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2577A - 배관용 이송 대차 - Google Patents

배관용 이송 대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2577A
KR20190082577A KR1020180000353A KR20180000353A KR20190082577A KR 20190082577 A KR20190082577 A KR 20190082577A KR 1020180000353 A KR1020180000353 A KR 1020180000353A KR 20180000353 A KR20180000353 A KR 20180000353A KR 20190082577 A KR20190082577 A KR 201900825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base
cylinder
rail
b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03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03314B1 (ko
Inventor
성영규
양진열
이동용
장해광
Original Assignee
한국가스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가스공사 filed Critical 한국가스공사
Priority to KR10201800003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3314B1/ko
Publication of KR201900825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25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33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33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15/00Other railway vehicles, e.g. scaffold cars; Adaptations of vehicles for use on railw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45/00Means or devices for securing or supporting the cargo, including protection against sho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관용 이송 대차에 관한 것으로, 레일을 따라 이동가능한 프레임과, 프레임의 제1 실린더를 수단으로 하여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한 베이스, 베이스 상에서 레일과 직교되는 좌우방향으로 이동가능한 배드, 및 베이스 상에서 배드의 이동방향을 제어하는 위치조절부로 구성되며, 베이스의 하부에 수직하방으로 작동하는 제2 실린더를 배치하여 배관의 변위시 이송 대차의 전복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배관용 이송 대차 {Bogie for tranferring pipe}
본 발명은 배관용 이송 대차에 관한 것으로, 특별하기로 터널 내에 가스관의 안정적인 이송 및 용이한 설치를 돕도록 구성된 운송 대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중에 매설되거나 해저 터널 내에 설치되는 배관은 레일을 따라서 이동하는 대차를 통해 이송된다.
특허문헌 1은 본 발명과 동일한 한국가스공사를 출원인으로 하여 기 등록된 건으로서, 프레임에 대한 베이스와 배드의 상하 위치 조절 뿐만 아니라 베이스에 대한 배드의 좌우 이동 조절을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어, 배관의 위치 조정을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특허문헌 1의 이송 장치는 배관을 배드 상부에 안착하고 작업자의 필요에 따라 혹은 레일의 배열에 따라서 베이스에 대한 배드의 좌우 이동을 허용하는데, 이러한 배드의 좌우 이동은 제1위치 조절부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제1위치 조절부는 도시되어 있듯이 위치 조절 바아의 기 설정된 길이에 한정되어 배드의 이동 범위를 제한하고 있어, 실질적으로 배드 상에 안착된 배관의 위치 조정 범위가 베이스의 좌우 폭 내에서만 이루어질 수밖에 없다. 이는 결과적으로 레일과 배관의 설치 위치 간의 이격 거리가 베이스의 폭 길이보다 큰 경우에는 기 설치된 레일의 위치 변경이 수반되어야 하는 문제점을 갖는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05668호
본 발명은 상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좌우방향(혹은 레일의 폭방향)으로 길이연장된 직사각형상의 베이스 상에서 배드를 장변을 따라 좌우방향으로 변위가능하게 배치하여 배관의 안정적인 이송 뿐만 아니라 용이한 설치를 보장하는 이송 대차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덧붙여서, 본 발명은 배관을 안착시킨 상태에서 배드의 좌우 변위시 무게 이동으로 인한 이송 대차의 전복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이송 대차는,
전방측 프레임과, 후방측 프레임, 좌측 프레임, 및 우측 프레임을 사각형상으로 배치되고, 좌측 프레임 하부와 우측 프레임 하부를 가로질러 배치된 하나 이상의 샤프트를 중심으로 양측에 구비된 휠과, 내부영역에서 상방으로 구동하는 제1 실린더를 갖춘 프레임과;
레일의 길이방향과 직교되는 좌우방향으로 장변을 배치한 직사각형상의 바닥면과, 좌측면, 및 우측면으로 한정되고, 좌측면에 구비된 제1 베어링과, 우측면에 구비된 제2 베어링, 및 바닥면의 하부에서 하방으로 구동하는 제2 실린더를 갖춰, 프레임 상에 배치되는 베이스;
전면과, 후면, 좌면, 및 우면으로 안착부를 상부에 배치하고, 우면에 구비된 너트부와 좌면에 구비된 관통공을 갖춰, 베이스의 바닥면 상에서 좌우방향으로 왕복이동가능한 배드; 및
베이스의 좌측면과 우측면 사이로 길이연장되고, 배드의 너트부와 나사결합되는 전산볼트와, 전산볼트의 타 단부에 결합된 핸들을 갖춘 위치조절부;로 이루어지는데, 여기서 배드는 위치조절부를 통해 베이스에서 좌우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특별하기로, 제2 실린더는 프레임과 중첩되지 않는 바닥면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너트부와, 관통공, 제1 베어링, 및 제2 베어링을 동축선상으로 일렬로 배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프레임은 전방측 프레임 내부면과 후방측 프레임 내부면에 걸림돌기를 구비하는 한편, 베이스는 바닥면의 전방 가장자리와 후방 가장자리에 배치되고 내부에 수직방향으로 길이연장된 수직 홈을 형성한 가이드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베이스는 좌측면과 우측면 사이에 개재되는 가이드 레일을 구비하는 한편, 배드는 좌면과 우면에 형성된 가이드 홈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샤프트의 일측에 플랜지 붙이 차륜과 샤프트의 타측에 평차륜으로 구성된 휠로 이루어질 수 있다.
덧붙여서, 베이스는 제1 실린더의 작동로드 전단부에 대응되는 바닥면의 하부에 수용홈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배드는 전면과 후면의 하단부에 다수의 캐플로어 베어링을 배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제2 실린더의 배치공간을 확보 뿐만 아니라 배드의 변위 범위를 확대하기 위해 베이스의 장변 길이를 프레임의 좌측 프레임과 우측 프레임 사이의 이격 거리보다 큰 크기를 갖도록 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상 본 발명의 설명에 의하면, 본 발명은 레일을 따라 이동가능한 프레임과, 프레임 상에서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한 베이스, 베이스 상에서 레일과 직교되는 좌우방향으로 이동가능한 배드를 수단으로 하여 더욱 정확하게 배관을 소정의 위치로 정렬시킬 수 있다. 이는 기 설치된 배관과의 용접에 의한 연결이나 매설을 위한 배관의 위치 조정을 보다 용이하게 이룰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은 배드 상에 안착된 배관을 좌우방향으로 변위시킬 때에도 이송 대차를 레일 상에서 안정적으로 위치선정될 수 있도록 가능하게 하는 장점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이송 대차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이송 대차를 일측 상방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이송 대차를 타측 상방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이송 대차를 하방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이송 대차를 상방에서 바라본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이송 대차를 하방에서 바라본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이송 대차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동작상태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이송 대차(1)의 사용상태도로서, 이송 대차(1)는 널리 알려져 있듯이 레일(R)을 따라 가스관 등의 배관(P)을 소정의 위치로 이송하는 장치이다. 이와 더불어서, 본 발명에 따른 이송 대차(1)는 배관(P)의 이송 뿐만 아니라 배관을 좌우방향 및/또는 상하방향으로 위치를 변위시켜 목표지점(target point)에 정렬시킬 수 있다. 여기서, 목표지점은 기 설치된 다른 배관에 용접 등에 의하여 연결되는 위치 또는 매설될 위치로서, 도 1에서는 지지대(S)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이송 대차(1)를 수단으로 하여 배관(P)을 지지대(S) 상에 안착시키는 과정 중에 전복 등의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하에서, 전방(전) 혹은 후방(후)이라는 용어는 레일(R)의 길이방향 혹은 레일(R) 상에서 이송 대차(1)의 이동방향으로 정의할 수 있으며, 좌우라는 용어는 레일의 길이방향과 직교되는 교차방향으로 정의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6을 참조로 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송 대차(1)는 레일(R)을 따라 이동하는 프레임(100)과, 상하방향으로 승하강가능하게 프레임(100)에 설치된 베이스(200), 베이스(200)에서 레일의 길이방향과 직교되는 좌우방향으로 변위가능하게 설치되고 배관(P)의 안착을 허용하는 배드(300), 배드(300)의 위치를 변위시키는 위치조절부(400)로 이루어져 있다.
프레임(100)은 전방측 프레임(100a)과, 후방측 프레임(100b), 전방측 프레임(100a)의 좌측 가장자리에서 후방측 프레임(100b)의 좌측 가장자리 사이에 배치된 좌측 프레임(100c), 및 전방측 프레임(100a)의 우측 가장자리에서 후방측 우측 가장자리 사이에 배치된 우측 프레임(100d)으로 한정되는 전반적으로 사각형상의 구성부재로, 좌측 프레임(100c) 하부와 우측 프레임(100d) 하부 사이를 가로질러 배치된 하나 이상의 샤프트(110)를 중심으로 양측에 휠(120)을 구비한다. 선택가능하기로, 샤프트(110)의 일측에 구비된 휠은 주행시 레일(R) 상에서 탈선을 방지하기 위해 플랜지 붙이 차륜(120a)으로 형성되는 한편, 샤프트(110)의 타측에 구비된 휠은 플랜지를 구비하지 않은 평차륜(120b;flangeless wheel)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휠(120;120a,120b)의 구성은 일정하지 않은 궤간 구역에서도 별도의 어려움 없이 본 발명의 이송 대차를 레일 상에서 주행가능하게 돕는다.
프레임(100)은 이의 내부영역에 거치대(140)를 배치하는데, 거치대(140)는 베이스(200)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 실린더(150)를 구비한다. 거치대(140)는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샤프트(100) 사이에 거치대(140)를 배치할 수도 있다. 당해분야의 숙련자들에게 널리 알려져 있듯이, 제1 실린더는 유압, 공압 또는 전력으로 발생된 구동력을 통해 프레임을 기준으로 하여 베이스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구성부재이다.
전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송 대차(1)는 인접해 있는 다른 이송 대차 또는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전동차(미도시) 등과 연결을 돕는 연결 브라켓(160)을 전방측 프레임(100a) 외부면과 후방측 프레임(100b) 외부면에 구비한다. 이와 대응되게, 프레임(100)은 전방측 프레임(100a) 내부면과 후방측 프레임(100b) 내부면에서 프레임의 내부영역을 향해 뻗어 있는 걸림돌기(170)를 구비한다.
덧붙여서, 프레임(100)은 좌측 프레임(100c) 상부와 우측 프레임(100d) 상부에 베이스(200)를 지지하는 베이스 지지부(130)를 구비한다.
베이스(200)는 직사각형상의 바닥면(200e)과, 바닥면의 좌측 가장자리에 수직방향으로 입설된 좌측면(200c), 및 바닥면의 우측 가장자리에 수직방향으로 입설된 우측면(200d)으로 구성된 상부를 개방한 박스형상일 수 있는바,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200)는 좌우방향으로 길게 뻗어 있는 다시 말하자면 레일의 길이방향과 직교되는 좌우방향으로 장변(長邊)을 배치하는 한편 레일의 길이방향에 대응되는 전후방향으로 길이연장된 좌측면과 우측면을 단변(短邊)으로 배치할 수 있다. 이러한 형상의 베이스(200)는 프레임(100)에 상하방향으로 높이 조절가능하게 결합되면, 베이스(200)의 장변의 일부는 프레임과 중첩되지 않고 레일과 직교되는 좌방향 혹은 우방향으로 길이연장되어 배치될 수 있다. 물론, 베이스의 장변 길이는 프레임의 좌측 프레임과 우측 프레임 사이의 이격 거리보다 큰 크기를 갖도록 한다.
특별하기로, 본 발명에 따른 배관용 이송 대차(1)는 프레임(100)과 중첩되지 않는 베이스(200)의 바닥면(200e) 하부에 제2 실린더(250)를 구비한다. 제2 실린더(250)는 유압, 공압 또는 전력으로 발생된 구동력을 통해 작동로드(251)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켜 베이스(200)를 지면 혹은 받침목(T;도 1 참조)과 평행하게 배열될 수 있도록 지지하여, 배관을 안착시킨 상태에서 배드의 좌우 변위시 이송 대차의 무게중심 이동으로 인한 전복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돕는다.
구체적으로, 베이스(200)는 프레임(100)의 걸림돌기(170)와 대응되는 위치인 베이스(200)의 바닥면(200e)의 전방 가장자리와 후방 가장자리에서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부(270)를 배치한다. 가이드부(270)는 이의 내부에 수직방향으로 길이연장된 수직 홈(271)을 구비하는데, 수직 홈(271) 내부에 프레임(100)의 걸림돌기(170)를 배치시켜 베이스(200)의 상하방향으로 변위를 제한하는 동시에 프레임(100)으로부터 베이스(200)의 불필요한 분리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베이스는 프레임과 중첩되는 바닥면(200e)의 하부에 수용홈(240)을 배치할 수 있는데, 이 수용홈(240)은 제1 실린더(150)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왕복하는 작동로드(151)의 전단부를 위치고정할 수 있도록 제1 실린더의 작동로드와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된다.
베이스(200)는 좌측면(200c)에 제1 베어링(210)과 제1 베어링(210)과 대향되게 배치된 우측면(200d)에 제2 베어링(220)을 배치하는데, 제1 베어링(210)과 제2 베어링(220)은 일직선 상으로 정렬될 수 있도록 한다. 덧붙여서, 베이스(200)는 바닥면(200e)의 상부에 좌측면(200c)과 우측면(200d) 사이에서 일직선으로 개재된 가이드 레일(230)을 구비하는데, 다시 말하자면, 가이드 레일(230)은 직사각형상의 베이스(200)에서 장변과 평행한 좌우방향으로 길이연장된다.
배드(300)는 위치조절부(400)를 수단으로 하여 베이스(200)의 장변을 따라 좌우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배드의 상부는 배관을 지지하는 오목형상의 안착부(310)를 형상한다. 안착부(310)는 배관(P;도 1 참조)의 곡률로 만곡되어 있으며, 안착부(310)는 논슬립 매트(311;non-slip mat)를 구비하여, 배관 안착시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는 탄성력과 함께 이동시 배관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마찰력을 가진 재질, 예컨대 우레탄 재질의 논슬립 매트(311)를 구비할 수 있다.
배드(300)는 안착부(310)의 전방측 가장자리에서 하방으로 형성된 전면(300a)과 안착부의 후방측 가장자리에서 하방으로 형성된 후면(300b), 및 안착부의 좌측 가장자리에서 하방으로 형성된 좌면(300c), 및 안착부의 우측 가장자리에서 하방으로 형성된 우면(300d)으로 한정되어 하방을 개방한 형상을 제공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300a)과 후면(300b)의 하단부에는 다수의 캠플로어 베어링(320)을 구비한다. 캠플로어 베어링(320)은 베이스(200)에서 좌우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는 배드(300)과 베이스(200)의 바닥면(200e) 사이에 저마찰 상태를 제공하는 한편 직선 주행을 보장할 수 있도록 구름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구성부재이다.
배드(300)는 좌면(300c)에 관통공(340)과 우면(300d)에 너트부(330)을 형성하는데, 너트부(330)와, 관통공(340), 제1 베어링(210), 및 제2 베어링(220)을 동축선상으로 일렬되게 배열될 수 있도록 한다. 선택가능하기로, 관통공(340)은 전산볼트의 나사산과 나사결합가능한 너트부일 수도 있다. 덧붙여서, 배드(300)는 좌면(300c)과 우면(300d)의 하단부에 형성된 가이드 홈(350)을 통해 베이스(200)의 가이드 레일(230) 상에서 좌우방향으로 직선 이동을 가능하게 돕는다.
위치조절부(400)는 베이스(200)에 대해 배드(300)의 좌우방향으로 이동을 조절하는 구성부재로, 전산볼트(410)와 핸들(420)로 구성된다. 전산볼트(410)의 일 단부는 제1 베어링(210)을 통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한편 전산볼트(310)의 타 단부는 제2 베어링(220)을 통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핸들(420)에 결합된다. 핸들(420)은 작업자에 의해 정방향 및/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되고, 이에 따라 전산볼트(410)을 정회전 및/또는 역회전되게 반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산볼트(310)는 베이스(200)의 우측면(200d)에 구비된 제2 베어링(220)을 지나, 배드(300)의 우면(300d)에 형성된 너트부(330), 배드(300)의 좌면(300d)에 형성된 관통공(340), 베이스(200)의 좌측면(200c)에 구비된 제1 베어링(210)까지 길이연장된다. 바람직하기로, 너트부(330)는 전산볼트(310)의 나사산과 치합되는 대응 나사산을 내측에 구비하여, 전산볼트(310)의 나사산을 따라 배드(300)를 전산볼트의 길이방향, 더욱 구체적으로 베이스 내에서 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즉, 전산볼트(410)는 핸들(420)의 회전방향에 따라 회전하게 되고, 전산볼트(310)의 나사산과 나사결합되는 너트부(330)를 갖춘 배드(300)는 전산볼트(310)의 나사산을 따라 베이스(200) 상에서 전산볼트(3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좌우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전산볼트(410)는 가이드 레일(230)와 평행하게 배열되어야 할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이송 대차의 동작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으로, 레일을 따라 소정의 위치까지 이송된 이후에 배관을 목표지점으로 정렬시키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도해하고 있다.
도 7(a)를 참조하면, 배관(P)은 이송 대차의 배드(300) 상에 안착된 상태로 레일(R)을 따라 이송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이송 대차는 프레임(100)의 일측에 플랜지 붙이 차륜(120a)을 구비하여 레일(R) 상에서 탈선되지 않도록 돕는다. 이와 달리, 프레임(100)의 타측에 평차륜(120b)을 구비하여 레일(R)들 간의 궤간이 일정하지 않아도 이송 대차를 레일 상에서 주행을 보장할 수 있게 한다.
도 7(b)는 프레임(100)의 내부영역에 배치된 제1 실린더의 구동에 따라 베이스(200)를 상승이동시켜 배관(P)을 목표지점의 높이까지 도달하게 한다. 이때, 베이스(200)의 하면에 배치된 제2 실린더(250)는 하방으로 작동로드(251)를 진행시켜 이송 대차의 수평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작업자는 제2 실린더(250)의 최대 연장된 작동로드의 길이보다 베이스와 지면 간의 높이차가 클 경우 혹은 작동로드의 가압으로 지면이나 구조물에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작동로드의 선단부에 받침목(T)을 추가로 받쳐놓을 수 있다.
도 7(c)는 위치조절부의 조정을 통해 베이스(200) 상에서 배드(300)를 도면에서는 우측으로 이동시켜 배관(P)을 미리 설정된 목표지점 상으로 정렬시킬 수 있게 된다. 예컨대, 배관(P)이 배드(300)를 수단으로 하여 레일(R)의 궤간에서 벗어나게 될 경우에, 상당한 하중을 가진 배관(P)이 이송 대차의 무게중심에서 벗어나게 되면서 이송 대차를 전복시키게 된다. 하지만, 본 발명은 배관의 변위로 인한 무게중심의 이동에도 불구하고 제2 실린더(250)를 통해 이송 대차와 함께 배관을 지지하여 정확하게 배관을 목표지점까지 진입시키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은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배관용 이송 대차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 ----- 이송 대차,
100 ----- 프레임,
200 ----- 베이스,
300 ----- 배드,
400 ----- 위치조절부,
P ----- 배관,
S ----- 지지대,
T ----- 받침대.

Claims (9)

  1. 레일(R)을 따라 이동하여 배관(P)을 이송하는 배관용 이송 장치에 있어서,
    전방측 프레임(100a)과, 후방측 프레임(100b), 좌측 프레임(100c), 및 우측 프레임(100d)을 사각형상으로 배치되고, 상기 좌측 프레임(100c) 하부와 상기 우측 프레임(100d) 하부를 가로질러 배치된 하나 이상의 샤프트(110)를 중심으로 양측에 구비된 휠(120)과, 내부영역에서 상방으로 구동하는 제1 실린더(150)를 갖춘 프레임(100)과;
    상기 레일(R)의 길이방향과 직교되는 좌우방향으로 장변을 배치한 직사각형상의 바닥면(200e)과, 좌측면(200c), 및 우측면(200d)으로 한정되고, 상기 좌측면(200c)에 구비된 제1 베어링(210)과, 상기 우측면(200d)에 구비된 제2 베어링(220), 및 상기 바닥면(200e)의 하부에서 하방으로 구동하는 제2 실린더(250)를 갖춰, 상기 프레임(100) 상에 배치되는 베이스(200);
    전면(300a)과, 후면(300b), 좌면(300c), 및 우면(300d)으로 안착부(310)를 상부에 배치하고, 우면(300d)에 구비된 너트부(330)와 좌면(300c)에 구비된 관통공(340)을 갖춰, 상기 베이스(200)의 상기 바닥면(200e) 상에서 좌우방향으로 왕복이동가능한 배드(300); 및
    상기 베이스(200)의 상기 좌측면(200c)과 상기 우측면(200d) 사이로 길이연장되고, 상기 배드(300)의 상기 너트부(330)와 나사결합되는 전산볼트(410)와, 상기 전산볼트(310)의 타 단부에 결합된 핸들(420)을 갖춘 위치조절부(400);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배드(400)는 상기 위치조절부(400)를 통해 상기 베이스(200)에서 좌우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이송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실린더(250)는 상기 프레임(100)과 중첩되지 않는 상기 바닥면(200e) 하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이송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너트부(330)와, 상기 관통공(340), 상기 제1 베어링(210), 및 상기 제2 베어링(220)은 동축선상으로 일렬로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이송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00)은 상기 전방측 프레임(100a) 내부면과 상기 후방측 프레임(100b) 내부면에 걸림돌기(170)를 구비하고,
    상기 베이스(200)는 상기 바닥면(200e)의 전방 가장자리와 후방 가장자리에 배치되고 내부에 수직방향으로 길이연장된 수직 홈(271)을 형성한 가이드부(27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이송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200)는 상기 좌측면(200c)과 상기 우측면(220d) 사이에 개재되는 가이드 레일(230)을 구비하고,
    상기 배드(300)는 상기 좌면(300c)과 상기 우면(300d)에 형성된 가이드 홈(35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이송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휠(120)은 상기 샤프트(110)의 일측에 플랜지 붙이 차륜(120a)과 상기 샤프트(110)의 타측에 평차륜(120b)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이송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200)는 상기 제1 실린더(150)의 작동로드 전단부에 대응되는 상기 바닥면(200e)의 하부에 수용홈(24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배관용 이송 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드(300)는 상기 전면(300a)과 상기 후면(300b)의 하단부에 다수의 캐플로어 베어링(320)을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이송 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의 장변 길이는 상기 프레임의 상기 좌측 프레임과 상기 우측 프레임 사이의 이격 거리보다 큰 크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이송 대차.
KR1020180000353A 2018-01-02 2018-01-02 배관용 이송 대차 KR1020033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0353A KR102003314B1 (ko) 2018-01-02 2018-01-02 배관용 이송 대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0353A KR102003314B1 (ko) 2018-01-02 2018-01-02 배관용 이송 대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2577A true KR20190082577A (ko) 2019-07-10
KR102003314B1 KR102003314B1 (ko) 2019-07-25

Family

ID=672547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0353A KR102003314B1 (ko) 2018-01-02 2018-01-02 배관용 이송 대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331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6374B1 (ko) 2020-12-21 2021-04-29 전재환 배관을 활용한 자재 이송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07170A (ja) * 1992-09-25 1994-04-19 Kosumetsuku:Kk 搬送台車
JPH082409A (ja) * 1994-06-20 1996-01-09 Masaya Nagashima 車輌搬送用軌道走行台車
KR20000013900A (ko) * 1998-08-14 2000-03-06 이종수 차단기의 이동유니트 이송장치
KR101452932B1 (ko) * 2013-06-17 2014-10-22 우성이엠씨(주) 퍼스널 모노레일의 구동롤러장치
KR101605668B1 (ko) 2014-11-04 2016-03-23 한국가스공사 배관용 이송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07170A (ja) * 1992-09-25 1994-04-19 Kosumetsuku:Kk 搬送台車
JPH082409A (ja) * 1994-06-20 1996-01-09 Masaya Nagashima 車輌搬送用軌道走行台車
KR20000013900A (ko) * 1998-08-14 2000-03-06 이종수 차단기의 이동유니트 이송장치
KR101452932B1 (ko) * 2013-06-17 2014-10-22 우성이엠씨(주) 퍼스널 모노레일의 구동롤러장치
KR101605668B1 (ko) 2014-11-04 2016-03-23 한국가스공사 배관용 이송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3314B1 (ko) 2019-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2031B1 (ko) 자동창고
JP6573153B2 (ja) 貨物搬送用車両
JP2009298223A (ja) 無人搬送車
MX2010011742A (es) Horquillas flotantes para vehiculos elevadores.
JP6280385B2 (ja) 自動車入庫装置とそれを備えた機械式駐車設備
US5579698A (en) Transportation and installation device for heavy pipes
KR102144377B1 (ko) Lng 선박 단열박스 설치 장치의 레일투입 장치
ES2411130T3 (es) Aparato de transporte de bloques anulares, y método de reparación para cuba de altos hornos
JP4507015B2 (ja) 滑り荷台利用の搬送装置
KR102003314B1 (ko) 배관용 이송 대차
US20070029170A1 (en) Rolling conveyor support
JP6530674B2 (ja) 機械式駐車装置
JP4508073B2 (ja) 重量物の搬送載置方法及びそのシステム
JPH08239046A (ja) 運搬台車
JP4428563B2 (ja) コンクリート二次製品の搬送および敷設システム、ならびに該二次製品の搬送および敷設方法
JP6454128B2 (ja) 作業台及び部材の検査方法
JP2003095587A (ja) 重量物送り出し用台車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重量物の送り出し工法
US8944741B2 (en) Container utility system
JPH08113331A (ja) 運搬台車
JP5114266B2 (ja) コンベア
JP2009286585A (ja) 軌道固定設備
KR101596036B1 (ko) 코일 제품의 회전장치
KR101974099B1 (ko) 받침부재 배치장치
KR101629846B1 (ko) 장대레일의 운반장치
EP2116419A1 (en) Crane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