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1456B1 - 정화 장치 - Google Patents

정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1456B1
KR102251456B1 KR1020190093664A KR20190093664A KR102251456B1 KR 102251456 B1 KR102251456 B1 KR 102251456B1 KR 1020190093664 A KR1020190093664 A KR 1020190093664A KR 20190093664 A KR20190093664 A KR 20190093664A KR 102251456 B1 KR102251456 B1 KR 1022514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id
space
unpurified
inlet
measur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36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15188A (ko
Inventor
김봉재
Original Assignee
김봉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봉재 filed Critical 김봉재
Priority to KR10201900936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1456B1/ko
Publication of KR202100151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51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14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14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84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provided with safety means
    • B01D46/0086Filter condition indic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4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controlling filtration
    • B01D46/444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controlling filtration by flow measur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정화 장치는, 미정화상태인 유체를 정화상태로 필터링 처리하는 필터유닛; 상기 유체가 가진 하나 이상의 특성값을 감지가능한 센서; 그리고 상기 센서에 연결되어, 미정화상태의 상기 유체와 정화상태인 상기 유체의 상기 특성값들을 서로 비교하여 상기 필터유닛의 성능을 평가가능한 제어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정화 장치{DEVICE FOR FILTERING}
본 발명은 정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정화처리 전 유체와 정화처리 후 유체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정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청정기는 공기에 포함되어 있는 오염물질을 정화처리하는 장치로서, 외부의 공기를 공기청정기 내부로 유입시킨 후 오염물질을 정화처리한 후 외부로 토출한다.
이를 위해, 공기청정기는 다수의 필터를 구비하며, 공기청정기의 필터는 사용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정화능력이 떨어지므로, 주기적인 교체가 필요하다. 종래의 공기청정기는 운전시간에 의존하여 교체시기를 결정하였다. 즉, 운전시간을 카운트하고 누적된 운전시간이 미리 설정된 시간에 도달하면 필터의 교체시기를 표시하여 사용자가 필터를 교체할 수 있도록 안내하였다. 그러나, 공기청정기를 설치한 환경에 따라 필터의 교체시기가 달라질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종래의 공기청정기는 일률적인 운전시간에 의존하여 필터를 교체하도록 안내하므로, 필터를 적절한 시기 보다 늦게 교체하거나 또는 빠르게 교체하는 한계가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은 공기청정기에 국한되지 않으며, 정수기 역시 누적된 운전시간으로 측정하여 동일한 한계를 안고 있다.
이밖에, 유량/유속을 통해 차압을 계산하는 방식으로 필터의 교체시기를 판단할 수 있으나, 이 경우 센서를 통해 감지한 데이터를 이용하며, 센서의 특성에 따라 워밍업에 소요되는 시간이 상당하거나 센서의 오류 등으로 인해 또 다른 문제점을 낳고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2017-0086253호(2017.07.26.)
본 발명의 목적은 정화처리 전 유체와 정화처리 후 유체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정화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환경에 따라 필터의 교체시기를 적절하게 판단할 수 있는 정화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과 첨부한 도면으로부터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정화 장치는, 미정화상태인 유체를 정화상태로 필터링 처리하는 필터유닛; 상기 유체가 가진 하나 이상의 특성값을 감지가능한 센서; 그리고 상기 센서에 연결되어, 미정화상태의 상기 유체와 정화상태인 상기 유체의 상기 특성값들을 서로 비교하여 상기 필터유닛의 성능을 평가가능한 제어기를 포함한다.
상기 정화 장치는, 상기 필터유닛이 설치되는 내부공간과, 상기 내부공간으로 미정화상태인 상기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포트 및 상기 내부공간으로부터 상기 유체가 정화상태로 유출되는 유출포트를 가지며, 상기 필터유닛은 상기 유입포트와 상기 유출포트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내부공간을 상기 유입포트 측에 위치하는 유입공간과 상기 유출포트 측에 위치하는 유출공간으로 구획하는 하우징; 상기 유입공간로부터 상기 유출공간을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유체의 흐름을 형성하는 가압장치; 상기 센서가 설치되는 측정공간이 내부에 형성되는 측정챔버; 그리고 상기 유출공간과 상기 측정공간을 연결하여 상기 유출공간 내의 정화상태인 상기 유체를 상기 측정공간에 공급가능한 분기관을 포함하되, 상기 측정챔버는, 상기 유입공간 및 상기 측정공간과 연통되어 상기 측정공간 내의 상기 유체가 상기 유입공간으로 이동하는 통로를 제공하는 유출구; 상기 측정공간과 연통되며, 상기 분기관이 연결되어 상기 유출공간 내의 정화상태인 상기 유체가 상기 측정공간으로 이동하는 통로를 제공하는 정화유체 유입구; 그리고 상기 내부공간을 향해 이동하는 미정화상태의 상기 유체가 상기 측정공간으로 이동하는 통로를 제공하는 미정화유체 유입구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가압장치는 상기 필터유닛과 상기 유출포트의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유입포트로부터 상기 유출포트를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유체를 흡입 및 토출하는 블로어이며, 상기 정화 장치는, 상기 블로어와 상기 유출포트를 연결하며, 상기 블로어에서 토출된 상기 유체를 상기 유출포트로 배출하는 배출관을 더 포함하며, 상기 분기관은 상기 배출관으로부터 분기될 수 있다.
상기 미정화유체 유입구는 상기 필터유닛을 기준으로 상기 유입포트 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정화 장치는, 상기 블로어 또는 상기 배출관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어 상기 유체의 유량을 감지하는 유량 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기는 상기 유량 센서에 연결되어 상기 유량을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정화 장치는, 상기 필터유닛을 지지하며, 상기 유입공간과 상기 유출공간 사이에 위치하는 격벽을 더 포함하며, 상기 격벽은 상기 필터유닛이 실장되는 필터개구와, 상기 필터개구의 일측에 위치하고 상기 측정챔버가 실장되는 챔버개구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측정챔버는 상기 내부공간에 설치되며, 상기 미정화유체 유입구 및 상기 정화유체 유입구는 상기 측정챔버의 외측에 위치하고 상기 유출구는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정화 장치는, 상기 미정화유체 유입구를 개폐가능한 미정화유체 도어; 그리고 상기 정화유체 유입구를 개폐가능한 정화유체 도어를 더 포함하되, 미정화상태의 상기 유체가 상기 측정공간으로 이동하는 미정화유체 측정상태에서 상기 미정화유체 도어는 개방되고 상기 정화유체 도어는 폐쇄되며, 정화상태인 상기 유체가 상기 측정공간으로 이동하는 정화유체 측정상태에서 상기 미정화유체 도어는 폐쇄되고 상기 정화유체 도어는 개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정화처리 전 유체와 정화처리 후 유체가 측정챔버에 유입될 수 있으며, 측정챔버 내에 설치된 센서 등을 통해 유체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정화처리 전 유체와 정화처리 후 유체의 상태를 비교함으로써 필터의 교체시기를 적절하게 판단할 수 있으므로, 사용환경의 변화에 따라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다.
또한, 유량 센서를 통해 정화처리 후 유체의 유량을 확인함으로써 필터의 교체시기를 판단하는 데 참고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화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정화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정화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도 1에 도시한 정화 장치의 작동방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 1 내지 도 6을 참고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들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 나타난 각 요소의 형상은 보다 분명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하여 과장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화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 단면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정화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정화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공기청정기를 정화 장치의 일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와 달리 정수기 등의 정화 장치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하우징은 내부공간(12a)을 가지는 직육면체 형상이며, 후술하는 필터유닛(20), 측정챔버(30), 블로어(50)는 하우징의 내부공간(12a)에 실장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12)은 일측이 개방된 본체(12)와, 본체(12)의 개방된 일측에 설치되는 흡입판(11)을 구비하며, 본체(12) 및 흡입판(11)은 내부공간을 형성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12)은 양측에 형성된 유입포트(13,17)를 가지며, 유입포트(13,17)는 내부공간(12a)(특히, 후술하는 유입공간)에 연통된다. 또한, 흡입판(11)은 복수의 관통홀들(11a)을 가지며, 관통홀들(11a)은 내부공간(12a)에 연통된다. 외부 공기는 관통홀들(11a)과 유입포트(13,17)를 통해 내부공간(12a)으로 유입될 수 있으며, 후술하는 필터유닛(20)을 통해 필터링 처리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2)은 후면에 형성된 유출포트(19)를 가지며, 유출포트(19)는 내부공간(12a)(특히, 후술하는 유출공간)에 연통된다. 후술하는 디퓨져(56)는 유출포트(19) 상에 설치되며, 필터링 처리된 공기는 유출포트(19)에 설치된 디퓨져(56)를 통해 하우징(12)의 외부로 유출될 수 있다.
내부공간(12a)은 격벽(14)을 통해 구획되며, 흡입판(11) 측에 위치하는 유입공간과 흡입판(11)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유출공간을 가진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격벽(14)은 필터개구(16) 및 챔버개구(30a)를 가지며, 후술하는 필터유닛(20)은 필터개구(16) 상에 설치되고, 후술하는 측정챔버(30)는 챔버개구(30a) 상에 설치된다. 따라서, 관통홀들(11a)과 유입포트(13,17)를 통해 유입공간에 유입된 공기는 필터유닛(20)을 통해서 유출공간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유입공간과 유출공간은 격벽(14)을 통해 격리될 수 있다.
고정프레임(16)은 격벽(14)에 고정되어 일체를 이루며, 필터유닛(20)을 지지한다. 필터유닛(20)은 대체로 직사각형을 이루며, 고정프레임(16)은 필터유닛(20)과 대체로 동일한 형상을 가진다.
필터유닛(20)은 프리메시필터, 헤파필터, 활성탄필터를 구비하며, 유입공간에서 유출공간을 향하는 방향으로 차례로 중첩되어 하나의 유닛을 이룰 수 있다. 그러나, 필요에 따라, 이들 중 하나 이상은 다른 기능을 가진 필터로 대체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유입공간에 유입된 공기는 필터유닛(20)을 통해서 유출공간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프리메시필터-헤파필터-활성탄필터를 차례로 통과하면서 필터링 처리될 수 있다.
블로어(50)는 유출공간에 설치되며, 블로어(50)는 원심블로어(centrifugal blower)일 수 있다. 블로어(50)의 흡입구는 필터유닛(20)에 근접하거나 밀착되어 설치될 수 있으며, 블로어(50) 작동시 유입공간 내의 공기는 블로어(50)의 케이싱 내에서 회전하는 임펠러로 인해 블로어(50)의 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후 블로어(50)의 케이싱 내부로 이동하고, 이 과정에서 유입공간 내의 공기는 유출공간으로 이동할 수 있다. 블로어(50)는 토출구(52)를 구비하며, 케이싱 내부의 공기는 토출구(52)를 통해 블로어(50)의 외부로 토출된다. 기체를 강제 송풍하는 경우, 가압되는 압력의 크기 순으로 팬, 블로어, 압축기로 구분되며, 필요한 압력에 따라, 블로어(50)는 팬 등으로 대체될 수 있다.
배출관(54)은 블로어(50)의 토출구(52)에 연결되며, 디퓨져(56)는 배출관(54)에 연결되어 유출포트(19) 상에 설치된다. 블로어(50)의 토출구(52)를 통해 토출된 공기는 배출관(54)을 통해 디퓨져(56)로 이동하며, 디퓨져(56)는 하우징(12)의 외부로 공기를 배출한다.
한편, 분기관(40)은 배출관(54)으로부터 분기되어 후술하는 측정챔버(30)에 연결되며, 배출관(54)으로 이동한 공기(즉, 필터링 처리된 공기)는 분기관(40)을 통해 측정챔버(30)로 이동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측정챔버(30)는 챔버개구(30a) 상에 설치되며, 필터링 처리 전 공기와 필터링 처리 후 공기의 상태를 측정하거나 확인하는 데 사용된다.
도 4 내지 도 6은 도 1에 도시한 정화 장치의 작동방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측정챔버(30)는 내부에 형성된 측정공간을 가지며, 센서들(a,b)가 측정공간 내에 설치된다. 또한, 측정챔버(30)는 정화유체 유입구(34) 및 미정화유체 유입구(32), 그리고 유출구(36)를 가지며, 이들은 측정공간과 연통된다.
분기관(40)은 정화유체 유입구(34)에 연결되며, 분기관(40)으로 이동한 공기는 정화유체 유입구(34)를 통해 측정챔버(30)의 측정공간으로 유입될 수 있다. 정화유체 개폐장치(34a)는 정화유체 유입구(34)를 통해 공기가 측정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도어 형태일 수 있다.
정화유체 유입구(34) 및 미정화유체 유입구(32)는 측정챔버(30)의 외측에 형성되며, 미정화유체 유입구(32)는 필터유닛(20)을 기준으로 블로어(50)의 반대측에 위치한다. 미정화유체 개폐장치(32a)는 미정화유체 유입구(32)를 통해 공기가 측정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도어 형태일 수 있다.
유출구(36)는 측정챔버(30)의 내측에 형성되며, 유입공간과 연통가능하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측정챔버(30)의 측정공간으로부터 유출구(36)를 통해 유출된 공기는 유입공간으로 이동할 수 있다. 유출구 개폐장치(36a)는 측정공간 내의 공기가 유출구(36)를 통해 유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도어 형태일 수 있다.
센서(a,b)는 측정챔버(30)의 측정공간 내에 설치되어, 측정공간으로 유입된 공기의 상태를 측정하거나 확인할 수 있다. 센서(a,b)는 필터유닛(20)의 상부에 설치된 제어기(P)(또는 제어기판)으로 측정된 정보를 전달하며, 필터유닛(20)의 하부에 설치된 배터리(B)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센서(a)는 먼지센서일 수 있으며, 측정챔버(30)의 측정공간으로 유입된 공기 중의 미세먼지량 등을 감지할 수 있다. 센서(b)는 CO 등 유해가스센서일 수 있으며, 측정챔버(30)의 측정공간으로 유입된 공기 중의 유해가스농도 등을 감지할 수 있다.
이하, 도 5 및 도 6을 참고하여 정화 장치의 작동 방식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미정화공기의 상태 확인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블로어(50)를 작동하면 하우징(12) 외부의 공기는 관통홀들(11a) 및 유입포트(13,17)를 통해 하우징(12)의 유입공간으로 유입되며, 필터유닛(20)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필터링 처리된 후 배출관(54)으로 토출된다. 이때,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미정화유체 개폐장치(32a)는 개방되며, 블로어(50)의 압력에 의해 미정화공기는 미정화유체 유입구(32)를 통해 측정챔버(30)의 측정공간으로 이동한 후 유출구(36)를 통해 유입공간으로 이동하고, 필터유닛(20)을 통해 필터링 처리된 후 배출관(54)으로 이동한다.
미정화공기는 측정챔버(30)의 측정공간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센서(a,b)를 통해 상태가 확인되며, 센서(a,b)는 미세먼지량이나 유해가스 농도 등을 측정할 수 있다. 유출구 개폐장치(36a)는 측정에 소요되는 시간을 감안하여 유출구(36)를 차단할 수도 있으며, 정화유체 개폐장치(34a)는 정화유체 유입구(34)를 폐쇄할 수 있다.
(2) 정화공기의 상태 확인
앞서 설명한 방식을 통해 미정화공기의 상태가 확인되면, 미정화유체 개폐장치(32a)는 미정화유체 유입구(32)를 폐쇄하며, 정화유체 개폐장치(34a)는 정화유체 유입구(34)를 개방한다. 배출관(54) 내부의 정화공기는 분기관(40)을 통해 정화유체 유입구(34)를 통해 측정챔버(30)의 측정공간으로 이동한 후 유출구(36)를 통해 유입공간으로 이동하고, 필터유닛(20)을 통해 다시 필터링 처리된 후 배출관(54)으로 이동한다.
정화공기는 측정챔버(30)의 측정공간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센서(a,b)를 통해 상태가 확인되며, 센서(a,b)는 미세먼지량이나 유해가스 농도 등을 측정할 수 있다. 유출구 개폐장치(36a)는 측정에 소요되는 시간을 감안하여 유출구(36)를 차단할 수도 있으며, 정화유체 개폐장치(34a)는 정화유체 유입구(34)를 폐쇄할 수 있다.
한편, 앞서 설명한 제어기(P)는 센서(a,b)를 통해 측정된 미정화공기 및 정화공기의 데이터(예를 들어, 미세먼지량이나 유해가스 농도 등)를 수신할 수 있으며, 이를 토대로 필터유닛(20)의 성능을 평가할 수 있다. 즉, 필터유닛(20)을 통해 공기의 상태가 얼마나 개선되었는지(구체적으로는, 미세먼지량이 얼마나 저감되었는지 또는 유해가스 농도가 얼마나 저감되었는지) 확인함으로써, 필터유닛(20)의 정화능력이 저하된 정도 등을 평가하여 표시하거나 평가된 성능을 토대로 교체시기를 안내할 수 있다. 사용자는 필터유닛(20)의 성능평가결과를 토대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필터를 교체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방식 이외에, 정화 장치는 배출관(54)(또는 블로어(50)나 디퓨져(56)) 내에 설치되어 공기의 유량을 측정하는 유량계(S)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유량계(S)는 제어기(P)(또는 제어기판)로 측정된 정보를 전달하며, 배터리(B)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제어기(P)는 유량계(S)를 통해 측정된 정화공기의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으며, 이를 토대로 필터유닛(20)의 성능을 평가할 수 있다. 즉, 필터유닛(20)은 미세먼지 등의 이물질을 필터링 처리하나, 사용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포집된 이물질 등으로 인해 공기에 대한 유동저항이 증가하여 유량이 감소한다. 따라서, 제어기(P)는 유량계(S)를 통해 공기의 유량을 확인함으로써, 필터유닛(20)의 정화능력이 저하된 정도 등을 평가하여 표시하거나 평가된 성능을 토대로 교체시기를 안내할 수 있다. 사용자는 필터유닛(20)의 성능평가결과를 토대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필터를 교체할 수 있다.
상술한 바에 의하면, 사용자는 측정챔버(30)를 통해 정화공기와 미정화공기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으며, 양자를 비교함으로써 필터의 교체시기를 적절하게 판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환경의 변화에 따라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다. 또한, 정화공기의 유량을 모니터링함으로써 필터의 교체시기를 판단하는 데 참고할 수 있다.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이와 다른 형태의 실시예들도 가능하다. 그러므로, 이하에 기재된 청구항들의 기술적 사상과 범위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Claims (8)

  1. 미정화상태인 유체를 정화상태로 필터링 처리하는 필터유닛;
    상기 필터유닛이 설치되는 내부공간과, 상기 내부공간으로 미정화상태인 상기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포트 및 상기 내부공간으로부터 상기 유체가 정화상태로 유출되는 유출포트를 가지며, 상기 필터유닛은 상기 유입포트와 상기 유출포트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내부공간을 상기 유입포트 측에 위치하는 유입공간과 상기 유출포트 측에 위치하는 유출공간으로 구획하는 하우징;
    상기 유입공간로부터 상기 유출공간을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유체의 흐름을 형성하는 가압장치;
    상기 유체가 가진 하나 이상의 특성값을 감지가능한 센서;
    상기 센서가 설치되는 측정공간이 내부에 형성되는 측정챔버;
    상기 유출공간과 상기 측정공간을 연결하여 상기 유출공간 내의 정화상태인 상기 유체를 상기 측정공간에 공급가능한 분기관; 및
    상기 센서에 연결되어, 미정화상태의 상기 유체와 정화상태인 상기 유체의 상기 특성값들을 서로 비교하여 상기 필터유닛의 성능을 평가가능한 제어기를 포함하는, 정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챔버는,
    상기 유입공간 및 상기 측정공간과 연통되어 상기 측정공간 내의 상기 유체가 상기 유입공간으로 이동하는 통로를 제공하는 유출구;
    상기 측정공간과 연통되며, 상기 분기관이 연결되어 상기 유출공간 내의 정화상태인 상기 유체가 상기 측정공간으로 이동하는 통로를 제공하는 정화유체 유입구; 및
    상기 내부공간을 향해 이동하는 미정화상태의 상기 유체가 상기 측정공간으로 이동하는 통로를 제공하는 미정화유체 유입구를 가지는, 정화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장치는 상기 필터유닛과 상기 유출포트의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유입포트로부터 상기 유출포트를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유체를 흡입 및 토출하는 블로어이며,
    상기 정화 장치는,
    상기 블로어와 상기 유출포트를 연결하며, 상기 블로어에서 토출된 상기 유체를 상기 유출포트로 배출하는 배출관을 더 포함하며,
    상기 분기관은 상기 배출관으로부터 분기되는, 정화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미정화유체 유입구는 상기 필터유닛을 기준으로 상기 유입포트 측에 위치하는, 정화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정화 장치는,
    상기 블로어 또는 상기 배출관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어 상기 유체의 유량을 감지하는 유량 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기는 상기 유량 센서에 연결되어 상기 유량을 판단하는, 정화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정화 장치는,
    상기 필터유닛을 지지하며, 상기 유입공간과 상기 유출공간 사이에 위치하는 격벽을 더 포함하며,
    상기 격벽은 상기 필터유닛이 실장되는 필터개구와, 상기 필터개구의 일측에 위치하고 상기 측정챔버가 실장되는 챔버개구를 가지는, 정화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챔버는 상기 내부공간에 설치되며,
    상기 미정화유체 유입구 및 상기 정화유체 유입구는 상기 측정챔버의 외측에 위치하고 상기 유출구는 내측에 위치하는, 정화 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정화 장치는,
    상기 미정화유체 유입구를 개폐가능한 미정화유체 도어; 및
    상기 정화유체 유입구를 개폐가능한 정화유체 도어를 더 포함하되,
    미정화상태의 상기 유체가 상기 측정공간으로 이동하는 미정화유체 측정상태에서 상기 미정화유체 도어는 개방되고 상기 정화유체 도어는 폐쇄되며,
    정화상태인 상기 유체가 상기 측정공간으로 이동하는 정화유체 측정상태에서 상기 미정화유체 도어는 폐쇄되고 상기 정화유체 도어는 개방되는, 정화 장치.
KR1020190093664A 2019-08-01 2019-08-01 정화 장치 KR1022514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3664A KR102251456B1 (ko) 2019-08-01 2019-08-01 정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3664A KR102251456B1 (ko) 2019-08-01 2019-08-01 정화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5188A KR20210015188A (ko) 2021-02-10
KR102251456B1 true KR102251456B1 (ko) 2021-05-12

Family

ID=745614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3664A KR102251456B1 (ko) 2019-08-01 2019-08-01 정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145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4314B1 (ko) * 2021-10-05 2022-07-22 제이엘솔루션 주식회사 배출허용기준을 자동 적용하는 플라즈마를 이용한 스마트 공기 청정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4660B1 (ko) * 2004-03-19 2006-03-29 코아텍주식회사 오존과 유해가스 분해촉매물질을 이용한 공기정화장치
US9794981B2 (en) 2015-09-17 2017-10-17 Casio Computer Co., Lt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electronic timepiece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5188A (ko) 2021-0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06026B1 (ko) 미세먼지 필터 성능 테스트 장치
JP4096886B2 (ja) バイオハザード対策用キャビネット及びキャビネットフィルター交換時期検知方法
KR102375980B1 (ko) 공기의 압력차를 이용한 자동 필터 모듈 교환 장치
CN110678264B (zh) 生物安全柜及其排气管连接的检查方法
KR102251456B1 (ko) 정화 장치
KR20200091937A (ko) 가스 검출 장치
JP4942325B2 (ja) 空気浄化装置
KR101955512B1 (ko) 자동 흡입형 가스 검지기
JP2015190688A (ja) 換気装置
KR20160114846A (ko) 클린룸 시스템
CN108700316A (zh) 包括空气过滤器寿命指示器的空气净化器和用于确定空气过滤器的寿命的方法
KR101392960B1 (ko) 공조시스템의 필터 교환주기 알림장치용 압력측정유닛
US6074448A (en) Device for use in filtering separators
CN111289316A (zh) 用于高粉尘高湿度的气体采样系统
KR102453966B1 (ko) 무필터식 초소형 집진기가 내장된 유해가스 측정 경보 장치
KR101349812B1 (ko) 열회수형 환기장치
TWI654415B (zh) 流體取樣裝置
CN210109069U (zh) 一种带有混合仪的气体预处理装置及气体检测装置
JP2005279575A (ja) クリーンベンチ
KR20060018664A (ko) 공기 청정기
CN109932490B (zh) 一种带有反抽功能的气体预处理装置及气体检测装置
KR20220043526A (ko) 공기 청정기
CN210109070U (zh) 一种带有反抽功能的气体预处理装置及气体检测装置
KR20150028413A (ko) 압력센서를 이용한 집진기용 에어펄스 밸브의 오류감지시스템
JP5403858B2 (ja) 差圧検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