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33966A -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 Google Patents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33966A
KR20170133966A KR1020160065486A KR20160065486A KR20170133966A KR 20170133966 A KR20170133966 A KR 20170133966A KR 1020160065486 A KR1020160065486 A KR 1020160065486A KR 20160065486 A KR20160065486 A KR 20160065486A KR 20170133966 A KR20170133966 A KR 201701339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sensor
suction
air
du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54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36209B1 (ko
Inventor
김지홍
노진희
이양화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654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6209B1/ko
Priority to CN201710270195.5A priority patent/CN107435978B/zh
Publication of KR201701339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39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62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62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24F11/001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4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 F24F1/005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mounted in or on a wal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89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1/0023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7Casings or covers with control knobs; Mounting controlling members or control units there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24F2110/64Airborne particle cont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36Modules, e.g. for an easy mounting or transpo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 관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는, 케이싱의 측면부에 구비되는 센서 장치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센서 장치에는, 먼지량 감지를 위한 공기를 흡입하는 케이스 흡입부; 및 상기 케이스 흡입부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를 배출하는 케이스 토출부가 포함된다.

Description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본 발명의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 관한 것이다.
공기 조화기는 소정공간의 공기를 용도, 목적에 따라 가장 적합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기기이다. 일반적으로, 상기 공기 조화기에는, 압축기, 응축기, 팽창장치 및 증발기가 포함되며, 냉매의 압축, 응축, 팽창 및 증발과정을 수행하는 냉동 사이클이 구동되어, 상기 소정공간을 냉방 또는 난방할 수 있다.
상기 소정공간은 상기 공기 조화기는 사용되는 장소에 따라, 다양하게 제안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공기 조화기가 가정이나 사무실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 소정공간은 집 또는 건물의 실내 공간일 수 있다.
공기 조화기가 냉방 운전을 수행하는 경우, 실외기에 구비되는 실외 열교환기가 응축기 기능을 하며 실내기에 구비되는 실내 열교환기가 증발기 기능을 수행한다. 반면에, 공기 조화기가 난방 운전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실내 열교환기가 응축기 기능을 하며 상기 실외 열교환기가 증발기 기능을 수행한다.
공기 조화기는 설치위치에 따라, 직립형, 벽걸이 형 또는 천장형 타입으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직립형 공기 조화기는 실내공간에 세워지도록 설치되는 타입의 공기 조화기이며, 상기 벽걸이 형 공기 조화기는 벽면에 부착되도록 설치되는 타입의 공기 조화기로서 이해된다. 그리고, 상기 천장형 타입의 공기 조화기는 천장에 설치되는 타입의 공기 조화기로서 이해된다.
상기 공기 조화기에는, 먼지센서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먼지센서는 실내공간의 공기 중 포함된 먼지량을 감지하며, 상기 감지된 먼지량 정보에 기초하여, 공기 조화기의 운전이 제어될 수 있다.
본 출원인은 먼지 센서가 구비되는 공기 조화기와 관련하여 출원(이하, 선행 기술)을 실시하여 공개한 바 있다. 선행문헌의 정보는 아래와 같다.
1. 공개번호 (공개일) : 10-2006-0016003 (2006년 2월 21일)
2. 발명의 명칭 :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운전방법
상기 선행기술에 개시되는 분리형 공기조화기는 벽걸이형 타입의 공기조화기를 구성한다. 상기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는 필터 유닛에 장착되는 먼지 센서가 포함되며, 상기 먼지 센서는 상기 필터 유닛의 내부로 흡입되는 실내 공기와 접촉이 용이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배치에 의하여, 상기 먼지 센서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로 흡입되는 공기 중 먼지량을 감지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선행기술에 의하면, 흡입되는 공기의 유속이 상대적으로 빨라서 공기 중 포함된 먼지량을 정확하게 감지하는 것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즉, 공기 중 포함된 먼지가 감지되지 못하고, 먼지 센서에서 배출되는 현상이 나타났다.
그리고, 상기 먼지 센서가 필터 유닛의 출구측에 설치되면, 이미 소정의 먼지가 필터링 된 공기 중 먼지량을 측정하게 되므로, 실내공간의 먼지량을 정확하게 감지하는 것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먼지 센서가 실내기에 장착된 상태에서 장시간이 경과하면 먼지 센서내에 먼지가 퇴적하게 되고, 상기 퇴적된 먼지량이 증가하면 먼지 센서를 통한 정확한 먼지량 측정이 어렵게 된다. 이를 위하여, 먼지 센서를 청소해야 할 필요성이 나타나는데, 상기 선행기술에 의하면 먼지 센서가 실내기의 내부에 장착되므로 먼지센서를 분리하여 청소하는 것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실시예는 실내공간의 먼지량을 용이하게 감지하기 위한 센서장치가 구비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실내기에서 흡입 및 토출되는 기류에 영향을 받지 않고, 먼지 센서를 통한 먼지량 감지가 용이한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 장착된 먼지 센서의 분리 또는 청소가 용이한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먼지 센서로의 공기 유입을 원활하게 하여 먼지량 측정이 용이한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는, 케이싱의 측면부에 구비되는 센서 장치가 포함된다.
상기 센서 장치에는, 먼지량 감지를 위한 공기를 흡입하는 케이스 흡입부; 및 상기 케이스 흡입부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를 배출하는 케이스 토출부가 포함된다.
먼지량 감지를 위한 기류(B1,B2)는, 공기 조화를 위한 기류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발생된다.
상기 센서 장치에는, 상기 케이스 흡입부 및 케이스 토출부를 가지는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는 먼지 센서가 포함된다.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케이싱의 측면부에 결합되며, 제 1 체결부를 가지는 제 1 케이스가 포함된다.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제 1 체결부에 결합되는 제 2 체결부를 가지는 제 2 케이스가 더 포함된다.
상기 먼지 센서는, 상기 제 1,2 케이스의 내부공간에 설치된다.
상기 제 1 케이스에는, 상기 먼지 센서의 센서 기판을 지지하는 기판지지부 및 상기 케이싱 내부의 전원을 공급하기 위하여, 전기선이 통과하는 관통공이 포함된다.
상기 제 2 케이스에는, 상기 케이스 흡입부에 연통하며, 상기 케이스 흡입부에서 흡입된 공기를 상기 먼지 센서로 유입시키는 흡입 가이드부가 포함된다.
상기 제 2 케이스에는, 상기 케이스 토출부에 연통하며, 상기 먼지 센서를 통과한 공기를 상기 케이스 토출부로 가이드 하는 토출 가이드부가 더 포함된다.
상기 제 2 케이스에는, 상기 흡입 가이드부와 상기 토출 가이드부의 사이에 관통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먼지 센서로의 접근을 가이드 하는 센서 접근홀이 더 포함된다.
상기 제 2 케이스에는, 상기 흡입 가이드부로부터 상기 제 1 케이스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먼지 센서를 지지하는 센서지지부가 더 포함된다.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제 1 케이스 또는 상기 제 2 케이스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3 케이스가 더 포함된다.
상기 케이스 흡입부 및 상기 케이스 토출부는, 제 3 케이스에 형성된다.
상기 제 3 케이스에는, 공기의 흡입 및 토출을 가이드 하는 관통공이 형성된다.
상기 관통공에는, 상기 케이스 흡입부 및 상기 케이스 토출부가 포함된다.
상기 제 3 케이스에는, 상기 관통공의 양측에 구비되는 구획부가 더 포함된다.
상기 관통공의 하부는 상기 케이스흡입부를 형성하며, 상기 관통공의 상부는 상기 케이스토출부를 형성한다.
상기 관통공은, 원형 또는 타원형을 형성한다.
상기 먼지 센서에는, 상기 케이스에 지지되는 센서 기판; 및 상기 센서 기판의 일측에 구비되며, 광 송신부 및 광 수신부가 설치되는 센서 케이스가 포함된다.
상기 센서 케이스에는, 상기 케이스 흡입부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가 유입되는 센서 흡입부와, 상기 센서 케이스로부터 공기를 배출하여, 상기 케이스 토출부로 가이드 하는 센서 토출부 및 상기 센서 흡입부로부터 상기 센서 토출부를 향하여 상방으로 연장되는 센서유로가 포함된다.
다른 측면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는, 케이싱의 측면부에 구비되며, 청소홀을 가지는 먼지 센서가 구비되는 센서 장치가 포함된다.
상기 센서 장치에는, 상기 케이싱의 측면부에 결합되는 제 1 케이스; 상기 제 1 케이스에 결합되며, 상기 먼지 센서의 청소홀에 접근 가능한 센서 접근홀을 가지는 제 2 케이스; 및 상기 제 2 케이스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3 케이스가 포함된다.
상기 먼지 센서는, 상기 제 1,2 케이스의 내부공간에 설치된다.
상기한 실시예에 의하면, 실내기의 케이싱 측면부에 센서장치가 설치됨으로써, 실내기로 흡입되어 토출하는 기류의 영향을 받지 않으면서 센서장치를 통한 먼지량 측정이 용이하다는 효과가 나타난다. 특히, 센서장치로 유입되는 공기유동의 속도가 낮아서, 공기 중 포함된 먼지량의 정확한 측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센서장치에는,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는 먼지센서가 포함되어 상기 먼지센서가 케이스에 의하여 보호받을 수 있으므로, 먼지센서의 작동 신뢰성이 개선될 수 있다.
또한, 센서 장치는 실내기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으므로, 센서장치의 청소 또는 수리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센서 장치에 구비되는 케이스는 개방 가능하게 구비되므로, 상기 먼지센서로의 접근성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특히, 상기 케이스에는 제 1 내지 제 3 케이스가 포함되며, 제 3 케이스는 제 2 케이스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 2 케이스에는 먼지 센서에 접근할 수 있는 홀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제 3 케이스만을 분리하여 상기 제 2 케이스를 노출시키고, 상기 홀을 통하여 상기 먼지 센서에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다. 결국, 상기 센서 장치를 실내기로부터 분리하지 않고서도, 케이스만 개방하여 먼지 센서의 청소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제 3 케이스에 형성되는 케이스흡입부, 제 2 케이스에 형성되는 흡입부가이드 및 먼지 센서에 형성되는 센서 흡입부가 전후 방향으로 배열되고, 상기 케이스흡입부 또는 흡입부가이드는 상기 센서 흡입부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됨으로써, 센서장치로의 공기 흡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전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내기의 일부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III-III'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서 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서 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1 케이스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2 케이스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3 케이스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먼지 센서의 구성을 보여주는 전면도이다.
도 13은 도 4의 XIII-XIII'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서 장치에 있어서, 케이스흡입부의 크기에 따라 감지되는 먼지량의 차이를 보여주는 실험 그래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전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내기의 일부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III-III'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에는, 실내기(10)가 포함된다. 일례로, 상기 실내기(10)는 실내공간의 벽면에 설치되는 벽걸이형 실내기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실내기(10)에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싱(100)이 포함된다. 상기 케이싱(100)에는, 실내기의 전면 외관을 형성하는 전면부(101) 및 상기 전면부(101)의 양측에 구비되며 상기 전면부(101)로부터 벽면을 향하여 후방으로 연장되는 측면부(103)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싱(100)에는, 상기 측면부(103)의 후측에 배치되는 후면부(105)가 더 포함된다. 상기 후면부(105)는 상기 양 측면부(103)의 사이에 배치되며, 실내공간의 벽면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전면부(101), 양 측면부(103) 및 후면부(105)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내부 공간에는 실내기(10)에 구비되는 다수의 부품이 수용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부품에는, 열교환기(미도시) 및 팬(미도시)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실내기(10)에는, 상기 케이싱(100)의 상부에 배치되는 흡입그릴(120)이 더 포함된다. 상기 흡입그릴(120)은 상기 케이싱(100)의 상면부를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흡입그릴(120)에는, 실내공간의 공기를 실내기(10)의 내부로 흡입하는 흡입구(125)가 형성된다. 상기 흡입구(125)에서 흡입된 공기는 상기 열교환기를 통과하면서 냉각 또는 가열될 수 있다.
상기 실내기(10)에는, 상기 케이싱(100)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실내기(10)로 흡입된 공기가 배출되는 토출구(142)를 가지는 토출패널(140)이 더 포함된다. 상기 토출구(142)에는, 움직임 가능하게 제공되어 상기 토출구(142)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토출방향 또는 풍량을 조절하는 토출베인(145)이 설치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토출베인(145)은, 상기 토출베인(145)의 양단에 구비되는 힌지축을 중심으로 전후방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팬이 구동하면, 실내공간의 공기는 상기 흡입그릴(120)을 통하여 상기 실내기(10)의 내부로 흡입되어 상기 열교환기에서 열교환 된다. 그리고, 상기 열교환 된 공기는 상기 토출구(142)를 통하여 배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실내기로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부가 실내기의 상부에 위치되며, 공기를 배출하는 토출부가 실내기의 하부에 위치하는 것으로 설명하였다. 다만, 이와는 반대로, 상기 흡입부가 실내기의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토출부가 상기 실내기의 상부에 위치할 수도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케이싱(100)의 전면부(101)에는, 추가적인 흡입부 또는 토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
정리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실내기(10)는, 상부 흡입 및 하부 토출, 하부 흡입 및 상부 토출, 전면 흡입 및 하부 토출, 상부 흡입 및 전면 토출등의 기류가 발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케이싱(100)의 측면부(103)에는, 실내공간의 공기 중 포함된 먼지량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장치(20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센서장치(200)가 상기 측면부(103)에 설치됨으로써, 상기 실내기(10)를 통한 흡입 및 토출기류에 영향을 받지 않고, 센서장치(200)로 소량의 공기만을 흡입하여 먼지량을 감지할 수 있다.
상세히, 도 2를 참조하면, 실내공간의 공기는 상기 실내기(10)의 상측에서 상기 흡입부(125)를 통하여 실내기(10)의 내부로 흡입될 수 있다 (흡입기류 A1). 상기 실내기(10)의 내부에서 열교환 된 공기는 상기 토출구(142)를 통하여 상기 실내기(10)의 전방 또는 하방으로 토출될 수 있다 (토출기류 A2).
상기 센서장치(200)는 상기 측면부(103)에 설치된다. 상기 센서장치(200)에는, 먼지량 감지를 위한 공기를 흡입하는 케이스흡입부(255) 및 상기 먼지량 감지후 공기를 실내공간을 배출하기 위한 케이스토출부(256)가 포함된다. 상기 센서장치(200)의 주변에 존재하는 실내공기는 상기 케이스흡입부(255)를 통하여 상기 센서장치(200)의 내부로 흡입될 수 있다 (센서흡입기류 B1). 그리고, 상기 센서장치(200)의 내부에서 먼지량이 감지된 공기는 상기 케이스토출부(256)를 통하여 상기 센서장치(20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센서토출기류 B2).
이와 같이, 상기 센서장치(200)가 상기 측면부(103)에 설치되어, 상기 센서흡입기류(B1) 및 센서토출기류(B2)가 상기 흡입기류(A1) 및 토출기류(A2)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발생될 수 있다. 결국, 상기 센서흡입기류(B1) 및 센서토출기류(B2)는 상기 흡입기류(A1) 및 토출기류(A2)에 영향을 받지 않으므로, 센서장치(200)로 유입되는 공기유동의 속도가 낮아지게 되고, 이에 따라 공기 중 포함된 먼지량의 정확한 측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센서장치(200)는 상기 케이싱(100)의 측면부(103)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센서장치(200)에는, 결합돌기(212a)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측면부(103)에는, 상기 결합돌기(212a)가 결합될 수 있는 측면결합부(103a)가 포함된다.
상기 측면 결합부(103a)에는, 상기 결합돌기(212a)가 삽입될 수 있는 홀 또는 홈이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결합돌기(212a)에는 탄성 변형이 가능한 후크 타입의 돌기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결합돌기(212a)는 상기 측면 결합부(103a)에 착탈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센서장치(200)는 상기 실내기(10)에 착탈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상기 센서장치(200)의 청소 또는 수리가 필요할 때, 상기 센서장치(200)를 상기 실내기(10)로부터 분리하여 청소 또는 수리를 편하게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센서장치(200)를 분리하여 다른 실내기에 결합하거나, 다른 실내공간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특히, 주거공간 또는 사무공간에 다수의 구획된 공간 또는 룸이 존재하고 각 공간에 실내기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 상기 센서장치(200)가 하나만 존재하더라도 먼지량 측정이 필요한 공간의 실내기에 결합 및 분리해 가면서 먼지량 측정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서 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서 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1 케이스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서장치(200)에는, 케이스(210,230,250) 및 상기 케이스(210,230,250)의 내부에 설치되는 먼지 센서(270)가 포함된다.
상기 케이스(210,230,250)에는, 상기 케이싱(100)의 측면부(103)에 결합되는 제 1 케이스(210)와, 상기 제 1 케이스(210)의 전방에 결합되는 제 2 케이스(230) 및 상기 제 2 케이스(230)의 전방에 결합되는 제 3 케이스(250)가 포함된다.
방향을 정의한다. 실내기(10) 전체의 구성을 기준으로 보면, 상기 제 1 내지 제 3 케이스(210,230,250)는 케이싱(100)의 측방으로 배열되는 것으로 볼 수 있으나, 상기 실내기(10)를 측방에서 바라보면, 상기 제 1 케이스(210)는 상기 센서장치(200)의 후방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 3 케이스(250)는 상기 센서장치(200)의 전방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상기 제 3 케이스(250)가 상기 센서장치(200)의 전면을 형성하고 상기 제 1 케이스(210)는 상기 센장치(200)의 후면을 형성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상기 센서장치(200)의 전방부에는, 공기를 흡입하는 케이스흡입부(255) 및 공기를 배출하는 케이스토출부(256)가 형성된다. 즉, 상기 센서장치(200)는, 공기를 전방으로부터 흡입하여 먼지량을 감지하고 상기 센서장치(200)의 전방으로 배출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 1 케이스(210)에는, 상기 먼지 센서(270)의 설치공간을 형성하는 제 1 케이스본체(211)가 포함된다. 상세히, 상기 제 1 케이스본체(211)에는 상기 케이싱(100)의 측면부(103)에 결합되는 케이싱결합부(212) 및 상기 케이싱결합부(212)의 외주면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는 테두리부(213)가 포함된다.
상기 케이싱결합부(212)는 원판 형상을 가지며, 상기 테두리부(213)는 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케이싱결합부(212)와 상기 테두리부(213)의 구성에 의하여, 상기 제 1 케이스본체(211)는 전방부가 개구된 원통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케이싱결합부(212)에는, 상기 측면부(103)의 측면결합부(103a)에 결합되는 결합돌기(212a)가 구비된다. 상기 결합돌기(212a)는 상기 케이싱결합부(212)의 후면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1 케이스(210)에는, 먼지 센서(270)의 센서기판(271)을 지지하는 기판지지부(214)가 포함된다. 상기 기판지지부(214)는 상기 케이싱결합부(212)의 전면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기판지지부(214)는 센서기판(271)의 외면을 지지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센서기판(271)의 형상에 대응하여 다수 회 절곡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 1 케이스(210)에는, 상기 센서기판(271)의 일면을 지지하는 지지돌기(215)가 더 포함된다. 상기 지지돌기(215)는 상기 케이싱결합부(212)의 전면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며, 다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기판지지부(214)는 상기 센서기판(271)을 둘러싸도록 배치되며, 상기 지지돌기(215)는 상기 기판지지부(214)의 내측에서, 상기 센서기판(271)의 후면을 지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1 케이스(210)에는, 상기 제 2 케이스(230)에 결합되는 제 1 체결부(216)가 더 포함된다. 상기 제 1 체결부(216)는 상기 케이싱결합부(212)의 전면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소정의 체결부재는 상기 제 1 체결부(216)에 결합되어 상기 제 2 케이스(230)로 연장되며, 상기 제 2 케이스(230)의 제 2 체결부(236)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 1,2 체결부(216,236)의 결합에 의하여, 상기 제 1,2 케이스(210,230)는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 1 케이스(210)에는, 관통공(217)이 형성된다. 상기 관통공(217)에는 전기선이 통과될 수 있다. 상기 전기선은 상기 실내기(10)의 내부 부품에 연결되며, 상기 먼지 센서(270)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실내기(10)의 전원은 상기 전기선을 통하여 상기 먼지 센서(270)로 전원 공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먼지센서(270)의 전기적 신호는 상기 전기선을 통하여 상기 실내기(10)의 제어부(미도시)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 테두리부(213)에는, 상기 제 3 케이스(250)에 결합되는 제 1 후크(218)가 더 포함된다. 상기 제 1 후크(218)는 상기 제 3 케이스(250)의 테두리부에 구비되는 제 2 후크(258)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 1,2 후크(218,258)는 서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2 후크(218,258)는 각각 다수 개씩 구비될 수 있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2 케이스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2 케이스(230)에는, 상기 제 1 케이스(210)에 결합되는 제 2 케이스본체(231)가 포함된다. 상기 제 2 케이스본체(231)는 대략 원판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 2 케이스본체(231)에는, 다수의 관통공이 형성된다. 상기 다수의 관통공에는, 상기 제 3 케이스(250)의 케이스흡입부(255)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를 상기 먼지센서(270)로 안내하는 제 1 관통공(232)이 포함된다. 상기 제 1 관통공(232)을 "흡입가이드부"라 이름할 수 있다.
상기 제 1 관통공(232)의 하부에는, 상기 먼지센서(270)를 지지하는 센서 지지부(23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센서 지지부(235)는, 상기 제 2 케이스본체(231)의 후면으로부터 상기 제 1 케이스(210)를 향하여 후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먼지센서(270)의 하부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관통공에는, 상기 먼지센서(270)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를 상기 제 3 케이스(270)의 케이스토출부(256)로 안내하는 제 2 관통공(233)이 더 포함된다. 상기 제 2 관통공(233)을 "토출가이드부"라 이름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관통공에는, 상기 먼지센서(270)에 접근하기 위하여 관통 형성되는 제 3 관통공(234)이 더 포함된다. 상기 제 3 관통공(234)을 "센서 접근홀"이라 이름할 수 있다.
상기 센서 접근홀(234)은 상기 먼지 센서(270)의 청소홀(275)에 연통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센서 접근홀(234)은 상기 청소홀(275)의 전방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 3 케이스(270)가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청소홀(275)은 상기 센서 접근홀(234)을 통하여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센서 접근홀(234) 및 청소홀(275)을 통하여 상기 먼지센서(270)에 접근하여, 상기 먼지센서(270)의 청소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 2 관통공(233)은 상기 제 1 관통공(232)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상기 먼지센서(270)의 센서 토출부(274)는 센서 흡입부(273)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배치는, 먼지센서(270)의 유동, 즉 상기 먼지 센서(270)의 하부로 흡입되는 공기가 상기 먼지 센서(270)의 상부로 유동하는 것에 기인한다.
그리고, 상기 제 3 관통공(234)은 상기 제 1 관통공(232)과 상기 제 2 관통공(233)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 3 관통공(234)은 상기 센서 접근홀(234)과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먼지센서(270)의 내부에서의 공기 유로, 즉 센서유로(279, 도 13 참조)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센서유로(279)는 상기 센서 흡입부(273)로부터 상기 센서 토출부(274)를 향하여 상방으로 연장되는 공기 유로로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제 1~3 관통공(232,233,234)은 구획리브(239)에 의하여 구획될 수 있다. 상기 구획리브에는, 상기 제 1 관통공(232)과 상기 제 3 관통공(234)을 구획하는 제 1 구획리브 및 상기 제 3 관통공(234)과 상기 제 2 관통공(233)을 구획하는 제 2 구획리브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 2 케이스본체(231)에는, 상기 제 1 케이스(210)에 결합되는 제 2 체결부(236)가 더 포함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소정의 체결부재는 상기 제 2 체결부재(236)와 상기 제 1 케이스(210)의 제 1 체결부(216)에 결합되어, 상기 제 1,2 케이스(210,230)의 결합을 가이드 한다. 상기 제 2 체결부(236)는 상기 제 2 케이스본체(231)의 양측에 다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2 케이스 본체(231)에는, 상기 제 3 케이스(250)에 결합되는 제 3 체결부(237)가 포함된다. 상기 제 3 체결부(237)는 상기 제 3 케이스(250)에 구비되는 제 4 체결부(257)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3 체결부(237)에는 체결공이 포함되며, 상기 제 4 체결부(257)에는 상기 체결공에 삽입되는 후크가 포함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상기 제 3 체결부(237)에는 후크가 포함되며, 상기 제 4 체결부(257)에는 상기 후크가 삽입되는 체결공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 3 체결부(237)는 상기 제 2 케이스본체(231)의 양측에 다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3 케이스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3 케이스(250)에는, 상기 제 1 케이스(210) 및 상기 제 2 케이스(230)에 결합되는 제 3 케이스본체(251)가 포함된다. 일례로, 상기 제 3 케이스본체(251)는 대략 원판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 3 케이스(250)에는, 실내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케이스흡입부(255) 및 상기 먼지센서(270)를 통과한 공기를 실내공간으로 토출하기 위한 케이스토출부(256)가 포함된다. 상기 케이스흡입부(255) 및 상기 케이스토출부(256)에는, 상기 제 3 케이스본체(251)의 전후방이 관통되는 관통공이 각각 포함된다.
상기 케이스토출부(256)는 상기 케이스흡입부(255)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배치는, 상기 제 2 케이스(230)의 제 2 관통공(233)이 상기 제 1 관통(232)의 상측에 위치하는 배치, 및 상기 먼지센서(270)의 센서 토출부(274)가 상기 센서 흡입부(273)의 상측에 위치하는 배치에 대응될 수 있다.
상기 제 3 케이스(250)에는, 상기 케이스흡입부(255)와 상기 케이스토출부(256)를 구획하는 구획부(254)가 더 포함된다. 상기 구획부(254)의 하측에는 상기 케이스흡입부(255)가 형성되며, 상기 구획부(254)의 상측에는 상기 케이스토출부(256)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구획부(254)는 상기 케이스흡입부(255) 및 상기 케이스토출부(256)의 양측에 다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흡입부(255)는 대략 반원 또는 반 타원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토출부(256)는 상기 케이스흡입부(255)의 상측에서, 대략 반원 또는 반 타원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케이스흡입부(255)와 상기 케이스토출부(256)의 형상은 동일하며, 동일한 면적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형상에 의하여, 상기 센서 장치(200)의 전방에 존재하는, 상대적으로 넓은 영역의 실내공기가 상기 케이스흡입부(255)로 용이하게 흡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흡입부(255)와 상기 케이스토출부(256)가 서로 대응되는 형상 및 면적을 가지므로, 상기 센서유로(279)를 지나는 공기의 압력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
다른 관점에서 설명한다.
상기 제 3 케이스본체(251)에는, 공기의 흡입 및 토출을 가이드 하는 관통공(255,256)이 형성된다. 상기 관통공(255,256)은, 대략 원형 또는 타원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 본체(251)에는, 상기 관통공(255,256)의 양측에 구비되는 구획부(254)가 더 포함된다. 상기 구획부(254)에 의하여, 상기 관통공의 하부는 상기 케이스흡입부(255)를 형성하며, 상기 관통공의 상부는 상기 케이스토출부(256)를 형성한다.
상기 제 3 케이스(250)에는, 상기 제 1 케이스(210)에 결합되는 제 2 후크(258)가 더 포함된다. 상기 제 2 후크(258)는 상기 제 3 케이스본체(251)의 후면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된다. 상기 제 2 후크(258)는 상기 케이스본체(251)의 테두리를 따라 다수 개가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후크(258)는 상기 제 1 케이스(210)의 제 1 후크(218)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 3 케이스(250)에는, 상기 제 2 케이스(23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4 체결부(257)가 더 포함된다. 상기 제 4 체결부(257)는 상기 구획부(254)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 4 체결부(257)는, 상기 구획부(254)의 수에 대응하여, 다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먼지 센서의 구성을 보여주는 전면도이고, 도 13은 도 4의 XIII-XIII'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먼지 센서(270)는 상기 제 1,2 케이스(210,230)가 이루는 내부공간에 설치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상기 먼지 센서(270)는 상기 제 1 케이스(210)와 상기 제 2 케이스(23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먼지 센서(270)에는, 단자부(285)가 구비되는 센서 기판(271) 및 상기 센서 기판(271)에 결합되며 히터(283) 및 광 송수신부(281,282)가 내장되는 센서 케이스(272)가 포함된다. 상기 단자부(285)는, 전기선 또는 상기 전기선이 연결되는 소정의 커넥터가 접속될 수 있는 구성으로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센서 케이스(272)의 내부에는, 먼지량이 감지될 공기의 유로, 즉 센서유로(279)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센서 케이스(272)에는, 상기 제 3 케이스(250) 및 상기 제 2 케이스(230)를 통과한 공기가 흡입되는 센서 흡입부(273)가 더 포함된다. 상기 센서 흡입부(273)는 상기 센서 케이스(272)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센서 케이스(272)의 전면이 관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센서 흡입부(273)의 일측에는, 상기 히터(283)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히터(283)는 상기 센서 흡입부(273)의 주변 공기온도를 상승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히터(283)가 구동하면, 상기 센서 흡입부(273) 주변의 공기 온도가 상승하여 밀도가 감소하고 그에 따라 압력이 낮아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센서 장치(200)의 주변, 즉 상기 케이스흡입부(255)의 주변에 존재하는 공기의 압력이 상대적으로 높아지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케이스흡입부(255)로부터 상기 센서 흡입부(273)를 향한 공기유동이 발생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센서 흡입부(273)를 통하여 흡입되는 공기는, 감소된 밀도에 의하여 상방으로 유동하는 경향을 나타낸다. 따라서, 상기 센서유로(279)는 상기 센서 흡입부(273)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센서유로(279)의 상측에는,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센서 토출부(27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센서 토출부(274)는 상기 센서 케이스(272)의 전면이 관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센서 토출부(274)는 상기 센서 흡입부(273)의 상측에 배치된다. 이러한 배치에 의하여, 상기 케이스토출부(256)는 상기 케이스흡입부(255)의 상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 2 관통공(233)은 상기 제 1 관통공(232)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센서유로(279)의 양측에는, 광 송수신부(281,282)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광 송수신부(281,282)에는, 상기 센서유로(279)의 일측에 배치되며 빛을 조사하는 광 송신부(281)가 포함된다. 일례로, 상기 광 송신부(281)에는,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광 송수신부(281,282)에는, 상기 센서유로(279)의 타측에 배치되며 상기 광 송신부(281)에서 조사된 빛이 상기 센서유로(279)를 유동하는 공기에 작용할 때, 상기 공기 중 포함된 먼지에 의하여 산란된 빛의 감도를 측정하는 광 수신부(282)가 포함된다. 일례로, 상기 광 수신부(282)에는, 포토 다이오드 감지기(Photodiode detector)가 포함될 수 있다. 공기 중 포함된 먼지량이 많을수록, 상기 광 수신부(282)로 수신되는 빛의 감도는 낮아지며, 출력 전압값은 높아질 수 있다. 즉, 빛의 감도와 출력 전압값은 반비례 할 수 있다.
상기 센서 케이스(272)에는, 상기 먼지 센서(270)의 청소를 위하여 사용자의 접근이 가능한 청소홀(275)이 포함된다. 상기 청소홀(275)은 상기 센서 케이스(272)의 전면 중 적어도 일부분이 개구되어 형성된다. 상기 청소홀(275)의 전방에는, 상기 제 2 케이스(230)의 센서 접근홀(234)이 배치되며, 상기 센서 접근홀(234)의 전방은 상기 제 3 케이스(250)에 의하여 차폐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청소홀(275)을 통하여 상기 먼지 센서(270)의 내부에 퇴적된 먼지등 이물을 청소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먼저 상기 제 3 케이스(250)를 상기 제 1 케이스(210) 및 상기 제 2 케이스(230)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센서 접근홀(234)이 외부로 노출되며, 사용자는 상기 제 2 케이스(230)를 분리할 필요없이, 상기 센서 접근홀(234)을 통하여 상기 청소홀(275)에 접근할 수 있고, 용이하게 상기 먼지 센서(270)를 청소할 수 있다.
상기 제 1 케이스(250)의 케이스흡입부(255)와, 상기 제 2 케이스(230)의 제 2 관통공(232) 및 상기 먼지 센서(270)의 센서 흡입부(273)는 전후 방향으로 일려로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케이스흡입부(255)는 상기 센서 장치(200)의 전면에 형성되며, 상기 제 2 관통공(232) 및 상기 센서 흡입부(273)는 상기 케이스흡입부(255)로부터 후방으로 이격되어 차례로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배치에 의하여, 실내공기는 상기 케이스흡입부(255) 및 상기 제 2 관통공(232)을 거쳐 상기 센서 흡입부(273)로 용이하게 흡입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흡입부(255)의 직경(d1)은 상기 센서 흡입부(273)의 직경(d3)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관통공(232)의 직경(d2)은 상기 센서 흡입부(273)의 직경(d3)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상기 센서 흡입부(273)의 입구측 유로가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므로, 유동 저항이 적게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공기의 흡입유량이 충분히 생성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먼지 센서(270)를 통한 먼지량 감지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광수신부(282)를 통하여 얻어지는 출력 전압값은 미리 설정된 전압값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먼지량 감지를 위하여 요구되는 센서 감도를 만족시키는 수준일 수 있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여, 상기 센서 장치(200)의 작용에 대하여 간단하게 설명한다.
상기 센서장치(200)의 히터(283)가 구동되면, 상기 센서 흡입부(273)측의 공기온도가 상승하고 밀도가 감소하여 상기 센서장치(200)의 외부(전방)로부터 상기 센서 흡입부(273)를 향한 공기 유동이 발생한다(P1). 이 때, 공기는 상기 케이스흡입부(255) 및 상기 제 2 관통공(232)을 거쳐 상기 센서 흡입부(273)로 흡입될 수 있다.
상기 센서 흡입부(273)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는 상기 센서유로(279)를 따라 상승하며, 이 때 공기 중 포함된 먼지 입자(P)도 함께 상승한다. 상기 광 송신부(281)로부터 빛이 조사되고(L1), 조사된 빛은 상기 먼지 입자에 작용하여 산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산란된 빛은 상기 광 수신부(282)에 의하여 수신되며(L2), 수신된 빛의 감도는 출력 전압값으로 변환될 수 있다. 상기 출력 전압값에 기초하여, 먼지량이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센서유로(279)를 따라 상승한 공기는 상기 센서 토출부(274)를 통하여 배출된다. 상기 센서 토출부(274)는 상기 센서 장치(200)의 전면부에 구비되므로, 공기는 상기 센서 토출부(274)를 통하여 상기 센서 장치(200)의 전방으로 배출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서 장치에 있어서, 케이스흡입부의 크기에 따라 감지되는 먼지량의 차이를 보여주는 실험 그래프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흡입부(255)의 직경(d1)은 상기 센서 흡입부(273)의 직경(d3)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도 14의 그래프는, 상기 센서 흡입부(273)의 직경을 4mm로 설정하고, 상기 케이스흡입부(255)의 직경을 달리하여 가면서, 가로축의 먼지량 농도 변화에 따라, 감지(카운팅)되는 먼지입자의 수의 변화를 보여준다.
그래프 상의 기준값은, 상기 센서 흡입부(273)의 입구측에, 센서장치의 구조에 따른 유동저항이 전혀 발생하지 않는 상태, 즉 상기 센서 흡입부(273)의 입구측이 완전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 공기의 흡입유량이 최대인 상태로 볼 수 있다. 일례로, 먼지농도가 300μg/m3일 때, 카운팅 되는 먼지입자의 수는 약 900개, 250μg/m3일 때, 카운팅 되는 먼지입자의 수는 약 800개일 수 있다.
반면에, 상기 케이스흡입부(255)의 직경이 상기 센서 흡입부(273)의 직경보다 작은 2.5mm인 경우, 상기 제 3 케이스(250)가 상기 센서 흡입부(273)의 일부분을 막아버리는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 이는 공기의 흡입유동에 저항으로서 작용하여, 카운팅 되는 먼지입자의 수가 줄어들 수 있다. 일례로, 먼지농도가 300μg/m3일 때, 카운팅 되는 먼지입자의 수는 약 630개, 250μg/m3일 때, 카운팅 되는 먼지입자의 수는 약 580개일 수 있다.
상기 케이스흡입부(255)의 직경이 상기 센서 흡입부(273)의 직경과 동일한 4mm인 경우, 상기 센서 흡입부(273)의 입구측이 많이 개방된 상태에 있을 수 있다. 이 때, 흡입되는 공기는 상기 센서 흡입부(273)의 상측,하측 및 전방에서 각각 유입되므로, 상기 케이스흡입부(255)이 직경과 상기 센서 흡입부(273)의 직경이 동일하더라도, 공기 유동측면에서 볼 때 완전히 개방되었다고 보기는 어려울 것이다. 즉, 유동 저항이 발생할 수는 있다.
다만, 상기 케이스흡입부(255)의 직경이 2.5mm인 경우에 비교할 때, 흡입유동에 대한 저항은 줄어들게 되며, 이에 따라 카운팅 되는 먼지입자의 수가 줄어들 수 있다. 일례로, 먼지농도가 300μg/m3일 때, 카운팅 되는 먼지입자의 수는 약 820개, 250μg/m3일 때, 카운팅 되는 먼지입자의 수는 약 700개일 수 있다.
상기 케이스흡입부(255)의 직경이 상기 센서 흡입부(273)의 직경보다 큰 6mm인 경우, 상기 센서 흡입부(273)의 입구측이 거의 개방된 상태에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케이스흡입부(255)의 직경이 4mm인 경우에 비교할 때, 흡입유동에 대한 저항은 더욱 줄어들게 되며, 이에 따라 카운팅 되는 먼지입자의 수가 줄어들 수 있다. 일례로, 먼지농도가 300μg/m3일 때, 카운팅 되는 먼지입자의 수는 약 840개, 250μg/m3일 때, 카운팅 되는 먼지입자의 수는 약 720개일 수 있다.
다만, 상기 케이스흡입부(255)의 직경이 4mm인 경우와 6mm인 경우, 카운팅 되는 먼지입자의 수의 차이는 크지 않다. 상기 케이스흡입부(255)의 직경이 4mm일 때 카운팅되는 먼지입자의 수는, 요구되는 수준, 즉 300μg/m3일 때 카운터 되어야 할 수인 800개, 250μg/m3일 때, 카운터 되어야 할 수인 650개 이상으로 확인된다.
정리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흡입부(255)의 직경은 상기 센서 흡입부(273)의 직경과 같거나, 그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충분한 흡입유량을 발생시킬 수 있고, 먼지량 감지가 용이해질 수 있다.
10 : 실내기 100 : 케이싱
101 : 측면부 103 : 측면부
120 : 흡입그릴 140 : 토출패널
200 : 센서 장치 210 : 제 1 케이스
230 : 제 2 케이스 250 : 제 3 케이스
255 : 케이스 흡입부 256 : 케이스 토출부
270 : 먼지 센서 273 : 센서 흡입부
274 : 센서 토출부 283 : 히터

Claims (17)

  1. 전면부, 측면부 및 벽면에 결합되는 후면부가 포함되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상부에 구비되며, 조화될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그릴;
    상기 케이싱의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흡입그릴을 통하여 흡입된 공기를 배출하는 토출패널; 및
    상기 케이싱의 측면부에 구비되는 센서 장치가 포함되며,
    상기 센서 장치에는,
    먼지량 감지를 위한 공기를 흡입하는 케이스 흡입부; 및
    상기 케이스 흡입부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를 배출하는 케이스 토출부가 포함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흡입부로부터 상기 케이스 토출부를 향하는 기류(B1,B2)는,
    상기 흡입그릴로부터 상기 토출패널을 향하는 기류(A1,A2)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장치에는,
    상기 케이스 흡입부 및 케이스 토출부를 가지는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어, 공기 중 먼지량을 감지하는 먼지 센서가 포함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케이싱의 측면부에 결합되며, 제 1 체결부를 가지는 제 1 케이스; 및
    상기 제 1 체결부에 결합되는 제 2 체결부를 가지는 제 2 케이스가 포함되고,
    상기 먼지 센서는, 상기 제 1,2 케이스의 내부공간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케이스에는,
    상기 먼지 센서의 센서 기판을 지지하는 기판지지부; 및
    상기 케이싱 내부의 전원을 공급하기 위하여, 전기선이 통과하는 관통공이 포함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케이스에는,
    상기 케이스 흡입부에 연통하며, 상기 케이스 흡입부에서 흡입된 공기를 상기 먼지 센서로 유입시키는 흡입 가이드부; 및
    상기 케이스 토출부에 연통하며, 상기 먼지 센서를 통과한 공기를 상기 케이스 토출부로 가이드 하는 토출 가이드부가 포함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케이스에는,
    상기 흡입 가이드부와 상기 토출 가이드부의 사이에 관통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먼지 센서로의 접근을 가이드 하는 센서 접근홀이 포함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케이스에는,
    상기 흡입 가이드부로부터 상기 제 1 케이스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먼지 센서를 지지하는 센서지지부가 더 포함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9.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제 1 케이스 또는 상기 제 2 케이스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3 케이스가 포함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흡입부 및 상기 케이스 토출부는, 제 3 케이스에 형성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케이스에는, 공기의 흡입 및 토출을 가이드 하는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공에는, 상기 케이스 흡입부 및 상기 케이스 토출부가 포함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케이스에는,
    상기 관통공의 양측에 구비되는 구획부가 더 포함되며,
    상기 관통공의 하부는 상기 케이스흡입부를 형성하며, 상기 관통공의 상부는 상기 케이스토출부를 형성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공은, 원형 또는 타원형을 형성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1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먼지 센서에는,
    상기 케이스에 지지되는 센서 기판; 및
    상기 센서 기판의 일측에 구비되며, 광 송신부 및 광 수신부가 설치되는 센서 케이스가 포함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케이스에는,
    상기 케이스 흡입부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가 유입되는 센서 흡입부;
    상기 센서 케이스로부터 공기를 배출하여, 상기 케이스 토출부로 가이드 하는 센서 토출부; 및
    상기 센서 흡입부로부터 상기 센서 토출부를 향하여 상방으로 연장되는 센서유로가 포함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16. 전면부, 측면부 및 벽면에 결합되는 후면부가 포함되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상부에 구비되며, 조화될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그릴;
    상기 케이싱의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흡입그릴을 통하여 흡입된 공기를 배출하는 토출패널; 및
    상기 케이싱의 측면부에 구비되며, 청소홀을 가지는 먼지 센서가 구비되는 센서 장치가 포함되며,
    상기 센서 장치에는,
    상기 케이싱의 측면부에 결합되는 제 1 케이스;
    상기 제 1 케이스에 결합되며, 상기 먼지 센서의 청소홀에 접근 가능한 센서 접근홀을 가지는 제 2 케이스; 및
    상기 제 2 케이스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3 케이스가 포함되고,
    상기 먼지 센서는, 상기 제 1,2 케이스의 내부공간에 설치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케이스에는,
    상기 센서 유로로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케이스 흡입부; 및
    상기 센서 유로를 통과한 공기가 배출되는 케이스 토출부가 포함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KR1020160065486A 2016-05-27 2016-05-27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KR1019362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5486A KR101936209B1 (ko) 2016-05-27 2016-05-27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CN201710270195.5A CN107435978B (zh) 2016-05-27 2017-04-24 空气调节器的室内机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5486A KR101936209B1 (ko) 2016-05-27 2016-05-27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3966A true KR20170133966A (ko) 2017-12-06
KR101936209B1 KR101936209B1 (ko) 2019-01-08

Family

ID=604585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5486A KR101936209B1 (ko) 2016-05-27 2016-05-27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36209B1 (ko)
CN (1) CN107435978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49675A1 (ko) * 2019-01-16 2020-07-23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CN114623544A (zh) * 2020-12-14 2022-06-14 Lg电子株式会社 空气净化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99919A (ko) * 2020-02-05 2021-08-13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10280A (ko) * 2008-07-22 2010-02-01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청정기
JP2015124914A (ja) * 2013-12-25 2015-07-06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清浄機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02120B2 (ja) * 1989-10-25 1998-09-24 松下冷機株式会社 ガス・粉塵検出装置を備えた空気調和機
KR100372615B1 (ko) * 2000-07-22 2003-02-17 만도공조 주식회사 에어컨의 제어 센서 설치용 패널 구조
CN100337072C (zh) * 2004-08-24 2007-09-12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空气净化器的过滤装置
CN1755256A (zh) * 2004-09-30 2006-04-05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分离型空调机的运作方法
KR100871540B1 (ko) * 2007-06-14 2008-12-05 웅진코웨이주식회사 회전식 파티클 센서 조립체
JP6177734B2 (ja) * 2014-07-22 2017-08-09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清浄機
CN104374046B (zh) * 2014-10-27 2017-10-31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空调器过滤网的清洁提醒方法和系统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10280A (ko) * 2008-07-22 2010-02-01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청정기
JP2015124914A (ja) * 2013-12-25 2015-07-06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清浄機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49675A1 (ko) * 2019-01-16 2020-07-23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EP3913296A4 (en) * 2019-01-16 2023-01-11 LG Electronics Inc.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ING SYSTEM
CN114623544A (zh) * 2020-12-14 2022-06-14 Lg电子株式会社 空气净化器
CN114623544B (zh) * 2020-12-14 2024-01-23 Lg电子株式会社 空气净化器
US11898777B2 (en) 2020-12-14 2024-02-13 Lg Electronics Inc. Air clea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6209B1 (ko) 2019-01-08
CN107435978B (zh) 2020-08-11
CN107435978A (zh) 2017-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6209B1 (ko)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US9061229B1 (en) Detector for clogged filters
KR101996058B1 (ko) 인공지능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CN106016450A (zh) 空调机的室内机
KR102380087B1 (ko) 공기조화기 및 그의 동작 방법
CN110486773B (zh) 油烟机的控制方法和油烟机
JP2013160449A (ja) エアフィルタの目詰まり検知装置
CN110542139A (zh) 油烟机的控制方法和油烟机
KR20180124556A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50113793A (ko) 제습기
WO2011015133A1 (zh) 冰霜检测装置、热泵型空调器及其除霜控制方法
CN110486889A (zh) 空调器及其控制方法
KR102490849B1 (ko) 천장형 공기 조화기
KR20170083793A (ko) 먼지 센서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
KR20210016965A (ko) 차량용 복합 기능 센서
CN206832268U (zh) 激光传感器
KR20200088609A (ko) 공기 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CN115135933B (zh) 用于空调器单元的气体传感系统
CN115046260A (zh) 烟机结构及空调烟机
KR101926104B1 (ko) 천장형 공기 조화기
KR20180086944A (ko) 천장형 공기 조화기
KR20200090345A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CN211577754U (zh) 一种中央空调用恒温控制装置
KR20180065712A (ko) 천장형 공기 조화기
KR20170058100A (ko) 공기 조화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