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84579B1 - 차압 측정구 - Google Patents

차압 측정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84579B1
KR100384579B1 KR10-2000-0069669A KR20000069669A KR100384579B1 KR 100384579 B1 KR100384579 B1 KR 100384579B1 KR 20000069669 A KR20000069669 A KR 20000069669A KR 100384579 B1 KR100384579 B1 KR 1003845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inlet pipe
fire door
room
control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696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39849A (ko
Inventor
탁중인
Original Assignee
탁중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탁중인 filed Critical 탁중인
Priority to KR10-2000-00696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84579B1/ko
Publication of KR200200398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398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45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4579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for measuring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ent medium insofar as such details or accessories are not special to particular types of pressure gauges
    • G01L19/14Housing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3/00Devices or apparatus for measuring differences of two or more fluid pressure values
    • G01L13/02Devices or apparatus for measuring differences of two or more fluid pressure values using elastically-deformable members or pistons as sensing ele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for measuring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ent medium insofar as such details or accessories are not special to particular types of pressure gauges
    • G01L19/0007Fluidic connecting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for measuring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ent medium insofar as such details or accessories are not special to particular types of pressure gauges
    • G01L19/06Means for preventing overload or deleterious influence of the measured medium on the measuring device or vice versa
    • G01L19/0663Flame protection; Flame barri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asuring Fluid Press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특별 피난계단의 부속실 및 비상용 승강기 승강장(이하 제연구역이라 함) 있어서, 실내의 공기를 방화문의 일정부분를 통해 유입되게 하여 방화문을 개방하지 않고도 실내와 제연구역간의 압력차를 측정하기 위한 차압 측정구에 관한 것으로서, 공기의 입출입 및 화재시 화염 등을 차단하는 캡과; 제연구역과 실내의 기압차에 의해 공기가 유입되는 제1유입관과, 외부의 압력이나 충격으로 인한 파손 및 화염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한 케이스와, 상기 제1유입관의 일측부에 연결되어 구조물을 지지할 수 있는 제2유입관과, 연결부분의 마모나 파손을 방지하고 기밀성을 높여주는 와셔와, 공기가 유입되는 통로를 통해 내외부를 관찰할 수 있는 투명막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실내의 공기는 방화문의 일정부분에 연결되어 있는 튜브를 통해 검출부로 유입되고 제연구역의 공기는 제연구역에 노출되어 있는 튜브를 통해 검출부로 유입되어 방화문을 닫은 상태에서 공기압의 차이를 검출할 수 있다.
또한, 방화문을 개방하지 않고 밀폐된 상태에서 공기압 차이를 측정함으로써 실내와 제연구역간의 공기압 차이를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압 측정구{DIFFERENCE PRESSURE TESTER}
본 발명은 제연설비에 관한 것으로, 보다 더 상세하게는 방화문의 일정부분을 통해 공기가 유입되게 하여 방화문을 개방하지 않고 실내(비제연구역)와 제연구역간의 압력차를 측정하기 위한 차압 측정구에 관한 것이다.
급기가압방식은 제연구역내 다량의 공기를 주입하여 제연구역을 실내보다높은 압력이 유지되게 하므로서 화재 발생시 실내로부터 제연구역내로 연기가 유입되지 못하도록 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내에서 제연구역으로 유입되는 연기를 차단하기 위해 실내와 제연구역과의 기압 차이를 40 ~ 60Pa을 항상 유지시켜야 하며 일정 기압을 유지하기 위해 제연구역을 완전 밀폐시켜야 하므로 원천적으로 실내와 제연구역과의 기압차를 측정할 수가 없었다.
따라서, 종래에는 실내와 제연구역과의 기압를 측정하기 위해 제연구역내에 설치되어 있는 공기압 측정장치의 일측부에 제연구역의 공기를 유입할 수 있는 튜브를 연결하고, 타측부에는 실내의 공기를 유입할 수 있는 튜브를 연결하여 두 구역간의 기압차를 측정하였다.
이때, 실내의 공기를 유입하기 위해서는 실내와 제연구역을 차단하는 방화벽에 설치된 방화문을 개방한 후 측정장치의 타측부에 연결되는 튜브를 방화벽 외부로 인출시켜야 한다.
그런데, 튜브가 외부로 인출되는 경우 튜브의 인출구인 방화문을 통해 실내의 공기가 제연구역으로 유입되어 실내와 제연구역간의 공기가 완전히 차단되지 않으므로 두 구역간의 기압차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방화문의 일정부분을 통해 공기가 유입되게 하여 방화문을 개방하지 않고 실내와 제연구역간의 기압차를 측정함으로써 완전 밀폐된 상태에서 두 구역간의 기압차를정밀하게 측정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합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예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캡 3 : 제1유입관
5 : 케이스 7 : 제2유입관
9 : 와셔 11 : 투명막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져 있다.
제연구연과 비제연구연간의 압력차를 측정하기 위해 내부일측에는 너트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공기를 인입하는 홈이 형성되어 외부의 압력이나 충격으로 인한 파손 및 화염과 연기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한 케이스를 형성하는 차압 측정구에 있어서,상기 케이스에 형성되어 있는 홈에 삽입되고, 내부에는 너트가 형성되어 있으며, 공기가 인입될 수 있도록 통공되어 있는 원통 형상의 제 1유입관과;상기 제 1유입관에 형성되어 있는 너트와 체결되는 볼트가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 1유입관으로 유입되는 공기가 인입될 수 있도록 통공되어 있는 원통형상의 제 2유입관과;상기 케이스에 형성되어 있는 너트와 체결되도록 일측에 볼트가 형성되고, 중앙에는 내부를 관찰 할 수 있는 투명망이 형성되며, 상부 일측에는 리벳팅되어 유동이 가능한 커버가 형성된 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이 발명의 다른 구성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져 있다.
실내의 공기는 방화문의 일정부분에 연결되어 있는 튜브를 통해 검출부 (차압측정기)로 유입되고 제연구역의 공기는 제연구역 내에 노출되어 있는 튜브를 통해 검출부로 유입되어 방화문을 닫은 상태에서 공기압의 차이를 검출하는 것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 사시도.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합 단면도.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면도.도 4는 본 고안의 예시도.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차압 측정구(20)는 방화문(13)의 일측에 부착되어 제연구역과 비제연구연간의 압력차를 측정하기 위한 케이스(5)와, 상기 케이스(5)의 내부에 삽입, 고정되는 제 1 및 제 2유입관(3, 7)과, 상기 케이스(5)의 일측에 탈부착되는 캡(1)으로 이루어져 있다.상기 케이스(5)는 외부의 압력이나 충격으로 인한 파손 및 화염과 연기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해 내부일측에는 너트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공기가 인입될 수 있는 홈이 형성되어 있다.상기 제 1유입관(5)은 상기 케이스(5)에 형성되어 있는 홈에 삽입되고, 내부 에는 너트가 형성되어 있으며, 공기가 인입될 수 있도록 통공되어 있는 원통으로 이루어져 있다.상기 제 2유입관(7)은 상기 제 1유입관(7)에 형성되어 있는 너트와 체결되는 볼트가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 1유입관(3)으로 유입되는 공기가 인입될 수 있도록 통공되어 있는 원통으로 이루어져 있다.상기 캡(1)은 상기 케이스(5)에 형성되어 있는 너트와 체결되도록 일측에 볼트가 형성되고, 중앙에는 내부를 관찰할 수 있는 투명망(11)이 형성되며, 상부 일측에는 리벳팅되어 유동이 가능한 커버(2)가 형성되어 있다.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4와 같이 유입되는 공기의 기압차를 측정할 수 있는 검출부(19)의 일측에는 제연구역의 공기를 유입할 수 있는 튜브(14)를 연결하고, 상기 검출부 (19)의 타측에는 실내의 공기를 유입할 수 있는 튜브(14)를 연결하되, 실내의 공기를 유입할 수 있는 튜브는 방화문(13)의 일측에 생성되어 있는 구멍(15)에 연결한다.
이때, 도2에 도시되어 있듯이 상기 구멍(15)에는 외부의 압력이나 충격으로 인한 파손 및 화염이나 연기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한 케이스(5)를 삽입하고, 상기 케이스(5)의 내부는 실내외의 기압차에 의해 공기가 유입되는 제1유입관(3)과 상기 제1유입관(3)의 일측부에 연결되어 구조물을 지지할 수 있는 제2유입관(7)을 마모를 방지하고 긴밀하게 고정시키기 위한 와셔(9)와 함께 결합하여 도2에서와 같이 실내의 공기가 제한구역으로 유입될 수 있게 한다.
상기 케이스(5)에는 나사형식으로 되어 있는 캡(1)을 탈부착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공기의 입출입을 조절하고 화염 및 연기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캡(1)의 중앙에 통공을 형성하여 투명막(11)을 삽입.고정시켜 공기가 유입되는 통로를 통해 내외부를 관찰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캡(1)의 중앙에 설치된 투명막(11)이 화재시 화염에 의해 손상될 수 있으므로 캡(1)의 상측에 리벳팅 되어 유동할 수 있게 커버(2)를 설치하여 투명막(11)이 손상되더라도 화염이나 연기의 영향을 받지않게 하며 실내를 관찰할 경우에 상기 커버(2)를 유동시켜 관찰이 용이하게 한 것이다.
또한, 상기 케이스(5)에는 도 3과 같이 공기의 입출입을 조절할 수 있는 마개형식으로 되어 있는 캡(4)을 설치할 수 있다.
실내와 제연구역의 기압차를 측정하기 위한 방법을 도1과 도4를 참조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방화문(13)을 닫은 상태에서 공기의 입출입을 조절하는 캡(1)을 개방하고 제1유입관(3)의 일측과 검출부(19)의 일측을 튜브(14)로 연결하며 검출부(19)의 타측은 제연구역에 노출되어 있는 튜브(14)를 연결한다.
이때, 실내의 공기는 방화문(13)의 구멍(15)에 설치되어 있는 제1유입관(3)과 제2유입관을 통과하여 상기 캡(1) 앞단까지 유입된다.
상기 캡(1) 앞단까지 유입된 공기는 상기 제1유입관(3)에 연결된 튜브(14)를 통해 검출부(19)로 유입되며 제연구역의 공기는 제연구역 내에 노출되어 있는 튜브(14)를 통해 검출부(19)로 유입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실내와 제연구역과의 기압 차이를 측정하기 위해 제연구역으로 유입되는 실내의 공기를 방화문의 일측부분을 통해 유입되게 함으로써 방화문을 개방하지 않고 완전 밀폐된 상태에서 기압 차이를 측정할 수 있으므로서 개방된 상태에서 측정하는 공기압 보다 더욱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다.
따라서, 기압 차이의 오차를 감소시키므로 정확한 시험치를 얻을 수 있고, 항상 일정한 기압을 유지할 수 있게 측정하므로서 완벽한 제연설비를 갖출 수 있어 화재시 실내에서 제연구역 내로 침투되는 연기를 효율적으로 차단하여 인명피해를줄일 수 있게 한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5)

  1. 제연구연과 비제연구연간의 압력차를 측정하기 위해 내부일측에는 너트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공기를 인입하는 홈이 형성되어 외부의 압력이나 충격으로 인한 파손 및 화염과 연기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한 케이스(5)를 형성하는 차압 측정구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5)에 형성되어 있는 홈에 삽입되고, 내부에는 너트가 형성되어 있으며, 공기가 인입될 수 있도록 통공되어 있는 원통 형상의 제 1유입관(3)과;
    상기 제 1유입관(3)에 형성되어 있는 너트와 체결되는 볼트가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 1유입관(3)으로 유입되는 공기가 인입될 수 있도록 통공되어 있는 원통형상의 제 2유입관(7)과;
    상기 케이스(5)에 형성되어 있는 너트와 체결되도록 일측에 볼트가 형성되고, 중앙에는 내부를 관찰 할 수 있는 투명망(11)이 형성되며, 상부 일측에는 리벳팅되어 유동이 가능한 커버(2)가 형성된 캡(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압 측정구.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00-0069669A 2000-11-22 2000-11-22 차압 측정구 KR1003845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9669A KR100384579B1 (ko) 2000-11-22 2000-11-22 차압 측정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9669A KR100384579B1 (ko) 2000-11-22 2000-11-22 차압 측정구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2741U Division KR200220957Y1 (ko) 2000-11-22 2000-11-22 차압 테스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9849A KR20020039849A (ko) 2002-05-30
KR100384579B1 true KR100384579B1 (ko) 2003-05-27

Family

ID=197006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9669A KR100384579B1 (ko) 2000-11-22 2000-11-22 차압 측정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8457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1541B1 (ko) * 2012-12-21 2014-10-30 (주)에이스앤아이 차압 측정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0867B1 (ko) * 2003-01-27 2006-02-10 학교법인 호서학원 적외선 차압 감지 장치
KR20190038458A (ko) 2017-09-29 2019-04-08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레토르트 파우치를 이용한 키위 가공품 제조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8347A (ja) * 1992-03-27 1994-01-25 Pall Corp トランスジューサアセンブリ
JPH067038U (ja) * 1992-07-03 1994-01-28 株式会社不二工機製作所 圧力検出装置
JPH0610837U (ja) * 1992-07-10 1994-02-10 日本電装株式会社 圧力検出装置
JPH07294355A (ja) * 1994-04-28 1995-11-10 Nippondenso Co Ltd 圧力センサ
JPH11281510A (ja) * 1998-03-27 1999-10-15 Koganei Corp 圧力測定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8347A (ja) * 1992-03-27 1994-01-25 Pall Corp トランスジューサアセンブリ
JPH067038U (ja) * 1992-07-03 1994-01-28 株式会社不二工機製作所 圧力検出装置
JPH0610837U (ja) * 1992-07-10 1994-02-10 日本電装株式会社 圧力検出装置
JPH07294355A (ja) * 1994-04-28 1995-11-10 Nippondenso Co Ltd 圧力センサ
JPH11281510A (ja) * 1998-03-27 1999-10-15 Koganei Corp 圧力測定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1541B1 (ko) * 2012-12-21 2014-10-30 (주)에이스앤아이 차압 측정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9849A (ko) 2002-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40806B2 (en) Fire detection
AU2001231426C1 (en) Improvements relating to smoke detectors particularly ducted smoke detectors
TWI580943B (zh) 氣體檢測器裝置
KR100906206B1 (ko) 화재 탐지와 국소화 방법 및 장치
AU2001231426A1 (en) Improvements relating to smoke detectors particularly ducted smoke detectors
KR100384579B1 (ko) 차압 측정구
GB2356708A (en) Sensor system with self-test facility
KR200220957Y1 (ko) 차압 테스트 장치
DE102005051123B4 (de) Gaswarnanlage mit einer Funktion zur Erkennung von Manipulationsversuchen und Verfahren zur Überwachung einer Gaswarnanlage
US20010052256A1 (en) Gas sensor arrangement
US6450875B1 (en) Monitoring air entry velocity into fume hood
ES2763154T3 (es) Avisador de humos de canal
KR102027673B1 (ko) 미세분진 측정장치용 챔버
WO1996006345A1 (en) Infrared gas detector
CN206848126U (zh) 空气检测仪
EP4156137A2 (en) Compact duct detectors for hvac systems
CN210777106U (zh) 一种烟感探测器功能试验器
CN220772466U (zh) 一种建筑门窗防烟雾性能检测装置
JPH1137522A (ja) フードにより煙霧の封じ込めを効率化する装置および方法
CN207425083U (zh) 一种改变气流方向的标定罩
NO20151519A1 (en) Gas analyzer with protection of Optical components
US6789433B2 (en) Purge gas sensor
JP3222743B2 (ja) 火災感知器
AU2006201261A1 (en) Improvements Relating to Smoke Detectors Particularly Ducted Smoke Detectors
JP2001349588A (ja) 負圧対策設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0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7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