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9750B1 - 의류처리장치 및 이의 물통 - Google Patents

의류처리장치 및 이의 물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9750B1
KR102539750B1 KR1020210032388A KR20210032388A KR102539750B1 KR 102539750 B1 KR102539750 B1 KR 102539750B1 KR 1020210032388 A KR1020210032388 A KR 1020210032388A KR 20210032388 A KR20210032388 A KR 20210032388A KR 102539750 B1 KR102539750 B1 KR 1025397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water
inclined surface
clothes
water bott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23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27963A (ko
Inventor
김재상
박현익
최인용
김영종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323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9750B1/ko
Publication of KR202201279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79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97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97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5/00Washing machines, apparatu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10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73/00Apparatus for smoothing or removing creases from garments or other textile articles by formers, cores, stretchers, or internal frames, with the application of heat or steam 
    • D06F73/02Apparatus for smoothing or removing creases from garments or other textile articles by formers, cores, stretchers, or internal frames, with the application of heat or steam  having one or more treatment chamb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류가 수용되는 의류처리실과, 상기 의류처리실과 분리되어 상기 의류처리실 내부의 의류에 대한 처리를 하기 위한 장치가 수용되는 기계실과, 상기 기계실의 전방에 마련된 물통수용공간에 안착되는 물통을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물통은, 물통몸체, 상기 물통몸체의 상부에 회동가능하게 마련된 손잡이, 및 상기 물통몸체의 전면 상부는 후퇴하여 상기 손잡이와의 사이에 오목하게 형성된 손잡이파지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의류처리장치 및 이의 물통 {APPARATUS FOR LAUNDRY TREATMENT AND WATER PAIL OF THE SAME}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 미 이의 물통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의류에 대하여 세탁, 건조, 탈취, 구김제거 등의 각종 처리를 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 및 이의 물통에 관한 것이다.
의류처리장치는 의류를 세탁하거나, 젖은 의류를 건조하거나, 의류에 배인 냄새를 제거하거나, 의류의 주름을 개선하는 등 의류에 대한 각종 처리를 하기 위한 장치이다.
최근 의류처리장치는 의류의 세탁을 위한 세탁기, 의류의 건조를 위한 건조기, 의류의 리프레쉬를 위한 리프레셔(refresher), 의류의 불필요한 구김을 개선시키는 스티머(steamer) 등이 하나의 장치에서 구현되도록 개발되고 있는 추세에 있다.
여기서, 리프레셔는 의류의 상태를 쾌적하고 신선하게 하기 위한 장치로서, 의류를 건조시키거나, 의류에 향을 공급하거나, 의류의 정전기 발생을 방지하거나, 의류의 구김을 개선시키는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를 가리키고, 스티머는 의류에 스팀을 공급하여 의류의 구김을 제거하는 장치로서 다리미와 다르게 의류에 직접 열을 가하지 않으면서 의류의 구김을 개선 및 제거할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를 가리킬 수 있다.
한편, 의류를 향해 스팀(steam)을 공급하는 의류처리장치는 스팀을 생성하기 위하여 스팀발생장치에 물을 공급하여야 한다.
이를 위하여 의류처리장치는 스팀발생장치에 물을 급수하기 위해 물을 저장하는 급수통을 포함할 수 있으며, 급수통에 저장된 물이 부족한 경우 급수통에 물을 급수하기 위해 급수통을 의류처리장치로부터 탈착하고, 물을 급수통에 채운 후 급수통을 다시 의류처리장치에 장착하여야 한다.
또한, 의류처리장치는 의류에 제습·가열된 공기를 제공하기 위한 히트펌프장치의 구동에 의해 의류처리장치에는 응축수가 발생할 수 있고, 또 스팀발생장치에 의해 발생된 스팀 등에 의해 의류처리장치에 응축수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 이외에 각종의 이유로 의류처리장치에는 응축수가 발생할 수 있다.
이렇게 의류처리장치에 발생된 응축수는 배수통에 집수될 수 있으며, 배수통에 저장된 물이 만수위인 경우 이를 퇴수하기 위해 배수통을 의류처리장치로부터 탈착하고, 배수통에 저장된 물을 버린 후 배수통을 다시 의류처리장치에 장착하여야 한다.
통상 이렇게 내부에 물을 저장하는 급수통이나 배수통과 같은 물통은 의류처리장치의 하부 전면에서 탈·장착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급수나 퇴수를 위해 물통을 옮길 때, 물통이 기울어짐으로써 물통 내부에 저장된 물이 쏟아질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필요 기술의 제시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KR 10-2138538 B1
본 발명은, 종래 급수나 퇴수를 위해 물통을 옮길 때, 내부에 저장된 물이 쏟아질 수 있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 및 이의 물통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의류가 수용되는 의류처리실과, 상기 의류처리실과 분리되어 상기 의류처리실 내부의 의류에 대한 처리를 하기 위한 장치가 수용되는 기계실과, 상기 기계실의 전방에 마련된 물통수용공간에 안착되는 물통을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물통은, 물통몸체, 상기 물통몸체의 상부에 회동가능하게 마련된 손잡이, 및 상기 물통몸체의 전면 상부는 후퇴하여 상기 손잡이와의 사이에 오목하게 형성된 손잡이파지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물통몸체의 후면 상부에는 개폐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개폐도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물통몸체의 상부에 마련되어 회전축을 제공하는 손잡이결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는, 상기 손잡이결합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손잡이암과, 상기 손잡이암과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물통 장착시 외부로 노출되는 손잡이전면판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손잡이암의 말단부에 내측으로 돌출형성된 결합돌기는, 상기 손잡이결합부의 양측단에 형성된 결합공에, 끼움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물통몸체의 상부 양측단에, 상기 손잡이암의 말단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마련된 공간인 손잡이안착홈을 포함하되, 상기 손잡이안착홈과 상기 손잡이암 간 서로 마주하는 면 중 일부의 접면은, 상기 손잡이암이 소정 각도 이상으로 회동하는 저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물통몸체는, 전면 상부에 상측으로 갈수록 후방으로 경사진 전방경사면과, 후면 상부에 상측으로 갈수록 전방으로 경사진 후방경사면을 갖되, 상기 후방경사면 상단의 높이는 상기 전방경사면 상단의 높이보다 높아서, 형성되는 상기 손잡이안착홈 중 상기 후방경사면의 상단 전방 부분에 상기 접면이 마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물통몸체는, 전면 상부에 상측으로 갈수록 후방으로 경사진 전방경사면과, 후면 상부에 상측으로 갈수록 전방으로 경사진 후방경사면을 갖되, 상기 후방경사면 상단의 높이와 상기 전방경사면 상단의 높이는 같아서, 형성되는 상기 손잡이안착홈 중 저면 부분에 상기 접면이 마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손잡이암의 말단부에는, 상기 접면과 마주하여 접하는 저면을 가진 손잡이회전스토퍼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의류가 수용되는 의류처리실과, 상기 의류처리실과 분리되어 상기 의류처리실 내부의 의류에 대한 처리를 하기 위한 장치가 수용되는 기계실과, 상기 기계실의 전방에 마련된 물통수용공간에 안착되는 물통에 있어서, 상기 물통은, 물통몸체, 상기 물통몸체의 상부에 회동가능하게 마련된 손잡이, 및 상기 물통몸체의 전면 상부는 후퇴하여 상기 손잡이와의 사이에 오목하게 형성된 손잡이파지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물통을 제공한다.
내부에 물을 저장하는 물통은 의류처리장치의 하부 전면에 탈장착되기 때문에, 종래 급수나 퇴수를 위해 물통을 옮길 때, 내부에 저장된 물이 쏟아질 수 있는 문제가 있으나, 본 발명에 따르면 이러한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물통몸체의 상부에 손잡이가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사용자가 손잡이를 잡고 물통을 옮길 때 물통몸체가 기울어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물통이 의류처리장치의 하부 전면에 장착될 때 위로 돌출된 손잡이는 전방으로 젖혀진 상태로 외부에 노출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손잡이를 이용하여 의류처리장치로부터 물통을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통의 손잡이는, 물통을 옮길 때 위로 돌출되도록 마련되지만, 의류처리장치에 장착될 때에는 전방으로 젖혀질 수 있기 때문에 손잡이로 인해 요구되는 추가 물통수용공간을 따로 마련하지 않아도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외관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실 내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계실 전방 수용공간에 물통이 탈장착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통의 전체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물통 손잡이가 상방으로 회동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4의 물통 후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통몸체에 손잡이가 결합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a 내지 8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통을 손잡이 회전 각도를 달리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9a 및 9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물통의 전체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통의 저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 요소에 대한 접미사 "유닛"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외관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는 의류가 수용되는 의류처리실(11)과, 의류처리실(11)의 하부에 분리되어 의류처리실(11) 내부의 공기를 제습, 가열 또는 순환시켜, 의류에 잔류하는 먼지, 냄새, 구김 또는 습기 등을 제거하기 위한 각종 장치가 구비되는 기계실(20)을 포함할 수 있다.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의류처리실(11)과 기계실(20)은 하나의 캐비넷(10)에 구비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의류처리실(11)의 전방에는 의류처리실(11) 개폐를 위한 도어(140)가 마련될 수 있다.
캐비넷(10)이나 도어(40)의 외면에는 의류처리장치(1)의 각 구성요소의 작동상태를 외부로 알려주기 위한 표시부 및/또는 사용자로부터 각종 작동입력을 받기 위한 입력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의류처리실(11)은 내부에 의류를 수용 또는 거치하기 위한 공간을 갖되, 의류처리실(11)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키기 위해, 의류처리실(11) 내부의 공기가 흡입되는 공기유입구(12a)과, 공기유입구(12a)로부터 흡입된 공기를 다시 의류처리실(11) 내부로 재공급하기 위한 공기토출구(12b)가 의류처리실(11)에 마련될 수 있다.
이때, 공기유입구(12a)와 공기토출구(12b)는 기계실(20)과 근접한 의류처리실(11)의 바닥면에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바닥면은 의류처리실(11)과 기계실(20)을 구분하는 가로면으로서 반드시 수평의 편평한 형태만을 가리키진 않는다.
공기유입구(12a)와 공기토출구(12b)의 의류처리실(11) 내 위치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일 실시예에 따라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기유입구(12a)는 의류처리실(11)의 전방 도어(40)측에 위치할 수 있고, 공기배출구(12b)는 의류처리실(11)의 후방 배면측에 위치할 수 있다.
기계실(20)의 내부에는 의류처리실(11)의 공기유입구(12a)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제습 및/또는 가열하여, 공기배출구(12b)를 통해 의류처리실(11) 내로 공급하기 위한 히트펌프장치(100)(또는 공기공급장치)를 포함할 수 있고, 제어부는 히트펌프장치(100)의 각 구성요소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의류처리실(11) 내부, 구체적으로 의류처리실(11)의 내측 후면에는 기계실(20) 내부에 마련된 스팀발생장치(미도시)에 의해 발생된 스팀을 분사하기 위한 스팀분사부(13)가 위치하여, 의류처리실(11) 내 수용된 의류를 향하여 스팀을 분사할 수 있다.
스팀발생장치와 스팀분사부(13)는 호스로 서로 연결되어, 스팀발생장치에 의해 발생된 스팀은 호스를 따라 형성되는 유로를 통해 스팀분사부(13)에 공급될 수 있다.
한편, 의류처리실(11)의 하부, 그리고 기계실(20)의 전방에는 스팀발생장치가 스팀을 발생할 수 있도록 스팀발생장치에 공급되는 물을 수용하는 급수통(31)이 마련될 수 있다. 이때, 급수통(31)은 대략 사각의 상자형태로 의류처리장치(1)에 장·탈착 가능하도록 구현되어, 사용자가 물채움알림시 급수통(31)을 탈착 분리하여 물을 보충한 후 케이싱에 다시 장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으나, 의류처리장치(1)는 급수통(31)에서 스팀발생장치의 급수구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펌프장치를 포함할 수 있고, 급수펌프장치는 급수통(31)의 일면에 연결된 급수호스를 통해 스팀발생장치에 급수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때, 급수통(31)에는 수위를 감지하기 위한 수위감지센서가 마련되어, 제어부(미도시)는 급수통(31)에 마련된 수위감지센서를 이용하여 급수통(31) 내 물이 소정높이 이상 채워져 있는지 여부를 감지 또는 판단하고, 저수위인 경우 외부로 물채움알림을 출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의류처리실(11)의 하부, 그리고 기계실(20)의 전방에는 상기 급수통(31) 이외에 응축수가 집수되는 배수통(32)이 마련될 수 있다. 의류처리실(11) 내부나 기계실(20) 내부에 스팀공급 등으로 발생된 응축수를 섬프에 집수하고, 섬프에 집수된 응축수는 응축수펌프장치에 의해 배수통(32)으로 유도될 수 있다.
배수통(32)은 급수통(31)과 마찬가지로, 대략 사각의 상자형태로 의류처리장치(1)에 장·탈착 가능하도록 구현되어, 사용자가 응축수배출알림시 배수통(32)을 탈착 분리하여 물을 버린 후 케이싱에 다시 장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배수통(32) 역시 수위를 감지하기 위한 수위감지센서가 마련되어, 제어부는 배수통(32)에 마련된 수위감지센서를 이용하여 배수통(32) 내 물이 소정 높이 이상 채워져 있는지 여부를 감지 또는 판단하고, 고수위인 경우 외부로 응축수배출알림을 출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 중 물통(30)은 내부에 물을 저장할 수 있는 수용 공간을 가진 용기로서, 물통(30)은 그 기능이나 역할에 따라 전술한 급수통(31)이나 배수통(32)일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계실 전방 수용공간에 물통이 탈장착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통의 전체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계실(20)의 전방에는 물통(30)이 안착될 수 있는 물통수용공간(25)이 마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기계실(20)의 내부와 물통수용공간(25)을 구획하거나, 상기 물통(30)이 안착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기 위한 케이싱이 마련될 수 있고, 케이싱에 의해 그 전방에는 외부로 노출된 물통수용공간(25)이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소정의 크기를 가진 물통수용공간(25)에는 적어도 하나의 물통(30)이 탈·장착될 수 있다.
즉, 의류처리장치(1)의 하부 전면에 물통(30)이 탈·장착되기 때문에, 급수나 퇴수를 위해 물통을 옮길 때, 내부에 저장된 물이 쏟아질 수 있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통(30)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에 저수 공간을 가진 함체인 물통몸체(310)와, 물통몸체(310)의 상부에 회동 가능하게 마련된 손잡이(32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잡이(320)는 회동 가능하기 때문에, 물통(30)이 물통수용공간(25)에 안착된 상태에서는 손잡이(320)가 전방으로 젖혀져, 사용자가 물통을 물통수용공간(25)으로부터 인출할 때 사용자의 외력이 작용하는 작용점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고, 또 물통(30)을 옮길 때에는 손잡이(320)가 상방으로 젖혀져, 사용자가 손잡이(320)를 파지할 때 물통몸체(310)가 자중에 의해 기울어지지 않게 됨으로써, 손잡이(320)는 사용자가 물통(30)을 옮길 때 물을 쏟지 않도록 파지할 수 있는 할 수 있는 게 파지점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손잡이(320)가 물통수용공간(25)에 안착된 상태의 물통(30)을 외부로 인출시키기 위한 작용점으로 작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물통몸체(310)의 전면 상부는 후방으로 후퇴한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이에 따라 물통몸체(310)와 손잡이(320) 사이에는 오목한 손잡이파지구(330)가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물통수용공간(25)에 안착된 상태의 물통(30)은 손잡이(320)가 전방으로 젖혀져 있기 때문에, 손잡이파지구(330)가 형성되며, 사용자는 도 3에 도시한 화살표 방향으로 외력을 가함으로써, 물통(30)의 전방 하단부를 지지점으로 물통(30)의 상부가 전방으로 기울어짐으로써, 물통(30)이 물통수용공간(25)으로부터 인출될 수 있게 된다.
이와 반대로, 물통(30)을 물통수용공간(25)에 장착시킬 때도, 물통(30)의 전방 하단부를 지지점으로 하여 물통(30)을 물통수용공간(25)의 내측 방향으로 밀어 넣을 수 있으며, 이때 물통(30) 전방 하단부의 지지점이 미끌어지지 않도록 물통수용공간(25)의 전방 하단부에는 걸림턱(미도시)이 마련될 수 있다.
이렇게 물통수용공간(25)으로부터 물통(30)이 인출될 때는 물론, 물통(30)이 물통수용공간(25)에 장착될 때, 물통(30)의 상부는 전방으로 기울어질 수 있고, 이렇게 기울어진 상태에서 물통(30) 내부에 저장된 물이 가급적 쏟아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 기울어진 상태의 물통(30) 내 저장된 물의 수면과 이격될 수 있도록 물통몸체(310)의 후면 상부, 바람직하게는 후방경사면(312)에, 개폐 가능한 개폐도어(313)가 마련될 수 있다(도 6 참조).
대략 판상의 개폐도어(313)는 그 상측단 또는 하측단에 마련된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함으로써, 물통몸체(310)의 일부분을 개방하거나 폐쇄할 수 있다.
사용자는 개폐도어(313)를 개방함으로써 물통몸체(310) 내에 물을 급수하거나 물통몸체(310) 내의 물을 퇴수할 수 있고, 이와 반대로 사용자는 개폐도어(313)를 폐쇄함으로써 물통몸체(310) 내 물이 밖으로 쏟아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물통몸체(31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내부에 물을 저장하는 함체로서,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대략 사각의 상자형태일 수 있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통몸체(310)는 전면 상부에 상측으로 갈수록 후방으로 경사진 전방경사면(311)과, 후면 상부에 상측으로 갈수록 전방으로 경사진 후방경사면(312)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통몸체(310)는, 종래와 다르게, 손잡이로서 외면에 오목하게 형성된 홈을 갖지 않고, 전방경사면(311)에 의해 형성되는 물통몸체(310)의 외면과, 물통몸체(310)의 상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손잡이(320)와의 사이 공간을 손잡이로서 이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전방경사면(311)과 손잡이(320) 사이의 공간에 손을 넣고 손잡이(320)를 밖으로 당김으로써 물통(30)을 물통수용공간(25)으로부터 인출할 수 있다.
또한, 후방경사면(312)은 물통수용공간(25)에 안착될 때, 물통수용공간(25)의 내측 상부벽과 대향할 수 있으며, 이때 물통수용공간(25)의 내측 상부벽은 후방경사면(312)과 상응하는 경사면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경사면은 의류처리실(11) 내 공기유입구(12a)에서부터 히트펌프장치로 공기 유로를 형성하는 덕트(미도시)의 경사 각도와 상응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후방경사면(312) 상에 개폐 가능한 개폐도어(313)가 마련됨으로써, 개폐도어(313)가 개방되어 개구된 부분은 상부를 향하게 되어, 사용자는 개구된 부분을 통해 물통몸체(310) 내 급수와 퇴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한편, 도 5는 도 4의 물통 손잡이가 상방으로 회동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통몸체에 손잡이가 결합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및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통몸체(310)의 상부에는 회전축(x축)을 제공하는 손잡이결합부(315)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손잡이결합부(315)에 손잡이(320)가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됨으로써, 손잡이(320)는 손잡이결합부(315)에 의해 제공되는 회전축(x축)을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손잡이결합부(315)는, 대략 손잡이(320)의 회전축(x축)이 물통몸체(310)의 두께방향으로 대략 중앙에 위치하도록 배치(도 8a 내지 8c 참조)되어, 사용자가 손잡이(320)를 파지할 때 물통몸체(310)가 어느 한쪽으로 기울어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손잡이(320)는 물통(30)이 물통수용공간(25)에 장착되었을 때 외부, 즉 전면으로 노출되는 손잡이전면판(322)과, 손잡이결합부(315)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손잡이암(321)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손잡이암(321)은 손잡이전면판(322)의 양측단에서 일측 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손잡이(320)는 전체적으로 대략 'ㄷ'자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각 손잡이암(321)의 말단부는 손잡이결합부(315)의 양측단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각 손잡이암(321)의 말단부에는 내측 방향으로 결합돌기(3212a, 3212b)가 돌출 형성될 수 있고, 이에 상응하여 손잡이결합부(315)의 양측단에는 제1 및 제2 결합공(3151a, 미도시)이 형성되어, 제1 및 제2 결합공(3151a, 미도시) 각각에 결합돌기(3212a, 3212b)가 끼움 결합됨으로써, 손잡이결합부(315)에 손잡이(320)가 체결됨으로써 회전축(x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 제시한 실시예와 다른 방법으로 손잡이결합부(315)에 손잡이(320)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8a 내지 8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통을 손잡이 회전 각도를 달리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8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물통(30)이 물통수용공간(25)에 장착되었을 때, 손잡이(320)는 전방으로 젖혀진 상태를 가질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손잡이파지구(330)에 손을 넣어, 도 3에 도시한 화살표 방향으로 당김으로써, 물통(30)을 물통수용공간(25) 밖으로 인출할 수 있다. 여기서 손잡이파지구(33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전방경사면(311)과 손잡이(320), 구체적으로 전방경사면(311)과 손잡이전면판(322) 사이의 공간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 손잡이파지구(330)의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손잡이전면판(322)의 하측단부는 하측으로 갈수록 두께가 점점 얇아지도록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사용자가 손잡이파지구(330)에 손을 넣어, 손잡이(320)을 작용점으로 물통(30)을 인출할 때, 물통(30)의 상부는 전방으로 기울어질 수 있고, 이에 따라 손잡이(320)는 회전축(x축)을 중심으로 후방으로 회동함으로써, 물통몸체(310)는 손잡이(320)에 매달린 상태를 가질 수 있다(도 8b 참조).
또한, 손잡이(320)는, 도 8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축(x축)을 중심으로 후방으로 소정 각도만큼 더 젖혀질 수 있다. 그러나 후술하는 바와 같이, 손잡이안착홈(314a, 314b)과 손잡이암(321) 간의 간섭에 의해 후방으로 손잡이(320)의 회동은 저지될 수 있다.
즉,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손잡이(320)의 상부에는 손잡이결합부(315)가 마련될 수 있으며, 이때 손잡이결합부(315)의 양측단에는 손잡이암(321)이 결합되어 손잡이암(321)의 말단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공간으로서 물통몸체(310)의 상부 양측단에는 손잡이안착홈(314a, 314b)이 마련될 수 있다.
손잡이결합부(315)의 좌우측 폭은 물통몸체(310) 상부의 좌우측 폭보다 짧게 형성되어, 물통몸체(310) 상부에 손잡이결합부(315)가 위치하지 않은 공간에는 손잡이안착홈(314a, 314b)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손잡이안착홈(314a, 314b)의 좌우폭은, 손잡이암(321)의 좌우폭과 상응하여, 손잡이(320)가 물통몸체(310)에 결합되었을 때, 물통몸체(310)의 죄우측에서 손잡이(320)가 돌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잡이안착홈(314a, 314b)은, 도 8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방경사면(312)의 상단부의 높이가 전방경사면(311)의 상단부의 높이보다 높을 수 있고, 또 후방경사면(312)의 상단부에서 전방경사면(311)의 상단부로 연장형성되는 손잡이안착홈(314a, 314b)의 저면은 오목한 형상을 가짐으로써, 손잡이안착홈(314a, 314b)의 저면 중 후방 부분, 즉 손잡이안착홈(314a, 314b) 중 후방경사면(312)의 상단 전방 부분에는 제1 안착홈걸림면(315a)이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안착홈걸림면(315a)의 경사각은 전방경사면(311)의 경사각에 상응할 수 있으나, 이를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제1 안착홈걸림면(315a)의 경사각은 손잡이암(321)이 회전축(x축)을 중심으로 후방으로 회동할 때 회동 가능한 최대 각도를 설정케 할 수 있다.
상기 제1 안착홈걸림면(315a)은 후방으로 소정 각도만큼 회동한 손잡이암(321)의 하측 말단부 후면에 마련된 손잡이걸림면(3211)과 접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 안착홈걸림면(315a)과 손잡이걸림면(3211)는 서로 마주 접함으로써 형성되는 편평한 접면에 의해 상기 손잡이암(321)은 그 이상의 각도로 후방으로 젖혀지지 않도록 회동을 저지할 수 있다.
한편, 도 9a 및 9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물통의 전체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a 및 9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손잡이암(321)은 손잡이전면판(322)의 양측단에서 일측 방향으로 연장형성되되, 손잡이암(321)의 말단부에는 전방 또는 후방으로 구부러져 연장 형성된 손잡이회전스토퍼(324)를 포함할 수 있다.
손잡이회전스토퍼(324)의 저면(3241)은 편평하게 형성되어, 손잡이암(321)이 상측 수직한 방향으로 회동하였을 때, 편평한 손잡이회전스토퍼(324)의 저면(3241)은 손잡이안착홈(314a, 314b)의 저면과 마주 접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방경사면(311)과 상기 후방경사면(312) 각각의 상측단의 높이는 같을 수 있고, 후방경사면(312)의 상단부에서 전방경사면(311)의 상단부로 연장형성되는 손잡이안착홈(314a, 314b)의 저면 역시 편평할 수 있다.
결국, 손잡이안착홈(314a, 314b)과 손잡이회전스토퍼(324)의 저면(3241) 사이에 마주하여 접하는 접면으로서 제1 회전저지면(316a)은 상기 손잡이안착홈(314a, 314b)의 저면에 마련되고, 제1 회전저지면(316a)은 손잡이암(321)이 상측수직한 방향으로 회동하였을 때, 손잡이회전스토퍼(324)의 저면(3241)과 마주 접함으로써, 손잡이암(321)이 더 이상 후방으로 젖혀지지 않도록 손잡이암(321)의 후방 회동을 저지시킬 수 있다.
한편,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통의 저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통몸체(310)의 저면에는 물통몸체(310)에 저장된 물을 기계실(20) 내 각종 장치, 특히 스팀발생장치로 공급하기 위한 체크밸브홀(340)을 포함할 수 있다.
체크밸브홀(340)은, 물통수용공간(25)의 저면에 마련된 체크밸브어셈블리(미도시)와 결합될 수 있으며, 체크밸브홀(340)은 탄성부재를 가진 체크밸브어셈블리와의 결합 여부에 따라 개폐됨으로써, 스팀발생장치로의 급수를 단속할 수 있다.
여기서, 체크밸브홀(340)와 체크밸브어셈블리는 공지의 것일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범위 및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의류처리장치 10: 캐비넷
11: 의류처리실 12a: 공기유입구
12b: 공기토출구 13: 스팀분사부
20: 기계실 25: 물통수용공간
30: 물통 31: 급수통
32: 배수통 40: 도어
310: 물통몸체 311: 전방경사면
312: 후방경사면 313: 개폐도어
314a: 제1 손잡이안착홈 314b: 제2 손잡이안착홈
315: 손잡이결합부 315a: 제1 안착홈걸림면
3151a: 제1 결합공 316a: 제1 회전저지면
320: 손잡이 322: 손잡이전면판
321: 손잡이암 321a: 제1 손잡이암
321b: 제2 손잡이암 3212a: 제1 결합돌기
3212b: 제2 결합돌기 323: 손잡이파지부
3211: 손잡이걸림면 324: 손잡이회전스토퍼
3241: 저면 330: 손잡이파지구
340: 체크밸브홀

Claims (9)

  1. 의류가 수용되는 의류처리실과, 상기 의류처리실과 분리되어 상기 의류처리실 내부의 의류에 대한 처리를 하기 위한 장치가 수용되는 기계실과, 상기 기계실의 전방에 마련된 물통수용공간에 안착되는 물통을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물통은,
    전면 상부에 상측으로 갈수록 후방으로 경사진 전방경사면과, 후면 상부에 상측으로 갈수록 전방으로 경사진 후방경사면 - 상기 전방경사면과 상기 후방경사면은 곡면이 아님 - 을 가진 물통몸체;
    상기 물통몸체의 상부 중 상기 전방경사면과 상기 후방경사면 사이에 마련되어 회전축을 제공하는 손잡이결합부;
    상기 손잡이결합부에 회동가능하게 마련된 손잡이; 및
    상기 후방경사면에 개폐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개폐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는, 상기 물통수용공간에 상기 물통 장착시 외부로 노출되는 손잡이전면판과, 상기 손잡이결합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손잡이암을 포함하되,
    상기 전방경사면에 오목하게 형성된 홈을 갖지 않으나, 상기 물통수용공간에 상기 물통 장착시 상기 손잡이와 상기 전방경사면 사이에 손잡이파지구를 형성케하여, 상기 손잡이파지구가 사용자 손이 인입될 수 있도록 공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암의 말단부에 내측으로 돌출형성된 결합돌기는, 상기 손잡이결합부의 양측단에 형성된 결합공에, 끼움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물통몸체의 상부에, 상기 손잡이결합부에 결합된 상기 손잡이암의 말단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마련된 공간인 손잡이안착홈;
    을 포함하되,
    상기 손잡이안착홈과 상기 손잡이암 간에 서로 마주하는 면 중 일부의 접면은, 상기 손잡이암이 소정 각도 이상으로 회동하는 것을 저지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6. 삭제
  7. 삭제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암의 말단부에는, 상기 접면과 마주하여 접하는 저면을 가진 손잡이회전스토퍼;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9. 의류가 수용되는 의류처리실과, 상기 의류처리실과 분리되어 상기 의류처리실 내부의 의류에 대한 처리를 하기 위한 장치가 수용되는 기계실과, 상기 기계실의 전방에 마련된 물통수용공간에 안착되는 물통에 있어서,
    상기 물통은,
    전면 상부에 상측으로 갈수록 후방으로 경사진 전방경사면과, 후면 상부에 상측으로 갈수록 전방으로 경사진 후방경사면 - 상기 전방경사면과 상기 후방경사면은 곡면이 아님 - 을 가진 물통몸체;
    상기 물통몸체의 상부 중 상기 전방경사면과 상기 후방경사면 사이에 마련되어 회전축을 제공하는 손잡이결합부;
    상기 손잡이결합부에 회동가능하게 마련된 손잡이; 및
    상기 후방경사면에 개폐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개폐도어;
    를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는, 상기 물통수용공간에 상기 물통 장착시 외부로 노출되는 손잡이전면판과, 상기 손잡이결합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손잡이암을 포함하되,
    상기 전방경사면에 오목하게 형성된 홈을 갖지 않으나, 상기 물통수용공간에 상기 물통 장착시 상기 손잡이와 상기 전방경사면 사이에 손잡이파지구를 형성케하여, 상기 손잡이파지구가 사용자 손이 인입될 수 있도록 공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물통.
KR1020210032388A 2021-03-12 2021-03-12 의류처리장치 및 이의 물통 KR1025397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2388A KR102539750B1 (ko) 2021-03-12 2021-03-12 의류처리장치 및 이의 물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2388A KR102539750B1 (ko) 2021-03-12 2021-03-12 의류처리장치 및 이의 물통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7963A KR20220127963A (ko) 2022-09-20
KR102539750B1 true KR102539750B1 (ko) 2023-06-02

Family

ID=834464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2388A KR102539750B1 (ko) 2021-03-12 2021-03-12 의류처리장치 및 이의 물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975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61042A (ja) * 2002-07-31 2004-02-26 Sanyo Electric Co Ltd 空気調和機
JP2013144023A (ja) * 2012-01-13 2013-07-25 Sharp Corp 集塵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自走式掃除機〔2〕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7038B1 (ko) * 2014-03-31 2016-03-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제습기
KR20180133368A (ko) * 2018-12-07 2018-12-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102138538B1 (ko) 2019-11-05 2020-07-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61042A (ja) * 2002-07-31 2004-02-26 Sanyo Electric Co Ltd 空気調和機
JP2013144023A (ja) * 2012-01-13 2013-07-25 Sharp Corp 集塵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自走式掃除機〔2〕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7963A (ko) 2022-09-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227355B2 (ja) 衣類処理装置
EP2949803B1 (en) Laundry treatment apparatus
JP6435343B2 (ja) 衣類処理システム
ES2369374T3 (es) Aparato de tratamiento de productos textiles con un dispositivo de limpieza ultrasónica.
EP4290005A2 (en) Clothes care apparatus
KR102424696B1 (ko) 세탁기
KR102364520B1 (ko) 석회화 침착물을 위한 수집 격실을 갖는 스팀 다리미
EP3202968A1 (en) Clothes treating apparatus
US20160138207A1 (en) Laundry Washing Machine
CN108570827A (zh) 一种洗衣机的洗涤剂盒及洗衣机
BR102015012475B1 (pt) Aparelho de tratamento de vestuário
KR20090102413A (ko) 세탁장치
KR102539750B1 (ko) 의류처리장치 및 이의 물통
KR100774206B1 (ko) 복합 의류 처리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EP2376704B1 (en) Condenser type laundry dryer
KR20090069756A (ko) 의류처리장치
US10822733B2 (en) Washing machine appliance lid assembly including a retractable hanger
JP7046697B2 (ja) 洗濯機
CN107130418B (zh) 衣物处理设备
CN112601854B (zh) 具有改进的抽屉的衣物处理器具
KR101989891B1 (ko)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방법
KR101939292B1 (ko) 의류처리장치
KR101208531B1 (ko) 건조기
KR101265611B1 (ko) 건조기
KR101280380B1 (ko) 의류 처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