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2646B1 - 강관 트러스 거더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강관 트러스 거더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2646B1
KR102532646B1 KR1020230016186A KR20230016186A KR102532646B1 KR 102532646 B1 KR102532646 B1 KR 102532646B1 KR 1020230016186 A KR1020230016186 A KR 1020230016186A KR 20230016186 A KR20230016186 A KR 20230016186A KR 102532646 B1 KR102532646 B1 KR 1025326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ertion holes
insertion hole
hollow pipe
arc
reinforc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161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표옥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에스웹
표옥근
(주)신흥이앤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에스웹, 표옥근, (주)신흥이앤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에스웹
Priority to KR10202300161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264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26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26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00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6/00Truss-type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29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built-up from parts of different material, i.e. composite structures
    • E04C3/293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built-up from parts of different material, i.e. composite structures the materials being steel and concret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1/00Material constitution of bridges
    • E01D2101/30Met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량 등의 구조물에 사용되는 거더와 관련되는 것으로서, 중공파이프의 중심부를 지나는 가상의 상하 수직면상을 따라 상측단에 소정 이격거리를 두면서 다수의 제1삽입공이 형성되며, 하측단에 상기 제1삽입공과 엇갈리는 위치로 다수의 제2삽입공이 형성되도록 가공하는 삽입공 형성단계; 상기 제1삽입공 및 상기 제2삽입공을 통해 소구경의 코어부재를 지그재그 형태로 삽입하여 가접하는 코어부재 가접단계; 상기 중공파이프의 양단부를 회전클램프에 물려 고정되게 하는 중공파이프 고정단계; 상기 회전클램프를 조정하여 상기 제1삽입공과 제2삽입공이 수평면상으로 배치되도록 하는 위치잡기단계; 상기 제1삽입공과 상기 제2삽입공 사이로 상하 방향으로 복수개소에 상기 중공파이프의 외면을 붙잡도록 하는 파지단계; 상기 제1삽입공 및 제2삽입공에 끼워져 가접 상태인 코어부재의 각 단부에 대해 추가 용접을 하도록 하는 풀용접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 트러스 거더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강관 트러스 거더 및 이의 제조방법{Steel pipe truss girder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교량, 전망대, 각종 데크 등에 사용되는 거더와 관련되는 것으로서, 파이프를 이용하여 고하중에 견딜 수 있도록 제작되는 강관 트러스 거더의 제조방법에 관한 기술이다.
구조물 시공시에 사용되는 거더는 큰 하중을 지지할 수 있는 보와 같은 것을 의미하며, 대표적으로 교량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즉, 거더가 사용되는 대표적인 구조물이 교량이며, 그 외에도 전망대를 구성하거나 각종 데크를 설치할 때에도 하중을 받쳐주기 위해 거더가 활용된다.
다양한 종류의 교량이 있으며, 현장 여건을 고려하여 적합한 교량구조가 선택된다. 그리고 근래에는 기술의 발전으로 교량이 장경간화되는 경향이 크다.
일반적으로 하나의 교량을 완성하는데 수 많은 교각과 거더, 슬래브가 소요된다. 교량을 이루는 부재들 중에서 교각이 가장 큰 건설비용을 차지한다. 따라서 교량을 장견간으로 설계하는 것은 교각의 건설횟수를 줄임으로써 전체 프로젝트 비용을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다양한 교량 중 교량주형의 소재가 철강재인 경우를 강교량이라 통칭하며, 강교량을 구조형식에 따라 분류하면 거더교, 아치교, 트러스트교, 라멘교, 현수교, 사장교 등이 있다. 이 중 거더교는 거더를 주체로 하여, 거더로 하여금 교량의 바닥판을 지지하도록 하는 교량을 말하는데, 형강의 종류에 따라서 I형 거더교, H형 거더교로 나누며, 이 밖에도 상자형 거더교, 격자형 거더교, 합성 거더교 등이 있다.
거더교에서 요구되는 중요 특성은 단면 강성을 증가시켜 반복 하중 및 풍하중에 강하고, 장경간에 적합하도록 설계하는 것일 것이다.
이와 관련한 종래기술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66903호의 "트러스 단면을 갖는 거더 및 이를 이용한 교량 및 육교 시공 방법"이 알려져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트러스 단면을 갖는 거더가 시공된 교량 사시도로서, 교각(5) 상단에 서로 일정 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수평적으로 배치되어 시공되는 트러스 중공빔(12); 한 쌍의 트러스 중공빔(12)(12)의 상면에 정착되어 있는 슬래브 지지용 상판(14); 상기 슬래브 지지용 상판(14)의 하부에 배치되어 한 쌍의 트러스 중공빔(12)(12)의 내측면에 접합되는 중앙 보강프레임(16a);을 포함하고, 상기 슬래브 지지용 상판(14)의 하부에 배치되어 한 쌍의 트러스 중공빔(12)(12)의 외측면에 접합되는 측면 보강프레임(16b)(16b)을 더 포함하며, 상기 트러스 중공빔(12)은, 하부가 반원형 단면을 이루고 상부가 사다리꼴 단면을 이루는 강재 관체(121); 상기 강재 관체(121)의 내부 단면의 중심부에 수평적으로 설치된 수평반력부재(122); 상기 강재 관체(121)의 단면의 중심을 통과하는 수직선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적으로 배치되어 일단은 상기 강재 관체(121)의 상단에 타단은 상기 수평반력부재(122)에 연결되어 기울어져 설치된 한 쌍의 트러스 부재(123)(123); 상기 강재 관체(121)의 상단에 설치되는 상부지지대(12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종래기술의 경우 중공 트러스빔의 내부 구조에 특징을 두고 있는데, 하부는 반원형 단면이고 상부는 사다리꼴 단면을 이루도록 강재관체를 준비하고 그 내부에 수평반력부재가 결합되고 좌우 대칭적으로 수평반력부재에 연결되는 한 쌍의 트러스부재를 포함하는 구조를 이루고 있다.
종래기술은 현실적으로 중공 트러스빔 내부를 제시된 바와 같이 구성하는 것이 거의 불가능하여 실현 가능성이 낮을 뿐 아니라 제작 비용이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66903호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비교적 제작이 용이한 구조를 통해 강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강관 트러스 거더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중공파이프 내부에 트러스 구조를 이루는 다수의 코어부재의 결합을 통해 우수한 내하중 특성을 갖도록 함으로써 중공파이프의 외경을 최소화하여 교량에 적용시 형하고를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강관 트러스 거더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여름의 고온이나 겨울의 저온 환경에서 중공파이프가 열적변형으로 인해 수축되거나 팽창됨에 따라 발생되는 구조적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강관 트러스 거더를 제공하고자 한다.
제시한 바와 같은 과제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의 강관 트러스 거더의 제조방법은, 중공파이프의 중심부를 지나는 가상의 상하 수직면상을 따라 상측단에 소정 이격거리를 두면서 다수의 제1삽입공이 형성되며, 하측단에 상기 제1삽입공과 엇갈리는 위치로 다수의 제2삽입공이 형성되도록 가공하는 삽입공 형성단계; 상기 제1삽입공 및 상기 제2삽입공을 통해 소구경의 코어부재를 지그재그 형태로 삽입하여 가접하는 코어부재 가접단계; 상기 중공파이프의 양단부를 회전클램프에 물려 고정되게 하는 중공파이프 고정단계; 상기 회전클램프를 조정하여 상기 제1삽입공과 제2삽입공이 수평면상으로 배치되도록 하는 위치잡기단계; 상기 제1삽입공과 상기 제2삽입공 사이로 상하 방향으로 복수개소에 상기 중공파이프의 외면을 붙잡도록 하는 파지단계; 상기 제1삽입공 및 제2삽입공에 끼워져 가접 상태인 코어부재의 각 단부에 대해 추가 용접을 하도록 하는 풀용접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풀용접단계 후에 호형 보강판으로 상기 제1삽입공 및 상기 제2삽입공들을 덮어 상기 중공파이프 외면과 용접결합되게 하는 호형 보강판 부착단계가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호형 보강판 부착단계시에는 상기 제1삽입공과 상기 제2삽입공이 상하 수직선상으로 배치되도록 상기 회전클램프를 90도 회전시켜 상기 제1삽입공들이 상부에 위치되게 한 후 상기 제1삽입공들을 상기 호형 보강판으로 밀폐시키도록 하고, 연이어 180도 회전시켜서 상기 제2삽입공들이 상부에 위치되게 하여 상기 호형 보강판으로 상기 제2삽입공들을 상기 호형 보강판으로 밀폐시키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호형 보강판 부착단계 후에 상기 중공파이프의 양단부 내부에 보강부재를 설치하도록 하는 보강부재 설치단계가 이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보강부재는 상기 중공파이프의 하부측을 절개하여 상방으로 오목하도록 형성시킨 연결홈과, 상기 연결홈에 대응하여 상방으로 볼록하게 돌출시킨 연결돌기로 이루어지고, 상기 연결홈과 연결돌기의 좌우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다수의 장공홀을 통해 상호 결합되어 상기 중공파이프의 수축,팽창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은 강관 트러스 거더 제조방법에 의해 제작되는 강관 트러스 거더에 관한 것이기도 하다.
본 발명의 강관 트러스 거더 제조방법에 의하면 중공파이프 내부에 연속적인 트러스 구조가 형성되게 함으로써 상하 수직하중에 대응하는 고하중 특성을 높일 수 있는 바, 길이가 긴 장대교량 등의 각종 구조물용 거더로 적용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강관 트러스 거더 제조방법에 의해 제작되는 강관 트러스 거더는 관광지 등에 설치되는 다양한 탐방로, 스카이워크, 전망대, 각종 데크 등과 같은 구조물용 거더로 활용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강관을 이용하여 거더를 구성할 때 중공파이프의 외경 사이즈를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교량용 거더로 활용될 때 중요한 형하고를 높일 수 있으므로 홍수 등에 더욱 안전한 교량을 제공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중공파이프 내부에 별도의 코어부재를 지그재그 형식으로 설치하는 효율적인 방안을 제공함으로써 고성능의 강관거더를 경제적으로 생산할 수 있도록 하는 기반을 제공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보강부재를 통해 중공파이프의 열적변화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내구성과 안전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트러스 단면을 갖는 거더가 시공된 교량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강관 트러스 거더 제조방법의 작업 공정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강관 트러스 거더 제조방법에 의해 제작된 강관 트러스 거더의 부분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부분 단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강관 트러스 거더 제조방법의 작업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강관 트러스 거더의 활용 예시도.
도 7은 도 6에서 보강부재의 분리상태 사시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강관 트러스 거더 제조방법 및 이 제조방법에 의해 제작되는 강관 트러스 거더에 대해 보다 상세한 설명을 하도록 하며,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는 것으로 한다. 단, 제시되는 도면 및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하나의 실시 가능한 예를 설명하는 것인 바,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첨부되는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강관 트러스 거더 제조방법의 작업 공정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강관 트러스 거더 제조방법에 의해 제작된 강관 트러스 거더의 부분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의 부분 단면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강관 트러스 거더 제조방법의 작업 순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강관 트러스 거더의 활용 예시도이고,도 7은 도 6에서 보강부재의 분리상태 사시도를 보여준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강관 트러스 거더 제조방법 및 이 제조방법에 의해 제작되는 강관 트러스 거더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해 제작되는 강관 트러스 거더는 교량이나 전방대, 스카이워크 등의 각종 구조물용 보로 사용될 수 있는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강관 트러스 거더 제조방법은 삽입공 형성단계(S100), 코어부재 가접단계(S200), 중공파이프 고정단계(S300), 위치잡기단계(S400), 파지단계(S500), 풀용접단계(S600)의 일련의 과정으로 구성된다. 구체적인 작업공정은 도 2 및 도 7을 참조하도록 한다.
먼저, 삽입공 형성단계(S100)에서는 소정 사이즈의 중공파이프(100)를 준비하여 중공파이프(100)의 중심부를 지나는 가상의 상하 수직면상을 상측단에 소정 이격거리를 두면서 다수의 제1삽입공(110)이 형성되고, 하측단에는 제1삽입공(110)과 엇갈리는 위치로 다수의 제2삽입공(120)이 형성되도록 가공한다. 즉, 제1삽입공(110)과 제2삽입공(120)은 상하 단면상으로 서로 엇갈리는 위치로 지그재그로 형성된다. 제1삽입공(110) 및 제2삽입공(120)은 원형, 타원형, 사각 형상의 구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삽입공 형성단계(S100) 다음으로 코어부재 가접단계(S200)가 이어지며, 코어부재 가접단계(S200)에서는 중공파이프(100)에 형성된 다수의 제1삽입공(110)과 제2삽입공(120)을 통해 소구경의 코어부재(200)를 삽입시켜서 각 코어부재(200)의 상단과 하단을 가접하도록 한다.
바람직하게 코어부재(200)의 외경은 제1삽입공(110) 및 제2삽입공(120)에 삽입될 수 있도록 다소 큰 사이즈의 구멍이 되도록 한다.
이웃하는 제1삽입공(110)과 제2삽입공(120)은 경사진 각도를 이루면서 배치되며, 코어부재(200)를 제1삽입공(110)과 제2삽입공(120)에 끼워 비스듬하게 고정시키기 위해 코어부재(200)의 각 단부를 부분적으로 용접시키도록 한다.
코어부재 가접단계(S200) 다음으로 중공파이프 고정단계(S300)가 이어지는데, 중공파이프 고정단계(S300)에서는 중공파이프(100)의 양단부를 회전클램프(RC)에 물려 고정시키도록 한다.
중공파이프 고정단계(S300) 다음으로는 위치잡기단계(S400)가 이어지는데, 위치잡기단계(S400)에서는 회전클램프(RC)를 회전시켜서 중공파이프(100)의 제1삽입공(110)과 제2삽입공(120)이 수평면상으로 배치시키도록 한다. 위치잡기단계(S400)를 통해 제1삽입공(110)과 제2삽입공(120)이 수평면상으로 배치되게 함으로써 풀 용접단계(S600)시에 작업자들이 보다 수월한 자세로 용접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고, 전후 양측에서 동시에 용접 작업이 가능하도록 하는 이점을 제공할 수 있다.
중공파이프(100)에 형성된 제1삽입공(110)과 제2삽입공(120)이 상하 방향이 아닌 수평방향으로 배치되게 한 다음에는 최소 한 곳 이상으로 중공파이프(100)의 외면을 상하 방향으로 붙잡아 고정되게 하는 파지단계(S500)가 이어진다.
파지단계(S500)에서는 중공파이프(100)의 상하측에서 작동하는 분할클램프(C)에 의해 중공파이프(100)의 외면을 붙잡아 지지되도록 하며, 바람직하게는 복수개소에 분할클램프(C)가 제1삽입공(110)과 제2삽입공(120) 사이로 배치되어 중공파이프(100)를 고정할 수 있도록 한다.
파지단계(S500)가 수행되고 나면 풀용접단계(S600)가 뒤따르게 되며, 풀용접단계(S600)에서는 제1삽입공(110)과 제2삽입공(120)에 끼워져 가접 상태로 고정된 코어부재(200)의 각 단부에 대해 추가적인 용접을 진행하여 코어부재(200)의 각 단부가 제1삽입공(110) 및 제2삽입공(120)과 완전히 용접으로 결합되게 한다.
풀용접단계(S600) 전에 이루어지는 파지단계(S500)는 다수의 코어부재(200)에 대한 풀용접시 용접열로 인한 중공파이프(100)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선제적 조치이며, 이를 통해 풀용접단계(S600)에서 보다 신속하고도 고품질의 용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풀용접단계(S600)를 통해 각각의 코어부재(200)들은 제1삽입공(110) 및 제2삽입공(120)에 연결되게 되나, 제1삽입공(110)과 제2삽입공(120)은 여전히 오픈된 상태이므로 고하중 작용시 제1삽입공(110), 제2삽입공(120)은 하중 작용시 가장 취약한 부위가 될 수 있으므로 호형 보강판(300)으로 제1삽입공(110)과 제2삽입공(120)을 덮어 밀폐시키도록 하는 호형 보강판 부착단계(S700)가 이어지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호형 보강판(300)은 곡면을 이루는 판재가 적합하며, 하나의 호형 보강판(300)으로 하나의 제1삽입공(110)이나 제2삽입공(120)을 밀폐되게 용접 결합시킬수도 있으며, 길다란 호형 보강판(300)으로 다수의 제1삽입공(110) 또는 제2삽입공(120)을 밀폐되게 용접 결합시킬 수도 있는 것이다.
제1삽입공(110)을 밀폐되게 하는 상부 호형 보강판(310)은 압축력을 저항하게 되며, 제2삽입공(120)을 밀폐되게 하는 하부 호형 보강판(320)은 인장력에 저항하게 되므로 전체적으로 본원의 강관 거더는 상하로 작용하는 고하중에 견딜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더욱 바람직하게 호형 보강판 부착단계(S700)시에는 작업의 정확성 및 편리성을 위해 회전클램프(RC)를 조정하여 제1삽입공(110)과 제2삽입공(120)이 상하 수직선상으로 배치되도록 한다. 풀용접단계(S600)에서는 제1삽입공(110)과 제2삽입공(120)이 수평면상으로 배치되어 있으므로 호형 보강판 부착단계(S700)에서는 회전클램프(RC)를 90도 회전시켜 제1삽입공(110)들이 상부에 위치되게 한 후 호형 보강판(300)으로 제1삽입공(110)들이 밀폐되도록 한다. 연이어서 회전클램프(RC)를 180도 회전시켜서 제2삽입공(120)이 상부로 위치되게 한 후 호형 보강판(300)에 의해 제2삽입공(120)들이 밀폐되도록 용접 결합시키도록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 호형 보강판 부착단계(S700) 후에 보강부재 설치단계(S800)가 이어질 수 있으며, 보강부재 설치단계(S800)에서는 중공파이프(100)의 양단부 내부에 소정의 보강부재(400)를 결합하도록 한다. 보강부재(400)는 금속재일 수도 있고 콘크리트일 수도 있으며, 중공파이프(100)의 양단부를 보강부재(400)로 내부를 보강하도록 한다. 바람직하게 보강부재는 금속재와 콘크리트가 함께 사용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 보강부재(400)는 중공파이프(100)의 양단부 각 하부측을 부분적으로 절개하여 도브테일(
Figure 112023014238153-pat00001
)과 같은 오목한 연결홈(410)이 형성되게 하며, 이러한 연결홈(410)에 대응하여 상방으로 볼록하게 돌출되는 연결돌기(
Figure 112023014238153-pat00002
)(420)를 두도록 한다.
연결돌기(420)는 기초와 같은 지지대에 고정되게 설치되며, 연결홈(410)에 연결돌기(420)가 끼워져 서로 연결되도록 한다. 연결홈(410)과 연결돌기(420)는 도브테일 구조의 연결구조를 가짐에 따라 중공파이프(100)의 축선방향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연결홈(410)과 연결돌기(420)의 좌우 가장자리에는 플랜지(401)가 형성되며, 플랜지(401)에 다수의 장공홀(402)을 형성시켜서 연결홈(410)과 연결돌기(420)의 위치를 맞춘 후 볼트와 너트를 이용하여 체결시키도록 한다.
바람직하게 연결돌기(420)의 내부 및 연결홈(410)과 중공파이프(100) 사이로 형성되는 내부공간은 콘크리트와 같은 재료를 채워넣도록 한다.
중공파이프의 좌우 양단부에 도브테일 구조의 보강부재(400)를 두게 되면 여름이나 겨울과 같이 온도가 급격하게 변하는 경우 금속소재인 중공파이프(100)의 수축, 팽창에 자연스럽게 대응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중공파이프의 양단부가 완전히 고정되어 있으면 이러한 열적 수축이나 팽창시 중공파이프가 파손될 수 있으므로 도브테일 방식의 보강부재를 이용하여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강관 트러스 거더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작되는 강관 트러스 거더에 대한 것이기도 한 바, 이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중공파이프(100)의 중심부를 지나는 가상의 상하 수직면상을 따라 상측단에는 소정 이격거리를 두면서 다수의 제1삽입공(110)이 형성되며, 하측단에는 제1삽입공(110)과 엇갈리는 위치로 다수의 제2삽입공(120)이 형성된다.
중공파이프(100)에 형성되는 다수의 제1삽입공(110)과 제2삽입공(120)을 활용하여 소구경의 코어부재(200)를 제1삽입공(110)과 제2삽입공(120)에 삽입시켜서 연속적으로 다수의 코어부재(200)들이 중공파이프(100) 내부에서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되어 코어부재(200)의 각 단부가 용접방식으로 중공파이프(100)와 결합되는 구조를 갖게 된다.
한편, 중공파이프(100)에 형성되는 제1삽입공(110) 및 제2삽입공(120)에 삽입되게 한 코어부재(200)가 완전히 고정 연결되면, 호형 보강판(300)에 의해 제1삽입공(110) 및 제2삽입공(120)이 밀폐되는 구조가 되게 한다.
또한, 중공파이프(100)의 양단부에는 보강부재(400)가 결합됨으로써 중공파이프(100)의 양단부가 보강되면서 전체적으로 보다 큰 하중에 견딜 수 있도록 한다. 특히, 보강부재(400)가 도브테일 형태의 연결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여름이나 겨울철의 극심한 온도변화에 따라 중공파이프에 유발되는 열적변형을 효과적으로 완화시켜줄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작되는 강관 트러스 거더는 구조물의 종류나 규모에 따라 하나 혹은 복수개를 연결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교량, 데크, 전망대, 스카이워크 등의 구축시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거더교, 각종 데크, 스카이워크 등의 구조물 시공시 활용될 수 있는 유용한 기술이다.
100 : 중공 파이프 110 : 제1삽입공
120 : 제2삽입공 200 : 코어부재
300 : 보강판 310 : 상부 호형보강판
320 : 하부 호형보강판 400 : 보강부재
410 : 연결홈 420 : 연결돌기
401 : 플랜지 402 : 장공홀
RC : 회전 클램프 C : 분할클램프
S100 : 삽입공 형성단계
S200 : 코어부재 가접단계
S300 : 중공파이프 고정단계
S400 : 위치잡기단계
S500 : 파지단계
S600 : 풀용접단계
S700 : 호형 보강판 부착단계
S800 : 보강부재 설치단계

Claims (6)

  1. 중공파이프의 중심부를 지나는 가상의 상하 수직면상을 따라 상측단에 소정 이격거리를 두면서 다수의 제1삽입공이 형성되며, 하측단에 상기 제1삽입공과 엇갈리는 위치로 다수의 제2삽입공이 형성되도록 가공하는 삽입공 형성단계;
    상기 제1삽입공 및 상기 제2삽입공을 통해 소구경의 코어부재를 지그재그 형태로 삽입하여 가접하는 코어부재 가접단계;
    상기 중공파이프의 양단부를 회전클램프에 물려 고정되게 하는 중공파이프 고정단계;
    상기 회전클램프를 조정하여 상기 제1삽입공과 제2삽입공이 수평면상으로 배치되도록 하는 위치잡기단계;
    상기 제1삽입공과 상기 제2삽입공 사이로 상하 방향으로 복수개소에 상기 중공파이프의 외면을 붙잡도록 하는 파지단계;
    상기 제1삽입공 및 제2삽입공에 끼워져 가접 상태인 코어부재의 각 단부에 대해 추가 용접을 하도록 하는 풀용접단계;
    상기 풀용접단계 후에 호형 보강판으로 상기 제1삽입공 및 상기 제2삽입공들을 덮어 상기 중공파이프 외면과 용접결합되게 하는 호형 보강판 부착단계;
    상기 호형 보강판 부착단계 후에 상기 중공파이프의 양단부 내부에 보강부재를 설치하도록 하는 보강부재 설치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보강부재는 상기 중공파이프의 하부측을 절개하여 상방으로 오목하도록 형성시킨 연결홈과, 상기 연결홈에 대응하여 상방으로 볼록하게 돌출시킨 연결돌기로 이루어지고, 상기 연결홈과 연결돌기의 좌우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다수의 장공홀을 통해 상호 결합되어 상기 중공파이프의 수축,팽창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 트러스 거더 제조방법.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호형 보강판 부착단계시에는 상기 제1삽입공과 상기 제2삽입공이 상하 수직선상으로 배치되도록 상기 회전클램프를 90도 회전시켜 상기 제1삽입공들이 상부에 위치되게 한 후 상기 제1삽입공들을 상기 호형 보강판으로 밀폐시키도록 하고, 연이어 180도 회전시켜서 상기 제2삽입공들이 상부에 위치되게 하여 상기 호형 보강판으로 상기 제2삽입공들을 상기 호형 보강판으로 밀폐시키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 트러스 거더 제조방법.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 또는 제 3 항 중 어느 하나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작되는 강관 트러스 거더.

KR1020230016186A 2023-02-07 2023-02-07 강관 트러스 거더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5326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16186A KR102532646B1 (ko) 2023-02-07 2023-02-07 강관 트러스 거더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16186A KR102532646B1 (ko) 2023-02-07 2023-02-07 강관 트러스 거더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2646B1 true KR102532646B1 (ko) 2023-05-15

Family

ID=863948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16186A KR102532646B1 (ko) 2023-02-07 2023-02-07 강관 트러스 거더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2646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31626A (ko) * 2010-09-27 2012-04-04 권오근 웨브 강관트러스 아이 빔 및 그의 가설방법
KR101140408B1 (ko) * 2009-08-19 2012-05-03 류준수 보강수단을 구비한 빔
KR101366903B1 (ko) 2013-04-15 2014-02-25 김동수 트러스 단면을 갖는 거더 및 이를 이용한 교량 및 육교 시공 방법
KR20150001503A (ko) * 2013-06-27 2015-01-06 주식회사 디엠티씨 Ⅱ형상 강재 기둥 제작방법
KR101889791B1 (ko) * 2017-09-29 2018-08-20 (주)백경종합건설 교량용 조립형 강관거더의 제작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작된 강관거더
KR20210010838A (ko) * 2017-11-11 2021-01-28 콘스테크, 아이엔씨. 모멘트 접합 조립체의 정밀 제조를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2298556B1 (ko) * 2018-01-08 2021-09-06 정계연 파이프 연결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0408B1 (ko) * 2009-08-19 2012-05-03 류준수 보강수단을 구비한 빔
KR20120031626A (ko) * 2010-09-27 2012-04-04 권오근 웨브 강관트러스 아이 빔 및 그의 가설방법
KR101366903B1 (ko) 2013-04-15 2014-02-25 김동수 트러스 단면을 갖는 거더 및 이를 이용한 교량 및 육교 시공 방법
KR20150001503A (ko) * 2013-06-27 2015-01-06 주식회사 디엠티씨 Ⅱ형상 강재 기둥 제작방법
KR101889791B1 (ko) * 2017-09-29 2018-08-20 (주)백경종합건설 교량용 조립형 강관거더의 제작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작된 강관거더
KR20210010838A (ko) * 2017-11-11 2021-01-28 콘스테크, 아이엔씨. 모멘트 접합 조립체의 정밀 제조를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2298556B1 (ko) * 2018-01-08 2021-09-06 정계연 파이프 연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80135261A1 (en) Prefabricated, prestressed bridge module
JP4992042B2 (ja) プレキャスト横梁およびそれを用いた橋脚
EP1007799B1 (en) Building panel for use in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CN105064200A (zh) 预制拼装的鱼腹桁架预应力钢混组合简支梁桥及其施工方法
CN106545115A (zh) 装配式钢‑混凝土组合楼盖及其施工方法
KR102532646B1 (ko) 강관 트러스 거더 및 이의 제조방법
RU2280122C1 (ru) Пролетное строение моста
JP3885583B2 (ja) 複合トラス橋およびその施工方法
KR20080099061A (ko) Psc 교량의 psc 빔 연결용 강가로보
KR102033052B1 (ko) Src 거더를 이용한 충전강관 트러스교의 지점부 시공방법
KR100622452B1 (ko) 부분합성된 멀티 h형강 거더
KR101752285B1 (ko) 광폭 psc 하부플랜지와 단면확대용 상부플랜지를 갖는 하이브리드 보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KR101193796B1 (ko) 기둥과 보 골조 내진보강공법
CN115233541A (zh) 一种分片预制拼装盖梁的连接构造及其施工方法
JP2006070679A (ja) 下端に制動支持装置を有する三角形の構造体相互をけたで連結した連続けた橋
AU2009200214A1 (en) Composite Beam
KR100458046B1 (ko) 합성형 거더교의 중간지점부 연속화 구조
JP3437785B2 (ja) 波形鋼板ウエブ桁
RU2280121C1 (ru) Способ возведения пролетного строения моста
JPH0542553B2 (ko)
JP2004011300A (ja) Pc合成構造体、pc橋梁およびプレストレス導入方法
RU51034U1 (ru) Монтажный блок пролетного строения
RU2702444C1 (ru) Пролетное трубобетонное строение моста
JP3174283B2 (ja) 合成梁および合成梁と母屋との結合方法
JP2000087504A (ja) 鉄骨骨組の格点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