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13793A - 제습기 - Google Patents

제습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13793A
KR20150113793A KR1020140094291A KR20140094291A KR20150113793A KR 20150113793 A KR20150113793 A KR 20150113793A KR 1020140094291 A KR1020140094291 A KR 1020140094291A KR 20140094291 A KR20140094291 A KR 20140094291A KR 20150113793 A KR20150113793 A KR 201501137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tank
case
tank
water
dehumidif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42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25092B1 (ko
Inventor
윤상준
윤상연
전일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501137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37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50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50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24F3/1405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in which the humidity of the air is exclusively affected by contact with the evaporator of a closed-circuit cooling system or heat pump circu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30Arrangement or mounting of heat-exchang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24F2003/14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only
    • F24F2003/1446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only by condens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26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mproving the aesthetic appearan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36Modules, e.g. for an easy mounting or transpo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rying Of Gases (AREA)
  • Devices For Blowing Cold Air, Devices For Blowing Warm Air, And Means For Preventing Water Condensation In Air 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습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사용성 향상과 슬림한 형태가 가능한 제습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는, 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는,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를 가지는 후면케이스와, 상기 후면케이스와 마주보는 면의 외관을 형성하는 전면케이스를 가지는 케이스; 상기 후면케이스에 대하여 측방으로 탈착되는 물탱크; 상기 케이스의 내부 공간에 장착되는 압축기; 및 상기 압축기의 일측에 위치하는 전장실; 이 포함되고, 상기 물탱크와 상기 압축기와 상기 전장실은 가상의 직선상에 놓이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제습기 {Dehumidifier}
본 발명은 제습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사용성 향상과 슬림한 형태가 가능한 제습기에 관한 것이다.
제습기는 원하는 공간의 공기를 흡입하여 열 교환을 통해 공기에 포함된 습기를 제거하고, 습기가 제거된 공기를 원하는 공간으로 토출함으로써, 원하는 공간의 습도를 낮추는 가전 기기의 일종이다.
상기 제습기는 원하는 공간의 공기를 흡입하여 응축기와 증발기로 이루어지는 열교환기를 통과시킴으로써, 응축기와 증발기를 유동하는 냉매와 통과하는 공기를 열 교환시켜 습기를 제거하게 된다.
상기 증발기는 액체 상태의 냉매를 증발시킴으로써 주위의 공기로부터 열을 흡수하게 되고, 상기 응축기는 기체 상태의 냉매를 응축시킴으로써 열을 방출하여 주의의 공기로 열을 전달하게 된다.
즉, 상기 열교환기를 통과하는 공기는 증발기를 통과하면서 냉매와 열 교환되어 습도가 낮아지게 되고, 습도가 낮아진 공기가 응축기를 통과하면서 냉매와 열 교환되어 건조되는 과정이 진행된다.
상기 열교환기를 통과하면서 건조된 공기는 원하는 공간으로 토출되어 원하는 공간의 공기 중의 습도를 낮추게 된다.
한편, 선행기술 문헌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138478호에는 제습기에 관한 발명이 개시되며, 상기 공개특허에는 물통의 조작이 용이한 제습기에 관한 발명이 개시되고, 본체부의 개구된 일면으로부터 함몰 형성되는 물통장착부 및 물통장착부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물통이 포함되고, 물통의 전면 외관을 형성하는 물통전면부와, 물의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물저장부와 물통이 회전된 상태에서 물통장착부로부터 인출될 수 있도록 조작 가능한 물통손잡이를 포함하는 구성이 개시된다.
상기 공개특허에는 물통을 인출하는 동작을 연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으므로 몰퉁의 조작이 용이한 효과를 가지며, 물통의 움직임이 부드럽고 물통을 움직이기 위하여 많은 힘이 필요하지 않는 구성이 개시된다.
다만, 성행기술 문헌에서 개시되는 제습기의 경우, 압축기의 공간과 물통의 설치 공간이 요구됨에 따라 제습기의 전체 공간이 확보되어야 하며, 이러한 공간의 확보로 인해 제습기의 전체 부피가 커져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근래에는 주거 공간의 대형화 등에 따라 제습기가 대형화되는 추세에 있으며, 이러한 대형화에 의해 제습기의 이동성과 사용성이 더욱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성이 향상되면서 외관의 심미감이 향상되는 제습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는,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를 가지는 후면케이스와, 상기 후면케이스와 마주보는 면의 외관을 형성하는 전면케이스를 가지는 케이스; 상기 후면케이스에 대하여 측방으로 탈착되는 물탱크; 상기 케이스의 내부 공간에 장착되는 압축기; 및 상기 압축기의 일측에 위치하는 전장실; 이 포함되고, 상기 물탱크와 상기 압축기와 상기 전장실은 가상의 직선상에 놓이도록 구성된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에 의한 제습기는, 전면 외관을 형성하는 전면케이스와, 후면 외관을 형성하면서 공기 유입구가 형성되는 후면케이스와 하면 외관을 형성하는 베이스를 가지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부의 공기 유동을 강제하는 팬 어셈블리; 상기 케이스 내부의 공기를 냉매와 열 교환시키는 열교환기; 상기 열교환기로 압축된 냉매를 공급하는 압축기; 및 상기 팬 어셈블리와 열교환기를 지지하고, 상기 압축기가 설치되는 공간인 압축실의 양측에 다수의 전장 부품이 장착되는 전장실과 낙하하는 응축수를 수용하는 물탱크가 장착되는 물탱크실이 위치하도록 공간을 구분하는 프레임; 을 포함한다.
제안되는 본 발명에 의하면,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 가지는 후면케이스에 대하여 측방으로 물탱크가 탈착되도록 구성되고, 다수의 전장 부품이 장착되는 전장실과 압축기가 놓이는 압축실과 물탱크가 장착되는 물탱크실이 가상의 직선상에 위치하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의 측방으로 물탱크가 탈착됨으로써 물탱크의 탈착이 용이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물탱크의 탈착이 용이함으로써 사용자는 제습기를 사용하기 위한 사용의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전장실과 압축실과 물탱크실이 가상의 직선상에 위치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제습기의 전체적 형상이 슬림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 외형에 대한 심미감이 향상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제습기의 전체적 형상이 슬림하게 이루어짐으로써 제습기를 사용하고자하는 공간의 활용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되며, 가상의 직선상에 놓이는 전장실과 압축실과 물탱크실에 의해 제습기의 내부 공간에 대한 활용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제습기의 외형을 나타낸 전방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제습기의 외형을 나타낸 후방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제습기의 필터가 장착되는 상태를 나타낸 후방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제습기의 토출 악세사리를 나타낸 도면.
도 5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제습기의 연장호스가 장착되는 상태를 나타낸 후방 사시도.
도 6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제습기의 물탱크가 이탈되는 과정을 나타낸 전방 사시도.
도 7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제습기의 물탱크가 이탈된 상태를 나타낸 전방 사시도.
도 8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제습기의 물탱크가 이탈되는 과정을 나타낸 후방 사시도.
도 9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제습기의 물탱크가 이탈된 상태를 나타낸 후방 사시도.
도 10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제습기의 후면케이스가 탈거된 상태를 나타낸 후방 좌측 사시도.
도 11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제습기의 후면케이스가 탈거된 상태를 나타낸 후방 우측 사시도.
도 12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제습기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13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제습기의 전면케이스와 상면케이스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14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제습기의 후면케이스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15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제습기의 팬 어셈블리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16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제습기의 열교환기와 하부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17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제습기의 프레임을 나타낸 사시도.
도 18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제습기의 프레임 상면을 나타낸 사시도.
도 19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제습기의 압축기와 베이스의 체결을 나타낸 체결도.
도 20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제습기의 베이스와 바퀴의 체결을 나타낸 체결도.
도 21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제습기의 물탱크 외형을 나타낸 우측 사시도.
도 22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제습기의 물탱크 외형을 나타낸 좌측 사시도.
도 23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제습기의 탱크커버 일부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4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제습기의 물탱크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5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제습기의 물탱크 사용을 나타낸 사용 상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제습기의 외형을 나타낸 전방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제습기의 외형을 나타낸 후방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제습기의 필터가 장착되는 상태를 나타낸 후방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여 보면, 본 실시 예에 따른 제습기(10)는 케이스(20)에 의해 외형을 이루며, 상기 케이스(20)는 상면 외관을 형성하는 상면케이스(21)와, 전면 외관을 이루는 전면케이스(22)와, 상기 전면케이스(22)와 마주보는 면의 외관을 형성하면서 상기 케이스(20)의 외부 공기가 상기 케이스(20)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되는 통로를 제공하는 유입구(231)를 가지는 후면케이스(23)와, 우측면 외관을 형성하는 측면케이스(24)와, 하면 외관을 형성하는 베이스(2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케이스(20)는 일정 정도의 강도를 가지는 소재로 이루어짐으로써, 내부 공간에 장착되는 다수의 부품을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케이스(20)의 상측에는 사용자가 상기 케이스(20)를 원하는 공간으로 이동시키고자 할 때 파지할 수 있는 상부핸들(26)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25)에는 사용자가 상기 상부핸들(26)을 파지하여 상기 케이스(20)를 이동시키고자 할 때, 이동의 용이성을 위한 바퀴(27)가 장착된다.
상기 상부핸들(26)은 한쪽 끝 부분이 상기 전면케이스(22)의 상단부와 상기 상면케이스(21)의 전단부에 결합되고, 다른 쪽 끝 부분이 상기 후면케이스(23)의 상단부와 상기 상면케이스(21)의 후단부에 결합되어 중앙부가 상방으로 볼록한 곡면을 가지도록 대략 아치(arch)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핸들(26)이 상기 상면케이스(21)와 상기 전면케이스(22) 및 상기 후면케이스(23)와 결합되면서, 아치 형태로 형성되어 사용자가 파지하기 용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상부핸들(26)의 형태가 상기와 같은 형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의 파지가 용이한 다양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다만, 상기 상부핸들(26)은 다음에 설명할 물탱크(30)의 탈착 방향으로 위치되는 구성이 바람직할 것이다. 즉, 상기 물탱크(30)가 위치하는 방향의 상기 케이스(20)에 상기 상부핸들(26)이 위치됨으로써 사용자가 상기 상부핸들(26)을 파지하여 상기 제습기(10)를 이동시키고자 할 때, 상기 물탱크(30)의 수위를 확인하면서 이동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상기 케이스(20)에는 외부 공간의 공기를 내부 공간으로 유입되도록 통로를 제공하는 유입구(231)와, 내부 공간의 공기를 외부 공간으로 토출되도록 통로를 제공하는 토출구(211)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유입구(231)는 상기 후면케이스(23)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토출구(211)는 상기 상면케이스(21)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토출구(211)는 상기 상면케이스(21)에 형성되는 상기 토출구(211) 외에도 상기 후면케이스(23)의 상반부에 제2토출구(232)가 더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2토출구(232)는 다음에 설명할 토출 악세사리가 결합되면서 토출 악세사리를 통해 제습된 공기를 토출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토출구(232)에는 사용자에 의해 상기 제2토출구(232)를 개폐하기 위한 캡이 더 장착될 수 있다. 이러한 캡에 의해 상기 제2토출구(232)는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차폐되고, 사용하게 될 경우 상기 캡을 이탈시켜 상기 제2토출구(232)를 개방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토출 악세사리는 신발의 건조를 위한 신발 건조 악세사리와, 옷장의 건조를 위한 옷장 건조 악세사리 등이 더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2토출구(232)에 상기 토출 악세사리를 결합하게 되면, 상기 제2토출구(232)에서 토출되는 제습 공기가 상기 토출 악세사리에 의해 안내되면서, 원하는 공간의 공기를 제습하게 되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다만, 상기 유입구(231)와 상기 토출구(211)의 형태와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어떠한 형태로 이루어지더라도 공기의 유입 및 토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상면케이스(21)에는 상기 케이스(20)의 내부 공간을 통과하여 제습된 공기가 상기 케이스(20)의 외부 공간으로 토출되도록 상기 토출구(21)를 개폐함과 동시에 토출되는 공기의 토출 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루버(212)가 더 제공된다.
상기 루버(212)의 일측에는 상기 제습기(10)의 동작을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조작부와, 상기 제습기(10)의 동작 정보 또는 현재의 습도 상태 등을 알려주는 디스플레이부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조작부에는 사용자가 원하는 습도를 선택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고, 사용자가 원하는 습도를 설정하게 되면, 현재 습도와 설정 습도를 비교하여 다음에 설명할 압축기와 팬 어셈블리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일 예로, 현재 습도가 사용자가 원하는 습도에 도달하게 되면, 상기 압축기의 동작을 정지하고, 상기 팬 어셈블리의 팬 회전 속도를 저속으로 유지하거나 정지하도록 제어하게 된다.
상기 후면케이스(23)에 형성되는 상기 유입구(231)에는 상대적으로 큰 이물질이 상기 케이스(20)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그릴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유입구(231)에는 상기 유입구(231)를 통과하는 공기에 포함되는 이물질을 걸러주기 위한 공기필터(233)가 장착된다.
상기 후면케이스(23)에는 상기 제습기(10)가 설치되는 공간의 습도를 감지하는 습도센서(234)가 더 장착되며, 상기 습도센서(234)에서 감지되는 습도는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사용자에게 전달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후면케이스(23)에는 상기 케이스(20)의 내부로 전원을 공급하는 파워코드가 감기는 코드고정부(236)와 상기 파워코드가 임시로 삽입되는 코드삽입부(237)를 포함하는 파워코드부(235)가 형성된다.
상기 파워코드부(235)에 의해 사용자는 상기 제습기(10)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파워코드를 보관하기 용이한 장점을 가지게 되며, 상기 케이스(20)의 이동 시 상기 파워코드가 고정되어 이동이 제한되는 불편함이 해소되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도 3을 참조하여 보면, 상기 후면케이스(23)에는 상기 유입구(231)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에 포함되는 공기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상기 공기필터(233)가 장착된다.
상기 공기필터(233)는 메쉬 형태로 이루어지면서 상기 유입구(231)를 통과하는 공기에 포함되는 이물질을 걸러주게 됨으로써, 상기 케이스(20)의 내부 공간으로 이물질이 제거된 깨끗한 공기만 유입된다.
상기 공기필터(233)는 상기 케이스(20)의 내측으로 인입/인출되면서 장착되고, 사용자는 상기 공기필터(233)를 인출하여 세척한 후 건조시켜 다시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후면케이스(23)에는 상기 공기필터(233)의 인입/인출을 안내하는 필터가이드(도 12 또는 도 14의 238)가 더 형성된다. 상기 필터가이드(238)는 상기 유입구(231)가 형성되는 상기 후면케이스(23)의 전면에 상기 유입구(231)와 일정 정도 이격된 상태에서 측방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공기필터(233)는 상기 필터가이드(238)와 상기 유입구(231) 사이 간격을 통해 상기 케이스(20)의 내부 공간으로 인입 또는 인출될 수 있게 된다. 상기 필터가이드(238)가 측방으로 연장 형성됨으로써 상기 필터가이드(238)에 의해 사용자가 부주의 또는 실수로 인해 상기 공기필터(233)가 삽입되는 공간으로 신체의 일부 또는 이물질을 삽입하더라도 상기 케이스(20)의 내부 공간으로 이동하는 것이 방지되어 안전성이 향상되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상기 전면케이스(22)와 상기 후면케이스(23)의 하단부에는 하면 외관을 형성하는 베이스(도 7의 25)가 장착되고, 상기 전면케이스(22)와 상기 후면케이스(23)의 우측 끝 부분에는 측면 외관의 일부를 형성하는 측면케이스(24)가 장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면케이스(22)과 상기 후면케이스(23)의 좌측 끝 부분에는 상기 전면케이스(22)에서 상기 후면케이스(23)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기 전면케이스(22)의 일부와, 상기 후면케이스(23)에서 상기 전면케이스(22)를 향하여 연장되는 상기 후면케이스(23)의 일부가 결합되면서 상기 케이스(20)의 좌측면 외관을 형성하게 된다.
물론, 별도의 좌측케이스가 제공되고, 이러한 좌측케이스가 상기 전면케이스(22)와 상기 후면케이스(23)의 좌측 끝 부분에 각각 결합되면서 상기 케이스(20)의 좌측면 외관을 형성하는 구성도 가능할 것이다.
상기 측면케이스(24)의 하측에는 공기의 제습 과정에서 발생되는 응축수를 수용하는 물탱크(30)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물탱크(30)에 의해 상기 케이스(20)의 측면 외관 일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물탱크(30)는 내부 공간에 수용되는 물의 수위를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 또는 반투명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물탱크(30)에 수용되는 물의 양을 다른 방법으로 확인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일 예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물탱크(30)가 투명 또는 반투명 소재로 형성되는 구성을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상기 물탱크(30)의 무게를 감지하여 무게 변화에 따라 수위를 예측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베이스(25)에 상기 물탱크(30)의 무게 감지를 위한 무게 센서 등이 장착되어야 함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물탱크(30)의 외면 일측에는 사용자가 상기 물탱크(30)를 탈착하고자 할 때, 탱크손잡이를 파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손잡이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제습기의 토출 악세사리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제습기의 연장호스가 장착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여 보면, 상기 토출 악세사리(239)는 상기 후면케이스(23)의 상기 제2토출구(232)와 결합되어 토출되는 공기를 안내하는 연장호스(239a)와, 상기 연장호스(239a)에 결합되어 제습된 공기를 토출하는 신발 악세사리(239b)와 옷장 악세사리(239c)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진다.
상기 연장호스(239a)는 주름관의 형태로 제공되어 길이의 변형이 가능하도록 형성됨으로써 사용자의 사용 편의성이 향상되는 장점을 가진다. 상기 신발 악세사리(239b)는 신발 한 켤레에 각각 삽입할 수 있도록 두 개의 토출구를 형성하고, 신발 하나에 하나의 토출구를 삽입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옷장 악세사리(239c)는 얇고 길게 토출구를 형성함으로써 옷과 옷 사이 또는 옷과 옷장의 내면 사이에 삽입되도록 용이하게 형성됨으로써 옷장의 내부 공기를 제습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여 보면, 사용자는 상기 제2토출구(232)에 상기 연장호스(239a)의 한쪽 끝 부분을 결합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연장호스(239a)의 한쪽 끝 부분 외면에는 상기 제2토출구(232)의 내면을 따라 결합되도록 일정 길이만큼 나사산이 형성된다.
상기 연장호스(239a)의 외면 일정 부분에 형성되는 나사산과 상기 제2토출구(232)의 내면을 따라 형성되는 나사산의 결합에 의해 상기 연장호스(239a)는 상기 제2토출구(232)와 결합되어 토출되는 제습 공기를 안내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연장호스(239a)의 다른 쪽 끝 부분에는 상기 신발 악세사리(239b) 또는 옷장 악세사리(239c)가 결합된다. 사용자가 상기 연장호스(239a)를 상기 제2토출구(232)에 상기 연장호스(239a)의 한쪽 끝 부분을 결합한 다음, 다른 쪽 끝 부분에는 상기 신발 악세사리(239b) 또는 상기 옷장 악세사리(239c)를 결합하게 되면, 상기 제습기(10)의 내부 공간에서 제습된 공기가 사용자가 원하는 공간 즉, 신발 또는 옷장으로 토출되면서 원하는 공간을 제습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상기 케이스(20)에 탈착 가능하게 제공되는 물탱크(30)의 사용과 상기 물탱크(30)가 제거된 상태의 상기 케이스(20) 구성을 살펴보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제습기의 물탱크가 이탈되는 과정을 나타낸 전방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제습기의 물탱크가 이탈된 상태를 나타낸 전방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제습기의 물탱크가 이탈되는 과정을 나타낸 후방 사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제습기의 물탱크가 이탈된 상태를 나타낸 후방 사시도이다.
상기 측면케이스(24)의 하측에는 상기 물탱크(30)가 장착되면서 상기 케이스(30)의 측면 외관 일부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물탱크(30)는 상기 후면케이스(23)에 대하여 측방으로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고, 일정 정도의 내부 공간을 가지는 육면체의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물탱크(30)는 상면이 개방되면서 내부 공간에 물의 수용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탱크(31)와, 상기 탱크의 개방된 상면을 개폐하는 탱크커버(32)와,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탱크손잡이(3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탱크(31)는 투명 또는 반투명의 소재로 형성되어 외부에서 내부 공간에 수용되는 물의 수위를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20)의 외면 일부를 형성하는 면은 상기 측면케이스(24)의 곡률과 대응되는 곡률 반경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측면케이스(24)의 하측 부분 외관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탱크커버(32)는 상기 탱크(31)의 개방된 상면을 개폐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고, 적어도 두 개의 부분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탱크커버(32)에는 사용자의 파지를 위한 탱크손잡이(33)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물탱크(30)에는 상기 탱크(31)의 내부 공간에 장착되어 상기 탱크(31)에 수용되는 물의 수위를 측정하기 위한 플로트(도 10의 34)가 더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플로트(34)는 물의 수위에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플로트(34)는 일정 정도의 자성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플로트(34)가 자체적으로 자성을 가지는 소재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상기 플로트(34)의 내부에 자성을 가지는 부분을 삽입하여 자성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플로트(34)가 어떠한 형태로 형성되더라도 상기 물탱크(30)의 외부로 자성을 발산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구성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물탱크(30)의 상세 구성은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물탱크(30)는 상기 후면케이스(23)에 대하여 측방으로 탈착되도록 장착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물탱크(30)가 상기 후면케이스(23)에 대하여 측방으로 탈착 가능하도록 장착됨으로써, 상기 케이스(20)의 전후 방향 폭이 슬림하게 형성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다시 말해, 상기 물탱크(30)가 전방 또는 후방으로 탈착되도록 장착되는 경우 상기 케이스(20)의 전후 방향 폭이 더 두꺼워지도록 형성됨으로써 슬림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없게 된다.
상기 케이스(20)가 전후 방향으로 슬림하게 형성될 수 있게 됨으로써 상기 제습기(10)의 전체적 심미감이 향상되는 장점을 가질 수 있게 된다.
사용자는 상기 물탱크(30)의 탱크손잡이(33)를 파지하여 측방으로 당기게 되면, 상기 물탱크(30)의 하단부 이동이 제한된 상태에서 상단부가 이동되면서 상기 물탱크(30)가 일정 정도의 각도로 기울어지게 된다.
상기 물탱크(30)가 일정 각도로 기울어진 상태에서 상방으로 상기 물탱크(30)를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물탱크(30)는 상기 케이스(20)에서 이탈된다. 상기 케이스(20)에서 이탈된 상기 물탱크(30)의 내부 공간에 수용된 물을 사용자가 배수한 다음 이탈의 역순으로 상기 케이스(20)에 상기 물탱크(30)를 장착하게 된다.
즉, 상기 물탱크(30)를 일정 각도로 기울인 상태에서 상기 물탱크(30)의 하단부를 상기 케이스(20)의 내부 공간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물탱크(30)의 상단부를 상기 케이스(20)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상기 물탱크(30)를 상기 케이스(20)에 장착시킬 수 있게 된다.
도 7을 참조하여 보면, 상기 물탱크(30)를 하면에서 지지하는 상기 베이스(25)에는 상기 물탱크(30)가 이탈된 상태에서 낙하하는 물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홈(251)이 형성된다. 상기 수용홈(251)은 일정 정도의 면적을 가지면서 하방으로 함몰 형성되어 상기 물탱크(30)가 이탈된 상태에서 낙하하는 물을 집수함으로써 물이 상기 케이스(20)의 외부로 흐르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처럼, 상기 수용홈(251)에 의해 물이 상기 케이스(20)의 외부 공간으로 배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됨으로써 상기 제습기(10)의 사용 편의성이 더 향상되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또한, 상기 수용홈(251)에 물이 수용됨으로써 상기 케이스(20)의 외부 공간으로 물이 흘렀을 경우 발생할 수 있는 각종 오염 등을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게 되며, 이로 인해 사용자의 건강상 안전성을 더욱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그리고, 물이 상기 케이스(20)의 외부로 누설되지 않음으로써 사용자는 물의 누설에 따른 청소를 하지 않아도 되어, 사용자의 시간 활용성이 향상되고 노력이 절감되는 장점을 가질 수 있게 된다.
도 8을 참조하여 보면, 상기 베이스(25)에는 상기 베이스(25)의 외면 일부를 형성하는 데코패널(252)이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데코패널(252)은 상기 베이스(25)의 외면 일부를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베이스(25)에 장착되며, 상기 베이스(25)와 대응되는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데코패널(252)의 상단부에는 상기 물탱크(30)의 하단부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제한리브(253)가 상방으로 연장 형성된다. 상기 제한리브(253)는 상기 데코패널(252)의 상면을 따라 상방으로 연장되면서 상기 물탱크(30)의 하면에 형성되는 단차 형상과 형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한리브(253)에 상기 물탱크(30)의 하면 일부가 걸림으로써 상기 물탱크(30)의 하단부 측방 이동이 제한된다. 이러한 상기 제한리브(253)에 의해 사용자가 상기 탱크손잡이(33)를 파지하여 상기 물탱크(30)를 측방으로 이동시키게 되면, 상기 물탱크(30)의 하단부 이동이 제한되면서 상단부가 이동하여 상기 물탱크(30)가 일정 정도의 각도로 기울어지게 된다.
한편, 상기 물탱크(30)의 수위는 다양한 방법으로 감지할 수 있게 된다. 일 예로 상기 물탱크(30)의 무게에 따라 수위를 감지할 수도 있으며, 수위 감지를 위한 상기 플로트(34)가 장착되어 상기 물탱크(30)의 수위를 감지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플로트에 의해 수위가 감지되는 구성을 예를 들어 살펴보기로 한다.
도 9를 참조하여 보면, 상기 물탱크(30)가 장착되는 공간에는 상기 물탱크(30)와 결합되는 결합부(91)가 형성되고, 상기 플로트(34)의 위치를 감지하여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센서(92)가 장착되며, 상기 수위센서(92)의 상측에는 상기 물탱크(30)의 만수위를 감지하는 안전센서(93)가 위치하고, 상기 물탱크(30)의 수위를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물탱크(30)를 향하여 빛을 발산하는 발광부(94)가 제공된다.
상기 결합부(91)는 일정 정도의 면적을 가지는 홈 또는 홀로 형성되어 상기 물탱크(30)에 장착되는 결합돌기(35)가 수용되면서 상기 물통(30)을 결합 고정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수위센서(92)는 상기 플로트(34)의 자성을 감지함으로써 상기 물탱크(30)의 수위를 측정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플로트(34)의 높이에 따라 상기 물탱크(30)의 수위를 감지함으로써 상기 물탱크(30)의 수위에 따라 경고 또는 물 비움 알림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안전센서(93)는 상기 플로트(34)의 자성을 감지함으로써 상기 물탱크(30)의 만수위를 측정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수위센서(92)에 상기 플로트(34)가 감지되면 상기 물탱크(30)의 수위를 경고하거나 물 비움 알림 기능을 수행하게 되고, 상기 안전센서(93)에서 상기 플로트(34)가 감지되면 상기 제습기(10)의 동작을 정지시키도록 제어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안전센서(93)에 의해 상기 물탱크(30)의 수위가 감지되면, 상기 물탱크(30)의 수위는 만수위를 나타내게 되고, 이 경우 상기 제습기(10)가 동작하게 되면 상기 물탱크(30)의 물이 외부로 넘쳐흐를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안전센서(93)에 의해 상기 물탱크(30)의 수위가 감지되면 상기 제습기(10)의 동작을 강제 정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안전센서(93)에서 감지되는 수위에 의해 상기 제습기(10)의 동작을 강제 종료하도록 제어됨으로써 상기 제습기(10)의 사용에 따른 안전성이 향상되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안전센서(93)는 상기 수위센서(92)가 비정상 상태일 경우에만 동작하도록 제어되는 구성도 가능할 것이며, 상기 수위센서(92)가 정상 상태일 경우에도 상기 물탱크(30)의 만수위를 감지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물탱크(30)가 장착되는 공간에는 상기 물탱크(30)를 향하여 빛을 발산하는 발광부(94)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발광부(94)는 엘이디(LED) 조명 또는 알지비(RGB) 방식의 발광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발광부(94)에서 상기 물탱크(30)로 빛을 발산하게 되면, 사용자는 외부에서 상기 물탱크(30)의 현재 수위를 원활하게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상기 물탱크(30)가 장착되는 공간에는 상기 발광부(94)에서 발산되는 빛을 안내하는 빛가이드가 더 제공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빛가이드에 의해 상기 발광부(94)에서 발산되는 빛이 상기 물탱크(30)로 잘 조사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발광부(94)가 엘이디 조명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상기 물탱크(30)의 수위에 따라 빛의 세기를 제어함으로써, 외부에서 빛의 세기를 확인하여 상기 물탱크(30)의 수위를 감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발광부(94)가 알지비 방식으로 빛을 발산하도록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상기 물탱크(30)의 수위에 따라 서로 다른 색상으로 빛을 발산함으로써, 외부에서 빛의 색상을 확인하여 상기 물탱크(30)의 수위를 감지할 수 있게 된다.
일 예로, 상기 물탱크(30)의 수위가 저 수위인 경우에는 녹색 빛깔의 빛을 발산하고, 상기 물탱크(30)의 수위가 중 수위인 경우에는 파란색 빛깔의 빛을 발산하며, 상기 물탱크(30)의 수위가 고 수위인 경우에는 붉은색 빛깔의 빛을 발산하도록 제어하여 상기 발광부(94)에서 발산되는 빛을 확인하여 상기 물탱크(30)의 수위를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발광부(94)에서 발산되는 빛에 의해 상기 물탱크(30)의 수위를 감지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상기 제습기(10)의 사용 편의성이 더욱 향상되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제습기의 내부 구성을 살펴보기로 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제습기의 후면케이스가 탈거된 상태를 나타낸 후방 좌측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제습기의 후면케이스가 탈거된 상태를 나타낸 후방 우측 사시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제습기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상기 케이스(20)의 내부 공간에는 상기 유입구(231)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가 통과하면서 냉매와 열 교환되는 열교환기(40)와, 상기 케이스(20)의 내부 공기를 강제 유동시키는 팬 어셈블리(50)가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열교환기(40)와 상기 팬 어셈블리(50)의 하측에는 상기 열교환기(40)와 상기 팬 어셈블리(50)를 지지하는 프레임(60)이 위치되고, 상기 열교환기(40)의 내부를 유동하는 냉매를 압축하기 위한 압축기(71)가 장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압축실(70)와, 다수의 전장부품이 장착되는 전장실(80)과, 상기 물탱크(30)가 장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물탱크실(90)이 형성된다.
상기 열교환기(40)는 일정 정도의 지름을 가지는 파이프가 다수 절곡되면서 전체적으로 일정 정도의 면적과 두께를 가지는 사각판재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파이프의 사이 사이를 상기 유입구(231)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가 통과하게 된다.
상기 열교환기(40)를 공기가 통과하면서 상기 열교환기(40)의 내부를 유동하는 냉매와 공기가 열 교환되어, 유입되는 공기를 제습 및 건조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열교환기(40)의 일측에는 상기 케이스(20)의 내부 공기 유동을 강제하는 팬 어셈블리(50)가 장착된다. 상기 팬 어셈블리(50)는 회전 운동에 의해 상기 케이스(20)의 내부로 공기를 유입하게 된다.
상기 유입구(231)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는 상기 팬 어셈블리(50)의 회전 운동에 의해 상기 열교환기(40)를 통과하여 상기 토출구(211)를 통해 외부 공간으로 토출되도록 유동하게 된다.
상기 열교환기(40)와 상기 팬 어셈블리(50)의 하측에는 상기 프레임(60)이 위치하게 되고, 상기 프레임(60)의 상면에 의해 상기 열교환기(40)와 상기 팬 어셈블리(50)가 지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60)은 상기 열교환기(40)와 상기 팬 어셈블리(50)를 지지하는 상부프레임(61)과, 상기 상부프레임(61)의 하측 공간을 상기 압축실(70)과, 상기 전장실(80)과 상기 물탱크실(90)로 구획하는 하부프레임(6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프레임(61)은 일정 정도의 두께를 가지는 판재 형태로 이루어지면서 상면에는 상기 팬 어셈블리(50)가 지지되는 부분과 상기 열교환기(40)가 지지되는 부분으로 구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열교환기(40)가 지지되는 부분은 상기 열교환기(40)에서 낙하하는 응축수를 배수하기 위한 드레인팬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세하게는, 상기 열교환기(40)가 지지되는 부분의 바닥면은 상기 물탱크실(90)을 향하여 일정 정도의 하향 경사를 가지면서 상기 열교환기(40)에서 낙하하는 응축수가 일정 위치로 합수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상부프레임(61)의 상면 기울기에 의해 합수되는 물은 상기 물탱크(30)의 상면으로 안내되면서 낙하되고, 상기 물탱크(30)로 낙하하는 물은 상기 물탱크(30)의 내부 공간으로 수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상부프레임(61)은 바닥면의 기울기에 의해 상기 열교환기(40)에서 낙하하는 응축수가 합수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물탱크(30)로 낙하하도록 안내함으로써 드레인팬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게 된다.
상기 상부프레임(61)에 의해 상기 케이스(20)의 내부 공간은 상부 공간과 하부 공간으로 분리될 수 있으며, 상기 하부 공간은 상기 하부프레임(62)에 의해 상기 전장실(80)과 상기 압축실(70)과 상기 물탱크실(90)로 분리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고, 이러한 상기 전장실(80)과 상기 압축실(70)과 상기 물탱크실(90)은 가상의 직선상에 놓이도록 일렬로 위치하게 된다.
상기 전장실(80)과 상기 압축실(70)과 상기 물탱크실(90)이 가상의 직선상에 놓이도록 일렬로 위치하게 됨으로써, 상기 케이스(20)의 전체적 형상이 슬림하게 형성될 수 있어, 상기 제습기(10)의 심미감이 향상되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상기 하부프레임(62)은 일정 정도의 두께를 가지는 판재 형상의 쌍으로 이루어지면서, 상단부는 상기 상부프레임(61)에 지지되고, 하단부는 상기 베이스(25)에 지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프레임(62)은 상기 전면케이스(22)와 상기 후면케이스(23)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을 전후 방향으로 가로질러 장착됨으로써, 상기 케이스(20)의 내부 공간 하반부를 가로 방향으로 세 공간으로 구획하게 된다.
물론, 상기 하부프레임(62)이 더 제공되어 상기 케이스(20)의 내부 공간 하반부를 세 공간이 아닌 다수의 여러 공간으로 구획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으나, 상기 케이스(20)의 내부 공간 하반부는 전체적으로 하나의 직선상이 놓이도록 일렬로 배치되는 구성을 가지게 된다.
이러한 상기 상부프레임(61)과 상기 하부프레임(62)을 전방에서 보면, 대략 "∩" 형태로 이루어지면서, 상측에는 상기 열교환기(40)와 상기 팬 어셈블리(50)가 위치하고, 하측에는 상기 전장실(80)과 상기 압축실(70)과 상기 물탱크실(90)이 위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프레임(60)에 의해 상기 압축실(70)을 중앙으로 하여 상기 압축실(70)의 일측에는 상기 전장실(80)이 위치하게 되고, 다른 일측에는 상기 물탱크실(90)이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압축실(70)에는 상기 열교환기(40)의 내부를 유동하는 냉매를 압축하기 위한 압축기(71)가 장착된다. 상기 압축기(71)는 상기 열교환기(40)로 압축된 냉매를 공급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되고, 상기 압축기(71)에서 공급되는 냉매가 상기 열교환기(40)를 통과하면서 상기 유입구(231)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와 열 교환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프레임(60)은 상기 압축기(71)의 상측과 양측을 감싸도록 형성됨으로써, 상기 압축기(71)를 보호하고 상기 전장실(80)과 상기 물탱크실(90)을 형성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전장실(80)에는 다수의 전장 부품이 장착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전장실(80)에는 다수의 전장 부품을 제어하기 위한 메인기판(81)이 장착되면서 외부 충격으로부터 상기 메인기판(81)을 보호하기 위한 컨트롤케이스(82)가 위치된다.
상기 컨트롤케이스(82)는 일정 정도의 내부 공간을 가지도록 형성되면서, 그 내부 공간에 상기 메인기판(81)이 장착되고, 상기 메인기판(81)이 장착되면 컨트롤커버(83)에 의해 상기 컨트롤케이스(82)가 차폐됨으로써,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상기 메인기판(81)을 보호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물탱크실(90)에는 상기 물탱크(30)가 장착된다. 상기 물탱크실(90)은 전방에서 볼 때, 일 측면이 개방된 육면체의 형태로 이루어지고, 개방된 일측면을 통해 상기 물탱크(30)가 상기 케이스(20)의 측방으로 탈착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물탱크실(90)은 하면이 상기 베이스(25)에 의해 형성되고, 개방된 일 측면을 제외한 면은 상기 하부프레임(62)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물탱크실(90)의 내측 면에는 상기 물탱크(30)의 장착을 위한 결합부(91)가 형성되고, 상기 물탱크(30)를 향하여 빛을 발산하는 상기 발광부(94)가 형성되며, 상기 플로트(34)를 감지하여 상기 물탱크(30)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센서(92)와 상기 안전센서(93)가 장착될 수 있다.
물론, 상기 물탱크실(90)에는 수위센서(92)만 제공되고, 상기 안전센서(93)가 장착되지 않는 구성도 가능하나, 안전성 향상을 위하여 상기 안전센서(93)가 제공되는 구성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결합부(91)는 홈 또는 홀의 형태로 형성되면서 상기 물탱크(30)에 장착되는 결합돌기(35)가 삽입되면서 상기 물탱크(30)가 고정 장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돌기(35)가 상기 결합부(91)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물탱크(30)가 상기 물탱크실(90)에서의 임의 이탈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케이스(20)의 내부를 전방에서 보면, 상기 프레임(60)에 의해 상기 압축기(71)의 상부와 양측을 감싸도록 형성되면서, 상기 압축기(71)를 기준으로 상기 압축기(71)의 양 측방에 상기 전장실(80)과 상기 물탱크실(90)이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60)에 의해 상기 압축기(71)의 상측과 양측을 감싸도록 형성됨으로써, 상기 압축기(71)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저감시키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상기 열교환기(40)와 상기 팬 어셈블리(50)는 상기 후면케이스(23)를 기준으로 전후 방향으로 나란히 위치하게 되고, 하단부가 상기 상부프레임(61)에 의해 지지되면서 고정되도록 장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유입구(231)와 가까운 위치에 상기 열교환기(40)가 위치하게 되고, 상기 열교환기(40)의 일측에 상기 팬 어셈블리(50)가 위치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3을 참조하여 상기 전면케이스와 상면케이스의 결합을 살펴보기로 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제습기의 전면케이스와 상면케이스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상기 전면케이스(22)의 상단부에는 상기 상면케이스(21)가 결합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면케이스(22)의 상단부와 상기 상면케이스(21)의 테두리 부분 사이에는 상기 상부핸들(26)이 위치하게 된다.
상기 상부핸들(26)은 상반부 외형을 형성하는 제1핸들(261)과, 하반부 외형을 형성하는 제2핸들(26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핸들(261)은 상기 상부핸들(26)의 상반부 외관을 형성하면서, 상기 상면케이스(21)의 테두리 부분을 따라 상기 전면케이스(21)와 상기 후면케이스(23)의 상단부 사이에 위치하는 결합핸들(263)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1핸들(261)은 전체적으로 중앙부가 볼록한 아치 형태로 형성되면서 상기 상부핸들(26)의 상면 외관을 이루며, 상기 결합핸들(263)은 상기 제1핸들(261)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상면케이스(21)의 테두리 부분을 따라 결합되도록 상기 상면케이스(21)의 테두리 부분과 대응되는 형태와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2핸들(262)은 상기 제1핸들(261)의 하면에 고정 결합되면서 상기 상부핸들(26)의 하면 외관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상면케이스(21)의 하면에는 상기 조작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패널(213)이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컨트롤패널(213)에 의해 상기 조작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제어된다.
이하에서는 도 14를 참조하여 상기 후면케이스(23)의 구성을 살펴보기로 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제습기의 후면케이스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상기 후면케이스(23)의 전면에는 상기 필터가이드(238)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필터가이드(238)는 상기 후면케이스(23)의 전면에 상기 유입구(231)와 일정 정도 이격 위치되도록 상기 후면케이스(23)의 전면에 결합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필터가이드(238)는 상기 공기필터(233)가 인입/인출되는 부분에서부터 상기 공기필터(233)의 인입 방향으로 일정 정도의 길이만큼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필터가이드(238)가 상기 공기필터(238)의 인입 방향으로 연장되면, 사용자의 부주의로 인해 사용자의 신체 일부 또는 다른 이물질이 상기 공기필터(233)가 인입/인출되는 공간으로 유입되더라도 상기 케이스(20)의 내부 공간으로의 인입을 차단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상기 공기필터(233)는 상기 유입구(231)의 전방에 위치되도록 슬라이딩 인입되어 장착됨으로써, 상기 유입구(231)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은 걸러주고, 깨끗한 공기만 상기 케이스(20)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15를 참조하여 상기 팬 어셈블리(50)의 구성을 살펴보기로 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제습기의 팬 어셈블리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보면, 상기 팬 어셈블리(50)는 공기가 유입되는 통로를 제공하는 오리피스(51)와, 회전 운동에 의해 상기 오리피스(51)를 통해 공기를 유동시키는 팬(52)과, 상기 팬(52)의 장착 공간을 제공하면서 유동되는 공기의 유로를 제공하는 하우징(53)과, 상기 팬(52)의 회전 운동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5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팬 어셈블리(50)는 상기 모터(54)에서 발생되는 회전 동력에 의해 상기 팬(52)이 회전 운동하게 되고, 상기 팬(52)의 회전 운동에 의해 상기 케이스(20)의 외부 공기가 상기 오리피스(51)를 통해 상기 팬(52)으로 유동될 수 있다.
상기 팬(52)으로 유동되는 공기는 상기 하우징(53)의 내주면을 따라 유동하면서 상기 토출구(211) 또는 상기 제2토출구(232)를 통해 외부로 토출된다.
이때, 상기 오리피스(51)를 통과하여 상기 팬(52)으로 유입되는 공기는 상기 열교환기(40)를 통과하여 제습된 공기가 유입됨으로써, 상기 하우징(53)의 내부면을 따라 유동하는 공기는 상기 토출구(211) 또는 상기 제2토출구(232)를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공간으로 토출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공간의 공기를 제습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토출구(211)에는 상기 루버(212)가 장착되고, 상기 루버(212)는 일정 각도로 회전 운동함으로써 상기 토출구(211)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설정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6 내지 도 20을 참조하여 상기 베이스(25)와 상기 프레임(60)의 구성을 살펴보기로 한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제습기의 열교환기와 하부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제습기의 프레임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제습기의 프레임 상면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또한,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제습기의 압축기와 베이스의 체결을 나타낸 체결도이고,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제습기의 베이스와 바퀴의 체결을 나타낸 체결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여 보면, 상기 베이스(25)의 상면에는 상기 프레임(60)이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60)에 의해 상기 케이스(20)의 내부 공간은 상부 공간과 하부 공간으로 구분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상기 프레임(60)은 상기 상부프레임(61)과 상기 하부프레임(6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상부프레임(61)에 의해 상기 케이스(20)의 내부 공간이 상부 공간과 하부 공간으로 구분될 수 있고, 상기 하부 공간은 상기 하부프레임(61)에 의해 상기 전장실(80)과 상기 압축실(70)과 상기 물탱크실(90)로 구분될 수 있다.
즉, 상기 압축기(71)는 상기 상부프레임(61)에 의해 그 상측이 감싸지고, 상기 하부프레임(62)에 의해 좌우측이 감싸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25)의 하측에는 상기 제습기(10)의 이동성을 확보하기 위한 상기 바퀴(27)가 장착되고, 상기 바퀴(27)에 의해 상기 제습기(10)의 이동성이 향상되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상기 상부프레임(61)의 상면 일측 상세하게는 상기 열교환기(40)가 장착되는 부분은 일정 정도의 경사도를 가지도록 형성되면서, 상기 열교환기(40)에서 낙하하는 응축수가 합수되도록 하기 위한 합수부(61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합수부(611)는 상기 상부프레임(61)의 상면 기울기에 의해 일측으로 유동하는 응축수를 합수하여 상기 물탱크(30)로 유동시켜 상기 상부프레임(61)에서 응축수를 배수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드레인 팬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상기 상부프레임(61)의 상면은 상기 물탱크실(90) 방향으로 일정 정도의 하향 기울기를 가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합수부(611)에서 합수되어 상기 물탱크실(90)로 낙하하게 된다.
상기 물탱크실(90)로 낙하하는 응축수는 상기 물탱크(30)의 상면을 통해 상기 물탱크(30)의 내부 공간으로 집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9를 참조하여 보면, 상기 압축기(71)는 상기 베이스(25)의 상면에 장착되고, 상기 압축기(71)와 상기 베이스(25)의 상면 사이에는 상기 압축기(71)의 진동을 흡수하여 소음을 저감시키는 댐퍼(72) 등이 더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댐퍼(72)에 의해 상기 압축기(71)에서 발생되는 진동이 감쇄되고, 상기 베이스(25)로 미전달되어 상기 압축기(71)의 진동으로 인한 소음이 저감되는 장점을 가질 수 있게 된다.
도 20을 참조하여 보면, 상기 베이스(25)에는 상기 제습기(10)의 이동성 향상을 위하여 상기 바퀴(27)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바퀴(27)는 상대적으로 지름이 큰 메인바퀴(271)와, 상대적으로 지름이 작으면서 좌우 회전이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보조바퀴(27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바퀴(27)에 의해 상기 제습기(10)의 이동성이 향상되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상기 베이스(25)의 상면 일측에는 상기 수용홈(251)이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25)의 테두리 부분 일부에는 상기 데코패널(252)이 장착될 수 있다. 즉, 상기 물탱크실(90)의 하면을 형성하는 테두리 부분에는 상기 데코패널(252)이 장착됨으로써 상기 제습기(10)의 측면 외관 일부를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1 내지 25를 참조하여 상기 물탱크(30)의 구성을 살펴보기로 한다.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제습기의 물탱크 외형을 나타낸 우측 사시도이고,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제습기의 물탱크 외형을 나타낸 좌측 사시도이며, 도 2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제습기의 탱크커버 일부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제습기의 물탱크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2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제습기의 물탱크 사용을 나타낸 사용 상태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여 보면, 상기 물탱크(30)는 상기 열교환기(40)에서 낙하하는 응축수가 수용되는 탱크(31)와 상기 탱크(31)의 개방된 상면을 개폐하는 탱크커버(32)와, 상기 탱크커버(32)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탱크손잡이(3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물탱크(30)는 전체적으로 투명 또는 반투명의 소재로 이루어져, 상기 발광부(94)에서 발산되는 빛이 일정 정도 투과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발광부(94)에서 발산되는 빛이 투과됨으로써 상기 탱크(31)의 내부 공간에 수용되는 물의 수위를 사용자가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상기 탱크(31)는 일정 정도의 두께를 가지면서 상면이 개방된 육면체의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습기(10)의 외면 일부를 형성하는 부분은 일정 정도의 곡률 반경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다른 측면은 상기 물탱크실(90)에 수용되면서 장착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습기(10)의 외면 일부를 형성하는 측면의 하단부는 일정 정도의 단차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단차부(311)는 상기 탱크(31)의 하단부 테두리 일부가 일정 정도 상기 탱크(31)의 내부 공간을 향하여 절곡되도록 형성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단차부(311)가 상기 데코패널(252)의 상기 제한리브(253)에 의해 걸림 지지됨으로써 상기 물탱크(30)의 하단부가 상기 물탱크(30)의 측방 이동시 이동이 제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탱크커버(32)는 적어도 두 개의 부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탱크커버(32)의 일부는 사용자가 상기 탱크(31)의 내부 공간에 수용된 물을 비우고자 할 때, 상기 탱크(31)의 상면 일부를 개방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배수커버(321)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탱크커버(32)의 다른 일부는 사용자가 상기 탱크(31)의 내부 공간을 청소하고자 할 때, 상기 탱크(31)의 상면을 완전히 개방하는 경우에 상기 탱크(31)의 상면을 개방하는 청소커버(32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상기 물탱크(30)에 수용되는 물을 비우고자 할 때에는 상기 배수커버(321)만 회동시킴으로써 상기 탱크(31)의 상면 일부만 개방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상기 탱크(31)의 내부 공간을 청소하고자 할 때, 상기 배수커버(321)와 상기 청소커버(322)를 상기 탱크(31)의 상면으로부터 이탈시킴으로써 상기 탱크(31)의 내부 공간 청소가 용이해지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즉, 상기 물탱크(30)의 배수를 위하여 상기 배수커버(321)를 회동시킴으로써 상기 탱크(31)의 상면 일부를 개방하게 되고, 상기 물탱크(30)의 청소를 위하여 상기 배수커버(321)와 상기 청소커버(32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상기 탱크커버(32)를 상기 탱크(31)의 상단부로부터 이탈시킴으로써 상기 탱크(31)의 상면 전체를 개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배수커버(321)에는 상기 상부프레임(61)의 상면에서 합수되는 응축수가 낙하하여 수용되는 커버홈(32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홈(323)은 바닥 면이 일정 정도의 기울기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홈(323)은 일정 정도의 면적만큼 하방으로 함몰 형성됨으로써 일정 정도의 내부 공간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그 바닥면은 상기 탱크(31)의 일 측면을 향하여 하향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살펴보면, 상기 커버홈(323)의 바닥면은 도 21에서 볼 때 후방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를 가지며, 좌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커버홈(323)의 바닥면이 일정 방향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를 가지는 것은 상기 합수부(611)에서 낙하하는 물이 상기 커버홈(323)의 내부 공간 어디에 낙하하더라도 상기 탱크(31)의 내부 공간으로 유동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제습기(10)의 외관 일부를 형성하는 상기 탱크(31)의 측면 상단부에는 사용자가 상기 탱크손잡이(33)를 파지하기 용이하도록 손잡이홈(31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홈(312)은 상기 탱크(31)의 측면 상단부 일부가 하방으로 절제되어 형성되면서, 상기 청소커버(322)의 상면 일부가 하방으로 함몰 형성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탱크(31)의 양 측면에는 상기 물탱크실(90)에 형성되는 결합부(91)에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는 결합돌기(35)가 양 측방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돌기(35)에 의해 상기 청소커버(322)와 상기 탱크(31)가 결합되고, 상기 물탱크(30)가 상기 물탱크실(90)에 장착된 다음, 상기 물탱크(30)의 임의 이탈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결합돌기(35)는 상기 탱크커버(32)와 상기 탱크(31)를 결합함과 동시에 상기 결합부(91)와의 결합에 의해 상기 물탱크(30)가 상기 물탱크실(90)로부터 임의 이탈하는 것을 동시에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결합돌기(35)에 의해 상기 제습기(10)의 생산 원가가 절감되고, 조립성이 향상되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다시 말해, 하나의 상기 결합돌기(35)에 의해 상기 탱크커버(32)를 상기 탱크(31)에 결합함과 동시에 상기 물탱크(30)를 상기 물탱크실(90)에 고정 장착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탱크(31)의 내부 공간에는 상기 탱크(31)의 내부 공간 수위에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플로트(34)가 더 제공된다. 상기 플로트(34)는 상기 탱크(31)의 내측면에 장착되면서 상기 탱크(31)의 내부 공간 수위에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플로트(34)는 자성을 가지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내부 공간에 자성을 가지는 부재를 위치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플로트(34)에서 발산되는 자성에 의해 상기 수위센서(92)와 상기 안전센서(93)가 상기 플로트(34)의 위치를 감지함으로써 상기 탱크(31)의 내부 수위를 감지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25를 참조하여 보면, 상기 탱크(31)의 내부 공간에 수용되는 응축수를 비우기 위하여 사용자는 상기 배수커버(321)를 회동시키거나 회동시킨 상태에서 상기 물탱크(30)를 상기 배수커버(321) 방향으로 일정 각도로 기울이게 되면, 상기 탱크(31)의 내부 공간에 수용되는 물을 비울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제습기는, 사용의 편의성이 향상되면서 슬림한 디자인으로 인한 심미감이 향상되고, 내부 공간의 활용성이 향상되는 장점과 같은 많은 장점을 가지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기한 바와 같이 많은 장점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제습기는, 제습기의 생산 및 제조, 판매를 위한 산업뿐만 아니라, 이와 관련된 다양한 산업에 그 이용 가능성이 크다 할 것이다.
10. 제습기 20. 케이스
21. 상면케이스 22. 전면케이스
23. 후면케이스 231. 유입구
232. 제2토출구 233. 공기필터
234. 습도센서 235. 파워코드부
25. 베이스 26. 상부핸들
27. 바퀴 30. 물탱크
40. 열교환기 50. 팬 어셈블리
60. 프레임 70. 압축실
80. 전장실 90. 물탱크실
91. 결합부 92. 수위센서
93. 안전센서 94. 발광부

Claims (21)

  1.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를 가지는 후면케이스와, 상기 후면케이스와 마주보는 면의 외관을 형성하는 전면케이스를 가지는 케이스;
    상기 후면케이스에 대하여 측방으로 탈착되는 물탱크;
    상기 케이스의 내부 공간에 장착되는 압축기;
    상기 압축기의 일측에 위치하는 전장실; 이 포함되고,
    상기 물탱크와 상기 압축기와 상기 전장실은 가상의 직선상에 놓이는 제습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에는,
    회전 운동에 의해 공기를 유동시키는 팬 어셈블리와,
    상기 팬 어셈블리에 의해 유동하는 공기와 열 교환되는 냉매가 흐르는 열교환기와,
    상기 팬 어셈블리와 상기 열교환기를 지지하면서 상기 열교환기를 통과하는 공기의 응축에 의해 발생하는 응축수의 배수를 위한 드레인팬 기능을 수행하는 프레임이 더 제공되는 제습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케이스의 하면 외관을 형성하는 베이스에 결합되면서 다수의 전장 부품이 장착되는 전장실과, 상기 물탱크가 수용되어 장착되는 물탱크실과, 상기 압축기가 위치되는 공간인 압축실이 일렬로 위치하도록 상기 케이스의 내부 공간을 구획하는 제습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하면에는 상기 케이스의 이동을 위한 바퀴가 더 장착되고,
    상기 케이스의 상면에는 상부핸들이 더 장착되는 제습기.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물탱크실에는,
    상기 물탱크의 수위에 따라 이동하는 플로트의 자성에 의해 반응하여 상기 플로트의 위치에 따라 상기 물탱크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센서와,
    상기 플로트의 자성에 의해 반응하여 상기 물탱크의 만수위를 감지하는 안전센서가 장착되는 제습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센서는
    상기 수위센서의 상측에 위치되고, 상기 플로트를 감지하면 상기 케이스의 동작을 정지시키도록 제어되는 제습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물탱크의 수위를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물탱크를 향하여 빛을 발산하는 발광부가 제공되는 제습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는 상기 물탱크의 수위에 따라 다른 색상의 빛을 발산하도록 제어되는 제습기.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는 상기 물탱크의 수위에 따라 다른 밝기로 빛을 발산하도록 제어되는 제습기.
  10.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에는 상기 물탱크가 이탈된 상태에서 낙하는 물을 수용하는 수용홈이 형성되는 제습기.
  11.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에는 상기 물탱크의 하단부의 이동을 제한하는 제한리브를 가지면서 상기 베이스의 외면 일부를 형성하는 데코패널이 장착되는 제습기.
  12. 전면 외관을 형성하는 전면케이스와, 후면 외관을 형성하면서 공기 유입구가 형성되는 후면케이스와 하면 외관을 형성하는 베이스를 가지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부의 공기 유동을 강제하는 팬 어셈블리;
    상기 케이스 내부의 공기를 냉매와 열 교환시키는 열교환기;
    상기 열교환기로 압축된 냉매를 공급하는 압축기; 및
    상기 팬 어셈블리와 열교환기를 지지하고, 상기 압축기가 설치되는 공간인 압축실의 양측에 다수의 전장 부품이 장착되는 전장실과 낙하하는 응축수를 수용하는 물탱크가 장착되는 물탱크실이 위치하도록 공간을 구분하는 프레임; 을 포함하는 제습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압축실을 중앙으로 하여 일측에는 전장실이 위치하고, 다른 측에는 물탱크실이 위치하도록 형성되는 제습기.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에는 사용자가 파지하도록 상부핸들이 상기 물탱크가 탈착되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습기.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에는 상기 케이스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바퀴가 장착되고,
    상기 바퀴는 상대적으로 큰 지름을 가지는 메인 바퀴와, 상대적으로 작은 지름을 가지는 보조 바퀴를 포함하는 제습기.
  16.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장실에는,
    다수의 전장 부품을 제어하기 위한 메인기판이 장착되는 컨트롤 케이스가 제공되는 제습기.
  17.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물탱크는,
    낙하하는 물을 수용하는 탱크와,
    상기 탱크의 상면을 커버하는 탱크커버를 포함하는 제습기.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탱크커버는,
    배수시 개폐되는 배수커버와,
    상기 탱크의 청소를 위하여 개폐되는 청소커버를 포함하는 제습기.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물탱크에는,
    상기 탱크커버와 상기 탱크를 결합하는 결합유닛이 장착되고,
    상기 결합유닛에 의해 상기 물탱크는 상기 프레임과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습기.
  20.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물탱크의 하면 테두리 부분은 테두리를 따라 단차지게 형성되는 제습기.
  21.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탱크커버에는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탱크손잡이가 장착되고,
    상기 탱크손잡이에 의해 상기 케이스의 외면 일부가 형성되는 제습기.
KR1020140094291A 2014-03-31 2014-07-24 제습기 KR10212509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8279 2014-03-31
KR20140038279 2014-03-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3793A true KR20150113793A (ko) 2015-10-08
KR102125092B1 KR102125092B1 (ko) 2020-06-19

Family

ID=54346656

Famil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4035A KR101597038B1 (ko) 2014-03-31 2014-07-04 제습기
KR1020140091352A KR101662888B1 (ko) 2014-03-31 2014-07-18 제습기
KR1020140093698A KR101680425B1 (ko) 2014-03-31 2014-07-24 제습기
KR1020140094289A KR102069875B1 (ko) 2014-03-31 2014-07-24 제습기
KR1020140094291A KR102125092B1 (ko) 2014-03-31 2014-07-24 제습기
KR1020140097966A KR101662891B1 (ko) 2014-03-31 2014-07-31 제습기

Family Applications Before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4035A KR101597038B1 (ko) 2014-03-31 2014-07-04 제습기
KR1020140091352A KR101662888B1 (ko) 2014-03-31 2014-07-18 제습기
KR1020140093698A KR101680425B1 (ko) 2014-03-31 2014-07-24 제습기
KR1020140094289A KR102069875B1 (ko) 2014-03-31 2014-07-24 제습기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7966A KR101662891B1 (ko) 2014-03-31 2014-07-31 제습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6) KR10159703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8127B1 (ko) 2022-11-14 2023-05-31 주식회사 신안그린테크 제습장치
KR102538124B1 (ko) 2022-11-14 2023-05-31 주식회사 신안그린테크 바람 손실을 줄여 향상된 제습량을 확보한 제습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7202007A1 (de) * 2017-02-08 2018-08-09 E.G.O. Elektro-Gerätebau GmbH Vorrichtung zur Entfeuchtung, Elektrogerät mit einer solchen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Entfeuchtung
KR101954633B1 (ko) * 2017-02-28 2019-03-06 주식회사 위닉스 제습기
KR102155300B1 (ko) * 2018-01-24 2020-09-14 대한민국 목재 건조기 배기 이동식 응축장치
CN110319518A (zh) * 2019-07-26 2019-10-11 佛山科学技术学院 一种可拆式水箱及其空调扇
KR102539750B1 (ko) * 2021-03-12 2023-06-02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및 이의 물통
WO2023146328A1 (ko) * 2022-01-28 2023-08-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62537A (ja) * 1984-07-30 1985-04-10 Hitachi Ltd 除湿機のキヤビネツト構造
JPH07239135A (ja) * 1994-02-28 1995-09-12 Sanyo Electric Co Ltd 除湿機
KR20060129678A (ko) * 2005-06-13 2006-12-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제습기
KR20070077645A (ko) * 2006-01-24 2007-07-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제습기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91148A (ja) * 1983-10-26 1985-05-22 Hitachi Ltd 除湿機の圧縮機取付構造
KR0115552Y1 (ko) * 1994-01-15 1998-04-18 김광호 제습기의집수통착탈장치
JP2000111391A (ja) 1998-10-06 2000-04-18 Sharp Corp 容器着脱検知機能付き液面検知装置及び除湿機
JP3924712B2 (ja) * 2000-02-17 2007-06-06 三菱電機株式会社 除湿機
JP2002103904A (ja) * 2000-10-02 2002-04-09 Citizen Electronics Co Ltd 空調機器移動補助装置
JP2002162066A (ja) * 2000-11-20 2002-06-07 Fujitsu General Ltd 除湿機
KR100428209B1 (ko) * 2000-12-28 2004-04-3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방열기 냉각수 저장통의 유량 확인장치
KR20020096310A (ko) * 2001-06-19 2002-12-31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제습기의 수위 감지장치
JP4609205B2 (ja) * 2005-07-04 2011-01-12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除湿装置
JP4997803B2 (ja) * 2005-12-06 2012-08-08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除湿装置
JP2007183191A (ja) * 2006-01-10 2007-07-1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除湿装置の水位検出装置
JP4516037B2 (ja) * 2006-03-08 2010-08-04 シャープ株式会社 空気調節装置
JP4876637B2 (ja) 2006-03-08 2012-02-1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除湿装置
KR20080036310A (ko) * 2006-10-23 2008-04-28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만수감지수단
JP5380776B2 (ja) * 2007-02-20 2014-01-08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除湿装置の排水タンク
JP6089204B2 (ja) * 2012-07-06 2017-03-08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加湿装置
KR20140027809A (ko) * 2012-08-27 2014-03-07 코웨이 주식회사 제습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62537A (ja) * 1984-07-30 1985-04-10 Hitachi Ltd 除湿機のキヤビネツト構造
JPH07239135A (ja) * 1994-02-28 1995-09-12 Sanyo Electric Co Ltd 除湿機
KR20060129678A (ko) * 2005-06-13 2006-12-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제습기
KR20070077645A (ko) * 2006-01-24 2007-07-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제습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8127B1 (ko) 2022-11-14 2023-05-31 주식회사 신안그린테크 제습장치
KR102538124B1 (ko) 2022-11-14 2023-05-31 주식회사 신안그린테크 바람 손실을 줄여 향상된 제습량을 확보한 제습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69875B1 (ko) 2020-01-23
KR101662888B1 (ko) 2016-10-06
KR102125092B1 (ko) 2020-06-19
KR20150113791A (ko) 2015-10-08
KR20150113792A (ko) 2015-10-08
KR101597038B1 (ko) 2016-03-07
KR20150113794A (ko) 2015-10-08
KR101680425B1 (ko) 2016-11-28
KR20150113789A (ko) 2015-10-08
KR101662891B1 (ko) 2016-10-06
KR20150113788A (ko) 2015-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113793A (ko) 제습기
EP2927618B1 (en) Dehumidifier
KR102166445B1 (ko) 제습기 및 제습기용 워터탱크
EP2927617B1 (en) Dehumidifier
US9879878B2 (en) Dehumidifier
CN110857797B (zh) 除湿机
KR20200022667A (ko) 제습기
KR100491791B1 (ko) 공기조화기
KR20060129678A (ko) 제습기
KR101671575B1 (ko) 제습기
KR101581115B1 (ko) 제습기
JP4318957B2 (ja) 除湿機
KR101581549B1 (ko) 제습기
KR20070075509A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2400752B1 (ko) 제가습 장치
JP2009174805A (ja) 空調機の室内ユニット
KR101532876B1 (ko) 제습기
KR20200022665A (ko) 제습기
KR20070048463A (ko) 제습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