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7135A - 실내 공기질 모니터링 장치 및 실내 공기질 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실내 공기질 모니터링 장치 및 실내 공기질 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7135A
KR20190007135A KR1020170087885A KR20170087885A KR20190007135A KR 20190007135 A KR20190007135 A KR 20190007135A KR 1020170087885 A KR1020170087885 A KR 1020170087885A KR 20170087885 A KR20170087885 A KR 20170087885A KR 20190007135 A KR20190007135 A KR 201900071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door air
air quality
outflow
quality monitoring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78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광
김준웅
유정근
유동민
박은수
유태경
이제헌
이성택
Original Assignee
(주)엑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엑센 filed Critical (주)엑센
Priority to KR10201700878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07135A/ko
Publication of KR201900071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713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24F11/63Electronic processing
    • F24F11/65Electronic processing for selecting an operating mo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 F24F2011/000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for admittance of outside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5Mounting a ventilator fan there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24F2110/64Airborne particle cont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24F2110/65Concentration of specific substances or contamina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70Efficient control or regulation technologies, e.g. for control of refrigerant flow, motor or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uzzy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내의 공기 오염도를 검출하기 위한 센서 유닛(2)과; 실내의 공기를 센서 유닛(2)에 도입하는 유입로(A) 및 센서 유닛(2)에 도입된 공기를 실내로 배출하는 유출로(B)를 제공하며 유입로(A)와 유출로(B)가 격리된 본체(4)를 포함하는 실내 공기질 모니터링 장치, 그리고 이를 이용한 실내 공기질 제어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실내 공기질 모니터링 장치 및 실내 공기질 제어 시스템 {INDOOR AIR QUALITY MONITORING DEVICE AND INDOOR AIR QUALITY CONTROL SYSTEM}
본 발명의 실시예는 실내 공기질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실내 공기질을 제어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환경오염으로 인하여 미세먼지의 양이 크게 늘어남에 따라 미세먼지의 농도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미세먼지 센서는 측정 정확도와 내구성이 시장의 요구에 못 미치고 있다. 예를 들어, 시장의 대부분을 점유하고 있는 기존의 센서들은 측정 정확도가 제조사 기준 ±30%로 매우 큰 오차가 있으며, 이조차도 장시간 구동시 센서 내부에 쌓이는 먼지로 인하여 계속해서 센서에서 표시하는 값이 증가하거나 감소하는 방향으로 오차를 일으켜 사용자가 센서에서 표시되는 값을 신뢰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관련, 환경부에서는 '실내공기질 간이측정제품 … 정확도 떨어져'라는 보도 내용으로 기존의 센서에 대한 불신을 표현한 바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이유로 환경부에서 공시하는 미세먼지 농도와 사용자가 개별로 보유하고 있는 센서에 표시되는 미세먼지 농도 간 편차가 현저히 높아서 일반 사용자들이 환경부와 센서에 대하여 모두 불신을 표현하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 기존의 LED(발광다이오드) 방식의 미세먼지 센서가 아닌 LD(레이저 다이오드) 방식의 미세먼지 센서가 출시되고 있다. 하지만, LD를 적용하여 센서가 측정할 수 있는 미세먼지의 크기는 크게 개선한 반면, 아직 센서 내부에 먼지가 축적되어 제품의 신뢰성을 낮추는 것에는 완벽한 해결 방법이 없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측정 신뢰성 및 내구성 향상 면에서 보다 유리한 실내 공기질 모니터링 장치 및 실내 공기질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에 제한되지 않고, 언급되지 않은 기타 과제는 통상의 기술자라면 이하의 기재로부터 명확히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실내의 공기 오염도를 검출하기 위한 센서 유닛(2)과; 실내의 공기를 상기 센서 유닛(2)에 도입하는 유입로(A) 및 상기 센서 유닛(2)을 거친 공기를 실내로 배출하는 유출로(B)를 제공하며, 상기 유입로(A)와 상기 유출로(B)가 격리된 구조를 가지도록 구성된 본체(4)를 포함하는, 실내 공기질 모니터링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내 공기질 모니터링 장치는, 상기 센서 유닛(2)이 상기 본체(4)의 후방에 결합되며, 상기 본체(4)의 전방이 노출되고 상기 센서 유닛(2)이 묻히도록 설치되는 매설형일 수 있다.
상기 센서 유닛(2)은, 전방에 각각 배치된 입구와 출구, 상기 입구와 상기 출구 사이에 배치된 공기 통로 및 상기 공기 통로에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된 발광부와 수광부를 가진 미센먼지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4)는, 후방에 상기 미센먼지 센서가 결합되며, 상기 미센먼지 센서의 상기 입구 및 상기 출구와 각각 대향하는 유입 개구(12) 및 유출 개구(14)를 가져 상기 입구와 상기 유입 개구(12) 사이 및 상기 출구와 상기 유출 개구(14) 사이에 각각 상기 유입로(A)를 구성하는 제1유입로 및 상기 유출로(B)를 구성하는 제1유출로를 형성하는 하우징(10)과; 상기 제1유입로와 상기 제1유출로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유입로와 상기 제1유출로로 이동하는 공기가 서로 혼합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1배리어(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4)는, 후방에 상기 하우징(10)이 결합되며, 상기 유입 개구(12) 및 상기 유출 개구(14)와 각각 대향하는 유입구(32) 및 유출구(34)를 가져 상기 유입 개구(12)와 상기 유입구(32) 사이 및 상기 유출 개구(14)와 상기 유출구(34) 사이에 각각 상기 유입로(A)를 구성하는 제2유입로 및 상기 유출로(B)를 구성하는 제2유출로를 형성하는 커버(30)와; 상기 제2유입로와 상기 제2유출로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2유입로와 상기 제2유출로로 이동하는 공기가 서로 혼합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2배리어(4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실내의 공기 오염도를 검출하기 위한 센서 유닛(2)과; 실내의 공기를 상기 센서 유닛(2)에 도입하는 유입로(A) 및 상기 센서 유닛(2)을 거친 공기를 실내로 배출하는 유출로(B)를 제공하며, 상기 유입로(A)와 상기 유출로(B)가 격리된 구조를 가지도록 구성된 본체(4)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 유닛(2)은 가스 센서와 미세먼지 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실내 공기질 모니터링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내 공기질 모니터링 장치는, 실내의 공기를 상기 센서 유닛(2)에 강제로 도입하고 도입된 공기를 강제로 배출하는 팬(fan, 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내 공기질 모니터링 장치는, 상기 유입로(A)의 입구 측에 배치된 필터(filter, 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한 바와 같은 실내 공기질 모니터링 장치와; 실내의 공기를 정화하여 실내에 공급하는 순환 모드와 실외의 공기를 정화하여 실내에 공급하는 환기 모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모드로 작동 가능하도록 구성된 공기 조화 장치와; 상기 실내 공기질 모니터링 장치로부터의 검출값에 따라 상기 공기 조화 장치의 작동을 컨트롤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실내 공기질 제어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과제의 해결 수단은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 도면 등을 통하여 보다 구체적이고 명확하게 될 것이다. 또한, 이하에서는 언급한 해결 수단 이외의 다양한 해결 수단이 추가로 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실내의 공기를 센서 유닛(2)에 도입하는 유입로(A)와 센서 유닛(2)에 도입된 공기를 실내로 배출하는 유출로(B) 사이에 배리어(barrier, 격벽, 20 및 40)가 배치되기 때문에, 유출로(B)로 이동하는 유출 공기가 유입로(A)로 이동하는 유입 공기에 혼입되어 센서 유닛(2)에 의한 공기 오염도 측정 신뢰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흡배기를 위한 팬(6)을 포함하기 때문에, 실내의 공기를 센서 유닛(2)에 일정하게 공급하여 공기 오염도 측정도를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유입로(A)의 입구 측에 필터(filter, 8)가 배치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큰 입자(예를 들어, PM10 이상의 입자)가 공기와 함께 유입되어 공기 이동 경로(공기가 유입되고 유출되는 유입로, 유출로, 미센먼지 센서의 공기 통로 등)에 쌓이거나 하면서 공기 이동 경로가 막히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내 공기질 제어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2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내 공기질 모니터링 장치를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내 공기질 모니터링 장치에 적용되는 배리어에 관한 테스트 결과를 나타낸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내 공기질 모니터링 장치에 적용되는 필터에 관한 테스트 결과를 나타낸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내 공기질 모니터링 장치의 변형예로, 도 9의 (A)는 커버(30)를 나타내는 배면도이고, 도 9의 (B)는 하우징(10)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참고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참조하는 도면에서 구성요소의 크기나 선의 두께 등은 이해의 편의상 다소 과장되게 표현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는 데 사용되는 용어는 주로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한 것이므로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용어에 대해서는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해석하는 것이 마땅하겠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실내 공기질 중 하나인 미세먼지에 대한 농도를 측정하는 미세먼지 센서를 적용함에 있어서, 미세먼지 센서의 측정 신뢰성을 높이기 위하여, 미세먼지 센서를 거쳐 다시 실내로 배출되는 공기가 배출 과정에서 미세먼지 센서로 재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배리어(20, 40)를 구비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미세먼지 농도를 보다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미세먼지 센서의 공기 통로(광 유로)에 먼지가 쌓이면 미세먼지의 농도를 정확하게 측정하기 어려운 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미세먼지 센서에 의하여 측정하고자 하는 범위를 벗어난 먼지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필터(8)를 구비한다. 이에 따르면, 측정하고자 하는 범위를 벗어난 먼지가 애초에 미세먼지 센서의 공기 통로로 진입될 수 없기 때문에, 미세먼지 센서의 공기 통로에 먼지가 쌓이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공기 통로에 먼지가 쌓여서 공기 흐름이 나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내 공기질 제어 시스템은, 실내의 공기질 측정을 위한 실내 공기질 모니터링 장치와; 실내의 공기를 정화하여 실내에 공급하는 순환 모드와 실외의 공기를 정화하여 실내에 공급하는 환기 모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모드로 작동 가능하도록 구성된 공기 조화 장치와; 실내 공기질 모니터링 장치로부터의 측정값에 따라 공기 조화 장치의 작동을 컨트롤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기 조화 장치를 순환 모드로 작동시키고, 실내 공기질 모니터링 장치에 의하여 실내의 공기질에 대한 모니터링을 수행하다가, 실내 공기질 모니터링 장치로부터의 측정값이 미리 정하여 둔 설정값을 벗어나면, 실내의 공기질이 나빠진 것으로 판단하여 공기 조화 장치를 환기 모드로 작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내 공기질 모니터링 장치는, 실내의 공기 오염도를 검출(측정)하기 위한 센서 유닛(2)과; 실내의 공기를 센서 유닛(2)에 도입하는 유입로(A) 및 센서 유닛(2)을 거친 공기를 실내로 배출하는 유출로(B)를 제공하는 본체(4)를 포함한다. 본체(4)는, 유입로(A)와 유출로(B)로 이동하는 공기가 서로 혼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유입로(A)와 유출로(B)가 격리된 구조를 가지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내 공기질 모니터링 장치는, 센서 유닛(2)이 본체(4)의 후방에 결합되며, 벽이나 천장 등 실내의 구조물에 본체(4)의 전방이 노출되고 센서 유닛(2)이 묻히도록 설치되는 매설형이다. 물론, 이에 반드시 한정되지 않는다.
센서 유닛(2)은, 전방에 각각 배치된 입구와 출구, 입구와 출구 사이에 배치된 공기 통로(광 유로) 및 공기 통로에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된 발광부와 수광부를 가진 미센먼지 센서를 포함한다. 도시된 바는 없으나, 센서 유닛(2)은 가스 센서 등 공기질 모니터링을 위한 다양한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체(4)는 하우징(10)과 제1배리어(20)를 포함한다. 미센먼지 센서는 하우징(10)의 후방에 결합되고, 하우징(10)은 미세먼지 센서가 수용되는 매설홈에 마련된 결합부에 나사 등의 체결요소에 의하여 견고하게 결합되어 센서 마운트(sensor mount)로 기능한다.
하우징(10)은, 미센먼지 센서의 입구 및 출구와 각각 대향하는 유입 개구(12) 및 유출 개구(14)를 가져, 입구와 유입 개구(12) 사이 및 출구와 유출 개구(14) 사이에 각각 유입로(A)를 구성하는 제1유입로 및 유출로(B)를 구성하는 제1유출로를 형성한다.
제1배리어(20)는 제1유입로와 제1유출로 사이에 배치되어 제1유입로와 제1유출로로 이동하는 공기가 서로 혼합되는 것을 방지한다. 제1배리어(20)는 진동을 방지할 수 있고 하우징(10)과 미센먼지 센서에 전후의 양면이 긴밀히 밀착될 수 있게 탄성 또는 탄성과 방진성을 가진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체(4)는 마감용 커버(30)와 제2배리어(40)를 더 포함한다.
커버(30)는 후방에 하우징(10)이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커버(30)는, 유입 개구(12) 및 유출 개구(14)와 각각 대향하는 유입구(32) 및 유출구(34)를 가져, 유입 개구(12)와 유입구(32) 사이 및 유출 개구(14)와 유출구(34) 사이에 각각 유입로(A)를 구성하는 제2유입로 및 유출로(B)를 구성하는 제2유출로를 형성한다.
제2배리어(40)는 제2유입로와 제2유출로 사이에 배치되어 제2유입로와 제2유출로로 이동하는 공기가 서로 혼합되는 것을 방지한다. 제2배리어(40)는 진동을 방지할 수 있고 하우징(10)과 커버(30)에 전후의 양면이 긴밀히 밀착될 수 있게 탄성 또는 탄성과 방진성을 가진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내 공기질 모니터링 장치는, 실내의 공기를 센서 유닛(2)에 강제로 도입하고 도입된 공기를 강제로 배출하는 팬(fan, 6)을 더 포함한다. 팬(6)은 미세먼지 센서의 출구 측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내 공기질 모니터링 장치는, 유입로(A)의 입구 측에 배치된 필터(filter, 8)를 더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필터(8)는 유입구(32)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필터(8)는 4 내지 1250 MESH의 필터망일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내 공기질 모니터링 장치에 적용되는 배리어(20, 40)에 관한 테스트 결과를 나타낸다. 이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배리어(20, 40)의 적용 유무에 따른 비교]
- 챔버 내 미세먼지 주입 농도(PM2.5 기준) : 10,000 ㎍/㎥
- 챔버 사이즈 : 100L
- 주변 온도 : 25℃
- 주변 습도 : 25%(RH)
- 샘플 수량 : 조건별 5개
- 미세먼지 : 담배 연기
- 시험 방법 : 배리어(20, 40) 적용 유무, 적용 위치에 따른 미세먼지 농도의 변화 측정
- 시험 결과 : 배리어(20, 40)를 적용 시 더 빠르게 미세먼지 농도의 변화가 측정됨. 제1배리어(20, 격벽-2)와 제2배리어(40, 격벽-1)를 모두 적용하는 것이 더 유리하지만, 생산 단가 등을 감안하여 제1배리어(20)만을 적용하더라도 높은 측정 신뢰성이 나타났음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내 공기질 모니터링 장치에 적용되는 필터(8)에 관한 테스트 결과를 나타낸다. 이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필터(8)의 적용 유무와 크기에 따른 비교]
- 챔버 내 미세먼지 농도(PM2.5 기준) : 1,000 ㎍/㎥
- 주변 온도 : 25℃
- 주변 습도 : 50%(RH)
- 미세먼지 : Arizona Fine dust
- 시험 방법 : 미세먼지 센서의 무게를 측정하여 시험 전 대비 시험 중, 시험 후의 무게 변화를 측정함. 가장 많은 무게 변화를 보인 값 대비 시험군의 비율을 표기
- 시험 결과 : 필터(8)를 적용 시 미세먼지 센서의 내부에 쌓이는 먼지의 양이 크게 감소하였음. 필터(8)의 효과 있음. MESH Size 16을 초과하는 필터를 사용하는 것이 미세먼지 센서의 내구성 저하 방지 면에서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음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미세먼지 센서의 공기 통로(광 유로)에 먼지가 쌓이면 미세먼지의 농도를 정확하게 측정하기 어려운 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미세먼지 센서에 의하여 측정하고자 하는 범위를 벗어난 먼지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필터(8)를 구비한다. 이에 따르면, 측정하고자 하는 범위를 벗어난 먼지가 애초에 미세먼지 센서의 공기 통로로 진입될 수 없기 때문에, 미세먼지 센서의 공기 통로에 먼지가 쌓이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공기 통로에 먼지가 쌓여서 공기 흐름이 나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내 공기질 모니터링 장치의 변형예를 나타낸다. 도 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유입로와 제1유출로로 이동하는 공기가 서로 혼합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1배리어(20-1)는, 유입 개구(12)와 유출 개구(14)가 형성된 플레이트 구조일 수 있고, 하우징(10)의 배면에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 9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유입로와 제2유출로로 이동하는 공기가 서로 혼합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2배리어(40-1)는, H자형 구조를 가질 수 있고, 커버(30)의 배면에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이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설명한 기술적 사상은, 각각 독립적으로 실시될 수도 있고, 둘 이상이 서로 조합되어 실시될 수도 있다.
2 : 센서 유닛
4 : 본체
A : 유입로
B : 유출로
10 : 하우징
20 : 제1배리어
30 : 커버
40 : 제2배리어
6 : 흡배기용 팬
8 : 필터

Claims (8)

  1. 실내의 공기 오염도를 검출하기 위한 센서 유닛(2)과;
    실내의 공기를 상기 센서 유닛(2)에 도입하는 유입로(A) 및 상기 센서 유닛(2)을 거친 공기를 실내로 배출하는 유출로(B)를 제공하며, 상기 유입로(A)와 상기 유출로(B)가 격리된 구조를 가지도록 구성된 본체(4)를 포함하는,
    실내 공기질 모니터링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실내 공기질 모니터링 장치는, 상기 센서 유닛(2)이 상기 본체(4)의 후방에 결합되며, 상기 본체(4)의 전방이 노출되고 상기 센서 유닛(2)이 묻히도록 설치되는 매설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공기질 모니터링 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센서 유닛(2)은, 전방에 각각 배치된 입구와 출구, 상기 입구와 상기 출구 사이에 배치된 공기 통로 및 상기 공기 통로에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된 발광부와 수광부를 가진 미센먼지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4)는,
    후방에 상기 미센먼지 센서가 결합되며, 상기 미센먼지 센서의 상기 입구 및 상기 출구와 각각 대향하는 유입 개구(12) 및 유출 개구(14)를 가져 상기 입구와 상기 유입 개구(12) 사이 및 상기 출구와 상기 유출 개구(14) 사이에 각각 상기 유입로(A)를 구성하는 제1유입로 및 상기 유출로(B)를 구성하는 제1유출로를 형성하는 하우징(10)과;
    상기 제1유입로와 상기 제1유출로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유입로와 상기 제1유출로로 이동하는 공기가 서로 혼합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1배리어(20)를 포함하는,
    실내 공기질 모니터링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본체(4)는,
    후방에 상기 하우징(10)이 결합되며, 상기 유입 개구(12) 및 상기 유출 개구(14)와 각각 대향하는 유입구(32) 및 유출구(34)를 가져 상기 유입 개구(12)와 상기 유입구(32) 사이 및 상기 유출 개구(14)와 상기 유출구(34) 사이에 각각 상기 유입로(A)를 구성하는 제2유입로 및 상기 유출로(B)를 구성하는 제2유출로를 형성하는 커버(30)와;
    상기 제2유입로와 상기 제2유출로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2유입로와 상기 제2유출로로 이동하는 공기가 서로 혼합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2배리어(40)를 포함하는,
    실내 공기질 모니터링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센서 유닛(2)은 가스 센서와 미세먼지 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실내 공기질 모니터링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실내의 공기를 상기 센서 유닛(2)에 강제로 도입하고 도입된 공기를 강제로 배출하는 팬(fan, 6)을 더 포함하는,
    실내 공기질 모니터링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입로(A)의 입구 측에 배치된 필터(filter, 8)를 더 포함하는,
    실내 공기질 모니터링 장치.
  8. 청구항 1에 기재된 실내 공기질 모니터링 장치와;
    실내의 공기를 정화하여 실내에 공급하는 순환 모드와 실외의 공기를 정화하여 실내에 공급하는 환기 모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모드로 작동 가능하도록 구성된 공기 조화 장치와;
    상기 실내 공기질 모니터링 장치로부터의 검출값에 따라 상기 공기 조화 장치의 작동을 컨트롤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실내 공기질 제어 시스템.
KR1020170087885A 2017-07-11 2017-07-11 실내 공기질 모니터링 장치 및 실내 공기질 제어 시스템 KR2019000713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7885A KR20190007135A (ko) 2017-07-11 2017-07-11 실내 공기질 모니터링 장치 및 실내 공기질 제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7885A KR20190007135A (ko) 2017-07-11 2017-07-11 실내 공기질 모니터링 장치 및 실내 공기질 제어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7135A true KR20190007135A (ko) 2019-01-22

Family

ID=653205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7885A KR20190007135A (ko) 2017-07-11 2017-07-11 실내 공기질 모니터링 장치 및 실내 공기질 제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0713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076356A (zh) * 2019-12-19 2020-04-28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细菌检测方法、装置、存储介质及空调
DE202022102096U1 (de) 2022-04-20 2022-05-31 Biswaranjan Acharya System zur Echtzeit-Überwachung der Luftverschmutzung in geschlossenen Räumen mit Hilfe von Sensoren aus dem Internet der Ding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076356A (zh) * 2019-12-19 2020-04-28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细菌检测方法、装置、存储介质及空调
DE202022102096U1 (de) 2022-04-20 2022-05-31 Biswaranjan Acharya System zur Echtzeit-Überwachung der Luftverschmutzung in geschlossenen Räumen mit Hilfe von Sensoren aus dem Internet der Ding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67762B1 (ko) 필터 장치
AU2010255496B2 (en) Gas detector apparatus
KR20190007135A (ko) 실내 공기질 모니터링 장치 및 실내 공기질 제어 시스템
JP2005052833A (ja) 周囲状態検出装置、周囲状態検出システム及び周囲状態検出装置の使用方法
US20190391052A1 (en) Duct mounted air quality monitoring system, method and device
US20110030450A1 (en) Field olfactometer with differential flow-based dynamic dilution
CN110678264B (zh) 生物安全柜及其排气管连接的检查方法
CN206114479U (zh) 粉尘检测装置
EP3064949B1 (en) Apparatus for extracting and filtering asbestos and associated method
GB2347541A (en) Smoke detector for a duct
KR20100130938A (ko) 공기조화기의 에어필터 교체시기 검출장치
US9474995B2 (en) Filter assembly and filtering system having the same
CN114341561B (zh) 用于建筑物的供暖、通风和制冷系统的室内空气质量净化系统
KR20220101923A (ko) 이동형 창호 기밀성 및 미세먼지 차단 시험 장치 및 방법
KR101936209B1 (ko)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CN110082479B (zh) 一种吸气式烟雾探测气室结构及方法
JP4981404B2 (ja) 粒子カウンタ式煙感知装置
JP2019174104A (ja) 空気を濾過し空気中の水の浮遊粒子を凝結させる換気装置
JP4235511B2 (ja) 校正用ガスの導入方法およびガス検知装置
CN210486945U (zh) 气体检测装置
KR102251456B1 (ko) 정화 장치
KR20210031177A (ko) 집진기 오염농도 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집진기 오염농도 측정방법
WO2018179248A1 (ja) 換気装置
CN106290098A (zh) 粉尘检测装置
CN208607125U (zh) 激光粉尘传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