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83793A - 먼지 센서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먼지 센서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83793A
KR20170083793A KR1020160003103A KR20160003103A KR20170083793A KR 20170083793 A KR20170083793 A KR 20170083793A KR 1020160003103 A KR1020160003103 A KR 1020160003103A KR 20160003103 A KR20160003103 A KR 20160003103A KR 20170083793 A KR20170083793 A KR 201700837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st
inlet
flow path
guide surface
dust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31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건왕
신남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031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83793A/ko
Publication of KR201700837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379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24F11/0017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6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purification, e.g. by filtering; by sterilisation; by ozonisation
    • F24F2001/0037
    • F24F2011/0023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먼지 센서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목표 공조 공간의 천장에 매립 설치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하단 수평면보다 더 넓은 면적을 가지되, 상기 천장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본체의 하단부에 결합되며, 상하로 연통된 먼지 흡입구가 형성된 하부 패널과, 상기 본체의 외측에 해당하는 상기 하부 패널 상면에 배치되고, 상기 먼지 흡입구를 통하여 직상방으로 유입된 먼지를 수평으로 개구된 먼지 유입구로 유입되도록 가이드하는 먼지 유로 가이드면이 라운드진 형상으로 형성된 먼지 센서 어셈블리를 포함함으로써, 먼지 측정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먼지 센서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Dust Sensor Assembly and Ceiling type airconditioner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먼지 센서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센서부로 유입되는 먼지의 크기 또는 먼지의 양의 변경이 가능한 먼지 유로 가이드면을 가변적으로 설계하도록 함으로써 목표 공조 공간의 정확한 먼지의 농도 측정이 가능하고, 센서부 장착 위치의 설계 자유도를 증진시킬 수 있는 먼지 센서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압축기, 응축기, 팽창밸브 및 증발기의 냉동사이클에 따른 냉매의 증발잠열을 이용하여 실내 공기의 온도를 낮추어 실내 환경을 쾌적하게 하는 장치이다.
최근 들어, 공기조화기는 공기 청정 기능을 접목시켜 사용하는 추세인데, 외부 공기(즉, 목표 공조 공간의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 그릴 내부에 전기 집진 필터, 하이브리드 촉매 필터 및 살균 필터 등이 구비되어 흡입되는 공기를 정화하여 배출함으로써 더욱 더 쾌적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 중 천장형 공기조화기는, 목표 공조 공간의 천장에 매립됨과 아울러,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부 및 공조 공기를 토출하는 토출부가 형성된 하부 패널이 천장의 마감재와 대략 매칭되게 구비되어 공기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종류로 구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공기조화기에는, 상술한 전기 집진 필터의 동작 시기 정보를 제공함과 아울러, 상술한 각종 필터들의 교체시기를 예상하도록 목표 공조 공간 내의 먼지의 농도를 측정할 수 있는 먼지 센서 어셈블리가 구비된다.
먼지 센서 어셈블리는, 목표 공조 공간 내의 정확한 먼지 농도 측정을 위하여 공기가 강제 순환되는 부위(즉, 공기조화기의 흡입부 및 토출부)로부터 영향을 받지 않는 위치에 위치되어야 하고, 자연 대류를 이용하여 센서부에 의하여 측정되어야 할 먼지가 유동되는 먼지 유동 경로를 구비하여야 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먼지 센서 어셈블리는, 자연 대류를 형성하여야 하므로 그 설치 위치가 매우 제한적임은 물론, 먼지 유동 경로로 유입되는 먼지의 크기 및 먼지의 양이 제한 설계되어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센서부로 유입되는 먼지의 크기 또는 먼지의 양의 변경이 가능한 먼지 유로 가이드면을 가변적으로 설계하도록 함으로써 목표 공조 공간의 먼지 측정 정확성을 향상시키고, 센서부 장착 위치의 설계 자유도를 증진시킬 수 있는 먼지 센서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먼지 센서 어셈블리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는, 내부에 하부 측면의 수평으로 개구되게 구비된 먼지 유입구로부터 유입된 먼지가 상부로 유동하는 먼지 유동 경로가 구비된 센서부와, 상기 센서부의 배면측을 커버하도록 배치된 리어 커버와, 상기 센서부의 전면측을 커버하도록 배치되되, 직하방으로부터 수직되게 유입되는 먼지를 상기 먼지 유입구로 안내하는 먼지 유로 가이드면이 라운드진 형상으로 형성된 프론트 커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먼지 유로 가이드면은, 상기 먼지 유입구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게 상기 프론트 커버에 형성된 유로 가이드 블록의 내부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먼지 유로 가이드면은, 상기 먼지 유입구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된 하부로부터 상기 먼지 유입구의 상단으로 상향 경사지게 라운드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먼지 유로 가이드면은, 상단이 상기 먼지 유입구의 상단과 매칭되는 높이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먼지 유로 가이드면의 라운드진 형상의 R(반경)값은, 상기 센서부를 이용하여 감지하고자 하는 먼지의 크기 또는 먼지의 양에 따라 상이하게 설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먼지 유입구의 상단 높이는, 상기 먼지 유로 가이드면의 R값에 의존하여 상이하게 설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먼지 유동 경로에 해당하는 하부에는 상기 센서부 내의 공기를 가열시켜 상승기류를 형성하는 발열체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는, 목표 공조 공간의 천장에 매립 설치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하단 수평면보다 더 넓은 면적을 가지되, 상기 천장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본체의 하단부에 결합되며, 상하로 연통된 먼지 흡입구가 형성된 하부 패널과, 상기 본체의 외측에 해당하는 상기 하부 패널 상면에 배치되고, 상기 먼지 흡입구를 통하여 직상방으로 유입된 먼지를 수평으로 개구된 먼지 유입구로 유입되도록 가이드하는 먼지 유로 가이드면이 라운드진 형상으로 형성된 먼지 센서 어셈블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먼지 유입구는, 상기 먼지 흡입구의 직상방으로부터 소정거리 일측에 이격되게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먼지 센서 어셈블리는, 내부에 상기 먼지 유입구로부터 유입된 먼지가 상부로 유동하는 먼지 유동 경로가 구비된 센서부와, 상기 센서부의 배면측을 커버하도록 배치된 리어 커버와, 상기 센서부의 전면측을 커버하도록 배치되되, 상기 먼지 유로 가이드면이 형성된 프론트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먼지 유로 가이드면은, 상기 먼지 유입구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게 상기 프론트 커버에 형성된 유로 가이드 블록의 내부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먼지 유로 가이드면은, 상기 먼지 유입구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된 하부로부터 상기 먼지 유입구의 상단으로 상향 경사지게 라운드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먼지 유로 가이드면의 라운드진 형상의 R(반경)값은, 상기 센서부를 이용하여 감지하고자 하는 먼지의 크기 또는 먼지의 양에 따라 상이하게 설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먼지 유입구의 상단 높이는, 상기 먼지 유로 가이드면의 R값에 의존하여 상이하게 설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먼지 유동 경로에 해당하는 하부에는 상기 센서부 내의 공기를 가열시켜 상승기류를 형성하는 발열체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먼지 센서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다양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첫째, 먼지 유로 가이드면에 의하여 상방으로 수직되게 유동되는 외부 공기를 수평으로 개구된 먼지 유입구로 자연스럽게 유동되도록 함으로써 먼지의 임의 포집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둘째, 먼지 유로 가이드면의 R값을 목표 공조 공간의 종류 및 센서부를 이용하여 감지하고자 하는 먼지의 크기 및 먼지의 양에 따라 상이하게 설계함으로써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상기한 효과들 이외의 기재되지 않은 효과는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연하게 도출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먼지 센서 어셈블리의 천장형 공기조화기에 대한 장착 위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먼지 센서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일측 방향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의 타측 방향 분해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1의 결합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먼지 센서 어셈블리의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먼지 센서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작용 모습을 나타낸 대류 온도 분포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먼지 센서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먼지 센서 어셈블리의 천장형 공기조화기에 대한 장착 위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먼지 센서 어셈블리(100)를 포함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1)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는, 도 1에 참조된 바와 같이, 목표 공조 공간의 천장에 매립 설치된 본체(10)와, 본체(10)의 하단 수평면보다 더 넓은 면적을 가지되, 천장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본체(10)의 하단부에 결합되며, 상하로 연통된 먼지 흡입구(25)가 형성된 하부 패널(20)과, 본체(10)의 외측에 해당하는 하부 패널(20) 상면에 배치되고, 먼지 흡입구(25)를 통하여 직상방으로 유입된 먼지를 수평으로 개구된 먼지 유입구(121)로 유입되도록 가이드하는 먼지 유로 가이드면(113)이 라운드진 형상으로 형성된 먼지 센서 어셈블리(100)를 포함한다.
여기서, 본체(10)의 내부에는 소정 공간이 형성되되, 냉동사이클을 구성하는 주요 요소 중 증발기가 소정 공간에 장착될 수 있고, 목표 공조 공간의 공기(이하, '외부 공기'라 칭한다)를 흡입하여 공조한 후 다시 목표 공조 공간으로 토출되도록 송풍력을 제공하는 송풍팬이 소정 공간에 장착될 수 있다.
본체(10)는 대략 카세트형 공기조화기의 경우, 직육면체 형상을 가지되 하부면이 하방으로 개구되고, 하부 패널(20)이 개구된 본체(10)의 하부면을 덮도록 배치된다.
여기서, 하부 패널(20)은, 본체(10)의 개구된 형상의 하단 수평면보다 더 넓은 면적을 가지되, 바람직하게는 본체(10)의 각 하단 단부에서 수평 방향 외측으로 소정길이 연장되는 길이를 가진 사각 형상의 패널로 구비될 수 있다.
하부 패널(20)에는, 중간 부분에 외부 공기를 흡입하는 공기 흡입부(21)가 그릴 형상으로 형성되고, 공기 흡입부(21)의 각 단부 외측에는 공조된 공기가 목표 공조 공간으로 토출되는 공기 토출부(23)가 형성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먼지 센서 어셈블리(100)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일측 방향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2의 타측 방향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1의 결합 단면도이다.
하부 패널(20)의 모서리 부분 중 어느 하나에는, 도 1에 참조된 바와 같이, 상술한 먼지 센서 어셈블리(100)로 먼지를 포함한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먼지 흡입구(25)가 형성된다.
여기서, 하부 패널(20)의 먼지 흡입구(25)의 직상방에는 먼지 유로 가이드면(113)이 위치되어, 먼지 흡입구(25)로 유입된 먼지 등이 포함된 외부 공기가 먼지 센서 어셈블리(100)의 먼지 유입구(121)로 자연스럽게 유동되도록 안내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먼지 센서 어셈블리(100)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는, 도 2 내지 도 5에 참조된 바와 같이, 내부에 하부 측면의 수평으로 개구되게 구비된 먼지 유입구(121)로부터 유입된 먼지가 상부로 유동하는 먼지 유동 경로(125)가 형성된 센서부(120)와, 센서부(120)의 배면측을 커버하도록 배치된 리어 커버(130)와, 센서부(120)의 전면측을 커버하도록 배치되되, 직하방에 배치된 상술한 하부 패널(20)의 먼지 흡입구(25)로부터 수직되게 유입되는 먼지를 먼지 유입구(121)로 안내하는 먼지 유로 가이드면(113)이 라운드진 형상으로 형성된 프론트 커버(110)를 포함한다.
여기서, 센서부(120)는, 프론트 커버(110)와 리어 커버(130) 사이의 공간에 위치되어 프론트 커버(110) 및 리어 커버(130)에 의하여 보호된다.
한편, 센서부(120)에는, 미도시 되었으나, 발광 LED, 수광 LED, 발광 렌즈 및 수광 렌즈를 포함하고, 발광 LED와 수광 LED 사이에 상술한 먼지 유동 경로(125)가 상하로 위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센서부(120)의 동작을 살펴보면, 발광 LED가 빛을 발하여 발광 렌즈를 통하여 빛이 모아져서 먼지 유동 경로(125)에 조사되고, 먼지 유동 경로(125)에 조사된 빛은 다시 수광 렌즈를 통해 수광 LED에 빛이 수집된다.
발광 LED에서 조사된 빛이 먼지 유동 경로(125)를 거쳐 수광 LED로 수집되는 과정에서 조사된 빛이 외부 공기에 포함된 먼지에 부딪혀 조도가 손실되며, 손실된 조도를 수광 LED에서 측정하여 외부 공기에 포함된 먼지의 크기 및 먼지의 양을 측정할 수 있다.
상술한 센서부(120)에 의하여 감지되는 먼지의 크기 및 양이 보다 정확하게 측정되기 위해서는, 먼지 유입구(121)를 통하여 먼지 유동 경로(125)로 유입되는 외부 공기의 속도는 제한적으로 낮아야 하고, 바람직하게는 자연대류에 의한 유동 속도로 설정되어야 한다.
따라서, 도 2에 참조된 바와 같이, 센서부(120)의 내부 중 먼지 유동 경로(125)의 하부에는 발열체(123)가 구비될 수 있다. 발열체(123)는, 특히 먼지 유동 경로(125)의 하부 공기를 가열시켜 먼지 유동 경로(125) 내에서 자연대류 이동속도를 가진 상승 기류를 형성함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발열체(123)에 의하여 하부 패널(20)의 하측 온도와의 온도차가 형성되면 목표 공조 공간의 외부 공기가 자연스럽게 하부 패널(20)의 먼지 흡입구(25)를 통과하여 직상방으로 이동된 후, 먼지 유로 가이드면(113)의 안내를 받아 먼지 흡입구(25)를 통과한 다음 먼지 유동 경로(125)를 통하여 직상방으로 이동되어 센서부(120)에 의한 먼지의 크기 또는 먼지의 양이 측정된 후 프론트 커버(110)의 상측 전면에 관통되게 구비된 먼지 토출구(115)를 통하여 토출되게 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먼지 센서 어셈블리(100)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는, 발열체(123)에 의한 먼지 유동 경로(125) 내의 상승기류를 형성하기 위하여 필수 불가결하게 먼지 유입구(121)가 발열체(123)의 위치가 회피되도록 수평으로 개구되게 형성되는 것이고, 따라서 먼지 유입구(121)를 통하여 유입된 먼지는 오로지 발열체(123)에 의한 온도차에 따른 외부 공기의 유동이 발생하는 자연대류 이동속도로만 이동되는 것이다.
먼지 유로 가이드면(113)은, 먼지 흡입구(25)로부터 직상방으로 유동되는 외부 공기가 직교되도록 수평으로 개구된 먼지 흡입구(25) 사이의 외부 공기의 유동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먼지의 예기치 않는 포집 현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먼지가 유로가 직교되는 부위에서 포집되면 센서부(120)로부터 측정되는 먼지의 크기 및 먼지의 양이 일정하지 못하므로 측정의 신뢰성이 저하될 수 있기 때문이다.
먼지 유로 가이드면(113)은, 먼지 유입구(121)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게 프론트 커버(110)에 형성된 유로 가이드 블록(111)의 내부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유로 가이드 블록(111)은 프론트 커버(110)의 전면에서 전방으로 돌출되게 구비되어, 직하방의 먼지 흡입구(25)로부터 유입되는 유로를 덮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먼지 유로 가이드면(113)은, 도 2 내지 도 5에 참조된 바와 같이, 먼지 유입구(121)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된 하부로부터 먼지 유입구(121)의 상단으로 상향 경사지게 라운드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먼지 유로 가이드면(113)의 하단은, 대략 그릴 형상으로 상하 연통되게 형성된 먼지 흡입구(25)의 일측 단부에 직하방으로 매칭되고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먼지 유로 가이드면(113)의 상단은, 먼지 유입구(121)의 상단과 매칭되는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외부 공기에 포함된 먼지가 먼지 유입구(121)로 유입되는 과정에서 걸림되거나 임의로 포집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먼지 센서 어셈블리의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먼지 센서 어셈블리의 작용 모습을 나타낸 대류 온도 분포도이다.
먼지 유로 가이드면(113)은, 도 6에 참조된 바와 같이, 먼지 유입구(121)의 외측 단부 직하방의 어느 임의의 위치(P)에서 반경(R)값을 갖도록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반드시 먼지 유로 가이드면(113) 전체가 R값으로 완전하게 이루어져야 하는 것은 아니고, 먼지 유로 가이드면(113)을 전후 수직 방향의 수직 단면으로 관찰할 때, 먼지 유로 가이드의 수직 단면 중 먼지 유입구(121)에 인접하는 일부가 R값을 가지도록 설계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먼지 유로 가이드면(113)의 라운드진 형상의 R(반경)값은, 센서부(120)를 이용하여 감지하고자 하는 먼지의 크기 또는 먼지의 양에 따라 상이하게 설계될 수 있다.
예컨대, 목표 공조 공간의 종류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먼지 센서 어셈블리(100)를 이용하여 측정하고자 하는 먼지의 크기 및 양은 상이할 수 있다. 즉, 목표 공조 공간이 일반 사무실 또는 가정집의 거실 공간이거나 공장 등과 같은 공간일 경우에는 센서부(120)를 이용하여 감지하고자 하는 먼지의 크기나 먼지의 양은 달라질 수 밖에 없다. 그러나, 먼지 유로 가이드면(113)의 R값이 일정하게 제조될 경우에는 먼지의 크기 및 먼지의 양에 관계없이 일정 크기의 먼지 및 일정량의 먼지만을 감지하게 되므로 공기 청정 성능에 따라 먼지가 감소하는 속도를 변화시킬 수 없는 한편, 먼지의 크기를 선택적으로 구분하여 측정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먼지 센서 어셈블리(100)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는, 먼지 유로 가이드면(113)의 라운드진 형상의 R값을 센서부(120)를 이용하여 감지하고자 하는 목표 공조 공간에 타켓팅되어 가변되도록 먼지의 크기 또는 먼지의 양에 따라 상이하게 설계됨으로써 먼지 측정도의 신뢰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6에 참조된 바와 같이, 먼지 유로 가이드면(113)은 상술한 임의의 위치(P)를 중심점으로 가정할 때, 보다 작은 크기를 가진 먼지를 선택적으로 분리하여 측정하고자 할 경우 또는 보다 작은 양의 먼지만이 먼지 유입구(121)로 통과하도록 할 필요성이 있는 경우 R보다 작은 R1값을 가지도록 설계될 수 있다.
반대로, 도 6에 참조된 바와 같이, 먼지 유로 가이드면(113)은 상술한 임의의 위치(P)를 중심점으로 가정할 때, 보다 큰 크기를 가진 먼지를 선택적으로 분리하여 측정하고 할 경우 또는 보다 많은 양의 먼지를 먼지 유입구(121)로 통과하도록 할 필요성이 있는 경우 R보다 큰 R2값을 가지도록 설계될 수 있다.
이때, 먼지 유입구(121)의 상단 높이는, 도 6에 참조된 바와 같이, 먼지 유로 가이드면(113)의 R값에 의존하여 상이하게 설계됨이 바람직하다. 즉, 먼지 유로 가이드면(113)의 R값이 변경된다는 의미는, 먼지 유로 가이드면(113)의 상단 높이가 변경된다는 의미와 일맥 상통하는 것이고, 따라서, 먼지 유로 가이드면(113)의 상단과 먼지 유입구(121)의 상단 사이에 단차가 발생하지 않도록 먼지 유입구(121)의 상단 높이 또한 먼지 유로 가이드면(113)의 R값에 의존되게 설계되어야 하는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6에 참조된 바와 같이, 먼지 유로 가이드면(113)이 R값을 가질 경우에는 먼지 유입구(121)의 상단 높이는 L의 위치로 설정되는 것이고, 먼지 유로 가이드면(113)이 R1값을 가질 경우에는 먼지 유입구(121)의 상단 높이는 L보다 낮은 L1의 위치로 설정되는 것이며, 먼지 유로 가이드면(113)이 R2값을 가질 경우에는 먼지 유입구(121)의 상단 높이는 L보다 높은 L2의 위치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먼지 센서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간략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먼지 센서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작용 모습을 나타낸 대류 온도 분포도이다.
외부 공기 중의 먼지 농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먼지 유동 경로(125)의 하부면에 구비된 발열체(123)가 센서부(120) 내의 공기를 가열시키면 도 7에 참조된 바와 같이, 하부 패널(20)의 하측에 위치된 외부 공기가 먼지 흡입구(25)를 관통하여 상측으로 이동된다.
먼지 흡입구(25)를 관통하여 상측으로 이동된 외부 공기는 먼지 유로 가이드면(113)의 안내를 받아 먼지 유입구(121) 측으로 자연스럽게 유동되고, 이때 외부 공기 중에 포함된 먼지가 임의 포집되는 현상이 발생되지 않는다.
또한, 목표 공조 공간의 종류에 따라 센서부(120)에 의하여 측정하고자 하는 먼지의 크기 및 먼지의 양을 고려하여 먼지 유로 가이드면(113)의 R값을 설계한 바, 먼지 유입구(121) 내로 유입되는 먼지를 선택적으로 분류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한편, 먼지 유입구(121) 내로 유입된 외부 공기는 먼지 유동 경로(125)에 형성된 상승기류를 타고 상승 이동되는 과정에서 먼지의 농도가 측정된다.
계속하여 먼지 유동 경로(125)의 상측으로 이동된 외부 공기는 프론트 케이스의 전방으로 개구된 먼지 토출구(115)를 통하여 외부로 토출되게 된다.
이상, 본 발명에 따른 먼지 센서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가 반드시 상술한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에서의 실시가 가능함은 당연하다고 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진정한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진다고 할 것이다.
1: 천장형 공기조화기 10: 본체
20: 하부 패널 21: 공기 흡입부
23: 공기 토출부 25: 먼지 흡입구
100: 먼제 센서 어셈블리 110: 프론트 커버
111: 유동 가이드 블록 113: 먼지 유로 가이드면
115: 먼지 토출구 120: 센서부
121: 먼지 유입구 123: 발열체
125: 먼지 유동 경로 130: 리어 커버

Claims (15)

  1. 내부에 하부 측면의 수평으로 개구되게 구비된 먼지 유입구로부터 유입된 먼지가 상부로 유동하는 먼지 유동 경로가 구비된 센서부와;
    상기 센서부의 배면측을 커버하도록 배치된 리어 커버와;
    상기 센서부의 전면측을 커버하도록 배치되되, 직하방으로부터 수직되게 유입되는 먼지를 상기 먼지 유입구로 안내하는 먼지 유로 가이드면이 라운드진 형상으로 형성된 프론트 커버를 포함하는 먼지 센서 어셈블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먼지 유로 가이드면은,
    상기 먼지 유입구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게 상기 프론트 커버에 형성된 유로 가이드 블록의 내부 상면에 형성된 먼지 센서 어셈블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먼지 유로 가이드면은,
    상기 먼지 유입구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된 하부로부터 상기 먼지 유입구의 상단으로 상향 경사지게 라운드진 형상을 가진 먼지 센서 어셈블리.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먼지 유로 가이드면은,
    상단이 상기 먼지 유입구의 상단과 매칭되는 높이를 가지는 먼지 센서 어셈블리.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먼지 유로 가이드면의 라운드진 형상의 R(반경)값은, 상기 센서부를 이용하여 감지하고자 하는 먼지의 크기 또는 먼지의 양에 따라 상이하게 설계되는 먼지 센서 어셈블리.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먼지 유입구의 상단 높이는, 상기 먼지 유로 가이드면의 R값에 의존하여 상이하게 설계되는 먼지 센서 어셈블리.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먼지 유동 경로에 해당하는 하부에는 상기 센서부 내의 공기를 가열시켜 상승기류를 형성하는 발열체가 구비된 먼지 센서 어셈블리.
  8. 목표 공조 공간의 천장에 매립 설치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하단 수평면보다 더 넓은 면적을 가지되, 상기 천장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본체의 하단부에 결합되며, 상하로 연통된 먼지 흡입구가 형성된 하부 패널과;
    상기 본체의 외측에 해당하는 상기 하부 패널 상면에 배치되고, 상기 먼지 흡입구를 통하여 직상방으로 유입된 먼지를 수평으로 개구된 먼지 유입구로 유입되도록 가이드하는 먼지 유로 가이드면이 라운드진 형상으로 형성된 먼지 센서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먼지 유입구는, 상기 먼지 흡입구의 직상방으로부터 소정거리 일측에 이격되게 위치된 천장형 공기조화기.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먼지 센서 어셈블리는,
    내부에 상기 먼지 유입구로부터 유입된 먼지가 상부로 유동하는 먼지 유동 경로가 구비된 센서부와;
    상기 센서부의 배면측을 커버하도록 배치된 리어 커버와;
    상기 센서부의 전면측을 커버하도록 배치되되, 상기 먼지 유로 가이드면이 형성된 프론트 커버를 포함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먼지 유로 가이드면은,
    상기 먼지 유입구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게 상기 프론트 커버에 형성된 유로 가이드 블록의 내부 상면에 형성된 천장형 공기조화기.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먼지 유로 가이드면은,
    상기 먼지 유입구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된 하부로부터 상기 먼지 유입구의 상단으로 상향 경사지게 라운드진 형상을 가진 천장형 공기조화기.
  13.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먼지 유로 가이드면의 라운드진 형상의 R(반경)값은, 상기 센서부를 이용하여 감지하고자 하는 먼지의 크기 또는 먼지의 양에 따라 상이하게 설계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먼지 유입구의 상단 높이는, 상기 먼지 유로 가이드면의 R값에 의존하여 상이하게 설계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
  15.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먼지 유동 경로에 해당하는 하부에는 상기 센서부 내의 공기를 가열시켜 상승기류를 형성하는 발열체가 구비된 천장형 공기조화기.
KR1020160003103A 2016-01-11 2016-01-11 먼지 센서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 KR2017008379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3103A KR20170083793A (ko) 2016-01-11 2016-01-11 먼지 센서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3103A KR20170083793A (ko) 2016-01-11 2016-01-11 먼지 센서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3793A true KR20170083793A (ko) 2017-07-19

Family

ID=594274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3103A KR20170083793A (ko) 2016-01-11 2016-01-11 먼지 센서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8379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53699A1 (ko) * 2019-01-21 2020-07-30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EP4206549A4 (en) * 2020-12-17 2024-04-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AIR CONDITIONE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53699A1 (ko) * 2019-01-21 2020-07-30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EP4206549A4 (en) * 2020-12-17 2024-04-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AIR CONDITION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992917B (zh) 空调的室外单元
CN103376229B (zh) 环境试验装置
JP2013160449A (ja) エアフィルタの目詰まり検知装置
KR20150067918A (ko) 제습기
KR20130043430A (ko)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KR20170083793A (ko) 먼지 센서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
CN107435978B (zh) 空气调节器的室内机
KR101417050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0642365B1 (ko) 덕트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CN106560660B (zh) 空调
US10139121B2 (en) Air conditioner
KR100491791B1 (ko) 공기조화기
KR102490849B1 (ko) 천장형 공기 조화기
KR100788809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2580541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1911954B1 (ko)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및 그의 조립방법
KR101926104B1 (ko) 천장형 공기 조화기
CN216204236U (zh) 空调装置室内机
JP2020024060A (ja) 空気処理装置
CN217817101U (zh) 烟机结构及空调烟机
JP2014074514A (ja) 照明器具
KR101608536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180086944A (ko) 천장형 공기 조화기
KR100701930B1 (ko) 스탠드형 에어컨의 연결배관 정렬구조
KR102613954B1 (ko) 천장형 공기 조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