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2873A - 다수의 감압 접착제 층으로 제조된 접착제 시스템 - Google Patents

다수의 감압 접착제 층으로 제조된 접착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2873A
KR20190082873A KR1020197016458A KR20197016458A KR20190082873A KR 20190082873 A KR20190082873 A KR 20190082873A KR 1020197016458 A KR1020197016458 A KR 1020197016458A KR 20197016458 A KR20197016458 A KR 20197016458A KR 20190082873 A KR20190082873 A KR 201900828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sensitive adhesive
adhesive layer
carboxyl group
poly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164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08762B1 (ko
Inventor
알렉산더 프렌젤
율리아 베푸스
Original Assignee
테사 소시에타스 유로파에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테사 소시에타스 유로파에아 filed Critical 테사 소시에타스 유로파에아
Publication of KR201900828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28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87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8762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ids; Metal or ammonium salt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08Organic ingredient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one dot" groups of C08K5/01 - C08K5/59
    • C08K5/0025Crosslinking or vulcanising agents; including accelerat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2Non-macromolecular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2Non-macromolecular additives
    • C09J11/06Non-macromolecular additives 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J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9J13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acrylic acid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1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without carri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09J7/38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 C09J7/381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9J7/385Acrylic polymers
    • C09J2201/36
    • C09J2201/606
    • C09J2205/10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2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itself
    • C09J2301/208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itself the adhesive layer being constituted by at least two or more adjacent or superposed adhesive layers, e.g. multilayer adhesiv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3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 C09J2301/30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the adhesive being pressure-sensitive, i.e. tacky at temperatures inferior to 30°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4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presence of essential compon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4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presence of essential components
    • C09J2301/414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presence of essential components presence of a copolyme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33/00Presence of (meth)acrylic polym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Adhesive Ta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저장 시에 안정하고 사용될 때 접착제의 정밀한 정위화를 가능하게 하고 적당한 온도를 초과하지 않고 가교될 수 있는 접착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시스템은 높은 성능 수준을 달성하는 강력한 접착 결합을 제공하기 위해 의도된다. 이는 적어도 두 개의 감압 접착제 층(A) 및 감압 접착제 층(B)을 함유한 키트를 통해 달성되며, 여기서, 두 개의 감압 접착제 층(A) 및 감압 접착제 층(B)은 각각 상호 독립적으로, 다수의 카복시 기를 함유한 적어도 하나의 폴리머를 포함하며; 감압 접착제 층(A)에서, 카복시 기를 함유한 폴리머의 카복시 기의 일부는 활성제(AA)와의 반응에 의해 활성화되었으며; 감압 접착제 층(A)은 감압 접착제 층(A) 및 감압 접착제 층(B)의 카복시 기를 함유한 폴리머의 카복시 기와 가교 반응할 수 있지만 감압 접착제 층(A)에서 현저하게 반응적이지 않는 적어도 하나의 가교제(VA)를 포함하며, - 감압 접착제 층(B)은 가교제(VA)와 함께 감압 접착제 층(B)의 카복시 기를 함유한 폴리머의 카복시 기의 가교 반응을 가속화시킬 수 있고 가교제(VA)와 함께 감압 접착제 층(A)의 카복시 기를 함유한 폴리머의 카복시 기의 가교 반응을 가능하게 하고 가속화시킬 수 있고 감압 접착제 층(A)의 카복시 기를 함유한 폴리머의 활성화된 카복시 기와 가교 반응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가교제(VB)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또한 키트의 감압 접착제 층들 간의 접촉을 통해 얻어질 수 있는 접착 테이프, 및 상기 접착 테이프를 제조하는 공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다수의 감압 접착제 층으로 제조된 접착제 시스템
본 발명은 접착 결합의 기술 분야 내에 속한다. 본 발명은 둘 이상의 감압 접착제 층을 기초로 하고, 서로 간의 이러한 층들의 특정 가교 메커니즘에 의해 감압 접착 테이프에 대해 일반적인 정도를 초과할 수 있는 결합 강도를 가능하게 하는 접착제 시스템을 기술한다.
2-성분 결합 시스템은 수 년 동안 일반적인 지식으로서, 기술 문헌에서 상세히 기술되어 있다. 화학적 경화 및 2-성분 접착제의 기능화 및 사용은 예를 들어, 문헌[W. Brockmann, P.L. Geiss "Klebtechnik: Klebstoffe, Anwendungen und Verfahren", Wiley Verlag GmbH & Co. KGaA, 2005, 36-39]에 기술되어 있다. 이러한 접착제의 다른 예는 WO 2014/139932 A1호, US 2015/0159051 A1호 및 EP 2 920 221 A1호를 포함하는 공개문(publication)에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시스템에서, 2가지 성분들로 이루어진 접착제 시스템이 접착면 부분(adherend part)에 적용되며, 일반적으로 2가지 액체 성분들이 사용된다. 예를 들어, 2-성분 중합 결합 시스템을 화학적으로 반응시키는 경우에서, 하나의 성분은 중합될 모노머 및 활성제로 이루어지며, 다른 성분은 라디칼-형성 물질(또한 경화제 또는 개시제로서 불리워짐) 및 중합될 모노머로 이루어진다. 2가지 성분들을 혼합하거나 적어도 접촉시킨 후 그리고 대개 열 수단에 의해 활성화시킨 후에, 라디칼-형성 물질은 활성제에 의해 2개의 라디칼로 쪼개지며, 중합될 모노머들의 중합 반응이 시작된다. 모노머의 라디칼 사슬 중합은 이후에, 사슬이 종결될 때까지 일어나며, 접착제는 경화되고, 이에 의해 접착면 부분의 영구 결합이 형성된다.
액체의 2-성분 중합 결합 시스템의 단점은 이러한 것이 종종 사용하기에 지저분하게 되는 것인데, 왜냐하면, 2가지 성분들이 접착면 부분에 액체 내지 페이스트-형 형태로 적용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이는 특히, 광범위한 결합 및/또는 예를 들어, 표면이 기울어지거나 거칠거나 평면이 아닌 적용에서 문제이다. 또한, 접착제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단지 긴 저장 시간 후에 그리고 상승된 온도에서만 활성화되며, 이는 예를 들어, 양극처리된 알루미늄(anodized aluminum)과 같은 민감한 기판에 대해 문제를 나타낼 수 있다. 이러한 시스템의 다른 단점은 2가지 성분들의 저장 안정성이 중요할 수 있다는 것이다. 완전한 경화 후에, 이에 따라, 특히, 진동이 존재하는 경우에, 결합의 크랙(crack) 또는 파열(rupture)이 존재할 수 있다.
접착제의 열 가교는 오랜 시간 동안 당해 분야에서 기술되고 있다. 이러한 가교는 효과적인 접촉-끈적임(touch-stickiness)("점착성(tack)"), 높은 전단 강도, 및 양호한 가공 품질을 동시에 가능하게 한다. 또한, 열 가교는 고온, 용매 및 다른 영향에 대해 충분한 안정성을 보장할 수 있다. 그러나, 열 가교의 단점은 가교를 개시하기 위해 종종 요구되는 고온이다. 이는 온도-민감성 물질에 손상을 야기시킬 수 있다.
화학적으로 경화하는 접착 테이프는 마찬가지로, 최신 기술로서, 이의 예에는 3MTM Structural Bonding Tapes #9214, #9263 및 #9270이 있다. 그러나, 여기에서도 다시 경화가 고온에서 일어난다. 또한, 접착 테이프의 저장 수명을 연장하기 위해 냉각 조건 하에서 접착 테이프를 저장하는 것이 제안된다. 종래 기술에서 마찬가지로 공지된 잠재적 반응성 시스템의 사용은 저장 안정성을 증가시키지만, 일반적으로, 이의 활성화를 위해 더욱 더 높은 온도를 필요로 한다.
예를 들어, 화학적 가교를 위해, 특히, (감압) 폴리아크릴레이트 접착제에서 아크릴산을 사용하는 것이 공지된 실무이다. 카복실산과 친핵성 가교제, 특히, 아민 또는 알코올을 반응시키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대략 200℃의 확실히 높은 온도에서만 개시하는 반응, 즉 펩타이드 합성은 예를 들어, 커플링 시약을 사용한다. 이러한 시약은 일부 경우에, 심지어 실온에서도 반응을 가능하게 한다. 여기에서 본 공정은 커플링 시약을 이용하여 존재하는 카복실산의 활성화의 공정이다. 후속하여, 아민은 활성화된 카복실산에 부착될 수 있다. 용도 및 또한, 다수의 커플링 시약은 문헌[E. Valeur, M. Bradley "Amide bond formation: beyond the myth of coupling reagents" The Royal Society of Chemistry 2009, 38, 606-631]에 기술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저장-안정적이고 적용 시에 접착제의 정밀한 정위화(positioning)를 가능하게 하고 심지어 적당한 온도(moderate temperature)에서도 접착제가 가교될 수 있는 접착 결합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시스템과 함께 매우 강력하게 수행되는 견고한 결합을 얻는 것에 주목한다.
이러한 목적이 특정 메커니즘을 통해 서로 가교될 수 있는 적어도 두 개의 감압 접착제 층으로 이루어진 접착 결합 시스템으로 달성된다는 것이 발견되었다. 본 발명의 제1이고 일반적인 주제는 적어도 두 개의 감압 접착제 층(A) 및 감압 접착제 층(B)을 포함하는 키트(kit)로서,
두 개의 감압 접착제 층(A) 및 감압 접착제 층(B)은 서로 독립적으로 각각 둘 이상의 카복실 기를 함유한 적어도 하나의 폴리머를 포함하며;
감압 접착제 층(A)에서, 카복실 기를 포함한 폴리머의 카복실 기 중 일부는 활성제(AA)와의 반응의 결과로서 활성화되며;
- 감압 접착제 층(A)은
- 감압 접착제 층(A) 및 감압 접착제 층(B)에서 카복실 기를 포함하는 폴리머의 카복실 기와의 가교 반응을 위해 적합하지만, 감압 접착제 층(A)에서 실질적으로 반응적이지 않는 적어도 하나의 가교제(VA)를 포함하며,
- 감압 접착제 층(B)은
- 가교제(VA)와 함께 감압 접착제 층(A)에서의 카복실 기를 포함하는 폴리머의 카복실 기의 가교 반응을 가속화하기 위해, 가교제(VA)와 함께 감압 접착제 층(A)에서의 카복실 기를 포함하는 폴리머의 카복실 기의 가교 반응을 가능하게 하고 가속화하기 위해, 감압 접착제 층(A)에서의 카복실 기를 포함하는 폴리머의 활성화된 카복실 기와의 가교 반응을 위해 적합한 적어도 하나의 가교제(VB)를 포함하는, 키트이다.
감압 접착제 층(A) 및 감압 접착제 층(B)의 접촉을 전제로 하여, 가교제(VA)는 가교 반응에서 감압 접착제 층(A) 및 감압 접착제 층(B)에서 카복실 기를 포함하는 폴리머의 카복실 기와 반응하며, 가교제(VB)는 가교제(VA)와 함께 감압 접착제 층(B)에서의 카복실 기를 포함하는 폴리머의 카복실 기의 가교 반응에 대한 가속 효과를 발휘하며, 가교제(VB)는 가교제(VA)와 함께 감압 접착제 층(A)에서의 카복실 기를 포함하는 폴리머의 카복실 기의 가교 반응을 가능하게 하고 가속화시키며, 가교제(VB)는 가교 반응에서 감압 접착제 층(A)에서의 카복실 기를 포함하는 폴리머의 활성화된 카복실 기와 반응한다. 이러한 것들 모두는 실온에서 일어나지만, 필요한 경우에, 열의 공급에 의해 더욱 가속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성분 접착 결합 시스템은 운용하기 용이하며, 이러한 층들은 이미 감압 접착성을 갖는다. 이에 따라, 결합될 기판에 또는 이미 결합된 층에 적용하는 동안에 미끄러짐(slipping)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는 예를 들어, 액체의 2-성분 접착제를 사용하여 얻어진 것보다 더욱 정밀한 결합을 허용한다.
본 발명에 따라 그리고 일반적인 이해와 함께, "키트(kit)"는 적어도 두 개의 부분이 서로 별도로 존재하는 팩(pack)을 지칭한다. "서로 별도로(separately from one another)"는 팩 내의 부분들이 서로 직접적으로 접촉할 수 없음을 의미한다.
본원에서 용어 "감압 접착제(pressure-sensitive adhesive)"는 일반적인 이해에 따라, 본질적으로 점착적이거나 점착부여 수지("점착부여제")의 첨가를 통해 이러한 것이 점착성을 나타내도록 포뮬레이션된 물질을 기술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감압 접착제 및/또는 감압 접착 결합 제품은 감압 접착제를 결정하기 위한 공지된 방법들 중 하나에 따라, 그와 같이 분류될 수 있는 물질 및/또는 최종 제품을 포함하고, 특히, 하기 방법들 중 하나 이상에 의해 감압 접착제로서 분류될 수 있는 그러한 물질 및/또는 최종 제품을 포함한다.
감압 테이프 위원회(Pressure Sensitive Tape Council)에서 1985년 8월에 발표된 "감압 테이프 산업에서 사용되는 용어 해설(Glossary of Terms Used in the Pressure Sensitive Tape Industry)"에 따르면, 감압 접착제는 실온에서 공격적이고 영구적인 점착성을 나타내고 손가락 또는 손을 이용하여 고정하는 것보다 더 큰 압력의 추가 적용 없이 단순한 접촉 시에 다수의 다른 표면에 견고하게 접촉한다는 사실에 의해, 이와 같이 특징되고, 이에 따라, 규정될 수 있다.
특히, 감압 접착제는 본 발명에 따르면, 하기에 기술되는 2가지 방법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이와 같이 분류할 수 있음으로써 규정된다.
제1 방법에 따르면, 감압 접착제, 즉, PSA는 특히, 문헌[D. Satas, Handbook of Pressure Sensitive Adhesives, 2nd edition, page 172, 1989]에 기술된, Dahlquist 기준에 의해 규정된다. 이러한 기준들 중 하나에 따르면, 물질은 서비스 온도에서, 이러한 것이 1·106 Pa 미만의 탄성 계수(modulus of elasticity)를 갖는 경우에, 양호한 PSA로서 규정된다.
제2 방법에 따르면, PSA를 결정하기 위한 추가 기준은 실온(25℃)에서의 이의 저장 탄성률이 주파수 스위프(frequency sweep)에 의해 측정한 경우 하기 범위 내에 있다: 0.1 rad/초(0.017 Hz)의 주파수에서 2·105 내지 4·105 Pa 범위 내, 및 100 rad/초(17 Hz)의 주파수에서 2·106 내지 8·106 Pa의 모듈러스 범위 내(예를 들어, 문헌[D. Satas, Handbook of Pressure Sensitive Adhesive Technology, 2nd edition, page 173, 1989]의 표 8 내지 표 16에 제시됨).
본 발명의 키트에서 적어도 두 개의 PSA 층, 즉, 감압 접착제 층(A) 및 감압 접착제 층(B)은 2개의 층의 단순 접촉에 의해서만 개시되는 가교 반응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반응은 이의 견고함(robustness)의 측면에서, 또한, PSA에 해당하거나 액체 성분을 기초로 한 2-성분 접착제의 또는 (반-)구조적 접착제의 품질을 갖는 정도까지 가교될 수 있는 접착제 층을 형성시킨다. 용어 "구조적 접착제(structural adhesive)"는 일반적으로, 대체로 균일하고 바람직한 응력 분포와 함께 높은 강도 및/또는 강성을 영구적으로 갖는 가능한 구조적 설계를 보장하는 튼튼한 접착제(heavy-duty adhesive)에 대해 사용된다.
PSA 층(A) 및 PSA 층(B)에서 카복실 기를 함유한 폴리머는 원칙적으로, PSA를 형성시키기에 적합한 당업자에게 공지된 모든 폴리머를 포함하며, 단, 이러한 폴리머는 실제로, 적어도 2개의 카복실 기(-COOH)를 갖는다.
PSA 층(A)에서 둘 이상의 카복실 기를 함유한 폴리머는 바람직하게,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이다. PSA 층(B)에서 둘 이상의 카복실 기를 함유한 폴리머는 마찬가지로, 바람직하게,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이다. 특히 바람직하게, PSA 층(A)에서 둘 이상의 카복실 기를 함유한 폴리머 및 PSA 층(B)에서 둘 이상의 카복실 기를 함유한 폴리머 둘 모두는 각각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이다.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는 각 경우에, 고려되는 폴리머의 전체 모노머 조성을 기준으로 하여, 모노머 기초(monomer basis)가 적어도 70 중량% 범위의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아크릴산 에스테르 및/또는 메타크릴산 에스테르로 이루어지고, 아크릴산 에스테르 및/또는 메타크릴산 에스테르가 50 중량% 이상으로 포함되는 폴리머를 지칭한다.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는 일반적으로, 아크릴 및/또는 메타크릴 모노머 및 또한, 임의적으로, 추가의 공중합 가능한 모노머의 라디칼 중합을 통해 접근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용어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는 아크릴산 및 이의 유도체를 기초로 한 폴리머뿐만 아니라, 아크릴산 및 메타크릴산 및 이들의 유도체를 기초로 한 폴리머, 및 메타크릴산 및 이의 유도체를 기초로 한 폴리머를 포함한다.
PSA 층(A) 및 PSA 층(B)에서 둘 이상의 카복실 기를 함유한 폴리머들 중 하나가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인 경우에, 이러한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는 바람직하게, 하기 (a1) 내지 (a3)으로 이루어진 모노머 조성물로부터 비롯된 것이다:
(a1) 70 내지 100 중량%의 하기 화학식 (I)의 화합물:
Figure pct00001
[상기 식에서, R1은 H 및/또는 CH3이며, R2는 H 및/또는 1 내지 30개의 탄소를 갖는 알킬 사슬이며, R2 = H인 화학식 (I)의 화합물의 분율은 각 경우에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의 전체 모노머 조성물을 기준으로 하여, 20 중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 15 중량% 이하임];
(a2) 0 내지 30 중량%의, 작용기를 갖는 추가의 올레핀계의 불포화된 모노머; 및
(a3) 0 내지 5 중량%의, 성분 (a)와 공중합 가능하고 여기에 이용 가능한 가교제(VA 또는 VB)와 공유 결합을 형성하기에 적합한 적어도 하나의 작용기를 갖는 추가의 아크릴레이트 및/또는 메타크릴레이트 및/또는 올레핀계의 불포화된 모노머.
모노머(a1)는 더욱 바람직하게, 1 내지 14개의 탄소를 함유한 알킬 기를 갖는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및/또는 아크릴산 에스테르 및/또는 메타크릴산 에스테르이다. 보다 특히, 모노머(a1)는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메틸 아크릴레이트,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에틸 아크릴레이트, 에틸 메타크릴레이트, 프로필 아크릴레이트, 프로필 메타크릴레이트, n-부틸 아크릴레이트, n-부틸 메타크릴레이트, n-펜틸 아크릴레이트, n-헥실 아크릴레이트, n-헥실 메타크릴레이트, n-헵틸 아크릴레이트, n-옥틸 아크릴레이트, n-노닐 아크릴레이트, 라우릴 아크릴레이트, 스테아릴 아크릴레이트, 스테아릴 메타크릴레이트, 베헤닐 아크릴레이트 및 이들의 분지된 이성질체, 예를 들어,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 및 또한 사이클로헥실 메타크릴레이트, 이소보르닐 아크릴레이트 및 이소보르닐 메타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모노머(a2)는 더욱 바람직하게, 말레산 무수물, 이타콘산 무수물,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벤질 아크릴레이트, 벤질 메타크릴레이트, 페닐 아크릴레이트, 페닐 메타크릴레이트, 3차-부틸페닐 아크릴레이트, 3차-부틸페닐 메타크릴레이트, 페녹시에틸 아크릴레이트, 페녹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 2-부톡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 2-부톡시에틸 아크릴레이트 및 테트라하이드로푸르푸릴 아크릴레이트, 및 또한 방향족 핵이 C4 내지 C18 단위로 이루어지고 또한 헤테로원자를 포함할 수 있는 방향족 비닐 화합물, 예를 들어, 스티렌, N-비닐프탈이미드, 메틸스티렌 및 3,4-디메톡시스티렌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모노머(a3)는 바람직하게, 이타콘산, 아크릴아미드 및 시아노에틸 메타크릴레이트, 시아노에틸 아크릴레이트, N-3차-부틸아크릴아미드, N-메틸올메타크릴아미드, N-(부톡시메틸)메타크릴아미드, N-메틸올아크릴아미드, N-(에톡시메틸)아크릴아미드, N-이소프로필아크릴아미드, 비닐아세트산, β-아크릴로일-옥시프로피온산, 트리클로로아크릴산, 푸마르산, 크로톤산, 아코니트산, 디메틸아크릴산 및 4-비닐벤조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이러한 열거는 확정적인 것은 아니다.
중합을 위하여, 모노머는 바람직하게, 얻어진 폴리머가 열적으로 가교 가능한 PSA로서 사용될 수 있고, 보다 특히, 얻어진 폴리머가 문헌["Handbook of Pressure Sensitive Adhesive Technology" by Donatas Satas (van Nostrand, New York 1989)]에 따라 감압 접착 결합의 성질을 지니도록 선택된다.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는 바람직하게, 보편적인 라디칼 중합 또는 제어된 라디칼 중합의 실행에 의해 제조된다. 라디칼 메커니즘에 의해 진행되는 중합을 위해, 사용되는 개시제 시스템은 바람직하게, 중합을 위한 추가의 라디칼 개시제를 추가적으로 함유한 것, 특히, 열적으로 분해되는 라디칼-형성 아조 또는 퍼옥소 개시제이다. 그러나, 원칙적으로, 아크릴레이트 및/또는 메타크릴레이트에 대해 통상적인 모든 개시제가 적합하다. C-중심의 라디칼의 생산은 문헌[Houben-Weyl, Methoden der Organischen Chemie, vol. E 19a, pp. 60-147]에 기술되어 있다. 본 발명의 맥락에서, 이러한 방법들은 바람직하게, 유사하게 적용된다.
중합은 벌크로, 하나 이상의 유기 용매에서, 수 중에서, 또는 유기 용매와 물의 혼합물에서 수행될 수 있다. 여기에서, 목적은 사용되는 용매의 양을 최소화하는 것이다. 적합한 유기 용매에는 순수한 알칸(예를 들어, 헥산, 헵탄, 옥탄, 이소옥탄), 방향족 탄화수소(예를 들어, 벤젠, 톨루엔, 자일렌), 에스테르(예를 들어, 에틸 아세테이트, 프로필, 부틸 또는 헥실 아세테이트), 할로겐화된 탄화수소(예를 들어, 클로로벤젠), 알칸올(예를 들어, 메탄올, 에탄올, 에틸렌 글리콜, 에틸렌 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 케톤(예를 들어, 아세톤, 부타논) 및 에테르(예를 들어, 디에틸 에테르, 디부틸 에테르) 및 이들의 혼합물이 있다. 수성 중합 반응은 모노머 전환 동안에, 반응 혼합물이 균일상의 형태로 존재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수-혼화성 또는 친수성 보조용매로 처리될 수 있다. 보조용매는 본 발명의 맥락에서, 바람직하게, 지방족 알코올 및 글리콜, 에테르, 글리콜 에테르, 피롤리딘, N-알킬피롤리디논, N-알킬피롤리돈, 폴리에틸렌 글리콜,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아미드, 카복실산 및 이의 염, 에테르, 유기설파이드, 설폭사이드, 설폰, 알코올 유도체, 하이드록시에테르 유도체, 아미노 알코올, 케톤, 및 또한, 이들의 유도체 및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중합 시간은, 전환 및 온도에 따라, 4 내지 72시간이다. 더 높은 반응 온도가 선택될 수록, 다시 말해서, 반응 혼합물의 열 안정성이 더 높을수록, 선택될 수 있는 반응 기간은 더 짧아진다.
중합의 개시와 관련하여, 열의 도입은 열적으로 분해하는 개시제에 대해 필수적이다. 열적으로 분해하는 개시제에 대하여, 중합은 개시제 타입에 따라, 50 내지 160℃까지 가열시킴으로써 개시될 수 있다.
또한, 이에 의해 중합을 제어된 방식으로 실행하고 몰질량 분포에 영향을 줄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중합-조절 사슬 전달제를 사용하는 것이 유리하다.
PSA 층(A) 및 PSA 층(B) 각각은 카복실 기를 함유한 적어도 하나의 폴리머를 포함한다. 층(A)에서 폴리머의 카복실 기 중 일부는 적어도 하나의 활성제(AA)(대안적으로, 또한, 커플링 시약으로서 지칭됨)를 사용하여 심지어 비교적 저온에서도 가교 반응을 위해 활성화된다. 이에 따라, 사용된 원리는 펩타이드 합성과 관련된 원리와 유사하다. 이에 따라, 가교는 PSA 층(A) 및 PSA 층(B)이 합쳐진 후에 실온에서도 가능하다. 이는 특히, 온도-민감성 기판의 경우에 유리하다.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에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PSA 층(A) 및 PSA 층(B)은 서로 독립적으로, 각 경우에, 둘 이상의 카복실 기를 함유한 추가의 폴리머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이러한 폴리머는 산-개질된 또는 말레산 무수물-개질된, 포화되고 불포화된, 합성 고무 및 스티렌계 블록 코폴리머, 일부-가수분해된 폴리비닐 아세테이트, 일부-가수분해된 EVA 시스템, 폴리우레탄, 폴리에스테르 및 실리콘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PSA 층(A) 및 PSA 층(B)은 서로 독립적으로, 바람직하게, 각각, 적어도 하나의 점착부여 수지를 포함한다. 점착부여 수지는 더욱 바람직하게, 피넨 수지, 인덴 수지 및 로진, 이의 불균화된, 수소화된, 중합된, 및/또는 에스테르화된 유도체 및 염, 지방족 및 방향족 탄화수소 수지, 테르펜 수지, 테르펜-페놀계 수지 및 C5, C9 및 다른 탄화수소 수지, 및 이러한 점착부여 수지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이러한 수지 및 추가의 수지의 임의의 요망되는 조합은 PSA 층의 성질을 요건과 일치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말하면, 상응하는 PSA와 혼화 가능한(이러한 PSA에서 용해 가능한) 모든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보다 특히, 점착부여 수지는 지방족, 방향족 및 알킬방향족 탄화수소 수지, 순수한 모노머를 기반으로 한 탄화수소 수지, 수소화된 탄화수소 수지, 작용성 탄화수소 수지, 및 천연 수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문헌["Handbook of Pressure Sensitive Adhesive Technology" by Donatas Satas (van Nostrand, 1989)]의 지식 상태의 설명이 명시적으로 참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주제는 적어도 두 개의 감압 접착제 층(A) 및 감압 접착제 층(B)을 접촉시키는 단계로서, 두 개의 감압 접착제 층(A) 및 감압 접착제 층(B)이 서로 독립적으로 각각, 둘 이상의 카복실 기를 함유한 적어도 하나의 폴리머를 포함하는 단계에 의해 얻어질 수 있는 접착 테이프이며, 여기서,
감압 접착제 층(A)에서, 카복실 기를 포함한 폴리머의 카복실 기 중 일부는 활성제(AA)와의 반응 결과로서 활성화되며;
- 감압 접착제 층(A)은
- 감압 접착제 층(A) 및 감압 접착제 층(B)에서 카복실 기를 포함하는 폴리머의 카복실 기와 가교 반응을 위해 적합하지만 감압 접착제 층(A)에서 실질적으로 반응적이지 않은 적어도 하나의 가교제(VA)를 포함하며;
- 감압 접착제 층(B)은
- 가교제(VA)와 함께 감압 접착제 층(B)에서의 카복실 기를 포함하는 폴리머의 카복실 기의 가교 반응을 가속화시키기 위해, 가교제(VA)와 함께 감압 접착제 층(A)에서의 카복실 기를 포함하는 폴리머의 카복실 기의 가교 반응을 가능하게 하고 가속화시키기 위해, 및 감압 접착제 층(A)에서의 카복실 기를 포함하는 폴리머의 활성화된 카복실 기와 가교 반응을 위해 적합한 적어도 하나의 가교제(VA)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접착 테이프를 얻기 위해 서로 접촉되는 PSA 층(A) 및 PSA 층(B)은 본 발명의 키트의 PSA 층에 해당한다. 본 발명에 따른 키트는 서로 별도로 2개의 PSA 층(A) 및 PSA 층(B)의 저장을 위해 의도되며, 이에 따라, 이러한 것은 이의 적용의 목적을 위해서만, 함께, 즉, 서로 접촉되도록 하며, 그로 인해, 가교는 층(A) 및 층(B) 내에서 및 또한 층(A) 및 층(B) 사이에서 시작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접착 테이프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키트와 관련하여 이에 따라 기술된 모든 구체예는 이에 따라, 또한, 본 발명의 접착 테이프에 대해서 상응하게 유효하다. 유사하게, PSA 층(A) 및 PSA 층(B)의 추가 구성성분과 관련한 하기 모든 관찰들은 본 발명의 키트 및 본 발명의 접착 테이프 둘 모두를 지칭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교(crosslinking)"는 둘 이상의 폴리머 분자 간의 화학적 반응을 지칭하며, 여기서, 이러한 거대분자들 간에 3차원 네트워크가 형성된다. 가교의 개시는 예를 들어, 미세전단 시험(실험 섹션 참조)으로서 알려진 시험에서 측정 값으로서 얻어진, 탄성 성분(elastic component)의 증가 및 결과적으로, 전단 이동(shear travel)의 단축을 나타낸다. 이에 따라, 완전 가교, 즉, 지배적인 조건 하에서 이론적으로 가능한 가교 수준을 달성하는 시점까지 일어난 가교는 탄성 성분 및/또는 전단 이동에 대한 값의 유지(plateauing)를 나타낸다.
"열 가교(thermal crosslinking)"는 열 에너지의 공급에 의해 개시된 가교를 의미한다. 요망되는 활성화의 특성에 따라, 실온에서 존재하는 열 에너지는 그 자체가 열 가교를 위해 충분할 수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온도 증가는 가교를 개시하기 위해 능동 가열(active heating)에 의해 수행되거나, 열 에너지는 다른 방식으로, 예를 들어, 기계적 영향, 예를 들어, 초음파에 의해, 또는 반응 시스템에서의 발열 반응 공정에 의해 공급된다. 화학(고에너지) 방사선, 예를 들어, 자외선, 전자빔 또는 방사선의 영향은 열 가교를 위해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화학선에 의해 개시된 가교 반응은 열 가교의 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접착 테이프 내에서 가교도를 최대화하기 위하여, 가교제(VA)는 PSA 층(A)에 첨가된다. 가교제(VA)는 원칙적으로 층(A) 및 층(B)에서 카복실 기를 함유한 폴리머의 카복실 기와의 가교 반응을 위해 적합하지만, 층(A) 내에서 실질적으로 반응적이지 않고, 이러한 층에서 활성화된 카복실 기에 대해 반응적이지 않는 것을 포함한다. "실질적으로 반응적이지 않는(not substantially reactive)"은 고려되는 반응이 전혀 일어나지 않거나 기술적으로 의미있는 범위까지 일어나지 않고/거나 기술적으로 의미있는 반응 성공을 달성하기 위해 요구되는 시간이 기술적으로 적절하지 않음을 의미한다. 가교제(VA)는 바람직하게, 층(A) 및 층(B)에서 카복실 기를 함유한 폴리머의 카복실 기와의 가교 반응을 위해 적합하지만, 층(A)에서 반응적이지 않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가교제(VA)는 가교제(VB)의 존재 하에서 층 A에서의 폴리머의 비-활성화된 카복실 기와 반응할 수 있고, 또한, 실제로 반응한다. 이에 따라, 단지, 층(A)에서 폴리머의 카복실 기가 가교제(VA)와 반응할 수 있게 하는 PSA 층(A)에서 가교제(VB)가 존재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르면, 층(A) 및 층(B)의 접촉 후에, 각 경우에 하나의 층에서 다른 층으로 구성성분의 상호 이동이 존재한다. 이에 따라, 층(A) 및 층(B)이 접촉된 후에, 이러한 것은 서로 엄격하게 이격되게 유지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가교제(VA)가 PSA 층(A)에서 (실질적으로) 반응적이지 않다고 하는 경우에, 이는 본 발명의 특정 주제에 따르면, 단지 층(A) 및 층(B)의 접촉 전의 상태로 적용한다. 이러한 상태는 본 발명의 키트 및 또한, 본 발명의 접착 테이프 또는 방법의 문맥 둘 모두에서 실현되며, 이의 설명은 서로 접촉되도록 층에 맞도록 구성된다. 접촉 후에, 층(A) 및 층(B)은 더 이상 엄격한 분리를 필요로 하지 않으며, 의심의 여지가 있는 경우에, 발생하는 상호침투(interpenetration)로 인해 더 이상 서로 어떠한 분리도 필요로 하지 않는다.
가교제(VA)는 보다 특히, 열 가교제이다. 바람직하게, 이는 저장-안정적이고, 단지 비교적 고온에서, 더욱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접착 테이프를 형성하기 위한 가공 온도 이상의 온도에서, 보다 특히, 150℃ 초과의 온도에서 반응한다. 가교제(VA)는 바람직하게, 다작용성 에폭사이드로서, 이는 분자 당 적어도 두 개의 에폭사이드 작용기를 포함함을 의미한다. 적합한 가교제(VA)는 방향족 화합물 및 지방족 화합물 둘 모두를 포함하며, 또한, PSA 층(A)에 둘 이상의 가교제(VA)가 존재할 수 있다. PSA 층(A) 및 PSA 층(B)에서 카복실 기를 포함한 폴리머의 카복실 기에 대해, 바람직한 가교제 또는 가교제들(VA)의 에폭사이드 작용기의 몰 비율은 바람직하게, 0.1 내지 20 mol%, 보다 특히, 1 내지 10 mol%, 매우 바람직하게, 3 내지 5 mol%이다. 이러한 문맥에서 몰 비율은 하기 수학식 (II)에 따라 계산된다:
Figure pct00002
상기 식에서, N은 에폭사이드 분자에서 작용기의 수에 해당하며, i는 카복실 기를 함유한 폴리머의 모노머 전체를 나타내며, n, m 및 M은 통상적인 의미를 갖는다.
특히 바람직하게, 가교제(VA)는 에피클로로히드린의 올리고머;
다가 알코올의 에폭시 에테르, 특히, 에틸렌, 프로필렌 및 부틸렌 글리콜, 폴리글리콜, 티오디글리콜, 글리세롤, 펜타에리스리톨, 소르비톨, 폴리비닐 알코올 및 폴리알릴 알코올;
다가 페놀의 에폭시 에테르, 특히, 레소르시놀, 하이드로퀴논, 비스(4-하이드록시페닐)메탄, 비스(4-하이드록시-3-메틸페닐)메탄, 비스(4-하이드록시-3,5-디브로모페닐)메탄, 비스(4-하이드록시-3,5-디플루오로페닐)메탄, 1,1-비스(4-하이드록시-페닐)에탄, 2,2-비스(4-하이드록시페닐)프로판, 2,2-비스(4-하이드록시-3-메틸페닐)프로판, 2,2-비스(4-하이드록시-3-클로로페닐)프로판, 2,2-비스(4-하이드록시-3,5-디클로로-페닐)프로판, 2,2-비스(4-하이드록시-3,5-디클로로페닐)프로판, 비스(4-하이드록시-페닐)페닐메탄, 비스(4-하이드록시페닐)페닐메탄, 비스(4-하이드록시페닐)디-페닐메탄, 비스(4-하이드록시페닐)-4'-메틸페닐메탄, 1,1-비스(4-하이드록시-페닐)-2,2,2-트리클로로에탄, 비스(4-하이드록시페닐)-(4-클로로페닐)메탄, 1,1-비스(4-하이드록시페닐)사이클로헥산, 비스(4-하이드록시페닐)-사이클로헥실메탄, 4,4'-디하이드록시바이페닐, 2,2'-디하이드록시바이페닐 및 4,4'-디하이드록시디페닐 설폰, 및 또한 이들의 하이드록시에틸 에테르;
페놀-포름알데하이드 축합 산물, 예를 들어, 페놀-알코올 및 페놀-알데하이드 수지; S- 및 N-함유 에폭사이드, 예를 들어, N,N-디글리시딜아닐린 및 N,N'-디메틸디글리시딜-4,4-디아미노디페닐메탄; 불포화된 알코올의 다중불포화된 카복실산 또는 단일불포화된 카복실산 에스테르로부터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제조된 에폭사이드; 글리시딜 에스테르; 및 불포화된 산의 글리시딜 에스테르의 중합 또는 공중합에 의해 얻어질 수 있거나 시아누르산과 같은 다른 산성 화합물로부터 얻어질 수 있는 폴리글리시딜 에스테르, 디글리시딜 설파이드, 환형 트리메틸렌 트리설폰, 및/또는 이들의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특히, 바람직한 에테르는 1,4-부탄디올 디글리시딜 에테르, 폴리글리세롤-3 글리시딜 에테르, 사이클로헥산디메탄올 디글리시딜 에테르, 글리세롤 트리글리시딜 에테르, 네오펜틸 글리콜 디글리시딜 에테르, 펜타에리스리톨 테트라글리시딜 에테르, 1,6-헥산디올 디글리시딜 에테르,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디글리시딜 에테르,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글리시딜 에테르, 비스페놀 A 디글리시딜 에테르 및 비스페놀 F 디글리시딜 에테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에폭사이드에 추가적으로, 또한, 금속 킬레이트 및 다작용성 이소시아네이트가 PSA 층에서 가교제로서 존재하는 것이 가능하다. UV-활성화 가능한 가교제가 또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층(A)에서 카복실 기를 함유한 폴리머의 둘 이상의 카복실 기는 활성제(AA)와의 반응 결과로서 활성화되었다. 활성제는 가교 성분으로서 의도되지 않는다. 오히려, 이는 카복실 기를 활성화시키고, 이에 따라, 가교 반응의 활성화 에너지를 낮추는 것으로 사료된다. 활성제(AA)와 관련하여 "활성화된(activated)"은 특히, 카복실 기가 에스테르화에서 양성자의 손실과 함께, 활성제(AA)와 반응함을 의미한다.
PSA 층(A)에서 활성제(AA)의 사용이 층(A) 및 층(B) 내에서 및/또는 이러한 층들 사이에서의 가교의 반응 온도를 낮춘다는 것이 밝혀졌다. 층(A)의 활성화된 카복실 기는 여기에서 오로지 층(B)에서 초기에 존재하는 가교제(VB)와 반응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접착 테이프를 형성하기 위해 제공되는 바와 같이, 단지 층(A) 및 층(B)의 접촉 후에, 층(A)의 폴리머 또는 상응하는 폴리머의 활성화된 카복실산 기와 가교제(VB) 간에 가교 반응이 일어난다. 층(A)의 폴리머 또는 폴리머들에서 이용 가능한 카복실 기에 대한 활성제(AA)의 몰 비율은 바람직하게, 0.3 내지 85 mol%, 더욱 바람직하게, 1 내지 45 mol%, 보다 특히, 2 내지 10 mol%이다.
활성제(AA)는 바람직하게, 펩타이드 커플링 시약의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더욱 바람직하게, 활성제(AA)는 카보디이미드, 벤조트리아졸릴-N-옥시포스포늄 화합물, 아자벤조트리아졸릴-N-옥시포스포늄 화합물, O-(벤조트리아졸-1-일)우로늄 화합물, O-(7-아자벤조트리아졸-1-일)우로늄 화합물, N-우로늄-치환된 환형 이미드, 티오포스피닉 클로라이드, 티오포스피닉 아지드, 트리아질 에스테르 및 α-할로피리디늄 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특히 바람직한 활성제(AA)는
- 하기 화학식 (III)의 카보디이미드를 기초로 한 화합물:
Figure pct00003
[상기 식에서, 기 R1 및 R2는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고,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알킬 라디칼, 보다 특히, 2 내지 6개의 탄소를 갖는 비치환된 알킬 라디칼임]. 화학식 (III)의 특히 바람직한 화합물에는 N,N-디사이클로헥실카보디이미드(DCC; R1 = R2 = 사이클로헥실 기), N,N'-디-이소프로필카보디이미드(DIC; R1 = R2 = 프로필 기) 및 1-에틸-3-(3-디메틸-아미노프로필)카보디이미드(EDC; R1 = 에틸 기 및 R2 = 디메틸프로필아민 기)임;
- 하기 화학식 (IV)의 포스포늄 염:
Figure pct00004
보다 특히, 벤조트리아졸릴-N-옥시트리스디메틸아미노포스포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BOP; A = CH, R = 디메틸아미노 기), 벤조트리아졸-1-일옥시트리(피롤리디노)포스포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PyBOP; A = CH, R = 피롤리디노 기), 및 또한 7-아자벤조트리아졸-1-일-옥시트리피롤리디노포스포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PyAOP; A = 질소 원자, R = 피롤리딘 기). 또한, 이러한 군의 추가 활성제는 인 원자 상에 라디칼 기에 있어서 상이할 수 있음;
- 하기 화학식 (V)에 따른 트리아졸-기반 시약:
Figure pct00005
보다 특히, O-(벤조트리아졸-1-일)-1,1,3,3-테트라메틸우로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HBTU; A = CH, X =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O-(벤조트리아졸-1-일)-1,1,3,3-테트라메틸우로늄 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TBTU; A = CH, X = 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 O-(7-아자벤조트리아졸-1-일)-1,1,3,3-테트라메틸우로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HATU; A = 질소 원자, X =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및 또한 O-(7-아자벤조트리아졸-1-일)-1,1,3,3-테트라메틸우로늄 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TATU; A = 질소 원자, X = 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
- 하기 화학식 (VI)에 해당하는 우로늄을 기초로 한 시약:
Figure pct00006
보다 특히, 2-숙신이미도-1,1,3,3-테트라메틸우로늄 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 (TSTU; X = 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 R1 = R2 = 수소 원자) 및 2-(5-노르보르넨-2,3-디카복시미도)-1,1,3,3-테트라메틸우로늄 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TNTU; X = 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 R1 + R2는 함께 사이클로펜텐을 만듬);
- 하기 화학식 (VII)에 해당하는 티올:
Figure pct00007
보다 특히, 디메틸포스피노티오닐 아지드(MPTA; X = 아지드 기) 및 디메틸포스피노티오닐 클로라이드(MPT-Cl; X = Cl);
및 또한, N,N,N',N'-테트라메틸클로로포름아미디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TCFH), 3-(디에톡시포스포릴옥시)-1,2,3-벤조트리아진-4(3H)-온(DEPBT) 및 카보닐디이미다졸(CDI)임.
매우 특히 바람직하게, 활성제(AA)는 벤조트리아졸-1-일옥시트리(피롤리디노)-포스포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PyBOP)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PSA 층(B)은 적어도 하나의 가교제(VB)를 포함하며, 이는 PSA 층(B)에서 카복실 기를 함유한 폴리머의 카복실 기와 가교제(VA)의 반응을 위하여, 가속화 효과를 가질 수 있고/거나, 또한, 반응물이 접촉될 때 가속화 효과를 가지며, 이는 추가적으로, 물론 다시 반응물의 접촉 시에, 가교제(VA)와 함께 PSA 층(A)에서의 카복실 기를 함유한 폴리머의 카복실 기의 가교 반응을 가능하고 가속화시키고, 그 자체가 PSA 층(A)에서의 카복실 기를 함유한 폴리머의 카복실 기와의 가교 반응을 위해 적합하다. 이에 따라, 가교제(VB)는 삼중 작용성(triple function)에 의해 특징된다. 첫째로, 이는 먼저 그러한 층을 침투하고 이후에 그 안에 함유된 활성화된 카복실 기와 반응시킴으로써 PSA 층(A)에서 가교제로서 작용하며, 둘째로, 이는 PSA 층(B)에서 카복실 기와 가교제(VA) 사이에서 진행하는 가교 반응을 위한 가속화제로서, 및 또한, 가교제(VA)와 함께 PSA 층(A)에서의 카복실 기를 함유한 폴리머의 카복실 기의 가교 반응의 가속화제로서 작용한다.
가교제(VB)는 이동 가능하고, 바람직하게, 층(A) 및 층(B)이 합쳐진 후에 확산에 의해 층(A)로 진입할 수 있다. 이는 친핵체로서 작용하고, 공유 결합을 형성하기 위해 활성화된 카복실산과 반응한다고 추정한다. 또한, 층(B)에서 이러한 것이 염기로서 작용하고, 이에 따라, 가교제(VA)와 함께 이러한 층에서의 폴리머-결합된 카복실 기의 가교 반응을 가속화시킨다고 추정한다. 후자는 또한, 가교제(VA)가 또한, 다시 바람직하게, 층(A) 및 층(B)이 합쳐진 후에, 확산에 의해, 초기에 층(B) 내로 진입한다는 것을 전제로 한다. 이에 따라, 가교제(VB)는 층(B)의 가교 반응에서 소비되지 않고, 그 후에, 본래 상태로 존재한다.
적합한 가교제(VB)는 바람직하게, 적어도 이작용성이고, 동일할 뿐만 아니라 상이한 작용기를 함유할 수 있다. 가교제(VB)는 바람직하게,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다작용성 아민 및 다작용성 알코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특히 바람직하게, 가교제(VB)는 1차, 다작용성 아민 및 다작용성 알코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층(A)의 폴리머 또는 폴리머들에서 이용 가능한 활성화된 카복실 기에 대한 가교제(VB)의 몰 비율은 바람직하게, 0.3 내지 85 mol%, 더욱 바람직하게, 1 내지 45 mol%, 보다 특히, 2 내지 8 mol%이다.
아주 특히 바람직하게, 가교제(VB)는 에틸렌 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2,3-디하이드록시-2-사이클로펜테논, 1,3-프로판디올, 4-사이클로펜텐-1,3-디올, 벤젠-1,2-디올, 사이클로헥산-1,2-디올, 이소포론디아민, N,N,N,N-테트라메틸메탄디아민, 1,2-에탄디아민, N,N,N,N,N,N-헥사메틸-메탄트리아민, 헥사메틸렌테트라민, N,N'-디메틸-1,3-프로판디아민, N,N,2,2-테트라메틸-1,3-프로판디아민 및 N,N',2-트리메틸-1,3-프로판디아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보다 특히, 가교제(VB)는 이소포론디아민, N,N,N,N-테트라메틸메탄디아민, 1,2-에탄디아민, N,N,N,N,N,N-헥사메틸메탄트리아민, 헥사메틸렌테트라민, N,N'-디메틸-1,3-프로판디아민, N,N,2,2-테트라메틸-1,3-프로판디아민 및 N,N',2-트리메틸-1,3-프로판디아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본 발명의 접착 테이프는 적어도 PSA 층(A) 및 PSA 층(B)을 접촉시킴으로써 얻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접착 테이프는 바람직하게, 둘 이상의 층(A) 및/또는 층(B)을 접촉시킴으로써, 보다 특히, 형태 A-B-A의 구조 또는 형태 A-B-A-B-A-B-A-…의 교대 구조가 형성되는 방식으로 얻어질 수 있으며, 외부층은 각 경우에 PSA 층(A)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이러한 부류의 구조에서, 하나의 층(B)은 각 경우에 두 개의 층(A)에 의해 둘러싸여진다. 둘 이상의 PSA 층(A) 및 PSA 층(B)의 라미네이션은 유리하게, 비교적 높은 층 두께의 형성을 가능하게 한다.
PSA 층(A) 및 PSA 층(B)은 바람직하게, 서로 독립적으로, 각 경우에, 5 내지 1000 ㎛, 더욱 바람직하게, 20 내지 500 ㎛, 보다 특히, 50 내지 150 ㎛의 층 두께를 갖는다. 마찬가지로, 바람직하게, PSA 층(A)의 층 두께는 PSA 층(B)의 층 두께보다 더 크다. PSA 층(B)의 층 두께에 대한 PSA 층(A)의 층 두께의 비율은 여기에서, 바람직하게, 3:1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 2:1 이하, 및 보다 특히, 3:2 이하이다.
상호 접촉되기 전에, PSA 층(A) 및 PSA 층(B)은 바람직하게, 적어도 하나의 측면 상에서 물리적으로 또는 화학적으로, 보다 특히, 화학적 접착 증진제 층(프라이머 층)의 적용을 통해, 또는 코로나, 화염 또는 플라즈마 처리를 이용하여 사전처리된다.
PSA 층의 접촉은 분산액 또는 용액으로부터 또는 핫멜트 모드에서 일어날 수 있다. 분산액 또는 용액으로부터의 코팅의 경우에, 분산액 매질 또는 용매는 바람직하게, 실온에서 증발된다. 이에 따라, 유리하게, 조기 또는 증가된-개시 가교(onset crosslinking)가 방지된다.
저장의 목적을 위하여, PSA 층(A) 및 PSA 층(B) 및 본 발명의 접착 테이프는 바람직하게, 이형 라이너 또는 이형지로 라이닝된다.
가교 반응은 PSA 층(A) 및 PSA 층(B)의 접촉에 의해 얻어진 층 어셈블리 상에서 열의 작용에 의해 가속화될 수 있다. 40℃ 이상의 온도는 일반적으로, 이미 가속화 효과를 갖는다. 특히 고속 가교 반응은 100℃ 이상에서의 온도에서 가능하다.
다른 층 위에 하나의 층으로 및 또한, 결합될 기판에 대한 개별 층(A) 및 층(B)의 라미네이션의 개선을 위하여, 디스펜서(dispenser) 또는 라미네이터(laminator)를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접착 테이프는 자동화되고 고속의 가공 작업의 사용을 위해 매우 적합하다. 상이한 물질 및 성분의 영구 및 임시 결합 둘 모두는 이러한 맥락에서 가능하며, 예에는 엠블럼(emblem), 범퍼(bumper) 및 트림 스트립(trim strip)이 있다. 건설 분야에서의 사용이 또한 고려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마지막 주제는 적어도 두 개의 감압 접착제 층(A) 및 감압 접착제 층(B)을 접촉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접착 테이프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여기서, 두 개의 감압 접착제 층(A) 및 감압 접착제 층(B)은 서로 독립적으로, 각각, 둘 이상의 카복실 기를 함유한 적어도 하나의 폴리머를 포함하며,
감압 접착제 층(A)에서, 카복실 기를 포함하는 폴리머의 카복실 기 중 일부는 활성제(AA)와의 반응의 결과로서 활성화되며;
- 감압 접착제 층(A)은
- 감압 접착제 층(A) 및 감압 접착제 층(B)에서 카복실 기를 포함하는 폴리머의 카복실 기와의 가교 반응을 위해 적합하지만 감압 접착제 층(A)에서 실질적으로 반응적이지 않는 적어도 하나의 가교제(VA)를 포함하며;
- 감압 접착제 층(B)은
- 가교제(VA)와 함께 감압 접착제 층(B)에서의 카복실 기를 포함한 폴리머의 카복실 기의 가교 반응을 가속화시키기 위해, 가교제(VA)와 함께 감압 접착제 층(A)에서의 카복실 기를 포함하는 폴리머의 카복실 기의 가교 반응을 가능하게 하고 가속화하기 위해, 및 감압 접착제 층(A)에서 카복실 기를 포함한 폴리머의 활성화된 카복실 기와의 가교 반응을 위해 적합한 적어도 하나의 가교제(VB)를 포함한다.
실시예
달리 명시하거나 개별적으로 명백하지 않는 한, 샘플 제조 및 측정 절차는 표준 조건(25℃, 101,325 Pa) 하에서 수행한다.
I. 정적 유리전이온도 Tg
정적 유리전이온도를 DIN 53765호에 따라 동적 주사 열량측정법(dynamic scanning calorimetry)을 통해 측정하였다. 유리전이온도 Tg에 대한 수치는 달리 특정 경우에서 명시하지 않는 한, DIN 53765:1994-03에 따른 유리전이온도 Tg를 기초로 한다.
II. 분자량
평균 분자량(중량평균 Mw 및 수평균 Mn) 및 다분산도(D)를 겔투과크로마토그래피(gel permeation chromatography; GPC)에 의해 측정하였다. 사용된 용리액은 0.1 부피%의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을 함유한 THF이다. 측정을 25℃에서 수행하였다. 사용된 예비-컬럼(pre-column)은 PSS-SDV, 5 ㎛, 103 Å(10-7 m), ID 8.0 mm × 50 mm이었다. 분리를 컬럼 각각 ID 8.0 mm × 300 mm을 갖는 컬럼 PSS-SDV, 5 ㎛, 103 Å(10-7 m), 105 Å(10-5 m) 및 106 Å(10-4 m)을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샘플 농도는 4 g/L이었으며, 유량은 분당 1.0 ml이었다. 측정을 PMMA 표준물에 대해 이루어졌다.
III. 고형물 함량:
고형물 함량은 폴리머 용액 중에서 증발되지 않은 구성성분들의 분율의 측정치이다. 용액을 계량하고, 이후에 건조 캐비넷에서 증발 가능한 분획을 120℃에서 2시간 동안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다시 계량함으로써 이를 중량 측정에 의해 측정하였다.
IV. K 값(피켄쉐어(Fikentscher)에 따름):
K 값은 고-폴리머 화합물의 평균 분자 크기의 측정치이다. 측정의 목적을 위하여, 1% 농도(1 g/100 ml)의 톨루엔계 폴리머 용액을 제조하고, 이의 동적 점도(kinematic viscosity)를 Vogel-Ossag 점도계를 이용하여 결정하였다. 톨루엔의 점도의 표준화 후에, 상대 점도를 얻고, 이로부터, K 값은 피켄쉐어의 방법에 의해 계산될 수 있다(Polymer 8/1967, 381 ff.).
V. 전단 강도: 정적 전단 시험(HP)
폭이 13 mm이고 길이가 30 mm인 접착 테이프의 스트립(strip)을 아세톤으로 3회 세정되고 이소프로판올로 1회 세정된 매끄러운 강철 표면에 적용하였다. 결합 면적은 20 mm · 13 mm(길이 · 폭)이며, 이에 따라, 접착 테이프는 시험판의 모서리에서 10 mm 돌출되었다. 접착 테이프를 후속하여 2 kg의 중량에 해당하는 가해진 압력으로 강철 지지체 상으로 4회 가압하였다. 접착 테이프의 돌출 단부가 아래를 향하도록 이러한 샘플을 수직으로 매달았다.
실온에서 1 kg의 추를 접착 테이프의 돌출 단부에 부착하였다. 측정을 표준 조건(23℃±1℃, 55%±5% 대기 습도) 하에서 및 가열 캐비넷에서 70℃에서 수행하였으며, 이러한 측정을 위한 샘플에는 0.5 kg의 추가 로딩되었다.
측정된 유지력(holding power)(접착 테이프가 기판으로부터 완전히 분리되는 데 소요되는 시간; 측정은 10,000분에서 종결됨)은 분 단위로 보고되고, 3회 측정치의 평균에 해당한다.
VI. 박리 강도(박리 접착력)(PA)
조사 중인 접착 테이프의 스트립을, 4 kg 강철 롤러로 10회 롤링함으로써, 샌딩처리된 강철판(ASTM A 666에 따른 스테인레스강 302; 50 mm × 125 mm × 1.1 mm; 빛나는 어닐링된 표면; 표면 거칠기 Ra = 50 ± 25 nm 기준선으로부터의 평균 산술 편차)에 규정된 폭(표준: 20 mm)으로 결합하였다. 양면 접착 테이프의 뒷면을 36 ㎛ 두께의 가소화되지 않은 PVC 필름으로 강화시켰다. 동일한 샘플을 형성하고, 대안적으로, 즉시 측정을 위해 제공되었고, 7일 동안 저장하고 이후에 측정하거나, 14일 동안 저장하고 이후에 측정하였다.
제조된 판을 시험 장비에 클램핑(고정)하고, 접착 스트립을, 인장 시험 기계에서 180°의 박리 각도 및 접착 테이프의 길이 방향으로 300 mm/분의 속도로 이의 자유 단부를 통해 판으로부터 박리시켰다. 이러한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힘을 기록하였다. 측정 결과는 N/cm 단위로 보고되고(분할된 결합의 특정 거리에 대해 표준화된 힘), 3회 측정치에 대해 평균처리하였다. 모든 측정을 컨디셔닝된 챔버에서 23℃ 및 50% 상대 습도에서 수행하였다.
VII. 미세전단 시험
이러한 시험은 온도 로드(temperature load) 하에서 접착 테이프의 전단 강도의 가속화된 시험을 위해 적합하다.
미세전단 시험을 위한 샘플 제조:
개개 샘플 시편으로부터 절단된 접착 테이프(길이 50 mm, 폭 10 mm)를 아세톤으로 세정된 강철 시험판에 결합시켰으며, 이에 따라, 강철판은 접착 테이프를 넘어 좌우로 돌출되었으며, 접착 테이프는 시험판을 넘어서 상부 모서리에서 2 mm 돌출하였다. 샘플의 접착 면적은 높이·폭 = 13 mm · 10 mm로 표시된다. 결합 사이트를 후속하여 2 kg 강철 롤러를 이용하여 10 m/분의 속도로 6회 롤링하였다. 접착 테이프를 이동 센서용 지지체로서 역할을 하는 안정한 접착제 스트립과 같은 높이로 보강하였다. 샘플을 시험판을 이용하여 수직으로 매달았다.
미세전단 시험:
측정 중인 샘플 시편을 바닥 단부에서 100 g의 추로 로딩하였다. 시험 온도는 40℃이며, 시험 시간은 30분(15분의 로딩(loading) 및 15분의 언로딩(unloading))이었다. 일정한 온도에서 특정 시험 시간 후 전단 이동(shear travel)을 결과로서, ㎛ 단위로, 최대값["max": 15분 로딩의 결과로서의 최대 전단 이동] 및 최소값["min": 언로딩 후 15분 후에 전단 이동("잔류 편향(residual deflection)"); 언로딩 시에 이완(relaxation)의 결과로 후진 운동이 존재함] 둘 모두로서 보고하였다. 마찬가지로, 퍼센트 단위의 탄성 성분이 보고되었다["elast": 탄성 성분 = (max - min)·100/max].
VIII. 동적 전단 강도:
25 mm의 모서리 길이를 갖는 정사각형의 접착 전사 테이프를 2개의 강철판 사이에 결합시키고, 결합을 1분 동안 0.9 kN(힘 P)으로 가압하였다. 24시간의 저장 후에, 어셈블리를 Zwick으로부터의 인장 시험 기계에서, 50 mm/분 및 23℃ 및 50% 상대 습도에서, 2개의 강철판이 180°의 각도로 떼어내는 방식으로 분할하였다. 최대 힘은 N/cm2 단위로 확인되었다.
표 1: 사용된 원료:
Figure pct00008
베이스 폴리머 Ac1의 제조
라디칼 중합을 위해 통상적인 반응기를 30.0 kg의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 67.0 kg의 부틸 아크릴레이트, 3.0 kg의 아크릴산 및 66.7 kg의 아세톤/이소프로판올(96:4)로 채웠다. 교반하면서 질소 가스를 45분 동안 반응기로 통과시킨 후에, 반응기를 58℃까지 가열시키고, 500 g의 아세톤의 용액 중 50 g의 Vazo 67을 첨가하였다. 외부 가열조(heating bath)를 후속하여 70℃까지 가열시키고, 반응을 이러한 외부 온도에서 일정하게 수행하였다. 1시간 후에, 500 g의 아세톤의 용액 중 추가 50 g의 Vazo 67을 첨가하고, 2시간 후에, 배치(batch)를 10 kg의 아세톤/이소프로판올 혼합물(96:4)로 희석하였다. 5.5 시간 후에, 500 g의 아세톤의 용액 중 150 g의 비스-(4-3차-부틸사이클로헥실)퍼옥시디카보네이트를 첨가하고, 6시간 30분 후에, 배치를 다시 10 kg의 아세톤/이소프로판올 혼합물(96:4)로 희석하였다. 7시간 후에, 500 g의 아세톤의 용액 중 추가의 150 g의 비스-(4-3차-부틸사이클로헥실)퍼옥시디카보네이트를 첨가하고, 가열조를 60℃의 온도로 설정하였다.
22시간의 반응 시간 후에, 중합을 중지시키고, 배치를 실온까지 냉각시켰다. 생성물은 50.2%의 고형물 함량을 갖는다. 얻어진 폴리아크릴레이트는 75.2의 K 값, 1,370,000 g/mol의 중량평균 분자량, 17.13의 다분산도(D)(Mw/Mn) 및 -38.0℃의 정적 유리전이온도 Tg를 갖는다.
베이스 폴리머 Ac2의 제조
라디칼 중합을 위해 통상적인 반응기를 47.0 kg의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 47.0 kg의 부틸 아크릴레이트, 9.0 kg의 아크릴산 및 72.4 kg의 아세톤/벤진(50:50)으로 채웠다. 교반하면서 질소 가스를 45분 동안 반응기로 통과시킨 후에, 반응기를 58℃까지 가열시키고, 500 g의 아세톤의 용액 중 50 g의 Vazo 67을 첨가하였다. 외부 가열조를 후속하여 70℃까지 가열시키고, 반응을 이러한 외부 온도에서 일정하게 수행하였다. 1시간 후에, 500 g의 아세톤의 용액 중 추가 50 g의 Vazo 67을 첨가하고, 2시간 후에, 배치를 10 kg의 아세톤/이소프로판올 혼합물(96:4)로 희석하였다. 5.5 시간 후에, 500 g의 아세톤의 용액 중 150 g의 비스-(4-3차-부틸사이클로헥실)퍼옥시디카보네이트를 첨가하고, 6시간 15분 후에, 배치를 다시 10 kg의 아세톤/벤진 혼합물(50:50)로 희석하였다. 7시간 후에, 500 g의 아세톤의 용액 중 추가의 150 g의 비스-(4-3차-부틸사이클로헥실)퍼옥시디카보네이트를 첨가하고, 가열조를 60℃의 온도로 설정하였다.
22시간의 반응 시간 후에, 중합을 중지시키고, 배치를 실온까지 냉각시켰다. 생성물은 39.7%의 고형물 함량을 갖는다. 얻어진 폴리아크릴레이트는 64.2의 K 값, 946,000 g/mol의 중량평균 분자량, 68.69의 다분산도(D)(Mw/Mn) 및 -47.0℃의 정적 유리전이온도 Tg를 갖는다.
베이스 폴리머 Ac3의 제조
라디칼 중합을 위해 통상적인 반응기를 45.5 kg의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 45.5 kg의 부틸 아크릴레이트, 9.0 kg의 아크릴산 및 72.4 kg의 아세톤/벤진(50:50)으로 채웠다. 교반하면서 질소 가스를 45분 동안 반응기로 통과시킨 후에, 반응기를 58℃까지 가열시키고, 500 g의 아세톤의 용액 중 50 g의 Vazo 67을 첨가하였다. 외부 가열조를 후속하여 70℃까지 가열시키고, 반응을 이러한 외부 온도에서 일정하게 수행하였다. 1시간 후에, 500 g의 아세톤의 용액 중 추가 50 g의 Vazo 67을 첨가하고, 2시간 후에, 배치를 10 kg의 아세톤/이소프로판올 혼합물(96:4)로 희석하였다. 5.5 시간 후에, 500 g의 아세톤의 용액 중 150 g의 비스-(4-3차-부틸사이클로헥실)퍼옥시디카보네이트를 첨가하고, 6시간 후에, 배치를 다시 10 kg의 아세톤/벤진 혼합물(50:50)로 희석하였다. 7시간 후에, 500 g의 아세톤의 용액 중 추가의 150 g의 비스-(4-3차-부틸사이클로헥실)퍼옥시디카보네이트를 첨가하고, 가열조를 60℃의 온도로 설정하였다.
22시간의 반응 시간 후에, 중합을 중지시키고, 배치를 실온까지 냉각시켰다. 생성물은 41.3%의 고형물 함량을 갖는다. 얻어진 폴리아크릴레이트는 55.0의 K 값, 904,000 g/mol의 중량평균 분자량, 44.89의 다분산도(D)(Mw/Mn) 및 -39℃의 정적 유리전이온도 Tg를 갖는다.
용액 중에 존재하는 베이스 폴리머 Ac1, Ac2 및 Ac3을 각각 아세톤으로 35%의 고형물 함량까지 희석하고, 이후에, 아세톤 중 10% 농도의 활성제 및/또는 가교제 용액과 블렌딩하고, 후속하여, 전사 시편으로서 실리콘처리된 이형 필름(50 ㎛ 폴리에스테르) 상에 용액으로부터 2.5 m/분의 코팅 속도로 코팅하였다. 코트 중량은 여기에서 각 경우에 50 g/m2이었다. 시편을 건조 캐비넷에서 80℃에서 15분 동안 건조시켰다. 시편 KB 4 내지 KB 13은 복수의 층으로 이루어졌으며, 그 후에 코팅을 각 경우에 마찬가지로 건조 캐비넷(80℃, 15분)에서 증발시키고, 실온까지 냉각시킨 후에, 함께 라미네이션하여, 2-층 시편의 경우에 전체 100 g/m2의 코트 중량 및 3-층 시편의 경우에 전체 150 g/m2의 코트 중량을 얻었다.
측정은 KB 14의 경우에 수행할 수 없었는데, 왜냐하면, 시편이 블렌딩 후에도 유리에서 겔화를 나타내었고, 더 이상 이형 필름 상에 코팅될 수 없기 때문이다.
접착 테이프 KB 1 내지 KB 13의 생산
표 2: 접착제-특정 세부사항
Figure pct00009
표 3: 실온에서 상이한 저장 시간 후에 탄성 성분으로부터의 가교 상태의 측정
Figure pct00010
실온에서 상이한 저장 시간 후에 성질에 대한 모든 조사에서, 함께 라미네이션된 복수의 층들로 이루어진 완전한 생성물은 다층 구조를 위해 각 경우에 저장된 생성물이다. "0dRT"는, 생성물이 특히 다층 생성물의 경우에 초기 가교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실온에서 한나절(half a day) 동안 저장되었음을 의미한다.
탄성 성분 측정은 "미세전단 시험", 시험 방법 VII에 따라 수행되었으며, 이러한 것은 가교 상태를 결정하기 위한 측정치로서 적합하다. 탄성 성분이 클수록, 가교가 더욱 진행된다. 상당히 가속화된 가교가 본 발명의 2-층 시스템에 의해서도 나타난다는 것이 표 3을 기초로 하여 명백하다. 3-층 구조를 통해, 이는 다시 가속화될 수 있다.
표 4: 실온에서 저장 후에 상이한 기판 상에서의 박리 접착력 측정 결과
Figure pct00011
시험 방법 VI에 따라 강철 또는 PE 기판 각각 상에서 180°각도 및 300 mm/분으로 수행된, 박리 접착력의 측정은 샘플의 후가교를 나타낸다. 시편은 C(응집 파단)로부터 M(혼합 파단)을 통해 A(접착 파단)까지의 파단 거동의 변화를 나타낸다. 또한, 장기 저장 후에 박리 강도의 저하가 기록될 수 있다. 이는 마찬가지로, 후-가교를 제시한다.
표 5: 실온에서 저장 후에 유지력 및 전단 강도의 측정 값
이는 또한, 시험 방법 V에 따른 측정으로부터의 유지력에 의해 및 시험 방법 VII에 따른 동적 전단 시험으로부터의 값으로부터 명백하게 이루어진다. 시간에 따라, 마찬가지로, 시편의 파단 거동이 변경되며, 또한, 시간에 따라 전단 강도가 증가한다는 것이 명백하다. 동적 전단 시험에서, 유사한 거동이 명백하다.
접착제 성능 시험은, 상이하게 블렌딩된 PSA의 사용 및 활성제 사용과 함께 다성분 시스템의 사용이 실온에서 가교 시간과 관련하여 상당한 이점을 제공함을 나타낸다.
실온 저장에 추가하여, 시편 및/또는 이의 개개 층들을 60℃에서 총 4 주 동안 저장하였다. 이에 따라, 후속하여 그리고 이러한 경우에, 단지 저장이 일어난 후에, 다층 시편은 실온까지 냉각시킨 후에, 함께 라미네이션되고, 실온에서 한나절 동안 저장되었으며, 후속하여, 미세전단 시험을 모든 샘플에서 수행하였다. 여기에서, 샘플 KB 1, KB 2, KB 3 및 KB 4가 실온에서 0일 후에 측정의 경우에서보다 상당히 더 큰 탄성 성분을 갖는다는 것이 밝혀졌다. 반대로, 60℃ 저장 후에 함께 라미네이션된 시편 KB 5 내지 KB 13, 및 시편 KB7 내지 KB 13은 코팅 및 건조 직후의 측정의 경우에서의 값과 유사하거나 근소하게 더 큰 값을 나타내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시편은 심지어 비교적 고온에서도 저장 안정성을 나타낸다.
표 6: 실온 및 60℃에서 상이한 저장 시간 후에 탄성 성분으로부터의 가교 상태의 측정
Figure pct00013

Claims (10)

  1. 적어도 두 개의 감압 접착제 층(A) 및 감압 접착제 층(B)을 포함하는 키트(kit)로서,
    상기 두 개의 감압 접착제 층(A) 및 감압 접착제 층(B)은 서로 독립적으로 각각 둘 이상의 카복실 기를 함유한 적어도 하나의 폴리머를 포함하며;
    감압 접착제 층(A)에서, 카복실 기를 포함한 폴리머의 카복실 기 중 일부는 활성제(AA)와의 반응의 결과로서 활성화되며;
    - 상기 감압 접착제 층(A)은
    - 상기 감압 접착제 층(A) 및 감압 접착제 층(B)에서 카복실 기를 포함하는 폴리머의 카복실 기와의 가교 반응을 위해 적합하지만 상기 감압 접착제 층(A)에서 실질적으로 반응적이지 않는 적어도 하나의 가교제(VA)를 포함하며;
    - 상기 감압 접착제 층(B)은
    - 상기 가교제(VA)와 함께 상기 감압 접착제 층(B)에서의 카복실 기를 포함한 폴리머의 카복실 기의 가교 반응을 가속화시키기 위해, 상기 가교제(VA)와 함께 상기 감압 접착제 층(A)에서의 카복실 기를 포함하는 폴리머의 카복실 기의 가교 반응을 가능하게 하고 가속화시키기 위해, 및 상기 감압 접착제 층(A)에서의 카복실 기를 포함하는 폴리머의 활성화된 카복실 기와의 가교 반응을 위해 적합한 적어도 하나의 가교제(VB)를 포함하는 키트.
  2. 제1항에 있어서, 감압 접착제 층(A)에서 둘 이상의 카복실 기를 포함하는 폴리머가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트.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감압 접착제 층(B)에서 둘 이상의 카복실 기를 포함하는 폴리머가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트.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활성제(AA)가 카보디이미드, 벤조트리아졸릴-N-옥시포스포늄 화합물, 아자벤조트리아졸릴-N-옥시포스포늄 화합물, O-(벤조트리아졸-1-일)우로늄 화합물, O-(7-아자벤조트리아졸-1-일)우로늄 화합물, N-우로늄-치환된 환형 이미드, 티오포스피닉 클로라이드, 티오포스피닉 아지드, 트리아질 에스테르 및 α-할로피리디늄 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트.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가교제(VA)가 다작용성 에폭사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트.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가교제(VB)가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다작용성 아민 및 다작용성 알코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트.
  7. 적어도 두 개의 감압 접착제 층(A) 및 감압 접착제 층(B)를 접촉시킴으로써 수득 가능하고,
    여기서, 상기 두 개의 감압 접착제 층(A) 및 감압 접착제 층(B)은 서로 독립적으로 각각, 둘 이상의 카복실 기를 함유한 적어도 하나의 폴리머를 포함하며,
    상기 감압 접착제 층(A)에서, 카복실 기를 포함하는 폴리머의 카복실 기 중 일부는 활성제(AA)와 반응의 결과로서 활성화되며;
    - 상기 감압 접착제 층(A)은
    - 상기 감압 접착제 층(A) 및 감압 접착제 층(B)에서 카복실 기를 포함하는 폴리머의 카복실 기와의 가교 반응을 위해 적합하지만, 상기 감압 접착제 층(A)에서 실질적으로 반응적이지 않는 적어도 하나의 가교제(VA)를 포함하며,
    - 상기 감압 접착제 층(B)은
    - 상기 가교제(VA)와 함께 상기 감압 접착제 층(B)에서의 카복실 기를 포함하는 폴리머의 카복실 기의 가교 반응을 가속화하기 위해, 상기 가교제(VA)와 함께 상기 감압 접착제 층(A)에서의 카복실 기를 포함하는 폴리머의 카복실 기의 가교 반응을 가능하게 하고 가속화하기 위해, 및 상기 감압 접착제 층(A)에서의 카복실 기를 포함하는 폴리머의 활성화된 카복실 기와의 가교 반응을 위해 적합한, 적어도 하나의 가교제(VB)를 포함하는, 접착 테이프.
  8. 제7항에 있어서, 둘 이상의 감압 접착제 층(A) 및/또는 감압 접착제 층(B)을 접촉시킴으로써 수득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 테이프.
  9. 제8항에 있어서, 형태 A-B-A의 구조 또는 형태 A-B-A-B-A-B-A-…의 교대 구조가 형성되며, 상기 외부층이 각 경우에 감압 접착제 층(A)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 테이프.
  10. 적어도 두 개의 감압 접착제 층(A) 및 감압 접착제 층(B)을 접촉시키는 것을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두 개의 감압 접착제 층(A) 및 감압 접착제 층(B)이 서로 독립적으로 각각, 둘 이상의 카복실 기를 함유한 적어도 하나의 폴리머를 포함하며;
    상기 감압 접착제 층(A)에서, 카복실 기를 포함한 폴리머의 카복실 기 중 일부는 활성제(AA)와의 반응의 결과로서 활성화되며;
    - 상기 감압 접착제 층(A)은
    - 상기 감압 접착제 층(A) 및 감압 접착제 층(B)에서 카복실 기를 포함한 폴리머의 카복실 기와의 가교 반응을 위해 적합하지만 상기 감압 접착제 층(A)에서 실질적으로 반응적이지 않는 적어도 하나의 가교제(VA)를 포함하며;
    - 상기 감압 접착제 층(B)은
    - 상기 가교제(VA)와 함께 상기 감압 접착제 층(B)에서의 카복실 기를 포함하는 폴리머의 카복실 기의 가교 반응을 가속화시키기 위해, 상기 가교제(VA)와 함께 상기 감압 접착제 층(A)에서의 카복실 기를 포함하는 폴리머의 카복실 기의 가교 반응을 가능하게 하고 가속화시키기 위해, 및 상기 감압 접착제 층(A)에서의 카복실 기를 포함한 폴리머의 활성화된 카복실 기와의 가교 반응을 위해 적합한 적어도 하나의 가교제(VB)를 포함하는, 접착 테이프를 제조하는 방법.
KR1020197016458A 2016-11-08 2017-10-05 다수의 감압 접착제 층으로 제조된 접착제 시스템 KR10230876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6221843.3A DE102016221843A1 (de) 2016-11-08 2016-11-08 Klebesystem aus mehreren Haftklebmasseschichten
DE102016221843.3 2016-11-08
PCT/EP2017/075273 WO2018086804A1 (de) 2016-11-08 2017-10-05 Klebesystem aus mehreren haftklebemasseschichte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2873A true KR20190082873A (ko) 2019-07-10
KR102308762B1 KR102308762B1 (ko) 2021-10-01

Family

ID=601646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6458A KR102308762B1 (ko) 2016-11-08 2017-10-05 다수의 감압 접착제 층으로 제조된 접착제 시스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359115B2 (ko)
EP (1) EP3538596B1 (ko)
KR (1) KR102308762B1 (ko)
CN (1) CN110088185B (ko)
DE (1) DE102016221843A1 (ko)
WO (1) WO201808680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5576B1 (ko) * 2018-10-16 2021-09-27 주식회사 엘지화학 다층 점착 필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03945A (ko) * 2002-02-21 2004-12-09 소니 케미카루 가부시키가이샤 이성분형 접착제
US20120315476A1 (en) * 2011-06-08 2012-12-13 Hiroshi Ogawa Adhesive composition and surface protection film using the same
KR20130085986A (ko) * 2012-01-20 2013-07-30 테사 소시에타스 유로파에아 폴리아크릴레이트에 대한 가교제-가속화제 시스템
WO2015200007A1 (en) * 2014-06-24 2015-12-30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Adhesive precursor composition, two-part adhesive kit, and method of making an adhesive composition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73408A (ja) * 1999-03-19 2000-10-03 Nitto Denko Corp 打抜き加工用両面粘着シ―ト類
DE10153677A1 (de) * 2001-10-31 2003-05-15 Tesa Ag Doppelseitiges Klebeband
DE10259457B4 (de) * 2002-12-19 2010-01-07 Tesa Se Verfahren zum Aufbringen von Haftklebebändern auf raue und/oder unebene Oberflächen
DE10314898A1 (de) * 2003-01-29 2004-08-12 Tesa Ag Haftklebebänder zur Verklebung von Druckplatten und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DE102007016950A1 (de) * 2007-04-05 2008-10-09 Tesa Ag Thermisch vernetzende Polyacrylate und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JP5101919B2 (ja) 2007-04-09 2012-12-19 日東電工株式会社 配線回路基板用両面粘着テープ又はシートおよび両面粘着テープ付き配線回路基板
DE102009054955A1 (de) 2009-09-18 2011-03-24 Tesa Se Klebeband mit einer Klebemasse auf der Basis von Acrylsäureestern
DE102010001386A1 (de) * 2010-01-29 2011-08-04 tesa SE, 20253 Sebum-beständige Polyacrylathaftklebebänder für Fensterverklebungen in Mobilfunktelefonen
DE102011077927A1 (de) * 2011-06-21 2012-12-27 Tesa Se Verfahren zur reversiblen kovalenten Vernetzung von Klebemassen
DE102012200853A1 (de) * 2012-01-20 2013-07-25 Tesa Se Vernetzer-Beschleuniger-System für Polyacrylate
DE102012200855A1 (de) * 2012-01-20 2013-07-25 Tesa Se Vernetzer-Beschleuniger-System für Polyacrylate
JP2015530998A (ja) 2012-08-24 2015-10-29 ダウ グローバル テクノロジーズ エルエルシー テトラメチルスタンノキシ化合物
WO2014076206A1 (de) 2012-11-14 2014-05-22 Henkel Ag & Co. Kgaa 2k-pu-klebstoff zum verkleben von faserformteilen
AU2014230978B2 (en) 2013-03-11 2017-05-11 Vita Zahnfabrik H.Rauter Gmbh & Co. Kg Two-component adhesive for bonding artificial teeth to a denture bas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03945A (ko) * 2002-02-21 2004-12-09 소니 케미카루 가부시키가이샤 이성분형 접착제
US20120315476A1 (en) * 2011-06-08 2012-12-13 Hiroshi Ogawa Adhesive composition and surface protection film using the same
KR20130085986A (ko) * 2012-01-20 2013-07-30 테사 소시에타스 유로파에아 폴리아크릴레이트에 대한 가교제-가속화제 시스템
WO2015200007A1 (en) * 2014-06-24 2015-12-30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Adhesive precursor composition, two-part adhesive kit, and method of making an adhesive composi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8762B1 (ko) 2021-10-01
DE102016221843A1 (de) 2018-05-09
US11359115B2 (en) 2022-06-14
WO2018086804A1 (de) 2018-05-17
EP3538596A1 (de) 2019-09-18
EP3538596B1 (de) 2021-01-20
US20190284446A1 (en) 2019-09-19
CN110088185B (zh) 2021-06-08
CN110088185A (zh) 2019-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9356226B2 (en) A pressure sensitive adhesive and a pressure sensitive adhesive tape
JP6253291B2 (ja) 非極性表面上に接着するための発泡接着テープ
JP6475434B2 (ja) 感圧接着剤
KR101968710B1 (ko) 접착제의 가역적인 공유 가교 방법
KR20180082528A (ko) 알콕시실란 기를 함유하는 양이온성 중합가능한 폴리아크릴레이트 및 이의 용도
KR20130143530A (ko) 열­내성 접착 테이프
TW200806733A (en) Bimodal acrylate PSA for bonding low-energy and rough surfaces
TW201323569A (zh) 黏著劑組合物及黏著帶
TW201723126A (zh) 黏著劑組成物及黏著片
WO2016114241A1 (ja) 両面粘着シート
JP2006133606A (ja) 光学部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10015433A (ko) 개선된 방출 거동을 지닌 압력 감응성 접착제 조성물
KR102308762B1 (ko) 다수의 감압 접착제 층으로 제조된 접착제 시스템
TWI589658B (zh) 感溫性黏著劑組成物
KR20190062292A (ko) 실링 테이프 및 이의 제조 방법
JP2000265137A (ja) 感圧性接着剤組成物とその接着シ―ト類
JPH1025459A (ja) 粘着剤組成物
KR20170097105A (ko) 결합된 비닐기를 갖는 아크릴 중합체를 포함하는 전자 빔 경화성 감압성 접착제
JP2006225611A (ja) 粘着剤組成物、両面粘着テープおよび接着方法
TW201927983A (zh) 具提升的黏著強度之反應性膠膜
TW201323568A (zh) 熱黏著性膜及黏著帶
US20230220242A1 (en) Poly(meth)acrylate-based pressure-sensitive adhesives comprising at least one acrylonitrile-butadiene rubber
KR20100029512A (ko) 점착제 조성물 및 상기를 포함한 점착 필름
CN116023889A (zh) 粘合剂组合物及粘合层
WO2023107788A1 (en) Waterborne polym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