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3391A - 용접와이어 세척시스템 - Google Patents

용접와이어 세척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3391A
KR20190083391A KR1020180000930A KR20180000930A KR20190083391A KR 20190083391 A KR20190083391 A KR 20190083391A KR 1020180000930 A KR1020180000930 A KR 1020180000930A KR 20180000930 A KR20180000930 A KR 20180000930A KR 20190083391 A KR20190083391 A KR 201900833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zzle
wire
welding wire
drying
wa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09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06459B1 (ko
Inventor
성창원
감병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웰
성창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웰, 성창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웰
Priority to KR10201800009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6459B1/ko
Publication of KR201900833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33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64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64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43/00Devices for cleaning metal products combined with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B21C43/02Devices for cleaning metal products combined with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combined with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drawing or winding machines or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1/00Manufacture of metal sheets, metal wire, metal rods, metal tubes by drawing
    • B21C1/16Metal drawing by machines or apparatus in which the drawing action is effected by other means than drums, e.g. by a longitudinally-moved carriage pulling or pushing the work or stock for making metal sheets, bars, or tubes
    • B21C1/32Feeding or discharging the material or mandr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5/00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35/40Making wire or rods for soldering or wel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접 와이어 세척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용접 와이어를 진행시키는 과정에서 와이어의 전후좌우에서 브러시와 세척수에 의한 물리적 마찰력으로 1차 세척하고, 강한 분사압으로 세척수와 공압에어를 분사하여 2차 세척한 후, 공압에어로 3차 건조하도록 구성하여 용접와이어의 표면 손상을 방지하고 표면에 부착된 신선유와 이물질을 개끗하게 세척하여 용접 와이어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와이어 세척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Description

용접와이어 세척시스템{Welding wire cleaning system}
본 발명은 용접와이어의 신선공정시 와이어 표면에 이물질 등을 세척할 수 있도록 하는 용접와이어 세척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용접 와이어는 제강사에서 생산된 와이어 로드(wire rod)를 신선(wire drawing)하여 생산한다. 신선 공정이란 원소재인 와이어의 직경보다 작은 다이스(dies)의 구멍을 통과하면서 선경을 축소시키는 소성가공의 한 방법이다.
용접 와이어의 신선 공정시 다이스와 원소재 와이어 사이의 마찰력을 감소시키기 위해 건식 또는 습식 윤활제를 사용하게 되며, 윤활제는 열처리 공정 전 세척되지 않으면 열처리 과정의 고온에 의해 소착(燒着)되어 불량을 유발한다.
즉, 용접 와이어 표면에 부착된 신선유 및 기타 이물질은 고온의 아크 분위기 중에서 가스를 발생시키고 용융된 용접 금속 속으로 유입되어 용접부 기공 불량 및 클랙 불량을 유발시키므로 용접중 가스 상태로 변화하는 이물질(신선유의 유기물, 기타 무기물)이 없어야 하며, 와이어 표면에 이물이 있을 경우 GMAW(Gas Metal Arc Welding) 용접 케이블의 스프링 라이너 내부의 홈에 이물질을 축적하게 되고 이물질 량이 홈을 다 채우게 되면 용접 와이어의 송급성(용접하기 위해 와이어를 공급)이 급격하게 떨어져 아크를 불안정하게 만든다.
따라서 용접 와이어는 용접 와이어 표면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세척작업이 요구되며, 특히 최종 포장 전단계에서의 세척작업은 대단히 중요한 공정이다.
종래에는 용접 와이어의 최종 포장 전단계 전의 세척작업이 단순히 세척수와 에어분사로만 이루어짐에 따라 용접 와이어에 부착된 신선유 및 이물질을 충분히 세척되지 못함에 따라 공정불량이 많이 발생되어 세척 공정을 재차 실시해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용접 와이어의 세척작업을 위해 등록특허공보 제10-0816845호 ‘와이어 연신설비의 와이어 세정장치’(선행문헌1)에 의하면, 연신가공된 와이어(1)가 유입되어 와이어(1)의 표면에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세척수와 연마석(63)이 채워지는 세정조(60) 및 상기 세정조(60)로부터 세척수를 유입하여 세척수에 포함된 슬러지(3)를 침전시켜 슬러지(3)가 제거된 세척수를 다시 세정조(60)로 순환시키는 침전조(80)를 형성한 와이어 세정장치를 구성함으로써, 도금 및 코팅과 같은 표면처리가 용이한 향상된 품질의 와이어(1)를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세정장치(50)의 설비 및 유지관리를 저렴하고 간편하게 할 수 있는 기술을 공지한 바 있다.
그러나 선행문헌1의 와이어 연신설비의 와이어 세정장치는 연신된 와이어를 세척수에 침지된 연마석과 수중에서 마찰시켜 와이어의 표면에 압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는바 연마석과의 강한 마찰로 인해 와이어가 손상되어 와이어가 불량이 되는 문제와 연마석이 소모되면서 발생되는 부유물과 와이어에서 박리되는 이물질이 혼합되면서 세척조내의 세척수의 청결유지가 어려워 깨끗한 세척작업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KR (B1) 10-0816845 (2008. 03. 27)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들을 해결코자 새로운 기술을 창안한 것으로서, 용접와이어를 진행시키는 과정에서 와이어의 전후좌우에서 브러시와 세척수에 의한 물리적 마찰력으로 1차 세척하고, 강한 분사압으로 세척수와 공압에어를 분사하여 2차 세척한 후, 공압에어로 3차 건조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용접와이어의 표면 손상을 방지하면서 와이어의 표면에 부착된 신선유와 이물질 등을 개끗하게 세척하여 용접 와이어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용접 와이어 세척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 상부가 개폐커버로 개폐된 하우징이 구비되고, 하우징의 내부는 전후 길이방향으로 칸칸이 구획되도록 구획판이 설치되고, 용접와이어가 통과하도록 하우징의 전후방으로 인입공과 인출공 및 구획판으로 관통공된 세척조; 세척조의 내측 전방에 회전브러시와 세척수의 물리적 마찰력에 의해 용접와이어의 표면에 부착된 신선유와 이물질을 박리 세척하도록 설치되는 1차세척부; 세척조의 내측 1차세척부의 후방에 와이어세척노즐이 설치되고, 용접와이어가 와이어세척노즐을 통과하는 중에 강한분사압으로 분사되는 세척수와 공압에어로 용접와이어의 표면을 2차 세척하는 2차세척부; 상기 세척조의 내측 2차세척부의 후방에 와이어건조노즐이 설치되고, 용접와이어가 와이어건조노즐을 통과하는 중에 강한분사압으로 분사되는 공압에어로 용접와이어의 수분을 제거하여 건조시키는 건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세척조는 용접와이어를 세척시 발생되는 오수를 배수시키기 위해 하우징의 전방 하부에 배수구가 형성되고, 구획판의 하단부에 배수홀이 관통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1차세척부는 회전브러시가 용접와이어의 표면을 상하좌우에서 마찰하도록 하여 세척이 고르게 이루어지도록 전후 길이방향을 따라 양측으로 회전브러시가 축설된 좌우브러싱구간과, 전후 길이방향을 따라 상하부로 회전브러시가 축설된 상하브러싱구간으로 구획 설치되며, 상기 회전브러시의 상부에서 세척수가 분사되는 분사관이 설치되고, 상기 회전브러시를 회동시키도록 하우징 외측으로 구동수단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회전브러시는 회전샤프트와, 상기 회전샤프트에 축설되는 축관의 외주면으로 브러시모가 나선형으로 비조밀하게 형성되고,
좌우브러싱구간 양측 또는 상하브러싱구간 상하부로 설치되는 회전브러시는 용접와이어가 진행되는 전후방향으로 서로 교호되게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와이어세척노즐은 헤드의 후단으로 소정 길이의 관체가 형성되고 중앙에 용접와이어가 통과하도록 와이어공이 관통되며 관체의 외주면에 와이어공을 연통하여 세척수가 인입되도록 제1인입공과 상기 제1인입공의 후측에 공압에어가 인입되도록 제2인입공이 형성된 노즐파이프와, 상기 노즐파이프가 내입되는 결합홀이 관통되고, 노즐파이프의 제1인입공과 제2인입공으로 세척수 및 공압에어를 공급하도록 결합홀에서 후단면을 관통하도록 제1유로와 제2유로가 형성된 노즐본체와, 상기 노즐본체의 후단에 결합되며 전면에 노즐본체의 제1유로와 연통하여 세척수를 주입하는 제1주입홈이 형성되고, 제2유로와 연통하여 공압에어를 주입하는 제2주입홈이 형성되며, 후면에 제1주입홈과 연통하여 세척수공급관과 연결되는 제1주입구가 형성되고 제2주입홈과 연통하여 공압에어공급관과 연결되는 제2주입구가 형성된 노즐커버를 포함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와이어건조노즐은 와이어건조공이 관통된 헤드와 관체로 형성되고, 관체의 외주면 전후 방사상으로 와이어건조공을 연통하도록 제1건조인입공과 제2건조인입공이 형성된 노즐파이프와, 상기 노즐파이프가 삽입되도록 결합홀이 형성되고 노즐파이프의 제1,2건조인입공으로 공압에어를 공급하도록 제1,2건조유로가 형성된 노즐본체와, 상기 노즐본체의 후단에 결합되어 공압에어를 노즐본체로 주입하도록 전면에 제1,2주입홈이 형성되고 후면에 제1,2주입홈과 연통하여 공압에어공급관이 연결되는 제1,2주입구가 형성된 노즐커버를 포함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노즐파이프와 노즐본체는 제1인입공과 제1유로 및 제2인입공과 제2유로가 방사상으로 분할된 구조로 다수 형성 또는, 노즐파이프와 노즐본체는 제1건조인입공와 제1건조유로 및 제2건조인입공와 제2건조유가 방사상으로 분할된 구조로 다수 형성됨으로, 다수의 유로에서 하나의 와이어공 또는 와이어건조공으로 세척수와 공압에어 또는 공압에어만을 강한분사압으로 집중 분사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노즐커버는 노즐본체에 결합시 기밀을 위해 전면에 오링이 삽입되는 다수의 오링홈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용접 와이어 세척시스템에 의하면, 용접와이어의 표면손상을 방지하면서 깨끗한 세척이 가능하게 되며, 용접와이어의 품질을 현전히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또, 회전브러시와 세척수에 의한 1차 세척하고, 와이어세척노즐에서 강한 분사압으로 세척수와 공압에어를 분사하여 2차 세척한 후, 와이어건조노즐에서 건조시키는 작업으로 인해 세척불량률이 현저히 감소되어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용접와이어 세척시스템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용접와이어 세척시스템의 구성중 1세척부의 좌우브러싱구간을 도시한 평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용접와이어 세척시스템의 구성중 1세척부의 상하브러싱구간을 도시한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용접와이어 세척시스템의 구성중 2세척부를 확대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5는 도 4의 단면도
도 6은 도 4의 다른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용접와이어 세척시스템의 구성중 건조부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용접와이어 세척시스템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용접와이어 세척시스템의 사용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러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내용과 범위를 쉽게 설명하기 위한 예시일 뿐,이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가 한정되거나 변경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러한 예시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안에서 다양한 변형과 변경이 가능함은 통상의 기술자에게는 당연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및 단어들은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선택된 용어들로서, 그 용어의 의미는 발명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후술하는 실시예에서 사용된 용어는, 본 명세서에 구체적으로 정의된 경우에는 그 정의에 따르며, 구체적인 정의가 없는 경우는 통상의 기술자들이 일반적으로 인식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용접와이어 세척시스템을 도시한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용접 와이어 세척시스템은 칸칸으로 구획된 세척조를 용접 와이어가 통과하는 과정에 물리적 마찰력으로 1차 세척하고, 고압세척수 및 공압 에어로 2차 세척한 후, 공압에어에 의해 건조하도록 하여 용접 와이어의 표면에 부착된 신선유와 이물질을 완벽하고 신속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용접 와이어 세척시스템은 진행방향으로 칸칸이 구획된 세척조(1)와, 상기 세척조(1)의 내측 전방에 설치되어 회전브러시와 세척수로 용접와이어(W)의 표면에 부착된 신선유와 이물질을 박리시키는 1차세척부(2), 상기 세척조(1)의 내측 1차세척부(2)의 후방에 설치되어 세척수와 공압에어로 용접와이어(W)의 표면을 세척하는 2차세척부(3), 상기 세척조(1)의 내측 2차세척부(3)의 후방에 설치되어 세척된 용접와이어(W)를 건조시키기는 건조부(4)를 포함한다.
상기 세척조(1)는 상부가 개구된 하우징(10)이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10)의 내부는 전후 길이방향으로 칸칸이 구획되도록 구획판(11)이 설치되며, 상기 하우징(10)의 상부를 개폐하기 위한 개폐커버(12)가 구비된다.
상기 하우징(10)과 구획판(11)은 중앙으로 용접와이어(W)가 통과하도록 하우징(10)의 전후방으로 인입공(13)과 인출공(14) 및 구획판(11)으로 관통공(15)이 관통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세척조는 하우징(10)의 전방 하부에 배수구(16)가 형성되고, 구획판(11)의 하단부에 배수홀(17)이 관통 형성되어 용접와이어(W)를 세척하면서 발생되는 오수를 배수처리하게 된다.
상기 1차세척부(2)는 하우징(10)의 전반부에 회전브러시(20)와 회전브러시 (20)사이로 세척수를 공급하도록 하여 인입공(13)으로 투입되는 용접와이어(W)가 회전브러시(20)와 마찰되면서 표면을 깨끗하게 세척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회전브러시(20)가 용접와이어(W)의 표면을 상하좌우에서 마찰하도록 하여 세척이 고르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하우징(10)의 전반부에 좌우브러싱구간(2a)과 상하브러싱구간(2b)으로 구획 설치된다.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좌우브러싱구간(2a)은 전후 길이방향을 따라 양측으로 회전브러시(20)가 축설되고, 상하브러싱구간(2b)은 전후 길이방향을 따라 상하부로 회전브러시(20)가 축설되며, 상기 회전브러시(20)의 상부에서 세척수가 분사되는 분사관(21)이 설치되고, 상기 회전브러시(20)를 회동시키도록 하우징(10) 외측으로 구동수단(22)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브러시(20)는 회전샤프트(23)에 브러시(24)가 결합되는 구조로 좌우브러싱구간(2a) 양측 또는 상하브러싱구간(2b) 상하부로 설치되는 회전브러시(20)가 용접와이어(W)가 진행되는 전후방향으로 서로 교호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브러시(24)는 축관(24a) 외주면에 브러시모(24b)가 나선형으로 비조밀하게 형성하여 용접와이어(W)와 마찰시 과도한 마찰력으로 인한 와이어(W)의 변형을 미연에 방지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상기 구동수단(22)은 회전샤프트(23)마다 풀리(25)가 축설되고 하우징(10) 외측으로 설치되는 구동모터(26)와 벨트 연결하여 구동하도록 구성되며, 세척수가 사용되는 특성상 일반적인 원형 풀리구조를 사용하는 경우 수분에 의한 슬립현상으로 구동되지 않는 등이 오작동이 발생됨에 따라 이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타이밍 풀리 및 타이밍벨트방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2차세척부(3)는 1차세척부(2)의 후방측 하우징(10) 내부에 설치브라켓(31)이 설치되고, 상기 설치브라켓(30)에 의해 용접와이어(W)를 통과시키며 용접와이어(W)의 표면을 세척수와 공압에어로 세척하는 와이어세척노즐(30)이 설치된다.
이와 같은 와이어세척노즐(30)은 도 4를 참조하면, 용접와이어(W)의 손상을 방지하도록 관통시키며 세척하는 노즐파이프(32)와, 상기 노즐파이프(32)가 중앙에 삽입되어 노즐파이프(32)로 세척수 및 공압에어를 공급하는 노즐본체(33)와, 상기 노즐본체(33)의 후단에 결합되어 세척수 및 공압에어를 노즐본체(33)로 주입하도록 세척수공급관(34)과 공압에어공급관(35)이 연결되는 노즐커버(36)와, 상기 노즐본체(33)와 노즐커버(36) 사이의 기밀을 위해 설치되는 다수의 오링(37)으로 구성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노즐파이프(32)는 헤드(41)의 후단에 헤드(41)보다 작은 직경의 관체(42)가 소정 길이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헤드(41)와 관체(42)의 중앙으로 용접와이어(W)가 통과하는 와이어공(43)이 관통되며, 상기 관체(42)의 외주면에 와이어공(43)을 연통하여 세척수가 인입되도록 방사상으로 분할 형성된 다수의 제1인입공(44)과 상기 제1인입공(44)의 후측에 공압에어가 인입되도록 방사상으로 분할 형성된 다수의 제2인입공(45)이 형성된다.
상기 노즐본체(33)는 내부에 노즐파이프(32)가 삽입되는 결합홀(51)이 관통되고, 전측에 소정길이의 세척관(52)이 형성되며, 상기 세척관(52)의 후측으로 세척관 보다 큰 직경의 노즐관(53)이 연장되며, 상기 노즐관(53)의 후단 외주면에 노즐커버(36)를 결합하기 위한 플랜지(54)가 방사상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노즐관(53)은 결합홀(51)에서 후단면을 관통하도록 다수의 제1유로(55)와 다수의 제2유로(56)가 형성된다.
상기 제1유로(55) 및 제2유로(56)는 단면에서 볼때 전방에서 후방으로 상향 경사지도록 관통되며 노즐본체(33)의 결합홀(51)에 노즐파이프(32)를 삽입시 제1유로(55)는 제1인입공(44)과 연통하고, 제2유로(56)는 제2인입공(45)과 연통하게 되며, 세척수는 제1유로(55)와 제1인입공(44)을 통해 분사되고, 공압에어는 제2유로(56)와 제2인입공(45)을 통해 분사되게 된다.
상기 노즐커버(36)는 전면부에 제1유로(55)와 연통되는 제1주입홈(61)이 형성되고, 제2유로(56)와 연통되는 제2주입홈(62)이 형성되며, 상기 제1주입홈(61)과 제2주입홈(62)의 내외측에 다수의 오링홈(63)이 형성된다. 그리고 후면부에 제1주입홈과 연통하여 세척수공급관(34)과 연결되는 제1주입구(64)가 형성되고 제2주입홈(62)과 연통하여 공압에어공급관(35)과 연결되는 제2주입구(65)가 형성된다.
상기 노즐본체(33)에 노즐파이프(32)를 삽입하여 결합시 제1유로(55) 및 제2유로(56)와 제1인입공(44) 및 제2인입공(45)의 상호 연결이 용이하도록 노즐파이프(32)의 헤드(41)와 노즐본체(33)의 결합홀(51)에 키홈(K)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와이어세척노즐(30)은 노즐본체(33)에 삽입되는 노즐파이프(32)의 와이어공(43)으로 방사상으로 형성된 다수의 제1인인공(44)와 제2인입공(45)를 통해 용접와이어(W)가 진행하는 반대방향으로 세척수와 공압에어를 고압으로 분사하도록 하여 세척이 이루어지되,
상기 노즐커버(36)의 제1주입홈(61)으로 세척수가 공급되고 제2주입홈(62)으로 공압에어가 공급되면, 노즐본체(33)의 제1유로(55)와 제2유로(56)의 좁은 통로를 세척수와 공압에어가 통과하면서 공급되는 펌프압력에 분사압이 더해지는 작용으로 인해 강한압의 세척수와 공압에어로 와이어(W) 표면을 세척하게 된다.
그리고, 세척수와 공압에어가 방사상으로 분할되어 환형으로 와이어공으로 분사됨에 따라 와이어(W) 표면을 균일하고 고르게 세척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와이어세척노즐(30)은 도 6에 도시한바와 같이, 노즐본체(33)의 제1유로(55)와 제2유로(56)는 결합홀(51) 방향으로 점차 직경이 좁아지도록 구성하여 와이어공(43)으로 분사되는 세척수와 공압에어의 분사압을 더 높힐 수 있다.
상기 건조부(4)는 2차세척부(3)의 후방으로 하우징(10) 내부에 설치브라켓(31a)이 설치되고, 상기 설치브라켓(31a)에 의해 용접와이어(W)를 통과시키며 용접와이어(W)의 표면을 공압에어로 건조하는 와이어건조노즐(70)이 설치된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와이어건조노즐(70)은 용접와이어(W)의 손상을 방지하도록 관통시켜 통과시키기 위해 와이어건조공(71)이 관통된 헤드(72)와 관체(73)로 형성되고, 관체(73)의 외주면 전후 방사상으로 와이어건조공(71)을 연통하도록 제1건조인입공(74)과 제2건조인입공(75)이 방사상으로 형성된 노즐파이프(76)와, 상기 노즐파이프(76)가 삽입되도록 결합홀(77)이 형성되고 노즐파이프(76)의 제1,2건조인입공(74,75)으로 공압에어를 공급하도록 제1,2건조유로(78,79)가 형성된 노즐본체(81)와, 상기 노즐본체(81)의 후단에 결합되어 공압에어를 노즐본체(81)로 주입하도록 전면에 제1,2주입홈(82,83)이 형성되고 후면에 제1,2주입홈(82,83)과 연통하여 공압에어공급관(84)이 연결되는 제1,2주입구(85,86)가 형성된 노즐커버(87)와, 상기 노즐본체(81)와 노즐커버(87) 사이의 기밀을 위해 노즐커버(87)에 다수의 오링(88)이 삽입되는 오링홈(89)이 구성된다.
이와 같은 와이어건조노즐(70)은 와이어세척노즐(30)의 구조와 동일하게 이루어지되, 공압에어에 의한 수분의 신속한 배출을 위해 건조구간의 길이가 짧아지도록 와이어세척노즐(30)에서 세척관(52)만을 제외한 구조로 구성하며, 제1,2인입공을 통해 와이어공으로 공압에어가 분사하여 통과되는 용접와이어(W)를 신속하게 건조시키게 된다.
한편, 제1세척부와 제2세척부 및 건조부에 공급되는 세척수와 공압에어를 공급하도록 하는 스토틀밸브(91)와 공압메니폴더(92) 등이 구비되어 세척수공급원 및 컨프레셔 등과 연결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용접 와이어 세척시스템의 작용에 의하면,
본 발명의 용접 와이어 세척시스템(100)은 신선작업 완료된 용접와이어(W)의 포장공정 전에 최종 세척하기 위해 포장공정 전측에 설치하거나 신선공정 중간 단계에 설치 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용접와이어(W)의 세척시 사용되는 세척수와 세척과정에서 발생되는 오수의 원활한 배수를 위해 세척조(1)를 설치시 전방에서 후방으로 상향 경사지도록 하여 하우징의 전방부에 형성된 배수구(16)가 하향 위치되도록 설치되어 세척공정을 실시하게 된다.
세척공정을 위해 용접와이어(W)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의 인입공(13) 및 인출공(14)과 각 세척부를 구획하는 구획판(11)의 중앙에 형성된 관통공(15)을 통과하도록 하여 용접와이어(W)가 세척조(10)의 1차세척부(2)와, 2차세척부(3), 건조부(4)를 순차적으로 통과되면서 세척공정이 이루어지게 된다.
여기서 1차세척부(2)에서는 회전브러시(20)와 상부측 분사관(21)으로부터 분사되는 세척수에 의해 용접와이어(W)에 물리적 마찰력을 가하여 용접와이어(W) 표면의 고착된 신선유와 이물질을 박리시키는 1차 세척작업을 하게 되며, 이때 1차세척부(2)는 회전브러시(20)가 양측으로 교호 형성된 좌우브러싱구간(2a)과 상하부로 교호 형성된 상하브러싱구간(2b)으로 분할되어 세척작업이 이루어짐에 따라 용접와이어(W)의 표면을 좌우상하에서 회전브러시(20)가 마찰하여 고르게 세척하게 된다.
상기 1차세척부(2)를 통과한 용접와이어(W)는 연이어 2차세척부(3)의 와이어세척노즐(30)을 관통하도록 통과하면서 강한 분사압력에 의해 세척수와 공압에어로 표면을 2차 세척하게 된다.
이때 용접와이어(W)의 표면 손상을 최소화 하기 위해 용접와이어(W)는 노즐본체(33) 중앙에 삽입되는 노즐파이프(32)를 통과하게 되며, 노즐본체(33)의 후방에 결합되는 노즐커버(36)로 연결된 세척수공급관(34)과 공압에어공급관(35)으로부터 공급되는 세척수와 공압에어가 각각 노즐커버(36)의 제1주입홈(61)과 제2주입홈(62)을 통해 노즐본체(33)의 제1유로(55)와 제2유로(56)를 거치는 과정에서 분사압력이 향상됨은 물론 세척수의 후방에서 공압에어를 불어주는 작용으로 인해 용접와이어(W)가 진행되는 반대방향으로 세척수와 공압공기를 강한 분사압으로 세척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 노즐본체(33)의 제1유로(55)와 제2유로(56) 및 노즐파이프(32)의 제1인입공(44)과 제2인입공(45)이 방사상으로 분할 형성되어 다수의 유로에서 하나의 와이어공(43)으로 집중하여 분사되는 작용에 따라 세척수와 공압에어가 환형으로 고르게 분사되어 용접와이어(W)의 표면을 균일하고 완벽하게 세척하게 된다.
상기 2차세척부(3)를 통과한 용접와이어(W)는 마지막으로 건조부(4)의 와이어건조노즐(70)을 통과하면서 용접와이어(W)의 표면에 세척수에 의한 수분을 완전히 건조시키게 된다.
상기 와이어건조노즐(70)의 구조 및 작용은 와이어세척노즐(30)과 동일하며, 노즐커버(87)의 제1주입홈(82)과 제2주입홈(83)으로 공압에어가 공급되면 연통된 노즐본체(81)의 제1건조유로(78)와 제2건유로(79)를 통해 노즐파이프(76)의 제1건조인입공(74)과 제2건조인입공(75)으로 공압에어가 강한압력으로 분사되면서 와이어건조공(71)을 통과하는 용접와이어(W)를 신속하게 건조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용접와이어 세척시스템(100)에 따르면, 용접와이어(W)의 표면손상을 방지하면서 깨끗한 세척이 가능하게 됨에 따라 용접와이어(W)의 작업성 및 생산성이 향상됨과 아울러 용접와이어(W)의 품질을 현전히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범위에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는 다양한 변형실시도 가능하다 할 것이며,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상기 실시 예에 한정하여 정해지는 것이 아니라,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들과 이들 기술로부터 균등한 기술수단들에까지 보호범위가 인정되어야 할 것이다.
100: 용접와이어 세척시스템
1:세척조
10:하우징 11:구획판 12:개폐커버 13:인입공
14:인출공 15:관통공 16:배수구 17:배수홀
2:1차세척부 2a:좌우브러싱구간 2b:상하브러싱구간
20:회전브러시 21:분사관 22:구동수단 23:회전샤프트
24:브러시 24a:축관 24b:브리시모 25:풀리
26:구동모터
3:2차세척부
30:와이어세척노즐 31,31a:설치브라켓 32:노즐파이프 33:노즐본체
34:세척수공급관 35:공압에어공급관 36:노즐커버 37:오링
41:헤드 42:관체 43:와이어공 44:제1인입공
45:제2인입공
51:결합홀 52:세척관 53:노즐관 54:플랜지
55:제1유로 56:제2유로
61:제1주입홈 62:제2주입홈 63:오링홈 64:제1주입구
65:제2주입구
4:건조부
70:와이어건조노즐 71:와이어건조공 72:헤드 73:관체
74:제1건조인입공
75:제2건조인입공 76:노즐파이프 77:결합홈 78:제1건조유로
79:제2건조유로 81:노즐본체 82:제1주입홈 83:제2주입홈
84:공압에어공급관 85:제1주입구 86:제2주입구 87:노즐커버
88:오링 89:오링홈
91:스로틀밸브 92:공압메이폴더
W:용접와이어 K:키홈

Claims (8)

  1. 상부가 개폐커버(12)로 개폐된 하우징(10)이 구비되고, 하우징(10)의 내부는 전후 길이방향으로 칸칸이 구획되도록 구획판(11)이 설치되고, 용접와이어(W)가 통과하도록 하우징(10)의 전후방으로 인입공(13)과 인출공(14) 및 구획판(11)으로 관통공(15)된 세척조(1);
    세척조(1)의 내측 전방에 회전브러시(20)와 세척수의 물리적 마찰력에 의해 용접와이어(W)의 표면에 부착된 신선유와 이물질을 박리 세척하도록 설치되는 1차세척부(2);
    세척조(1)의 내측 1차세척부(2)의 후방에 와이어세척노즐(30)이 설치되고, 용접와이어(W)가 와이어세척노즐(30)을 통과하는 중에 강한분사압으로 분사되는 세척수와 공압에어로 용접와이어(W)의 표면을 2차 세척하는 2차세척부(3);
    상기 세척조(1)의 내측 2차세척부(3)의 후방에 와이어건조노즐(70)이 설치되고, 용접와이어(W)가 와이어건조노즐(70)을 통과하는 중에 강한분사압으로 분사되는 공압에어로 용접와이어(W)의 수분을 제거하여 건조시키는 건조부(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와이어 세척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세척조(1)는 용접와이어(W)를 세척시 발생되는 오수를 배수시키기 위해 하우징(10)의 전방 하부에 배수구(16)가 형성되고, 구획판(11)의 하단부에 배수홀(17)이 관통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와이어 세척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1차세척부(2)는 회전브러시(20)가 용접와이어(W)의 표면을 상하좌우에서 마찰하도록 하여 세척이 고르게 이루어지도록 전후 길이방향을 따라 양측으로 회전브러시(20)가 축설된 좌우브러싱구간(2a)과,
    전후 길이방향을 따라 상하부로 회전브러시(20)가 축설된 상하브러싱구간(2b)으로 구획 설치되며,
    상기 회전브러시(20)의 상부에서 세척수가 분사되는 분사관(21)이 설치되고, 상기 회전브러시(20)를 회동시키도록 하우징(10) 외측으로 구동수단(22)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와이어 세척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회전브러시(20)는 회전샤프트(23)와, 상기 회전샤프트(23)에 축설되는 축관(24a)의 외주면으로 브러시모(24b)가 나선형으로 비조밀하게 형성되고,
    좌우브러싱구간(2a) 양측 또는 상하브러싱구간(2b) 상하부로 설치되는 회전브러시(20)는 용접와이어(W)가 진행되는 전후방향으로 서로 교호되게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와이어 세척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와이어세척노즐(30)은 헤드(41)의 후단으로 소정 길이의 관체(42)가 형성되고 중앙에 용접와이어(W)가 통과하도록 와이어공이 관통되며 관체(42)의 외주면에 와이어공(43)을 연통하여 세척수가 인입되도록 제1인입공(44)과 상기 제1인입공(44)의 후측에 공압에어가 인입되도록 제2인입공(45)이 형성된 노즐파이프(32)와,
    상기 노즐파이프(32)가 내입되는 결합홀(51)이 관통되고, 노즐파이프(32)의 제1인입공(44)과 제2인입공(45)으로 세척수 및 공압에어를 공급하도록 결합홀(51)에서 후단면을 관통하도록 제1유로(55)와 제2유로(56)가 형성된 노즐본체(33)와,
    상기 노즐본체(33)의 후단에 결합되며 전면에 노즐본체(33)의 제1유로(55)와 연통하여 세척수를 주입하는 제1주입홈(61)이 형성되고, 제2유로(55)와 연통하여 공압에어를 주입하는 제2주입홈(62)이 형성되며, 후면에 제1주입홈(61)과 연통하여 세척수공급관(34)과 연결되는 제1주입구(64)가 형성되고 제2주입홈(62)과 연통하여 공압에어공급관(35)과 연결되는 제2주입구(65)가 형성된 노즐커버(36)를 포함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와이어 세척시스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와이어건조노즐(70)은 와이어건조공(71)이 관통된 헤드(72)와 관체(73)로 형성되고, 관체(73)의 외주면 전후 방사상으로 와이어건조공(71)을 연통하도록 제1건조인입공(74)과 제2건조인입공(75)이 형성된 노즐파이프(76)와,
    상기 노즐파이프(76)가 삽입되도록 결합홀(77)이 형성되고 노즐파이프(76)의 제1,2건조인입공(74,75)으로 공압에어를 공급하도록 제1,2건조유로(78,79)가 형성된 노즐본체(81)와,
    상기 노즐본체(81)의 후단에 결합되어 공압에어를 노즐본체(81)로 주입하도록 전면에 제1,2주입홈(82,83)이 형성되고 후면에 제1,2주입홈(82,83)과 연통하여 공압에어공급관(84)이 연결되는 제1,2주입구(85,86)가 형성된 노즐커버(87)를 포함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와이어 세척시스템.
  7. 청구항 5 또는 청구항 6에 있어서,
    노즐파이프(32)와 노즐본체(33)는 제1인입공(44)과 제1유로(55) 및 제2인입공(45)과 제2유로(56)가 방사상으로 분할된 구조로 다수 형성 또는,
    노즐파이프(76)와 노즐본체(81)는 제1건조인입공(74)와 제1건조유로(78) 및 제2건조인입공(75)와 제2건조유(79)가 방사상으로 분할된 구조로 다수 형성됨으로,
    다수의 유로에서 하나의 와이어공(43) 또는 와이어건조공(76)으로 세척수와 공압에어 또는 공압에어만을 강한분사압으로 집중 분사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와이어 세척시스템.
  8. 청구항 5 또는 청구항 6에 있어서,
    노즐커버(36)(87)는 노즐본체(33)(81)에 결합시 기밀을 위해 전면에 오링(37)(88)이 삽입되는 다수의 오링홈(37)(89)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와이어 세척시스템.
KR1020180000930A 2018-01-03 2018-01-03 용접와이어 세척시스템 KR1020064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0930A KR102006459B1 (ko) 2018-01-03 2018-01-03 용접와이어 세척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0930A KR102006459B1 (ko) 2018-01-03 2018-01-03 용접와이어 세척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3391A true KR20190083391A (ko) 2019-07-12
KR102006459B1 KR102006459B1 (ko) 2019-08-02

Family

ID=672543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0930A KR102006459B1 (ko) 2018-01-03 2018-01-03 용접와이어 세척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645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851961A (zh) * 2023-07-28 2023-10-10 江苏九洲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不锈钢焊丝加工工艺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84417A (ja) * 1994-09-08 1996-03-26 Nkk Corp ケーブル洗浄装置
KR200328274Y1 (ko) * 2003-07-08 2003-09-26 고월특수강주식회사 신선공정용 와이어의 세척노즐
KR100816845B1 (ko) 2006-06-19 2008-03-27 (주)삼명금속 와이어 연신설비의 와이어 세정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84417A (ja) * 1994-09-08 1996-03-26 Nkk Corp ケーブル洗浄装置
KR200328274Y1 (ko) * 2003-07-08 2003-09-26 고월특수강주식회사 신선공정용 와이어의 세척노즐
KR100816845B1 (ko) 2006-06-19 2008-03-27 (주)삼명금속 와이어 연신설비의 와이어 세정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851961A (zh) * 2023-07-28 2023-10-10 江苏九洲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不锈钢焊丝加工工艺
CN116851961B (zh) * 2023-07-28 2023-12-15 江苏九洲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不锈钢焊丝加工工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6459B1 (ko) 2019-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112011104231B4 (de) Reifenvulkanisier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Entfernen von an einem Rotor angelagerten Substanzen
KR102033739B1 (ko) 수도관 세척 방법
CN219355573U (zh) 滤芯清洗装置
CN1069114C (zh) 洗衣机的供水装置
KR100790528B1 (ko) 회전드럼을 이용한 상하수도관 세척장치 및 세척공법
KR20190083391A (ko) 용접와이어 세척시스템
KR101679501B1 (ko) 원통형 가공품용 다공정 세척장치
CN109759305B (zh) 一种水下管道除锈喷漆方法
JP5956760B2 (ja) 洗浄ノズル
CN201381280Y (zh) 蚀刻设备
CN106040683A (zh) 光纤套管的自动清洗装置
CN105728403A (zh) 液压管清洗机转鼓结构
KR102490094B1 (ko) 철선세척장치
US10113237B2 (en) Manufacturing method of rotating machine, plating method of rotating machine, and rotating machine
KR20060131269A (ko) 수압을 이용한 과일 이동 세척장치 및 그 구성방법
CN112872061A (zh) 一种钢管加工使用的清洗装置
CN108531995B (zh) 一种羊毛清洗机构
JP4381947B2 (ja) 基板処理装置及び基板処理方法
KR101453299B1 (ko) 사출금형의 냉각수로 세정장치
KR20170000849A (ko) 원자력발전소 증기발생기 전열관 튜브 탈지 시스템 및 탈지 방법
KR100586591B1 (ko) 와이어 세척용 불림장치
KR20020052855A (ko) 탈지설비의 칩 제거장치
CN220760250U (zh) 一种清洗加热装置
CN219388667U (zh) 一种石油机械用的换向阀
KR101602856B1 (ko) 필터장치 및 강판 도금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