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4428A - 파이프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파이프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4428A
KR20190084428A KR1020180002179A KR20180002179A KR20190084428A KR 20190084428 A KR20190084428 A KR 20190084428A KR 1020180002179 A KR1020180002179 A KR 1020180002179A KR 20180002179 A KR20180002179 A KR 20180002179A KR 20190084428 A KR20190084428 A KR 201900844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pipe
coupling
flange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21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98556B1 (ko
Inventor
정은찬
Original Assignee
정은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은찬 filed Critical 정은찬
Priority to KR10201800021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8556B1/ko
Publication of KR201900844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44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85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85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00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6/00Truss-type bridges

Abstract

본 발명은 중공형 파이프 연결장치에 대한 발명으로서, 2개의 파이프 끝단에 결합되는 플랜지를 이용하여 2개의 파이프를 결합하는 기술에 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제1파이프 내부에 삽입되며 제1파이프 외부로 돌출된 제1플랜지, 제2파이프 내부에 삽입되며 제2파이프 외부로 돌출된 제2플랜지, 상기 제1플랜지 및 제2플랜지를 결합하는 결합체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파이프 연결장치 {Pipe jointing device}
본 발명은 중공형 원통관 연결장치에 대한 발명으로서, 2개의 원통관 끝단에 결합되는 플랜지를 이용하여 2개의 파이프를 결합하는 기술이다.
특허문헌 001은 교량의 거더를 구축함에 있어서, 콘크리트가 충전된 강관을 공장에서 프리캐스트 부재로 미리 제작하고, 이렇게 제작된 콘크리트 충전 강관을 현장으로 운반하여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허문헌 001은 강관의 일단에 소정의 깊이만큼 안쪽으로 설치되어 강관을 폐쇄하는 정착판과, 강관의 일단으로 돌출되며 콘크리트가 충전되는 강관소켓과, 강관소켓의 외부로 소정의 길이만큼 돌출되어 있는 강봉과, 이웃하는 강관의 강관소켓이 긴밀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 소켓끼움부와, 강봉이 관통하기 위한 구멍이 마련되어 있는 결합판과, 결합판에서 소정의 거리를 두고 강관의 안쪽으로 설치되어 강관을 폐쇄하는 막음판을 포함하고, 강관소켓이 이웃하는 강관의 소켓끼움부에 삽입되는 방식에 의해 연속적으로 연결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허문헌 002는 충전 강관 거더 교량용 충전 강관 연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중공상의 강관 세그먼트와 상기 강관 세그먼트의 일단 또는 양단 내측에 용접 결합되어 이웃하는 강관 세그먼트와 상기 강관 세그먼트를 고장력 볼트로 상호 연결시키도록 직사각형태의 판 형상으로 형성되되, 일측단에 하향 경사면을 구비하여 상기 강관 세그먼트의 일단 또는 양단 내측면에 등간격을 가지며 수직으로 용접 결합되는 보강 날개판과, 중공상으로 형성되어 복수의 상기 보강 날개판에 의해 형성된 원통형의 공간에 삽입되어 각각의 상기 보강 날개판과 용접 결합되는 내관과, 원판 형태의 링 형상으로 형성되고, 등간격으로 제 1고장력 볼트홀을 구비하며, 상기 내관 및 각각의 상기 보강 날개판과 용접 결합되는 플랜지로 이루어는 연결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강관 세그먼트는 상기 보강 날개판과 보강 날개판 사이이면서 일끝단 또는 양끝단에서 내측으로 "U"자 형태의 작업홀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허문헌 003은 현장에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강관을 서로 콘크리트와 견고하게 합성시켜 연결하는 강관합성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강관합성 연결구조는, 강관의 내경에 일치하는 직경을 갖는 복수의 격판; 상기 격판의 사이에서 강관중심축을 통해 동축(同軸)으로 연장되도록 격판을 일체로 연결하는 원형 파이프를 포함하는 프레임, 및 상기 강관의 내측과 프레임의 외측 및 격판의 사이의 공간에 충전되는 내부 콘크리트를 포함하여 현장에서 콘크리트와 강관을 서로 합성시켜 연결한다. 특허문헌 003은 강관을 현장에서 용접하는 경우에 발생하는 강관 연결부의 구조적인 취약성을 예방하고, 강관을 콘크리트와 견고하게 합성시켜 구조적으로 견고하게 연결하며, 현장의 작업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특허문헌 004는 다수의 트러스부재 단부를 각각 연결하여 트러스구조물을 가조립하는 장치로서, 상기 트러스부재의 단부를 각각 연결하여 트러스부재의 루트 간격을 유지하도록 가조립하는 가조립부, 상기 다수의 트러스부재 양단부를 각각 감싸는 한 쌍의 수용부, 상기 한 쌍의 수용부를 연결하는 연결편, 상기 수용부의 다수의 체결공에 각각 체결되어 트러스부재의 외주면을 가압하는 가압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KR 10-0766661 B1 (2007년10월05일) KR 10-0947554 B1 (2010년03월08일) KR 10-0945049 B1 (2010년02월23일) KR 10-2012-0121651 A (2012년11월06일)
본 발명은 중공형 파이프 연결장치에 대한 발명으로서, 2개의 파이프 끝단에 결합되는 플랜지를 이용하여 2개의 파이프를 결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종래발명들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파이프연결장치는 제1파이프(110) 내부에 삽입되며, 제1파이프 외부로 돌출된 제1플랜지(100);, 제2파이프(210) 내부에 삽입되며, 제2파이프 외부로 돌출된 제2플랜지(200);, 상기 제1플랜지 및 제2플랜지를 결합하는 결합체(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파이프연결장치는 앞서서 제시한 발명의 제1파이프, 제2파이프, 제1플랜지, 제2플랜지 및 결합체에서, 상기 제1플랜지는 상기 제1파이프(110)에 삽입되는 제1보강판(121);, 상기 제1보강판(121)에 직교되며, 판재형상인 제1결합판(125);, 상기 제1결합판(125)에 복수로 형성되며, 원 또는 슬롯형상의 관통홀을 형성하는 제1삽입구(126);를 포함하며,
본 발명의 파이프연결장치는 앞서서 제시한 발명의 제1파이프, 제2파이프, 제1플랜지, 제2플랜지 및 결합체에서, 상기 제2플랜지는 상기 제2파이프(210)에 삽입되는 제2보강판(221);, 상기 제2보강판(221)에 직교되며, 판재형상인 제2결합판(225);, 상기 제2결합판(225) 에 복수로 형성되며, 원 또는 슬롯형상의 관통홀을 형성하는 제2삽입구(226);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파이프연결장치는 앞서서 제시한 발명의 제1파이프, 제2파이프, 제1플랜지, 제2플랜지 및 결합체에서, 상기 제1플랜지는 제1파이프에 삽입되는 제1보강판(131);, 일면이 상기 제1보강판(131)에 직교되며, 타면이 제1지지체(132)와 결합되는 제1지지판(133);, 일면이 상기 제1지지체(132)과 결합되며, 판재형상인 제1결합판(135);, 상기 제1결합판(135)에 관통되며, 복수로 형성되며, 원 또는 슬롯형상으로 형성된 제1삽입구(136);를 포함하며,
상기 제2플랜지는 제2파이프에 삽입되는 제2보강판(231);, 일면이 상기 제2보강판(231)에 직교되며, 타면이 제2지지체(232)와 결합되는 제2지지판(233);, 일면이 상기 제2지지체(232)과 결합되며, 판재형상인 제2결합판(235);, 상기 제2결합판(235)에 관통되며, 복수로 형성되며, 원 또는 슬롯형상으로 형성된 제2삽입구(236);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파이프연결장치는 앞서서 제시한 발명의 제1파이프, 제2파이프, 제1플랜지, 제2플랜지 및 결합체에서, 상기 제1플랜지는 제1파이프 내경에 삽입되며 복수로 형성되는 제1보강판(151);, 일면이 상기 제1보강판(151)에 직교되며, 타면이 제1지지체(152)와 결합되며, 제1지지판관통공이 형성하는 제1지지판(153);, 일면이 상기 제1지지체(152)과 결합되며, 판재형상이며, 내부에 제1결합판관통공을 형성하는 제1결합판(155);, 상기 제1결합판(155) 및 제1지지판(153)에 복수로 형성되며, 원 또는 슬롯형상의 구멍이 복수로 형성된 제1삽입구(156);를 포함하며,
상기 제2플랜지는 제2파이프 내경에 삽입되며 복수로 형성되는 제2보강판(251);, 일면이 상기 제2보강판(251)에 직교되며, 타면이 제2지지체(252)와 결합되며, 제2지지판관통공을 형성하는 제2지지판(253);, 일면이 상기 제2지지체(252)과 결합되며, 판재형상이며, 내부에 제2결합판관통공을 형성하는 제2결합판(255);, 상기 제2결합판(255) 및 제2지지판(253)에 복수로 형성되며, 원 또는 슬롯형상의 구멍이 복수로 형성된 제2삽입구(256);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2개의 파이프를 결합함에 있어서, 외부 돌출된 플랜지 없이 결합되므로 미려한 외적형상 및 외부구조물과 간섭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파이프들 사이의 갭이 존재하여도 플랜지를 이용하여 다양한 캡의 크기를 채울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파이프의 슬릿홈에 보강판을 끼워맞춤 결합하므로 플랜지의 안정적인 고정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지지판 및 보강판 내부에 관통구멍을 형성하므로 파이프 내부에서 플랜지 연결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결합판 삽입구는 원형 또및 슬롯형을 형성하므로 미소오차 존재시에도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파이프은 내부에 보강판을 삽입하므로 연결부위의 강성을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2,3실시예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4,5실시예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6,7실시예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보강판 및 파이프의 결합부 상세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 1-1) 본 발명의 파이프연결장치는 제1파이프(110) 내부에 삽입되며, 제1파이프 외부로 돌출된 제1플랜지(100);,제2파이프(210) 내부에 삽입되며, 제2파이프 외부로 돌출된 제2플랜지(200);,상기 제1플랜지 및 제2플랜지를 결합하는 결합체(3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파이프 연결장치는 제1,2파이프 끝단에 제1,2플랜지를 각각 삽입고정하며, 제1,2플랜지는 볼트 또는 리벳으로 체결되어 제1,2파이프를 결합한다. 제1,2플랜지는 관삽입부 및 관돌출부로 구분되며, 볼트체결은 관돌출부에서 이루어진다. 제1,2파이프 사이에 갭이 존재하며, 상기 갭은 관삽입부의 삽입량 조절로 다양한 갭 크기를 수용할 수 있다. 결합체가 제1플랜지 및 제2플랜지를 체결한 후, 제1파이프과 제1플랜지를 용접하고, 제2파이프과 제2플랜지를 용접하여 제1,2파이프를 연결한다.
(실시예 2-1) 본 발명의 파이프 연결장치는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제1플랜지는 상기 제1파이프(110)에 삽입되는 제1보강판(121);, 상기 제1보강판(121)에 직교되며, 판재형상인 제1결합판(125);, 상기 제1결합판(125)에 복수로 형성되며, 원 또는 슬롯형상의 관통홀을 형성하는 제1삽입구(126);를 포함한다.
(실시예 3-1) 본 발명의 파이프 연결장치는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제2플랜지는 상기 제2파이프(210)에 삽입되는 제2보강판(221);, 상기 제2보강판(221)에 직교되며, 판재형상인 제2결합판(225);, 상기 제2결합판(225) 에 복수로 형성되며, 원 또는 슬롯형상의 관통홀을 형성하는 제2삽입구(226);를 포함한다.
제1,2보강판 일측면이 상기 제1,2결합판에 용접된다. 제1,2보강판 일측면 중심은 제1,2결합판의 중심에 위치된다. 제1보강판과 제1결합판은 일체형으로 형성되며, 제2보강판과 제2결합판은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제1결합판과 제2결합판은 볼트 또는 리벳으로 체결되어 제1,2파이프를 결합한다. 제1,2보강판과 제1,2파이프는 용접으로 결합된다. 따라서, 제1,2파이프가 일체로 결합된다.
(실시예 3-2) 실시예 2-1 또는 실시예 3-1에 있어서, 상기 제1,2결합판은 원판형상이며,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며, 상기 제1,2결합판 외주면 크기는 제1,2파이프 내경과 동일한 것을 포함한다.
제1,2플랜지 연결부위는 제1,2파이프의 내경 크기와 동일하거나 작게 형성하며, 이는 제1,2연결관 결합 후 제1,2플랜지의 제1,2파이프 외부돌출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실시예 4-1) 본 발명의 파이프 연결장치는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제1플랜지는 제1파이프에 삽입되는 제1보강판(131);, 일면이 상기 제1보강판(131)에 직교되며, 타면이 제1지지체(132)와 결합되는 제1지지판(133);, 일면이 상기 제1지지체(132)과 결합되며, 판재형상인 제1결합판(135);, 상기 제1결합판(135)에 관통되며, 복수로 형성되며, 원 또는 슬롯형상으로 형성된 제1삽입구(136);를 포함한다.
(실시예 5-1) 본 발명의 파이프 연결장치는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제2플랜지는 제2파이프에 삽입되는 제2보강판(231);, 일면이 상기 제2보강판(231)에 직교되며, 타면이 제2지지체(232)와 결합되는 제2지지판(233);, 일면이 상기 제2지지체(232)과 결합되며, 판재형상인 제2결합판(235);, 상기 제2결합판(235)에 관통되며, 복수로 형성되며, 원 또는 슬롯형상으로 형성된 제2삽입구(236);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1,2플랜지는 2개의 원형판(제1,2지지판, 제1,2결합판)이 평행하게 형성되며, 그 사이에는 제1,2지지체가 평행면을 유지시킨다. 2개의 원형판 중 제1,2지지판은 제1,2파이프를 폐쇄하며, 제1,2결합판은 상호 체결되어 제1,2파이프를 연결한다. 상기 제1,2지지체 사이의 공간은 제1,2체결판의 결합을 용이하게 공간을 형성한다.
(실시예 5-2) 본 발명의 파이프 연결장치는 실시예 4-1 또는 실시예 5-1에 있어서, 상기 제1,2지지판 및 상기 제1,2결합판은 원판형상이며,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제1,2지지판 및 상기 제1,2결합판 외주면 크기는 제1,2파이프 내경과 동일한 것을 포함한다.
제1,2플랜지 연결부위는 제1,2파이프의 내경 크기와 동일하거나 작게 형성하며, 이는 제1,2연결관 결합 후 제1,2플랜지의 제1,2파이프 외부돌출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실시예 5-3) 본 발명의 파이프 연결장치는 실시예 4-1 또는 실시예 5-1에 있어서, 상기 제1,2지지체는 판재형상이며, 단일판으로 형성되며, 제1,2지지판 및 제1,2결합판 사이에 결합되는 것을 포함한다. 또는 상기 제1,2지지체는 판재형상이며, 복수로 형성되며, 제1,2지지판 및 제1,2결합판 사이에서 방사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제1,2지지판과 제1,2결합판은 안정적으로 위치를 고정해야 된다. 상기 위치고정은 제1,2지지체의 삽입으로 가능하다. 제1,2지지체는 단일판재로 형성되거나, 복수판재로 형성된다. 제1,2지지체는 복수의 판을 방사형태로 형성하며, 상기 복수의 판 사이는 제1,2삽입구를 일치시킨다.
(실시예 5-4) 본 발명의 파이프 연결장치는 실시예 4-1 또는 실시예 5-1에 있어서, 상기 제1,2지지체는 원관 또는 다각형관을 형성하여, 제1,2지지판 및 제1,2결합판 사이에 결합된다.
(실시예 5-5) 본 발명의 파이프 연결장치는 실시예 4-1 또는 실시예 5-1에 있어서, 상기 제1,2지지체는 판재형상이며, 복수로 형성되며, 제1,2지지판 및 제1,2결합판 사이에 방사형상을 형성하며, 원관 또는 다각형관을 동시에 결합한다.
상기 제1,2지지체는 제1,2결합판 및 제1,2고정판을 연결하는 부재로서, 원관 또는 다각관형상으로 형성되며 동시에 방사형태의 판재가 결합된다.
(실시예 6-1) 본 발명의 파이프 연결장치는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제1플랜지는 제1파이프 내경에 삽입되며 복수로 형성되는 제1보강판(151);, 일면이 상기 제1보강판(151)에 직교되며, 타면이 제1지지체(152)와 결합되며, 제1지지판관통공이 형성하는 제1지지판(153);, 일면이 상기 제1지지체(152)과 결합되며, 판재형상이며, 내부에 제1결합판관통공을 형성하는 제1결합판(155);, 상기 제1결합판(155) 및 제1지지판(153)에 복수로 형성되며, 원 또는 슬롯형상의 구멍이 복수로 형성된 제1삽입구(156);를 포함한다.
(실시예 7-1) 본 발명의 파이프 연결장치는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제2플랜지는 제2파이프 내경에 삽입되며 복수로 형성되는 제2보강판(251);, 일면이 상기 제2보강판(251)에 직교되며, 타면이 제2지지체(252)와 결합되며, 제2지지판관통공을 형성하는 제2지지판(253);, 일면이 상기 제2지지체(252)과 결합되며, 판재형상이며, 내부에 제2결합판관통공을 형성하는 제2결합판(255);, 상기 제2결합판(255) 및 제2지지판(253)에 복수로 형성되며, 원 또는 슬롯형상의 구멍이 복수로 형성된 제2삽입구(256);를 포함한다.
제1,2파이프가 대형의 경우, 제1,2파이프 결합과정에서 작업자의 파이프 내부 이동이 가능해야 된다. 본 발명의 제1,2플랜지 내부에 이동공간을 형성하며, 이는 제1,2지지판관통공 및 제1,2결합판관통공으로 이동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실시예 7-2) 본 발명의 파이프 연결장치는 실시예 6-1 또는 실시예 7-1에 있어서, 상기 제1,2지지판 및 상기 제1,2결합판은 원판형상이며,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제1,2결합판 및 상기 제1,2결합판 외주면 크기는 제1,2파이프 내경과 동일하거나, 제1,2파이프 내경보다 작아야 된다.
제1,2플랜지 연결부위는 제1,2파이프의 내경과 동일하거나 작게 형성하며, 이는 제1,2연결관 외부로 돌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실시예 7-3) 본 발명의 파이프 연결장치는 실시예 6-1 또는 실시예 7-1에 있어서, 상기 제1,2지지체는 판재형상이며, 복수로 형성되며, 제1,2지지판 및 제1,2결합판 사이에서 방사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제1,2지지체는 제1,2지지판 및 제1,2결합판 사이에 결합되어 제1,2지지판 및 제1,2결합판의 일정간격을 유지한다. 복수의 판재가 2개의 원판(지지판 및 결합판)사이에 방사형태로 결합된다.
(실시예 7-4) 본 발명의 파이프 연결장치는 실시예 6-1 또는 실시예 7-1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제1,2결합판을 볼트로 결합하거나, 상기 연결부재는 제1,2지지판 및 제1,2결합판을 동시에 결합하거나, 상기 연결부재는 제1지지판 및 제2결합판을 결합하거나, 상기 연결부재는 제1결합판 및 제2지지판을 결합하는 것을 포함한다.
복수의 연결부재가 제1,2플랜지를 결합함에 있어서, 각각의 플랜지에 형성된 지지판 또는 결합판의 다양한 조합으로 체결을 가능하게 한다. 이는 결합성 및 안전성을 향상시켜, 제1,2파이프의 체결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함이다.
(실시예 7-5) 본 발명의 파이프 연결장치는 실시예 7-2에 있어서, 상기 제1,2지지판관통공 및 제1,2결합판관통공은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제1,2지지판 및 제1,2결합판 사이에는 연통관이 결합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연통관은 상기 지지판 및 결합판 외경부에 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지지판 및 결합판 관통공에 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외경부와 관통공의 사이에 형성된다.
상기 연통관이 지지판 및 결합판 외경에 형성되는 경우, 결합체는 제1,2파이프 내부에서 결합하며, 상기 연통관이 지지판 및 결합판의 관통공에 형성되는 경우, 결합체는 제1,2파이프 외부에서 결합하며, 상기 연통관이 지지판 및 결합판의 중간부에 설치된 경우, 결합체는 제1,2파이프 외부 및 외부에서 결합된다.
(실시예 8-1) 본 발명의 파이프 연결장치는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제1플랜지는 상기 제1파이프(110)에 삽입되는 제1결합관(144);, 상기 제1결합관(144)에 삽입되는 제1보강판(141);, 상기 제1보강판(141)에 직교되며, 판재형상인 제1결합판(145);, 상기 제1결합판(145)에 관통되며, 복수로 형성되며, 원 또는 슬롯형상으로 형성된 제1삽입구(146);를 포함한다.
(실시예 9-1) 본 발명의 파이프 연결장치는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제2플랜지는 상기 제2파이프(210)에 삽입되는 제2결합관(244);, 상기 제2결합관(244)에 삽입되는 제2보강판(241);, 상기 제2보강판(241)에 직교되며, 판재형상인 제2결합판(245);, 상기 제2결합판(245)에 관통되며, 복수로 형성되며, 원 또는 슬롯형상으로 형성된 제2삽입구(246);를 포함한다.
(실시예 10-1) 본 발명의 파이프 연결장치는 앞에서 제시한 모든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파이프(110) 및 상기 제2파이프(210) 사이에 결합되며, 내부에 제1플랜지(100) 및 제2플랜지(200)를 수용하며, 원통형상의 커버(400);를 포함한다.
상기 커버는 제1,2파이프 끝단 사이의 갭을 채운다. 이는 외견상 일체화된 파이프 형상을 나타내기 위함이다. 상기 커버 내부는 제1,2 파이프 축방향으로 돌출되는 결합체를 수용한다.
(실시예 10-2) 본 발명의 파이프 연결장치는 실시예 10-1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반원형상의 제1커버(401); 및 제2커버(402);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커버가 원통으로 형성될 경우, 제 1, 2파이프 사이에 용이하게 결합될 수 없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커버는 제1커버 및 제2커버로 구분되며, 반원형상을 형성한다. 제 1, 2커버는 제1, 2플랜지가 결합된 이후에 용접으로 제 1, 2플랜지를 덮는다.
(실시예 10-3) 본 발명의 파이프 연결장치는 앞에서 제시한 모든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2삽입구는 제1, 2결합판에 동일각도로 분산된 것을 포함하며, 제1삽입구 직경과 제2삽입구 직경은 동일한 것을 포함하며, 제1삽입구들의 궤적직경과 제2삽입구들의 궤적직경은 동일한 것을 포함한다.
제1,2삽입구는 하나의 결합체로 결합되므로 복수의 제1,2삽입구들이 각각의 결합체로 결합되려면, 각각의 제1,2삽입구는 크기, 수, 중심궤적을 동일하게 형성한다.
(실시예 10-4) 본 발명의 파이프 연결장치는 실시예 10-3에 있어서, 제1삽입구 형상이 원형이면 제2삽입구 형상은 슬롯형상인 것을 포함하며, 또는 제1삽입구 형상이 슬롯형상이면 제2삽입구 형상은 원형형상인 것을 포함한다.
제1,2삽입구는 하나의 결합체로 체결되며, 복수의 결합체들이 제1,2플랜지를 결합한다. 제1,2삽입구의 위치가 부정확한 경우, 결합체가 완전하게 체결되지 않으므로 부정확한 위치를 보정할 수 있도록 슬롯을 형성한다.
(실시예 10-5) 본 발명의 파이프 연결장치는 앞에서 제시한 모든 실시예에 있어서, 제1,2보강판 일측은 키홈부를 형성하며, 중앙측은 관삽입부를 형성하며, 타측은 관돌출부를 형성한다. 제1,2파이프의 끝단은 관삽입부를 결합하는 슬릿홈을 복수로 형성한다.
제1,2보강판은 3부분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3부분중 관삽입부 및 키홈은 제1,2파이프에 삽입되며, 관돌출부는 파이프 외부로 돌출되어 제1,2결합판을 결합한다. 관삽입부는 제1,2파이프의 슬릿홈에 끼워지고 용접되며, 키홈부는 제1,2파이프의 내경과 밀착된다.
(실시예 10-6) 본 발명의 파이프 연결장치는 실시예 10-5에 있어서, 상기 관 삽입부 폭은 제1,2파이프 외경과 동일 하거나 또는 크게 형성하며, 상기 슬릿홈 폭은 상기 제1,2보강판 두께보다 크게 형성한다. 상기 키홈부 폭은 제1,2파이프 내경과 동일하거나 또는 작게 형성한다.
제1,2보강판의 관삽입부가 제1,2파이프의 슬릇홈에 끼워맞춤되며, 이는 제1,2보강판과 제1,2파이프의 안정적 결합위치를 보장한다. 키홈부 폭은 제1,2파이프 내경과 결합되기 위해서 제1,2파이프 내경보다 작거나 동일하게 형성한다.
(실시예 10-7) 본 발명의 파이프 연결장치는 실시예 10-6에 있어서, 상기 키홈부는 테이퍼 형상을 형성한다. 이는 제1,2보강판과 제1,2파이프의 결합효율성을 높이는 목적이다.
(실시예 10-8) 본 발명의 파이프 연결장치는 실시예 10-7에 있어서, 상기 키홈부 테이퍼의 장면과 상기 관삽입부의 접촉접은 조립홈을 형성한다. 이는 상기 슬릿홈과 상기 제1,2보강판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실시예 10-9) 본 발명의 파이프 연결장치는 앞에서 제시한 모든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보강판 및 제2보강판은 단일판 또는 교차된 2개 이상의 판으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제1,2보강판은 하나의 단일판으로 형성되거나, 2개 이상의 판이 교차된다. 바람직하게는 2개의 판이 교차되어 십자형상을 형성한다.
100 : 제1플랜지 110 : 제1파이프
121 : 제1보강판 125 : 제1결합판
126 : 제1삽입구 131 : 제1보강판
132 : 제1지지체 133 : 제1지지판
135 : 제1결합판 136 : 제1삽입구
141 : 제1보강판 144 : 제1결합관
145 : 제1결합판 146 : 제1삽입구
151 : 제1보강판 152 : 제1지지체
153 : 제1지지판 155 : 제1결합판
156 : 제1삽입구 200 : 제2플랜지
210 : 제2파이프 221 : 제2보강판
225 : 제2결합판 226 : 제2삽입구
231 : 제2보강판 232 : 제2지지체
233 : 제2지지판 235 : 제2결합판
236 : 제2삽입구 251 : 제2보강판
252 : 제2지지체 253 : 제2지지판
255 : 제2결합판 256 : 제2삽입구
241 : 제2보강판 244 : 제2결합관
245 : 제2결합판 246 : 제2삽입구
300 : 결합체 400 : 커버
401 : 제1커버 402 : 제2커버

Claims (7)

  1. 2개의 파이프를 연결하는 파이프연결장치에 있어서,
    제1파이프(110) 내부에 삽입되며, 제1파이프 외부로 돌출된 제1플랜지(100);
    제2파이프(210) 내부에 삽입되며, 제2파이프 외부로 돌출된 제2플랜지(200);
    상기 제1플랜지 및 제2플랜지를 결합하는 결합체(300);를 포함하는 파이프연결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플랜지는 상기 제1파이프(110)에 삽입되는 제1보강판(121);,
    상기 제1보강판(121)에 직교되며, 판재형상인 제1결합판(125);,
    상기 제1결합판(125)에 복수로 형성되며, 원 또는 슬롯형상의 관통홀을 형성하는 제1삽입구(126);를 포함하는 파이프연결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플랜지는 상기 제2파이프(210)에 삽입되는 제2보강판(221);,
    상기 제2보강판(221)에 직교되며, 판재형상인 제2결합판(225);,
    상기 제2결합판(225) 에 복수로 형성되며, 원 또는 슬롯형상의 관통홀을 형성하는 제2삽입구(226);를 포함하는 파이프연결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플랜지는 제1파이프에 삽입되는 제1보강판(131);,
    일면이 상기 제1보강판(131)에 직교되며, 타면이 제1지지체(132)와 결합되는 제1지지판(133);,
    일면이 상기 제1지지체(132)과 결합되며, 판재형상인 제1결합판(135);,
    상기 제1결합판(135)에 관통되며, 복수로 형성되며, 원 또는 슬롯형상으로 형성된 제1삽입구(136);를 포함하는 파이프연결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플랜지는 제2파이프에 삽입되는 제2보강판(231);,
    일면이 상기 제2보강판(231)에 직교되며, 타면이 제2지지체(232)와 결합되는 제2지지판(233);,
    일면이 상기 제2지지체(232)과 결합되며, 판재형상인 제2결합판(235);,
    상기 제2결합판(235)에 관통되며, 복수로 형성되며, 원 또는 슬롯형상으로 형성된 제2삽입구(236);를 포함하는 파이프연결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플랜지는 제1파이프 내경에 삽입되며 복수로 형성되는 제1보강판(151);,
    일면이 상기 제1보강판(151)에 직교되며, 타면이 제1지지체(152)와 결합되며, 제1지지판관통공이 형성하는 제1지지판(153);,
    일면이 상기 제1지지체(152)과 결합되며, 판재형상이며, 내부에 제1결합판관통공을 형성하는 제1결합판(155);,
    상기 제1결합판(155) 및 제1지지판(153)에 복수로 형성되며, 원 또는 슬롯형상의 구멍이 복수로 형성된 제1삽입구(156);를 포함하는 파이프연결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플랜지는 제2파이프 내경에 삽입되며 복수로 형성되는 제2보강판(251);,
    일면이 상기 제2보강판(251)에 직교되며, 타면이 제2지지체(252)와 결합되며, 제2지지판관통공을 형성하는 제2지지판(253);,
    일면이 상기 제2지지체(252)과 결합되며, 판재형상이며, 내부에 제2결합판관통공을 형성하는 제2결합판(255);,
    상기 제2결합판(255) 및 제2지지판(253)에 복수로 형성되며, 원 또는 슬롯형상의 구멍이 복수로 형성된 제2삽입구(256);를 포함하는 파이프연결장치.
KR1020180002179A 2018-01-08 2018-01-08 파이프 연결장치 KR1022985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2179A KR102298556B1 (ko) 2018-01-08 2018-01-08 파이프 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2179A KR102298556B1 (ko) 2018-01-08 2018-01-08 파이프 연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4428A true KR20190084428A (ko) 2019-07-17
KR102298556B1 KR102298556B1 (ko) 2021-09-06

Family

ID=675126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2179A KR102298556B1 (ko) 2018-01-08 2018-01-08 파이프 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855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88054A (zh) * 2020-03-30 2020-06-16 山西联邦环境工程有限公司 一种管材组装节点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2646B1 (ko) * 2023-02-07 2023-05-15 주식회사 지에스웹 강관 트러스 거더 및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6661B1 (ko) 2006-05-25 2007-10-12 비비엠코리아(주) 콘크리트 충전 강관 거더
KR100945049B1 (ko) 2009-06-11 2010-03-05 (주)리튼브릿지 강관합성 연결구조
KR100947554B1 (ko) 2007-10-12 2010-03-12 (주)대우건설 충전 강관 거더 교량용 충전 강관 연결 시스템
KR20120121651A (ko) 2011-04-27 2012-11-06 최하정 트러스구조물의 가조립장치 및 가조립장치를 이용한 트러스구조물의 시공방법
KR101255331B1 (ko) * 2012-12-20 2013-04-16 (주)대양씨에스피 파형강관의 플랜지 연결 조립체
KR20130076072A (ko) * 2011-12-28 2013-07-08 주식회사 포스코 강관 소켓 및 이를 이용한 강관 말뚝과 강관 기둥의 연결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6661B1 (ko) 2006-05-25 2007-10-12 비비엠코리아(주) 콘크리트 충전 강관 거더
KR100947554B1 (ko) 2007-10-12 2010-03-12 (주)대우건설 충전 강관 거더 교량용 충전 강관 연결 시스템
KR100945049B1 (ko) 2009-06-11 2010-03-05 (주)리튼브릿지 강관합성 연결구조
KR20120121651A (ko) 2011-04-27 2012-11-06 최하정 트러스구조물의 가조립장치 및 가조립장치를 이용한 트러스구조물의 시공방법
KR20130076072A (ko) * 2011-12-28 2013-07-08 주식회사 포스코 강관 소켓 및 이를 이용한 강관 말뚝과 강관 기둥의 연결 방법
KR101255331B1 (ko) * 2012-12-20 2013-04-16 (주)대양씨에스피 파형강관의 플랜지 연결 조립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88054A (zh) * 2020-03-30 2020-06-16 山西联邦环境工程有限公司 一种管材组装节点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8556B1 (ko) 2021-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3049982C (en) Mechanical coupling for mechanical and structural tubing
KR20190084428A (ko) 파이프 연결장치
KR20190015586A (ko) 파이프 피스를 결합하는 방법 및 결합 공정을 위한 센터링 장치
JP2001241038A (ja) 鋼管の継手構造
EP1834123B1 (en) Flange
CN113216390B (zh) 采用内套筒灌浆连接的模块化钢结构连接节点及安装方法
TWI589753B (zh) No welded joints pile
JP2005220742A (ja) 鋼管の継手構造
JP2004011377A (ja) 鋼管柱と鉄骨梁との接合構造及び接合方法
WO2014188608A1 (ja) 杭の継手部構造
KR101895230B1 (ko) 강재구조물 연결결합 구조
JP3418169B2 (ja) 杭の接続構造
JP2008231733A (ja) 杭の継ぎ手構造
KR101756616B1 (ko) 파이프 구조물의 연결구조 및 그 연결방법
JPH09296513A (ja) 異径鋼管柱の柱・柱接合金物および接合構造
JP2016130550A (ja) ガスケット位置決め部材、ガスケット組立体、フランジ継ぎ手構造およびガスケット組立体の製造方法
KR102055845B1 (ko) 조립식 구조물의 골조 조인트 시스템
KR101967904B1 (ko) 파일 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파일 시공방법
JP3225550U (ja) 接続治具
JP2017066665A (ja) 鉄骨梁における貫通穴部の補強装置
US11953053B1 (en) Beam with improved hole patterns
JP4935990B2 (ja) 鉄骨構造物及びその構築方法
JP2011047204A (ja) ラチスシェル構造の節点構造及びその施工方法
KR200416930Y1 (ko) 조립식 합성수지관 연결장치
JP5866733B2 (ja) 杭の無溶接継ぎ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