 미세분진 측정용 하우징(12)에 일단과 타단이 외측으로 노출되게 내설된 미세분진 측정용 안내부재(110)의 중앙부에 일단이 삽입 설치되는 것에 의해 미세분진 측정용 하우징(12)에 내설되어 상기 미세분진 측정용 안내부재(110)를 통하여 유입된 미세분진에 포함된 유해성분의 양을 전원이 인가되는 것에 대응되게 구동하는 구동팬이 센서부측으로 유동시켜 센싱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미세분진 측정용 센서(13)와, 상기 미세분진 측정용 센서(13)로부터 센싱된 유해성분의 양에 대한 측정값을 인가받아 이를 예입력된 기준값과 비교 분석가능하게 구비되는 미세분진 측정 분석부(14)와, 상기 미세분진 측정 분석부(14)로부터 분석된 유해성분의 양을 화면에 표시가능하도록 미세분진 측정용 하우징(12)의 미세분진 측정용 개폐도어(12a) 전면에 설치되어 구비되는 미세분진 측정용 디스플레이부(1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한 미세분진 측정용 하우징(12) 상면에는 측정된 유해성분의 양에 대한 측정값이 예입력된 기준값을 초과할 경우, 이를 원거리에서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경고등(16)이 더 설치되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한 미세분진 측정장치(10)의 미세분진 측정용 지지부재(1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 또는 실외 바닥면에 다수의 고정부재를 매개로 고정가능하도록 다수의 고정홀이 형성되어 구비되는 고정판(11a)과, 상기 고정판(11a)의 상면 중앙부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상방향으로 입설되어 미세분진 측정용 하우징(12)을 고정 연결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연결지지부(11b)로 구성된다.
상기한 미세분진 측정용 하우징(12)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세분진 측정용 지지부재(11)의 연결지지부(11a) 타단에 저면이 고정 연결되어 내부에 공간부를 갖는 사각형상의 함체로 형성되되, 전면은 개구되고, 양측면 상부에는 상기 미세분진 측정용 안내부재(110)의 일단과 타단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홀이 각각 형성되고, 전면은 일단이 회동축을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에 의해 개구된 전면을 개폐가능하도록 미세분진 측정용개폐도어(12a)가 구비되어 구성된다.
이때, 상기한 미세분진 측정용 하우징(12) 전면과 미세분진 측정용 개폐도어(12a)의 배면 사이에는 비나 눈이 유입되지 않도록 실링부재(도면부호 생략)가 개재되어 구비된다.
상기한 미세분진 측정용 센서(13)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할 미세분진 측정용 안내부재(110)에 형성된 설치홀(110b)에 설치되어 유입된 대기중의 미세분진의 양을 센싱하여 미세분진 측정 분석부(14)측으로 센싱된 값을 인가가능하게 구비된다.
이때, 상기한 미세분진 측정용 센서(13)는 내부에 전원이 인가되는 것에 의해 구동하는 구동팬이 설치되어 미세분진을 센서부측으로 유입시켜 센싱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며, 이러한 미세분진 측정용 센서는 공지의 것으로 이하에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시 돌아가서 본 발명에 따른 미세분진 측정장치용 챔버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미세분진 측정장치용 챔버의 미세분진 측정용 안내부재(11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세분진 측정용 하우징(12)에 내설되는 것에 의해 일단과 타단은 외부로 노출되어 대기중의 미세분진을 유입 확산시켜 미세분진 측정용 센서(140)측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즉, 상기한 미세분진 측정용 안내부재(110)는 미세분진 측정용 하우징(12)에 형성된 홀에 삽입되는 것에 의해 일단과 타단은 상기 미세분진 측정용 하우징(12)의 홀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도록 원형 또는 다각 형상의 단면으로 형성되되, 양측면에는 대기중의 미세분진이 내측으로 유입되면서 확산가능하도록 유입홀(110a)이 각각 천공되고, 중앙부 전면에는 미세분진 측정용 센서(13)를 설치할 수 있도록 설치홀(110b)이 형성되어 구비된다.
또한, 상기한 미세분진 측정용 하우징(12)의 양측면 외부로 노출된 미세분진 측정용 안내부재(110)의 양단 저면에는 유입홀(110a)을 통하여 유입되는 눈 또는 비가 신속하게 배출되도록 배출홀(110c)이 더 형성되어 구비된다.
또한, 상기한 미세분진 측정용 안내부재(110)가 미세분진 측정용 하우징(12)에 설치된 후, 일방향 및 타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미세분진 측정용 안내부재(110)에 내설된 부분에 이탈방지용돌기를 더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한 미세분진 측정장치용 실링판부재(13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미세분진 측정용 안내부재(110)가 미세분진 측정용 하우징(12)에 설치됨에 따른 미세분진 측정용 안내부재(110) 외주면과 홀 사이로 이물질과 빗물이 유입되는 것을 실링부재를 개재시켜 차단가능하게 중앙부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테두리에는 미세분진 측정용 하우징(12)에 다수의 고정스크류를 매개로 고정될 수 있도록 고정홀이 각각 형성되어 구비된다.
또한, 상기한 미세분진 측정장치용 실링판부재(130)의 각 일면에는 관통홀을 주변에 실링부재의 일부를 수용하여 실링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도록 요홈을 형성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한 미세분진 측정용 안내부재(11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직선으로 형성되어 미세분진 측정용 하우징(12)에 수평되게 설치될 수 있도록 형성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세분진 측정용 안내부재(1110)는 눈 또는 비의 유입을 막으면서도 유입된 눈 또는 비를 보다 신속하게 배출시킬 수 있도록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부에 형성된 설치홀을 기준으로 양측이 하향 경사진 경사부(1111)가 형성되게 구비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한 미세분진 측정용 안내부재(110)는 수평 평상의 바로 형성되거나 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세분진 측정용 하우징 양측면으로 노출된 일단과 타단이 하향 경사진 단일체로 형성되나, 이에 한정 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미세분진 측정용 하우징에 내설된 부분과 양측면으로 노출된 일단과 타단을 후크방식으로 체결될 수 있도록 서로 분할시켜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미세분진 측정장치용 챔버를 미세분진 측정용 하우징에 설치하여 실외 예를 들어, 학교 운동장에 설치하게 되면,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기중의 미세분진이 미세분진 측정용 하우징(12)에 형성된 홀을 통하여 일단과 타단이 외부로 노출되게 설치된 미세분진 측정용 안내부재(110)에 형성된 유입홀(110a)측으로 유입된다.
이때, 상기한 미세분진 측정용 안내부재(110)에 형성된 유입홀(110a)측으로 유입된 대기중의 미세분진은 상기 미세분진 측정용 안내부재(110)의 내부 공간에 의해 확산되면서, 상기 미세분진 측정용 안내부재(110)의 설치홀(110b)에 설치된 미세분진 측정용 센서(13)측으로 유동하게 된다.
상기 미세분진 측정용 센서(13)측으로 유동된 확산된 미세분진은 구동중인 구동팬을 통하여 센서부측으로 유동된다.
상기 센서부측으로 미세분진이 유입되므로 인해 센서부는 메시분진에 포함된 유해 성분의 양을 측정한 후 이를 미세분진 측정 분석부(14)측으로 인가하게 된다.
상기 미세분진 측정 분석부(14)측으로 인가되면, 상기한 미세분진 측정 분석부(150)는 예입력된 기준값과 비교 분석하고, 상기 미세분진 측정 분석부(150)에서 분석된 유해성분의 양은 미세분진 측정용 하우징(12)의 미세분진 측정용 개폐도어(12a) 전면에 설치된 미세분진 측정용 디스플레이부(15)으로 표시되어 현재 대기 중의 미세분진에 포함되어 있는 유해 성분의 양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미세분진 측정용 안내부재(110) 양단만이 미세분진 측정용 하우징(12) 외측으로 노출되고, 아울러 유입홀(110a)을 통하여 대기중의 미세분진이 유입되면 확산되므로 균일하게 미세분진을 미세분진 측정용 센서(13)측으로 유동시킬 수 있게 되어 대기중의 미세분진에 포함된 유해성분의 양을 정확하게 센싱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미세분진 측정장치 11 ; 미세분진 측정용 지지부재
12 ; 미세분진 측정용 하우징 13 ; 미세분진 측정용 센서
14 ; 미세분진 측정 분석부 15 ; 미세분진 측정용 디스플레이부
16 ; 경고등 100 ; 미세분진 측정장치용 챔버
110 ; 미세분진 측정용 안내부재 130 ; 미세분진 측정용 실링판부재

Claims (5)

  1. 미세분진 측정장치용 챔버는,
    미세분진 측정장치(10)의 미세분진 측정용 지지부재(11) 타단에 저면이 고정되고, 전면은 미세분진 측정용 개폐도어(12a)에 의해 개폐가능하게 구비되는 미세분진 측정용 하우징(12)과, 상기 미세분진 측정용 하우징(12)에 내설되되, 일단과 타단은 미세분진 측정용 하우징(12)의 양측면으로부터 외부로 각각 노출되어 대기중의 미세분진을 내측으로 유입시켜 중앙부에 설치된 미세분진 측정용 센서(13)측으로 확산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미세분진 측정용 안내부재(110)와;
    상기 미세분진 측정용 안내부재(110)의 노출된 부분을 각각 관통시켜 미세분진 측정용 하우징(12)의 외측면에 고정되는 것에 의해 상기 미세분진 측정용 안내부재(110) 외주면과 홀 사이로 이물질과 빗물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가능하게 구비되는 미세분진 측정용 실링판부재(13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분진 측정장치용 챔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분진 측정용 안내부재(110)는, 미세분진 측정용 하우징(12)에 형성된 홀에 삽입되는 것에 의해 일단과 타단은 상기 미세분진 측정용 하우징(12)의 홀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도록 원형 또는 다각 형상의 단면으로 형성되되, 양측면에는 대기중의 미세분진이 내측으로 유입되면서 확산가능하도록 유입홀(110a)이 각각 천공되고, 중앙부 전면에는 미세분진 측정용 센서(13)를 설치할 수 있도록 설치홀(110b)이 형성되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분진 측정장치용 챔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분진 측정장치용 실링판부재(130)는, 상기 미세분진 측정용 안내부재(110)가 미세분진 측정용 하우징(12)에 설치됨에 따른 차단가능하게 중앙부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테두리에는 미세분진 측정용 하우징(12)에 고정될 수 있도록 고정홀이 각각 형성되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분진 측정장치용 챔버.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분진 측정용 하우징(12)의 양측면 외부로 노출된 미세분진 측정용 안내부재(110)의 양단 저면에는 유입홀(110a)을 통하여 유입되는 눈 또는 비가 신속하게 배출되도록 배출홀(110c)이 더 형성되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분진 측정장치용 챔버.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분진 측정용 안내부재는, 눈 또는 비의 유입을 막으면서도 유입된 눈 또는 비를 보다 신속하게 배출시킬 수 있도록 중앙부에 형성된 설치홀을 기준으로 양측이 하향 경사진 경사부(1111)가 형성되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분진 측정장치용 챔버.
KR1020180002903A 2018-01-09 2018-01-09 미세분진 측정장치용 챔버 KR1020276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2903A KR102027673B1 (ko) 2018-01-09 2018-01-09 미세분진 측정장치용 챔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2903A KR102027673B1 (ko) 2018-01-09 2018-01-09 미세분진 측정장치용 챔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4772A true KR20190084772A (ko) 2019-07-17
KR102027673B1 KR102027673B1 (ko) 2019-10-01

Family

ID=675127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2903A KR102027673B1 (ko) 2018-01-09 2018-01-09 미세분진 측정장치용 챔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767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7138B1 (ko) * 2019-09-30 2020-12-30 이노디지털(주) 옥외용 미세먼지 수집 측정 장치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33396A (ja) * 2001-05-09 2002-11-22 Nisca Corp ダクト用粉体検知装置及び粉体検知システム
KR20120111309A (ko) * 2011-03-31 2012-10-10 (주)에이치시티 대기 나노 입자 측정 센서
KR20130140012A (ko) 2010-10-22 2013-12-23 라이트람, 엘엘씨 컨베이어 시스템, 벨트, 및 정전기를 측정 및 제어하는 방법
KR101487103B1 (ko) * 2013-10-21 2015-01-29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입자상 물질의 자동화 측정 장치
KR101645600B1 (ko) * 2015-12-31 2016-08-08 (주)센코 가스센서를 이용한 악취측정 장치
KR20160133032A (ko) * 2015-05-11 2016-11-22 (주)동명기술공단종합건축사사무소 수질 자동 측정장치
JP2016212062A (ja) * 2015-05-13 2016-12-15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粉塵検出装置および粉塵検出システム
JP6153127B2 (ja) * 2012-03-02 2017-06-28 国立大学法人 東京大学 塵埃センサ
CN107036945A (zh) * 2017-04-26 2017-08-11 广西升禾环保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作用于空气中粉尘的检测装置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33396A (ja) * 2001-05-09 2002-11-22 Nisca Corp ダクト用粉体検知装置及び粉体検知システム
KR20130140012A (ko) 2010-10-22 2013-12-23 라이트람, 엘엘씨 컨베이어 시스템, 벨트, 및 정전기를 측정 및 제어하는 방법
KR20120111309A (ko) * 2011-03-31 2012-10-10 (주)에이치시티 대기 나노 입자 측정 센서
JP6153127B2 (ja) * 2012-03-02 2017-06-28 国立大学法人 東京大学 塵埃センサ
KR101487103B1 (ko) * 2013-10-21 2015-01-29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입자상 물질의 자동화 측정 장치
KR20160133032A (ko) * 2015-05-11 2016-11-22 (주)동명기술공단종합건축사사무소 수질 자동 측정장치
JP2016212062A (ja) * 2015-05-13 2016-12-15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粉塵検出装置および粉塵検出システム
KR101645600B1 (ko) * 2015-12-31 2016-08-08 (주)센코 가스센서를 이용한 악취측정 장치
CN107036945A (zh) * 2017-04-26 2017-08-11 广西升禾环保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作用于空气中粉尘的检测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7138B1 (ko) * 2019-09-30 2020-12-30 이노디지털(주) 옥외용 미세먼지 수집 측정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7673B1 (ko) 2019-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491362B1 (en) Particulate matter sensor device
US9618440B2 (en) Gas detector for use with an air sampling particle detection system
US10184880B2 (en) Airborne particle measuring device
US432456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leak testing of filters
US20110308645A1 (en) Flow cell assembly for fluid sensors
KR20070093154A (ko) 유동체가 제1 속도로 통과하여 흐르는 입구를 갖는 입자탐지기를 위한 챔버 구성
CN206648922U (zh) 消音盒及带有该消音盒的颗粒物检测仪
CA2164249A1 (en) Measuring apparatus for gas analysis
KR20190084772A (ko) 미세분진 측정장치용 챔버
CN107576601B (zh) 适用于城市轨道交通场所的颗粒物在线检测及分析仪表
CN107036949A (zh) 粉尘浓度检测装置及设有粉尘浓度检测装置空气净化设备
JP5377487B2 (ja) 基板上の薄膜を識別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KR20150018496A (ko) 밀봉체의 동적 밀폐 제어 방법 및 장치
CN206772769U (zh) 粉尘浓度检测装置及设有粉尘浓度检测装置空气净化设备
EP0046740A2 (en) A method and device for testing filters
EP3827234A1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air quality while cooling an outdoor electronic display assembly
CN112683604B (zh) 一种压力测量法的等速取样装置
KR20190007135A (ko) 실내 공기질 모니터링 장치 및 실내 공기질 제어 시스템
JP2003114192A (ja) 粒子状物質測定装置および方法
KR101195757B1 (ko) 대기가스 측정장치
CN209691068U (zh) 一种吸气式感烟火灾探测器
KR100384579B1 (ko) 차압 측정구
CN210014780U (zh) 一种能利于水平检测的公路工程测量用防雨装置
CN207570979U (zh) 空气颗粒激光检测设备
US20230109770A1 (en) Compact duct detectors for hvac syste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